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5961A -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과 통 모양 편성포 - Google Patents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과 통 모양 편성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5961A
KR20100015961A KR1020097022468A KR20097022468A KR20100015961A KR 20100015961 A KR20100015961 A KR 20100015961A KR 1020097022468 A KR1020097022468 A KR 1020097022468A KR 20097022468 A KR20097022468 A KR 20097022468A KR 20100015961 A KR20100015961 A KR 201000159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ed fabric
knitting
elastic
fabric portion
elastic kn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2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7957B1 (ko
Inventor
이사오 유미바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00015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5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7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7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6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stocking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0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with stitch pattern
    • D04B1/108Gussets, e.g. pouches or heel or toe por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4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 D04B1/18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elastic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리 모양의 경사진 탄성 편성포부를 구비하는 통 모양 편성포로서, 그 탄성 편성포부의 둘레방향으로 효과적으로 수축할 수 있는 통 모양 편성포와 그 편성방법을 제공한다.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전후방향으로 대향하는 적어도 한 쌍의 니들베드를 구비하는 횡편기를 사용하여 편성된 통 모양 편성포이다. 이 통 모양 편성포는, 이 통 모양 편성포의 축방향과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되며 고리 모양인 탄성 편성포부(20)와, 탄성 편성포부(20)의 축방향 일단측에 나란한 스티치 열에 접합되는 제1베이스 편성포부(11)와, 탄성 편성포부(20)의 축방향 타단측에 나란한 스티치 열에 접합되는 제2베이스 편성포부(12)를 구비한다. 탄성 편성포부(20)는 그 둘레방향을 따르는 코스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과 통 모양 편성포{KNITTING METHOD FOR TUBULAR KNITTED FABRIC AND TUBULAR KNITTED FABRIC}
본 발명은, 통(筒) 모양 편성포(編成布)의 편성방법과 통 모양 편성포에 관한 것이다. 특히 고리 모양의 탄성 편성포부(彈性 編成布部)의 둘레방향을 다른 편성포부의 둘레방향과 경사지게(obliquely) 하고, 또한 탄성 편성포부가 그 둘레방향으로 효과적으로 수축(收縮)하도록 편성할 수 있는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리 모양의 탄성 편성포부를 구비하는 통 모양 편성포로서, 특허문헌1에 기재된 양말(socks)이 있다. 이 양말에서는, 통 모양 편성포의 도중에 동(同) 편성포의 둘레방향과 평행하게 탄성 편성포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 이외에 특허문헌2에는, 통 모양 편성포의 일부에 나선(螺旋) 모양의 띠 모양 편(片)을 형성하고, 그 띠 모양 편의 팽팽하게 조이는 힘이 다른 곳보다 우수한 서포터(supporter) 또는 스타킹(stocking)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1 :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1-124702호 공보
특허문헌2 : 일본국 특허공보 특공평6-51921호 공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어느 쪽의 종래기술에 의해서도 통 모양 편성포의 일부에 동 편성포의 둘레방향과 경사지는 고리 모양의 탄성 편성포부를 형성하고, 또한 이 탄성 편성포부의 둘레방향으로 더 높은 신축력(伸縮力)을 갖게 할 수 없다.
특허문헌1의 양말에서는, 탄성 편성포부가 다른 편성포부와 평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 시에 있어서, 스티치(stitch)가 편성폭(編成幅) 방향으로 병렬(竝列)되는 방향(이하 이 방향을 코스방향(course 方向)이라고 하고, 편성폭 방향으로 병렬된 1행 스티치 열(stitch 列)을 코스라고 하고, 복수의 코스가 병렬되는 방향을 웨일방향(wale 方向)이라고 한다)이 탄성 편성포부와 다른 편성포부에서 동일하여 탄성 편성포부를 다른 편성포부와 서로 다른 둘레방향으로 효과적으로 수축(收縮)시킬 수 없다.
또한 특허문헌2의 서포터 또는 양말에서는, 경사진 띠 모양 편을 성형편성(成型編成)에 의하여 형성하는 것이 거론되고 있다. 그러나 이 서포터나 양말은 띠 모양 편의 둘레방향이 그 이외의 편성포부의 둘레방향과 경사만 져 있는 것이고, 띠 모양 편의 코스방향과 다른 편성포부의 코스방향이 동일하다. 이 때문에 띠 모양 편을 그 둘레방향으로 효과적으로 수축시키는 것이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 중 하나는, 고리 모양의 경사진 탄성 편성포부를 구비하는 통 모양 편성포로서, 그 탄성 편성포부의 둘레방향으로 효과적으로 수축할 수 있는 통 모양 편성포와 그 편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해결수단)
본 발명에 있어서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전후방향으로 대향(對向)하는 적어도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를 구비하는 횡편기(橫編機)를 사용하여, 고리 모양의 탄성 편성포부(彈性 編成布部)와, 탄성 편성포부에 있어서 축방향 일단측(一端側)의 스티치 열(stitch 列)에 접합되는 제1베이스 편성포부(first base 編成布部)와, 탄성 편성포부에 있어서 축방향 타단측(他端側)의 스티치 열에 접합되는 제2베이스 편성포부를 구비하는 통(筒) 모양 편성포를 편성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이 방법은 다음의 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베이스 편성포부를 편성하는 과정에서, 편성의 진행에 따라 편성폭(編成幅)이 변화하도록 되돌림 편성(flechage knitting)을 하여 제1경사부(第一傾斜部)를 편성하는 스텝.
제1경사부의 개구(開口) 가장자리에 나란한 스티치 열에 연속하여 고리 모양으로 탄성 편성포부를 편성하는 스텝.
탄성 편성포부의 개구 가장자리에 나란한 스티치 열에 연속하여 제2베이스 편성포부를 편성하는 과정을 하고, 그 과정에서 편성의 진행에 따라 편성폭이 변화하도록 되돌림 편성을 하여 제2경사부를 편성하는 스텝.
