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1988A - 적층 콘덴서 - Google Patents

적층 콘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1988A
KR20100021988A KR1020090076052A KR20090076052A KR20100021988A KR 20100021988 A KR20100021988 A KR 20100021988A KR 1020090076052 A KR1020090076052 A KR 1020090076052A KR 20090076052 A KR20090076052 A KR 20090076052A KR 20100021988 A KR20100021988 A KR 20100021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ground
signal
capacitor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6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키 토가시
타케루 요시다
Original Assignee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21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19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228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33Thin- or thick-film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005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228Terminals
    • H01G4/232Terminals electrically connecting two or more layers of a stacked or rolled capaci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30Stacked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 Ceramic Capaci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적층 콘덴서는 복수의 유전체층이 적층된 콘덴서 소체와, 콘덴서 소체의 외표면에 배치된 제 1 및 제 2 신호 단자 전극과 그라운드 단자 전극과, 콘덴서 소체 내에 배치된 그라운드 전극과 제 1 및 제 2 신호 전극과 중간 내부 전극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신호 전극은 제 1 신호 단자 전극에 접속되고, 제 2 신호 전극은 제 2 신호 단자 전극에 접속되어 있다. 그라운드 전극은 그라운드 단자 전극에 접속되는 동시에, 복수의 유전체층이 적층된 제 1 방향에 제 1 신호 전극과 겹치는 제 1 영역과 제 2 신호 전극과 제 1 방향에 겹치는 제 2 영역을 갖고 있다. 중간 내부 전극은 제 1 및 제 2 신호 단자 전극 및 그라운드 단자 전극으로부터 이격되는 동시에, 제 1 신호 전극과 그라운드 전극의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제 2 신호 전극과 그라운드 전극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중간 내부 전극은 제 1 영역과 제 1 방향에 겹치는 영역과, 제 2 영역과 제 1 방향에 겹치는 영역을 갖고 있다.
적층 콘덴서, 유전체층, 그라운드 단자 전극, 콘덴서 소체, 신호 단자 전극, 크로스 토크

Description

적층 콘덴서{Multilayer condensor}
본 발명은 적층 콘덴서에 관한 것이다.
2라인의 신호 선로에서의 노이즈 대책용 적층 콘덴서가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59977호에 기재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59977호에 기재된 적층 콘덴서는 제 1 신호선에 접속되는 제 1 신호선용 단자와, 제 2 신호선에 접속되는 제 2 신호선용 단자와, 접지용 패드에 접속되는 제 1과 제 2 접지용 단자를 구비하고, 제 1 신호선용 단자와 제 1 접지용 단자의 사이에 제 1 콘덴서가 구성되고, 제 2 신호선용 단자와 제 2 접지용 단자의 사이에 제 2 콘덴서가 구성되어 있다.
제 1 신호선용 단자와 제 1 접지용 단자의 사이에 구성된 제 1 콘덴서와, 제 2 신호선용 단자와 제 2 접지용 단자의 사이에 구성된 제 2 콘덴서에는 더욱 높은 내압(耐壓)이 요구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내압을 용이하게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적층 콘덴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적층 콘덴서이고, 복수의 유전체층이 적층된 콘덴서 소체와, 콘덴서 소체의 외표면에 배치된 제 1 신호 단자 전극과 제 2 신호 단자 전극과 그라운드 단자 전극과, 콘덴서 소체 내에 배치된 그라운드 전극과 제 1 및 제 2 신호 전극과 중간 내부 전극을 구비하고, 제 1 신호 전극은 제 1 신호 단자 전극에 접속되고, 제 2 신호 전극은 제 2 신호 단자 전극에 접속되고, 그라운드 전극은 그라운드 단자 전극에 접속되는 동시에, 복수의 유전체층이 적층된 제 1 방향에 제 1 신호 전극과 겹치는 제 1 영역과 제 2 신호 전극과 제 1 방향에 겹치는 제 2 영역을 갖고, 중간 내부 전극은 제 1 및 제 2 신호 단자 전극 및 그라운드 단자 전극으로부터 이격되는 동시에, 제 1 신호 전극과 그라운드 전극의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제 2 신호 전극과 그라운드 전극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중간 내부 전극은 제 1 영역과 제 1 방향에 겹치는 영역과, 제 2 영역과 제 1 방향에 겹치는 영역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의 적층 콘덴서에서는 중간 내부 전극과 제 1 신호 단자 전극에 접속 된 제 1 신호 전극에 의하여 콘덴서가 형성되고, 중간 내부 전극과 제 2 신호 단자 전극에 접속된 제 2 신호 전극에 의하여 콘덴서가 형성되고, 중간 내부 전극과 그라운드 단자 전극에 접속된 그라운드 전극에 의하여 콘덴서가 형성된다. 이 때문에, 제 1 신호 단자 전극과 제 2 신호 단자 전극의 사이, 제 1 신호 단자 전극과 그라운드 단자 전극의 사이, 제 2 신호 단자 전극과 그라운드 단자 전극의 사이에는 직렬로 접속된 2개의 콘덴서가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내압(耐庄)을 향상시킬 수 있다. 2개의 콘덴서 중 한쪽의 콘덴서가 깨져 쇼트된 경우에도, 다른쪽의 콘덴서가 단자간에 개재되어 있기 때문에, 각 단자간의 절연성을 유지할 수 있다. 중간 내부 전극은 복수의 콘덴서에 있어서 공유되기 때문에, 간이한 구성으로 각 단자간에 직렬 접속된 2개의 콘덴서를 형성하는 동시에, 적층 콘덴서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그라운드 전극은 제 1 영역을 포함하는 제 1 그라운드 전극과,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제 2 그라운드 전극을 갖고 있고, 제 1 그라운드 전극과 제 2 그라운드 전극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중간 내부 전극과 제 1 신호 전극에 의하여 콘덴서가 형성되고, 중간 내부 전극과 제 2 신호 전극에 의하여 콘덴서가 형성되고, 중간 내부 전극과 제 1 그라운드 전극에 의하여 콘덴서가 형성되고, 중간 내부 전극과 제 2 그라운드 전극에 의하여 콘덴서가 형성된다. 이 때문에, 제 1 신호 단자 전극과 제 2 신호 단자 전극의 사이, 제 1 신호 단자 전극과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의 사이, 제 2 신호 단자 전극과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의 사이에는 각각 직렬로 접속된 2개의 콘 덴서가 형성된다. 제 1 신호 단자 전극과 그라운드 단자 전극의 사이의 2개의 콘덴서와, 제 2 신호 단자 전극과 그라운드 단자 전극의 사이의 2개의 콘덴서는 서로 다른 콘덴서이다. 이 때문에, 제 1 신호 단자 전극과 그라운드 단자 전극의 사이에 형성된 2개의 콘덴서와, 제 2 신호 단자 전극과 그라운드 단자 전극의 사이에 형성된 2개의 콘덴서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크로스 토크를 억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신호 전극과 제 2 신호 전극은 서로 다른 층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제 1 신호 전극과 제 2 신호 전극을 더욱 떼어 배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 1 신호 단자 전극과 그라운드 단자 전극의 사이에 형성된 2개의 콘덴서와, 제 2 신호 단자 전극과 그라운드 단자 전극의 사이에 형성된 2개의 콘덴서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크로스 토크를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그라운드 전극과 제 2 그라운드 전극은 서로 다른 층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제 1 그라운드 전극과 제 2 그라운드 전극을 더욱 떼어 배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 1 신호 단자 전극과 그라운드 단자 전극의 사이에 형성된 2개의 콘덴서와, 제 2 신호 단자 전극과 그라운드 단자 전극의 사이에 형성된 2개의 콘덴서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크로스 토크를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신호 전극과 제 2 그라운드 전극은 동일 층에 배치되고, 제 2 신호 전극과 제 1 그라운드 전극은 동일 층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제 1 신호 전극과 제 2 신호 전극을 다른 층에 배치하고, 또한, 제 1 그라운드 전극과 제 2 그라운드 전극을 다른 층에 배치하고, 또, 적층수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적층 콘덴서의 저배화(低背化)를 실현하는 동시에, 제 1 신호 단자 전극과 그라운드 단자 전극의 사이에 형성된 2개의 콘덴서와, 제 2 신호 단자 전극과 그라운드 단자 전극의 사이에 형성된 2개의 콘덴서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크로스 토크를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그라운드 단자 전극은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을 포함하고, 제 1 신호 전극은 제 1 및 제 2 전극부를 갖고, 제 1 및 제 2 전극부는 모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동시에 제 1 신호 단자 전극에 접속되고, 제 2 신호 전극은 제 3 및 제 4 전극부를 갖고, 제 3 및 제 4 전극부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동시에 제 2 신호 단자 전극에 접속되고, 제 1 그라운드 전극은 제 1 전극부와 제 1 방향에 겹치는 제 3 영역을 포함하는 제 5 전극부와, 제 2 전극부와 제 1 방향에 겹치는 제 4 영역을 포함하는 제 6 전극부를 갖고, 제 5 및 제 6 전극부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 5 전극부는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과 접속되고, 제 6 전극부는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과 접속되고, 제 2 그라운드 전극은 제 3 전극부와 제 1 방향에 겹치는 제 5 영역을 포함하는 제 7 전극부와, 제 4 전극부와 제 1 방향에 겹치는 제 6 영역을 포함하는 제 8 전극부를 갖고, 제 7 및 제 8 전극부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 7 전극부는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과 접속되고, 제 8 전극부는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과 접속되고, 중간 내부 전극은 제 1 전극부와 제 5 전극부의 사이, 제 2 전극부와 제 6 전극부의 사이, 제 3 전극부와 제 7 전극부의 사이, 및, 제 4 전극부와 제 8 전극부의 사이의 각각에 배치되고, 중간 내부 전극은 제 3 내지 제 6 영역과 제 1 방향에 겹치는 영역을 갖고 있다.
