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1253A - 옥수수 글루텐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옥수수 글루텐 가수분해물 - Google Patents

옥수수 글루텐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옥수수 글루텐 가수분해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1253A
KR20090121253A KR1020090044178A KR20090044178A KR20090121253A KR 20090121253 A KR20090121253 A KR 20090121253A KR 1020090044178 A KR1020090044178 A KR 1020090044178A KR 20090044178 A KR20090044178 A KR 20090044178A KR 20090121253 A KR20090121253 A KR 200901212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n gluten
hydrolyzate
protein
amino acid
amino aci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4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4014B1 (ko
Inventor
조동운
이대희
오언
김대응
배현아
김지혜
허병석
Original Assignee
샘표식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샘표식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샘표식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90121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1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4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40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00General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peptides, i.e. processes for the organic chemical 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of any length
    • C07K1/12General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peptides, i.e. processes for the organic chemical 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of any length by hydrolysis, i.e. solvolysis in general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21/00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 C12P21/06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produced by the hydrolysis of a peptide bond, e.g. hydrolysate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J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WORKING-UP PROTEINS FOR FOODSTUFFS; PHOSPHATIDE COMPOSITIONS FOR FOODSTUFFS
    • A23J3/00Working-up of proteins for foodstuffs
    • A23J3/30Working-up of proteins for foodstuffs by hydrolysis
    • A23J3/32Working-up of proteins for foodstuffs by hydrolysis using chemic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J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WORKING-UP PROTEINS FOR FOODSTUFFS; PHOSPHATIDE COMPOSITIONS FOR FOODSTUFFS
    • A23J3/00Working-up of proteins for foodstuffs
    • A23J3/30Working-up of proteins for foodstuffs by hydrolysis
    • A23J3/32Working-up of proteins for foodstuffs by hydrolysis using chemical agents
    • A23J3/34Working-up of proteins for foodstuffs by hydrolysis using chemical agents using enzymes
    • A23J3/346Working-up of proteins for foodstuffs by hydrolysis using chemical agents using enzymes of vegetable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8Peptides; Protein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6Emollients or protectives, e.g. agains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2Antihypertensi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Zo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Diabetes (AREA)
  • Biotech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Obesity (AREA)
  • Mycology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Toxic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옥수수 글루텐에 함유된 수용성 당류, 무기물 또는 섬유질을 제거하고, 옥수수 글루텐 단백질을 분리하는 단계; (b) 상기 옥수수 글루텐 단백질을 산가수분해, 효소 분해 및 천연 발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통해 분해하여 옥수수 글루텐 단백질의 분해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옥수수 글루텐 단백질의 분해물을 분리, 농축, 침전, 탈염 및 여과하여, 분해물에 포함된 분지쇄아미노산(branch chain amino acid: BCAA)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옥수수 글루텐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옥수수 글루텐 가수분해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아미노산 및 저분자 펩타이드가 풍부하고, 특히 유리 아미노산 및 분지쇄아미노산(branch chain amino acid: BCAA)이 다량 포함되어 있는 옥수수 글루텐의 가수분해물을 제조할 수 있다.
옥수수 글루텐, 가수분해물, 분지쇄아미노산

Description

옥수수 글루텐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옥수수 글루텐 가수분해물{Method For Producing Corn Gluten Hydrolysate and Corn Gluten Hydrolysate Therefrom}
본 발명은 분지쇄아미노산(branch chain amino acid: BCAA)이 다량 포함되어 있는 옥수수 글루텐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옥수수 글루텐 가수분해물에 관한 것이다.
원래 천연의 옥수수에는 단백질이 약 20% w/v 함유되어 있으며, 이 단백질 대비 분지쇄아미노산(BCAA)은 20-30% w/v 함유되어 있다. 이러한 옥수수에서 당 성분만을 분리하고, 옥수수 전분 및 옥수수 유래 덱스트린을 제조하는 공정을 거쳐 생성되는 옥수수 글루텐을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옥수수 글루텐에서 분지쇄아미노산(BCAA)은 약 60% w/v로 포함된 단백질에서 단백질 대비 20-30% w/v로 함유되어 있다.
그러나, 옥수수 글루텐(corn gluten)을 비롯하여 식물성 단백질 원료로부터 가수분해물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아미노산의 다양한 등전점 및 화학적 물리적 원인으로 인해 아미노산이 침전되거나 파괴될 수 있고, 가수분해 과정에서 분해 효율 이 낮아 수용액으로 용출되는 유리 아미노산의 함량이 낮으면, 최종 옥수수 글루텐 가수분해물에서의 분지쇄아미노산(BCAA, Leucine, Isoleucine, Valine)의 함량 역시 낮을 수 밖에 없다.
