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9972A - 적층 콘덴서 - Google Patents

적층 콘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9972A
KR20100019972A KR1020090073377A KR20090073377A KR20100019972A KR 20100019972 A KR20100019972 A KR 20100019972A KR 1020090073377 A KR1020090073377 A KR 1020090073377A KR 20090073377 A KR20090073377 A KR 20090073377A KR 20100019972 A KR20100019972 A KR 201000199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internal electrode
signal
ground
capac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3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아키 토가시
Original Assignee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19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99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33Thin- or thick-film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38Multiple capacitors, i.e. structural combinations of fixed capacitors
    • H01G4/385Single unit multiple capacitors, e.g. dual capacitor in one coi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30Stacked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Capacitors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적층 콘덴서는, 콘덴서 소체와, 콘덴서 소체의 외측 표면에 배치된 제 1 신호 단자 전극과 제 2 신호 단자 전극과 그라운드 단자 전극과, 콘덴서 소체 내에 배치된 그라운드 내부 전극과 제 1 내지 제 3 신호 내부 전극을 구비하고 있다. 그라운드 내부 전극은, 그라운드 단자 전극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신호 전극은, 제 1 신호 단자 전극에 접속되는 동시에, 그라운드 내부 전극과 대향하여 제 1 콘덴서를 구성하고 있다. 제 2 신호 내부 전극은, 제 1 신호 단자 전극에 접속되는 동시에, 그라운드 내부 전극과 대향하여 제 2 콘덴서를 구성하고 있다. 제 3 신호 내부 전극은, 제 2 신호 단자 전극에 접속되는 동시에, 그라운드 내부 전극과 대향하여 제 3 콘덴서를 구성하고 있다. 제 1 콘덴서의 정전 용량과 제 2 콘덴서의 정전 용량은, 서로 다르다.
적층 콘덴서, 콘덴서 소체, 신호 단자 전극, 그라운드 내부 전극, 정전 용량

Description

적층 콘덴서{MULTILAYER CAPACITOR}
본 발명은 적층 콘덴서에 관한 것이다.
2라인의 신호선로에서의 노이즈 대책용의 적층 콘덴서가,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59977호에 기재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59977호에 기재된 적층 콘덴서는, 제 1 신호선에 접속되는 제 1 신호선용 단자와, 제 2 신호선에 접속되는 제 2 신호선용 단자와, 접지용 패드에 접속되는 제 1과 제 2 접지용 단자를 구비하고, 제 1 신호선용 단자와 제 1 접지용 단자의 사이에 제 1 콘덴서가 구성되고, 제 2 신호선용 단자와 제 2 접지용 단자의 사이에 제 2 콘덴서가 구성되어 있다.
노이즈 대책용의 적층 콘덴서로서, 저임피던스가 되는 대역폭이 한층 더 넓어진 적층 콘덴서가 요구되고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저임피던스가 되는 대역폭이 한층 더 넓어진 적층 콘덴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적층 콘덴서로서, 콘덴서 소체와, 콘덴서 소체의 외측 표면에 배치된, 제 1 신호 단자 전극과 제 2 신호 단자 전극과 그라운드 단자 전극과, 콘덴서 소체 내에 배치된, 그라운드 내부 전극과 제 1 내지 제 3 신호 내부 전극을 구비하고, 그라운드 내부 전극은, 그라운드 단자 전극에 접속되고, 제 1 신호 전극은, 제 1 신호 단자 전극에 접속되는 동시에, 그라운드 내부 전극과 대향하여 제 1 콘덴서를 구성하고, 제 2 신호 내부 전극은, 제 1 신호 단자 전극에 접속되는 동시에, 그라운드 내부 전극과 대향하여 제 2 콘덴서를 구성하고, 제 3 신호 내부 전극은, 제 2 신호 단자 전극에 접속되는 동시에, 그라운드 내부 전극과 대향하여 제 3 콘덴서를 구성하고, 제 1 콘덴서의 정전 용량과 제 2 콘덴서의 정전 용량은 서로 다르다.
본 발명의 적층 콘덴서에서는, 그라운드 내부 전극과 제 1 내지 제 3 신호 내부 전극에 의해서, 제 1 내지 제 3 콘덴서가 구성되어 있다. 제 1 콘덴서와 제 2 콘덴서는, 제 1 신호 단자 전극과 그라운드 단자 전극의 사이에 병렬 접속되어 있다. 병렬 접속된 제 1 및 제 2 콘덴서는, 제 1 신호 단자 전극과 제 2 신호 단 자 전극의 사이에서 제 3 콘덴서와 직렬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적층 콘덴서가, 그라운드 단자 전극이 그라운드에 접속되는 동시에 제 1 신호 단자 전극과 제 2 신호 단자 전극이 각각 2라인의 신호라인에 접속되도록 실장되면, 2라인의 전송선로 각각과 그라운드의 사이에 제 1 내지 제 3 콘덴서가 접속된다. 제 1 콘덴서의 정전 용량과 제 2 콘덴서의 정전 용량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저임피던스가 되는 대역폭이 한층 더 넓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콘덴서 소체 내에 배치된 제 4 신호 내부 전극을 더 구비하고, 제 4 신호 내부 전극은, 제 2 신호 단자 전극에 접속되는 동시에, 그라운드 내부 전극과 대향하여 제 4 콘덴서를 구성하고, 제 3 콘덴서의 정전 용량과 제 4 콘덴서의 정전 용량은 서로 다르다.
이 경우, 그라운드 내부 전극과 제 1 내지 제 4 신호 내부 전극에 의해서, 제 1 내지 제 4 콘덴서가 구성된다. 제 3 콘덴서와 제 4 콘덴서는, 제 2 신호 단자 전극과 그라운드 단자 전극의 사이에 병렬 접속되어 있다. 병렬 접속된 제 3 및 제 4 콘덴서는, 제 1 신호 단자 전극과 제 2 신호 단자 전극의 사이에서 제 1 및 제 2 콘덴서와 직렬 접속되어 있다. 제 3 콘덴서의 정전 용량과 제 4 콘덴서의 정전 용량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저임피던스가 되는 대역폭이 더욱 넓어진다. 제 1 신호 단자 전극과 그라운드 단자 전극의 사이에 제 1 및 제 2 콘덴서가 접속되고, 제 2 신호 단자 전극과 그라운드 단자 전극의 사이에 제 3 및 제 4 콘덴서가 접속되기 때문에, 대칭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내지 제 4 신호 내부 전극은, 동일 층에 배치되고, 제 1 신호 내부 전극의 면적과 제 2 신호 내부 전극의 면적은, 서로 다르고, 제 3 신호 내부 전극의 면적과 제 4 신호 내부 전극의 면적은, 서로 다르다.
이 경우, 제 1 콘덴서의 정전 용량과 제 2 콘덴서의 정전 용량을 용이하게 다르게 할 수 있고, 제 3 콘덴서 정전 용량과 제 4 콘덴서의 정전 용량을 용이하게 다르게 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4 신호 내부 전극을 동일 층에 배치함으로써, 적층 콘덴서에 있어서의 적층수의 증가를 억제하여, 적층 콘덴서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그라운드 단자 전극은, 서로 이격하여 배치된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과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을 포함하고, 그라운드 내부 전극은, 서로 이격하여 배치된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과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을 포함하고,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은,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과 접속되는 동시에, 제 1 신호 내부 전극과 대향하는 영역을 갖고 또한 제 2 신호 내부 전극과 대향하는 영역을 갖고 있지 않고,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은,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과 접속되는 동시에, 제 2 신호 내부 전극과 대향하는 영역을 갖고 또한 제 1 신호 내부 전극과 대향하는 영역을 갖고 있지 않다.
이 경우,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과 제 1 신호 내부 전극에 의해서 제 1 콘덴서가 구성되고,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과 제 2 신호 내부 전극에 의해서 제 2 콘덴서가 구성된다.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이 제 2 신호 내부 전극과 대향하는 영역을 갖고 있지 않고,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이 제 1 신호 내부 전극과 대향하는 영역을 갖고 있지 않다. 따라서, 제 1 콘덴서와 제 2 콘덴서의 사이에 크로스 토크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은, 서로 이격하여 배치된 제 1 전극 부분과 제 2 전극 부분을 포함하고,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의 제 1 전극 부분은,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과 접속되는 동시에 제 1 신호 내부 전극과 대향하는 영역을 갖고,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의 제 2 전극 부분은,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과 접속되는 동시에 제 3 신호 내부 전극과 대향하는 영역을 갖고 있다.
이 경우,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의 제 1 전극 부분과 제 1 신호 내부 전극에 의해서 제 1 콘덴서가 구성되고,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의 제 2 전극 부분과 제 3 신호 내부 전극에 의해서 제 3 콘덴서가 구성된다. 따라서,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을 공유하여 제 1 콘덴서와 제 3 콘덴서를 구성하는 경우보다, 제 1 콘덴서와 제 3 콘덴서의 사이에 크로스토크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의 제 1 전극 부분은, 제 3 신호 내부 전극과 대향하는 영역을 갖고 있지 않고,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의 제 2 전극 부분은, 제 1 신호 내부 전극과 대향하는 영역을 갖고 있지 않다.
