KR20100059788A - 통신 시스템 및 경보기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 및 경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9788A
KR20100059788A KR1020107002001A KR20107002001A KR20100059788A KR 20100059788 A KR20100059788 A KR 20100059788A KR 1020107002001 A KR1020107002001 A KR 1020107002001A KR 20107002001 A KR20107002001 A KR 20107002001A KR 20100059788 A KR20100059788 A KR 20100059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code
registration
sig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2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타카 에가와
Original Assignee
호치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치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호치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59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97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08B21/16Combustible ga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3Address allocation methods and detai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7Details of data content structure of message packets; data protoco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27Reporting to a device within the home network; wherein the reception of the information reported automatically triggers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81Configuration of triggering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38Address allocation for local use, e.g. in LAN or USB networks, or in a controller area network [CA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69Address allocation for group communication, multicast communication or broadcast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larm Systems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서로 통신을 행하는 복수의 통신 기기를 가지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각 통신 기기는:다른 것에 대해 스스로를 식별하기 위한 제1의 부호와, 이 제1의 부호 및 소정의 기준값에 의거해 다른 통신 기기와 상이하도록 정해지는 제2의 부호를 저장하는 기록 수단과;상기 다른 통신 기기를 향해 상기 제1의 부호 및 상기 제2의 부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과;상기 다른 통신 기기의 상기 송신 수단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이 수신 수단이 수신한 상기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제1의 부호 및 상기 제2의 부호와, 상기 기록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1의 부호를 이용해 연산을 행하고, 이 연산에 의해 구해진 값이 상기 기록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2의 부호와 일치하고 있는지 여부에 따라, 이 신호를 식별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통신 시스템 및 경보기{COMMUNICATION SYSTEM AND ALARM}
본 발명은, 각 통신 기기간에 서로 통신을 행하는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화재 등의 이상을 검출해 경보함과 더불어 다른 경보기에 신호를 무선 송신하여 경보를 연동 출력시키는 경보기에도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일본국 특원 2007-268732호와 일본국 특원 2008-166925호를 기초 출원으로 하여, 그들의 내용을 여기에 도입한다.
[제1 배경 기술]
종래부터, 복수의 무선식 통신 기기 사이에서 서로 무선 통신을 행하게 하는 무선 상호 통신 시스템이 이용되고 있다. 각 무선식 통신 기기는, 센서의 출력 신호나 다른 통신 기기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무선 신호에 의해 다른 통신 기기에 송신하는 것이며, 예를 들면, 주택에 있어서의 화재 발생이나 가스 누출을 검출해 경보를 발보(發報)하는 주택용 경보기나, 불심자의 침입을 검출하는 감시 센서 등이 있다. 이들의 무선식 통신 기기는, 수신한 무선 신호가 어느 무선식 통신 기기로부터 송신된 것인지를 식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각각의 무선식 통신 기기가 고유의 송신원 특정 부호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무선 신호를 송신할 때에는, 이 무선 신호에 상기 송신원 특정 부호를 부가하고 나서 송신한다.
그런데, 무선 상호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인접하는 건물 내에, 동일한 타입의 통신 기기를 사용하여 설치된 다른 시스템 등, 무선을 사용하는 다른 시스템으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수신할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자시스템에 있어서의 무선 신호에만 의거해 각 무선식 통신 기기가 적절한 동작을 행하기 위해서는, 자시스템에 있어서의 무선 신호와 타시스템으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식별할 필요가 있었다.
이 때문에, 종래의 무선 상호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무선식 통신 기기에서는, 각각의 무선식 통신 기기가, 자시스템에 속하는 모든 무선식 통신 기기의 송신원 특정 부호를 기록하고 있었다. 그리고, 수신한 무선 신호에 포함되는 송신원 특정 부호가, 기록되어 있는 송신원 특정 부호의 어느것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무선 신호의 식별을 행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송신원 특정 부호를 이용한 무선 신호의 식별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하기 (1) 및 (2)에 기재된 방법이 있다(후술의 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 참조).
(1) 자기의 무선 상호 통신 시스템에 속하는 모든 무선식 통신 기기의 송신원 특정 부호를, 각각의 무선식 통신 기기가 구비하는 메모리 등의 기록 수단에 기록시키는 방법(이하, 종래의 제1의 방법).
(2) 자기의 무선 상호 통신 시스템 내에 있어서의 공통의 그룹 부호를 미리, 각 무선식 통신 기기에 기록시켜 놓는다. 그리고, 이 그룹 부호를 무선 신호에 부가해 송신시킴으로써, 무선 신호의 식별을 행하게 하는 방법(이하, 종래의 제2의 방법).
[제2 배경 기술]
또, 종래부터, 주택에 있어서의 화재나 가스 누출 등의 이상을 검출해 경보하는 주택용 경보기(이하 「경보기」라고 한다)가 보급되어 있고, 근년에 있어서는, 1개의 집합 주택에 복수의 경보기를 설치해 방마다 화재 등의 이상을 감시하는 경향도 증가하고 있다(예를 들면, 하기 특허 문헌 3 참조).
이와 같이 집합 주택 내에 복수대의 경보기를 설치했을 경우, 이상이 발생한 방과는 다른 방에 사람이 있으면, 경보음이 들리지 않을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각 경보기끼리를 유선 접속하고, 어느 경보기로 화재를 검출해 경보를 발신한 경우, 이 경보기로부터 다른 경보기에 경보 신호를 보내어 동시에 경보시키는 연동 경보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렇지만, 각 경보기끼리를 유선 접속하려면 유선 공사가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비용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는, 무선식의 경보기를 채용함으로써 해소 가능하다. 게다가, 최근의 무선 회로용 IC는 저소비 전력화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경보기로부터의 경보 신호를 수신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시 수신 가능한 동작 상태로 해도, 예를 들면 5년을 넘는 것과 같은, 실용에 견디는 전지 수명이 보증되어 있다. 따라서, 무선식의 경보기를 실용화하는 환경이 계속 갖추어지고 있다.
그런데, 무선식의 경보기에 있어서는, 1 집합 주택에 설치하는 복수의 경보기에 대해 연동 그룹을 형성할 때에, 공장 출하시 혹은 집합 주택 설치시에 연동 그룹을 형성하기 위한 등록 작업을 행하고 있다. 여기서, 무선 신호를 이용해 등록하는 것을, 예를 들면 발보 등록이라고 부른다.
이 발보 등록은, 연동 그룹을 형성하는 복수의 경보기를 작업 테이블 등에 놓고, 그 중의 1대의 경보기를 등록 송신 모드로 하며, 나머지의 경보기를 등록 수신 모드로 한다. 그리고, 등록 송신 모드가 되어 있는 경보기로부터, 송신원 부호를 포함하는 이벤트 신호를 송신한다. 그리고, 이 이벤트 신호를, 등록 수신 모드가 되어 등록 대기 상태에 있는 경보기로 수신하며, 수신한 이벤트 신호에 포함되는 송신원 부호를 메모리에 등록한다. 이와 같은 등록 송신 모드의 설정을, 모든 경보기에 대해 순차적으로 행함으로써 발보 등록을 종료한다. 그 결과, 연동 그룹을 형성하는 모든 경보기에 대해, 동일한 연동 그룹에 속하는 각 경보기의 송신원 부호가 등록된다.
발보 등록이 끝난 후의 감시 상태에서는, 어느 경보기로부터 화재 등의 이상 검출에 의한 이벤트 신호가 송신되면, 다른 경보기로 상기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여 송신원 부호를 취득한다. 그리고, 메모리에 등록되어 있는 등록이 끝난 송신원에 일치하면 이상 경보를 행하고, 한편, 메모리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무시한다. 이와 같이 하여, 연동 그룹 내에 있어서만 연동 경보를 행한다.
(특허문헌1):일본국특허공개2006-331096호공보 (특허문헌2):일본국특허공개평3-201196호공보 (특허문헌3):일본국특허공개2007-094719호공보
그런데, 상술의[제1의 배경 기술]에 관련된 통신 시스템의 경우, 이하의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즉, 상술의 종래의 제1의 방법에서는, 다수의 무선식 통신 기기를 구비하는 대규모 무선 상호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기록 수단에 기록시켜야 할 송신원 특정 부호의 수도 방대하게 되기 때문에, 대용량의 기록 수단이 필요하게 되어 있었다. 또, 부호 조합에 시간이 걸린다고 하는 폐해도 있었다. 또한, 일단, 이러한 대규모 시스템을 구축한 후에 새롭게 무선식 통신 기기를 추가하는 경우, 이 시스템에 속하는 모든 무선식 통신 기기에 대해서, 새롭게 추가하는 무선식 통신 기기의 송신원 특정 부호를 기록할 필요가 있어, 기록 작업이 큰 부담이 되어 있었다.
또, 상술의 종래의 제2의 방법에서는, 자시스템의 그룹 부호와 타시스템의 그룹 부호가 중복할 가능성이 있으며(자시스템에 대해서 신호가 닿는 범위에 존재하는 다른 시스템에, 간혹 동일한 그룹 부호가 설정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 경우에는, 무선 신호의 식별을 행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제1의 배경 기술]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신호의 식별을 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의 용량 저감, 및, 통신 시스템으로의 통신 기기의 추가 작업의 간략화를 실현하면서, 신호의 식별을 확실히 행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의 제공을 제1의 목적으로 한다.
또, 상술의[제2의 배경 기술]에 관련된 경보기의 경우, 이하의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즉, 상술과 같은 종래의 경보기에서는, 연동 그룹을 형성하기 위한 발보 등록 작업에 있어서, 동시각에, 무선 신호가 닿는 범위 내의 다른 장소에서 발보 등록을 행하고 있었을 경우, 작업자가 등록하려고 한 경보기가 아니라, 다른 장소의 경보기가 잘못하여 등록될 가능성이 있었다. 이와 같은 경우, 연동 그룹을 정확하게 설정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제2의 배경 기술]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연동 그룹을 형성하기 위한 발보 등록을 정확하게 행할 수 있는 경보기의 제공을 제2의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제1의 배경 기술]에 있어서의 과제를 해결하여 상기 제1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하의 수단을 채용했다.
(1) 본 발명의 통신 시스템은, 서로 통신을 행하는 복수의 통신 기기를 가진다. 상기 각 통신 기기는:다른 것에 대해 스스로를 식별하기 위한 제1의 부호와, 이 제1의 부호 및 소정의 기준값에 의거해 다른 통신 기기와 상이하도록 정해지는 제2의 부호를 저장하는 기록 수단과;상기 다른 통신 기기를 향해 상기 제1의 부호 및 상기 제2의 부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과;상기 다른 통신 기기의 상기 송신 수단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이 수신 수단이 수신한 상기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제1의 부호 및 상기 제2의 부호와, 상기 기록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1의 부호를 이용해 연산을 행하고, 이 연산에 의해 구해진 값이 상기 기록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2의 부호와 일치하고 있는지 여부에 따라, 이 신호를 식별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2) 상기 제어 수단이:소정의 입력이 행해졌을 경우에, 상기 신호를, 상기 송신 수단을 통해 상기 다른 통신 기기에 송신하고;소정 조건하에서, 상기 신호를 상기 다른 통신 기기로부터 수신했을 경우에, 이 수신한 상기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제1의 부호 및 상기 기록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1의 부호의 어느 한쪽을, 소정 규칙에 의거해 선택하여 상기 기준값으로 설정하며;이 기준값과 상기 기록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1의 부호로부터 상기 제2의 부호를 결정하고;이 결정한 제2의 부호를 상기 기록 수단에 저장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3) 상기 각 통신 기기가, 상기 기록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1의 부호를 상기 기준값으로 설정하는 지시를, 상기 제어 수단에 입력하는 지시 수단을 더 구비하고;상기 제어 수단이:상기 지시 수단으로부터 상기 지시가 입력되었을 경우에, 이 지시 수단으로부터의 입력에 의거하는 송신인 것을 나타내는 지시 신호와, 상기 제1의 부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상기 송신 수단을 통해 상기 다른 통신 기기에 송신함과 더불어, 상기 제1의 부호에 의거해 상기 제2의 부호를 결정하여 상기 기록 수단에 저장하고;상기 지시 신호 및 상기 제1의 부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했을 경우에, 이 신호에 포함되는 제1의 부호를 상기 기준값으로 설정한 다음, 이 기준값과 상기 기록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1의 부호로부터 상기 제2의 부호를 결정하며;이 결정한 제2의 부호를 상기 기록 수단에 저장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4) 상기 제어 수단이:소정의 입력이 행해지고 또한, 상기 다른 통신 기기로부터 상기 신호를 수신했을 경우에, 이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제1의 부호 및 상기 제2의 부호와, 상기 기록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1의 부호로부터, 상기 제2의 부호를 결정하고;이 결정한 제2의 부호를 상기 기록 수단에 저장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제2의 배경 기술]에 있어서의 과제를 해결하여 상기 제2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하의 수단을 채용했다.
