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9972A - 적층 콘덴서 - Google Patents
적층 콘덴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19972A KR20100019972A KR1020090073377A KR20090073377A KR20100019972A KR 20100019972 A KR20100019972 A KR 20100019972A KR 1020090073377 A KR1020090073377 A KR 1020090073377A KR 20090073377 A KR20090073377 A KR 20090073377A KR 20100019972 A KR20100019972 A KR 2010001997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de
- internal electrode
- signal
- ground
- capacitor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5 non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47 pl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45 sint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33—Thin- or thick-film capaci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38—Multiple capacitors, i.e. structural combinations of fixed capacitors
- H01G4/385—Single unit multiple capacitors, e.g. dual capacitor in one coi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30—Stacked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Capacitors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적층 콘덴서는, 콘덴서 소체와, 콘덴서 소체의 외측 표면에 배치된 제 1 신호 단자 전극과 제 2 신호 단자 전극과 그라운드 단자 전극과, 콘덴서 소체 내에 배치된 그라운드 내부 전극과 제 1 내지 제 3 신호 내부 전극을 구비하고 있다. 그라운드 내부 전극은, 그라운드 단자 전극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신호 전극은, 제 1 신호 단자 전극에 접속되는 동시에, 그라운드 내부 전극과 대향하여 제 1 콘덴서를 구성하고 있다. 제 2 신호 내부 전극은, 제 1 신호 단자 전극에 접속되는 동시에, 그라운드 내부 전극과 대향하여 제 2 콘덴서를 구성하고 있다. 제 3 신호 내부 전극은, 제 2 신호 단자 전극에 접속되는 동시에, 그라운드 내부 전극과 대향하여 제 3 콘덴서를 구성하고 있다. 제 1 콘덴서의 정전 용량과 제 2 콘덴서의 정전 용량은, 서로 다르다.
적층 콘덴서, 콘덴서 소체, 신호 단자 전극, 그라운드 내부 전극, 정전 용량
Description
본 발명은 적층 콘덴서에 관한 것이다.
2라인의 신호선로에서의 노이즈 대책용의 적층 콘덴서가,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59977호에 기재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59977호에 기재된 적층 콘덴서는, 제 1 신호선에 접속되는 제 1 신호선용 단자와, 제 2 신호선에 접속되는 제 2 신호선용 단자와, 접지용 패드에 접속되는 제 1과 제 2 접지용 단자를 구비하고, 제 1 신호선용 단자와 제 1 접지용 단자의 사이에 제 1 콘덴서가 구성되고, 제 2 신호선용 단자와 제 2 접지용 단자의 사이에 제 2 콘덴서가 구성되어 있다.
노이즈 대책용의 적층 콘덴서로서, 저임피던스가 되는 대역폭이 한층 더 넓어진 적층 콘덴서가 요구되고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저임피던스가 되는 대역폭이 한층 더 넓어진 적층 콘덴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적층 콘덴서로서, 콘덴서 소체와, 콘덴서 소체의 외측 표면에 배치된, 제 1 신호 단자 전극과 제 2 신호 단자 전극과 그라운드 단자 전극과, 콘덴서 소체 내에 배치된, 그라운드 내부 전극과 제 1 내지 제 3 신호 내부 전극을 구비하고, 그라운드 내부 전극은, 그라운드 단자 전극에 접속되고, 제 1 신호 전극은, 제 1 신호 단자 전극에 접속되는 동시에, 그라운드 내부 전극과 대향하여 제 1 콘덴서를 구성하고, 제 2 신호 내부 전극은, 제 1 신호 단자 전극에 접속되는 동시에, 그라운드 내부 전극과 대향하여 제 2 콘덴서를 구성하고, 제 3 신호 내부 전극은, 제 2 신호 단자 전극에 접속되는 동시에, 그라운드 내부 전극과 대향하여 제 3 콘덴서를 구성하고, 제 1 콘덴서의 정전 용량과 제 2 콘덴서의 정전 용량은 서로 다르다.
본 발명의 적층 콘덴서에서는, 그라운드 내부 전극과 제 1 내지 제 3 신호 내부 전극에 의해서, 제 1 내지 제 3 콘덴서가 구성되어 있다. 제 1 콘덴서와 제 2 콘덴서는, 제 1 신호 단자 전극과 그라운드 단자 전극의 사이에 병렬 접속되어 있다. 병렬 접속된 제 1 및 제 2 콘덴서는, 제 1 신호 단자 전극과 제 2 신호 단 자 전극의 사이에서 제 3 콘덴서와 직렬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적층 콘덴서가, 그라운드 단자 전극이 그라운드에 접속되는 동시에 제 1 신호 단자 전극과 제 2 신호 단자 전극이 각각 2라인의 신호라인에 접속되도록 실장되면, 2라인의 전송선로 각각과 그라운드의 사이에 제 1 내지 제 3 콘덴서가 접속된다. 제 1 콘덴서의 정전 용량과 제 2 콘덴서의 정전 용량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저임피던스가 되는 대역폭이 한층 더 넓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콘덴서 소체 내에 배치된 제 4 신호 내부 전극을 더 구비하고, 제 4 신호 내부 전극은, 제 2 신호 단자 전극에 접속되는 동시에, 그라운드 내부 전극과 대향하여 제 4 콘덴서를 구성하고, 제 3 콘덴서의 정전 용량과 제 4 콘덴서의 정전 용량은 서로 다르다.
이 경우, 그라운드 내부 전극과 제 1 내지 제 4 신호 내부 전극에 의해서, 제 1 내지 제 4 콘덴서가 구성된다. 제 3 콘덴서와 제 4 콘덴서는, 제 2 신호 단자 전극과 그라운드 단자 전극의 사이에 병렬 접속되어 있다. 병렬 접속된 제 3 및 제 4 콘덴서는, 제 1 신호 단자 전극과 제 2 신호 단자 전극의 사이에서 제 1 및 제 2 콘덴서와 직렬 접속되어 있다. 제 3 콘덴서의 정전 용량과 제 4 콘덴서의 정전 용량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저임피던스가 되는 대역폭이 더욱 넓어진다. 제 1 신호 단자 전극과 그라운드 단자 전극의 사이에 제 1 및 제 2 콘덴서가 접속되고, 제 2 신호 단자 전극과 그라운드 단자 전극의 사이에 제 3 및 제 4 콘덴서가 접속되기 때문에, 대칭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내지 제 4 신호 내부 전극은, 동일 층에 배치되고, 제 1 신호 내부 전극의 면적과 제 2 신호 내부 전극의 면적은, 서로 다르고, 제 3 신호 내부 전극의 면적과 제 4 신호 내부 전극의 면적은, 서로 다르다.
이 경우, 제 1 콘덴서의 정전 용량과 제 2 콘덴서의 정전 용량을 용이하게 다르게 할 수 있고, 제 3 콘덴서 정전 용량과 제 4 콘덴서의 정전 용량을 용이하게 다르게 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4 신호 내부 전극을 동일 층에 배치함으로써, 적층 콘덴서에 있어서의 적층수의 증가를 억제하여, 적층 콘덴서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그라운드 단자 전극은, 서로 이격하여 배치된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과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을 포함하고, 그라운드 내부 전극은, 서로 이격하여 배치된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과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을 포함하고,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은,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과 접속되는 동시에, 제 1 신호 내부 전극과 대향하는 영역을 갖고 또한 제 2 신호 내부 전극과 대향하는 영역을 갖고 있지 않고,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은,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과 접속되는 동시에, 제 2 신호 내부 전극과 대향하는 영역을 갖고 또한 제 1 신호 내부 전극과 대향하는 영역을 갖고 있지 않다.
이 경우,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과 제 1 신호 내부 전극에 의해서 제 1 콘덴서가 구성되고,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과 제 2 신호 내부 전극에 의해서 제 2 콘덴서가 구성된다.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이 제 2 신호 내부 전극과 대향하는 영역을 갖고 있지 않고,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이 제 1 신호 내부 전극과 대향하는 영역을 갖고 있지 않다. 따라서, 제 1 콘덴서와 제 2 콘덴서의 사이에 크로스 토크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은, 서로 이격하여 배치된 제 1 전극 부분과 제 2 전극 부분을 포함하고,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의 제 1 전극 부분은,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과 접속되는 동시에 제 1 신호 내부 전극과 대향하는 영역을 갖고,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의 제 2 전극 부분은,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과 접속되는 동시에 제 3 신호 내부 전극과 대향하는 영역을 갖고 있다.
이 경우,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의 제 1 전극 부분과 제 1 신호 내부 전극에 의해서 제 1 콘덴서가 구성되고,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의 제 2 전극 부분과 제 3 신호 내부 전극에 의해서 제 3 콘덴서가 구성된다. 따라서,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을 공유하여 제 1 콘덴서와 제 3 콘덴서를 구성하는 경우보다, 제 1 콘덴서와 제 3 콘덴서의 사이에 크로스토크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의 제 1 전극 부분은, 제 3 신호 내부 전극과 대향하는 영역을 갖고 있지 않고,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의 제 2 전극 부분은, 제 1 신호 내부 전극과 대향하는 영역을 갖고 있지 않다.