이 경우, 제 1 콘덴서를 구성하는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의 제 1 전극 부분은, 제 3 콘덴서를 구성하는 제 3 신호 내부 전극과 대향하는 영역을 갖고 있지 않고, 제 3 콘덴서를 구성하는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의 제 2 전극 부분은, 제 1 콘덴서를 구성하는 제 1 신호 내부 전극과 대향하는 영역을 갖고 있지 않다. 따라서, 제 1 콘덴서와 제 3 콘덴서의 사이에 크로스토크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콘덴서 소체는, 대략 직방체 형상을 보이는 동시에, 외측 표면으로서, 서로 대향하고 또한 콘덴서 소체의 단변 방향으로 신장하는 제 1 및 제 2 측면과, 서로 대향하고 또한 콘덴서 소체의 장변 방향으로 신장하는 제 3 및 제 4 측면을 갖고, 제 1 신호 단자 전극은, 제 1 측면에 배치되고, 제 2 신호 단자 전극은, 제 2 측면에 배치되고,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은, 제 3 측면에 배치되고,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은, 제 4 측면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은 단지 설명을 위해서 주어지고 본 발명의 제한으로써 고려되지 않은 첨부된 도면들 및 이하에 제시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완전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적용가능성의 범위는 이후에 제시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상세한 설명 및 특정예들은 단지 설명을 위해서 주어지고,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들 및 변형들이 본 기술의 숙련자들에게 명확할 것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저임피던스가 되는 대역폭이 한층 더 넓어진 적층 콘덴서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설명에 있어서, 동일 요소 또는 동일 기능을 갖는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기로 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C1)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에 포함되는 콘덴서 소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단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등가회로도이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적층 콘덴서(C1)는, 대략 직방체 형상을 보이는 콘덴서 소체(1)를 구비하고 있다. 콘덴서 소체(1)는, 서로 대향하는 직사각형상의 제 1 주면(2) 및 제 2 주면(3)과, 서로 대향하고 또한 콘덴서 소체(1)의 단변 방향(주면(2, 3)의 단변 방향)으로 신장하는 제 1 측면(4) 및 제 2 측면(5)과, 서로 대향하고 또한 콘덴서 소체(1)의 장변 방향(주면(2, 3)의 긴 변 방향)으로 신장하는 제 3 측면(6) 및 제 4 측면(7)을 갖고 있다.
적층 콘덴서(C1)는, 콘덴서 소체(1)의 외측 표면에 서로 이격하여 배치된 제 1 신호 단자 전극(11)과 제 2 신호 단자 전극(12)과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13)과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4)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신호 단자 전극(11)은, 콘덴서 소체(1)의 제 1 측면(4)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신호 단자 전극(11)은, 제 1 측면(4)의 전체면을 덮고, 또한, 제 1 및 제 2 주면(2, 3) 및 제 3 및 제 4 측면(6, 7)의 단부(제 1 측면(4)측의 단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2 신호 단자 전극(12)은, 콘덴서 소체(1)의 제 2 측면(5) 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신호 단자 전극(12)은, 제 2 측면(5)의 전면을 덮고, 또한, 제 1 및 제 2 주면(2, 3) 및 제 3 및 제 4 측면(6, 7)의 단부(제 2 측면(5)측의 단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13)은, 콘덴서 소체(1)의 제 3 측면(6)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13)은, 제 3 측면(6)에 있어서의 제 1 및 제 2 측면(4, 5)의 대향 방향에서의 대략 중앙부를 덮고, 또한, 제 1 및 제 2 주면(2, 3)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4)은, 콘덴서 소체(1)의 제 4 측면(7)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4)은, 제 4 측면(7)에 있어서의 제 1 및 제 2 측면(4, 5)의 대향 방향에서의 대략 중앙부를 덮고, 또한, 제 1 및 제 2 주면(2, 3)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13)과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4)은, 제 3 및 제 4 측면(6, 7)의 대향 방향에서 대향하고 있다.
제 1 및 제 2 신호 단자 전극(11, 12)과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은, 예를 들면, 도전성 금속 분말 및 글라스 프릿을 포함하는 도전성 페이스트를 콘덴서 소체(1)의 외측 표면에 도포하고, 소결함으로써 형성된다. 필요에 따라서, 소결된 제 1 및 제 2 신호 단자 전극(11, 12)과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 위에 도금층이 형성되는 경우도 있다.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콘덴서 소체(1)는, 복수의 유전체층(9)으로 이루어진다. 콘덴서 소체(1)는, 복수의 유전체층(9)이 제 1 및 제 2 주면(2, 3)이 대향하는 방향으로 적층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각 유전체층(9)은, 예를 들면 유 전체 세라믹(BaTiO3계, Ba(Ti, Zr)O3계, 또는 (Ba, Ca)TiO3계 등의 유전체 세라믹)을 포함하는 세라믹 그린 시트의 소결체에 의해 구성되고, 유전체로서의 특성을 갖는다. 실제의 적층 콘덴서(C1)에서는, 각 유전체층(9)은, 서로 간의 경계를 시인(視認)할 수 없는 정도로 일체화되어 있다.
도 2,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적층 콘덴서(C1)는, 제 1 내지 제 4 신호 내부 전극(21 내지 24)과 그라운드 내부 전극(31)을 구비하고 있다. 도 3a 및 도 3b는 콘덴서 소체(1)를 제 3 및 제 4 측면(6, 7)과 평행한 평면으로 절단한 경우의 단면(斷面) 구조를 도시한다. 도 3a는 단면에 제 1 및 제 3 신호 전극(21, 23)이 포함되도록 콘덴서 소체(1)를 절단한 경우의 구조를 도시하고, 도 3b는 단면에 제 2 및 제 4 신호 내부 전극(22, 24)이 포함되도록 콘덴서 소체(1)를 절단한 경우의 구조를 도시한다.
제 1 내지 제 4 신호 내부 전극(21 내지 24)과 그라운드 내부 전극(31)은, 적층형 전자부품의 내부 전극으로서 통상 사용되는 도전성 재료(예를 들면, 비금속인 Ni 등)로 이루어진다. 제 1 내지 제 4 신호 내부 전극(21 내지 24)과 그라운드 내부 전극(31)은, 상기 도전성 재료를 포함하는 도전성 페이스트의 소결체에 의해 구성된다.
제 1 내지 제 4 신호 내부 전극(21 내지 24)은, 콘덴서 소체(1)내에, 유전체층(9)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제 1 내지 제 4 신호 내부 전극(21 내지 24)은, 동일 층에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 1 내지 제 4 신호 내부 전극(21 내지 24)은, 각각 직사각형상을 보이고 있다.
제 1 신호 내부 전극(21)은, 제 1 측면(4)측이고 또한 제 4 측면(7)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신호 내부 전극(21)의 제 4 측면(7)측의 1변은, 제 4 측면(7)과 평행하고 또한 제 4 측면(7)으로부터 이격하고 있다. 제 1 신호 내부 전극(21)의 제 1 측면(4)측의 1변은, 제 1 측면(4)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신호 내부 전극(21)은, 제 1 측면(4)을 덮는 제 1 신호 단자 전극(11)과 물리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2 신호 내부 전극(22)은, 제 1 측면(4)측이고 또한 제 3 측면(6)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신호 내부 전극(22)의 제 3 측면(6)측의 1변은, 제 3 측면(6)과 평행하고 또한 제 3 측면(6)으로부터 이격하고 있다. 제 2 신호 내부 전극(22)의 제 1 측면(4)측의 1변은, 제 1 측면(4)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신호 내부 전극(22)은, 제 1 측면(4)을 덮는 제 1 신호 단자 전극(11)과 물리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3 신호 내부 전극(23)은, 제 2 측면(5)측이고 또한 제 4 측면(7)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 3 신호 내부 전극(23)의 제 4 측면(7)측의 1변은, 제 4 측면(7)과 평행하고 또한 제 4 측면(7)으로부터 이격하고 있다. 제 3 신호 내부 전극(23)의 제 2 측면(5)측의 1변은, 제 2 측면(5)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제 3 신호 내부 전극(23)은, 제 2 측면(5)을 덮는 제 2 신호 단자 전극(12)과 물리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4 신호 내부 전극(24)은, 제 2 측면(5)측이고 또한 제 3 측면(6)측에 배 치되어 있다. 제 4 신호 내부 전극(24)의 제 3 측면(6)측의 1변은, 제 3 측면(6)과 평행하고 또한 제 3 측면(6)으로부터 이격하고 있다. 제 4 신호 내부 전극(24)의 제 2 측면(5)측의 1변은, 제 2 측면(5)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제 4 신호 내부 전극(24)은, 제 2 측면(5)을 덮는 제 2 신호 단자 전극(12)과 물리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1 내지 제 4 신호 내부 전극(21 내지 24)은, 제 3 측면(6)과 제 4 측면(7)의 대향 방향에서의 길이가 서로 같은 정도이다. 제 1 신호 내부 전극(21)과 제 3 신호 내부 전극(23)은, 제 1 측면(4)과 제 2 측면(5)의 대향 방향에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제 1 신호 내부 전극(21)의 면적은, 제 3 신호 내부 전극(23)의 면적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면적이란, 유전체층(9)의 적층 방향(제 1 주면(2)과 제 2 주면(3)의 대향 방향)으로부터 본 면적이다.
제 2 신호 내부 전극(22)과 제 4 신호 내부 전극(24)은, 제 1 측면(4)과 제 2 측면(5)의 대향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제 2 신호 내부 전극(22)의 면적은, 제 4 신호 내부 전극(24)의 면적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제 2 신호 내부 전극(22)의 면적은 제 3 신호 내부 전극(23)의 면적과 같은 정도이고, 제 4 신호 내부 전극(24)의 면적은 제 1 신호 내부 전극(21)의 면적과 같은 정도이다.