이 경우, 중간 내부 전극과 제 1 전극부에 의해, 중간 내부 전극과 제 2 전극부에 의해, 중간 내부 전극과 제 3 전극부에 의해, 중간 내부 전극과 제 4 전극부에 의해, 중간 내부 전극과 제 5 전극부에 의해, 중간 내부 전극과 제 6 전극부에 의해, 중간 내부 전극과 제 7 전극부에 의해, 및, 중간 내부 전극과 제 8 전극부에 의하여 콘덴서가 형성된다. 이 때문에, 제 1 신호 단자 전극과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의 사이, 제 1 신호 단자 전극과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의 사이, 제 2 신호 단자 전극과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의 사이, 및, 제 2 신호 단자 전극과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의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 2개의 콘덴서가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각 단자간의 내압을 향상시킬 수 있다. 2개의 콘덴서 중 한쪽의 콘덴서가 깨져 쇼트된 경우에도, 다른쪽의 콘덴서가 단자간에 개재되어 있기 때문에, 각 단자간의 절연성을 유지할 수 있다. 제 5 및 제 6 전극부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동시에 제 7 및 제 8 전극부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의 전극부에 의해서 형성되는 콘덴서간의 크로스 토크를 억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중간 내부 전극은 제 3 및 제 5 영역과 제 1 방향에 겹치는 영역을 포함하는 제 9 전극부와, 제 4 및 제 6 영역과 제 1 방향에 겹치는 영역을 포함하는 제 10 전극부를 갖고, 제 9 및 제 10 전극부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제 9 전극부는 제 2, 제 4, 제 6, 제 8 전극부와 제 1 방향에 대향하지 않는다. 제 10 전극부는 제 1, 제 3, 제 5, 제 7 전극부와 제 1 방향에 대향 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 1, 제 3, 제 5, 제 7, 제 9 전극부가 기여하여 형성되는 콘덴서와, 제 2, 제 4, 제 6, 제 8, 제 10 전극부가 기여하여 형성되는 콘덴서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크로스 토크를 억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전극부와 중간 내부 전극과 제 5 전극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콘덴서의 정전 용량과, 제 2 전극부와 중간 내부 전극과 제 6 전극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콘덴서의 정전 용량이 서로 다르다.
이 경우, 제 1 신호 단자 전극과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의 사이에 형성된 콘덴서의 정전 용량과, 제 1 신호 단자 전극과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의 사이에 형성된 콘덴서의 정전 용량이 서로 다르다. 즉 제 1 신호 단자 전극과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의 사이에 병렬 접속된 콘덴서의 정전 용량이 서로 다르다. 따라서, 저임피던스인 대역을 넓힐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전극부의 면적과 제 2 전극부의 면적이 다르다.
이 경우, 제 1 전극부와 중간 내부 전극에 의하여 형성되는 콘덴서의 정전 용량과, 제 2 전극과 중간 내부 전극에 의하여 형성되는 콘덴서의 정전 용량을 용이하게 다르게 할 수 있다. 즉, 제 1 전극부와 중간 내부 전극과 제 5 전극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콘덴서의 정전 용량과, 제 2 전극부와 중간 내부 전극과 제 6 전극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콘덴서의 정전 용량을 용이하게 다르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5 전극부의 면적과 제 6 전극부의 면적이 다르다.
이 경우, 제 5 전극부와 중간 내부 전극에 의하여 형성되는 콘덴서의 정전 용량과, 제 6 전극과 중간 내부 전극에 의하여 형성되는 콘덴서의 정전 용량을 용 이하게 다르게 할 수 있다. 즉, 제 1 전극부와 중간 내부 전극과 제 5 전극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콘덴서의 정전 용량과, 제 2 전극부와 중간 내부 전극과 제 6 전극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콘덴서의 정전 용량을 용이하게 다르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중간 내부 전극은 제 3 및 제 5 영역과 제 1 방향에 겹치는 영역을 포함하는 제 9 전극부와, 제 4 및 제 6 영역과 제 1 방향에 겹치는 영역을 포함하는 제 10 전극부를 갖고, 제 9 및 제 10 전극부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 9 전극부의 면적과 제 10 전극부의 면적이 다르다.
이 경우, 제 1 전극부와 제 5 전극부와 제 9 전극부에 의해서 형성되는 콘덴서의 정전 용량과, 제 2 전극부와 제 6 전극부와 제 10 전극부에 의해서 형성되는 콘덴서의 정전 용량을 용이하게 다르게 할 수 있다. 즉 제 1 신호 단자 전극과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의 사이에 병렬 접속된 콘덴서의 정전 용량이 서로 다르다. 따라서, 저임피던스인 대역을 넓힐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콘덴서 소체는 대략 직방체 형상을 나타내는 동시에, 서로 대향하고 또한 콘덴서 소체의 길이가 짧은 방향으로 신장하는 제 1 및 제 2 측면과, 서로 대향하고 또한 콘덴서 소체의 길이가 긴 방향으로 신장하는 제 3 및 제 4 측면을 갖고, 제 1 신호 단자 전극은 제 1 측면에 배치되고, 제 2 신호 단자 전극은 제 2 측면에 배치되고,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은 제 3 측면에 배치되고,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은 제 4 측면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은, 단지 예시적으로만 제공되어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서 간주되지는 않는 첨부 도면들과 이하 제공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잘 이해될 것이 다.
본 발명의 적용성의 추가적 범위는 이하 제공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들 및 수정들이 본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므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들을 나타내면서, 상세한 설명 및 특정예들이 단지 예시적으로만 주어짐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설명에 있어서, 동일요소 또는 동일기능을 갖는 요소에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는 것으로 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C1)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에 포함되는 콘덴서 소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의 단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의 등가회로도이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적층 콘덴서(C1)는 대략 직방체상을 나타내고 있는 콘덴서 소체(1)를 구비하고 있다. 콘덴서 소체(1)는 서로 대향하는 직사각 형상의 제 1 주면(2) 및 제 2 주면(3)과, 서로 대향하고 또한 콘덴서 소체(1)의 길이가 짧은 방향(주면(2, 3)의 단변방향)으로 신장하는 제 1 측면(4) 및 제 2 측 면(5)과, 서로 대향하고 또한 콘덴서 소체(1)의 길이가 긴 방향(주면(2, 3)의 장변방향)으로 신장하는 제 3 측면(6) 및 제 4 측면(7)을 갖고 있다.
적층 콘덴서(C1)는 콘덴서 소체(1)의 외표면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 1 신호 단자 전극(11)과 제 2 신호 단자 전극(12)과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13)과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4)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신호 단자 전극(11)은 콘덴서 소체(1)의 제 1 측면(4)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신호 단자 전극(11)은 제 1 측면(4)의 전체면을 덮고, 또한, 제 1 및 제 2 주면(2, 3) 및 제 3 및 제 4 측면(6, 7)의 말단부(제 1 측면(4)측의 말단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2 신호 단자 전극(12)은 콘덴서 소체(1)의 제 2 측면(5)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신호 단자 전극(12)은 제 2 측면(5)의 전체면을 덮고, 또한, 제 1 및 제 2 주면(2, 3) 및 제 3 및 제 4 측면(6, 7)의 말단부(제 2 측면(5)측의 말단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13)은 콘덴서 소체(1)의 제 3 측면(6)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13)은 제 3 측면(6)에 있어서의 제 1 및 제 2 측면(4, 5)의 대향방향에서의 대략 중앙부를 덮고, 또한, 제 1 및 제 2 주면(2, 3)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4)은 콘덴서 소체(1)의 제 4 측면(7)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4)은 제 4 측면(7)에 있어서의 제 1 및 제 2 측면(4, 5)의 대향방향에서의 대략 중앙부를 덮고, 또한, 제 1 및 제 2 주면(2, 3)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13)과 제 2 그라운드 단 자 전극(14)은 제 3 및 제 4 측면(6, 7)의 대향방향에서 대향하고 있다.
제 1 및 제 2 신호 단자 전극(11, 12)과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은 예를 들면, 도전성 금속분말 및 유리프리트를 포함하는 도전성 페이스트를 콘덴서 소체(1)의 외표면에 도포하여, 노출시킴으로써 형성된다. 필요에 따라서 소결된 제 1 및 제 2 신호 단자 전극(11, 12)과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의 위에 도금층이 형성되는 경우도 있다.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콘덴서 소체(1)는 복수의 유전체층(9)으로 이루어진다. 콘덴서 소체(1)는 복수의 유전체층(9)이 제 1 및 제 2 주면(2, 3)이 대향하는 방향에 적층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즉, 제 1 및 제 2 주면(2, 3)이 대향하는 방향이 복수의 유전체층(9)의 적층방향(제 1 방향)이다. 각 유전체층(9)은 예를 들면 유전체 세라믹(BaTiO3계, Ba(Ti, Zr)O3계, 또는 (Ba, Ca)TiO3계 등의 유전체 세라믹)을 포함하는 세라믹 그린시트의 소결체에 의해 구성되고, 유전체로서의 특성을 갖는다. 실제의 적층 콘덴서(C1)에서는 각 유전체층(9)은 서로의 사이의 경계를 시인할 수 없을 정도로 일체화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적층 콘덴서(C1)는 제 1 및 제 2 신호 내부 전극(21, 22)과,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31, 32)과, 중간 내부 전극(40)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및 제 2 신호 내부 전극(21, 22)과,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31, 32)과, 중간 내부 전극(40)은 적층형 전자부품의 내부 전극으로서 통상 사용되는 도전성 재료(예를 들면, 비(卑)금속인 Ni 등)로 이루어진 다. 제 1 및 제 2 신호 내부 전극(21, 22)과,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31, 32)과, 중간 내부 전극(40)은 상기 도전성 재료를 포함하는 도전성 페이스트의 소결체로서 구성된다.
제 1 및 제 2 신호 내부 전극(21, 22)과,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31, 32)과, 중간 내부 전극(40)은 콘덴서 소체(1) 내에 유전체층(9)과 평행하게 유전체층(9)에 끼워져 배치되어 있다. 제 1 신호 내부 전극(21)과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32)이 동일 층(제 1 층(51))에 서로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제 2 신호 내부 전극(22)과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31)이 동일 층(제 3 층(53))에 서로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제 1 층(51)과 제 3 층(53)의 사이의 제 2 층(52)에, 중간 내부 전극(40)이 배치되어 있다. 제 1 층(51)과 제 2 층(52)의 사이, 제 2 층(52)과 제 3 층(53)의 사이에는 각각 두께가 같은 정도의 유전체층(9)이 배치되어 있다.
