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3338A - 곡류 건조 방법 및 곡류 건조기 - Google Patents

곡류 건조 방법 및 곡류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3338A
KR20100033338A KR1020090065176A KR20090065176A KR20100033338A KR 20100033338 A KR20100033338 A KR 20100033338A KR 1020090065176 A KR1020090065176 A KR 1020090065176A KR 20090065176 A KR20090065176 A KR 20090065176A KR 20100033338 A KR20100033338 A KR 201000333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storage bag
bag
dryer
ho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5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4369B1 (ko
Inventor
기요노리 나카오카
신이치 나카가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사따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사따께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사따께
Publication of KR20100033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33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4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4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23B9/08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23B9/02Preserving by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1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solely by gravity, i.e. the material moving through a substantially vertical drying enclosure, e.g. shaft
    • F26B17/14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solely by gravity, i.e. the material moving through a substantially vertical drying enclosure, e.g. shaft the materials moving through a counter-current of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Storage Of Harvested Produce (AREA)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1000 kg 정도의 곡립을 한번에 건조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곡립을 취급하는 중노동이나 번거로운 작업을 수반하지 않고, 건조를 위한 송풍을 낭비 없이 실시할 수 있는 곡류 건조 방법 및 곡류 건조기를 제공한다.
플렉시블 컨테이너 (1) 와 통풍 건조기로 이루어진다. 플렉시블 컨테이너 (1) 는 상면에 투입구부 (3) 를 구비하고, 바닥면이 통기성 망 (4a) 으로 되어 있으며, 또한 하부 둘레면에 스커트부 (12) 를 갖는다. 통풍 건조기는 플렉시블 컨테이너 (1) 의 바닥면 또는 바닥부에 접하여 이것을 둘러싸는 건조 바디 (15) 와, 수납한 곡류를 건조시키기 위한 열풍이 통과할 수 있는 플로어를 구비한다. 플렉시블 컨테이너 (1) 를 통풍 건조기에 탑재하고, 스커트부 (12) 의 하부 둘레 가장자리를 건조 바디 (15) 의 외면에 밀착시킨다.
곡류 건조기

Description

곡류 건조 방법 및 곡류 건조기 {METHOD AND DEVICE FOR DRYING GRAIN}
본 발명은 곡류 건조 방법 및 곡류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쌀의 수확에 대하여 보면, 종래 스스로 주행하면서 수확과 탈곡을 실시하는 컴바인에 의해 수확된 벼는 수확하면서 복수의 망 주머니에 수용된다. 망에 넣어진 벼를, 벼 건조용의 평형(平型) 건조기 (송풍이 가능하도록 간격을 두고 창살을 장착한 플로어를 구비하고, 플로어 아래로부터 건조용의 바람을 보내는 건조기) 를 이용하여, 예를 들어 수확했을 때의 수분이 25 % 인 벼를 10 시간 정도, 통풍에 의해 건조시켜, 수분이 17 % 정도가 될 때까지 건조시킨다. 일본 특허공보 소58-57670호에 이와 같은 곡류 건조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건조 방법은, 평형 건조기 내의 송풍이 가능한 플로어 상에, 벼가 들어간 망 주머니를 정렬시켜 평평하게, 또한 단마다 망 주머니의 정렬 방향을 직각으로 바꾸면서 2 ∼ 3 단으로 겹쳐 쌓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망 주머니는 1 주머니가 30 ∼ 60 ㎏ 의 중량이 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 때문에 인력에 의해 평형 건조기 내에 쌓아올려 가는 정렬 작업은 상당한 중노동이다. 또한, 평형 건조기의 측벽과 망 주머니 사이에 간극이 생겨 건조를 위한 열풍이 새므로, 이 간극을 불필요해진 신문지나, 적절한 스폰지재 등으로 막아, 열풍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는데, 이 작업이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1000 ㎏ 정도의 곡립(穀粒)(수확 후의 벼인 경우가 많음) 을 수확시에 일괄적으로 수납 봉지에 수납하고, 또한 그대로 한꺼번에 건조시키는 것이 가능한 곡류 건조 방법 및 곡류 건조기를 제공하여, 상기의 문제점인 인력에 의한 망 주머니의 정렬 작업이나, 평형 건조기의 측벽과 망 주머니 사이의 간극을 막는 번거로운 작업을 불필요하게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수확한 곡립을 1000 kg 정도 수납할 수 있는 수납 주머니와, 이 주머니를 탑재하여 주머니 내에 건조를 위한 열풍을 보내는 통풍 건조기를 사용한다.
