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6902B1 -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 - Google Patents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6902B1
KR100936902B1 KR1020070005120A KR20070005120A KR100936902B1 KR 100936902 B1 KR100936902 B1 KR 100936902B1 KR 1020070005120 A KR1020070005120 A KR 1020070005120A KR 20070005120 A KR20070005120 A KR 20070005120A KR 100936902 B1 KR100936902 B1 KR 100936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nal electrode
side internal
electrode
ground side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5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6523A (ko
Inventor
마사아키 토가시
Original Assignee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76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6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6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69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47F3/0439Cases or cabinets of the open type
    • A47F3/0469Details, e.g. night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228Terminals
    • H01G4/232Terminals electrically connecting two or more layers of a stacked or rolled capacit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05Show cases or show cabinets with glass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12Clamps or other devices for supporting, fastening, or connecting glass plates, panel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25D23/067Suppor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005Electrodes
    • H01G4/012Form of non-self-supporting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35Feed-through capacitors or anti-noise capacitors

Abstract

본 발명의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는, 콘덴서 소체와, 제 1 내지 제 6 단자 전극을 구비하고 있다. 콘덴서 소체는, 적층된 복수의 절연체층, 상기 절연체층을 개재하여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 1 신호측 내부 전극 및 제 1 접지측 내부 전극, 및, 상기 절연체층을 개재하여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 2 신호측 내부 전극 및 제 2 접지측 내부 전극을 갖고 있다. 제 1 신호측 내부 전극은, 제 1 단자 전극에 전기적으로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된 제 1 신호측 인출부와, 제 2 단자 전극에 전기적으로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된 제 2 신호측 인출부를 포함하고 있다. 제 1 접지측 내부 전극은, 제 5 단자 전극에 전기적으로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된 제 1 접지측 인출부와, 제 6 단자 전극에 전기적으로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된 제 2 접지측 인출부를 포함하고 있다. 제 2 신호측 내부 전극이, 제 3 단자 전극에 전기적으로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된 제 3 신호측 인출부와, 제 4 단자 전극에 전기적으로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된 제 4 신호측 인출부를 포함하고 있다. 제 2 접지측 내부 전극이, 제 5 단자 전극에 전기적으로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된 제 3 접지측 인출부와, 제 6 단자 전극에 전기적으로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된 제 4 접지측 인출부를 포함하고 있다. 제 1 신호측 내부 전극과 제 2 접지측 내부 전극이 절연체층을 개재하여 대향하지 않도록 배치되고, 또한, 제 2 신호측 내부 전극과 제 1 접지측 내부 전극이 절연체층을 개재하여 대향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 접지측 내부 전극, 신호측 내부 전극, 크로스토크, 공통 임피던스 결합

Description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Multilayer feedthrough capacitor array}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의 사시도.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에 포함되는 콘덴서 소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내부 전극의 형상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4는 제 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의 등가 회로도.
도 5는 제 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의 변형예에 포함되는 콘덴서 소체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내부 전극의 형상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7은 제 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의 변형예에 포함되는 콘덴서 소체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내부 전극의 형상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9는 제 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의 변형예의 등가 회로도.
도 10은 제 2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의 사시도.
도 11은 제 2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에 포함되는 콘덴서 소체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내부 전극의 형상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13은 제 2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의 변형예에 포함되는 콘덴서 소체의 분해 사시도.
도 14는 내부 전극의 형상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15는 제 2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의 변형예에 포함되는 콘덴서 소체의 분해 사시도.
도 16은 내부 전극의 형상을 도시하는 모식도.
본 발명은,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로서, 복수의 신호측 내부 전극과 복수의 접지측 내부 전극이 절연체층을 개재하여 적층됨으로써, 적층방향에 따라 복수의 콘덴서가 형성되는 콘덴서 어레이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11-97291호 참조). 이러한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에서는, 복수의 접지측 내부 전극은, 동일한 단자 전극에 접속되어 있고, 이 단자 전극을 통해서 그라운드에 접속된다.
그렇지만,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11-97291호에 기재된 적층형 관통 콘덴 서 어레이에서는, 크로스 토크가 생긴다고 하는 문제가 존재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11-97291호에 기재된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에서는, 신호측 내부 전극이 접지측 내부 전극을 개재하여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2개의 다른 콘덴서에 대하여 접지측 내부 전극이 공통이 된다. 이 때문에, 접지측 내부 전극이 2개의 다른 콘덴서에 대하여 공통의 임피던스가 되고, 2개의 다른 콘덴서를 흐르는 전류가 공통의 임피던스를 흐른다. 이 결과, 공통 임피던스 결합이 생긴다.
이와 같이, 2개의 다른 콘덴서간에 공통 임피던스 결합이 생기면, 한쪽의 콘덴서를 흐르는 전류에 의한 그라운드 전위가, 다른쪽의 콘덴서를 흐르는 전류에 의한 그라운드 전위의 영향을 받는다. 즉, 한쪽의 콘덴서를 흐르는 전류에 의한 그라운드 전위가, 다른쪽의 콘덴서로부터 공통 임피던스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서 변화한다. 이 그라운드 전위의 변화가 노이즈가 되어, 크로스 토크가 생겨 버린다.
