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9049A - 기호성이 우수한 가향차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기호성이 우수한 가향차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9049A
KR20100059049A KR1020080117687A KR20080117687A KR20100059049A KR 20100059049 A KR20100059049 A KR 20100059049A KR 1020080117687 A KR1020080117687 A KR 1020080117687A KR 20080117687 A KR20080117687 A KR 20080117687A KR 20100059049 A KR20100059049 A KR 201000590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vor
tea
sugar
granules
gran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7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5549B1 (ko
Inventor
유세진
김영경
최지영
백주현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80117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5549B1/ko
Publication of KR20100059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90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5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5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40Tea flavour; Tea oil; Flavouring of tea or tea extract
    • A23F3/405Flavouring with flavours other than natural tea flavour or tea oi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63Liquid or semi-liquid tea extract preparations, e.g. gels, liquid extracts in solid caps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30Further treatment of dried tea extract;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e.g. instant tea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호성이 우수한 가향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녹차, 홍차 또는 그들의 혼합물에 과립향을 혼합하여 향을 첨가한 후, 당과립을 혼합함으로써 향기로운 향이 나고 녹차 또는 홍차 특유의 쓴맛과 떫은 맛을 효과적으로 마스킹하여 기호성이 향상된 가향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가향차는 기존의 액상향 코팅이 아닌 과립향을 사용하여 제품의 안정성이 더욱 우수하다.
가향차, 과립향, 당과립, 기호성, 안정성

Description

기호성이 우수한 가향차 및 그 제조방법{Flavored tea with excellent taste and preparation method of thereof}
본 발명은 기호성이 우수한 가향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녹차, 홍차 또는 그들의 혼합물에 과립향을 혼합하여 향을 첨가한 후, 당과립을 혼합함으로써 향기로운 향이 나고 녹차 또는 홍차 특유의 쓴맛과 떫은 맛을 효과적으로 마스킹하여 기호성이 향상된 가향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가향차는 기존의 액상향 코팅이 아닌 과립향을 사용하여 제품의 안정성이 더욱 우수하다.
녹차(green tea)는 동백나무과의 카멜리아 시넨시스(Camellia sinensis)의 싹이나 잎 속에 존재하는 산화효소의 작용을 화열로써 실활(失活)시켜 제조한 것으로, 녹차는 기원 전부터 기호차로서 음용되어 왔을 뿐만 아니라, 최근 들어 녹차에 함유된 여러 성분들의 약리적인 메커니즘이 점차 밝혀짐에 따라 그 가치가 재인식되고 있다. 카테킨류, 아미노산, 비타민 C, 베타-카로틴 및 식이섬유 등의 유효성분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어 피로회복, 피부미용, 당뇨병, 변비 개선, 숙취 및 니코틴 해독작용에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녹차에 가장 많이 함유 되어 있는 카테킨류에 의한 항산화작용, 항노화작용, 항암작용,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작용, 중금속 해독작용, 충치 예방 및 구취 제거 작용 등의 효과들이 입증되면서 크게 주목받고 있다.
홍차(black tea)는 차나무과 상록수인 차나무 잎을 발효 및 건조시켜 만든 차로써, 싹과 어린 잎에 함유된 산화 효소의 작용으로 함유성분인 타닌, 펙틴, 클로로필(엽록소) 등을 완전히 산화 및 발효시켜 만든 발효차이다. 이에 반해 녹차는 잎에 바로 열을 가하여 산화효소 작용을 정지시킨 비발효차이다.
상기 녹차나 홍차는 특유의 쓴맛과 떫은 맛으로 인하여 기호도가 떨어지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현재 여러 가지 종류의 가향차가 개발되고 있다.
가향차(Flavored Tea)는 상기 녹차나 홍차에 향기 성분을 더하여 기호성을 향상시킨 차로써, 과일류 또는 꽃류 등을 혼합하여 제조되고 있다. 대표적인 홍차 가향차로는 얼그레이가 있으며, 이는 홍차에 베르가못향을 첨가하여 만든 차이다. 자연가향 기법을 이용한 대표적인 가향차는 쟈스민차로 쟈스민꽃과 녹차를 혼합한 후, 쟈스민을 선별하는 과정을 7~9회 반복하여 쟈스민의 향기가 녹차에 흡착되도록 하여 제조한다.