상기한 본 발명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제1경사부의 개구 가장자리에 나란한 스티치 열 및 탄성 편성포부에 접합되는 제2경사부의 스티치 열 중 적어도 일방(一方)은, 다른 코스의 스티치를 포함하는 경우이더라도 좋고 또는 동일한 코스의 스티치를 포함하는 경우이더라도 좋다.
본 발명의 통 모양 편성포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전후방향으로 대향하는 적어도 한 쌍의 니들베드를 구비하는 횡편기를 사용하여 편성되는 통 모양 편성포이다. 이 편성포는, 통 모양 편성포의 축방향과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되는 고리 모양의 탄성 편성포부와, 탄성 편성포부의 축방향 일단측에 나란한 스티치 열에 접합되는 제1베이스 편성포부와, 탄성 편성포부의 축방향 타단측에 나란한 스티치 열에 접합되는 제2베이스 편성포부를 구비한다. 이 탄성 편성포부는, 탄성 편성포부의 둘레방향을 따르는 코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있어서의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의하면, 편성폭이 변화되는 되돌림 편성을 하여 제1경사부를 편성함으로써, 제1경사부의 개구 가장자리 스티치 열을 통 모양 편성포의 축방향(軸方向)과 경사지게 병렬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개구 가장자리에 연속하여 형성되는 탄성 편성포부도 통 모양 편성포의 축방향과 경사진 코스를 구비하도록 편성할 수 있다. 또한 이 탄성 편성포부에 편성폭이 변화되는 되돌림 편성을 하여 제2경사부를 형성함으로써, 제2경사부에 있어서의 탄성 편성포부와의 접합장소 스티치 열을 통 모양 편성포의 축방향과 경사지게 병렬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통 모양 편성포의 축방향과 경사지는 고리 모양의 탄성 편성포부이면서, 이것 자체의 둘레방향을 따르는 코스를 구비하는 탄성 편성포부를 형성할 수 있어, 이 탄성 편성포부를 이것 자체의 둘레방향을 따라 신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각 경사부에서 탄성 편성포부에 접합되는 스티치 열이 다른 코스의 스티치를 포함하도록 되돌림 편성을 하기 때문에, 탄성 편성포부의 코스를 각 경사부의 코스와 평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 편성포부에 탄성 편성포부를 특이적으로 둘레방향으로 신축시키는 것이 가능한 통 모양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다. 한편 각 경사부에 있어서 탄성 편성포부에 접합되는 스티치 열이 동일한 코스의 스티치를 포함하도록 되돌림 편성을 하면, 탄성 편성포부의 코스를 각 경사부의 코스와 평행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둘레방향을 따라 신축시키는 것이 가능한 고리 모양의 탄성 편성포부를 통 모양 편성포의 도중에 편성할 수 있다. 특히 각 베이스 편성포부에 있어서 탄성 편성포부에 접합되는 스티치 열이, 다른 코스의 스티치가 나란한 부분과 동일한 코스의 스티치가 나란한 부분으로 이루어지도록 제1경사부와 제2경사부를 각 되돌림 편성함으로써, 탄성 편성포부의 도중에 예각(銳角)의 각(角)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하여 탄성 편성포부를 따르는 라인(line)을 매끄럽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양쪽 베이스 편성포부와 탄성 편성포부가 연결되는 장소의 실루엣(silhouette)을 매끄럽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통 모양 편성포에 의하면, 탄성 편성포부의 코스와 양쪽 베이스 편성포부의 코스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할 수 있어 더 신축성이 높은 고리 모양의 탄성 편성포부를 구비하는 통 모양 편성포로 할 수 있다. 특히 양쪽 베이스 편성포부의 적어도 일방이 탄성 편성포부의 둘레방향과 평행하지 않은 코스를 구비함으로써, 탄성 편성포부를 통 모양 편성포의 다른 영역에서 특이적으로 둘레방향으로 신축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1(A)는 실시예1에 관한 양말의 평면도로서, 착용하였을 때에 복사뼈에 상당하는 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1(B)는 본 발명의 양말을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실시예1에 관한 탄성 편성포부를 형성하기 위한 편성공정도 제1도를 나타낸다.
도3은 실시예1에 관한 탄성 편성포부를 형성하기 위한 편성공정도 제2도를 나타낸다.
도4(A)는 실시예2에 관한 양말의 평면도로서, 착용하였을 때에 복사 뼈에 상당하는 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4(B)는 본 발명의 양말을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는 실시예2에 관한 탄성 편성포부를 형성하기 위한 편성공정도를 나타낸다.
도6은 실시예3에 관한 탄성 편성포부를 형성하기 위한 편성공정도를 나타낸다.
도7은 실시예4에 관한 양말의 평면도로서, (A)는 제1경사부·제2경사부의 코스와 탄성 편성포부의 코스가 평행한 경우를 나타내고, (B)는 탄성 편성포부의 코스가 제1경사부의 코스와 평행하고 제2편성포부의 코스와는 평행하지 않는 경우를 나타내고, (C)는 탄성 편성포부의 코스가 제1경사부의 코스와 평행하지 않고 제2편성포부의 코스와는 평행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8은 실시예4에 관한 탄성 편성포부를 형성하기 위한 편성공정도를 나타낸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양말 1A : 발등측 편성포부
1B : 발바닥측 편성포부 11 : 하측 편성포부
12 : 상측 편성포부 13 : 중간 편성포부
11t : 제1통 모양부 11s : 제1경사부
12t : 제2통 모양부 12s : 제2경사부
20, 21, 22, 23 : 탄성 편성포부
30 : 양말목부 F : 발
N : 무릎 C : 장딴지
S : 정강이 T : 발끝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각 실시예에서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전후방향으로 서로 대향(對向)하는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를 구비하는 2베드(two-bed)의 횡편기(橫編機)를 사용하여 고리 모양(環狀)의 탄성 편성포부(彈性 編成布部)를 구비하는 양말(socks)을 제작한다. 또 뒤쪽 니들베드(back needle bed)가 좌우로 래킹(racking) 가능하고 또한 전후의 니들베드 사이에서 스티치(stitch)의 코이동(loop transfer)이 가능한 2베드의 횡편기를 사용하면, 링크스 편조직(links stitch)이나 가터뜨기(garter stitch) 등 여러 가지의 조직패턴(structure pattern)을 구비하는 양말을 편성할 수 있다.