제 1 신호 내부 전극(21)은 제 1 층(51)의 제 1 측면(4)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신호 내부 전극(21)은 대략 직사각 형상을 나타내고 있고,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1변이 제 1 측면(4)에 노출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신호 내부 전극(21)은 제 1 측면(4)을 덮는 제 1 신호 단자 전극(11)과 물리적으로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1 신호 내부 전극(21)은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그 외의 3변이 각각 제 2 측면(5), 제 3 및 제 4 측면(6, 7)으로부터 이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31)은 제 3 층(53)의 제 1 측면(4)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31)은 대략 직사각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31)은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제 2 측면(5)측의 1변이 제 2 측면(5)으로부터 이격되고, 그 밖의 3변에 관해서도, 대응하는 제 1 측면(4), 제 3 및 제 4 측면(6, 7)으로부터 이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31)은 한 쌍의 인출부(33)를 갖고 있다. 한쪽의 인출부(33)는 제 3 측면(6)측의 1변에서의 제 2 측면(5)측의 부분으로부터 제 3 측면(6)까지 인출되어 있고, 그 말단부가 제 3 측면(6)에 노출되어 있다. 제 3 측면(6)에 노출된 인출부(33)의 말단부를 덮도록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13)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31)과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13)은 물리적으로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다른쪽의 인출부(33)는 제 4 측면(7)측의 1변에서의 제 2 측면(5)측의 부분으로부터 제 4 측면(7)까지 인출되어 있고, 그 말단부가 제 4 측면(7)에 노출되어 있다. 제 4 측면(7)에 노출된 인출부(33)의 말단부를 덮도록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4)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31)과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4)이 물리적으로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1 신호 내부 전극(21)과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31)은 적층방향에서 보아, 제 1 신호 내부 전극(21)을 이루는 4변 중 제 2 측면(5)과 평행한 변과,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31)을 이루는 4변 중 제 2 측면(5)과 평행한 변이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1 신호 내부 전극(21)과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31)은 적층방향에서 보아, 제 3 및 제 4 측면(6, 7)과 평행한 변끼리가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 다. 이 때문에, 제 1 신호 내부 전극(21)은 적층방향에서 보아,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31)과 겹치는 대략 직사각 형상의 영역(21a)을 갖는다.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31)은 적층방향에서 보아, 제 1 신호 내부 전극(21)과 겹치는 대략 직사각 형상의 영역(31a; 제 1 영역)을 갖는다.
제 2 신호 내부 전극(22)은 제 3 층(53)의 제 2 측면(5)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신호 내부 전극(22)은 대략 직사각 형상을 나타내고 있고,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1변이 제 2 측면(5)에 노출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2 신호 내부 전극(22)은 제 2 측면(5)을 덮는 제 2 신호 단자 전극(12)과 물리적으로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2 신호 내부 전극(22)은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그 다른 3변이 각각 제 1 측면(4), 제 3 및 제 4 측면(6, 7)으로부터 이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2 신호 내부 전극(22)은 제 1 신호 내부 전극(21)과 대략 같은 형상 또한 같은 정도의 크기이다.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32)은 제 1 층(51)의 제 2 측면(5)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32)은 대략 직사각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32)은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제 1 측면(4)측의 1변이 제 1 측면(4)으로부터 이격되고, 그 밖의 3변에 관해서도 대응하는 제 2 측면(5), 제 3 및 제 4 측면(6, 7)으로부터 이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32)은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31)과 대략 같은 형상 또한 같은 정도의 크기이다.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32)은 한 쌍의 인출부(34)를 갖고 있다. 한쪽의 인출부(34)는 제 3 측면(6)측의 1변에서의 제 1 측면(4)측의 부분으로부터 제 3 측면(6)까지 인출되어 있고, 그 말단부가 제 3 측면(6)에 노출되어 있다. 제 3 측면(6)에 노출된 인출부(34)의 말단부를 덮도록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13)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32)과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13)이 물리적으로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한쪽의 인출부(34)는 제 4 측면(7)측의 1변에서의 제 1 측면(4)측의 부분으로부터 제 4 측면(7)까지 인출되어 있고, 그 말단부가 제 4 측면(7)에 노출되어 있다. 이 제 4 측면(7)에 노출된 인출부(34)의 말단부를 덮도록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4)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32)과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4)이 물리적으로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2 신호 내부 전극(22)과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32)은 적층방향에서 보아, 제 2 신호 내부 전극(22)을 이루는 4변 중 제 1 측면과 평행한 변과,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32)을 이루는 4변 중 제 1 측면과 평행한 변이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2 신호 내부 전극(22)과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32)은 적층방향에서 보아, 제 3 및 제 4 측면(6, 7)과 평행한 변끼리가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2 신호 내부 전극(22)은 적층방향에서 보아,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32)과 겹치는 대략 직사각 형상의 영역(22A)을 갖는다.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32)은 적층방향에서 보아, 제 2 신호 내부 전극(22)과 겹치는 대략 직사각 형상의 영역(32A; 제 2 영역)을 갖는다.
중간 내부 전극(40)은 대략 직사각 형상을 나타내고 있고,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4변이, 대응하는 측면(4 내지 7)으로부터 이격되고 또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중간 내부 전극(40)은 측면(4, 6, 7)에 평행한 각 3변이 적층방향에서 보아,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31)의 측면(4, 6, 7)에 평행한 각 3변과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중간 내부 전극(40)은 측면(5, 6, 7)과 평행한 각 3변이 적층방향에서 보아,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32)의 측면(5, 6, 7)에 평행한 각 3변과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중간 내부 전극(40)은 적층방향에서 보아,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31)의 영역(31a)과 겹치는 영역(40A)을 갖고 있다. 즉, 중간 내부 전극(40)의 영역(40A)과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31)의 영역(31a)과 제 1 신호 내부 전극(21)의 영역(21a)은 적층방향에서 보아 겹쳐 있다.
이 때문에, 중간 내부 전극(40)의 영역(40A)과 제 1 신호 내부 전극(21)의 영역(21a)은 유전체층(9)을 통해서 적층방향에 서로 대향하고, 제 1 콘덴서(C11)를 구성하고 있다. 중간 내부 전극(40)의 영역(40A)과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31)의 영역(31a)은 유전체층(9)을 통해서 적층방향에 서로 대향하고, 제 2 콘덴서(C12)를 구성하고 있다.
제 1 콘덴서(C11)와 제 2 콘덴서(C12)는 각각의 콘덴서를 구성하는 전극층의 대향 면적 및 대향거리가 같은 정도이다. 즉, 제 1 콘덴서(C11)의 정전 용량과 제 2 콘덴서(C12)의 정전 용량은 같은 정도이다.
중간 내부 전극(40)은 적층방향에서 보아,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32)의 영역(32A)과 겹치는 영역(40B)을 갖고 있다. 즉, 중간 내부 전극(40)의 영역(40B) 과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32)의 영역(32A)과 제 2 신호 내부 전극(22)의 영역(22A)은 적층방향에서 보아 겹쳐 있다.
이 때문에, 중간 내부 전극(40)의 영역(40B)과 제 2 신호 내부 전극(22)의 영역(22A)은 유전체층(9)을 통해서 적층방향에 서로 대향하고, 제 3 콘덴서(C13)를 구성하고 있다. 중간 내부 전극(40)의 영역(40B)과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32)의 영역(32A)은 유전체층(9)을 통해서 적층방향에 서로 대향하고, 제 4 콘덴서(C14)를 구성하고 있다.
제 3 콘덴서(C13)와 제 4 콘덴서(C14)는 각각의 콘덴서를 구성하는 전극층의 대향 면적 및 대향거리가 같은 정도이다. 즉, 제 3 콘덴서(C13)의 정전 용량과 제 4 콘덴서(C14)의 정전 용량은 같은 정도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적층 콘덴서(C1)에서는 제 1 신호 단자 전극(11)과 제 2 신호 단자 전극(12)은 서로 절연되고, 이 제 1 및 제 2 신호 단자 전극(11, 12)은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과 절연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적층 콘덴서(C1)에서는 제 1 신호 단자 전극(11)과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의 사이에, 제 1 콘덴서(C11)와 제 2 콘덴서(C12)가 직렬 접속되어 있다. 제 2 신호 단자 전극(12)과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의 사이에, 제 3 콘덴서(C13)와 제 4 콘덴서(C14)가 직렬 접속되어 있다. 제 1 신호 단자 전극(11)과 제 2 신호 단자 전극(12)의 사이에, 제 1 콘덴서(C11)와 제 3 콘덴서(C13)가 직렬 접속되어 있다.