기존의 가향차를 만드는 방법으로는 액상향을 분사하여 녹차에 흡착시키는 방법과 향이 있는 꽃이나 허브와 함께 녹차를 적정한 온도 및 습도로 유지시킨 밀폐된 공간에 보관하여 가향차를 만드는 방법이 있다. 액상향을 이용한 가향차의 제조방법은 신속하게 강한 향을 발현할 수 있지만, 차의 품질 안정성이 불안하여 유통기한이 짧아지게 된다. 또한, 꽃이나 허브를 이용한 가향차의 제조방법은 제조 공정 시간이 오래 걸리고 품질의 균일성이 떨어져 제품 생산 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최근에는 가향차의 대량 생산을 위해서 합성 착향료를 이용한 가향차 제조가 이루어져 짧은 시간에 강한 향의 차를 만들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합성 착향료를 이용한 가향차 제조 시 맛과 향이 강한 차를 만들 수 있으나, 제품의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기호성이 우수한 가향차를 제조하고자 연구를 거듭한 결과, 녹차, 홍차 또는 그들의 혼합물에 과립향을 혼합하여 향을 첨가한 후, 당과립을 혼합함으로써 향기로운 향이 나고 쓴맛과 떫은 맛을 마스킹하여 기호성 및 안정성이 향상된 가향차를 제공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호성 및 안정성이 우수한 가향차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건조된 녹차, 홍차 또는 그들의 혼합물에 과립향 및 당과립을 혼합한 가향차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a) 건조된 녹차, 홍차 또는 그들의 혼합물에 과립향을 혼합하여 향을 첨가하는 단계; 및 b) 상기 향이 첨가된 녹차, 홍차 또는 그들의 혼합물에 당과립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향차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가향차는 건조된 녹차, 홍차 또는 그들의 혼합물에 과립향 및 당과립을 적정량 혼합함으로써 향기로운 향을 흡착시키고 녹차 또는 홍차 특유의 쓴맛과 떫은 맛을 효과적으로 마스킹하여 기호성이 우수하다. 또한, 기존의 액상향을 이용한 향 코팅 방법보다 차의 품질 안정성이 향상되어 장기간 보관 시에도 안정하기 때문에 제품의 유통기한이 길고 제조 공정도 간단하여 경제적 효율성이 매우 높다.
본 발명은 건조된 녹차, 홍차 또는 그들의 혼합물에 과립향 및 당과립을 혼합한 가향차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건조된 녹차, 홍차 또는 그들의 혼합물에 과립향을 혼합하여 향을 첨가하는 단계; 및 b) 상기 향이 첨가된 녹차, 홍차 또는 그들의 혼합물에 당과립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향차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가향차에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는 과립향은 녹차, 홍차 또는 그들의 혼합물에 향기로운 향을 부여하여 기호성을 향상시키고, 기존의 액상향을 분무하여 코팅하는 방법보다 향이 안정하여 오랫동안 가향차 제품의 품질을 유지시켜줄 수 있다.
본 발명의 과립향은 액상향과 덱스트린, 무수결정포도당 및 솔비톨 등과 같은 과립형 부형제를 혼합 유화하고 분무 건조(spray dry)하여 분말향을 제조한 후, 로터식 유동층 과립기를 이용하여 과립 형태로 제조한다. 이때, 액상향은 제조하고자 하는 분말향의 총 중량에 대하여 5.0~15.0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5.0중량% 미만이면 향의 강도가 너무 약하여 기호도 향상 효과가 미미하고, 15.0중량%를 초과하면 건조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져서 향의 강도가 떨 어지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액상향의 구체적인 예는 제주난꽃향, 레드파파야향, 모카향, 열대과일향, 캔디향, 체리향 및 초코릿향 등을 포함한다.
상기에서 제조된 분말향을 과립화할 때, 로터식 유동층 과립기의 공정 조건을 투입공기온도 40~60℃, 생성 온도 30~40℃ 및 30~90rpm으로 설정하고, 물 30~100ml를 첨가하고 결합제로 잔탄검 또는 아라비아검을 제조하고자 하는 과립향의 총 중량에 대하여 0.1~1중량%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과립향은 12~60메시(mesh)의 입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입도가 12메시 미만이면 티백 제조시 중량 편차가 심해지고, 60메시를 초과하면 다른 원료들과 혼합시 층분리가 일어나 균일한 내용물 포장이 어렵기 때문이다. 상기 과립향은 적절한 경도를 유지해야만 혼합시 과립이 깨지지 않아 혼합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과립향을 제조하는 방법은 하기 도 1과 같다.