이 경우, 제 1 콘덴서를 구성하는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의 제 1 전극 부분은, 제 3 콘덴서를 구성하는 제 3 신호 내부 전극과 대향하는 영역을 갖고 있지 않고, 제 3 콘덴서를 구성하는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의 제 2 전극 부분은, 제 1 콘덴서를 구성하는 제 1 신호 내부 전극과 대향하는 영역을 갖고 있지 않다. 따라서, 제 1 콘덴서와 제 3 콘덴서의 사이에 크로스토크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콘덴서 소체는, 대략 직방체 형상을 보이는 동시에, 외측 표면으로서, 서로 대향하고 또한 콘덴서 소체의 단변 방향으로 신장하는 제 1 및 제 2 측면과, 서로 대향하고 또한 콘덴서 소체의 장변 방향으로 신장하는 제 3 및 제 4 측면을 갖고, 제 1 신호 단자 전극은, 제 1 측면에 배치되고, 제 2 신호 단자 전극은, 제 2 측면에 배치되고,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은, 제 3 측면에 배치되고,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은, 제 4 측면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은 단지 설명을 위해서 주어지고 본 발명의 제한으로써 고려되지 않은 첨부된 도면들 및 이하에 제시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완전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적용가능성의 범위는 이후에 제시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상세한 설명 및 특정예들은 단지 설명을 위해서 주어지고,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들 및 변형들이 본 기술의 숙련자들에게 명확할 것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저임피던스가 되는 대역폭이 한층 더 넓어진 적층 콘덴서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설명에 있어서, 동일 요소 또는 동일 기능을 갖는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기로 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C1)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에 포함되는 콘덴서 소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단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등가회로도이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적층 콘덴서(C1)는, 대략 직방체 형상을 보이는 콘덴서 소체(1)를 구비하고 있다. 콘덴서 소체(1)는, 서로 대향하는 직사각형상의 제 1 주면(2) 및 제 2 주면(3)과, 서로 대향하고 또한 콘덴서 소체(1)의 단변 방향(주면(2, 3)의 단변 방향)으로 신장하는 제 1 측면(4) 및 제 2 측면(5)과, 서로 대향하고 또한 콘덴서 소체(1)의 장변 방향(주면(2, 3)의 긴 변 방향)으로 신장하는 제 3 측면(6) 및 제 4 측면(7)을 갖고 있다.
적층 콘덴서(C1)는, 콘덴서 소체(1)의 외측 표면에 서로 이격하여 배치된 제 1 신호 단자 전극(11)과 제 2 신호 단자 전극(12)과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13)과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4)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신호 단자 전극(11)은, 콘덴서 소체(1)의 제 1 측면(4)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신호 단자 전극(11)은, 제 1 측면(4)의 전체면을 덮고, 또한, 제 1 및 제 2 주면(2, 3) 및 제 3 및 제 4 측면(6, 7)의 단부(제 1 측면(4)측의 단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2 신호 단자 전극(12)은, 콘덴서 소체(1)의 제 2 측면(5) 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신호 단자 전극(12)은, 제 2 측면(5)의 전면을 덮고, 또한, 제 1 및 제 2 주면(2, 3) 및 제 3 및 제 4 측면(6, 7)의 단부(제 2 측면(5)측의 단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13)은, 콘덴서 소체(1)의 제 3 측면(6)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13)은, 제 3 측면(6)에 있어서의 제 1 및 제 2 측면(4, 5)의 대향 방향에서의 대략 중앙부를 덮고, 또한, 제 1 및 제 2 주면(2, 3)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4)은, 콘덴서 소체(1)의 제 4 측면(7)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4)은, 제 4 측면(7)에 있어서의 제 1 및 제 2 측면(4, 5)의 대향 방향에서의 대략 중앙부를 덮고, 또한, 제 1 및 제 2 주면(2, 3)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13)과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4)은, 제 3 및 제 4 측면(6, 7)의 대향 방향에서 대향하고 있다.
제 1 및 제 2 신호 단자 전극(11, 12)과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은, 예를 들면, 도전성 금속 분말 및 글라스 프릿을 포함하는 도전성 페이스트를 콘덴서 소체(1)의 외측 표면에 도포하고, 소결함으로써 형성된다. 필요에 따라서, 소결된 제 1 및 제 2 신호 단자 전극(11, 12)과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 위에 도금층이 형성되는 경우도 있다.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콘덴서 소체(1)는, 복수의 유전체층(9)으로 이루어진다. 콘덴서 소체(1)는, 복수의 유전체층(9)이 제 1 및 제 2 주면(2, 3)이 대향하는 방향으로 적층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각 유전체층(9)은, 예를 들면 유 전체 세라믹(BaTiO3계, Ba(Ti, Zr)O3계, 또는 (Ba, Ca)TiO3계 등의 유전체 세라믹)을 포함하는 세라믹 그린 시트의 소결체에 의해 구성되고, 유전체로서의 특성을 갖는다. 실제의 적층 콘덴서(C1)에서는, 각 유전체층(9)은, 서로 간의 경계를 시인(視認)할 수 없는 정도로 일체화되어 있다.
도 2,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적층 콘덴서(C1)는, 제 1 내지 제 4 신호 내부 전극(21 내지 24)과 그라운드 내부 전극(31)을 구비하고 있다. 도 3a 및 도 3b는 콘덴서 소체(1)를 제 3 및 제 4 측면(6, 7)과 평행한 평면으로 절단한 경우의 단면(斷面) 구조를 도시한다. 도 3a는 단면에 제 1 및 제 3 신호 전극(21, 23)이 포함되도록 콘덴서 소체(1)를 절단한 경우의 구조를 도시하고, 도 3b는 단면에 제 2 및 제 4 신호 내부 전극(22, 24)이 포함되도록 콘덴서 소체(1)를 절단한 경우의 구조를 도시한다.
제 1 내지 제 4 신호 내부 전극(21 내지 24)과 그라운드 내부 전극(31)은, 적층형 전자부품의 내부 전극으로서 통상 사용되는 도전성 재료(예를 들면, 비금속인 Ni 등)로 이루어진다. 제 1 내지 제 4 신호 내부 전극(21 내지 24)과 그라운드 내부 전극(31)은, 상기 도전성 재료를 포함하는 도전성 페이스트의 소결체에 의해 구성된다.
제 1 내지 제 4 신호 내부 전극(21 내지 24)은, 콘덴서 소체(1)내에, 유전체층(9)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제 1 내지 제 4 신호 내부 전극(21 내지 24)은, 동일 층에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 1 내지 제 4 신호 내부 전극(21 내지 24)은, 각각 직사각형상을 보이고 있다.
제 1 신호 내부 전극(21)은, 제 1 측면(4)측이고 또한 제 4 측면(7)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신호 내부 전극(21)의 제 4 측면(7)측의 1변은, 제 4 측면(7)과 평행하고 또한 제 4 측면(7)으로부터 이격하고 있다. 제 1 신호 내부 전극(21)의 제 1 측면(4)측의 1변은, 제 1 측면(4)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신호 내부 전극(21)은, 제 1 측면(4)을 덮는 제 1 신호 단자 전극(11)과 물리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2 신호 내부 전극(22)은, 제 1 측면(4)측이고 또한 제 3 측면(6)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신호 내부 전극(22)의 제 3 측면(6)측의 1변은, 제 3 측면(6)과 평행하고 또한 제 3 측면(6)으로부터 이격하고 있다. 제 2 신호 내부 전극(22)의 제 1 측면(4)측의 1변은, 제 1 측면(4)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신호 내부 전극(22)은, 제 1 측면(4)을 덮는 제 1 신호 단자 전극(11)과 물리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3 신호 내부 전극(23)은, 제 2 측면(5)측이고 또한 제 4 측면(7)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 3 신호 내부 전극(23)의 제 4 측면(7)측의 1변은, 제 4 측면(7)과 평행하고 또한 제 4 측면(7)으로부터 이격하고 있다. 제 3 신호 내부 전극(23)의 제 2 측면(5)측의 1변은, 제 2 측면(5)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제 3 신호 내부 전극(23)은, 제 2 측면(5)을 덮는 제 2 신호 단자 전극(12)과 물리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4 신호 내부 전극(24)은, 제 2 측면(5)측이고 또한 제 3 측면(6)측에 배 치되어 있다. 제 4 신호 내부 전극(24)의 제 3 측면(6)측의 1변은, 제 3 측면(6)과 평행하고 또한 제 3 측면(6)으로부터 이격하고 있다. 제 4 신호 내부 전극(24)의 제 2 측면(5)측의 1변은, 제 2 측면(5)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제 4 신호 내부 전극(24)은, 제 2 측면(5)을 덮는 제 2 신호 단자 전극(12)과 물리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1 내지 제 4 신호 내부 전극(21 내지 24)은, 제 3 측면(6)과 제 4 측면(7)의 대향 방향에서의 길이가 서로 같은 정도이다. 제 1 신호 내부 전극(21)과 제 3 신호 내부 전극(23)은, 제 1 측면(4)과 제 2 측면(5)의 대향 방향에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제 1 신호 내부 전극(21)의 면적은, 제 3 신호 내부 전극(23)의 면적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면적이란, 유전체층(9)의 적층 방향(제 1 주면(2)과 제 2 주면(3)의 대향 방향)으로부터 본 면적이다.
제 2 신호 내부 전극(22)과 제 4 신호 내부 전극(24)은, 제 1 측면(4)과 제 2 측면(5)의 대향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제 2 신호 내부 전극(22)의 면적은, 제 4 신호 내부 전극(24)의 면적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제 2 신호 내부 전극(22)의 면적은 제 3 신호 내부 전극(23)의 면적과 같은 정도이고, 제 4 신호 내부 전극(24)의 면적은 제 1 신호 내부 전극(21)의 면적과 같은 정도이다.
그라운드 내부 전극(31)은, 유전체층(9)을 개재하여 적층 방향으로 제 1 내지 제 4 신호 내부 전극(21 내지 24)과 서로 이웃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라운드 내부 전극(31)은, 직사각형 형상을 보이는 주전극부와, 한 쌍의 인출부(32)를 갖고 있다. 주전극부와 인출부(32)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주전극부를 구성하는 4 변은 각 측면(4 내지 7)과 평행하고 또한 각 측면(4 내지 7)으로부터 이격하고 있다. 그라운드 내부 전극(31)의 주전극부는, 절연층을 끼워 적층 방향에서 제 1 내지 제 4 신호 내부 전극(21 내지 24)과 대향하고 있다.
