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3261A - 철도선로용 틀비계 - Google Patents

철도선로용 틀비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3261A
KR20090123261A KR1020080049242A KR20080049242A KR20090123261A KR 20090123261 A KR20090123261 A KR 20090123261A KR 1020080049242 A KR1020080049242 A KR 1020080049242A KR 20080049242 A KR20080049242 A KR 20080049242A KR 20090123261 A KR20090123261 A KR 200901232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caffolding
main
scaffold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9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5531B1 (ko
Inventor
김대현
이종석
유재경
Original Assignee
(주)부경개발
부산교통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부경개발, 부산교통공사 filed Critical (주)부경개발
Priority to KR1020080049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5531B1/ko
Publication of KR20090123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3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5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5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5/00Other railway vehicles, e.g. scaffold cars; Adaptations of vehicles for use on rail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13/00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whee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04G2001/242Scaffolds movable on wheels or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04G2001/242Scaffolds movable on wheels or tracks
    • E04G2001/244Scaffolds movable on wheels or tracks mechanically oper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04G2001/242Scaffolds movable on wheels or tracks
    • E04G2001/244Scaffolds movable on wheels or tracks mechanically operated
    • E04G2001/246Scaffolds movable on wheels or tracks mechanically operated human power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차량이 이동하는 지하역사나 터널 내부의 벽면이나 천정의 공사를 위해 사용되는 철도선로용 틀비계에 관한 것으로; 철도선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되는 메인바퀴수단이 구비되는 철도선로용 틀비계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퀴수단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보조바퀴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틀비계를 철도선로상의 제1 및 제2레일상에서 이동시키거나 이탈시키는 경우 보조바퀴수단과 가이드부재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틀비계의 이동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틀비계

Description

철도선로용 틀비계 { scaffolding for railroad track }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철도선로용 틀비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선로용 틀비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선로용 틀비계의 일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선로용 틀비계의 하측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선로용 틀비계를 레일상에 위치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철도선로용 틀비계의 요부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철도선로용 틀비계의 요부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선로용 틀비계를 타측선로 이동시키는 상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선로용 틀비계의 작업발판을 확장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선로용 틀비계의 작업발판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제1레일 2: 제2레일
100: 틀비계 110: 지지대
120: 받침대 140: 메인바퀴수단
143: 제1메인축 146: 제2메인축
150: 브레이크수단 200: 보조바퀴수단
300: 가이드부재 400: 승강수단
본 발명은 철도선로용 틀비계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철도차량이 이동하는 지하역사나 터널 내부의 벽면이나 천정의 공사를 위해 사용되는 철도선로용 틀비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높은 지점에서 작업자가 내외장 공사를 하는 경우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틀비계가 사용된다.
이와 같은 틀비계는 통상 통상적으로 다수의 철재 파이프를 용접 등의 방식 으로 견고하게 결합하여 일정 높이의 지지대를 형성하고, 그 지지대의 상단에는 작업자가 활동할 수 있도록 일정 면적의 판재가 설치되는 받침대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의 둘레에는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펜스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대의 하단에는 이동이 용이하게 캐스터가 구비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작업위치를 이동하기 위해서는 지지대의 일측을 당기거나 밀어줌으로써, 지면에 접촉되는 캐스터에 의해 용이하게 이동이 가능해진다.
한편, 도시철도 등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철도차량이 이동하는 지하역사나 터널 내부 벽면 또는 천정의 공사를 위해 사용되는 틀비계의 일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고하면, 철도선로용 틀비계는 철도차량이 이동하는 한쌍의 제1 및 제2레일(1,2) 상면에 접촉되어 제1 및 제2레일(1,2)을 따라 회전되는 4개의 바퀴(10,11,12,13)가 구비된다.
상기 4개의 바퀴(10,11,12,13)는 지지대(20)의 하단에 상기 제1 및 제2레일(1,2)의 길이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평행하게 제1 및 제2지지축(21,22)이 구비되고, 상기 제1지지축(21)의 양단에는 제1 및 제2레일(1,2)상에 각각 접촉되는 제1 및 제2바퀴(10,11)가 회전이 자유롭게 축설되고, 상기 제2지지축(22)의 양단에는 제1 및 제2레일(1,2)상에 각각 접촉되는 제3 및 제4바퀴(12,13)가 회전이 자유롭게 축설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1 및 제2레일(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틀비계의 일측을 밀거나 당기는 경우 제1 및 제2레일(1,2)상에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철도차량이 이동하는 제1 및 제2레일(1,2)상에 틀비계가 설치되므로 철도차량이 이동시에는 틀비계를 제1 및 제2레일(1,2)상에서 다른 지점으로 이동시켜야 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조의 틀비계는 제1 및 제2레일(1,2)을 벗어나게 하거나 또는 타측 선로의 제1 및 제2레일(1,2)상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틀비계를 완전히 들어올려 다른 지점으로 이동시켜야 하므로 다수의 작업자가 필요한 단점을 갖고 있다.
