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2421B1 - 관통형 적층 콘덴서 - Google Patents

관통형 적층 콘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2421B1
KR100962421B1 KR1020080027430A KR20080027430A KR100962421B1 KR 100962421 B1 KR100962421 B1 KR 100962421B1 KR 1020080027430 A KR1020080027430 A KR 1020080027430A KR 20080027430 A KR20080027430 A KR 20080027430A KR 100962421 B1 KR100962421 B1 KR 100962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ground
electrode
main electrode
electrod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7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8424A (ko
Inventor
마사아키 도가시
Original Assignee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88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8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2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2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35Feed-through capacitors or anti-noise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005Electrodes
    • H01G4/012Form of non-self-supporting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228Terminals
    • H01G4/232Terminals electrically connecting two or more layers of a stacked or rolled capaci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30Stacked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 Ceramic Capaci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관통형 적층 콘덴서의 콘덴서 소체에는 접지용 내부전극과 신호용 내부전극이 배치되어 있다. 접지용 내부전극은 제 1 및 제 2 접지용 주전극부와, 신호용 내부전극과 대향하는 영역을 갖지 않는 접지용 연결 전극부와, 제 1 및 제 2 접지용 인출 전극부를 갖는다. 신호용 내부전극은 제 1 및 제 2 신호용 주전극부와, 접지용 내부전극과 대향하는 영역을 갖지 않는 신호용 연결 전극부와, 제 1 및 제 2 신호용 인출 전극부를 갖는다.
관통형 적층 콘덴서, 내부전극, 주전극부, 단자전극, 연결 전극부, 인출 전극부

Description

관통형 적층 콘덴서{Feedthrough multilayer capacitor}
본 발명은 관통형 적층 콘덴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관통형 적층 콘덴서로서, 유전체층과 신호용 내부전극 및 접지용 내부전극이 교대로 적층된 콘덴서 소체와, 상기 콘덴서 소체에 형성된 신호용 단자전극 및 접지용 단자전극을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1-206615호 참조).
본 발명은 1개의 소자로 복수의 정전 용량 성분을 병렬 접속하는 회로를 실현할 수 있는 관통형 적층 콘덴서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통상, 전자기기에는 복수의 관통형 적층 콘덴서가 탑재되어 있다. 따라서, 탑재하는 콘덴서의 수만큼 전자기기내에서 실장 스페이스가 소비되어 버린다. 그래서, 본원 발명자는 1개의 소자로 복수의 병렬회로를 실현할 수 있는 관통형 적층 콘덴서에 관해서 깊이 연구한 결과, 본원 발명에 상도(想到)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는 유전 특성을 갖는 콘덴서 소체와, 콘덴서 소체내에 배치된 접지용 내부전극 및 신호용 내부전극과, 콘덴서 소체의 외표면에 배치된 제 1 및 제 2 접지용 단자전극과, 콘덴서 소체의 외표면에 배치된 제 1 및 제 2 신호용 단자전극을 구비하고, 접지용 내부전극은 제 1 접지용 주전극부와, 제 2 접지용 주전극부와, 제 1 접지용 주전극부로부터 콘덴서 소체의 외표면으로 인출되도록 신장되어 제 1 접지용 단자전극에 접속된 제 1 접지용 인출 전극부와, 제 2 접지용 주전극부로부터 콘덴서 소체의 외표면으로 인출되도록 신장되어 제 2 접지용 단자전극에 접속된 제 2 접지용 인출 전극부와, 제 1 접지용 주전극부와 제 2 접지용 주전극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접지용 연결 전극부를 갖고, 신호용 내부전극은 제 1 신호용 주전극부와, 제 2 신호용 주전극부와, 제 1 신호용 주전극부로부터 콘덴서 소체의 외표면으로 인출되도록 신 장되어 제 1 신호용 단자전극에 접속되는 제 1 신호용 인출 전극부와, 제 2 신호용 주전극부로부터 콘덴서 소체의 외표면으로 인출되도록 신장되어 제 2 신호용 단자전극에 접속되는 제 2 신호용 인출 전극부와, 제 1 신호용 주전극부와 제 2 신호용 주전극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신호용 연결 전극부를 갖고, 제 1 접지용 주전극부 및 제 1 신호용 주전극부가, 콘덴서 소체의 일부를 사이에 끼워 대향하고, 제 2 접지용 주전극부 및 제 2 신호용 주전극부가, 콘덴서 소체의 일부를 사이에 끼워 대향하고, 접지용 연결 전극부는 신호용 내부전극과 대향하는 영역을 갖지 않고, 상기 신호용 연결 전극부는 접지용 내부전극과 대향하는 영역을 갖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통형 적층 콘덴서에서는 접지용 내부전극 및 신호용 내부전극이 각각, 서로 대향하는 복수의 주전극부를 갖고 있다. 한편, 접지용 내부전극 및 신호용 내부전극의 어느 것도, 서로 대향하지 않는 연결 전극부를 갖고 있다. 따라서, 상기 관통형 적층 콘덴서에는 제 1 접지용 주전극부 및 제 1 신호용 주전극부에 의해서 형성되는 정전 용량과, 제 2 접지용 주전극부 및 제 2 신호용 주전극부에 의해서 형성되는 정전 용량이 병렬 접속되는 회로가 실현된다.
콘덴서 소체는 서로 대향하는 직사각형상의 제 1 및 제 2 주면과, 제 1 및 제 2 주면 간을 연결하도록 제 1 및 제 2 주면의 단변 방향으로 신장되어 있는 제 1 및 제 2 단면과, 제 1 및 제 2 주면 간을 연결하도록 제 1 및 제 2 주면의 장변 방향으로 신장되어 있는 제 1 및 제 2 측면을 갖고, 신호용 내부전극과 접지용 내부전극이, 제 1 및 제 2 주면의 대향 방향에 대향하여, 접지용 연결 전극부와 신호 용 연결 전극부가, 콘덴서 소체의 제 1 및 제 2 측면의 대향 방향으로 떨어져 있어도 좋다.
접지용 연결 전극부와 신호용 연결 전극부가 떨어져 형성되기 때문에, 관통형 적층 콘덴서에 형성되는 복수의 정전 용량 성분이 적합하게 분리되어 형성된다.
이 경우, 제 1 및 제 2 접지용 단자전극은 콘덴서 소체의 제 1 측면에 배치되어 있고, 제 1 및 제 2 신호용 단자전극은 콘덴서 소체의 제 2 측면에 배치되어 있고, 접지용 연결 전극부는 제 1 접지용 주전극부의 제 2 측면측의 단부와 제 2 접지용 주전극부의 제 2 측면측의 단부를 연결하고, 신호용 연결 전극부는 제 1 신호용 주전극부의 제 1 측면측의 단부와 제 2 신호용 주전극부의 제 1 측면측의 단부를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지용 연결 전극부와 신호용 연결 전극부가 한층 더 떨어져 형성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접지용 내부전극에 있어서, 제 1 접지용 주전극부의 면적과 제 2 접지용 주전극부의 면적이 다르고, 신호용 내부전극에 있어서, 제 1 신호용 주전극부의 면적과 제 2 신호용 주전극부의 면적이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관통형 적층 콘덴서에는 크기가 다른 정전 용량 성분이 복수 형성된다. 따라서, 관통형 적층 콘덴서는 광대역의 주파수 영역에서 저임피던스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1개의 소자로 복수의 정전 용량 성분을 병렬 접속하는 회 로를 실현할 수 있는 관통형 적층 콘덴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하 주어진 상세한 설명과 예시로서 주어져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고려되지 않는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완전히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용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상세한 설명들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특정 실시예들이 예로서만 주어지고, 따라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 내의 다양한 변경들 및 수정들이 본원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라는 것이 이해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설명에 있어서, 동일 요소 또는 동일 기능을 갖는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기로 하고,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C1)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에 포함되는 콘덴서 소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의 등가 회로도이다.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C1)는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콘덴서 소체(L1)와, 콘덴서 소체(L1)의 외표면에 배치된 제 1 및 제 2 접지용 단자전극(2, 4)과, 콘덴서 소체(L1)의 외표면에 배치된 제 1 및 제 2 신호용 단자전극(3, 5)을 구비한다. 제 1 및 제 2 접지용 단자전극(2, 4), 및 제 1 및 제 2 신호용 단자전극(3, 5)은 예를 들면 도전성 금속 분말 및 유리 플릿을 포함하는 도전성 페이스트를 콘덴서 소체의 외표면에 부여하고, 소결함으로써 형성된다. 필요에 따라서, 소결된 단자전극 위에 도금층이 형성되는 경우도 있다. 이들의 제 1 및 제 2 접지용 단자전극(2, 4), 및 제 1 및 제 2 신호용 단자전극(3, 5)은 콘덴서 소체(L1)의 표면 상에서는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형성되어 있다.
콘덴서 소체(L1)는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직방체형이고, 서로 대향하는 직사각형상의 제 1 및 제 2 주면(L1a, L1b)과, 제 1 및 제 2 주면(L1a, L1b) 사이를 연결하도록 제 1 및 제 2 주면(L1a, L1b)의 단변 방향으로 신장되고 또한 서로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단면(L1c, L1d)과, 제 1 및 제 2 주면(L1a, L1b)을 연결하도록 제 1 및 제 2 주면(L1a, L1b)의 장변 방향으로 신장되고 또한 서로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측면(L1e, L1f)을 갖는다.