(실시예1)
도1(A)는 양말의 평면도로서, 착용하였을 때에 복사뼈의 위치에 상당하는 측에서 본 도면이다. 또한 도1(B)는 양말을 착용한 상태를 복사뼈 측에서 본 개략도이다.
양쪽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양말(socks)(1)은, 착용자(着用 者)의 발(F)에 있어서 발끝(T)으로부터 장딴지(C)와 정강이(S)의 도중까지를 덮는 하측 편성포부(下側 編成布部)(11)와, 장딴지(C)와 정강이(S)의 상부를 덮는 상측 편성포부(上側 編成布部)(12)와, 이들 편성포부(11, 12)의 사이에 형성되며 고리 모양(環狀)인 탄성 편성포부(彈性 編成布部)(20)를 구비한다. 이 하측 편성포부(11)가 제1베이스 편성포부(first base 編成布部)에 상당하고, 상측 편성포부(12)가 제2베이스 편성포부(second base 編成布部)에 상당한다.
도1(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탄성 편성포부(20)는, 하측 편성포부(11) 및 상측 편성포부(12)와 동축(同軸) 상으로 연장되는 것이 아니라 각 편성포부(11, 12)의 축방향(軸方向)과 경사진 축방향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탄성 편성포부(20)의 코스방향(course 方向)은 각 편성포부(11, 12)의 코스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측 편성포부(12)와 하측 편성포부(11)의 코스방향은 평행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하측 편성포부(11)와 탄성 편성포부(20)의 이음매 및 상측 편성포부(12)와 탄성 편성포부(20)의 이음매에 있어서 양말(1)의 윤곽(輪郭) 형상에 단차(段差)가 형성되어 있다.
이 양말(1)을 착용하면, 양말(1)의 탄성 편성포부(20)는 도1(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장딴지(C)로부터 정강이(S)를 향하여 비스듬하게 상방(무릎(N)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측 편성포부(12)에 있어서 탄성 편성포부(20)와 반대측에는, 발(F)을 삽입하기 위한 양말목부(30)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하측 편성포부(11)와 상측 편성포부(12)를 플레인 스티치(plain stitch)의 무지(無地 ; solid color)로 하고, 양말목부(30)를 리브 편조직(rib stitch)으로 하였다.
제1실시예에서 편성되는 양말(1)은, 도1(A)에 있어서 지면(紙面) 좌측의 통(筒) 모양 편성포의 반 정도, 즉 하측 편성포부(11), 탄성 편성포부(20) 및 상측 편성포부(12)의 반 정도를 발등측 편성포부(1A)라고 하고, 지면 우측의 통 모양 편성포의 반 정도(편성포부(11, 20, 12)의 반 정도)를 발바닥측 편성포부(1B)라고 한다. 그리고 발등측 편성포부(1A)를 횡편기의 뒤쪽 니들베드(BB)에서 편성하고, 발바닥측 편성포부(1B)를 횡편기의 앞 니들베드(FB)에서 편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발끝에서부터 편성을 시작하여 하측 편성포부(11)를 편성한다. 여기에서 발끝 부분에는, 착용자의 발가락을 수납하는 발가락부를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발바닥측 편성포부(1B)에 있어서 착용자의 발뒤꿈치 부분에 상당하는 장소에서는, 발뒤꿈치에 상당하는 부분을 향하여 편성폭(編成幅)을 순차적으로 감소시키고, 그 후에 편성폭을 순차적으로 증가시키는 편성을 하여 착용자의 발뒤꿈치 형상을 따르도록 하면 좋다.
다음에 하측 편성포부(11)에 연속하도록 탄성 편성포부(20)를 편성한다. 탄성 편성포부(20)는 다른 편성포부(11, 12)에 비하여 더 큰 수축성(收縮性)을 구비하는 장소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 실(base thread)에 의하여 편성되는 편성포에, 각 편성포부(11, 12)를 편성하는 베이스 실보다 신축성 (伸縮性)이 뛰어난 탄성사(彈性絲)를 편성에 삽입시킴으로써 탄성 편성포부(20)를 형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베이스 실에 의하여 편성되는 스티치 열(stitch 列)에, 여러 개의 스티치를 걸러서 탄성사를 턱(tuck) 시킨 상태로 하는 소위 턱 편성(tuck knitting)에 의하여 탄성 편성포부(20)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탄성 편성포부(20)는 베이스 실을 탄성사로 바꾸어서 편성하여도 좋다.
다음에 탄성 편성포부(20)와 그 전후에 있어서의 각 편성포부(11, 12)에 대한 편성방법을 도2, 도3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이들 도면의 좌단(左端)에 나타나 있는 숫자는 편성공정(編成工程)의 스텝(step)을 나타낸다. 또한 동(同) 도면 좌측의 도면은 FB와 BB의 바늘에 있어서의 스티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검은색으로 칠해진 스티치는 그 편성공정에 있어서 니트(knit) 되어 있는 스티치를 나타내고, 흰색으로 된 스티치는 그 편성공정에 있어서 니들베드에 결합된 상태에서 니트 되지 않은 스티치를 나타낸다. 또한 스티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상기한 도면의 우측에는, 그 스텝에 대응하여 편성된 통 모양의 양말에 대한 개략도를 나타낸다. 이 개략도에는 발등측 편성포부(1A)와 발바닥측 편성포부(1B)가 겹쳐서 나타나 있다. 이 이외에 양쪽 도면에 나타나 있는 화살표는 편성방향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들 화살표 중에서 한쪽 끝 부분에만 화살표가 붙어 있는 것은 통 모양의 편성을 나타내고, 양단(兩端)에 화살표가 붙어 있는 것은 되돌림 편성(flechage knitting)을 나타낸다.
