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4005B1 - 과일을 포함하는 비정형 한차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과일을 포함하는 비정형 한차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24005B1 KR101924005B1 KR1020160077684A KR20160077684A KR101924005B1 KR 101924005 B1 KR101924005 B1 KR 101924005B1 KR 1020160077684 A KR1020160077684 A KR 1020160077684A KR 20160077684 A KR20160077684 A KR 20160077684A KR 101924005 B1 KR101924005 B1 KR 10192400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een tea
- dough
- tea
- fruit
- herbal
- Prior art date
Links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8
- 235000015092 herbal tea Nutrition 0.000 title 1
- 244000269722 Thea sinensi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5
- 235000013616 te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2
- 235000009569 green te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40000008866 Ziziphus nummulari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44000223760 Cinnamomum zeylanicum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5000004310 Cinnamomum zeylanicum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5000017803 cinnamon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29920002456 HOTAIR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40000007329 Zingiber officinale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5000006886 Zingiber officinal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5000008397 ginger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41000411851 herbal medicine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6049 herbal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1449 brick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40079593 drugs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590 phytopharmaceutic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2
- 230000002431 foraging Effects 0.000 claims 1
- 239000000419 plant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7493 shap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35622 drink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5000021271 drinking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4634 feeding behavior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7602 hot air dry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0855 ferment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4151 ferment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5000011869 dried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40000004307 Citrus medic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40000002275 Cucumis melo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5510 Cucumis melo subsp melo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40000004678 Panax pseudoginseng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03140 Panax quinquefoli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5000008434 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5000005035 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41000703121 Campanula rotundifoli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40000007119 Malus pumil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1430 Malus pumila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15103 Malus silvestr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06533 astragal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39 cer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KRKNYBCHXYNGOX-UHFFFAOYSA-N citr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O)(C(O)=O)CC(O)=O KRKNYBCHXYNGO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44000144730 Amygdalus persic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7119 Ananas comos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2254 Ananas comos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1061264 Astragal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1358 Bromus mango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4936 Bromus mango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0613 Citrullus lanat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2828 Citrullus lanatus var citroid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0207199 Citr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6623 Fragaria ves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9088 Fragaria x ananass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363 Fragaria x ananass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4826 Mangifera indi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2799 Prunus avi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6040 Prunus persica var persi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4443 Pyrus commun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1987 Pyrus commun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9184 Spondias indi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93 cherri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971 citrus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7807 phytochemic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30000223 plant secondary metabolites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456 talus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17260 vegetative to reproductive phase transition of meriste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JLPULHDHAOZNQI-ZTIMHPMXSA-N 1-hexadecanoyl-2-(9Z,12Z-octadecadienoyl)-sn-glycero-3-phosphocholin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O)OC[C@H](COP([O-])(=O)OCC[N+](C)(C)C)OC(=O)CCCCCCC\C=C/C\C=C/CCCCC JLPULHDHAOZNQI-ZTIMHPMX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495 Chrysanthemum leucanthem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35851 Chrysanthemum leucanthem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2268 Citrus