제 1 및 제 2 접지용 단자전극(2, 4)은 콘덴서 소체(L1)의 제 1 측면(L1e)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접지용 단자전극(2, 4)은 제 1 측면(L1e) 위에 있고, 이러한 순서로 제 1 단면(L1c)측으로부터 제 2 단면(L1d)측을 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신호용 단자전극(3, 5)은 콘덴서 소체(L1)의 제 2 측면(L1f)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신호용 단자전극(3, 5)은 제 2 측면(L1f) 위에 있고, 이러한 순서로 제 1 단면(L1c)측으로부터 제 2 단면(L1d)측을 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콘덴서 소체(L1)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적층된 복수(본 실시형태에 서는 5층)의 유전체층(10 내지 14)을 갖는다. 각 유전체층(10 내지 14)은 예를 들면 유전체 세라믹을 포함하는 세라믹 그린시트의 소결체로 구성된다. 또, 실제의 관통형 적층 콘덴서(C1)에서는 유전체층(10 내지 14) 사이의 경계를 시인할 수 없을 정도로 일체화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콘덴서 소체(L1)에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2층)의 접지용 내부전극(20, 40)과,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2층)의 신호용 내부전극(30, 50)이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접지용 내부전극(20, 40), 및 신호용 내부전극(30, 50)은 예를 들면, 도전성 페이스트의 소결체로 구성된다.
접지용 내부전극(20)과 신호용 내부전극(30)은 콘덴서 소체(L1)의 일부인 1층의 유전체층(11)을 사이에 끼우고, 제 1 및 제 2 주면(L1a, L1b)의 대향 방향을 따라서 대향한다. 신호용 내부전극(30)과 접지용 내부전극(40)은 콘덴서 소체(L1)의 일부인 1층의 유전체층(12)을 사이에 끼우고, 제 1 및 제 2 주면(L1a, L1b)의 대향 방향을 따라서 대향한다. 접지용 내부전극(40)과 신호용 내부전극(50)은 콘덴서 소체(L1)의 일부인 1층의 유전체층(13)을 사이에 끼우고, 제 1 및 제 2 주면(L1a, L1b)의 대향 방향을 따라서 대향한다.
접지용 내부전극(20)은 콘덴서 소체(L1)의 제 1 및 제 2 주면(L1a, L1b)의 단변 방향을 장변 방향으로 하는 직사각형상의 제 1 및 제 2 접지용 주전극부(21, 23)와, 제 1 및 제 2 접지용 주전극부(21, 23)로부터 제 1 측면(L1e)을 향하여 신장되는 제 1 및 제 2 접지용 인출 전극부(22, 24)와, 콘덴서 소체(L1)의 제 1 및 제 2 주면(L1a, L1b)의 장변 방향을 장변 방향으로 하는 직사각형상의 접지용 연결 전극부(25)를 포함한다. 접지용 내부전극(40)은 콘덴서 소체(L1)의 제 1 및 제 2 주면(L1a, L1b)의 단변 방향을 장변 방향으로 하는 직사각형상의 제 1 및 제 2 접지용 주전극부(41, 43)와, 제 1 및 제 2 접지용 주전극부(41, 43)로부터 제 1 측면(L1e)을 향하여 신장되는 제 1 및 제 2 접지용 인출 전극부(42, 44)와, 콘덴서 소체(L1)의 제 1 및 제 2 주면(L1a, L1b)의 장변 방향을 장변 방향으로 하는 직사각형상의 접지용 연결 전극부(45)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접지용 주전극부(21, 41, 23, 43)는 제 1 및 제 2 단면(L1c, L1d)의 대향 방향을 따라서, 제 1 접지용 주전극부(21, 41), 제 2 접지용 주전극부(23, 43)의 순으로 떨어져 위치하고 있다. 제 1 및 제 2 접지용 주전극부(21, 41)의 형상과 제 1 및 제 2 접지용 주전극부(23, 43)의 형상은 대략 일치하고 있다.
제 1 접지용 인출 전극부(22, 42)는 제 1 측면(L1e)으로 노출되도록 제 1 접지용 주전극부(21, 41)로부터 신장되고, 제 1 접지용 단자전극(2)에 물리적으로 접속된다. 제 2 접지용 인출 전극부(24, 44)는 제 1 측면(L1e)으로 노출되도록 제 2 접지용 주전극부(23, 43)로부터 신장되고, 제 2 접지용 단자전극(4)에 물리적으로 접속된다.
접지용 연결 전극부(25, 45)는 제 1 접지용 주전극부(21, 41)와 제 2 접지용 주전극부(23, 43) 사이에 위치하고, 제 1 접지용 주전극부(21, 41)와 제 2 접지용 주전극부(23, 43)를 연결한다. 접지용 연결 전극부(25, 45)는 제 1 및 제 2 단면(L1c, L1d)의 대향 방향으로 신장되어 있다.
접지용 연결 전극부(25)는 제 1 접지용 주전극부(21)의 제 2 측면(L1f)측의 단부(21a)와 제 2 접지용 주전극부(23)의 제 2 측면(L1f)측의 단부(23a)를 연결한다. 접지용 연결 전극부(45)는 제 1 접지용 주전극부(41)의 제 2 측면(L1f)측의 단부(41a)와 제 2 접지용 주전극부(43)의 제 2 측면(L1f)측의 단부(43a)를 연결한다.
신호용 내부전극(30)은 콘덴서 소체(L1)의 제 1 및 제 2 주면(L1a, L1b)의 단변 방향을 장변 방향으로 하는 직사각형상의 제 1 및 제 2 신호용 주전극부(31, 33)와, 제 1 및 제 2 신호용 주전극부(31, 33)로부터 제 2 측면(L1f)을 향하여 신장되는 제 1 및 제 2 신호용 인출 전극부(32, 34)와, 콘덴서 소체(L1)의 제 1 및 제 2 주면(L1a, L1b)의 장변 방향을 장변 방향으로 하는 직사각형상의 신호용 연결 전극부(35)를 포함한다. 각 신호용 내부전극(50)은 콘덴서 소체(L1)의 제 1 및 제 2 주면(L1a, L1b)의 단변 방향을 장변 방향으로 하는 직사각형상의 제 1 및 제 2 신호용 주전극부(51, 53)와, 제 1 및 제 2 신호용 주전극부(51, 53)로부터 제 2 측면(L1f)을 향하여 신장되는 제 1 및 제 2 신호용 인출 전극부(52, 54)와, 콘덴서 소체(L1)의 제 1 및 제 2 주면(L1a, L1b)의 장변 방향을 장변 방향으로 하는 직사각형상의 신호용 연결 전극부(55)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신호용 주전극부(31, 51, 33, 53)는 제 1 및 제 2 단면(L1c, L1d)의 대향 방향을 따라서, 제 1 신호용 주전극부(31, 51), 제 2 신호용 주전극부(33, 53)의 순으로 떨어져 위치하고 있다. 제 1 및 제 2 신호용 주전극부(31, 51)의 형상과 제 1 및 제 2 신호용 주전극부(33, 53)의 형상은 대략 일치하고 있 다.
제 1 신호용 인출 전극부(32, 52)는 제 2 측면(L1f)으로 노출되도록 제 1 신호용 주전극부(31, 51)로부터 신장되고, 제 1 신호용 단자전극(3)에 물리적으로 접속된다. 제 2 신호용 인출 전극부(34, 54)는 제 2 측면(L1f)으로 노출되도록 제 2 신호용 주전극부(33, 53)로부터 신장되고, 제 2 신호용 단자전극(5)에 물리적으로 접속된다.
신호용 연결 전극부(35, 55)는 제 1 신호용 주전극부(31, 51)와 제 2 신호용 주전극부(33, 53)의 사이에 위치하고, 제 1 신호용 주전극부(31, 51)와 제 2 신호용 주전극부(33, 53)를 연결한다. 신호용 연결 전극부(35, 55)는 제 1 및 제 2 단면(L1c, L1d)의 대향 방향으로 신장되어 있다.
신호용 연결 전극부(35)는 제 1 신호용 주전극부(31)의 제 1 측면(L1e)측의 단부(31a)와 제 2 신호용 주전극부(33)의 제 1 측면(L1e)측의 단부(33a)를 연결한다. 신호용 연결 전극부(55)는 제 1 신호용 주전극부(51)의 제 1 측면(L1e)측의 단부(51a)와 제 2 신호용 주전극부(53)의 제 1 측면(L1e)측의 단부(53a)를 연결한다.
접지용 연결 전극부(25, 45)와 신호용 연결 전극부(35, 55)는 제 1 및 제 2 주면(L1a, L1b)의 대향 방향을 따라서 보았을 때에, 제 1 및 제 2 측면(L1e, L1f)의 대향 방향으로 떨어져 있다.
