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5710A - P70 s6 키나제 억제제 - Google Patents

P70 s6 키나제 억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5710A
KR20100005710A KR1020097023455A KR20097023455A KR20100005710A KR 20100005710 A KR20100005710 A KR 20100005710A KR 1020097023455 A KR1020097023455 A KR 1020097023455A KR 20097023455 A KR20097023455 A KR 20097023455A KR 20100005710 A KR20100005710 A KR 201000057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enyl
mmol
trifluoromethyl
compound
equiv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3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8219B1 (ko
Inventor
로버트 딘 달리
지안핑 후앙
사잔 죠셉
티모시 알란 세퍼드
크리스티안 엘. 홀스트
Original Assignee
일라이 릴리 앤드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라이 릴리 앤드 캄파니 filed Critical 일라이 릴리 앤드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100005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8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82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8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 C07D48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87/04Ortho-condens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35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3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the heterocyclic ring system containing a five-membered ring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indolizine, beta-carbo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4Vasoprotectives; Antihaemorrhoidals; Drugs for varicose therapy; Capillary stabilis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p70 S6 키나제 억제제, 이를 포함하는 제약 제제, 및 이의 사용 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I>
Figure 112009068972476-PCT00057
p70 S6 키나제 억제제, 혈관신생, 결장의 선암종

Description

P70 S6 키나제 억제제 {P70 S6 KINASE INHIBITORS}
p70 S6 키나제는 포스파티딜이노시톨 3 키나제 (PI3K)/AKT/포유류 라파마이신의 표적 (mTOR) 신호전달 경로의 하류 작동자(effector)이며, p70 S6 키나제는 통상적으로 다수의 인간 고형 종양에서 활성화된다. p70 S6 키나제 활성은 분열유발성 자극에 대해 리보솜 생물발생, 세포 성장 및 세포주기 진행을 조절한다. 이에 따라, p70 S6 키나제 활성의 억제는 리보솜 생물발생, 선택적 단백질의 합성, 세포 성장 및 세포주기 진행을 차단할 것이다. 따라서, p70 S6 키나제에 대한 역할은 종양 세포 증식 및 아폽토시스(apoptosis)로부터의 세포의 보호에서 존재한다. 추가로, p70 S6 키나제 억제제는 감염, 염증 및 종양 형성뿐만 아니라 대사 질환 및 장애를 치료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WO 2005/117909, WO 2006/071819, WO 2006/046024, WO 2007/125321 및 WO 2008/012635). 놀랍게도, 본 발명은 p70 S6 키나제 활성을 억제하는 효능적인 화합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특정 화합물은 고도로 생체이용가능하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Figure 112009068972476-PCT00001
식 중,
Y는 N 또는 CR6이고;
Z1 및 Z2는 독립적으로 CR3 또는 N이되, 단, Z1 및 Z2는 둘 다 N은 아니고;
R1은 H 또는 C1-C4 알킬이고;
R2는 C1-C4 알킬옥시, 시아노, NO2, 할로, 트리플루오로메틸 및 트리플루오로메톡시로부터 선택된 제1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추가로 할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2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된 페닐이고;
R3은 수소, 할로, C1-C4 알킬 또는 C3-C6 시클로알킬이거나, 또는 히드록시로 임의로 치환된 C2-C6 알키닐이고;
R4 및 R5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4 알킬이고;
R6은 수소 또는 히드록시이다.
본 발명은 또한,
Y가 N 또는 CR6이고;
Z1 및 Z2가 독립적으로 CR3 또는 N이되, 단, Z1 및 Z2가 둘 다 N은 아니고;
R1이 H 또는 C1-C4 알킬이고;
R2가 C1-C4 알킬옥시, 시아노, NO2, 할로, 트리플루오로메틸 및 트리플루오로메톡시로부터 선택된 제1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추가로 할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2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된 페닐이고;
R3이 수소, 할로 또는 C3-C6 시클로알킬이고;
R4 및 R5가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4 알킬이고;
R6이 수소 또는 히드록시인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유효량의 화학식 I 또는 IA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p70 S6 키나제의 억제가 필요한 포유동물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포유동물에서 p70 S6 키나제의 억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혈관신생의 억제가 필요한 포유동물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포유동물에서 혈관신생의 억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결장의 선암종의 치료가 필요한 포유동물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포유동물에서 결장의 선암종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비-소세포 폐암의 치료가 필요한 포유동물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포유동물에서 비-소세포 폐암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다형성 아교모세포종의 치료가 필요한 포유동물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포유동물에서 다형성 아교모세포종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추가로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난소 암종의 치료가 필요한 포유동물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포유동물에서 난소 암종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추가로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백혈병의 치료가 필요한 포유동물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포유동물에서 백혈병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추가로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췌장 암종의 치료가 필요한 포유동물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포유동물에서 췌장 암종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추가로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전립선암의 치료가 필요한 포유동물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포유 동물에서 전립선암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추가로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유방 암종의 치료가 필요한 포유동물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포유동물에서 유방 암종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림프관평활근종증의 치료가 필요한 포유동물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포유동물에서 림프관평활근종증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와 조합하여 포함하는 제약 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p70 S6 키나제 억제용 약제 제조를 위한, 화학식 I 또는 IA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의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포유동물에서의 p70 S6 키나제의 억제에서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추가로,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1종 이상의 제약상 허용되는 부형제, 담체 또는 희석제와 조합하여 포함하는, p70 S6 키나제를 억제하는데 적합한 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혈관신생 억제용 약제 제조를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의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포유동물에서의 혈관신생의 억제에서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추가로,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1종 이상의 제약상 허용되는 부형제, 담체 또는 희석제와 조합하여 포함하는, 혈관신생을 억제하는데 적합한 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결장의 선암종의 치료용 약제 제조를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의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포유동물에서의 결장의 선암종의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추가로,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1종 이상의 제약상 허용되는 부형제, 담체 또는 희석제와 조합하여 포함하는, 결장의 선암종을 치료하는데 적합한 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비-소세포 폐암의 치료용 약제 제조를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의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포유동물에서의 비-소세포 폐암의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추가로,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1종 이상의 제약상 허용되는 부형제, 담체 또는 희석제와 조합하여 포함하는, 비-소세포 폐암을 치료하는데 적합한 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다형성 아교모세포종의 치료용 약제 제조를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의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포유동물에서의 다형성 아교모세포종의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추가로,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1종 이상의 제약상 허용되는 부형제, 담체 또는 희석제와 조합하여 포함하는, 다형성 아교모세포종을 치료하는데 적합한 제약 조성 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난소 암종의 치료용 약제 제조를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의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포유동물에서의 난소 암종의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추가로,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1종 이상의 제약상 허용되는 부형제, 담체 또는 희석제와 조합하여 포함하는, 난소 암종을 치료하는데 적합한 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백혈병의 치료용 약제 제조를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의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포유동물에서의 백혈병의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추가로,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1종 이상의 제약상 허용되는 부형제, 담체 또는 희석제와 조합하여 포함하는, 백혈병을 치료하는데 적합한 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췌장 암종의 치료용 약제 제조를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의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포유동물에서의 췌장 암종의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추가로,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1종 이상의 제약상 허용되는 부형제, 담체 또는 희석제와 조합하여 포함하는, 췌장 암종을 치료하는데 적합한 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전립선암의 치료용 약제 제조를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 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의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포유동물에서의 전립선암의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추가로,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1종 이상의 제약상 허용되는 부형제, 담체 또는 희석제와 조합하여 포함하는, 전립선암을 치료하는데 적합한 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유방 암종의 치료용 약제 제조를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의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포유동물에서의 유방 암종의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추가로,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1종 이상의 제약상 허용되는 부형제, 담체 또는 희석제와 조합하여 포함하는, 유방 암종을 치료하는데 적합한 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림프관평활근종증의 치료용 약제 제조를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의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포유동물에서의 림프관평활근종증의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추가로,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1종 이상의 제약상 허용되는 부형제, 담체 또는 희석제와 조합하여 포함하는, 림프관평활근종증을 치료하는데 적합한 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치료법에서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상기 화학식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화학 용어는 통상의 의미를 갖는다. 예를 들어, 용어 "C1-C4 알킬"은 1개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1가의 포화된 직쇄 또는 분지형 지방족 쇄, 예를 들어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및 t-부틸 등을 지칭한다. 마찬가지로, 용어 "C1-C3 알킬"은 메틸, 에틸 및 이소프로필 등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C1-C4 알콕시"는 1개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산소 원자에 부착된 직쇄 또는 분지형 알킬 쇄를 지칭한다. 통상적인 C1-C4 알콕시기는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부톡시, tert-부톡시 등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할로"는 본원에서 달리 명시되지 않는다면, 염소, 브롬, 요오드 또는 불소 원자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C3-C6 시클로알킬"은 탄소 및 수소 원자를 포함하는 완전히 포화된 고리를 의미하며, 시클로프로필 및 시클로부틸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C2-C6 알키닐"은 2개 내지 6개의 탄소 원자 및 1개의 삼중 결합을 갖는 직쇄 또는 분지형 알키닐 쇄이며, 이는 에티닐, 프로피닐, 부티닐, 펜티닐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염기이므로 임의의 다수의 유기 및 무기 산과 반응하여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형성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화학식 I 또는 IA의 화합물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제약상 허용되는 염"은 살아있는 유기체에 대해 실질적으로 무독성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염을 지칭한다. 이러한 염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문헌 [Journal of Pharmaceutical Science, 66, 2-19 (1977)]에 열거된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포함한다. 히드로클로라이드, 메실레이트 및 토실레이트 (p-톨루엔 술포네이트라고도 알려져 있음) 염이 바람직한 염이다. 히드로클로라이드 및 토실레이트 염이 가장 바람직하다.
일부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키랄 중심을 가지며, 다양한 입체이성질체 배열로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키랄 중심의 결과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라세미체, 거울상이성질체의 혼합물 및 개별적 거울상이성질체뿐만 아니라 개별적 부분입체이성질체 및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로 존재한다. 이러한 모든 라세미체, 거울상이성질체 및 부분입체이성질체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의 특정 입체이성질체 및 거울상이성질체는 익히 공지된 기술 및 방법, 예컨대 문헌 [J. Jacques, et al., "Enantiomers, Racemates, and Resolutions", John Wiley and Sons, Inc., 1981] 및 [E.L. Eliel and S.H. Wilen, "Stereochemistry of Organic Compounds", (Wiley-Interscience 1994)], 및 1998년 4월 29일에 공개된 유럽 특허 출원 제EP-A-838448호에 개시된 것을 이용하여 당업자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분할의 예로는 재결정화 기술 또는 키랄 크로마토그래피가 포함된다.
당업자는 또한 R1이 수소이거나 또는 Z1 또는 Z2가 N인 경우에 화학식 I의 화합물이 호변이성질체로서 존재할 수 있음을 인지할 것이다. 호변이성질체가 구조적으로 상이할지라도, 당업자는 이들이 평형 상태로 존재하고 통상의 조건 하에서 쉽고 빠르게 상호전환할 수 있음을 인지할 것이다 (문헌 [March, Advanced Organic Chemistry, Third Edition, Wiley Interscience, New York, New York (1985), pages 66-70]; 및 [Allinger, Organic Chemistry, Second Edition, Worth Publishers, New York, New York, (1976), page 173] 참조). 이에 따라, 단일 호변이성질체 형태의 대표적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호변이성질체 형태 각각 및 이들의 혼합물 모두를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R1이 수소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의 1H-이미다졸 또는 3H-이미다졸로의 명명은 2개의 호변이성질체 형태로 간주된다.
특정 부류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바람직한 p70 S6 키나제 억제제이다. 하기 단락은 이러한 바람직한 부류를 기재한다:
a) Y가 CR6임;
b) Y가 CH임;
c) R1이 H임;
d) R1이 CH3임;
e) Z1이 CR3임;
f) Z1이 CH임;
g) Z2가 N임;
h) R2가 할로 및 트리플루오로메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1 치환기로 치환되고, 추가로 할로인 제2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된 페닐임;
i) R2가 할로 및 트리플루오로메틸로부터 선택된 제1 치환기로 치환되고, 추가로 할로인 제2 치환기로 치환된 페닐임;
j) R2가 할로 및 트리플루오로메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1 치환기로 3 또는 4 위치에서 치환되고, 추가로 할로인 제2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된 페닐임;
k) R2가 할로 및 트리플루오로메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1 치환기로 3 또는 4 위치에서 치환되고, 추가로 할로인 제2 치환기로 치환된 페닐임;
l) R2가 할로 및 트리플루오로메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1 치환기로 3 위치에서 치환되고, 추가로 할로인 제2 치환기로 4 위치에서 임의로 치환된 페닐임;
m) R5가 H임;
n) 화학식 I의 화합물이 유리 염기임;
o) 화학식 I의 화합물이 염임;
p) 화학식 I의 화합물이 히드로클로라이드 염임;
q) 화학식 I의 화합물이 토실레이트 염임.
다른 바람직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Y가 CR6이고, R1이 H 또는 CH3인 화합물이다. 추가의 바람직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Y가 CR6이고; R1이 H 또는 CH3이고; R2가 할로 및 트리플루오로메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1 치환기로 치환되고, 추가로 할로인 제2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된 페닐인 화합물이다.
바람직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또한 Y가 CR6이고; R1이 H 또는 CH3이고; R2가 할로 및 트리플루오로메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1 치환기로 치환되고, 추가로 할로인 제2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된 페닐이고; R5가 H이고; Z1이 CR3이고; Z2가 N인 화합물을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Y가 CH이고; R1이 H 또는 CH3이고; R2가 할로 및 트리플루오로메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1 치환기로 치환되고, 추가로 할로인 제2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된 페닐이고; R5가 H이고; Z1이 CH이고; Z2가 N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Y가 CH이고; R1이 H 또는 CH3이고; R2가 할로 및 트리플루오로메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1 치환기로 치환되고, 추가로 할로인 제2 치환기로 치환된 페닐이고; R5가 H이고; Z1이 CH이고; Z2가 N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이다.
보다 바람직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Y가 CH이고; R1이 H 또는 CH3이고; R2가 할로 및 트리플루오로메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1 치환기로 3 위치에서 치환되고, 추가로 할로인 제2 치환기로 4 위치에서 임의로 치환된 페닐이고; R5가 H이고; Z1이 CH이고; Z2가 N인 화합물이다.
또한, 보다 바람직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Y가 CH이고; R1이 H 또는 CH3이고; R2가 할로 및 트리플루오로메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1 치환기로 3 위치에서 치환되고, 추가로 할로인 제2 치환기로 4 위치에서 치환된 페닐이고; R5가 H이고; Z1이 CH이고; Z2가 N인 화합물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Y가 CH이고, Z1이 CH이고, Z2가 N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이다.
하기와 같은 4-{4-[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이 특히 가장 바람직하다:
Figure 112009068972476-PCT00002
.
또한, 하기와 같은 4-{4-[4-(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메틸-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이 특히 가장 바람직하다:
Figure 112009068972476-PCT00003
.
화학식 I의 화합물은 p70 S6 키나제의 억제제이며, 따라서, 포유동물의 대사 질환 및 장애, 예컨대 비만증, 당뇨병, 대사 증후군, 인슐린 내성, 고혈당증, 과아미노산혈증 및 고지혈증, 및 증식 장애, 특히 다형성 아교모세포종, 결장직장암, 간세포성 암, 폐암, 유방암, 난소암 및 신세포 암종의 치료에서 유용하다. 또한, p70 S6 키나제 경로는 양성 종양의 세포, 예컨대 림프관평활근종증 (LAM)과 관련된 것에서 활성화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문헌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77:34, 30958-30967 (2002)] 및 [Modern Pathology 19, 839-846 (2006)]을 참조한다. 따라서, p70 S6 키나제 억제제는 또한 LAM을 치료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 p70 S6 키나제 억제제는 또한 포유동물에서 유용한 혈관신생 억제제이다. 바람직하게는, 치료될 포유동물은 인간이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당업계에서 인지되는 기술 및 절차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 방법 및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할 수 있다. 당업자는 하기 반응식의 각각의 단계가 화학식 I 또는 IA의 화합물을 제공하기 위해 변경될 수 있음을 인지할 것이다. 시약 및 출발 물질은 당업자가 손쉽게 입수가능하다. 달리 제시되지 않는다면, 모든 치환기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다. 몇몇 치환기는 명료성을 위해 하기 반응식에서 삭제된 것이지, 어떠한 방식으로든 반응식의 교시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조할 수 있다:
Figure 112009068972476-PCT00004
(식 중, R1, R2, R4, R5, Z1, Z2 및 Y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고, L은 할로와 같은 적합한 이탈기임).
화학식 (a)의 치환된 피라졸로피리미딘 (또는 퓨린 또는 피롤로피리미딘) 화합물을 화학식 (b)의 치환된 피페라진 또는 피페리딘과 반응시켜 화학식 I 또는 IA의 화합물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적합한 용매 (예컨대, 프로판올 또는 이소프로필 알콜) 중 화학식 (a)의 화합물, 피페라진 (b) 및 적합한 염기 (예컨대, 트리에 틸아민,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또는 N-메틸모르폴린)의 용액을 약 70℃ 내지 100℃로 가열하여 화학식 I 또는 IA의 화합물을 제공한 다음 이를 단리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 당업계에 익히 공지된 기술, 예컨대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정제할 수 있다.
화학식 (a)의 화합물은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거나, 또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으로 합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Z1이 CR3이고, Z2가 N인 화학식 (a)의 화합물은 알로퓨리놀로부터 포스포릴 클로라이드와 같은 염소화제와의 반응 및 약 80℃ 내지 90℃로의 가열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추가로, 화학식 (a)의 화합물은 필요한 경우, 당업계에 익히 공지된 조건하에 치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Z1 또는 Z2가 CR3인 화학식 (a)의 화합물은 적합한 용매 또는 적합한 용매들의 혼합물, 예컨대 아세토니트릴 및 아세트산 중에서 적절한 플루오르화제, 예컨대 [1-(클로로메틸)-4-플루오로-1,4-디아조니아바이시클로[2.2.2]옥탄비스(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에 노출시킴으로써 플루오르화된다. 또한, R3이 알킬 또는 시클로알킬인 화학식 (a)의 화합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합성된다. 예를 들어, 디클로로피리미딘을 냉각된 온도의 THF와 같은 용매 중에서 LDA와 같은 강염기의 존재하에 시클로프로판 카르브알데히드와 반응시켜 필요한 알콜을 생성한다. 적합한 용매, 예컨대 아세톤에서 0℃에서 산화크롬(VI)의 존재하에 산화시켜 필요한 케톤을 제공한 다음, 이를 실온에서 적합한 용매, 예컨대 THF 중에서 히드라진 수화물과 반응시켜 시클로알킬 -치환된 화학식 (a)의 피라졸로피리미딘 화합물을 제공한다. 추가로, R3이 알키닐인 화합물의 제조 방법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염소화된 화학식 (a)의 화합물을 촉매로서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 (Pd(Ph3P)4)을 사용하여 트리에틸아민 및 적합한 용매, 예컨대 DMF 및/또는 THF 중에서 트리메틸실릴아세틸렌과 반응시켜 에티닐-치환된 화학식 (a)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필요한 피페리딘/피페라진 화합물 (b)는 하기 반응식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조할 수 있다:
Figure 112009068972476-PCT00005
(식 중, R1, R2, R4, R5 및 Y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고, PG는 적합한 보호기임).
