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5011A - 시트 급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시트 급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5011A
KR20090125011A KR1020090047722A KR20090047722A KR20090125011A KR 20090125011 A KR20090125011 A KR 20090125011A KR 1020090047722 A KR1020090047722 A KR 1020090047722A KR 20090047722 A KR20090047722 A KR 20090047722A KR 20090125011 A KR20090125011 A KR 200901250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ing roller
roller
lock
feeding
lock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7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6554B1 (ko
Inventor
사찌요리 시이나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25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50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6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6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02Supplying of sheet copy material; Cassettes therefor
    • G03G15/6511Feeding devices for picking up or separation of copy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급지 프레임의 리브와, 보조 부재의 돌기 및 스냅 피트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축 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보유된 급송 롤러의 탈거를 규제하는 슬라이드 규제 부재가, 급송 롤러의 탈거를 허용하는 로크 해제 위치에 보유된다. 급송 롤러가 급지 프레임에 장착될 때, 로크 해제 위치에 있는 슬라이드 규제 부재가 급송 롤러의 장착 조작과 연동하여 로크 위치로 이동된다.
시트 급송 장치, 화상 형성 장치, 급송 롤러, 슬라이드 규제 부재, 로크 부재

Description

시트 급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SHEET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시트 급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시트를 급송하기 위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급송 롤러를 포함하는 시트 급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프린터, 복사기, 팩시밀리 머신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는, 복수 매의 시트가 적재되는 시트 적재 유닛으로부터 시트를 1매씩 분리해서 송출하는 시트 급송 장치가 제공된다. 시트 급송 장치에는, 적재되어 있는 시트 중에서 최상위의 시트를 송출하기 위한 급송 롤러가 제공된다. 그러나, 급송 롤러는 장기 사용에 의해 그의 외주면이 마모 등에 인해 열화해버릴 수 있어서, 급송 성능의 저하를 야기할 가능성이 있다. 이로 인해, 급송 롤러를 정기적으로 용이하게 교환될 수 있도록, 급송 롤러가 시트 급송 장치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만들어진다.
사용자나 서비스 맨에 의한 급송 롤러의 교환 작업을 쉽게 하기 위해, 급송 롤러가 유닛으로 만들어지고, 급송 롤러의 한쪽의 축과 급송 롤러의 본체부가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공지된 시트 급송 장치가 있 다. 상기 언급한 구성에서는, 급송 롤러의 본체부가 한쪽의 축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슬라이드하게 됨으로써, 장치 본체의 축과의 결합이 해제되어, 급송 롤러가 탈거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구성은, 일본특허출원공개 제2004-256287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슬라이드 시스템으로 급송 롤러가 교환되는 구성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다.
(1) 급송 롤러와 시트 분리 유닛(분리 패드 혹은 분리 롤러 등) 사이에 시트가 끼인 상태에서, 잼 복구 처리(jam recovery)를 할 경우에 문제가 발생한다. 이 경우, 잼된 시트의 꺾임이나 느슨해짐이 급송 롤러의 단부에 걸리고, 따라서 급송 롤러가 불필요하게 슬라이드하게 된다.
(2) 급지 카세트의 장착 방향이 급송 롤러의 슬라이드 방향과 같을 때, 급송 롤러와 시트 분리 유닛 사이에 시트가 끼인 상태에서 잼이 발생된 경우에 문제가 발생한다. 이 경우, 급지 카세트가 인출되면, 잼된 시트가 급송 롤러를 슬라이드시켜버린다.
(3) 장치 수송시에 예상치 않은 큰 힘이 발휘되면, 급송 롤러가 벗어나버린다.
이상과 같은 상황에서 상기 언급한 원인 때문에 본의 아니게 급송 롤러가 벗어나버렸을 경우, 시트가 송출될 수 없고, 따라서 급지 장치가 고장났다고 판단되어버린다.
본의 아니게 급송 롤러가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급송 롤러의 슬라 이드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로크 부재를 설치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로크 부재가 제공된 때, 급송 롤러를 교환함에 있어서, 사용자는 수동으로 로크 부재를 로크 위치로부터 로크 해제 위치로 스위칭한 다음, 급송 롤러를 교환한다. 급송 롤러 교환 후에, 로크 부재는 로크 해제 위치로부터 로크 위치로 수동으로 스위칭된다.
그러나, 로크 부재가 제공된 때, 급송 롤러를 교환한 후, 사용자가 로크 부재를 로크 해제 위치로부터 로크 위치로 스위칭하는 것을 잊어버릴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급송 롤러는, 예를 들면, 시트를 급송하고 있을 때에 급송 롤러가 어긋나거나 벗어나서, 급송 불량을 유발한다.
상기 언급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급송 롤러의 근방에 로크 부재로서 회전식의 로크 레버가 제공되는 시트 급송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로크 부재를 로크 위치로 스위칭하는 것을 잊었을 때라도, 급지 카세트의 장착 결과 로크 레버가 회전되어 로크 위치로 자동적으로 스위칭된다. 이 기술은, 일본특허 출원공개 제2007-176621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급지 카세트를 탈거하지 않고 다른 개폐 도어를 사용하여 급송 롤러가 교환되는 종래의 시트 급송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이 시트 급송 장치에서는, 급지 카세트가 착탈되지 않은 채 급송 롤러가 교환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로크 레버를 복귀시키는 것을 잊었을 경우에는, 급지 카세트에 의해 로크 상태로 리셋되지 않는다.