limon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79 Citrus lim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02000008186 Collage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35532 Collage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6497 Dianthus caryophyll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355 Dianthus caryophyll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6245 Dichrostachys ciner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0019 Diospyros kak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508 Diospyros virginia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69445 LICORICE EXTRACT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40067606 Lecith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41000218378 Magnol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5561 Musa balbisian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8290 Musa x paradisia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426 Persea american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5204 Prunus armenia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827 Prunus armenia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20317 Ros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491 Ski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UEDUENGHJMELGK-HYDKPPNVSA-N Stevioside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12C(=C)C[C@@]3(C1)CC[C@@H]1[C@@](C)(CCC[C@]1([C@@H]3CC2)C)C(=O)O[C@H]1[C@@H]([C@@H](O)[C@H](O)[C@@H](CO)O1)O)[C@@H]1O[C@H](CO)[C@@H](O)[C@H](O)[C@H]1O UEDUENGHJMELGK-HYDKPPNVSA-N 0.000 description 1
- UEDUENGHJMELGK-VESORUSYSA-N Stevioside Natural products O=C(O[C@H]1[C@H](O)[C@H](O)[C@H](O)[C@@H](CO)O1)[C@@]1(C)[C@@H]2[C@](C)([C@H]3[C@@]4(CC(=C)[C@@](O[C@H]5[C@H](O[C@H]6[C@H](O)[C@@H](O)[C@H](O)[C@@H](CO)O6)[C@@H](O)[C@H](O)[C@@H](CO)O5)(C4)CC3)CC2)CCC1 UEDUENGHJMELGK-VESORUSYSA-N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268 Vitamin C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568 aroma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970 cak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106 citr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5188 collagen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436 collage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22 fresh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216 herb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8 kn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86 lea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87 lecith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45 lecith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149 nood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 omij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426 persea america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13618 steviosid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202 steviosid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4 vitamin C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8 vitamin 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700 vitamin C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40—Tea flavour; Tea oil; Flavouring of tea or tea extract
- A23F3/405—Flavouring with flavours other than natural tea flavour or tea oil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22—Drying or concentrating tea extract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30—Further treatment of dried tea extract;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e.g. instant tea
- A23F3/32—Agglomerating, flaking or tabletting or granula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9/00—Packaging of material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9/02—Packaging of substances, e.g. tea, which are intended to be infused in the packa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9/00—Packaging of material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9/02—Packaging of substances, e.g. tea, which are intended to be infused in the package
- B65B29/028—Packaging of substances, e.g. tea, which are intended to be infused in the package packaging infusion material into filter ba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8—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for immersion in the liquid to release part or all of their contents, e.g. tea bag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15—Flavour affecting agent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16—Taste affecting agent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 B65D2081/002—
Abstract
본 발명은 과일을 포함하는 비정형 한차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계피, 생강, 대추 중에서 적어도 하나 선택한 한방재료, 건조녹차잎, 과일을 준비하는 재료 준비 단계(S1); 준비된 건조녹차잎, 과일, 한방재료와 물을 혼합 및 교반하여 녹차반죽을 준비하는 혼합 및 교반 단계(S2); 녹차반죽을 60∼80℃의 온도의 숙성실에 넣어 14∼16일을 숙성하는 숙성 단계(S3); 숙성된 녹차반죽을 비정형 형태로 성형하는 성형 단계(S4); 성형한 녹차반죽을 120∼140℃의 열풍건조기에서 2∼3시간 열풍으로 건조하는 건조 단계(S5)로 한차가 제조되어, 제조한 한차는 물에 우려내어 한방재료, 녹차, 과일의 효능과 함께 다양한 맛, 향기를 음미하여 음용할 수 있으며, 한차는 물에 우려도 분리되지 않아서 음용 과정이 편리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과일을 포함하는 비정형 한차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계피, 생강, 대추 중에서 적어도 하나 선택한 한방재료, 건조녹차잎, 과일을 물과 혼합하여 교반하여 녹차반죽을 만들고, 그 녹차반죽을 숙성한 다음 다양한 형태로 성형하며, 성형한 녹차반죽을 건조한 한차를 제조하여, 그 제조한 한차를 물에 우려내면, 한방재료, 녹차, 과일의 효능과 함께 다양한 맛, 향기를 음미하면서 음용할 수 있고, 한차는 물에 우려도 분리되지 않아서 음용 과정이 편리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출차는 기호성 식물의 어린 싹이나 잎, 꽃, 줄기, 뿌리, 열매 또는 곡류 등의 원료를 단독 또는 이들을 2종 이상 혼합하거나 이에 다른 식품을 가하여 가공한 것으로, 침출차는 물에 침출하여 그 여액을 음용하는 기호성 식품을 말하는데, 침출차의 재료는 더욱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326076호에는, 건조한 유자 과피에 스테비아 추출액, 감초추출액, 대추추출액이 코팅된 유자차의 제조 방법, 제조한 유자차가 포함된 티백, 제조한 유자차와 홍차가 더 포함된 티백에 대한 내용이 게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특허출원 제2006-0045436호에는, 살구 과육, 녹차 건조 잎, 구연산, 스테비오사이드, 콜라겐, 비타민C, 함초 등이 포함된 과일침출차에 대한 내용이 게시되어 있다.
