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2661B1 - 곡류건조장치 - Google Patents

곡류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2661B1
KR910002661B1 KR1019880018207A KR880018207A KR910002661B1 KR 910002661 B1 KR910002661 B1 KR 910002661B1 KR 1019880018207 A KR1019880018207 A KR 1019880018207A KR 880018207 A KR880018207 A KR 880018207A KR 910002661 B1 KR910002661 B1 KR 910002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drying
discharge
ducts
g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8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7334A (ko
Inventor
다카히도 무로이
Original Assignee
호쿠도오 고오기 가부시기가이샤
아비꼬 카즈히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쿠도오 고오기 가부시기가이샤, 아비꼬 카즈히꼬 filed Critical 호쿠도오 고오기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07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2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23B9/02Preserving by hea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곡류건조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전체청구항에 관한 곡류건조장치의 일부절결종단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2)―(2)선에 따른 횡단면도.
제3도는 일부절결종단측면도.
제4도는 청구항 1, 3, 4에 관한 건조용 열풍의 유동설명도.
제5도는 동청구항에 관한 열풍덕트( 및 배출덕트)의 사시도.
제6도는 동청구항에 관한 열풍덕트 및 배출덕트에 배설예를 표시한 것으로
(a)는 1개의 유닛을 나타내는 개략사시도.
(b)는 2개의 유닛을 병설한 경우의 개략측면도.
(c)는 2개의 유닛을 겹쳐쌓은 경우의 개략측면도.
(d)는 4개의 유닛을 겹쳐쌓은 경우의 개략측면도.
제7도는 청구항 1, 2, 4에 관한 건조용 열풍발생로의 종단측면도.
제8도는 그 종단정면도.
제9도는 상기한 열풍발생로구성부재(내통)의 정면도.
제10도는 동구성부재(외통)의 정면도.
제11도는 청구항 2, 3, 4에 관한 건조장치의 우측절반의 종단측면도.
제12도는 제11도의 (12)―(12)선에 따라서 배출기구의 일부를 나타낸 확대횡단면도.
제13도는 제12도의 (13)―(13)선에 따른 종단면도.
제14도는 청구항 2, 3, 4에 관한 배출기구의 다른예를 표시한 일부확대횡단면도.
제15도는 청구항 1, 2, 4에 관한 건조용 열풍발생수단의 종래기술을 표시한 개략종단측면도.
제16도는 청구항 2, 3, 4에 관한 배출기구의 종래기술을 표시한 개략정면도.
제17도는 그 종단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건조실 2 : 열풍덕트
3 : 배출덕트 4 : 곡류용 유로
5 : 완충플레이트 6 : 분배슬릿
7 : 건조용 열풍발생로 8 : 배풍기실
9 : 곡류투입부 10 : 배출로우터
11 : 배출간극조정판 12 : 배출간극조정축
13 : 회전조작레버
본 발명은 건조실내의 개량된 건조장치, 개량된 건조곡류배출장치, 개량된 건조용 열풍발생장치 등이 설치된 곡류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곡류 등의 입상(粒狀)고형물을 건조할 경우에 피건조물의 함유수분과 건조용 공기의 습도와의 사이의 증기압차(蒸氣壓差)가 건조의 원동력으로 된다.
따라서 어떤 폭(두께)을 갖는 유로(流路)속을 피건조물이 흐르는 경우 그 유로에 대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열풍(熱風)이 통과할 때 열풍이 피건조물에 접촉하고 있는 시간에 따라 열풍속의 습도가 증가하고 피건조물로부터의 수분증발에 따르는 잠열(潛熱)에 의하여 온도도 저하하여 열풍속의 증기압과 피건조물의 증기압의 차가 적게되므로 피건조물로부터의 수분제거 정도 즉 건조정도는 열풍의 통과방향에 따라서 저하한다. 이것이 이러한 종류의 곡류 등의 건조에 있어서 발생되는 불균일한 건조의 원인이며 곡류 등 수분상태에 엄밀한 규제를 받는 물품에 있어서는 품질 저하의 큰 원인으로 된다.
그 때문에 일부분의 건조장치(건조기)에 있어서 건조실내의 건조장치는 열풍의 통풍방향을 간헐적으로 역전시키는 고안이 행하여지고 있는 경우가 있지만 이것에 의한 효과는 피건조물이 유동되는 층의 두께와 통풍량이 적절하게 제어되었을 경우에만 효과가 발휘되고 여러 가지 상황이 달리되는 경우가 많은 곡류 등의 건조에 있어서는 별 효과를 얻지 못하는 것이다. 또 유동하는 피건조물층에 열풍을 균일하게 통기(通氣)하는 것은 지극히 어려운 기술이며 더구나 곡립(穀粒) 등은 한알한알의 성숙도나 수분함유량이 다르므로 실제의 생산현장에서 균일한 건조를 실현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운 것이었다.
건조용 열풍발생수단은 한예를 들면 제15도에 표시하듯이 내통(7'-1) 및 외통(7'-2)으로 열풍발생로본체(7')를 구성하고 또한 내통(7'-1)의 열풍송출구쪽 부위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둘레방향으로 외기도입로(7'-3)로부터 도입한 외기(外氣)를 내통(7'-1)으로부터 송출되는 열풍에 혼합하기 위한 혼합블레이드(blade)(7'-4)를 등간격으로 12장 배설된 구조의 것이 알려져 있다.
상기한 종래기술은 내통(7'-1)에 설치된 12자의 혼합블레이드(7'-4)로 열풍과 외기를 혼합하는 것이지만 그 혼합블레이드만으로는 열풍발생로본체(7')의 송풍구측부위에서 열풍과 외기로 난류(亂流)를 발생시킬수 없기 때문에 양자를 효과적으로 혼합시킬 수 없어 온도가 균일한 열풍을 송풍하는데 곤란성이 있었다.