(5) 본 발명의 제1의 경보기는, 다른 경보기로부터의, 송신원 부호를 포함하는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회로부와;송신원 부호를 포함하는 이벤트 신호를 상기 다른 경보기에 송신하는 송신 회로부와;이상을 검출하는 센서부와;경보를 출력하는 알림부와;연동 그룹을 형성하는 등록 송신 모드의 설정시에는, 상기 송신원 부호를 포함하는 등록 이벤트 신호를 송신하고, 등록 수신 모드의 설정시에는, 상기 다른 경보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이벤트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송신원 부호를 메모리에 등록하는 발보 등록부와;상기 센서부로부터의 이상 검출 신호를 받았을 경우에 연동원으로서의 이상 경보를 상기 알림부에 출력시킴과 더불어, 이상을 나타내는 상기 이벤트 신호를 상기 다른 경보기에 송신하는 한편, 상기 다른 경보기로부터 이상을 나타내는 상기 이벤트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이 이벤트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송신원 부호가, 상기 메모리에 등록되어 있는 등록이 끝난 송신원 부호와 일치한 경우, 연동처로서의 이상 경보를 상기 알림부에 출력시키는 이상 감시부와;상기 발보 등록부에 의해 상기 등록 송신 모드를 설정할 때에, 상기 송신 회로부의 송신 전력을 통상시보다 저하시키는 송신 전력 전환 제어부를 구비한다.
(6) 본 발명의 제2의 경보기는, 다른 경보기로부터의, 송신원 부호를 포함하는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회로부와;송신원 부호를 포함하는 이벤트 신호를 상기 다른 경보기에 송신하는 송신 회로부와;이상을 검출하는 센서부와;경보를 출력하는 알림부와;연동 그룹을 형성하는 등록 송신 모드의 설정시에는, 상기 송신원 부호를 포함하는 등록 이벤트 신호를 송신하고, 등록 수신 모드의 설정시에는, 상기 다른 경보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이벤트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송신원 부호를 메모리에 등록하는 발보 등록부와;상기 센서부로부터의 이상 검출 신호를 받았을 경우에 연동원으로서의 이상 경보를 상기 알림부에 출력시킴과 더불어, 이상을 나타내는 상기 이벤트 신호를 상기 다른 경보기에 송신하는 한편, 상기 다른 경보기로부터 이상을 나타내는 상기 이벤트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이 이벤트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송신원 부호가, 상기 메모리에 등록되어 있는 등록이 끝난 송신원 부호와 일치한 경우, 연동처로서의 이상 경보를 상기 알림부에 출력시키는 이상 감시부와;상기 발보 등록부에 의해 상기 등록 수신 모드를 설정할 때에, 상기 수신 회로부의 수신 감도를 통상시보다 저하시키는 수신 감도 전환 제어부를 구비한다.
(7) 본 발명의 제3의 경보기는, 다른 경보기로부터의, 송신원 부호를 포함하는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회로부와;송신원 부호를 포함하는 이벤트 신호를 상기 다른 경보기에 송신하는 송신 회로부와;이상을 검출하는 센서부와;경보를 출력하는 알림부와;연동 그룹을 형성하는 등록 송신 모드의 설정시에는, 상기 송신원 부호를 포함하는 등록 이벤트 신호를 송신하고, 등록 수신 모드의 설정시에는, 상기 다른 경보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이벤트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송신원 부호를 메모리에 등록하는 발보 등록부와;상기 센서부로부터의 이상 검출 신호를 받아 연동원으로서의 이상 경보를 상기 알림부에 출력시킴과 더불어, 이상을 나타내는 상기 이벤트 신호를 상기 다른 경보기에 송신하는 한편, 상기 다른 경보기로부터 이상을 나타내는 상기 이벤트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이 이벤트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송신원 부호가, 상기 메모리에 등록되어 있는 등록이 끝난 송신원 부호와 일치한 경우, 연동처로서의 이상 경보를 상기 알림부에 출력시키는 이상 감시부와;상기 발보 등록부에 의해 상기 등록 수신 모드를 설정할 때에, 상기 수신 회로부가 수신한 상기 이벤트 신호의 전파 강도가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메모리에 상기 송신원 부호를 등록시키는 전파 강도 판정부를 구비한다.
(8) 상기 제1~제3의 경보기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발보 등록부에 상기 등록 송신 모드를 설정하여 상기 등록 이벤트 신호를 송신시키는 조작 수단을 더 구비해도 된다.
상기 (1)에 기재된 통신 시스템에 의하면, 각 통신 기기마다 상이한 제1의 부호와, 이 제1의 부호 및 소정의 기준값에 의거해 각 통신 기기마다 상이하도록 정해져 있는 제2의 부호에 의거해, 신호의 식별을 행한다. 따라서, 이 통신 시스템에 속하는 각 통신 기기에 의해 이용되는 제2의 부호가, 다른 통신 시스템에 속하는 각 통신 기기에 의해 이용되는 제2의 부호와 중복하는 일이 없고, 확실히 신호의 식별을 행할 수 있다.
또, 상기 (2)의 경우, 소정의 입력이 행해졌을 때에, 각 통신 기기간에 제1의 부호를 서로 송신시킨다. 그리고, 소정 규칙에 의거해 하나의 제1의 부호를 선택하여 기준값으로 한 다음, 이 기준값과 각 통신 기기의 제1의 부호로부터 제2의 부호를 결정한다. 따라서, 각 통신 기기마다 서로 상이한 제2의 부호를 설정할 수 있고, 다른 통신 시스템에 속하는 통신 기기에 의해 이용되고 있는 제2의 부호와의 중복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3)의 경우, 임의의 통신 기기의 지시 수단으로부터의 지시 입력에 의해, 이 통신 기기의 제1의 부호를 기준값으로 한 다음, 이 기준값과 각 통신 기기의 제1의 부호로부터 제2의 부호를 결정한다. 따라서, 각 통신 기기마다 서로 상이한 제2의 부호를 설정할 수 있고, 다른 통신 시스템에 속하는 통신 기기에 의해 이용되는 제2의 부호와의 중복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4)에서는, 통신 시스템에 새롭게 통신 기기를 추가하는 경우에, 다른 통신 기기로부터 송신된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제1의 부호 및 제2 부호와, 기록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제1의 부호로부터, 새롭게 추가하는 통신 기기의 제2의 부호를 결정하고 있다. 따라서, 새롭게 추가하는 통신 기기에 대해서도, 다른 통신 기기와 상이한 제2의 부호를 부여할 수 있다. 또, 이 때, 그룹화(본 발명에서 말하는 그룹화란, 제2의 부호를 결정해 통신 기기의 기록 수단에 저장시키는 것)가 끝난 통신 기기에 대해서는 추가의 설정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통신 기기의 추가 작업을 간이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5)에 기재된 제1의 경보기에 의하면, 전파가 도달하는 장소에서, 상이한 그룹을 형성하기 위한 발보 등록 작업을 행하는 경우, 통상시보다 송신 전력을 저하시킨다. 이것에 의해,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약하게 하여, 무선 신호가 닿는 범위를 좁게 하고, 다른 그룹의 발보 등록에 의한 전파를 수신할 수 없도록 하여 오등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6)에 기재된 제2의 경보기에 의하면, 전파가 도달하는 장소에서 상이한 그룹을 형성하기 위한 발보 등록 작업을 행하는 경우, 통상시보다 수신 감도를 낮춘다. 이것에 의해, 무선 신호가 닿는 범위를 좁게 하고, 다른 그룹의 발보 등록에 의한 전파를 수신할 수 없도록 하여 오등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7)에 기재된 제3 경보기에 의하면, 전파가 도달하는 장소에서 상이한 그룹을 형성하기 위한 발보 등록 작업을 행하는 경우, 수신 전파의 강도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이벤트 신호를 처리하며, 임계값 미만인 경우는 무시한다. 이것에 의해, 다른 그룹의 발보 등록에 의한 전파를 수신할 수 없도록 하여 오등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복수의 경보기(1)에 의해 구성된 통신 시스템의 개요를 나타내는 시스템도이다.
도 2는, 경보기(1)의 전기적 구성을 기능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경보기(1)의 기록부(10)에 저장되어 있는 송신원 특정 부호 및 그룹 부호를 예시한 표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경보기(1A)의 송신부(11)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의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제어부(15)가 실행하는 처리의 개략적인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6은, 신호 해석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7은, 그룹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8은, 그룹 추가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9는, 경보기(1)의 전기적 구성을 기능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그룹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된 경보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1B는, 동일 경보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주택에 경보기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3은, 동일 경보기를 이용한 경보 시스템의 제1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송신원 관리 테이블을 취출하여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5는, 동실시 형태에서 사용하는 이벤트 신호의 포맷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6은, 동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7은, 도 16의 단계 S3의 발보 등록 처리의 상세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관련된 경보기를 이용한 경보 시스템의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9는, 동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발보 등록 처리의 상세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관련된 경보기를 이용한 경보 시스템의 제3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1은, 동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발보 등록 처리의 상세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해,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에 관련된 통신 기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I〕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의 기본적 개념을 설명한 후,〔II〕각 실시 형태의 구체적 내용에 대해 설명하고, 마지막으로,〔III〕각 실시 형태에 대한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단, 각 실시 형태에만 의해서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1〕각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의 기본적 개념
우선, 각 실시 형태에 공통의 기본적 개념에 대해 설명한다. 각 실시 형태에 관련된 통신 기기는, 다른 통신 기기와의 사이에서 서로 통신을 행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각 실시 형태에 관련된 통신 기기의 적용 대상은 임의이며, 예를 들면, 주택의 키친, 계단, 침실, 거실 등에 복수 설치된 주택용 경보기나, 지하도에 복수 설치된 화재 경보기, 감시 센서 등, 서로 통신을 행하는 임의의 통신 기기에 적용할 수 있다. 또, 통신의 양태도 임의이며, 무선, 유선, 광통신 등의 통신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각 실시 형태에 관련된 통신 기기의 특징의 하나는, 개략적으로 말하면, 하나의 통신 시스템에 속하는 복수의 통신 기기의 각각이, 각 통신 기기에 고유의 송신원 특정 부호와 소정의 기준값에 의거해 이 통신 기기마다 일의에 정해지는 그룹 부호를 저장하고 있고, 이 그룹 부호 및 송신원 특정 부호를 부가한 신호에 의해 통신을 행하는 점에 있다. 또, 이 신호를 수신한 통신 기기가, 이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그룹 부호 및 송신원 특정 부호와, 스스로의 송신원 특정 부호를 이용해 연산을 행하며, 구한 값이, 이 통신 기기에 저장되어 있는 그룹 부호와 일치하고 있는지 여부에 따라, 신호의 식별을 행하는 점에도 있다.
이것에 의해, 자시스템에 속하는 모든 통신 기기의 송신원 특정 부호를 각 통신 기기의 기록 수단에 기록시킬 필요가 없고, 정보 용량의 저감 및 통신 시스템으로의 통신 기기의 추가 작업의 간략화 등을 실현할 수 있다. 또, 각각의 통신 기기는, 다른 통신 기기와는 상이한 고유의 그룹 부호를 이용해 통신을 행하고, 그들 고유의 그룹 부호를 바탕으로 수신 신호가 자시스템 내의 통신 기기로부터의 신호인지 여부를 연산해 판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타시스템의 그룹 부호와의 중복을 방지할 수 있으며, 확실히 자시스템 내 신호의 식별을 행할 수 있다.
〔II〕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의 구체적 내용
다음으로, 각 실시 형태의 구체적 내용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상술과 같이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통신 기기의 적용 대상은 임의이지만, 이하에서는, 주택에 설치되고 무선 신호에 의해 통신을 행하는 무선식 주택용 경보기(이하에서는 「경보기」라고 한다)에 적용했을 경우를 예로서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우선, 제1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수신한 제1의 부호 및 기록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제1의 부호 중의, 어느 한쪽의 제1의 부호를 선택하여 기준값으로 하고 있다.
(통신 시스템의 개요)
우선, 복수의 경보기에 의해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의 개요를 설명한다. 도 1은, 복수의 경보기에 의해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의 개요를 나타내는 시스템도이다. 동 도 1에 있어서, 부호 c는 통신을 나타내고, 또 부호 s는 경보(경보음)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경보기(1)는, 주택(2)의 각 방에 설치되어 있다. 어느 방에 있어서 발생한 화재 등을, 그 방의 경보기(1)가 검출하면, 이 경보기(1)는, 경보를 발보함과 동시에, 경보 내용을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다른 방의 경보기(1)에 대해서 송신한다. 다른 방의 경보기(1)는, 수신한 무선 신호의 내용에 의거해, 경보를 발보함과 더불어 경보 내용을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송신한다. 이것에 의해, 화재 등이 발생하고 있지 않는 방의 경보기(1)에도 경보를 발보시켜, 주택(2)의 주인에 대응을 촉구할 수 있다.
(경보기(1)의 구성)
다음으로, 경보기(1)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경보기(1)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보기(1)는, 기록부(10)와, 송신부(11)와, 수신부(12)와, 센서부(13)와, 알림부(14)와, 제어부(15)를 구비하고 있다.