한편, 앞에 예시한 두 가지 발명은 과일을 활용한 침출차로, 부가적으로 다른 재료를 더하여, 과일의 맛과 향을 가지고, 추가되는 다른 재료에 의해 기능성을 높이고자 하는데, 우리나라는 지역별로 다양한 과일 특산품이 있으므로, 이러한 과일 특산품을 적용하여, 과일 특산품의 소비를 증진하고, 맛과 향이 우수한 차의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그리고 앞에 예시한 두 가지 발명을 포함하여 기존의 침출차는 분쇄된 상태로 제조되므로, 침출차가 티백 형태로 제공되지 않으면 별도의 거름망이나 거름 도구가 필요하기에 음용 과정이 다소 번거로웠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계피, 생강, 대추 중에서 적어도 하나 선택한 한방재료, 건조녹차잎, 과일을 물과 혼합하여 교반하여 녹차반죽을 만들고, 그 녹차반죽을 숙성한 다음 다양한 형태로 성형하며, 성형한 녹차반죽을 열풍으로 건조한 한차를 제조하여, 그 제조한 한차를 물에 우려내면, 한방재료, 녹차, 과일의 효능과 함께 다양한 맛, 향기를 음미하면서 음용하도록 하며, 한차는 물에 우려도 분리되지 않아서 거름망이 구비되지 않아도 되므로 한차의 음용이 편리하도록 한다.
또, 상기 숙성된 녹차반죽에는 식물약재추출물이나 건조식물약재를 더 포함하되, 식물약재추출물은 식약동원한방재료의 성분을 추출한 것을 사용하고, 식물약재는 건조된 5 ∼10㎜의 식약동원한방재료를 사용하여, 추가되는 식물약재추출물이나 건조식물약재에 해당하는 식약동원한방재료의 맛, 향과 함께 식약동원한방재료의 효능을 가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조한 한차는 티백으로 포장되어 음용이 편리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제조된 한차와 함께, 건조식물약재, 건조꽃차, 건조과일 중에 적어도 하나 선택한 추가차재료를 유리병, 캔, 폴리백 또는 티백으로 포장하여, 추가차재료의 블렌딩을 통한 따른 맛, 향, 효능을 가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계피, 생강, 대추 중에서 적어도 하나 선택한 한방재료, 건조녹차잎, 과일이 포함되어 숙성 및 건조한 한차를 제조하여, 제조한 한차는 물에 우려내어 한방재료, 녹차, 과일의 효능과 함께 다양한 맛, 향기를 음미하여 음용할 수 있으며, 한차는 물에 우려도 분리되지 않아서 음용 과정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차의 제조 방법에 따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한차가 수용된 티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한차가 수용된 티백을 보여주는 사시도.
본 발명은 과일을 포함하는 비정형 한차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계피, 생강, 대추 중에서 적어도 하나 선택한 한방재료, 건조녹차잎, 과일을 준비하는 재료 준비 단계(S1); 준비된 건조녹차잎, 과일, 한방재료 및 물을 혼합 및 교반하여 녹차반죽을 준비하는 혼합 및 교반 단계(S2); 녹차반죽을 60∼80℃의 온도의 숙성실에 넣어 14∼16일을 숙성하는 숙성 단계(S3); 숙성된 녹차반죽을 비정형 형태로 성형하는 성형 단계(S4); 성형한 녹차반죽을 120∼140℃의 열풍건조기에서 2∼3시간 열풍으로 건조하는 건조 단계(S5)로 한차가 제조되어, 제조한 한차는 물에 우려내어 한방재료, 녹차, 과일의 효능과 함께 다양한 맛, 향기를 음미하여 음용할 수 있으며, 한차는 물에 우려도 분리되지 않아서 음용 과정이 편리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정형 한차의 제조 방법을 도1의 순서도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먼저, 재료 준비 단계(S1)는 한차에 포함되는 재료를 준비하는 단계로, 한차의 재료는 건조녹차잎, 과일, 한방재료가 사용되며, 건조녹차잎은 녹차의 잎을 건조하여 5~10㎜의 크기로 절단한 것이다.
