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5526A - 엘리베이터의 양중장치 및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프레임 및 엘리베이터의 양중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양중장치 및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프레임 및 엘리베이터의 양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5526A
KR20100045526A KR1020107006435A KR20107006435A KR20100045526A KR 20100045526 A KR20100045526 A KR 20100045526A KR 1020107006435 A KR1020107006435 A KR 1020107006435A KR 20107006435 A KR20107006435 A KR 20107006435A KR 20100045526 A KR20100045526 A KR 201000455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car frame
lifting
heavy
hoist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6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3860B1 (ko
Inventor
요시히코 고이즈미
다카시 나츠메
히데토시 니노미야
히데키 미야하라
가즈히로 요시카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052591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00045526(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45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5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3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3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9/00Mining-hoist operation
    • B66B19/005Mining-hoist operation installing or exchanging the elevator drive

Abstract

양중장치(100)는 승강로(5)의 하부(81)로부터 승강로 꼭대기부(5a)까지 설치된 가이드레일(8)과, 가이드레일(8)과 결합하는 가이드슈(9)를 구비함으로써 가이드레일(8)을 가이드로서 승강 가능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으로서, 승강로(5)의 승강로 꼭대기부(5a)의 근방까지 양중되는 중량물(1)이 실려지는 플랫폼으로서 사용되는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과, 중량물(1)이 실려진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을 가이드레일(8)을 가이드로서 승강로 꼭대기부(5a)까지 양중하는 양중기(3)를 구비했다. 이것에 의해, 치구 해체의 수고를 생략할 수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양중장치 및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프레임 및 엘리베이터의 양중방법{LIFTING DEVICE FOR ELEVATOR, ELEVATOR CAR FRAME, AND LIFTING METHOD FOR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승강로에서 중량물(重量物)을 양중(揚重, lifting)하는 엘리베이터의 양중장치 및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프레임 및 엘리베이터의 양중방법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의 기기를 설치할 때, 승강로의 크기는 단순히 설치 후의 기기를 수용하는 것만 아니라, 설치과정에서 장착작업을 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스페이스를 고려하여 결정할 필요가 있다. 특히, 엘리베이터 기기를 승강로 내에 반입하여 소정의 높이까지 양중하는 데에는 반입경로의 확보는 당연하지만, 승강로 내에서의 취급(handling) 및 양중 마진(lifting margin)을 위한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양중 마진」이란, 양중기의 높이이지만, 보다 정확하게는 양중기의 높이를 포함한 설치 스페이스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체인블록을 이용하여 기기를 양중하는 경우, 500㎏ ~ 1000㎏의 기기질량을 양중하는 데에는, 수동식으로는 400 ~ 500㎜, 전동식으로는 700 ~ 800㎜의 높이의 체인블록이 1 ~ 2개 이용된다. 기기를 직접 매다는 경우에는, 양중시의 기기의 전도(轉倒)를 방지하기 위해, 서스펜션부는, 통상, 양중 마진상인 기기의 중심위치보다도 위쪽에 설치된다. 또, 서스펜션부는 평면방향도 무게중심에 매우 근접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양중 마진상인 기기는 안정된 자세로 양중된다. 양중 마진상인 기기가 제품으로서 최종적으로 장착되는 높이의 상부에는 「양중에 필요한 스페이스」(양중 마진)의 확보가 필요하다. 따라서, 승강로의 최소의 꼭대기부 위치(필요천장높이)는 「양중에 필요한 스페이스」와, 엘리베이터칸이나 균형추의 올림(점프, jump)으로부터 정해지는 「필요 오버헤드치수」의 관점에서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후에서는, 최상층 바닥면 ~ 승강로 꼭대기부까지의 치수를 「오버헤드치수(OH)」(간단히 'OH'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라고 부른다.
(OH1(엘리베이터칸 밀어올림)의 산출)
도 22는 엘리베이터칸을 밀어올릴 때에서의 OH의 산출을 설명하는 종래예의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여, 엘리베이터칸을 밀어올릴 때에서의 오버헤드치수(OH1)를 설명한다. 도 22의 구성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 22는 승강로(5)에 설치된 엘리베이터를 나타내고 있다. 엘리베이터칸(4)이 최상층에 위치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엘리베이터칸(4)과 균형추(15)('추'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는 권상기(M)가 와이어(18)를 감아올림으로써 승강한다. 오버헤드치수(OH1)는 최상층 바닥면(20)과 승강로 꼭대기부(5a)와의 거리이다. 이 OH1은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승강로(5)의 하부에는 추 측 완충기(16)와 엘리베이터칸 측 완충기(17)가 설치되어 있다. 추 측 완충기(16)와 엘리베이터칸 측 완충기(17)는 코일스프링(16a, 17a)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코일스프링을 이용하는 것은 일례이며, 추 측 완충기(16)와 엘리베이터칸 측 완충기(17)는 유압이나 기타의 수단에 의해서 균형추(15), 엘리베이터칸(4)을 완충시켜도 상관없다. 예를 들면, 일본국내에서는 엘리베이터칸(4)을 밀어올릴 때의 오버헤드치수(이하, OH1(엘리베이터칸 밀어올림)라고 기재함)는 다음의 (식 1a)로 산출된다. 또한, (식 1a)의 기호의 의미는 하기와 같다.
OH1(엘리베이터칸 밀어올림) = CH + CRB + BST + KJP + C (식 1a)
CH : 엘리베이터칸 바닥면 ~ 엘리베이터칸 TOP까지의 치수.
CRB : 추 측의 런바이(runby)량(엘리베이터칸 최상층 정지시의 균형추 ~ 추 측 완충기(16)의 받이면(코일스프링(16a)의 최상부)까지의 수직거리).
BST : 추 측 완충기(16)의 스트로크(코일스프링(16a)의 변형량).
KJP : 엘리베이터칸(4)의 점프량(관성에 의한 오버런(overrun)량).
C : 엘리베이터칸 위에서 운전하지 않고, 엘리베이터칸(4)의 점프시에서의 엘리베이터칸(4)의 TOP(엘리베이터칸(4)의 최상부)으로부터 승강로 꼭대기부(5a)까지의 틈새.
또한, 도 22의 「엘리베이터칸 오버런량(H)」은,
H = CRB + BST + KJP
이다.
도 24는 도 22, 도 23에서의 OH1과 CH, H, C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H4, H5는 후술의 설명에 사용된다.
(OH1(추 밀어올림)의 산출)
도 23은 추를 밀어올리 때에서의 OH의 산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3을 참조하여 추 밀어올림시의 오버헤드치수(OH1)(이하, OH1(추 밀어올림)라고 기재함)를 설명한다. 균형추(15)를 밀어올릴 때에서도 (식 1a)와 동일한 계산을 행한다. 균형추(15)를 밀어올릴 때의 경우, 도 23에 의하면, OH1(추 밀어올림)은 다음의 (식 1b)가 된다.
OH1(추 밀어올림) = CH + CRB + BST + OJP + C (식 1b)
(식 1b)에서 런바이량(CRB)과 완충기 스트로크(BST)는 엘리베이터칸 측이며, 점프량(OJP)은 추 측의 점프량을 나타낸다.