위와 같은 분해 공정 뿐 아니라, 옥수수 글루텐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수용액을 처리하는 후속공정에서도 유리 아미노산의 손실이 클 수 있다. 특히, 가수분해물의 탈색, 탈취 목적으로 많이 쓰이는 활성탄(Activated Carbon) 처리시 분자량이 큰 펩타이드 및 단백질의 흡착으로 인해 TN(Total Nitrogen) 및 AN(Amino Nitrogen)의 감소를 일으키며, 분지쇄아미노산(BCAA)을 포함하는 유리 아미노산의 함량도 저하된다.
결과적으로, 옥수수 글루텐 가수분해물 제조에 있어서 분해공정 및 분해액을 처리하는 후속 공정까지 유리 아미노산의 감소을 일으키는 여러 원인이 존재하며, 이로 인하여 분지쇄아미노산(BCAA, Leucine, Isoleucine, Valine)의 함량은 원료에 포함된 함량보다 낮아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최종 제품에서 유리 아미노산 및 분지쇄아미노산(BCAA)의 함량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원료로 사용되는 옥수수 글루텐에 대한 개선된 전처리 및 분지쇄아미노산(BCAA)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공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옥수수 글루텐 가수분해물에 포함된 유리 아미노산 및 분지쇄아미노산(BCAA)의 함량비를 종래에 비해 증가시킬 수 있는 개선된 옥수수 글루텐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종래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가수분해물에 비해 아미노산 및 저분자 펩타이드가 풍부하며, 특히 유리 아미노산 및 분지쇄아미노산(BCAA)이 다량 포함되어 있는 옥수수 글루텐 가수분해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옥수수 글루텐에 함유된 수용성 당류, 무기물 또는 섬유질을 제거하고, 옥수수 글루텐 단백질을 분리하는 단계; (b) 상기 옥수수 글루텐 단백질을 산가수분해, 효소 분해 및 천연 발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통해 분해하여 옥수수 글루텐 단백질의 분해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옥수수 글루텐 단백질의 분해물을 분리, 농축, 침전, 탈염 및 여과하여, 분해물에 포함된 분지쇄아미노산(branch chain amino acid: BCAA)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옥수수 글루텐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옥수수 글루텐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분지쇄 아미노산(BCAA) 함유 옥수수 글루텐 가수분해물을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옥수수 글루텐 가수분해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식료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옥수수 글루텐 가수분해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미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옥수수 글루텐 가수분해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옥수수 글루텐 가수분해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글루텐은 보리, 밀, 옥수수 등의 곡류에 존재하는 불용성 단백질로 복수의 단백질이 혼합되어 존재하는 형태일 수 있고, 특히 옥수수 글루텐은 옥수수를 습식 및 건식 가공하여 얻어질 수 있다. 상기 옥수수 글루텐은 단백질 함유량이 높고 소화성이 좋아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메치오닌이 많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제한 아미노산의 공급원으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단계 (a)는 옥수수 글루텐에 함유된 수용성 당류, 무기물 또는 섬유질을 제거하고, 옥수수 글루텐 단백질을 분리하는 단계로, 이를 통해 순도 높은 옥수수 글루텐 단백질을 획득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단계 (a) 이전에 옥수수 글루텐을 열처리 또는 증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옥수수 글루텐을 110 내지 150℃에서, 5 내지 10분 동안 열처리 또는 증자, 바람직하게는 125 내지 135℃에서, 6 내지 9분 동안 열처리 또는 증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열처리 또는 증가 단계를 통해 단백질은 완전히 변성될 수 있으며, 변성을 통해 단백질의 입체 구조가 파괴되면 단백질 내부에 매몰되어 있는 아미노산 측쇄가 노출됨으로써, 효소와 쉽게 접촉할 수 있으므로, 가수분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단계(a)에서 수용성 당류와 무기물은 옥수수 글루텐에 8-10배의 물을 투입하여, 세척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충분한 제거를 위하여, 물은 50℃이상으로 가온하고, 100 rpm 이상 교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척 횟수는 많을수록 좋으나, 옥수수 글루텐 내부의 수용성 단백질의 감소 없이 작업을 진행해야 하므로, 바람직하게는 2-3회 세척할 수 있다.