따라서 온도가 불균일한 열풍때문에 건조된 곡류에 현저한 품질저하(예를 들어 쌀입자의 깨어짐, 다수의 아미노산감소 등)가 나타난다. 건조된 곡류배출장치는 제16, 17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건조실(1')내에 곡류용 유로(4')의 유출쪽 끝부분에 배출로우터(10')를 구비하고 그 로부터의 아래쪽에 곡류용 유로(4')의 유출쪽 끝부분을 패쇄하는 배출간조정판(11')을 보유하며 그 조정판의 배출쪽 끝부분을 인장코일 스프링으로된 조지구(吊持具) (C)와 조지구로 배출간극조정판(11')이 과도하게 끌어올리는 것을 방지하고 배출로우터(10) 및 배출간극조정판(11')의 배출간극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스토퍼(stopper)로된 배출간극유지기(S)등으로 구성된 배출간극유지 구조로 건조실(1′)에 직접 유지시킨 구조이다.
이러한 건조곡류배출장치는 배출로우터(10')와 배출간극조정판(11')과의 사이에 이물(異物)이 가득차 있을때는 조지구(C)가 신장되어 배출로우터(10′)가 이물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이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곡류에 혼입하고 있는 불순물(예를 들어 잎조각, 부러진줄기, 기타)이 조지구(C)에 걸려 이것이 원인이 되어 조지구(C)에 불순물이 꽉차게되고 이 건조곡류의 배출에 지장을 초래하는 일에 있으며 이러한 불리한점이 발생한 경우 및 배출간극조정판(11')위의 남은 곡류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건조실의 밑부분에 늘어뜨려 설치된 건조곡류용 배출호퍼(hopper) (미도시)안에 작업원이 출입하여 조지구(C)의 끝부분을 배출간극조정판(11')의 배출측 끝부분에서 떼어내고 그 조정판을 끌어내려서 청소작업을 실시하지 않으면 안되어 그 청소작업을 건조실 바깥쪽 혹은 전기한 배출호퍼 바깥쪽으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건조실내의 건조장치에 대해서는 건조용 열풍이 횡단하여 곡류용 유로속에 곡류를 연속유하(流下) 이동시켜 그 유동과정중에 분배, 혼합 등의 동작을 실시함과 아울러 곡류를 전기한 유로속의 고온쪽과 저온쪽으로 차례로 유동시키므로서 곡류의 한알한알 전부가 균등하게 열풍과 접촉하고 불균일한 건조가 없이 균일한 건조를 능률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고 건조용 열풍발생장치에 대해서는 건조용 열풍발생로의 송풍구쪽 부위에서 열풍과 외기에 난류를 발생시키고 열풍과 외기를 잘 혼합시켜서 균일한 온도의 열풍을 송풍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건조곡류 배출장치에 대해서는 배출간극조정판을 건조실에 직접 유지시키는 것을 피하고 그 조정판에 설치된 배출간극조정축을 건조실의 바깥쪽으로부터 회전조작레버(lever)로 조작하여 배출로우터와 배출간극조정판과의 사이에 꽉찬 이물이나 불순물 및 그 조정판위에 최종적으로 남은 곡류를 호퍼안으로 들여보내지 않고 용이하게 제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개량된 유익한 곡류 건조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달성한 장치는 첫째로 곡류투입부분을 상부에 보유하는 건조실 내로 건조용 열풍을 옆쪽으로 향해서 불어넣는 적당수의 열풍덕트(duct)와 그 열풍덕트로부터 불어내어진 건조용 열풍을 흡인하여 배출하는 적당수의 배출덕트를 교대로 대향하여 세워 설치하고 그 양쪽덕트 상호간에 건조용열풍이 횡단하는 곡류용 유로를 형성하고 또한 그 양쪽덕트의 곡류용 유로쪽 대향면에 각 복수개의 완충플레이트를 높이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배설함과 아울러 하향경사되게 배설하여 그 각 완충플레이트마다 곡류용 분배슬릿(slit)을 2개 이상의 다른갯수씩 개설하고 또 전기한 건조실의 한쪽에 건조용 열풍을 난류 송풍하는 건조용 열풍발생로의 송풍구를 연통시키고 다른쪽에 배풍기실을 연통시켰으며, 둘째로 곡류투입부분을 상부에 보유하는 건조실내로 건조용 열풍을 옆쪽으로 향해서 불어내는 적당수의 열풍덕트와 그 열풍덕트로부터 불어내어진 건조용 열풍을 흡인하여 배출하는 적당수의 배출덕트를 교대로 대향하여 세워설치하고 그 양쪽덕트 상호간에 건조용 열풍이 횡단하는 곡류용 유로를 형성하여 그 곡류용 유로의 유출쪽 끝부분에 배출로우터와 그 배출로우터의 아래쪽에서 배출덕트쪽으로부터 열풍덕트쪽을 향해 배출간극조정판을 설치하고 그 배출간극조정판의 배출덕트쪽 외면상부에 배출간극조정축을 고정하고 그 배출간극조정축용의 회전조작레버를 전기한 건조실의 바깥쪽에 배설하며 또 전기한 건조실의 한쪽에 건조용 열풍을 난류송풍하는 건조용 열풍발생로의 송풍구를 연통시키고 다른쪽에 배풍기실을 연통시켰으며 셋째로 곡류투입부분을 상부에 보유하는 건조실내로 건조용 열풍을 옆쪽으로 향해서 불어내는 적당수의 열풍덕트와 그 열풍덕트로부터 불어내어진 건조용 열풍을 흡인하여 배출하는 적당수의 배출덕트를 교대로 대항하여 세워 설치하며 그 양쪽덕트 상호간에 건조용 열풍이 횡단하는 곡류용 유로를 형성하고 그 양쪽덕트의 곡류용 유로쪽을 향면에 각 복수장의 완충플레이트를 높이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배설함과 아울러 하향경사되게 배설하고 그 각 완충플레이트마다 곡류용 분배슬릿을 2개 사이의 다른갯수씩 개설하며 또 전기한 곡류용 유로의 유출쪽끝부분에 배출로우터와 그 배출로우터의 아래쪽에 있어서 배출덕트쪽으로 열풍덕트쪽에 향하여 배출간극조정판을 설치하여 그 배출간극조정판의 배출덕트쪽 외면상부에 배출간극조정축을 고정하고 이 배출간극조정축용의 회전조작레버를 전기한 건조실이 바깥쪽에 배설하였으며, 넷째로 곡류투입부분을 상부에 보유하는 건조실내로 건조용 열풍을 옆쪽으로 향해서 불어내는 적당수의 열풍덕트와 그 열풍덕트로부터 불어내어진 건조용 열풍을 흡인하여 배출하는 적당수의 배출덕트를 교대로 대향하여 세워 설치하고 그 양쪽덕트 상호간에 건조용 열풍이 횡단하는 곡류용 유로를 형성하여 그 양쪽덕트의 곡류용 유로쪽 대향면에 각 복수장의 완충플레이트를 높이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배치함과 아울러 하향경사되게 배설하고 그 각 완충플레이트마다 곡류용 분배슬릿을 2개 이상의 다른갯수씩 개설하며 전기한 곡류용 유로의 유출쪽 끝부분에 배출로우터와 그 로우터의 아래쪽에서 배출덕트쪽으로부터 열풍덕트쪽으로 향하여 배출간극조정판을 설치하고 그 배출간극조정판의 배출턱트쪽 외면상부에 배출간극조정축을 고정하고 이 배출간극조정축용의 회전조작레버를 전기한 건조실의 바깥쪽에 배설하며 또 전기한 건조실의 한쪽에 건조용 열풍을 난류송풍하는 건조용 발생로의 송풍구의 연통시키고 또한 다른쪽에 배풍기실을 연통시켰다.
