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5062B1 - 열풍건조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열풍건조방법 및 그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5062B1
KR0135062B1 KR1019940001130A KR19940001130A KR0135062B1 KR 0135062 B1 KR0135062 B1 KR 0135062B1 KR 1019940001130 A KR1019940001130 A KR 1019940001130A KR 19940001130 A KR19940001130 A KR 19940001130A KR 0135062 B1 KR0135062 B1 KR 0135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rotating drum
air
dried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1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9595A (ko
Inventor
히데카즈 히라이
Original Assignee
구메다 태루오
가부시끼 가이샤 구메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메다 태루오, 가부시끼 가이샤 구메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구메다 태루오
Publication of KR950019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9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5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50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3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rotary or oscillating containers; with movement performed by rotary floors
    • F26B17/3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rotary or oscillating containers; with movement performed by rotary floors the movement being in a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pl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bstract

투입구(34)로부터 피건조물(5)을 회전하는 회전드럼(3)의 교반드럼(6)내로 투입한다. 에어 히터(30)를 개재하여 송풍기(31)로부터의 열풍을 펀칭판(32)을 통하여 흡기덕트(22)로 송풍한다. 흡기덕트(22)의 각 송풍로(24),(24)의 개방도를 소정의 개방도로서 각 풍량조절수단(25)을 조정한다.
열풍은 회전드럼(3)의 축방향 바로 아래의 개구부(24a)로부터 축방향 양쪽의 개구부(24a)를 따라서 송풍량을 적은 상대로, 덮개체(17)내의 회전드럼(3)으로 송풍한다. 열풍은 통기공(2)을 통하여 회전드럼(3)내에 직경방향의 아래편에서 위편으로 송풍하고, 피건조물(5)을 불어 올려 상하방향으로 유동시켜 회전한다. 피건조물(5)은 상면이 대략 수평방향으로 되어 건조 이송한다.
피건조물(5)의 입자 사이로 열풍이 통과하여, 피건조물(5)을 불문하고 양호하게 단시간에 효율좋도록 건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열풍건조방법 및 그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열풍건조장치의 1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를 절결한 단면도
제2도는 상기의 일부를 절결한 사시도
제3도는 종래의 열풍건조장치의 1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를 절결한 단면도
제4도는 상기의 일부를 절결한 사시도
제5도는 종래의 열풍건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를 절결한 단면도
제6도는 상기의 일부를 절결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열풍건조장치 2:통기공
3:회전드럼4:받이차
5:피건조물6:교반드럼
7:교반자9:배출조정판
10:관측공11:꺼내기 구멍
12:꺼내기 조정판13:회전받이 기어
14:동력기어16:가열실부
17:덮개체18:배기구
19:흡기구21:배기덕트
22:흡기덕트23:벽체
24:송풍로24a:개구부
25:풍량조절수단27:폐쇄판
28:축부29:열풍송풍기
30:에어 히터31:송풍기
32:펀칭판34:투입구
35:슈트36:배출구
37:출구피드41:열풍건조장치
42:통기공43:이송판
44:건조실45:덕트
46:배기구47:피건조물
48:투입구49:교반장치
50:배출구51:뚜껑체
61:열풍건조장치62:통기공
63:회전드럼64:교반드럼
65:가열실부65a:제1가열실
65b:제2가열실66:배기구
67:송풍구68:피건조물
69:투입구70:슈트
71:배출구72:출구피드
본 발명은, 회전에 의하여 교반 이송되는 피건조물을 열풍에 의해 건조시키는 열풍건조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컨대 주사위모양의 떡이나, 스낵등의 가공식료품, 또는 샤모트등의 무기재료등을 열풍으로 건조시키는 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제 3 도 및 제 4 도에 도시한 열풍건조장치(41)는 무수한 통기공(42)이 뚫린 평판형상의 이송판(43)으로 바닥면을 구성하는 건조실(44)을 구획 형성하고, 이 이송판(43)의 아래편에 도시하지 안은 열풍송풍기로부터의 열풍을 건조실(44)내로 통기공(43)을 통하여 송풍하는 덕트(4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건조실(44)의 위편에는 건조실(44)내로 송풍된 열풍을 배기시키기 위한 배기구(46)가 형성되어 있다.