본 발명은, 크로스 토크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는, 콘덴서 소체와, 콘덴서 소체의 외표면에 형성된 제 1 내지 제 6 단자 전극을 구비하고, 콘덴서 소체가 적층된 복수의 절연체층과, 절연체층을 개재하여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 1 신호측 내부 전극 및 제 1 접지측 내부 전극과, 절연체층을 개재하여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 2 신호측 내부 전극 및 제 2 접지측 내부 전극을 갖고, 제 1 신호측 내부 전극이, 외표면까지 인출되는 제 1 및 제 2 신호측 인출부를 포함하고, 제 1 및 제 2 신호측 인출부가, 각각, 제 1 및 제 2 단자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1 접지측 내부 전극이, 외표면까지 인출되는 제 1 및 제 2 접지측 인출부를 포함하고, 제 1 및 제 2 접지측 인출부가, 각각, 제 5 및 제 6 단자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2 신호측 내부 전극이, 외표면까지 인출되는 제 3 및 제 4 신호측 인출부를 포함하고, 제 3 및 제 4 신호측 인출부가, 각각, 제 3 및 제 4 단자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2 접지측 내부 전극이, 외표면까지 인출되는 제 3 및 제 4 접지측 인출부를 포함하고, 제 3 및 제 4 접지측 인출부가, 각각, 제 5 및 제 6 단자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1 신호측 내부 전극과 제 2 접지측 내부 전극이 절연체층을 개재하여 대향하지 않도록 배치되고, 또한, 제 2 신호측 내부 전극과 제 1 접지측 내부 전극이 절연체층을 개재하여 대향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에서는, 절연체층을 개재하여 제 1 신호측 내부 전극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 1 접지측 내부 전극과, 절연체층을 개재하여 제 2 신호측 내부 전극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 2 접지측 내부 전극을 구비하고, 제 1 신호측 내부 전극과 제 2 접지측 내부 전극이 절연체층을 개재하여 대향하지 않도록 배치되고, 또한, 제 2 신호측 내부 전극과 제 1 접지측 내부 전극이 절연체층을 개재하여 대향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접지측 내부 전극이 공통 임피던스가 되지 않고, 제 1 신호측 내부 전극과 제 1 접지측 내부 전극으로 구성되는 콘덴서와, 제 2 신호측 내부 전극과 제 2 접지측 내부 전극으로 구성되는 콘덴서의 사이에 공통 임피던스 결합이 생기지 않는다. 이 결과, 상술한 콘덴서간에서의 크로스 토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런데, 제 1 접지측 내부 전극과 제 2 접지측 내부 전극은, 제 5 및 제 6 단자 전극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5 및 제 6 단자 전극의 임피던스는, 제 1 및 제 2 접지측 내부 전극의 임피던스에 비하여 극히 작기 때문에, 공통 임피던스 결합이 생길 가능성은 극히 낮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신호측 내부 전극과 제 2 접지측 내부 전극이 동일면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내부 전극의 층수가 적어지기 때문에, 콘덴서 소체의 저배화를 도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2 접지측 내부 전극은, 제 1 신호측 내부 전극에 대향하는 가장자리부가 노치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제 1 신호측 내부 전극이, 제 2 접지측 내부 전극의 노치되도록 형성된 영역을 향하여 신장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있다. 이 경우, 제 1 신호측 내부 전극의 면적을 비교적 크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져, 정전 용량을 크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2 신호측 내부 전극과 제 1 접지측 내부 전극이 동일면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내부 전극의 층수가 적어지기 때문에, 콘덴서 소체의 저배화를 도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접지측 내부 전극은, 제 2 신호측 내부 전극에 대향하는 가장자리부가 노치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제 2 신호측 내부 전극이, 제 1 접지측 내부 전극의 노치되도록 형성된 영역을 향하여 신장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있다. 이 경우, 제 2 신호측 내부 전극의 면적을 비교적 크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져, 정전 용량을 크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신호측 내부 전극과 제 2 신호측 내부 전극은, 절연체층을 개재하여 대향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이 경우, 제 1 신호측 내부 전극과 제 2 신호측 내부 전극으로 새로운 콘덴서(소위, 일반 콘덴서)가 구성되게 되고,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와 일반 콘덴서의 복합화가 가능해진다.
바람직하게는, 제 7 및 제 8 단자 전극을 더욱 구비하고, 제 1 접지측 내부 전극이, 외표면까지 인출되는 제 5 및 제 6 접지측 인출부를 더욱 포함하고, 제 5 및 제 6 접지측 인출부가, 각각, 제 7 및 제 8 단자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2 접지측 내부 전극이, 외표면까지 인출되는 제 7 및 제 8 접지측 인출부를 포함하고, 제 7 및 제 8 접지측 인출부가, 각각, 제 7 및 제 8 단자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경우, 대전류에 대응 가능한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크로스 토크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에 주어지는 상세한 설명과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만 주어지고 따라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는, 참고된 도면들로부터 더욱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응용범위는 하기에 주어지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상세한 설명과 특정 예들이 설명을 목적으로만 주어졌지만, 본 발명의 범주 및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 위의 다양한 변형 및 수정들이 당업자에게는 명백하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설명에 있어서, 동일 요소 또는 동일 기능을 갖는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는 것으로 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제 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CA1)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에 포함되는 콘덴서 소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내부 전극의 형상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CA1)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직방체 형상을 한 콘덴서 소체(1)와, 콘덴서 소체(1)의 외표면에 배치된 제 1 내지 제 6 단자 전극(11 내지 16)을 구비한다. 콘덴서 소체(1)는, 서로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주면(2, 3; 主面)과, 서로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단면(4, 5)과, 서로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측면(6, 7)을 포함하고 있다. 제 1 및 제 2 단면(4, 5)과 제 1 및 제 2 측면(6, 7)은, 제 1 주면(2)과 제 2 주면(3)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신장되어 있다.