제 1 접지용 주전극부(21) 및 제 1 신호용 주전극부(31)가 유전체층(11)을 사이에 끼워 대향하고, 제 2 접지용 주전극부(23) 및 제 2 신호용 주전극부(33)가 유전체층(11)을 사이에 끼워 대향한다. 한편, 접지용 연결 전극부(25)는 신호용 내부전극(30)과 대향하는 영역을 갖지 않는다. 신호용 연결 전극부(35)는 접지용 내부전극(20)과 대향하는 영역을 갖지 않는다.
제 1 신호용 주전극부(31) 및 제 1 접지용 주전극부(41)가 유전체층(12)을 사이에 끼워 대향하고, 제 2 신호용 주전극부(33) 및 제 2 접지용 주전극부(43)가 유전체층(12)을 사이에 끼워 대향한다. 한편, 신호용 연결 전극부(35)는 접지용 내부전극(40)과 대향하는 영역을 갖지 않는다. 접지용 연결 전극부(45)는 신호용 내부전극(30)과 대향하는 영역을 갖지 않는다.
제 1 접지용 주전극부(41) 및 제 1 신호용 주전극부(51)가 유전체층(13)을 사이에 끼워 대향하고, 제 2 접지용 주전극부(43) 및 제 2 신호용 주전극부(53)가 유전체층(13)을 사이에 끼워 대향한다. 한편, 접지용 연결 전극부(45)는 신호용 내부전극(50)과 대향하는 영역을 갖지 않는다. 신호용 연결 전극부(55)는 접지용 내부전극(40)과 대향하는 영역을 갖지 않는다.
도 3에 관통형 적층 콘덴서(C1)의 등가 회로도를 도시한다. 도 3에서는 제 1 및 제 2 접지용 단자전극(2, 4)이 그라운드에 접속되고, 제 1 및 제 2 신호용 단자전극(3, 5)이 신호 도선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를 도시한다. 관통형 적층 콘덴서(C1)에서는 접지용 내부전극(20, 40)의 제 1 접지용 주전극부(21, 41)와 신호용 내부전극(30, 50)의 제 1 신호용 주전극부(31, 51)가 서로 대향하고, 정전 용량(C11)을 형성한다. 또한, 접지용 내부전극(20, 40)의 제 2 접지용 주전극부(23, 43)와 신호용 내부전극(30, 50)의 제 2 신호용 주전극부(33, 53)가 서로 대향하고, 정전 용량(C12)을 형성한다.
이것에 대하여, 접지용 내부전극(20, 40)의 접지용 연결 전극부(25, 45)는 신호용 내부전극(30, 50)의 어느 것에도 대향하는 영역을 갖지 않는다. 신호용 내부전극(30, 50)의 신호용 연결 전극부(35, 55)는 어느 것도, 접지용 내부전극(20, 40)의 어느 것에도 대향하는 영역을 갖지 않는다.
따라서, 관통형 적층 콘덴서(C1)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전 용량(C11, C12)을 각각 갖는 2개의 콘덴서가 병렬 접속된 회로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관통형 적층 콘덴서(C1)에서는 접지용 연결 전극부(25, 45)와 신호용 연결 전극부(35, 55)가 떨어져 형성된다. 따라서, 관통형 적층 콘덴서(C1)에 형성되는 복수의 정전 용량(C11, C12)이 적합하게 분리되어 형성된다.
특히, 관통형 적층 콘덴서(C1)에서는 접지용 연결 전극부(25, 45)가 제 1 및 제 2 접지용 주전극부(21, 41, 23, 43)의 제 2 측면(L1f)측의 단부(21a, 41a, 23a, 43a)를 연결하고 있다. 즉, 접지용 연결 전극부(25, 45)는 제 2 측면(L1f)측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신호용 연결 전극부(35, 55)가 제 1 및 제 2 신호용 주전극부(31, 51, 33, 53)의 제 1 측면(L1e)측의 단부(31a, 51a, 33a, 53a)를 연결하고 있다. 즉, 신호용 연결 전극부(35, 55)는 제 1 측면(L1e)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 연결 전극부가 콘덴서 소체(L1)의 측면 근처이며, 또한 서로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접지용 연결 전극부(25, 45)와 신호용 연결 전극부(35, 55)의 사이에 물리적으로 충분히 큰 거리를 취할 수 있다. 따라서, 관통형 적층 콘덴서(C1)에서는 복수의 정전 용량(C11, C12)을 한층 더 적합하게 분리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C1)에서는 제 1 접지용 주전극부(21, 41)의 형상 및 제 2 접지용 주전극부(23, 43)의 형상이, 및 제 1 신호용 주전극부(31, 51)의 형상 및 제 2 신호용 주전극부(33, 53)의 형상이 대략 일치하였지만, 이들이 달라도 좋다.
도 4에,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C1)의 변형예가 구비하는 콘덴서 소체(L1)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C1)의 변형예에서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지용 내부전극(20, 40)에 있어서, 제 1 접지용 주전극부(21, 41)의 면적과 제 2 접지용 주전극부(23, 43)의 면적이 다르다. 또한, 신호용 내부전극(30, 50)에 있어서, 제 1 신호용 주전극부(31, 51)의 면적과 제 2 신호용 주전극부(33, 53)의 면적이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접지용 주전극부(21, 41)의 면적이, 제 2 접지용 주전극부(23, 43)의 면적과 비교하여 작다. 제 1 신호용 주전극부(31, 51)의 면적이, 제 2 신호용 주전극부(33, 53)의 면적과 비교하여 작다. 제 1 접지용 주전극부(21, 41)의 면적과 제 1 신호용 주전극부(31, 51)의 면적이 대략 같고, 제 1 및 제 2 주면(L1a, L1b)의 대향 방향을 따라서 서로 대향하고 있다. 제 2 접지용 주전극부(23, 43)의 면적과 제 2 신호용 주전극부(33, 53)의 면적이 대략 같고, 제 1 및 제 2 주면(L1a, L1b)의 대향 방향을 따라서 서로 대향하고 있다.
이 경우, 제 1 접지용 주전극부(21, 41)와 제 1 신호용 주전극부(31, 51)가 대향하여 형성되는 정전 용량의 크기와, 제 2 접지용 주전극부(23, 43)와 제 2 신호용 주전극부(33, 53)가 대향하여 형성되는 정전 용량의 크기가 다르다. 따라서, 관통형 적층 콘덴서에는 크기가 다른 정전 용량이 복수 형성된다.
도 5에,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C1), 및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C1)의 변형예 각각의 주파수(Hz)에 관한 임피던스(Ω)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한 그래프의 횡축은 주파수(Hz)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임피던스(Ω)를 나타낸다.
도 5의 점선으로 나타난 그래프(Z1)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C1)에 대응하고, 실선으로 나타난 그래프(Z2)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C1)의 변형예에 대응한다. 도 5의 그래프(Z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C1)에서는 콘덴서에 형성된 2개의 정전 용량이 같은 값이기 때문에, 상기 정전 용량에 대응하는 공진 주파수(f1)에만 임피던스가 극소가 되는 점을 갖는다. 한편, 도 5의 그래프(Z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C1)의 변형예에서는 콘덴서에 형성된 2개의 정전 용량의 값이 다르기 때문에, 다른 공진주파수(f1, f2)의 쌍방에 임피던스가 극소가 되는 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관통형 적층 콘덴서(C1)의 변형예는 2개의 다른 정전 용량을 갖고 있기 때문에, 1개의 정전 용량을 갖는 경우와 비교하여, 넓은 주파수 대역에 걸쳐 임피던스를 낮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2 실시형태)
도 6, 7, 10을 참조하여,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C2)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C2)는 접지용 내부전극 및 신호용 내부전극의 형상에 있어서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C1)와는 다르다. 도 6은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에 포함되는 콘덴서 소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의 등가 회로도이다.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C2)는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콘덴서 소체(L2)와, 콘덴서 소체(L2)의 외표면에 배치된 제 1 및 제 2 접지용 단자전극(2, 4)과, 콘덴서 소체(L2)의 외표면에 배치된 제 1 및 제 2 신호용 단자전극(3, 5)을 구비한다.
콘덴서 소체(L2)는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직방체형이고, 서로 대향하는 직사각형상의 제 1 및 제 2 주면(L2a, L2b)과, 제 1 및 제 2 주면(L2a, L2b) 사이를 연결하도록 제 1 및 제 2 주면(L2a, L2b)의 단변 방향으로 신장되고 또한 서로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단면(L2c, L2d)과, 제 1 및 제 2 주면(L2a, L2b)을 연결하도록 제 1 및 제 2 주면(L2a, L2b)의 장변 방향으로 신장되고 또한 서로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측면(L2e, L2f)을 갖는다.
제 1 및 제 2 접지용 단자전극(2, 4)은 제 1 측면(L2e)상에, 이러한 순서로 제 1 단면(L2c)측으로부터 제 2 단면(L2d)측을 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신호용 단자전극(3, 5)은 콘덴서 소체(L2)의 제 2 측면(L2f)상에, 이러한 순서로 제 1 단면(L2c)측으로부터 제 2 단면(L2d)측을 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콘덴서 소체(L2)는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적층된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5층)의 유전체층(10 내지 14)을 갖는다.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콘덴서 소체(L2)에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2층)의 접지용 내부전극(20, 40)과,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2층)의 신호용 내부전극(30, 50)이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접지용 내부전극(20, 40)과 신호용 내부전극(30, 50)은 콘덴서 소체(L2)의 일부인 1층의 유전체층(11, 12, 13)을 각각 사이에 끼우고, 제 1 및 제 2 주면(L2a, L2b)의 대향 방향을 따라서 대향한다.