또, 건조실(44)의 상류쪽에는 피건조물(47)을 투입하는 투입구(48)가 개구형성되고, 이 투입구(48)의 아래편에 건조실(44)내에 투입된 피건조물(47)을 교반하는 교반장치(4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건조실(44)의 하류쪽에는 건조된 피건조물(47)을 배출시키는 배출구(50)가 개구되고, 이 배출구(50)에는 상하운동이 가능하도록 뚜껑체(5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피건조물(47)의 건조에 있어서, 먼저 열풍송풍기를 구동시켜 덕트(45)를 통하여 건조실(44)내로 열풍을 송풍한다. 다음에, 교반장치(49)를 구동시켜 투입구(48)로부터 피건조물(47)을 투입한다. 그리고, 피건조물(47)은 열풍에 의하여 불려 올라가 이송판(43)위를 상하운동하면서 확산한다. 또한, 열풍에 의하여 건조되어 배출구(50)로 이송된 피건조물(47)은 뚜껑체(51)로서 적당한 개방도로 조정된 배출구(50)로부터 열풍건조장치(41) 밖으로 배출된다.
또한, 건조시간이나 시간당 건조량을 뚜껑체(51)로서 배출구(50)의 개방도를 조절함으로써 행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제 3 도 및 제 4 도에 도시한 종래의 열풍건조장치(41)에서는 피건조물(47)을 열풍에 의하여 불어 올려져서 이송판(43) 위를 상하운동하면서 이송하기 때문에, 입자지름이 0.3∼4mm 정도이고, 또한 입자형상이 가지런한 피건조물(47)이 아니면, 균일하게 건조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이자지름형상이 가지런하지 않더라도 균일하게 건조할수 있는 열풍건조장치로서 제 5 도 및 제 6 도에 도시한 구조의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제 5 도 및 제 6 도에 도시한 구조의 열풍건조장치(61)는 양끝단이 개구된 둘레면에 다수의 둥근구멍의 통기공(62)를 뚫은 원통형상의 회전드럼(63)을 수평방향보다 약간 경사하여 모우터등의 구동수단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또, 회전드럼(63)내에는 양끝단이 개구하여 통기 가능하게 그물형상으로 축방향을 따라 파형의 통형상의 교반드럼(64)이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열풍건조장치(61)는 회전드럼(63)을 내포하여 각기둥형상의 가열실부(65)가 설치되어 있다. 또, 가열실부(65)는 회전드럼(63)의 한 끝단 상류쪽에 제 1 가열실(65a), 다른 끝단 하류쪽에 제 2 가열실(65b)로 구획형성되며, 각 가열실(65a),(65b)에는 상면에 배기구(66),(66)가 각각 개구되고, 아래면에 송풍구(67),(67)가 개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송풍구(67),(67)에는 도시하지 않은 에어 히터를 개재하여 송풍기가 부착되어 있다.
또, 회전드럼(63)의 한 끝단 상류쪽에는 회전드럼(63)의 개구를 폐쇄하도록 상단에 위편을 향하여 개구되고, 피건조물(68)이 투입되는 투입구(69)를 가지는 슈트(70)가 마련된 입구피드가 설치되어있다. 또한, 회전드럼(63)의 다른 끝단 하류쪽에는, 회전드럼(63)의 개구를 폐쇄하도록 하단에 건조된 피건조물(68)을 배출시키는 배출구(71)가 개구된 출구피드(7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피건조물(68)의 건조에 있어서, 먼저 회전드럼(63)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송풍기를 구동하여 에어 히터로서 열풍을 송풍구(67)로부터 가열실(65)내로 송풍하여 가열실(65)내를 가열한다. 다음에, 피건조물(68)을 슈트(70)의 투입구(69)로부터 회전하는 회전드럼(63)내로 투입한다. 그리고, 피건조물(68)은 교반드럼(64)으로서 교반 이송되면서, 회전드럼(63)내로 통기공(62)를 통하여 유입되는 열풍에 의해 건조되는, 출구피드(72)의 배출구(71)로부터 배출된다.