본 발명의 과립향은 가향차의 충 중량에 대하여 1.0~5.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0~4.0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1.0중량% 미만이면 가향 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고, 5.0중량%를 초과하면 과도하게 강한 향으로 인하여 맛과 향의 부조화가 발생하게 되어 기호도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가향차에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는 당과립은 녹차 또는 홍차 특유의 떫은 맛을 마스킹하고 단맛을 부여하여 가향차의 기호성을 향상시켜준다.
본 발명의 당과립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그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는 포도당 0~20중량%, 결정과당 0~20중량% 및 미립당 60~100중량%를 혼합한 후, 당의기를 이용하여 20~40rpm에서 10분 동안 혼합한다. 이어서 상기 당 혼합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수분을 1~10중량%로 첨가한 후, 사출식 과립기를 이용하여 과립을 형성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당과립의 제조 시 사용 가능한 당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구체적인 예를 들면, 말토덱스트린, 싸이클로덱스트린, 설탕, 이성화당, 포도당, 결정과당, 미립당, 과당, 유당, 자일로스 및 맥아당 등이 있다.
본 발명의 당과립은 12~18메시(mesh)의 입도를 가진 부정형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입도가 18메시를 초과하면 원료 혼합시 층분리가 일어나 균일한 포장이 되지 않으며, 12메시 미만이면 제품 포장시 큰 중량 편차를 초래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당과립은 가향차의 총 중량에 대하여 5.0~39.0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5.0중량% 미만이면 떫은 맛의 마스킹 효과가 떨어지고, 39.0중량%를 초과하면 너무 강한 단맛으로 인해 기호도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건조된 녹차 또는 홍차는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그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녹차잎 및 홍차잎의 제조
건조된 녹차잎 및 홍차잎을 기류식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한 후, 진동 메시 를 이용하여 12~60mesh의 입도를 가진 녹차잎과 홍차잎을 선별하였다.
[제조예 2-1] 제주난꽃향과립의 제조
제주난꽃향을 모방한 합성 착향료를 일본 하세가와로부터 구입하여 과립향 총 중량에 대하여 10중량%로 덱스트린과 함께 혼합하여 유화시킨 후, 분무 건조하여 분말향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제조된 분말향에 물 70ml와 잔탄검 0.2중량%를 넣고, 로터식 유동층 과립기의 공정 조건을 투입공기온도 45℃, 생성온도 30℃ 및 60rpm으로 설정하고 과립화하여 제주난꽃향과립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2] 레드파파야향과립의 제조
레드파파야 과즙 추출물을 비케이바이오(BKbio)로부터 구입하여 과립향 총 중량에 대하여 10중량%로 덱스트린과 함께 혼합하여 유화시킨 후, 분무 건조하여 분말향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제조된 분말향에 물 80ml와 잔탄검 0.1중량%를 넣고, 로터식 유동층 과립기의 공정 조건을 투입공기온도 40℃, 생성온도 35℃ 및 80rpm으로 설정하고 과립화하여 레드파파야향과립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3] 모카향과립의 제조
커피 추출물 및 코코아 추출물을 서울향료로부터 구입하여 과립향 총 중량에 대하여 각각 5중량%씩 덱스트린과 함께 혼합하여 유화시킨 후, 분무 건조하여 분말향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제조된 분말향에 물 90ml와 잔탄검 0.5중량%를 넣고, 로 터식 유동층 과립기의 공정 조건을 투입공기온도 55℃, 생성온도 40℃ 및 80rpm으로 설정하고 과립화하여 모카향과립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당과립의 제조
포도당 5중량%, 결정과당 10중량% 및 미립당 85중량%을 혼합한 후, 당의기를 이용하여 40rpm에서 10분간 혼합하였다. 이어서 당 혼합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수분을 8중량%로 첨가하고 사출식 과립기를 이용하여 당과립(12~18메시)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10 및 비교예 1~3] 제주난꽃향차
건조된 녹차잎, 당과립 및 제주난꽃향과립을 포함하는 제주난꽃향차에서 기호성이 가장 높은 조성비를 찾고, 본 발명의 당과립 및 과립향을 함유하지 않는 차와 기호성을 비교하기 위해서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의 차를 제조하였다. 건조된 녹차와 상기 제조예 2-1에서 제조한 제주난꽃향과립을 혼합하여 향을 첨가한 후, 당과립(제조예 3)을 넣고 브이-혼합기(V-mixer)로 고루 혼합하여 실시예 1~10의 제주난꽃향차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2는 녹차잎에 당과립 또는 제주난꽃향과립을 혼합하고, 비교예 3은 녹차잎만을 함유하도록 하였다. 제조된 차를 각각 1g씩 95℃(±1℃)의 온수 100ml에 넣고 2분간 우려내어 10인의 전문패널에게 9점 척도법으로 관능검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나쁘면 1점에 가깝고 우수하면 9점에 가깝다).