(경보기(1)의 구성-기록부(10))
기록부(10)는, 각 경보기(1)를 일의에 식별하기 위한 송신원 특정 부호와, 신호를 식별하기 위한 그룹 부호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기록 수단에 대응하고 있다. 송신원 특정 부호 및 그룹 부호의 상세는, 후술한다. 기록부(10)의 구체적인 구성은 임의이며, 예를 들면, 메모리 IC 등의 불휘발적 기록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경보기(1)의 구성-송신부(11), 수신부(12))
송신부(11)는, 다른 경보기(1)에 대해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송신 수단에 대응하고 있다. 수신부(12)는, 다른 경보기(1)의 송신부(11)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수신 수단에 대응하고 있다. 송신부(11) 및 수신부(12)의 구체적인 구성은 임의이지만, 본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통신이 무선에 의해 행해지는 것을 가정하고 있기 때문에, 송신부(11)로서는 공지의 무선 송신기, 수신부(12)로서는 공지의 안테나를 이용할 수 있다.
(경보기(1)의 구성-센서부(13))
센서부(13)는, 경보기(1)가 설치되어 있는 감시 영역에 있어서, 화재나 가스 누출 등의 검출 대상을 검출한다. 검출 대상 및 이 검출 대상의 검출 원리는 임의이며, 예를 들면, 화재에 수반해 발생하는 연기나 열을 검출 대상으로 하여, 이들을 검출하기 위해, 적외선 LED나 포토 다이오드, 서미스터 등의 전자 소자를 이용할 수 있다.
(경보기(1)의 구성-알림부(14))
알림부(14)는, 제어부(15)로부터 출력된 정보에 의거해, 소정의 알림 처리를 행한다. 알림 처리의 구체적인 내용은 임의이고, 예를 들면, LED에 의한 발광 표시나, 버저나 음성 등의 출력, 전기 신호의 출력 등을 행하게 해도 된다.
(경보기(1)의 구성-제어부(15))
제어부(15)는, 주로 수신부(12)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해석 처리를 행하기 위한 것이며,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제어 수단에 대응하고 있다. 또, 제어부(15)는, 상술의 기록부(10), 송신부(11), 수신부(12), 센서부(13), 및, 알림부(14)에 대한 정보의 입출력 및 제어도 행한다. 해석 처리를 포함해, 제어부(15)가 실행하는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제어부(15)의 구체적인 구성은 임의이지만, 예를 들면, OS(Operating System) 등의 제어 프로그램, 각종의 처리 절차 등을 규정한 프로그램, 소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내부 메모리, 및, 이들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송신원 특정 부호 및 그룹 부호)
다음으로, 송신원 특정 부호 및 그룹 부호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상기 통신 시스템에 속하는 경보기(1)의 기록부(10)에 저장되어 있는 송신원 특정 부호 및 그룹 부호를 예시한 표이다.
송신원 특정 부호는, 신호의 송신원이 되어 있는 경보기(1)를 일의에 특정하기 위해, 각각의 경보기(1)에 대해서 개별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부호이며,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제1의 부호에 대응하고 있다. 송신원 특정 부호의 구체적인 내용은 임의이지만, 예를 들면 복수 자릿수의 숫자로부터 설정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예에서는, 경보기(1A, 1B, 1C)의 송신원 특정 부호는, 각각, (101), (102), (103)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송신원 특정 부호의 설정 방법은 임의이며, 예를 들면, 경보기(1)의 공장 출하시에 있어서 미리 소정의 입력 수단에 의해 기록부(10)에 저장시켜 놓을 수 있다.
그룹 부호는, 신호의 송신원이 되어 있는 경보기(1)가 속하고 있는 통신 시스템을 특정하기 위해, 각각의 경보기(1)에 대해 다른 경보기(1)와는 상이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부호이며,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제2의 부호에 대응하고 있다. 그룹 부호의 구체적인 내용은 임의이지만, 예를 들면 복수 자릿수의 숫자로서 설정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예에서는, 경보기(1A, 1B, 1C)의 그룹 부호는, 각각 (203), (204), (207)로 설정되어 있다. 이들의 그룹 부호는, 후술하는 그룹화 처리에 있어서, 제어부(15)에 의해 설정되고, 기록부(10)에 저장된다. 이 그룹 부호의 설정 방법을 포함하는 그룹화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신호의 내용)
다음으로, 각 경보기(1)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신호의 포맷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도 3에 있어서의 경보기(1A)의 송신부(11)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의 내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송신부(1)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의 선두부터, 이 경보기(1)의 송신원 특정 부호, 그룹 부호, 및, 사상 부호의 순서로 각 부호가 포함되어 있다. 사상 부호는, 신호의 송신원이 되어 있는 경보기(1)가 검출한 화재 발생이나 이 경보기(1)의 이상 상태 등, 다른 경보기(1)에 전달해야 할 구체적인 사상을 특정하기 위해, 이들의 사상에 대응되어져 설정되어 있는 부호이다. 또한, 사상 부호의 내용은 임의이며, 예를 들면, 화재 발생이나 가스 누출 등의 각 사상에 대응하는 복수 자릿수의 숫자(도 4에 있어서는 「01」)를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5)에 의한 처리-개략)
다음으로, 제어부(15)에 의해 실행되는 각종 처리의 내용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제어부(15)가 실행하는 처리의 개략적인 흐름을 설명한다. 도 5는, 제어부(15)가 실행하는 처리의 개략적인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여기에서는, 도 3에 나타낸 경보기(1A, 1B, 및 1C)가 주택 등에 설치되어, 소정의 입력 조작에 의해 각각의 경보기(1A, 1B, 및 1C)에 의한 감시 상태가 개시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경보기(1A 및 1B)가 동일한 통신 시스템에 속하며, 경보기(1C)는 상이한 통신 시스템에 속하는 것으로 한다.
소정의 입력 조작에 의해 감시 상태가 개시되면, 센서부(13)는, 감시 영역의 감시 동작을 실행한다(단계 SA-1). 경보기(1A)의 센서부(13)가 화재 발생 등을 검출했을 경우(단계 SA-2, Yes), 이 센서부(13)로부터 출력된 검출 신호에 의거하여, 경보기(1A)의 제어부(15)는 알림부(14)에 의해 검출 내용을 알린다(단계 SA-3). 이와 함께, 제어부(15)는, 통신부에 의해 신호를 송신시킨다(단계 SA-4). 이 때, 제어부(15)는, 기록부(10)를 참조해, 기록부(10)에 저장되어 있는 송신원 특정 부호 및 그룹 부호를 통신부에 입력하고, 통신부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이들의 부호를 부가시킨다.
경보기(1A)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경보기(1B 및 1C)의 통신부가 수신하면, 이 통신부는, 수신한 신호를 제어부(15)에 입력한다(단계 SA-5). 경보기(1B 및 1C)의 제어부(15)는, 입력된 신호의 내용에 대해 신호 해석 처리를 행하고, 해석 결과에 의거해 소정의 처리를 행한다(단계 SA-6).
(제어부(15)에 의한 처리-신호 해석 처리)
다음으로, 제어부(15)에 의해 실행되는 신호 해석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신호 해석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통신부에 의해 수신된 신호가 제어부(15)에 입력되면, 제어부(15)는, 입력된 신호에 부가되어 있는 송신원 특정 부호(이하, SN2) 및 그룹 부호(이하, GP2)를 특정한다(단계 SB-1). 상술한 바와 같이, 경보기(1A)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한 경우, 신호의 포맷은 기지이기 때문에, SN2는 「101」, GP2는 「203」이라고 특정된다. 다음으로, 제어부(15)는, 기록부(10)를 참조하여, 이 기록부(10)에 저장되어 있는 송신원 특정 부호(이하, SN1) 및 그룹 부호(이하, GP1)를 취득한다(단계 SB-2). 여기서, 경보기(1B)의 제어부(15)이면, SN1로서 「102」, GP1로서 「204」를 취득하고, 경보기(1C)의 제어부(15)이면, SN1로서 「103」, GP1로서 「207」을 취득한다.
이어서, 수신한 신호의 식별을 위한 연산을 행한다(단계 SB-3). 구체적으로는, 상술의 단계 SB-1및 SB-2에 있어서 특정한 SN2, GP2, SN1, 및, GP1로부터, GP1=GP2-SN2+SN1(이하, 식 1)의 등식이 성립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경보기(1B)의 경우, GP1=204, GP2-SN2+SN1=203-101+102=204가 되므로, 식 1이 성립한다. 한편, 경보기(1C)의 경우는, GP1=207, GP2-SN2+SN1=203-101+103=205가 되어, 식 1이 성립하지 않는다.
연산의 결과, 식 1이 성립하는 경우(단계 SB-3, Yes)는, 수신한 신호가 처리 대상의 신호라고 식별하여, 수신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사상 부호에 의거해 알림부(14)나 송신부(11)를 동작시킨다(단계 SB-4). 예를 들면, 사상 부호로서 화재 발생 등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던 경우에는, 제어부(15)는, 알림부(14)에 의해 경보를 발보시킴과 더불어, 통신부에 의해 이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시킨다. 한편, 식 1이 성립하지 않는 경우(단계 SB-3, No)는, 수신한 신호가 처리 대상의 신호가 아니라고 식별하여, 수신 신호에 대응한 처리를 행하지 않고 메인루틴으로 돌아온다.
(제어부(15)에 의한 처리-그룹화 처리)
다음으로, 각각의 경보기(1)에 대해 그룹 부호를 설정하는 그룹화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이 그룹화 처리를 행하는 타이밍은 임의이며, 예를 들면, 공장 출하시에 미리 복수대의 경보기(1)를 그룹화해도 되고, 혹은, 주택 등에 있어서의 설치시에 복수대의 경보기(1)를 그룹화해도 된다. 또, 임의의 대수의 경보기(1)를 그룹화 처리의 대상으로 할 수 있지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3에 나타낸 2대의 경보기(1A, 1B)에 대해서 그룹화 처리를 행하는 경우를 가정해 설명한다. 도 7은, 그룹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경보기(1)의 그룹화 처리를 행할 때에는, 소정의 입력 조작에 의해 경보기(1)를 그룹화 처리 상태로 설정한다(단계 SC-1). 그룹화 처리 상태로 설정되면, 제어부(15)는, 기록부(10)를 참조하여 송신원 특정 부호를 취득한다. 또한, 취득한 송신원 특정 부호, 및, 그룹화 처리에 관련된 신호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그룹화 신호를, 통신부에 의해 송신시킨다(단계 SC-2).
통신부는, 다른 경보기(1)로부터 그룹화 신호를 수신했을 경우에, 이것을 제어부(15)에 입력한다(단계 SC-3). 제어부(15)는, 입력된 그룹화 신호에 부가되어 있는 송신원 특정 부호를 특정한다(단계 SC-4). 이어서, 제어부(15)는, 특정한 송신원 특정 부호와, 단계 SC-1에서 취득한 자기의 송신원 특정 부호를 비교해, 값이 가장 큰 송신원 특정 부호를 기준값으로서 결정한다(단계 SC-5). 그리고, 결정된 기준값에 자기의 송신원 특정 부호를 가산한 값을, 그룹 부호로서 기록부(10)에 저장하고(단계 SC-6), 그룹화 처리를 종료한다.
경보기(1A) 및 (1B)를 그룹화하는 경우, 경보기(1A)의 송신원 특정 부호는 「101」, 경보기(1B)의 송신원 특정 부호는 「102」이므로, 단계 SC-5에 있어서, 값이 큰 경보기(1B)의 송신원 특정 부호「102」가 기준값으로서 결정된다. 그리고, 기준값「102」를 각각의 경보기(1)의 송신원 특정 부호에 가산하며, 경보기(1A)에 있어서는 101+102=203, 경보기(1B)에 있어서는 102+102=204가, 그룹 부호로서 각각의 기록부(10)에 저장된다.
또한, 그룹화 처리의 대상이 되는 경보기(1)가 3대 이상인 경우에 있어서도, 각 경보기(1)의 송신원 특정 부호 중, 가장 값이 큰 송신원 특정 부호를 기준값으로 하여, 상술의 설명과 마찬가지로 그룹 부호를 결정할 수 있다. 또, 기준값을 결정할 때의 규칙은 임의이며, 예를 들면, 각 경보기(1)의 송신원 특정 부호 중, 값이 가장 작은 송신원 특정 부호를 기준값으로 해도 된다.
