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7462B1 - 상부작업대의 승강이 가능한 터널 작업 및 안전진단용 대차 구조물 - Google Patents

상부작업대의 승강이 가능한 터널 작업 및 안전진단용 대차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7462B1
KR101287462B1 KR1020130014066A KR20130014066A KR101287462B1 KR 101287462 B1 KR101287462 B1 KR 101287462B1 KR 1020130014066 A KR1020130014066 A KR 1020130014066A KR 20130014066 A KR20130014066 A KR 20130014066A KR 101287462 B1 KR101287462 B1 KR 101287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platform
tunnel
fixed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4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경남
Original Assignee
케이에스엠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에스엠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에스엠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4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74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7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7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5/00Other railway vehicles, e.g. scaffold cars; Adaptations of vehicles for use on railway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3/00Transport specially adapted to underground conditions
    • E21F13/004Staff transport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7/00Methods or devices for use in mines or tunnels, not covered elsewhe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널 내의 유지 보수작업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신속한 작업이 가능하게 하며, 터널 상부에 설치된 구조물의 높이 변화에 따라 대차 구조물의 상부대차의 높이를 조절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높인 터널 작업 및 안전진단용 대차 구조물에 관한 것이며, 터널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하부작업대(20)와 상부작업대(30)로 이루어지며, 상부작업대(30)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작업대차(10); 한쌍의 대차구조물(21)으로 이루어지고, 대차구조물(21)의 하부에 이동바퀴(22)가 형성되며, 한쌍의 대차구조물(21)의 상단에 한쌍의 레일(23)이 설치되어 서로 연결되는 하부작업대(20); 수평대(32)와 고정된 승강수직대(31) 및 지지프레임(33)으로 이루어지고, 하부수평봉(33-2)과 상부수평봉(33-3)에 수직봉(33-1)이 고정되어 지지프레임(33)이 형성되고, 수직봉(33-1)에 지지가이드(34)가 용접으로 고정되며, 지지가이드(34)에 승강수직대(31)가 삽입되어 가이드되고, 지지프레임(33)의 하부에 다수의 바퀴(40)가 설치되어 하부작업대(20)의 레일(23) 위를 이동하는 상부작업대(30); 한쌍의 구동바(51)와 한쌍의 종동바(53)가 X자 형상으로 서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구동바(51)의 하단 사이를 연결봉(52)으로 고정되며, 구동바(51)의 상단은 수평대(32)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종동바(53)의 하단은 상부수평봉(33-3)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수평대(32)와 상부수평봉(33-3)에 각각 가이드(54)(55)가 고정되어 종동바(53)의 상단과 구동바(51)의 하단이 각각 가이드(54)(55)를 따라 이동하도록 고정되고, 구동바(51)와 종동바(53)가 수직으로 오무려지면 승강수직대(31)가 상향이동하고 수평으로 오무려지면 하향이동하게 구성된 승강링크(50); 지지바(61)의 양단에 체결부(65)가 형성되고, 양단의 체결부(65)는 각각 하부작업대(20)의 일측과 레일(23)의 일측에 각각 형성된 힌지(63)(64)에 사선으로 고정되어 하부작업대(20)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부분의 레일(23)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받침지지대(60)(60'); 승강링크(50)의 연결봉(52)과 연결되어 후방 또는 전방으로 이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구동수단; 하부에 클립부(81)가 형성되어 레일(23)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지고, 클립부(81)의 상부로 밀착부(82)가 곡면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바퀴(40)와 밀착되게 한 스톱퍼(80);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상부작업대의 승강이 가능한 터널 작업 및 안전진단용 대차 구조물 { A operating car having a upper part can move vertical direction for a constucting tunnel or safety diagnosis }
본 발명은 상부작업대의 승강이 가능한 터널 작업 및 안전진단용 대차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터널 내의 유지 보수작업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신속한 작업이 가능하게 하며, 터널 상부에 설치된 구조물의 높이 변화에 따라 대차 구조물의 상부대차의 높이를 조절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높인 상부작업대의 승강이 가능한 터널 작업 및 안전진단용 대차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는 산악지역이 많기 때문에 도로와 철도 공사를 할 경우 터널이 많이 발생하게 되어 있고, 특히 철도의 경우에는 선로가 대부분 지상에 설치되고 산악지대를 통과하므로 터널 작업을 많이 하게 된다.