상기 언급한 구성에 있어서는, 급송 롤러가 교환된 후, 사용자가 로크 레버를 로크 위치로 세트하는 것을 잊은 때에 취해지는 대책이 제공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의 상황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급송 롤러가 교환된 후, 확실하게 로크 부재를 로크 위치로 스위칭하는 것이 가능한 시트 급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트 급송 장치는, 상기 시트 급송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제공되어 시트를 급송하는 급송 롤러와, 급송 롤러를 축 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와, 급송 롤러의 탈거가 규제되는 로크 위치와 급송 롤러의 탈거가 허용되는 로크 해제 위치 간에 이동 가능한 로크 부재와, 로크 해제 위치로 이동한 로크 부재를 보유하는 보유부와, 급송 롤러가 지지부에 탑재된 때, 로크 해제 위치에 보유된 로크 부재를, 급송 롤러의 장착 조작과 연동하여 로크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급송 롤러가 교환된 후, 확실하게 로크 부재를 로크 위치로 스위칭하는 것이 가능한 시트 급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시트 급송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로서 레이저 프린터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레이저 프린터 본체(이하, 장치 본체라고 일컬음)(100)의 하부에는, 화상 형성부(101)에 시트를 급송하는 시트 급송 장치(102)가 제공된다.
화상 형성부(101)는, 상 담지체로서 기능하는 감광 드럼(80a)을 포함하는 카트리지 유닛(80)과, 감광 드럼(80a)을 노광하는 레이저 스캐너(91)를 포함한다. 화상 형성의 경우, 레이저 스캐너(91)에 의해 감광 드럼(80a)이 노광되어, 감광 드럼(80a)의 표면에 잠상이 형성된다. 이 후, 잠상이 현상됨으로써, 감광 드럼 표면에 토너 화상이 형성된다.
시트 급송 장치(102)는, 장치 본체(100)에 착탈 가능하게 제공되어 시트 적재부로서 기능하는 급지 카세트(70)를 포함한다. 또한, 시트 급송 장치(102)는, 급지 카세트(70)의 상방에 제공되어 급지 카세트(70)에 수납된 시트 P를 송출하는 급송 롤러(1)를 포함한다. 카세트(70)는 시트 P를 급송 롤러측에 압박하는 플레이트(73)를 포함하며, 플레이트(73)는 승강 가능하게 제공된다. 플레이트(73)는 승강 기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시트 급송 동작의 경우에 시트 P가 급송 롤러측에 압박되는 위치에 보유되고, 예를 들면 시트의 보급 등을 위해 우측 도어(90)가 개방될 때 하방으로 회전된다(pivoted).
시트 급송 장치(102)는, 급송 롤러(1)에 압접하고, 급송 롤러(1)에 의해 송출된 시트 P를 분리하는 시트 분리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분리 롤러(6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장치 본체(100)는 시트 급송 장치 본체를 형성한다.
시트 급송 장치(102)는, 화상 형성부(101)의 토너 화상 형성 동작과 병행하 여, 급지 카세트(70)에 수납된 시트 P를 급송 롤러(1)에 의해 송출한다. 그런 다음, 시트 급송 장치(102)는, 분리 롤러(62)에 의해 시트 P를 1매씩 분리한다. 이 후, 시트 P는 소정의 타이밍에 레지스트레이션 롤러 쌍(82)에 의해 감광 드럼(80a)과 전사 롤러(88)를 포함한 전사부에 반송된다.
전사부에 있어서 감광 드럼(80a) 표면에 형성된 토너 화상은 전사부에 반송된 시트 P에 전사된다. 이 후, 시트 P는 정착기(83)에 반송되어, 정착기(83)에서 가열 및 가압됨으로써, 토너 상이 정착된다. 화상이 정착된 후, 시트 P는 배지 롤러(delivery roller)쌍(84)에 의해 장치 본체(100)의 상면에 제공된 배출부(85)로 배출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시트 급송 장치의 급송 롤러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닛화된 급송 롤러(1)는, 시트 급송 장치 본체에 제공되어 지지부로서 기능하는 급지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급송 롤러(1)는, 그의 일측 단부에 제1 롤러 축(2a)이 제공되고, 그의 타측 단부에 제2 롤러 축으로서 기능하는 볼록 형상결합 축(1c)이 제공된다. 제1 롤러 축(2a)을 따라 롤러 본체부(1A)가 화살표로 지시된 방향(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다.
급송 롤러(1) 근방에 제공된 로크 기구(20A)는, 급송 롤러(1)의 화살표 방향으로의 슬라이드 동작을 허용 또는 금지 사이에 스위칭하는 기능을 갖는다. 로크 기구(20A)는, 통상의 시트 급송 동작에 있어서, 급송 롤러(1)의 양측의 축들(2a, 1c)의 상방에 돌출되는 슬라이드 규제 부재(20)를 포함한다. 슬라이드 규제 부 재(20)는, 급송 롤러(1)의 슬라이드 동작을 규제하는 이동 가능한 로크 부재이다.
도 3a는, 슬라이드 규제 부재(20)가 급송 롤러(1)의 탈거를 규제하는 로크 위치에 위치된 슬라이드 규제 상태를 도시한다. 도 3a의 3B-3B 라인을 따른 단면도인 도 3b는, 급송 롤러(1)와 슬라이드 규제 부재(20) 사이의 반경 방향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다. 슬라이드 규제 부재(20)가 슬라이드 규제 상태에 있을 때,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규제 부재(20)의 범핑 리브(bumping rib)(20a)가 급지 프레임(10)에 제공된 보조 부재(14)의 범핑 표면(14a)에 맞부딪친다. 이에 의해, 슬라이드 규제 부재(20)의 자세가 결정된다.
도 3a 및 도 3b에 있어서, 리브(10a)는 급지 프레임(10)에 제공된다. 슬라이드 규제 부재(20)가 슬라이드 규제 상태에 있을 때, 리브(10a)와 급송 롤러(1)의 제1 반송 회전가능 부재(3a) 사이에 슬라이드 규제 부재(20)의 선단부 부분인 제1 돌출부(20b)가 존재한다.