(제어부(15)에 의한 처리-그룹 추가 처리)
다음으로, 그룹화 처리가 된 복수의 경보기(1)가 속하는 통신 시스템에, 새롭게 경보기(1)를 추가할 때에 실행되는, 그룹 추가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그룹화 처리가 되어 있는 경보기(1)의 대수나, 새롭게 추가되는 경보기(1)의 대수는 임의이지만, 이하에서는, 도 3에 나타낸 경보기(1A, 1B)가 그룹화 처리가 되어 있고, 경보기(1C)가 새롭게 추가되는 것으로 가정해 설명한다. 도 8은, 그룹 추가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그룹 추가 처리를 실행할 때에는, 소정의 입력 조작에 의해, 그룹화 처리가 되어 있는 경보기(1), 및, 새롭게 추가되는 경보기(1)를, 그룹 추가 처리 상태로 설정한다(단계 SD-1). 그룹 추가 처리 상태로 설정되면, 제어부(15)는, 자신이 그룹화 처리가 이미 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D-2). 이 때의 판정 방법은 임의이지만, 예를 들면, 기록부(10)에 그룹 부호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판정시킬 수 있다. 또, 딥스위치 등의 입력 수단에 의해, 그룹화 처리가 되어 있는지 여부를 입력 가능이라고 해도 된다.
그룹화 처리가 되어 있는 경우(단계 SD-2, Yes), 제어부(15)는 기록부(10)에 저장되어 있는 송신원 특정 부호 및 그룹 부호를 취득하여, 이들을 포함하는 신호를 통신부에 의해 송신시킨다(단계 SD-3).
한편, 그룹화 처리가 되어 있지 않은 경우(단계 SD-2, No), 제어부(15)는 통신부에 의해 다른 경보기(1)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시킨다(단계 SD-4). 통신부에 의해 수신된 신호가 제어부(15)에 입력되면, 제어부(15)는, 입력된 신호로부터 송신원 특정 부호(이하, SN2) 및 그룹 부호(이하, GP2)를 특정한다. 이와 함께, 제어부(15)는, 기록부(10)를 참조해 자신의 송신원 특정 부호(이하, SN1)를 취득하고, GP2-SN2+SN1에 의해 산출된 값을 자신의 그룹 부호(이하, GP1)로서 기록부(10)에 저장시킨다(단계 SD-5).
상술한 바와 같이 경보기(1A)가 그룹화 처리되어 있는 경우, 단계 SD-3에 있어서, 경보기(1A)는, 송신원 특정 부호「101」및 그룹 부호「203」을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한다. 한편, 경보기(1C)는, 경보기(1A)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한 신호로부터 SN2로서 「101」, GP2로서 「203」을 특정함과 더불어, SN1로서 「103」을 취득한다. 이들의 값에 의거해, 제어부(15)에 의해서, GP1=GP2-SN2+SN1=203-101+103=205가 산출되고, 경보기(1C)의 그룹 부호로서 「205」가 기록부(10)에 저장된다. 이것에 의해, 경보기(1C)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경보기(1A) 및 (1B)에 의해, 처리 대상의 신호로서 식별시킬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의 효과)
이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 따르면, 송신원 특정 부호와, 다른 경보기(1)와 상이하도록 송신원 특정 부호 및 소정의 기준값에 근거해 정해져 있는 그룹 부호에 의거하여, 신호의 식별을 행하므로, 하나의 통신 시스템에 속하는 경보기(1)에 의해 이용되고 있는 그룹 부호가, 다른 통신 시스템에 속하는 경보기(1)에 의해 이용되고 있는 그룹 부호와 중복하는 일이 없으며, 확실히 신호의 식별을 행할 수 있다.
또, 그룹화 처리에 있어서, 그룹화의 대상이 되어 있는 각 경보기(1)의 송신원 특정 부호를 서로 송신시켜, 가장 큰 값을 가지는 송신원 특정 부호를 기준값으로 한 다음, 이 기준값과 각 경보기(1)의 송신원 특정 부호로부터 그룹 부호를 결정하고 있다. 따라서, 각 경보기(1)마다 서로 상이한 그룹 부호를 설정할 수 있고, 다른 통신 시스템에 속하는 경보기(1)에 의해 이용되고 있는 그룹 부호와의 중복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이미 그룹화되어 있는 복수의 경보기(1)가 속하는 통신 시스템에, 새롭게 경보기(1)를 추가하는 경우에, 그룹화가 끝난 경보기(1)로부터 송신된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송신원 특정 부호 및 그룹 부호와, 새롭게 추가하는 경보기(1)의 기록부(10)에 저장되어 있는 송신원 특정 부호로부터, 이 새롭게 추가하는 경보기(1)의 그룹 부호를 결정시키고 있다. 따라서, 새롭게 추가하는 경보기(1)에 대해서도, 다른 경보기(1)와 상이한 그룹 부호를 설정할 수 있다. 또, 그룹화가 끝난 경보기(1)에 대해 추가의 설정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경보기(1)의 추가 작업을 간이하게 행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후술의 지시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구성은, 특기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구성과 대략 동일하며, 제1 실시 형태의 구성과 대략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이 제1 실시 형태에서 이용한 것과 동일한 부호 및/또는 명칭을 필요에 따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경보기(1)의 구성)
우선, 경보기(1)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경보기(1)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보기(1)는, 지시 스위치(16)를 구비하고 있다. 지시 스위치(16)는, 기록부(10)에 저장되어 있는 송신원 특정 부호를 기준값이 되게 하는 지시를 제어부(15)에 입력하기 위한 것이며,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지시 수단에 대응하고 있다. 지시 스위치(16)의 구체적인 구성은 임의이고, 예를 들면, 가압식의 스위치나, 딥스위치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제어부(15)에 의한 처리-그룹화 처리)
다음으로, 제어부(15)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의 내용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신호 해석 처리 및 그룹 추가 처리에 대해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고, 각각의 경보기(1)가 그룹 부호를 설정하는 그룹화 처리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임의의 대수의 경보기(1)를 그룹화 처리의 대상으로 할 수 있지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3에 나타낸 2대의 경보기(1A, 1B)에 대해 그룹화 처리를 행하는 경우를 가정해 설명한다. 도 10은, 그룹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경보기(1)의 그룹화 처리를 행할 때에는, 소정의 입력 조작에 의해 경보기(1)를 그룹화 처리 상태로 설정한다(단계 SE-1). 그룹화 처리 상태로 설정되면, 제어부(15)는, 지시 스위치(16)의 상태를 확인한다(단계 SE-2). 지시 스위치(16)에 의해, 송신원 특정 부호를 기준값으로 하는 취지의 지시가 제어부(15)에 입력되어 있는 경우(단계 SE-2, Yes)에는, 제어부(15)가 기록부(10)를 참조하여, 이 기록부(10)에 저장되어 있는 송신원 특정 부호를 기준값으로서 결정한다(단계 SE-3). 그리고, 제어부(15)는, 기준값으로서 결정한 송신원 특정 부호 및 지시 스위치(16)로부터의 지시 입력에 의거하는 송신인 것을 나타내는 지시 신호를 포함하는 그룹화 신호를, 통신부에 의해 송신시킨다(단계 SE-4). 이와 함께, 제어부(15)는, 결정한 기준값에 송신원 특정 부호를 가산한 값을, 그룹 부호로서 기록부(10)에 저장한다(단계 SE-5).
한편, 지시 스위치(16)에 의해, 송신원 특정 부호를 기준값으로 하는 취지의 지시가 제어부(15)에 입력되어 있지 않은 경우(단계 SE-2, No)에는, 제어부(15)가, 통신부가 다른 경보기(1)로부터 그룹화 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대기한다(단계 SE-6). 통신부가 다른 경보기(1)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한 신호에 지시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제어부(15)에 의해 확인되면(단계 SE-6, Yes), 제어부(15)는, 입력된 그룹화 신호에 부가되어 있는 송신원 특정 부호를 특정한다(단계 SE-7). 이어서, 제어부(15)는, 특정한 송신원 특정 부호에 자기의 송신원 특정 부호를 가산한 값을, 그룹 부호로서 기록부(10)에 저장하고(단계 SE-8), 그룹화 처리를 종료한다.
경보기(1A) 및 (1B)를 그룹화하는 경우, 경보기(1A)의 지시 스위치(16)에 의해, 이 경보기(1A)의 송신원 특정 부호를 기준값으로 하는 취지의 지시를 제어부(15)에 입력시킨다. 이것에 의해, 경보기(1A)의 제어부(15)는, 자신의 송신원 특정 부호「101」을 기준값으로서 결정하고, 이 기준값에 자신의 송신원 특정 부호「101」을 가산한 「202」를 그룹 부호로서 기록부(10)에 저장시킨다. 이와 함께, 지시 신호 및 기준값을 포함하는 그룹화 신호를 통신부에 의해 송신시킨다.
경보기(1B)의 제어부(15)는, 통신부에 의해 그룹화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한 그룹화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기준값「101」에 자신의 송신원 특정 부호「102」를 가산한 「203」을 그룹 부호로서 기록부(10)에 저장시킨다.
또한, 그룹화 처리의 대상이 되는 경보기(1)가 3대 이상인 경우에 있어서도, 경보기(1A)의 송신원 특정 부호인 「101」을 기준값으로 하여, 상술의 설명과 마찬가지로 그룹 부호를 결정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의 효과)
이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에 의하면, 그룹화 처리에 있어서, 임의의 경보기(1)에 있어서의 지시 스위치(16)로부터의 지시 입력에 따라, 이 경보기(1)의 송신원 특정 부호를 기준값으로 한 다음, 이 기준값과 각 경보기(1)의 송신원 특정 부호로부터 그룹 부호를 결정하고 있다. 따라서, 각 경보기(1)마다 서로 상이한 그룹 부호를 설정할 수 있고, 다른 통신 시스템에 속하는 경보기(1)에 의해 이용되고 있는 그룹 부호와의 중복을 방지할 수 있다.
〔III〕각 실시 형태에 대한 변형예
이상, 본 발명에 관련된 각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및 수단은, 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각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있어서, 임의로 개변 및 개량할 수 있다. 이하, 이와 같은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나 발명의 효과에 대해)
우선,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나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내용에만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의해, 상기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과제를 해결하거나, 상기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효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 또, 기재되어 있는 과제의 일부만을 해결하거나, 기재되어 있는 효과의 일부만을 가져올 수도 있다.
(각 실시 형태의 상호의 관계에 대해)
상기 설명한 각 실시 형태는, 임의의 조합으로 서로 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실시 형태와 제2 실시 형태의 양 경보기(1)를 조합시켜, 각 경보기(1)의 송신원 특정 부호의 대소 관계, 혹은, 지시 스위치(16)에 의한 지시 입력의 어느 것에 의거해도, 기준값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기준값에 대해)
상술의 각 실시 형태에서는, 통신 시스템에 속하는 임의의 경보기(1)의 송신원 특정 부호를 기준값으로서 설정하고, 이 기준값에 각 경보기(1)의 송신원 특정 부호를 가산함으로써 그룹 부호를 결정하고 있다고 설명했지만, 임의의 고정값을 기준값이라고 해도 된다. 예를 들면, 복수대의 경보기(1)에 대해, 동일한 기준값에 각각의 경보기(1)의 송신원 특정 부호를 가산한 값을 그룹 부호로서 기록부(10)에 저장시켜 놓음으로써, 미리 그룹 부호를 설정할 수 있다.
(그룹화 처리 및 신호 해석 처리에 대해)
상술의 각 실시 형태에서는, 그룹화 처리에 있어서, 각각의 경보기(1)의 제어부(15)는, 자신의 송신원 특정 부호에 기준값을 가산함으로써 그룹 부호를 결정한다고 설명하고 있지만, 가산 이외의 연산(예를 들면, 감산, 승산, 제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임의의 연산에 의해 그룹 부호를 결정시켜도 된다. 이에 대응하여, 신호 해석 처리에 있어서의, 수신한 신호의 식별을 위해 행해지는 연산의 내용을 변경함으로써, 신호의 식별을 행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경보기(1)의 제어부(15)가, 자신의 송신원 특정 부호에 기준값을 승산함으로써 그룹 부호를 결정하도록 해도 된다. 이에 대응하여, 도 6에 나타낸 신호 해석 처리의 단계 SB-3에 있어서, GP1=GP2÷SN2×SN1가 성립하는지 여부를 판정시킴으로써, 신호의 식별을 행하게 할 수 있다.
(그룹 부호의 갱신에 대해)
상술의 각 실시 형태에서는, 그룹화 처리를 임의의 타이밍에 실시할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지만, 정기적으로 반복하여, 그룹화 처리를 실시시켜도 된다. 이 경우, 그룹화 처리를 실시할 때마다, 그룹 부호를 변경시켜도 된다. 예를 들면, 변경전의 그룹 부호에, 임의의 값(예를 들면, 제어부(15)에 의해 생성된 난수)을 가산한 값을 새로운 그룹 부호로서 설정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정기적으로 그룹 부호를 변경할 수 있으며, 시큐리티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해,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련된 경보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무선식의 경보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11A가 정면도를, 도 11B가 측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A 및 도 11B에 있어서, 본 실시 형태의 경보기(110)는, 커버(112)와 본체(114)를 구비하고 있다. 커버(112)의 중앙에는, 연기 유입구가 되는 개구(開口)가 주위에 형성된 검연부(116)가 배치되어, 화재에 의한 연기가 소정 농도에 이르렀을 때에 화재를 검출한다.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112)의 검연부(116)의 좌하측에는, 음향 구멍(118)이 설치되어 있다. 이 음향 구멍(118)의 배후에는 스피커가 내장되고, 이 음향 구멍(118)을 통해 경보음이나 음성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검연부(116)의 하측에는, 경보 정지 스위치(120)가 설치되어 있다. 경보 정지 스위치(120)는, 점검 스위치로서의 기능을 겸하고 있다.