또한, 과일은 과일의 식용 가능한 부분을 5~10㎜의 크기로 절단한 것으로, 신선한 과일을 세척하고, 과일의 종류에 따라 껍질과 씨는 제거하고, 5~10㎜의 크기로 절단하여 준비하며, 과일은 사과, 배, 참외, 딸기, 수박, 감귤, 자두, 복숭아, 멜론, 용과, 앵두, 망고, 바나나, 아보카도, 파인애플, 오렌지, 레몬 등의 과일 중에서 적어도 하나 선택하여 적용하는데, 과일은 지역 특산품인 제철에 수확되는 생과일을 사용하거나, 제철 과일을 건조한 과일을 사용하거나, 또는, 과일은 수입한 과일도 사용 가능하고, 과일은 앞서 언급한 과일 외에도 다양한 과일의 적용이 가능하며, 사용하는 과일은 적어도 10 Brix(브릭스)를 가지는 것(10 브릭스 이상의 당도를 가지는 과일)이 바람직하다.
한편, 과일을 절단하면서 사과와 같이 갈변하는 과일은 과일을 썰어서, 40∼60℃의 온도에서 0.5∼3시간을 건조하여, 색상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한방재료는 일반적으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를 5~10㎜의 크기로 절단한 것을 사용하며, 계피(건조 계피), 생강(세척하고 사용), 대추(건조한 대추를 사용하고, 대추는 씨를 제거하고 사용) 등을 적어도 하나 선택하여 적용한다.
한편, 앞서 예시한 계피, 생강, 대추 외에도 기타 다양한 추가한방재료를 추가할 수 있는데, 추가한방재료는 식약동원한방재료를 5~10㎜ 절단한 것으로, 식약동원한방재료의 구체적인 예로는 인삼, 도라지, 매실, 오미자, 천궁, 당기, 복령, 황기 등이 있으며, 이러한 식약동원한방재료 중에서 적어도 하나 선택하여 추가한방재료로 사용한다.
또한, 혼합 및 교반 단계(S2)는 준비된 건조녹차잎, 과일, 한방재료에 물을 혼합하여 반죽하는 단계로, 건조녹차잎 200 중량부에 대해서, 과일 100∼105 중량부, 한방재료 100∼105 중량부를 혼합하고, 혼합된 건조녹차잎, 과일, 한방재료 100∼200 중량부에 대해서 물 200∼300 중량부를 넣어 교반하여, 수분을 머금고 뭉쳐질 정도로 교반한 녹차반죽을 준비한다.
아울러, 혼합 및 교반 단계(S2)에서 추가한방재료가 추가되면, 건조녹차잎 200 중량부에 대해서 추가한방재료 50∼100 중량부를 추가하여 혼합하여 녹차반죽을 준비한다.
다음의 숙성 단계(S3)는 준비된 녹차반죽을 숙성실에 넣어 숙성하는 단계로, 숙성실은 60∼80℃의 온도를 유지하고, 숙성실에 녹차반죽을 넣어 14∼16일을 숙성하며, 숙성에 의한 색 변화를 다음 [이미지 01]에 나타내었다.
[이미지 01]
위 [이미지 01]과 같이, 혼합 및 교반 단계(S2)에 의한 녹차반죽은 초기에 연한 붉은색 내지 갈색을 띠지만, 숙성으로 인해서 진한 갈색이나 고동색으로 변하며, 녹차 반죽은 숙성 과정을 통해서 재료들의 깊은 맛과 향을 이끌어낸다.