상기 단계(a)에서 섬유질은 효소를 사용하여 분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해는 충분히 물에 의해 팽윤 및 증자된 옥수수 글루텐에 4-5배 이상의 물을 가한 후, 섬유질 가수분해 효소를 가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효소의 첨가량은 단백질 질량 대비 0.5 내지 1.0 질량%일 수 있으며, 효소분해 온도는 40-60℃, pH는 4.0-6.0, 효소분해 시간은 1-2시간일 수 있다.
상기 섬유질 가수분해 효소는 식물의 세포벽에 부착된 펙틴 물질까지 분해할 수 있는 복합 효소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셀룰라아제(Cellulase), 헤미셀룰라아제(Hemicellulase) 및 펙티나아제(Pectinas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이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복합 효소들은 옥수수 글루텐에 포함된 섬유질 제거에 특히 효과적이다.
상기 옥수수 글루텐이 섬유질 가수분해효소를 통해 분해된 이후, 옥수수 글루텐 단백질은 추가적으로 원심분리기(decanter)를 사용하여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단백질을 원심분리한 후 원심분리 여액에 2배 이상의 물을 가하여 재원심분리함으로써, 순도를 높일 수 있으며, 희석되는 물량이 많을수록 단백질의 순도는 증가할 수 있다.
상기 단계 (b)는 옥수수 글루텐 단백질을 가수분해하는 단계로서, 옥수수 글루텐 단백질을 산 가수분해, 효소 분해 및 천연 발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통해 분해하여 옥수수 글루텐 단백질의 분해물을 제조한다.
상기 산 가수분해는 산을 가하고, 열처리하여 옥수수 글루텐 단백질을 가수분해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35% HCl을 옥수수글루텐 단백질과 동량 혼합한 후, 염산 대비 1/3만큼의 물을 첨가하여 스팀으로 105℃를 유지함으로써, 30 시간 이상 진행될 수 있다. 이후 스팀공급을 중지하고, 15 시간 이상 체류를 시킨 후, 냉각수를 이용하여 35℃까지 냉각시킬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단계 (b)는 옥수수 글루텐 단백질을 산 가수분해한 이후 80℃에서 pH 9 내지 11로, 바람직하게는 50% NaOH를 사용하여 pH 10까지 알칼리화할 수 있으며, 냉각수를 이용하여 냉각시킨 후, 35% HCl를 이용하여 다시 pH 4 내지 6으로 역중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 산 가수분해법을 통해 옥수수 글루텐 단백질을 가수분해하는 경우에는 공정 중에 유해성 클로로하이드린(Chlorohydrin) 화합물 예를 들어, 3-MCPD(3-chloro-1,2-propanediol)가 다량 생성되어, 옥수수 글루텐 단백질의 가수분해 반응액에 최대 15-20 ppm까지 포함된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이와 같은 역중화 단계를 포함하는 경우 3-MCPD의 양을 최대 0.05 ppm까지 저하시킬 수 있다.
상기 효소 가수분해 방법은 효소를 통해 옥수수 글루텐 단백질을 가수분해하는 방법으로, 산 가수분해법에 비해 안전할 뿐만 아니라, 단시간 내에 가수분해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상기 단계 (b)는 엔도형 효소 및 엑소형 효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효소를 옥수수 글루텐 단백질에 처리하여 옥수수 글루텐 단백질을 분해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엔도형 효소는 옥수수 글루텐 단백질을 구성하는 펩타이드의 내부에 작용하여, 이를 분해하는 효소로, 옥수수 글루텐 단백질 분해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효소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알칼라아제(alcalase), 프로타멕스(protamex) 및 뉴트라아제(neutras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엑소형 효소는 옥수수 글루텐 단백질을 구성하는 펩타이드의 말단에 작용하여, 이를 분해하는 효소로, 옥수수 글루텐 단백질 분해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효소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플라보자임(flavourzyme)일 수 있다.
상기 효소가수분해 방법에서, 엔도형 효소 또는 엔도형 효소와 엑소형 효소를 옥수수 글루텐 단백질에 동시에 처리하여 가수분해할 수 있다. 상기 엔도형은 단백질과 펩타이드를 랜덤하게 공격하여 저분자의 펩타이드를 다량 생성하며, 극소수의 유리아미노산을 만들게 되나, 엑소형은 단백질이나 펩타이드의 말단을 공격하여 다량의 유리아미노산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물에 옥수수 글루텐 단백질을 20% 농도로 포함한 후, 90℃ 이상에서 30-60분 동안 살균처리를 실시하여 온도 40-50℃, pH 5-8사이의 조건에서 엔도형 효소를 단일 처리 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엔도형 효소와 엑소형 효소를 복합 사용하여 효소 분해를 실시할 수 있다.