또 CH는 최상층 바닥면(20)으로부터 균형추(15)의 최상부까지의 거리이다.
도 24는 도 22, 도 23에서의 OH1과 CH, H, C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H4, H5는 후술의 설명에 사용된다.
(엘리베이터칸 투영면상에 기기가 있는 경우 : 엘리베이터칸 밀어올림, 추 밀어올림 모두 해당)
또한, 엘리베이터칸 투영면상에 기기(예를 들면 권상기)를 배치하는 경우, 상술의 양중 마진(H2)을 고려하면, 필요 오버헤드치수(OH2)는 이하의 (식 2a)가 된다. 하기의 OH2(기기 있음)는 엘리베이터칸(4)의 헤드상에 양중 마진(H2)의 기기가 존재하는 경우의 치수이다.
도 25는 이하의 (식 2a)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엘리베이터칸을 밀어올릴 때의 경우이면,
OH2(기기 있음) = OH1(엘리베이터칸 밀어올림시) + H1 + H2 (식 2a)
가 된다.
또, 추 밀어올림시의 경우이면, 다음의 (식 2b)와 같이 된다.
OH2(기기 있음/추) = OH1(추 밀어올림시) + H1 + H2 (식 2b)
가 된다. 또한, 기호의 의미는 하기와 같다.
H1 : 기기높이.
H2 : 양중 마진.
또한, OH3는 후술의 설명에서 사용한다.
(엘리베이터칸 투영면상에 기기가 없는 경우)
도 26은 엘리베이터칸 투영면상에 기기가 없는 경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엘리베이터칸 투영면상에 기기가 없는 경우, 기기의 장착높이를 H3(최상층 바닥면(20)으로부터 기기의 하면까지의 거리)로 한 경우, 하기의 산출식(식 3)의 OH0 치수가,
OH0 > OH1(엘리베이터칸 밀어올림시),
또한
OH0 > OH1(추 밀어올림시)
가 되는 경우는, OH0가 필요 오버헤드치수가 된다.
OH0 = H3 + H1 + H2 (식 3)
또한, H0는 후술의 설명에서 사용한다.
1990년 후반 이후, 일본국내는 물론, 세계적으로도 기계실 없는 엘레베이터(Machine-Room-Less elevator. 이후, MRL라고 한다.)가 급속히 보급되어, 승강로 내에 모든 엘리베이터 기기가 설치되는 시스템이 주류가 되고 있다. 또한 승강로 사이즈의 축소(평면치수, 오버헤드치수, 피트깊이)도 진행되어, 필요 승강로 사이즈는 기기의 수용 이외에도, 설치성을 주목하여 기기의 배치설계를 행해야 한다.
오버헤드치수를 작게 하는 데에는 치구(治具)로서 전용의 양중 플랫폼(揚重架臺)을 이용하여, 권상기 등의 기기를 양중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그러나, 전용의 양중 플랫폼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양중 플랫폼의 조립이나 양중 후의 해체가 필요하여 설치시간이 걸림과 동시에 고비용이 된다.
[특허문헌1]일본국특개2000-34072호공보
본 발명은 권상기 등의 엘리베이터 기기를 양중하는 경우에 있어서, 승강로의 사이즈의 확장을 필요로 하지 않고, 또, 설치시간의 증대 및 고비용을 수반하지 않는 양중장치, 양중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양중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로의 꼭대기부 근방까지 중량물을 양중하는 엘리베이터의 양중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의 하부로부터 상기 꼭대기부까지 설치된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과 결합하는 가이드슈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가이드레일을 가이드로서 승강 가능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으로서, 상기 승강로의 상기 꼭대기부 근방까지 양중되는 상기 중량물이 실려지는 플랫폼으로서 사용되는 엘리베이터칸 프레임과,
상기 중량물이 실려진 상기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을 상기 가이드레일을 가이드로서 상기 꼭대기부까지 양중하는 양중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꼭대기부의 부근과 상기 하부의 부근과의 사이의 중간이 레일 브래킷으로 고정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양중기는,
한쪽의 단부가 상기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에 장착된 선상(線狀)의 선상체와,
상기 꼭대기부에 배치되어 상기 선상체를 감아냄으로써 상기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을 양중하는 본체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본체는,
상기 선상체를 감아냄으로써 상기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을 상기 꼭대기부까지 양중한 경우에, 자기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의 상부보다도 아래쪽으로 비집고 들어가도록 배치되고,
상기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은,
상기 선상체의 상기 한쪽의 단부가 장착되는 엘리베이터칸 프레임 측 단부 장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은,
상기 중량물이 실려지는 재치(載置)부재를 상기 상부에 구비하고,
상기 중량물은,
상기 재치부재에 실려짐과 동시에, 상기 양중기의 상기 본체가 상기 선상체를 감아냄으로써 상기 꼭대기부 근방까지 양중된 경우에 상기 양중기의 상기 본체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실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엘리베이터칸 프레임 측 단부 장착부는,
상기 재치부재에 실려지는 상기 중량물과 상기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을 하나의 강체(剛體)로 본 경우에 정해지는 중심(重心)의 위치보다도 위쪽의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양중기는,
한쪽의 단부가 상기 꼭대기부에 고정된 고정부에 장착된 선상의 선상체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의 상부보다도 아래쪽으로 비집고 들어가도록 상기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선상체를 감아냄으로써 상기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을 상기 꼭대기부까지 양중하는 본체를 구비하며,
상기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은,
상기 양중기의 상기 본체가 장착되는 엘리베이터칸 프레임 측 본체 장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은,
상기 중량물이 실려지는 재치부재를 상기 상부에 구비하고,
상기 중량물은,
상기 재치부재에 실려짐과 동시에, 상기 양중기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실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엘리베이터칸 프레임 측 본체 장착부는,
상기 재치부재에 실려진 상기 중량물과 상기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을 하나의 강체로 본 경우에 정해지는 중심(重心)의 위치보다도 위쪽의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슈는,
자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레일을 흡인(吸引)하는 자성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은,
엘리베이터의 승강로의 꼭대기부 근방까지 중량물을 양중할 때의 플랫폼으로서 사용되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으로서, 본체가 승강로의 꼭대기부에 배치됨과 동시에 선상체의 한쪽의 단부가 양중 마진상에 장착되어 상기 선상체를 감아냄으로써 상기 양중 마진상을 상기 꼭대기부까지 양중하는 양중기의 상기 선상체의 상기 한쪽의 단부가 장착되는 엘리베이터칸 프레임 측 단부 장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은,
엘리베이터의 승강로의 꼭대기부 근방까지 중량물을 양중할 때의 플랫폼으로서 사용되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으로서, 선상체의 한쪽의 단부가 승강로의 꼭대기부에 접속됨과 동시에 본체가 양중 마진상에 장착되어 상기 선상체를 감아냄으로써 상기 양중 마진상을 상기 꼭대기부까지 양중하는 양중기의 상기 본체를 장착하는 엘리베이터칸 프레임 측 본체 장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양중방법은,
엘리베이터의 승강로의 꼭대기부 근방까지 중량물을 양중하는 엘리베이터의 양중방법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의 하부로부터 꼭대기부까지 설치된 가이드레일과 조합하는 가이드슈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서 승강 가능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으로서, 상기 승강로의 상기 꼭대기부 근방까지 양중되는 상기 중량물이 실려지는 플랫폼으로서 사용되는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을 상기 중량물이 실려진 상태로 상기 가이드레일을 가이드로서 상기 꼭대기부까지 양중기에 의해 양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권상기 등의 엘리베이터 기기를 양중하는 경우에 있어서, 승강로의 사이즈의 확장을 필요로 하지 않고, 또, 설치시간의 증대 및 고비용을 수반하지 않는 양중장치, 양중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 1의 양중 마진상을 직접 매다는 문제점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실시형태 1의 양중장치(100)를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실시형태 1의 양중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실시형태 1의 양중 종료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실시형태 1의 양중장치(100)에 의한 양중 개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실시형태 1의 양중장치(100)에 의한 양중 도중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실시형태 1의 양중장치(100)에 의한 양중 종료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실시형태 1의 양중장치(100)에 의한 양중 도중의 사시도.