적층 콘덴서(C1)는 제 1 주면(2) 또는 제 2 주면(3)이 다른 부품(예를 들면, 회로기판이나 전자부품 등)에 대향하여 실장된다. 예를 들면, 차동 전송 라인 등을 구성하는 2개의 신호 전송 라인(SL)에 각각 제 1 신호 단자 전극(11)과 제 2 신호 단자 전극(12)이 접속된다.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은 그라운드 라인(GL)에 각각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적층 콘덴서(C1)는 하나이고, 2개의 신호 전송 라인(SL)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기능을 발휘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신호 단자 전극(11)과 제 2 신호 단자 전극(12)의 사이, 제 1 신호 단자 전극(11)과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의 사이, 제 2 신호 단자 전극(12)과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의 사이에는 직렬로 접속된 2개의 콘덴서가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각 단자간의 내압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각각 2개의 콘덴서 중 한쪽의 콘덴서가 깨져 쇼트된 경우에도, 다른쪽의 콘덴서가 단자간에 개재되어 있기 때문에, 각 단자간의 절연성을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콘덴서(C11)의 형성에 기여하는 제 1 신호 내부 전극(21)과 제 3 콘덴서(C13)의 형성에 기여하는 제 2 신호 내부 전극(22)이 서로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콘덴서(C11)와 제 3 콘덴서(C13)의 사이에 발생하는 크로스 토크를 억제할 수 있다. 제 1 신호 내부 전극(21)과 제 2 신호 내부 전극(22)은 서로 다른 층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신호 내부 전극(21)과 제 2 신호 내부 전극(22)의 사이의 거리를 더욱 크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 1 콘덴서(C11)와 제 3 콘덴서(C13)의 사이에 발생하는 크로스 토크를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2 콘덴서(C12)의 형성에 기여하는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31)과 제 4 콘덴서(C14)의 형성에 기여하는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32)이 서로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2 콘덴서(C12)와 제 4 콘덴서(C14)의 사이에 발생하는 크로스 토크를 억제할 수 있다.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31)과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32)은 서로 다른 층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31)과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32)의 사이의 거리를 더욱 크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 2 콘덴서(C12)와 제 4 콘덴서(C14)의 사이에 발생하는 크로스 토크를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신호 내부 전극(21)과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32)이 동일 층에 배치되고, 제 2 신호 내부 전극(22)과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31)이 동일 층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신호 내부 전극(21)과 제 2 신호 내부 전극(22)을 서로 다른 층에 배치하고, 또한,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31)과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32)을 서로 다른 층에 배치할 수 있다. 형성되는 제 1 내지 제 4 콘덴서(C11 내지 C14)에 있어서 원하는 정전 용량을 얻기 위한 내부 전극(21, 22, 31, 32) 및 유전체층(9)의 적층수를 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적층 콘덴서(C1; 콘덴서 소체(1))의 저배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및 제 2 신호 내부 전극(21, 22)과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31, 32)이 각각 유전체층(9)을 통해서 중간 내부 전극(40)과 대향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제 1 내지 제 4 콘덴서(C11 내지 C14)가 형성되어 있다. 즉, 제 1 내지 제 4 콘덴서(C11 내지 C14)는 중간 내부 전극(40)을 공유하여 형성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적층 콘덴서(C1)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중간 내부 전극(40)은 제 1 콘덴서(C11)와 제 2 콘덴서(C12)를 직렬 접속하는 기능, 제 1 콘덴서(C11)와 제 3 콘덴서(C13)를 직렬 접속하는 기능, 및, 제 3 콘덴서(C13)와 제 4 콘덴서(C14)를 직렬 접속하는 기능을 겸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적층 콘덴서(C1)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에 관계되는 그 밖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그 밖의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는 제 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C1)와 비교하고, 신호 내부 전극, 그라운드 내부 전극, 중간 내부 전극의 구성이 다르다. 이하, 제 1 실시형태의 적층 콘덴서(C1)와 다른 구성에 관해서 주로 설명하여, 같은 구성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 2 실시형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제 2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C2)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에 포함되는 콘덴서 소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의 등가회로도이다.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C2)는 상기 제 1 및 제 2 신호 내부 전극(21, 22) 대신에, 신호 내부 전극(61 내지 64)을 구비하고 있다. 적층 콘덴서(C2)는 상기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31, 32) 대신에, 그라운드 내부 전극(71 내지 74)을 구비하고 있다. 적층 콘덴서(C2)는 상기 중간 내부 전극(40) 대신에, 중간 내부 전극(41)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신호 내부 전극은 신호 내부 전극(61; 제 1 전극부)과 신호 내부 전극(62; 제 2 전극부)을 갖고 있다. 신호 내부 전극(61)과 신호 내부 전극(62)은 상기 제 1 신호 내부 전극(21)을 제 3 및 제 4 측면(6, 7)의 대향방향의 중앙부에서, 제 3 측면(6)과 평행한 라인에 따라서 이분할한 형상이다. 신호 내부 전극(61)과 신호 내부 전극(62)은 제 1 층(51)에 있어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신호 내부 전극(61, 62)은 각각의 말단부가 제 1 측면(4)에 노출되어 있고, 제 1 측면(4)에 형성된 제 1 신호 단자 전극(11)과 물리적으로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은 그라운드 내부 전극(71; 제 5 전극부)과 그라운드 내부 전극(72; 제 6 전극부)을 갖고 있다. 그라운드 내부 전극(71)과 그라운드 내부 전극(72)은 상기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31)을 제 3 및 제 4 측면(6, 7)의 대향방향의 중앙부에서, 제 3 측면(6)과 평행한 라인에 따라서 이분할한 형상이다. 그라운드 내부 전극(71)과 그라운드 내부 전극(72)은 제 3 층(53)에 있어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그라운드 내부 전극(71)은 인출부(75)를 갖고 있다. 인출부(75)는 제 3 측면(6)측의 1변에서의 제 2 측면(5)측의 부분으로부터 제 3 측면(6)까지 인출되어 있고, 그 말단부가 제 3 측면(6)에 노출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71)은 제 3 측면(6)에 형성된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13)과 물리적으로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72)은 인출부(76)를 갖고 있다. 인출부(76)는 제 4 측면(7)측의 1변에서의 제 2 측면(5)측의 부분으로부터 제 4 측면(7)까지 인출되어 있고, 그 말단부가 제 4 측면(7)에 노출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72)은 제 4 측면(7)에 형성된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4)과 물리적으로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신호 내부 전극(61)과 그라운드 내부 전극(71)은 적층방향에서 보아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신호 내부 전극(61)이 갖는 영역(61a)과 그라운드 내부 전극(71)이 갖는 영역(71a)은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치는 영역이다. 신호 내부 전극(62)과 그라운드 내부 전극(72)은 적층방향에서 보아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신호 내부 전극(62)이 갖는 영역(62A)과 그라운드 내부 전극(72)이 갖는 영역(72A)은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치는 영역이다.
제 2 신호 내부 전극은 신호 내부 전극(63; 제 3 전극부)과 신호 내부 전극(64; 제 4 전극부)을 갖고 있다. 신호 내부 전극(63)과 신호 내부 전극(64)은 상기 제 2 신호 내부 전극(22)을 제 3 및 제 4 측면(6, 7)의 대향방향의 중앙부에서, 제 3 측면(6)과 평행한 라인에 따라서 이분할한 형상이다. 신호 내부 전극(63)과 신호 내부 전극(64)은 제 3 층(53)에 있어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신호 내부 전극(63, 64)은 각각의 말단부가 제 2 측면(5)에 노출되어 있고, 제 2 측면(5)에 형성된 제 2 신호 단자 전극(12)과 물리적으로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은 그라운드 내부 전극(73; 제 7 전극부)과 그라운드 내부 전극(74; 제 8 전극부)을 갖고 있다. 그라운드 내부 전극(73)과 그라운드 내부 전극(74)은 상기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32)을 제 3 및 제 4 측면(6, 7)의 대향방향의 중앙부에서, 제 3 측면(6)과 평행한 라인에 따라서 이분할한 형상이다. 그라운드 내부 전극(73)과 그라운드 내부 전극(74)은 제 1 층(51)에 있어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그라운드 내부 전극(73)은 인출부(77)를 갖고 있다. 인출부(77)는 제 3 측면(6)측의 1변에서의 제 1 측면(4)측의 부분으로부터 제 3 측면(6)까지 인출되어 있고, 그 말단부가 제 3 측면(6)에 노출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3 그라운드 내부 전극(73)은 제 3 측면(6)에 형성된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13)과 물리적으로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라운드 내부 전극(74)은 인출부(78)를 갖고 있다. 인출부(78)는 제 4 측면(7)측의 1변에서의 제 1 측면(4)측의 부분으로부터 제 4 측면(7)까지 인출되어 있고, 그 말단부가 제 4 측면(7)에 노출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4 그라운드 내부 전극(74)은 제 4 측면(7)에 형성된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4)과 물리적으로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신호 내부 전극(63)과 그라운드 내부 전극(73)은 적층방향에서 보아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신호 내부 전극(63)이 갖는 영역(63A)과 그라운드 내부 전극(73)이 갖는 영역(73A)은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치는 영역이다. 신호 내부 전극(64)과 그라운드 내부 전극(74)은 적층방향에서 보아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신호 내부 전극(64)이 갖는 영역(64A)과 그라운드 내부 전극(74)이 갖는 영역(74A)은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치는 영역이다.
중간 내부 전극(41)은 상기 중간 내부 전극(40)과 같은 형상으로 같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중간 내부 전극(41)은 적층방향에서 보아, 신호 내부 전극(61)의 영역(61a) 및 그라운드 내부 전극(71)의 영역(71a)과 겹치는 영역(41a)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중간 내부 전극(41)의 영역(41a)과 신호 내부 전극(61)의 영역(61a)은 유전체층(9)을 통해서 적층방향에 서로 대향하고, 제 1 콘덴서(C21)를 구성하고 있다. 중간 내부 전극(41)의 영역(41a)과 그라운드 내부 전극(71)의 영역(71a)은 유전체층(9)을 통해서 적층방향에 서로 대향하고, 제 2 콘덴서(C22)를 구성하고 있다.
중간 내부 전극(41)은 적층방향에서 보아, 신호 내부 전극(62)의 영역(62A) 및 그라운드 내부 전극(72)의 영역(72A)과 겹치는 영역(41B)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중간 내부 전극(41)의 영역(41B)과 신호 내부 전극(62)의 영역(62A)은 유전체층(9)을 통해서 적층방향에 서로 대향하고, 제 3 콘덴서(C23)를 구성하고 있다. 중간 내부 전극(41)의 영역(41B)과 그라운드 내부 전극(72)의 영역(72A)은 유전체층(9)을 통해서 적층방향에 서로 대향하고, 제 4 콘덴서(C24)를 구성하고 있다.
중간 내부 전극(41)은 적층방향에서 보아, 신호 내부 전극(63)의 영역(63A) 및 그라운드 내부 전극(73)의 영역(73A)과 겹치는 영역(41C)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중간 내부 전극(41)의 영역(41C)과 신호 내부 전극(63)의 영역(63A)은 유전체층(9)을 통해서 적층방향에 서로 대향하고, 제 5 콘덴서(C25)를 구성하고 있다. 중간 내부 전극(41)의 영역(41C)과 그라운드 내부 전극(73)의 영역(73A)은 유전체층(9)을 통해서 적층방향에 서로 대향하고, 제 6 콘덴서(C26)를 구성하고 있다.