상기 효소 분해에 소요되는 시간은 48-96시간일 수 있으며, 첨가되는 효소 농도가 적을수록 효소분해 시간을 길게 하여 효소 이용률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단백질 효소 분해에서는 미생물에 의한 오염문제가 상당히 큰 문제로 대두될 수 있는 바, 내염성 효소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5-10% 정도의 염 농도에서 효소 분해를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천연 발효는 미생물을 접종 및 배양하여, 옥수수 글루텐 단백질을 가수분해하는 방법으로, 옥수수 글루텐 단백질에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를 접종하고 배양하여 코지(Koji: 국균)를 형성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코지를 포함한 20% 농도의 수용액을 제조한 이후, 여기에 효소를 소량 투입할 수 있다.
상기 (b)는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를 접종 및 30℃에서 2일 동안 배양하고, 엔도형 효소 및 엑소형 효소를 각각 옥수수 글루텐 가수분해물 전체 단백질 함량 대비 1.0 중량%로 첨가하여 옥수수 글루텐 단백질을 천연 발효하는 단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체 반응액 중 배양된 원료의 농도가 20%(w/w), 염 농도가 5%(w/w) 되도록 50℃의 온수를 가하여, 45℃를 만든 다음, 엔도형(endo-protease)과 엑소형(exo-protease)단백질 분해 효소를 원료의 단백질 함량 대비 각각 1.0%(w/w)를 첨가한 후, 45℃의 온도로 72시간 반응시킴으로써, 천연 발효를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천연 발효 과정에서, 상기의 옥수수 글루텐 단백질을 포함한 반응액의 pH는 바람직하게 6~8일 수 있다. 옥수수 글루텐 단백질의 경우, 원래 pH는 3~5이나, 이러한 pH 범위에서는 미생물이 왕성히 증식을 못하므로, 미생물의 생육 최적 pH인 6~8로 조절해 주는 것이 미생물의 생육을 위해 좋기 때문이다. 이 때, pH 조절은 통상의 알칼리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NaOH가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의 옥수수 글루텐 단백질의 수분 함량은 4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수분 함량이 45%보다 높으면 미생물에서 나오는 단백질 분해 효소의 역가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단계 (c)는 분해 단계를 통해 제조된 옥수수 글루텐 단백질의 분해물을 분리, 농축, 침전, 탈염 및 여과하여, 분해물에 포함된 분지쇄아미노산(branch chain amino acid: BCAA)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 (c)의 분리 과정은 원심분리(decanter) 또는 필터프레스(Filter press)를 통해 옥수수 글루텐 단백질의 분해물 중 고형분을 액상과 분리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원심분리 또는 필터프레스를 통해 불용성 고형분을 제거한 후, 규조토를 투입하여 불용성 성분을 완전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c)에서 분지쇄아미노산(BCAA)의 함량 증가는 농축, 침전핵의 투입과 pH 조절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농축은 옥수수 글루텐 단백질의 분해물 부피 대비 50% (v/v)이상으로 농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분리 과정을 통해 분리된 액상 단백질 분해물에 침전핵을 투입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원활한 침전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침전핵은 침전을 원하는 아미노산의 본래 표준물질로서, 소망하는 효과를 위해서는 부피 대비 0.1-0.2%까지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액상 단백질 분해물의 pH는 5 내지 7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농축 과정 이후, 침전 과정을 거치게 되며, 침전 과정은 농축 과정을 거친 액상 단백질 분해물을 저온 바람직하게 30 내지 40℃에서, 1 내지 75시간, 바람직하게 15 내지 48시간 체류시켜, 액상과 침전물을 분리하는 과정일 수 있다.