우선 발끝에서부터 탄성 편성포부(20)를 향하여 편성포를 통 모양으로 편성한다. 스텝1은 탄성 편성포부(20)가 편성되기 전의 편성상태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발등측 편성포부(1A)와 발바닥측 편성포부(1B)가 연속하는 하나의 통이 되도록 편성포를 편성하고 있다.
스텝2에서는, 코스의 편성이 진행됨에 따라 FB의 중앙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니트하지 않은 바늘을 증가시키는 C자 모양의 되돌림 편성을 하여 발바닥측 편성포부(1B)의 양단측과 발등측 편성포부(1A)의 스티치를 형성한다. 이 스텝2에서는, 최종적으로는 FB의 바늘에 의하여 니트하지 않은 상태가 된다. 즉 발바닥측 편성포부(1B)는 중간측에서 코스방향과 직교하는 웨일방향(wale 方向)의 스티치 수가 적고 양단측에서 웨일방향의 스티치 수가 많은 상태가 되어, 스텝2의 편성이 종료된 시점에서 후술하는 탄성 편성포부(20)와의 접합장소가 이등변 삼각형 모양으로 움푹 패인 상태가 된다. 여기에서 FB의 바늘에는 다른 코스의 스티치가 결합된 상태가 된다.
스텝3에서는, BB측에서만 되돌림 편성을 하여 발등측 편성포부(1A)를 편성한다. 이 때에 코스의 진행에 따라 BB의 바늘에 의하여 니트하지 않은 바늘을 증가시켜서 발등측 편성포부(1A)의 양단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스티치를 감소시킨다. 즉 발등측 편성포부(1A)는 중간측에서 웨일방향의 스티치가 많고 양단측으로 갈수록 웨일방향의 스티치가 적은 상태가 되어, 스텝3의 편성이 종료된 시점에서 후술하는 탄성 편성포부(20)와의 접합장소가 이등변 삼각형 모양으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 이 스텝3과 상기한 스텝2를 함으로써 다른 코스의 복수 스티치가 하측 편성포부(11)에 있어서의 탄성 편성포부(20)와의 접합장소 스티치 열이 되어, 도1에 나타나 있는 양말(1)과 같이 하측 편성포부(11)와 탄성 편성포부(20)의 경계가 발바닥측 편성포부(1B)로부터 발등측 편성포부(1A)를 향하여 비스듬하게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들 스텝2, 스텝3이 제1경사부(第一傾斜部)의 편성스텝에 상당한다.
다음의 스텝4에서는, 하측 편성포부(11)를 편성하는 베이스 실과 탄성사를 사용하여 하측 편성포부(11)에 연속하도록 고리 모양으로 편성을 함으로써 탄성 편성포부(20)를 형성한다. 탄성 편성포부(20)는 웨일방향의 스티치 수가 동일하여 동(同) 탄성 편성포부(20)의 폭이 둘레방향에 걸쳐서 균일하게 형성된다.
여기에서 탄성 편성포부(20)와의 접합장소에 있어서 하측 편성포부(11)의 스티치 열은 다른 코스의 스티치 군(stitch 群)으로 구성되고, 이들 스티치의 병렬방향(竝列方向)을 따라 탄성 편성포부(20)가 편성된다. 이 때문에 탄성 편성포부(20)의 코스방향은 하측 편성포부(11)의 코스방향과 경사진다.
상기한 스텝4에 의하여 탄성 편성포부(20)의 편성이 종료되면, 탄성사의 삽입을 중지하고, 하측 편성포부(11)와 탄성 편성포부(20)를 편성할 때에 사용한 베이스 실을 그대로 사용하여 상측 편성포부(12)의 편성을 시작한다.
도3에 나타나 있는 스텝5는 상측 편성포부(12)의 편성초기 상태를 나 타낸다. 구체적으로는, 이 스텝5에서는 발등측 편성포부(1A)에 비하여 편성폭이 작은 발바닥측 편성포부(1B)의 함몰을 메우도록, FB에 결합되는 편성포의 중앙에서부터 스티치를 증가시키는 되돌림 편성을 한다.
그리고 스텝6에서는, 발등측 편성포부(1A)와 발바닥측 편성포부(1B)의 편성폭이 동일하게 되도록 C자 모양의 되돌림 편성을 한다. 이 스텝6과 상기한 스텝5에 의하여 탄성 편성포부(20)에 연속하게 형성된 상측 편성포부(12)의 코스방향은 탄성 편성포부(20)의 코스방향과 경사져 있다. 이 스텝5, 스텝6이 제2경사부의 편성스텝에 상당한다. 그리고 상측 편성포부(12)의 코스방향은 하측 편성포부(11)의 코스방향과 평행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양말(1)의 양말목부(30)까지 통 모양으로 상측 편성포부(12)를 편성하여(스텝7 참조) 양말(1)을 완성한다. 완성된 양말(1)에 있어서, 탄성 편성포부(20)는 하측과 상측의 각 편성포부(11, 12)와는 서로 다른 둘레방향으로 효과적으로 수축(收縮)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양말(1)에 의하면, 장딴지(C)를 둘레방향으로부터 대략 균등한 힘으로 압박할 수 있도록 장딴지(C)의 요철(凹凸)을 따르는 방향으로 탄성 편성포부(20)를 형성할 수 있어, 장딴지(C) 하측의 가는 부분으로부터 장딴지(C)를 밀어올리도록 압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양말(1)은 착용감이 좋고 발(F)에 꼭 맞아 벗겨지기 어렵다. 또한 이 양말(1)에 의하면, 장딴지(C) 전체를 압박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발(F)의 혈액순환이 저해되지 않아 장시간 착용하여도 발(F)이 부어오르지 않을 뿐만 아니 라 피로하지도 않다.