각 접지용 내부전극(20, 40)은 콘덴서 소체(L2)의 제 1 및 제 2 주면(L2a, L2b)의 단변 방향을 장변 방향으로 하는 직사각형상의 제 1 내지 제 3 접지용 주전극부(21, 41, 23, 43, 27, 47)와, 제 1 및 제 2 접지용 주전극부(21, 41, 23, 43)로부터 제 1 측면(L2e)을 향하여 신장되는 제 1 및 제 2 접지용 인출 전극부(22, 42, 24, 44)와, 콘덴서 소체(L2)의 제 1 및 제 2 주면(L2a, L2b)의 장변 방향을 장변 방향으로 하는 직사각형상의 제 1 및 제 2 접지용 연결 전극부(25, 26, 45, 46)를 포함한다.
제 1 내지 제 3 접지용 주전극부(21, 41, 23, 43, 27, 47)는 제 1 및 제 2 단면(L2c, L2d)의 대향 방향을 따라서, 제 1 접지용 주전극부(21, 41), 제 3 접지용 주전극부(27, 47), 제 2 접지용 주전극부(23, 43)의 순으로 떨어져 위치하고 있다.
제 1 접지용 인출 전극부(22, 42)는 제 1 측면(L2e)으로 노출되도록 제 1 접지용 주전극부(21, 41)로부터 신장되고, 제 1 접지용 단자전극(2)에 물리적으로 접속된다. 제 2 접지용 인출 전극부(24, 44)는 제 1 측면(L2e)으로 노출되도록 제 2 접지용 주전극부(23, 43)로부터 신장되고, 제 2 접지용 단자전극(4)에 물리적으로 접속된다.
제 1 접지용 연결 전극부(25, 45)는 제 1 접지용 주전극부(21, 41)와 제 3 접지용 주전극부(27, 47)의 사이에 위치하고, 제 1 접지용 주전극부(21, 41)와 제 3 접지용 주전극부(27, 47)를 연결한다. 제 2 접지용 연결 전극부(26, 46)는 제 2 접지용 주전극부(23, 43)와 제 3 접지용 주전극부(27, 47)의 사이에 위치하고, 제 2 접지용 주전극부(23, 43)와 제 3 접지용 주전극부(27, 47)를 연결한다. 즉, 제 1 및 제 2 접지용 연결 전극부(25, 45, 26, 46)는 제 1 접지용 주전극부(21, 41)와 제 2의 접지용 주전극부(23, 43)의 사이에 위치한다.
제 1 및 제 2 접지용 연결 전극부(25, 45, 26, 46)는 제 1 및 제 2 단면(L2c, L2d)의 대향 방향으로 신장되어 있다.
제 1 접지용 연결 전극부(25)는 제 1 접지용 주전극부(21)의 제 2 측면(L2f)측의 단부(21a)와 제 3 접지용 주전극부(27)의 제 2 측면(L2f)측의 단부(27a)를 연결한다. 제 2 접지용 연결 전극부(26)은 제 2 접지용 주전극부(23)의 제 2 측면(L2f)측의 단부(23a)와 제 3 접지용 주전극부(27)의 제 2 측면(L2f)측의 단부(27a)를 연결한다. 즉, 제 1 및 제 2 접지용 연결 전극부(25, 26)는 제 1 내지 제 3 접지용 주전극부(21, 23, 27)의 제 2 측면(L2f)측의 각각의 단부(21a, 23a, 27a)를 연결한다.
제 1 접지용 연결 전극부(45)는 제 1 접지용 주전극부(41)의 제 2 측면(L2f)측의 단부(41a)와 제 3 접지용 주전극부(47)의 제 2 측면(L2f)측의 단부(47a)를 연결한다. 제 2 접지용 연결 전극부(46)는 제 2 접지용 주전극부(43)의 제 2 측 면(L2f)측의 단부(43a)와 제 3 접지용 주전극부(47)의 제 2 측면(L2f)측의 단부(47a)를 연결한다. 즉, 제 1 및 제 2 접지용 연결 전극부(45, 46)는 제 1 내지 제 3 접지용 주전극부(41, 43, 47)의 제 2 측면(L2f)측의 각각의 단부(41a, 43a, 47a)를 연결한다.
각 신호용 내부전극(30, 50)은 콘덴서 소체(L2)의 제 1 및 제 2 주면(L2a, L2b)의 단변 방향을 장변 방향으로 하는 직사각형상의 제 1 내지 제 3 신호용 주전극부(31, 51, 33, 53, 37, 57)와, 제 1 및 제 2 신호용 주전극부(31, 51, 33, 53)로부터 제 2 측면(L2f)을 향하여 신장되는 제 1 및 제 2 신호용 인출 전극부(32, 52, 34, 54)와, 콘덴서 소체(L2)의 제 1 및 제 2 주면(L2a, L2b)의 장변 방향을 장변 방향으로 하는 직사각형상의 제 1 및 제 2 신호용 연결 전극부(35, 36, 55, 56)를 포함한다.
제 1 내지 제 3 신호용 주전극부(31, 51, 33, 53, 37, 57)는 제 1 및 제 2 단면(L2c, L2d)의 대향 방향을 따라서, 제 1 신호용 주전극부(31, 51), 제 3 신호용 주전극부(37, 57), 제 2 신호용 주전극부(33, 53)의 순으로 떨어져 위치하고 있다.
제 1 신호용 인출 전극부(32, 52)는 제 2 측면(L2f)으로 노출되도록 제 1 신호용 주전극부(31, 51)로부터 신장되고, 제 1 신호용 단자전극(3)에 물리적으로 접속된다. 제 2 신호용 인출 전극부(34, 54)는 제 2 측면(L2f)으로 노출되도록 제 2 신호용 주전극부(33, 53)로부터 신장되고, 제 2 신호용 단자전극(5)에 물리적으로 접속된다.
제 1 신호용 연결 전극부(35, 55)는 제 1 신호용 주전극부(31, 51)와 제 3 신호용 주전극부(37, 57)의 사이에 위치하고, 제 1 신호용 주전극부(31, 51)와 제 3 신호용 주전극부(37, 57)를 연결한다. 제 2 신호용 연결 전극부(36, 56)는 제 2 신호용 주전극부(33, 53)와 제 3 신호용 주전극부(37, 57)의 사이에 위치하고, 제 2 신호용 주전극부(33, 53)와 제 3 신호용 주전극부(37, 57)를 연결한다. 즉, 제 1 및 제 2 신호용 연결 전극부(35, 55, 36, 56)는 제 1 신호용 주전극부(31, 51)와 제 2 신호용 주전극부(33, 53)의 사이에 위치한다.
제 1 및 제 2 신호용 연결 전극부(35, 55, 36, 56)는 제 1 및 제 2 단면(L2c, L2d)의 대향 방향으로 신장되어 있다.
제 1 신호용 연결 전극부(35)는 제 1 신호용 주전극부(31)의 제 1 측면(L2e)측의 단부(31a)와 제 3 신호용 주전극부(37)의 제 1 측면(L2e)측의 단부(37a)를 연결한다. 제 2 신호용 연결 전극부(36)는 제 2 신호용 주전극부(33)의 제 1 측면(L2e)측의 단부(33a)와 제 3 신호용 주전극부(37)의 제 1 측면(L2e)측의 단부(37a)를 연결한다. 즉, 제 1 및 제 2 신호용 연결 전극부(35, 36)는 제 1 내지 제 3 신호용 주전극부(31, 33, 37)의 제 1 측면(L2e)측의 각각의 단부(31a, 33a, 37a)를 연결한다.
제 1 신호용 연결 전극부(55)는 제 1 신호용 주전극부(51)의 제 1 측면(L2e)측의 단부(51a)와 제 3 신호용 주전극부(57)의 제 1 측면(L2e)측의 단부(57a)를 연결한다. 제 2 신호용 연결 전극부(56)는 제 2 신호용 주전극부(53)의 제 1 측면(L2e)측의 단부(53a)와 제 3 신호용 주전극부(57)의 제 1 측면(L2e)측의 단 부(57a)를 연결한다. 즉, 제 1 및 제 2 신호용 연결 전극부(55, 56)는 제 1 내지 제 3 신호용 주전극부(51, 53, 57)의 제 1 측면(L2e)측의 각각의 단부(51a, 53a, 57a)를 연결한다.
제 1 접지용 연결 전극부(25, 45)와 제 1 신호용 연결 전극부(35, 55)는 제 1 및 제 2 주면(L2a, L2b)의 대향 방향을 따라서 보았을 때에, 제 1 및 제 2 측면(L2e, L2f)의 대향 방향으로 떨어져 있다. 제 2 접지용 연결 전극부(26, 46)와 제 2 신호용 연결 전극부(36, 56)는 제 1 및 제 2 주면(L2a, L2b)의 대향 방향을 따라서 보았을 때에, 제 1 및 제 2 측면(L2e, L2f)의 대향 방향으로 떨어져 있다.