하나의 인출부(32)는, 주전극부에서의 제 3 측면(6)측의 1변의 중앙부로부터 제 3 측면(6)으로 끌려나오고 있고, 인출부(32)의 단부는 제 3 측면(6)에 노출되어 있다.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13)은, 제 3 측면(6)에 노출된 인출부(32)의 단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그라운드 내부 전극(31)과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13)은, 물리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다른 인출부(32)는, 주전극부에서의 제 4 측면(7)측의 1변의 중앙부로부터 제 4 측면(7)으로 끌려나오고 있고, 인출부(32)의 단부는 제 4 측면(7)에 노출되어 있다.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4)은, 제 4 측면(7)에 노출된 인출부(32)의 단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그라운드 내부 전극(31)과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4)은, 물리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라운드 내부 전극(31; 주전극부)은, 제 1 내지 제 4 신호 내부 전극(21 내지 24) 각각과 유전체층(9)을 끼워 적층 방향에 서로 대향하고 있다. 그라운드 내부 전극(31)에 포함되는 영역(31A)은, 적층 방향에서 보아, 제 1 신호 내부 전극(21)과 겹치고 있다. 그라운드 내부 전극(31)의 영역(31A)과 제 1 신호 내부 전극(21)은, 제 1 콘덴서(C11)를 구성한다. 유전체층(9)에 있어서, 그라운드 내부 전극(31)의 영역(31A)과 제 1 신호 내부 전극(21)에 의해서 끼워진 영역은, 제 1 콘덴서(C11)의 정전 용량 성분을 실질적으로 발생시키는 영역이다.
그라운드 내부 전극(31)에 포함되는 포함하는 영역(31B)은, 적층 방향으로부터 보아 제 2 신호 내부 전극(22)과 겹치고 있다. 그라운드 내부 전극(31)의 영역(31B)과 제 2 신호 내부 전극(22)은, 제 2 콘덴서(C12)를 구성한다. 유전체층(9)에 있어서, 그라운드 내부 전극(31)의 영역(31B)과 제 2 신호 내부 전극(22)에 의해서 끼워진 영역은, 제 2 콘덴서(C12)의 정전 용량 성분을 실질적으로 발생시키는 영역이다.
제 2 콘덴서(C12)를 구성하는 제 2 신호 내부 전극(22)과 그라운드 내부 전극(31)의 영역(31B)이 서로 대향하는 면적은, 제 1 콘덴서(C11)를 구성하는 제 1 신호 내부 전극(21)과 그라운드 내부 전극(31)의 영역(31A)이 서로 대향하는 면적보다 크다. 따라서, 제 2 콘덴서(C12)의 정전 용량은, 제 1 콘덴서(C11)의 정전 용량보다 크다.
그라운드 내부 전극(31)에 포함되는 영역(31C)은, 적층 방향에서 보아, 제 3 신호 내부 전극(23)과 겹치고 있다. 그라운드 내부 전극(31)의 영역(31C)과 제 3 신호 내부 전극(23)은, 제 3 콘덴서(C13)를 구성한다. 유전체층(9)에 있어서, 그라운드 내부 전극(31)의 영역(31C)과 제 3 신호 내부 전극(23)에 의해서 끼워진 영역은, 제 3 콘덴서(C13)의 정전 용량 성분을 실질적으로 발생시키는 영역이다.
제 3 콘덴서(C13)를 구성하는 제 3 신호 내부 전극(23)과 그라운드 내부 전극(31)의 영역(31C)이 서로 대향하는 면적은, 제 1 콘덴서(C11)를 구성하는 제 1 신호 내부 전극(21)과 그라운드 내부 전극(31)의 영역(31A)이 서로 대향하는 면적보다 크다. 따라서, 제 3 콘덴서(C13)의 정전 용량은, 제 1 콘덴서(C11)의 정전 용량보다 크다.
제 3 콘덴서(C13)를 구성하는 제 3 신호 내부 전극(23)과 그라운드 내부 전극(31)의 영역(31C)이 서로 대향하는 면적은, 제 2 콘덴서(C12)를 구성하는 제 2 신호 내부 전극(22)과 그라운드 내부 전극(31)의 영역(31B)이 서로 대향하는 면적과 같은 정도이다. 따라서, 제 3 콘덴서(C13)의 정전 용량은, 제 2 콘덴서(C12)의 정전 용량과 같은 정도이다.
그라운드 내부 전극(31)에 포함되는 영역(31D)은, 적층 방향으로부터 보아, 제 4 신호 내부 전극(24)과 겹치고 있다. 그라운드 내부 전극(31)의 영역(31D)과 제 4 신호 내부 전극(24)은, 제 4 콘덴서(C14)를 구성한다. 유전체층(9)에 있어서, 그라운드 내부 전극(31)의 영역(31D)과 제 4 신호 내부 전극(24)에 의해서 끼워진 영역은, 제 4 콘덴서(C14)의 정전 용량 성분을 실질적으로 발생시키는 영역이다.
제 4 콘덴서(C14)를 구성하는 제 4 신호 내부 전극(24)과 그라운드 내부 전극(31)의 영역(31D)이 서로 대향하는 면적은, 제 3 콘덴서(C13)를 구성하는 제 3 신호 내부 전극(23)과 그라운드 내부 전극(31)의 영역(31C)이 서로 대향하는 면적보다 작다. 이 때문에, 제 4 콘덴서(C14)의 정전 용량은, 제 3 콘덴서(C13)의 정전 용량보다 작다.
제 4 콘덴서(C14)를 구성하는 제 4 신호 내부 전극(24)과 그라운드 내부 전극(31)의 영역(31D)이 서로 대향하는 면적은, 제 1 콘덴서(C11)를 구성하는 제 1 신호 내부 전극(21)과 그라운드 내부 전극(31)의 영역(31A)이 서로 대향하는 면적 과 같은 정도이다. 따라서, 제 4 콘덴서(C14)의 정전 용량은, 제 1 콘덴서(C11)의 정전 용량과 같은 정도이다.
이렇게 구성된 적층 콘덴서(C1)에서는, 제 1 신호 단자 전극(11)과 제 2 신호 단자 전극(12)은, 서로 절연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신호 단자 전극(11, 12)은,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과 절연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적층 콘덴서(C1)에서는, 제 1 신호 단자 전극(11)과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의 사이에, 서로 정전 용량이 다른 제 1 콘덴서(C11)와 제 2 콘덴서(C12)가 병렬 접속되어 있다. 제 2 신호 단자 전극(12)과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의 사이에, 서로 정전 용량이 다른 제 3 콘덴서(C13)와 제 4 콘덴서(C14)가 병렬 접속되어 있다. 제 1 신호 단자 전극(11)과 제 2 신호 단자 전극(12)의 사이에, 제 1 및 제 2 콘덴서(C11, C12)와 제 3 및 제 4 콘덴서(C13, C14)가 직렬 접속되어 있다.