경보 정지 스위치(120)의 내부에는, 점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LED(122)가 배치되어 있다. LED(122)가 점등하면, 경보 정지 스위치(120)의 스위치 커버의 부분을 투과하여 LED(122)의 점등 상태가 외부로부터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본체(114)의 후측 상부에는 장착 훅(115)이 설치되어 있고, 설치하는 방의 벽에 나사(도시하지 않음) 등을 조여넣고, 이 나사에 장착 훅(115)을 장착함으로써, 벽면에 경보기(110)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도 11A 및 11B에 나타내는 경보기(110)는, 화재에 의한 연기를 검연부(116)로 검출하는 구성을 예시하고 있지만, 이 밖에, 화재에 의한 열을 검출하는 서미스터를 구비한 경보기나, 화재 이외에 가스 누출을 검출하는 경보기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대상에 포함된다.
도 12는, 본 실시 형태의 경보기를 주택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2의 예에서는, 주택(124)의 부엌, 거실, 주침실, 아이방의 각각에, 본 실시 형태의 경보기(110-1~110-4)가 설치되고, 또한 옥외에 지어진 차고(126)에도 경보기(110-5)가 설치되어 있다.
경보기(110-1~110-5)의 각각은, 이벤트 신호를 서로 무선에 의해 송수신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고, 5대의 경보기(110-1~110-5)로 1개의 연동 그룹을 형성하여, 이 주택(124) 전체의 화재 감시를 행하고 있다. 연동 그룹의 형성은, 공장 출하시나 주택(124)에 설치할 때에, 경보기(110-1~110-5)를 작업 테이블 등의 한 개소에 배열하여 발보 등록 작업을 행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발보 등록 작업은, 경보기(110-1~110-5) 중 어느 1개를 순차적으로 등록 송신 모드로 하여 등록 이벤트 신호를 송신하고, 등록 수신 모드에 의해 수신 대기 상태가 되어 있는 다른 경보기로 등록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며, 등록 이벤트 신호로부터 송신원 부호를 취득해 메모리에 등록하는 처리를 행하게 한다.
연동 그룹을 형성하는 발보 등록 후의 감시중에, 예를 들면 주택(124)의 아이방에서 만일, 화재가 발생했다고 하면, 경보기(110-4)가 화재를 검출하여 경보를 개시한다. 이 화재를 검출하여 경보를 개시하는 것을, 경보기에 있어서의 「발보」라고 부른다.
경보기(110-4)가 발보하면, 경보기(110-4)는 연동원으로서 기능하여, 연동처가 되는 다른 경보기(110-1~110-3, 110-5)에 대해, 화재 발보를 나타내는 이벤트 신호를 무선에 의해 송신한다.
다른 경보기(110-1~110-3, 110-5)는, 연동원의 경보기(110-4)로부터의 화재 발보를 나타내는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면, 이벤트 신호로부터 취득한 송신원 부호가 발보 등록에 의해 메모리에 등록하고 있는 등록이 끝난 송신원 부호에 일치한 경우에, 이벤트 내용에 근거해 연동처로서의 경보 동작을 행한다.
연동원이 된 경보기(110-4)의 경보음으로서는, 예를 들면 음성 메시지에 의해 「우우 화재 경보기가 작동하였습니다 확인해 주세요」가 연속해서 출력된다. 한편, 연동처의 경보기(110-1~110-3, 110-5)는, 「우우 다른 화재 경보기가 작동했습니다 확인해 주세요」라고 한 음성 메시지를 연속해서 출력한다. 경보기(110-1~110-5)가 경보음을 내고 있는 상태에서, 도 11A 및 도 11B에 나타낸 경보기에 설치되어 있는 경보 정지 스위치(120)를 조작하면, 경보음의 정지 처리가 행해진다.
또, 경보기(110-1~110-5)는 장해 감시 기능을 구비하고 있고, 장해를 검지하면, 예를 들면 「픽」이라고 한 경보음을 소정 시간마다 간헐적으로 출력하여, 장해가 발생한 것을 알린다.
또, 장해를 검출한 장해원인 경보기는, 다른 경보기에 장해 발생을 나타내는 이벤트 신호를 무선 송신하고, 다른 경보기에 있어서도 이벤트 신호로부터 취득한 송신원 부호가 발보 등록에 의해 메모리에 등록하고 있는 등록이 끝난 송신원 부호와 일치하고 있는 것을 조건으로, 동일한 장해 경보를 출력한다. 이 결과, 임의의 경보기로 장해가 검출되면, 연동 경보를 행하는 그룹을 구성하고 있는 모든 경보기로부터 장해 경보가 출력된다.
경보기로부터 출력되어 있는 장해 경보는, 경보 정지 스위치(120)를 조작함으로써 정지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경보기로 검출해 경보하는 장해란, 스스로의 전지 전압의 저하를 검출하여 경보하는 로 배터리 경보가 주된 것이며, 이것 이외에, 검연부 등의 센서 장해 등 적절한 장해 경보도 포함된다.
도 13은, 본 실시 형태의 경보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나타낸 5대의 경보기(110-1~110-5) 중, 경보기(110-1)에 대해 회로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고 있다.
경보기(110-1)는, CPU(128)를 구비하고 있다. 또, CPU(128)에 대해서, 안테나(131)를 구비한 무선 회로부(130)와, 기록 회로부(132)와, 센서부(134)와, 알림부(136)와, 조작부(138)와, 전지 전원(140)을 구비하고 있다.
무선 회로부(130)에는, 송신 회로(142)와, 수신 회로(144)와, 송신 전력 전환부(145)가 설치되고, 다른 경보기(110-2~110-5)와의 사이에서 이벤트 신호를 무선에 의해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무선 회로부(130)로서는, 일본 국내의 경우에는 예를 들면 400MHz대의 특정 소전력 무선국의 표준 규격으로서 알려진 STD-30(소전력 시큐리티 시스템의 무선국의 무선 설비의 표준 규격) 또는 STD-T67(특정 소전력 무선국 텔레미터용, 텔레컨트롤용 및 데이터 전송용 무선 설비의 표준 규격)에 준거한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무선 회로부(130)로서는, 일본 국내 이외의 장소에 대해서는, 그 지역의 할당 무선국의 표준 규격에 준거한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신 회로(144)는, 간헐 수신 동작을 행하고 있다. 수신 회로(144)의 간헐 수신 동작은, 예를 들면 T101=5밀리 초의 수신 동작 시간에 이어져서, 예를 들면 T102=10초의 휴지 시간을 두는 주기 T112(=T101+T102)의 간헐 수신이 된다. 이 간헐 수신에 대응해, 송신 회로(142)는, 이벤트 신호를 간헐 수신 주기 T112(=T101+T102) 이상이 되는 T103 시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송신한다.
송신 전력 전환부(145)는, 발보 등록시에 있어서, CPU(128)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안테나(131)로부터 다른 경보기(110-2~110-5)에 송신하는 이벤트 신호의 전파를, 통상시의 송신 전력과, 이것보다 약한 송신 전력의 어느것으로 전환한다. 이와 같이 발보 등록시에 송신 전력을 저하시킴으로써, 등록 이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에리어를 좁은 범위로 제한시킨다.
송신 전력 전환부(145)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송신 앰프의 이득(증폭율)을 통상시의 이득으로부터 등록시의 이득으로 저하시키거나, 혹은 송신 앰프의 출력에 등록시에 감쇠기(attenuator)를 삽입 접속하여 안테나에 공급하는 송신 전력을 저하시키는 등의 적절한 수법이 채용 가능하다.
기록 회로부(132)에는, 메모리(146)가 설치되어 있다. 메모리(146)에는, 경보기를 특정하는 ID(식별자)가 되는 송신원 부호(150)가 설치되고, 또 필요에 따라 그룹을 특정하기 위한 그룹 부호(152)가 저장되어 있다. 송신원 부호(150)로서는, 국내에 제공되는 경보기의 수를 예측하여, 예를 들면 동일 부호로서 중복하지 않도록 26비트의 부호 코드가 사용된다.
또한, 메모리(146)에는, 송신원 관리 테이블(168)이 기억되어 있다. 송신원 관리 테이블(168)에는, 발보 등록 처리에 의해 연동 그룹을 형성하는 다른 경보기(110-2~110-5)의 송신원 부호가 등록되어 있다.
도 14는, 도 13의 송신원 관리 테이블(168)의 등록 내용을 취출해 나타내고 있으며, 후술하는 발보 등록 처리에 의해, 인덱스(1~4)에 대응해 경보기(110-2~110-5)의 송신원 부호 OxOOOOOOO1~OxOOOOOOO4가 등록되어 있다. 또한, 선두의 Ox는, 16진 표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센서부(134)에는, 검연부(116)가 설치되고, 연기 농도에 따른 연기 검출 신호를 CPU(128)에 출력하고 있다. 센서부(134)에는, 검연부(116) 이외에, 화재에 의한 온도를 검출하는 서미스터를 설치해도 된다. 또, 가스 누출 감시용의 경보기의 경우에는, 센서부(134)에 가스 누출 센서가 설치되게 된다. 또, 메모리(146)는, CPU(128) 내부의 기억 영역에 설치해도 된다.
알림부(136)에는, 스피커(156)와 LED(122)가 설치되어 있다. 스피커(156)는, 도시하지 않는 음성 합성 회로부로부터의 음성 메시지나 경보음을 출력한다. LED(122)는, 점멸이나 명멸, 점등 등에 의해, 화재 등의 이상 및 장해를 표시한다.
조작부(138)에는, 경보 정지 스위치(120)와 등록 스위치(158)가 설치되어 있다. 경보 정지 스위치(120)를 조작하면, 경보기(110-1)로부터 흐르게 하고 있는 경보음을 정지시킬 수 있다. 경보 정지 스위치(120)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점검 스위치를 겸용하고 있다.
경보 정지 스위치(120)는, 알림부(136)로부터 스피커(156)에 의해 경보음을 출력하고 있을 때에 유효하게 된다. 한편, 경보음을 출력하고 있지 않는 통상 감시 상태에서는, 경보 정지 스위치(120)가 점검 스위치로서 기능하며, 점검 스위치를 누르면, 알림부(136)로부터 점검용의 음성 메시지 등이 출력된다.
등록 스위치(158)로서는, 하우징 내의 회로 기판에 실장(實裝)된 딥스위치 등이 사용된다. 등록 스위치(158)를 온으로 하는 조작을 행하면, CPU(128)에 설치한 발보 등록부(160)의 기능에 의한 연동 그룹을 형성하기 위한 발보 등록 처리가 실행된다.
전지 전원(140)은, 예를 들면 소정 셀 수의 알칼리 건전지를 사용하고 있으며, 전지 용량으로서는 경보기(110-1)에 있어서의 무선 회로부(130)를 포함하는 회로부 전체의 저소비 전력화에 의해, 약 10년의 전지 수명을 보증하고 있다.
CPU(128)에는,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으로서, 발보 등록부(160)와 이상 감시부(170)가 설치되어 있다. 또, 발보 등록부(160)의 기능으로서, 등록 송신 모드 처리부(162)와, 등록 수신 모드 처리부(164)와, 송신 전력 전환 제어부(166)가 설치되어 있다.
발보 등록부(160)는, 전지 전원(140)에 의한 CPU(128)의 전원 투입시의 초기화 처리에 이어져서 유효하게 되고, 등록 스위치(158)가 오프로 되어 있는 초기 상태에서는 등록 수신 모드 처리부(164)의 기능이 유효하게 되는 등록 수신 모드에 있다. 등록 스위치(158)를 온으로 하는 조작을 행하면, 등록 송신 모드 처리부(162)의 기능이 유효하게 되는 등록 송신 모드가 된다.
등록 송신 모드 처리부(162)는, 등록 스위치(158)를 온으로 한 등록 송신 모드의 설정시에, 자기의 송신원 부호(150)를 포함하는 등록 이벤트 신호를 다른 경보기에 송신한다. 이 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송신 전력 전환 제어부(166)가 송신 전력 전환부(145)를 전환 제어하며, 송신 회로(142)에 의한 통상시의 송신 전력을, 발보 등록시의 송신 전력으로 저하시키고 나서, 등록 이벤트 신호를 다른 경보기(110-2~105)에 송신한다.
통상시의 송신 전력은 예를 들면 1밀리 와트이고, 이것을 발보 등록시에는 예를 들면 5분의 1인 0.2밀리 와트로 저하시킨다. 이 송신 전력은, 테이블 상에 나열되어 발보 등록을 행하고 있는 경보기(110-2~110-5)의 수신 감도를 만족하지만, 다른 장소에서 동시각에 발보 등록을 행하고 있는 다른 연동 그룹의 경보기의 수신 감도에는 이르지 않도록 약하게 되어 있다. 또한, 수신 감도란, 경보기가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는 전파의 강도의 최소값을 의미한다.