(실시예1의 변형예)
실시예1의 변형예로서, 발등측 편성포부와 발바닥측 편성포부에서 탄성 편성포부가 경사지도록 방향을 변화시키는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양말을 복사뼈측에서 보았을 때에 탄성 편성포부가 산 모양으로 형성되는 양말, 즉 양말을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탄성 편성포부가 산골짜기 모양으로 형성되는 양말의 편성방법을 설명한다. 산 모양의 탄성 편성포부를 편성하기 위해서는, 도2의 스텝2에 있어서 발바닥측 편성포부(1B)와 동일하게 발등측 편성포부(1A)도 편성포의 중앙에서부터 스티치를 감소시켜서 하측 편성포부(11)를 형성한다. 그리고 실시예1과 동일하게 중앙부에서 스티치를 감소시킨 발등측 편성포부(1A)와 발바닥측 편성포부(1B)로 이루어지는 하측 편성포부(11)에 연속하여 각 웨일방향의 스티치 수가 동일한 탄성 편성포부(20)를 형성하고, 또한 탄성 편성포부(20)에 연속하여 상측 편성포부(12)를 형성한다.
다음에 양말을 복사뼈측에서 보았을 때에 탄성 편성포부가 산골짜기 모양으로 형성되는 양말, 즉 양말을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탄성 편성포부가 산 모양으로 형성되는 양말의 편성방법을 설명한다. 산골짜기 모양의 탄성 편성포부를 편성하기 위해서는, 도2의 스텝2를 하지 않고, 스텝3에서 편성한 발등측 편성포부(1A)와 동일하게 발바닥측 편성포부(1B)에서 편성포의 양단부에서부터 스티치를 감소시켜서 하측 편성포부(11)를 형성한다. 그리고 실시예1과 동일하게 형성된 하측 편성포부(11)에 연속하여 탄성 편성포부(20)를 형성하고, 또한 탄성 편성포부(20)에 연속하여 상측 편성포부(12)를 형성한다.
(실시예2)
실시예2에서는, 도1에 나타나 있는 양말(1)에 있어서 하측 편성포부(11)와 탄성 편성포부(20)의 사이 및 탄성 편성포부(20)와 상측 편성포부(12)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단차(段差)를 완화시킬 수 있는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설명한다.
도4는 본 실시예의 양말(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A)는 양말(1)의 평면도이고, 도4(B)는 양말(1)을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또 도1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며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양말(1)은, 탄성 편성포부(21)의 위치에 있어서 발등측 편성포부(1A)의 중간부와 발바닥측 편성포부(1B)의 중간부에 평탄부(平坦部)(210)를 구비한다. 이 평탄부(210)는 하측 편성포부(11)의 코스방향과 대략 평행한 부분이다. 이 평탄부(210)에 의하여 양말(1)을 정면 또는 배면에서 보았을 때에 탄성 편성포부(21)에 예각(銳角)의 각(角)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하여 탄성 편성포부(21)를 따르는 라인(line)을 매끄럽게 할 수 있다. 또한 탄성 편성포부(21)에 있어서 평탄부(210)의 위치에 있는 편성포부 가 평탄부(210) 이외의 위치에 있는 편성포부를 잡아당겨서, 양말(1)의 탄성 편성포부(21)를 삽입하는 하측 편성포부(11)와 상측 편성포부(12)의 윤곽에서 발생하는 단차를 완화시킬 수 있다.
도5에 이 실시예의 탄성 편성포부(21)에 대한 편성방법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실시예1과의 주된 차이점은, 하측 편성포부가 탄성 편성포부와 접합되는 장소에 있어서의 스티치 열 및 상측 편성포부가 탄성 편성포부와 접합되는 장소에 있어서의 스티치 열에 대한 형성순서이다.
즉 스텝2에서는, 발바닥측 편성포부(1B)의 중간 일부분(FB에 결합되는 스티치의 중간부)을 니트하지 않도록 C자 모양의 되돌림 편성을 하여 발바닥측 편성포부(1B)의 양단측과 발등측 편성포부(1A)의 스티치를 형성한다. 그리고 코스의 편성이 진행됨에 따라 FB의 중앙측에서부터 순차적으로 니트하지 않은 바늘을 증가시켜서, 최종적으로 FB의 바늘에서는 니트하지 않은 상태가 된다. 이 스텝2에 의하여 발바닥측 편성포부(1B)의 중앙부에 역사다리꼴 모양의 함몰이 형성된다.
다음의 스텝3에서는, BB에 있어서 되돌림 편성에 의하여 발등측 편성포부(1A)의 중앙부 스티치를 증가시켜서 하측 편성포부(11)를 완성한다. 이 스텝3에서도, 코스의 진행에 따라 BB의 바늘에 의하여 니트하지 않은 바늘을 발등측 편성포부(1A)의 양단측에서부터 증가시켜서 발등측 편성포부(1A)가 사다리꼴 모양으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 이들 스텝2, 스텝3에 의하여 각 편성포부(1A, 1B)의 중간부에 있어서 동일 코스의 스티치가 병렬된 장 소가 양말(1)의 평탄부(210)가 된다. 계속하여 스텝4에서, 하측 편성포부(11)에 연속하여 각 웨일방향의 스티치 수가 동일한 탄성 편성포부(21)를 통 모양으로 편성한다.