적층 콘덴서(C1)는, 제 1 주면(2) 또는 제 2 주면(3)이 다른 부품(예를 들면, 회로기판이나 전자부품 등)에 대향하여 실장된다. 예를 들면, 차동 전송 라인 등을 구성하는 2개의 신호 전송 라인(SL)에 각각 제 1 신호 단자 전극(11)과 제 2 신호 단자 전극(12)이 접속된다.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은, 그라운드 라인(GL)에 각각 접속된다. 이로써, 적층 콘덴서(C1)는, 1개로, 2개의 신호 전송 라인(SL)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기능을 발휘한다. 어떠한 요인에 의해 제 1 신호 전극(11)과 제 2 신호 전극(12)이 도통한 경우는, 적층 콘덴서(C1)의 노이즈 제거 기능은 얻어지지 않고, 회로가 단락(short)하여 버린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1 신호 단자 전극(11)과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의 사이에, 서로 정전 용량이 다른 제 1 콘덴서(C11)와 제 2 콘덴서(C12)가 병렬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저임피던스가 되는 대역폭이 넓어진다. 제 2 신호 단자 전극(12)과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의 사이에, 서로 정전 용량이 다른 제 3 콘덴서(C13)와 제 4 콘덴서(C14)가 병렬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저임피던스의 대역폭이 넓어진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4개의 제 1 내지 제 4 콘덴서(C11 내지 C14)가 구성되고, 제 1 신호 단자 전극(11)과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의 사이와, 제 2 신호 단자 전극(12)과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의 사이에, 각각 2개씩 콘덴서가 병렬 접속된다. 따라서, 제 1 신호 단자 전극(11)과 제 2 신호 단자 전극(12)에 대한 대칭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1 신호 단자 전극(11)과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의 사이에 접속되는 2개의 콘덴서의 합성 정전 용량과, 제 2 신호 단자 전극(12)과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의 사이에 접속되는 2개의 콘덴서의 정전 용량은 같은 정도이고, 대칭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1 내지 제 4 신호 내부 전극(21 내지 24)을 각각 그라운드 내부 전극(31)과 유전체층(9)을 개재하여 대향하도록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제 1 신호 내부 전극(21)의 면적과 제 2 신호 내부 전극(22)과 면적을 다르게 함으로써, 제 1 콘덴서(C11)의 정전 용량과 제 2 콘덴서(C12)의 정전 용량을 용이하게 다르게 할 수 있다. 제 3 신호 내부 전극(23)의 면적과 제 4 신호 내부 전 극(24)과 면적을 다르게 함으로써, 제 3 콘덴서(C13)의 정전 용량과 제 4 콘덴서(C14)의 정전 용량을 용이하게 다르게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1 내지 제 4 신호 내부 전극(21 내지 24)은, 동일 층에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제 1 내지 제 4 콘덴서(C11 내지 C14)에 있어서 원하는 정전 용량을 얻기 위한 내부 전극 및 유전체층의 적층 총수가 적어지고, 적층 콘덴서(C1; 콘덴서 소체(1))의 저배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1 내지 제 4 신호 내부 전극(21 내지 24)을 각각 그라운드 내부 전극(31)과 유전체층(9)을 개재하여 대향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제 1 내지 제 4 콘덴서(C11 내지 C14)를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그라운드 내부 전극(31)을 제 1 내지 제 4 콘덴서(C11 내지 C14)에 있어서 공유할 수 있다. 따라서, 적층 콘덴서(C1)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그라운드 내부 전극(31)은, 제 1 콘덴서(C11)와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을 접속하는 기능, 제 2 콘덴서(C12)와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을 접속하는 기능, 제 3 콘덴서(C13)와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을 접속하는 기능, 제 4 콘덴서(C14)와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을 접속하는 기능을 겸하고 있다. 따라서, 적층 콘덴서(C1)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계속해서, 본 발명에 따른 그 밖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그 밖의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C1)와 비교하여, 신호 내부 전극 및 그라운드 내부 전극의 구성이 다르다. 이하, 제 1 실시형 태의 적층 콘덴서(C1)와 다른 구성에 대하여 주로 설명하고,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 2 실시형태)
도 5, 도 6을 참조하여,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C2)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에 포함되는 콘덴서 소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등가회로도이다.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C2)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적층 콘덴서(C1)와 같은 제 1 내지 제 4 신호 내부 전극(21 내지 24)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C2)는, 상술한 그라운드 내부 전극(31) 대신에,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41)과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2)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1, 42)은, 유전체층(9)을 개재하여 적층 방향으로 제 1 내지 제 4 신호 내부 전극(21 내지 24)이 배치된 층과 서로 이웃하는 층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1, 42)은, 동일 층에 있어서, 서로 이격하고 있다.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41)은, 직사각형 형상을 보이는 주전극부와, 인출부(43)를 갖고 있다. 주전극부와 인출부(43)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2)은, 직사각형 형상을 보이는 주전극부와, 인출부(44)를 갖고 있다. 주전극부와 인출부(44)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1, 42)은, 각 주전극부의 장변 방향이 제 1 측 면(4)과 제 2 측면(5)의 대향 방향과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1, 42)은, 같은 형상 또한 같은 정도의 면적이고, 주전극의 단변 방향으로 병치되어 있다.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41)은, 제 4 측면(7)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41)의 주전극부를 구성하는 4변은, 각 측면(4 내지 7)과 평행하고 또한 각 측면(4 내지 7)으로부터 이격하고 있다.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41)에 있어서의 제 3 측면(6)과 제 4 측면(7)의 대향 방향에서의 길이는, 제 1 내지 제 4 신호 내부 전극(21 내지 24)의 동일 방향에서의 길이와 같은 정도이다.
인출부(43)는,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41)의 주전극부에서의 제 4 측면(7)측의 1변의 중앙부로부터 제 4 측면(7)으로 끌려나오고 있고, 인출부(43)의 단부는 제 4 측면(7)에 노출되어 있다.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4)은, 제 4 측면(7)에 노출된 인출부(43)의 단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41)과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4)이, 물리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41)은, 유전체층(9)을 끼워 제 1 신호 내부 전극(21) 및 제 3 신호 내부 전극(23) 각각과 적층 방향에 서로 대향하고 있다.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41)의 주전극부는, 제 1 신호 내부 전극(21)과 적층 방향에서 겹치는 영역(41A)과, 제 3 신호 내부 전극(23)과 적층 방향에서 겹치는 영역(41B)을 갖고 있다.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41)은, 제 2 신호 내부 전극(22) 및 제 4 신호 내부 전극(24)과 서로 대향하는 영역을 갖고 있지 않다.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41)의 영역(41A)과 제 1 신호 내부 전극(21)은 제 1 콘덴서(C21)를 구성한다. 유전체층(9)에 있어서,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41)의 영역(41A)과 제 1 신호 내부 전극(21)에 의해서 끼워진 영역은, 이 제 1 콘덴서(C21)의 정전 용량 성분을 실질적으로 발생시키는 영역이다.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41)의 영역(41B)과 제 3 신호 내부 전극(23)은, 제 3 콘덴서(C23)를 구성한다. 유전체층(9)에 있어서,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41)의 영역(41B)과 제 3 신호 내부 전극(23)에 의해서 끼워진 영역은, 이 제 3 콘덴서(C23)의 정전 용량 성분을 실질적으로 발생시키는 영역이다.
제 3 콘덴서(C23)를 구성하는 제 3 신호 내부 전극(23)과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41)의 영역(41B)이 서로 대향하는 면적은, 제 1 콘덴서(C21)를 구성하는 제 1 신호 내부 전극(21)과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41)의 영역(41A)이 서로 대향하는 면적보다 크다. 따라서, 제 3 콘덴서(C23)의 정전 용량은, 제 1 콘덴서(C21)의 정전 용량보다 크다.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2)은, 제 3 측면(6)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2)의 주전극부를 구성하는 4변은, 각 측면(4 내지 7)과 평행하고 또한 각 측면(4 내지 7)으로부터 이격하고 있다.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2)에 있어서의 제 3 측면(6)과 제 4 측면(7)의 대향 방향에서의 길이는, 제 1 내지 제 4 신호 내부 전극(21 내지 24)의 동일 방향에서의 길이와 같은 정도이다.
인출부(44)는,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2)의 주전극부에서의 제 3 측면(6)측의 1변의 중앙부로부터 제 3 측면(6)으로 끌려나오고 있고, 인출부(44)의 단부는 제 3 측면(6)에 노출되어 있다.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13)은, 제 3 측면(6)에 노출한 인출부(44)의 단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2)과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13)이, 물리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2)은, 유전체층(9)을 끼워 제 2 신호 내부 전극(22) 및 제 4 신호 내부 전극(24) 각각과 적층 방향에 서로 대향하고 있다.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2)의 주전극부는, 제 2 신호 내부 전극(22)과 적층 방향에서 보아 겹치는 영역(42A)과, 제 4 신호 내부 전극(24)과 적층 방향에서 보아 겹치는 영역(42B)을 갖고 있다.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2)은, 제 1 신호 내부 전극(21) 및 제 3 신호 내부 전극(23)과 서로 대향하는 영역을 갖고 있지 않다.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2)의 영역(42A)과 제 2 신호 내부 전극(22)은, 제 2 콘덴서(C22)를 구성한다. 유전체층(9)에 있어서,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2)의 영역(42A)과 제 2 신호 내부 전극(22)에 의해서 끼워진 영역은, 이 제 2 콘덴서(C22)의 정전 용량 성분을 실질적으로 발생시키는 영역이다.
제 2 콘덴서(C22)를 구성하는 제 2 신호 내부 전극(22)과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2)의 영역(42A)이 서로 대향하는 면적은, 제 1 콘덴서(C21)를 구성하는 제 1 신호 내부 전극(21)과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41)의 영역(41A)이 서로 대향하는 면적보다 크다. 따라서, 제 2 콘덴서(C22)의 정전 용량은, 제 1 콘덴서(C21)의 정전 용량보다 크다.
제 2 콘덴서(C22)를 구성하는 제 2 신호 내부 전극(22)과 제 2 그라운드 내 부 전극(42)의 영역(42A)이 서로 대향하는 면적은, 제 3 콘덴서(C23)를 구성하는 제 3 신호 내부 전극(23)과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41)의 영역(41B)이 서로 대향하는 면적과 같은 정도이다. 따라서, 제 2 콘덴서(C22)의 정전 용량은, 제 3 콘덴서(C23)의 정전 용량과 같은 정도이다.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2)의 영역(42B)과 제 4 신호 내부 전극(24)은, 제 4 콘덴서(C24)를 구성한다. 유전체층(9)에 있어서,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2)의 영역(42B)과 제 4 신호 내부 전극(24)에 의해서 끼워진 영역은, 이 제 4 콘덴서(C24)의 정전 용량 성분을 실질적으로 발생시키는 영역이다.
제 4 콘덴서(C24)를 구성하는 제 4 신호 내부 전극(24)과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2)의 영역(42B)이 서로 대향하는 면적은, 제 3 콘덴서(C23)를 구성하는 제 3 신호 내부 전극(23)과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41)의 영역(41B)이 서로 대향하는 면적보다 작다. 따라서, 제 4 콘덴서(C24)의 정전 용량은, 제 3 콘덴서(C23)의 정전 용량보다 작다.