아민 (c)를 저온의 적합한 용매, 예컨대 THF, 메틸렌 클로라이드 또는 N,N-디메틸포름아미드 (DMF) 중에서, 적합한 커플링화제, 예컨대 이소부틸 클로로포르 메이트,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EDC) 또는 1-프로판포스폰산 시클릭 무수물 (PPA) 및 적절한 염기, 예컨대 N-메틸모르폴린 또는 트리에틸아민의 존재하에, 보호된 피페리딘과 반응시켜 화학식 (d)의 아미드 화합물을 형성한다. 화합물 (d)를 씰링된 용기 안에서 아세트산암모늄 또는 염화암모늄에 노출시키거나, 또는 R5가 H인 화합물의 경우 압력하에 마이크로웨이브 열에 노출시켜 Y가 CR6인 후속적인 이미다졸 피페리딘 (b1)을 형성한다. 별법으로, 아미딘 (e)를 탄산칼륨 또는 탄산나트륨과 같은 염기의 존재하에 적합한 용매, 예컨대 DMF 또는 아세톤 중에서 적절한 할로 케톤과 반응시킨 다음, 당업자에게 익히 공지된 조건하에 탈보호함으로써 화학식 (b1)의 화합물을 형성할 수 있다. 화학식 (b1)의 히드록시피페리딘은 또한 화학식 (m)의 펜아실 브로마이드를 열의 존재하에 포름아미드와 반응시켜 합성할 수 있다. 이어서, 이미다졸 (n)을 적합한 용매, 예컨대 THF에 첨가한 다음 냉각시키고, 나트륨 히드라이드의 존재하에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면서 2,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 클로라이드와 같은 질소 보호기로 처리하여 화학식 (o)의 중간체를 제공한다. 이어서, 후속적인 보호된 이미다졸은 저온 및 불활성 분위기 하에 THF와 같은 불활성 용매 중에서 금속화제, 예컨대 n-부틸리튬으로 처리될 수 있다. 상기 혼합물을 적절하게 치환된 피페리디논으로 처리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실온으로 가온하여 (p) 유형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중간체 (p)를 승온에서 1 N HCl과 같은 수성 산으로 처리하여 (b1)을 제공한다.
필요한 아미딘은 반응식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합성할 수 있다:
Figure 112009068972476-PCT00006
(식 중, PG는 적합한 보호기임).
아미딘 (e)는 니트릴로부터 쉽게 제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적합한 용매, 예컨대 물 중에 용해된 히드록실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를 탄산나트륨과 같은 염기의 존재하에 적합한 용매, 예컨대 메탄올 중에서 시아노피페리딘 (g)와 반응시키고 열에 노출시켜 히드록시카르밤이미도일-피페리딘 (h)를 제공한다. 이어서, 적합한 용매, 예컨대 아세트산 중 히드록시카르밤이미도일-피페리딘 (h)를 압력하에 아세트산 무수물의 존재하에 팔라듐 촉매를 통해 수소화시켜 아미딘 (e)를 제공한다.
별법으로, 시아노피페리딘 (g)를 적합한 용매, 예컨대 메탄올 중에 용해시키고 냉각시킨 다음 염화수소 기체와 반응시켜 카르복스이미드산 (j)를 형성한다. 이어서, 카르복스이미드산 (j)를 메탄올 중 암모니아로 처리한 다음 상기 혼합물을 암모니아 기체로 포화시켜 아미딘을 생성한다.
당업자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치환기 전부가 화합물을 합성하는데 사용되는 특정 반응 조건을 모두 견딜 수 있는 것은 아님을 인지할 것이다. 이러한 잔기는 합성 중 편리한 시점에서 도입될 수 있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 보호된 다음 탈보호 될 수 있다. 당업자는 보호기가 본 발명의 화합물의 합성 중 임의의 편리한 시점에서 제거될 수 있음을 또한 인지할 것이다. 질소 보호기의 도입 및 제거 방법은 당업계에 익히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문헌 [Greene and Wuts,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3rd Ed.,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Chapter 7 (1999)]을 참조한다. 추가로, 당업자는 다수의 경우, 잔기가 도입되는 순서는 중요하지 않음을 인지할 것이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조하는데 요구되는 단계의 특정 순서는 합성될 특정 화합물, 출발 화합물 및 치환되는 잔기의 상대적 불안정성에 따라 달라진다.
실시예 및 분석에서 사용되는 약어, 기호 및 용어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 BuOH = 부탄올, DCM = 디클로로메탄, DMF = N,N-디메틸포름아미드, EtOAc = 에틸 아세테이트, EtOH = 에탄올, MeOH = 메탄올, Pd(OH)2/C = 탄소 상의 수산화팔라듐 (펄만 촉매(Pearlman's catalyst)), h = 시간(들), LDA = 리튬 디이소프로필아미드, EDCI =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Et2O = 디에틸 에테르, Et3N (또는 TEA) = 트리에틸아민, NaBH(OAc)3 = 나트륨 트리아세톡시보로히드라이드, TBAF = 테트라부틸 암모늄 플루오라이드, Tf2O =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무수물, THF = 테트라히드로푸란.
제조 1
2- 브로모 -1-(2- 플루오로 -5-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프로판-1-온
Figure 112009068972476-PCT00007
디클로로메탄 (80.00 mL) 중 브롬 (3.34 g, 0.95 당량)의 용액을 디클로로메탄 (80 mL) 중 2-플루오로-5-(트리플루오로메틸)프로피오페논 (5 g, 22.03 mmol)의 용액에 천천히 첨가하고, 브롬의 갈색이 사라질 때까지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된 NaHCO3으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켜 조 물질을 6.22 g 제공하였다.
MS(ES): m/z = 301.2 [M+2H].
제조 2 내지 5-D의 화합물은 본질적으로 제조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할 수 있었다.
Figure 112009068972476-PCT00008
제조 6
2-아미노-1-(3-(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에타논 히드로클로라이드
사염화탄소 (100 mL) 중 헥사메틸렌테트라아민 (HMTA) (5.80 g, 41.3 mmol) 의 용액에 3-(트리플루오로메틸)펜아실 브로마이드 (10 g, 37.4 mmol)를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침전물을 여과하고 필터 케이크를 에탄올 (200 mL) 중에 현탁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농축된 염산 (28 mL)으로 희석한 다음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침전물을 여과하고 여과물을 진공하에 농축시켜 회백색 고체를 제공하였다. 실온 미만으로 냉각되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상기 고체를 고온의 2-프로판올 중의 1% 농축된 염산으로부터 재결정화시켜 2-아미노-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타논 히드로클로라이드를 제공하였다 (7.67 g, 86%).
MS(APCI): m/z = 204 [M + H].
제조 7 내지 16의 화합물은 본질적으로 제조 6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할 수 있었다.
Figure 112009068972476-PCT00009
제조 17
2-아미노-1-(3-( 트리플루오로메톡시 ) 페닐 ) 에타논
메탄올 (20 mL) 중 3-(트리플루오로메톡시)-펜아실 브로마이드 (2.17 g, 7.66 mmol)의 용액에 나트륨 아지드 (583 mg, 8.96 mmol)를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EtOAc (20 mL) 중에 용해시킨 다음 물 (10 mL)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건조시키고 (Na2SO4) 여과한 다음 여과물을 진공하에 농축시켜 2-아지도-1-(3-(트리플루오로메 톡시)페닐)에타논을 제공하였다 (1.70 g, 91%). 1H-NMR (CDCl3): δ7.83 (m, 1H), 7.77 (s, 1H), 7.56 (m, 1H), 7.49 (m, 1H), 4.55 (s, 2H).
질소-퍼징된 에탄올 (15 mL) 중 2-아지도-1-(3-(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에타논 (1.70 g, 6.93 mmol)의 용액에 탄소 상의 팔라듐 (720 mg, 10% Pd/C, 50 중량% 물)을 첨가하였다. 플라스크를 수소 (풍선)로 퍼징하였다.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셀라이트 (등록상표) 상에서 여과하고, 셀라이트 (등록상표)를 에탄올 (3 x 30 mL)로 세정한 다음 여과물을 진공하에 농축시켜 조 2-아미노-1-(3-(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에타논을 제공하였다 (1.56 g, 88%). 1H NMR (DMSO-d6): δ 8.56 (br s, 2H), 8.07 (m, 1H), 7.95 (s, 1H), 7.76 (m, 2H), 4.63 (s, 2H).
제조 18
2-아미노-1-(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프로판 -1-온 톨루엔-4-술폰산 염
테트라히드로푸란 (15 mL) 중 2-브로모-1-(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프로판-1-온 (2.78 g; 1.00 당량; 9.30 mmol)의 용액에 나트륨 아지드 (640.94 mg; 1.05 당량; 9.76 mmol)를 한번에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고체를 여과한 다음 THF로 세척하였다. 조 아지드 (1.00 당량; 9.30 mmol; 2.43 g)를 20℃ 미만의 테트라히드로푸란 (15 mL) 중 트리페닐포스 핀 (1.06 당량; 9.86 mmol; 2.61 g) 및 p-톨루엔술폰산 (2.2 당량; 20.47 mmol; 3.56 g)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밤새 교반하였다. 고체를 여과한 다음 THF로 세척하여 표제 화합물을 920 mg (24%) 수득하였다.
MS(ES): m/z = 236.2 [M + H].
제조 18-A 내지 18-D의 화합물은 본질적으로 제조 18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할 수 있었다.
Figure 112009068972476-PCT00010
제조 19
tert -부틸 4-(2-옥소-2-(3-(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에틸카르바모일 )피페리딘-1- 카르복실레이트
Figure 112009068972476-PCT00011
-10℃의 THF (400 mL) 중 1-(tert-부톡시카르보닐)피페리딘-4-카르복실산 (11.2 g, 48.8 mmol)의 용액에 N-메틸모르폴린 (13.0 mL, 118 mmol)을 첨가하고 5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소부틸 클로로포르메이트 (5.1 mL, 38.8 mmol)를 첨가한 다음 -10℃에서 2시간 동안 교반을 계속하였다. 2-아미노-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타논 히드로클로라이드 (9.35 g, 39.0 mmol)를 첨가한 다음 1시간 동안 교반을 계속하였다. 상기 혼합물에 메틸렌 클로라이드 (500 mL)를 첨가한 다음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포화된 수성 중탄산나트륨 (400 mL)으로 세척하고,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330 g 레디셉(RediSep) 컬럼, 0% → 10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의 구배로 용리함, 6.0 L)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4-(2-옥소-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카르바모일)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를 제공하였다 (9.72 g, 60%).
MS (APCI): m/z = 315 [M - C5H8O2 + H]+.
제조 20 내지 25의 화합물은 본질적으로 제조 19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할 수 있었다.
Figure 112009068972476-PCT00012
제조 26
tert -부틸 4-(2-옥소-2-(3-( 트리플루오로메톡시 ) 페닐 ) 에틸카르바모일 )피페리딘-1- 카르복실레이트
0℃의 CH2Cl2 (15 mL) 중 2-아미노-1-(3-(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에타논 (1.56 g, 6.10 mmol) 및 1-(tert-부톡시카르보닐)피페리딘-4-카르복실산 (1.66 g, 7.24 mmol)의 용액에 트리에틸아민 (1.1 mL, 7.89 mmol) 및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EDC) (1.51 g, 7.87 mmol)를 첨가하였다. 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80 g SiO2, 5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으로 용리함, 1 L)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4-(2-옥소-2-(3-(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에틸카르바모일)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를 제공하였다 (1.50 g, 57%).
MS (APCI): m/z = 331 [M - C5H8O2 + H]+.
제조 27
4-[2-(4- 플루오로 -3-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1- 메틸 -2-옥소- 에틸카르바모 일]-피페리딘-1- 카르복실산 tert -부틸 에스테르
2-아미노-1-(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프로판-1-온 톨루엔-4-술폰산 염 (900 mg; 1.00 당량; 2.21 mmol) 및 1-Boc-피페리딘-4-카르복실산 (Boc-Inp-OH) (613.96 mg, 1.20 당량; 2.65 mmol)의 혼합물에 실온에서 디메틸포름아미드 (20 mL)를 첨가하였다. 상기 용액에 N-메틸모르폴린 (6.00 당량; 13.26 mmol; 1.46 mL)을 첨가한 다음 0℃에서 1-프로판포스폰산 시클릭 무수물 (1.50 당량; 3.31 mmol; 862.14 μL)을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실온으로 가온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EtOAc로 희석하고, 물, 1 M 시트르산, 물, 포 화된 NaHCO3 및 포화된 수성 염화나트륨으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CH2Cl2 중에 용해시키고, 실리카 겔 컬럼 상에 로딩한 다음 EtOAc로 용리하여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500 mg (51%) 제공하였다.
MS(ES): m/z = 445.2 [M - H].
제조 28 내지 32의 화합물은 본질적으로 제조 2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할 수 있었다.
Figure 112009068972476-PCT00013
제조 33
4-(4-(3-(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1H- 이미다졸 -2-일)피페리딘
에탄올 (20 mL) 중 tert-부틸 4-(2-옥소-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카르바모일)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2.5 g, 6.09 mmol) 및 NH4Cl (1.68 g, 31.4 mmol)의 혼합물을 CEM 디스커버(Discover) 마이크로웨이브 장치에서 16시간 동안 300 W, 120℃ 및 200 PSI에서 마이크로웨이브로 가열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상기 절차를 동일한 마이크로웨이브 및 가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에탄올 (20 mL) 중 제2 분량의 tert-부틸 4-(2-옥소-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카르바모일)-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2.35 g, 5.67 mmol) 및 NH4Cl (1.8 g, 33.6 mmol)에 대해 반복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상기 절차를 마이크로웨이브 장치에서 12시간 동안 300 W, 160℃ 및 200 PSI에서 에탄올 (15 mL) 중 제3 분량의 tert-부틸 4-(2-옥소-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카르바모일)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2.0 g, 4.82 mmol) 및 NH4Cl (1.34 mg, 25.0 mmol)에 대해 반복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배치를 합하고, 실리카 겔 상에 흡착시킨 다음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120 g 레디셉 컬럼, 0% → 100% CMA:메틸렌 클로라이드의 구배로 용리함, 3 L)에 의해 정제하여 4-(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을 제공하였다 (3.40 g, 75%).
MS (APCI): m/z = 296 [M + H].
제조 34 및 35의 화합물은 본질적으로 제조 3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할 수 있었다.
Figure 112009068972476-PCT00014
제조 36
4-(4- 페닐 -1H- 이미다졸 -2-일)피페리딘 히드로클로라이드
에탄올 (12 mL) 중 tert-부틸 4-(2-옥소-2-페닐에틸카르바모일)-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1.0 g, 2.88 mmol) 및 NH4Cl (0.462 g, 8.65 mmol)의 혼합물을 퍼스날 케미스트리(Personal Chemistry) 마이크로웨이브에서 11시간 동안 300 W, 160℃ 및 14 bar에서 가열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킨 다음 실리카 겔 (5 mL)을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80 g 레디셉 컬럼, 60분 동안 0% → 100% CMA/메틸렌 클로라이드의 구배로 용리함, 60 mL/분)에 의해 정제하여 회백색 고체로서 4-(4-페닐-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을 제공하였다 (0.418 g, 64%). 4-(4-페닐-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 (0.060 g, 0.26 mmol)을 메틸렌 클로라이드 (15 mL) 및 농축된 염산 (28 μL)에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45분 동안 교반한 다음 진공하에 농축시켜 4-(4-페닐-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 히드로클로라이드를 제공하였다 (0.070 g, 99%).
MS (APCI): m/z = 228 [M + H].
제조 37의 화합물은 본질적으로 제조 36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할 수 있었다.
Figure 112009068972476-PCT00015
제조 38
4-(4-(4- 플루오로 -3-(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1H- 이미다졸 -2-일)피페리딘 히드로클로라이드
에탄올 (17 mL) 중 tert-부틸 4-(2-옥소-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카르바모일)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1.7 g, 3.92 mmol) 및 NH4Cl (0.579 g, 10.8 mmol)의 혼합물을 퍼스날 케미스트리 마이크로웨이브에서 12시간 동안 300 W, 120℃ 및 14 bar에서 가열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킨 다음 실리카 겔 (20 g)을 첨가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330 g 레디셉 컬럼, 30분 동안 0% → 100% CMA/메틸렌 클로라이드의 구배로 용리하고, 추가 30분 동안 100% CMA로 유지함, 100 mL/분)에 의해 정제하여 4-(4-(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을 제공하였다 (600 mg, 51%). MS (APCI): m/z = 314 [M + H].
4-(4-(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 (250 mg, 0.80 mmol)을 메탄올 (20 mL) 중에 현탁시키고, 염화수소 (디에틸 에테르 중의 2 M, 0.798 mL, 0.80 mmol)를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진공하에 농축시키고, 물 (15 mL) 및 아세토니트릴 (5 mL)을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동결-건조시켜 회백색 고체를 수득하였다. 상기 고체를 100℃에서 2시간 동안 진공하에 건조시켜 4-(4-(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 히드로클로라이드를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220 mg, 79%). MS (APCI): m/z = 314 [M + H].
제조 39
4-(4-(3- 플루오로 -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1H- 이미다졸 -2-일)피페리딘 히드로클로라이드
에탄올 (2 mL) 중 tert-부틸 4-(2-(3-플루오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2-옥소에틸카르바모일)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517 mg, 1.19 mmol) 및 NH4Cl (350 mg, 6.54 mmol)의 혼합물을 CEM 디스커버 마이크로웨이브에서 12시간 동안 최대 전력으로 300 W, 120℃ 및 200 PSI에서 가열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킨 다음 실리카 겔 (대략 5 g)을 첨가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40 g 레디셉 컬럼, 60분 동안 0% → 100% CMA/메틸렌 클로라이드의 구배로 용리함, 40 mL/분)에 의해 정제하여 회백색 고체로서 4-(4-(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을 제공하였다 (228 mg, 61%). MS (APCI): m/z = 314 [M + H].
상기 생성물 (29 mg)을 메탄올 (2 mL) 중에 용해시키고, 염화수소 (디에틸 에테르 중의 2 M, 95 μL)를 첨가한 다음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진공하에 농축시키고, 물 (10 mL)을 첨가한 다음 동결-건조시켜 4-(4-(3-플루오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 히드로클로라이드를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29 mg). MS (APCI): m/z = 314 [M + H].
제조 40
4-(4-(3-( 트리플루오로메톡시 ) 페닐 )-1H- 이미다졸 -2-일)피페리딘
아세트산 암모늄 (1.40 g, 18.1 mmol) 및 빙초산 (10 mL)의 혼합물에 tert-부틸 4-(2-옥소-2-(3-(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에틸카르바모일)-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1.50 g, 3.48 mmol)를 첨가하고 15시간 동안 환류하에 가열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킨 다음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50 mL) 중에 용해시키고, 포화된 NaHCO3을 사용하여 pH 8로 조절하였다. 수성층을 에틸 아세테이트 (2 x 5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합하고, 건조시키고 (Na2SO4), 여과하고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80 g, 10% → 20% 메탄올/에틸 아세테이트의 구배로 용리함, 1.5 L)에 의해 정제하여 4-(4-(3-(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을 제공하였다 (491 mg, 45%).