도 9는 실시형태 1의 양중장치(100)에 의한 양중 종료의 사시도.
도 10은 실시형태 1의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의 구성과 양중기(3)의 배치를 도 8에 대해서 변경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실시형태 1의 도 10의 양중이 종료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실시형태 1의 체인(3a)의 장착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실시형태 1의 서스펜션 위치의 문제점을 설명하는 도면.
도 14는 실시형태 1의 서스펜션 위치의 문제점을 설명하는 도면.
도 15는 실시형태 1의 서스펜션 위치의 문제점을 설명하는 도면.
도 16은 실시형태 1의 자성체의 효과를 설명하는 도면.
도 17은 실시형태 1의 자성체의 장착 위치를 설명하는 도면.
도 18은 실시형태 2의 양중기 본체(30)의 장착 위치를 설명하는 도면.
도 19는 실시형태 2의 양중기 본체(30)의 장착 위치를 설명하는 도면.
도 20은 실시형태 2의 양중기 본체(30)의 장착 위치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21은 실시형태 2의 양중기 본체(30)의 장착 위치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22는 종래기술을 나타내는 도면.
도 23은 종래기술을 나타내는 도면.
도 24는 종래기술의 치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5는 종래기술의 치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6은 종래기술의 치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실시형태 1.
(1. 양중장치(100)의 개요)
실시형태 1은 엘리베이터의 승강로에서 중량물을 양중하는 엘리베이터의 양중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양중 마진상의 중량물(1)을 직접 양중하는 경우의 문제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 1의 양중장치(100)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양중 종료 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량물(1)(예를 들면, 권상기)을 양중하는 경우, 승강로(5)의 천장(승강로 꼭대기부(5a))에 양중기(3)(예를 들면 윈치)를 임시로 장착하고, 중량물(1)을 매달아 올리면, 양중기(3) 자신의 높이(양중 마진(H2))만큼 매달아 올릴 수 없었다. 이 때문에, 양중 마진(H2)만큼, 승강로의 사이즈가 길어지는 경우가 있었다. 실시형태 1은 양중 마진(H2)을 승강로의 사이즈를 결정할 때의 요인으로 하지 않는 양중장치(100)를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양중 마진(H2)」은 양중기의 높이이지만 정확하게는 양중기의 높이를 포함한 설치 스페이스를 의미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중장치(100)는 가이드레일(8),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 양중기(3)를 구비한다. 양중기(3)는 양중기 본체(30)와 체인(3a)으로 구성된다. 양중기(3)의 예로서는, 체인블록, 윈치 등이 있다. 윈치의 경우에는 체인(3a) 대신에 와이어를 이용한다. 양중장치(100)의 특징은 주로 다음의 (1) 내지 (3)이다.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의 양측에 각각 가이드레일(8)이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레일(8)은 승강로(5)의 하부(81)와 상부(83)에서 레일 브래킷(12)으로 고정되어 있다. 하부(81)는 최하층 부근(피트)이며, 상부(83)는 최상층 부근이다. 하부(81)와 상부(83)와의 사이의 중간부(82)는 레일 브래킷(12)으로 고정되어 있지 않다. 이것은, 양중장치(100)를 이용하여 권상기 등의 중량물(1)을 양중하고, 양중된 권상기 등을 이용함으로써 중간부(82)를 레일 브래킷으로 고정하는 공법(발판이 없는 공법)을 상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이 중량물(1)이 실려지는 양중 플랫폼으로서 사용된다. 이러한 이유에 의해, 중량물(1)을 양중하는 경우에 전용 치구를 이용할 필요가 없어, 해체의 수고가 없다.
(2) 양중기 본체(30)는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을 승강로 꼭대기부(5a)까지 양중한 경우에, 적어도 일부가 엘리베이터칸 프레임 상부(71)보다도 아래쪽으로 비집고 들어가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중 마진(H2)만큼도 중량물(1)을 매달아 올릴 수 있어 승강로의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다.
(3)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을 매다는 서스펜션 포인트(2)가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의 최상부보다도 아래쪽, 또한, 중량물(1)과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을 하나의 강체로 본 경우에 정해지는 합체 중심(重心)의 중심위치(4b)보다도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에서 위쪽에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스펜션 포인트(2)는 중심위치(4b)보다도 치수 L만큼 위에 있다. 즉,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에서 서스펜션 포인트(2)의 위치는 중량물(1)과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과의 합체 중심의 중심위치(4b)보다도 치수 L만큼 위쪽에 있으므로, 양중기 본체(30)는 안정되어 중량물(1)을 양중할 수 있다. 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스펜션 포인트(2)는 중량물(1)이 최종의 양중위치까지 양중될 때, 양중 마진(H2)이 중량물(1)의 양중에 영향을 주지 않는 위치에 설치된다.
(4) 이와 같이, 양중장치(100)는 (1) ~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을 중량물(1)을 싣는 양중치구로서 사용하고, 가이드레일(8)을 가이드로 하고, 그리고, 서스펜션 포인트(2)를 합체 중심의 중심위치(4b)보다도 위쪽의 위치, 또한, 서스펜션 포인트(2)를 중량물(1)이 최종의 양중위치까지 양중될 때 양중 마진(H2)이 중량물(1)의 양중에 영향을 주지 않는 위치에 배치하고 있는 점에 있다.
(2. OH와 양중기와의 관계)
도 3, 도 4는 오버헤드치수(OH)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도 4를 참조하여 오버헤드치수(OH)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도 3, 도 4는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을 양중 플랫폼에 이용하는 경우에, 양중 마진(H2)이 OH의 요인이 되어 버리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양중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양중 종료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스펜션 포인트(2)는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의 최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양중 종료시를 나타내는 도 4와 같이, 양중 마진(H2)이 OH의 요인이 되어 버린다. 즉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량물(1)을 최대 양중할 수 있는 높이는 양중기 본체(30)의 양중 마진(H2)을 승강로 꼭대기부(5a)로부터 차감한 높이(H0)(상술의 문자식을 이용하면, H0 = H1 + H3)가 된다(도 26 참조).