그런데, 상기 제 5 도 및 제 6 도에 도시한 종래의 열풍건조장치(61)에 있어서, 피건조물(68)을 건조시킬 때, 피건조물(68)은 회전하는 회전드럼(63)내에서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이 경사한 상태로 반원회전 형상으로 교반 이송되므로, 회전드럼(63)의 단면적에 대한 피건조물(68)이 점하는 비율을 많게 하면, 피건조물(68)의 두께가 두꺼위지고, 건조상태가 불균일하게 되기 때문에, 피건조물(68)의 건조량이 제한된다.
한편, 양호한 건조상태를 유지하고, 건조량을 증대시키기 위하여서는 회전드럼(63)의 직경방향의 칫수 및 축방향의 길이 칫수를 길게 해야만 하므로, 열풍건조장치(61)가 대형화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피건조물의 상태를 불문하고, 소형의 장치로서 효율좋고 양호하게 건조할 수 있는 열풍건조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허청구의 범위 제 1 항에 기재된 열풍건조방법은, 외주면에 복수의 통기공을 가지며, 피건조물이 수용되는 원통형상의 회전드럼이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회전드럼의 아래편으로부터 위편을 향하여 상기 통기공을 개재하여 열풍을 송풍하는 열풍건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아래편에서 위편으로 향하여 열풍이 송풍되도록 하는 송풍로가 복수로 구획 형성되고, 피건조물이 가장 두꺼운 부분인 상기 회전드럼의 축방향 바로 아래의 중앙위치는 송풍로를 통한 송풍량을 가장 강하게 하고, 상기 축방향 바로 아래의 중앙위치에서 피건조물이 얇은 부분인 축방향 양쪽으로 향하여 송풍로를 통한 송풍량을 적게 하는 것이다.
특히청구의 범위 제 2 항에 기재된 열풍건조장치는, 외주면에 복수의 통기공이 형성되고, 피건조물이 수용되는 원통형상의 회전드럼과, 이 회전드럼을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회전드럼의 아래편에 배설되고, 상기 회전드럼에 아래편으로부터 열풍을 송풍하는 열풍송풍수단을 구비한 열풍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열풍송풍수단은, 열풍송풍기와, 한 끝단에 상기 열풍송풍기가 설치되고, 다른 끝단이 상기 회전드럼의 아래편에 이 회전 드럼의 축방향을 따라서 복수 구획하여 개구된 개구부를 가지는 덕트와, 상기 각 개구부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상기 열풍송풍기로부터 풍량을 가변가능한 풍량조절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특허청구의 범위 제 1 항에 기재한 열풍건조방법은 열풍의 송풍량이 회전되는 회전드럼의 축방향의 대략 바로 아래에서 가장 세고, 축방향의 양쪽을 향하여 적어지도록 회전드럼내에 아래편으로부터 위편으로 외주면에 복수로 뚫린 통기공을 통하여 열풍을 송풍하기 때문에, 피건조물이 가장 두꺼운 축방향의 바로 아래에서 풍량이 많고, 피건조물이 얇은 주변부에서는 풍량이 적으므로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피건주물이 상하운동함과 동시에, 회전 교반되므로 어떤 피건조물도 양호하게 건조됨과 동시에, 건조량이 증대하고, 건조효율이 향상된다.
특허청구의 범위 제 2 항에 기재한 열풍건조장치는, 회전드럼의 축방향을 따라서 복수 구획된 개구부에 설치한 풍량조절수단으로서, 각 개구부의 풍량을 적당히 가변시키고, 열풍송풍기로부터의 열풍을 구동수단으로 회전되는 회전드럼의 통기공에 덕트의 각 개구부를 통하여 아래편으로부터 송풍하기 때문에, 회전드럼이 교반 이송되는 피건조물을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상하운동됨과 동시에 회전시킴으로써, 어떤 피건조물도 양호하게 건조됨과 동시에, 건조량이 증대하고 건조효율이 향상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열풍건조장치의 1 실시예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 도 및 제 2 도에서, 부호 (1)는 열풍건조장치로서, 이 열풍건조장치(1)는 양단이 개구하고 있는 둘레면에 다수의 둥근 구멍의 통기공(2)이 뚫린 원통형상의 회전드럼(3)이, 이 회전드럼(3)이, 이 회전드럼(3)의 양끝단 근방에 설치된 4개의 받이차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피건조물(5)이 투입되는 긴쪽방향의 상류쪽이 위편에 위치하도록 수평방향보다 약간 경사져 있다.