그라운드 내부 전극(31)은, 유전체층(9)을 개재하여 적층 방향으로 제 1 내지 제 4 신호 내부 전극(21 내지 24)과 서로 이웃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라운드 내부 전극(31)은, 직사각형 형상을 보이는 주전극부와, 한 쌍의 인출부(32)를 갖고 있다. 주전극부와 인출부(32)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주전극부를 구성하는 4 변은 각 측면(4 내지 7)과 평행하고 또한 각 측면(4 내지 7)으로부터 이격하고 있다. 그라운드 내부 전극(31)의 주전극부는, 절연층을 끼워 적층 방향에서 제 1 내지 제 4 신호 내부 전극(21 내지 24)과 대향하고 있다.
하나의 인출부(32)는, 주전극부에서의 제 3 측면(6)측의 1변의 중앙부로부터 제 3 측면(6)으로 끌려나오고 있고, 인출부(32)의 단부는 제 3 측면(6)에 노출되어 있다.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13)은, 제 3 측면(6)에 노출된 인출부(32)의 단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그라운드 내부 전극(31)과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13)은, 물리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다른 인출부(32)는, 주전극부에서의 제 4 측면(7)측의 1변의 중앙부로부터 제 4 측면(7)으로 끌려나오고 있고, 인출부(32)의 단부는 제 4 측면(7)에 노출되어 있다.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4)은, 제 4 측면(7)에 노출된 인출부(32)의 단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그라운드 내부 전극(31)과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4)은, 물리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라운드 내부 전극(31; 주전극부)은, 제 1 내지 제 4 신호 내부 전극(21 내지 24) 각각과 유전체층(9)을 끼워 적층 방향에 서로 대향하고 있다. 그라운드 내부 전극(31)에 포함되는 영역(31A)은, 적층 방향에서 보아, 제 1 신호 내부 전극(21)과 겹치고 있다. 그라운드 내부 전극(31)의 영역(31A)과 제 1 신호 내부 전극(21)은, 제 1 콘덴서(C11)를 구성한다. 유전체층(9)에 있어서, 그라운드 내부 전극(31)의 영역(31A)과 제 1 신호 내부 전극(21)에 의해서 끼워진 영역은, 제 1 콘덴서(C11)의 정전 용량 성분을 실질적으로 발생시키는 영역이다.
그라운드 내부 전극(31)에 포함되는 포함하는 영역(31B)은, 적층 방향으로부터 보아 제 2 신호 내부 전극(22)과 겹치고 있다. 그라운드 내부 전극(31)의 영역(31B)과 제 2 신호 내부 전극(22)은, 제 2 콘덴서(C12)를 구성한다. 유전체층(9)에 있어서, 그라운드 내부 전극(31)의 영역(31B)과 제 2 신호 내부 전극(22)에 의해서 끼워진 영역은, 제 2 콘덴서(C12)의 정전 용량 성분을 실질적으로 발생시키는 영역이다.
제 2 콘덴서(C12)를 구성하는 제 2 신호 내부 전극(22)과 그라운드 내부 전극(31)의 영역(31B)이 서로 대향하는 면적은, 제 1 콘덴서(C11)를 구성하는 제 1 신호 내부 전극(21)과 그라운드 내부 전극(31)의 영역(31A)이 서로 대향하는 면적보다 크다. 따라서, 제 2 콘덴서(C12)의 정전 용량은, 제 1 콘덴서(C11)의 정전 용량보다 크다.
그라운드 내부 전극(31)에 포함되는 영역(31C)은, 적층 방향에서 보아, 제 3 신호 내부 전극(23)과 겹치고 있다. 그라운드 내부 전극(31)의 영역(31C)과 제 3 신호 내부 전극(23)은, 제 3 콘덴서(C13)를 구성한다. 유전체층(9)에 있어서, 그라운드 내부 전극(31)의 영역(31C)과 제 3 신호 내부 전극(23)에 의해서 끼워진 영역은, 제 3 콘덴서(C13)의 정전 용량 성분을 실질적으로 발생시키는 영역이다.
제 3 콘덴서(C13)를 구성하는 제 3 신호 내부 전극(23)과 그라운드 내부 전극(31)의 영역(31C)이 서로 대향하는 면적은, 제 1 콘덴서(C11)를 구성하는 제 1 신호 내부 전극(21)과 그라운드 내부 전극(31)의 영역(31A)이 서로 대향하는 면적보다 크다. 따라서, 제 3 콘덴서(C13)의 정전 용량은, 제 1 콘덴서(C11)의 정전 용량보다 크다.
제 3 콘덴서(C13)를 구성하는 제 3 신호 내부 전극(23)과 그라운드 내부 전극(31)의 영역(31C)이 서로 대향하는 면적은, 제 2 콘덴서(C12)를 구성하는 제 2 신호 내부 전극(22)과 그라운드 내부 전극(31)의 영역(31B)이 서로 대향하는 면적과 같은 정도이다. 따라서, 제 3 콘덴서(C13)의 정전 용량은, 제 2 콘덴서(C12)의 정전 용량과 같은 정도이다.
그라운드 내부 전극(31)에 포함되는 영역(31D)은, 적층 방향으로부터 보아, 제 4 신호 내부 전극(24)과 겹치고 있다. 그라운드 내부 전극(31)의 영역(31D)과 제 4 신호 내부 전극(24)은, 제 4 콘덴서(C14)를 구성한다. 유전체층(9)에 있어서, 그라운드 내부 전극(31)의 영역(31D)과 제 4 신호 내부 전극(24)에 의해서 끼워진 영역은, 제 4 콘덴서(C14)의 정전 용량 성분을 실질적으로 발생시키는 영역이다.
제 4 콘덴서(C14)를 구성하는 제 4 신호 내부 전극(24)과 그라운드 내부 전극(31)의 영역(31D)이 서로 대향하는 면적은, 제 3 콘덴서(C13)를 구성하는 제 3 신호 내부 전극(23)과 그라운드 내부 전극(31)의 영역(31C)이 서로 대향하는 면적보다 작다. 이 때문에, 제 4 콘덴서(C14)의 정전 용량은, 제 3 콘덴서(C13)의 정전 용량보다 작다.
제 4 콘덴서(C14)를 구성하는 제 4 신호 내부 전극(24)과 그라운드 내부 전극(31)의 영역(31D)이 서로 대향하는 면적은, 제 1 콘덴서(C11)를 구성하는 제 1 신호 내부 전극(21)과 그라운드 내부 전극(31)의 영역(31A)이 서로 대향하는 면적 과 같은 정도이다. 따라서, 제 4 콘덴서(C14)의 정전 용량은, 제 1 콘덴서(C11)의 정전 용량과 같은 정도이다.
이렇게 구성된 적층 콘덴서(C1)에서는, 제 1 신호 단자 전극(11)과 제 2 신호 단자 전극(12)은, 서로 절연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신호 단자 전극(11, 12)은,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과 절연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적층 콘덴서(C1)에서는, 제 1 신호 단자 전극(11)과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의 사이에, 서로 정전 용량이 다른 제 1 콘덴서(C11)와 제 2 콘덴서(C12)가 병렬 접속되어 있다. 제 2 신호 단자 전극(12)과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의 사이에, 서로 정전 용량이 다른 제 3 콘덴서(C13)와 제 4 콘덴서(C14)가 병렬 접속되어 있다. 제 1 신호 단자 전극(11)과 제 2 신호 단자 전극(12)의 사이에, 제 1 및 제 2 콘덴서(C11, C12)와 제 3 및 제 4 콘덴서(C13, C14)가 직렬 접속되어 있다.