제 4 콘덴서(C24)를 구성하는 제 4 신호 내부 전극(24)과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2)의 영역(42B)이 서로 대향하는 면적은, 제 1 콘덴서(C21)를 구성하는 제 1 신호 내부 전극(21)과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41)의 영역(41A)이 서로 대향하는 면적과 같은 정도이다. 따라서, 제 4 콘덴서(C24)의 정전 용량은, 제 1 콘덴서(C21)의 정전 용량과 같은 정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C2)에서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C1)가 구비되는 그라운드 내부 전극(31)이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41)과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2)과 분할된 구성이 채용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적층 콘덴서(C2)에서는, 제 1 신호 단자 전극(11)과 제 2 신호 단자 전극(12)은, 서로 절연되고, 제 1 및 제 2 신호 단자 전극(11, 12)은,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과 절연되어 있다. 적층 콘덴서(C2)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이, 그라운드 라인(GL)에 각각 접속됨으로써,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적층 콘덴서(C2)에서는, 제 1 신호 단자 전극(11)과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의 사이에, 서로 정전 용량이 다른 제 1 콘덴서(C21)와 제 2 콘덴서(C22)가 병렬 접속되어 있다. 제 2 신호 단자 전극(12)과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의 사이에, 서로 정전 용량이 다른 제 3 콘덴서(C23)와 제 4 콘덴서(C24)가 병렬 접속되어 있다. 제 1 신호 단자 전극(11)과 제 2 신호 단자 전극(12)의 사이에, 제 1 및 제 2 콘덴서(C21, C22)와 제 3 및 제 4 콘덴서(C23, C24)가 직렬 접속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1 신호 단자 전극(11)과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의 사이에, 서로 정전 용량이 다른 제 1 콘덴서(C21)와 제 2 콘덴서(C22)가 병렬 접속되어 있다. 제 2 신호 단자 전극(12)과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의 사이에, 서로 정전 용량이 다른 제 3 콘덴서(C23)와 제 4 콘덴서(C24)가 병렬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저임피던스의 대역폭이 넓어진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41)과 제 1 및 제 3 신호 전극(21, 23)에 의해서 제 1 및 제 3 콘덴서(C21, C23)가 구성되고,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2)과 제 2 및 제 4 신호 내부 전극(22, 24)에 의해서 제 2 및 제 4 콘덴서(C22, C24)가 구성되어 있다.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41)은, 제 2 및 제 4 신호 내부 전극(22, 24)과 대향하는 영역을 갖고 있지 않고,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2)은 제 1 및 제 3 신호 내부 전극(21, 23)과 대향하는 영역을 갖고 있지 않다. 따라서, 제 1 및 제 3 콘덴서(C21, 23)와 제 2 및 제 4 콘덴서(C22, 24)의 사이에 크로스토크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1, 42)은, 동일 층에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제 1 내지 제 4 콘덴서(C11 내지 C14)에 있어서 원하는 정전 용량을 얻기 위한 내부 전극 및 유전체층의 적층 총수가 적어지고, 적층 콘덴서(C2; 콘덴서 소체(1))의 저배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1, 42)이 이격하여 배치됨으로써,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41)과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2)의 사이로부터 유전체층(9)의 표면이 노출된다.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41)과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2)의 사이로부터 노출된 유전체층(9)의 표면은,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1, 42)과 제 1 내지 제 4 신호 내부 전극(21 내지 24)의 사이에 위치하는 유전체층(9)과 밀착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1, 42)을 끼우는 2층의 유전체층(9)의 밀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1 및 제 3 신호 내부 전극(21, 23)을 각각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41)과 유전체층(9)을 개재하여 대향하도록 배치하여 제 1 및 제 3 콘덴서(C21, C23)를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41)을 제 1 콘덴서(C21)와 제 3 콘덴서(C23)로 공유할 수 있다. 제 2 및 제 4 신호 내부 전극(22, 24)을 각각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2)과 유전체층(9)을 개재하여 대향하도록 배치하고 제 2 및 제 4 콘덴서(C22, C24)를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2)을 제 2 콘덴서(C22)와 제 4 콘덴서(C24)로 공유할 수 있다. 따라서, 적층 콘덴서(C2)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41)은, 제 1 콘덴서(C21)와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4)을 접속하는 기능, 제 3 콘덴서(C23)와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4)을 접속하는 기능을 겸하고 있다.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2)은, 제 2 콘덴서(C22)와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13)을 접속하는 기능, 제 4 콘덴서(C24)와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13)을 접속하는 기능을 겸하고 있다. 따라서, 적층 콘덴서(C2)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C3)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에 포함되는 콘덴서 소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단면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등가회로도이다.
도 7,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C3)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적층 콘덴서(C1)와 같은 제 1 내지 제 4 신호 내부 전극(21 내지 24)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C3)는, 상기의 그라운드 내부 전극(31) 대신에,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51),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52), 제 3 그라운드 내부 전극(53), 제 4 그라운드 내부 전극(54)을 구비하고 있다.
도 8a 및 도 8b는, 콘덴서 소체(1)를 제 3 및 제 4 측면(6, 7)과 평행한 평면으로 절단한 경우의 단면 구조를 도시한다. 도 8a는, 단면에 제 1 및 제 3 신호 전극(21, 23)이 포함되도록 콘덴서 소체(1)를 절단한 경우의 구조를 도시하고, 도 8b는, 단면에 제 2 및 제 4 신호 내부 전극(22, 24)이 포함되도록 콘덴서 소체(1)를 절단한 경우의 구조를 나타낸다.
제 1 내지 제 4 그라운드 내부 전극(51 내지 54)은, 유전체층(9)을 개재하여 적층 방향으로 제 1 내지 제 4 신호 내부 전극(21 내지 24)이 배치된 층과 서로 이웃하는 층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내지 제 4 그라운드 내부 전극(51 내지 54)은, 동일 층에 있어서, 서로 이격하고 있다. 제 1 내지 제 4 그라운드 내부 전극(51 내지 54)은, 대략 같은 형상 또한 같은 정도의 면적이다. 제 1 내지 제 4 그라운드 내부 전극(51 내지 54)은, 제 1 및 제 2 측면(4, 5)의 대향 방향과 제 3 및 제 4 측면(6, 7)의 대향 방향을 따라서 2개씩 배열하고 있다.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51)은, 직사각형 형상을 보이는 주전극부와, 인출부(55)를 갖고 있다. 주전극부와 인출부(55)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52)은, 직사각형 형상을 보이는 주전극부와, 인출부(56)를 갖고 있다. 주전극부와 인출부(56) 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 3 그라운드 내부 전극(53)은, 직사각형 형상을 보이는 주전극부와, 인출부(57)를 갖고 있다. 주전극부와 인출부(57)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 4 그라운드 내부 전극(54)은, 직사각형 형상을 보이는 주전극부와, 인출부(58)를 갖고 있다. 주전극부와 인출부(58)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내지 제 4 그라운드 내부 전극(51 내지 54)의 주전극부를 구성하는 4변은, 각 측면(4 내지 7)과 평행하고 또한 각 측면(4 내지 7)으로부터 이격하고 있다.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51)은, 제 1 측면(4)측이고 또한 제 4 측면(7)측에 배치되어 있다. 인출부(55)는,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51)의 주전극부에서의 제 4 측면(7)측이고 또한 제 2 측면(5)측의 단부로부터 제 4 측면(7)으로 끌려나오고 있고, 인출부(55)의 단부는 제 4 측면(7)으로 노출되어 있다.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4)은, 제 4 측면(7)에 노출된 인출부(55)의 단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51)과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4)이, 물리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51)의 주전극부는, 제 1 신호 내부 전극(21)과 적층 방향에서 겹치는 영역(51A)을 갖고 있다. 영역(51A)은, 제 1 신호 내부 전극(21)과 유전체층(9)을 끼워 적층 방향에 서로 대향하고 있다. 이로써,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51)의 영역(51A)과 제 1 신호 내부 전극(21)은, 제 1 콘덴서(C31)를 구성한다.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51)의 주전극부는, 제 3 신호 내부 전극(23)과 적층 방향에서 겹치는 영역(51B)을 갖고 있다. 영역(51B)은, 제 3 신호 내부 전 극(23)의 제 1 측면(4)측의 영역(23B)과 유전체층(9)을 끼워 적층 방향에 서로 대향하고 있다. 이로써,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51)의 영역(51B)과 제 3 신호 내부 전극(23)의 영역(23B)은, 제 6 콘덴서(C36)를 구성한다.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51)은, 제 2 신호 내부 전극(22) 및 제 4 신호 내부 전극(24)과 서로 대향하는 영역을 갖고 있지 않다.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52)은, 제 1 측면(4)측이고 또한 제 3 측면(6)측에 배치되어 있다. 인출부(56)는,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52)의 주전극부에서의 제 3 측면(6)측이고 또한 제 2 측면(5)측의 단부로부터 제 3 측면(6)으로 끌려나오고 있고, 인출부(56)의 단부는 제 3 측면(6)에 노출되어 있다.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13)은, 제 3 측면(6)에 노출된 인출부(56)의 단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52)과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13)이, 물리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52)의 주전극부는, 제 2 신호 내부 전극(22)과 적층 방향에서 겹치는 영역(52A)을 갖고 있다. 영역(52A)은, 제 2 신호 내부 전극(22)의 제 1 측면(4)측의 영역(22A)과 유전체층(9)을 끼워 적층 방향에 서로 대향하고 있다. 이로써,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52)의 영역(52A)과 제 2 신호 내부 전극(22)의 영역(22A)은, 제 2 콘덴서(C32)를 구성한다.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52)은, 제 1, 제 3, 및 제 4 신호 내부 전극(21, 23, 24)과 서로 대향하는 영역을 갖고 있지 않다.
제 3 그라운드 내부 전극(53)은, 제 2 측면(5)측이고 또한 제 4 측면(7)측에 배치되어 있다. 인출부(57)는, 제 3 그라운드 내부 전극(53)의 주전극부에서의 제 4 측면(7)측이고 또한 제 1 측면(4)측의 단부로부터 제 4 측면(7)으로 끌려나오고 있고, 인출부(57)의 단부는 제 4 측면(7)에 노출되어 있다.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4)은, 제 4 측면(7)에 노출된 인출부(57)의 단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제 3 그라운드 내부 전극(53)과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4)이, 물리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3 그라운드 내부 전극(53)의 주전극부는, 제 3 신호 내부 전극(23)과 적층 방향에서 겹치는 영역(53A)을 갖고 있다. 영역(53A)은, 제 3 신호 내부 전극(23)의 제 2 측면(5)측의 영역(23A)과 유전체층(9)을 끼워 적층 방향에 서로 대향하고 있다. 이로써, 제 3 그라운드 내부 전극(53)의 영역(53A)과 제 3 신호 내부 전극(23)의 영역(23A)은, 제 3 콘덴서(C33)를 구성한다. 제 3 그라운드 내부 전극(53)은, 제 1, 제 2, 및 제 4 신호 내부 전극(21, 22, 24)과 서로 대향하는 영역을 갖고 있지 않다.