구분 녹차잎
(단위:중량%)
당과립
(단위:중량%)
제주난꽃향과립
(단위:중량%)
관능평가
실시예 1 60 39 1 6
실시예 2 63 36 1 6
실시예 3 66 30 4 6
실시예 4 69 26 5 6
실시예 5 72 25 3 7
실시예 6 75 20 5 7
실시예 7 78 20 2 6
실시예 8 81 15 4 8
실시예 9 84 14 2 6
실시예 10 90 5 5 6
비교예 1 96 - 4 5
비교예 2 80 20 - 5
비교예 3 100 - - 4
상기 표 1의 결과와 같이 실시예 8이 가장 높은 관능 평가 점수를 받았다. 난꽃향은 플로랄 계열로 녹차 70~85중량% 및 과립향 3~4중량%를 포함되어야만 맛과 향의 조화가 잘 이뤄질 수 있었다. 녹차의 떫고 쓴 맛을 효과적으로 마스킹하도록 당과립을 10~20중량%로 함유하면 기호성이 높았다.
또한,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당과립 또는 제주난꽃향과립을 함유하는 비교예 1~2는 녹차만을 포함하는 비교예 3보다는 양호한 기호성을 나타냈지만, 당과립 및 제주난꽃향과립을 함께 함유하는 실시예 1~10보다는 만족감이 낮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당과립 및 제주난꽃향과립을 함께 함유하는 제주난꽃향차의 기호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1~20 및 비교예 4~6] 레드파파야향차
건조된 녹차잎, 홍차잎, 당과립 및 레드파파야향과립을 포함하는 레드파파야향차에서 기호성이 가장 높은 조성비를 찾고, 본 발명의 당과립 및 과립향을 함유하지 않는 차와 기호성을 비교하기 위해서 하기 표 2와 같은 조성의 차를 제조하였다. 건조된 녹차와 상기 제조예 2-2에서 제조한 레드파파야향과립을 혼합하여 향을 첨가한 후, 당과립(제조예 3)을 넣고 브이-혼합기로 고루 혼합하여 실시예 11~20의 레드파파야향차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5는 녹차잎과 홍차잎에 당과립 또는 레드파파야향과립을 혼합하고, 비교예 6은 녹차잎과 홍차잎만을 함유하도록 하였다. 제조된 차를 각각 1g씩 95℃(±1℃)의 온수 100ml에 넣고 2분간 우려내어 10인의 전문패널에게 9점 척도법으로 관능검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나쁘면 1점에 가깝고 우수하면 9점에 가깝다).