콘덴서 소체(1)의 제 1 측면(6)에는, 제 1 단자 전극(11), 제 3 단자 전극(13), 및 제 5 단자 전극(15)이 배치되어 있다. 제 1 단자 전극(11) 및 제 3 단 자 전극(13)은, 제 1 측면(6)의 단부(端部)에 위치하고 있다. 제 5 단자 전극(15)은, 제 1 측면(6)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다. 콘덴서 소체(1)의 제 2 측면(7)에는, 제 2 단자 전극(12), 제 4 단자 전극(14), 및 제 6 단자 전극(16)이 배치되어 있다. 제 2 단자 전극(12) 및 제 4 단자 전극(14)은, 제 2 측면(7)의 단부에 위치하고 있다. 제 6 단자 전극(16)은, 제 2 측면(7)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다. 제 1 내지 제 4 단자 전극(11 내지 14)은 신호측 단자 전극으로서 기능하고, 제 5 및 제 6 단자 전극(15, 16)은 접지측 단자 전극으로서 기능한다.
제 1 내지 제 6 단자 전극(11 내지 16)은, 예를 들면, 도전성 금속 분말 및 유리 프리트를 포함하는 도전성 페이스트를 콘덴서 소체(1)의 외표면에 부여하여, 베이킹함으로써 형성된다. 필요에 따라서, 베이킹된 전극의 위에 도금층이 형성되는 경우도 있다.
콘덴서 소체(1)는 적층된 복수의 절연체층(21), 제 1 신호측 내부 전극(23) 및 제 1 접지측 내부 전극(25), 및, 제 2 신호측 내부 전극(27) 및 제 2 접지측 내부 전극(29)을 갖고 있다. 각 절연체층(21)은, 제 1 및 제 2 주면(2, 3)에 평행한 방향으로 신장되어 있다. 콘덴서 소체(1)에서는, 제 1 주면(2)과 제 2 주면(3)이 대향하는 방향은, 복수의 절연체층(21)의 적층방향이 된다. 제 1 신호측 내부 전극(23)과 제 1 접지측 내부 전극(25)은, 절연층(21)을 개재하여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2 신호측 내부 전극(27)과 제 2 접지측 내부 전극(29)은, 절연체층(21)을 개재하여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각 절연체층(21)은, 예를 들면 유전체 세라믹을 포함하는 세라믹 그린시트의 소결체로 구성된다. 실제의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CA1)에서는, 각 절연체층(21)은, 절연체층(21)의 사이의 경계를 시인할 수 없을 정도로 일체화되어 있다. 각 내부 전극(23 내지 29)은, 도전성 페이스트의 소결체로 구성된다. 제 1 및 제 2 신호측 내부 전극(23, 27)은,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CA1)에 있어서, 관통 도체를 구성하는 것이다.
제 1 신호측 내부 전극(23)은, 도 3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2 접지측 내부 전극(29)과 동일면 내에 배치되어 있다. 즉, 제 1 신호측 내부 전극(23)과 제 2 접지측 내부 전극(29)은, 같은 절연체층(21)상에 위치한다. 제 1 신호측 내부 전극(23)과 제 2 접지측 내부 전극(29)은, 소정의 간격을 가진 상태로, 제 1 단면(4)과 제 2 단면(5)이 대향하는 방향에 병치되어 있다. 제 1 신호측 내부 전극(23)과 제 2 접지측 내부 전극(29)은,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제 1 신호측 내부 전극(23)과 제 2 접지측 내부 전극(29)은, 동일면 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절연체층(21)을 개재하여 대향하지 않도록 배치되게 된다.
제 2 신호측 내부 전극(27)은, 도 3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접지측 내부 전극(25)과 동일면 내에 배치되어 있다. 즉, 제 2 신호측 내부 전극(27)과 제 1 접지측 내부 전극(25)은, 제 1 신호측 내부 전극(23)과 제 2 접지측 내부 전극(29)이 위치하는 절연체층(21)과는 다른 절연체층(21)상에 위치한다. 제 2 신호측 내부 전극(27)과 제 1 접지측 내부 전극(25)은, 소정의 간격을 가진 상태로, 제 1 단면(4)과 제 2 단면(5)이 대향하는 방향에 병치되어 있다. 제 2 신호측 내부 전극(27)과 제 1 접지측 내부 전극(25)은,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제 2 신호 측 내부 전극(27)과 제 1 접지측 내부 전극(25)은, 동일면 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절연체층(21)을 개재하여 대향하지 않도록 배치되게 된다.
제 1 신호측 내부 전극(23)은, 제 1 측면(6)까지 인출되는 제 1 신호측 인출부(24a)와, 제 2 측면(7)까지 인출되는 제 2 신호측 인출부(24b)를 포함하고 있다. 제 1 신호측 내부 전극(23)은, 제 1 측면(6)으로부터 제 2 측면(7)에 걸쳐 콘덴서 소체(1)를 관통하고 있다.
제 1 신호측 인출부(24a)는, 제 1 단자 전극(11)에 전기적으로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2 신호측 인출부(24b)는, 제 2 단자 전극(12)에 전기적으로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들에 의해, 제 1 신호측 내부 전극(23)은, 제 1 단자 전극(11)과 제 2 단자 전극(1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제 1 접지측 내부 전극(25)은, 제 1 측면(6)까지 인출되는 제 1 접지측 인출부(26a)와, 제 2 측면(7)까지 인출되는 제 2 접지측 인출부(26b)를 포함하고 있다. 제 1 접지측 내부 전극(25)은, 제 1 측면(6)으로부터 제 2 측면(7)에 걸쳐 콘덴서 소체(1)를 관통하고 있다.