제 4 그라운드 내부 전극(54)은, 제 2 측면(5)측이고 또한 제 3 측면(6)측에 배치되어 있다. 인출부(58)는, 제 4 그라운드 내부 전극(54)의 주전극부에서의 제 3 측면(6)측이고 또한 제 1 측면(4)측의 단부로부터 제 3 측면(6)으로 끌려나오고 있고, 인출부(58)의 단부는 제 3 측면(6)으로 노출되어 있다.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13)은, 제 3 측면(6)에 노출된 인출부(58)의 단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제 4 그라운드 내부 전극(54)과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13)이, 물리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4 그라운드 내부 전극(54)의 주전극부는, 제 4 신호 내부 전극(24)과 적층 방향에서 겹치는 영역(54A)을 갖고 있다. 영역(54A)은, 제 4 신호 내부 전극(24)과 유전체층(9)을 끼워 적층 방향에 서로 대향하고 있다. 이로써, 제 4 그라운드 내부 전극(54)의 영역(54A)과 제 1 신호 내부 전극(24)은, 제 4 콘덴서(C34)를 구성한다.
제 4 그라운드 내부 전극(54)의 주전극부는, 제 2 신호 내부 전극(22)과 적층 방향에서 겹치는 영역(54B)을 갖고 있다. 영역(54B)은, 제 2 신호 내부 전극(22)의 제 2 측면(5)측의 영역(22B)과 유전체층(9)을 끼워 적층 방향에 서로 대향하고 있다. 이로써, 제 4 그라운드 내부 전극(54)의 영역(54B)과 제 2 신호 내부 전극(22)의 영역(22B)은, 제 5 콘덴서(C35)를 구성한다. 제 4 그라운드 내부 전극(54)은, 제 1 신호 내부 전극(21)과 제 3 신호 내부 전극(23)과 서로 대향하는 영역을 갖고 있지 않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C3)에서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C2)가 구비하는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41)이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51)과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52)으로 분할되고,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2)이 제 3 그라운드 내부 전극(53)과 제 4 그라운드 내부 전극(54)과 분할된 구성이 채용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C3)에서는, 제 1 신호 단자 전극(11)과 제 2 신호 단자 전극(12)은, 서로 절연되고, 제 1 및 제 2 신호 단자 전극(11, 12)은,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과 절연되어 있다. 적 층 콘덴서(C3)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이, 그라운드 라인(GL)에 각각 접속됨으로써,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적층 콘덴서(C3)에서는, 제 1 신호 단자 전극(11)과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의 사이에, 제 1 콘덴서(C31)와 제 2 콘덴서(C32)와 제 5 콘덴서(C35)가 병렬 접속되어 있다. 제 2 신호 단자 전극(12)과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의 사이에, 제 3 콘덴서(C33)와 제 4 콘덴서(C34)와 제 6 콘덴서(C36)가 병렬 접속되어 있다. 제 1 신호 단자 전극(11)과 제 2 신호 단자 전극(12)의 사이에, 제 1, 제 2, 및 제 5 콘덴서(C31, C32, C35)와, 제 3, 제 4, 및 제 6 콘덴서(C33, C34, C36)가 직렬 접속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1 신호 단자 전극(11)과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의 사이에, 서로 정전 용량이 다른 제 1 콘덴서(C31)와 제 2 콘덴서(C32)와 제 5 콘덴서(C35)가 병렬 접속되어 있다. 제 2 신호 단자 전극(12)과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의 사이에, 서로 정전 용량이 다른 제 3 콘덴서(C33)와 제 4 콘덴서(C34)와 제 6 콘덴서(C36)가 병렬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저임피던스의 대역폭이 넓어진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1 및 제 3 그라운드 내부 전극(51, 53)은, 제 2 및 제 4 신호 내부 전극(22, 24)과 적층 방향에 대향하는 영역을 갖고 있지 않다. 제 2 및 제 4 그라운드 내부 전극(52, 54)은, 제 1 및 제 3 신호 내부 전극(21, 23)과 적층 방향에 대향하는 영역을 갖고 있지 않다. 따라서, 제 1 및 제 3 신호 내부 전극(21, 23), 제 1 및 제 3 그라운드 내부 전극(51, 53)에 의해서 구성되는 제 1, 제 3, 제 6 콘덴서(C31, 33, 36)와, 제 2 및 제 4 신호 내부 전극(22, 24), 제 2 및 제 4 그라운드 내부 전극(52, 54)에 의해서 구성되는 제 2, 제 4, 제 5 콘덴서(C32, 34, 35)의 사이에 크로스토크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4 그라운드 내부 전극(51 내지 54)이 동일 층에 이격하여 배치됨으로써, 각 제 1 내지 제 4 그라운드 내부 전극(51 내지 54)의 사이로부터 유전체층(9)의 표면이 노출된다. 노출된 유전체층(9)의 표면은, 제 1 내지 제 4 그라운드 내부 전극(51 내지 54)과 제 1 내지 제 4 신호 내부 전극(21 내지 24)의 사이에 끼워진 유전체층(9)과 밀착한다. 따라서, 제 1 내지 제 4 그라운드 내부 전극(51 내지 54)을 끼는 2층의 유전체층(9)의 밀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C4)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에 포함되는 콘덴서 소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단면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등가회로도이다.
도 10,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C4)는, 상술한 제 1 내지 제 4 신호 내부 전극(21 내지 24) 대신에, 제 1 내지 제 4 신호 내부 전극(61 내지 64)을 구비하고 있다. 적층 콘덴서(C4)는, 제 1 내지 제 4 그라운드 내부 전극(71 내지 74)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내지 제 4 그라운드 내부 전극(71 내지 74)은, 상술한 제 1 내지 제 4 그라운드 내부 전극(51 내지 54)과 각각 같은 형상이며 같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콘덴서 소체(1)를 제 3 및 제 4 측면(6, 7)과 평행한 평면으로 절단한 경우의 단면 구조를 도시한다. 도 11a는 단면에 제 1 및 제 3 신호 내부 전극(61, 63)이 포함되도록 콘덴서 소체(1)를 절단한 경우의 구조를 도시하고, 도 11b는, 단면에 제 2 및 제 4 신호 내부 전극(62, 64)이 포함되도록 콘덴서 소체(1)를 절단한 경우의 구조를 도시한다.
제 1 내지 제 4 신호 내부 전극(61 내지 64)은, 각각 직사각형 형상을 보이고, 동일 층에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 1 신호 내부 전극(61)은, 제 1 측면(4)측이고 또한 제 4 측면(7)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신호 내부 전극(61)은, 제 1 신호 내부 전극(61)의 제 4 측면(7)측의 1변이 제 4 측면(7)과 평행하고 또한 제 4 측면(7)으로부터 이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1 신호 내부 전극(61)의 제 1 측면(4)측의 1변은, 제 1 측면(4)에 노출되어 있다. 이로써, 제 1 신호 내부 전극(61)은, 제 1 측면(4)을 덮는 제 1 신호 단자 전극(11)과 물리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2 신호 내부 전극(62)은, 제 1 측면(4)측이고 또한 제 3 측면(6)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신호 내부 전극(62)은, 제 2 신호 내부 전극(62)의 제 3 측면(6)측의 1변이 제 3 측면(6)과 평행하고 또한 제 3 측면(6)으로부터 이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2 신호 내부 전극(62)의 제 1 측면(4)측의 1변은, 제 1 측 면(4)에 노출되어 있다. 이로써, 제 2 신호 내부 전극(62)은, 제 1 측면(4)을 덮는 제 1 신호 단자 전극(11)과 물리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3 신호 내부 전극(63)은, 제 2 측면(5)측이고 또한 제 4 측면(7)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 3 신호 내부 전극(63)은, 제 3 신호 내부 전극(63)의 제 4 측면(7)측의 1변이 제 4 측면(7)과 평행하고 또한 제 4 측면(7)으로부터 이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3 신호 내부 전극(63)의 제 2 측면(5)측의 1변은, 제 2 측면(5)에 노출되어 있다. 이로써, 제 3 신호 내부 전극(63)은, 제 2 측면(5)을 덮는 제 2 신호 단자 전극(12)과 물리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4 신호 내부 전극(64)은, 제 2 측면(5)측이고 또한 제 3 측면(6)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 4 신호 내부 전극(64)은, 제 4 신호 내부 전극(64)의 제 3 측면(6)측의 1변이 제 3 측면(6)과 평행하고 또한 제 3 측면(6)으로부터 이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4 신호 내부 전극(64)의 제 2 측면(5)측의 1변은, 제 2 측면(5)에 노출되어 있다. 이로써, 제 4 신호 내부 전극(64)은, 제 2 측면(5)을 덮는 제 2 신호 단자 전극(12)과 물리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1 신호 내부 전극(61)의 면적은, 제 2 신호 내부 전극(62)의 면적보다 작다. 제 2 신호 내부 전극(62)의 면적은, 제 4 신호 내부 전극(64)의 면적보다 크다. 제 2 신호 내부 전극(62)의 면적은, 제 3 신호 내부 전극(63)의 면적과 같은 정도이고, 제 4 신호 내부 전극(64)의 면적은, 제 1 신호 내부 전극(61)의 면적과 같은 정도이다.