등록 수신 모드 처리부(164)는, 등록 스위치(158)를 오프로 한 등록 수신 모드의 설정시에, 송신 전력을 저하시킨 동일한 그룹의 등록 송신 모드에 있는 다른 경보기로부터 수신한 이벤트 신호에 포함되는 송신원 부호를, 메모리(146)의 송신원 관리 테이블(168)에 등록한다.
이상 감시부(170)는, 센서부(134)에 설치한 검연부(116)로부터의 연기 검출 신호가 화재 레벨을 초과해 화재를 검출했을 때에, 알림부(136)의 스피커(156)로부터 연동원을 나타내는 경보음, 예를 들면 「우우 화재 경보기가 작동했습니다 확인해 주세요」를 반복하여 출력시킴과 더불어, 화재 발보를 나타내는 이벤트 신호를 무선 회로부(130)의 송신 회로(142)에 의해 안테나(131)로부터 다른 경보기(110-2~110-5)를 향해 송신시킨다.
또, 이상 감시부(170)는, 다른 경보기(110-2~110-5) 중 어느 하나로부터 화재 발보를 나타내는 이벤트 신호를 무선 회로부(130)의 수신 회로(144)에 의해 수신했을 때에, 이벤트 신호를 해독하여 송신원 부호를 취득한다. 그리고, 취득한 송신원 부호가 송신원 관리 테이블(168)에 등록되어 있는 등록이 끝난 송신원 부호의 어느것과 일치했을 경우, 즉, 동일 그룹의 경보기로부터의 이벤트 신호인 것을 인식했을 경우, 그 이벤트 내용에 의거해, 알림부(136)의 스피커(156)로부터 연동처를 나타내는 경보음, 예를 들면 「우우 다른 화재 경보기가 작동했습니다 확인해 주세요」라는 음성 메시지를 연속적으로 출력시킨다.
한편, 이벤트 신호를 해독해 취득한 송신원 부호가 송신원 관리 테이블(168)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동일 그룹의 경보기로부터의 이벤트 신호가 아니라고 판단해, 수신한 이벤트 신호를 무시한다.
여기서, 이상 감시부(170)에서 화재 발보를 검출하여 연동원 경보음을 낼 때에는, 알림부(136)의 LED(122)를 예를 들면 명멸시킨다. 한편, 연동처 경보음을 내는 경우에는, 알림부(136)의 LED(122)를 점멸시킨다. 이것에 의해, 연동원 경보와 연동처 경보에 있어서의 LED(122)의 표시를 구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물론, 연동원 경보와 연동처 경보 중 어느것에 대해서도, 동일한 LED(122)의 명멸 또는 점멸 표시여도 된다.
또, 이상 감시부(170)는, 전지 전원(140)의 전압 저하에 의한 로 배터리를 장해로서 검출했을 때에, 예를 들면 1분에 1회, 「픽」이라고 하는 짧은 로 배터리 경보음을 냄으로써 장해 경보음을 출력시킴과 더불어, 장해를 나타내는 이벤트 신호를 다른 경보기(110-2~110-5)에 송신한다.
또, 이상 감시부(170)는, 다른 경보기(110-2~110-5) 중 어느 하나로부터 장해를 나타내는 이벤트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로 배터리 경보음을 마찬가지로 간헐적으로 냄으로써, 장해 경보음의 연동 출력을 행한다. 이 로 배터리의 연동처에서의 경보에 대해서는, 경보음에 동기하여 LED(122)를 점멸시켜도 된다.
도 15는, 본 실시 형태에서 사용하는 이벤트 신호의 포맷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벤트 신호(148)는, 송신원 부호(150)와, 그룹 부호(152)와, 이벤트 부호(154)로 구성되어 있다. 송신원 부호(150)는, 예를 들면 26비트의 부호이다. 또, 그룹 부호(152)는, 예를 들면 8비트의 부호이며, 동일 그룹을 구성하는 예를 들면 도 13의 5대의 경보기(110-1~110-5)에 대해 동일한 그룹 부호가 설정되어 있다.
이벤트 부호(154)는, 등록, 화재, 가스 누출 등의 이상이나 장해라고 하는 이벤트 내용을 표시하는 부호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3비트 부호를 사용하고 있고, 예를 들면 「001」로 등록, 「010」로 화재, 「011」로 가스 누출, 「100」으로 가스 누출, 나머지를 리저브로 하고 있다.
또한, 이벤트 부호(154)의 비트수는, 이벤트의 종류가 증가했을 때에는 또한 4비트, 5비트로 증가시킴으로써, 복수 종류의 이벤트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6은, 도 13에 나타낸 경보기(110-1)에 설치되어 있는 CPU(128)의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6에 있어서, 경보기(110-1)에 설치하고 있는 전지 전원(140)의 전극 시일 등을 제거함으로써, CPU(128)를 포함하는 각 회로부에 대해서 전원을 공급하면, CPU(128)는, 단계 S101에서 초기화 처리를 행한다. 그 후, 단계 S102에서 발보 등록 모드인지 여부를 판별하고, 초기 설정에 이어져서 발보 등록 모드가 세트되어 있음으로 인해, 단계 S103으로 진행하며, 발보 등록 처리를 실행한다.
단계 S103의 발보 등록 처리의 상세는 도 17에 나타내고 있으며, 발보 등록 처리가 종료하면, 경보기(110-1)의 메모리(146)에 설치한 송신원 관리 테이블(168)에, 도 14에 나타낸 다른 경보기(110-2~110-5)로부터의 이벤트 신호로부터 얻어진 송신원 부호가 등록된 상태가 된다. 단계 S103의 발보 등록 처리가 완료하면, 단계 S104에서 감시 모드가 판별되고, 단계 S105 이후의 이상 감시 처리를 실행한다.
이 이상 감시 처리는, 단계 S105에서, 센서부(134)에 설치한 검연부(116)로부터의 연기 검출 신호가 소정의 화재 레벨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화재 발보의 유무를 판별하고 있다. 단계 S105에서 화재 발보가 판별되었을 경우에는, 단계 S106으로 진행하며, 화재 발보의 이벤트 신호를 다른 경보기(110-2~110-5)에 송신한 후, 단계 S107에서 연동원의 화재 경보를 알림부(136)의 스피커(156)로부터 음향 출력 및 LED(122)의 점등 제어로 출력한다.
연동원의 화재 경보를 행한 후는, 단계 S112에서 화재 경보 정지 스위치(120)에 의한 경보 정지 조작의 유무를 판별하고 있으며, 경보 정지 조작이 있으면, 단계 S113에서 경보 정지를 행한다.
한편, 단계 S105에서 화재 발보가 판별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S108에서 다른 경보기(110-2~110-5)로부터의 화재 발보의 이벤트 신호 수신의 유무를 체크하고 있다. 단계 S108에서 다른 경보기로부터의 화재 발보의 이벤트 신호의 수신을 판별하면, 단계 S109에서, 수신한 이벤트 신호를 해석해 송신원 부호를 취득한다. 그리고, 단계 S110에서 도 14에 나타낸 송신원 관리 테이블(168)의 등록이 끝난 송신원 부호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등록이 끝난 송신원 부호가 있는 경우, 이, 다른 경보기로부터의 이벤트 신호를 유효로 하고, 단계 S111에서 이벤트 신호에 포함되는 이벤트 내용에 의거해 연동처의 화재 경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단계 S112에서 경보 정지 조작이 있으면, 단계 S113에서 경보를 정지한다.
한편, 단계 S110에서 수신한 이벤트 신호로부터 취득한 송신원 부호가 송신원 관리 테이블(168)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이 이벤트 신호가 다른 그룹의 경보기로부터의 이벤트 신호로서 무시하게 된다.
도 17은, 도 16의 단계 S103에 있어서의 발보 등록 처리의 상세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17에 있어서, 본 실시 형태의 발보 등록 처리는, 우선 단계 S121에서 등록 송신 모드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연동 그룹을 형성하기 위해 나열하고 있는 경보기(110-1~110-5)에 있어서, 경보기(110-1)에 설치하고 있는 등록 스위치(158)를 온으로 하고 있었을 경우, 단계 S121에서 등록 송신 모드가 판별되고, CPU(128)에 설치하고 있는 등록 송신 모드 처리부(162)의 기능이 유효하게 된다.
등록 송신 모드 처리부(162)는, 송신 전력 전환 제어부(166)를 작동시켜, 무선 회로부(130)의 송신 회로(142)에 대응해 설치하고 있는 송신 전력 전환부(145)에 대해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송신 전력을 통상시의 송신 전력으로부터 발보 등록시의 저하한 송신 전력으로 전환하고, 이 상태에서, 단계 S1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등록 이벤트 신호를 다른 경보기(110-2~110-5)에 송신한다.
이 때문에, 등록 송신 모드가 설정된 경보기(110-1)로부터 송신되는 등록 이벤트 신호의 전파는, 통상시보다 약한 전파가 되어 있고, 연동 그룹을 형성하기 위해 근처에 나열하고 있는 경보기(110-2~110-5)에 대해서는 충분한 수신 감도가 얻어지지만, 다른 장소에 나열하고 있는 다른 그룹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경보기에 있어서는 수신 감도를 하회하는 약한 전파가 되어, 정상적으로 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상태로 되어 있다.
이것은, 연동 그룹을 형성하는 경보기(110-1~110-5)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며, 근처에서 다른 그룹을 구성하는 경보기에 대해 발보 등록이 행해져 등록 이벤트 신호가 송신되어도, 다른 경보기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송신 전력이 저하되어 약한 전파밖에 송신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동시에 발보 등록을 행하고 있는 경보기(110-1~110-5)에서 다른 그룹으로부터의 등록 이벤트 신호가 수신되어도, 그 수신 신호는 수신 감도에 도달하지 않고, 등록 이벤트 신호로서 무시된다. 따라서, 다른 그룹으로부터의 등록 이벤트 신호를 잘못하여 송신원 관리 테이블(168)에 오등록하는 것을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121에서 등록 송신 모드가 아니었을 경우에는, 단계 S124로 진행되어, 등록 스위치(158)가 오프로 되어 있는 것을 조건으로, 등록 수신 모드가 판별된다. 등록 수신 모드의 설정으로는, 등록 수신 모드 처리부(164)의 기능이 유효하게 된다.
등록 수신 모드 처리부(164)의 기능이 유효하게 되면, 단계 S125에서 다른 경보기로부터의 이벤트 신호의 수신의 유무를 체크한다. 그리고,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면, 단계 S126로 진행되어, 이벤트 신호를 독해하여 송신원 부호를 취득하고, 단계 S127에서 송신원 관리 테이블(168)이 미등록이면, 단계 S128에서 새롭게 수신한 송신원 부호를 송신원 관리 테이블(168)에 등록한다.
이 단계 S124~S128에 있어서의 등록 수신 모드의 처리에 있어서는, 다른 경보기로부터의 등록 이벤트 신호가, 단계 S121~S123에 나타낸 등록 송신 모드의 처리에 의해, 송신 전력을 통상시보다 저하시켜 송신해 오기 때문에, 등록 수신 모드로 수신할 수 있는 이벤트 신호는 근처에 배열해 그룹 등록을 행하고 있는 동일 그룹에 속하는 다른 경보기로부터의 등록 이벤트 신호일뿐이다. 따라서, 다른 장소에서 발보 등록 작업을 행하고 있는 다른 그룹의 경보기로부터의 등록 이벤트 신호에 의거하는 송신원 부호의 오등록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해,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련된 경보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련된 경보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13에 나타낸 상기 제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경보기(110-1)를 대표해, 그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18에 나타내는 제4 실시 형태에서는, CPU(128)의 기능으로서 설치한 발보 등록부(160) 중의 등록 수신 모드 처리부(164)에 대응해 수신 감도 전환 제어부(172)를 설치하고 있다. 또, 수신 감도 전환 제어부(172)의 제어 대상으로서, 무선 회로부(130)에 설치한 수신 회로(144)에 대해서 수신 감도 전환부(147)를 설치하고 있다.
등록 송신 모드 처리부(162)는, 조작부(138)에 설치한 등록 스위치(158)의 온 조작에 의한 등록 송신 모드로 유효하게 되며, 송신 회로(142)로부터 통상시와 동일한 송신 전력으로, 등록 이벤트 신호를 다른 경보기(110-2~110-5)에 송신하고 있다.
한편, 등록 스위치(158)를 오프로 한 등록 수신 모드의 설정시에는, 등록 수신 모드 처리부(164)가 유효하게 된다. 이 때에는, 수신 감도 전환 제어부(172)를 작동시켜, 수신 회로(144)에 설치하고 있는 수신 감도 전환부(147)를 제어하고, 수신 회로(144)의 수신 감도를 통상시보다 저하시키는 수신 감도 전환을 행한다.