또한, 이 회전드럼(3)내에는 양 끝단이 개구하고, 통기 가능하도록 그물형상으로 원통형의 교반드럼(6)이, 회전드럼(3)의 내주면에 끼워맞춤되도록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드럼(3)의 내주면에는 중심을 향하여 원주형상으로 돌출하는 교반자(7)가 복수설치되어 있다.
또, 회전드럼(3)의 하류쪽의 끝단부에는, 개구를 폐쇄하도록 하여 건조된 건조물을 배출하는 배출조정판(9)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배출조정판(9)에는 대략 중앙에 원형형상의 관측공(10)이 개구 형성되어 회전드럼(3)내를 관찰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배출조정판(9)의 둘레에는, 각각 직교방향으로 위치하여 꺼내기 구멍(11)이 개구 형성되고, 이들 꺼내기 구멍(11) 에는 도시하지 않은 모우터등의 구동수단에 의하여 미끄럼운동이 가능하도록 꺼내기 조정판(12)이 부착되어, 꺼내기 구멍(11)의 개방도를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회전드럼(3)의 양끝단 근방의 외주면에는 회전받이기어(13)가 형성되어 있다. 이 회전받이 기어(13)에는 도시하지 않은 모우터등의 구동으로 회전되는 구동수단으로서의 동력기어(14)가 맞물려지고, 회전드럼(3)이 이 동력기어(14)에 의하여 회전받이 기어(13)를 통하여 회전하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열풍건조장치(1)에는, 회전드럼(3)의 상류쪽 및 하류쪽의 받이차(4),(4)로 지지되어 있는 사이의 회전드럼(3)을 내포하도록 각기둥형상의 가열실부(16)가 설치되어 있다. 또, 이 가열실부(16)내에는 회전드럼(3)의 회전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회전드럼(3)을 내포하는 대략 통형상의 덮개체(1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덮개체(17)에는 상면에 배기구(18)가 개구 형성되고, 이 배기구(18)에 회전드럼(3)을 개재하여 대향하는 아래면에는 흡기구(19)가 개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덮개체(17)의 배기구(18)에는 가열실부(16)의 상면을 관통하여 위편으로 돌출하는 배기덕트(2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배기덕트(21)의 상단쪽에는 도시하지 않은 배풍기가 부착되고, 배풍기로부터의 배기를 처리하여 배출하는 배기탑에 연이어 통한다.
또, 흡기구(19)에는 가열실부(16)의 아래면을 관통하여 아래편으로 돌출하는 흡기덕트(2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흡기덕트(22)내에는 평면이 회전드럼(3)의 축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벽체(23)가 설치되고, 이들 벽체(23)에 의하여 회전드럼(3)의 축방향을 따라 송풍로(34)가 복수 구획 형성되어 앞끝단에는 구획에 대응하여 개구부(24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송풍로(24),(24)의 아래끝단 근방에는 풍량조절수단(25),(25)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풍량조절수단(25)은 송풍로(24)의 끝단부에, 평판형상의 폐쇄판(27)의 긴쪽방향의 대략 중앙에, 도시하지 않은 모우터등으로 회전되는 원주형상의 축부(28)가 일체로 설치되어서 형성되고, 폐쇄판(27)에 의하여 송풍로(24)의 개방도를 각각 가변 가능하도록 축부(28)의 양끝단이 송풍로(24)내에 축지지되어 있다.
또, 각 흡기덕트(22),(22)의 하단부에는, 열풍송풍기(29)가 각각 부착되어 있다. 이 열풍송풍기(29)는 에어 히터(30),(30)를 개재하여 도시하지 않은 에어필터가 설치한 송풍기(31),(31)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에어 히터(30),(30)와 풍량조절수단(25),(25)과의 사이에는 흡기덕트(22)의 하단부를 폐쇄하도록 둥근 구멍이 복수개 뚫린 펀칭판(32)이 설치되고, 흡기덕트(22)의 단면에 대하여 에어 히터(30)를 개재하여 송풍기(31)로부터의 열풍량이 대략 균일하게 되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에어 히터(30)를 개재하여 송풍기(31)로부터의 열풍이, 흡기덕트(22)를 통하여, 회전드럼(3)의 축방향의 바로 아래로부터 축방향의 양쪽의 개구부(24a)를 따라 적어지도록, 즉 회전드럼(3)의 하단에 대향하여 개구하는 송풍로(24)로부터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송풍로(24)를 따라서 열풍량이 적어지도록 풍량조절수단(25)의 개방도가 설정된다.