터널은 암반이나 흙을 인공적으로 굴착, 관통시켜 도로·철도·지하철 및 지하보도의 교통운수, 배수 및 용수(관개·발전·상하수도)의 수로, 유류의 운반 및 지하저장, 통신 및 전기의 지하공동구, 핵폐기물의 지하저장, 광산·군사시설 등에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터널의 굴착에서 복공이 완료될 때까지 지반을 지지하여 안전을 유지하고 능률적으로 갱내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터널 지보공(支保工)이라고 하는데, 지질, 터널의 단면 크기와 굴착공법, 복공시기, 갱내의 작업성에 따라 강 지보재(steel rib), 록 볼트(rock bolt), 뿜어붙임 콘크리트(shotcrete), 철망(wire mesh) 등의 방법이 있다.
철도터널의 경우 1947년부터 삼척탄전을 비롯한 전국 각지의 탄전개발과, 1948년부터 수송을 위한 영암선·영월선(함백선)·단양선 등의 철도건설이 시작되었다.
이와 같은 선로들은 험준한 산간계곡을 관통하는 선로들이어서 터널은 불가피한 구조물이었다.
도로 터널의 경우 현재 각 고속도로, 국도, 지방도, 시가지에 수많은 도로터널이 건설되고 있다.
특히 선로의 궤도와 터널 내의 유지보수작업 및 개량공사 등을 시행하고자 할 때에는 열차가 장시간 동안 운행되지 않는 시간대를 택하여 공사를 진행하고 있는데, 철도의 경우에는 선로가 지상에 설치되는 관계로 각 역에는 열차가 운행되는 선로를 포함하여 다른 열차의 진입이나 작업차량 등을 대피시킬 수 있는 복수의 보조선로가 설치되어 있고, 또 열차의 운행시간이 비교적 긴 시간의 격차가 있기 때문에 열차가 운행되고 있는 선로에 작업차량 및 작업 인원을 투입하여 궤도의 유지 보수작업이나 안전진단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터널 내의 공사 경우 열차가 운행되지 않는 시간대가 짧아서, 운행되지 않는 시간 내에 유지보수 작업 및 안전진단 작업의 진행을 빨리 해야 하는 실정이다.
현재에는 열차의 운행이 많아지고, 승객의 증가로 인해 전원공급 시스템이 손상되는 현상이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는 반면에 시스템의 유지 및 보수 작업을 할 수 있는 시간은 마지막 열차의 운행이 종료되는 시간에서부터 다음의 첫 열차의 운행이 시작되기 전까지의 시간에만 유지 보수 작업 및 안전진단 작업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철도의 경우에는 통상 선로가 복선으로 설치되어 있고, 첫 열차는 각기 정해진 출발역에서 대략 새벽 전후로 하여 출발하고 있으며, 마지막 열차는 대략 자정에서 오전 2시까지 운행되고 있기 때문에 시스템의 유지 보수작업은 마지막 열차의 운행이 종료된 시간에서부터 첫 열차의 운행이 시작되기 전의 시간대에만 유지보수작업이 가능하며, 유지 보수작업 등을 수행하는 각종 장비를 대기시켜 놓고 있다가 열차가 운행되지 않는 시간대에 장비와 작업 인원을 지하선로에 투입하여 궤도의 유지보수 작업 등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철도터널용 다용도 안전 작업 대차라는 명칭으로 출원되고 등록된 특허 등록 제 0764824호에 터널에서 작업이 용이하게 대차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터널의 경우 환기장치나 기타 전선 및 조명 등의 시설물의 터널 상부에 설치되는데, 이러한 대차의 경우 상부 작업대가 터널 상부에 설치된 각종 시설 구조물에 의해 간섭받아 제대로 이동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는 각종 터널의 공사 및 도로 터널에도 마찬가지로 발생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터널 공사 또는 터널내에서 유지보수 및 안전진단을 하기 위해 터널 내부를 이동하면서 신속하게 작업을 할 수 있는 대차를 제공하되 터널의 상부에 설치되는 전차선 또는 각종 시설물과 구조물에 의해 간섭받았을 때 상부작업대를 이동시키거나 하방으로 높이를 낮추어 통과가 용이하게 구성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부작업대의 높이를 여러 단계로 낮출 수 있어 상황에 따라 상부작업대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하여 상부작업대의 안전성을 높여주며 작업의 편의성을 뛰어나게 하고자 한다.