MS (APCI): m/z = 312 [M + H].
제조 41
4-(N- 히드록시카르밤이미도일 )-피페리딘-1- 카르복실산 tert -부틸 에스테르
히드록실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1.65 g; 4.99 당량; 23.74 mmol)를 물 (5 mL) 중에 용해시키고, 탄산나트륨 (2.53 g; 23.87 mmol)을 첨가하였다. 4-시아노-피페리딘-1-카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1 g; 1.00 당량; 4.76 mmol) (아스타테크(Astatech))를 작은 바이알에 넣고 메탄올 (6 mL; 148.25 mmol) 중에 용해시킨 다음 히드록실아민을 함유하는 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환류하에 가열한 다음 3시간 동안 체류시켰다. 메탄올을 증발시켜 제거하고, 수성 층을 에틸 아세테이트 (2 x 10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물을 물 (1 x 100 mL)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켜 백색 고체를 수득하였다. 감압하에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05 g, 91%).
LCMS: m/z = 188.2 [M - tBu, M + H]
제조 42
4- 카르밤이미도일 -피페리딘-1- 카르복실산 tert -부틸 에스테르
4-(N-히드록시카르밤이미도일)-피페리딘-1-카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9.7 g; 1.00 당량; 39.9 mmol)를 메탄올 (300 mL) 중에 용해시키고, 아세트산 (2 당량, 79.73 mmol; 4.6 mL), 및 메탄올로 세척된 래니 니켈(Raney Nickel) (2.7 g)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50℃로 가열한 다음 4.5시간 동안 1 ATM의 수소 기체로 수소화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고 감압하에 농축시켰다. 상기 고체를 디에틸 에테르 중에 현탁시키고, 여과한 다음 감압하에 건조시켜 4-카르밤이미도일-피페리딘-1-카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를 10.39 g 제공하였다.
MS (ES): m/z = 228 [M + H].
제조 43
4- 카르밤이미도일 -피페리딘-1- 카르복실산 tert -부틸 에스테르 아세트산 염
아세트산 (15 mL; 261.77 mmol) 및 아세트산 무수물 (0.5 mL; 5.29 mmol) 중 4-(N-히드록시카르밤이미도일)-피페리딘-1-카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805 mg; 1.00 당량; 3.31 mmol)에 10% Pd/C (0.079 g; 37.12 μmol)를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7시간 동안 20 PSI에서 수소화시켰다. 플라스크를 질소로 퍼징하여 포말체 1.2 g을 제공하였다. 아세토니트릴로 연화처리한 다음 여과하여 생성물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270 mg, 28%).
MS (ES): m/z = 228.0 [M + H].
제조 44
4-[4-(3- 클로로페닐 )-1H- 이미다졸 -2-일]-피페리딘-1- 카르복실산 tert -부틸 에스테르
4-디아미노메틸-피페리딘-1-카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아세트산 염 (685 mg; 1.00 당량; 2.38 m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 (10 mL; 129.33 mmol) 중에 현탁시키고, 분말 탄산칼륨 (1400 mg; 10.13 mmol)을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한 다음, DMF 4 mL에 용해된 2-브로모-1-(3-클로로-페닐)-에타논 (1400 mg; 6.00 mmol)을 실온에서 상기 아미딘에 적가하였다. 3시간 후, 반응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50% 수성 중탄산나트륨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켜 조 오일을 수득하였다. 바이오태그(biotage) 40M 컬럼 상에서 DCM → 6% MeOH/DCM의 구배로 용리하는 ISCO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정제하였다. 적절한 분획을 농축시켜 20%의 수율로 4-[4-(3-클로로-페닐)-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1-카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를 제공하였다. MS (ES): m/z = 262.0 [M + H].
4-[4-(3-클로로-페닐)-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1-카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171 mg; 472.54 μmol)를 디클로로메탄 (3 mL; 46.80 mmol) 중에 용해시 키고, 염화수소 (4 mL; 16.00 mmol) (디옥산 중의 4 M HCl)를 실온에서 천천히 첨가하였다. 상기 용액을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진공하에 농축시켜 (2 x DCM) 4-[4-(3-클로로-페닐)-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 히드로클로라이드 염을 제공하였다.
MS (ES): m/z = 262.0 [M + H].
제조 45 내지 47의 화합물은 본질적으로 제조 4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할 수 있었다.
Figure 112009068972476-PCT00016
제조 48
테트라히드로푸란 (435 mL) 중 2%(v/v) 아세트산에 4-시아노피페리딘 (7.19 g; 1.00 당량; 65.269 mmol); 벤즈알데히드 (1.05 당량; 68.533 mmol; 7.0 mL)에 이어서 나트륨 트리아세톡시보로히드라이드 (1.3 당량, 84.85 mmol; 18.73 g)를 첨가하고, 완료될 때까지 빠르게 교반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포화된 중탄산나트륨 및 포화된 수성 염화나트륨으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 증발시켜 오일을 13.0 g 제공하였다. 이를 에테르 (대략 300 mL) 중에 용해시키고, 여과한 다음 에테르 중의 1 M HCl 60 mL를 천천히 첨가하였다. 아이스 배스에서 냉각시켰다. 여과하고, 에테르로 세정한 다음 진공하에 건조시켜 1-벤질-피페리딘-4-카르보니트릴을 수집하였다 (13.616 g, 57.51 mmol, 88%).
MS (ES): m/z = 201 [M + H].
제조 49
1-벤질-피페리딘-4- 카르복스이미드산 메틸 에스테르 히드로클로라이드
1-벤질-피페리딘-4-카르보니트릴 히드로클로라이드 (1.00 당량; 57.3 mmol; 13.57 g)를 MeOH 75 mL 중에 용해시킨 다음 아이스 배스에서 냉각시켰다. HCl 기체로 25분 동안 포화시킨 다음 아이스 배스를 제거하고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감압하에 증발시켜 1-벤질-피페리딘-4-카르복스이미드산 메틸 에스테르 히드로클로라이드를 제공하였다 (17.47 g, 65.0 mmol, 113%).
MS (ES): m/z = 233 [M + H].
제조 50
1-벤질-피페리딘-4- 카르복스아미딘 디히드로클로라이드
1-벤질-피페리딘-4-카르복스이미드산 메틸 에스테르 히드로클로라이드 (17.47 g, 1.00 당량; 65 mmol)를 메탄올 중의 2 M 암모니아 (대략 350 mL) 중에 용해시켰다. 암모니아 기체로 15분 동안 포화시켰다. 18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증발시켰다. 무수 메탄올과 함께 공-증발시켰다. 고진공하에 건조시켜 1-벤질-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딘 디히드로클로라이드를 담황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8.29 g, 63.03 mmol, 97%).
MS (ES): m/z = 218 [M + H].
제조 51
1-벤질-4-[5-(3- 클로로 -4- 플루오로 - 페닐 )-1H- 이미다졸 -2-일]-피페리딘
1-벤질-피페리딘-4-카르복스아미딘 디히드로클로라이드 (2 g; 1.00 당량; 6.89 mmol)를 디메틸포름아미드 (90 mL) 중에 용해시켰다. 분말 탄산칼륨 (4 당량; 27.56 mmol; 3.8095 g)을 첨가한 다음 대략 45℃로 가온하였다. DMF 8 mL 중 3-클로로-4-플루오로-펜아실 브로마이드 (2.00 당량; 13.782 mmol; 3.5366 g)를 40분에 걸쳐 적가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50 mL로 희석하고, 5분 동안 교반한 다음 여과하였다. 증발시킨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포화된 중탄산나트륨 사이에 분배하고, 유기층을 물로 세척한 다음 포화된 수성 염화나트륨으로 세척하였다.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한 다음 증발시켜 적색 포말체를 수득하였다. 0-10% MeOH/ACN으로 플래쉬 실리카 겔 상에서 정제하였다. 분획을 모아 1-벤질-4-[5-(3-클로로-4-플루오로-페닐)-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을 제공하였다 (1.9772 g, 5.346 mmol, 78%).
MS (ES): m/z = 370 [M + H].
제조 52 및 53의 화합물은 본질적으로 제조 5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할 수 있었다.
Figure 112009068972476-PCT00017
제조 54
4-[5-(3- 클로로 -4- 플루오로 - 페닐 )-1H- 이미다졸 -2-일]-피페리딘 디히드로클로 라이드
1-벤질-4-[5-(3-클로로-4-플루오로-페닐)-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 (1.00 당량; 1.595 mmol; 590 mg) 및 N,N,N',N'-테트라메틸-1,8-나프탈렌디아민 (1 당량; 1.595 mmol; 341.8 mg)을 1,2-디클로로에탄 (12 mL) 중에 용해시키고, 아이스 배스에서 냉각시켰다. 1-클로로에틸 클로로포르메이트 (3 당량; 4.785 mmol; 517 μL)를 첨가한 다음 1시간 동안 환류하에 가온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1 cm 플러그 실리카 겔을 통해 여과한 다음 DCM으로 세정하였다. 증발시켜 포말체 760 mg을 제공하였다. 이를 MeOH 중에 용해시키고 6시간 동안 환류하에 가열하였다. 증발시켜 4-[5-(3-클로로-4-플루오로-페닐)-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 디히드로클로라이드를 황색 포말체로서 제공하였다 (556.3 mg, 99%).
MS (ES): m/z = 280 [M + H].
제조 55 및 56의 화합물은 본질적으로 제조 5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할 수 있었다.
Figure 112009068972476-PCT00018
제조 57
4-[4-(4- 플루오로 - 페닐 )-1H- 이미다졸 -2-일]-피페리딘
1-벤질-4-[4-(4-플루오로-페닐)-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을 30℃에서 23시간 동안 60 PSI에서 2B EtOH 125 mL 중 20% Pd(OH)2/C (펄만 촉매) (0.15 mg)로 수소화시켰다. 여과한 다음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을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MS (ES): m/z = 246.0 [M + H].
제조 58 및 59의 화합물은 본질적으로 제조 5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할 수 있었다.
Figure 112009068972476-PCT00019
제조 60
tert -부틸 4-(4-(3-(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1H- 이미다졸 -2-일)피페리딘-1-카 르복실레이
질소 하의 CH2Cl2 (25 mL) 및 THF (25 mL)의 용액에 4-(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 (795 mg, 2.69 mmol)을 첨가한 다음 트리에틸아민 (0.985 mL, 5.64 mmol) 및 디-tert-부틸 디카르보네이트 (650 mg, 2.96 mmol)를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진공하에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120 g 레디셉 컬럼, 35분 동안 0% → 10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의 구배로 용리함, 85 mL/분)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4-(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를 회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550 mg, 51%).
MS (APCI): m/z = 396 [M + H].
제조 61의 화합물은 본질적으로 제조 60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할 수 있었 다.
Figure 112009068972476-PCT00020
제조 62
tert -부틸 4-(1- 메틸 -4-(3-(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1H- 이미다졸 -2-일)피페리딘-1- 카르복실레이트
디에틸 에테르 (100 mL)에 tert-부틸 4-(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540 mg, 1.36 mmol)를 첨가한 다음 0℃로 냉각시켰다. 상기 혼합물에 나트륨 히드라이드 (55 mg, 1.5 mmol, 광유 중의 60%)를 첨가한 다음 메틸 요오다이드 (0.142 mL, 2.72 mmol)를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실온으로 가온하였다. THF (40 mL)를 첨가한 다음 상기 혼합물을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120 g 레디셉 컬럼, 40분 동안 0% → 10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의 구배로 용리함, 85 mL/분)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4-(1-메틸-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를 제공하였다 (425 mg, 76%).
MS (APCI): m/z = 410 [M + H].
제조 63의 화합물은 본질적으로 제조 6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할 수 있었다.
Figure 112009068972476-PCT00021
제조 64
4-(1- 메틸 -4-(3-(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1H- 이미다졸 -2-일)피페리딘 디히드로클로라이드
질소 하의 0℃의 CH2Cl2 (10 mL) 중 tert-부틸 4-(1-메틸-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400 mg, 1.10 mmol)의 용액에 염화수소 (1,4-디옥산 중의 4 M, 5 mL, 20 mmol)를 첨가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진공하에 농축시켜 4-(1-메틸-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 디히드로클로라이드를 제공하였다 (435 mg, >99%). MS (APCI): m/z = 310 [M + H].
제조 65의 화합물은 본질적으로 제조 6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할 수 있었다.
Figure 112009068972476-PCT00022
제조 66
4-[4-(4- 플루오로 -3-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1H- 이미다졸 -2-일]-피페리딘-1-카 르복실 tert -부틸 에스테르
1-부탄올 (7 mL) 중 tert-부틸 4-(2-옥소-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 카르바모일)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600 mg, 1.00 당량; 1.39 mmol)의 용액에 아세트산 암모늄 (3.24 g, 41.63 mmol)을 첨가한 다음 트리에틸아민 (1 당량; 193.40 μL)을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씰링된 튜브에서 2시간 동안 160℃에서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하에 톨루엔 및 CH2Cl2와 함께 공-증발시켜 제거하였다. 조 물질을 EtOAc 중에 재용해시키고, 물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EtOAc:헥산 (6:4)으로 용리하는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제공하였다 (280 mg, 49% 수율).
LCMS: MS(IS): m/z = 314.2 [M + H].
제조 67 내지 73의 화합물은 본질적으로 제조 66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할 수 있었다.
Figure 112009068972476-PCT00023
제조 74
4-[4-(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메틸-1H- 이미다졸 -2- ]-피페리딘-1- 카르복실산 tert -부틸 에스테르
4-[4-(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1-카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860 mg, 2.08 mmol)를 N2 하에서 디에틸 에테르 (100 mL) 중에 용해시켰다. 상기 용액을 아이스 배스에서 0℃로 냉각시키고, 나트륨 히드라이드 (1.1 당량; 2.29 mmol; 91.52 mg)를 첨가한 다음 메틸 요오다이드 (2.00 당량; 4.16 mmol; 259.12 μL)를 주입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실온으로 가온하였다. 테트라히드로푸란 (40 mL)을 상기 혼합물 에 주입한 다음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감압하에 농축시킨 다음 잔류물을 EtOAc 중에 용해시켰다. 포화된 수성 염화나트륨으로 세척하였다. 잔류물을 EtOAc:헥산 (7:3)으로 용리하는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제공하였다 (270 mg, 30% 수율).
MS (IS): m/z = 428.2 [M + H].
제조 74-A
Tert -부틸 4-(1,5-디메틸-4-(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1H- 이미다졸 -2-일]-피페리딘-1- 카르복실레이트
디메틸 술폭시드 (2 mL) 중 tert-부틸 4-(5-디메틸-4-(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300 mg, 0.73 mmol)의 용액에 새롭게 분쇄된 수산화칼륨 (193.45 mg, 2.93 mmol, 4 당량)을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메틸 요오다이드 (156 mg, 1.5 당량)를 한번에 첨가하였다. 3시간 동안 교반한 후, AcOEt로 희석하고 포화된 수성 염화나트륨으로 세척한 다음 Na2SO4 상에서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EtOAc:헥산 (6:4)으로 용리하는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제공하였다 (210 mg, 68% 수율).
MS (IS): m/z = 423.2 [M + H].
제조 74-B 내지 74-F의 화합물은 본질적으로 제조 74-A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할 수 있었다.
Figure 112009068972476-PCT00024
제조 75
4-[4-(4- 플루오로 -3-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1H- 이미다졸 -2-일]-피페리딘 히드로클로라이드
메탄올 (10 mL) 중 4-[4-(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1-카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275 mg; 665.19 μmol)의 용액에 염화수소 (2 mL, 12 M 수성)를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한 다음 농축시키고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을 제공하였다 (210 mg, 90% 수율).
MS (IS): m/z = 314.2 [M + H].
제조 76 내지 83-G의 화합물은 본질적으로 제조 75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할 수 있었다.
Figure 112009068972476-PCT00025
제조 84
1-벤질-4-[5-(4- 플루오로 -3-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1H- 이미다졸 -2-일]-피페라진
4-벤질피페라진-1-카르복스아미딘 헤미술페이트 (500 mg, 1.00 당량; 1.580 mmol), 탄산나트륨 (4 당량, 6.321 mmol), 디메틸포름아미드 (10.5 mL) 및 아세톤 (110 mL)을 환류하에 가열하였다. 아세톤 4 mL 중 2-브로모-1-[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에타논 (1.00 당량; 1.580 mmol; 450 mg)을 15분에 걸쳐 적가하고, 반응물을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반응물을 여과한 다음 감압하에 농축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20% 포화된 중탄산나 트륨, 물 및 포화된 수성 염화나트륨으로 세척하였다.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한 다음 감압하에 증발시켰다. 2-5% 1 M NH3-MeOH/DCM으로 실리카 겔 상에서 정제하여 1-벤질-4-[5-(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H-이미다졸-2-일]-피페라진을 제공하였다 (262.0 mg, 0.678 mmol, 43%).
MS (ES): m/z = 405 [M + H].
제조 85
1-[5-(4- 플루오로 -3-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1H- 이미다졸 -2-일]-피페라진
1-벤질-4-[5-(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H-이미다졸-2-일]-피페라진 (260 mg, 1.00 당량; 0.643 mmol), 20 중량% Pd(OH)2/C (데구사(Degussa) E101NE/W) (250 mg); 메탄올 (10 mL), 포름산 암모늄 염 (20 당량, 12.8 mmol; 810 mg)을 합하고, 2시간 동안 50℃로 가열한 다음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 (등록상표)를 통해 여과하고, 감압하에 증발시킨 다음 메탄올과 함께 1회 공-증발시켜 1-[5-(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H-이미다졸-2-일]-피페라진을 황색 포말체로서 제공하였다 (195.2 mg, 0.621 mmol, 97%).
MS (ES): m/z = 315 [M + H].
제조 86
1-벤질-4-[4-(3- 클로로 -4- 플루오로 - 페닐 )-1-에틸-1H- 이미다졸 -2-일]-피페리딘
분말 수산화칼륨 (1.5 당량, 1.217 mmol; 68 mg)에 디메틸 술폭시드 (0.3 M, 2.7 mL)를 첨가하였다. 1-벤질-4-[5-(3-클로로-4-플루오로-페닐)-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 (300 mg, 1.00 당량; 0.811 mmol)을 첨가한 다음 요오도에탄 (1.1 당량, 0.892 mmol; 71 μL)을 8분에 걸쳐 적가하였다. 반응물을 60분 동안 교반한 다음 물 (120 mL) + 포화된 염화나트륨 (25 mL)으로 희석하고, DCM으로 4회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물로 세척한 다음 포화된 수성 염화나트륨으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켰다. 여과한 다음 10% 메탄올/아세토니트릴로 실리카 겔 상에서 정제하여 1-벤질-4-[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1-에틸-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을 제공하였다 (262 mg, 0.659 mmol, 81%).
MS (ES): m/z = 398 [M + H].
제조 87 내지 89의 화합물은 본질적으로 제조 86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할 수 있었다.