그 후에 스텝5, 스텝6에 있어서, 순차적으로 발바닥측 편성포부(1B)의 되돌림 편성과 발등측 편성포부(1A)의 되돌림 편성을 하여, 스텝1로부터 계산한 각 편성포부(1B, 1A)의 코스 수가 동일하게 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양말목부(30)(도4 참조)까지 통 모양으로 상측 편성포부(12)를 편성하여(스텝7) 양말(1)을 완성한다.
또 평탄부(210)의 형성은 FB 및 BB에 결합되는 편성포의 측단부(側端部)에서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 상기한 스텝2와 스텝3에서, 발등측 편성포부(1A)와 발바닥측 편성포부(1B)의 편성폭 방향 양단부(兩端部)에서 스티치를 감소시키지 않도록 하면 좋다.
본 실시예의 양말(1)은, 탄성 편성포부(21)의 근방에서 상측 편성포부(12)와 하측 편성포부(11) 사이에 평탄부(210)가 형성됨으로써, 탄성 편성포부(21)에 예각의 각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하여 탄성 편성포부(21)를 따르는 라인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1에서 탄성 편성포부 근방의 양말 윤곽에 발생하였던 단차를 완화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양말(1)의 실루엣(silhouette)은 실시예1의 양말보다 통상의 양말 실루엣에 가깝게 될 수 있다.
한편 이 양말(1)을 착용하였을 경우에, 도4(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1의 양말과 착용상태는 변하지 않으며 그 착용감도 실시예1의 양말과 거의 동일하다.
(실시예3)
실시예3에서는, 2개의 탄성 편성포부를 근접하도록 형성한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도6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스텝1에서는,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1과 동일하게 하측 편성포부(11)의 일부를 통 모양으로 편성한다.
다음에 스텝2에서, FB와 BB에 있어서 C자 모양의 되돌림 편성을 하여 발등측 편성포부 및 발바닥측 편성포부(1B)가 직각삼각형 모양으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 이 스텝2에서는, 각 편성포부(1A, 1B)의 양단측에 있어서 동일한 코스에 스티치가 나란한 평탄부를 형성하고 있어, 완성된 양말의 실루엣에 단차가 발생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다음의 스텝3에서는, 스텝2에서 형성한 하측 편성포부(11)에 연속하여 탄성 편성포부(22)를 고리 모양으로 형성한다.
또한 스텝4, 스텝5에서, 탄성 편성포부(22)에 연속되는 중간 편성포부(中間 編成布部)(13)를 C자 모양으로 편성한다. 중간 편성포부(13)는 다이아몬드(diamond) 형상이며 도면과 같이 발바닥측 편성포부(1B)에서 보면 이등변 삼각형 모양을 하고 있다. 다만 탄성 편성포부(22)의 일단(一端)(지면 우측)에서는 중간 편성포부(13)를 형성하지 않도록 하여, 다음의 스텝6에서 편성하는 탄성 편성포부(23)의 일부와 스텝3에서 편성한 탄성 편성포부(22)의 일 부가 접합된 상태가 된다.
계속되는 스텝6에서는, 중간 편성포부(13)와 탄성 편성포부(22)의 일단에 연속하여 탄성 편성포부(23)를 통 모양으로 편성한다.
마지막으로 스텝7에서, 탄성 편성포부(23)에 연속하는 상측 편성포부(12)를 C자 모양으로 되돌림 편성하여 탄성 편성포부(23)의 지면 좌측의 코스와 상측 편성포부(12)의 코스가 맞추어진 상태가 되면, 통 모양의 편성으로 바꾸어서 양말목부까지 편성을 하여 양말을 완성한다.
본 실시예의 편성방법에 의하면, 예를 들면 양말을 발등측에서 보았을 때에 양말의 축(軸)과 경사지게 연장되는 탄성 편성포부로 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편성포부는, 예를 들면 양말을 착용하였을 때에 발바닥의 장심(掌心)에 상당하는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발바닥의 장심을 효율적으로 압박할 수 있다.
(실시예4)
상기 실시예에서는 탄성 편성포부의 코스가 양쪽 경사부의 코스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루어진 양말을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 편성포부의 코스가 제1경사부·제2경사부의 적어도 일방의 코스와 평행하게 이루어진 양말을 설명한다.
도7(A)는 제1경사부, 탄성 편성포부 및 제2경사부의 각 코스가 모두 평행하게 이루어진 양말(1)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양말(1)의 편성방법을 도8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각 경사부를 형성하 는 되돌림 편성 자체의 방법은 이미 설명한 다른 실시예와 동일하게 하면 되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방법에서는 우선 스텝1에서, 제1베이스 편성포부의 제1통 모양부(11t)를 편성한다. 다음에 스텝2에서, 제1통 모양부(11t)의 편성폭 일단에서부터 순차적으로 편성폭이 증가하도록 되돌림 편성을 하여 제1경사부(11s)를 편성한다. 이 편성에 의하여 제1통 모양부(11t)의 개구(開口) 가장자리에 도8에 있어서의 제1경사부(11s)의 좌측 빗변이 접합된다. 그리고 제1경사부(11s)는 그 개구부와 동일한 코스의 스티치가 병렬된다. 또 본 예에서는, 통 모양 편성포의 마무리 상태를 좋게 하기 위하여 제1경사부(11s)에 있어서 도면 우측의 되돌림 단(端)을, 제1통 모양부(11t)에 있어서 편성폭 방향 우측의 단부(端部)보다 더 우측으로 돌출된 장소로 조정하였다. 이러한 편성방법에 대한 생각은, 후술하는 제2경사부(12s)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다음에 스텝3에서 탄성 편성포부(20)를 고리 모양으로 편성한다. 계속하여 탄성 편성포부(20)의 개구 가장자리의 편성포에, 순차적으로 편성폭이 감소하도록 되돌림 편성을 하여 제2경사부(12s)를 형성한다. 이 편성에 의하여 탄성 편성포부(20)의 개구 가장자리에 도8에 있어서의 제2경사부(12s)의 우측 빗변이 접합된다. 이 때에 제2경사부(12s)에 있어서 탄성 편성포부(20)와의 접합장소에는 동일코스의 스티치가 병렬된다. 그리고 스텝5에서 제2경사부(12s)에 연속하여 제2베이스 편성포부의 제2통 모양부(12t)를 편성한다.