곡류투입부분으로부터 건조실내로 연속투입되는 곡류는 곡류용 유로내를 건조용 열풍과 교차하면서 연속유하 이동한다. 곡류는 그 유동과정중에서 열풍덕트에 배설된 고온쪽의 완충플레이트위에 낙하한 일부분이 배출덕트에 배설된 저온쪽의 완충플레이트위에 낙하하고 나머지 일부분이 고온쪽 완충플레이트의 곡류용 분배슬릿을 통하여 아랫쪽의 저온쪽 완충플레이트위에 낙하한다.
그리고 고온쪽 완충플레이트→저온쪽 완충플레이트로 낙하한 곡류는 일부분이 재차 고온쪽 완충플레이트 위로 낙하하고 나머지 일부분이 곡류용 분배슬릿을 통과하여 바로 아래의 저온쪽 완충플레이트위로 낙하하여 건조실내로 연속투입된 곡류는 상기한 바와 같이 곡류용 유로내를 건조용 열풍과 교차하면서 완충플레이트 및 곡류용 분배슬릿에 의하여 상기한 유로내의 고온쪽과 저온쪽과를 지그재그로 낙하하면서 혼합되고 또한 지그재그 낙하와 수직낙하로 분배되어 낙하하면서 혼합되어 모든 곡류가 균일하게 건조용 열풍과 접촉하면서 낙하한다.
그리고 건조실내로 송풍되는 건조용 열풍은 건조용 열풍발생로로부터, 잘 혼합된 균일한 온도의 난류송풍으로 되어 송풍되고 곡류용 유로내를 유동낙하하는 곡류를 건조시켜 배풍기실내의 배풍기에 의하여 배출덕트를 통과시켜 배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곡류투입부분으로부터 건조실내로 연속투입된 곡류는 열풍덕트와 배출덕트와의 사이의 곡류용 유로내를 건조용 열풍과 교차하면서 유하되고 건조되어서 곡류용 유로의 유출쪽 끝부분에 이르러 배출간극조정판위로 낙하하여 배출로우터에 의하여 배출된다. 그리고 건조된 곡류에 이물이나 불순물이 혼입되어 있어 배출로우터의 배출기능에 지장이 발생된 경우는 건조실 바깥쪽의 회전조작레버를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조작하면 배출간극조정축이 동시에 회전되고 배출간극조정판이 아래쪽을 향해 회전하여 전기한 이물이나 불순물이 자동적으로 낙하배출된다. 배출간극조정판위에 최종적으로 남은 곡류를 배출시킬경우도 상기한 바와 같이 조작하면 배출된다.
[실시예]
건조실내의 건조장치, 건조용 열풍발생장치, 건조곡류배출장치의 순으로서 설명한다.
ⅰ) 건조실내의 건조장치
건조실(1)은 투입분산기로된 곡류투입부(9)가 상부(도시예는 옥상부)에 설치되어 곡류가 분산되면서 투입되도록 구성한다. 건조실(1)은 내부를 상하 2단으로 칸을 막아 상실(上室) 및 하실(下室)의 각에 열풍덕트(2)와 배출덕트(3)를 배설하고 한쪽을 열풍발생로(7)에 다른쪽을 배풍기실(8)에 각 연통시켜서 등유를 연소로에서 완전연소하고 2차공기로 희석하는 열풍발생로(7)로부터 적당온도의 열풍이 공급되어 배풍기실(8)의 배풍기에 의하여 열풍덕트(2)에서 불어내어진 열풍이 배출덕트(3)를 통과하여 흡인배출되도록 구성한다. 건조실(1)은 하실의 밑부분에 건조곡류용 호퍼(14)를 설치하여 건조된 곡류가 송출되도록 구성한다.