Figure 112009068972476-PCT00026
제조 90
4-[4-(3- 클로로 -4- 플루오로 - 페닐 )-1-에틸-1H- 이미다졸 -2-일]-피페리딘 히드로클로라이드
1-벤질-4-[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1-에틸-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 (263.3 mg, 1.00 당량; 0.662 mmol) 및 N,N,N',N'-테트라메틸-1,8-나프탈렌디아 민 (0.05 당량, 0.033 mmol, 7.0 mg)을 1,2-디클로로에탄 (5 mL) 중에 용해시키고 아이스 배스에서 냉각시켰다. 1-클로로에틸 클로로포르메이트 (1.2 당량, 0.794 mmol; 0.086 m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10분 동안 아이스 배스에서 교반한 다음 20분 동안 환류하에 가열한 후 건조상태로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메탄올 (5 mL) 중에 용해시키고, 45분 동안 환류한 다음 건조상태로 증발시켜 4-[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1-에틸-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 히드로클로라이드를 제공하였다 (268 mg, 0.779 mmol, 118%).
MS (ES): m/z = 308 [M + H].
제조 91 내지 93의 화합물은 본질적으로 제조 90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할 수 있었다.
Figure 112009068972476-PCT00027
제조 94
4- 클로로 -5- 플루오로 -7H- 피롤로[2,3-d]피리미딘
4-클로로피롤로[2,3-d]피리미딘 (2.985 g, 19.40 mmol), [1-(클로로메틸)-4-플루오로-1,4-디아조니아바이시클로[2.2.2]옥탄비스(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셀렉트플루오로(Selectfluoro)) (10.523 g, 29.704 mmol), 아세토니트릴 (200 mL) 및 아세트산 (40 mL)을 합하고 24시간 동안 70℃로 가열하였다. 출발 물질의 손실을 HPLC에 의해 모니터링한 다음 농축시켰다. 톨루엔 (50 mL)을 2번으로 나누어 첨가한 다음 증발시켰다. 조 물질을 1:1의 EtOAc/CH2Cl2로 세척하면서 셀라이트 패드를 통해 여과하였다. 최종적으로, 여과물을 농축시킨 다음 CH2Cl2/MeOH [0-10% MeOH 구배]로 용리하면서 실리카 컬럼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프하였다. MS에 의해 분획을 조사하고 생성물 분획을 합하여 4-클로로-5-플루오로-7H-피롤로[2,3-d]피리미딘을 제공하였다 (1.931 g, 58%).
MS (ES): m/z = 172 [M + H].
제조 95
4- 클로로 -1H- 피라졸로[3,4-d]피리미딘
톨루엔 (205.71 mL) 중 알로퓨리놀 (20 g, 146.94 mmol)의 용액에 포스포릴 클로라이드 (68.27 mL, 734.68 mmol)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56.38 mL, 323.26 mmol)을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2시간 동안 80℃에서 가열하였다. 용매를 진공하에서 1/2로 제거한 다음 상기 혼합물을 4℃의 물 중의 2 M 2염기성 인산칼륨 (734.68 mL, 1.47 mol)에 부었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침전물을 셀라이트 패드를 통해 여과제거한 다음 패드를 EtOAc로 세척하였다. 여과물을 분리하고, 수성층을 추가의 EtOAc로 세척하고, 유기층을 합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하에 농축시켜 4-클로로-1H-피라졸로[3,4-d]피리미딘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6 g, 70.45% 수율).
MS (APCI): m/z = 155.1 [M + H].
제조 95-A
4,6- 디클로로피리미딘 -5- 카르브알데히드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DMF (8.9 mL, 1.3 당량)를 채우고 0℃로 냉각시켰다. 상기 반응물에 0℃에서 POCl3 (32.6 mL, 4.0 당량)을 적가하였다. 반응물을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에 4,6-디히드록시 피리미딘 (10.0 g, 1.0 당량)을 채운 다음 서서히 실온이 되게 하였다. 반응물을 4시간 동안 환류한 다음 반응을 TLC (DCM 중의 10% 아세톤)에 의해 모니터링하였다. 반응물을 진공하에 농축시키고, 농축된 반응물을 분쇄된 아이스에 부었다. 생성물을 디에틸 에테르로 추출하고, 포화된 수성 염화나트륨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킨 다음 진공하에 농축시켜 생성물을 담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6.2 g, 40%).
제조 95-B
1-(4,6- 디클로로피리미딘 -5-일)프로판-1-올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4,6-디클로로-피리미딘-5-카르브알데히드 (2.5 g, 1.0 당량) 및 톨루엔 (50 mL)을 채웠다. 반응물을 -10℃로 냉각시켰다. THF 중의 에틸 마그네슘 브로마이드 용액 (3 M) (5.1 mL, 1.1 당량)을 -10℃에서 적가하였다. 반응물을 1시간 안에 서서히 실온이 되게 하였다. 반응물에 냉각된 염화암모늄 용액을 채운 다음 디에틸 에테르로 추출하였다. 에테르 층을 포화된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에테르 층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 농축시켜 목적하는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2.3 g, 79.3%).
제조 95-C의 화합물 1-(4,6-디클로로피리미딘-5-일)에탄올은 본질적으로 제조 95-B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할 수 있었다.
제조 95-D
4- 클로로 -3- 요오도 -1H- 피라졸로[3,4-d]피리미딘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4-클로로-1H-피라졸로[3,4-d]피리미딘 (6.1 g, 1.0 당량), N-요오도숙신이미드 (NIS) (21.55 g, 2.0 당량) 및 DMF (213.5 mL)를 채웠다. 반응물을 5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 (DCM 중의 10% 아세톤)에 의해 모니터링하였다. 반응물을 감압하에 농축시켰다. 에틸 아세테이트를 채우고, 물 및 포화된 수성 염화나트륨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유기층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4-클로로-3-요오도-1H-피라졸로[3,4-d]피리미딘을 제공하였다 (6.8 g, 61.43%).
제조 95-E
4- 클로로 -3-(( 트리메틸실릴 ) 에티닐 )-1H- 피라졸로[3,4-d]피리미딘
아르곤 분위기 하의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4-클로로-3-요오도-1H-피라졸로[3,4-d]피리미딘 (5.4 g, 1.0 당량), 트리메틸실릴 아세틸렌 (11.347 g, 6.0 당량), CuI (1.833 g, 0.5 당량), TEA (2.68 mL, 1.0 당량), DMF (67.5 mL) 및 THF (202.5 mL)를 채웠다. 반응물을 아르곤 분위기 하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PPh3)4Pd (2.225 g, 0.1 당량)를 채운 다음 반응물을 3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 였다. 반응을 TLC (DCM 중의 10% 아세톤)에 의해 모니터링하였다. 반응물을 감압하에 농축시켰다. 에틸 아세테이트를 채우고, 포화된 중탄산나트륨 용액, 물 및 포화된 수성 염화나트륨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유기층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상기 화합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100-200 메쉬(mesh), DCM - 아세톤)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 (1.81 g, 36.14%).
제조 96
시클로프로필 -(4,6- 디클로로 -피리미딘-5-일)-메탄올
질소 분위기 하의 -78℃의 THF (50.0 mL) 중 디이소프로필아민 (3.72 g, 36.0 mmol)의 냉각된 용액에 n-BuLi (2.37 g, 36.0 mmol)를 천천히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상기 온도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THF 15 mL에 용해된 4,6-디클로로피리미딘 (5.0 g, 33.0 mmo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추가 30분 동안 -78℃에서 교반한 다음 시클로프로판 카르브알데히드 (2.58 g, 36.8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였다. 물 50.0 mL를 첨가하고, 유기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3 x 50 mL)로 추출하고, 포화된 수성 염화나트륨으로 세척한 다음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켰다. 감압하에 농축시켜 시클로프로필-(4,6-디클로로-피리미딘-5-일)-메탄올을 제공하였다 (4.0 g, 54% 수율). MS (APCI): m/z = 220 [M + H].
제조 97
시클로프로필 -(4,6- 디클로로 -피리미딘-5-일)- 메타논
0℃의 아세톤 80.0 mL 중 시클로프로필-(4,6-디클로로-피리미딘-5-일)-메탄올 (4.0 g, 18.2 mmol)에 산화크롬(VI) (5.84 g, 58.4 mmol)을 여러 번으로 나누어 첨가하고, 0℃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이소프로필 알콜을 첨가하여 과잉의 시약을 켄칭시키고 실온에서 추가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0℃로 냉각시킨 다음 포화된 NaHCO3 용액에 부었다. 셀라이트 (등록상표) 베드를 통해 여과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3 x 50 mL)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층을 포화된 수성 염화나트륨으로 세척하였다. 건조시킨 다음 감압하에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을 무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2.0 g, 50% 수율, 9.2 mmol).
MS (ES): m/z = 218 [M + H].
하기 제조 97-A 및 97-B의 화합물은 본질적으로 제조 9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할 수 있었다:
97-A: 1-(4,6-디클로로피리미딘-5-일)프로판-1-온
97-B: 1-(4,6-디클로로피리미딘-5-일)에타논
제조 98
4- 클로로 -3- 시클로프로필 -1H- 피라졸로[3,4-d]피리미딘
실온의 THF 300 mL에 용해된 시클로프로필-(4,6-디클로로피리미딘-5-일)-메타논 (9.66 g, 44.5 mmol)에 히드라진 수화물 (2.67 g, 53.4 mmol)을 천천히 첨가하고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완료된 후, 반응 혼합물을 물과 에틸 아세테이트 사이에 분배하고, 유기층을 수집하고, 포화된 수성 염화나트륨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생성된 표제 화합물을 용리액으로서 클로로포름/메탄올 (97:3)을 사용하여 단경로 실리카 겔 (60-120 메쉬) 패드를 통해 통과시켜 정제하였다.
MS (ES): m/z = 195 [M + H].
제조 99
4-(3-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1H- 이미다졸
씰링된 튜브에 포름아미드 (15 mL; 32.72 당량; 376.99 mmol; 15.00 mL; 16.98 g) 및 2-브로모-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타논 (3.077 g; 1.00 당량; 11.52 mmol; 3.08 g)을 첨가하고 3시간 동안 185℃로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NaHCO3에 붓고, EtOAc로 희석하고, 물 및 포화된 수성 염화나트륨으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한 다음 건조상태로 농축시켰다. 조 혼합물을 취하고, 디클로로메탄 (DCM)/메탄올 (0-10%)로 용리하는 플래쉬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수집한 다음 용매를 제거하여 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H-이미다졸을 제공하였다 (1.373 g; 0.56 당량; 6.47 mmol; 1.37 g; 56.16% 수율).
MS (ES): m/z = 213.0 [M + H].
제조 100의 화합물은 본질적으로 제조 99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할 수 있었다.
Figure 112009068972476-PCT00028
제조 101
4-(3-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1-(2- 트리메틸실라닐 - 에톡시메틸 )-1H- 이미다졸
250 mL 둥근바닥 플라스크 (고무 셉텀 및 질소 블랭킷 및 교반 막대가 장착됨)에 테트라히드로푸란 (30 mL; 368.66 mmol; 30.00 mL; 26.58 g), 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H-이미다졸 (1.047 g; 1.00 당량; 4.93 mmol; 1.05 g)을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0℃로 냉각시키고 5분 동안 유지하였다. 나트륨 히드라이드 (0.138 g; 1.11 당량; 5.46 mmol; 138.00 mg)를 플라스크에 첨가하고 상기 반응물을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 클로라이드 (1.15 mL; 1.31 당량; 6.49 mmol; 1.15 mL; 1.08 g)를 첨가한 다음 반응물을 실온으로 가온하였다. 반응물을 물로 희석하고, 상기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2회 추출한 다음 수성상을 폐기하였다. 상기 물질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건조상태로 농축시켰다. 조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헥산 (10-60% EtOAc)으로 용리하는 플래쉬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적절한 분획을 합한 다음 농축시켜 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트리메틸실라닐-에톡시메틸)-1H-이미다졸을 제공하였다 (1.178 g; 0.70 당량; 3.44 mmol; 1.18 g; 69.71% 수율).
MS(ES): (m/z) = 343.2 [M+H].
제조 102의 화합물은 본질적으로 제조 10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할 수 있 었다.
Figure 112009068972476-PCT00029
제조 103
4-히드록시-4-[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 트리메틸실라닐 -에톡시메틸)-1H- 이미다졸 -2-일]-피페리딘-1- 카르복실산 tert -부틸 에스테르
100 mL 둥근바닥 플라스크 (냉각 배스, 교반 막대 및 질소 블랭킷이 장착됨)에 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트리메틸실라닐-에톡시메틸)-1H-이미다졸 (0.995 g; 1.00 당량; 2.91 mmol; 995.00 mg), n-부틸리튬 (2.8 mL; 1.54 당량; 4.48 mmol; 2.80 mL; 1.90 g) 및 테트라히드로푸란 (30 mL; 368.66 mmol; 30.00 mL; 26.58 g)을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78℃로 냉각시키고 30분 동안 유지하였다. N-t-부톡시카르보닐-4-피페리돈 (0.706 g; 1.22 당량; 3.54 mmol; 706.00 mg)을 첨가하고 상기 반응물을 실온으로 가온하였다. 반응물을 CH2Cl2로 희석하고, 물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한 다음 건조상태로 농축시켰다. 조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헥산 (10-50% EtOAc)으로 용리하는 플래쉬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적절한 분획을 합한 다음 농축시켜 4-히드록시-4-[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트리메틸실라닐-에톡시메틸)-1H-이미다졸-2-일]-이페리딘-1-카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를 제공하였다 (1.248 g; 0.79 당량; 2.30 mmol; 1.25 g; 79.29% 수율).
MS(ES): (m/z) = 542.2 [M+H].
제조 104의 화합물은 본질적으로 제조 10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할 수 있었다.
Figure 112009068972476-PCT00030
제조 105
4-[4-(3-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1H- 이미다졸 -2-일]-피페리딘-4-올
마이크로웨이브 바이알에 4-히드록시-4-[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트리메틸실라닐-에톡시메틸)-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1-카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0.453 g; 1.00 당량; 836.28 μmol; 453.00 mg), 에탄올 (5 mL; 85.88 mmol; 5.00 mL; 3.96 g) 및 염화수소 (5 mL; 5.00 mmol; 1 N 수성)를 첨가하고, 교반하면서 마이크로웨이브에서 70℃로 가열하고 4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켜 4-[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4-올 염을 제공하였다 (0.32 g; 1.00 당량; 832.84 μmol; 320.00 mg; 99.59% 수율).
MS(ES): (m/z) = 312.2 [M+H].
제조 106의 화합물은 본질적으로 제조 105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할 수 있었다.
Figure 112009068972476-PCT00031
제조 107
1- 메틸 -4- 페닐 -1H- 이미다졸
분말 수산화칼륨 (20.81 mmol; 1.17 g)에 디메틸 술폭시드 (35 mL; 492.74 mmol)를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5-페닐-1H-이미다졸 (13.87 mmol; 2.00 g)을 첨가하고, 고체를 신속하게 용해시켜 주황색 용액을 제공하였다. 5분 동안 교반한 후, 메틸 요오다이드 (15.26 mmol; 950.36 μL)를 한번에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2X)로 추출한 다음 유기물을 포화된 염화나트륨/물 수용액 (2X)으로 세척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한 다음 증발시켜 황색 고체 1.71 g을 제공하였다. 조 물질을 바이오태그 40M 컬럼 상에서 40 mL/분의 유속으로 0.5% MeOH/DCM → 5% MeOH/DCM의 구배로 용리하는 ISCO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생성물 분획을 건조시켜 회백색 고체 (원치않는 위치이성질체가 7%임)를 제공하였다 (1.43 g, 65% 수율).
MS(ES): (m/z) = 159.0 [M+H].
제조 108
4-(1- 메틸 -4- 페닐 -1H- 이미다졸 -2-일)-피페리딘-4-올 디히드로클로라이드
1-메틸-4-페닐-1H-이미다졸 (9.05 mmol; 1.43 g)을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 (30.00 mL) 중에 용해시키고, 상기 혼합물을 -78℃로 냉각시켰다. n-부틸리튬 (1.30 당량; 11.77 mmol; 7.35 mL) (헥산 중의 1.6 M)을 천천히 첨가하고, 반응물을 -78℃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THF (20 mL) 중 N-t-부톡시카르보닐-4-피페리돈 (11.77 mmol; 2.34 g)의 용액을 20분에 걸쳐 적가하였다. 밤새 실온으로 가 온하면서 교반하였다. DCM 및 포화된 수성 염화나트륨/물 (50/50) (2 x DCM)로 희석한 다음 MgSO4 상에서 건조시켰다. 여과한 다음 농축시켜 조 황색 오일 3.8 g을 제공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바이오태그 40M 컬럼 상에서 40 mL/분의 유속으로 50:50의 EtOAc:Hex로 용리하는 ISCO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생성물 분획을 농축시켜 4-히드록시-4-(1-메틸-4-페닐-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1-카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를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2.00 g). ES-MS (M+H) = 358.3. 상기 물질을 디클로로메탄 5 mL 중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염화수소 (20.00 mmol; 5.00 mL) (디옥산 중의 4 M)를 천천히 첨가하였다. 대략 5분 후에 상기 용액은 탁해졌으며, 메탄올 3 mL를 첨가하여 반응물을 다시 용액으로 만들었다. 1시간 후, 반응은 95% 완료되었다. 디옥산 중의 4 M HCl 1 mL를 첨가한 다음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농축시켜 4-(1-메틸-4-페닐-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4-올 디히드로클로라이드를 담황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2.1 g). MS(ES): (m/z) = 258.3 [M+H].
제조 109
4- 클로로 -5- 요오도 -7H- 피롤로[2,3-d]피리미딘
6-클로로-7-데아자퓨린 (10.75 g, 70 mmol) 및 N-요오도숙신이미드 (16.8 g, 75 mmol)를 무수 DMF 400 mL 중에 용해시키고, 밤새 주변 온도에서 어두운 곳에 두었다. 용매를 증발시켰다. 진한 색의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500 mL와 10% Na2SO3 150 mL 사이에 분배하였다. 유기 분획을 10% Na2SO3 (2 x 100 mL) 및 포화 된 염화나트륨 수용액 (150 mL)으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증발시켰다. 황색 잔류물을 에탄올로부터 결정화시켜 4-클로로-5-요오도-7H-피롤로[2,3-d]피리미딘을 회백색 결정으로 수득하였다 (16.2 g, 83%). 모액을 증발시킨 다음 톨루엔 중에 용해시키고, 실리카 겔 (7 x 4 cm) 상에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용리액이 무색이 될 때까지 컬럼을 톨루엔으로 세척한 다음 표제 화합물을 톨루엔 중 5%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리하여 생성물 3.5 g을 추가로 제공하였다.
제조 110
4-(4- 클로로 -7H- 피롤로[2,3-d]피리미딘 -5-일)-2- 메틸부트 -3-인-2-올
4-클로로-5-요오도-7H-피롤로[2,3-d]피리미딘 (5.0 g, 1.0 당량), 2-메틸-3-부틴-2-올 (9.02 g, 6.0 당량), TEA (1.68 g, 0.93 당량), CuI (1.36 g, 0.4 당량), DMF (62.5 mL) 및 THF (187.5 mL)를 실온에서 아르곤 분위기 하에 채웠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5분 동안 아르곤 분위기 하에서 교반하였다. Pd(PPh3)4 (1.03 g, 0.05 당량)를 채우고 반응물을 45℃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 (65% CHCl3 : 23% 헥산 : 12% 아세톤)에 의해 모니터링하였다. 반응물을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에틸 아세테이트를 채우고, 물 및 포화된 수성 염화나트륨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다음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상기 화합물을 65% CHCl3 : 23% 헥산 : 12% 아세톤에서 결정화시켜 목적하는 화합물을 제공하였다 (3.35 g, 79.7%).