수납 주머니는 전체적으로 유연하지만 곡립을 수납한 상태에서는 자립(自立)하는, 이른바 플렉시블 컨테이너이다. 이 플렉시블 컨테이너는 상면에 곡립을 투입하는 투입구부를 가짐과 함께 바닥면이 망 등으로 형성되어 주머니 내부로 건조를 위한 열풍을 도입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수납 주머니의 하부 둘레면에 이 둘레면을 둘러싸고 스커트부가 형성되어 있다.
통풍 건조기는 수납 주머니의 바닥면 또는 바닥부에 접하여 이것을 둘러싸는 건조 바디와, 수납한 곡류를 건조시키기 위한 열풍을 통과시키는 플로어를 구비한 것으로 한다.
〔방법〕
수확하는 곡립은 세분하지 않고 수납 주머니에 일괄 수용하고, 이것을 수납 주머니마다 통풍 건조기에 탑재하고 열풍을 주머니 내부로 유도하여 건조시킨다. 그 때, 건조를 위한 열풍이 수납 주머니와 통풍 건조기의 건조 바디의 간극으로부터 외부로 새는 것을, 수납 주머니에 형성한 스커트부를 건조 바디에 밀착시켜 저지한다.
스커트부의 하부 둘레 가장자리를 건조 바디의 외면에 붙들어매는 등에 의해 밀착시키는 경우와, 스커트부의 하부 둘레 가장자리를 건조 바디와 이것에 탑재하는 수납 주머니 사이에 끼워 밀착시키는 경우가 있다. 후자의 경우는, 건조를 위한 열풍을 수납 주머니의 바닥면 또는 바닥부와 건조 바디에 의해 닫혀진 스커트의 내부로 도입하여 스커트를 팽출시키고, 그 압력으로 스커트부를 건조 바디에 밀착시킨다.
또한, 열풍의 온도는 섭씨 40 도 정도이다.
〔장치〕
수납 주머니와 이것에 적합한 크기의 통풍 건조기를 구비한다. 수납 주머니는 수확한 곡립을 일괄적으로 수납할 수 있는 크기로 하고, 상면에 곡립의 투입구부를 구비하고, 바닥면은 망으로 형성한 통기성의 구조로 한다. 그리고, 수납 주머니의 하부 둘레면에 스커트부를 형성한다.
통풍 건조기는 건조 바디를 구비한다. 건조 바디는 수납 주머니의 바닥부 형태에 대응한 고리 형상 벽과 수납한 곡류를 건조시키기 위한 열풍을 통과시키는 플로어를 구비한다. 스커트부는 수납 주머니를 건조 바디에 탑재했을 때, 건조 바디의 고리 형상 벽에 밀착시켜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 수단은 끈으로 묶거나, 고무 밴드로 압착하거나, 수납 주머니와 고리 형상 벽 사이에 끼워 넣어 고정시키는 것 등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컴바인 등에 의해 수확된 벼를 일괄적으로 플렉시블 컨테이너 (수납 주머니) 에 수납하여 운반하고, 그대로 통풍 건조기에 의해 건조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 기술과 같이 인력에 의한 망 주머니의 정렬 작업이라는 중노동이 해소됨과 함께, 열풍이 빠지는 간극을 막거나, 망 주머니의 경계에 생기는 함몰부에 추가의 곡립을 충전하거나 하는 등의 인력에 의한 번거로운 작업이 불필요해진다. 또한, 수납 주머니와 건조 바디의 간극으로부터 열풍이 빠지는 간극이 스커트부에 의해 완전히 막혀지므로 통풍 건조의 능률이 향상된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를 설명한다. 실시예가 처리하는 곡립은 수확 후의 벼 (벼의 종자) 이다.
〔실시예 1〕
도 1 은 수확한 벼가 수용된 플렉시블 컨테이너 (1) 를 포크리프트 (25) 로 매달아 올려, 통풍 건조기에 있어서의 통 형상의 건조 바디 (15) 에 탑재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 는 플렉시블 컨테이너 (1) 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기 위하여 투입구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 은 플렉시블 컨테이너 (1) 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기 위하여 배출구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 는 플렉시블 컨테이너 (1) 의 바닥면을 나타내는 바닥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렉시블 컨테이너 (1) 는 폴리염화비닐, 폴리프로필렌 등으로 형성되고, 높이가 약 1.25 m, 직경이 약 1.3 m 인 대략 원통 형상의 동체부 (2) 와, 그 동체부 (2) 의 상부 가장자리에 연결 형성되는 투입구부 (3) 와, 통기성 망 (4a) 에 형성한 바닥면 (4)(도 4) 과, 그 바닥면 (4) 중앙이 개구되고, 그 개구에 연결 형성한 통 형상의 배출구부 (5) 로 주요부가 구성되어 있다. 배출구부 (5) 는 상기 동체부 (2) 보다 작은 직경이다. 플렉시블 컨테이너 (1) 는 벼가 충전되면 자립할 수 있는 자립형 형상이다.