급송 롤러(1)가 탈거 방향인 화살표로 지시된 방향으로 슬라이드하게 야기되면, 제1 반송 회전가능 부재(3a)가, 급송 롤러(1)의 슬라이드 방향측의 슬라이드 규제 부재(20)의 제1 돌출부(20b)에 부딪친다. 제1 돌출부(20b)의 위치는 제1 돌출부(20b)를 급지 프레임(10)의 리브(10a)에 부딪치는 것에 의해 결정된다. 그로 인해, 급송 롤러(1)의 슬라이드 동작이 규제될 수 있다. 슬라이드 규제 부재(20)는, 급지 프레임(10)과 제1 반송 회전가능 부재(3a) 사이에 위치된 제2 돌출부(20c)를 포함한다. 규제 부재로서 기능하는 제1 돌출부(20b)는 제2 돌출부(20c)에 대해 급송 롤러(1)의 탈거 방향측에 제공된다.
슬라이드 규제 부재(20)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부재(14)에 제공된 회전 지지부(pivotal supporting portion)(15)와 수직인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급송 롤러(1)가 탈거되는 경우, 우선 제1 및 제2 돌출부(20b, 20c) 중 하나, 예를 들면 탈거 방향과 반대측에 위치한 제2 돌출부(20c)가 도 4a의 화살표 방향으로 밀려 올려진다.
수동 조작에 의해 제2 돌출부(20c)가 밀려 올려질 때, 슬라이드 규제 부재(20)는 상방으로 회전된다. 도 4a의 4B-4B 라인을 따른 단면도인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돌출부(20b)의 회전 단부가 급지 프레임(10)에 제공된 절결 형상(cut-away shape)을 갖는 스토퍼부(10b)에 접촉할 때까지, 슬라이드 규제 부재(20)가 회전된다.
스토퍼부(10b)는, 제1 돌출부(20b)의 회전 단부가 맞부딪칠 때,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돌출부(20b)와 제1 반송 회전가능 부재(3a)가 오버랩하지 않는 위치에 제공된다. 슬라이드 규제 부재(20)가 로크 해제 위치로 이동됨으로써, 이 후, 급송 롤러(1)를 도 5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축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킬 수 있다.
스토퍼부(10b)는, 제1 돌출부(20b)의 회전 단부가 맞부딪칠 때, 제1 돌출부(20b)가, 급지 프레임(10)의 리브(10a)보다 상방에 위치되는 위치에 제공된다. 이에 의해, 슬라이드 규제 부재(20)는 급송 롤러(1)의 슬라이드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의 이동할 수 있다.
슬라이드 규제 부재(20)에는, 리브(20e)가 제공된다. 리브(20e)는, 제1 롤 러 축(2a)을 따라 도 5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급송 롤러(1)가 슬라이드할 때, 급송 롤러(1)의 제1 반송 회전가능 부재(3a)와 접촉한다. 급송 롤러(1)를 슬라이드시킬 때, 제1 반송 회전가능 부재(3a)가 슬라이드 규제 부재(20)의 리브(20e)에 접촉되고, 슬라이드 규제 부재(20)도 급송 롤러(1)와 일체적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이동에 의해, 슬라이드 규제 부재(20)의 돌출부(20b)는 급지 프레임(10)의 리브(10a) 상에 올라 앉는다. 이 결과, 슬라이드 규제 부재(20)의 하방으로의 회전이 규제된다. 슬라이드 규제 부재(20)에는 스냅 피트(snap fit)(20d)가, 보조 부재(14)에는, 슬라이드 방향 하류측에 돌기(14b)가 제공된다.
스냅 피트(20d)와 돌기(14b)는, 보유 부재로서 기능하는 급지 프레임(10)의 리브(10a)에 의해 보유된 슬라이드 규제 부재(20)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형성한다. 슬라이드 규제 부재(20)가 이동되고, 그런 다음 스냅 피트(20d)가 보조 부재(14)의 돌기(14b)에 결합됨으로써, 슬라이드 규제 부재(20)가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스냅 피트(20d)와 보조 부재(14)에 제공된 돌기(14b) 및 급지 프레임(10)의 리브(10a)는, 로크 해제 위치로 이동한 슬라이드 규제 부재(20)를 보유하는 보유부를 형성한다.
보유부가 제공되므로, 슬라이드 규제 부재(20)의 상방 회전 후, 급송 롤러(1)를 슬라이드시킬 때, 슬라이드 규제 부재(20)가 보유된다. 슬라이드 규제 부재(20)는, 회전 방향과 슬라이드 방향 중 임의의 방향에 있어서도, 급송 롤러(1)의 착탈이 방해되지 않는 위치에 보유된다. 그 결과, 급송 롤러(1)의 착탈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그 다음, 교환된 급송 롤러(1)의 장착 동작에 대해서 설명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송 롤러(1)가 장착된 때, 급송 롤러(1)의 제1 롤러 축(2a)은, 베어링(16)에 맞춰서 줄어들면서, 제2 롤러 축을 형성하는 볼록 형상결합 축(1c)이 베어링(17)에 들어가도록 해서 장착된다. 급송 롤러(1)가 장착되고, 그 후, 스프링력에 의해 급송 롤러(1)는, 도 7a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슬라이드하게 된다.
이 경우, 도 7a의 7B-7B 라인을 따른 단면을 나타내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규제 부재(20)의 제2 돌출부(20c)는 제1 반송 회전가능 부재(3b)와 반경 방향에서 간섭하는 위치에 있다. 제2 돌출부(20c)에는, 걸림부로서 기능하는 돌출부(20f)가 제공된다. 돌출부(20f)는, 급송 롤러(1)가 탈거 방향과 반대인 장착 방향으로 슬라이드할 때, 급송 롤러(1)의 접촉부로서 기능하는 제1 반송 회전가능 부재(3a)와 접촉한다.