적층 콘덴서(C1)는, 제 1 주면(2) 또는 제 2 주면(3)이 다른 부품(예를 들면, 회로기판이나 전자부품 등)에 대향하여 실장된다. 예를 들면, 차동 전송 라인 등을 구성하는 2개의 신호 전송 라인(SL)에 각각 제 1 신호 단자 전극(11)과 제 2 신호 단자 전극(12)이 접속된다.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은, 그라운드 라인(GL)에 각각 접속된다. 이로써, 적층 콘덴서(C1)는, 1개로, 2개의 신호 전송 라인(SL)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기능을 발휘한다. 어떠한 요인에 의해 제 1 신호 전극(11)과 제 2 신호 전극(12)이 도통한 경우는, 적층 콘덴서(C1)의 노이즈 제거 기능은 얻어지지 않고, 회로가 단락(short)하여 버린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1 신호 단자 전극(11)과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의 사이에, 서로 정전 용량이 다른 제 1 콘덴서(C11)와 제 2 콘덴서(C12)가 병렬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저임피던스가 되는 대역폭이 넓어진다. 제 2 신호 단자 전극(12)과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의 사이에, 서로 정전 용량이 다른 제 3 콘덴서(C13)와 제 4 콘덴서(C14)가 병렬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저임피던스의 대역폭이 넓어진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4개의 제 1 내지 제 4 콘덴서(C11 내지 C14)가 구성되고, 제 1 신호 단자 전극(11)과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의 사이와, 제 2 신호 단자 전극(12)과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의 사이에, 각각 2개씩 콘덴서가 병렬 접속된다. 따라서, 제 1 신호 단자 전극(11)과 제 2 신호 단자 전극(12)에 대한 대칭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1 신호 단자 전극(11)과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의 사이에 접속되는 2개의 콘덴서의 합성 정전 용량과, 제 2 신호 단자 전극(12)과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의 사이에 접속되는 2개의 콘덴서의 정전 용량은 같은 정도이고, 대칭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1 내지 제 4 신호 내부 전극(21 내지 24)을 각각 그라운드 내부 전극(31)과 유전체층(9)을 개재하여 대향하도록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제 1 신호 내부 전극(21)의 면적과 제 2 신호 내부 전극(22)과 면적을 다르게 함으로써, 제 1 콘덴서(C11)의 정전 용량과 제 2 콘덴서(C12)의 정전 용량을 용이하게 다르게 할 수 있다. 제 3 신호 내부 전극(23)의 면적과 제 4 신호 내부 전 극(24)과 면적을 다르게 함으로써, 제 3 콘덴서(C13)의 정전 용량과 제 4 콘덴서(C14)의 정전 용량을 용이하게 다르게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1 내지 제 4 신호 내부 전극(21 내지 24)은, 동일 층에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제 1 내지 제 4 콘덴서(C11 내지 C14)에 있어서 원하는 정전 용량을 얻기 위한 내부 전극 및 유전체층의 적층 총수가 적어지고, 적층 콘덴서(C1; 콘덴서 소체(1))의 저배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1 내지 제 4 신호 내부 전극(21 내지 24)을 각각 그라운드 내부 전극(31)과 유전체층(9)을 개재하여 대향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제 1 내지 제 4 콘덴서(C11 내지 C14)를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그라운드 내부 전극(31)을 제 1 내지 제 4 콘덴서(C11 내지 C14)에 있어서 공유할 수 있다. 따라서, 적층 콘덴서(C1)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그라운드 내부 전극(31)은, 제 1 콘덴서(C11)와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을 접속하는 기능, 제 2 콘덴서(C12)와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을 접속하는 기능, 제 3 콘덴서(C13)와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을 접속하는 기능, 제 4 콘덴서(C14)와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을 접속하는 기능을 겸하고 있다. 따라서, 적층 콘덴서(C1)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계속해서, 본 발명에 따른 그 밖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그 밖의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C1)와 비교하여, 신호 내부 전극 및 그라운드 내부 전극의 구성이 다르다. 이하, 제 1 실시형 태의 적층 콘덴서(C1)와 다른 구성에 대하여 주로 설명하고,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 2 실시형태)
도 5, 도 6을 참조하여,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C2)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에 포함되는 콘덴서 소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등가회로도이다.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C2)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적층 콘덴서(C1)와 같은 제 1 내지 제 4 신호 내부 전극(21 내지 24)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C2)는, 상술한 그라운드 내부 전극(31) 대신에,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41)과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2)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1, 42)은, 유전체층(9)을 개재하여 적층 방향으로 제 1 내지 제 4 신호 내부 전극(21 내지 24)이 배치된 층과 서로 이웃하는 층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1, 42)은, 동일 층에 있어서, 서로 이격하고 있다.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41)은, 직사각형 형상을 보이는 주전극부와, 인출부(43)를 갖고 있다. 주전극부와 인출부(43)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2)은, 직사각형 형상을 보이는 주전극부와, 인출부(44)를 갖고 있다. 주전극부와 인출부(44)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1, 42)은, 각 주전극부의 장변 방향이 제 1 측 면(4)과 제 2 측면(5)의 대향 방향과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1, 42)은, 같은 형상 또한 같은 정도의 면적이고, 주전극의 단변 방향으로 병치되어 있다.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41)은, 제 4 측면(7)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41)의 주전극부를 구성하는 4변은, 각 측면(4 내지 7)과 평행하고 또한 각 측면(4 내지 7)으로부터 이격하고 있다.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41)에 있어서의 제 3 측면(6)과 제 4 측면(7)의 대향 방향에서의 길이는, 제 1 내지 제 4 신호 내부 전극(21 내지 24)의 동일 방향에서의 길이와 같은 정도이다.
인출부(43)는,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41)의 주전극부에서의 제 4 측면(7)측의 1변의 중앙부로부터 제 4 측면(7)으로 끌려나오고 있고, 인출부(43)의 단부는 제 4 측면(7)에 노출되어 있다.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4)은, 제 4 측면(7)에 노출된 인출부(43)의 단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41)과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4)이, 물리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41)은, 유전체층(9)을 끼워 제 1 신호 내부 전극(21) 및 제 3 신호 내부 전극(23) 각각과 적층 방향에 서로 대향하고 있다.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41)의 주전극부는, 제 1 신호 내부 전극(21)과 적층 방향에서 겹치는 영역(41A)과, 제 3 신호 내부 전극(23)과 적층 방향에서 겹치는 영역(41B)을 갖고 있다.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41)은, 제 2 신호 내부 전극(22) 및 제 4 신호 내부 전극(24)과 서로 대향하는 영역을 갖고 있지 않다.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41)의 영역(41A)과 제 1 신호 내부 전극(21)은 제 1 콘덴서(C21)를 구성한다. 유전체층(9)에 있어서,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41)의 영역(41A)과 제 1 신호 내부 전극(21)에 의해서 끼워진 영역은, 이 제 1 콘덴서(C21)의 정전 용량 성분을 실질적으로 발생시키는 영역이다.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41)의 영역(41B)과 제 3 신호 내부 전극(23)은, 제 3 콘덴서(C23)를 구성한다. 유전체층(9)에 있어서,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41)의 영역(41B)과 제 3 신호 내부 전극(23)에 의해서 끼워진 영역은, 이 제 3 콘덴서(C23)의 정전 용량 성분을 실질적으로 발생시키는 영역이다.
제 3 콘덴서(C23)를 구성하는 제 3 신호 내부 전극(23)과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41)의 영역(41B)이 서로 대향하는 면적은, 제 1 콘덴서(C21)를 구성하는 제 1 신호 내부 전극(21)과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41)의 영역(41A)이 서로 대향하는 면적보다 크다. 따라서, 제 3 콘덴서(C23)의 정전 용량은, 제 1 콘덴서(C21)의 정전 용량보다 크다.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2)은, 제 3 측면(6)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2)의 주전극부를 구성하는 4변은, 각 측면(4 내지 7)과 평행하고 또한 각 측면(4 내지 7)으로부터 이격하고 있다.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2)에 있어서의 제 3 측면(6)과 제 4 측면(7)의 대향 방향에서의 길이는, 제 1 내지 제 4 신호 내부 전극(21 내지 24)의 동일 방향에서의 길이와 같은 정도이다.
인출부(44)는,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2)의 주전극부에서의 제 3 측면(6)측의 1변의 중앙부로부터 제 3 측면(6)으로 끌려나오고 있고, 인출부(44)의 단부는 제 3 측면(6)에 노출되어 있다.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13)은, 제 3 측면(6)에 노출한 인출부(44)의 단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2)과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13)이, 물리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2)은, 유전체층(9)을 끼워 제 2 신호 내부 전극(22) 및 제 4 신호 내부 전극(24) 각각과 적층 방향에 서로 대향하고 있다.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2)의 주전극부는, 제 2 신호 내부 전극(22)과 적층 방향에서 보아 겹치는 영역(42A)과, 제 4 신호 내부 전극(24)과 적층 방향에서 보아 겹치는 영역(42B)을 갖고 있다.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2)은, 제 1 신호 내부 전극(21) 및 제 3 신호 내부 전극(23)과 서로 대향하는 영역을 갖고 있지 않다.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2)의 영역(42A)과 제 2 신호 내부 전극(22)은, 제 2 콘덴서(C22)를 구성한다. 유전체층(9)에 있어서,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2)의 영역(42A)과 제 2 신호 내부 전극(22)에 의해서 끼워진 영역은, 이 제 2 콘덴서(C22)의 정전 용량 성분을 실질적으로 발생시키는 영역이다.
제 2 콘덴서(C22)를 구성하는 제 2 신호 내부 전극(22)과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2)의 영역(42A)이 서로 대향하는 면적은, 제 1 콘덴서(C21)를 구성하는 제 1 신호 내부 전극(21)과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41)의 영역(41A)이 서로 대향하는 면적보다 크다. 따라서, 제 2 콘덴서(C22)의 정전 용량은, 제 1 콘덴서(C21)의 정전 용량보다 크다.
제 2 콘덴서(C22)를 구성하는 제 2 신호 내부 전극(22)과 제 2 그라운드 내 부 전극(42)의 영역(42A)이 서로 대향하는 면적은, 제 3 콘덴서(C23)를 구성하는 제 3 신호 내부 전극(23)과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41)의 영역(41B)이 서로 대향하는 면적과 같은 정도이다. 따라서, 제 2 콘덴서(C22)의 정전 용량은, 제 3 콘덴서(C23)의 정전 용량과 같은 정도이다.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2)의 영역(42B)과 제 4 신호 내부 전극(24)은, 제 4 콘덴서(C24)를 구성한다. 유전체층(9)에 있어서,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2)의 영역(42B)과 제 4 신호 내부 전극(24)에 의해서 끼워진 영역은, 이 제 4 콘덴서(C24)의 정전 용량 성분을 실질적으로 발생시키는 영역이다.
제 4 콘덴서(C24)를 구성하는 제 4 신호 내부 전극(24)과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2)의 영역(42B)이 서로 대향하는 면적은, 제 3 콘덴서(C23)를 구성하는 제 3 신호 내부 전극(23)과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41)의 영역(41B)이 서로 대향하는 면적보다 작다. 따라서, 제 4 콘덴서(C24)의 정전 용량은, 제 3 콘덴서(C23)의 정전 용량보다 작다.