제조 111 및 112의 화합물은 본질적으로 제조 110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할 수 있었다.
Figure 112009068972476-PCT00032
제조 113
4- 클로로 -5-(3- 메틸 -3-( 트리메틸실릴옥시 ) 부트 -1- 이닐 )-7H- 피롤로[2,3-d]피리미딘
4-(4-클로로-7H-피롤로[2,3-d]피리미딘-5-일)-2-메틸부트-3-인-2-올 (3.35 g, 1.0 당량), 이미다졸 (2.9 g, 3.0 당량), TEA (2.16 g, 1.5 당량) 및 디에틸 에테르 (84 mL)를 실온에서 채웠다. 반응물을 0℃로 냉각시킨 다음 트리메틸실릴 클로라이드 (1.53 g, 1.0 당량)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 (DCM 중 5% MeOH)에 의해 모니터링하였다. 냉각된 DM 물을 채우고 디에틸 에테르로 추출하였다. 에테르 층을 포화된 수성 염화나트륨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 농축시켜 목적하는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3.06 g, 70%).
Figure 112009068972476-PCT00033
실시예 1
4-(4-(5-(2,4- 디클로로페닐 )-1H- 이미다졸 -2- )피페리딘-1- )-1H-피라졸로[3,4-d]-피리미딘 히드로클로라이드
4-(4-(2,4-디클로로페닐)-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 (270 mg, 0.91 mmol), 4-클로로-1H-피라졸로[3,4-d]피리미딘 (280 mg, 1.82 mmol), Et3N (0.63 mL, 4.5 mmol) 및 2-프로판올 (10 mL)의 혼합물을 N2 하에서 밤새 90℃에서 가열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킨 다음 물 (100 mL)에 부었다. 상기 혼합물을 CH2Cl2 (2 x 200 mL)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합하고, 물 (50 mL)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건조시키고 (Na2SO4), 상기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과물을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25 g의 SiO2, 4:1의 CH2Cl2/CMA로 용리함, 1000 mL)에 의해 정제하여 4-(4-(5-(2,4-디클로로페닐)-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을 제공하였다 (304 mg, 80%). 메탄올 (7 mL) 중 4-(4-(5-(2,4-디클로로페닐)-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 (300 mg, 0.72 mmol)의 현탁액에 염산 (2.0 M 수성, 0.36 mL, 0.72 mmol)을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진공하에 건조상태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메탄올 (2 mL) 중에 용해시키고, 디에틸 에테르 (50 mL)를 첨가하여 침전물을 형성하였다. 상기 침전물을 여과하고, 필터 케이크를 Et2O로 세척하였다. 고체를 메탄올 (10 mL) 중에 용해시키고, 용매를 진공하에 건조상태로 제거하여 4-(4-(5-(2,4-디클로로페닐)-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 히드로 클로라이드를 회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210 mg, 65%).
MS (APCI): m/z = 414 [M + H].
실시예 2 내지 33의 화합물은 본질적으로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할 수 있었다.
Figure 112009068972476-PCT00034
Figure 112009068972476-PCT00035
Figure 112009068972476-PCT00036
Figure 112009068972476-PCT00037
실시예 34
4-{4-[5-(4- 플루오로 -3-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1H- 이미다졸 -2-일]-피페라진-1-일}-1H- 피라졸로[3,4-d]피리미딘 히드로클로라이드
1-[5-(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H-이미다졸-2-일]-피페라진 (195 mg, 1.00 당량; 0.620 mmol), 4-클로로-1H-피라졸로[3,4-d]피리미딘 (1.00 당량; 0.620 mmol; 96 mg), 이소프로필 알콜 (3 mL)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1 mL)을 합하고, 마이크로웨이브 반응기에서 60분 동안 80℃에서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증발시킨 다음 5% MeOH/DCM으로 실리카 겔 상에서 정제하였다. 분획을 합하여 4-{4-[5-(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H-이미다졸-2-일]-피페라진- 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을 제공하였다 (213.2 mg, 0.494 mmol, 80%). 상기 유리 염기를 DCM/MeOH 중에 용해시키고, 에테르 중의 1 M HCl (1.0 당량)을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농축시켜 4-{4-[5-(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H-이미다졸-2-일]-피페라진-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 히드로클로라이드를 제공하였다 (237.2 mg).
MS (ES): m/z = 443 [M + H].
하기 화합물은 본질적으로 실시예 3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할 수 있었다.
Figure 112009068972476-PCT00038
Figure 112009068972476-PCT00039
Figure 112009068972476-PCT00040
실시예 51
6-(4-(4-(3-( 트리플루오로메톡시 ) 페닐 )-1H- 이미다졸 -2-일)피페리딘-1-일)-7H-퓨린
4-(4-(3-(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 (200 mg, 0.642 mmol), 6-클로로퓨린 (105 mg, 0.679 mmol) 및 트리에틸아민 (95 μL, 0.681 mmol)을 2-프로판올 (5 mL)에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80℃에서 3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킨 다음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고체를 CH2Cl2 (10 mL)로 연화처리하였다. 잔류 고체를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60 g, 40% 메탄올/메틸렌 클로라이드로 용리함, 0.500 L)에 의해 정제하여 6-(4-(4-(3-(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1-일)-7H-퓨린을 제공하였다 (179 mg, 65%).
MS (APCI): m/z = 430 [M + H].
실시예 52
4-{4-[4-(4- 메톡시 - 페닐 )-1H- 이미다졸 -2-일]-피페리딘-1-일}-1H- 피라졸로 [3,4-d]-피리미딘
마이크로웨이브 바이알에 4-클로로-1H-피라졸로[3,4-d]피리미딘 (135 mg; 1.10 당량; 873.45 μmol) 및 4-[4-(4-메톡시-페닐)-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 (205 mg, 1.00 당량; 796.63 μmol; 205.00 mg)을 넣고 이소프로필 알콜 (3 mL; 39.24 mmol; 3.00 mL) 중에 용해시켰다.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0.5 mL; 2.87 mmol; 500.00 μL)을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마이크로웨이브에서 70℃로 가열하고 1시간 동안 체류시켰다. 5% MeOH/DCM 중에 용해시키고, 포화된 수성 중탄산나트륨으로 세척하였다.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한 다음 농축시켰다. 바이오태그 40S 컬럼 상에서 35분의 수집시간 동안 40 mL/분의 유속으로 2.5% MeOH/DCM → 10% MeOH/DCM의 구배로 용리하는 ISCO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분획을 합하여 4-{4-[4-(4-메톡시-페닐)-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을 제공하였다.
MS (APCI): m/z = 376.2 [M + H].
실시예 53
4-{4-[4-(3-니트로- 페닐 )-1H- 이미다졸 -2-일]-피페리딘-1-일}-1H- 피라졸로 [3,4-d]-피리미딘
4-클로로-1H-피라졸로[3,4-d]피리미딘 (150 mg; 1.16 당량; 970.50 μmol; 150.00 mg) 및 4-[4-(3-니트로-페닐)-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 히드로클로라이드 염 (258 mg; 1.00 당량; 835.58 μmol; 258.00 mg)을 마이크로웨이브 바이알에 넣고 이소프로필 알콜 (3 mL; 39.24 mmol; 3.00 mL) 중에 용해시킨 다음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0.5 mL; 2.87 mmol; 500.00 μL)을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엠리스 옵티마이저(Emrys Optimizer) 마이크로웨이브에서 1시간 동안 70℃로 가열하였다. 여과하고, 여과물을 농축시켜 오일을 수득하였다. 고체 및 오일을 합하고, 이를 3% MeOH/DCM 중에 용해시켰다. 바이오태그 40S 컬럼 상에서 40 mL/분의 유속으로 2.5% MeOH/DCM → 10% MeOH/DCM의 구배로 용리하는 ISCO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적절한 분획을 수집한 다음 농축시켜 오일을 수득하였다. 상기 오일을 10% MeOH/DCM 중에 용해시키고, 상기 혼합물을 수성 중탄산나트륨/포화된 수성 염화나트륨으로 3회 세척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포화된 수성 염화나트륨으로 세척한 다음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켰다. 농축시킨 다음 감압하에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APCI): m/z = 391.0 [M + H].
실시예 53-A
4-(4-(4-(4- 플루오로 -3-(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1- 메틸 -1H- 이미다졸 -2-일)피페리딘-1-일)-3- 메틸 -1H- 피라졸로[3,4-d]피리미딘
마이크로웨이브 바이알에 4-[4-(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메틸-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 디히드로클로라이드 염 (0.5 g, 1.0 당량), 1-(4,6-디클로로-피리미딘-5-일)-에타논 (0.22 g, 1.0 당량), TEA (1.2 mL, 8.0 당량) 및 이소프로필 알콜 (5 mL)을 채웠다. 반응물을 마이크로웨이브에서 45분 동안 8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 (DCM 중 10% MeOH)에 의해 모니터링하였다. 반응물을 0℃로 냉각시킨 다음 히드라진 수화물 (0.07 mL, 1.2 당량)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서서히 가온하였다. 반응물을 마이크로웨이브에서 45분 동안 8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 (DCM 중 10% MeOH)에 의해 모니터링하였다. 반응물을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에틸 아세테이트를 채운 다음 물 및 포화된 수성 염화나트륨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다음 감압하에 농축시켰다. 상기 화합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 60-120 메쉬, DCM - 메탄올)에 의해 정제하였다. 생성물을 디에틸 에테르에서 결정화시키고, 이를 여과하여 4-(4-(4-(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메틸-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1-일)-3-메틸-1H-피라졸로[3,4-d]피리미딘을 제공하였다 (0.254 g, 50.29%). MS (M+H): m/z = 460.5
하기 화합물은 본질적으로 실시예 53-A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할 수 있었다.
Figure 112009068972476-PCT00041
실시예 53-C
3- 에티닐 -4-(4-(4-(4- 플루오로 -3-(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1- 메틸 -1H- 이미다졸 -2-일)피페리딘-1-일)-1H- 피라졸로[3,4-d]피리미딘
마이크로웨이브 바이알에 4-[4-(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메틸-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2HCl (0.2 g, 1.0 당량), 4-클로로-3-트리메틸실라 닐에티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 (0.151 g, 1.1 당량),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0.72 mL, 7.6 당량) 및 이소프로필 알콜 (6 mL)을 채웠다. 반응물을 마이크로웨이브에서 45분 동안 8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 (DCM 중 30% 아세톤)에 의해 모니터링하였다. 반응물을 농축시켰다. 에틸 아세테이트를 채운 다음 물 및 포화된 수성 염화나트륨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다음 감압하에 농축시켰다. 상기 화합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 100-200 메쉬, DCM - 아세톤)에 의해 정제하여 4-{4-[4-(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메틸-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1-일}-3-트리메틸실라닐에티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을 제공하였다 (0.18 g, 60.56%).
4-{4-[4-(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메틸-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1-일}-3-트리메틸실라닐에티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 (0.18 g, 1.0 당량), KOH (0.057 g, 3.0 당량), MeOH (3.7 mL) 및 DCM (1.85 mL)을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채웠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4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 (DCM 중 30% 아세톤)에 의해 모니터링하였다. 반응물을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DCM을 채우고, 물 및 포화된 수성 염화나트륨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다음 진공하에 농축시켜 3-에티닐-4-(4-(4-(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메틸-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을 제공하였다 (0.074 g, 46.07%). LCMS = 470.4 (M+1).
하기 화합물은 본질적으로 실시예 53-C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할 수 있었 다.
Figure 112009068972476-PCT00042
실시예 53-E
4-(4-(4-(4-(4- 플루오로 -3-(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1- 메틸 -1H- 이미다졸 -2-일)피페리딘-1-일)-7H- 피롤로[2,3-d]피리미딘 -5-일)-2- 메틸부트 -3-인-2-올
Figure 112009068972476-PCT00043
마이크로웨이브 바이알에 4-[4-(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메틸-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 디히드로클로라이드 (0.5 g, 1.0 당량), 4-클로로-3-(3-메틸-3-트리메틸실라닐옥시-부트-1-이닐)-1H-피롤로[3,4-d]피리미딘 (0.47 g, 1.0 당량),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2 mL, 7.6 당량) 및 이소프로필 알콜 (10 mL)을 채웠다. 반응물을 마이크로웨이브에서 1시간 동안 8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 (DCM 중 10% MeOH)에 의해 모니터링하였다. 반응물을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에틸 아세테이트를 채운 다음 물 및 포화된 수성 염화나트륨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다음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상기 화합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 60-120 메쉬, DCM - MeOH)에 의해 정제하였다. 생 성물을 디에틸 에테르에서 결정화시키고, 이를 여과하여 목적하는 생성물 4-(4-(4-(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메틸-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1-일)-5-(3-메틸-3-(트리메틸실릴옥시)부트-1-이닐)-7H-피롤로[2,3-d]피리미딘을 수득하였다 (0.21 g, 23%).
4-(4-(4-(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메틸-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1-일)-5-(3-메틸-3-(트리메틸실릴옥시)부트-1-이닐)-7H-피롤로[2,3-d]피리미딘 (0.21 g, 1.0 당량) 및 THF (2 mL)를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채웠다. 반응물을 0℃로 냉각시켰다.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 (0.19 mL, 2.0 당량)를 적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4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 (DCM 중 10% MeOH)에 의해 모니터링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를 채우고, 포화된 중탄산나트륨 용액 및 포화된 수성 염화나트륨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다음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생성물을 디에틸 에테르에서 결정화시키고, 이를 여과하여 4-(4-(4-(4-(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메틸-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1-일)-7H-피롤로[2,3-d]피리미딘-5-일)-2-메틸부트-3-인-2-올을 제공하였다 (0.11 g, 64%). MS (M+H): m/z = 474.6.
하기 화합물은 본질적으로 실시예 53-E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할 수 있었다.
Figure 112009068972476-PCT00044
실시예 54
4-{4-[4-(3-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1H- 이미다졸 -2-일]-피페리딘-1-일}-1H-피 라졸 로-[3,4-d]피리미딘 히드로클로라이드
Figure 112009068972476-PCT00045
22 L 4-목 둥근바닥 플라스크 (첨가 깔때기, 질소 블랭킷, 콘덴서, 스크러버 및 기계적 교반기가 장착됨)에 3-트리플루오로메틸-아세토페논 (1500 g, 1.00 당량; 7.97 mol) 및 디클로로메탄 (7.5 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투명한 무색 용액을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실온의 디클로로메탄 중 브롬 (1274 g; 1.00 당량; 7.97 mol)의 용액을 4시간에 걸쳐 첨가 깔때기를 통해 첨가하였다. 아이스 배스에 의해 온도를 25℃ 미만으로 조절하면서 포화된 수성 NaHCO3 (2000 mL)을 천천히 첨가하여 반응물을 켄칭시켰다. 상을 분리하고, 유기층을 포화된 수성 염화나트륨 (2000 mL)으로 세척한 다음 상기 용액을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켜 투명한 무색 오일을 수득하였다. 상기 조 오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단계 구배, 헵탄 중 20% → 50% CH2Cl2)에 의해 정제하여 2-브로모-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타논을 투명한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1667 g, 6.24 mol, 78%).
2-브로모-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에타논 (1664.7 g; 1.00 당량; 6.23 mol) 및 테트라히드로푸란 (7500 mL)을 12 L 3-목 둥근바닥 플라스크 (물-냉각되는 콘덴서, 질소 블랭킷, 기계적 교반기 및 냉각 배스가 장착됨)에 채웠다. 나트륨 아지드 (425.6 g; 1.05 당량; 6.55 mol)를 한번에 첨가하였다. 플라스크 안을 물 (135 mL)로 세정하였다. 담황색 슬러리를 실온에서 질소 하에 교반하였다. 6시간 후, 물 (260 mL)을 첨가한 다음 밤새 교반을 계속하였다. 생성된 주황색 슬러리를 얇은 셀라이트 (등록상표) 패드 상에서 여과하고 THF (1 L)로 세정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동일한 두 분량 (각각 5146.5 g)으로 나누었다. 2 개의 동일한 22 L 3-목 둥근바닥 플라스크 (첨가 깔때기, 물-냉각되는 콘덴서, 질소 블랭킷, 기계적 교반기 및 냉각 배스가 장착됨)를 트리페닐포스핀 (889 g, 3.43 mol, 1.1 당량), p-톨루엔술폰산 일수화물 (1304 g, 6.86 mol, 2.2 당량) 및 THF (5.6 L)로 채웠다. 첨가 속도 및 온도에 의한 질소 발생으로부터의 기포를 아이스 배스를 사용하여 제어하면서, 두 분량으로 나눈 중간체 혼합물을 첨가 깔때기를 통해 4시간에 걸쳐 각 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첨가가 완료된 후, 슬러리를 주변 온도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2 개의 반응기로부터의 고체를 동일한 필터 상에서 여과하였다. 2 개의 플라스크 및 합한 케이크를 THF (총 4 L)로 세척하였다. 40℃의 진공 오븐에서 밤새 건조시켜 (2-아미노-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타논)-, p-톨루엔 술포네이트 (1:1)를 백색의 결정질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2340 g, 6.23 mol, 72%).
(2-아미노-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타논)-, p-톨루엔 술포네이트 (1:1) (913 g, 2.43 mol) 및 1-tert-부톡시카르보닐이소니페코트산 (623 g, 2.73 mol, 1.12 당량)을 THF (2.75 L) 및 EtOAc (5.5 L)와 함께 채우고 0 내지 5℃로 냉각시켰다. 1.2 당량의 프로필포스폰산 무수물 (T3P) (1.2 당량, 2.91 mol, 1.512 L, EtOAc 중의 50% 용액)을 첨가하고, 첨가 동안 반응 온도를 0 내지 5℃로 유지하였다. 10분 동안 교반한 다음, 첨가 동안 온도를 5℃ 미만으로 유지하면서 N-메틸모르폴린 (566 g, 5.6 mol, 2.3 당량)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10시간 후에 아이스 배스에서 냉각시킨 다음 물 (7.3 L)을 첨가하였다. 층을 분리하고, 수성층을 EtOAc (2.75 L)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합하고, 0.5 M 중탄산나트륨 수용액 (2.75 L)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포화된 수성 염화나트륨 (2.75 L)으로 세척한 다음 생성된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으로 처리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증류에 의해 제거하여 대략 4.6 L로 감소시켰다. 용매를 증류에 의해 제거 하면서 최종 부피가 대략 11 L가 될 때까지 큰 통의 헵탄 (11 L)을 첨가하였다. 50℃로 냉각시키고 분산시켰다. 생성된 슬러리를 50℃에서 3시간 동안 체류시킨 다음 슬러리를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고체를 여과하고, 케이크를 먼저 헵탄 중 10% EtOAc (2 L)로 세척한 다음 헵탄 (2 L)으로 세척하였다. 60℃의 진공 오븐에서 3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4-[2-옥소-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카르바모일]-피페리딘-1-카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800 g, 79%).