상부작업대의 높이를 낮출때 중량의 작업대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게 구성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터널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하부작업대(20)와 상부작업대(30)로 이루어지며, 상부작업대(30)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작업대차(10); 한쌍의 대차구조물(21)으로 이루어지고, 대차구조물(21)의 하부에 이동바퀴(22)가 형성되며, 한쌍의 대차구조물(21)의 상단에 한쌍의 레일(23)이 설치되어 서로 연결되는 하부작업대(20); 수평대(32)와 고정된 승강수직대(31) 및 지지프레임(33)으로 이루어지고, 하부수평봉(33-2)과 상부수평봉(33-3)에 수직봉(33-1)이 고정되어 지지프레임(33)이 형성되고, 수직봉(33-1)에 지지가이드(34)가 용접으로 고정되며, 지지가이드(34)에 승강수직대(31)가 삽입되어 가이드되고, 지지프레임(33)의 하부에 다수의 바퀴(40)가 설치되어 하부작업대(20)의 레일(23) 위를 이동하는 상부작업대(30); 한쌍의 구동바(51)와 한쌍의 종동바(53)가 X자 형상으로 서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구동바(51)의 하단 사이를 연결봉(52)으로 고정되며, 구동바(51)의 상단은 수평대(32)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종동바(53)의 하단은 상부수평봉(33-3)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수평대(32)와 상부수평봉(33-3)에 각각 가이드(54)(55)가 고정되어 종동바(53)의 상단과 구동바(51)의 하단이 각각 가이드(54)(55)를 따라 이동하도록 고정되고, 구동바(51)와 종동바(53)가 수직으로 오무려지면 승강수직대(31)가 상향이동하고 수평으로 오무려지면 하향이동하게 구성된 승강링크(50); 지지바(61)의 양단에 체결부(65)가 형성되고, 양단의 체결부(65)는 각각 하부작업대(20)의 일측과 레일(23)의 일측에 각각 형성된 힌지(63)(64)에 사선으로 고정되어 하부작업대(20)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부분의 레일(23)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받침지지대(60)(60'); 승강링크(50)의 연결봉(52)과 연결되어 후방 또는 전방으로 이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구동수단; 하부에 클립부(81)가 형성되어 레일(23)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지고, 클립부(81)의 상부로 밀착부(82)가 곡면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바퀴(40)와 밀착되게 한 스톱퍼(80);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구동수단은 연결봉(52)에 한쌍의 구동와이어(74)를 고정하고, 구동와이어(74)의 타단을 권취드럼(72)에 고정하여 모터(70)와 감속기(71)의 구동에 의해 연결봉(52)을 당기거나, 풀어주어 승강수직대(31)를 올리거나 자중에 의해 내려오게 구성되고, 지지가이드(34)에 다수의 멈춤슬릿(34-1)이 일정 높이 간격으로 형성되어 승강수직대(31)가 원하는 위치에 있을 때 멈춤슬릿(34-1)에 스토퍼판(34-2)을 끼워 승강수직대(31) 하단을 지지하도록 구성되거나, 구동수단은 연결봉(52)의 일측에 공압실린더의 실린더 로드가 고정되고, 공압실린더는 지지프레임(33)의 일측에 설치되며, 실린더로드가 연결봉(52)을 밀거나 당기면 승강수직대(31)가 올라거거나 내려오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작업대의 승강이 가능한 터널 작업 및 안전진단용 대차 구조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하부작업대와 상부작업대로 나뉘어 구성되어 터널 공사 또는 터널내에서 유지보수 및 안전진단을 하기 위해 터널 내부를 이동하면서 신속하게 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터널의 상부에 설치되는 전차선 또는 각종 시설물과 구조물에 