제 4 콘덴서(C24)를 구성하는 제 4 신호 내부 전극(24)과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2)의 영역(42B)이 서로 대향하는 면적은, 제 1 콘덴서(C21)를 구성하는 제 1 신호 내부 전극(21)과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41)의 영역(41A)이 서로 대향하는 면적과 같은 정도이다. 따라서, 제 4 콘덴서(C24)의 정전 용량은, 제 1 콘덴서(C21)의 정전 용량과 같은 정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C2)에서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C1)가 구비되는 그라운드 내부 전극(31)이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41)과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2)과 분할된 구성이 채용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적층 콘덴서(C2)에서는, 제 1 신호 단자 전극(11)과 제 2 신호 단자 전극(12)은, 서로 절연되고, 제 1 및 제 2 신호 단자 전극(11, 12)은,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과 절연되어 있다. 적층 콘덴서(C2)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이, 그라운드 라인(GL)에 각각 접속됨으로써,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적층 콘덴서(C2)에서는, 제 1 신호 단자 전극(11)과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의 사이에, 서로 정전 용량이 다른 제 1 콘덴서(C21)와 제 2 콘덴서(C22)가 병렬 접속되어 있다. 제 2 신호 단자 전극(12)과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의 사이에, 서로 정전 용량이 다른 제 3 콘덴서(C23)와 제 4 콘덴서(C24)가 병렬 접속되어 있다. 제 1 신호 단자 전극(11)과 제 2 신호 단자 전극(12)의 사이에, 제 1 및 제 2 콘덴서(C21, C22)와 제 3 및 제 4 콘덴서(C23, C24)가 직렬 접속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1 신호 단자 전극(11)과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의 사이에, 서로 정전 용량이 다른 제 1 콘덴서(C21)와 제 2 콘덴서(C22)가 병렬 접속되어 있다. 제 2 신호 단자 전극(12)과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의 사이에, 서로 정전 용량이 다른 제 3 콘덴서(C23)와 제 4 콘덴서(C24)가 병렬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저임피던스의 대역폭이 넓어진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41)과 제 1 및 제 3 신호 전극(21, 23)에 의해서 제 1 및 제 3 콘덴서(C21, C23)가 구성되고,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2)과 제 2 및 제 4 신호 내부 전극(22, 24)에 의해서 제 2 및 제 4 콘덴서(C22, C24)가 구성되어 있다.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41)은, 제 2 및 제 4 신호 내부 전극(22, 24)과 대향하는 영역을 갖고 있지 않고,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2)은 제 1 및 제 3 신호 내부 전극(21, 23)과 대향하는 영역을 갖고 있지 않다. 따라서, 제 1 및 제 3 콘덴서(C21, 23)와 제 2 및 제 4 콘덴서(C22, 24)의 사이에 크로스토크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1, 42)은, 동일 층에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제 1 내지 제 4 콘덴서(C11 내지 C14)에 있어서 원하는 정전 용량을 얻기 위한 내부 전극 및 유전체층의 적층 총수가 적어지고, 적층 콘덴서(C2; 콘덴서 소체(1))의 저배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1, 42)이 이격하여 배치됨으로써,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41)과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2)의 사이로부터 유전체층(9)의 표면이 노출된다.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41)과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2)의 사이로부터 노출된 유전체층(9)의 표면은,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1, 42)과 제 1 내지 제 4 신호 내부 전극(21 내지 24)의 사이에 위치하는 유전체층(9)과 밀착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1, 42)을 끼우는 2층의 유전체층(9)의 밀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1 및 제 3 신호 내부 전극(21, 23)을 각각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41)과 유전체층(9)을 개재하여 대향하도록 배치하여 제 1 및 제 3 콘덴서(C21, C23)를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41)을 제 1 콘덴서(C21)와 제 3 콘덴서(C23)로 공유할 수 있다. 제 2 및 제 4 신호 내부 전극(22, 24)을 각각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2)과 유전체층(9)을 개재하여 대향하도록 배치하고 제 2 및 제 4 콘덴서(C22, C24)를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2)을 제 2 콘덴서(C22)와 제 4 콘덴서(C24)로 공유할 수 있다. 따라서, 적층 콘덴서(C2)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41)은, 제 1 콘덴서(C21)와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4)을 접속하는 기능, 제 3 콘덴서(C23)와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4)을 접속하는 기능을 겸하고 있다.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2)은, 제 2 콘덴서(C22)와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13)을 접속하는 기능, 제 4 콘덴서(C24)와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13)을 접속하는 기능을 겸하고 있다. 따라서, 적층 콘덴서(C2)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C3)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에 포함되는 콘덴서 소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단면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등가회로도이다.
도 7,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C3)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적층 콘덴서(C1)와 같은 제 1 내지 제 4 신호 내부 전극(21 내지 24)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C3)는, 상기의 그라운드 내부 전극(31) 대신에,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51),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52), 제 3 그라운드 내부 전극(53), 제 4 그라운드 내부 전극(54)을 구비하고 있다.
도 8a 및 도 8b는, 콘덴서 소체(1)를 제 3 및 제 4 측면(6, 7)과 평행한 평면으로 절단한 경우의 단면 구조를 도시한다. 도 8a는, 단면에 제 1 및 제 3 신호 전극(21, 23)이 포함되도록 콘덴서 소체(1)를 절단한 경우의 구조를 도시하고, 도 8b는, 단면에 제 2 및 제 4 신호 내부 전극(22, 24)이 포함되도록 콘덴서 소체(1)를 절단한 경우의 구조를 나타낸다.
제 1 내지 제 4 그라운드 내부 전극(51 내지 54)은, 유전체층(9)을 개재하여 적층 방향으로 제 1 내지 제 4 신호 내부 전극(21 내지 24)이 배치된 층과 서로 이웃하는 층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내지 제 4 그라운드 내부 전극(51 내지 54)은, 동일 층에 있어서, 서로 이격하고 있다. 제 1 내지 제 4 그라운드 내부 전극(51 내지 54)은, 대략 같은 형상 또한 같은 정도의 면적이다. 제 1 내지 제 4 그라운드 내부 전극(51 내지 54)은, 제 1 및 제 2 측면(4, 5)의 대향 방향과 제 3 및 제 4 측면(6, 7)의 대향 방향을 따라서 2개씩 배열하고 있다.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51)은, 직사각형 형상을 보이는 주전극부와, 인출부(55)를 갖고 있다. 주전극부와 인출부(55)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52)은, 직사각형 형상을 보이는 주전극부와, 인출부(56)를 갖고 있다. 주전극부와 인출부(56) 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 3 그라운드 내부 전극(53)은, 직사각형 형상을 보이는 주전극부와, 인출부(57)를 갖고 있다. 주전극부와 인출부(57)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 4 그라운드 내부 전극(54)은, 직사각형 형상을 보이는 주전극부와, 인출부(58)를 갖고 있다. 주전극부와 인출부(58)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내지 제 4 그라운드 내부 전극(51 내지 54)의 주전극부를 구성하는 4변은, 각 측면(4 내지 7)과 평행하고 또한 각 측면(4 내지 7)으로부터 이격하고 있다.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51)은, 제 1 측면(4)측이고 또한 제 4 측면(7)측에 배치되어 있다. 인출부(55)는,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51)의 주전극부에서의 제 4 측면(7)측이고 또한 제 2 측면(5)측의 단부로부터 제 4 측면(7)으로 끌려나오고 있고, 인출부(55)의 단부는 제 4 측면(7)으로 노출되어 있다.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4)은, 제 4 측면(7)에 노출된 인출부(55)의 단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51)과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4)이, 물리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51)의 주전극부는, 제 1 신호 내부 전극(21)과 적층 방향에서 겹치는 영역(51A)을 갖고 있다. 영역(51A)은, 제 1 신호 내부 전극(21)과 유전체층(9)을 끼워 적층 방향에 서로 대향하고 있다. 이로써,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51)의 영역(51A)과 제 1 신호 내부 전극(21)은, 제 1 콘덴서(C31)를 구성한다.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51)의 주전극부는, 제 3 신호 내부 전극(23)과 적층 방향에서 겹치는 영역(51B)을 갖고 있다. 영역(51B)은, 제 3 신호 내부 전 극(23)의 제 1 측면(4)측의 영역(23B)과 유전체층(9)을 끼워 적층 방향에 서로 대향하고 있다. 이로써,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51)의 영역(51B)과 제 3 신호 내부 전극(23)의 영역(23B)은, 제 6 콘덴서(C36)를 구성한다.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51)은, 제 2 신호 내부 전극(22) 및 제 4 신호 내부 전극(24)과 서로 대향하는 영역을 갖고 있지 않다.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52)은, 제 1 측면(4)측이고 또한 제 3 측면(6)측에 배치되어 있다. 인출부(56)는,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52)의 주전극부에서의 제 3 측면(6)측이고 또한 제 2 측면(5)측의 단부로부터 제 3 측면(6)으로 끌려나오고 있고, 인출부(56)의 단부는 제 3 측면(6)에 노출되어 있다.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13)은, 제 3 측면(6)에 노출된 인출부(56)의 단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52)과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13)이, 물리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52)의 주전극부는, 제 2 신호 내부 전극(22)과 적층 방향에서 겹치는 영역(52A)을 갖고 있다. 영역(52A)은, 제 2 신호 내부 전극(22)의 제 1 측면(4)측의 영역(22A)과 유전체층(9)을 끼워 적층 방향에 서로 대향하고 있다. 이로써,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52)의 영역(52A)과 제 2 신호 내부 전극(22)의 영역(22A)은, 제 2 콘덴서(C32)를 구성한다.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52)은, 제 1, 제 3, 및 제 4 신호 내부 전극(21, 23, 24)과 서로 대향하는 영역을 갖고 있지 않다.