그리고 성형 단계(S4)는 숙성된 녹차반죽을 다양한 형태로 성형하는 단계로, 숙성된 녹차반죽을 일정량 떼어서 형태가 정형화하지 않은 다양한 형태, 즉 비정형 형태로 성형하는데, 숙성된 녹차반죽은 동전모양, 빈대떡 모양, 엽전 모양, 국수 모양, 구 모양, 원기둥 모양, 기타 다양한 모양으로 성형하고, 그 외에도 숙성된 녹차반죽을 원하는 모양을 손으로 빚어서 다양할 형태를 구성하거나, 몰드(틀)를 사용하여 특정 모양, 캐릭터 모양 등으로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성형 단계(S4)에는 식물약재추출물이나 식물약재를 추가할 수 있으며, 식물약재추출물은 식약동원한방재료의 성분을 추출한 것으로, 식약동원한방재료의 구체적인 예로는 인삼, 도라지, 매실, 오미자, 천궁, 당기, 복령, 황기가 있으며, 이러한 식물약재추출물은 식약동원한방재료를 달인 물, 엑기스 등을 적용할 수 있으며, 식물약재추출물은 숙성된 녹차반죽의 수분을 고려하여, 숙성된 녹차반죽 70∼80wt%에 대해서 식물약재추출물 20∼30wt%를 혼합하고, 균일하게 교반하면서 반죽한 다음 다양한 형태로 성형한다.
또한, 건조식물약재는 건조된 식약동원한방재료를 사용하며, 식약동원한방재료의 구체적인 예로는 인삼, 도라지, 매실, 오미자, 천궁, 당기, 복령, 황기가 있으며, 이러한 건조식물약재는 5~10㎜ 크기, 또는, 5~10㎜ 크기로 절단한 것을 사용하며, 숙성된 녹차반죽 70∼90wt%에 대해서 식물약재 10∼30wt%를 혼합하고, 균일하게 교반하면서 반죽한 다음 다양한 형태로 성형한다.
다음으로, 건조 단계(S5)는 성형한 녹차반죽을 열풍건조기에 넣어 건조하는 단계로, 열풍건조기는 120∼140℃의 고온 열풍을 발생하는 기기이며, 이 건조기에 녹차반죽을 넣어 2∼3시간을 열풍으로 건조하고, 건조된 녹차반죽은 상온에서 식히며, 이렇게 열풍 건조된 녹차반죽은 성형한 녹차반죽에 비해서 수분이 70% 이상이 증발되어, 열풍 건조로 인해서 성형한 녹차반죽의 중량이 30% 이하로 줄면서 고형화되며, 이러한 건조 단계(S5)로 한차의 제조가 완료되고, 제조된 한차는 다음의 포장 단계(S6)가 추가되어, 포장된 한차의 형태로 소비자에게 제공된다.
한편, 동전 모양으로 성형된 한차를 다음 [이미지 02]에 나타내었다.
[이미지 02]
마지막으로, 포장 단계(S6)는 제조된 한차를 포장하는 단계로, 제조된 한차는 적정량을 유리병, 캔, 폴리백 등에 밀폐 포장하며, 폴리백에 포장된 한차를 다음 [이미지 03]에 나타내었다.
[이미지 03]
또한, 포장 단계(S6)에서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티백으로 포장하여, 편리하게 물을 우려 마실 수 있는데, 한차를 태백 포장할 때는 큰 덩어리 형태의 한차보다는 작은 알갱이 크기의 한차나 또는 덩어리 형태의 한차를 분쇄하여 포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렇게 티백으로 포장되는 한차를 다음 [이미지 04]에 티백으로 포장된 한차를 나타내었다.
[이미지 04]
한편, 포장 단계(S6)에서는 건조식물약재, 건조꽃차, 건조과일과 같은 추가차재료를 한차와 함께 포장하여, 한차와 다른 재료를 함께 우려내어 음용할 수 있는데, 건조식물약재, 건조꽃차, 건조과일 중에서 적어도 하나 선택한 추가차재료와 한차를 유리병, 캔, 폴리백, 티백으로 함께 포장하되, 한차 70∼80wt%에 대해서 추가차재료 20∼30wt%를 혼합하여 포장하며, 추가차재료는 모두 수분율 10% 이하로 건조한 것을 사용하고, 추가차재료는 5~20㎜ 이하의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한차와 함께 포장되는 건조식물약재는 건조한 식약동원한방재료를 적용하는데, 인삼, 도라지, 매실, 오미자, 천궁, 당기, 복령, 황기, 계피, 생강, 대추와 같은 식약동원한방재료 중에서 적어도 하나 선택하여 적용한다.