제1 반송 회전가능 부재(3a)와 제2 돌출부(20c)의 돌출부(20f)는 이동 기구를 형성한다. 급송 롤러(1)가 장착될 때, 이동 기구는, 급송 롤러(1)의 장착 조작과 연동해서 보유부에 의해 로크 해제 위치에 보유된 슬라이드 규제 부재(20)를 로크 위치로 이동시킨다.
슬라이드 규제 부재의 스냅 피트(20d)와 보조 부재(14)의 돌기(14b)를 결합하는 힘은, 급송 롤러(1)의 스프링의 복원력보다 작게 설정된다. 급송 롤러(1)를 장착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제1 반송 회전가능 부재(3a)가 슬라이드 규제 부재(20)의 돌출부(20f)에 접촉하고, 슬라이드 규제 부재(20)도 급송 롤러(1)와 일 체적으로 이동한다. 스냅 피트(20d)는 급송 롤러의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뒤로 밀리고 보조 부재(14)의 돌기(14b)를 넘어간다. 따라서, 슬라이드 규제 부재(20)의 보유부에 의한 보유가 해제된다.
슬라이드 규제 부재(20)에 의한 보유가 해제될 때, 급송 롤러(1)가 급지 동작을 행하는 위치까지 복귀되는 도중에, 슬라이드 규제 부재(20)의 리브(20e)는 급지 프레임(10)의 리브(10a)로부터 탈거된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 규제 부재(20)는 중력에 의해 하방으로 회전되고, 슬라이드 규제 상태, 즉 로크 위치로 복귀된다.
급송 롤러(1)가 급지 프레임(10)에 장착됨으로써, 급송 롤러(1)의 스프링력(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드 규제 부재(20)도 슬라이드한다. 슬라이드 규제 부재(20)는 급지 프레임(10)의 리브(10a)로부터 탈거되고, 중력에 의해 하방으로 회전된다. 그 결과, 슬라이드 규제 부재(20)는 슬라이드 규제 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급송 롤러(1)가 장착될 때, 급송 롤러(1)의 장착 조작과 연동하여 로크 해제 위치에 있는 슬라이드 규제 부재(20)가 로크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 규제 부재(20)가 로크 해제 위치에 있을 때에도, 급지 카세트의 착탈에 관계없이, 급송 롤러(1)의 장착만으로 슬라이드 규제 부재(20)가 로크 위치로 자동으로 복귀될 수 있다. 그 결과, 급송 롤러가 교환된 후, 확실하게 슬라이드 규제 부재(20)가 로크 위치로 스위칭될 수 있다. 또한, 급지 카세트 이외에 급송 롤러가 사용자 액세스부에 의해 교환될 때에도 확실하게 슬라이드 규제 부재(20)가 자동으로 복귀될 수 있고, 이는 시트 급송 장치가 본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구성에 대응 가능하게 해준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된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시트 급송 장치의 급송 롤러 부근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절결부가 없는 급송 롤러(11)에는, 슬라이드 가능한 제1 롤러 축(12a)이 제공된다. 급송 롤러(11)는, 제1 롤러 축(12a)을 신축시킴으로써 급지 프레임(10)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된다.
급송 롤러(11)의 슬라이드 동작을 규제하는 슬라이드 규제 부재(21)는,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보조 부재(14)에 의해 회전 가능(이동 가능)하게 보유된다. 슬라이드 규제 부재(21)는,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지 동작이 이루어질 때 급송 롤러(11)의 슬라이드 동작을 규제하는 규제 위치(로크 위치)로부터,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송 롤러(11)가 탈거될 수 있게 해주는 탈거 위치(로크 해제 위치)까지 회전된다.
본 실시예에서, 슬라이드 규제 부재(21)는,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30)를 포함하는 보유부를 형성하는 토글 기구에 의해 규제 위치에 보유된다. 한편, 슬라이드 규제 부재(21)가 탈거 위치로 이동한 때에는, 슬라이드 규제 부재(21)는, 토글 기구에 의해 탈거 위치에 보유된다. 즉, 슬라이드 규제 부재(21)는, 토글 기구에 의해 규제 위치 및 탈거 위치 중 한쪽에 보유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급송 롤러(11)가 탈거되는 경우에는, 우선 슬라이드 규제 부재(21)가 상방으로 회전된다. 상방으로 회전되기 전에, 슬라이드 규제 부재(21)는 도 9a에 도시된 규제 위치에 위치된다. 이 경우, 도 9a의 9B-9B 라인을 따른 단면도인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돌출부(21a)는 급송 롤러 코어(11b)와 반경 방향에서 오버랩한다. 이 때문에, 급송 롤러(11)가 본의 아니게 탈거되는 일이 없다.
다음에,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돌출부(21a, 21b) 중 하나, 예를 들면 탈거 방향과 반대측에 있는 제2 돌출부(21b)가 화살표로 도시된 방향으로 밀려 올려진다. 제2 돌출부(21b)가 밀려 올려질 때, 슬라이드 규제 부재(21)는 상방으로 회전되어 규제 해제 위치로 이동되고, 그 후 토글 기구에 의해 탈거 위치에 보유된다.
토글 기구에 의해 슬라이드 규제 부재(21)가 보유될 때, 제1 돌출부(21a)의 회전 단부가 도 10a의 10B-10B 라인을 따른 단면도인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송 롤러(11)의 슬라이드 궤적으로부터 퇴피하는 위치까지 이동된다. 이로 인해, 급송 롤러(11)는 급지 프레임(10)으로부터 탈거되는 위치까지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고, 급송 롤러(11)의 착탈이 가능해진다.