투입구부 (3) 에는 상단부 근방을 묶을 수 있는 매듭끈 (6) 이 형성되고,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입구부 (3) 를 묶어 곡립이 흘러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배출구부 (5) 에도 동일하게 그 하단부 근방을 묶는 매듭끈 (7) 이 형성되어 있다.
플렉시블 컨테이너 (1) 의 바닥면은 통기성 망 (4a) 으로 구성되고, 중앙부에 배출구부 (5) 가 형성되어 있다. 배출구부 (5) 는 가요적으로 구성되어 접을 수 있다. 배출구부 (5) 의 상부는 통기성 망 (4a) 에 연결되어 있고, 또한 하부는 매듭끈 (7) 으로 묶을 수 있다.
또한, 배출구부 (5) 가 위치하는 통기성 망 (4a) 의 중앙부는 도 4 와 같이, 꽃잎 형상으로 절결되고, 배출구부 (5) 가 하방으로 신장될 때 열릴 수 있다. 꽃잎 형상을 한 절결 선단부에 배출구 개폐끈 (9) 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 부호 8 은 배출구 누름판 (8) 이고, 통기성 망 (4a) 과는 별체로 되어 있다.
즉, 상기 배출구부 (5) 는, 매듭끈 (7) 으로 묶은 후 통기성 망 (4a) 의 꽃 잎 형상의 개구부 내에 밀어넣고, 이어서 배출구 누름판 (8) 에 의해 누르면서 배출구 개폐끈 (9) 을 묶으면,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렉시블 컨테이너 (1) 의 바닥면을 평활화하여 닫을 수 있다.
동체부 (2) 의 상부에는 포크리프트 등으로 매달아 올리기 위한 고리 벨트 (10) 가 복수개 장착되어 있고, 또한 대향하는 고리 벨트 (10) 에는 각각을 이어 맞추는 늘어뜨림용 로프 (11)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 도 3 및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렉시블 컨테이너 (1) 의 하부 둘레면인 동체부 (2) 와 바닥면 (4) 의 이음매 부분에는, 동체부 (2) 로부터 끝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하방으로 연장되는 바람 빠짐 방지용의 스커트부 (12) 가 연결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통풍 건조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통풍 건조기는, 도 5 의 건조 바디 (15) 와 도 6 에 나타내는 건조부 (23) 로 구성된다. 도 6 은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다.
건조 바디 (15) 는, 플렉시블 컨테이너 (1) 의 동체부 (2) 와 동등하거나 약간 작은 직경으로, 직경이 약 1.2 ∼ 1.3 m, 높이가 동체부 (2) 의 대략 3 분의 1 인 약 0.5 m 의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건조 바디 (15) 의 바닥면에는 이동용 캐스터 (16) 가 형성됨과 함께, 건조 바디 (15) 의 고리 형상 벽 (15a) 에는 이동용의 핸들 또는 포크리프트 등으로 매달아 올린 플렉시블 컨테이너 (1) 의 탑재시의 위치 결정 기준이 되는 가이드체 (17) 가 세워 형성되어 있다. 그 가이드체 (17) 는 그 높이가 약 0.84 m, 원호부의 반경이 0.65 m 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건조 바디 (15) 의 측벽에는 밖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도풍구(導風 口)(18) 가 형성되고, 건조 바디 (15) 의 내부에는 플렉시블 컨테이너 (1) 를 탑재했을 때 그 중량을 견딜 수 있도록 보강벽 (19, 19) 이 세워 형성되어 있다. 보강벽 (19, 19) 은 건조 바디 (15) 에 플렉시블 컨테이너 (1) 를 탑재했을 때, 이것을 지지하는 플로어를 구성하고, 또한 이 플로어는 수납한 곡류를 건조시키기 위한 열풍이 통과할 수 있는 플로어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건조 바디 (15) 의 도풍구 (18) 에는 건조부 (23) 가 접속된다. 건조부 (23) 는 도풍구 (18) 에 접속되는 도풍로 (20), 송풍기 (21) 및 열풍 발생기 (22) 로 이루어진다. 그 건조부 (23) 를 가동시키면, 도풍로 (20), 건조 바디 (15), 및 플렉시블 컨테이너 (1) 바닥면의 통기성 망 (4a) 을 통과하여 플렉시블 컨테이너 (1) 내에 건조를 위한 열풍이 보내진다. 또한, 도면 부호 24 는 송풍기 (21) 용의 모터이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6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곡류 건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컴바인에 의해 수확된, 예를 들어 수분 20 % 이상의 약 500 ㎏ ∼ 1000 ㎏ 의 벼를 플렉시블 컨테이너 (1) 의 투입구부 (3) 로부터 투입한다. 이것을 포크리프트 (25) 등에 의해 매달아 올려 열풍 건조기로 운반하고, 가이드체 (17) 를 기준으로 안길이 방향의 위치 결정을 하여 건조 바디 (15) 상에 탑재한다 (도 1). 이 때, 가이드체 (17) 를 기준으로 할 수 있으므로, 포크리프트 등의 조작이 용이해진다.