제 1 접지용 주전극부(21) 및 제 1 신호용 주전극부(31)가 유전체층(11)을 사이에 끼워 대향하고, 제 2 접지용 주전극부(23) 및 제 2 신호용 주전극부(33)가 유전체층(11)을 사이에 끼워 대향하고, 제 3 접지용 주전극부(27) 및 제 3 신호용 주전극부(37)가 유전체층(11)을 사이에 끼워 대향한다. 한편, 제 1 및 제 2 접지용 연결 전극부(25, 26)는 신호용 내부전극(30)과 대향하는 영역을 갖지 않는다. 제 1 및 제 2 신호용 연결 전극부(35, 36)는 접지용 내부전극(20)과 대향하는 영역을 갖지 않는다.
제 1 신호용 주전극부(31) 및 제 1 접지용 주전극부(41)가 유전체층(12)을 사이에 끼워 대향하고, 제 2 신호용 주전극부(33) 및 제 2 접지용 주전극부(43)가 유전체층(12)을 사이에 끼워 대향하고, 제 3 신호용 주전극부(37) 및 제 3 접지용 주전극부(47)가 유전체층(12)을 사이에 끼워 대향한다. 한편, 제 1 및 제 2 신호용 연결 전극부(35, 36)는 접지용 내부전극(40)과 대향하는 영역을 갖지 않는다. 제 1 및 제 2 접지용 연결 전극부(45, 46)는 신호용 내부전극(30)과 대향하는 영역을 갖지 않는다.
제 1 접지용 주전극부(41) 및 제 1 신호용 주전극부(51)가 유전체층(13)을 사이에 끼워 대향하고, 제 2 접지용 주전극부(43) 및 제 2 신호용 주전극부(53)가 유전체층(13)을 사이에 끼워 대향하고, 제 3 접지용 주전극부(47) 및 제 3 신호용 주전극부(57)가 유전체층(13)을 사이에 끼워 대향한다. 한편, 제 1 및 제 2 접지용 연결 전극부(45, 46)는 신호용 내부전극(50)과 대향하는 영역을 갖지 않는다. 제 1 및 제 2 신호용 연결 전극부(55, 56)는 접지용 내부전극(40)과 대향하는 영역을 갖지 않는다.
도 10에 관통형 적층 콘덴서(C2)의 등가 회로도를 도시한다. 도 10에서는 제 1 및 제 2 접지용 단자전극(2, 4)이 그라운드에 접속되고, 제 1 및 제 2 신호용 단자전극(3, 5)이 신호 도선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를 도시한다. 관통형 적층 콘덴서(C2)에서는 접지용 내부전극(20, 40)의 제 1 접지용 주전극부(21, 41)와 신호용 내부전극(30, 50)의 제 1 신호용 주전극부(31, 51)가 서로 대향하고, 정전 용량(C21)을 형성한다. 접지용 내부전극(20, 40)의 제 2 접지용 주전극부(23, 43)와 신호용 내부전극(30, 50)의 제 2 신호용 주전극부(33, 53)가 서로 대향하고, 정전 용량(C22)을 형성한다. 접지용 내부전극(20, 40)의 제 3 접지용 주전극부(27, 47)와 신호용 내부전극(30, 50)의 제 3 신호용 주전극부(37, 57)가 서로 대향하고, 정전 용량(C23)을 형성한다.
이것에 대하여, 접지용 내부전극(20, 40)의 제 1 및 제 2 접지용 연결 전극 부(25, 45, 26, 46)는 신호용 내부전극(30, 50)의 어느 것에도 대향하는 영역을 갖지 않는다. 신호용 내부전극(30, 50)의 제 1 및 제 2 신호용 연결 전극부(35, 55, 36, 56)는 어느 것도, 접지용 내부전극(20, 40)의 어느 것에도 대향하는 영역을 갖지 않는다.
따라서, 관통형 적층 콘덴서(C2)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전 용량(C21, C22, C23)을 각각 갖는 3개의 콘덴서가 병렬 접속된 회로를 실현할 수 있다.
관통형 적층 콘덴서(C2)에서는 제 1 접지용 연결 전극부(25, 45)와 제 1 신호용 연결 전극부(35, 55)가, 제 1 및 제 2 측면(L2e, L2f)의 대향 방향을 따라서 떨어져 형성된다. 따라서, 관통형 적층 콘덴서(C2)에 형성되는 복수의 정전 용량(C21, C22)이 적합하게 분리되어 형성된다.
또한, 관통형 적층 콘덴서(C2)에서는 제 2 접지용 연결 전극부(26, 46)와 제 2 신호용 연결 전극부(36, 56)가, 제 1 및 제 2 측면(L2e, L2f)의 대향 방향을 따라서 떨어져 형성된다. 따라서, 관통형 적층 콘덴서(C2)에 형성되는 복수의 정전 용량(C22, C23)이 적합하게 분리되어 형성된다.
특히, 관통형 적층 콘덴서(C2)에서는 제 1 및 제 2 접지용 연결 전극부(25, 45, 26, 46)가 제 2 측면(L2f)측에 배치되고, 제 1 및 제 2 신호용 연결 전극부(35, 55, 36, 56)가 제 1 측면(L2e)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 연결 전극부가 콘덴서 소체(L2)의 측면 근처이며, 또한 서로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접지용 연결 전극부(25, 45, 26, 46)와, 신호용 연결 전극부(35, 55, 36, 56) 의 사이에 물리적으로 충분히 큰 거리를 취할 수 있다. 따라서, 관통형 적층 콘덴서(C2)에서는 복수의 정전 용량(C21, C22, C23)을 한층 더 적합하게 분리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C3)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는 단자전극의 수 및 내부전극의 수에 있어서,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와는 다르다. 도 8은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에 포함되는 콘덴서 소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C3)는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콘덴서 소체(L3)와, 콘덴서 소체(L3)의 외표면에 배치된 제 1 및 제 2 접지용 단자전극(2, 6, 4, 8)과, 콘덴서 소체(L3)의 외표면에 배치된 제 1 및 제 2 신호용 단자전극(3, 7, 5, 9)을 구비한다.
콘덴서 소체(L3)는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직방체형이고, 서로 대향하는 직사각형상의 제 1 및 제 2 주면(L3a, L3b)과, 제 1 및 제 2 주면(L3a, L3b) 사이를 연결하도록 제 1 및 제 2 주면(L3a, L3b)의 단변 방향으로 신장되고 또한 서로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단면(L3c, L3d)과, 제 1 및 제 2 주면(L3a, L3b)을 연결하도록 제 1 및 제 2 주면(L3a, L3b)의 장변 방향으로 신장되고 또한 서로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측면(L3e, L3f)을 갖는다.
제 1 및 제 2 접지용 단자전극(2, 6, 4, 8)은 콘덴서 소체(L3)의 제 1 측 면(L3e)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접지용 단자전극(2, 6, 4, 8)은 제 1 측면(L3e)상에, 제 1 단면(L3c)측으로부터 제 2 단면(L3d)측을 향하여, 제 1 접지용 단자전극(2), 제 2 접지용 단자전극(4), 제 1 접지용 단자전극(6), 제 2 접지용 단자전극(8)의 순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신호용 단자전극(3, 7, 5, 9)은 콘덴서 소체(L3)의 제 2 측면(L3f)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신호용 단자전극(3, 7, 5, 9)은 제 2 측면(L3f)상에, 제 1 단면(L3c)측으로부터 제 2 단면(L3d)측을 향하여, 제 1 신호용 단자전극(3), 제 2 신호용 단자전극(5), 제 1 신호용 단자전극(7), 제 2 신호용 단자전극(9)의 순으로 배치되어 있다.
콘덴서 소체(L3)는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적층된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5층)의 유전체층(10 내지 14)을 갖는다. 콘덴서 소체(L3)에는 제 1 및 제 2 전극군(A1, A2)이 배치되어 있다. 제 1 전극군(A1)은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2층)의 접지용 내부전극(20, 40) 및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2층)의 신호용 내부전극(30, 50)을 갖는다. 제 2 전극군(A2)은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2층)의 접지용 내부전극(60, 80) 및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2층)의 신호용 내부전극(70, 90)을 갖는다. 제 1 전극군(A1)과 제 2 전극군(A2)은 콘덴서 소체(L3)내에서, 제 1 및 제 2 단면(L3c, L3d)의 대향 방향을 따라서 병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전극군(A1)이 제 1 단면(L3c)측에, 제 2 전극군(A2)이 제 2 단면(L3d)측에 배치되어 있다. 각 내부전극(20, 30, 40, 50, 60, 70, 80, 90)은 예를 들면, 도전성 페이스트의 소결체로 구성된다.