슬라이드 규제 부재(21)가 회전되어 토글 기구에 의해 탈거 위치에 보유된 후, 급송 롤러(11)가 탈거되고, 그런 다음 교환된 급송 롤러(11)가 장착된다. 이 경우, 급송 롤러(11)는, 급송 롤러(11)의 제1 롤러 축(12a)의 선단부가 베어링(16)과 정렬되어 제1 롤러 축(12a)이 줄어들면서, 커플링(11d)이 베어링(17)에 들어가 도록 해서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급송 롤러(11)의 롤러 코어(11b)의 측면에는 접촉부(abutment portion)로서 기능하는 돌출부(11c)가 제공된다. 또한, 슬라이드 규제 부재(21)의 제2 돌출부(21b)에는 걸림부로서 기능하는 리브(21c)가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돌출부(11c)와 제2 돌출부(21b)의 리브(21c)는 이동 기구를 형성한다. 이동 기구는, 급송 롤러(11)가 장착되는 경우, 급송 롤러(11)의 장착 조작과 동기적으로, 로크 해제 위치에 보유된 슬라이드 규제 부재(21)를 로크 위치로 이동시킨다.
급송 롤러(11)의 돌출부(11c)와, 제2 돌출부(21b)의 리브(21c)는, 급송 롤러(11)가 1 회전하는 궤적에 있어서 돌출부(11c)가 리브(21c)에 접촉하는 위치 관계로 제공된다. 급송 롤러(11)가 장착될 경우에, 즉 급송 롤러(11)가 홈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급송 롤러(11)의 돌출부(11c)는 도 9b에 도시된 위치에 있다. 급지 동작이 시작될 때, 급송 롤러(11)의 회전에 따라 돌출부(11c)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규제 부재(21)의 리브(21c)에 접촉한다.
리브(21c)는 돌출부(11c)가 리브(21c)에 접촉할 때 급송 롤러(11)의 반경 방향에서 내측으로 힘이 인가되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리브(21c)에 인가되는 힘은, 토글 기구에 의한 보유력보다 더 크게 설정된다.
이로 인해, 돌출부(11c)가 리브(21c)에 접촉할 때, 슬라이드 규제 부재(21)에는 슬라이드 규제 부재(21)를 하방으로 회전시키는 힘이 가해진다. 이 힘은 토 글 기구의 보유력보다 크고, 따라서 슬라이드 규제 부재(21)가 하방으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 규제 부재(21)가, 탈거 위치(로크 해제 위치)로부터 규제 위치(로크 위치)로 이동된다. 규제 위치로 이동된 후, 슬라이드 규제 부재(21)는 토글 기구에 의해 규제 위치에 보유되므로, 급송 롤러(11)가 탈거되지 않는다.
슬라이드 규제 부재(21)가 규제 위치에 있을 때,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규제 부재의 리브(21c)는 돌출부(11c)와 롤러 코어(11b)의 축부(11d) 사이의 절결부(11e)를 통과하는 위치 관계에 있다. 이로 인해, 급송 롤러(11)의 회전에 영향을 미칠 일은 없다.
급송 롤러(11)의 장착 후, 급지 동작이 개시되어 급송 롤러(11)가 1 회전될 때, 급송 롤러(11)는 규제 해제 상태에 있는 슬라이드 규제 부재(21)의 리브에 접촉하고, 그 결과 슬라이드 규제 부재(21)가 하방으로 회전된다. 이에 의해, 슬라이드 규제 부재(21)는 급송 롤러(11)에 압박되어서 탈거 위치로부터 규제 위치로 복귀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급송 롤러(11)가 장착된 후 회전 동작과 동기하여 보유부에 의해 탈거 위치에 보유된 슬라이드 규제 부재(21)가 규제 위치로 이동된다. 이에 의해, 슬라이드 규제 부재(21)가 로크 해제 위치에 있을 때, 급지 카세트의 착탈에 관계없이, 급송 롤러(11)를 교환해서 통상대로 급지 동작을 시작하는 것만으로 슬라이드 규제 부재(21)가 규제 위치로 자동 복귀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된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시트 급송 장치의 급송 롤러 부근의 구성을 도시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절결부가 없는 급송 롤러(31)에는 제1 롤러 축(31a)이 제공된다. 급송 롤러(31)는, 제1 롤러 축(31a)을 신축시킴으로써 급지 프레임(1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급송 롤러(31)의 슬라이드 동작을 규제하는 슬라이드 규제 부재(22)는 급지 프레임(1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보유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슬라이드 규제 부재(22)는, 급송 롤러(31)의 하방으로부터 급송 롤러(31)의 측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들(22a, 22b)을 포함한다.
급송 롤러(31)가 교환될 경우, 사용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들(2a, 22b) 중 하나, 예를 들면 탈거 방향과 반대측에 있는 제2 돌출부(22b)를 화살표로 지시된 방향으로 눌러 내린다. 제2 돌출부(22b)가 아래로 밀릴 때까지, 슬라이드 규제 부재(22)는 급송 롤러(31)와 반경 방향에서 오버랩한다. 이로 인해, 본의 아니게 급송 롤러(31)에 슬라이드 방향의 힘이 가해진 때에도, 급송 롤러(31)가 슬라이드 규제 부재(22)에 부딪치고 탈거되지 않는다.