제 1 접지측 인출부(26a)는, 제 5 단자 전극(15)에 전기적으로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2 접지측 인출부(26b)는, 제 6 단자 전극(16)에 전기적으로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들에 의해, 제 1 접지측 내부 전극(25)은 제 5 단자 전극(15)과 제 6 단자 전극(16)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제 2 신호측 내부 전극(27)은, 제 1 측면(6)까지 인출되는 제 3 신호측 인출부(28a)와, 제 2 측면(7)까지 인출되는 제 4 신호측 인출부(28b)를 포함하고 있다. 제 2 신호측 내부 전극(27)은, 제 1 측면(6)으로부터 제 2 측면(7)에 걸쳐 콘덴서 소체(1)를 관통하고 있다.
제 3 신호측 인출부(28a)는, 제 3 단자 전극(13)에 전기적으로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4 신호측 인출부(28b)는, 제 4 단자 전극(14)에 전기적으로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들에 의해, 제 2 신호측 내부 전극(27)은, 제 3 단자 전극(13)과 제 4 단자 전극(1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제 2 접지측 내부 전극(29)은, 제 1 측면(6)까지 인출되는 제 3 접지측 인출부(30a)와, 제 2 측면(7)까지 인출되는 제 4 접지측 인출부(30b)를 포함하고 있다. 제 2 접지측 내부 전극(29)은, 제 1 측면(6)으로부터 제 2 측면(7)에 걸쳐 콘덴서 소체(1)를 관통하고 있다.
제 3 접지측 인출부(30a)는, 제 5 단자 전극(15)에 전기적으로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4 접지측 인출부(30b)는, 제 6 단자 전극(16)에 전기적으로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들에 의해, 제 2 접지측 내부 전극(29)은, 제 5 단자 전극(15)과 제 6 단자 전극(1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제 1 접지측 내부 전극(25)과 제 2 접지측 내부 전극(29)은, 제 5 단자 전극(15)과 제 6 단자 전극(16)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CA1)에서는,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콘덴서(C1, C2)가 형성된다. 도 4는 제 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의 등가 회로도이다. 콘덴서(C1)는 제 1 신호측 내부 전극(23)과 제 1 접지측 내부 전극(25)으로 구성된다. 콘덴서(C2)는, 제 2 신호측 내부 전극(27)과 제 2 접지측 내부 전극(29)으로 구성된다.
이상과 같이, 본 제 1 실시형태에 의하면,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CA1)는, 서로 대향하는 제 1 신호측 내부 전극(23) 및 제 1 접지측 내부 전극(25)과, 마찬가지로 서로 대향하는 제 2 신호측 내부 전극(27) 및 제 2 접지측 내부 전극(29)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신호측 내부 전극(23)과 제 2 접지측 내부 전극(29)은 절연체층(21)을 개재하여 대향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신호측 내부 전극(23)으로부터 제 2 접지측 내부 전극(29)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제 2 신호측 내부 전극(27)과 제 1 접지측 내부 전극(25)이 절연체층(21)을 개재하여 대향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신호측 내부 전극(27)으로부터 제 1 접지측 내부 전극(25)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이들로부터, 제 1 및 제 2 접지측 내부 전극(25, 29)이 공통 임피던스가 되지 않고, 콘덴서(C1)와 콘덴서(C2)의 사이에 공통 임피던스 결합이 생기지 않는다. 이 결과, 상술한 콘덴서(C1, C2)간에서의 크로스 토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런데, 제 5 및 제 6 단자 전극(15, 16)의 임피던스는, 제 1 및 제 2 접지측 내부 전극(25, 29)의 임피던스에 비하여 극히 작다. 따라서, 제 1 접지측 내부 전극(25)과 제 2 접지측 내부 전극(29)이 제 5 및 제 6 단자 전극(15, 16)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어도, 공통 임피던스 결합이 생길 가능성은 극히 낮다.
본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신호측 내부 전극(23)과 제 2 접지측 내부 전극(29)이 동일면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내부 전극(23, 25, 27, 29)이 배치되게 되는 층의 수가 적어지기 때문에, 콘덴서 소체(1)의 저배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2 신호측 내부 전극(27) 및 제 1 접지측 내부 전극(25)도, 동일면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내부 전극(23, 25, 27, 29)이 배치되게 되는 층의 수가 더욱 적어지기 때문에, 콘덴서 소체(1)의 저배화를 한층 더 도모할 수 있다.
다음에,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제 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CA1)의 변형예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제 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의 변형예에 포함되는 콘덴서 소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내부 전극의 형상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변형예에 관계되는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는, 각 내부 전극(23, 25, 27, 29)의 형상의 점에서,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CA1)와 서로 다르다.
제 2 접지측 내부 전극(29)은, 도 5와 도 6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신호측 내부 전극(23)에 대향하는 가장자리부가 노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1 신호측 내부 전극(23)은, 제 2 접지측 내부 전극(29)의 노치되도록 형성된 영역을 향하여 신장하는 돌출부(24c)를 포함하고 있다. 제 1 접지측 내부 전극(25)은, 제 2 신호측 내부 전극(27)에 대향하는 가장자리부가 노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2 신호측 내부 전극(27)은, 도 5와 도 6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접지측 내부 전극(25)의 노치되도록 형성된 영역을 향하여 신장하는 돌출부(28c)를 포함하고 있 다. 이들에 의해, 제 1 신호측 내부 전극(23) 및 제 2 신호측 내부 전극(27)의 면적을 비교적 크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콘덴서(C1, C2)의 정전 용량을 크게 할 수 있다.