특히, 틀비계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이동시키는 중에 틀비계가 전복될 위험성이 커 작업자의 안전에도 부담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철도차량이 이동하는 지하역사나 터널 내부의 벽면이나 천정의 공사를 위해 사용되는 틀비계를 레일상에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의 철도선로용 틀비계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틀비계를 철도선로의 레일상에서 외부로 이동시 전복의 위험이 없는 구조의 철도선로용 틀비계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철도선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되는 메인바퀴수단이 구비되는 철도선로용 틀비계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퀴수단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보조바퀴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보조바퀴수단은; 제1메인축과 제2메인축을 결합하는 연결프레임의 양 측단부에 지지 고정되는 제1 내지 제4보조바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내지 제4보조바퀴는 제1 내지 제4지지브라켓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4보조바퀴는 외주연에 안착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안착홈은 반원형, 삼각형 및 사각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보조바퀴수단은 가이드부재에 의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바퀴수단은 제1, 2메인축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제1, 2메인축의 양단은 연결프레임에 의해 연결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프레임에는 틀비계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지지대에 일체로 설치되되 상하방향의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그 가이드공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 의 가이드공에 관통설치되되 그 외주연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손잡이가 구비되는 회전축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부재의 하단에는 캐스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바퀴수단은 제1 내지 제4메인바퀴로 구성되되, 상기 제1 내지 제4메인바퀴는 내측에는 플랜지 형성되고, 외측에는 외측플랜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2메인축의 양단이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철도선로용 틀비계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에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선로용 틀비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선로용 틀비계의 일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선로용 틀비계의 하측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선로용 틀비계를 레일상에 아동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철도선로용 틀비계의 요부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철도선로용 틀비계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철도선로용 틀비계(100)는 철도차량이 이동하는 지하역사나 터널 내부 벽면 또는 천정의 공사를 위해 사용된다.
이와 같은 틀비계(100)는 다수의 철재 파이프를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견고하게 결합하거나, 조립이 가능한 구조로 하여 일정 높이의 지지대(110)를 형성하고, 그 지지대(110)의 상단에는 작업자가 활동할 수 있도록 판재가 설치되는 일정 면적의 받침대(120) 및 펜스(130)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110)의 하부에는 철도차량이 이동하는 한쌍의 제1 및 제2레일(1,2) 상면에 안착 회전함으로써 제1 및 제2레일(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틀비계(100)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메인바퀴수단(14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100)는 작업장소가 높은 곳에 위치할 때에는 다단으로 적층하여 그 높이를 적정하게 유지한다.
이와 같은 메인바퀴수단(140)은 회전이 자유롭게 4개의 제1 내지 제4메인바퀴(141,142,143,144)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구비된다.
이때, 상기 메인바퀴수단(140)은 지지대(110)의 하단에 상기 제1 및 제2레일(1,2)의 길이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평행하게 제1 및 제2메인축(145,146)과, 상기 제1메인축(145)의 양단에 회전이 자유롭게 구비되어 제1 및 제2레일(1,2)상에 각각 접촉되는 제1 및 제2메인바퀴(141,142)와, 상기 제2메인축(146)의 양단에 회전이 자유롭게 구비되어 제1 및 제2레일(1,2)상에 각각 접촉되는 제3 및 제4메인바퀴(143,144)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메인축(145)과 제2메인축(146)은 U형 클램프(165)에 의해 연결프레임(160)에 결합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틀비계(100)의 일측을 밀거나 당기면 상기 제1 및 제2레 일(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내지 제4메인바퀴(141,142,143,144)가 설치되는 제1 및 제2메인축(145,146)상에는 상기 틀비계(100)를 원하는 작업 위치로 이동시킨 후, 움직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브레이크수단(15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내지 제4메인바퀴(141,142,143,144)는 레일(1,2)에 안착되되 상기 레일(1,2)과 접촉하는 답면부는 테이프가 형성되고, 답면부의 내측에는 상기 제1 내지 제4메인바퀴(141,142,143,144)가 레일(1,2)을 탈선하지 않도록 답면부의 내측에 플랜지(141a,142a,143a,144a)가 형성되고, 답면부의 외측에는 외측플랜지(141b,142b,143b,144b)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브레이크수단(150)은 상기 제1 및 제2메인축(145,146)상에 설치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너트부재(151)와, 상기 너트부재(151)에 체결되되 손잡이를 회전시키면 상기 너트부재(152)에 체결되어 상기 제1 내지 제4메인바퀴(141,142,143,144)의 플랜지부(141a,142a,143a,144a)를 가압하도록 전후진되는 볼트부재(152)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브레이크수단(150)은 상기 제1 및 제2메인축(145,146)의 외측에 설치되는 별도의 보스부재(미도시)에 고정되어 제1 및 제2메인축(145,146)의 회전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설치되게 된다.