중간 내부 전극(41)은 적층방향에서 보아, 신호 내부 전극(64)의 영역(64A) 및 그라운드 내부 전극(74)의 영역(74A)과 겹치는 영역(41D)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중간 내부 전극(41)의 영역(41D)과 신호 내부 전극(64)의 영역(64A)은 유전체층(9)을 통해서 적층방향에 서로 대향하고, 제 7 콘덴서(C27)를 구성하고 있다. 중간 내부 전극(41)의 영역(41D)과 그라운드 내부 전극(74)의 영역(74A)은 유전체층(9)을 통해서 적층방향에 서로 대향하고, 제 8 콘덴서(C28)를 구성하고 있다.
적층 콘덴서(C2)에 있어서 구성되는 제 1 내지 제 8 콘덴서(C21 내지 C28)는 각각의 콘덴서를 구성하는 전극층의 대향 면적 및 대향거리가 같은 정도이다. 즉, 제 1 내지 제 8 콘덴서(C21 내지 C28)의 정전 용량은 같은 정도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적층 콘덴서(C2)에서는 제 1 신호 단자 전극(11)과 제 2 신호 단자 전극(12)은 서로 절연되고, 이 제 1 및 제 2 신호 단자 전극(11, 12)은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과 절연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적층 콘덴서(C2)에서는 제 1 신호 단자 전극(11)과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13)의 사이에, 제 1 콘덴서(C21)와 제 2 콘덴서(C22)의 2개의 콘덴서가 직렬 접속되어 있다. 제 1 신호 단자 전극(11)과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4)의 사이에, 제 3 콘덴서(C23)와 제 4 콘덴서(C24)의 2개의 콘덴서가 직렬 접속되어 있다. 제 2 신호 단자 전극(12)과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13)의 사이에, 제 5 콘덴서(C25)와 제 6 콘덴서(C26)의 2개의 콘덴서가 직렬 접속되어 있다. 제 2 신호 단자 전극(12)과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4)의 사이에, 제 7 콘덴서(C27)와 제 8 콘덴서(C28)의 2개의 콘덴서가 직렬 접속되어 있다. 따 라서, 각 단자간의 내압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각각 2개의 콘덴서 중 한쪽의 콘덴서가 깨져 쇼트된 경우에도, 다른쪽의 콘덴서가 단자간에 개재되어 있기 때문에, 각 단자간의 절연성을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및 제 2 콘덴서(C21, C22)의 형성에 기여하는 신호 내부 전극(61) 및 그라운드 내부 전극(71)은 제 3 내지 제 8 콘덴서(C23 내지 C28)의 형성에 기여하는 신호 내부 전극(63 내지 64) 및 그라운드 내부 전극(72 내지 74)과 적층방향에 겹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제 1 및 제 2 콘덴서(C21, C22)와 제 3 내지 제 8 콘덴서(C23 내지 C28)의 사이의 크로스 토크를 억제할 수 있다.
신호 내부 전극(62) 및 그라운드 내부 전극(72)은 다른 신호 내부 전극 및 다른 그라운드 내부 전극과 적층방향에 겹치지 않는다. 신호 내부 전극(63) 및 그라운드 내부 전극(73)도, 다른 신호 내부 전극 및 다른 그라운드 내부 전극과 적층방향에 겹치지 않는다. 신호 내부 전극(64) 및 그라운드 내부 전극(74)도, 다른 신호 내부 전극 및 다른 그라운드 내부 전극과 적층방향에 겹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크로스 토크를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신호 내부 전극(61, 62)과 그라운드 내부 전극(73, 74)이 동일 층(제 1 층(51))에 배치되어 있다. 신호 내부 전극(63, 64)과 그라운드 내부 전극(71, 72)이 동일 층(제 3 층(53))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중간 내부 전극(41)이 제 1 층(51)과 제 3 층(53)의 사이의 층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신호 내부 전극(61, 62)과 신호 내부 전극(63, 64)을 서로 다른 층에 배치하 고, 또한, 그라운드 내부 전극(71, 72)과 그라운드 내부 전극(73, 74)을 서로 다른 층에 배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크로스 토크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제 1 내지 제 8 콘덴서(C21 내지 C28)를 형성하는 동시에 원하는 정전 용량을 얻기 위한 신호 내부 전극과 그라운드 내부 전극과 중간 내부 전극의 적층 총수를 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적층 콘덴서(C2; 콘덴서 소체(2))의 저배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신호 내부 전극(61, 62)과 그라운드 내부 전극(73, 74)이 각각 중간 내부 전극(41)과 유전체층(9)을 통해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신호 내부 전극(63, 64)과 그라운드 내부 전극(71, 72)이 각각 중간 내부 전극(41)과 유전체층(9)을 통해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내지 제 8 콘덴서(C21 내지 C28)는 중간 내부 전극(41)을 공유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적층 콘덴서(C2)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중간 내부 전극(41)은 제 1 콘덴서(C21)와 제 2 콘덴서(C22)를 직렬 접속하는 기능, 제 3 콘덴서(C23)와 제 4 콘덴서(C24)를 직렬 접속하는 기능, 제 5 콘덴서(C25)와 제 6 콘덴서(C26)를 직렬 접속하는 기능, 및, 제 7 콘덴서(C27)와 제 8 콘덴서(C28)를 직렬 접속하는 기능을 겸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적층 콘덴서(C2)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신호 내부 전극(61, 62)이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신호 내부 전극(61, 62)의 사이로부터 유전체층(9)의 표면이 노출된다. 신호 내부 전극(61, 62)의 사이로부터 노출된 유전체층(9)의 표면은 적층방향에 인접하는 유전체층(9)과 밀착한다. 이 때문에, 유전체층(9)간의 밀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 다. 신호 내부 전극(63, 64), 그라운드 내부 전극(71, 72), 그라운드 내부 전극(73, 74)이 각각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각 전극층간으로부터 유전체층(9)의 표면이 노출된다. 이 전극층의 사이로부터 노출된 유전체층(9)의 표면은 적층방향에 인접하는 유전체층(9)과 밀착한다. 이 때문에, 유전체층(9)간의 밀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제 3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C3)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에 포함되는 콘덴서 소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의 단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의 등가회로도이다.
도 7,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C3)는 제 2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신호 내부 전극(61 내지 64) 대신에, 신호 내부 전극(81 내지 84)을 구비한다. 적층 콘덴서(C3)는 제 2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그라운드 내부 전극(71 내지 74) 대신에, 그라운드 내부 전극(91 내지 94)을 구비한다. 적층 콘덴서(C3)는 제 2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중간 내부 전극(41) 대신에, 중간 내부 전극(101, 102)을 구비한다. 도 8a 및 도 8b는 콘덴서 소체(1)를 제 3 및 제 4 측면(6, 7)과 평행한 평면으로 절단한 경우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8a는 단면에 내부 전극(84, 92)이 포함되도록 콘덴서 소체(1)를 절단한 경우의 구조를 도시하고, 도 8b는 단면에 내부 전극(83, 91)이 포함되도록 콘덴서 소체(1) 를 절단한 경우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신호 내부 전극(81)은 제 2 실시형태의 신호 내부 전극(61)보다 제 1 및 제 2 측면(4, 5)의 대향방향에서의 길이가 짧은 점이 다르다. 신호 내부 전극(81)의 말단부는 제 2 실시형태의 신호 내부 전극(61)과 같이, 제 1 측면(4)에 노출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신호 내부 전극(81)과 제 1 신호 단자 전극(11)은 물리적으로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신호 내부 전극(83)은 제 2 실시형태의 신호 내부 전극(63)보다 제 1 및 제 2 측면(4, 5)의 대향방향에서의 길이가 짧은 점이 다르다. 신호 내부 전극(83)의 말단부는 제 2 실시형태의 신호 내부 전극(63)과 같이, 제 2 측면(5)에 노출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신호 내부 전극(83)과 제 2 신호 단자 전극(12)은 물리적으로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신호 내부 전극(82)과 신호 내부 전극(84)은 제 2 실시형태의 신호 내부 전극(62)과 신호 내부 전극(64)과 각각 같은 형상 또한 같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신호 내부 전극(81, 83)은 서로 같은 정도의 면적이고, 신호 내부 전극(82, 84)보다 면적이 작다.
그라운드 내부 전극(91 내지 94)은 제 2 실시형태의 그라운드 내부 전극(71 내지 74)과 같은 형상 또한 같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그라운드 내부 전극(91, 93)은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13)과 물리적으로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그라운드 내부 전극(92, 94)은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4)과 물리적으로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신호 내부 전극(81)과 그라운드 내부 전극(91)은 적층방향에서 보아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신호 내부 전극(81)이 갖는 영역(81a)과 그라운드 내부 전극(91)이 갖는 영역(91a)은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치는 영역이다. 신호 내부 전극(82)과 그라운드 내부 전극(92)은 적층방향에서 보아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신호 내부 전극(82)이 갖는 영역(82A)과 그라운드 내부 전극(92)이 갖는 영역(92A)은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치는 영역이다.
신호 내부 전극(83)과 그라운드 내부 전극(93)은 적층방향에서 보아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신호 내부 전극(83)이 갖는 영역(83A)과 그라운드 내부 전극(93)이 갖는 영역(93A)은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치는 영역이다. 신호 내부 전극(84)과 그라운드 내부 전극(94)은 적층방향에서 보아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신호 내부 전극(84)이 갖는 영역(84A)과 그라운드 내부 전극(94)이 갖는 영역(94A)은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치는 영역이다.