H1 : 기기(중량물(1)) 높이.
H3 : 최상층 바닥면(20)으로부터 기기(중량물(1))의 하면까지의 거리.
따라서, 도 3의 경우, 설치의 점으로부터 필요한 최소 오버헤드치수(OH0)는,
OH0 = H0 + H2 (식 4)
가 된다.
한편, 엘리베이터칸(4)이 가장 높은 위치까지 상승하는 경우(추를 밀어올릴 때도 마찬가지이므로, 추 밀어올림시의 설명은 생략함), 예를 들면 균형추(15)가 추 측 완충기(16)에 충돌하여, 엘리베이터칸(4)이 점프한 경우의 최고 도달점과 최상층 바닥면(20)과의 연직방향의 거리를 H4로 한다(도 24 참조). 엘리베이터칸(4)의 투영면상에 다른 승강로 기기가 없으면, 상기 H4에 밀어올릴 때의 엘리베이터칸 최상부와 승강로 꼭대기부와의 안전거리(H5)를 가산한 치수가 엘리베이터칸(4)의 밀어올림으로 정해지는 필요한 최소 오버헤드치수(OH1)가 된다.
즉,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OH1 = H4 + H5 (식 5)
여기서 H4는,
H4 = CH + CRB + BST + KJP (식 6)
CH … 엘리베이터칸 전체높이
CRB … 추 런바이량
BST … 추 완충기 스트로크
KJP … 엘리베이터칸 점프량
오버헤드치수가 OH1(엘리베이터칸 밀어올림)(혹은 OH1(추 밀어올림))으로 정해지면, 필요 오버헤드치수가 가장 작아진다. 본 실시형태 1의 양중장치(100)에서는, 서스펜션 포인트(2)는 중량물(1)이 최종의 양중위치까지 양중될 때, 양중 마진(H2)이 중량물(1)의 양중에 영향을 주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므로, 양중 마진(H2)이 오버헤드치수를 산출하기 위한 요소가 되지 않는다.
즉, 양중장치(100)에서는,
OH1 ≥ OH0 (식 7)
가 된다. 혹은, 엘리베이터칸(4)의 투영면상에 기기를 배치해야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이라고 해도 그 경우의 필요 오버헤드치수(OH3)가
OH3 = OH1 + H1 (식 8)
이 된다. 이와 같이, 양중 마진(H2)이 오버헤드치수를 산출하기 위한 요소가 되지 않는다.
(3. 양중장치의 구성과 동작)
도 5 ~ 도 12를 참조하여 실시형태 1의 양중장치(100)의 구성 및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양중장치(100)에 의한 중량물(1)의 양중 개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양중장치(100)에 의한 양중 도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양중장치(100)에 의한 중량물(1)의 양중 종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양중장치(100)에 의한 양중 도중을 사시도로서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에 대응한다.
도 9는 양중장치(100)에 의한 양중 종료를 사시도로서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에 대응한다.
도 10은 도 8에 대응하여,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의 구성과 양중기(3)의 배치를 도 8에 대해서 변경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양중이 종료했을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체인(3a)의 장착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혹은 도 8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음의 같다.
(1) 중량물 위치 :
양중 마진상인 중량물(1)은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의 상부의 재치부재(72)에 실려진다.
(2) 양중기의 위치 :
양중기 본체(30)는 승강로 꼭대기부(5a)에 장착된다. 양중기 본체(30)는 승강로 꼭대기부(5a)의 건축 측에 직접적으로 장착되거나, 혹은 설치된 양중빔(6)을 통하여 현가된다. 도 5는 양중빔(6)을 이용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3) 서스펜션 위치 :
도 12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부에 후크(33)를 가지는 체인(3a)을 양중기 본체(30)로부터 내리고, 후크(33)로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을 매달아 올린다. 양중기 본체(30)는 체인(3a)을 감아올림으로써,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을 양중한다.
(4) 양중기(3)와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의 위치관계 :
이 경우,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체인(3a)으로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을 매달아 올리는 개소(서스펜션 포인트(2))는 합체 중심의 중심위치(4b)보다도 위쪽이고, 또한, 중량물(1)을 최종적으로 목적하는 높이까지 양중한 경우에, 양중기(3)의 양중 마진(H2)을 확보할 수 있는 위치이다. 즉, 서스펜션 포인트(2)는 합체 중심의 중심위치(4b)보다도 위쪽, 또한, 중량물(1)이 최종의 양중위치까지 양중될 때 양중 마진(H2)이 중량물(1)의 양중에 영향을 주지 않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 양중기(3)의 양중기 본체(30)는 체인(3a)을 감아냄으로써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을 승강로 꼭대기부(5a)까지 양중한 경우에,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과 간섭하지 않고, 적어도 일부가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의 상부보다도 아래쪽으로 비집고 들어가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들 (1) ~ (4)에 대해서는, 더욱 자세하게 후술한다.
(양중 개시시)
도 5, 도 8을 참조하여 양중 개시시를 설명한다.
<레일>
가이드레일(8)은 승강로(5)의 하부(81)로부터 상부(83)를 향하여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의 좌우에 2개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레일(8)은,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중간부(82)는 레일 브래킷(12)으로 고정되어 있지 않다.
<엘리베이터칸 프레임>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칸 바닥(7a), 2개의 엘리베이터칸 세로기둥(7b), 엘리베이터칸 상부프레임(7c)으로 구성된다.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은 엘리베이터칸 세로기둥(7b)의 상부와 하부에 각 1개의 가이드슈(9)를 가진다.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은 가이드슈(9)가 가이드레일(8)과 결합함으로써, 승강로를 승강한다. 엘리베이터칸 상부프레임(7c)은 2개의 엘리베이터칸 세로기둥(7b)의 상부에 장착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 상부프레임(7c)은 중량물(1)을 싣는 재치부재(72)를 가지고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에 재치부재(72)가 없는 경우에는,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의 상부에 재치부재(72)를 장착해도 상관없다. 중량물(1)은 후술하는 도 9,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상부까지 매달아 올려진 경우에, 양중기 본체(30)와 간섭하지 않도록 재치부재(72)에 실려진다.