의해 간섭받았을 때 상부작업대를 이동시키거나 하방으로 높이를 낮추어 상부작업대를 완전히 해체하지 않아도 이동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하부 작업대 위에서 상부작업대가 수평이동을 할 수 있게 되어 터널 내부의 모든 곳에 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구동와이어를 당기면 승강링크에 의해 승강수직대가 올라가게 구성되고 원하는 높이에서 지지가이드의 멈춤슬릿에 스토퍼판을 끼우면 멈춤상태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상부작업대의 승강이 가능한 터널 작업 및 안전진단용 대차 구조물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상부작업대의 승강이 가능한 터널 작업 및 안전진단용 대차 구조물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상부작업대의 승강이 가능한 터널 작업 및 안전진단용 대차 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상부작업대의 승강이 가능한 터널 작업 및 안전진단용 대차 구조물의 상부작업대가 하강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상부작업대의 승강이 가능한 터널 작업 및 안전진단용 대차 구조물의 상부 작업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상부작업대의 승강이 가능한 터널 작업 및 안전진단용 대차 구조물의 상부작업대가 하강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상부작업대의 승강이 가능한 터널 작업 및 안전진단용 대차 구조물의 상부작업대를 도시한 일부 단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상부작업대의 승강이 가능한 터널 작업 및 안전진단용 대차 구조물의 스톱퍼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상부작업대의 승강이 가능한 터널 작업 및 안전진단용 대차 구조물의 지지가이드를 도시한 확대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상부작업대의 승강이 가능한 터널 작업 및 안전진단용 대차 구조물의 받침지지대의 일실시예와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상부작업대의 승강이 가능한 터널 작업 및 안전진단용 대차 구조물의 가장 기본적인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작업대차(10)는 터널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하부작업대(20)와 상부작업대(30)로 이루어지며, 상부작업대(30)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부작업대(20)는 한쌍의 대차구조물(21)으로 이루어지고, 대차구조물(21)의 하부에 이동바퀴(22)가 형성되어 터널 내부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복선 철로에 형성된 터널의 경우 한쌍의 대차구조물(21)의 하단에 철로를 따라 움직일 수 있는 이동바퀴(22)를 형성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한쌍의 대차구조물(21)의 상단에 한쌍의 레일(23)이 설치되어 서로 한쌍의 대차구조물(21)을 서로 연결하게 된다. 한쌍의 레일(23)은 각각 두개의 원형 봉체로 이루어져 후술할 바퀴(40)가 레일(23)위에 놓여져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부작업대(30)는 수평대(32)와 고정된 승강수직대(31) 및 지지프레임(33)으로 이루어지고, 작업을 위한 작업판이 올려지는 수평대(32)에 승강수직대(31)가 다수개 고정된다. 즉 장방형으로 형성될 때 네 모서리에 각각 승강수직대(31)를 설치하면 바람직하다.
지지프레임(33)은 하부수평봉(33-2)과 상부수평봉(33-3)이 수직봉(33-1)과 고정되어 하나의 프레임을 형성하게 되고, 수직봉(33-1)의 일측에 지지가이드(34)가 용접 등으로 고정된다. 지지가이드(34)는 승강수직대(31)와 동일한 수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승강수직대(31)가 그 내부로 들어가서 상하 이동하게 된다.