다음에,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제 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CA1)의 변형예의 구성에 관해서 더욱 설명한다. 도 7은 제 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의 변형예에 포함되는 콘덴서 소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내부 전극의 형상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변형예에 관계되는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는, 각 내부 전극(23, 25, 27, 29)의 형상의 점에서,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CA1)와 서로 다르다.
제 2 접지측 내부 전극(29)은, 도 7과 도 8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신호측 내부 전극(23)에 대향하는 가장자리부가 노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1 신호측 내부 전극(23)은, 제 2 접지측 내부 전극(29)의 노치되도록 형성된 영역을 향하여 신장하는 돌출부(24c)를 포함하고 있다. 제 1 접지측 내부 전극(25)은, 도 7과 도 8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2 신호측 내부 전극(27)에 대향하는 가장자리부가 노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2 신호측 내부 전극(27)은, 제 1 접지측 내부 전극(25)의 노치되도록 형성된 영역을 향하여 신장하는 돌출부(28c)를 포함하고 있다.
제 1 신호측 내부 전극(23)의 돌출부(24c)와, 제 2 신호측 내부 전극(27)의 돌출부(28c)는, 절연체층(21)을 개재하여 대향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도 9에 도 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신호측 내부 전극(23)과 제 2 신호측 내부 전극(27)으로 새로운 콘덴서(C3; 소위, 일반 콘덴서)가 구성되게 된다. 이 결과, 도 7에 도시된 변형예에 관계되는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에서는,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와 일반 콘덴서의 복합화가 가능해진다.
(제 2 실시형태)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제 2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CA2)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제 2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 2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에 포함되는 콘덴서 소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내부 전극의 형상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CA2)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콘덴서 소체(1)와, 콘덴서 소체(1)의 외표면에 배치된 제 1 내지 제 8 단자 전극(11 내지 18)을 구비한다.
제 7 단자 전극(17)은, 콘덴서 소체(1)의 제 1 측면(6)에 배치되어 있다. 제 8 단자 전극(18)은, 콘덴서 소체(1)의 제 2 측면(7)에 배치되어 있다. 제 7 및 제 8 단자 전극(17, 18)은, 제 5 및 제 6 단자 전극(15, 16)과 마찬가지로, 접지측 단자 전극으로서 기능한다. 제 7 및 제 8 단자 전극(17, 18)은, 제 1 내지 제 6 단자 전극(11 내지 16)과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도전성 금속 분말 및 유리 프리트를 포함하는 도전성 페이스트를 콘덴서 소체(1)의 외표면에 부여하여, 베이킹함으로써 형성된다. 필요에 따라서, 베이킹된 전극의 위에 도금층이 형성되는 경우 도 있다.
콘덴서 소체(1)는, 적층된 복수의 절연체층(21)과, 제 1 신호측 내부 전극(23) 및 제 1 접지측 내부 전극(25)과, 제 2 신호측 내부 전극(27) 및 제 2 접지측 내부 전극(29)을 갖고 있다.
제 1 접지측 내부 전극(25)은, 도 12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측면(6)까지 인출되는 제 5 접지측 인출부(26c)와, 제 2 측면(7)까지 인출되는 제 6 접지측 인출부(26d)를 더욱 포함하고 있다. 제 5 접지측 인출부(26c)는 제 7 단자 전극(17)에 전기적으로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6 접지측 인출부(26d)는, 제 8 단자 전극(18)에 전기적으로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들에 의해, 제 1 접지측 내부 전극(25)은, 제 5 내지 제 8 단자 전극(15 내지 18)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제 2 접지측 내부 전극(29)은, 도 12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측면(6)까지 인출되는 제 7 접지측 인출부(30c)와, 제 2 측면(7)까지 인출되는 제 8 접지측 인출부(30d)를 포함하고 있다. 제 7 접지측 인출부(30c)는, 제 7 단자 전극(17)에 전기적으로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8 접지측 인출부(30d)는, 제 8 단자 전극(18)에 전기적으로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들에 의해, 제 2 접지측 내부 전극(29)은, 제 5 내지 제 8 단자 전극(15 내지 18)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제 1 접지측 내부 전극(25)과 제 2 접지측 내부 전극(29)은, 제 5 내지 제 8 단자 전극(15 내지 18)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상과 같이, 본 제 2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 로,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CA2)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접지측 내부 전극(25, 27)이 공통 임피던스가 되지 않고, 제 1 신호측 내부 전극(23)과 제 1 접지측 내부 전극(25)으로 구성되는 콘덴서와, 제 2 신호측 내부 전극(27)과 제 2 접지측 내부 전극(29)으로 구성되는 콘덴서의 사이에 공통 임피던스 결합이 생기지 않는다. 이 결과, 상술한 콘덴서간에서의 크로스 토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런데, 제 5 내지 제 8 단자 전극(15 내지 18)의 임피던스는, 제 1 및 제 2 접지측 내부 전극(25, 29)의 임피던스에 비하여 극히 작다. 따라서, 제 1 접지측 내부 전극(25)과 제 2 접지측 내부 전극(29)이 제 5 내지 제 8 단자 전극(15 내지 18)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어도, 공통 임피던스 결합이 생길 가능성은 극히 낮다.