제 3 그라운드 내부 전극(53)은, 제 2 측면(5)측이고 또한 제 4 측면(7)측에 배치되어 있다. 인출부(57)는, 제 3 그라운드 내부 전극(53)의 주전극부에서의 제 4 측면(7)측이고 또한 제 1 측면(4)측의 단부로부터 제 4 측면(7)으로 끌려나오고 있고, 인출부(57)의 단부는 제 4 측면(7)에 노출되어 있다.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4)은, 제 4 측면(7)에 노출된 인출부(57)의 단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제 3 그라운드 내부 전극(53)과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4)이, 물리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3 그라운드 내부 전극(53)의 주전극부는, 제 3 신호 내부 전극(23)과 적층 방향에서 겹치는 영역(53A)을 갖고 있다. 영역(53A)은, 제 3 신호 내부 전극(23)의 제 2 측면(5)측의 영역(23A)과 유전체층(9)을 끼워 적층 방향에 서로 대향하고 있다. 이로써, 제 3 그라운드 내부 전극(53)의 영역(53A)과 제 3 신호 내부 전극(23)의 영역(23A)은, 제 3 콘덴서(C33)를 구성한다. 제 3 그라운드 내부 전극(53)은, 제 1, 제 2, 및 제 4 신호 내부 전극(21, 22, 24)과 서로 대향하는 영역을 갖고 있지 않다.
제 4 그라운드 내부 전극(54)은, 제 2 측면(5)측이고 또한 제 3 측면(6)측에 배치되어 있다. 인출부(58)는, 제 4 그라운드 내부 전극(54)의 주전극부에서의 제 3 측면(6)측이고 또한 제 1 측면(4)측의 단부로부터 제 3 측면(6)으로 끌려나오고 있고, 인출부(58)의 단부는 제 3 측면(6)으로 노출되어 있다.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13)은, 제 3 측면(6)에 노출된 인출부(58)의 단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제 4 그라운드 내부 전극(54)과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13)이, 물리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4 그라운드 내부 전극(54)의 주전극부는, 제 4 신호 내부 전극(24)과 적층 방향에서 겹치는 영역(54A)을 갖고 있다. 영역(54A)은, 제 4 신호 내부 전극(24)과 유전체층(9)을 끼워 적층 방향에 서로 대향하고 있다. 이로써, 제 4 그라운드 내부 전극(54)의 영역(54A)과 제 1 신호 내부 전극(24)은, 제 4 콘덴서(C34)를 구성한다.
제 4 그라운드 내부 전극(54)의 주전극부는, 제 2 신호 내부 전극(22)과 적층 방향에서 겹치는 영역(54B)을 갖고 있다. 영역(54B)은, 제 2 신호 내부 전극(22)의 제 2 측면(5)측의 영역(22B)과 유전체층(9)을 끼워 적층 방향에 서로 대향하고 있다. 이로써, 제 4 그라운드 내부 전극(54)의 영역(54B)과 제 2 신호 내부 전극(22)의 영역(22B)은, 제 5 콘덴서(C35)를 구성한다. 제 4 그라운드 내부 전극(54)은, 제 1 신호 내부 전극(21)과 제 3 신호 내부 전극(23)과 서로 대향하는 영역을 갖고 있지 않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C3)에서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C2)가 구비하는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41)이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51)과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52)으로 분할되고,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2)이 제 3 그라운드 내부 전극(53)과 제 4 그라운드 내부 전극(54)과 분할된 구성이 채용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C3)에서는, 제 1 신호 단자 전극(11)과 제 2 신호 단자 전극(12)은, 서로 절연되고, 제 1 및 제 2 신호 단자 전극(11, 12)은,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과 절연되어 있다. 적 층 콘덴서(C3)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이, 그라운드 라인(GL)에 각각 접속됨으로써,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적층 콘덴서(C3)에서는, 제 1 신호 단자 전극(11)과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의 사이에, 제 1 콘덴서(C31)와 제 2 콘덴서(C32)와 제 5 콘덴서(C35)가 병렬 접속되어 있다. 제 2 신호 단자 전극(12)과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의 사이에, 제 3 콘덴서(C33)와 제 4 콘덴서(C34)와 제 6 콘덴서(C36)가 병렬 접속되어 있다. 제 1 신호 단자 전극(11)과 제 2 신호 단자 전극(12)의 사이에, 제 1, 제 2, 및 제 5 콘덴서(C31, C32, C35)와, 제 3, 제 4, 및 제 6 콘덴서(C33, C34, C36)가 직렬 접속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1 신호 단자 전극(11)과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의 사이에, 서로 정전 용량이 다른 제 1 콘덴서(C31)와 제 2 콘덴서(C32)와 제 5 콘덴서(C35)가 병렬 접속되어 있다. 제 2 신호 단자 전극(12)과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의 사이에, 서로 정전 용량이 다른 제 3 콘덴서(C33)와 제 4 콘덴서(C34)와 제 6 콘덴서(C36)가 병렬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저임피던스의 대역폭이 넓어진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1 및 제 3 그라운드 내부 전극(51, 53)은, 제 2 및 제 4 신호 내부 전극(22, 24)과 적층 방향에 대향하는 영역을 갖고 있지 않다. 제 2 및 제 4 그라운드 내부 전극(52, 54)은, 제 1 및 제 3 신호 내부 전극(21, 23)과 적층 방향에 대향하는 영역을 갖고 있지 않다. 따라서, 제 1 및 제 3 신호 내부 전극(21, 23), 제 1 및 제 3 그라운드 내부 전극(51, 53)에 의해서 구성되는 제 1, 제 3, 제 6 콘덴서(C31, 33, 36)와, 제 2 및 제 4 신호 내부 전극(22, 24), 제 2 및 제 4 그라운드 내부 전극(52, 54)에 의해서 구성되는 제 2, 제 4, 제 5 콘덴서(C32, 34, 35)의 사이에 크로스토크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4 그라운드 내부 전극(51 내지 54)이 동일 층에 이격하여 배치됨으로써, 각 제 1 내지 제 4 그라운드 내부 전극(51 내지 54)의 사이로부터 유전체층(9)의 표면이 노출된다. 노출된 유전체층(9)의 표면은, 제 1 내지 제 4 그라운드 내부 전극(51 내지 54)과 제 1 내지 제 4 신호 내부 전극(21 내지 24)의 사이에 끼워진 유전체층(9)과 밀착한다. 따라서, 제 1 내지 제 4 그라운드 내부 전극(51 내지 54)을 끼는 2층의 유전체층(9)의 밀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C4)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에 포함되는 콘덴서 소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단면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등가회로도이다.
도 10,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C4)는, 상술한 제 1 내지 제 4 신호 내부 전극(21 내지 24) 대신에, 제 1 내지 제 4 신호 내부 전극(61 내지 64)을 구비하고 있다. 적층 콘덴서(C4)는, 제 1 내지 제 4 그라운드 내부 전극(71 내지 74)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내지 제 4 그라운드 내부 전극(71 내지 74)은, 상술한 제 1 내지 제 4 그라운드 내부 전극(51 내지 54)과 각각 같은 형상이며 같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콘덴서 소체(1)를 제 3 및 제 4 측면(6, 7)과 평행한 평면으로 절단한 경우의 단면 구조를 도시한다. 도 11a는 단면에 제 1 및 제 3 신호 내부 전극(61, 63)이 포함되도록 콘덴서 소체(1)를 절단한 경우의 구조를 도시하고, 도 11b는, 단면에 제 2 및 제 4 신호 내부 전극(62, 64)이 포함되도록 콘덴서 소체(1)를 절단한 경우의 구조를 도시한다.
제 1 내지 제 4 신호 내부 전극(61 내지 64)은, 각각 직사각형 형상을 보이고, 동일 층에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 1 신호 내부 전극(61)은, 제 1 측면(4)측이고 또한 제 4 측면(7)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신호 내부 전극(61)은, 제 1 신호 내부 전극(61)의 제 4 측면(7)측의 1변이 제 4 측면(7)과 평행하고 또한 제 4 측면(7)으로부터 이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1 신호 내부 전극(61)의 제 1 측면(4)측의 1변은, 제 1 측면(4)에 노출되어 있다. 이로써, 제 1 신호 내부 전극(61)은, 제 1 측면(4)을 덮는 제 1 신호 단자 전극(11)과 물리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2 신호 내부 전극(62)은, 제 1 측면(4)측이고 또한 제 3 측면(6)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신호 내부 전극(62)은, 제 2 신호 내부 전극(62)의 제 3 측면(6)측의 1변이 제 3 측면(6)과 평행하고 또한 제 3 측면(6)으로부터 이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2 신호 내부 전극(62)의 제 1 측면(4)측의 1변은, 제 1 측 면(4)에 노출되어 있다. 이로써, 제 2 신호 내부 전극(62)은, 제 1 측면(4)을 덮는 제 1 신호 단자 전극(11)과 물리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3 신호 내부 전극(63)은, 제 2 측면(5)측이고 또한 제 4 측면(7)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 3 신호 내부 전극(63)은, 제 3 신호 내부 전극(63)의 제 4 측면(7)측의 1변이 제 4 측면(7)과 평행하고 또한 제 4 측면(7)으로부터 이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3 신호 내부 전극(63)의 제 2 측면(5)측의 1변은, 제 2 측면(5)에 노출되어 있다. 이로써, 제 3 신호 내부 전극(63)은, 제 2 측면(5)을 덮는 제 2 신호 단자 전극(12)과 물리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4 신호 내부 전극(64)은, 제 2 측면(5)측이고 또한 제 3 측면(6)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 4 신호 내부 전극(64)은, 제 4 신호 내부 전극(64)의 제 3 측면(6)측의 1변이 제 3 측면(6)과 평행하고 또한 제 3 측면(6)으로부터 이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4 신호 내부 전극(64)의 제 2 측면(5)측의 1변은, 제 2 측면(5)에 노출되어 있다. 이로써, 제 4 신호 내부 전극(64)은, 제 2 측면(5)을 덮는 제 2 신호 단자 전극(12)과 물리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1 신호 내부 전극(61)의 면적은, 제 2 신호 내부 전극(62)의 면적보다 작다. 제 2 신호 내부 전극(62)의 면적은, 제 4 신호 내부 전극(64)의 면적보다 크다. 제 2 신호 내부 전극(62)의 면적은, 제 3 신호 내부 전극(63)의 면적과 같은 정도이고, 제 4 신호 내부 전극(64)의 면적은, 제 1 신호 내부 전극(61)의 면적과 같은 정도이다.