지지프레임(33)의 하부에 다수의 바퀴(40)가 설치되어 하부작업대(20)의 레일(23) 위를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부작업대(30)에서 수평대(32)의 양단과 하부작업대(20) 상단 사이에 와이어(90)가 선택적으로 고정되어 추가적인 고정을 할 수 있다.
승강링크(50)는 한쌍의 구동바(51)와 한쌍의 종동바(53)가 X자 형상으로 서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구동바(51)의 하단 사이가 연결봉(52)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연결봉(52)을 잡아당기면 승강링크(50)의 작동에 의해 상부작업대(30)의 수평대(32) 높이가 높아지게 된다.
구동바(51)의 상단은 수평대(32)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종동바(53)의 하단은 상부수평봉(33-3)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수평대(32)와 상부수평봉(33-3)에 각각 가이드(54)(55)가 고정되어 종동바(53)의 상단과 구동바(51)의 하단이 각각 가이드(54)(55)를 따라 이동하도록 고정되고, 구동바(51)와 종동바(53)가 수직으로 오무려지면 승강수직대(31)가 상향이동하고 수평으로 오무려지면 하향이동하게 구성된다.
가이드(54)(55)는 일반적인 형태의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55)(54)에 슬릿 형태의 가이드홀(55-1)(54-1)이 형성되며, 가이드홀(55-1)(54-1)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핀(55-2)(54-2)이 구동바(51)와 종동바(53)에 고정된어 구동바(51)와 종동바(53)의 움직임을 가이드 한다.
이때 구동바(51)와 연결되는 가이드핀(55-2)은 연결봉(52)에 동시에 고정되어 같이 구동된다.
이러한 승강링크(50)의 연결봉(52)과 연결되어 후방 또는 전방으로 이동을 제어하도록 구동수단이 구성된다.
구동수단은 가장 기초적인 방법으로 인력을 사용하여 승강수직대(31)를 잡고 들어올리거나 연결봉(52)을 수평방향으로 잡아당길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인력을 사용하지 않고, 권취드럼(72)과 모터(70)를 사용하거나 공압실린더를 사용할 수 있다.
그 일 실시예로서, 도 5 및 도 7에 잘 도시되어 있듯이, 연결봉(52)에 한쌍의 구동와이어(74)를 고정하고, 구동와이어(74)의 타단을 권취드럼(72)에 고정하여 모터(70)와 감속기(71)의 구동에 의해 연결봉(52)을 당기거나, 풀어주어 승강수직대(31)를 올리거나 자중에 의해 내려오게 구성된다.
그리고 이렇게 승강 또는 하강하는 승강수직대(31)는 스토퍼판(34-2)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지지가이드(34)에 다수의 멈춤슬릿(34-1)이 일정 높이 간격으로 형성되고, 승강수직대(31)가 원하는 위치에 있을 때 멈춤슬릿(34-1)에 스토퍼판(34-2)을 끼워 승강수직대(31) 하단을 지지하게 된다.
구동수단의 다른 실시예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공압실린더를 사용할 수 있다. 연결봉(52)의 일측에 공압실린더의 실린더 로드가 고정되고, 공압실린더는 지지프레임(33)의 일측에 설치되며, 실린더로드가 연결봉(52)을 밀거나 당기면 승강수직대(31)가 올라거거나 내려오게 구성되는 것이다.
상부작업대(30)가 레일(23)을 따라 수평이동할 때 레일에 스톱퍼(80)를 끼워 상부작업대(3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스톱퍼(80)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듯이, 하부에 클립부(81)가 형성되어 레일(23)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지고, 클립부(81)의 상부로 밀착부(82)가 곡면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바퀴(40)와 밀착되게 한다.