다음에,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제 2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CA2)의 변형예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3은 제 2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의 변형예에 포함되는 콘덴서 소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내부 전극의 형상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변형예에 관계되는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는, 각 내부 전극(23, 25, 27, 29)의 형상의 점에서, 상술한 제 2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CA2)와 서로 다르다.
제 2 접지측 내부 전극(29)은, 도 13과 도 14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신호측 내부 전극(23)에 대향하는 가장자리부가 노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1 신호측 내부 전극(23)은, 제 2 접지측 내부 전극(29)의 노치되도록 형성된 영역을 향하여 신장하는 돌출부(24c)를 포함하고 있다. 제 1 접지측 내부 전극(25)은, 도 13과 도 14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2 신호측 내부 전극(27)에 대향하는 가장자리부가 노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2 신호측 내부 전극(27)은, 제 1 접지측 내부 전극(25)의 노치되도록 형성된 영역을 향하여 신장하는 돌출부(28c)를 포함하고 있다. 이들에 의해, 제 1 신호측 내부 전극(23) 및 제 2 신호측 내부 전극(27)의 면적을 비교적 크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져, 제 1 신호측 내부 전극(23)과 제 1 접지측 내부 전극(25)으로 구성되는 콘덴서의 정전 용량, 및, 제 2 신호측 내부 전극(27)과 제 2 접지측 내부 전극(29)으로 구성되는 콘덴서의 정전 용량을 각각 크게 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제 2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CA2)의 변형예의 구성에 관해서 더욱 설명한다. 도 15는 제 2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의 변형예에 포함되는 콘덴서 소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내부 전극의 형상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변형예에 관계되는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는, 각 내부 전극(23, 25, 27, 29)의 형상의 점에서, 상술한 제 2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CA2)와 서로 다르다.
제 2 접지측 내부 전극(29)은, 도 15와 도 16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신호측 내부 전극(23)에 대향하는 가장자리부가 노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1 신호측 내부 전극(23)은, 제 2 접지측 내부 전극(29)의 노치되도록 형성된 영역을 향하여 신장하는 돌출부(24c)를 포함하고 있다. 제 1 접지측 내부 전극(25)은, 도 10과 도 16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2 신호측 내부 전극(27)에 대향하는 가장자리부가 노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2 신호측 내부 전극(27)은, 제 1 접지측 내부 전극(25)의 노치되도록 형성된 영역을 향하여 신장하는 돌출부(28c)를 포함하고 있다.
제 1 신호측 내부 전극(23)의 돌출부(24c)와, 제 2 신호측 내부 전극(27)의 돌출부(28c)는, 절연체층(21)을 개재하여 대향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신호측 내부 전극(23)과 제 2 신호측 내부 전극(27)으로 새로운 콘덴서(소위, 일반 콘덴서)가 구성되게 된다. 이 결과, 도 15에 도시된 변형예에 관계되는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에서는,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와 일반 콘덴서의 복합화가 가능해진다.
이상,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신호측 내부 전극(23)과 제 2 접지측 내부 전극(29)이 동일면 내에 배치되고, 또한, 제 2 신호측 내부 전극(27)과 제 1 접지측 내부 전극(25)이 동일면 내에 배치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신호측 내부 전극(23)과 제 2 접지측 내부 전극(29)이 다른 평면, 즉 절연체층(21)의 적층방향에서의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마찬가지로, 제 2 신호측 내부 전극(27)과 제 1 접지측 내부 전극(25)이 다른 평면, 즉 절연체층(21)의 적층방향에서의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절연체층(21)의 적층수, 및, 내부 전극(23, 25, 27, 29)이 배치되게 되는 층의 수는, 상술한 실시형태에 기재된 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된 본 발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다양한 방법으로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이러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고 당업자에게는 이러한 수정들이 뒤따르는 청구항들의 범주를 포함해야한다는 것이 명백하다.