<서스펜션 위치>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12에 나타내는 체인(3a)의 후크(33)를 거는 서스펜션 툴(2a)(엘리베이터칸 프레임 측 단부 장착부의 일례)을 각각의 엘리베이터칸 세로기둥(7b)에 가진다. 서스펜션 툴(2a)은 볼트 등의 유지구(2b)에 의해, 엘리베이터칸 세로기둥(7b)에 고정된다. 혹은, 서스펜션 툴(2a) 대신에, 도 12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이 볼트(eye bolt)(21)를 너트(22)로 엘리베이터칸 세로기둥(7b)에 고정함으로써 체인(3a)의 후크(33)의 장착부(엘리베이터칸 프레임 측 단부 장착부의 일례)로 해도 된다. 혹은, 도 1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L자형의 판에 구멍을 뚫은 브래킷(23)을 장착부(엘리베이터칸 프레임 측 단부 장착부의 일례)로 해도 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에서의 체인(3a)의 후크(33)의 장착부(서스펜션 포인트(2))는 재치부재(72)에 실려진 중량물(1)과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을 하나의 강체로 본 경우에 정해지는 합체 중심의 중심위치(4b)보다도 위쪽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의 서스펜션 포인트(2)는 상기의 중심위치(4b)보다도 치수 L만큼 위쪽에 있다. 이것에 의해 양중기 본체(30)는 중량물(1)을 안정되게 매달 수 있다. 또한, 도 5에는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 단독의 중심위치(4a)를 나타내고 있다. 또 서스펜션 포인트(2)는 중량물(1)이 최종의 양중위치까지 양중될 때 양중 마진(H2)이 중량물(1)의 양중에 영향을 주지 않는 위치(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의 최상부로부터 치수 M만큼 아래쪽의 위치)에 설치된다.
<양중기>
실시형태 1은 양중기(3)를 2대를 이용하고 있지만, 이것은 예시이다. 양중기(3)의 대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양중 도중)
다음으로, 도 6, 도 8을 참조하여, 양중기 본체(30)가 중량물(1)이 실려진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을 매달아 올리고 있는 도중을 설명한다. 도 6은 가이드레일(8)의 중간부(82)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가이드레일(8)은 레일 브래킷(12)으로 고정되어 있지 않다. 중량물(1)이 실려진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은 서스펜션 포인트(2)를 힘의 작용점으로 하여 매달아 올려진다. 서스펜션 포인트(2)는 상기와 같이, 중심위치(4b)보다도 치수 L만큼 위쪽에 있으므로, 중량물(1)은 안정되게 매달아 올려진다. 양중 중에서는,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은 가이드슈(9)가 가이드레일(8)과 결합하면서, 가이드레일(8)을 가이드로서 양중된다. 또한, 양중의 과정에서는 서스펜션 포인트(2)와 중심과의 위치관계로부터 서스펜션 포인트(2)의 주위에 모멘트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도 6의 F1은 발생한 모멘트에 근거하는 수평방향의 가압력(가이드슈(9)가 가이드레일(8)을 누르는 힘)을 나타내고 있다. 이 가압력(F1)에 대해서는 도 14의 설명에서 후술한다.
(양중 종료시)
다음으로, 도 7, 도 9를 참조하여, 양중 종료시를 설명한다. 서스펜션 포인트(2)는 중량물(1)이 최종의 양중위치까지 양중될 때, 양중 마진(H2)이 중량물(1)의 양중에 영향을 주지 않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 양중기 본체(30)는 체인(3a)을 감아냄으로써,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을 승강로 꼭대기부(5a)까지 매달아 올린 경우에, 적어도 일부가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의 상부(71)(엘리베이터칸 상부프레임(7c))보다도 아래쪽으로 비집고 들어가도록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중기 본체(30)는 최상부까지 양중된 상태의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과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들에 의해, 양중기 본체(30)는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이 최상부까지 양중될 때에는 적어도 일부가 상부(71)(엘리베이터칸 상부프레임(7c))보다도 아래쪽으로 비집고 들어간다. 이것에 의해 양중 마진(H2)이 오버헤드치수(OH)의 산출에 관계하지 않게 된다. 도 11은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의 구성과 양중기(3)의 배치를 도 8에 대해서 변경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지만, 도 11의 경우도 양중기 본체(30)의 적어도 일부가 상부(71)(엘리베이터칸 상부프레임(7c))보다도 아래쪽으로 비집고 들어간다.
(4. 서스펜션 위치)
양중장치(100)는 본 설치품인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을 양중 플랫폼으로서 사용하고, 중량물(1)을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의 상부의 재치부재(72)에 싣고 있다. 이 경우에, 서스펜션 포인트(2)는 재치부재(72)에 실려진 중량물(1)과,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과의 합체시의 합체 중심의 중심위치(4b)보다도 위쪽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서스펜션 포인트(2)가 재치부재에 실려진 중량물(1)과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을 하나의 강체로 본 경우에 정해지는 합체 중심의 중심위치(4b)보다도 위쪽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중량물(1)의 전도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이것에 의해 양중시에서의 서스펜션 포인트(2) 주위에 발생하는 모멘트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가이드레일(8)이 고정되어 있지 않은 중간부(82)에서 상술의 모멘트에 의해 가이드레일(8)에 걸리는 수평방향의 가압력(F1)을 후술(도 14)하는 가압력(F2)보다도 작게 할 수 있다(F1 < F2). 이 때문에, 가이드슈(9)가 가이드레일(8)로부터의 탈(脫)레일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을 양중 플랫폼으로서 유용(流用)하지 않는 경우의 문제점을 설명한다. 양중장치(100)는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을 양중 플랫폼으로서 유용하지만,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을 유용하지 않고 중량물(1)을 매달아 올리기 위해서는,
(1) 상술의 효과(양중 마진(H2)을 오버헤드치수의 요소로 하지 않음)가 동일하게 얻어지는 전용의 플랫폼을 이용한다.
혹은
(2) 중량물(1)에 양중 마진(H2) 이상의 높이가 있고, 중량물(1)의 하부를 매달아 올린다(플랫폼을 사용하지 않고, 중량물(1)을 직접 매달아 올린다).
의 2가지밖에 없다.
우선, 도 13 ~ 도 15를 이용하여 전자 「(1) 전용 플랫폼」에 대한 문제점을 설명한다.
도 13은 전용 플랫폼을 이용한 경우의 양중 개시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전용 플랫폼을 이용한 경우의 양중 도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전용 플랫폼을 이용한 경우의 양중 종료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자 「(1) 전용 플랫폼」은, 예를 들면 도 13 ~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치시에 전용의 치구로서 양중 플랫폼이 필요하게 되고, 또한 양중 플랫폼의 조립 및 양중 후의 해체 행위가 필요하게 되어, 설치시간이 증대하는 요인이 된다. 통상, 전용 플랫폼은 그만큼 크지 않다(무겁지 않음). 또,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을 플랫폼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와 같이 양중 종료시(도 15)에 양중기(3)가 전용 플랫폼(11)의 내부에 잠입하도록 하는 데에는, 서스펜션 포인트(2)의 위치를 전용 플랫폼(11)의 최상부로부터 양중 마진(H2) 정도 아래쪽에 형성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부터, 중량물(1)이 실려진 전용 플랫폼(11)을 양중기(3)에서 2점 매다는 경우, 서스펜션 포인트(2)보다도 중량물(1)과 전용 플랫폼(11)과의 합체 중심위치(11a)가 높아지는 경우가 있다. 도 13은 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전용 플랫폼(11)은, 도 13 상태로부터 양중되면, 서스펜션 포인트(2) 주위에 발생하는 모멘트에 의해서 가이드레일(8)을 누르는 가압력(F2)이 발생한다(도 14). 합체 중심위치(11a)보다도 아래의 위치를 서스펜션 포인트로 하는 경우는 양중이 불안정하게 되어, 발생하는 가압력(F2)은, 도 6에 나타낸 가압력(F1)에 비해 커진다(F1 < F2). 이 때문에, 가이드레일(8)은 중간부(82)가 레일 브래킷(12)으로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가압력(F2)에 의해서 중량물(1)이 전도할 위험이 증대한다.