제 1 내지 제 4 그라운드 내부 전극(71 내지 74)은, 유전체층(9)을 개재하여 적층 방향으로 제 1 내지 제 4 신호 내부 전극(61 내지 64)이 배치된 층과 서로 이웃하는 층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내지 제 4 그라운드 내부 전극(71 내지 74)은, 동일 층에 있어서, 서로 이격하고 있다. 제 1 내지 제 4 그라운드 내부 전극(71 내지 74)은, 대략 같은 형상 또한 같은 정도의 면적이다. 제 1 내지 제 4 그라운드 내부 전극(71 내지 74)은, 제 1 및 제 2 측면(4, 5)의 대향 방향과 제 3 및 제 4 측면(6, 7)의 대향 방향을 따라서 2개씩 배열하고 있다.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71)은, 직사각형 형상을 보이는 주전극부와, 인출부(75)를 갖고 있다. 주전극부와 인출부(75)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72)은, 직사각형 형상을 보이는 주전극부와, 인출부(76)를 갖고 있다. 주전극부와 인출부(76)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 3 그라운드 내부 전극(73)은, 직사각형 형상을 보이는 주전극부와, 인출부(77)를 갖고 있다. 주전극부와 인출부(77)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 4 그라운드 내부 전극(74)은, 직사각형 형상을 보이는 주전극부와, 인출부(78)를 갖고 있다. 주전극부와 인출부(78)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내지 제 4 그라운드 내부 전극(71 내지 74)의 주전극부를 구성하는 4변은, 각 측면(4 내지 7)과 평행하고 또한 각 측면(4 내지 7)으로부터 이격하고 있다.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71)은, 제 1 측면(4)측이고 또한 제 4 측면(7)측에 배치되어 있다. 인출부(75)는,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71)의 주전극부에서의 제 4 측면(7)측이고 또한 제 2 측면(5)측의 단부로부터 제 4 측면(7)으로 끌려나오고 있고, 인출부(75)의 단부는 제 4 측면(7)에 노출되어 있다.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4)은, 제 4 측면(7)에 노출된 인출부(75)의 단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71)과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4)이, 물리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71)의 주전극부는, 제 1 신호 내부 전극(61)과 적층 방향에서 겹치는 영역(71A)을 갖고 있다. 영역(71A)은, 제 1 신호 내부 전극(61)과 유전체층(9)을 끼워 적층 방향에 서로 대향하고 있다. 이로써,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71)의 영역(71A)과 제 1 신호 내부 전극(61)은, 제 1 콘덴서(C41)를 구성한다.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71)은, 제 2 내지 제 4 신호 내부 전극(62 내지 64)과 서로 대향하는 영역을 갖고 있지 않다.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72)은, 제 1 측면(4)측이고 또한 제 3 측면(6)측에 배치되어 있다. 인출부(76),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72)의 주전극부에서의 제 3 측면(6)측이고 또한 제 2 측면(5)측의 단부로부터 제 3 측면(6)으로 끌려나오고 있고, 인출부(76)의 단부는 제 3 측면(6)에 노출되어 있다.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13)은, 제 3 측면(6)에 노출된 인출부(76)의 단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72)과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13)이, 물리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72)의 주전극부는, 제 2 신호 내부 전극(62)과 적층 방향에서 겹치는 영역(72A)을 갖고 있다. 영역(72A)은, 제 2 신호 내부 전극(62)과 유전체층(9)을 끼워 적층 방향에 서로 대향하고 있다. 이로써,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72)의 영역(72A)과 제 2 신호 내부 전극(62)은, 제 2 콘덴서(C42)를 구성한다.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72)은, 제 1, 제 3, 및 제 4 신호 내부 전극(61, 63, 64)과 서로 대향하는 영역을 갖고 있지 않다.
제 3 그라운드 내부 전극(73)은, 제 2 측면(5)측이고 또한 제 4 측면(7)측에 배치되어 있다. 인출부(77)는, 제 3 그라운드 내부 전극(73)의 주전극부에서의 제 4 측면(7)측이고 또한 제 1 측면(4)측의 단부로부터 제 4 측면(7)으로 끌려나오고 있고, 인출부(77)의 단부는 제 4 측면(7)에 노출되어 있다.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4)은, 제 4 측면(7)에 노출된 인출부(77)의 단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제 3 그라운드 내부 전극(73)과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4)과가, 물리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3 그라운드 내부 전극(73)의 주전극부는, 제 3 신호 내부 전극(63)과 적층 방향에서 겹치는 영역(73A)을 갖고 있다. 영역(73A)은, 제 3 신호 내부 전극(63)과 유전체층(9)을 끼워 적층 방향에 서로 대향하고 있다. 이로써, 제 3 그라운드 내부 전극(73)의 영역(73A)과 제 3 신호 내부 전극(63)은, 제 3 콘덴서(C43)를 구성한다. 제 3 그라운드 내부 전극(73)은, 제 1, 제 2, 및 제 4 신호 내부 전극(61, 62, 64)과 서로 대향하는 영역을 갖고 있지 않다.
제 4 그라운드 내부 전극(74)은, 제 2 측면(5)측이고 또한 제 3 측면(6)측에 배치되어 있다. 인출부(78)는, 제 4 그라운드 내부 전극(74)의 주전극부에서의 제 3 측면(6)측이고 또한 제 1 측면(4)측의 단부로부터 제 3 측면(6)으로 끌려나오고 있고, 인출부(78)의 단부는 제 3 측면(6)에 노출되어 있다.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13)은, 제 3 측면(6)에 노출된 인출부(78)의 단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제 4 그라운드 내부 전극(74)과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13)이, 물리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4 그라운드 내부 전극(74)의 주전극부는, 제 4 신호 내부 전극(64)과 적층 방향에서 겹치는 영역(74A)을 갖고 있다. 영역(74A)은, 제 4 신호 내부 전극(74)과 유전체층(9)을 끼워 적층 방향에 서로 대향하고 있다. 이로써, 제 4 그라운드 내부 전극(74)의 영역(74A)과 제 4 신호 내부 전극(64)은, 제 4 콘덴서(C34)를 구성한다. 제 4 그라운드 내부 전극(74)은, 제 1 내지 제 3 신호 내부 전극(61 내지 63)과 서로 대향하는 영역을 갖고 있지 않다.
제 1 콘덴서(C41)와 제 2 콘덴서(C42)는, 각각을 구성하는 내부 전극의 서로 대향하는 면적이 다르다. 제 1 콘덴서(C41)의 정전 용량은, 제 2 콘덴서(C42)의 정전 용량보다 작다. 제 3 콘덴서(C43)와 제 4 콘덴서(C44)는, 각각을 구성하는 내부 전극의 서로 대향하는 면적이 다르다. 제 3 콘덴서(C43)의 정전 용량은, 제 4 콘덴서(C44)의 정전 용량보다 크다. 제 1 콘덴서(C41)와 제 4 콘덴서(C44)의 정전 용량은 같은 정도이고, 제 2 콘덴서(C42)와 제 3 콘덴서(C43)와의 정전 용량은 같은 정도이다.
이렇게 구성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C4)에서는, 제 1 신호 단자 전극(11)과 제 2 신호 단자 전극(12)은, 서로 절연되고, 제 1 및 제 2 신호 단자 전극(11, 12)은,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과 절연되어 있다. 적층 콘덴서(C4)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이, 그라운드 라인(GL)에 각각 접속됨으로써,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1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적층 콘덴서(C4)에서는, 제 1 신호 단자 전극(11)과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의 사이에, 서로 정전 용량이 다른 제 1 콘덴서(C41)와 제 2 콘덴서(C42)가 병렬 접속되어 있다. 제 2 신호 단자 전극(12)과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의 사이에, 서로 정전 용량이 다른 제 3 콘덴서(C43)와 제 4 콘덴서(C44)가 병렬 접속되어 있다. 제 1 신호 단자 전극(11)과 제 2 신호 단자 전극(12)의 사이에, 제 1 및 제 2 콘덴서(C41, C42)와, 제 3 및 제 4 콘덴서(C43, C44)가 직렬 접속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1 신호 단자 전극(11)과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의 사이에, 서로 정전 용량이 다른 제 1 콘덴서(C41)와 제 2 콘덴서(C42)가 병렬 접속되어 있다. 제 2 신호 단자 전극(12)과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의 사이에, 서로 정전 용량이 다른 제 3 콘덴서(C43)와 제 4 콘덴서(C44)가 병렬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저임피던스의 대역폭이 넓어진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71)은, 제 2 내지 제 4 신호 내부 전극(62 내지 64)과 적층 방향에 대향하는 영역을 갖고 있지 않다.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72)은, 제 1, 제 3, 및 제 4 신호 내부 전극(61, 63, 64)과 적층 방향에 대향하는 영역을 갖고 있지 않다. 제 3 그라운드 내부 전극(73)은, 제 1, 제 2, 및 제 4 신호 내부 전극(61, 62, 64)과 적층 방향에 대향하는 영역을 갖고 있지 않다. 제 4 그라운드 내부 전극(74)은, 제 1 내지 제 3 신호 내부 전극(61 내지 63)과 적층 방향에 대향하는 영역을 갖고 있지 않다. 따라서, 제 1 내 지 제 4 콘덴서(C41 내지 C44)와의 서로 간에 크로스토크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적층 콘덴서(C1)는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4)을 구비하고 있지만,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4)은 없어도 좋다. 제 1 내지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4 신호 내부 전극(24, 64)이 구비되어 있지만, 없어도 좋다. 제 1 내지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내지 제 4 신호 내부 전극(21 내지 24, 61 내지 64)은, 각각 동일 층에 배치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다른 층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제 2 내지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1, 42), 제 1 내지 제 4 그라운드 내부 전극(51 내지 54, 71 내지 74)은, 각각 동일 층에 배치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다른 층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기재된 본 발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많은 방식들로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이 분명할 것이다. 이러한 변동들은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것으로 인식되지 않고, 본 기술에 숙련자에게 분명한 바와 같이 모든 이러한 변경들은 이하의 청구범위들의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사시도.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에 포함되는 콘덴서 소체의 분해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단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등가회로도.
도 5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에 포함되는 콘덴서 소체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등가회로도.