또, 건조꽃차는 차로 사용되는 꽃을 건조하여 사용하는데, 야생국화차, 장미차, 매화꽃차, 목련꽃차, 카네이션꽃차, 구절초꽃차 중에서 적어도 하나 선택하여 적용한다.
또한, 건조과일은 10 브릭스 이상의 당도를 가지는 과일을 건조한 것으로, 건조과일에 적용하는 과일은 사과, 배, 참외, 딸기, 수박, 감귤, 자두, 복숭아, 멜론, 용과, 앵두, 망고, 바나나, 아보카도, 파인애플, 오렌지, 레몬 등이 있으며, 이들 과일들 중에 적어도 하나 선택하여 적용한다.
이렇게 제조한 한차는 5∼90℃의 온도의 물에 우려내어 마시는 것이 바람직하며, 한차의 음용으로 녹차, 과일, 한방재료의 맛과 향을 다양하게 숙성된 맛을 느낄 수 있는 특징이 있으며, 그러한 한차의 맛과 향과 함께, 한방재료, 추가한방재료, 한방재료추출물, 추가차재료의 건조식물약재에 사용되는 식약동원한방재료와 녹차가 가지는 효과에 의해 건강 증진을 기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 한차는 물에 우려내는 동안에도 한차의 형태가 흐트러지지 않으므로 우러난 한차의 제거가 용이하여, 별도의 거름망이 구비되지 않아도 되어서, 기존의 분말 형태의 침출차에 비해 음용이 간단한 특징이 있다.
또한, 티백으로 제조한 한차는 편리하게 마실 수 있으며, 추가차재료가 같이 포장된 한차는, 한차를 마시면서, 추가차재료의 블렌딩(blending)을 통한 따른 맛과 향기를 즐기고, 추가된 재료의 효능을 기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한편, 재료 준비 단계(S1)에서 준비되어, 혼합 및 교반 단계(S2)에서 선택적으로 추가되는 추가한방재료, 성형 단계(S4)에서 선택적으로 추가되는 식물약재추출물이나 건조식물약재, 포장 단계(S6)에서 티백으로 포장되는 추가차재료의 건조식물약재는 모두 식약동원한방재료가 쓰이는데, 이 식약동원한방재료는 일상에서 일반인이 특정한 처방을 받지 않더라도 구입할 수 있는 한방 재료, 한약 재료 또는 약성이 있는 식물의 잎, 줄기, 뿌리, 열매를 말한다.
10 : 티백
Claims (6)
- 계피, 생강, 대추 중에서 적어도 하나 선택한 5~10㎜ 크기의 한방재료, 5~10㎜ 크기의 건조녹차잎, 5~10㎜ 크기를 가지되 적어도 10 브릭스의 당도를 가진 과일을 준비하는 재료 준비 단계(S1);
준비된 건조녹차잎 200 중량부에 대해서, 과일 100∼105 중량부, 한방재료 100∼105 중량부를 혼합하면서, 5~10㎜ 크기로 절단된 식약동원한방재료로 된 추가한방재료 50∼100 중량부를 더 혼합하고, 혼합된 건조녹차잎, 과일, 한방재료 100∼200 중량부에 대해서 물 200∼300 중량부를 혼합 및 교반하여 녹차반죽을 준비하는 혼합 및 교반 단계(S2);
녹차반죽을 60∼80℃의 온도의 숙성실에 넣어 14∼16일을 숙성하여 진한갈색이나 고동색으로 변할 때까지 숙성하는 숙성 단계(S3);
숙성된 녹차반죽을 일정량 떼어서 원하는 모양의 비정형 형태로 성형하는 성형 단계(S4);
성형한 녹차반죽을 120∼140℃의 열풍건조기에서 2∼3시간 건조하여, 열풍 건조된 녹차반죽은 성형한 녹차반죽에 비해 중량이 30% 이하로 줄면서 고형화 되도록 건조하는 건조 단계(S5);
건조 단계(S5)를 거쳐 제조된 한차를 유리병, 캔, 폴리백, 티백 중에 선택된 용기에 밀폐. 포장하는 포장단계(S6);를 거치면서 제조됨으로써,
제조된 한차는 물에 우려내는 동안에도 형태가 흐트러지지 않아 우려낸 한차의 제거가 용이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을 포함하는 비정형 한차의 제조 방법.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성형 단계(S4)에서는, 숙성된 녹차반죽 70∼80wt%에 대해서 식물약재추출물 20∼30wt%을 혼합하여 성형하되,
식물약재추출물은 식약동원한방재료의 성분을 추출한 것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정형 한차의 제조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성형 단계(S4)에서는. 숙성된 녹차반죽 70∼90wt%에 대해서 식물약재 10∼30wt%을 혼합하여 성형하되,