이를 통해, 하기 실시예에서 입증되어 있는 바와 같이 체류 후 원심분리기(decanter)나 필터프레스(filter press)를 이용하여 액상과 고형분을 분리하면, 상기 고형분의 분지쇄아미노산(BCAA, Leucine, Isoleucine, Valine)의 함량은 체류 전과 비교하여 최대 40%-60%까지 증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기 액상 단백질 분해물은 목적 아미노산의 분리에 이용할 수 있도록 탈염할 수 있으며, 상기 탈염은 전기투석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기투석은 양이온과 음이온으로 하전되어 있는 이온 교환막을 사용하여 양이온 또는 음이온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킴으로써, 수용액 중에서 이온의 분리 기능을 수행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이 때, 목적 아미노산의 등전점 부근으로 pH를 조정하여 목적 아미노산의 전하를 제로 상태로 만들어야 한다. 전하가 제로인 아미노산은 전기투석을 실시하는 동안 이온교환막을 통과하지 못하고 희석조에서 계속 농축현상이 일어나며, 반대로 전하를 띤 염과 저분자 이온성 물질들은 이온교환막을 통과하여 희석조에서 농축조로 제거될 수 있다. 최종에는 목적으로 하는 아미노산이 희석조에서 계속 농축되는 것이다.
본 공정에서는 분지쇄아미노산(BCAA)의 농축이 목적이므로, 분리된 여과액은 pH 1-10, 바람직하게는 pH 2-8로 조절할 수 있다. 분지쇄 아미노산에 포함된 아미노산들의 등전점이 약 3 내지 7인 바, 여과액의 pH가 최대한 상기 등전점들에 가깝게 조절됨으로써, 아미노산 자체를 무극성으로 만들어. 물에 대한 용해도를 최대한 작게 만들 수 있다.
상기 전기 투석은 반응액에 포함된 분지쇄아미노산(BCAA)의 수율 증진을 위하여, 염을 최대한 제거해야 하는 바, 전기전도도가 1.0 s/m 이하, 바람직하게는 0.7 s/m 이하에서 전기 투석을 종료할 수 있다.
상기 단계 (c)에서, 전기 투석으로 희석조에 농축된 액상 단백질 분해물의 농축액을 수거하고, 수거된 액상 단백질 분해물의 농축액과, 농축 및 침전 과정에 서 침전되어 액상 단백질 분해물로부터 분리된 침전물과 혼합하여, 2차 탈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c)에서 전기투석으로 희석조에 농축된 액상 단백질 분해물의 농축액에 분지쇄아미노산(BCAA) 이외의 아미노산 침전이 유도된다면, 액상 단백질 분해물의 농축액 중의 침전물을 여과시켜 제거한 후, 농축 및 침전 과정에서 침전되어 액상 단백질 분해물로부터 분리된 침전물과 혼합하여 이 혼합액을 2차 탈염을 실시할 수 있다.
이 때, pH는 등전점으로 조정하기 보다는 분지쇄아미노산(BCAA)의 pKa값 이하로 조절하여 분지쇄아미노산(BCAA)이 양의 전하를 띄도록 유도할 수 있다. 그 후, 전기투석을 실시하면 양이온의 전하를 띤 분지쇄아미노산(BCAA)은 양이온막을 통과하여 희석조에서 농축조로 이동하여 농축될 수 있으며, 전기전도도가 0.7 s/m 이하, 바람직하게는 0.5 s/m 이하가 되면 전기투석을 종료할 수 있다.
이 경우 분지쇄아미노산(BCAA)에 포함된 아미노산들의 pKa 값은 약 2 내지 4이므로, 반응액의 pH를 3 이하,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으로 조정하여 분지쇄아미노산(BCAA)의 전하를 양의 전하를 띄도록 유도한 후 전기투석을 실시하면, 양이온의 전하를 띤 분지쇄아미노산(BCAA)은 양이온막을 통과하여 희석조에서 농축조로 이동하여 농축되나, 전하를 띄지 않는 불순물들은 이온교환막을 통과하지 못하여 계속 희석조에 남게 됨으로써, 제거될 수 있다.
상기 반응액에 불용성 고형분이 없으며, 목적하는 아미노산만이 전하를 띄고 있는 상태이므로, 이후 한외 여과막(UF)에 투과시켜 여과시킬 수 있다.
즉, 양이나 음으로 하전된 고정전하를 갖는 한외여과막을 사용하여 목적 아미노산과의 정전기적 반발력을 이용하게 됨으로써, 분지쇄아미노산(BCAA)을 더욱 농축할 수 있다. 앞서 진행한 단계들로 인해 분지쇄아미노산(BCAA)의 전하가 양으로 하전된 상태이므로, 양으로 하전된 한외여과막을 사용하여 농축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여과에 사용되는 막은 폴리스폰, 폴리스티렌슬폰산 및 폴리사카라이드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막일 수 있으며, 분지쇄아미노산(BCAA)과 막의 정전기적 반발력 및 막의 배제율을 최대한 증가시키기 위해서 막의 분획분자량은 바람직하게 1,000 (Dalton)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옥수수 글루텐 가수분해물에 관한 것으로, 유리 아미노산 및 분지쇄 아미노산(BCAA)을 다량 함유한다.