도 7은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에 포함되는 콘덴서 소체의 분해 사시도.
도 8a 및 도 8b는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단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등가회로도.
도 10은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에 포함되는 콘덴서 소체의 분해 사시도.
도 11a 및 도 11b는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단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등가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콘덴서 소체 2 : 제 1 주면(2)
3 : 제 2 주면 4 : 제 1 측면
5 : 제 2 측면 6 : 제 3 측면
7 : 제 4 측면 11 : 1 신호 단자 전극
12 : 제 2 신호 단자 전극 13 :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
14 :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
Claims (7)
- 적층 콘덴서로서,콘덴서 소체와,상기 콘덴서 소체의 외측 표면에 배치된, 제 1 신호 단자 전극과 제 2 신호 단자 전극과 그라운드 단자 전극과,상기 콘덴서 소체 내에 배치된, 그라운드 내부 전극과 제 1 내지 제 3 신호 내부 전극을 구비하고,상기 그라운드 내부 전극은 상기 그라운드 단자 전극에 접속되고,상기 제 1 신호 전극은 상기 제 1 신호 단자 전극에 접속되는 동시에 상기 그라운드 내부 전극과 대향하여 제 1 콘덴서를 구성하고,상기 제 2 신호 내부 전극은 상기 제 1 신호 단자 전극에 접속되는 동시에 상기 그라운드 내부 전극과 대향하여 제 2 콘덴서를 구성하고,상기 제 3 신호 내부 전극은 상기 제 2 신호 단자 전극에 접속되는 동시에 상기 그라운드 내부 전극과 대향하여 제 3 콘덴서를 구성하고,상기 제 1 콘덴서의 정전 용량과 상기 제 2 콘덴서의 정전 용량은 서로 다른, 적층 콘덴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콘덴서 소체 내에 배치된 제 4 신호 내부 전극을 더 구비하고,상기 제 4 신호 내부 전극은 상기 제 2 신호 단자 전극에 접속되는 동시에, 상기 그라운드 내부 전극과 대향하여 제 4 콘덴서를 구성하고,상기 제 3 콘덴서의 정전 용량과 상기 제 4 콘덴서의 정전 용량은 서로 다른, 적층 콘덴서.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내지 제 4 신호 내부 전극은 동일 층에 배치되고,상기 제 1 신호 내부 전극의 면적과 상기 제 2 신호 내부 전극의 면적은 서로 다르고,상기 제 3 신호 내부 전극의 면적과 상기 제 4 신호 내부 전극의 면적은 서로 다른, 적층 콘덴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그라운드 단자 전극은 서로 이격하여 배치된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과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을 포함하고,상기 그라운드 내부 전극은 서로 이격하여 배치된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과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을 포함하고,상기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은 상기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과 접속되는 동시에 상기 제 1 신호 내부 전극과 대향하는 영역을 갖고 또한 상기 제 2 신호 내부 전극과 대향하는 영역을 갖고 있지 않고,상기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은 상기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과 접속되는 동시에, 상기 제 2 신호 내부 전극과 대향하는 영역을 갖고 또한 상기 제 1 신호 내부 전극과 대향하는 영역을 갖고 있지 않는, 적층 콘덴서.
-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은 서로 이격하여 배치된 제 1 전극 부분과 제 2 전극 부분을 포함하고,상기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의 상기 제 1 전극 부분은 상기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과 접속되는 동시에 상기 제 1 신호 내부 전극과 대향하는 영역을 갖고,상기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의 상기 제 2 전극 부분은 상기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과 접속되는 동시에 상기 제 3 신호 내부 전극과 대향하는 영역을 갖고 있는, 적층 콘덴서.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의 상기 제 1 전극 부분은 상기 제 3 신호 내부 전극과 대향하는 영역을 갖고 있지 않고,상기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의 상기 제 2 전극 부분은 상기 제 1 신호 내부 전극과 대향하는 영역을 갖고 있지 않는, 적층 콘덴서.
-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콘덴서 소체는 대략 직방체 형상을 보이는 동시에 상기 외측 표면으로서 서로 대향하고 또한 상기 콘덴서 소체의 단변 방향으로 신장하는 제 1 및 제 2 측면과 서로 대향하고 또한 상기 콘덴서 소체의 장변 방향으로 신장하는 제 3 및 제 4 측면을 갖고,상기 제 1 신호 단자 전극은 상기 제 1 측면에 배치되고,상기 제 2 신호 단자 전극은 상기 제 2 측면에 배치되고,상기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은 상기 제 3 측면에 배치되고,상기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은 상기 제 4 측면에 배치되어 있는, 적층 콘덴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8207044A JP4618348B2 (ja) | 2008-08-11 | 2008-08-11 | 積層コンデンサ |
JPJP-P-2008-207044 | 2008-08-11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19972A true KR20100019972A (ko) | 2010-02-19 |
Family
ID=41652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73377A KR20100019972A (ko) | 2008-08-11 | 2009-08-10 | 적층 콘덴서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8068330B2 (ko) |
JP (1) | JP4618348B2 (ko) |
KR (1) | KR20100019972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165716B2 (en) * | 2011-06-24 | 2015-10-20 | Knowles Capital Formation, Inc. | High capacitance single layer capacitor |
KR20140065255A (ko) * | 2012-11-21 | 2014-05-29 | 삼성전기주식회사 | 어레이형 적층 세라믹 전자 부품, 그 회로 기판 실장 구조 및 그 제조 방법 |
KR102122935B1 (ko) * | 2013-03-29 | 2020-06-26 | 삼성전기주식회사 |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및 그 제조 방법 |
WO2015077433A1 (en) * | 2013-11-22 | 2015-05-28 | Knowles Cazenovia, Inc. | High capacitance single layer capaci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JP6137047B2 (ja) | 2014-05-09 | 2017-05-31 | 株式会社村田製作所 | 積層コンデンサ及びその使用方法 |
KR102450593B1 (ko) * | 2016-04-27 | 2022-10-07 | 삼성전기주식회사 | 커패시터 부품 |
JP2018067612A (ja) * | 2016-10-19 | 2018-04-26 | Tdk株式会社 | 差動伝送回路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AU1468399A (en) * | 1997-11-24 | 1999-06-15 | Avx Corporation | Improved miniature surface mount capacitor and method of making same |
US6515842B1 (en) * | 2000-03-30 | 2003-02-04 | Avx Corporation | Multiple array and method of making a multiple array |
DE10064447C2 (de) * | 2000-12-22 | 2003-01-02 | Epcos Ag | Elektrisches Vielschichtbauelement und Entstörschaltung mit dem Bauelement |
US6587327B1 (en) * | 2002-05-17 | 2003-07-01 | Daniel Devoe | Integrated broadband ceramic capacitor array |
JP2004266784A (ja) * | 2003-01-10 | 2004-09-24 | Murata Mfg Co Ltd | ノイズフィルタ |
JP2006059977A (ja) * | 2004-08-19 | 2006-03-02 | Mitsubishi Electric Corp | 複合コンデンサ |
JP2006100708A (ja) * | 2004-09-30 | 2006-04-13 | Taiyo Yuden Co Ltd | 3端子型積層コンデンサ実装回路基板および3端子型積層コンデンサ |
US7092236B2 (en) * | 2005-01-20 | 2006-08-15 |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 Multilayer chip capacitor |
JP4225507B2 (ja) * | 2005-06-13 | 2009-02-18 | Tdk株式会社 | 積層コンデンサ |
US7599166B2 (en) | 2005-11-17 | 2009-10-06 |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 Multilayer chip capacitor |
JP5038634B2 (ja) | 2006-02-16 | 2012-10-03 | Tdk株式会社 | ノイズフィルタ及びノイズフィルタの実装構造 |
JP4415986B2 (ja) * | 2006-12-07 | 2010-02-17 | Tdk株式会社 | 積層型電子部品 |
US8310804B2 (en) * | 2007-05-22 | 2012-11-13 | Murata Manufacturing Co., Ltd. | Monolithic ceramic capacitor |
-
2008
- 2008-08-11 JP JP2008207044A patent/JP4618348B2/ja active Active
-
2009
- 2009-07-09 US US12/500,148 patent/US8068330B2/en active Active
- 2009-08-10 KR KR1020090073377A patent/KR20100019972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4618348B2 (ja) | 2011-01-26 |
US20100033896A1 (en) | 2010-02-11 |
JP2010045103A (ja) | 2010-02-25 |
US8068330B2 (en) | 2011-11-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20528B1 (ko) | 적층 콘덴서 | |
KR101148894B1 (ko) | 적층 콘덴서 | |
KR20100019972A (ko) | 적층 콘덴서 | |
JP4924490B2 (ja) | 貫通型積層コンデンサ | |
KR100962421B1 (ko) | 관통형 적층 콘덴서 | |
KR100936902B1 (ko) |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 | |
JP2016149479A (ja) | 積層コンデンサ | |
JP5870674B2 (ja) | 積層コンデンサアレイ | |
CN101373664B (zh) | 层叠电容器 | |
CN108063606B (zh) | 层叠型滤波器 | |
KR100910934B1 (ko) |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 | |
KR20100021988A (ko) | 적층 콘덴서 | |
JP4483904B2 (ja) | 貫通型積層コンデンサ | |
CN108023152B (zh) | 定向耦合器 | |
KR101369818B1 (ko) | 적층형 필터 | |
JP5601334B2 (ja) | 電子部品 | |
JP6363444B2 (ja) | 積層型コンデンサ | |
KR101051621B1 (ko) | 관통 콘덴서 및 관통 콘덴서의 실장 구조 | |
JP4412386B2 (ja) | 貫通型積層コンデンサ | |
JP3727542B2 (ja) | 積層貫通型コンデンサ | |
JP2011223136A (ja) | 電子部品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