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2174A - 철로용 주행대차 - Google Patents

철로용 주행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2174A
KR20030072174A KR1020020021566A KR20020021566A KR20030072174A KR 20030072174 A KR20030072174 A KR 20030072174A KR 1020020021566 A KR1020020021566 A KR 1020020021566A KR 20020021566 A KR20020021566 A KR 20020021566A KR 20030072174 A KR20030072174 A KR 200300721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driving
motor
fixed
rail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1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용
Original Assignee
이기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용 filed Critical 이기용
Publication of KR20030072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217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5/00Other railway vehicles, e.g. scaffold cars; Adaptations of vehicles for use on rail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2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ntrol of the vehicle or its driving motor to achieve a desired performance, e.g. speed, torque, programmed variation of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13/00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to special systems or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17/00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e of control gear and control systems
    • B61C17/12Control gear;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locomotives from remote points in the train or when operating in multiple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3/00Electric locomotives or rail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9/00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ransmission system used;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 B61C9/38Transmission systems in or for 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with electric motor propulsion
    • B61C9/46Transmission systems in or for 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with electric motor propulsion with motors forming parts of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9/00Light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reverse polarity correcting or protecting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6Rail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이동되는 주행대차에 터널의 천정면 등을 보수공사할 때 이용하는 작업대를 작업현장에서 착탈가능하게 조립하고, 작업조건에 따라 주행대차의 주행속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속하는 감속기와, 레일위에 안착되는 전륜이 양단부에 설치되고 고정핀이 좌우측에 형성된 제1고정축과, 후륜을 제동시키는 감속기가 양측에 고정되고 고정핀이 좌우측에 형성된 제2고정축과, 양단부가 상기 제1,2고정축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탑승판과, 상기 제1,2고정축의 고정핀에 대응되게 결합홈이 4모서리의 지주하단에 형성된 비계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철로용 주행대차{traveling a giant swing for railroad}
본 발명은 열차가 운행되지 않는 시간대에 선로의 이상유무 점검작업과, 선로 또는 터널의 보수공사 작업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이동되는 주행대차를 작업현장에서 신속하게 조립하여 제한된 시간내에 작업을 끝낼수 있도록 한 철로용 주행대차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이동되는 주행대차에 터널의 천정면 등을 보수공사할 때 이용하는 작업대를 작업현장에서 선로상에 착탈가능하게 조립하고, 선로구간별 작업조건에 따라 주행대차의 주행속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철로용 주행대차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의한 철로용 주행대차는, 4모서리에 회전자재토록 설치되는 바퀴(1)에 의해 레일(2)을 따라 슬라이딩이동되는 주행대차(3)와, 터널의 천정면 등을 보수작업할 때 작업자가 탑승하여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대(4)가 주행대차(3)상에 설치된다.
전술한 주행대차는 선로의 이상유무 점검 또는 보수작업과, 터널의 천정면을 보수작업시 필요한 자재류를 적재하거나 또는 작업자를 탑승시켜 선로를 따라 이동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되므로, 전술한 주작업이 열차가 운행되지 않는 제한된 시간내에 선로상에서 이루어짐을 감안할 때, 신속한 작업이 요구되고, 작업중에 주행대차가 선로상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동장치를 구비해야 되며, 주행대차와 작업대를 작업현장에서 직접 조립할 수 있어야 소정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철로용 주행대차는, 레일(2)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바퀴(1)가 양단에 설치된 전후차축(5,6)에 작업자가 탑승하거나 또는 작업시 필요한 자재류를 적재할 수 있도록 탑승판(7)이 용접 등에 의해 일체형으로 고정되고, 탑승판(7)에 터널천정의 보수작업시 작업자가 올라가는 작업대(4)가 용접 등에 의해 일체형으로 고정됨에 따라, 작업대(4)가 설치된 주행대차(3)를 레일(2)에 올려놓거나 내려놓기 위해서는 중장비가 필요하거나, 또는 주행대차(3)가 레일(2)의 시발점과 같은 특정구간을 경유하여 작업구간에 이동하게되므로 주작업을 준비하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또한, 작업자가 작업대(4)위에 올라가 작업하는 도중, 작업구간이 비탈짐으로 인해 바퀴(1)가 경사진 레일(2)을 따라 미끄러져 작업자가 작업대(4)로 부터 떨어져다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퀴(1)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제동용 안전고리(1a)를 사용하고 있으나, 레일(2)의 경사도에 의해 바퀴(1)가 제동용 안전고리(1a)를 쉽게 올라 넘어가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위험성을 갖게 된다.