이 편성방법에 의하면, 양쪽 통 모양부(11t, 12t)에서는 각각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코스를 구비하고, 각 경사부(11s, 12s) 및 탄성 편성포부(20)에서는 상기 축방향과 경사지는 방향의 코스를 구비한 통 모양 편성포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탄성 편성포부(20)를 그 둘레방향을 따라 수축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경사부(11s)의 편성은 편성의 진행에 따라 편성폭이 증감(增減)의 일방(一方)으로 변화를 하도록 되돌림 편성을 하고, 제2경사부(12s)의 편성은 편성의 진행에 따라 편성폭이 제1경사부(11s)를 편성하였을 경우와는 역(逆)의 증감 변화를 하도록 되돌림 편성을 하였지만, 제1경사부(11s)의 편성은 편성의 진행에 따라 편성폭이 증감의 일방으로 변화를 하도록 되돌림 편성을 하고, 제2경사부(12s)의 편성은 편성의 진행에 따라 편성폭이 제1경사부(11s)를 편성하였을 경우와는 동일한 증감 변화를 하도록 되돌림 편성을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도7(B)에 나타나 있는 양말(1)은, 제1경사부(11s)를 편성할 때에 순차적으로 편성폭이 증가하도록 되돌림 편성을 하였고, 제2경사부(12s)를 편성할 때에도 순차적으로 편성폭이 증가하도록 되돌림 편성을 하였다.
또한 도7(C)에 나타나 있는 양말(1)에서는, 제1경사부(11s)를 편성할 때에 순차적으로 편성폭이 감소하도록 되돌림 편성을 하였고, 제2경사부(12s)를 편성할 때에도 순차적으로 편성폭이 감소하도록 되돌림 편성을 하였다.
도7(B), 도7(C)의 모든 양말(1)은 탄성 편성포부(20)를 그 둘레방향을 따라 수축시킬 수 있다.
또 이상의 각 실시예에서는 양말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통 모양 편성포는 장갑(gloves), 스웨터(sweater), 바지(trousers) 등의 옷이어도 좋다. 이 이외에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되는 횡편기로서 4베드의 횡편기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통 모양 편성포에 의하면, 탄성 편성포부와 그 이외의 편성포부의 둘레방향이 서로 다르고 또한 이 탄성 편성포부가 그 둘레방향으로 수축하는 통 모양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피트감(fit 感)이 높은 양말이나 서포터(supporter)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은, 본 발명의 통 모양 편성포를 편성하는 데에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Claims (5)

  1.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전후방향으로 대향(對向)하는 적어도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를 구비하는 횡편기(橫編機)를 사용하여, 고리 모양의 탄성 편성포부(彈性 編成布部)와, 탄성 편성포부에 있어서 축방향 일단측(一端側)의 스티치 열(stitch 列)에 접합되는 제1베이스 편성포부(first base 編成布部)와, 탄성 편성포부에 있어서 축방향 타단측(他端側)의 스티치 열에 접합되는 제2베이스 편성포부를 구비하는 통(筒) 모양 편성포를 편성하는 방법으로서,
    제1베이스 편성포부를 편성하는 과정에서, 편성의 진행에 따라 편성폭(編成幅)이 변화하도록 되돌림 편성(flechage knitting)을 하여 제1경사부(第一傾斜部)를 편성하는 스텝과,
    제1경사부의 개구(開口) 가장자리에 나란한 스티치 열에 연속하여 고리 모양으로 탄성 편성포부를 편성하는 스텝과,
    탄성 편성포부의 개구 가장자리에 나란한 스티치 열에 연속하여 제2베이스 편성포부를 편성하는 과정을 하고, 그 과정에서 편성의 진행에 따라 편성폭이 변화하도록 되돌림 편성을 하여 제2경사부를 편성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1경사부의 개구 가장자리에 나란한 스티치 열 및 탄성 편성포부에 접합되는 제2경사부의 스티치 열 중 적어도 일방(一方)은, 다른 코스의 스티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제1경사부의 개구 가장자리에 나란한 스티치 열 및 탄성 편성포부에 접합되는 제2경사부의 스티치 열 중 적어도 일방은, 동일한 코스의 스티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4.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전후방향으로 대향하는 적어도 한 쌍의 니들베드를 구비하는 횡편기를 사용하여 편성되는 통 모양 편성포로서,
    이 통 모양 편성포의 축방향과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되는 고리 모양의 탄성 편성포부와,
    탄성 편성포부의 축방향 일단측에 나란한 스티치 열에 접합되는 제1베이스 편성포부와,
    탄성 편성포부의 축방향 타단측에 나란한 스티치 열에 접합되는 제2베이스 편성포부를
    구비하고,
    이 탄성 편성포부는, 탄성 편성포부의 둘레방향을 따르는 코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 모양 편성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양쪽 베이스 편성포부 중 적어도 일방은, 탄성 편성포부의 둘레방향과 평행하지 않은 코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 모양 편성포.