한편, 철도차량이 이동하는 제1 및 제2레일(1,2)상에 틀비계(100)가 설치되므로 철도차량이 통행하기 위해서는 틀비계(100)를 제1 및 제2레일(1,2)상에서 일탈되는 다른 지점으로 이동시켜야 한다.
따라서, 상기 틀비계(100)를 상기 제1 또는 제2레일(1 또는 2)의 일측으로 이동시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동시키며, 이동시 전복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틀비계(100)의 지지대(110) 하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레일(1,2)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보조바퀴수단(200)이 설치된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보조바퀴수단(200)은 상기 제1 및 제2메인축(145,146)을 결합 지지하는 연결프레임(160)의 일측 하단에 일체로 구비되는 제1 및 제3지지브라켓(210,230)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제1 및 제3보조바퀴(212,232)와, 상기 연결프레임(160)의 타측 하단에 일체로 구비되는 제2 및 제4지지브라켓(220,240)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제2 및 제4보조바퀴(222,242)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보조바퀴수단(200)의 제1 내지 제4보조바퀴(212,222,232,242)는 안정적으로 안내되어 제1 및 제2레일(1,2)에서 이탈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및 제2레일(1,2)과 교차되어 상기 제1 내지 제4보조바퀴(212,222,232,242)를 안내하는 가이드부재(300)가 더 구비된다.
물론, 상기 가이드부재(300)는 제1 및 제2레일(1,2)과 교차설치되되 좀더 정확히는 상기 제1 및 제2레일(1,2)과 90°의 직각을 이루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 내지 제4보조바퀴(212,222,232,242)는 외주연에 안착홈(212a,222a,232a,242a)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재(300)는 상기 안착홈(212a,222a,232a,242a)이 밀착되도록 그 상단면이 안착홈(212a,222a,232a,242a)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내지 제4보조바퀴(212,222,232,242)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가이드부재(300)는 원형의 제1 및 제2파이프(310,320)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제1파이프(310)의 상부에는 제1 및 제2보조바퀴(212,222)가 접촉되고, 상기 제2파이프(320)의 상부에는 32 및 제4보조바퀴(232,242)가 접촉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파이프(310,320)는 원형 이외에도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단면이 사각인 파이프를 사용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삼각 파이프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부재(300)인 제1 및 제2파이프(310,320)와 제1 내지 제4보조바퀴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안착홈(212a,222a,232a,242a)은 동일한 형상을 이루게 된다.
이하, 도 2 내지 도 8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철도선로용 틀비계의 사용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틀비계(100)는 작업하고자 하는 선로 상의 임의의 위치의 제1 및 제2레일(1,2) 상에 상기 메인바퀴수단(140)의 제1 내지 제4메인바퀴(141,142,143,144)가 안착되도록 위치되게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지하철 역사나 터널 내부 벽면이나 천장 등의 보수 등의 공사를 작업자가 수행할 수 있다.
즉, 원하는 위치로 틀비계(100)를 이동시킨 후, 브레이크수단(150)을 조정하 여 움직이지 않게 고정시킨 후, 소정의 작업을 하게 된다.