또, 가열실부(16)의 한 끝단 상류쪽에는 회전드럼(3)의 상류쪽의 개구를 폐쇄하듯이 도시하지 않은 입구피드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입구피드에는 상단에 위편을 향하고 개구하고, 피견조물(5)이 투입되는 투입구(34)가 개구 형성되고, 하단에는 회전드럼(3)내의 교반드럼(6)내로 돌출하는 통형상의 슈트(35)가 설치되어있다.
또한, 가열실부(16)의 다른 끝단 하류쪽에는, 회전드럼(3)의 하류쪽의 개구를 폐쇄하듯이 하단에 건조된 피건조물(5)이 배출되는 배출구(36)를 개구형성하는 출구피드(37)가 설치되어 있다.
또, 출구피드(37)에는 회전드럼(3)의 배출조정판(9)의 관측공(10)에 대향하는 도시하지 않은 관측공이 형성되고, 이 관측공(10)을 통하여 회전드럼(3)내부를 관찰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입구피드 및 출구피드(37)는, 회전드럼(3)의 회전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배열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각 배풍기 및 송풍기(31),(31)를 구동시켜, 도시하지 않은 에어필터를 통하여 흡인된 공기를 각 에어 히터(30),(30)로 가열하고, 이 열풍을 펀칭판(32)을 통하여 흡기덕트(22)로 송풍한다. 한편, 흡기덕트(22)의 각 송풍로(24),(24)의 개방도가 소정의 개방도로 되도록 각 풍량조절수단(25),(25)을 조정한다.
또, 흡기덕트(22)로 송풍된 열풍은 흡기덕트(22)를 통하여 열풍건조장치(1)의 가열실부(16)로 송풍한다.
그리고, 열풍건조장치(1)의 출구슈트(37)의 투입구(34)로부터 피건조물(5)을 입구피드를 통하여 모우터등으로 회전되는 동력기어(14)에 의하여 회전받이 기어(13)를 통하여 회전하는 회전드럼(3)의 교반드럼(6)내로 투입한다.
또한, 건조조건은 피건조물(5)의 조성이나, 형상등의 조건에 의하여 열풍온도, 풍량조절수단(25),(25)의 개방도에 의한 열풍량, 배출조정판(9)의 꺼내기 구멍(11)의 개방도에 의한 건조물(5)의 배출량등을 적당히 변화시켜서 설정한다.
또, 열풍은 풍량조절수단(25),(25)에 의하여, 회전드럼(3)의 축방향의 바로 아래로부터 축방향의 양쪽을 따라 송풍량이 적어지도록 흡기덕트(22)의 각 송풍로(24),(24)로부터 개구부(24a),(24a)를 통하여 흡기구(19)로부터 덮개체(17)내의 회전드럼(3)으로 송풍된다. 또한, 열풍의 송풍상태는 피건조물(5)이 표면에서 급격히 건조되지 않도록, 예컨대 회전드럼(3)의 교반드럼(6)내의 상류쪽이, 하류쪽보다 약간 온도가 낮아지도록 송풍된다.
또한, 열풍은 통기공(2),(2)을 통하여 회전드럼(3)내에 회전드럼(3)의 직경방향의 아래편에서 위편으로 송풍하고, 다시 통기공(2),(2)을 통하여 배기구(18)로부터 배기덕트(21)를 통과하여 배기된다.