접지용 내부전극(20)과 접지용 내부전극(60)은 제 1 및 제 2 주면(L3a, L3b)의 대향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접지용 내부전극(40)과 접지용 내부전극(80)은 제 1 및 제 2 주면(L3a, L3b)의 대향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신호용 내부전극(30)과 신호용 내부전극(70)은 제 1 및 제 2 주면(L3a, L3b)의 대향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신호용 내부전극(50)과 신호용 내부전극(90)은 제 1 및 제 2 주면(L3a, L3b)의 대향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접지용 내부전극(20, 60)과 신호용 내부전극(30, 70)은 유전체층(11)을 사이에 끼우고, 제 1 및 제 2 주면(L3a, L3b)의 대향 방향을 따라서 대향한다. 신호용 내부전극(30, 70)과 접지용 내부전극(40, 80)은 유전체층(12)을 사이에 끼우고, 제 1 및 제 2 주면(L3a, L3b)의 대향 방향을 따라서 대향한다. 접지용 내부전극(40, 80)과 신호용 내부전극(50, 90)은 유전체층(13)을 사이에 끼우고, 제 1 및 제 2 주면(L3a, L3b)의 대향 방향을 따라서 대향한다.
접지용 내부전극(20, 60, 40, 80)은 콘덴서 소체(L3)의 제 1 및 제 2 주면(L3a, L3b)의 단변 방향을 장변 방향으로 하는 직사각형상의 제 1 및 제 2 접지용 주전극부(21, 41, 61, 81, 23, 43, 63, 83)와, 제 1 및 제 2 접지용 주전극부(21, 41, 61, 81, 23, 43, 63, 83)로부터 제 1 측면(L3e)을 향하여 신장되는 제 1 및 제 2 접지용 인출 전극부(22, 42, 62, 82, 24, 44, 64, 84)와, 콘덴서 소체(L3)의 제 1 및 제 2 주면(L3a, L3b)의 장변 방향을 장변 방향으로 하는 직사각형상의 접지용 연결 전극부(25, 45, 65, 85)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접지용 주전극부(21, 41, 61, 81, 23, 43, 63, 83)는 제 1 및 제 2 단면(L3c, L3d)의 대향 방향을 따라서, 제 1 접지용 주전극부(21, 41, 61, 81), 제 2 접지용 주전극부(23, 43, 63, 83)의 순으로 떨어져 위치하고 있다. 제 1 접지용 주전극부(21, 41, 61, 81)의 형상과 제 2 접지용 주전극부(23, 43, 63, 83)의 형상은 대략 일치하고 있다.
제 1 접지용 인출 전극부(22, 42)는 제 1 측면(L3e)으로 노출되도록 제 1 접지용 주전극부(21, 41)로부터 신장되고, 제 1 접지용 단자전극(2)에 물리적으로 접속된다. 제 1 접지용 인출 전극부(62, 82)는 제 1 측면(L3e)으로 노출되도록 제 1 접지용 주전극부(61, 81)로부터 신장되고, 제 1 접지용 단자전극(6)에 물리적으로 접속된다. 제 2 접지용 인출 전극부(24, 44)는 제 1 측면(L3e)으로 노출되도록 제 2 접지용 주전극부(23, 43)로부터 신장되고, 제 2 접지용 단자전극(4)에 물리적으로 접속된다. 제 2 접지용 인출 전극부(64, 84)는 제 1 측면(L3e)으로 노출되도록 제 2 접지용 주전극부(63, 83)로부터 신장되고, 제 2 접지용 단자전극(8)에 물리적으로 접속된다.
접지용 연결 전극부(25, 45, 65, 85)는 제 1 접지용 주전극부(21, 41, 61, 81)와 제 2 접지용 주전극부(23, 43, 63, 83)의 사이에 위치하고, 제 1 접지용 주전극부(21, 41, 61, 81)와 제 2 접지용 주전극부(23, 43, 63, 83)를 연결한다. 접지용 연결 전극부(25, 45, 65, 85)는 제 1 및 제 2 단면(L3c, L3d)의 대향 방향으로 신장되어 있다.
접지용 연결 전극부(25)는 제 1 접지용 주전극부(21)의 제 2 측면(L3f)측의 단부(21a)와 제 2 접지용 주전극부(23)의 제 2 측면(L3f)측의 단부(23a)를 연결한다. 접지용 연결 전극부(45)는 제 1 접지용 주전극부(41)의 제 2 측면(L3f)측의 단부(41a)와 제 2 접지용 주전극부(43)의 제 2 측면(L3f)측의 단부(43a)를 연결한다. 접지용 연결 전극부(65)는 제 1 접지용 주전극부(61)의 제 2 측면(L3f)측의 단부(61a)와 제 2 접지용 주전극부(63)의 제 2 측면(L3f)측의 단부(63a)를 연결한다. 접지용 연결 전극부(85)는 제 1 접지용 주전극부(81)의 제 2 측면(L3f)측의 단부(81a)와 제 2 접지용 주전극부(83)의 제 2 측면(L3f)측의 단부(83a)를 연결한다.
신호용 내부전극(30, 50, 70, 90)은 콘덴서 소체(L3)의 제 1 및 제 2 주면(L3a, L3b)의 단변 방향을 장변 방향으로 하는 직사각형상의 제 1 및 제 2 신호용 주전극부(31, 51, 71, 91, 33, 53, 73, 93)와, 제 1 및 제 2 신호용 주전극부(31, 51, 71, 91, 33, 53, 73, 93)로부터 제 2 측면(L3f)을 향하여 신장되는 제 1 및 제 2 신호용 인출 전극부(32, 52, 72, 92, 34, 54, 74, 94)와, 콘덴서 소체(L3)의 제 1 및 제 2 주면(L3a, L3b)의 장변 방향을 장변 방향으로 하는 직사각형상의 신호용 연결 전극부(35, 55, 75, 95)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신호용 주전극부(31, 51, 71, 91, 33, 53, 73, 93)는 제 1 및 제 2 단면(L3c, L3d)의 대향 방향을 따라서, 제 1 신호용 주전극부(31, 51, 71, 91), 제 2 신호용 주전극부(33, 53, 73, 93)의 순으로 떨어져 위치하고 있다. 제 1 신호용 주전극부(31, 51, 71, 91)의 형상과 제 2 신호용 주전극부(33, 53, 73, 93)의 형상은 대략 일치하고 있다.
제 1 신호용 인출 전극부(32, 52)는 제 2 측면(L3f)으로 노출되도록 제 1 신호용 주전극부(31, 51)로부터 신장되고, 제 1 신호용 단자전극(3)에 물리적으로 접속된다. 제 1 신호용 인출 전극부(72, 92)는 제 2 측면(L3f)으로 노출되도록 제 1 신호용 주전극부(71, 91)로부터 신장되고, 제 1 신호용 단자전극(7)에 물리적으로 접속된다. 제 2 신호용 인출 전극부(34, 54)는 제 2 측면(L3f)으로 노출되도록 제 2 신호용 주전극부(33, 53)로부터 신장되고, 제 2 신호용 단자전극(5)에 물리적으로 접속된다. 제 2 신호용 인출 전극부(74, 94)는 제 2 측면(L3f)으로 노출되도록 제 2 신호용 주전극부(73, 93)로부터 신장되고, 제 2 신호용 단자전극(9)에 물리적으로 접속된다.
신호용 연결 전극부(35, 55, 75, 95)는 제 1 신호용 주전극부(31, 51, 71, 91)와 제 2 신호용 주전극부(33, 53, 73, 93)의 사이에 위치하고, 제 1 신호용 주전극부(31, 51, 71, 91)와 제 2 신호용 주전극부(33, 53, 73, 93)를 연결한다. 신호용 연결 전극부(35, 55, 75, 95)는 제 1 및 제 2 단면(L3c, L3d)의 대향 방향으로 신장되어 있다.
신호용 연결 전극부(35)는 제 1 신호용 주전극부(31)의 제 1 측면(L3e)측의 단부(31a)와 제 2 신호용 주전극부(33)의 제 1 측면(L3e)측의 단부(33a)를 연결한다. 신호용 연결 전극부(55)는 제 1 신호용 주전극부(51)의 제 1 측면(L3e)측의 단부(51a)와 제 2 신호용 주전극부(53)의 제 1 측면(L3e)측의 단부(53a)를 연결한다. 신호용 연결 전극부(75)는 제 1 신호용 주전극부(71)의 제 1 측면(L3e)측의 단부(71a)와 제 2 신호용 주전극부(73)의 제 1 측면(L3e)측의 단부(73a)를 연결한 다. 신호용 연결 전극부(95)는 제 1 신호용 주전극부(91)의 제 1 측면(L3e)측의 단부(91a)와 제 2 신호용 주전극부(93)의 제 1 측면(L3e)측의 단부(93a)를 연결한다.
접지용 연결 전극부(25, 45)와 신호용 연결 전극부(35, 55)는 제 1 및 제 2 주면(L3a, L3b)의 대향 방향을 따라서 보았을 때에, 제 1 및 제 2 측면(L3e, L3f)의 대향 방향으로 떨어져 있다. 접지용 연결 전극부(65, 85)와 신호용 연결 전극부(75, 95)는 제 1 및 제 2 주면(L3a, L3b)의 대향 방향을 따라서 보았을 때에, 제 1 및 제 2 측면(L3e, L3f)의 대향 방향으로 떨어져 있다.