스톱퍼(80)를 바퀴(40) 양쪽에 끼워 전후 이동이 안되도록 한다. 밀착부(82)는 바퀴의 곡면과 유사한 곡면으로 형성하고, 마찰력이 뛰어난 재질을 코팅하거나 홈을 형성하여 바퀴를 잡아주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부작업대(30)는 바퀴(40)에 의해 레일(23)을 위를 이동하도록 설치되고, 승강링크(50)의 작동에 의해 아래로 내려와 터널(1) 내부에 설치된 천정구조물(2)을 피할 수 있게 된다.
받침지지대(60)(60')는 지지바(61)의 양단에 체결부(65)가 형성되고, 양단의 체결부(65)는 각각 하부작업대(20)의 일측과 레일(23)의 일측에 각각 형성된 힌지(63)(64)에 사선으로 고정되어 하부작업대(20)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부분의 레일(23)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그 일 실시예로 받침지지대(60)는 지지바(61)의 양단에 한쌍의 링형상의 체결부(65)가 형성되고, 하부작업대(20)의 서로 마주보는 곳 일측과 레일(23)의 일측에 형성된 힌지(63)(64)에 각각 고정핀(66)으로 고정되어 레일(23)의 처짐을 방지한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로 받침지지대(60)는 지지바(61')의 양단에 서로 90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한쌍의 체결부(65')가 형성되고, 하부작업대(20)의 서로 마주보는 곳 일측과 레일(23)의 일측에 형성된 힌지(63)(64)에 볼트와 너트로 고정된다. 그리고 지지바(61')에 턴버클(62)이 형성되고, 지지바(61')에 의해 레일(23)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턴버클(62)은 지지바(61')의 길이를 조절하여 정확한 길이로 고정할 수 있게 해준다.
1 : 터널 2 : 천정구조물
10 : 작업대차 20 : 하부작업대
21 : 대차구조물 22 : 이동바퀴
23 : 레일 30 : 상부작업대
31 : 승강수직대 32 : 수평대
33 : 지지프레임 33-1 : 멈춤슬릿
33-2 : 하부수평봉 33-3 : 상부수평봉
34 : 지지가이드 34-1 : 멈춤슬릿
40 : 바퀴 50 : 승강링크
51 : 구동바 52 : 연결봉
53 : 종동바 54, 55 : 가이드
54-1, 55-1 : 가이드홀 54-2, 55-2 : 가이드핀
60, 60' : 받침지지대 61, 61' : 지지바
62 : 턴버클 63, 64 : 힌지
65, 65' : 체결부 66 : 고정핀
70 : 모터 71 : 감속기
72 : 권취드럼 73 : 구동축
74 : 구동와이어 80 : 스톱퍼
81 : 클립부 82 : 밀착부

Claims (3)

  1. 삭제
  2. 터널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하부작업대와 상부작업대로 이루어지며, 상부작업대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작업대차가 구비되고, 하부작업대는 한쌍의 대차구조물로 이루어지고, 대차구조물의 하부에 이동바퀴가 형성되며, 상부작업대는 수평대에 고정된 승강수직대 및 지지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상부작업대의 승강이 가능한 터널 작업 및 안전진단용 대차 구조물에 있어서,
    한쌍의 대차구조물(21)의 상단에 한쌍의 레일(23)이 설치되어 서로 연결되는 하부작업대(20);
    하부수평봉(33-2)과 상부수평봉(33-3)에 수직봉(33-1)이 고정되어 지지프레임(33)이 형성되고, 수직봉(33-1)에 지지가이드(34)가 용접으로 고정되며, 지지가이드(34)에 승강수직대(31)가 삽입되어 가이드되고, 지지가이드(34)에 다수의 멈춤슬릿(34-1)이 일정 높이 간격으로 형성되어 승강수직대(31)가 원하는 위치에 있을 때 멈춤슬릿(34-1)에 스토퍼판(34-2)을 끼워 승강수직대(31) 하단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지지프레임(33)의 하부에 다수의 바퀴(40)가 설치되어 하부작업대(20)의 레일(23) 위를 이동가능한 상부작업대(30);