제 1 내지 제 4 그라운드 내부 전극(71 내지 74)은, 유전체층(9)을 개재하여 적층 방향으로 제 1 내지 제 4 신호 내부 전극(61 내지 64)이 배치된 층과 서로 이웃하는 층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내지 제 4 그라운드 내부 전극(71 내지 74)은, 동일 층에 있어서, 서로 이격하고 있다. 제 1 내지 제 4 그라운드 내부 전극(71 내지 74)은, 대략 같은 형상 또한 같은 정도의 면적이다. 제 1 내지 제 4 그라운드 내부 전극(71 내지 74)은, 제 1 및 제 2 측면(4, 5)의 대향 방향과 제 3 및 제 4 측면(6, 7)의 대향 방향을 따라서 2개씩 배열하고 있다.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71)은, 직사각형 형상을 보이는 주전극부와, 인출부(75)를 갖고 있다. 주전극부와 인출부(75)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72)은, 직사각형 형상을 보이는 주전극부와, 인출부(76)를 갖고 있다. 주전극부와 인출부(76)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 3 그라운드 내부 전극(73)은, 직사각형 형상을 보이는 주전극부와, 인출부(77)를 갖고 있다. 주전극부와 인출부(77)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 4 그라운드 내부 전극(74)은, 직사각형 형상을 보이는 주전극부와, 인출부(78)를 갖고 있다. 주전극부와 인출부(78)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내지 제 4 그라운드 내부 전극(71 내지 74)의 주전극부를 구성하는 4변은, 각 측면(4 내지 7)과 평행하고 또한 각 측면(4 내지 7)으로부터 이격하고 있다.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71)은, 제 1 측면(4)측이고 또한 제 4 측면(7)측에 배치되어 있다. 인출부(75)는,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71)의 주전극부에서의 제 4 측면(7)측이고 또한 제 2 측면(5)측의 단부로부터 제 4 측면(7)으로 끌려나오고 있고, 인출부(75)의 단부는 제 4 측면(7)에 노출되어 있다.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4)은, 제 4 측면(7)에 노출된 인출부(75)의 단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71)과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4)이, 물리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71)의 주전극부는, 제 1 신호 내부 전극(61)과 적층 방향에서 겹치는 영역(71A)을 갖고 있다. 영역(71A)은, 제 1 신호 내부 전극(61)과 유전체층(9)을 끼워 적층 방향에 서로 대향하고 있다. 이로써,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71)의 영역(71A)과 제 1 신호 내부 전극(61)은, 제 1 콘덴서(C41)를 구성한다.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71)은, 제 2 내지 제 4 신호 내부 전극(62 내지 64)과 서로 대향하는 영역을 갖고 있지 않다.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72)은, 제 1 측면(4)측이고 또한 제 3 측면(6)측에 배치되어 있다. 인출부(76),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72)의 주전극부에서의 제 3 측면(6)측이고 또한 제 2 측면(5)측의 단부로부터 제 3 측면(6)으로 끌려나오고 있고, 인출부(76)의 단부는 제 3 측면(6)에 노출되어 있다.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13)은, 제 3 측면(6)에 노출된 인출부(76)의 단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72)과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13)이, 물리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72)의 주전극부는, 제 2 신호 내부 전극(62)과 적층 방향에서 겹치는 영역(72A)을 갖고 있다. 영역(72A)은, 제 2 신호 내부 전극(62)과 유전체층(9)을 끼워 적층 방향에 서로 대향하고 있다. 이로써,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72)의 영역(72A)과 제 2 신호 내부 전극(62)은, 제 2 콘덴서(C42)를 구성한다.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72)은, 제 1, 제 3, 및 제 4 신호 내부 전극(61, 63, 64)과 서로 대향하는 영역을 갖고 있지 않다.
제 3 그라운드 내부 전극(73)은, 제 2 측면(5)측이고 또한 제 4 측면(7)측에 배치되어 있다. 인출부(77)는, 제 3 그라운드 내부 전극(73)의 주전극부에서의 제 4 측면(7)측이고 또한 제 1 측면(4)측의 단부로부터 제 4 측면(7)으로 끌려나오고 있고, 인출부(77)의 단부는 제 4 측면(7)에 노출되어 있다.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4)은, 제 4 측면(7)에 노출된 인출부(77)의 단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제 3 그라운드 내부 전극(73)과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4)과가, 물리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3 그라운드 내부 전극(73)의 주전극부는, 제 3 신호 내부 전극(63)과 적층 방향에서 겹치는 영역(73A)을 갖고 있다. 영역(73A)은, 제 3 신호 내부 전극(63)과 유전체층(9)을 끼워 적층 방향에 서로 대향하고 있다. 이로써, 제 3 그라운드 내부 전극(73)의 영역(73A)과 제 3 신호 내부 전극(63)은, 제 3 콘덴서(C43)를 구성한다. 제 3 그라운드 내부 전극(73)은, 제 1, 제 2, 및 제 4 신호 내부 전극(61, 62, 64)과 서로 대향하는 영역을 갖고 있지 않다.
제 4 그라운드 내부 전극(74)은, 제 2 측면(5)측이고 또한 제 3 측면(6)측에 배치되어 있다. 인출부(78)는, 제 4 그라운드 내부 전극(74)의 주전극부에서의 제 3 측면(6)측이고 또한 제 1 측면(4)측의 단부로부터 제 3 측면(6)으로 끌려나오고 있고, 인출부(78)의 단부는 제 3 측면(6)에 노출되어 있다.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13)은, 제 3 측면(6)에 노출된 인출부(78)의 단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제 4 그라운드 내부 전극(74)과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13)이, 물리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4 그라운드 내부 전극(74)의 주전극부는, 제 4 신호 내부 전극(64)과 적층 방향에서 겹치는 영역(74A)을 갖고 있다. 영역(74A)은, 제 4 신호 내부 전극(74)과 유전체층(9)을 끼워 적층 방향에 서로 대향하고 있다. 이로써, 제 4 그라운드 내부 전극(74)의 영역(74A)과 제 4 신호 내부 전극(64)은, 제 4 콘덴서(C34)를 구성한다. 제 4 그라운드 내부 전극(74)은, 제 1 내지 제 3 신호 내부 전극(61 내지 63)과 서로 대향하는 영역을 갖고 있지 않다.
제 1 콘덴서(C41)와 제 2 콘덴서(C42)는, 각각을 구성하는 내부 전극의 서로 대향하는 면적이 다르다. 제 1 콘덴서(C41)의 정전 용량은, 제 2 콘덴서(C42)의 정전 용량보다 작다. 제 3 콘덴서(C43)와 제 4 콘덴서(C44)는, 각각을 구성하는 내부 전극의 서로 대향하는 면적이 다르다. 제 3 콘덴서(C43)의 정전 용량은, 제 4 콘덴서(C44)의 정전 용량보다 크다. 제 1 콘덴서(C41)와 제 4 콘덴서(C44)의 정전 용량은 같은 정도이고, 제 2 콘덴서(C42)와 제 3 콘덴서(C43)와의 정전 용량은 같은 정도이다.
이렇게 구성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C4)에서는, 제 1 신호 단자 전극(11)과 제 2 신호 단자 전극(12)은, 서로 절연되고, 제 1 및 제 2 신호 단자 전극(11, 12)은,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과 절연되어 있다. 적층 콘덴서(C4)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이, 그라운드 라인(GL)에 각각 접속됨으로써,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1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적층 콘덴서(C4)에서는, 제 1 신호 단자 전극(11)과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의 사이에, 서로 정전 용량이 다른 제 1 콘덴서(C41)와 제 2 콘덴서(C42)가 병렬 접속되어 있다. 제 2 신호 단자 전극(12)과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의 사이에, 서로 정전 용량이 다른 제 3 콘덴서(C43)와 제 4 콘덴서(C44)가 병렬 접속되어 있다. 제 1 신호 단자 전극(11)과 제 2 신호 단자 전극(12)의 사이에, 제 1 및 제 2 콘덴서(C41, C42)와, 제 3 및 제 4 콘덴서(C43, C44)가 직렬 접속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1 신호 단자 전극(11)과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의 사이에, 서로 정전 용량이 다른 제 1 콘덴서(C41)와 제 2 콘덴서(C42)가 병렬 접속되어 있다. 제 2 신호 단자 전극(12)과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의 사이에, 서로 정전 용량이 다른 제 3 콘덴서(C43)와 제 4 콘덴서(C44)가 병렬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저임피던스의 대역폭이 넓어진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71)은, 제 2 내지 제 4 신호 내부 전극(62 내지 64)과 적층 방향에 대향하는 영역을 갖고 있지 않다.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72)은, 제 1, 제 3, 및 제 4 신호 내부 전극(61, 63, 64)과 적층 방향에 대향하는 영역을 갖고 있지 않다. 제 3 그라운드 내부 전극(73)은, 제 1, 제 2, 및 제 4 신호 내부 전극(61, 62, 64)과 적층 방향에 대향하는 영역을 갖고 있지 않다. 제 4 그라운드 내부 전극(74)은, 제 1 내지 제 3 신호 내부 전극(61 내지 63)과 적층 방향에 대향하는 영역을 갖고 있지 않다. 따라서, 제 1 내 지 제 4 콘덴서(C41 내지 C44)와의 서로 간에 크로스토크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적층 콘덴서(C1)는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4)을 구비하고 있지만,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4)은 없어도 좋다. 제 1 내지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4 신호 내부 전극(24, 64)이 구비되어 있지만, 없어도 좋다. 제 1 내지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내지 제 4 신호 내부 전극(21 내지 24, 61 내지 64)은, 각각 동일 층에 배치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다른 층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제 2 내지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1, 42), 제 1 내지 제 4 그라운드 내부 전극(51 내지 54, 71 내지 74)은, 각각 동일 층에 배치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다른 층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기재된 본 발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많은 방식들로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이 분명할 것이다. 이러한 변동들은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것으로 인식되지 않고, 본 기술에 숙련자에게 분명한 바와 같이 모든 이러한 변경들은 이하의 청구범위들의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사시도.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에 포함되는 콘덴서 소체의 분해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단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등가회로도.