그리고 피건조물(5)은 열풍의 송풍에 의하여 회전드럼(3)내에서 불려 올라가서 상하방향으로 움직임과 동시에, 회전드럼(3)의 회전에 의하여 교반자(7)로 교반되면서 회전한다. 또한 회전드럼(3)의 하단으로 대향하여 개구하는 송풍로(24)의 개구부(24a)로부터 바깥쪽에 위치하는 송풍로(24)의 개구부(24a)를 따라 열풍량이 적어지도록 풍량조절수단(25),(25)의 개방도가 설정되기 때문에, 회전드럼(3)내에서 피건조물(5)의 상면이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수평방향이 되도록 건조 이송한다.
이 때문에, 피건조물(5)의 입자 사이로 열풍이 통과하여, 피건조물(5)을 양호하게 단시간에 효율좋게 건조할 수 있다. 또, 입자지름이나 형상이 다른 피건조물(5)이라도 열풍에 의하여 불려 올라가면, 건조얼룩이 생기지 않고 확실하게 건조할 수 있고, 피건조물(5)의 상태를 불문하고 폭넓게 이용할 수 있다.
또, 회전드럼(3)의 하류쪽으로 건조 이송된 피건조물(5)은 적절히 개방도가 조정된 꺼내기 구멍(11)으로부터 출구피드(37)의 배출구(36)를 통하여 건조물로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송풍기에 의한 에어 히터(30),(30)를 개재한 열풍의 송풍량이, 동력기어(14)로 회전되는 회전드럼(3)의 축방향의 바로 아래의 개구부(24a)로부터 축방향의 양쪽의 개구부(24a)를 따라 적어지도록 회전드럼(3)내에 아래편으로부터 위편으로 외주면에 복수개 뚫은 통기공(2)을 통하여 열풍을 송풍하기 때문에 피건조물(5)이 상하로 유동함과 동시에 회전교반되므로, 양호하게 효율좋도록 건조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건조량을 증대할 수 있어, 열풍건조장치(1)을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피건조물(5)을 상하로 유동시키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회전 이송에 의하여 피건조물(5)이 비벼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피건조물(5)의 손상에 의한 생산수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열풍을 아래편으로부터 위편으로 송풍하고, 상하로 유동시키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회전교반중에 피건조물(5)이 통기공(2)을 폐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건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회전드럼(3)의 덮개체(17)로 덮기 때문에 열풍이 모두 회전드럼(3)내를 통과할 수 있어 건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단시간에 양호하게 건조할 수 있고, 열풍건조장치(1)를 소형화 할 수 있다.
또한, 풍량조절수단(25),(25)의 개방도 조정만으로 어떤 피건조물(5)이라도 상하로 유동할 수 있어 이용도를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교반자(7)는 봉형상에 한정하지 않고, 벽형상으로 설치한 것이나, 교반드럼(6)을 파도형상으로 형성시킨 것 등으로도 된다.
또, 배출조정판(9)을 설치하지 않고, 회전드럼(3)의 경사와 회전속도에 의하여 건조물의 배출량을 설정하도록 하여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열풍건조방법은, 열풍의 송풍량이 회전되는 회전드럼의 축방향의 대략 바로 아래에서 가장 세게 하고, 축방향의 양쪽을 향하여 적어지도록 회전드럼 내로 아래편으로부터 위편의로 통기공을 통하여 열풍을 송풍하기 때문에, 피건조물이 가장 두꺼운 축방향의 바로 아래에서 풍량이 많고, 피건조물이 얇은 주편부에서는 풍량이 적으므로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피건조물이 상하운동하과 동시에 회전교반되어, 어떠한 피건조물도 양호하게 건조할 수 있음과 동시에, 건조량을 증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열풍건조장치는, 회전드럼의 축방향을 따라서 복수 구획한 개구부를 통하여 풍량조절 수단으로서 각 개구부의 풍량을 적절히 가변시키고, 열풍송풍기로부터의 열풍을 회전드럼의 통기공에 아래편으로부터 송풍하기 때문에, 회전드럼의 교반이송되는 피건조물을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상하운동시킴과 동시에 회전시킴으로써, 어떠한 건조물도 양호하게 건조할 수 있음과 동시에, 건조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Claims (2)

  1. 외주면에 복수의 통기공(2)를 가지며, 피건조물이 수용되는 원통형상의 회전드럼(3)이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회전드럼(3)의 아래편으로부터 위편을 향하여 상기 통기공(2)를 통하여 열풍을 송풍하는 열풍건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회전드럼(3)의 아래편에서 위편으로 향하여 열풍이 송풍되도록 하는 송풍로(24)가 복수로 구획 형성되고, 피건조물이 가장 두꺼운 부분인 상기 회전드럼의 축방향 바로 아래의 중앙위치는 송풍로를 통한 송풍량을 가장 세게 하고, 상기 축방향 바로 아래의 중앙위치에서 피건조물이 얇은 부분인 축방향 옆쪽으로 향하여 송풍로를 통한 송풍량을 적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건조방법.