중간 내부 전극은 중간 내부 전극(101; 제 9 전극부)과 중간 내부 전극(102; 제 10 전극부)을 갖고 있다. 중간 내부 전극(101)과 중간 내부 전극(102)은 제 2 실시형태의 중간 내부 전극(41)을 제 3 및 제 4 측면(6, 7)의 대향방향의 중앙부에서, 제 3 측면(6)과 평행한 라인에 따라서 이분할한 형상이다. 중간 내부 전극(101)과 중간 내부 전극(102)은 제 2 층(52)에 있어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중간 내부 전극(101)은 적층방향에서 보아, 신호 내부 전극(81)의 영역(81a) 및 그라운드 내부 전극(91)의 영역(91a)과 겹치는 영역(101A)을 갖고 있다. 이 때 문에, 중간 내부 전극(101)의 영역(101A)과 신호 내부 전극(81)의 영역(81a)은 유전체층(9)을 통해서 적층방향에 서로 대향하고, 제 1 콘덴서(C31)를 구성하고 있다.
중간 내부 전극(101)은 적층방향에서 보아, 그라운드 내부 전극(91)의 영역(91B)과 겹치는 영역(101B)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중간 내부 전극(101)의 영역(101B)과 그라운드 내부 전극(91)의 영역(91B)은 제 2 콘덴서(C32)를 구성하고 있다. 영역(101B)은 영역(101A)을 포함하는 영역이다.
중간 내부 전극(102)은 적층방향에서 보아, 신호 내부 전극(82)의 영역(82A) 및 그라운드 내부 전극(92)의 영역(92A)과 겹치는 영역(102A)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중간 내부 전극(102)의 영역(102A)과 신호 내부 전극(82)의 영역(82A)은 유전체층(9)을 통해서 적층방향에 서로 대향하고, 제 3 콘덴서(C33)를 구성하고 있다. 중간 내부 전극(102)의 영역(102A)과 그라운드 내부 전극(92)의 영역(92A)은 유전체층(9)을 통해서 적층방향에 서로 대향하고, 제 4 콘덴서(C34)를 구성하고 있다.
중간 내부 전극(101)은 적층방향에서 보아, 신호 내부 전극(83)의 영역(83A) 및 그라운드 내부 전극(93)의 영역(93A)과 겹치는 영역(101C)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중간 내부 전극(101)의 영역(101C)과 신호 내부 전극(83)의 영역(83A)은 유전체층(9)을 통해서 적층방향에 서로 대향하고, 제 5 콘덴서(C35)를 구성하고 있다.
중간 내부 전극(101)은 적층방향에서 보아, 그라운드 내부 전극(93)의 영 역(93B)과 겹치는 영역(101D)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중간 내부 전극(101)의 영역(101D)과 그라운드 내부 전극(93)의 영역(93B)은 제 6 콘덴서(C36)를 구성하고 있다. 영역(101D)은 영역(101C)을 포함하는 영역이다.
중간 내부 전극(102)은 적층방향에서 보아, 신호 내부 전극(84)의 영역(84A) 및 그라운드 내부 전극(94)의 영역(94A)과 겹치는 영역(102B)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중간 내부 전극(102)의 영역(102B)과 신호 내부 전극(84)의 영역(84A)은 유전체층(9)을 통해서 적층방향에 서로 대향하여, 콘덴서(C37)를 구성하고 있다. 중간 내부 전극(102)의 영역(102B)과 그라운드 내부 전극(94)의 영역(94A)은 유전체층(9)을 통해서 적층방향에 서로 대향하고, 제 8 콘덴서(C38)를 구성하고 있다.
적층 콘덴서(C3)에 있어서 구성되는 제 1 및 제 5 콘덴서(C31, C35)의 콘덴서를 구성하는 전극층의 대향 면적이, 제 2 내지 제 4 및 제 6 내지 제 8 콘덴서(C32 내지 C34, C36 내지 C38)를 구성하는 전극층의 대향 면적보다 작다. 즉, 제 1 및 제 5 콘덴서(C31, C35)의 정전 용량은 제 2 내지 제 4 및 제 6 내지 제 8 정전 용량보다 작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적층 콘덴서(C3)에서는 제 1 신호 단자 전극(11)과 제 2 신호 단자 전극(12)은 서로 절연되고, 이 제 1 및 제 2 신호 단자 전극(11, 12)은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과 절연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적층 콘덴서(C3)에서는 제 1 신호 단자 전극(11)과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13)의 사이에, 제 1 콘덴서(C31)와 제 2 콘덴서(C32)의 2개의 콘덴서가 직렬 접속되어 있다. 제 1 신호 단자 전극(11)과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4)의 사이에, 제 3 콘덴서(C33)와 제 4 콘덴서(C34)의 2개의 콘덴서가 직렬 접속되어 있다. 제 2 신호 단자 전극(12)과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13)의 사이에, 제 5 콘덴서(C35)와 제 6 콘덴서(C36)의 2개의 콘덴서가 직렬 접속되어 있다. 제 2 신호 단자 전극(12)과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4)의 사이에, 제 7 콘덴서(C37)와 제 8 콘덴서(C38)의 2개의 콘덴서가 직렬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각 단자간의 내압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각각 2개의 콘덴서 중 한쪽의 콘덴서가 깨져 쇼트된 경우에도, 다른쪽의 콘덴서가 단자간에 개재되어 있기 때문에, 각 단자간의 절연성을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중간 내부 전극(101)은 신호 내부 전극(82, 84) 및 그라운드 내부 전극(92, 94)과 적층방향에 겹치는 영역을 갖고 있지 않다. 중간 내부 전극(102)은 신호 내부 전극(81, 83) 및 그라운드 내부 전극(91, 93)과 적층방향에 겹치는 영역을 갖고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중간 내부 전극(101), 신호 내부 전극(81, 83), 및 그라운드 내부 전극(91, 93)으로 구성되는 제 1 내지 제 2 및 제 5 내지 제 6 콘덴서(C31, C32, C35, C36)와, 중간 내부 전극(102), 신호 내부 전극(82, 84), 및 그라운드 내부 전극(92, 94)으로 구성되는 제 3 내지 제 4 및 제 7 내지 제 8 콘덴서(C33, C34, C37, C38)의 사이의 크로스 토크를 억제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신호 단자 전극(11)과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의 사이에서, 제 1 및 제 2 콘덴서(C31, C32)와 제 3 및 제 4 콘덴서(C33, C34)가 병렬 접속되어 있다. 제 1 콘덴서(C31)는 제 2 내지 제 4 콘덴서(C32 내지 C34)의 정전 용량보다 작다. 이 때문에, 제 1 및 제 2 콘덴 서(C31, C32)에 의한 정전 용량과 제 3 및 제 4 콘덴서(C33, C34)에 의한 정전 용량이 다르다. 즉, 제 1 신호 단자 전극(11)과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의 사이에 병렬 접속된 콘덴서의 정전 용량이 서로 다르다. 따라서, 저임피던스인 대역을 넓힐 수 있다.
제 2 신호 단자 전극(12)과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의 사이에서, 제 5 및 제 6 콘덴서(C35, C36)와 제 7 및 제 8 콘덴서(C37, C38)가 병렬 접속되어 있다. 제 5 콘덴서(C35)는 제 6 내지 제 8 콘덴서(C36 내지 C38)의 정전 용량보다 작다. 이 때문에, 제 5 및 제 6 콘덴서(C35, C36)에 의한 정전 용량과 제 7 및 제 8 콘덴서(C37, C38)에 의한 정전 용량이 다르다. 즉, 제 2 신호 단자 전극(12)과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의 사이에 병렬 접속된 콘덴서의 정전 용량이 서로 다르다. 따라서, 저임피던스인 대역을 넓힐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신호 내부 전극(81)의 면적은 신호 내부 전극(82)의 면적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 경우, 신호 내부 전극(81)과 중간 내부 전극(101)에 의하여 형성되는 콘덴서의 정전 용량과, 신호 내부 전극(82)과 중간 내부 전극(102)에 의하여 형성되는 콘덴서의 정전 용량을 용이하게 다르게 할 수 있다. 즉, 제 1 콘덴서(C31)와 제 2 내지 제 4 콘덴서(C32 내지 C34)의 정전 용량을 용이하게 다르게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신호 내부 전극(83)의 면적은 제 4 신호 내부 전극(84)의 면적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 경우, 제 3 신호 내부 전극(83)과 제 1 중간 내부 전극(101)에 의하여 형성되는 콘덴서의 정전 용량과, 제 4 신호 내부 전극(84)과 제 2 중간 내부 전극(102)에 의하여 형성되는 콘덴서의 정전 용량을 용이하게 다르게 할 수 있다. 즉, 제 5 콘덴서(C35)와 제 6 내지 제 8 콘덴서(C36 내지 C38)의 정전 용량을 용이하게 다르게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중간 내부 전극(101, 102)이 동일 층에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전극의 사이로부터 유전체층(9)의 표면이 노출된다. 전극의 사이로부터 노출된 유전체층(9)의 표면은 적층방향에 인접하는 유전체층(9)과 밀착한다. 이 때문에, 유전체층(9)간의 밀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제 4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C4)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에 포함되는 콘덴서 소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a 및 11b는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의 단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의 등가회로도이다.
도 10,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C4)는 제 2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신호 내부 전극(61 내지 64)과 같은 형상 또한 같은 위치에 배치된 신호 내부 전극(111 내지 114)을 구비하고 있다. 적층 콘덴서(C4)는 제 2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그라운드 내부 전극(71 내지 74) 대신에, 그라운드 내부 전극(121 내지 124)을 구비하고 있다. 적층 콘덴서(C4)는 제 3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중간 내부 전극(101, 102) 대신에, 중간 내부 전극(131, 132)을 구비하고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콘덴서 소체(1)를 제 3 및 제 4 측 면(6, 7)과 평행한 평면으로 절단한 경우의 단면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a는 단면에 내부 전극(114, 122)이 포함되도록 콘덴서 소체(1)를 절단한 경우의 구조를 도시하고, 도 11b는 단면에 내부 전극(113, 121)이 포함되도록 콘덴서 소체(1)를 절단한 경우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그라운드 내부 전극(121)은 제 2 실시형태의 그라운드 내부 전극(71)의 제 1 측면(4)측이 짧게 된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그라운드 내부 전극(123)은 제 2 실시형태의 그라운드 내부 전극(73)의 제 2 측면(5)측이 짧게 된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그라운드 내부 전극(121, 123)은 제 2 실시형태의 그라운드 내부 전극(71, 73)과 같이 인출부(125, 127)를 갖고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13)과 물리적으로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라운드 내부 전극(122, 124)은 제 2 실시형태의 그라운드 내부 전극(72, 74)과 같은 형상 또한 같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라운드 내부 전극(122, 124)은 인출부(126, 128)를 각각 갖고 있고,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4)과 물리적으로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신호 내부 전극(111)과 그라운드 내부 전극(121)은 적층방향에서 보아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신호 내부 전극(111)이 갖는 영역(111A)과 그라운드 내부 전극(121)이 갖는 영역(121A)은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치는 영역이다. 신호 내부 전극(112)과 그라운드 내부 전극(122)은 적층방향에서 보아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신호 내부 전극(112)이 갖는 영역(112A)과 그라운드 내부 전극(122)이 갖는 영역(122A)은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치는 영역이다.