제2 돌출부(22b)가 아래로 눌려질 때, 슬라이드 규제 부재(22)는, 급송 롤러(31)의 슬라이드 동작을 규제하는 규제 위치(로크 위치)로부터, 급송 롤러(31)가 탈거될 수 있게 해주는 탈거 위치(로크 해제 위치)까지 하방으로 회전된다. 이 후, 슬라이드 규제 부재(22)는, 보유부로서 기능하는 토글 기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탈거 위치에 보유되고, 이에 의해 급송 롤러(31)의 착탈이 가능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개폐 가능한 도어인 우측 도어(90)(도1 참조)가 개방될 때, 카세트(70)의 플레이트(73)는 대기 위치(stand-by position)로 이동된다. 플레이트(73)는, 승강 기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지 가능 위치(73A)로부터 하방으로 회전되어, 대기 위치(73B)로 이동된다. 우측 도어(90)가 폐쇄될 때 플레이트(73)는 상방으로 회전되고, 대기 위치(73B)로부터 급지 가능 위치(73A)로 이동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레이트(73)의 상방 회전과 연동하여 슬라이드 규제 부재(22)가 복귀하기 위해 회전된다. 이로 인해, 슬라이드 규제 부재(22)의 선단부에는 아래쪽으로 신장된 리브(22f)가 제공된다. 리브(22f)가 제공되기 때문에, 급송 롤러(31)가 장착되고 우측 도어(90)가 폐쇄된 후 플레이트(73)가 우측 도어(90)의 폐쇄 동작과 연동하여 상방으로 회전될 때, 플레이트(73)는 리브(22f)에 하방으로부터 압접된다. 그 결과, 슬라이드 규제 부재(22)에는 상방으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다.
이 힘은 토글 기구의 보유력보다도 더 크고, 따라서 슬라이드 규제 부재(22)는 상방으로 회전되고, 슬라이드 규제 부재(22)가 규제 위치로 이동된다. 규제 위치로 이동된 후, 슬라이드 규제 부재(22)는 토글 기구에 의해 규제 위치에 보유되므로, 급송 롤러(31)가 탈거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우측 도어(90)의 폐쇄 동작과 연동하여 상방으로 회전되는 급지 카세트(72)의 플레이트(73)에 의해 슬라이드 규제 부재(22)가 압박된다. 이에 의해, 슬라이드 규제 부재(22)가 확실하게 규제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플레이트(73)는 우측 도어(90)의 폐쇄 동작과 연동하고, 탈거 위 치에 보유된 슬라이드 규제 부재(22)를 로크 위치로 이동시키면서 상승된다.
이에 의해, 슬라이드 규제 부재(22)가 로크 해제 위치에 있을 때, 급지 카세트의 착탈에 관계없이, 급송 롤러(31)를 교환해서 통상대로 급지 동작을 시작하는 것만으로 슬라이드 규제 부재(22)가 규제 위치로 자동 복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하기의 청구항들은 그러한 변형들과 등가의 구성들 및 기능들을 모두 포괄하도록 최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시트 급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로서의 레이저 프린터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다.
도 2는 시트 급송 장치의 급송 롤러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a 및 도 3b는 시트 급송 장치에 제공되고, 급송 롤러의 슬라이드 동작을 규제하는 로크 기구를 도시한다.
도 4a 및 도 4b는 로크 기구의 로크 해제 조작을 도시한다.
도 5는 로크 기구의 로크가 해제된 후, 슬라이드 규제 부재가 급송 롤러와 일체로 이동되는 구성을 도시한다.
도 6은 급송 롤러의 장착 동작을 도시한다.
도 7a 및 도 7b는 급송 롤러를 장착된 때의 로크 기구의 상태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시트 급송 장치의 급송 롤러 부근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9a 및 도 9b는 시트 급송 장치에 제공되고, 급송 롤러의 슬라이드 동작을 규제하는 로크 기구를 도시한다.
도 10a 및 도 10b는 로크 기구의 로크 해제 조작을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시트 급송 장치의 급송 롤러 부근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12는 시트 급송 장치의 슬라이드 규제 부재와 급지 카세트 사이에 제공된 플레이트의 동작을 도시한다.

Claims (18)

  1. 시트를 급송하는 급송 롤러가 착탈 가능하게 제공된 시트 급송 장치이며,
    상기 급송 롤러를 축 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급송 롤러의 탈거가 규제되는 로크 위치와 상기 급송 롤러의 탈거가 허용되는 로크 해제 위치 간에 이동 가능한 로크 부재와,
    상기 로크 해제 위치로 이동한 상기 로크 부재를 보유하는 보유부와,
    상기 급송 롤러가 상기 지지부에 탑재된 때, 상기 보유부에 의해 상기 로크 해제 위치에 보유된 상기 로크 부재를, 상기 급송 롤러의 장착 조작과 연동하여 상기 로크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
    를 포함하는 시트 급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기구는,
    상기 로크 부재에 제공된 걸림부와,
    상기 급송 롤러에 제공되고, 상기 급송 롤러가 상기 지지부에 장착될 때, 상기 걸림부에 접촉하여 상기 로크 해제 위치에 보유된 상기 로크 부재를 상기 로크 위치로 이동시키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시트 급송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송 롤러는,
    상기 지지부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제1 롤러 축 및 제2 롤러 축과,
    상기 제1 롤러 축을 따라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2 롤러 축과 일체로 제공된 롤러 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급송 롤러가 탈거될 때, 상기 롤러 본체부는 상기 제2 롤러 축이 상기 지지부로부터 지지 해제되는 위치까지 상기 제1 롤러 축을 따라 이동되는, 시트 급송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부재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에 대해 상기 급송 롤러의 탈거 방향 측에 제공되고, 상기 롤러 본체부의 상기 제1 롤러 축에 따른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규제 부재에 의한 상기 롤러 본체부의 이동의 규제는 상기 로크 해제 위치에서 해제되고,
    상기 로크 부재는 수동 조작에 의해 상기 로크 해제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롤러 본체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로크 부재가 상기 보유부에 의해 보유되는 위치로 이동하는, 시트 급송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부는,
    상기 롤러 본체부의 이동에 따라 이동한 상기 로크 부재를 보유하는 보유 부재와,
    상기 보유 부재에 의해 보유된 상기 로크 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 고,
    상기 로크 부재는 상기 롤러 본체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고정부에 의해 고정되는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급송 롤러의 장착 조작과 연동하여 상기 고정부로부터 고정 해제함으로써 상기 로크 위치로 이동하는, 시트 급송 장치.