한편, 후자 「(2) 직접 매다는 것」은 중량물(1)의 높이에 제약 조건(중량물(1)이 양중기(3)의 양중 마진(H2) 이상의 높이)이 부과된다. 또, 중량물(1)의 중심위치(1a)의 아래쪽에 서스펜션 포인트를 형성하여 양중한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2점 서스펜션으로 양중하는 경우, 기기 배치의 제약 등에 의해, 2점 서스펜션의 2개의 서스펜션 포인트를 잇는 직선상에 중량물(1)의 중심위치(1a)가 없는 경우에, 중량물(1)이 전도(회전)할 가능성이 있다. 또, 그 경우의 대처로서, 가이드 수단을 이용하여 중량물(1)의 전도를 방지해도 되지만, 양중전용의 가이드 수단을 이용하면, 양중을 위한 조립, 해체 작업이 발생하기 때문에, 설치시간을 필요로 한다. 여기서, 「가이드 수단」이란, 예를 들면, 중량물(1)의 폭이 2개의 가이드레일(8)의 간격 정도인 경우에는, 중량물(1)에 가이드슈를 장착하는 수단이 고려된다. 또, 중량물(1)의 폭이 2개의 가이드레일(8)의 간격에 만족하지 않는 경우는 소정의 어태치먼트를 통하여 가이드슈를 장착하는 수단도 고려된다. 이와 같이, 본 설치품인 가이드레일(8)을 유용하는 경우, 설치 공법에 따라서는 대응의 가부가 나뉜다.
(발판 공법(scaffolding)의 경우)
예를 들면, 발판 공법과 같이, 가이드레일(8)이 먼저 세워지고, 가이드레일(8)이 각각 소정 위치에서 레일 브래킷(12)에 의해 고정되는 경우이면, 중량물(1)의 중심위치(1a)의 아래쪽에서 매달아 올린 경우에, 중량물(1)이 전도(회전)하려고 하는 모멘트가 발생해도, 상기의 가이드슈를 통하여 가이드레일(8)에 걸리는 수평방향 하중은 레일 브래킷(12)에 의해 지지된다. 이 때문에 중량물(1)의 전도는 발생하지 않는다.
(발판 없는 공법(no-scaffolding)의 경우)
그러나, 「발판 없는 공법」과 같이, 가이드레일(8)은 서있지만, 가이드레일(8)의 중간부는 레일 브래킷(12)를 장착하기 전이고, 수평방향으로 하중이 걸리면, 가이드레일(8)이 어느 정도는 변위하는 상황에서는 상기의 가이드슈를 통하여 수평방향 하중이 가이드레일(8)에 가해지면 가이드레일(8)이 변위함으로써 직접 매달려 있는 중량물(1)이 전도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전용 플랫폼(11)을 이용한 경우 및 직접 매다는 경우는 중심위치의 아래를 매달기 때문에, 중량물(1)의 전도의 위험성이 크다. 이 점, 본 실시형태 1의 양중장치(100)에서는, 상기와 같이, 서스펜션 포인트(2)가 재치부재에 실려진 중량물(1)과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을 하나의 강체로 본 경우에 정해지는 합체 중심의 중심위치(4b)보다도 위쪽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중간부(82)는 레일 브래킷(12)이 장착되기 전이라도, 중량물(1)의 전도를 방지할 수 있다.
(5. 가이드슈가 자성체를 구비하는 경우)
도 16, 도 17은 가이드슈(9)가 자성체(10)를 구비하는 경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중량물(1)을 실은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에 모멘트가 발생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16의 F1은 모멘트의 발생에 의해 가이드슈(9)가 가이드레일(8)을 누르는 가압력을 나타내고 있다. F3은 가이드슈(9) 혹은 가이드슈(9)의 근방에 장착된 자성체(10)가 가이드레일(8)을 끌어당기는 힘을 나타내고 있다. 도 17은 자성체(10)를 구비한 가이드슈(9)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가이드슈(9)가 가이드레일(8)과 접촉하는 면에 대해서 안쪽의 면에 자성체(10)를 장착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승강 행정이 높아져, 가이드레일(8)이 레일 브래킷(12)으로 고정되어 있지 않은 중간부(82)의 길이가 한층 길어지면, 상술의 모멘트를 작게 해도 탈레일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아진다. 탈레일을 방지하는 데에는 가이드레일(8)을 기계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면 된다. 그러나, 가이드레일(8)은 어느 소정의 길이의 길이가 긴 물체(가이드레일(8)을 구성하는 구성품으로서의 레일)가 쌓아 올려져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하의 가이드레일(8)의 연결부가 미시적으로는 마디라고 볼 수 있다. 이 때문에, 가이드레일(8)에 수평력이 작용하면, 하중을 받은 개소를 배(중앙)로 하여, 가이드레일(8) 전체가 변위한다. 승강 행정이 길어지면, 작용하는 수평력의 크기가 같아도 승강 행정이 짧은 경우와 비교하여 가이드레일(8) 전체를 상하로 지지하고 있는 2점간 거리가 길어진다. 이 때문에, 수평력이 작용하는 배 부분(중앙 부분)의 변위량은 커진다. 이 변위량이 가이드슈(9)와 가이드레일(8)과의 관계 마진보다 커지면, 가이드슈(9)가 가이드레일(8)로부터 떨어져 결과적으로 탈레일에 이른다.
그래서,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슈(9) 혹은 가이드슈(9)의 근방에 자성체(10)를 배치한다. 이것으로부터, 가이드레일(8)이 자성체(10)에 F3로 흡인되기 때문에, 가이드슈(9)는 가이드레일(8)로부터 떨어지지 않고, 항상 가이드레일(8)에 따라서 승강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형태 2.
실시형태 1에서는, 양중기 본체(30)는 승강로 꼭대기부(5a)에 설치되었다. 이것에 대해서, 실시형태 2는 양중기 본체(30)가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에 설치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18은 양중기 본체(30)가 승강로 꼭대기부(5a)에 설치된 경우(실시형태 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것에 대해서 도 19는 양중기 본체(30)가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에 장착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도 20, 도 21은 양중기 본체(30)가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에 장착된 경우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9에 대응하고, 도 21은 도 11에 대응한다. 도 20 혹은 도 21과 같이, 양중기 본체(30)는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의 엘리베이터칸 세로기둥(7b)에 장착된다. 즉, 도 20 혹은 도 21에서는, 양중기 본체(30)는 단부가 후크(도시하고 있지 않음)인 체인(35a)을 구비한다. 이 후크가 서스펜션 툴(2a)(엘리베이터칸 프레임 측 본체 장착부의 일례)에 걸린다. 한편, 양중기 본체(30)의 상부(꼭대기부 측)에서는 체인(3a)(선상체의 일례)이 꼭대기부를 향해서 연장하고 있고, 체인(3a)은, 도 19와 같이 꼭대기부에 장착되어 있다. 양중기 본체(30)는 체인(3a)을 감아냄으로써,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을 양중한다. 또한, 도 19와 같이, 체인(35a)을 통하지 않고, 양중기 본체(30)에 설치되어 있는 후크(24)를 서스펜션 툴(2a)에 걸어도 상관없다. 혹은, 양중기 본체(30)를 직접 엘리베이터칸 세로기둥(7b)에 장착하여도 상관없다.