열풍덕트(2) 및 배출덕트(3)는 제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적당한 간격을 둔 다공양측벽(多孔兩側壁) (2-1) (3-1)의 상단부를 산모양인 천판(天板) (2-2) (3-2)으로 붙여서 폐쇄하고 아랫부분을 밑판(2-3) (3-3)으로 폐쇄하고 한쪽의 세로로긴 개구부(제5도에서 은폐되어 있는 쪽의 세로로긴 개구부)을 폐쇄하여 중공(中空)의 편평한 덕트로 구성하고 열풍덕트(2)의 경우는 제5도에서 다른쪽(가까운쪽)에 보여지는 세로로긴 개구부(2-4)로부터 내부에 건조용 열풍이 도입되어 상기한 한쪽의 폐쇄부분에 부딪혀 다공양측벽(2-1)으로부터 불어내고, 배출덕트(3)의 경우는 열풍덕트(2)로부터 불어내어진 건조용 열풍을 다공양측벽(3-1)으로부터 내부로 흡인하고 상기한 다른쪽의 세로로긴 개구부(3-4)로부터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열풍덕트(2) 및 배출덕트(3)는 제2도, 제3도, 제4도, 제11도에 표시에 표시한 바와 같이 건조실(1)내에 소정 간격을 두고 교대로 대향하여 세워 설치되어 그들 양쪽덕트(2) (3) 사이에 곡류용 유로(4)가 형성된다. 그런데 건조실(1)내에 열풍덕트(2)를 세워 설치할 때는 제2도, 제4도와 같이 전기한 다른쪽의 세로로긴 개구부(2-4)를 열풍발생로(7)쪽으로 향해서 세워 설치하고 상기한 세로로긴 개구부(2-4)로부터 내부로 건조용 열풍이 부어 넣어지도록 배치하고 배출덕트(3)의 경우는 열풍덕트(2)의 경우와 반대로 전기한 다른쪽의 세로로긴 개구부(3-4)를 배풍기실(8)쪽으로 향해서 세워 설치하고 열풍덕트(2)로부터 불어내어진 건조용 열풍이 내부를 통과한 후 상기한 세로로긴 개구부(3-4)로부터 배출되도록 배치한다.
열풍덕트(2) 및 배출덕트(3)는 건조실(1)의 상실 및 하실에 상기한 바와 같이 대향하여 세워 설치됨과 아울러 제3도, 제11도와 같이 상기한 상실내의 열풍덕트(2)의 아래쪽에 상기한 하실의 열풍덕트(2)가 배설되고 또 상기한 상실의 배출덕트(3)의 아래쪽에 상기한 하실의 배출덕트(3)가 배설되어, 그들 양쪽덕트(2), (3)가 각 높이 방향으로 2단 적중(積重)된 형상으로 배설된다.
열풍덕트(2) 및 배출덕트(3)는, 건조실(1)의 상실 및 하실내에 각 건조용 열풍의 유동방향(제4도에 파선화살표로 표시하는 방향)으로 병설한다. 그리고, 열풍덕트(2) 및 배출덕트(3)는, 제6(a)도에 표시하듯이 2개의 열풍덕트(2)와 3개의 배출덕트(3)가 교대로 대향하여 세워 설치되어서 곡류용 유로(4)가 형성되며, 또한 그 양쪽덕트가 각 건조용 열풍의 유동방향으로 병설된 구조체가 1개의 유닛(unit)으로서 구성되고, 이 1개의 유닛이 상술한 바와 같이하여 건조실(1)내에 배설된다.
이 1개의 유닛을 구성하는 열풍덕트(2) 및 배출덕트(3)의 배설수는, 상기한 배설수에 제약되는 것은 아니고, 건조장치의 규모에 따라서 증감할 수 있다. 또, 이 1개의 유닛을 구성하는 상기한 양쪽덕트 (2) (3) 는, 도시하지 않고 있지만, 곡류용 분배슬릿(6)를 보유하는 완충플레이트(5)가 배설되어 있다.
완충플레이트(5)는, 각 플레이트마다 곡류용 분배슬릿(6)을 다른 갯수씩(도시예는 3개의 것과 4개의 것을 표시하였다) 뚫어서 구성하여, 열풍덕트(2) 및 배출덕트(3)에 배설시켰을 때의 돌출 길이를, 상기한 양쪽덕트 (2) (3) 를 대항하여 세워 설치시켰을 때에 플레이트 앞부분이 겹쳐지는 길이로 구성한다.
완충플레이트(5)는, 열풍덕트(2) 및 배출덕트(3)의 다공양측벽(2-1),(3-1)의 전폭에 걸쳐서 약 45°의 각도로 앞부분이 처지는 하향경사로 배설한다. 완충플레이트(5)는 상기한 덕트 (2) (3)의 곡류용 유로쪽 대향면에 높이방향으로 소정간격마다 소수의 분배슬릿(6)을 보유하는 플레이트(5)와, 다수의 분배슬릿(6)을 보유하는 플레이트(5)를 서로 어긋나게 배설되어 있다. 곡류용 분배슬릿(6)은, 곡류용 유로(4)를 연속유하 이동하는 곡류의 편향(偏向)하는 양을 지그재그 낙하와 수직낙하로 대략 등분 배분하여, 열풍덕트(2) 및 배출덕트(3)에 배설된 완충플레이트(5)의 바로 아래에 3각형의 무익한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 (곡류불통과부)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고, 완충플레이트 바로 아래로도 곡류를 통과시켜, 곡류의 건조효과 및 혼합효과를 높이는데 사용한다.
그 때문에, 분배슬릿(6)은, 각 완충플레이트(5)마다 다른 갯수씩 뚫어서, 소수의 분배슬릿(6)을 보유하는 완충플레이트(5)와, 다수의 분배슬릿(6)을 보유하는 완충플레이트(5)를 열풍덕트(2) 및 배출덕트(3)의 곡류용 유로쪽 대향면에 높이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배설한다.
또, 완충플레이트(5)의 형상, 칫수, 배설수 및 곡류용분배슬릿(6)의 형상, 칫수, 뚫린수 등은, 곡류의 품종, 입형(粒形), 비중, 밀도 등에 의하여 결정되도록 한다.