이어서, 투입구부 (3) 는 개방해 두고, 스커트부 (12) 로 건조 바디 (15) 의 측벽부 (15a) 를 덮고, 스커트부 (12) 의 하부 둘레 가장자리를 고무 밴드 (27) 에 의해 조여 스커트부 (12) 를 건조 바디 (15) 의 외면에 밀착시킨다 (도 6).
이와 같이 하여 모든 준비가 종료된 후에는, 예를 들어 풍량비 0.25 ㎥/s·t, 열풍 온도 40 ℃ 정도의 조건이 되도록 송풍기 (21) 및 열풍 발생기 (22) 를 가동시키면, 흡기구 (26) 로부터 들어온 외기가 가열되고, 이 건조된 열풍이 도풍로 (20), 건조 바디 (15) 및 통기성 망 (4a) 을 통과하여 벼에 송풍되어, 벼의 통풍 건조를 실시할 수 있다. 플렉시블 컨테이너 (1) 와 건조 바디 (15) 의 간극으로부터 열풍이 빠지는 간극이 스커트부 (12) 에 의해 완전히 막혀 있으므로 바람 빠짐은 없고, 통풍 건조의 능률은 높다.
또한, 상기 조건으로 건조 개시부터 12 시간 경과 후에, 벼를 다른 플렉시블 컨테이너 (1) 로 바꿔 옮기는 것에 의한 교반을 실시하고 다시 통풍 건조를 실시하면, 건감률(乾減率)은 0.24 %/h 를 만족하고, 초기 수분이 22.5 % 인 벼를 24 시간에 16.7 % 까지 건조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0 의 그래프 참조).
또한, 이 경우에 종래와 같이 바람 빠짐 방지용의 비닐 시트 등을 별도로 준비할 필요는 없다.
또한, 종래 기술과 같이 인력에 의한 망 주머니의 정렬 작업이나, 필러의 충전이나, 망 주머니의 경계에 생기는 함몰부에 벌크 벼를 충전하는 인력에 의한 바람 빠짐 방지 작업이 불필요하고, 1000 kg 정도의 생벼를 한번에 건조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2〕
도 7 은 제 2 실시예이고, 플렉시블 컨테이너 (1) 의 스커트부 (12) 를 조일 수 있는 구조이다. 다른 구조는 실시예 1 과 동일하다.
도 7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렉시블 컨테이너 (1) 의 스커트부 (12) 의 하부 둘레 가장자리에는 가는 터널 형상의 끈통과부 (13)(도 9) 가 형성되어, 조임끈 (14) 이 삽입 통과되어 있다. 그 조임끈 (14) 을 조임으로써 스커트부 (12) 의 개구 (28) 의 면적을 좁히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7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임끈 (14) 을 조여 스커트부 (12) 의 개구 (28) 의 면적을 좁히고, 이 상태에서 건조 바디 (15) 상에 탑재한다 (도 8).