이와 같이, 발보 등록시에 수신 회로(144)에 있어서의 수신 감도를 저하시키도록 전환함으로써, 수신 회로(144)에서 수신할 수 있는 다른 경보기로부터의 등록 이벤트 신호의 수신 범위를 좁힐 수 있다. 따라서, 동시각에 다른 장소에서 행하고 있는 다른 그룹의 발보 등록에 의한 등록 이벤트 신호를 잘못하여 수신해 송신원 관리 테이블(168)에 오등록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 회로(144)에 의한 통상의 수신 감도는 예를 들면 -110dB이지만, 이 통상시의 감도를, 발보 등록시에는 예를 들면 +50dB을 더해 -60dB의 수신 감도로 낮춘다. 또, 수신 감도 전환 제어부(172)에 의한 수신 이득의 전환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수신 앰프의 이득(증폭율)을 통상시의 이득으로부터 등록시의 이득으로 저하시키거나, 혹은 수신 앰프의 입력단에 등록시에 감쇠기를 삽입 접속하여 안테나로부터의 수신 신호를 저하시키는 등, 적절한 수법이 채용 가능하다.
그 이외의 경보기(110-1)의 구성 및 기능은, 도 13에 나타낸 상기 제3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도 19는, 도 18에 나타낸 상기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발보 등록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또한, 전체적인 처리는, 도 16에 나타낸 상기 제3 실시 형태의 경우와 동일하다.
도 19의 발보 등록 처리에 있어서, 단계 S131에서 등록 스위치(158)의 온에 의한 등록 송신 모드가 판별되면, 단계 S132에서 등록 이벤트 신호를 통상의 송신 전력으로 다른 경보기에 대해서 송신한다.
한편, 단계 S131에서 등록 송신 모드가 아니었을 경우에는, 단계 S133에서 등록 스위치(158)의 오프에 의한 등록 수신 모드가 판별되고, 단계 S134에서 수신 회로(144)의 수신 감도를 저하시키는 제어가 행해진다. 이 상태에서, 단계 S135에 있어서 이벤트 신호의 수신의 유무를 체크하고 있다.
단계 S135에서 이벤트 신호가 수신되면, 단계 S136에서 이벤트 신호를 해석해 송신원 부호를 취득한다. 단계 S137에서 테이블 미등록이면, 단계 S138에서, 수신한 이벤트 신호로부터 얻어진 송신원 부호를 송신원 관리 테이블(168)에 등록한다.
이 등록 수신 모드의 처리에 있어서는, 단계 S134에서 수신 회로(144)에 의한 수신 감도를 통상시의 수신 감도보다 저하시키고 있다. 그 때문에, 동시각에 다른 장소에서 다른 그룹의 발보 등록이 행해져 있어도, 다른 그룹의 경보기로부터 송신된 등록 이벤트 신호는, 근처에 있는 동일한 그룹의 경보기로부터의 등록 이벤트 신호에 비해 수신 전파가 약하며, 저하한 수신 감도에 이르지 않는다. 따라서, 이 등록 이벤트 신호는, 수신 신호로서 무시된다. 따라서, 다른 그룹으로부터의 등록 이벤트 신호에 의한 송신원 부호의 오등록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제5 실시 형태〕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관련된 경보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관련된 경보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13에서 나타낸 상기 제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경보기(110-1)를 대표해 그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20에 나타내는 제5 실시 형태에서는, CPU(128)의 기능으로서 설치한 발보 등록부(160)에 있어서, 등록 수신 모드 처리부(164)에 대응해 전파 강도 판정부(174)를 설치하고 있고, 전파 강도 판정부(174)에 대응해 무선 회로부(130)의 수신 회로(144)에 전파 강도 측정부(149)를 설치하고 있다.
등록 수신 모드 처리부(164)는, 등록 스위치(158)가 오프로 되어 있는 등록 수신 모드의 설정시에, 다른 경보기로부터의 이벤트 신호가 수신 회로(144)로 수신된 경우, 그 전파 강도를 전파 강도 측정부(149)에서 측정해 전파 강도 판정부(174)에 도입한다. 그리고, 측정한 전파 강도가 미리 정한 임계값 이상이면, 이벤트 신호를 유효로 하여, 이벤트 신호의 해석으로 얻어진 송신원 부호를 송신원 관리 테이블(168)에 등록한다.
수신 회로(144)에 대응하여 설치한 전파 강도 측정부(149)는, 다른 경보기로부터의 이벤트 신호의 전파를 수신하여 전파 강도 즉 캐리어 강도를 측정하고 있다. 전파 강도 측정부(149)는, 그 측정 결과가, 일반적으로는 전파 강도가 강(强)일 때 출력 전압이 「고」가 되고, 전파 강도가 약(弱)일 때 출력 전압이 「저」가 되는 것과 같은, 전파 강도에 따른 전압을 출력하는 회로이다.
도 21은, 도 20에 나타내는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발보 등록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21에 있어서, 등록 스위치(158)의 온 조작에 대응해 단계 S141에서 등록 송신 모드가 판별되면, 단계 S142로 진행되고, 등록 이벤트 신호를 통상의 송신 전력으로 송신하며, 다른 경보기에 있어서 송신원 부호의 등록 처리를 행하게 한다.
한편, 단계 S141에서 등록 송신 모드가 아니었을 경우에는, 단계 S143으로 진행되고, 등록 스위치(158)가 오프가 되는 등록 수신 모드를 판별하면, 단계 S144에서 이벤트 신호의 수신의 유무를 체크하고 있다.
다른 경보기로부터의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면, 단계 S145에서 전파 강도를 측정한다. 그리고, 단계 S146에서, 측정한 전파 강도가 소정의 임계값 이상이면, 이 이벤트 신호는 유효로 하여, 단계 S147에서 이벤트 신호를 해석해 송신원 부호를 취득한다. 이어서 단계 S148에서 송신원 관리 테이블에 미등록이면, 단계 S149에서 송신원 부호를 테이블에 등록한다.
이와 같이 제5 실시 형태의 발보 등록 처리에 있어서는, 동일한 그룹을 구성하는 다른 경보기로부터의 등록 이벤트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전파 강도를 측정하며, 전파 강도의 측정값이 소정의 임계값 이상이면, 유효한 이벤트 신호로서 송신원 부호를 취득해 등록하고 있다. 그리고, 동시각에 다른 장소에서 다른 그룹의 발보 등록이 행해져 있어 등록 이벤트 신호가 수신되어도, 이 다른 그룹으로부터의 등록 이벤트 신호의 전파 강도가 임계값 미만인 것으로 인해 무시되어, 다른 그룹의 등록 이벤트 신호에 의해 송신원 부호를 오등록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조작부(138)에 발보 등록을 위한 스위치로서 전용의 등록 스위치(158)를 설치했을 경우를 예로 취하고 있지만, 전용의 등록 스위치(158)를 설치하지 않고 경보 정지 스위치(120)로 겸용시켜도 된다. 예를 들면, 경보 정지 스위치(120)를 소정 시간 이상 길게 눌렀을 경우에 발보 등록 모드를 설정하여 등록 이벤트 신호를 송신하면 된다.
또, 상기의 실시 형태는, 화재 검출을 대상으로 한 경보기를 예로 취하는 것이었지만, 이 이외에 가스 누출 경보기나 방범용의 경보기 등, 그 이외의 적절한 이상을 검출하는 경보기에 대해, 본 실시 형태의 발보 등록 처리를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또 주택용으로 한정하지 않고, 빌딩이나 오피스용 등의 각종의 용도의 경보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상기의 실시 형태는, 경보기에 센서부를 일체로 설치했을 경우를 예로 취하는 것이었지만, 다른 실시 형태로서 경보기로부터 센서부를 별체로서 설치한 경보기여도 된다.
또, 상기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이벤트 신호 중에 그룹 부호를 더했을 경우를 예로 취하고 있지만, 송신원 부호와 이벤트 부호만의 이벤트 신호여도 된다.
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그 목적과 이점을 해치는 일이 없는 적절한 변형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의 실시 형태에 나타낸 수치에만 의한 한정은 받지 않는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관련된 통신 기기는, 다른 통신 기기와의 사이에서 서로 통신을 행하는 통신 기기에 적용할 수 있고, 특히, 신호의 식별을 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의 용량 저감, 및, 통신 시스템으로의 통신 기기의 추가 작업의 간략화를 실현하면서, 신호의 식별을 확실히 행할 수 있는 통신 기기에 유용하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경보기에 의하면, 전파가 도달하는 장소에서, 상이한 그룹을 형성하기 위한 발보 등록 작업을 행하는 경우,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약하게 하므로, 무선 신호가 닿는 범위를 좁게 하고, 다른 그룹의 발보 등록에 의한 전파를 수신할 수 없도록 하여 오등록을 방지할 수 있다.
1 : 경보기 2 : 주택
10 : 기록부 11 : 송신부
12 : 수신부 13 : 센서부
14 : 알림부 15 : 제어부
16 : 지시 스위치 110, 110-1~110-5 : 경보기
112 : 커버 114 : 본체
115 : 장착 훅 116 : 검연부
118 : 음향 구멍 120 : 경보 정지 스위치
122 : LED 124 : 주택
126 : 차고 128 : CPU
130 : 무선 회로부 131 : 안테나
132 : 기록 회로부 134 : 센서부
136 : 알림부 138 : 조작부
140 : 전지 전원 142 : 송신 회로
144 : 수신 회로 145 : 송신 전력 전환부
146 : 메모리 147 : 수신 감도 전환부
148 : 이벤트 신호 149 : 전파 강도 측정부
150 : 송신원 부호 152 : 그룹 부호
154 : 이벤트 부호 155 : 캐리어 센스 임계값
156 : 스피커 158 : 등록 스위치
160 : 발보 등록부 162 : 등록 송신 모드 처리부
164 : 등록 수신 모드 처리부 166 : 송신 전력 전환 제어부
168 : 송신원 관리 테이블 170 : 이상 감시부
172 : 수신 감도 전환 제어부 174 : 전파 강도 판정부

Claims (8)

  1. 서로 통신을 행하는 복수의 통신 기기를 가지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각 통신 기기는:
    다른 것에 대해 스스로를 식별하기 위한 제1의 부호와, 이 제1의 부호 및 소정의 기준값에 의거해 다른 통신 기기와 상이하도록 정해지는 제2의 부호를 저장하는 기록 수단과;
    상기 다른 통신 기기를 향해 상기 제1의 부호 및 상기 제2의 부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과;
    상기 다른 통신 기기의 상기 송신 수단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이 수신 수단이 수신한 상기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제1의 부호 및 상기 제2의 부호와, 상기 기록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1의 부호를 이용해 연산을 행하고, 이 연산에 의해 구해진 값이 상기 기록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2의 부호와 일치하고 있는지 여부에 따라, 이 신호를 식별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소정의 입력이 행해졌을 경우에, 상기 신호를, 상기 송신 수단을 통해 상기 다른 통신 기기에 송신하고;
    소정 조건하에서, 상기 신호를 상기 다른 통신 기기로부터 수신한 경우에, 이 수신한 상기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제1의 부호 및 상기 기록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1의 부호 중 어느 한쪽을, 소정 규칙에 의거해 선택하여 상기 기준값으로 설정하며;
    이 기준값과 상기 기록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1의 부호로부터 상기 제2의 부호를 결정하고;
    이 결정한 제2의 부호를 상기 기록 수단에 저장하는 통신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통신 기기는, 상기 기록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1의 부호를 상기 기준값으로 설정하는 지시를, 상기 제어 수단에 입력하는 지시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지시 수단으로부터 상기 지시가 입력되었을 경우에, 이 지시 수단으로부터의 입력에 의거하는 송신인 것을 나타내는 지시 신호와, 상기 제1의 부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상기 송신 수단을 통해 상기 다른 통신 기기에 송신함과 더불어, 상기 제1의 부호에 의거해 상기 제2의 부호를 결정하여 상기 기록 수단에 저장하고;
    상기 지시 신호 및 상기 제1의 부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했을 경우에, 이 신호에 포함되는 제1의 부호를 상기 기준값으로 설정한 다음, 이 기준값과 상기 기록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1의 부호로부터 상기 제2의 부호를 결정하며;
    이 결정한 제2의 부호를 상기 기록 수단에 저장하는 통신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소정의 입력이 행해지고 또한, 상기 다른 통신 기기로부터 상기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이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제1의 부호 및 상기 제2의 부호와, 상기 기록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1의 부호로부터, 상기 제2의 부호를 결정하고;
    이 결정한 제2의 부호를 상기 기록 수단에 저장하는 통신 시스템.