제 1 접지용 주전극부(21) 및 제 1 신호용 주전극부(31)가 유전체층(11)을 사이에 끼워 대향하고, 제 2 접지용 주전극부(23) 및 제 2 신호용 주전극부(33)가 유전체층(11)을 사이에 끼워 대향한다. 한편, 접지용 연결 전극부(25)는 신호용 내부전극(30)과 대향하는 영역을 갖지 않는다. 신호용 연결 전극부(35)는 접지용 내부전극(20)과 대향하는 영역을 갖지 않는다.
제 1 신호용 주전극부(31) 및 제 1 접지용 주전극부(41)가 유전체층(12)을 사이에 끼워 대향하고, 제 2 신호용 주전극부(33) 및 제 2 접지용 주전극부(43)가 유전체층(12)을 사이에 끼워 대향한다. 한편, 신호용 연결 전극부(35)는 접지용 내부전극(40)과 대향하는 영역을 갖지 않는다. 접지용 연결 전극부(45)는 신호용 내부전극(30)과 대향하는 영역을 갖지 않는다.
제 1 접지용 주전극부(41) 및 제 1 신호용 주전극부(51)가 유전체층(13)을 사이에 끼워 대향하고, 제 2 접지용 주전극부(43) 및 제 2 신호용 주전극부(53)가 유전체층(13)을 사이에 끼워 대향한다. 한편, 접지용 연결 전극부(45)는 신호용 내부전극(50)과 대향하는 영역을 갖지 않는다. 신호용 연결 전극부(55)는 접지용 내부전극(40)과 대향하는 영역을 갖지 않는다.
제 1 접지용 주전극부(61) 및 제 1 신호용 주전극부(71)가 유전체층(11)을 사이에 끼워 대향하고, 제 2 접지용 주전극부(63) 및 제 2 신호용 주전극부(73)가 유전체층(11)을 사이에 끼워 대향한다. 한편, 접지용 연결 전극부(65)는 신호용 내부전극(70)과 대향하는 영역을 갖지 않는다. 신호용 연결 전극부(75)는 접지용 내부전극(60)과 대향하는 영역을 갖지 않는다.
제 1 신호용 주전극부(71) 및 제 1 접지용 주전극부(81)가 유전체층(12)을 사이에 끼워 대향하고, 제 2 신호용 주전극부(73) 및 제 2 접지용 주전극부(83)가 유전체층(12)을 사이에 끼워 대향한다. 한편, 신호용 연결 전극부(75)는 접지용 내부전극(80)과 대향하는 영역을 갖지 않는다. 접지용 연결 전극부(85)는 신호용 내부전극(70)과 대향하는 영역을 갖지 않는다.
제 1 접지용 주전극부(81) 및 제 1 신호용 주전극부(91)가 유전체층(13)을 사이에 끼워 대향하고, 제 2 접지용 주전극부(83) 및 제 2 신호용 주전극부(93)가 유전체층(13)을 사이에 끼워 대향한다. 한편, 접지용 연결 전극부(85)는 신호용 내부전극(90)과 대향하는 영역을 갖지 않는다. 신호용 연결 전극부(95)는 접지용 내부전극(80)과 대향하는 영역을 갖지 않는다.
관통형 적층 콘덴서(C3)에서는 제 1 전극군(A1)에 포함되는 접지용 내부전극(20, 40)의 제 1 접지용 주전극부(21, 41)와 신호용 내부전극(30, 50)의 제 1 신 호용 주전극부(31, 51)가 서로 대향하여, 정전 용량을 형성한다. 또한, 제 1 전극군(A1)에 포함되는 접지용 내부전극(20, 40)의 제 2 접지용 주전극부(23, 43)와 신호용 내부전극(30, 50)의 제 2 신호용 주전극부(33, 53)가 서로 대향하여, 정전 용량을 형성한다. 이것에 대하여, 접지용 내부전극(20, 40)의 접지용 연결 전극부(25, 45)는 신호용 내부전극(30, 50)의 어느 것에도 대향하는 영역을 갖지 않는다. 신호용 내부전극(30, 50)의 신호용 연결 전극부(35, 55)는 어느 것도, 접지용 내부전극(20, 40)의 어느 것에도 대향하는 영역을 갖지 않는다.
따라서, 관통형 적층 콘덴서(C3)의 제 1 전극군(A1)은 정전 용량을 각각 갖는 2개의 콘덴서가 병렬 접속된 회로를 실현할 수 있다.
관통형 적층 콘덴서(C3)에서는 제 2 전극군(A2)에 포함되는 접지용 내부전극(60, 80)의 제 1 접지용 주전극부(61, 81)와 신호용 내부전극(70, 90)의 제 1 신호용 주전극부(71, 91)가 서로 대향하여, 정전 용량을 형성한다. 또한, 제 2 전극군(A2)에 포함되는 접지용 내부전극(60, 80)의 제 2 접지용 주전극부(63, 83)와 신호용 내부전극(70, 90)의 제 2 신호용 주전극부(73, 93)가 서로 대향하여, 정전 용량을 형성한다. 이것에 대하여, 접지용 내부전극(60, 80)의 접지용 연결 전극부(65, 85)는 신호용 내부전극(70, 90)의 어느 것에도 대향하는 영역을 갖지 않는다. 신호용 내부전극(70, 90)의 신호용 연결 전극부(75, 95)는 어느 것도, 접지용 내부전극(60, 80)의 어느 것에도 대향하는 영역을 갖지 않는다.
따라서, 관통형 적층 콘덴서(C3)의 제 2 전극군(A2)은 정전 용량을 각각 갖는 2개의 콘덴서가 병렬 접속된 회로를 실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관통형 적층 콘덴서(C3)는 병렬 접속된 2개의 콘덴서를 2개 갖는 콘덴서 어레이이다.
관통형 적층 콘덴서(C3)에서는 접지용 연결 전극부(25, 45)와 신호용 연결 전극부(35, 55)가 떨어져 형성된다. 따라서, 관통형 적층 콘덴서(C3)의 제 1 전극군(A1)에 의해서 형성되는 복수의 정전 용량이 적합하게 분리되어 형성된다.
특히, 관통형 적층 콘덴서(C3)의 제 1 전극군(A1)에서는 접지용 연결 전극부(25, 45)가 제 2 측면(L3f)측에 배치되고, 신호용 연결 전극부(35, 55)가 제 1 측면(L3e)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 연결 전극부가 콘덴서 소체(L3)의 측면 근처이며, 또한 서로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접지용 연결 전극부(25, 45)와 신호용 연결 전극부(35, 55)의 사이에 물리적으로 충분히 큰 거리를 취할 수 있다. 따라서, 관통형 적층 콘덴서(C3)의 제 1 전극군(A1)에서는 복수의 정전 용량을 한층 더 적합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접지용 연결 전극부(65, 85)와 신호용 연결 전극부(75, 95)가 떨어져 형성된다. 따라서, 관통형 적층 콘덴서(C3)의 제 2 전극군(A2)에 의해서 형성되는 복수의 정전 용량이 적합하게 분리되어 형성된다.
특히, 관통형 적층 콘덴서(C3)의 제 2 전극군(A2)에서는 접지용 연결 전극부(65, 85)가 제 2 측면(L3f)측에 배치되고, 신호용 연결 전극부(75, 95)가 제 1 측면(L3e)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 연결 전극부가 콘덴서 소체(L3)의 측면 근처이며, 또한 서로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접지용 연결 전극부(65, 85)와 신호용 연결 전극부(75, 95)의 사이에 물리적으로 충분히 큰 거리를 취할 수 있다. 따라서, 관통형 적층 콘덴서(C3)의 제 2 전극군(A2)에서는 복수의 정전 용량을 한층 더 적합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접지용 내부전극(20, 40, 60, 80)에 포함되는 접지용 주전극부 및 접지용 연결 전극부의 수는 상술한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 기재된 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신호용 내부전극(30, 50, 70, 90)에 포함되는 신호용 주전극부 및 신호용 연결 전극부의 수는 상술한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 기재된 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접지용 내부전극(20, 40, 60, 80), 및 신호용 내부전극(30, 50, 70, 90)의 형상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 기재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제 2 및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C2, C3)의 각 내부전극에 있어서도, 포함되는 제 1 및 제 2 주전극부끼리로 면적이 달라도 좋다. 또한, 연결 전극부는 각 주전극부의 단부를 연결하지 않아도 좋고, 예를 들면 중앙부를 연결하여도 좋다. 또는, 연결 전극부는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서 제시한 측면측과는 반대측의 측면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콘덴서 소체에 포함되는 유전체층의 적층수 및 내부전극의 적층수는 상술한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 기재된 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콘덴서 소체에 포함되는 전극군의 수는 제 3 실시형태에 기재된 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된 본 발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해진다. 이러한 변경들은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고려되지 않고, 당업자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이러한 모든 수정들은 이하의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의 사시도.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에 포함되는 콘덴서 소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의 등가 회로도.
도 4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의 변형예에 포함되는 콘덴서 소체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의 변형예의 임피던스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6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의 사시도.
도 7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에 포함되는 콘덴서 소체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의 사시도.
도 9는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에 포함되는 콘덴서 소체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의 등가 회로도.