ⅱ) 건조용 열풍발생장치
제1도, 제2도, 제7도-제10도에 대하여 설명하면, 건조용 열풍발생로(7)는, 송풍구쪽이 소경(小經)으로 구성된 호퍼형상의 내통(7-1)과, 이 내통보다도 전체가 대경(大徑)으로 송풍구쪽이 소경으로 구성된 외통(7-2)으로 구성되도록 한다. 건조용 열풍 발생로(7)는, 송풍구의 송풍방향족 앞쪽에 열풍확산판(7-3)을 설치한 내통(7-1)을 외통(7-2)안에 끼워서, 그들 양쪽통 사이에 외기도입로(7-4)를 형성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내통(7-1)을 외통(7-2)에 끼울 때는, 소경인 송풍구쪽을 외통(7-2)의 소경인 송풍구쪽으로 배치되도록 한다. 다수의 교반(攪拌)블레이드(7-5)는, 내통(7-1)의 송풍구쪽 부위에서 외주면에 배설되는 길이가 다른 안쪽블레이드 (7-5a)와, 외통(7-2)의 송풍구쪽 부위에서 내주면에 배설되는 바깥쪽블레이드(7-5b)와를, 내통(7-1)을 외통(7-2)내에 끼우는 것에 의해 비스듬히 교차배설하여 구성한다.
다수의 교반블레이드(7-5)를 구성하는 안쪽블레이드(7-5a)는, 내통(7-1)의 외주면의 접성방향으로 길게 뻗어 외통(7-2)의 내주면에 도달하는 긴블레이드(7-5a-1)와, 그 긴블레이드보다 짧은 길이의 짧은블레이드(7-5a-2)를 등간격으로 교대로, 또한 감은 방향을 같은 방향으로하여 배설한다(제9도 참조).
다수의 교반블레이드(7-5a)를 구성하는 바깥블레이드(7-5b)는, 안쪽블레이드(7―5a)의 긴블레이드(7-5a-1) 및 짧은블레이드(7-5a-2) 길이가 다르므로, 외통(7-2)의 내주면에서, 내통(7-1)의 긴블레이드(7-5a-1) 및 짧은 블레이드(7-5a-2)는 감는 방향을 반대방향으로 하여 배설한다(제10도 참조). 그리고, 안쪽블레이드(7-5a)의 배설수는, 긴블레이드(7-5a-1) 짧은블레이드(7-5a-2) 각 4장씩인 경우를 표시하고, 바깥쪽블레이드(7-5b)의 배설수는, 4장인 경우를 표시했지만, 이들의 배설수는 실험장치의 배설수를 표시한 것으로서, 건조용 열풍발생로(7)의 능력, 기타의 사정에 의하여 적당히 변경한다.
안쪽블레이드(7-5a) 및 바깥쪽블레이드(7-5b)를 상기와 같이 구성하여, 내통(7-1)을 외통(7-2)에 끼우면, 안쪽블레이드(7-5a)와 바깥쪽블레이드(7-5b)가 비스듬히 교차배설되고, 이 배설구조에 의하여, 내통(7-1)으로부터 송풍되는 열풍과, 외통(7-2)내에 도입된 외기가 뒤섞여서 난류를 발생하고, 효과적으로 혼합되어 균일한 온도의 열풍이 송풍하게 된다.
그런데, 다수의 교반블레이드(7-5)를 구성하는 안쪽블레이드(7-5a), 바깥쪽블레이드(7-5b)의 길이를 다르게 한 이유는, 상기한 난류를 효과적으로 발생시키기 위해서이며, 만약 상기한 양쪽블레이드가 모두 길게되면, 열풍의 송풍이 곤란하게 될 우려가 있고, 반대로 상기한 양쪽블레이드가 모두 짧게되면, 난류를 발생시킬 수 있어도, 난류정도가 낮게 발생할 뿐이기 때문이다.
상기한 안쪽블레이드(7-5a) 및 바깥쪽블레이드(7-5b)의 구성부재는, 평판재, L형 앵글재 등 중에서 적당히 선정한다. 제7도-제9도 중, 부호(7-6)는, 내통(7-1)을 일정위치에 고정지지 하기 위한 지지막대로 내통(7-1)의 외주면과 외통(7-2)의 내주면에 걸쳐서 복수개 배설한다. 부호(7-7)는 외기도입로(7-4)의 도입구에 설치된 금속망 스크린이며, (7-8)은 도시하지 않는 등유버어너로부터 불어내어지는 화염이다.
ⅲ) 건조곡류 배출장치
건조실(1)내에 형성된 전기한 곡류용 유로(4)의 유출쪽 끝부분에 설치되는 배출로우터(10)는, 제12도―제1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10-1)의 둘레면에 복수장(예컨대 6-8장 정도)의 배출관(10-2)을 방사상으로 돌출 설치하여 회전축(10-1)의 주위에 복수개의 배출실(10-3)을 구성하고, 복수형성되어 있는 곡류용 유로(4)와 동수의 배출로우터(10)를 곡류용 유로(4)의 유출쪽부분에 회전자재하게 축걸침시키고, 상기한 유로(4)를 흘러내려오는 건조곡류를 건조곡류용 호퍼(14)내에 배출시키도록 한다.
배출로우터(10)는, 제1도, 제1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10-1)의 양끝부근을 건조실(1)의 좌우 양측실벽에 베어링(도시않음)을 개재하여 회전자재하게 축걸침시키고 한개의 회전축(10-1)의 한쪽끝부분을 체인, 벨트 등의 전동부재(10-4)로 기어드 모우터(geared motor)(10-5)에 연결함과 아울러, 각 회전축(10-1)의 한쪽끝부분에 걸쳐 상기한 전동부재를 걸쳐놓고(이 전동부재를 걸친 구조는 도시않함), 대항시켜 배출로우터(10)가 각각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구동회전하도록 배설되고, 배출간극조정판(11)위에 낙하한 건조곡류를 배출시키도록 한다.
배출간극조정판(11)은, 제11도, 제1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단면이
Figure kpo00001
자 형의 세로변을 비스듬하게 한단면
Figure kpo00002
형판으로 성형함과 아울러, 제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건조실(1)의 대략 좌우폭 만큼의 길이칫수로 성형하고, 또한 제11도, 제12도-제1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배출로우터(10)의 아래쪽에 배설했을 때 배출덕트(3)쪽으로된 외면상부에 축받이관(軸受管) (11-1)을 전체길이에 걸쳐서 고정시켜 구성한다.