    한쌍의 구동바(51)와 한쌍의 종동바(53)가 X자 형상으로 서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구동바(51)의 하단 사이를 연결봉(52)으로 고정되며, 구동바(51)의 상단은 수평대(32)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종동바(53)의 하단은 상부수평봉(33-3)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수평대(32)와 상부수평봉(33-3)에 각각 가이드(54)(55)가 고정되어 종동바(53)의 상단과 구동바(51)의 하단이 각각 가이드(54)(55)를 따라 이동하도록 고정되고, 구동바(51)와 종동바(53)가 수직으로 오무려지면 승강수직대(31)가 상향이동하고 수평으로 오무려지면 하향이동하게 구성된 승강링크(50);
    지지바(61)의 양단에 체결부(65)가 형성되고, 양단의 체결부(65)는 각각 하부작업대(20)의 일측과 레일(23)의 일측에 각각 형성된 힌지(63)(64)에 사선으로 고정되어 하부작업대(20)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부분의 레일(23)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받침지지대(60)(60');
    인력에 의하여 승강수직대(31)를 들어올려 이루어지거나,
    승강링크(50)의 연결봉(52)에 한쌍의 구동와이어(74)를 고정하고, 구동와이어(74)의 타단을 권취드럼(72)에 고정하여 모터(70)와 감속기(71)의 구동에 의해 연결봉(52)을 당기거나, 풀어주어 승강수직대(31)를 올리거나 자중에 의해 내려오게 구성된 구동수단;
    하부에 클립부(81)가 형성되어 레일(23)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지고, 클립부(81)의 상부로 밀착부(82)가 곡면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바퀴(40)와 밀착되게 한 스톱퍼(80);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작업대의 승강이 가능한 터널 작업 및 안전진단용 대차 구조물.
  3. 삭제
KR1020130014066A 2013-02-07 2013-02-07 상부작업대의 승강이 가능한 터널 작업 및 안전진단용 대차 구조물 KR101287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4066A KR101287462B1 (ko) 2013-02-07 2013-02-07 상부작업대의 승강이 가능한 터널 작업 및 안전진단용 대차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4066A KR101287462B1 (ko) 2013-02-07 2013-02-07 상부작업대의 승강이 가능한 터널 작업 및 안전진단용 대차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7462B1 true KR101287462B1 (ko) 2013-07-19

Family

ID=48997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4066A KR101287462B1 (ko) 2013-02-07 2013-02-07 상부작업대의 승강이 가능한 터널 작업 및 안전진단용 대차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746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3721B1 (ko) 2014-04-02 2014-12-18 케이에스엠기술 주식회사 레일간 수평이동이 가능한 터널 작업 및 안전진단용 대차 구조물
CN108533288A (zh) * 2018-04-18 2018-09-14 中铁十九局集团轨道交通工程有限公司 隧道洞口扩大段二次衬砌施作台车
CN110410103A (zh) * 2019-09-03 2019-11-05 中铁十四局集团大盾构工程有限公司 一种新型嵌缝台车
CN111734432A (zh) * 2020-07-27 2020-10-02 中铁西南科学研究院有限公司 一种多功能组合履带式升降作业车
KR102203793B1 (ko) * 2020-08-31 2021-01-15 (주)케이엘산업건설 이동식 철로설비 보수 작업대
KR20220101244A (ko) * 2021-01-11 2022-07-19 (주)케이엘산업건설 이동식 철로설비 보수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8422U (ja) * 1993-12-21 1995-07-14 有限会社テッド機材 移動式室内足場