양중기 본체(30)는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에 장착되는 경우, 예를 들면, 실시형태 1의 양중 종료시 상태로 장착된다. 즉, 양중기 본체(30)는 합체 중심의 중심위치(4b)보다도 위쪽, 또한, 중량물(1)이 최종의 양중위치까지 양중될 때 양중 마진(H2)이 중량물(1)의 양중에 영향을 주지 않는 위치에 장착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양중기 본체(30)는 적어도 일부가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의 상부(71)(엘리베이터칸 상부프레임(7c))보다도 아래쪽으로 비집고 들어가도록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에 장착된다. 이것에 의해 양중기 본체(30)를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 측에 장착하는 경우도 양중 마진(H2)이 오버헤드치수(OH)의 요소가 되지 않는다.
이상의 실시형태의 양중장치(100)는 중량물(1)을 엘리베이터칸 프레임(7)의 상부의 재치부재에 실어 양중했지만, 중량물(1)을 엘리베이터칸 바닥(7a)에 실어 양중하여도 상관없다.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양중장치(100)를 설명했지만, 양중장치(100)를 양중방법으로서 파악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양중장치(100)를 승강로의 하부로부터 꼭대기부까지 설치된 가이드레일과 조합하는 가이드슈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가이드레일에 따라서 승강 가능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으로서, 상기 승강로의 상기 꼭대기부 근방까지 양중되는 상기 중량물이 실려지는 플랫폼으로서 사용되는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을 상기 중량물이 실려진 상태로 상기 가이드레일을 가이드로서 상기 꼭대기부까지 양중기에 의해 양중하는 엘리베이터의 양중방법으로서 파악할 수도 있다.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승강로의 꼭대기부 근방에 기기를 배치하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프레임, 엘리베이터칸 바닥을 양중시의 플랫폼으로서 설치를 행하는 양중장치를 설명했다.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가이드슈에 자성체를 가지고, 양중시에 자성체가 가이드레일을 흡인하는 양중장치를 설명했다.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엘리베이터칸 프레임, 엘리베이터칸 바닥을 양중 플랫폼으로 하는 경우에, 상기 플랫폼의 최상부보다 아래쪽, 또한 중량물과 중량물을 실은 플랫폼 전체의 중심위치보다도 위쪽에 서스펜션부를 구비하고, 승강로의 최상부까지 플랫폼을 양중한 경우에 양중기가 플랫폼 중에 위치하는 양중장치를 설명했다.
1 중량물, 1a 중량물(1)의 중심위치, 2a 서스펜션 툴, 2 서스펜션 포인트, 2b 유지도구, 3 양중기, 3a 체인, 4 엘리베이터칸, 4a 엘리베이터칸 프레임(4) 단독의 중심위치, 4b (엘리베이터칸 프레임 + 중량물)의 중심위치, 5 승강로, 5a 승강로 꼭대기부, 6 양중빔, 7 엘리베이터칸 프레임, 7a 엘리베이터칸 바닥, 7b 엘리베이터칸 세로기둥, 7c 엘리베이터칸 상부프레임, 8 가이드레일, 9 가이드슈, 10 자성체, 11 전용 플랫폼, 11a 전용 플랫폼(11) + 중량물(1)의 중심위치, 12 레일 브래킷, 13 비상멈춤 15 균형추, 16a, 17a 코일스프링, 18 와이어, 20 최상층 바닥면, 21 아이 볼트, 22 너트, 23 브래킷, 24 후크, 30 양중기 본체, 33 후크, 35a 체인, 31 한쪽의 단부, 51 꼭대기부 근방, 71 엘리베이터칸 프레임 상부, 72 재치부재, 81 하부, 82 중간부, 83 상부, 100 양중장치.

Claims (12)

  1. 엘리베이터의 승강로의 꼭대기부 근방까지 중량물을 양중(揚重)하는 엘리베이터의 양중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의 하부로부터 상기 꼭대기부까지 설치된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과 결합하는 가이드슈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가이드레일을 가이드로서 승강 가능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으로서, 상기 승강로의 상기 꼭대기부 근방까지 양중되는 상기 중량물이 실려지는 플랫폼으로서 사용되는 엘리베이터칸 프레임과,
    상기 중량물이 실려진 상기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을 상기 가이드레일을 가이드로서 상기 꼭대기부까지 양중하는 양중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양중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꼭대기부의 부근과 상기 하부의 부근과의 사이의 중간이 레일 브래킷으로 고정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양중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양중기는,
    한쪽의 단부가 상기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에 장착된 선상(線狀)의 선상체와,
    상기 꼭대기부에 배치되어 상기 선상체를 감아냄으로써 상기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을 양중하는 본체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본체는,
    상기 선상체를 감아냄으로써 상기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을 상기 꼭대기부까지 양중한 경우에, 자기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의 상부보다도 아래쪽으로 비집고 들어가도록 배치되고,
    상기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은,
    상기 선상체의 상기 한쪽의 단부가 장착되는 엘리베이터칸 프레임 측 단부 장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양중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은,
    상기 중량물이 실려지는 재치(載置)부재를 상기 상부에 구비하고,
    상기 중량물은,
    상기 재치부재에 실려짐과 동시에, 상기 양중기의 상기 본체가 상기 선상체를 감아냄으로써 상기 꼭대기부 근방까지 양중된 경우에 상기 양중기의 상기 본체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실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양중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칸 프레임 측 단부 장착부는,
    상기 재치부재에 실려지는 상기 중량물과 상기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을 하나의 강체로 본 경우에 정해지는 중심(重心)의 위치보다도 위쪽의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양중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양중기는,
    한쪽의 단부가 상기 꼭대기부에 고정된 고정부에 장착된 선상의 선상체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의 상부보다도 아래쪽으로 비집고 들어가도록 상기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선상체를 감아냄으로써 상기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을 상기 꼭대기부까지 양중하는 본체를 구비하며,
    상기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은,
    상기 양중기의 상기 본체가 장착되는 엘리베이터칸 프레임 측 본체 장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양중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은,
    상기 중량물이 실려지는 재치부재를 상기 상부에 구비하고,
    상기 중량물은,
    상기 재치부재에 실려짐과 동시에, 상기 양중기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실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양중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칸 프레임 측 본체 장착부는,
    상기 재치부재에 실려진 상기 중량물과 상기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을 하나의 강체로 본 경우에 정해지는 중심의 위치보다도 위쪽의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양중장치.
  9. 청구항 2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슈는,
    자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레일을 흡인(吸引)하는 자성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양중장치.