메탄올 (2300 mL) 중 4-[2-옥소-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카르바모일]-피페리딘-1-카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773.3 g; 1.00 당량; 1.87 mol)의 용액을 제조하였다. 메탄올 (3500 mL) 중 아세트산 암모늄 (755.08 g; 9.80 mol)의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두 용액을 5:1 몰 비의 아세트산 암모늄 대 4-[2-옥소-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카르바모일]-피페리딘-1-카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로, 45분의 체류 시간으로 펌핑하였다. 실온에서 T자형으로 2 개의 스트림을 합한 다음, 5시간 동안 오븐 온도가 170℃인 열적 튜브 반응기로 흐르게 하였다. 수집된 생성물 용액을 전부 합하고 감압하에 농축시킨 다음, 용매를 n-BuOH 3500 mL로 교체하였다. 상기 용액을 포화된 수성 NaHCO3 3000 mL 및 물 1000 mL의 혼합물로 세척하였다. 포화된 수성 염화나트륨 (3000 mL)으로 다시 세척한 다음, 1 L의 n-BuOH를 증류시켜 (45℃의 배스 온도) 공비혼합적으로 건조시켰다. 증류 동안에 침전된 고체를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냉각 배스 안의 5 L 4-목 플라스크에 채웠다. 아이스 배스를 사용하여 온도를 55℃ 미만으로 제어하면서 무수 HCl 기체를 용액 안으로 천천히 버블링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헵탄 (4000 mL)을 첨가 깔때기를 통해 천천히 첨가한 다음 생성된 슬러리를 아이스 배스에서 5℃ 미만으로 냉각시키고 15분 동안 체류시켰다. 고체를 여과하고, 케이크를 헵탄 (2 x 600 mL)으로 세척하였다. 고체를 40℃의 진공 오븐에서 건조시켜 (4-[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 히드로클로라이드 (1:1)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619.1 g, 1.87 mol, 92%).
4-클로로-1H-피라졸로[3,4-d]피리미딘 (93.3 g; 1.00 당량; 603.66 mmol; 93.30 g), (4-[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 히드로클로라이드 (1:1) (200.1 g; 1.00 당량; 603.13 mmol) 및 메탄올 (1800 mL)을 5000 mL 4-목 둥근바닥 플라스크 (질소 블랭킷, 고무 셉텀, 기계적 교반기, 가열 맨틀, 콘덴서 및 열전지 프로브가 장착됨)에 채웠다. 트리에틸아민 (280 mL; 2.01 mol)을 첨가 깔때기를 통해 대략 15분에 걸쳐 첨가하였다. 생성된 투명한 주황색 용액을 50℃로 가열하고 50℃에서 15분 동안 체류시켰다. 반응이 HPLC에 의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었을 때, 물 (2000 mL)을 50℃에서 첨가 깔때기를 통해 첨가하였다. 상기 물의 첨가 동안 시드(seed) 결정을 첨가하여 생성물을 결정화시켰다. 첨가가 완료된 후, 슬러리를 1시간 동안 환류하에 가열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다음 여과하고, 고체를 물 중 20% MeOH (2 x 250 mL)로 세척하였다. 고체를 45℃의 진공 오븐에서 밤새 건조시켜 4-{4-[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을 황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211.5 g, 0.603 mol, 85%).
융점 = 281℃; MS m/z = 414 [M + H].
4-{4-[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 (442.9 g, 1.07 mol) 및 IPA (4.43 L)를 채우고, 생성된 슬러리를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HCl (214 mL, 5 M 수용액, 1.07 mol, 1.0 당량)을 천천히 첨가한 다음 50℃로 가열하였다.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아세톤 (4.43 L)을 첨가하고 4시간 동안 가열을 계속하였다. 2시간에 걸쳐 15℃로 냉각시킨 다음 고체를 여과하였다. 필터 케이크를 아세톤 (800 mL)으로 세척하고, 생성된 고체를 60℃의 진공 오븐에서 3시간 동안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을 황갈색 내지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458 g, 94%).
융점 = 306℃; MS (ES): m/z = 414 [M+H].
실시예 55
4-{4-[4-(4- 플루오로 -3-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1- 메틸 -1H- 이미다졸 -2-일]-피페리딘-1-일}-1H- 피라졸로[3,4-d]피리미딘 히드로클로라이드
Figure 112009068972476-PCT00046
에틸 아세테이트 (450 mL; 4.60 mol) 중 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펜아실 브로마이드 (60.00 g; 1.00 당량; 210.50 mmol)의 용액에 메텐아민 (1.10 당량; 231.55 mmol; 32.46 g)을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 다. 용매를 진공하에 제거하고, 고체를 MTBE로 연화처리하였다. 여과한 다음 감압하에 건조시켰다. 에탄올 (450 mL; 7.73 mol)을 첨가한 다음 염화수소 (150 mL; 8.30 당량; 1.75 mol)를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하에 제거하고, 고체를 50℃에서 1주 동안 진공하에 건조시켜 2-아미노-1-(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타논 히드로클로라이드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54.23 g; 100% 수율).
THF (400 mL) 중 피페리딘-1,4-디카르복실산 모노-tert-부틸 에스테르 (1.20 당량; 252.61 mmol; 57.92 g)의 용액에 N-메틸모르폴린 (3 당량; 631.52 mmol; 69.66 mL)을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드라이 아이스-아세톤 배스를 사용하여 -10℃로 냉각시켰다. 온도를 -5℃ 미만으로 유지하면서 이소부틸 클로로포르메이트 (1.1 당량; 231.56 mmol; 30.26 mL)를 적가하였다. -5℃ 내지 10℃에서 30분 후, THF (300 mL)에 현탁된 2-아미노-1-(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타논 히드로클로라이드 (54.23 g; 1.00 당량; 210.51 mmol)를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5℃의 배스에서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 및 EtOAc를 첨가한 다음, 유기층을 물 및 포화된 수성 염화나트륨으로 세척하였다.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용매를 진공하에 제거하였다. 조 물질을 MTBE 중에 현탁시키고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고체를 여과한 다음 진공하에 건조시켜 1-[2-(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2-옥소-에틸카르바모일]-피페리딘-4-카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를 제공하였다 (64.44 g; 70.79% 수율).
1-부탄올 (150 mL; 1.64 mol) 중 1-[2-(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2-옥소-에틸카르바모일]-피페리딘-4-카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29.4 g; 1.00 당량; 67.99 mmol)의 용액에 아세트산 암모늄 (15 당량; 1.02 mol; 78.61 g)을 첨가한 다음 트리에틸아민 (1 당량; 67.99 mmol; 9.48 mL)을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씰링된 튜브에서 3시간 동안 160℃에서 교반하였다. EtOAc 및 물을 첨가한 다음, 유기층을 추가의 물 및 포화된 수성 염화나트륨으로 세척하고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조 물질을 MTBE로 연화처리하고 여과한 다음 감압하에 건조시켜 4-[4-(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1-카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를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8.23 g; 44.10 mmol, 64.86% 수율).
디메틸 술폭시드 200 mL 중 수산화칼륨 (1.5 당량; 58.16 mmol; 3.26 g)의 용액에 디메틸 술폭시드 40 mL 중 4-[4-(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1-카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16.03 g; 1.00 당량; 38.77 mmol)를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5분 후, 메틸 요오다이드 (1.1 당량; 42.65 mmol; 2.66 mL)를 한번에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상기 혼합물을 빙수에 부었다. 고체를 여과하고, 물로 세척한 다음 감압하에 건조시켰다. 고체를 고온의 헵탄으로 연화처리하고 여과한 다음 감압하에 건조시켜 4-[4-(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메틸-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1-카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를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8.7 g; 52.49% 수율).
디클로로메탄 (101.77 mL) 중 4-[4-(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1-메틸-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1-카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8.7 g; 1.00 당량; 20.35 mmol)의 용액에 염화수소 (4.00 당량; 81.41 mmol; 20.35 mL)를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상기 용액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하에 제거하고, 조 물질을 이소프로필 알콜 (101.77 mL) 중에 용해시켰다. 4-클로로-1H-피라졸로[3,4-d]피리미딘 (1.65 당량; 33.58 mmol; 5.19 g) 및 트리에틸아민 (10 당량; 203.54 mmol; 28.37 mL)을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1시간 동안 환류하에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하에 제거하고, 조 물질을 밤새 물로 연화처리하였다. 고체를 여과하고, 고온의 아세토니트릴로 연화처리하고, 여과한 다음 진공하에 건조시켰다. 4-{4-[5-(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메틸-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을 담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8.42 g; 18.86 mmol; 92.66% 수율).
디클로로메탄 (50 mL) 중 4-{4-[4-(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메틸-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 (7.5 g; 1.00 당량; 16.84 mmol)의 현탁액에 염화수소 (1.1 당량; 18.52 mmol; 4.63 mL)를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하에 제거하고, 조 물질을 1시간 동안 MTBE로 연화처리하였다.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하에 밤새 건조시켜 4-{4-[4-(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메틸-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 히드로클로라이드를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7.99 g; 16.58 mmol; 98.47% 수율).
Figure 112009068972476-PCT00047
실시예 56
결정질 4-{4-[4-(3-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1H- 이미다졸 -2-일]-피페리딘-1-일}-1H- 피라졸로[3,4-d]피리미딘 히드로클로라이드
4-{4-[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 (134 mg)을 아세톤 (2 mL) 중에 현탁시켰다. 상기 현탁액을 77℃로 가열한 다음 메탄올 (1 mL)을 첨가하였다. 상기 용액에 0.25 M HCl (1.28 mL)을 첨가하고 서서히 냉각시켰다. 헵탄 (2 mL)을 첨가한 다음 아세톤 (6 mL)을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밤새 증발시켰다. 생성된 오일에 아세톤 (3 mL)을 첨가하고, 생성된 백색 고체를 아세톤 중에서 4시간 동안 슬러리로 만들었다. 상기 현탁액을 여과한 다음 공기-건조시켜 98 mg을 제공하였고, 이를 진공하에 45℃의 진공 오븐에서 건조시켰다. 상기 포말체는 294℃의 흡열 개시온도를 갖는다.
X-선 분말 회절 분석은 40 kV 및 50 mA에서 작동하는, CuKα 공급원 (λ = 1.54056 Å)이 장착된 D4 인데버(Endeaver) 회절분석기로 수행하였다. 샘플을 2θ에 대해 0.009°인 스텝 사이즈(step size) 및 스텝 당 1.5초 이상의 스캔 속도로, 2θ에 대해 4° 내지 40°인 범위에서 스캐닝하였다. 샘플 대체 오차(Sample displacement error)는 NIST 표준 SRM675 (2θ에 대해 8.8°에서 표준 피크)를 이용하여 보정되었다.
Figure 112009068972476-PCT00048
본 발명은 7.1°± 0.1 또는 21.7°± 0.1의 2θ 회절각에서 나타나는 X-선 패턴의 하나 이상의 피크를 특징으로 하는 결정질 4-{4-[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 히드로클로라이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7.1°± 0.1 또는 21.7°± 0.1의 2θ 회절각에서 나타나는 X-선 패턴의 하나 이상의 피크를 특징으로 하는 결정질 4-{4-[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 히드로클로라이드를 포함하는 제약 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추가로 혈관신생 억제용 또는 결장의 선암종 치료용 약제의 제조를 위한, 7.1°± 0.1 또는 21.7°± 0.1의 2θ 회절각에서 나타나는 X-선 패턴의 하나 이상의 피크를 특징으로 하는 결정질 4-{4-[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 히드로클로라이드의 용도를 제공한다.
염 및 결정의 제조에 대한 일반적인 절차
메탄올 중 대상 화합물의 유리 염기 (0.1 M) 250 μL를 96-웰 포맷에 세팅된 모든 웰에 첨가하여 마스터 플레이트를 제조하였다. 정렬된 산을 화학량론적 몰 당량으로 각 웰에 분배하였다. 제네박 시리즈 II(Genevac Series II) 증발기를 사 용하여 용매를 모든 96-웰로부터 증발시켜 마스터 플레이트에 고체 잔류물 또는 오일을 생성하였다. 정렬된 용매를 씰링 개스킷을 통해 상기 웰 각각에 분배한 다음 교반하면서 55℃로 가열하고, 약 55℃에서 60 내지 90분 동안 평형화시켰다. 이어서, 각 샘플을 여과하고 증발 플레이트, 침전 플레이트 및 냉각 플레이트의 상응하는 웰에 이동시켰다. 증발 플레이트는 마스터 플레이트로부터의 여과물 200 μL를 55℃로 가열된 시린지를 사용하여 개방 웰 티터 플레이트로 이동시킨 다음 실온 및 주변 습도에서 밤새 건조상태로 증발시켜 제조하였다. 침전 플레이트는 각각의 웰이 헵탄 또는 물의 항-용매 200 μL를 함유하는 개스킷-씰링된 96-웰 티터 플레이트에 마스터 플레이트로부터의 여과물 100 μL를 55℃로 가열된 시린지를 사용하여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실온에서 9시간 동안 평형화시킨 후, 과잉의 용액을 예비-커팅된 와트만(Whatman) 여과지를 사용하여 옮겼다. 냉각 플레이트는 마스터 플레이트로부터의 여과물 200 μL를 55℃로 가열된 시린지를 사용하여 개스킷-씰링된 티터 플레이트의 각각의 웰로 이동시킨 다음 통상적으로 8시간에 걸쳐 55℃에서 10℃로 냉각시켜 제조하였다. 2.5X 대물렌즈를 갖춘 자이스 악시오베르트(Zeiss Axiovert) 200M 도립 입사광 현미경을 이용하여 96-웰 플레이트의 각각의 웰에서 물질에 대한 현미경 사진을 수집하였다. 물질이 결정질인 경우, 이는 어두운 배경에 대해 백색으로 디스플레이되는 복굴절을 나타낸다. 무정형 고체 또는 오일은 흑색 또는 불투명한 방울 또는 고리로서 나타난다.
실시예 57
4-{4-[4-(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메틸-1H- 이미다졸 -2-일]- 피페리딘-1-일}-1H- 피라졸로[3,4-d]피리미딘 p- 톨루엔술포네이트
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펜아실 브로마이드 (HPLC에 의해 93% 순수함, 1000 g; 3.51 mol) 및 테트라히드로푸란 (5 L)의 용액을 아이스 배스에서 5℃ 미만으로 냉각시켰다. 물 (800 mL) 중 나트륨 아지드 (239 g; 3.68 mol, 1.05 당량)의 용액을 5℃ 미만에서 1시간에 걸쳐 적가하였다. 5℃ 미만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수성층을 분리하고 폐기하였다. 여전히 냉각시키면서 유기층을 트리페닐포스핀 (920.2 g, 3.51 mol, 1.0 당량), p-톨루엔술폰산 일수화물 (1335 g, 7.02 mol, 2.0 당량) 및 THF (5 L)의 용액에 3시간에 걸쳐 천천히 첨가하였다. 온도는 첨가 전반에 걸쳐 15℃ 미만으로 유지하였고, 첨가 동안 고체가 침전되었다.
반응 혼합물을 20℃ 미만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고체를 여과하고, THF (3 x 2 L)로 세척하고 진공하에 50℃에서 건조시켜 2-아미노-1-(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타논 p-톨루엔술포네이트 1167.4 g을 백색 결정질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85%, 출발 물질의 순도에 대해 92%로 정정됨).
2-아미노-1-(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타논 p-톨루엔술포네이트 (1133 g; 2.88 mol), 1-(tert-부톡시카르보닐)피페리딘-4-카르복실산 (795 g; 3.47 mol, 1.20 당량), 테트라히드로푸란 (3450 mL) 및 에틸 아세테이트 (7500 mL)를 합하여 얇은 백색 슬러리를 형성하였다. 상기 슬러리를 아이스 배스에서 5℃ 미만으로 냉각시키고, 2-프로판포스폰산 무수물 (T3P) (EtOAc 중의 50% 용액) (2385 g; 3.75 mol, 1.3 당량)을 첨가하였다. 이어서, N-메틸모르폴린 (795 mL; 7.21 mol, 2.5 당량)을 온도를 10℃ 미만으로 유지하면서 1시간에 걸쳐 첨가하였다. 생성된 슬러리를 주변 온도로 가온한 다음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을 첨가하여 반응물을 켄칭시켰다. 유기상을 분리한 다음 수성 NaHCO3 및 수성 NaCl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회전 증발기 상에서 50℃로 가온하고 n-헵탄을 첨가하였다. 최종 슬러리 부피가 대략 5 L가 될 때까지 용매를 진공하에 증류시켰다. 슬러리를 실온으로 냉각시킨 다음 고체를 여과하고, n-헵탄 (2 x 1 L)으로 세척한 다음 50℃의 진공 오븐에서 밤새 건조시켜 1-[2-(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2-옥소-에틸카르바모일]-피페리딘-4-카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를 백색 고체로서 생성하였다 (1124.8 g, 90%).
1-[2-(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2-옥소-에틸카르바모일]-피페리딘-4-카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100 g, 231 mmol), 아세트산 암모늄 (178.3 g; 2.31 mol, 10 당량) 및 메탄올 (1000 mL)을 합하였다. 이 전환에 사용되는 반응기는 코일 1/16" I.D. 스테인레스 강철 튜브 (오븐의 배관의 총 내부 부피는 541 mol임)였다. 반응기를 오븐에서 140℃로 가열하였다. 상기 튜브의 배압을 레귤레이터에 의해 250 psig로 조절하여 통상의 비등점 이상으로 용액이 과열되도록 하였다. 상기에서 제조된 용액을 압력하에 가열된 튜브를 통해 6.01 mL/분으로 지속적으로 펌핑하였다 (가열된 튜브에서의 총 체류 시간은 90분으로 제공됨). 상기 용액을 오븐에서 꺼낸 다음, 다시 튜브-인-튜브 열 교환기에서 20℃로 냉각시켰다. 반응기를 통한 전체 용액 공정 (8시간의 총 공정 시간) 후, 생성된 주황색 용액을 30℃에서 진공하에 농축시켜 600 mL의 총 부피를 얻었다. 아세토니트릴 (200 mL)을 첨가하고 상기 용액을 50℃로 가열하였다. 물 (700 mL)을 2시간에 걸쳐 분산시키면서 적가하여 생성물을 결정화시켰다. 생성된 슬러리를 20℃로 냉각시키고, 고체를 여과한 다음 물 중의 20% MeOH (2 x 200 mL)로 세척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50℃에서 진공하에 건조시켰다. 고체를 50℃의 아세토니트릴 (200 mL) 중에서 다시 슬러리로 만들었다. 상기 슬러리를 주변 온도로 냉각시키고, 고체를 여과한 다음 아세토니트릴 (100 mL)로 세척하여 4-[4-(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1-카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를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54.43 g, 132 mmol, 57%).