또한, 주행대차(3)를 저속 또는 고속으로의 속도조정이 불가능하여 선로구간의 작업조건에 따라 신속하게 대응할 수 없어 작업자의 피로도를 가중시키고, 작업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이동되는 주행대차와 고소작업시 작업자가 올라가는 작업대를 작업현장에서 선로상에 직접 조립하여 작업준비 시간을 최소화하여 작업을 제한된 시간내에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철로용 주행대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후륜에 제동장치를 설치하여 작업도중 주행대차의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작업자가 작업대로 부터 떨어져 다치는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철로용 주행대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선로구간의 작업조건에 따라 주행대차의 주행속도를 가변조절하여 작업구간별 주행대차의 이동시간을 최소화하여 작업자의 피로도를 줄이고, 작업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철로용 주행대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철로용 주행대차의 사용상태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철로용 주행대차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철로용 주행대차를 주행시키는 주행구동부의 요부발췌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철로용 주행대차의 제어패널의 상세 회로도이다.
*도면중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 구동모터
11; 감속기
12,13; 레일
14,15; 전륜
16,17,21,22; 고정핀
18; 제1고정축
19,20; 후륜
23; 제2고정축
24; 탑승판
29,30,31,32; 지주
33; 비계
35; 제어패널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속하는 감속기와, 레일위에 안착되는 전륜이 양단부에 설치되고 고정핀이 좌우측에 형성된 제1고정축과, 후륜을 제동시키는 감속기가 양측에 고정되고 고정핀이 좌우측에 형성된 제2고정축과, 양단부가 상기 제1,2고정축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탑승판과, 상기 제1,2고정축의 고정핀에 대응되게 결합홈이 4모서리의 지주하단에 형성된 비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로용 주행대차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이때,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탑승판에 각각 탑재되어 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가능한 배터리와 주행대차의 주행속도를 가변조절할 수 있도록 감속기의 감속력을 제어하는 제어패널을 구비하되, 상기 배터리는 외부 상용전원에 배터리를 충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전원플러그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10)와 이의 출력축에 결합되어 구동모터(10)의 회전속도를 감속하는 감속기(11)와, 레일(12,13)위에 안착되는 전륜(14,15)이 양단부에 회전자재토록 설치되고 고정핀(16,17)이 좌우측에 형성된 제1고정축(18)과, 후륜(19,2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감속기(11)가 좌우 양측에 고정되고 고정핀(21,22)이 좌우측에 상방으로 돌출형성된 제2고정축(23)과,
양단에 형성된 걸이구(24a,24b)에 의해 제1,2고정축(18,23)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탑승판(24)과, 제1,2고정축(18,23)의 고정핀(16,17)(21,22)에 대응되게 결합홈(미도시됨)이 좌우측 비계(36,37)의 지주(29,30,31,32)하단에 형성된 비계(33)와, 구동모터(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가능한 배터리(미도시됨)와, 주행대차의 주행속도를 가변조절할 수 있도록 감속기(11)의 감속력을 자동 또는 수동 조작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제어패널(35)을 구비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후륜(19,20)의 중심축과 구동모터(10)의 회전자를 동일한 회전축으로 연결하되, 회전축에 브레이크 디스크를 설치하고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에 착탈되는 브레이크 패드를 유압실린더 로드에 일체형으로 고정함에 따라, 유압실린더 구동시 브레이크 디스크와 브레이크 패드의 상호 마찰접촉으로 인해 후륜(19,20)을 제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인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39,40은 교차부가 절첩가능하게 힌지고정되어 좌우측 비계(36,37)를 X자형으로 고정지지하는 서포터, 38은 좌우측 비계(36,37)상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비계, 41은 터널 내부와 같이 어두운 장소에서 작업시 사용되는 조명용 램프 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철로용 주행대차의 조립됨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전륜(14,15)이 양단부에 회전자재토록 설치된 제1고정축(18)과 후륜(19,20)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감속기(11)가 좌우측에 고정된 제2고정축(23)을 레일(12,13)위에 소정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탑승판(24)양단에 형성된 걸이구(24a,24b)를 제1,2고정축(18,23)에 결합시킴에 따라 제1,2고정축(18,23)에 대한 탑승판(24)의 조립작업은 완료된다.