  6. 시트를 급송하는 급송 롤러가 착탈 가능하게 제공된 시트 급송 장치이며,
    상기 급송 롤러를 축 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급송 롤러의 탈거가 규제되는 로크 위치와 상기 급송 롤러의 탈거가 허용되는 로크 해제 위치 간에 이동 가능한 로크 부재와,
    상기 로크 해제 위치로 이동한 상기 로크 부재를 보유하는 보유부와,
    상기 급송 롤러가 장착된 후, 상기 보유부에 의해 상기 로크 해제 위치에 보유된 상기 로크 부재를, 급송 롤러의 회전 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로크 위치로 이동하는 이동 기구
    를 포함하는 시트 급송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기구는,
    상기 로크 부재에 제공된 걸림부와,
    상기 급송 롤러에 제공되고, 상기 급송 롤러가 회전할 때, 상기 걸림부에 접촉하여 상기 로크 해제 위치에 보유된 상기 로크 부재를 상기 로크 위치로 이동시키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시트 급송 장치.
  8. 시트 적재부에 적재된 시트를 급송하는 급송 롤러가 착탈 가능하게 제공된 시트 급송 장치이며,
    상기 급송 롤러를 축 방향으로 착탈 가능에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급송 롤러의 탈거가 규제되는 로크 위치와 상기 급송 롤러의 탈거가 허용되는 로크 해제 위치 간에 이동 가능한 로크 부재와,
    상기 시트 적재부에 승강 가능하게 제공되고 적재된 시트를 상기 급송 롤러에 압박하는 플레이트와,
    상기 로크 해제 위치로 이동한 상기 로크 부재를 보유하는 보유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가 상승할 때, 상기 보유부에 의해 상기 로크 해제 위치에 보유된 상기 로크 부재가, 상기 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로크 위치로 이동되는, 시트 급송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개폐 가능한 도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도어의 폐쇄 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로크 해제 위치에 보유된 상기 로크 부재를 상기 로크 위치로 이동시키면서 상승하는, 시트 급송 장치.
  10. 시트를 급송하는 급송 롤러가 착탈 가능하게 제공된 시트 급송 장치와, 상기 시트 급송 장치로부터 송출된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이며,
    상기 급송 롤러를 축 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급송 롤러의 탈거가 규제되는 로크 위치와 상기 급송 롤러의 탈거가 허용되는 로크 해제 위치 간에 이동 가능한 로크 부재와,
    상기 로크 해제 위치로 이동한 상기 로크 부재를 보유하는 보유부와,
    상기 급송 롤러가 상기 지지부에 탑재된 때, 상기 보유부에 의해 상기 로크 해제 위치에 보유된 상기 로크 부재를, 상기 급송 롤러의 장착 조작과 연동하여 상기 로크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
    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기구는,
    상기 로크 부재에 제공된 걸림부와,
    상기 급송 롤러에 제공되고, 상기 급송 롤러가 상기 지지부에 장착된 때, 상기 걸림부에 접촉하여 상기 로크 해제 위치에 보유된 상기 로크 부재를 상기 로크 위치로 이동시키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급송 롤러는,
    상기 지지부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제1 롤러 축 및 제2 롤러 축과,
    상기 제1 롤러 축을 따라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2 롤러 축과 일체로 제공된 롤러 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급송 롤러가 탈거될 때, 상기 롤러 본체부는 상기 제2 롤러 축이 상기 지지부로부터 지지 해제되는 위치까지 상기 제1 롤러 축을 따라 이동되는, 화상 형성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부재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에 대해 상기 급송 롤러의 탈거 방향 측에 제공되고, 상기 롤러 본체부의 상기 제1 롤러 축에 따른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규제 부재에 의한 상기 롤러 본체부의 이동의 규제는, 상기 로크 해제 위치에서 해제되고,
    상기 로크 부재는 수동 조작에 의해 상기 로크 해제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롤러 본체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로크 부재가 상기 보유부에 의해 보유되는 위치로 이동하는, 화상 형성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부는,
    상기 롤러 본체부의 이동에 따라 이동한 상기 로크 부재를 보유하는 보유 부재와,
    상기 보유 부재에 의해 보유된 상기 로크 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 고,
    상기 로크 부재는, 상기 롤러 본체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고정부에 의해 고정되는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급송 롤러의 장착 조작과 연동하여 상기 고정부로부터 고정 해제됨으로써 상기 로크 위치로 이동하는, 화상 형성 장치.