  10. 엘리베이터의 승강로의 꼭대기부 근방까지 중량물을 양중할 때의 플랫폼으로서 사용되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으로서, 본체가 승강로의 꼭대기부에 배치됨과 동시에 선상체의 한쪽의 단부가 양중 마진상에 장착되어 상기 선상체를 감아냄으로써 상기 양중 마진상을 상기 꼭대기부까지 양중하는 양중기의 상기 선상체의 상기 한쪽의 단부가 장착되는 엘리베이터칸 프레임 측 단부 장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프레임.
  11. 엘리베이터의 승강로의 꼭대기부 근방까지 중량물을 양중할 때의 플랫폼으로서 사용되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으로서, 선상체의 한쪽의 단부가 승강로의 꼭대기부에 접속됨과 동시에 본체가 양중 마진상에 장착되어 상기 선상체를 감아냄으로써 상기 양중 마진상을 상기 꼭대기부까지 양중하는 양중기의 상기 본체를 장착하는 엘리베이터칸 프레임 측 본체 장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프레임.
  12. 엘리베이터의 승강로의 꼭대기부 근방까지 중량물을 양중하는 엘리베이터의 양중방법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의 하부로부터 꼭대기부까지 설치된 가이드레일과 조합하는 가이드슈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가이드레일에 따라서 승강 가능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으로서, 상기 승강로의 상기 꼭대기부 근방까지 양중되는 상기 중량물이 실려지는 플랫폼으로서 사용되는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을 상기 중량물이 실려진 상태로 상기 가이드레일을 가이드로서 상기 꼭대기부까지 양중기에 의해 양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양중방법.
KR1020107006435A 2007-10-05 2007-10-05 엘리베이터의 양중장치 및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프레임 및 엘리베이터의 양중방법 KR1012238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7/069577 WO2009044481A1 (ja) 2007-10-05 2007-10-05 エレベータの揚重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かご枠及びエレベータの揚重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5526A true KR20100045526A (ko) 2010-05-03
KR101223860B1 KR101223860B1 (ko) 2013-01-17

Family

ID=40525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6435A KR101223860B1 (ko) 2007-10-05 2007-10-05 엘리베이터의 양중장치 및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프레임 및 엘리베이터의 양중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206673B2 (ko)
JP (1) JP5264751B2 (ko)
KR (1) KR101223860B1 (ko)
CN (1) CN101821189B (ko)
WO (1) WO200904448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9951A1 (ko) * 2018-09-20 2020-03-26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점프 엘리베이터의 레일 리프팅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72881A (zh) * 2011-10-25 2013-05-01 康力电梯股份有限公司 一种货梯轿架的安装方法
JP5955280B2 (ja) * 2013-07-09 2016-07-20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重量物用揚重方法
JP2016074534A (ja) * 2014-10-08 2016-05-12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巻上機揚重方法
JP6351548B2 (ja) * 2015-06-23 2018-07-04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
WO2018207263A1 (ja) * 2017-05-09 2018-11-15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用長尺物運搬治具、エレベーターのガイドレール撤去方法及びエレベーターのガイドレール設置方法
WO2019073585A1 (ja) * 2017-10-12 2019-04-1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巻上機の揚重装置
CN107747414A (zh) * 2017-12-04 2018-03-02 昆明昆船物流信息产业有限公司 一种立体停车库车辆垂直提升机的提升轿厢
US11059701B2 (en) 2018-12-06 2021-07-13 Tk Elevator Innovation And Operations Gmbh Methods and apparatuses for lifting elevator cars during installation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9753B2 (ja) 1975-04-04 1983-09-0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かごの案内装置
JP2707942B2 (ja) * 1993-02-10 1998-02-0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ロープ張力平衡装置
US5564529A (en) 1994-11-29 1996-10-15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r frame and platform assembly
JPH10109862A (ja) 1996-10-02 1998-04-28 Sooken:Kk 椅子式傾斜型昇降装置
DE69805257T2 (de) 1997-03-07 2002-08-29 Kone Corp Verfahren und apparatus zum einbau eines aufzugs
FI107250B (fi) 1997-12-23 2001-06-29 Kone Corp Hissikori
JP2000034072A (ja) * 1998-07-17 2000-02-02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巻上機の据付装置
JP4097848B2 (ja) 1999-07-06 2008-06-11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案内装置
WO2002024566A1 (fr) * 2000-09-20 2002-03-2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ispositif elevateur
JP4828084B2 (ja) * 2001-03-29 2011-11-30 三菱電機株式会社 巻上機の据付方法
JP2002332175A (ja) * 2001-05-10 2002-11-22 Fujitec Co Ltd エレベータ装置
EP1593641B1 (de) 2004-05-07 2014-12-10 Inventio AG Einrichtung zur Montage eines Aufzugsantriebes
JP2006182461A (ja) * 2004-12-24 2006-07-13 Toshiba Elevator Co Ltd 仮設昇降装置
JP4986400B2 (ja) * 2005-01-05 2012-07-25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
WO2007027172A1 (en) 2005-08-30 2007-03-08 Otis Elevator Company Method and device for transporting an elevator car drive mach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9951A1 (ko) * 2018-09-20 2020-03-26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점프 엘리베이터의 레일 리프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21189B (zh) 2014-01-29
CN101821189A (zh) 2010-09-01
EP2206673A4 (en) 2013-12-25
EP2206673A1 (en) 2010-07-14
KR101223860B1 (ko) 2013-01-17
EP2206673B2 (en) 2018-02-07
JPWO2009044481A1 (ja) 2011-02-03
JP5264751B2 (ja) 2013-08-14
EP2206673B1 (en) 2014-12-17
WO2009044481A1 (ja) 2009-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3860B1 (ko) 엘리베이터의 양중장치 및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프레임 및 엘리베이터의 양중방법
JP6813123B2 (ja) エレベーターの揚程延長技術の適用方法
JP2018070362A (ja) エレベータの据付方法
JP4774429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5329031B2 (ja) エレベータ装置
CN110498321B (zh) 补偿线束存储装置、跃层电梯及其使用方法
JP2007210703A (ja) マシンルームレスエレベータの巻上機据付装置および据付工法
CN108698792B (zh) 电梯装置
JP2014213981A (ja) 油圧式エレベータをロープ式エレベータへとリニューアルする方法
JP5278359B2 (ja) 油圧エレベータのリニューアル方法及びその方法によりリニューアルされたロープ式エレベータ
JP5278360B2 (ja) 油圧エレベータのリニューアル方法及びその方法によりリニューアルされたロープ式エレベータ
JP2001146370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12201497A (ja) マシンベッド及び揚重装置
JP5898057B2 (ja) エレベーターの荷重支持ビーム保持装置
JP4946034B2 (ja) エレベータのコンペンチェーンガイド装置
JP4056475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15157676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7424529B1 (ja) エレベータの据付治具およびエレベータの据付治具の据付方法
JP2001192191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5187119A (ja) エレベータ上部機器の下部組立て工法
JP6881865B1 (ja) 巻上機ユニット及びその据付方法
JP2002060158A (ja) エレベーターの据付工法
JP2023168698A (ja) エレベータ装置
JP6727544B2 (ja) エレベータ用レール保持装置の固定構造
JP2012184081A (ja) エレベ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