제1,2고정축(18,23)의 좌우측에 상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고정핀(16,17)(21,22)에 좌우측 비계(36,37)의 지주(29-32)하단에 형성된 결합홈을 결합시킨후, 상부비계(38)양단에 형성된 걸이구(38a,38b)를 좌우측 비계(36,37)상단에 결합시킴에 따라 탑승판(24)상에 비계(33)의 조립작업은 완료된다.
이때, 전술한 비계(33)는 좌우측 비계(36,37)를 X자형으로 고정지지하는 서포터(39,40)에 의해 견고하게 지탱되므로 전도됨이 방지된다.
이로인해, 주행대차 및 작업대를 선로작업구간의 작업현장에서 직접 조립함에 따라 작업준비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열차운행이 정지된 제한된 시간내에서 선로 또는 터널천정의 방수상태를 점검하거나 또는 보수하는 작업을 신속하게 마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철로용 주행대차의 주행속도를 가변조절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패널(35)의 상세 회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패널(35)은 작업자의 충전 조작에 따라 외부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일정 시간동안 배터리(BAT)를 충전시키는 배터리 충전회로부(351)와, 배터리 충전회로부(351)의 제어에 따라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상용전원을 충전하는 배터리(BAT)와, 작업자의 전진 또는 후진의 운전조작에 따라 배터리(BAT) 전원에 의해 전진 릴레이(For1)(For2) 또는 후진 릴레이(Rev1)(Rev2)를 구동하여 모터(1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작동시키며, 주행대차의 운전 초기에 저속으로 기동하도록 하는 저항(R1)(R2)과 릴레이(Rel1)(Rel2)가 구비된 한 쌍의 모터구동부(352)(353)와, 배터리 충전회로부(351)와 배터리(BAT), 배터리(BAT)와 한 쌍의 모터 구동부(352)(353) 사이에 연결되어 주행대차의 충전 또는 운전시 전원이 역방향으로 흐르지 않도록 방지하는 다이오드(D1)(D2)(D3)로 된 역전류 방지소자와, 전류량을 측정하는 전류계(A)와, 전압량을 측정하는 전압계(V)와, 배선용 차단소자(NFB, no-fuse breaker)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어패널(35)의 동작을 살펴보면, 우선 작업자가 주행대차를 전진 구동하면 한 쌍의 모터구동부(352)(353) 내의 전진 릴레이(For1)(For2) 각각이 접점되어 각 모터(10)로 전진 구동을 위한 배터리(BAT) 전원이 공급되며, 이와 반대로 작업자가 주행대차를 후진 구동하면 한 쌍의 모터구동부(352)(353) 내의 후진 릴레이(Rev1)(Rev2) 각각이 접점되어 각 모터(10)로 후진 구동을 위한 배터리(BAT) 전원이 공급된다.