구분 녹차잎
(단위:중량%)
홍차잎
(단위:중량%)
당과립
(단위:중량%)
레드파파야향과립
(단위:중량%)
관능평가
실시예 11 40 30 29 1 5
실시예 12 44 25 26 5 5
실시예 13 58 10 29 3 5
실시예 14 48 30 20 2 6
실시예 15 52 25 20 3 7
실시예 16 61 15 20 4 8
실시예 17 66 25 5 4 7
실시예 18 74 13 10 3 8
실시예 19 70 20 5 5 6
실시예 20 80 10 5 5 6
비교예 4 70 27 - 3 4
비교예 5 70 20 10 - 4
비교예 6 60 40 - - 3
상기 표 2의 결과와 같이 실시예 16 및 18이 가장 높은 관능 평가 점수를 받았다. 레드파파야향은 달콤한 향의 패턴을 가지고 있어, 녹차 60~80중량% 및 홍차 10~20 중량%와의 조화가 잘 어울렸다. 당과립10~15중량% 및 과립향 3~4중량%을 함유하는 경우에 떫은 맛과 쓴맛을 효과적으로 마스킹할 수 있고 향취의 조화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당과립 또는 레드파파야향과립을 함유하는 비교예 4~5는 녹차잎과 홍차잎만을 포함하는 비교예 6보다는 양호한 기호성을 나타냈지만, 당과립 및 레드파파야향과립을 함유하는 실시예 11~20보다는 만족감이 낮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당과립 및 레드파파야향과립을 함께 함유하는 레드파파야향차의 기호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1~30 및 비교예 7~9] 모카향차
건조된 녹차잎, 홍차잎, 당과립 및 모카향과립을 포함하는 모카향차에서 기호성이 가장 높은 조성비를 찾고, 본 발명의 당과립 및 과립향을 함유하지 않는 차와 기호성을 비교하기 위해서 하기 표 3과 같은 조성의 차를 제조하였다. 건조된 녹차와 상기 제조예 2-3에서 제조한 모카향과립을 혼합하여 향을 첨가한 후, 당과립(제조예 3)을 넣고 브이-혼합기로 고루 혼합하여 실시예 21~30의 모카향차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7~8은 녹차잎과 홍차잎에 당과립 또는 모카향과립을 혼합하고, 비교예 9는 녹차잎과 홍차잎만을 함유하도록 하였다. 제조된 차를 각각 1g씩 95℃(±1℃)의 온수 100ml에 넣고 2분간 우려내어 10인의 전문패널에게 9점 척도법으로 관능검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나쁘면 1점에 가깝고 우수하면 9점에 가깝다).
구분 녹차잎
(단위:중량%)
홍차잎
(단위:중량%)
당과립
(단위:중량%)
모카향과립
(단위:중량%)
관능평가
실시예 21 5 70 5 1 5
실시예 22 8 67 22 3 5
실시예 23 12 64 20 4 8
실시예 24 20 62 15 3 6
실시예 25 20 60 19 1 7
실시예 26 5 70 20 5 7
실시예 27 22 55 19 4 8
실시예 28 5 64 29 2 7
실시예 29 20 60 15 5 6
실시예 30 26 40 29 5 6
비교예 7 10 85 - 5 4
비교예 8 20 60 20 - 4
비교예 9 20 80 - - 3
상기 표 3의 결과와 같이 실시예 23 및 27이 가장 높은 관능 평가 점수를 받았다. 모카향은 커피향 및 코코아향의 패턴을 가지고 있어, 녹차 12~22 중량% 및 홍차 55~64중량%와의 조화가 잘 어울렸다. 당과립 15~20중량% 및 과립향 4중량%를 함유하는 경우에 떫은 맛과 쓴맛을 효과적으로 마스킹할 수 있었다. 모카향은 녹차보다는 홍차의 맛과 패턴에 잘 어울리며, 홍차의 강한 향과 맛으로 다른 향을 포함한 내용물에 비해 더 많은 당과립이 함유될 때 기호도가 높았다. 과립향은 약 4 중량%에서 향취의 조화가 가장 높았다.
또한, 상기 표 3에서 알 수 있듯이, 당과립 또는 모카향과립을 함유하는 비교예 7~8은 녹차잎과 홍차잎만을 포함하는 비교예 9보다는 양호한 기호성을 나타냈지만, 당과립 및 모카향과립을 함유하는 실시예 21~30보다는 만족감이 낮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당과립 및 모카향과립을 함께 함유하는 모카향차의 기호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1] 향의 안정성 테스트
본 발명의 과립향을 이용한 가향차로 상기 실시예 5를 사용하고, 기존의 액상향 코팅 가향차는 녹차 96중량%에 액상향 4중량%를 회전하면서 액상 분무하고 향이 골고루 혼합될 수 있도록 1분 동안 추가 혼합한 후, 밀폐된 알루미늄 팩에 향의 안정성을 위하여 2시간 동안 보관하여 제조하였다.