  15. 시트를 급송하는 급송 롤러가 착탈 가능하게 제공된 시트 급송 장치와, 상기 시트 급송 장치로부터 송출된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이며,
    상기 급송 롤러를 축 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급송 롤러의 탈거가 규제되는 로크 위치와 상기 급송 롤러의 탈거가 허용되는 로크 해제 위치 간에 이동 가능한 로크 부재와,
    상기 로크 해제 위치로 이동한 상기 로크 부재를 보유하는 보유부와,
    상기 보유부에 의해 상기 로크 해제 위치에 보유된 상기 로크 부재를, 상기 급송 롤러가 장착된 후 급송 롤러의 회전 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로크 위치로 이동하는 이동 기구
    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기구는,
    상기 로크 부재에 제공된 걸림부와,
    상기 급송 롤러에 제공되고, 상기 급송 롤러가 회전할 때, 상기 걸림부에 접 촉하여 상기 로크 해제 위치에 보유된 상기 로크 부재를 상기 로크 위치로 이동시키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17. 시트 적재부에 적재된 시트를 급송하는 급송 롤러가 착탈 가능하게 제공된 시트 급송 장치와, 상기 시트 급송 장치로부터 송출된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이며,
    상기 급송 롤러를 축 방향으로 착탈 가능에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급송 롤러의 탈거가 규제되는 로크 위치와 상기 급송 롤러의 탈거가 허용되는 로크 해제 위치 간에 이동 가능한 로크 부재와,
    상기 시트 적재부에 승강 가능하게 제공되고, 적재된 시트를 상기 급송 롤러에 압박하는 플레이트와,
    상기 로크 해제 위치로 이동한 상기 로크 부재를 보유하는 보유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가 상승할 때, 상기 보유부에 의해 상기 로크 해제 위치에 보유된 상기 로크 부재가 상기 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로크 위치로 이동되는, 화상 형성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개폐 가능한 도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도어의 폐쇄 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로크 해제 위치에 보유된 상기 로크 부재를 상기 로크 위치로 이동시키면서 상승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090047722A 2008-05-30 2009-05-29 시트 급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10865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42497A JP5328229B2 (ja) 2008-05-30 2008-05-30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JP-P-2008-142497 2008-05-30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4754A Division KR101206110B1 (ko) 2008-05-30 2011-10-13 시트 급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5011A true KR20090125011A (ko) 2009-12-03
KR101086554B1 KR101086554B1 (ko) 2011-11-23

Family

ID=4137882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7722A KR101086554B1 (ko) 2008-05-30 2009-05-29 시트 급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20110104754A KR101206110B1 (ko) 2008-05-30 2011-10-13 시트 급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4754A KR101206110B1 (ko) 2008-05-30 2011-10-13 시트 급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992859B2 (ko)
JP (1) JP5328229B2 (ko)
KR (2) KR101086554B1 (ko)
CN (1) CN10159289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59656B2 (ja) * 2010-09-22 2015-01-2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記録媒体搬送装置、画像形成装置
JP5045802B2 (ja) 2010-09-28 2012-10-1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記録装置
JP6257215B2 (ja) 2013-08-09 2018-01-10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検知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画像読取装置
CN103771183A (zh) * 2014-01-21 2014-05-07 深圳市奥坤鑫科技有限公司 真空等离子体表面处理设备
US9617091B2 (en) 2014-06-03 2017-04-11 Canon Kabushiki Kaisha Fee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JP6334372B2 (ja) * 2014-11-19 2018-05-30 株式会社沖データ 印刷媒体供給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676304B2 (ja) 2015-07-31 2020-04-08 キヤノン株式会社 回転体ユニット、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406228B2 (ja) * 2015-11-30 2018-10-1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搬送ローラー及びそれを備えた給送ユニット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2017132600A (ja) 2016-01-28 2017-08-03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
JP6845986B2 (ja) * 2016-08-10 2021-03-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媒体搬送装置及び記録装置
US10486922B2 (en) * 2016-11-09 2019-11-26 Ricoh Company, Ltd. Sheet fee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heet feeding device
JP6351695B2 (ja) * 2016-11-30 2018-07-04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シート搬送装置からの回転体ユニットの取り外し方法及びシート搬送装置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US10656587B2 (en) * 2017-09-25 2020-05-19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convey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7137788B2 (ja) * 2018-09-27 2022-09-15 株式会社リコー 駆動伝達装置、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39252A (en) * 1989-07-15 1992-08-18 Mita Industrial Co., Ltd. Paper-supplying device in an image-forming apparatus
JPH08169574A (ja) * 1994-12-19 1996-07-02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の紙送り装置
JP3201942B2 (ja) * 1995-09-20 2001-08-27 株式会社ピーエフユー 自動原稿給送型画像読取装置およびその用紙送り方法
JP3410263B2 (ja) * 1995-11-07 2003-05-26 株式会社リコー 給紙装置
DE19822998C2 (de) 1998-05-22 2000-05-25 Boewe Systec Ag Vorrichtung zum Einbringen von gestapelten Kuverts in einen Transportkasten
JPH11343038A (ja) * 1998-06-02 1999-12-14 Ricoh Co Ltd 給送装置
TW547458U (en) * 2000-09-15 2003-08-11 Avision Inc Replaceable friction roller for paper feeding device
JP2002265078A (ja) 2001-03-09 2002-09-18 Ricoh Co Ltd 給紙コロユニット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3165633A (ja) * 2001-11-30 2003-06-10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4256287A (ja) 2003-02-27 2004-09-16 Canon Electronics Inc シート給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612893B2 (ja) * 2005-12-27 2011-01-12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6110B1 (ko) 2012-11-28
CN101592890B (zh) 2012-03-28
KR101086554B1 (ko) 2011-11-23
CN101592890A (zh) 2009-12-02
KR20110117050A (ko) 2011-10-26
US20090295069A1 (en) 2009-12-03
JP2009286594A (ja) 2009-12-10
JP5328229B2 (ja) 2013-10-30
US7992859B2 (en) 2011-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6554B1 (ko) 시트 급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JP4612893B2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EP1413533B1 (en) Sheet feeding cassette including an end fence
US8000630B2 (en) Developing cartridge,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4161987B2 (ja) 画像形成装置
CN109502379B (zh) 片材供给设备和成像设备
US1021613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1166268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drawer
JP3943840B2 (ja) 画像形成装置本体
JP5217717B2 (ja) 画像形成装置
US789002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6351695B2 (ja) シート搬送装置、シート搬送装置からの回転体ユニットの取り外し方法及びシート搬送装置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3247817B2 (ja) 給紙装置
EP3428736B1 (en) Image forming device
JP2007261809A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9059559A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20220033206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heet feeding apparatus
WO2023055424A1 (en) Structure to move separation roller with respect to forward roller
JP2023081541A (ja) シート給送装置
JP2023073920A (ja) 画像形成装置
JP2018140880A (ja) シート搬送装置、シート搬送装置からの回転体ユニットの取り外し方法及びシート搬送装置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2006312542A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9008310A (ja)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