JP2007070939A (ja) * 2005-09-08 2007-03-22 Sumitomo Metal Steel Products Inc 昇降式作業足場
KR20080069282A (ko) * 2007-01-23 2008-07-28 김선환 수레발판
KR100949937B1 (ko) * 2009-08-06 2010-03-30 한세이엔씨(주)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부 보수보강을 위한 양방향 이동식 작업대를 가진 에폭시 주입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8422U (ja) * 1993-12-21 1995-07-14 有限会社テッド機材 移動式室内足場
JP2007070939A (ja) * 2005-09-08 2007-03-22 Sumitomo Metal Steel Products Inc 昇降式作業足場
KR20080069282A (ko) * 2007-01-23 2008-07-28 김선환 수레발판
KR100949937B1 (ko) * 2009-08-06 2010-03-30 한세이엔씨(주)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부 보수보강을 위한 양방향 이동식 작업대를 가진 에폭시 주입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3721B1 (ko) 2014-04-02 2014-12-18 케이에스엠기술 주식회사 레일간 수평이동이 가능한 터널 작업 및 안전진단용 대차 구조물
CN108533288A (zh) * 2018-04-18 2018-09-14 中铁十九局集团轨道交通工程有限公司 隧道洞口扩大段二次衬砌施作台车
CN110410103A (zh) * 2019-09-03 2019-11-05 中铁十四局集团大盾构工程有限公司 一种新型嵌缝台车
CN111734432A (zh) * 2020-07-27 2020-10-02 中铁西南科学研究院有限公司 一种多功能组合履带式升降作业车
CN111734432B (zh) * 2020-07-27 2024-05-28 中铁西南科学研究院有限公司 一种多功能组合履带式升降作业车
KR102203793B1 (ko) * 2020-08-31 2021-01-15 (주)케이엘산업건설 이동식 철로설비 보수 작업대
KR20220101244A (ko) * 2021-01-11 2022-07-19 (주)케이엘산업건설 이동식 철로설비 보수시스템
KR102453708B1 (ko) 2021-01-11 2022-10-12 (주)케이엘산업건설 이동식 철로설비 보수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7462B1 (ko) 상부작업대의 승강이 가능한 터널 작업 및 안전진단용 대차 구조물
CN202148909U (zh) 隧道拱架安装作业车
CN102352756B (zh) 一种门式弧型钢架加固体系
CN103726421B (zh) 地铁施工用高度及跨度可调式轨道铺设机
CN109372529B (zh) 硬岩掘进机洞内拆除装置及方法
CN203021883U (zh) 一种轮轨式铁路铺轨机组
KR100955531B1 (ko) 철도선로용 틀비계
CN105019930A (zh) 一种矿用液压支架组装平台
CN104179090B (zh) 一种地铁铺轨系统
AU2013269498B9 (en) Pulling machine for unloading and laying railway tracks
CN204341047U (zh) 液压迈步自移式设备列车
CN103277112A (zh) 隧道工程列车式快速升降折叠工作平台
CN107587885B (zh) 一种隧道标准断面内二衬台车结构及拼装方法
CN105292151B (zh) 一种移变列车
CN203998667U (zh) 一种绳滚架及可折装龙门吊
CN203684019U (zh) 地铁施工用高度及跨度可调式轨道铺设机
CN203321529U (zh) 隧道工程列车式快速升降折叠工作平台
CN103132463A (zh) 可移动式挂架操作平台及其制作、安装、使用、拆除方法
CN210948685U (zh) 一种半盖挖地铁车站盾构机后配套台车快速平移装置
CN209941704U (zh) 边坡或挡土墙施工台车
CN109607384B (zh) 超大直径盾构机刀盘的翻身方法
CN110578526A (zh) 半盖挖地铁车站内盾构台车平移的施工方法
KR101262736B1 (ko) 터널 작업 및 안전진단용 대차 구조물
CN103206232B (zh) 跟随掘进机同步预支护与锚护的装置
CN215439387U (zh) 一种城市燃气管道安装用定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