과립향 및 기존의 액상향을 이용하여 코팅된 녹차를 각각 개방형 PE(폴리 에틸렌), 밀폐형 PE 및 밀폐형 알루미늄 포장에 넣은 후, 습도 40~60%, 15~25℃의 상온 조건과 습도 80%, 45℃의 가속 조건에서 12주 동안 보관하였다. 2주, 4주, 6주, 8주, 10주 및 12주에 각각의 가향차를 1g씩 95℃(±1℃)의 온수 100ml에 넣고 2분간 우려내어 10인의 전문패널에게 9점 척도법으로 관능검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5에 나타내었다(나쁘면 1점에 가깝고 우수하면 9점에 가깝다).
상온 조건(습도 40~60% 및 15~25℃)
구분 과립향 액상향
2주 4주 6주 8주 10주 12주 2주 4주 6주 8주 10주 12주
개방형 PE 8 8 7 6 5 5 8 7 5 3 2 0
밀폐형 PE 9 9 9 8 8 8 9 8 7 7 6 5
밀폐형 알루미늄 9 9 9 9 8 8 9 9 9 8 8 7
가속 조건(습도 80% 및 45℃)
구분 과립향 액상향
2주 4주 6주 8주 10주 12주 2주 4주 6주 8주 10주 12주
개방형 PE 6 5 3 2 0 0 6 4 2 0 0 0
밀폐형 PE 8 6 6 5 4 3 7 6 3 2 1 0
밀폐형 알루미늄 9 9 9 8 8 7 9 8 7 7 6 6
상기 표 4~5에서 알 수 있듯이, 기존의 액상향을 이용한 가향 제품과 과립향을 이용한 제품의 안정성 테스트 결과 포장 형태에 따라서 안정성이 차이가 발생하였다. 개방형 PE의 경우 열과 습기가 직접 제품에 전달되어 향의 변취가 심하게 발생하였고, 밀폐형 PE의 경우에도 온도 전달이 쉽게 되고 일부 습기가 전달되면서 제품의 맛과 향이 변하였다. 밀폐형 알루미늄을 사용한 가향차의 경우가 제품의 맛과 향의 변화가 가장 적었다. 따라서, 밀폐형 알루미늄이 가장 우수한 보존성을 보이며, 가향차의 포장에 가장 바람직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두 제품간 동일한 포장 형태의 조건에서는 본 발명의 과립향을 사용한 제품이 더 높은 포장 안정성을 보였다. 관능평가 9점 만점 중 6점 이상을 양품으로 생각할 시, 가속조건 개방형 PE의 경우 액상향 가향차, 과립향 가향차 모두 2주 동안만 안정하였으나, 밀폐형 PE에서 액상향 가향차는 4주, 과립향 가향차는 6주 동안 안정하여 과립향을 이용한 가향차의 안정성 기간이 더 길었다. 밀폐형 알루미늄에서는 액상향 및 과립향이 모두 12주 동안 6점 이상의 관능 평가 점수를 얻었으나, 전체적으로 과립향을 이용한 가향차의 만족도가 더 높았다. 따라서, 과립향을 함유하는 가향차는 기존의 액상향 코팅을 사용한 차보다 제품 안정성이 우수하고 제품의 유통기한을 연장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향의 지속성 테스트
상기 시험예 1에 사용된 과립향 및 액상향 코팅차를 각각 1g씩 95℃(±1℃)의 온수 100ml에 넣고 2분간 우려낸 후, 발현하는 향을 포집하고 기체 크로마토그래피(GC)를 이용하여 향의 절대량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시간의 변화에 따라 향의 강도 변화를 측정해 본 결과, 30분 경과 후 액상향 코팅에 비해 2배 정도의 강도를 보였고, 본 발명의 과립향은 액상향 분무 코팅에 비교하여 향의 강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과립향을 이용한 가향차는 기존의 액상향 코팅에 비하여 향이 안정하고 오랫동안 제품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과립향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과립향과 액상향 코팅의 지속성을 비교하는 그래프이다.