식물약재는 5~10㎜ 크기의 식약동원한방재료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정형 한차의 제조 방법.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77684A KR101924005B1 (ko) | 2016-06-22 | 2016-06-22 | 과일을 포함하는 비정형 한차의 제조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77684A KR101924005B1 (ko) | 2016-06-22 | 2016-06-22 | 과일을 포함하는 비정형 한차의 제조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83825A KR20160083825A (ko) | 2016-07-12 |
KR101924005B1 true KR101924005B1 (ko) | 2018-11-30 |
Family
ID=56505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77684A KR101924005B1 (ko) | 2016-06-22 | 2016-06-22 | 과일을 포함하는 비정형 한차의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24005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15369B1 (ko) * | 2017-06-12 | 2019-08-28 | 장종옥 | 녹차 생엽을 이용한 숙성차의 제조방법 |
CN108576334A (zh) * | 2018-07-12 | 2018-09-28 | 桂林电子科技大学 | 风味独特的罗汉果水果茶的制备方法 |
-
2016
- 2016-06-22 KR KR1020160077684A patent/KR101924005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83825A (ko) | 2016-07-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196037B2 (ja) | タバコ含有ゲル組成物 | |
JP6592431B2 (ja) | 無煙タバコ錠剤 | |
KR100823940B1 (ko) | 인삼 열매를 이용한 식품과 그 제조방법 | |
CN109566799A (zh) | 香料茶底及制备方法 | |
KR101924005B1 (ko) | 과일을 포함하는 비정형 한차의 제조 방법 | |
KR100572962B1 (ko) | 허브순을 이용한 기능성 허브차 티백 | |
CN106417873A (zh) | 一种保持口气清新的食品及其制备方法 | |
KR101683226B1 (ko) | 천연한방 재료를 이용 가압 추출물을 이용한 한방쿠키의 제조방법 | |
KR100606558B1 (ko) | 오가피 침출차 제조방법 | |
KR20170022426A (ko) | 도라지를 이용한 혼합 침출차의 제조방법 | |
CN106072536A (zh) | 一种桑叶即食休闲风味食品及其制备方法 | |
CN103109946A (zh) | 一种大肚子袋泡茶及其制法 | |
KR101401016B1 (ko) | 통뿌리 식품을 함유하는 양갱 및 그 제조방법 | |
CN108174949A (zh) | 一种可食用易溶粉和干花组合搭配的花茶的制备工艺 | |
KR20010070386A (ko) | 당귀젤리 및 그 제조방법 | |
KR100920494B1 (ko) | 복분자 열매와 잎을 이용한 복분자차의 제조방법 | |
US6180160B1 (en) | Banana flower tea | |
JP6723529B2 (ja) | ホップ葉含有飲食用組成物 | |
KR100375921B1 (ko) | 천궁젤리 및 그 제조방법 | |
KR101674658B1 (ko) | 석류 엑기스 제조방법 | |
CN108567042A (zh) | 一种香气浓郁的无花果干茶片的制备方法 | |
KR100375916B1 (ko) | 고본젤리 및 그 제조방법 | |
KR102574775B1 (ko) | 수벌번데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양봉산물을 활용한 odf 제조방법 | |
CN106260430A (zh) | 一种降血压火龙果花润喉糖及其制备方法 | |
CN106260431A (zh) | 一种美容养颜桃花润喉糖及其制备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