  2. 외주면에 복수의 통기공(2)이 형성되고, 피건조물이 수용되는 원통형상의 회전드럼(3)과, 이 회전드럼(3)을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회전드럼의 아래편에 배설되고, 상기 회전드럼에 아래편으로부터 열풍을 송풍하는 열풍송풍수단을 구비하는 열풍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열풍송풍수단은, 열풍송풍기(29)와, 한 끝단에 상기 열풍송풍기(29)가 설치되고, 다른 끝단이 상기 회전드럼(3)의 아래편에 이 회전드럼(3)의 축방향을 따라서 복수 구획하여 개구된 개구부(24a)를 가지는 덕트(22)와, 상기 각 개구부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상기 열풍송풍기로부터의 풍량을 가변 가능한 풍량조절수단(25)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건조장치.
KR1019940001130A 1993-12-09 1994-01-21 열풍건조방법 및 그 장치 KR01350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309391A JP2529815B2 (ja) 1993-12-09 1993-12-09 熱風乾燥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93-309391 1993-12-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9595A KR950019595A (ko) 1995-07-24
KR0135062B1 true KR0135062B1 (ko) 1998-06-15

Family

ID=17992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1130A KR0135062B1 (ko) 1993-12-09 1994-01-21 열풍건조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529815B2 (ko)
KR (1) KR01350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3587B1 (ko) * 2006-03-03 2007-01-24 윤태영 회전타입 연속 건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3364A (ja) * 2001-02-19 2002-08-28 Takahashi Kikan:Kk 送風乾燥装置
KR101065535B1 (ko) * 2011-04-19 2011-09-20 송용철 열풍 건조장치
US10995990B2 (en) 2015-12-22 2021-05-04 K.S. Premier Products Co., Ltd Rotary dryer with multi-drying chamber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0356B2 (ja) * 1982-01-26 1990-07-05 Shinnippon Seitetsu Kk Kansetsukanetsukantsukikaitenkansosochi
JPS6117885A (ja) * 1984-07-03 1986-01-25 株式会社 大和三光製作所 通気式回転乾燥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3587B1 (ko) * 2006-03-03 2007-01-24 윤태영 회전타입 연속 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529815B2 (ja) 1996-09-04
JPH07159035A (ja) 1995-06-20
KR950019595A (ko) 1995-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24634A (en) Modular column dryer for particulate material
US4423557A (en) Gravity flow dryer for particulate material having channelized discharge
US5195251A (en) Drying kiln
US4235023A (en) High heat transfer oven
US6189234B1 (en) Continuous flow fluid bed dryer
US4398356A (en) Multi-stage dryer for particulate material
KR0135062B1 (ko) 열풍건조방법 및 그 장치
US4426792A (en) High turbulance heat transfer oven
CA2274450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ying grain
EP0068734B1 (en) Multi-stage particulate material dryer having channelized discharge
US612283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ying grain
EP0068733A2 (en) Air heating apparatus
US4263722A (en) Recycle control for grain dryers
KR910002661B1 (ko) 곡류건조장치
US3849255A (en) Device for germinating and drying malt
US4550509A (en) Air guide arrangement for a drum-type drier
JPS61116279A (ja) 回転乾燥ドラム
KR20000040206A (ko) 곡물 및 고추 건조장치
JPS5855912Y2 (ja) 風力移送式乾燥機
JP2018015683A (ja) 処理装置
RU2054269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термической обработки зерна
JP3893306B2 (ja) 穀物乾燥装置
JP3274629B2 (ja) 循環式穀物乾燥装置
JPH0544711Y2 (ko)
JPS622344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