4-[4-(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1-카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80.02 g, 183.69 mmol)를 디메틸술폭시드 (1060 mL) 중에 용해시켰다. KOH (18.47 g; 279.82 mmol; 1.5 당량)를 한번에 첨가하였다. 메틸 요오다이드 (27.74 g; 193.48 mmol, 1.05 당량)를 25℃에서 30분에 걸쳐 첨가하였다. 상기 용액을 25℃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용액에 4-[4-(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메틸-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1-카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시드 결정 (0.17 g) 및 물 (80 mL)의 혼합물을 5분에 걸쳐 첨가하였다. 생성된 얇은 슬러리를 25℃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추가의 물 (240.73 mL)을 25℃에서 30분에 걸쳐 첨가하였다. 고체를 여과하고, 물 중의 20% DMSO (2 x 120 mL)로 세척한 다음 물 (120 mL)로 세척하였다. 고체를 60℃에서 진공하에 건조시켰다. 생성된 건조된 고체를 50℃의 에탄올 (480 mL) 중에 용 해시켰다. 물 (240 mL)을 5분에 걸쳐 첨가하였다. 이어서, 4-[4-(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메틸-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1-카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시드 (0.038 g) 및 추가의 물 (240 mL)을 30분에 걸쳐 첨가하였다. 생성된 슬러리를 2시간에 걸쳐 25℃로 냉각시켰다. 고체를 여과하고, 케이크를 물 중의 20% EtOH로 세척하였다. 상기 고체를 60℃에서 진공하에 건조시켜 4-[4-(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메틸-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1-카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72.36 g, 92%).
5℃ 미만에서 메탄올 (1160 mL)에 아세틸 클로라이드 (193.14 mL; 2.71 mol, 4.00 당량)를 45분에 걸쳐 천천히 첨가하여 무수 HCl 용액을 제조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메탄올 (2320 mL) 중 4-[4-(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메틸-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1-카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290 g; 678.46 mmol)의 용액을 함유하는 별도의 플라스크에 20℃에서 90분에 걸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30℃에서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디메틸 술폭시드 (1080 mL; 15.20 mol; 1.08 L; 1.19 kg)를 첨가하고, 내부 온도가 20 mmHg의 압력에서 50℃에 이를 때까지 증류를 계속하였다. DMSO를 총 부피가 2030 mL가 될 때까지 첨가하였다. 이어서, 트리에틸아민 (473 mL; 3.39 mol, 5 당량)을 30분에 걸쳐 첨가 깔때기를 통해 첨가하였다. 고체 4-클로로-1H-피라졸로[3,4-d]피리미딘 (110.29 g; 713.58 mmol, 1.05 당량)을 30분에 걸쳐 동일한 간격으로 동일한 분량으로 채웠다. 생성된 슬러리를 2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상기 슬러리를 80℃로 가열하였다. 물 (229 mL)을 첨가하여 투명한 용액을 수득하였다. 반응물을 분산시키고, 추가의 물 (1273 mL)을 4시간에 걸쳐 천천히 첨가하여 생성물을 완전히 결정화시켰다. 슬러리를 50℃로 냉각시킨 다음 고체를 여과하였다. 케이크를 DMSO 중의 30% 물 (2 x 290 mL)로 세척한 다음 물 (290 mL)로 세척하였다. 고체를 60℃에서 진공하에 건조시켜 4-{4-[4-(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메틸-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301 g, 99%).
4-{4-[4-(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메틸-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 (20 g, 44.9 mmol)을 20:1의 H2O:아세톤 혼합물 (360 mL) 중에 용해시켰다. 상기 반응물에 20:1의 H2O:아세톤 혼합물 (40 mL) 중 p-톨루엔술폰산 일수화물 (10.25 g, 53.9 mmol, 1.2 당량)의 용액을 20℃에서 20분에 걸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55℃로 가열하고 1시간 동안 체류시킨 다음 1시간에 걸쳐 25℃로 냉각시켰다. 고체를 여과하고, 케이크를 물 (40 mL)로 세척하였다. 50℃에서 진공하에 건조시켜 4-{4-[4-(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메틸-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 p-톨루엔술포네이트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23.9 g, 86%).
실시예 58
결정질 4-{4-[4-(4- 플루오로 -3-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1- 메틸 -1H- 이미다 졸-2-일]-피페리딘-1-일}-1H- 피라졸로[3,4-d]피리미딘 p- 톨루엔술포네이트
오버헤드(overhead) 교반기를 갖춘 1-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4-{4-[4-(4-플 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메틸-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 60.12 g을 채운 다음 5% 수성 MeOH 250 mL를 채웠다. 생성된 슬러리를 교반하고, p-톨루엔술폰산 일수화물 (26.88 g)을 첨가한 다음 남은 5% 수성 MeOH 50 mL로 수행된 세정액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슬러리를 교반한 다음 결정을 5℃로 냉각시켰다. 5℃에서 1시간 후 교반을 중지하고, 슬러리를 부흐너(Buchner) 깔때기 상에서 여과하였다. 플라스크를 냉각된 5% 수성 MeOH 75 mL로 세정하고, 상기 세정액을 사용하여 필터 케이크를 세척하였다. 고체를 칭량 접시로 옮기고, 저속의 에어 블리드(air bleed)로 진공하에 하루종일 50℃에서 건조시켰다. 최종 중량은 71.44 g였다.
X-선 분말 회절 분석은 40 kV 및 50 mA에서 작동하는, CuKα 공급원 (λ = 1.54056 Å)이 장착된 D4 인데버 회절분석기로 수행하였다. 샘플을 2θ에 대해 0.009°인 스텝 사이즈 및 스텝 당 1.5초 이상의 스캔 속도로, 2θ에 대해 4° 내지 40°인 범위에서 스캐닝하였다.
Figure 112009068972476-PCT00049
본 발명은 13.7°± 0.1 또는 10.3°± 0.1의 2θ 회절각에서 나타나는 X-선 패턴의 하나 이상의 피크를 특징으로 하는 결정질 4-{4-[4-(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메틸-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 p-톨루엔술포네이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13.7°± 0.1 또는 10.3°± 0.1의 2θ 회절각에서 나타나는 X-선 패턴의 하나 이상의 피크를 특징으로 하는 결정질 4-{4-[4-(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메틸-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 p-톨루엔술포네이트를 포함하는 제약 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추가로 혈관신생 억제용 또는 결장의 선암종 치료용 약제의 제조를 위한, 13.7°± 0.1 또는 10.3°± 0.1의 2θ 회절각에서 나타나는 X-선 패턴의 하나 이상의 피크를 특징으로 하는 결정질 4-{4-[4-(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메틸-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 p-톨루엔술포네이트의 용도를 제공한다.
p70 S6 키나제 억제제
업스테이트 유에스에이, 인코포레이티드(Upstate USA, Inc.) (버지니아주 샬로츠빌에 소재함)로부터의 p70 S6 키나제 (T412E)를 96-웰 플레이트에서 30분 동안 실온에서 15 μL 부피의 10배 농도의 화합물과 함께 예비인큐베이션시켰다. PKA, PKC, MAPKAP - K1 기질 (캘리포니아주 산 호세에 소재한 아나스펙(AnaSpec)으로부터 입수함) 및 감마 33P-ATP (메사추세츠주 월섬에 소재한 퍼킨엘머(PerkinElmer)로부터 입수함)를 첨가하여 반응을 개시하였고, 10 mM HEPES (pH 7.5), 10 mM MgCl2, 1.0 mM DTT, 0.082 mM EGTA, 0.005% 트리톤 엑스-100(TRITON X-100; 상표명), 25 μM ATP, 40 μCi/mL, 4 μM 기질 및 5 nM 효소의 조건하에 최종 25 μL의 부피로 실온에서 60분 동안 진행시켰다. 10% H3PO4 75 μL를 사용하여 반응을 종결시키고, 켄칭시킨 반응 혼합물 85 μL를 포스포셀룰로스 필터 플레이트 (밀리포어(Millipore) #MAPHN0B50)로 이동시킨 다음 진공 매니폴드를 사용하여 0.5% H3PO4로 세척하였다. 마이크로신트(Microscint) 20 (팩커드(Packard) #60113621) 100 μL를 각 웰에 첨가하고, 라이너 플레이트를 월락 베타(Wallac Beta) 계수기를 사용하여 계수하였다. 비선형 4 개 파라미터 적합화에 의해 상대적인 IC50 값을 계산하였다. 예시된 화합물을 본질적으로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시험하였고, 0.75 μM 이하의 IC50 값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하기 화합물은 본질적으로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시험하였고, 하기 활성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Figure 112009068972476-PCT00050
이는 본 발명의 화합물이 효능적인 p70 S6 키나제 억제제임을 나타낸다.
혈관신생 코드( cord ) 형성 분석
1일째에, 인간 신생아 피부 섬유모세포 (네오 NHDF)를 팩커드 96-웰 플레이트에 분산시키고 37℃ 및 5% CO2 인큐베이터에서 인큐베이션시켰다. 이어서, 인간 배꼽정맥 내피세포 (HUVEC)를 네오 NHDF 세포의 상부에 플레이팅하였다. 개시한지 3일째에, 공동-배양물을 20 ng/mL의 혈관 내피 성장 인자 (VEGF)의 존재하에 8-용량의 일련의 시험 화합물 (20 μM로 시작함, 1:3 계열 희석)로 처리하였다. 화합물 및 VEGF를 2 내지 3일마다 보충하였다. 분석은 12일의 기간 동안 수행하였다. 12일째에, 세포를 30분 동안 냉각된 70% 에탄올에 의해 고정시키고 항-인간 CD31 면역형광에 대해 가공처리하였다. 배양물을 마우스 항-인간 CD31 항체와 함께 인큐베이션시킨 다음 염소 항-마우스 알렉사(alexa) 488 2차 항체에 의해 착색시켰다. 세포를 또한 훽스트(Hoechst)에 의해 착색시켜 핵을 가시화하였다. 착색 후, 코드 형성을 캡쳐하고, 튜브 형태 바이오어플리케이션(BioApplication)을 채택하는 셀로믹스 어레이스캔(Cellomics Arrayscan; 등록상표) VTI 고용량 이미지 분석 플랫폼을 사용하여 정량하였다. 코드 영역 및 혈관신생 지수의 2 개의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상기 혈관신생 분석에서 시험 화합물의 상대적 효능을 계산하였다. 실시예 5 및 10의 화합물을 본질적으로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시험 및 분석하였다.
Figure 112009068972476-PCT00051
이는 본 발명의 화합물이 혈관신생을 억제하는데 유용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세포 분석
세포를 보존한 다음 트립신화시키고, 둘베코 변형 이글 배지 (DMEM - 10% 소태아 혈청 (FBS), 25 mM 4-(2-히드록시에틸)-1-피페라진에탄술폰산 (HEPES), 1.0 mM 나트륨 피루베이트 및 0.1 mM 비필수 아미노산 (NEAA)을 함유함)에 현탁시켰다. 1 x 103 개 HCT116 및 2 x 103 개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50 μL로 분산시키고 5% CO2 및 37℃에서 밤새 인큐베이션시켰다. 목적하는 출발 농도의 화합물을 제조하고 DMSO로 계열 희석하였다. 희석된 화합물 4 μL를 10% FBS DMEM 1 mL에 이동시켜, 투여를 위해 세포의 존재하에 50 μL에 50 μL를 첨가하면서 2X 농도를 이루었다. 플레이트를 37℃ 및 5% CO2에서 72시간 동안 인큐베이션시켰다. 인큐베이션 기간의 말기에, 알라마르 블루(Alamar Blue) 10 μL를 첨가하고 반응 2시간 후 530 nm의 여기, 580 nm의 방출 및 증폭 45의 사이토플루오르(CytoFluor)에서 측정치를 측정하였다. 하기 화합물을 본질적으로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하기 세포주에서 시험하였다.
Figure 112009068972476-PCT00052
이는 본 발명의 화합물이 p70 S6 키나제와 관련한 메카니즘을 통해 상기 세포주의 증식을 억제하는데 유용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p70 S6K 생체내 표적 억제의 측정 ( HCT 116)
HCT 116 인간 결장 암종 세포* (5 x 106 개)를 마트리겔(matrigel) 0.2 mL 중에서 흉선이 없는 누드 마우스의 옆구리에 피하 이식하였다. 이식후 2주째에, TMED50 (역치 최소 유효량)의 측정을 위해 마우스에게 타임 코스, 단일 투여량/단일 시간점 또는 투여량 반응 프로토콜에 따라 PO 투여하였다. 투여량 반응 연구의 사례에서 모 화합물의 혈장 노출의 측정 및 TMEC50 (역치 최소 유효 농도)의 계산을 위해, 종양을 수집기에서 플래시 동결시키고 혈액을 수집하였다. 라이싱 매트릭스 A(Lysing Matrix A) 튜브 (오하이오주 솔론에 소재한 엠피 바이오메디칼스(MP Biomedicals), cat# 6910-500) 및 BIO101 테르모 사반트 패스트 프렙 FP12(Thermo Savant Fast Prep FP12)를 사용하여, 종양 또는 조직을 XY 용해 완충액 (10 μg/mL의 류펩틴(Leupeptin), 10 μg/mL의 트립신-키모트립신 억제제, 10 μg/mL의 토실 페닐알라닐 클로로메틸 케톤 (TPCK), 10 μg/mL의 아프로티닌, 60 mM 베타-글리세롤 포스페이트, 1% 트리톤 엑스-100, 25 mM Tris (pH 7.5), 2.5 mM 피로포스페이트, 150 mM NaCl, 2 mM p-토실-L-아르기닌 메틸 에스테르 (TAME), 15 mM 파라-니트로페닐 포스페이트 (pNPP), 5 mM 벤즈아미딘, 1 mM Na 바나데이트, 10 mM NaF, 50 μg/mL의 페닐메탄 술포닐 플루오라이드 (PMSF), 1 mM DTT, 15 mM EDTA (pH 8.0), 5 mM EGTA (pH 8.0), 1 μM 마이크로시스틴(Microcystin), 1 μM 오카다산, 및 10 mL 당 로슈(Roche) 완전 프로테아제 억제제 미니정제 1 개)에서 균질화시켰다. 용해물을 등분하고, 즉시 분석하거나 또는 이후의 시험을 위해 -80℃에서 저장하였다. p70 S6K의 생체내 표적 억제를 메소 스케일 디스커버리(Meso Scale Discovery) (메릴랜드주 게이서스버그에 소재함) ELISA 기술을 이용하여 측정하여 하류 작동자 S6RP의 세린 240/244 부위의 인산화에 대한 화합물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p70 S6K (T389) 및 Akt (S473)의 인산화는 또한 다중 포맷으로 상기 기술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요약하면, 적절한 포획 항체로 예비오염된 탄소 전극 96-웰 플레이트에 용해물 20 μg을 첨가하였다. 관심 단백질을 루테늄 표지된 검출 항체를 사용하여 프로빙하였다. 공-반응물 TPA를 함유하는 판독 완충액의 존재하에 전극 위로 전류가 통과하면, 전기화학발광은 광 발생을 야기하며 이를 MSD 섹터 6000 기기를 이용하여 정량 및 기록하였다. 각각의 연구에 대해, 비히클 대조군에 대한 억제율(%)을 계산하였고, 통계적 유의성의 측정을 위해 JMP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사용하여 ANOVA 분석을 수행하였다. 하기 화합물은 본질적으로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시험하였고, 혈장 노출을 기준으로 하기 효능을 갖는다.
Figure 112009068972476-PCT00053
* 별법으로, U87MG 세포를 상기 기재된 절차에서 사용할 수 있었다.
이는 생체내 p70 S6 키나제를 억제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능력을 보여준다.
p70 S6K 생체내 효능 측정
HCT 116 인간 결장 암종 세포 (5 x 106 개)를 마트리겔 0.2 mL 중에서 흉선이 없는 누드 마우스의 옆구리에 피하 이식하였다. 이식후 1주째에, 24시간 동안 30-50% 또는 60-90%의 pS6 억제율을 유지하기 위해 마우스에게 분자의 약동학 및 약역학에 따라 PO 투여하였다. 투여는 적어도 21일 동안 지속되었다. 종양 부피 를 1주일에 2회 측정하여 표준 방법을 이용하여 약물-관련된 종양의 성장 감소를 평가하였다. 연구 말기에, 모 화합물의 혈장 노출의 측정을 위해 종양을 수집기에서 플래시 동결시키고 혈액을 수집하였다. 실시예 5의 화합물을 본질적으로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시험하였다.
Figure 112009068972476-PCT00054
이는 본 발명의 화합물이 종양 성장의 속도를 감소시키는데 유용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경구 투여가 바람직하다. 그러나, 경구 투여만이 가능한 경로 또는 심지어는 바람직한 경로는 아니다. 예를 들어, 경피 투여는 경구 의약 복용에 대해 잘 잊어버리거나 또는 참을성이 없는 환자에 대해 매우 바람직할 수 있고, 정맥내 경로는 편리성의 이유로 또는 경구 투여와 관련된 잠재적인 합병증을 피하기 위해 바람직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또한 특정 경우, 피부내, 근육내, 비강내 또는 직장내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 경로는 약물의 물성, 환자 및 의료인의 편의, 및 다른 관련된 환경에 의해 한정된 임의의 방식으로 달라질 수 있다 (문헌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8th Edition, Mack Publishing Co. (1990)]).
제약 조성물은 제약 분야에 익히 공지된 방식으로 제조된다. 담체 또는 부형제는 활성 성분에 대해 비히클 또는 매질로서 작용할 수 있는 고체, 반고체 또는 액체 물질일 수 있다. 적합한 담체 또는 부형제는 당업계에 익히 공지되어 있다. 제약 조성물은 경구, 흡입, 비경구 또는 국소 용도에 대해 적합할 수 있으며, 환자에게 정제, 캡슐제, 에어로졸, 흡입제, 좌제, 용액제, 현탁액제 등의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통상적으로, 단독으로 또는 임의로 종양살상제, 세포독성제 또는 치료제와 조합하여, 경구로 투여될 수 있는 제약 제제 형태, 예를 들어 불활성 희석제와 함께, 또는 캡슐제 또는 압착된 정제로 투여된다. 경구 치료 투여의 목적상, 화합물은 부형제와 함께 혼입될 수 있고, 정제, 트로키제, 캡슐제, 엘릭시르제, 현탁액제, 시럽제, 웨이퍼, 추잉 껌 등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제는 활성 성분인 본 발명의 화합물을 4% 이상 함유해야 하지만 특정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단위의 4 중량% 내지 약 70 중량% 범위일 수 있다. 조성물 중에 존재하는 화합물의 양은 적합한 투여량이 획득되도록 하는 양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조성물 및 제제는 당업자에게 익히 공지된 방법으로 결정될 수 있다.