이때, 한 쌍의 모터구동부(352)(353) 내에 구비된 각 릴레이(Rel1)(Rel2)는 작업자의 전진 또는 후진 구동조작에 따라 바로 접점되지 않고 일정 시간 지연 후 접속되어 주행대차의 갑작스러운 구동을 방지한다. 즉, 주행대차의 기동 초기에는 저속으로 이동하다가 릴레이(Rel1)(Rel2)가 접점되면 정상적인 속도가 나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의한 철로용 주행대차의 작동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술한 탑승판(24)일측에 탑재되는 제어패널(35)의 해당 스위치를 조작하여 전술한 구동모터(10)를 구동시키는 경우, 구동모터(10)의 회전력은 제2고정축(23)의 좌우측에 설치된 감속기(11)를 통하여 후륜(19,20)에 전달되므로 주행대차는 레일(12,13)을 따라 슬라이딩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가 탑승판(24)에 탑승하거나 또는 주작업시 필요한 공구 등의 자재류를 탑승판(24)에 탑재하여 레일(12,13)을 따라 선로작업구간에 이동한 후, 탑승판(24)일측에 설치된 제어패널(35)의 조작으로 인해 감속기(11)를 제어하여 레일(12,13)에 대한 주행대차를 제동시킴에 따라, 선로가 경사진 작업구간의레일(12,13)위에 정차된 탑승판(24)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비계(33)위에 올라가 터널천정의 고소작업을 하는 경우에도 주행대차의 미끄러짐으로 인해 작업자가 비계(33)로 부터 떨어져다치는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된다.
한편, 작업조건에 따라 주행대차의 주행속도를 가변조절하여 주행대차의 이동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탑승판(24)에 탑승한 상태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제어패널(35)의 해당스위치를 조작하여 주행대차의 이동속도를 저속으로 조정할수 있고, 작업후 작업자가 탑승판(24)에 탑승하여 멀리 떨어져있는 다른 작업구간으로 이동해야되는 경우에는 주행대차를 고속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작업자의 피로도를 현저하게 줄이고, 작업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같이, 본 발명에 의한 철로용 주행대차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주행대차에 설치되는 작업대를 작업현장에서 직접 조립하여 작업 준비시간이 현저하게 단축되어 주작업을 제한된 시간내에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후륜에 제동장치를 설치하여 작업도중 주행대차의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작업자가 작업대로 부터 떨어져다치는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선로구간의 작업조건에 따라 주행대차의 주행속도를 가변조절하여 작업구간별 주행대차의 이동시간을 최소화하여 작업자의 피로도를 줄이고, 작업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5)

  1.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속하는 감속기;
    레일위에 안착되는 전륜이 양단부에 설치되고 고정핀이 좌우측에 형성된 제1고정축;
    후륜을 제동시키는 감속기가 양측에 고정되고 고정핀이 좌우측에 형성된 제2고정축;
    양단부가 상기 제1,2고정축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탑승판; 및
    상기 제1,2고정축의 고정핀에 대응되게 결합홈이 4모서리의 지주하단에 형성된 비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로용 주행대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판에 탑재되어 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가능한 배터리와 주행대차의 주행속도를 가변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감속기의 감속력을 제어하는 제어패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로용 주행대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계 일측에 조명용 램프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로용 주행대차.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외부 상용전원에 상기 배터리를 충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전원플러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로용 주행대차.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패널은,
    작업자의 충전 조작에 따라 외부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일정 시간동안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배터리 충전회로부;
    상기 배터리 충전회로부의 제어에 따라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상용전원을 충전하는 배터리;
    작업자의 전진 또는 후진의 운전조작에 따라 상기 배터리 전원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 릴레이를 구동하여 모터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작동시키며, 주행대차의 운전 초기에 저속으로 기동하도록 하는 한 쌍의 모터구동부; 및
    상기 배터리 충전회로부와 배터리, 배터리와 한 쌍의 모터 구동부 사이에 연결되어 주행대차의 충전 또는 운전시 전류가 역방향으로 흐르지 않도록 방지하는 다이오드로 된 역전류 방지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로용 주행대차.