배출간극조정판(11)은, 축받이관(11-1)에 배출간극조정축(12)을 관통고정하고, 배출로우터(10)의 아래쪽에서 배출간극조정축(12)의 양쪽부분을(건조실) (1)의 좌우양측 실벽에 베어링(도시않음)을 개재하여 회전자재하게 축받침시키고 건조실(1)의 상기한 실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시켜, 그들 양쪽돌출끝 부분중, 한쪽의 돌출끝부분에 회전조작레버(13)를 부착하고, 배출로우터(10)의 아래쪽에서 배출덕트(3)쪽으로부터 열풍덕트(2)쪽으로 향해서 배출간극조정판(11)을 부착하여, 회전조작레버(13)를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회전중심으로 되는 배출간극조정축(12), 축받이관(11-1) 등을 개재하여 배출간극조정판(11)이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 방향의 하향으로 회전하고, 배출로우터(10)와의 배출간극이 크게 열려서 조정되며, 배출로우터(10)와의 사이에 꽉차있는 이물, 불순물 혹은 최종적으로 남는 곡류 등이 배출되도록 구성한다.
배출간극조정판(11)의 외면상부에 부착되는 축받이관(11-1)의 고정수단은, 상기한 조정판(11)의 배출덕트쪽 외면상부에서, 상기한 조정판(11)의 길이방향으로 적당간격을 두고 고착시키는 복수의 축받이편(軸受片) (11―2)에 용접고착시키고, 상기한 축받이관(11―1)과 배출간극조정축(12)과의 고정수단은, 용접, 탭볼트(tap bolt)체결 등 임의의 수단을 채용한다.
배출간극조정판(11)은, 회전조작레버(13)에 조작에 의하여, 배출간극조정축(12)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고, 배출로우터(10)와의 배출간극이 크게(장해배제시) 혹은 작게(정상적인 상태) 조정되지만, 정상상태인 작은 배출간극은, 건조실(1)과 회전조작레버(13)에 걸쳐서 설치되는 배출간극 유지부재에 의하여 유지된다.
회전조작레버(13)는, 한쪽끝부분을 배출간극조정축(12)의 한쪽돌출 끝부분에 도시하지 않은 키이(key)를 사용해서 탭볼트 체결하여 부착되고, 제12도, 제1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다른끝부분에 헐거운 구멍(clearance hole) (13-1)을 관통시켜서 구성하며, 배출로우터(10)와 배출간극조정판(11)과의 배출간극이 정상상태(작게)로 되도록 회전조작레버(13)를 위치결정하고, 그 위치결정된 회전조작레버(13)의 헐거운 구멍(13―1)에 대향하는 건조실(1)의 한쪽실벽외면의 대향부위(제1도에서 좌측실벽외면의 헐거운 구멍 대향부위, 제12도에서 하측실벽외면의 헐거운 구멍 대향부위)에 단면이
Figure kpo00003
자 형인 유지판(15)을 용접고정시켜, 회전조작레버(13)의 반(反)건조실쪽(제1도에서 왼쪽, 제12도에서 아래쪽)으로부터 헐거운 구멍(13-1)으로 관통시킨 손잡이 부착나사 막대로된 유지막대(16)를 유지판(15)의 나사구멍에 나사결합시키고, 회전조작 레버(13)를 소정위치에 유지시켜서, 배축간극 조정축(12), 축받이관(11―1), 축받이편(11―2) 등을 개재하여, 배출간극조정판(11)를 소정위치로 유지시키고, 그 조정판과 배출로우터(10)와의 배출간극을 정상 상태(작게)로 유지시킨다.
이 경우의 배추간극 유지부재는, 나사구멍을 보유하는 유지판(15), 손잡이 부착나사 막대로 구성된 유지막대(16) 등이다. 유지막대(16)는, 배출로우터(10)와 배출간극조정판(11)과의 사이에 발생된 장해를 배제할 때에 유지판(15)으로부터 뽑아낸다. 상기한 배출간극 유지부재는, 제1도, 제11도, 제12도에 한예를 표시한 것이고, 다음에 제14도에 표시한 다른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관통구멍이 뚫린 평판으로된 유지판(15)을 건조실(1)의 한측실벽외면에 돌출설치하고, 회전조작레버(13)의 다른쪽끝부분에 뚫린 헐거운구멍(13―1)에 낚시바늘 모양인 유지막대(16)의 한쪽끝이 굴곡부을 걸고, 그 유지막대의 다른끝쪽을 유지판(15)의 관통구멍에 관통시켜서 회전조작레버쪽과 반대쪽으로 돌출시키고, 그 돌출된 다른끝쪽에 코일스프링(17)을 감아서 장착시킴과 아울러, 그 스프링용인 한쌍의 받침편(18)을 슬라이드 자재하에 뚫어서 끼우고, 또 다른끝부분에 코일스프링(17) 및 받침편(18)의 탈락방지를 위해 고정편(19)를 고착시켜서 구성하며, 도시한 코일스프링(17)이 탄발긴장 하고 있을 때는 유지막대(16)가 회전조작레버(13)에 걸어맞추고, 그 조작레버 배출간극조정판(11)이 소정위치를 유지하여 전기한 배출간극을 정상상태(작게)로 유지시켜 배출로우터(10)와 배출간극조정판(11)과의 사이의 장해배제의 필요성이 발생되었을 때는, 고정편(19)을 유지판(15)에 향해서 누르면, 코일스프링(17)의 탄발력에 반항하여 유지막대(16)가 밀리므로 회전조작막대(13)의 헐거운구멍(13-1)으로부터 유지막대(16)의 굴곡부를 풀어 걸어맞춤을 해제하여, 회전조작레버(13)를 회전조작해서 장해를 제거시킨다.