여기서, 작업중 상기 틀비계(100)를 타측의 선로 상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때에는 가이드부재(300)인 제1 및 제2파이프(310,320)를 틀비계(100)의 하부에 구비되는 보조바퀴수단(200)의 제1 및 제2보조바퀴(212,222)를 레일의 상부로 들어올려 안착홈(212a,222a)을 제1파이프(310)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하고, 이어서 제3 및 제4보조바퀴(232,242)를 들어올려 안착홈(232a,242a)이 제2파이프(320)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파이프(310,320)는 틀비계(100)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인접 선로의 제1 및 제2레일(1,2)까지 연장되도록 설치하여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틀비계(100)의 측면을 밀게 되면, 틀비계(100)가 인접하는 선로 상의 제1 및 제2레일(1,2)쪽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동이 완료되면 상기 제1 및 제2보조바퀴(212,222)를 들어올리고 제1파이프(310)를 제거하여 제1 및 제2보조바퀴(212,222)가 이동하고자 하는 레일 상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제3 및 제4보조바퀴(232,242)를 들어올리고 제2파이프(320)를 제거하여 제3 및 제4보조바퀴(232,242)가 레일 상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틀비계(l00)의 이동이 완료되게 된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철도선로용 틀비계를 도시한 도면으로, 상기 틀비계(100)의 지지대(110) 하부의 연결프레임(160)에는 상기 틀비계(100)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400)이 더 구비된다.
즉, 상기 승강수단(400)은 상기 틀비계(100)의 연결프레임(160)에 일체로 설치되되 상하방향의 가이드공(412)이 형성되고 그 가이드공(412)에는 암나사산(미도시됨)이 형성되는 가이드부재(410)와, 상기 가이드부재(410)의 가이드공(412)에 관통설치되되 그 외주연에는 수나사산(422)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손잡이(424)가 구비되는 회전축부재(420)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424)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회전축부재(420)가 상기 가이드부재(410)의 가이드공(412)에서 상하로 안내되는데, 상기 회전축부재(420)가 하강하는 경우 지면에 그 단부가 밀착되며 상대적으로 틀비계(100)가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틀비계(100)를 인접 선로로 이동시키기 위해 보조바퀴수단(200)을 가이드부재(300)에 올려놓거나 또는 내려놓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틀비계(100)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틀비계(100)를 용이하게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회전축부재(420)의 하단에는 캐스터(43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틀비계(100)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상기 캐스터(430)에 의해 틀비계(100)를 가이드부재(300)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위에서는 상기 틀비계(100)의 일측에 하나의 승강수단(400)을 도시하였지만, 상기 승강수단(400)을 연결프레임(160)의 양 측단부에 하나씩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상기 승강수단(400)은 유압잭을 사용하여 틀비계(100)를 들어 올릴수 있는 등 다양하게 변환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선로용 틀비계의 작업발판을 확장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상기 틀비계(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작업발판(120)의 작업 폭 을 조절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작업발판(120)의 양 측단부에 폭 조절이 가능하도록 연장부(122)를 더 형성한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레일에서 작업을 하기 위한 벽체까지의 거리가 짧아지게 되어 틀비계의 작업한계를 줄일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작업자의 안전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선로용 틀비계의 작업발판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상기 틀비계(100)의 지지대(110)에 횡방향으로 다수개의 가로지지대(118)를 더 설치한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천장에서 벽체까지 또는 장애물이 있어 작업공간의 확보가 어려운 구간에도 작업발판(120)의 설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틀비계(100)의 작업한계를 줄이고, 작업자의 안전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먼저, 가이드부재(300)인 제1 및 제2파이프(310,320)는 제1 및 제2레일(1,2) 의 하부를 지지하는 침목(3,4)사이에 일정한 공간(S)이 형성되므로 그 공간(S)을 관통하여 설치한 상태에서, 틀비계(100)의 하부에 구비되는 보조바퀴수단(200)의 제1 및 제3보조바퀴(212,232)의 안착홈(212a,232a)을 제1파이프(310)의 상부에 밀착시키고, 제2 및 제4보조바퀴(222,242)의 안착홈(222a,242a)을 제2파이프(320)의 상부에 밀착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틀비계(100)의 측면을 밀게 되면, 틀비계(100)가 제1 및 제2레일(1,2)쪽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제1 및 제2보조바퀴(212,232)가 제1레일(1)의 일측으로 접근하게 된다.
이때, 작업자가 틀비계(100)의 제1 및 제2보조바퀴(212,222)쪽을 살짝 들어올려 제1레일(1)을 넘어 제1 및 제2보조바퀴(212,222)를 상기 제1 및 제2파이프(310,320)에 안착시킨 후 틀비계(100)의 측면을 밀게 되어 제1 및 제2보조바퀴(212,222)가 제2레일(2)의 일측으로 접근하게 되면 틀비계(100)를 들어올려 메인바퀴수단(140)의 제1 내지 제4바퀴(141,142,143,144)를 제1 및 제2레일(1,2)면상에 밀착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지하철 역사나 터널 내부 벽면이나 천장 등의 보수 등의 공사를 작업자가 수행할 수 있다.