신호 내부 전극(113)과 그라운드 내부 전극(123)은 적층방향에서 보아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신호 내부 전극(113)이 갖는 영역(113A)과 그라운드 내부 전극(123)이 갖는 영역(123A)은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치는 영역이다. 신호 내부 전극(114)과 그라운드 내부 전극(124)은 적층방향에서 보아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신호 내부 전극(114)이 갖는 영역(114A)과 그라운드 내부 전극(124)이 갖는 영역(124A)은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치는 영역이다.
중간 내부 전극(131)은 제 3 실시형태의 중간 내부 전극(101)의 제 1 및 제 2 측면(4, 5)의 대향방향의 길이가 짧게 된 형상을 나타내고 있고, 제 1 및 제 2 측면(4, 5)의 대향방향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다. 중간 내부 전극(131)의 제 1 측면(4)측의 1변은 그라운드 내부 전극(121)의 제 1 측면(4)측의 1변과 적층방향에서 보아 겹쳐 있다. 중간 내부 전극(131)의 제 2 측면(5)측의 1변은 그라운드 내부 전극(123)의 제 2 측면(5)측의 1변과 적층방향에서 보아 겹쳐 있다.
중간 내부 전극(132)은 제 3 실시형태의 중간 내부 전극(102)과 같은 형상 또한 같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중간 내부 전극(131)은 적층방향에서 보아, 신호 내부 전극(111)의 영역(111A) 및 그라운드 내부 전극(121)의 영역(121A)과 겹치는 영역(131A)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중간 내부 전극(131)의 영역(131A)과 신호 내부 전극(111)의 영역(111A)은 유전체층(9)을 통해서 적층방향에 서로 대향하고, 제 1 콘덴서(C41)를 구성하고 있다. 중간 내부 전극(131)의 영역(131A)과 그라운드 내부 전극(121)의 영역(121A)은 유전체층(9)을 통해서 적층방향에 서로 대향하고, 제 2 콘덴서(C42) 를 구성하고 있다.
중간 내부 전극(132)은 적층방향에서 보아, 신호 내부 전극(112)의 영역(112A) 및 그라운드 내부 전극(122)의 영역(122A)과 겹치는 영역(132A)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중간 내부 전극(132)의 영역(132A)과 신호 내부 전극(112)의 영역(112A)은 유전체층(9)을 통해서 적층방향에 서로 대향하고, 제 3 콘덴서(C43)를 구성하고 있다. 중간 내부 전극(132)의 영역(132A)과 그라운드 내부 전극(122)의 영역(122A)은 유전체층(9)을 통해서 적층방향에 서로 대향하고, 제 4 콘덴서(C44)를 구성하고 있다.
중간 내부 전극(131)은 적층방향에서 보아, 신호 내부 전극(113)의 영역(113A) 및 그라운드 내부 전극(123)의 영역(123A)과 겹치는 영역(131B)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중간 내부 전극(131)의 영역(131B)과 신호 내부 전극(113)의 영역(113A)은 유전체층(9)을 통해서 적층방향에 서로 대향하고, 제 5 콘덴서(C45)를 구성하고 있다. 중간 내부 전극(131)의 영역(131B)과 그라운드 내부 전극(123)의 영역(123A)은 유전체층(9)을 통해서 적층방향에 서로 대향하고, 제 6 콘덴서(C46)를 구성하고 있다.
중간 내부 전극(132)은 적층방향에서 보아, 신호 내부 전극(114)의 영역(114A) 및 그라운드 내부 전극(124)의 영역(124A)과 겹치는 영역(132B)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중간 내부 전극(132)의 영역(132B)과 신호 내부 전극(114)의 영역(114A)은 유전체층(9)을 통해서 적층방향에 서로 대향하고, 제 7 콘덴서(C47)를 구성하고 있다. 중간 내부 전극(132)의 영역(132B)과 그라운드 내부 전극(124)의 영역(124A)은 유전체층(9)을 통해서 적층방향에 서로 대향하고, 제 8 콘덴서(C48)를 구성하고 있다.
적층 콘덴서(C4)에 있어서 구성되는 제 1 내지 제 2 및 제 5 내지 제 6 콘덴서(C41, C42, C45, C46)를 구성하는 전극층의 대향 면적이, 제 3 내지 제 4 및 제 7 내지 제 8 콘덴서(C43, C44, C47, C48)를 구성하는 전극층의 대향 면적보다 작다. 즉, 제 1 내지 제 2 및 제 5 내지 제 6 콘덴서(C41, C42, C45, C46)의 정전 용량은 제 3 내지 제 4 및 제 7 내지 제 8 콘덴서(C43, C44, C47, C48)의 정전 용량보다 작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적층 콘덴서(C4)에서는 제 1 신호 단자 전극(11)과 제 2 신호 단자 전극(12)은 서로 절연되고, 이 제 1 및 제 2 신호 단자 전극(11, 12)은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과 절연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적층 콘덴서(C4)에서는 제 1 신호 단자 전극(11)과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13)의 사이에, 제 1 콘덴서(C41)와 제 2 콘덴서(C42)의 2개의 콘덴서가 직렬 접속되어 있다. 제 1 신호 단자 전극(11)과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4)의 사이에, 제 3 콘덴서(C43)와 제 4 콘덴서(C44)의 2개의 콘덴서가 직렬 접속되어 있다. 제 2 신호 단자 전극(12)과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13)의 사이에, 제 5 콘덴서(C45)와 제 6 콘덴서(C46)의 2개의 콘덴서가 직렬 접속되어 있다. 제 2 신호 단자 전극(12)과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4)의 사이에, 제 7 콘덴서(C47)와 제 8 콘덴서(C48)의 2개의 콘덴서가 직렬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각 단자간의 내압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각각 2개의 콘덴서 중 한쪽의 콘덴 서가 깨져 쇼트된 경우에도, 다른쪽의 콘덴서가 단자간에 개재되어 있기 때문에, 각 단자간의 절연성을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중간 내부 전극(131)은 신호 내부 전극(112, 114) 및 그라운드 내부 전극(122, 124)과 적층방향에 겹치는 영역을 갖고 있지 않다. 중간 내부 전극(132)은 신호 내부 전극(111, 113) 및 그라운드 내부 전극(121, 123)과 적층방향에 겹치는 영역을 갖고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중간 내부 전극(131), 신호 내부 전극(111, 113), 및 그라운드 내부 전극(121, 123)으로 구성되는 제 1 내지 제 2 및 제 5 내지 제 6 콘덴서(C41, C42, C45, C46)와, 중간 내부 전극(132), 신호 내부 전극(112, 114), 및 그라운드 내부 전극(122, 124)으로 구성되는 제 3 내지 제 4 및 제 7 내지 제 8 콘덴서(C43, C44, C47, C48)의 사이의 크로스 토크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신호 단자 전극(11)과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의 사이에서, 제 1 및 제 2 콘덴서(C41, C42)와 제 3 및 제 4 콘덴서(C43, C44)가 병렬 접속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콘덴서(C41, C42)는 제 3 및 제 4 콘덴서(C43, C44)의 정전 용량보다 작다. 이 때문에, 제 1 신호 단자 전극(11)과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의 사이에 병렬 접속된 콘덴서의 정전 용량이 서로 다르다. 따라서, 저임피던스인 대역을 넓힐 수 있다.
제 2 신호 단자 전극(12)과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의 사이에서, 제 5 및 제 6 콘덴서(C45, C46)와 제 7 및 제 8 콘덴서(C47, C48)가 병렬 접속되어 있다. 제 5 및 제 6 콘덴서(C45, C46)는 제 7 및 제 8 콘덴서(C47, C48) 의 정전 용량보다 작다. 이 때문에, 제 2 신호 단자 전극(12)과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3, 14)의 사이에 병렬 접속된 콘덴서의 정전 용량이 서로 다르다. 따라서, 저임피던스인 대역을 넓힐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그라운드 내부 전극(121)을 그라운드 내부 전극(122)보다 작은 면적으로 형성하고, 또한, 중간 내부 전극(131)을 중간 내부 전극(132)보다 작은 면적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그라운드 내부 전극(121)과 중간 내부 전극(131)에 의하여 형성되는 콘덴서의 정전 용량과, 그라운드 내부 전극(122)과 중간 내부 전극(132)에 의하여 형성되는 콘덴서의 정전 용량을 용이하게 다르게 할 수 있다. 즉, 제 1 및 제 2 콘덴서(C41, C42)와 제 3, 제 4 콘덴서(C43, C44)의 정전 용량을 용이하게 다르게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그라운드 내부 전극(123)을 그라운드 내부 전극(124)보다 작은 면적으로 형성하고, 또한, 중간 내부 전극(131)을 중간 내부 전극(132)보다 작은 면적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그라운드 내부 전극(123)과 중간 내부 전극(131)에 의하여 형성되는 콘덴서의 정전 용량과, 그라운드 내부 전극(124)과 중간 내부 전극(132)에 의하여 형성되는 콘덴서의 정전 용량을 용이하게 다르게 할 수 있다. 즉, 제 5 및 제 6 콘덴서(C45, C46)와 제 7, 제 8 콘덴서(C47, C48)의 정전 용량을 용이하게 다르게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적층 콘덴서(C1)는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14)을 구비하지 않아도 좋다. 제 1 내지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 신호 내부 전극 및 그라운드 내부 전극이 배치되는 층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술된 본 발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다수의 방식들로 변경될 수 있슴이 명백할 것이다. 그런 변경들은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서 간주되어야 하고, 당업자들에게 명백할 것처럼, 모든 그런 수정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포함되고자 한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의 사시도.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에 포함되는 콘덴서 소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의 단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제 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의 등가회로도.