그리고, 장해제거 작업이 끝나면, 유지막대(16)의 굴곡부를 재차 회전조작레버(13)의 헐거운구멍(13-1)에 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건조장치의 건조실(1)내에 연속투입되어 건조된 곡류에 이물 혹은 불순물이 혼입되어 있고 건조 곡류배출기능에 장해가 발생되었을 때는, 제1도와 같이 건조실 바깥쪽의 회전조작레버(13)를 회전조작하면, 배출간극조정판(11)이 하향회전되고, 전기한 이물 혹은 불순물이 낙하되어 배출된다. 또, 배출간극조정판(11)위에 최종적으로 남은 곡류를 배출시키려고 할 경우도 회전조작레버(13)를 상기와 같은 모양으로 회전조작하면,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건조실내의 건조장치를 서술한 바와같이 구성하였으므로, 건조용 열풍이 횡단하는 곡류용 유로속에 곡류를 연속유하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그 유동 과정중에 곡류를 고온쪽과 저온쪽으로 지그재그하게 유동시키면서 혼합시킬 수 있고, 지그재그 유동과 수직낙하로 분배하면서 혼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모든 곡류가 균등하게 건조용 열풍에 접촉하므로, 건조가 고른 균일한 건조를 능률좋게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건조용 열풍 발생장치를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하므로, 내통으로부터 송풍되는 열풍과, 외통내로 도입된 외기가, 뒤섞여져 난류가 발생하여, 효과적으로 혼합되어, 균일한 온도의 열풍이 송풍된다.
따라서, 이 열풍으로 곡류를 건조하면, 입자의 깨어짐, 아미노산의 감소 등 이라고하는 품질저하가 없는 건조곡류가 얻어지게 된다. 더욱이 건조곡류 배출장치를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하였으므로, 건조곡류용 호퍼안으로 출입하지 않고, 건조실 바깥쪽에서 회전조작 레버를 회전조작하여, 배출간극조정판을 회전조작시킬 수 있다.
따라서, 건조곡류에 혼입하고 있는 이물, 불순물 혹은 최종적으로 남는 곡류를 건조실 및 건조곡물용 호퍼의 바깥쪽에서 용이하게 배출제거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곡류의 불균일한 건조의 우려없이, 능률좋게 건조할 수 있고, 또한 입자의 깨어짐, 아미노산 저하 등 품질저하를 걱정할 것 없이 건조할 수 있으며, 또 건조곡류에 혼입하고 있는 이물, 불순물 혹은 최종적으로 남는 곡류를 건조실 바깥쪽 또는 건조곡류용 호퍼 바깥쪽에서 용이하게 배출제거시킬 수 있다고 하는 유익한 곡류건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

  1. 곡류투입부(9)를 상부에 보유하고 있는 건조실(1)내에, 건조용 열풍을 옆쪽으로 향해서 불어내는 적당수의 열풍덕트(2)와, 그 열풍덕트(2)로부터 불어내어진 건조용 열풍을 흡인하여 배출하는 적당수의 배출덕트(3)를 교대로 대향하여 세워 설치하고, 그 양쪽덕트 상호간에 건조용 열풍이 횡단하는 곡류용 유로(4)를 형성하고, 또한 그 양쪽덕트의 곡류용 유로(4)쪽 대향면에 각각 복수장의 완충플레이트(5)를 높이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배설함과 아울러, 하향경사되게 배설하며, 그 각 완충플레이트(5)마다 곡류용 분배슬릿(6)을 2개 이상의 다른 갯수씩 뚫어서 설치하며, 더욱이 전기한 건조실의 한쪽으로, 건조용 열풍을 난류송풍하는 건조용 열풍발생로(7)의 송풍구를 연통시키고, 다른쪽에 배풍기실(8)을 연통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류건조장치.
  2. 곡류투입부(9)를 상부에 보유하고 있는 건조실(1)내에, 건조용 열풍을 옆쪽으로 향해서 불어내는 적당수의 열풍덕트(2)와, 그 열풍덕트로부터 불어내어진 건조용 열풍을 흡인하여 배출하는 적당수의 배출덕트(3)를 고대로 대향하여 세워 설치하고, 그 양쪽덕트 상호간에 건조용 열풍이 횡단하는 곡류용 유로(4)를 형성하며, 그 곡류용 유로(4)의 유출쪽 끝부분에 배출로우터(10)와, 그 배출로우터(10)의 아래쪽에서 배출덕트(3)쪽으로부터 열풍덕트(2)쪽으로 향해서 배출간극조정판(11)을 설치하여, 그 배출간극조정판(11)의 배출덕트(3)쪽 외면상부 배출간극조정축(12)을 고정하고, 이 배출간극고정축(12)용의 회전조작레버(13)를 전기한 건조실(1)의 바깥쪽에 배설하며, 더욱이 전기한 건조실(1)의 한쪽에, 건조용 열풍을 난류송풍하는 건조용 열풍발생로(7)의 송풍구를 연통시키고, 다른쪽에 배풍기실(8)을 연통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류건조장치.
  3. 곡류투입부(9)를 상부에 보유하고 있는 건조실(1)내에, 건조용 열풍을 옆쪽으로 향해서 불어내는 적당수의 열풍덕트(2)와, 그 열풍덕트(2)로부터 불어내어진 건조용 열풍을 흡인하여 배출하는 적당수의 배출덕트(3)를 서로 교대로 대항하여, 세워 설치하고, 그 양쪽덕트 상호간에 건조용 열풍이 횡단하는 곡류용 유로(4)를 형성하여, 그 양쪽덕트의 곡류용 유로(4)쪽 대향면에 각각 복수장의 완충플레이트(5)를 높이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배설함과 아울러, 하향경사되게 배설하며, 그 각 완충플레이트(5)마다 곡류용분배슬릿(6)을 2개 이상의 다른갯수씩 뚫어서 설치하고, 더욱이 전기한 곡류용 유로(4)의 유출쪽 끝부분에 배출로우터(10)와, 그 배출로우터(10)의 아래쪽에서 배출덕트(3)쪽으로부터 열풍덕트(2)쪽으로 향해서 배출간극조정판(11)을 설치하여, 그 배출간극조정판(11)의 배출덕트(3)쪽 외면상부에 배출간극조정축(12)을 고정하고, 이 배출간극조정축(12)용의 회전조작레버(13)를 전기한 건조실(11)의 바깥쪽에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류건조장치.