즉, 원하는 위치로 틀비계(100)를 이동시킨 후, 브레이크수단(150)을 조정하여 움직이지 않게 고정시킨 후, 원하는 작업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틀비계(100)를 제1 및 제2레일(1,2)에서 이탈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틀비계(100)의 설치와는 반대로 수행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철도선로용 틀비계를 도시한 도면으로, 상기 틀비계(100)의 지지대(110) 하부에는 상기 틀비계(100)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400)이 더 구비된다.
즉, 상기 승강수단(400)은 상기 틀비계(100)의 지지대(110)에 일체로 설치되되 상하방향의 가이드공(412)이 형성되고 그 가이드공(412)에는 암나사산(미도시됨)이 형성되는 가이드부재(410)와, 상기 가이드부재(410)의 가이드공(412)에 관통설치되되 그 외주연에는 수나사산(422)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손잡이(424)가 구비되는 회전축부재(420)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424)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회전축부재(420)가 상기 가이드부재(410)의 가이드공(412)에서 상하로 안내되는데, 상기 회전축부재(420)가 하강하는 경우 지면에 그 단부가 밀착되며 상대적으로 틀비계(100)가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틀비계(100)를 상기 제1 및 제2레일(1,2)상에 올려놓거나 또는 내려놓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틀비계(100)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회전축부재(420)의 하단에는 캐스터(43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틀비계(100)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한쪽방향으로 밀더라도 상기 캐스터(430)에 의해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외에도 상기 승강수단(400)은 렉과 피니언을 이용하여 회전운동을 직선운 동으로 변환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틀비계를 철도선로상의 제1 및 제2레일상에 이동시키거나 이탈시키는 경우 보조바퀴수단과 가이드부재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틀비계의 이동이 용이하고, 틀비계의 해체 및 설치에 따른 인력절감으로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틀비계를 철도의 제1 및 제2레일상에 이동시키거나 이탈시키는 경우 일부분만 살짝 들어올린 상태에서도 이동이 가능하여 틀비계의 전복위험이 적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Claims (12)

  1. 철도선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되는 메인바퀴수단이 구비되는 철도선로용 틀비계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퀴수단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보조바퀴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선로용 틀비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바퀴수단은; 제1메인축과 제2메인축을 결합하는 연결프레임의 양 측단부에 지지 고정되는 제1 내지 제4보조바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선로용 틀비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보조바퀴는 제1 내지 제4지지브라켓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선로용 틀비계.
  4. 제 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보조바퀴는 외주연에 안착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선로용 틀비계.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은 반원형, 삼각형 및 사각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선로용 틀비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바퀴수단은 가이드부재에 의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선로용 틀비계.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퀴수단은 제1, 2메인축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제1, 2메인축의 양단은 연결프레임에 의해 연결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선로용 틀비계.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에는 틀비계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선로용 틀비계.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지지대에 일체로 설치되되 상하방향의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그 가이드공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의 가이드공에 관통설치되되 그 외주연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손잡이가 구비되는 회전축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선로용 틀비계.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부재의 하단에는 캐스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선로용 틀비계.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퀴수단은 제1 내지 제4메인바퀴로 구성되되, 상기 제1 내지 제4메인바퀴는 내측에는 플랜지 형성되고, 외측에는 외측플랜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선로용 틀비계.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메인축의 양단이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선로용 틀비계.
KR1020080049242A 2008-05-27 2008-05-27 철도선로용 틀비계 KR100955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242A KR100955531B1 (ko) 2008-05-27 2008-05-27 철도선로용 틀비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242A KR100955531B1 (ko) 2008-05-27 2008-05-27 철도선로용 틀비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3261A true KR20090123261A (ko) 2009-12-02
KR100955531B1 KR100955531B1 (ko) 2010-05-03

Family

ID=41685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9242A KR100955531B1 (ko) 2008-05-27 2008-05-27 철도선로용 틀비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553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7721A (ko) * 2016-11-01 2018-05-10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Submerged Arc Welding, SAW) 전용 이송형 용접장치.