도 9 는, 도 8 의 부호 A 로 둘러싼 부분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인데, 스커트부 (12) 의 개구 (28) 의 면적을 좁혀 건조 바디 (15) 상에 탑재하면, 스커트부 (12) 가 건조 바디 (15) 의 측벽 (15a) 의 바깥 방향으로 약간 팽출됨과 함께, 플렉시블 컨테이너 (1) 의 바닥면 또는 바닥부에 의해 스커트부 (12) 의 하부 둘레 가장자리가 건조 바디 (15) 의 고리 형상 벽 (15a) 과의 사이에서 끼워진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모든 준비가 종료된 후, 상기와 동일하게 송풍기 (21) 및 열풍 발생기 (22) 를 가동시키면, 건조풍이 건조 바디 (15) 로부터 통기성 망 (4a) 을 통과하여 벼에 송풍됨과 함께, 건조를 위한 열풍의 일부가 상기 스커트부 (12) 의 팽출부 (12a) 에 송급되어, 스커트부 (12) 가 팽창된다. 그러면, 팽창에 의해 플렉시블 컨테이너 (1) 의 스커트부 (12) 가 건조 바디 (15) 의 고리 형상 벽 (15a) 에 밀착되어, 건조를 위한 열풍이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한다. 사이에 끼우는 힘은 500 ㎏ ∼ 1000 ㎏ 이라는 플렉시블 컨테이너 (1) 의 자중에 의한 누름이므로, 고무 밴드 (27) 에 의한 건조 바디 (15) 측면으로부터의 조임력보다 강하여, 고무 밴드 (27) 도 불필요하고 건조를 위한 열풍이 외부로 새는 바람 빠짐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플렉시블 컨테이너 (1) 에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체부 (2) 의 표면측에 벼 등 곡립의 수용량 (채움량) 을 나타내는 눈금 (29) 를 인쇄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플렉시블 컨테이너 (1) 는 곡립을 수용한 위치까지 원통형으로 팽창되므로, 눈금 (29) 이 있으면 대략의 수납량을 알 수 있다. 이로써, 작업자는 플렉시블 컨테이너 (1) 내부를 투입구부 (3) 로부터 들여다 보지 않고, 외측으로부터 수용량을 알 수 있어, 건조 속도의 관리나, 옮겨 담기에 의한 교반 횟수의 관리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상, 2 가지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다른 구성을 취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플렉시블 컨테이너 (1) 및 건조 바디 (15) 는 원통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다각형통 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이것에 맞추어 건조 바디 (15) 의 고리 형상 벽 (15a) 이 평면에서 보아 다각형이 되는 경우가 있다.
플렉시블 컨테이너 (1) 는 일반적으로 곡립을 수용하는 수납 주머니라고 할 수 있다. 그 크기는 500 ∼ 1000 ㎏ 수납 가능한 범위의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와 같은 배출구부 (5) 는 수납 주머니의 구조로서 항상 필요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건조 처리의 조건을 정돈함으로써 벼 이외의 곡립을 취급할 수도 있다.
도 1 은, 벼가 수용된 플렉시블 컨테이너를 포크리프트 등으로 매달아 올려, 통 형상의 건조 바디로 이루어지는 통풍 건조기에 탑재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 는,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기 위하여 투입구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 은,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기 위하여 배출구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 는,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바닥면을 나타내는 바닥면도이다.
도 5 는, 통 형상의 건조 바디를 상방에서 내려다 보았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6 은,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다.
도 7 은,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스커트부를 조인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 은, 스커트부를 조인 플렉시블 컨테이너를 건조 바디 상에 탑재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 는, 도 8 의 부호 A 로 둘러싼 부분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 은, 플렉시블 컨테이너에 수납한 벼의 수분이 시간적으로 추이되는 상황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플렉시블 컨테이너 2 : 동체부
3 : 투입구부 4 : 바닥면
5 : 배출구부 6, 7 : 매듭끈
8 : 배출구 누름판 9 : 배출구 개폐끈
10 : 고리 벨트 11 : 로프
12 : 스커트부 15 : 건조 바디
18 : 도풍구 21 : 송풍기
22 : 열풍 발생기

Claims (8)

  1. 곡류를 수납하는 수납 주머니와 통풍 건조기로 이루어지고, 수납 주머니는 상면에 벼의 투입구부를, 또한 하면에 건조를 위한 열풍이 통과할 수 있는 바닥면을 구비함과 함께, 수납 주머니의 하부 둘레면에 하부 둘레면을 둘러싸는 스커트부가 형성되어 있고, 통풍 건조기는 곡류를 수납한 수납 주머니의 바닥면 또는 바닥부에 접하여 이것을 둘러싸는 건조 바디와, 수납한 곡류를 건조시키기 위한 열풍이 통과할 수 있는 플로어를 구비하고, 수납 주머니에 있어서의 스커트부의 하부 둘레 가장자리를 통풍 건조기의 건조 바디 외면에 밀착시켜 장착하고, 수납 주머니를 통풍 건조기에 탑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곡류 건조기.