  4. 곡류투입부(9)를 상부에 보유하고 있는 건조실(1)내에, 건조용 열풍을 옆쪽으로 향해서 불어내는 적당수의 열풍덕트(2)와, 그 열풍덕트(2)로부터 불어내어진 열풍을 흡인하여 배출하는 적당수의 배출덕트(3)를 교대로 대향하여 세워 설치하고, 그 양쪽덕트 상호간에 건조용 열풍이 횡단하는 곡류용 유로(4)를 형성하여, 그 양쪽덕트의 곡류용 유로(4)쪽 대향면에 각각 복수장의 완충플레이트(5)를 높이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배설함과 아울러, 하향경사되게 배설하고, 그 각 완충플레이트(5)마다 곡류용분배슬릿(6)을 2개 이상의 다른갯수씩 뚫어서 설치하고, 전기한 곡류용 유로(4)의 유출쪽 끝부분에 배출로우터(10)와, 그 로우터(10)의 아래쪽에서 배출덕트(3)쪽으로부터 열풍덕트(2)쪽으로 향하여 배출간극조정판(11)을 설치하여, 그 배출간극조정판(11)의 배출덕트(3)쪽 외면상부에 배출간극조정축(12)을 고정하고, 이 배출간극조정축(12)용의 회전조작레버(13)를 전기한 건조실(1)의 바깥쪽에 배설하며, 더욱이 전기한 건조실(11)의 한쪽에, 건조용 열풍을 난류송풍하는 건조용 열풍발생로(7)의 송풍구를 연통시키고, 다른쪽에 배풍기실(8)을 연통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류건조장치.
KR1019880018207A 1988-11-04 1988-12-31 곡류건조장치 KR9100026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280147 1988-11-04
JP63280147A JPH02126090A (ja) 1988-11-04 1988-11-04 穀類乾燥装置
JP?63-280147 1988-11-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7334A KR900007334A (ko) 1990-06-01
KR910002661B1 true KR910002661B1 (ko) 1991-05-03

Family

ID=17620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8207A KR910002661B1 (ko) 1988-11-04 1988-12-31 곡류건조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02126090A (ko)
KR (1) KR910002661B1 (ko)
CN (1) CN1019328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3338A (ko) * 2008-09-19 2010-03-29 가부시끼가이샤 사따께 곡류 건조 방법 및 곡류 건조기
KR100981316B1 (ko) * 2007-07-20 2010-09-10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건조기
CN103148691A (zh) * 2013-04-01 2013-06-12 成都金卓农业股份有限公司 种子烘干塔
CN106225457A (zh) * 2016-07-28 2016-12-14 合肥三伍机械有限公司 一种新型冷热双风道干燥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38619A (zh) * 2015-06-18 2015-09-30 河南中农福安农业装备有限公司 物料烘干设备
CN107631623A (zh) * 2017-09-29 2018-01-26 安徽森米诺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粮食烘干装置
CN107702511B (zh) * 2017-11-23 2022-11-25 湖北金炉节能股份有限公司 一种内循环洁净型煤干燥机
CN109764672A (zh) * 2018-12-20 2019-05-17 安徽省久泰农业装备有限公司 一种间隙可调的拨粮机构
CN112340260A (zh) * 2020-11-10 2021-02-09 湖南洞庭春米业有限公司 一种用于大米长期存储用的储藏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05551A (ko) * 1969-02-17 1973-02-07
JPS5334297Y2 (ko) * 1976-07-26 1978-08-23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316B1 (ko) * 2007-07-20 2010-09-10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건조기
KR20100033338A (ko) * 2008-09-19 2010-03-29 가부시끼가이샤 사따께 곡류 건조 방법 및 곡류 건조기
CN103148691A (zh) * 2013-04-01 2013-06-12 成都金卓农业股份有限公司 种子烘干塔
CN103148691B (zh) * 2013-04-01 2015-02-25 成都金卓农业股份有限公司 种子烘干塔
CN106225457A (zh) * 2016-07-28 2016-12-14 合肥三伍机械有限公司 一种新型冷热双风道干燥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9328B (zh) 1992-12-02
KR900007334A (ko) 1990-06-01
CN1042408A (zh) 1990-05-23
JPH02126090A (ja) 1990-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24634A (en) Modular column dryer for particulate material
US5195251A (en) Drying kiln
US4423557A (en) Gravity flow dryer for particulate material having channelized discharge
KR910002661B1 (ko) 곡류건조장치
US4463503A (en) Grain drier and method of drying grain
US2085842A (en) Method and means for drying lightweight materials
JPS5934948B2 (ja) 粒子体乾燥塔の定量排出装置
US4398356A (en) Multi-stage dryer for particulate material
US6367163B1 (en) Hot air dryer
JPS5942224B2 (ja) 湿つた材料を乾燥するように動作する装置
JP2001323408A (ja) アスファルトプラントの骨材乾燥装置
CA1180182A (en) Air heating apparatus
US6196710B1 (en) Dust distributor for asphalt mixing machine
CA1176053A (en) Multi-stage particulate material dryer
US4463504A (en) Grain drier and method of drying grain
KR0135062B1 (ko) 열풍건조방법 및 그 장치
KR100212440B1 (ko) 유동층을 이용한 건조물의 건조 방법 및 장치
RU2300064C2 (ru) Сушилка конвейерная для зерна
US846574A (en) Peat-drier.
US2579607A (en) Continuous drier
JPH07177869A (ja) 刻みたばこの回転シリンダ型調湿機
US2639515A (en) Drier and method
CA1195108A (en) Multi-stage particulate material dryer having channelized discharge
SU1490408A1 (ru) Установка дл проведени процессов тепломассообмена
US199793A (en) Improvement in grain-dri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4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