Claims (10)

  1. 건조된 녹차, 홍차 또는 그들의 혼합물에 과립향 및 당과립을 혼합한 가향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과립향이 액상향을 무수결정포도당, 덱스트린 및 솔비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과 혼합하여 분말향으로 제조하고 과립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향차.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향은 제주난꽃향, 레드파파야향, 모카향, 열대과일향, 캔디향, 체리향 및 초코릿향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향차.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향이 분말향 총 중량에 대하여 5~15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향차.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과립향이 12~60메시(mesh)의 입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향차.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과립향이 가향차의 총 중량에 대하여 1.0~5.0중량%로 함유되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향차.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당과립은 말토덱스트린, 싸이클로덱스트린, 설탕, 이성화당, 포도당, 결정과당, 미립당, 과당, 유당, 자일로스 및 맥아당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과립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향차.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당과립이 12~18메시의 입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향차.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당과립이 가향차의 총 중량에 대하여 5.0~39.0중량%로 함유되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향차.
  10. a) 건조된 녹차, 홍차 또는 그들의 혼합물에 과립향을 혼합하여 향을 첨가하는 단계; 및
    b) 상기 향이 첨가된 녹차, 홍차 또는 그들의 혼합물에 당과립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향차의 제조방법.
KR1020080117687A 2008-11-25 2008-11-25 기호성이 우수한 가향차 및 그 제조방법 KR101615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7687A KR101615549B1 (ko) 2008-11-25 2008-11-25 기호성이 우수한 가향차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7687A KR101615549B1 (ko) 2008-11-25 2008-11-25 기호성이 우수한 가향차 및 그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7982A Division KR101688052B1 (ko) 2016-04-20 2016-04-20 기호성이 우수한 가향차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9049A true KR20100059049A (ko) 2010-06-04
KR101615549B1 KR101615549B1 (ko) 2016-04-27

Family

ID=42360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7687A KR101615549B1 (ko) 2008-11-25 2008-11-25 기호성이 우수한 가향차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55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88602A3 (ko) * 2017-10-31 2019-06-27 씨제이제일제당 (주) 알룰로스를 포함하는 아이스티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4334A (ja) * 1993-12-28 1995-08-01 Kanebo Foods Ltd 糖顆粒
JP2001186858A (ja) * 1999-12-29 2001-07-10 Takasago Internatl Corp 粉末香料の製造方法および該粉末香料を含有する食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4334A (ja) * 1993-12-28 1995-08-01 Kanebo Foods Ltd 糖顆粒
JP2001186858A (ja) * 1999-12-29 2001-07-10 Takasago Internatl Corp 粉末香料の製造方法および該粉末香料を含有する食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88602A3 (ko) * 2017-10-31 2019-06-27 씨제이제일제당 (주) 알룰로스를 포함하는 아이스티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5549B1 (ko) 2016-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32825B1 (en) An oral smokeless moist snuff product
KR101691919B1 (ko) 과립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KR100510322B1 (ko) 향 추출물을 함유하는 인스턴트 커피의 제조방법
WO2008056135A2 (en) A smokeless tobacco product and method for forming such a product
JPS609782B2 (ja) 飲料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法
KR101542227B1 (ko) 가용성 타블렛차의 제조방법
MX2012004417A (es) Productos de tabaco sin humo humectante orales con revestimiento de gel con estructura de red y metodos para hacerlos.
JP2010268765A (ja) 焙じウーロン茶及びこれを用いた茶飲料
CN101720825B (zh) 一种陈年铁观音茶的制作方法
KR101688052B1 (ko) 기호성이 우수한 가향차 및 그 제조방법
KR101725873B1 (ko) 도라지를 이용한 혼합 침출차의 제조방법
JP3880217B2 (ja) 嗜好飲料用抽出液の製造方法
KR20100059049A (ko) 기호성이 우수한 가향차 및 그 제조방법
KR101924005B1 (ko) 과일을 포함하는 비정형 한차의 제조 방법
JP2004248601A (ja) マテ茶含有食品
KR100563401B1 (ko) 사과 과립차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2051754A (ja) ハーブティーの製造方法
CN112314761A (zh) 一种调味茶的锁香工艺
JP3184652U (ja) 粉末茶
JPH0365139A (ja) 機能性食品素材入り飲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268774A (ja) 麦茶入り飲料
KR101459740B1 (ko) 기호성이 우수한 캔디향 홍차 및 이의 제조방법
JPH11178552A (ja) 粉末ハーブティー及び1人分用粉末ハーブティー
JP2019041708A (ja) ペースト茶の製造方法
KR20140050289A (ko) 타블렛 형태의 차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