Claims (4)

  1. 유전 특성을 갖는 콘덴서 소체와,
    상기 콘덴서 소체내에 배치된 접지용 내부전극 및 신호용 내부전극과,
    상기 콘덴서 소체의 외표면에 배치된 제 1 및 제 2 접지용 단자전극과,
    상기 콘덴서 소체의 상기 외표면에 배치된 제 1 및 제 2 신호용 단자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접지용 내부전극은 제 1 접지용 주전극부와, 제 2 접지용 주전극부와, 상기 제 1 접지용 주전극부로부터 상기 콘덴서 소체의 상기 외표면으로 인출되도록 신장되어 상기 제 1 접지용 단자전극에 접속되는 제 1 접지용 인출 전극부와, 상기 제 2 접지용 주전극부로부터 상기 콘덴서 소체의 상기 외표면으로 인출되도록 신장되어 상기 제 2 접지용 단자전극에 접속되는 제 2 접지용 인출 전극부와, 상기 제 1 접지용 주전극부와 상기 제 2 접지용 주전극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접지용 연결 전극부를 갖고,
    상기 신호용 내부전극은 제 1 신호용 주전극부와, 제 2 신호용 주전극부와, 상기 제 1 신호용 주전극부로부터 상기 콘덴서 소체의 상기 외표면으로 인출되도록 신장되어 상기 제 1 신호용 단자전극에 접속된 제 1 신호용 인출 전극부와, 상기 제 2 신호용 주전극부로부터 상기 콘덴서 소체의 상기 외표면으로 인출되도록 신장되어 상기 제 2 신호용 단자전극에 접속된 제 2 신호용 인출 전극부와, 상기 제 1 신호용 주전극부와 상기 제 2 신호용 주전극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신호용 연결 전극부를 갖고,
    상기 제 1 접지용 주전극부 및 상기 제 1 신호용 주전극부가, 상기 콘덴서 소체의 일부를 사이에 끼워 대향하고,
    상기 제 2 접지용 주전극부 및 상기 제 2 신호용 주전극부가, 상기 콘덴서 소체의 일부를 사이에 끼워 대향하고,
    상기 접지용 연결 전극부는 상기 신호용 내부전극과 대향하는 영역을 갖지 않고,
    상기 신호용 연결 전극부는 상기 접지용 내부전극과 대향하는 영역을 갖지 않고,
    상기 제 1 접지용 주전극부 및 상기 제1 신호용 주전극부에 의해 형성된 정전용량과, 상기 제 2 접지용 주전극부 및 상기 제 2 신호용 주전극부에 의해 형성되는 정전용량이 병렬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형 적층 콘덴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덴서 소체는 서로 대향하는 직사각형상의 제 1 및 제 2 주면과, 상기 제 1 및 제 2 주면 간을 연결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주면의 단변 방향으로 신장되어 있는 제 1 및 제 2 단면과, 상기 제 1 및 제 2 주면 간을 연결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주면의 장변 방향으로 신장되어 있는 제 1 및 제 2 측면을 갖고,
    상기 신호용 내부전극과 상기 접지용 내부전극이, 상기 제 1 및 제 2 주면의 대향 방향에 대향하고,
    상기 접지용 연결 전극부와 상기 신호용 연결 전극부가, 상기 콘덴서 소체의 상기 제 1 및 제 2 측면의 대향 방향으로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형 적층 콘덴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접지용 단자전극은 상기 콘덴서 소체의 상기 제 1 측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신호용 단자전극은 상기 콘덴서 소체의 상기 제 2 측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접지용 연결 전극부는 상기 제 1 접지용 주전극부의 상기 제 2 측면측의 단부와 상기 제 2 접지용 주전극부의 상기 제 2 측면측의 단부를 연결하고,
    상기 신호용 연결 전극부는 상기 제 1 신호용 주전극부의 상기 제 1 측면측의 단부와 상기 제 2 신호용 주전극부의 상기 제 1 측면측의 단부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형 적층 콘덴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용 내부전극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지용 주전극부의 면적과 상기 제 2 접지용 주전극부의 면적이 다르고,
    상기 신호용 내부전극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용 주전극부의 면적과 상기 제 2 신호용 주전극부의 면적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형 적층 콘덴서.
KR1020080027430A 2007-03-29 2008-03-25 관통형 적층 콘덴서 KR1009624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87998A JP4577325B2 (ja) 2007-03-29 2007-03-29 貫通型積層コンデンサ
JPJP-P-2007-00087998 2007-03-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8424A KR20080088424A (ko) 2008-10-02
KR100962421B1 true KR100962421B1 (ko) 2010-06-14

Family

ID=39793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7430A KR100962421B1 (ko) 2007-03-29 2008-03-25 관통형 적층 콘덴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646584B2 (ko)
JP (1) JP4577325B2 (ko)
KR (1) KR100962421B1 (ko)
CN (1) CN10127668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304202A1 (en) * 2007-06-04 2008-12-11 Taiyo Yuden Co., Ltd. Multi-layer capacitor and integrated circuit module
JP4370352B2 (ja) * 2007-10-31 2009-11-25 Tdk株式会社 積層コンデンサ
JP2010135750A (ja) * 2008-10-31 2010-06-17 Sanyo Electric Co Ltd 固体電解コンデ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JP4710998B2 (ja) * 2009-03-13 2011-06-29 Tdk株式会社 積層コンデンサ
KR101963258B1 (ko) * 2012-02-07 2019-03-28 삼성전기주식회사 어레이형 적층 세라믹 전자 부품
JP5867421B2 (ja) * 2012-05-08 2016-02-2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セラミック電子部品及び電子装置
US9837209B2 (en) * 2012-11-21 2017-12-05 Qualcomm Incorporated Capacitor structure for wideband resonance suppression in power delivery networks
KR20150042500A (ko) * 2013-10-11 2015-04-21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전자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2450593B1 (ko) 2016-04-27 2022-10-07 삼성전기주식회사 커패시터 부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9316A (ja) * 2002-11-26 2004-06-24 Rohm Co Ltd 貫通型コンデンサ
JP2006013154A (ja) * 2004-06-25 2006-01-12 Tdk Corp 積層型電子部品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40624A (en) * 1972-06-21 1973-06-19 Sprague Electric Co Monolithic capacitor having corner internal electrode terminations
JPS6048230U (ja) * 1983-09-11 1985-04-0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コンデンサ
JPH01206615A (ja) 1988-02-15 1989-08-18 Murata Mfg Co Ltd 積層型貫通コンデンサ
JP3692258B2 (ja) * 1999-05-31 2005-09-07 京セラ株式会社 コンデンサ
JP2001168679A (ja) * 1999-12-14 2001-06-22 Murata Mfg Co Ltd ラダーフィルタ
KR100541089B1 (ko) * 2003-10-08 2006-01-11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형 저역 통과 필터
JPWO2005036571A1 (ja) * 2003-10-08 2007-11-22 Tdk株式会社 電極ペースト、セラミック電子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US7046500B2 (en) * 2004-07-20 2006-05-16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Laminated ceramic capacitor
JP4225507B2 (ja) * 2005-06-13 2009-02-18 Tdk株式会社 積層コンデンサ
JP5049560B2 (ja) * 2005-11-17 2012-10-17 サムソン エレクトロ−メカニックス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積層型チップキャパシタ
JP4626605B2 (ja) * 2006-11-07 2011-02-0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コンデンサ
KR100809239B1 (ko) * 2006-12-29 2008-03-07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커패시터 어레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9316A (ja) * 2002-11-26 2004-06-24 Rohm Co Ltd 貫通型コンデンサ
JP2006013154A (ja) * 2004-06-25 2006-01-12 Tdk Corp 積層型電子部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76685A (zh) 2008-10-01
CN101276685B (zh) 2011-02-16
JP2008251628A (ja) 2008-10-16
US7646584B2 (en) 2010-01-12
JP4577325B2 (ja) 2010-11-10
KR20080088424A (ko) 2008-10-02
US20080239624A1 (en) 2008-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2421B1 (ko) 관통형 적층 콘덴서
KR100870631B1 (ko) 노이즈 필터 및 노이즈 필터의 실장 구조
KR101148894B1 (ko) 적층 콘덴서
JP5234135B2 (ja) 貫通型積層コンデンサ
US8659872B2 (en) Multilayer capacitor that includes a capacitor element body and at least four terminal units
JP4983874B2 (ja) 積層コンデンサアレイの実装構造
KR100936902B1 (ko)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
KR101020528B1 (ko) 적층 콘덴서
KR101339693B1 (ko) 관통형 적층 콘덴서
KR100910934B1 (ko)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
JP4618348B2 (ja) 積層コンデンサ
CN108063606B (zh) 层叠型滤波器
JP5708245B2 (ja) 貫通型積層コンデンサ
JP4483904B2 (ja) 貫通型積層コンデンサ
KR101700461B1 (ko) 전기 다층형 구성요소 및 그를 포함한 회로 장치
US11742821B2 (en) Multiplexer, filter, and communication module
US20110047794A1 (en) Method of mounting capacitor array
KR101051621B1 (ko) 관통 콘덴서 및 관통 콘덴서의 실장 구조
JP2017079362A (ja) 積層型フィルタ
KR101026646B1 (ko)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
CN101345132B (zh) 贯通型层叠电容器
JP3727542B2 (ja) 積層貫通型コンデ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