CN108755307A (zh) * 2018-06-20 2018-11-06 北京磁浮交通发展有限公司 轨道检修用的安全防护装置
CN111456398A (zh) * 2020-03-24 2020-07-28 中国五冶集团有限公司 一种大空间轨道式行车
KR102203793B1 (ko) * 2020-08-31 2021-01-15 (주)케이엘산업건설 이동식 철로설비 보수 작업대
CN112609950A (zh) * 2020-11-28 2021-04-06 中建二局第一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建筑物外立面施工便捷可移动式操作架
KR20220036230A (ko) * 2020-09-15 2022-03-2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화가스 화물창용 작업대
KR20220101244A (ko) * 2021-01-11 2022-07-19 (주)케이엘산업건설 이동식 철로설비 보수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809B1 (ko) 2011-12-29 2013-10-14 김명호 전후좌우 이동식 철로설비 보수용 작업대
GB2583640B (en) * 2017-12-22 2022-08-17 Melvelle Equipment Corp Pty Ltd Railway track trolley
KR101991397B1 (ko) * 2018-11-15 2019-06-20 주식회사 삼신 보일러 노내 비계용 가설 작업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815A (ja) * 1994-07-25 1996-02-06 Hitachi Kiden Kogyo Ltd スクリーン循環式除塵機におけるスクリーンのガイド装置
JPH11217002A (ja) 1998-02-02 1999-08-10 Central Japan Railway Co 台車車輪
KR200221860Y1 (ko) 2000-08-22 2001-04-16 지상철 작업 운반차의 높이 조절장치
KR20030072174A (ko) * 2002-03-02 2003-09-13 이기용 철로용 주행대차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7721A (ko) * 2016-11-01 2018-05-10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Submerged Arc Welding, SAW) 전용 이송형 용접장치.
CN108755307A (zh) * 2018-06-20 2018-11-06 北京磁浮交通发展有限公司 轨道检修用的安全防护装置
CN111456398A (zh) * 2020-03-24 2020-07-28 中国五冶集团有限公司 一种大空间轨道式行车
KR102203793B1 (ko) * 2020-08-31 2021-01-15 (주)케이엘산업건설 이동식 철로설비 보수 작업대
KR20220036230A (ko) * 2020-09-15 2022-03-2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화가스 화물창용 작업대
CN112609950A (zh) * 2020-11-28 2021-04-06 中建二局第一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建筑物外立面施工便捷可移动式操作架
CN112609950B (zh) * 2020-11-28 2022-09-16 中建二局第一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建筑物外立面施工便捷可移动式操作架
KR20220101244A (ko) * 2021-01-11 2022-07-19 (주)케이엘산업건설 이동식 철로설비 보수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5531B1 (ko) 2010-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5531B1 (ko) 철도선로용 틀비계
CA2897863C (en) Low profile drop table
JP7112361B2 (ja) トンネル天井面研掃方法及びトンネル天井面研掃装置
DE102006030432B3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Wechseln von Unterflurbauteilen an Schienenfahrzeugen
JPH0841828A (ja) 橋桁架設装置
US4873738A (en) Apparatus for stripping concrete forms from bridge structures
JP5769961B2 (ja) 構造物の架設方法及び撤去方法
KR20120088449A (ko) 고소작업용 작업차
DE202006010225U1 (de) Vorrichtung zum Wechseln von Unterflurbauteilen an Schienenfahrzeugen, insbesondere von Drehgestellen
EP3007955B1 (en) Railway vehicle
JP2010241304A (ja) 車両の台車取り外し設備および方法
JP2001159232A (ja) 移動足場装置、及び移動足場装置を用いた据付方法
CN110937555A (zh) 轨道检修车
JP5777949B2 (ja) 合成床版架設機及び架設方法
JP2020082777A (ja) 鉄道車両の台車交換設備
JP6479640B2 (ja) 移動足場装置
CN210856941U (zh) 一种桥梁预应力张拉台车
CN112228113A (zh) Pba暗挖车站顶纵梁和中跨扣拱的模板体系及施工方法
CN220224787U (zh) 一种用于轨道设备的横移系统
CN217440023U (zh) 一种用于超大矩形顶管管节平移台车
JP2010007243A (ja) 鉄道桁移動設置装置、鉄道桁移動設置方法および鉄道桁撤去方法
CN213510651U (zh) 隧道施工用一体式二衬台车
JP5299982B1 (ja) 円筒構造物建設・補修工事用壁つなぎバンドおよび該壁つなぎバンドを使用した移動昇降式足場による円筒構造物の建設・補修方法
CN209855823U (zh) 一种隧道拱部管片拼装设备
JPH032043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