  2. 곡류를 수납하는 수납 주머니와 통풍 건조기로 이루어지고, 수납 주머니는 상면에 벼의 투입구부를, 또한 하면에 건조를 위한 열풍이 통과할 수 있는 바닥면을 가짐과 함께, 수납 주머니의 하부 둘레면으로서, 바닥면보다 높은 위치에 하부 둘레면을 둘러싸는 스커트부가 형성되어 있고, 통풍 건조기는 곡류를 수납한 수납 주머니의 바닥면 또는 바닥부에 접하여 이것을 둘러싸는 건조 바디와, 수납한 곡류를 건조시키기 위한 열풍이 통과할 수 있는 플로어를 구비하고, 스커트부의 하부 둘레 가장자리를 수납 주머니의 바닥면 또는 바닥부와 건조 바디의 고리 형상 벽 사이에 끼워 수납 주머니를 통풍 건조기에 탑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곡류 건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스커트부의 하부 둘레 가장자리를 수납 주머니의 바닥면 주위의 치수보다 작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곡류 건조기.
  4. 원통 또는 다각형통 등의 통 형상체로 이루어지는 동체부와, 그 동체부 상부 가장자리에 연결 형성된 투입구부와, 상기 동체부 하부 가장자리에 연결 형성된 통기성 망으로 이루어지는 바닥면과, 그 바닥면 중앙이 개구되고, 그 개구에 연결 형성한 상기 동체부보다 작은 직경의 통 형상 배출구부를 구비한 자립형 형상의 수납 주머니에 벼를 수용하고,
    그 수용 주머니의 동체부와 대략 동등한 직경으로서, 높이가 상기 동체부의 대략 3 분의 1 정도인 통상체로 이루어지는 건조 바디에 상기 수납 주머니를 탑재하고,
    상기 수용 주머니의 투입구부를 개방 상태로 하고, 상기 수용 주머니와 상기 건조 바디 사이는, 상기 동체부와 바닥면의 이음매 부분 근방에 연결 형성된 끝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하방으로 연장되는 스커트부에 의해 상기 건조 바디의 측벽을 덮고, 또한 고무 밴드 등으로 묶어 상기 건조 바디로부터 불어오르는 열풍의 바람 빠짐을 방지한 후, 상기 통기성 망을 통과한 열풍에 의해 통풍 건조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류 건조 방법.
  5. 원통 또는 다각형통 등의 통 형상체로 이루어지는 동체부와, 그 동체부 상부 가장자리에 연결 형성된 투입구부와, 상기 동체부 하부 가장자리에 연결 형성된 통기성 망으로 이루어지는 바닥면과, 그 바닥면 중앙이 개구되고, 그 개구에 연결 형성한 상기 동체부보다 작은 직경의 통 형상 배출구부를 구비한 자립형 형상의 수납 주머니에 벼를 수용하고,
    그 수용 주머니의 동체부와 대략 동등한 직경으로서, 높이가 상기 동체부의 대략 3 분의 1 정도인 통 형상체로 이루어지는 건조 바디에 상기 수납 주머니를 탑재하고,
    상기 수용 주머니의 투입구부를 개방 상태로 하고, 상기 수용 주머니와 상기 건조 바디 사이는, 상기 동체부와 바닥부의 이음매 부분 근방에 연결 형성된 끝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하방으로 연장되는 스커트부를 안쪽으로 조인 상태에서 상기 건조 바디 상에 탑재하고, 그 스커트부의 하부를 수납 주머니와 건조 바디 사이에 끼우고, 스커트부를 건조 바디의 측벽 바깥 방향으로 팽출시켜 팽출부에 형성하고, 그 팽출부에 의해 스커트부를 건조 바디에 가압하여 간극을 해소하고, 상기 건조 바디로부터 불어오르는 열풍의 바람 빠짐을 방지하고, 상기 통기성 망을 통과한 열풍에 의해 통풍 건조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류 건조 방법.