도 5는 제 2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에 포함되는 콘덴서 소체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제 2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의 등가회로도.
도 7은 제 3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에 포함되는 콘덴서 소체의 분해 사시도.
도 8a 및 도 8b는 제 3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의 단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제 3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의 등가회로도.
도 10은 제 4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에 포함되는 콘덴서 소체의 분해 사시도.
도 11a 및 도 11b는 제 4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의 단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제 4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의 등가회로도.

Claims (12)

  1. 적층 콘덴서로,
    복수의 유전체층이 적층된 콘덴서 소체와,
    상기 콘덴서 소체의 외표면에 배치된 제 1 신호 단자 전극과 제 2 신호 단자 전극과 그라운드 단자 전극과,
    상기 콘덴서 소체 내에 배치된 그라운드 전극과 제 1 및 제 2 신호 전극과 중간 내부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신호 전극은 상기 제 1 신호 단자 전극에 접속되고,
    상기 제 2 신호 전극은 상기 제 2 신호 단자 전극에 접속되고,
    상기 그라운드 전극은 상기 그라운드 단자 전극에 접속되는 동시에, 상기 복수의 유전체층이 적층된 제 1 방향에 상기 제 1 신호 전극과 겹치는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신호 전극과 상기 제 1 방향에 겹치는 제 2 영역을 갖고,
    상기 중간 내부 전극은 상기 제 1 및 제 2 신호 단자 전극 및 상기 그라운드 단자 전극으로부터 이격되는 동시에, 상기 제 1 신호 전극과 상기 그라운드 전극의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제 2 신호 전극과 상기 그라운드 전극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중간 내부 전극은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1 방향에 겹치는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과 상기 제 1 방향에 겹치는 영역을 갖고 있는 적층 콘덴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전극은 상기 제 1 영역을 포함하는 제 1 그라운드 전극과, 상기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제 2 그라운드 전극을 갖고 있고,
    상기 제 1 그라운드 전극과 상기 제 2 그라운드 전극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는 적층 콘덴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 전극과 상기 제 2 신호 전극은 서로 다른 층에 배치되어 있는 적층 콘덴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그라운드 전극과 상기 제 2 그라운드 전극은 서로 다른 층에 배치되어 있는 적층 콘덴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 전극과 상기 제 2 그라운드 전극은 동일 층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신호 전극과 상기 제 1 그라운드 전극은 동일 층에 배치되어 있는 적층 콘덴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단자 전극은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신호 전극은 제 1 및 제 2 전극부를 갖고,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부는 모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제 1 신호 단자 전극에 접속되고,
    상기 제 2 신호 전극은 제 3 및 제 4 전극부를 갖고, 상기 제 3 및 제 4 전극부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제 2 신호 단자 전극에 접속되고,
    상기 제 1 그라운드 전극은 상기 제 1 전극부와 상기 제 1 방향에 겹치는 제 3 영역을 포함하는 제 5 전극부와, 상기 제 2 전극부와 상기 제 1 방향에 겹치는 제 4 영역을 포함하는 제 6 전극부를 갖고, 상기 제 5 및 제 6 전극부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 5 전극부는 상기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과 접속되고, 상기 제 6 전극부는 상기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과 접속되고,
    상기 제 2 그라운드 전극은 상기 제 3 전극부와 상기 제 1 방향에 겹치는 제 5 영역을 포함하는 제 7 전극부와, 상기 제 4 전극부와 상기 제 1 방향에 겹치는 제 6 영역을 포함하는 제 8 전극부를 갖고, 상기 제 7 및 제 8 전극부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 7 전극부는 상기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과 접속되고, 상기 제 8 전극부는 상기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과 접속되고,
    상기 중간 내부 전극은 상기 제 1 전극부와 상기 제 5 전극부의 사이, 상기 제 2 전극부와 상기 제 6 전극부의 사이, 상기 제 3 전극부와 상기 제 7 전극부의 사이, 및, 상기 제 4 전극부와 상기 제 8 전극부의 사이의 각각에 배치되고,
    상기 중간 내부 전극은 상기 제 3 내지 제 6 영역과 상기 제 1 방향에 겹치 는 영역을 갖고 있는 적층 콘덴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내부 전극은 상기 제 3 및 제 5 영역과 상기 제 1 방향에 겹치는 영역을 포함하는 제 9 전극부와, 상기 제 4 및 제 6 영역과 상기 제 1 방향에 겹치는 영역을 포함하는 제 10 전극부를 갖고, 상기 제 9 및 제 10 전극부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는 적층 콘덴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부와 상기 중간 내부 전극과 상기 제 5 전극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콘덴서의 정전 용량과, 상기 제 2 전극부와 상기 중간 내부 전극과 상기 제 6 전극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콘덴서의 정전 용량이 서로 다른 적층 콘덴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부의 면적과 상기 제 2 전극부의 면적이 다른 적층 콘덴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전극부의 면적과 상기 제 6 전극부의 면적이 다른 적층 콘덴서.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내부 전극은 상기 제 3 및 제 5 영역과 상기 제 1 방향에 겹치는 영역을 포함하는 제 9 전극부와, 상기 제 4 및 제 6 영역과 상기 제 1 방향에 겹치는 영역을 포함하는 제 10 전극부를 갖고, 상기 제 9 및 제 10 전극부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 9 전극부의 면적과 상기 제 10 전극부의 면적이 다른 적층 콘덴서.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콘덴서 소체는 대략 직방체 형상을 나타내는 동시에, 서로 대향하고 또한 상기 콘덴서 소체의 길이가 짧은 방향으로 신장하는 제 1 및 제 2 측면과, 서로 대향하고 또한 상기 콘덴서 소체의 길이가 긴 방향으로 신장하는 제 3 및 제 4 측면을 갖고,
    상기 제 1 신호 단자 전극은 상기 제 1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신호 단자 전극은 상기 제 2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은 상기 제 3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은 상기 제 4 측면에 배치되어 있는 적층 콘덴서.
KR1020090076052A 2008-08-18 2009-08-18 적층 콘덴서 KR201000219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09810 2008-08-18
JP2008209810A JP5077140B2 (ja) 2008-08-18 2008-08-18 積層コンデン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1988A true KR20100021988A (ko) 2010-02-26

Family

ID=41681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6052A KR20100021988A (ko) 2008-08-18 2009-08-18 적층 콘덴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107216B2 (ko)
JP (1) JP5077140B2 (ko)
KR (1) KR2010002198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25570B2 (ja) * 2008-04-24 2012-09-12 京セラ株式会社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DE102011014965B4 (de) * 2011-03-24 2014-11-13 Epcos Ag Elektrisches Vielschichtbauelement
US10510492B2 (en) * 2017-05-19 2019-12-17 Apple Inc.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with low acoustic noise
CN111180210B (zh) * 2019-12-25 2023-08-04 四川省科学城久信科技有限公司 一种网结构电路模型电容器
KR20220072411A (ko) * 2020-11-25 2022-06-02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형 커패시터 및 그 실장 기판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37927U (ko) * 1987-03-03 1988-09-12
JP3548821B2 (ja) * 1999-05-10 2004-07-2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コンデンサ、ならびにこれを用いた電子装置および高周波回路
US6519134B1 (en) * 2000-07-19 2003-02-11 Intel Corporation Universal capacitor terminal design
WO2005020256A1 (ja) * 2003-08-22 2005-03-03 Murata Manufacturing Co., Ltd. 積層型電子部品
US7046500B2 (en) * 2004-07-20 2006-05-16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Laminated ceramic capacitor
JP2006059977A (ja) 2004-08-19 2006-03-02 Mitsubishi Electric Corp 複合コンデンサ
JP4105665B2 (ja) * 2004-08-30 2008-06-25 Tdk株式会社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JP4837275B2 (ja) * 2004-11-18 2011-12-14 Tdk株式会社 積層型コンデンサの実装構造
CN1993783B (zh) * 2004-12-24 2010-09-01 株式会社村田制作所 多层电容器及其安装结构
US7688567B2 (en) * 2005-08-05 2010-03-30 Tdk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multilayer capacitor and multilayer capacitor
JP4404089B2 (ja) * 2006-12-13 2010-01-27 Tdk株式会社 貫通コンデンサアレ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39750A1 (en) 2010-02-18
JP5077140B2 (ja) 2012-11-21
JP2010045298A (ja) 2010-02-25
US8107216B2 (en) 2012-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8894B1 (ko) 적층 콘덴서
KR101020528B1 (ko) 적층 콘덴서
TWI404091B (zh) 積層電容器
JP4086086B2 (ja) 積層コンデンサおよびその実装構造
KR100936902B1 (ko)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
KR100962421B1 (ko) 관통형 적층 콘덴서
KR20100019972A (ko) 적층 콘덴서
KR20100021988A (ko) 적층 콘덴서
JP4501970B2 (ja) 積層コンデンサ
KR101051620B1 (ko) 적층 콘덴서
JP4483904B2 (ja) 貫通型積層コンデンサ
KR101700461B1 (ko) 전기 다층형 구성요소 및 그를 포함한 회로 장치
JP5029662B2 (ja) コンデンサアレイの実装方法
KR101051621B1 (ko) 관통 콘덴서 및 관통 콘덴서의 실장 구조
JP6363444B2 (ja) 積層型コンデンサ
JP4539440B2 (ja) 積層コンデンサの実装構造
JP2010080615A (ja) 積層コンデンサ、積層コンデンサの実装構造及び積層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JP4412386B2 (ja) 貫通型積層コンデンサ
JP3727542B2 (ja) 積層貫通型コンデンサ
KR100877485B1 (ko)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
KR20160058509A (ko)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JP2013172025A (ja) 積層型電子部品
JP2013172027A (ja) 積層型電子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