본 발명에 따라, 크로스 토크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8)

  1.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로서,
    콘덴서 소체와, 상기 콘덴서 소체의 외표면에 배치된 제 1 내지 제 6 단자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콘덴서 소체가 적층된 복수의 절연체층, 상기 절연체층을 개재하여 대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제 1 신호측 내부 전극 및 제 1 접지측 내부 전극, 및, 상기 절연체층을 개재하여 대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제 2 신호측 내부 전극 및 제 2 접지측 내부 전극을 갖고,
    상기 제 1 신호측 내부 전극이 상기 외표면까지 인출되는 제 1 및 제 2 신호측 인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신호측 인출부가,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단자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1 접지측 내부 전극이 상기 외표면까지 인출되는 제 1 및 제 2 접지측 인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접지측 인출부가, 각각, 상기 제 5 및 제 6 단자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2 신호측 내부 전극이 상기 외표면까지 인출되는 제 3 및 제 4 신호측 인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및 제 4 신호측 인출부가, 각각, 상기 제 3 및 제 4 단자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2 접지측 내부 전극이 상기 외표면까지 인출되는 제 3 및 제 4 접지측 인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및 제 4 접지측 인출부가, 각각, 상기 제 5 및 제 6 단자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1 신호측 내부 전극과 상기 제 2 접지측 내부 전극이 상기 절연체층을 개재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 2 신호측 내부 전극과 상기 제 1 접지측 내부 전극이 상기 절연체층을 개재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신호측 내부 전극이 상기 절연체층을 개재하여 상기 제 1 접지측 내부 전극과만 대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2 신호측 내부 전극이 상기 절연체층을 개재하여 상기 제 2 접지측 내부 전극과만 대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측 내부 전극과 상기 제 2 접지측 내부 전극이 동일면 내에 배치되어 있는,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접지측 내부 전극은, 상기 제 1 신호측 내부 전극에 대향하는 가장자리부가 노치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신호측 내부 전극이 상기 제 2 접지측 내부 전극의 노치된 영역으로 신장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있는,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신호측 내부 전극과 상기 제 1 접지측 내부 전극이 동일면 내에 배치되어 있는,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지측 내부 전극은, 상기 제 2 신호측 내부 전극에 대향하는 가장자리부가 노치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신호측 내부 전극이 상기 제 1 접지측 내부 전극의 노치된 영역으로 신장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있는,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측 내부 전극과 상기 제 2 신호측 내부 전극은, 상기 절연체층을 개재하여 대향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있는,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
  7. 제 1 항에 있어서,
    제 7 및 제 8 단자 전극을 더욱 구비하고,
    상기 제 1 접지측 내부 전극이 상기 외표면까지 인출되는 제 5 및 제 6 접지측 인출부를 더욱 포함하고, 상기 제 5 및 제 6 접지측 인출부가, 각각, 상기 제 7 및 제 8 단자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2 접지측 내부 전극이 상기 외표면까지 인출되는 제 7 및 제 8 접지측 인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7 및 제 8 접지측 인출부가, 각각, 상기 제 7 및 제 8 단자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측 내부 전극과 상기 제 2 접지측 내부 전극이 동일면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신호측 내부 전극과 상기 제 1 접지측 내부 전극이 동일면 내에 배치되어 있는,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접지측 내부 전극은, 상기 제 1 신호측 내부 전극에 대향하는 가장자리부가 노치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신호측 내부 전극이 상기 제 2 접지측 내부 전극의 노치된 영역으로 신장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접지측 내부 전극은, 상기 제 2 신호측 내부 전극에 대향하는 가장자리부가 노치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신호측 내부 전극이 상기 제 1 접지측 내부 전극의 노치된 영역으로 신장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있는,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
  10.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로서,
    콘덴서 소체와, 상기 콘덴서 소체의 외표면에 배치된 제 1 내지 제 6 단자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콘덴서 소체가 적층된 복수의 절연체층, 상기 절연체층을 개재하여 대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제 1 신호측 내부 전극 및 제 1 접지측 내부 전극, 및, 상기 절연체층을 개재하여 대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제 2 신호측 내부 전극 및 제 2 접지측 내부 전극을 갖고,
    상기 제 1 신호측 내부 전극이 상기 제 1 단자 전극에 전기적으로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된 제 1 신호측 인출부와, 상기 제 2 단자 전극에 전기적으로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된 제 2 신호측 인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접지측 내부 전극이 상기 제 5 단자 전극에 전기적으로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된 제 1 접지측 인출부와, 상기 제 6 단자 전극에 전기적으로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된 제 2 접지측 인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신호측 내부 전극이 상기 제 3 단자 전극에 전기적으로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된 제 3 신호측 인출부와, 상기 제 4 단자 전극에 전기적으로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된 제 4 신호측 인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접지측 내부 전극이 상기 제 5 단자 전극에 전기적으로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된 제 3 접지측 인출부와, 상기 제 6 단자 전극에 전기적으로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된 제 4 접지측 인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신호측 내부 전극과 상기 제 2 접지측 내부 전극이 상기 절연체층을 개재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 2 신호측 내부 전극과 상기 제 1 접지측 내부 전극이 상기 절연체층을 개재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측 내부 전극과 상기 제 2 접지측 내부 전극이 동일면 내에 배치되어 있는,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접지측 내부 전극은, 상기 제 1 신호측 내부 전극에 대향하는 가장자리부가 노치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신호측 내부 전극이 상기 제 2 접지측 내부 전극의 노치된 영역으로 신장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있는,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신호측 내부 전극과 상기 제 1 접지측 내부 전극이 동일면 내에 배치되어 있는,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지측 내부 전극은, 상기 제 2 신호측 내부 전극에 대향하는 가장자리부가 노치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신호측 내부 전극이 상기 제 1 접지측 내부 전극의 노치된 영역으로 신장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있는,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측 내부 전극과 상기 제 2 신호측 내부 전극은, 상기 절연체층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있는,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
  16. 제 10 항에 있어서,
    제 7 및 제 8 단자 전극을 더욱 구비하고,