  6. 원통 또는 다각형통 등의 통 형상체로 이루어지는 동체부와, 그 동체부 상부 가장자리에 연결 형성된 투입구부와, 상기 동체부 하부 가장자리에 연결 형성된 통기성 망으로 이루어지는 바닥면과, 그 바닥면 중앙이 개구되고, 그 개구에 연결 형 성한 상기 동체부보다 작은 직경의 통 형상의 배출구부를 구비한 자립형 형상의 수납 주머니에 벼를 수용하고, 그 수용 주머니의 동체부와 대략 동등한 직경으로서, 높이가 상기 동체부의 대략 3 분의 1 정도인 통 형상체로 이루어지는 건조 바디에 상기 수납 주머니를 탑재하고,
    상기 수용 주머니에 수용된 벼를 그대로 상기 건조 바디에 탑재하고, 그 건조 바디로부터 불어오르는 열풍에 의해 통풍 건조를 실시하는 곡류 건조기로서,
    상기 수용 주머니의 동체부와 바닥면의 이음매 부분 근방에는, 상기 수용 주머니와 상기 건조 바디 사이의 바람 빠짐을 방지하기 위한 끝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하방으로 연장되는 스커트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류 건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주머니의 동체부에는, 그 표면에 곡립의 수용량을 나타내는 눈금을 인쇄하여 이루어지는 곡류 건조기.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바디에는, 그 바닥면에 이동용 캐스터를 형성함과 함께, 측벽에 건조 바디의 이동용 핸들, 또는 수용 주머니를 탑재할 때의 위치 결정 기준이 되는 가이드체를 세워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곡류 건조기.
KR1020090065176A 2008-09-19 2009-07-17 곡류 건조 방법 및 곡류 건조기 KR1016543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40142A JP5201406B2 (ja) 2008-09-19 2008-09-19 穀類乾燥方法及び穀類乾燥機
JPJP-P-2008-240142 2008-09-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3338A true KR20100033338A (ko) 2010-03-29
KR101654369B1 KR101654369B1 (ko) 2016-09-05

Family

ID=42029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5176A KR101654369B1 (ko) 2008-09-19 2009-07-17 곡류 건조 방법 및 곡류 건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201406B2 (ko)
KR (1) KR101654369B1 (ko)
CN (1) CN101676661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0451A1 (en) * 2011-05-20 2012-11-29 Drylogab International Pty (Ltd) Apparatus for use in drying grain
CN107940952A (zh) * 2017-12-06 2018-04-20 重庆市万盛区普惠城市建设咨询服务有限公司 带转动烤盘的烤房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32763B (zh) * 2010-12-13 2013-05-29 曾繁源 一种紧凑排列香制品立式节能烘干机
CN102119609A (zh) * 2011-01-27 2011-07-13 魏国凯 农用风力循环储存粮仓
JP2013154265A (ja) * 2012-01-27 2013-08-15 Hotta Kogyo Kk スラッジ乾燥処理装置
WO2013132586A1 (ja) * 2012-03-06 2013-09-12 株式会社サタケ 穀粒乾燥方法
RU2558867C2 (ru) * 2013-07-29 2015-08-10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науч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сероссийски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механизации сельского хозяйства Российской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ой академии (ГНУ ВИМ Россельхозакадемии) Способ сушки семян в контейнерах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103444865B (zh) * 2013-09-11 2014-10-15 山东商业职业技术学院 一种成品粮缓苏转载箱
CN105403004A (zh) * 2014-12-12 2016-03-16 李宏江 五谷自然干燥仓储装置
CN105526781A (zh) * 2015-11-06 2016-04-27 李宏江 五谷自然干燥仓储装置的升级装置
CN105300049A (zh) * 2015-11-23 2016-02-03 苏州莱测检测科技有限公司 一种干燥装置
CN106440687A (zh) * 2016-12-05 2017-02-22 安建春 型煤静态笼屉式无破损烘干装置及使用方法
CN107894139A (zh) * 2017-10-16 2018-04-10 李烨 自动化翻晒、收集与测重机电设备
CN108834553A (zh) * 2018-06-27 2018-11-20 安徽袁粮水稻产业有限公司 一种具备烘干功能的水稻收割机
JP7149162B2 (ja) * 2018-11-01 2022-10-06 極東開発工業株式会社 乾燥コンテナ
JP7212501B2 (ja) * 2018-11-02 2023-01-25 極東開発工業株式会社 乾燥コンテナ