  5. 다른 경보기로부터의, 송신원 부호를 포함하는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회로부와;
    송신원 부호를 포함하는 이벤트 신호를 상기 다른 경보기에 송신하는 송신 회로부와;
    이상을 검출하는 센서부와;
    경보를 출력하는 알림부와;
    연동 그룹을 형성하는 등록 송신 모드의 설정시에는, 상기 송신원 부호를 포함하는 등록 이벤트 신호를 송신하고, 등록 수신 모드의 설정시에는, 상기 다른 경보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이벤트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송신원 부호를 메모리에 등록하는 발보(發報) 등록부와;
    상기 센서부로부터의 이상 검출 신호를 받았을 경우에 연동원으로서의 이상 경보를 상기 알림부에 출력시킴과 더불어, 이상을 나타내는 상기 이벤트 신호를 상기 다른 경보기에 송신하는 한편, 상기 다른 경보기로부터 이상을 나타내는 상기 이벤트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이 이벤트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송신원 부호가, 상기 메모리에 등록되어 있는 등록이 끝난 송신원 부호와 일치한 경우, 연동처로서의 이상 경보를 상기 알림부에 출력시키는 이상 감시부와;
    상기 발보 등록부에 의해 상기 등록 송신 모드를 설정할 때에, 상기 송신 회로부의 송신 전력을 통상시보다 저하시키는 송신 전력 전환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기.
  6. 다른 경보기로부터의, 송신원 부호를 포함하는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회로부와;
    송신원 부호를 포함하는 이벤트 신호를 상기 다른 경보기에 송신하는 송신 회로부와;
    이상을 검출하는 센서부와;
    경보를 출력하는 알림부와;
    연동 그룹을 형성하는 등록 송신 모드의 설정시에는, 상기 송신원 부호를 포함하는 등록 이벤트 신호를 송신하고, 등록 수신 모드의 설정시에는, 상기 다른 경보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이벤트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송신원 부호를 메모리에 등록하는 발보 등록부와;
    상기 센서부로부터의 이상 검출 신호를 받았을 경우에 연동원으로서의 이상 경보를 상기 알림부에 출력시킴과 더불어, 이상을 나타내는 상기 이벤트 신호를 상기 다른 경보기에 송신하는 한편, 상기 다른 경보기로부터 이상을 나타내는 상기 이벤트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이 이벤트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송신원 부호가, 상기 메모리에 등록되어 있는 등록이 끝난 송신원 부호와 일치한 경우, 연동처로서의 이상 경보를 상기 알림부에 출력시키는 이상 감시부와;
    상기 발보 등록부에 의해 상기 등록 수신 모드를 설정할 때에, 상기 수신 회로부의 수신 감도를 통상시보다 저하시키는 수신 감도 전환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기.
  7. 다른 경보기로부터의, 송신원 부호를 포함하는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회로부와;
    송신원 부호를 포함하는 이벤트 신호를 상기 다른 경보기에 송신하는 송신 회로부와;
    이상을 검출하는 센서부와;
    경보를 출력하는 알림부와;
    연동 그룹을 형성하는 등록 송신 모드의 설정시에는, 상기 송신원 부호를 포함하는 등록 이벤트 신호를 송신하고, 등록 수신 모드의 설정시에는, 상기 다른 경보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이벤트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송신원 부호를 메모리에 등록하는 발보 등록부와;
    상기 센서부로부터의 이상 검출 신호를 받아 연동원으로서의 이상 경보를 상기 알림부에 출력시킴과 더불어, 이상을 나타내는 상기 이벤트 신호를 상기 다른 경보기에 송신하는 한편, 상기 다른 경보기로부터 이상을 나타내는 상기 이벤트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이 이벤트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송신원 부호가, 상기 메모리에 등록되어 있는 등록이 끝난 송신원 부호와 일치한 경우, 연동처로서의 이상 경보를 상기 알림부에 출력시키는 이상 감시부와;
    상기 발보 등록부에 의해 상기 등록 수신 모드를 설정할 때에, 상기 수신 회로부가 수신한 상기 이벤트 신호의 전파 강도가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메모리에 상기 송신원 부호를 등록시키는 전파 강도 판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기.
  8.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보 등록부에 상기 등록 송신 모드를 설정하여 상기 등록 이벤트 신호를 송신시키는 조작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경보기.
KR1020107002001A 2007-10-16 2008-10-09 통신 시스템 및 경보기 KR201000597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68732 2007-10-16
JPJP-P-2007-268732 2007-10-16
JP2008166925 2008-06-26
JPJP-P-2008-166925 2008-06-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9788A true KR20100059788A (ko) 2010-06-04

Family

ID=40567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2001A KR20100059788A (ko) 2007-10-16 2008-10-09 통신 시스템 및 경보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20100219948A1 (ko)
EP (2) EP2541520B1 (ko)
JP (2) JP5221553B2 (ko)
KR (1) KR20100059788A (ko)
CN (2) CN102779388A (ko)
AU (1) AU2008312982C1 (ko)
WO (1) WO200905106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184B1 (ko) * 2018-01-24 2018-07-06 주식회사 포비드림 소방관 위급 상황 경보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97377B2 (ja) * 2009-07-13 2014-05-21 ホーチキ株式会社 警報器及び警報システム
JP5271889B2 (ja) * 2009-12-22 2013-08-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ワイヤレス連動警報システム
JP2011133980A (ja) * 2009-12-22 2011-07-07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ワイヤレス連動警報システム
US8917176B2 (en) * 2010-01-14 2014-12-23 Thinxtream Technologies Pte. Ltd. Apparatus and methods for distributing and displaying emergency communications
JP2012043373A (ja) * 2010-08-23 2012-03-01 Hochiki Corp 通信システム
EP2568457A1 (de) * 2011-09-06 2013-03-13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trieb eines zentralenlosen Gefahrenmeldesystems und zentralenloses Gefahrenmeldesystem
CN103035105B (zh) * 2012-12-07 2015-07-01 蚌埠依爱消防电子有限责任公司 基于物联网、云计算的消防报警远程监控系统
JP2015014986A (ja) * 2013-07-08 2015-01-22 ホーチキ株式会社 警報器及び警報システム
WO2015054225A1 (en) 2013-10-07 2015-04-16 Google Inc. Smart-home hazard detector providing non-alarm status signals at opportune moments
FR3013143B1 (fr) * 2013-11-14 2017-07-21 Finsecur Dispositif et procede de securisation d'un site
WO2015071606A1 (fr) 2013-11-14 2015-05-21 Finsecur Procédé et dispositif de déploiement d'une liaison entre au moins un système de sécurité et une centrale d'alarme
JP5964878B2 (ja) * 2014-03-27 2016-08-03 ホーチキ株式会社 警報器
CN105446465A (zh) * 2014-08-06 2016-03-30 英业达科技有限公司 控制电子装置的方法与装置
US9589454B2 (en) * 2014-09-08 2017-03-07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broadcasting an alarm for an alarm group
US9495861B2 (en) 2014-12-02 2016-11-15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take-over protection for a security system
US9685061B2 (en) 2015-05-20 2017-06-20 Google Inc. Event prioritization and user interfacing for hazard detection in multi-room smart-home environment
JP6936589B2 (ja) * 2017-02-28 2021-09-15 ニッタン株式会社 火災受信機および火災報知システム
US10600312B2 (en) 2017-12-21 2020-03-24 Ademc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ity sensor configuration
CN108469742A (zh) * 2018-03-09 2018-08-31 上海蜀瑞电子科技有限公司 智能家居安全逃生指示方法及系统
US11579601B2 (en) * 2019-01-15 2023-02-14 Pricemy Developer LLC Methods and devices for a building monitoring system
US11238724B2 (en) 2019-02-15 2022-02-01 Ademc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activating self-test devices of sensors of a security system
CN110045063A (zh) * 2019-04-03 2019-07-23 天津市基理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有害气体在线检测系统
CN110363949B (zh) * 2019-07-25 2021-02-09 湖北烽火平安智能消防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火灾报警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46794A (en) * 1973-03-15 1974-11-05 Baker Ind Inc Alarm retransmission system
US4754261A (en) * 1987-03-30 1988-06-28 Pittway Corporation Security system
CN2051760U (zh) * 1989-01-26 1990-01-24 黎少川 无线报警装置
JP2765719B2 (ja) * 1989-03-01 1998-06-18 セコム株式会社 警備端末機器の設定登録システム
JPH03201196A (ja) 1989-12-28 1991-09-03 Hochiki Corp 無線式警報システム
US5148148A (en) * 1989-12-28 1992-09-15 Hochiki Kabushiki Kaisha Radio alarm system
JP3201155B2 (ja) * 1994-07-20 2001-08-20 株式会社デンソー 移動体識別装置
US5761206A (en) * 1996-02-09 1998-06-02 Interactive Technologies, Inc. Message packet protocol for communication of remote sensor information in a wireless security system
US6087933A (en) * 1996-05-20 2000-07-11 Pittway Corporation Antenna switching for amplitude degradation during supervision and installation of wireless security systems
JP3739173B2 (ja) * 1997-05-30 2006-01-25 セコム株式会社 警備システム
WO2000021053A1 (en) * 1998-10-06 2000-04-13 Slc Technologies, Inc. Wireless home fire and security alarm system
US6873824B2 (en) * 2000-08-22 2005-03-29 Omega Patents, L.L.C. Remote control system using a cellular telephone and associated methods
SE519748C2 (sv) * 2000-10-23 2003-04-08 Volvo Technology Corp Förfarande för kontroll av behörighet för tillträde till ett objekt samt datorprogramprodukten för utförande av förfaranden
NO312796B1 (no) * 2000-10-26 2002-07-01 Nordan As Alarmbrikke
US7911358B2 (en) * 2002-10-08 2011-03-22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enrollment of a remotely controlled device in a trainable transmitter
US7119658B2 (en) * 2003-02-03 2006-10-10 Ingrid, Inc. Device enrollment in a security system
JP2005018735A (ja) * 2003-05-30 2005-01-20 Osaka Gas Co Ltd 警報器および警報システム
JP2005038401A (ja) * 2003-06-23 2005-02-10 Takashi Meguro 警報器及び警報システム
KR20050007830A (ko) * 2003-07-11 2005-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기기간 컨텐츠 교환을 위한 도메인 인증 방법
US7755486B2 (en) * 2004-05-06 2010-07-13 Savi Technology, Inc. Expanded compatibility RFID tags
TW200618644A (en) * 2004-11-18 2006-06-01 Benq Corp Remote controller capable of controlling a plurality of electric appliances selectively
JP4769489B2 (ja) 2005-05-26 2011-09-07 東光東芝メータ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異常感知システム
US7576646B2 (en) * 2005-09-20 2009-08-18 Robert Bosch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adding wireless devices to a security system
JP2007094719A (ja) 2005-09-28 2007-04-12 Yazaki Corp 無線装置
US7417540B2 (en) * 2006-04-17 2008-08-26 Brk Brands, Inc. Wireless linking of smoke/CO detection units
JP4428367B2 (ja) * 2006-07-26 2010-03-10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ワイヤレス住宅用火災警報器、ワイヤレス住宅用火災警報システム
US7746222B2 (en) * 2006-10-23 2010-06-29 Robert Bosch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a wireless security system
CN201266415Y (zh) * 2008-05-07 2009-07-01 沈阳理工大学 贵重物品射频识别监控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184B1 (ko) * 2018-01-24 2018-07-06 주식회사 포비드림 소방관 위급 상황 경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796554A (zh) 2010-08-04
US20130009775A1 (en) 2013-01-10
CN102779388A (zh) 2012-11-14
AU2008312982A1 (en) 2009-04-23
JP2013061995A (ja) 2013-04-04
EP2541520B1 (en) 2017-06-07
WO2009051061A1 (ja) 2009-04-23
EP2541520A1 (en) 2013-01-02
US20100219948A1 (en) 2010-09-02
CN101796554B (zh) 2012-07-18
JPWO2009051061A1 (ja) 2011-03-03
EP2204787A4 (en) 2012-04-18
AU2008312982C1 (en) 2013-01-24
EP2204787B1 (en) 2013-03-20
AU2008312982B2 (en) 2012-07-12
EP2204787A1 (en) 2010-07-07
JP5221553B2 (ja) 2013-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59788A (ko) 통신 시스템 및 경보기
TWI428862B (zh) 警報器
CN105096545A (zh) 智能报警系统及方法
KR20100130599A (ko) 경보기
JP5410931B2 (ja) 警報器
JP5497377B2 (ja) 警報器及び警報システム
JP3189065U (ja) 警報器
JP2009237873A (ja) 警報器システム
JP2019023799A (ja) 警報システム
CN102016948B (zh) 警报器
AU2012203421B2 (en) Alarm device
JP2010272042A (ja) 警報器及び警報システム
JP5171581B2 (ja) 警報器
JP5767507B2 (ja) 警報器
JP2010020663A (ja) 警報器
JP2010272040A (ja) 警報器及び警報システム
JP2012022361A (ja) 警報システム及び発信機
JP3190621U (ja) 警報器
JP5973241B2 (ja) 警報システム
JP2020074210A (ja) 警報システム
JP2009201137A (ja) 通信システム
JP2013050763A (ja) 警報システム、音響警報試験方法及び警報器
CN102197417A (zh) 火灾警报系统以及火灾警报装置
JP2010267183A (ja) 警報器及び警報システム
JP2010250715A (ja) 警報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