KR1020020021566A 2002-03-02 2002-04-19 철로용 주행대차 KR200300721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20006147 2002-03-02
KR2020020006147 2002-03-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2174A true KR20030072174A (ko) 2003-09-13

Family

ID=32220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1566A KR20030072174A (ko) 2002-03-02 2002-04-19 철로용 주행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7217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531B1 (ko) * 2008-05-27 2010-05-03 (주)부경개발 철도선로용 틀비계
KR101381760B1 (ko) * 2013-11-22 2014-04-17 (주)청운구조안전연구원 관리가 용이한 선로 토목구조물의 안전점검용 이동장치
KR101664370B1 (ko) * 2016-03-07 2016-10-11 백양엔지니어링(주) 경사 조절형 철도 대차
CN111619597A (zh) * 2020-05-28 2020-09-04 中铁上海工程局集团有限公司 一种可拆卸式便捷运输轨道平车及使用方法
CN114665412A (zh) * 2022-04-07 2022-06-24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舟山供电公司 一种输电线路维修用可变线智能飞车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9367U (ko) * 1996-10-01 1998-07-15 신영균 자체 구동력이 부여된 오토 캐리지 대차
KR19990007677A (ko) * 1998-10-20 1999-01-25 이순숙 건설용 이동작업틀
US6039148A (en) * 1998-12-24 2000-03-21 Riegel; James M. Mechanized scaffold
KR200264150Y1 (ko) * 2001-11-07 2002-02-19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 지하철 수직천장판 점검보수용 작업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9367U (ko) * 1996-10-01 1998-07-15 신영균 자체 구동력이 부여된 오토 캐리지 대차
KR19990007677A (ko) * 1998-10-20 1999-01-25 이순숙 건설용 이동작업틀
US6039148A (en) * 1998-12-24 2000-03-21 Riegel; James M. Mechanized scaffold
KR200264150Y1 (ko) * 2001-11-07 2002-02-19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 지하철 수직천장판 점검보수용 작업대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531B1 (ko) * 2008-05-27 2010-05-03 (주)부경개발 철도선로용 틀비계
KR101381760B1 (ko) * 2013-11-22 2014-04-17 (주)청운구조안전연구원 관리가 용이한 선로 토목구조물의 안전점검용 이동장치
KR101664370B1 (ko) * 2016-03-07 2016-10-11 백양엔지니어링(주) 경사 조절형 철도 대차
CN111619597A (zh) * 2020-05-28 2020-09-04 中铁上海工程局集团有限公司 一种可拆卸式便捷运输轨道平车及使用方法
CN114665412A (zh) * 2022-04-07 2022-06-24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舟山供电公司 一种输电线路维修用可变线智能飞车
CN114665412B (zh) * 2022-04-07 2023-11-07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舟山供电公司 一种输电线路维修用可变线智能飞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4809B1 (ko) 전후좌우 이동식 철로설비 보수용 작업대
CN107265366B (zh) 一种带有驱动、刹车及可升降装置的铁路接触网维修梯车
EP2559517B1 (en) System for and method of re-profiling locomotive and rail car wheels
CN110282578A (zh) 航天器大型舱段总装用可升降式多功能支架车
SK154094A3 (en) Working wagon
KR20180005089A (ko) 차량 주행 상태에서의 터널 방음벽 설치 및 보수 작업이 가능한 작업대차
KR20030072174A (ko) 철로용 주행대차
RU2477694C2 (ru) Вагонотолкатель для перемещения железнодорожных вагонов (варианты) и платформа вагонотолкателя для перемещения железнодорожных вагонов
CN102528372A (zh) 敞车车体的检修装置
CN106424672B (zh) 铸造用机械手和铸造设备
CN109017876B (zh) 一种铁路维护作业平台
CN110509241B (zh) 用于机车车下配件在线升降工装
CN111408929A (zh) 螺栓紧固车
CN113734208B (zh) 轨道交通牵引车辆
CN108839663A (zh) 一种工艺转向架驱动结构以及工艺转向架
KR200456181Y1 (ko) 고속철도차량 차축 베어링 고착시 이동용 조립식 보조트럭
JP2013226967A (ja) 軌陸作業車
JP3308131B2 (ja) 軌道路上兼用車
CN219487435U (zh) 一种工艺转向架
CN113524994B (zh) 四轮独立转向驱动公铁车
CN217597077U (zh) 调整平台以及客车空调安装平台
CN219686998U (zh) 一种公铁两用网轨检测车
CN213413770U (zh) 一种用于检测轨道线路的单轨巡检小车
CN208376711U (zh) 一种汽车修理专用汽车移动装置
CN214570437U (zh) 工程机械底盘履带接头处链节销轴安装工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