CN112984999B (zh) * 2021-02-28 2022-09-23 新疆禾旺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农用种子烘干机
CN114916323A (zh) * 2022-05-11 2022-08-19 乔晓民 一种农业用透气型粮食小麦存放装置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20002393Y1 (ko) * 1977-12-17 1982-11-13 진도 사다가쓰 침구류의 건조기
KR910002661B1 (ko) * 1988-11-04 1991-05-03 호쿠도오 고오기 가부시기가이샤 곡류건조장치
JP2004044857A (ja) * 2002-07-09 2004-02-12 Fukuoka Seimai Kiki Kk 穀類の乾燥装置
JP2008014517A (ja) * 2006-07-03 2008-01-24 Satake Corp 浸種籾乾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593A (zh) * 1996-04-01 1997-12-03 黑龙江省农垦科学院科技开发中心 复合工艺干燥机
JP3743547B2 (ja) * 1999-01-13 2006-02-08 株式会社サタケ 穀物乾燥装置
JP2002039679A (ja) * 2000-07-21 2002-02-06 Kaneko Agricult Mach Co Ltd 穀物乾燥機の集塵装置
JP4496859B2 (ja) * 2004-06-29 2010-07-07 井関農機株式会社 穀粒乾燥機の集塵装置
JP4909037B2 (ja) * 2006-12-08 2012-04-04 村田機械株式会社 乾燥システム
JP2008180489A (ja) * 2006-12-28 2008-08-07 Tonamino Nogyo Kyodo Kumiai フレコンおよびそれを用いた乾燥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20002393Y1 (ko) * 1977-12-17 1982-11-13 진도 사다가쓰 침구류의 건조기
KR910002661B1 (ko) * 1988-11-04 1991-05-03 호쿠도오 고오기 가부시기가이샤 곡류건조장치
JP2004044857A (ja) * 2002-07-09 2004-02-12 Fukuoka Seimai Kiki Kk 穀類の乾燥装置
JP2008014517A (ja) * 2006-07-03 2008-01-24 Satake Corp 浸種籾乾燥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0451A1 (en) * 2011-05-20 2012-11-29 Drylogab International Pty (Ltd) Apparatus for use in drying grain
CN103842754A (zh) * 2011-05-20 2014-06-04 德赖洛巴格国际(私人)有限公司 用于干燥谷粒的设备
US9389017B2 (en) 2011-05-20 2016-07-12 Drylobag International Pty (Ltd) Apparatus for use in drying grain
CN107940952A (zh) * 2017-12-06 2018-04-20 重庆市万盛区普惠城市建设咨询服务有限公司 带转动烤盘的烤房
CN107940952B (zh) * 2017-12-06 2024-01-09 重庆翼耀科技咨询有限公司 带转动烤盘的烤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76661A (zh) 2010-03-24
JP5201406B2 (ja) 2013-06-05
KR101654369B1 (ko) 2016-09-05
JP2010071561A (ja) 2010-04-02
CN101676661B (zh) 2014-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33338A (ko) 곡류 건조 방법 및 곡류 건조기
CN101611676B (zh) 利用轻质套筒或衬套进行农产品密封储存的系统与方法
US8141328B2 (en) System and method for free-standing storage of agricultural commodities using a hermetic lightweight sleeve
JP2019535603A (ja) 梱包方法及び輸送パッケージ、並びにパッケージを収容するためのドローン
US3935648A (en) Tobacco curing apparatus and method
CA2842692A1 (en) Apparatus for use in drying grain
KR102443499B1 (ko) 로터리 방식의 톤백 포장기
CN211575808U (zh) 一种稻谷烘干装置
JP2008180489A (ja) フレコンおよびそれを用いた乾燥方法
JP2009047341A (ja) 張込ホッパ
SE449787B (sv) Aggregat for materialtorkanleggning
JP3170467B2 (ja) 穀粒貯蔵装置
JPS6121348A (ja) 穀粒収納袋
SU92344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активного вентилировани стогов сена
JP2011085345A (ja) 穀物乾燥機
JP2819450B2 (ja) コンバインの袋取り装置
JP3014082B2 (ja) 大型穀類収納袋の排出口
JP3010533U (ja) 大型コンバイン袋の明け移し装置
US20220204257A1 (en) Bag for the storage and transport of a pulverulent product and method of filling the same
JP4500251B2 (ja) 穀類収納袋用の内袋
JPS5825268Y2 (ja) 籾乾燥貯蔵装置
JPH0458822A (ja) 穀粒袋
JPH0431284A (ja) 穀物運搬袋
TH64410B (th) วิธีการทำแห้งเมล็ดพืชและเครื่องจักรกลทำแห้งเมล็ดพืช
CN113753277A (zh) 一种小麦粉提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