KR1020097022468A 2007-05-01 2008-04-25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과 통 모양 편성포 KR1013879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21308 2007-05-01
JPJP-P-2007-121308 2007-05-01
PCT/JP2008/001094 WO2008136186A1 (ja) 2007-05-01 2008-04-25 筒状編地の編成方法と筒状編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5961A true KR20100015961A (ko) 2010-02-12
KR101387957B1 KR101387957B1 (ko) 2014-04-22

Family

ID=39943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2468A KR101387957B1 (ko) 2007-05-01 2008-04-25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과 통 모양 편성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157220B1 (ko)
JP (1) JP5306998B2 (ko)
KR (1) KR101387957B1 (ko)
CN (1) CN101680139B (ko)
WO (1) WO200813618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6782B1 (ko) * 2011-04-13 2013-08-14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통모양 편성포 및 그 편성방법
KR20150095192A (ko) * 2014-02-12 2015-08-20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10790B2 (ja) * 2012-02-15 2016-10-19 岡本株式会社 度目調整した編み製品
JP6106865B2 (ja) * 2012-02-15 2017-04-05 岡本株式会社 パイル長を変化させた編地、これを備えたニット製品及び靴下
JP5995535B2 (ja) * 2012-06-01 2016-09-21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編成方法
BR112015000643A2 (pt) 2012-07-17 2017-06-27 Shima Seiki Mfg cabedal de sapato e método para produzir o cabe-dal de sapato
US9661892B2 (en) * 2014-07-29 2017-05-30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n upper with a shifted knit structure
FR3033577B1 (fr) * 2015-03-09 2017-04-07 Simp Soc Ind De Materiel Paramedical Methode de fabrication d'un tricot a mailles cueillies, tricot a mailles cueillies et article incluant un tel tricot
JP6516563B2 (ja) * 2015-05-26 2019-05-22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シューズアッパーの編成方法
CN107614768B (zh) * 2016-03-11 2019-10-18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用于鞋类物品的具有沿口的鞋面及其制作方法
JP7045029B1 (ja) * 2021-09-07 2022-03-31 公立大学法人奈良県立医科大学 矯正手袋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02656A (en) * 1983-07-29 1992-04-07 The Mennen Company Antiperspirant creams
GB8609865D0 (en) * 1986-04-23 1986-05-29 Courtaulds Plc Composite articles
US5103656A (en) * 1990-03-27 1992-04-14 Nk Mills, Inc. Split-heel sock
JPH0651921B2 (ja) * 1990-06-20 1994-07-06 株式会社ワコール テーピング機能を有する下腿部用サポーターまたはストッキング
JPH0651921A (ja) 1992-01-14 1994-02-25 Mitsubishi Electric Corp 赤外線撮像装置
JPH11100756A (ja) * 1997-09-22 1999-04-13 Hoshino Kikaku:Kk 筒状編地及びその編成方法
JP3877845B2 (ja) 1997-10-21 2007-02-07 有限会社 中澤研究室 ソックス
JP4025453B2 (ja) * 1999-03-12 2007-12-19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によるニットウエア編成方法
TW479084B (en) * 2000-02-17 2002-03-11 Shima Seiki Mfg Method of knitting stripe pattern of tubular knitting fabric and the knitting fabric
JP2003013343A (ja) * 2001-07-02 2003-01-15 Hiroshi Setsukawa 横編機における給糸装置、縞柄を有する筒状編地及びその編成方法
JP4353765B2 (ja) * 2003-10-10 2009-10-2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突起部を有する筒状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突起部を有する筒状編地。
JP2006291439A (ja) * 2005-03-15 2006-10-26 Shima Seiki Mfg Ltd 立体的な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編み製品
JP4437246B2 (ja) * 2005-05-06 2010-03-24 サン エース株式会社 テーピング効果を有するニット製肌着、靴下、ふくらはぎサポータ、スパッツ、タイツ類とその製造方法
JP2007146337A (ja) * 2005-11-29 2007-06-14 Iida Kutsushita Kk 衣服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6782B1 (ko) * 2011-04-13 2013-08-14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통모양 편성포 및 그 편성방법
KR20150095192A (ko) * 2014-02-12 2015-08-20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80139A (zh) 2010-03-24
EP2157220A1 (en) 2010-02-24
JPWO2008136186A1 (ja) 2010-07-29
WO2008136186A1 (ja) 2008-11-13
KR101387957B1 (ko) 2014-04-22
JP5306998B2 (ja) 2013-10-02
CN101680139B (zh) 2012-11-07
EP2157220A4 (en) 2011-07-20
EP2157220B1 (en) 2015-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7957B1 (ko)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과 통 모양 편성포
JP6516563B2 (ja) シューズアッパーの編成方法
JP2012219421A (ja) 筒状編地およびその編成方法
EP0964091A2 (en) Stocking, particularly of the pantyhose type, with shaping effect for slender and straight legs
US6935141B2 (en) Sock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ocks
JP2015089973A (ja) 歩行補正靴下
JP2018119246A (ja) フットカバー
JP7007511B1 (ja) 靴下
JP3208596U (ja) 靴下
JP6171130B2 (ja) 靴下
KR20090065441A (ko) 손가락부가 있는 편성포 및 그 편성방법
AU2018424469A1 (en) Containing fabric, garments comprising such fabric, and related production methods
JP7373839B2 (ja) 筒編繊維製品
JP3224370U (ja) ソックス
JP5346877B2 (ja) 部分的に締め込み部を形成した筒状編地およびその編成方法
JP2006348428A (ja) 靴下の編成方法
CN100355969C (zh) 有袜跟及袜趾的提花袜的编织方法
CN217644627U (zh) 袜子
JP2018154940A (ja) 靴下およびその靴下の編成方法
JP2018059226A (ja) ソックス
JP3068097B1 (ja) 靴 下
JP7105462B1 (ja) 足被覆具
JP3015037U (ja) 靴 下
JP6920696B2 (ja) くつ下及びくつ下製造方法
KR100923413B1 (ko) 환편기에서 편성되는 발가락양말과 그의 편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