정제, 환제, 캡슐제, 트로키제 등은 또한 결합제, 예컨대 포비돈,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스, 미정질 셀룰로스 또는 젤라틴; 부형제 또는 희석제, 예컨대 전분, 락토스, 미정질 셀룰로스 또는 인산이칼슘; 붕해제, 예컨대 크로스카르멜로스, 크로스포비돈, 나트륨 전분 글리콜레이트, 옥수수 전분 등; 윤활제, 예컨대 마그네 슘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 활석 또는 수소화된 식물성 오일; 활택제, 예컨대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습윤제, 예컨대 나트륨 라우릴 술페이트 및 폴리소르베이트 80; 및 감미제, 예컨대 수크로스, 아스파르탐 또는 사카린, 또는 향미제, 예컨대 페퍼민트, 메틸 살리실레이트 또는 오렌지향과 같은 보조제 중 하나 이상을 함유할 수 있다. 투여 단위 형태가 캡슐제인 경우, 이는 상기 유형의 물질 이외에,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지방 오일과 같은 액체 담체를 함유할 수 있다. 다른 투여 단위 형태는 투여 단위 (예를 들어, 코팅제로서)의 물리적 형태를 변형시키는 기타 다양한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따라서, 정제 또는 환제는 당,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 폴리메타크릴레이트 또는 다른 코팅제로 코팅될 수 있다. 시럽제는 본 발명의 화합물 이외에, 감미제로서 수크로스, 및 특정 보존제, 염료 및 착색제 및 향미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물질은 제약적으로 순수해야 하고, 사용되는 양에서 무독성이어야 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광범위한 투여량 범위에서 효과적이다. 예를 들어, 일일 투여량은 통상적으로 체중 kg 당 약 0.01 mg 내지 약 10 mg의 범위 내에 있다. 일부 경우, 상기 언급된 범위의 하한 미만의 투여량 수준이 보다 더 적절할 수 있고, 다른 경우에는 어떠한 유해한 부작용도 일으키지 않으면서 훨씬 더 많은 투여량이 사용될 수 있으므로, 상기 투여량 범위는 어떠한 방식으로든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실제로 투여되는 화합물의 양은 치료될 상태, 선택된 투여 경로, 투여될 실제 화합물(들), 개별적 환자의 연령, 체중 및 반응, 및 환자 증상의 중증도를 비롯한 관련된 상황에 비추어 의사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하나의 제제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화합물의 mg 당 2.223 μL의 1 N NaOH, 및 1% HEC / 0.25% 트윈(Tween) 80 / 0.05% 소포제 1510-US 비히클 {첨가되는 비히클의 mL = (화합물의 mg / 이론적인 mg/mL) - (화합물의 mg / 예상되는 화합물의 밀도 1200 mg/mL) - 첨가되는 1 N NaOH의 mL}을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제제는 5% 비타민 E-TPGS, 1%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및 정제수 중의 0.05% 다우 코닝(Dow Corning) 소포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생체이용률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으로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통상의 제제로 스프래그 돌리(Sprague Dawley) 래트에게 1 mg/kg (IV) 또는 10 mg/kg (위관 영양법)의 양으로 투여하였다. 경구용 제제는 분쇄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함유한 현탁액 (0.25% PS80, 1% HEC, 물 중의 0.05% 소포제)을 포함할 수 있다. 혈장 샘플을 획득하고 화학식 I의 화합물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57의 화합물을 상기 기재된 것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방법으로 평가하였고, 이는 >100%의 경구 생체이용률를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Claims (11)

  1.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화학식 I>
    Figure 112009068972476-PCT00055
    식 중,
    Y는 N 또는 CR6이고;
    Z1 및 Z2는 독립적으로 CR3 또는 N이되, 단, Z1 및 Z2는 둘 다 N은 아니고;
    R1은 H 또는 C1-C4 알킬이고;
    R2는 C1-C4 알킬옥시, 시아노, NO2, 할로, 트리플루오로메틸 및 트리플루오로메톡시로부터 선택된 제1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추가로 할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2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된 페닐이고;
    R3은 수소, 할로, C1-C4 알킬 또는 C3-C6 시클로알킬이거나, 또는 히드록시로 임의로 치환된 C2-C6 알키닐이고;
    R4 및 R5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4 알킬이고;
    R6은 수소 또는 히드록시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화학식 I>
    Figure 112009068972476-PCT00056
    식 중,
    Y는 N 또는 CR6이고;
    Z1 및 Z2는 독립적으로 CR3 또는 N이되, 단, Z1 및 Z2는 둘 다 N은 아니고;
    R1은 H 또는 C1-C4 알킬이고;
    R2는 C1-C4 알킬옥시, 시아노, NO2, 할로, 트리플루오로메틸 및 트리플루오로메톡시로부터 선택된 제1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추가로 할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2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된 페닐이고;
    R3은 수소, 할로 또는 C3-C6 시클로알킬이고;
    R4 및 R5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4 알킬이고;
    R6은 수소 또는 히드록시이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Y가 CR6인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Z2가 N인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5. 제1항에 있어서, 4-{4-[4-(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메틸-1H-이미다졸-2-일]-피페리딘-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인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을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와 조합하여 포함하는 제약 제제.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치료법에서 사용하기 위한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8. 혈관신생 억제용 약제의 제조를 위한,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의 용도.
  9. 결장의 선암종 치료용 약제의 제조를 위한,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의 용도.
  10. 유효량의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을 혈관신생의 억제가 필요한 포유동물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포유동물에서 혈관신생을 억제하는 방법.
  11. 유효량의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을 결장의 선암종의 치료가 필요한 포유동물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포유동물에서 결장의 선암종을 치료하는 방법.
KR1020097023455A 2007-05-11 2008-05-01 P70 s6 키나제 억제제 KR1010882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1733107P 2007-05-11 2007-05-11
US60/917,331 2007-05-11
PCT/US2008/062143 WO2008140947A1 (en) 2007-05-11 2008-05-01 P70 s6 kinase inhibito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710A true KR20100005710A (ko) 2010-01-15
KR101088219B1 KR101088219B1 (ko) 2011-11-30

Family

ID=39765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3455A KR101088219B1 (ko) 2007-05-11 2008-05-01 P70 s6 키나제 억제제

Country Status (34)

Country Link
US (2) US8093383B2 (ko)
EP (1) EP2148880B1 (ko)
JP (1) JP5503532B2 (ko)
KR (1) KR101088219B1 (ko)
CN (1) CN101679439B (ko)
AR (1) AR066344A1 (ko)
AU (1) AU2008251692B2 (ko)
BR (1) BRPI0811212A2 (ko)
CA (1) CA2687265C (ko)
CL (1) CL2008001230A1 (ko)
CO (1) CO6241109A2 (ko)
CR (1) CR11106A (ko)
DK (1) DK2148880T3 (ko)
DO (1) DOP2009000257A (ko)
EA (1) EA016445B1 (ko)
EC (1) ECSP099721A (ko)
ES (1) ES2483726T3 (ko)
GT (1) GT200900292A (ko)
HK (1) HK1140767A1 (ko)
HR (1) HRP20140611T1 (ko)
IL (1) IL201564A (ko)
MA (1) MA31433B1 (ko)
MX (1) MX2009012075A (ko)
MY (1) MY154898A (ko)
NZ (1) NZ580423A (ko)
PE (1) PE20090887A1 (ko)
PL (1) PL2148880T3 (ko)
PT (1) PT2148880E (ko)
RS (1) RS53451B (ko)
SI (1) SI2148880T1 (ko)
TN (1) TN2009000446A1 (ko)
TW (1) TWI423805B (ko)
UA (1) UA99284C2 (ko)
WO (1) WO20081409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A99284C2 (ru) * 2007-05-11 2012-08-10 Елі Ліллі Енд Компані ИНГИБИТОРЫ р70 S6-КИНАЗЫ
US8252791B2 (en) * 2008-08-13 2012-08-28 Jenrin Discovery, Inc. Purine compounds as cannabinoid receptor blockers
AR074072A1 (es) 2008-11-11 2010-12-22 Lilly Co Eli Compuesto de imidazol -piperidin -pirrol-pirimidin-6-ona, composicion farmaceutica que lo comprende y su uso para preparar un medicamento util para tratar el glioblastoma multiforme
BRPI0921840A2 (pt) * 2008-11-11 2018-10-09 Lilly Co Eli produto compreendendo o composto inibidor de p70 s6 quinase e inibidor de mtor, composto inibidor de p70 s6 quinase e uso do mesmo
KR20110075015A (ko) 2008-11-11 2011-07-05 일라이 릴리 앤드 캄파니 P70 s6 키나제 억제제 및 egfr 억제제 조합 요법
DK2396307T3 (en) 2009-02-11 2015-01-12 Merck Patent Gmbh NOVEL AMINO-azaheterocyclic carboxamides
WO2011017009A1 (en) 2009-08-07 2011-02-10 Merck Patent Gmbh Novel azaheterocyclic compounds
EA020151B1 (ru) * 2009-10-23 2014-09-30 Эли Лилли Энд Компани Ингибиторы akt и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е составы, их содержащие
CN102821767A (zh) 2010-02-03 2012-12-12 西格诺药品有限公司 Lkb1突变作为对tor激酶抑制剂的敏感性的预测生物标记的鉴定
UA110113C2 (xx) 2010-07-29 2015-11-25 Біциклічні азагетероциклічні карбоксаміди
CA2803387C (en) 2010-07-29 2017-12-05 Bayard R. Huck Cyclic amine azaheterocyclic carboxamides
JP5897590B2 (ja) 2010-11-24 2016-03-30 メルク パテント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Merck Patent Gesellschaft mit beschraenkter Haftung キナゾリンカルボキサミドアゼチジン
MX347241B (es) 2011-09-12 2017-04-20 Merck Patent Gmbh Derivados de aminopirimidina para usarse como moduladores de la actividad de cinasa.
SI2755965T1 (sl) * 2011-09-12 2017-12-29 Merck Patent Gmbh Novi imidazolni amidi kot modulatorji kinazne aktivnosti
US10227357B2 (en) 2012-09-06 2019-03-12 Plexxikon Inc. Compounds and methods for kinase modulation, and indications therefor
AU2013203714B2 (en) 2012-10-18 2015-12-03 Signal Pharmaceuticals, Llc Inhibition of phosphorylation of PRAS40, GSK3-beta or P70S6K1 as a marker for TOR kinase inhibitory activity
JP6280130B2 (ja) * 2012-11-16 2018-02-14 メルク パテント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Merck Patent Gesellschaft mit beschraenkter Haftung キナーゼ活性のモジュレーターとしての新規イミダゾール−ピペリジニル誘導体
CA2890288A1 (en) 2012-11-16 2014-05-22 Merck Patent Gmbh Novel heterocyclic derivatives as modulators of kinase activity
JP6290917B2 (ja) 2012-11-29 2018-03-07 メルク パテント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Merck Patent Gesellschaft mit beschraenkter Haftung アザキナゾリンカルボキサミド誘導体
WO2014143612A1 (en) * 2013-03-11 2014-09-18 Merck Patent Gmbh 6-[4-(1 h-imidazol-2-yl)piperidin-1 -yl]pyrimidin-4-amine derivatives as modulators of kinase activity
PE20160041A1 (es) 2013-04-17 2016-01-28 Signal Pharm Llc FORMULACIONES FARMACEUTICAS, PROCESO, FORMAS SOLIDAS Y METODOS DE USO RELACIONADOS CON 1-ETIL-7-(2-METIL-6-(1H-1,2,4-TRIAZOL-3-IL)PIRIDIN-3-IL)-3,4-DIHIDROPIRAZINO[2,3-b]PIRAZIN-2(1H)-ONA
JP6382946B2 (ja) 2013-04-17 2018-08-29 シグナル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エルエルシー ジヒドロピラジノ−ピラジンによる癌治療
TW201521725A (zh) 2013-04-17 2015-06-16 Signal Pharm Llc 使用tor激酶抑制劑組合療法以治療癌症之方法
TWI631950B (zh) 2013-04-17 2018-08-11 標誌製藥公司 藉二氫吡𠯤并吡𠯤治療癌症
EP2986321A1 (en) 2013-04-17 2016-02-24 Signal Pharmaceuticals, LLC Combination therapy comprising a tor kinase inhibitor and a cytidine analog for treating cancer
CA2908957C (en) 2013-04-17 2021-05-18 Signal Pharmaceuticals, Llc Combination therapy comprising a dihydropyrazino-pyrazine compound and an androgen receptor antagonist for treating prostate cancer
CA2909625C (en) 2013-04-17 2021-06-01 Signal Pharmaceuticals, Llc Combination therapy comprising a tor kinase inhibitor and a 5-substituted quinazolinone compound for treating cancer
JP6401250B2 (ja) 2013-05-29 2018-10-10 シグナル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エルエルシー 7−(6−(2−ヒドロキシプロパン−2−イル)ピリジン−3−イル)−1−((trans)−4−メトキシシクロヘキシル)−3,4−ジヒドロピラジノ[2,3−b]ピラジン−2(1H)−オン、その固体形態の医薬組成物、及びその使用方法
WO2015134536A1 (en) * 2014-03-04 2015-09-11 Plexxikon Inc. Compounds and methods for kinase modulation, and indications therefor
EP3125935B1 (en) 2014-04-03 2019-10-23 Merck Patent GmbH Combinations of cancer therapeutics
NZ714742A (en) 2014-04-16 2017-04-28 Signal Pharm Llc Solid forms of 1-ethyl-7-(2-methyl-6-(1h-1,2,4-triazol-3-yl)pyridin-3-yl)-3,4-dihydropyrazino[2,3-b]pyrazin-2(1h)-one, compositions thereof and methods of their use
WO2015160880A1 (en) 2014-04-16 2015-10-22 Signal Pharmaceuticals, Llc SOLID FORMS COMPRISING 1-ETHYL-7-(2-METHYL-6-(1H-1,2,4-TRIAZOL-3-YL) PYRIDIN-3-YL)-3,4-DIHYDROPYRAZINO(2,3-b)PYRAZIN-2(1H)-ONE, AND A COFORMER,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WO2016040078A1 (en) * 2014-09-10 2016-03-17 Eli Lilly And Company Substituted phenyl imidazolyl piperidyl compounds as p70s6k1 inhibitors
US10160755B2 (en) 2015-04-08 2018-12-25 Plexxikon Inc. Compounds and methods for kinase modulation, and indications therefor
CN106187899B (zh) * 2016-06-28 2019-07-16 绍兴文理学院 一种氟代氮杂芳烃的合成方法
SG11201912403SA (en) 2017-06-22 2020-01-30 Celgene Corp Treatment of hepatocellular carcinoma characterized by hepatitis b virus infection
MX2023005520A (es) 2020-11-16 2023-05-23 Merck Patent Gmbh Combinaciones de inhibidores de cinasa para tratamiento de cancer.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004346C2 (nl) 1996-10-23 1998-04-24 Dsm Nv Werkwijze voor het scheiden van een mengsel van enantiomeren in een geschikt oplosmiddel.
PA8474101A1 (es) 1998-06-19 2000-09-29 Pfizer Prod Inc Compuestos de pirrolo [2,3-d] pirimidina
WO2005117909A2 (en) * 2004-04-23 2005-12-15 Exelixis, Inc. Kinase modulators and methods of use
MY179032A (en) 2004-10-25 2020-10-26 Cancer Research Tech Ltd Ortho-condensed pyridine and pyrimidine derivatives (e.g.purines) as protein kinase inhibitors
CA2590961C (en) 2004-12-28 2013-11-26 Exelixis, Inc. [1h-pyrazolo[3,4-d]pyrimidin-4-yl]-piperidine or -piperazine compounds as serine-threonine kinase modulators (p70s6k, atk1 and atk2) for the treatment of immunological, inflammatory and proliferative diseases
US20090325924A1 (en) 2005-06-30 2009-12-31 Stuart Edward GPCR Agonists
JP5606734B2 (ja) 2006-04-25 2014-10-15 アステックス、セラピューティックス、リミテッド 医薬化合物
WO2007125310A2 (en) 2006-04-25 2007-11-08 Astex Therapeutics Limited Pharmaceutical combinations of pk inhibitors and other active agents
WO2008012635A2 (en) 2006-07-26 2008-01-31 Pfizer Products Inc. Amine derivatives useful as anticancer agents
AR064416A1 (es) * 2006-12-21 2009-04-01 Cancer Rec Tech Ltd Derivados de purina, piridina y pirimidina condensadas con heterociclos, moduladores de pka y/o pkb, composiciones farmaceuticas que los contienen, y usos para el tratamiento de enfermedades hiperproliferativas.
UA99284C2 (ru) * 2007-05-11 2012-08-10 Елі Ліллі Енд Компані ИНГИБИТОРЫ р70 S6-КИНАЗ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A016445B1 (ru) 2012-05-30
BRPI0811212A2 (pt) 2014-10-29
TN2009000446A1 (en) 2011-03-31
DOP2009000257A (es) 2010-03-31
GT200900292A (es) 2011-06-24
MA31433B1 (fr) 2010-06-01
US8093383B2 (en) 2012-01-10
JP5503532B2 (ja) 2014-05-28
ES2483726T3 (es) 2014-08-07
HK1140767A1 (en) 2010-10-22
TWI423805B (zh) 2014-01-21
CA2687265C (en) 2012-12-04
ECSP099721A (es) 2009-12-28
JP2010526814A (ja) 2010-08-05
CA2687265A1 (en) 2008-11-20
EP2148880A1 (en) 2010-02-03
MY154898A (en) 2015-08-28
PE20090887A1 (es) 2009-07-13
RS53451B (en) 2014-12-31
AU2008251692B2 (en) 2012-10-11
CO6241109A2 (es) 2011-01-20
EA200971051A1 (ru) 2010-06-30
IL201564A0 (en) 2010-05-31
PL2148880T3 (pl) 2014-10-31
CL2008001230A1 (es) 2009-05-22
CR11106A (es) 2010-04-12
NZ580423A (en) 2012-02-24
HRP20140611T1 (hr) 2014-08-15
PT2148880E (pt) 2014-08-28
CN101679439A (zh) 2010-03-24
EP2148880B1 (en) 2014-05-28
US20090163714A1 (en) 2009-06-25
US20120071490A1 (en) 2012-03-22
DK2148880T3 (da) 2014-06-16
AU2008251692A1 (en) 2008-11-20
AR066344A1 (es) 2009-08-12
CN101679439B (zh) 2013-09-11
KR101088219B1 (ko) 2011-11-30
MX2009012075A (es) 2009-11-19
WO2008140947A1 (en) 2008-11-20
TW200848053A (en) 2008-12-16
UA99284C2 (ru) 2012-08-10
SI2148880T1 (sl) 2014-07-31
IL201564A (en) 2014-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8219B1 (ko) P70 s6 키나제 억제제
EP2396315B1 (en) Quinoline derivatives as pi3k kinase inhibitors
EP3715347B1 (en) Piperidin-4-yl azetidine derivatives as jak1 inhibitors
EP3978490A1 (en)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derivative regulator,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application thereof
ES2391704T3 (es) Inhibidores de cinasa AKT y P70 S6
EP3677583A1 (en) Nitrogenous heterocyclic compound, preparation method, intermediate, composition, and application
US20120095005A1 (en) Fused Bicyclic Pyrazole Derivatives As Kinase Inhibitors
WO2011050016A1 (en) Akt inhibitors
JP2021515767A (ja) Erk5阻害剤の同定及び使用
US20240150343A1 (en) Compound having brd4 inhibitory activity,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use thereof
EA027936B1 (ru) Производные имидазотриазина в качестве ингибиторов фосфодиэстеразы 10 (pde10)
CA3161869A1 (en) Heterocyclic compound,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thereof, preparation method therefor, intermediate thereof and application thereof
WO2023185073A1 (zh) Parp7抑制剂及其用途
TW202317106A (zh) 作為egfr抑制劑之取代胺基吡啶化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