    상기 제 1 접지측 내부 전극이 상기 제 7 단자 전극에 전기적으로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된 제 5 접지측 인출부와, 상기 제 8 단자 전극에 전기적으로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된 제 6 접지측 인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접지측 내부 전극이 상기 제 7 단자 전극에 전기적으로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된 제 7 접지측 인출부와, 상기 제 8 단자 전극에 전기적으로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된 제 8 접지측 인출부를 포함하고 있는,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측 내부 전극과 상기 제 2 접지측 내부 전극이 동일면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신호측 내부 전극과 상기 제 1 접지측 내부 전극이 동일면 내에 배치되어 있는,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접지측 내부 전극은, 상기 제 1 신호측 내부 전극에 대향하는 가장자리부가 노치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신호측 내부 전극이 상기 제 2 접지측 내부 전극의 노치된 영역으로 신장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접지측 내부 전극은, 상기 제 2 신호측 내부 전극에 대향하는 가장자리부가 노치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신호측 내부 전극이 상기 제 1 접지측 내부 전극의 노치된 영역으로 신장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있는,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
KR1020070005120A 2006-01-17 2007-01-17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 KR1009369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08960 2006-01-17
JP2006008960A JP4462194B2 (ja) 2006-01-17 2006-01-17 積層型貫通コンデンサアレ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6523A KR20070076523A (ko) 2007-07-24
KR100936902B1 true KR100936902B1 (ko) 2010-01-15

Family

ID=38327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5120A KR100936902B1 (ko) 2006-01-17 2007-01-17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265964B1 (ko)
JP (1) JP4462194B2 (ko)
KR (1) KR100936902B1 (ko)
CN (1) CN101004972B (ko)
TW (1) TWI31958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93561B2 (ja) * 2006-08-21 2009-07-08 Tdk株式会社 積層型貫通コンデンサアレイの実装構造
JP4513855B2 (ja) 2007-11-26 2010-07-28 Tdk株式会社 積層コンデンサ
US10943735B2 (en) 2018-03-06 2021-03-09 Avx Corporation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having ultra-broadband performance
DE112019001177T5 (de) * 2018-03-06 2020-12-10 Avx Corporation Mehrschichtiger Keramikkondensator mit Ultrabreitbandleistungsfähigkeit
CN116612991A (zh) 2019-01-28 2023-08-18 京瓷Avx元器件公司 具有超宽带性能的多层陶瓷电容器
WO2020159809A1 (en) 2019-01-28 2020-08-06 Avx Corporation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having ultra-broadband performance
WO2020159807A1 (en) 2019-01-28 2020-08-06 Avx Corporation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having ultra-broadband performance
US11211201B2 (en) 2019-01-28 2021-12-28 Avx Corporation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having ultra-broadband performance
WO2020159813A1 (en) 2019-01-28 2020-08-06 Avx Corporation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having ultra-broadband performance
US11705280B2 (en) 2019-04-25 2023-07-18 KYOCERA AVX Components Corporation Multilayer capacitor having open mode electrode configuration and flexible termination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5360A (ko) * 2002-06-11 2003-12-18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적층 관통형 콘덴서
KR100416313B1 (ko) * 1995-07-21 2004-06-12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적층관통콘덴서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1494A (en) * 1988-06-27 1989-05-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layer capacitor
US5892415A (en) * 1995-11-20 1999-04-06 Murata Manufacturing Co., Ltd. Laminated resonator and laminated band pass filter using same
JP3470566B2 (ja) 1997-09-19 2003-11-2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型電子部品
JP3788329B2 (ja) * 2001-11-29 2006-06-2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ンデンサアレイ
TWI266342B (en) * 2001-12-03 2006-11-11 Tdk Corp Multilayer capacitor
KR100678496B1 (ko) * 2002-09-10 2007-02-06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적층 콘덴서
US6819543B2 (en) * 2002-12-31 2004-11-16 Intel Corporation Multilayer capacitor with multiple plates per layer
TWI229878B (en) * 2003-03-12 2005-03-21 Tdk Corp Multilayer capacitor
JP3850398B2 (ja) * 2003-08-21 2006-11-29 Tdk株式会社 積層コンデンサ
JP3897745B2 (ja) * 2003-08-29 2007-03-28 Tdk株式会社 積層コンデンサ及び積層コンデンサの実装構造
US7046500B2 (en) * 2004-07-20 2006-05-16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Laminated ceramic capacitor
US7145429B1 (en) * 2006-01-26 2006-12-05 Tdk Corporation Multilayer capaci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6313B1 (ko) * 1995-07-21 2004-06-12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적층관통콘덴서
KR20030095360A (ko) * 2002-06-11 2003-12-18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적층 관통형 콘덴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165358A1 (en) 2007-07-19
JP4462194B2 (ja) 2010-05-12
US7265964B1 (en) 2007-09-04
KR20070076523A (ko) 2007-07-24
CN101004972B (zh) 2010-05-19
CN101004972A (zh) 2007-07-25
TWI319584B (en) 2010-01-11
TW200735147A (en) 2007-09-16
JP2007194280A (ja) 2007-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6902B1 (ko)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
JP3850398B2 (ja) 積層コンデンサ
JP4374041B2 (ja) 積層コンデンサ
JP5038634B2 (ja) ノイズフィルタ及びノイズフィルタの実装構造
US8233262B2 (en) Multilayer capacitor array mounting structure
US20170092414A1 (en) Multilayer common mode filter
JP4513855B2 (ja) 積層コンデンサ
JP5870674B2 (ja) 積層コンデンサアレイ
JP4501970B2 (ja) 積層コンデンサ
US7623337B2 (en) Feedthrough multilayer capacitor having grounding terminal electrodes arranged on an outer surface thereof that are connected to another grounding terminal electrode through a through-hole conductor
US20080225463A1 (en) Layered capacitor and mounting structure
KR100910934B1 (ko)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
US8068330B2 (en) Multilayer capacitor
US8250747B2 (en) Method of mounting capacitor array
JP6197882B2 (ja) ノイズフィルタ
JP5093044B2 (ja) 積層コンデンサ
JP4412386B2 (ja) 貫通型積層コンデンサ
JP5077180B2 (ja) 積層コンデンサ
JP2018129435A (ja) 積層貫通コンデンサ及び電子部品装置
JP5966424B2 (ja) 積層型電子部品
KR20180112647A (ko) 적층형 전자 부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926

Effective date: 20091127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