도 5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에 포함되는 콘덴서 소체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등가회로도.
도 7은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에 포함되는 콘덴서 소체의 분해 사시도.
도 8a 및 도 8b는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단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등가회로도.
도 10은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에 포함되는 콘덴서 소체의 분해 사시도.
도 11a 및 도 11b는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단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등가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콘덴서 소체 2 : 제 1 주면(2)
3 : 제 2 주면 4 : 제 1 측면
5 : 제 2 측면 6 : 제 3 측면
7 : 제 4 측면 11 : 1 신호 단자 전극
12 : 제 2 신호 단자 전극 13 :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
14 :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

Claims (7)

  1. 적층 콘덴서로서,
    콘덴서 소체와,
    상기 콘덴서 소체의 외측 표면에 배치된, 제 1 신호 단자 전극과 제 2 신호 단자 전극과 그라운드 단자 전극과,
    상기 콘덴서 소체 내에 배치된, 그라운드 내부 전극과 제 1 내지 제 3 신호 내부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그라운드 내부 전극은 상기 그라운드 단자 전극에 접속되고,
    상기 제 1 신호 전극은 상기 제 1 신호 단자 전극에 접속되는 동시에 상기 그라운드 내부 전극과 대향하여 제 1 콘덴서를 구성하고,
    상기 제 2 신호 내부 전극은 상기 제 1 신호 단자 전극에 접속되는 동시에 상기 그라운드 내부 전극과 대향하여 제 2 콘덴서를 구성하고,
    상기 제 3 신호 내부 전극은 상기 제 2 신호 단자 전극에 접속되는 동시에 상기 그라운드 내부 전극과 대향하여 제 3 콘덴서를 구성하고,
    상기 제 1 콘덴서의 정전 용량과 상기 제 2 콘덴서의 정전 용량은 서로 다른, 적층 콘덴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덴서 소체 내에 배치된 제 4 신호 내부 전극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4 신호 내부 전극은 상기 제 2 신호 단자 전극에 접속되는 동시에, 상기 그라운드 내부 전극과 대향하여 제 4 콘덴서를 구성하고,
    상기 제 3 콘덴서의 정전 용량과 상기 제 4 콘덴서의 정전 용량은 서로 다른, 적층 콘덴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4 신호 내부 전극은 동일 층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신호 내부 전극의 면적과 상기 제 2 신호 내부 전극의 면적은 서로 다르고,
    상기 제 3 신호 내부 전극의 면적과 상기 제 4 신호 내부 전극의 면적은 서로 다른, 적층 콘덴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단자 전극은 서로 이격하여 배치된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과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그라운드 내부 전극은 서로 이격하여 배치된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과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은 상기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과 접속되는 동시에 상기 제 1 신호 내부 전극과 대향하는 영역을 갖고 또한 상기 제 2 신호 내부 전극과 대향하는 영역을 갖고 있지 않고,
    상기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은 상기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과 접속되는 동시에, 상기 제 2 신호 내부 전극과 대향하는 영역을 갖고 또한 상기 제 1 신호 내부 전극과 대향하는 영역을 갖고 있지 않는, 적층 콘덴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은 서로 이격하여 배치된 제 1 전극 부분과 제 2 전극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의 상기 제 1 전극 부분은 상기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과 접속되는 동시에 상기 제 1 신호 내부 전극과 대향하는 영역을 갖고,
    상기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의 상기 제 2 전극 부분은 상기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과 접속되는 동시에 상기 제 3 신호 내부 전극과 대향하는 영역을 갖고 있는, 적층 콘덴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의 상기 제 1 전극 부분은 상기 제 3 신호 내부 전극과 대향하는 영역을 갖고 있지 않고,
    상기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의 상기 제 2 전극 부분은 상기 제 1 신호 내부 전극과 대향하는 영역을 갖고 있지 않는, 적층 콘덴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콘덴서 소체는 대략 직방체 형상을 보이는 동시에 상기 외측 표면으로서 서로 대향하고 또한 상기 콘덴서 소체의 단변 방향으로 신장하는 제 1 및 제 2 측면과 서로 대향하고 또한 상기 콘덴서 소체의 장변 방향으로 신장하는 제 3 및 제 4 측면을 갖고,
    상기 제 1 신호 단자 전극은 상기 제 1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신호 단자 전극은 상기 제 2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은 상기 제 3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은 상기 제 4 측면에 배치되어 있는, 적층 콘덴서.
KR1020090073377A 2008-08-11 2009-08-10 적층 콘덴서 KR201000199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07044A JP4618348B2 (ja) 2008-08-11 2008-08-11 積層コンデンサ
JPJP-P-2008-207044 2008-08-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9972A true KR20100019972A (ko) 2010-02-19

Family

ID=41652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3377A KR20100019972A (ko) 2008-08-11 2009-08-10 적층 콘덴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068330B2 (ko)
JP (1) JP4618348B2 (ko)
KR (1) KR2010001997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65716B2 (en) * 2011-06-24 2015-10-20 Knowles Capital Formation, Inc. High capacitance single layer capacitor
KR20140065255A (ko) * 2012-11-21 2014-05-29 삼성전기주식회사 어레이형 적층 세라믹 전자 부품, 그 회로 기판 실장 구조 및 그 제조 방법
KR102122935B1 (ko) * 2013-03-29 2020-06-26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및 그 제조 방법
WO2015077433A1 (en) * 2013-11-22 2015-05-28 Knowles Cazenovia, Inc. High capacitance single layer capaci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6137047B2 (ja) 2014-05-09 2017-05-3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コンデンサ及びその使用方法
KR102450593B1 (ko) * 2016-04-27 2022-10-07 삼성전기주식회사 커패시터 부품
JP2018067612A (ja) * 2016-10-19 2018-04-26 Tdk株式会社 差動伝送回路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1468399A (en) * 1997-11-24 1999-06-15 Avx Corporation Improved miniature surface mount capacito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6515842B1 (en) * 2000-03-30 2003-02-04 Avx Corporation Multiple array and method of making a multiple array
DE10064447C2 (de) * 2000-12-22 2003-01-02 Epcos Ag Elektrisches Vielschichtbauelement und Entstörschaltung mit dem Bauelement
US6587327B1 (en) * 2002-05-17 2003-07-01 Daniel Devoe Integrated broadband ceramic capacitor array
JP2004266784A (ja) * 2003-01-10 2004-09-24 Murata Mfg Co Ltd ノイズフィルタ
JP2006059977A (ja) * 2004-08-19 2006-03-02 Mitsubishi Electric Corp 複合コンデンサ
JP2006100708A (ja) * 2004-09-30 2006-04-13 Taiyo Yuden Co Ltd 3端子型積層コンデンサ実装回路基板および3端子型積層コンデンサ
US7092236B2 (en) * 2005-01-20 2006-08-15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Multilayer chip capacitor
JP4225507B2 (ja) * 2005-06-13 2009-02-18 Tdk株式会社 積層コンデンサ
US7599166B2 (en) 2005-11-17 2009-10-06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Multilayer chip capacitor
JP5038634B2 (ja) 2006-02-16 2012-10-03 Tdk株式会社 ノイズフィルタ及びノイズフィルタの実装構造
JP4415986B2 (ja) * 2006-12-07 2010-02-17 Tdk株式会社 積層型電子部品
US8310804B2 (en) * 2007-05-22 2012-11-13 Murata Manufacturing Co., Ltd. Monolithic ceramic capaci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618348B2 (ja) 2011-01-26
US20100033896A1 (en) 2010-02-11
JP2010045103A (ja) 2010-02-25
US8068330B2 (en) 2011-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0528B1 (ko) 적층 콘덴서
KR101148894B1 (ko) 적층 콘덴서
KR20100019972A (ko) 적층 콘덴서
JP4924490B2 (ja) 貫通型積層コンデンサ
KR100962421B1 (ko) 관통형 적층 콘덴서
KR100936902B1 (ko)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
JP2016149479A (ja) 積層コンデンサ
JP5870674B2 (ja) 積層コンデンサアレイ
CN101373664B (zh) 层叠电容器
CN108063606B (zh) 层叠型滤波器
KR100910934B1 (ko)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
KR20100021988A (ko) 적층 콘덴서
JP4483904B2 (ja) 貫通型積層コンデンサ
CN108023152B (zh) 定向耦合器
KR101369818B1 (ko) 적층형 필터
JP5601334B2 (ja) 電子部品
JP6363444B2 (ja) 積層型コンデンサ
KR101051621B1 (ko) 관통 콘덴서 및 관통 콘덴서의 실장 구조
JP4412386B2 (ja) 貫通型積層コンデンサ
JP3727542B2 (ja) 積層貫通型コンデンサ
JP2011223136A (ja) 電子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