상기 분지쇄아미노산(BCAA)은 루신(Leucine), 이소루신(Isoleucine), 및 발린(Vali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으며, 분지쇄 아미노산 중 루신(Leucine), 이소루신(Isoleucine), 및 발린(Valine)의 함량은 각각 0 내지 99%(w/w), 바람직하게 1 내지 80%(w/w)일 수 있다. 즉, 분지쇄 아미노산은 루신(Leucine), 이소루신(Isoleucine), 및 발린(Valine) 중 어느 하나만을 포함하거나, 이들 중 둘을 조합하여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수분해물은 총 아미노산에 대한 유리 아미노산의 비율 즉, 총 아미노산에서 유리아미노산이 차지하는 비율이 60 내지 99% (w/w),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7% (w/w)일 수 있으며, 상기 유리 아미노산에 대한 분지쇄 아미노산(BCAA)의 비율 즉, 유리 아미노산에서 분지쇄아미노산(BCAA)이 차지하는 비율은 10 내지 50% (w/w),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 (w/w)일 수 있는 바, 종래에 비해 유리아미노산 포함량이 높고, 이에 따라 현저하게 높은 분지쇄아미노산(BCAA) 함유량(종래 유리 아미노산에 대한 분지쇄아미노산(BCAA)의 비율: 약 12.8% (w/w))을 기대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옥수수 가수분해물은 높은 분지쇄아미노산(BCAA) 예를 들어, 루신, 이소루신 및 발린의 함량으로 인하여, 그에 수반되는 기능성을 요구하는 식품 및 의약품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옥수수 글루텐 가수분해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식료품 조성물 또는 미용 식품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기능성 식료품 조성물 또는 미용 식품 조성물은 분지쇄아미노산(BCAA)을 포함한 옥수수 글루텐 가수분해물을 이용하여, 옥수수 보리차 등의 차류, 스프류, 기능성 음료 및 타블렛, 다이어트식/대체식/생식의 첨가제, 유아식/이유식/분유의 첨가제, 발효유/유산균 음료/우유의 첨가제, 각종 음료 첨가제, 아이스크림 제품, 츄잉껌, 캐러멜 제품, 캔디류, 빙과류, 과자류, 미용식품 등의 각종 식품류, 청량 음료, 미네랄 워터, 알코올 음료 등의 음료 제품, 비타민이나 미네랄 등을 포함한 건강기능성 식품류 등에 응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분지쇄아미노산(BCAA)을 포함한 옥수수 글루텐 가수분해물을 이용하여, 예를 들어,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로션, 마사지크림, 영 양크림, 팩, 젤, 바디로션, 바디크림, 바디오일 또는 바디 에센스의 형태로 응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각 제형에 있어서 상기한 필수 성분 이외에 다른 성분들은 사용 목적 등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합하게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알츠하이머병, 뇌 피로 회복, 뇌 기능 강화, 기억 회복, 두뇌 향상과 같은 뇌 기능 치료, 강견변, 간암, 숙취해소, 간세포(Hepatocyte growth factor) 성장 촉진, 간 기능 회복과 같은 간 질환 치료, 식욕 억제, 체중 감소, 체지방 감소와 같은 항비만 효과, 인슐린 조절, 혈당 조절 등과 같은 제2형 당뇨병 치료, ACE 저해 효과와 같은 고혈압의 예방 및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수분해물을 의약품에 적용할 경우에는, 상기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상용되는 무기 또는 유기의 담체를 가하여 고체, 반고체 또는 액상의 형태로 경구 투여제 혹은 비경구 투여제로 제제화 할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를 위한 제재로서는 정제, 환제, 과립제, 연·경 캡슐제, 산제, 세립제, 분제, 유탁제, 시럽제, 펠렛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재로는 주사제, 점적제, 연고, 로션, 스프레이, 현탁제, 유제, 좌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제제화하기 위해서는 상법에 따라서 용이하게 제제화할 수 있으며, 아라비아 고무, 옥수수 전분, 미세 결정질 셀룰로오스 또는 젤라틴과 같은 결합제, 인산 이칼슘 또는 락토오즈, 덱스트린과 같은 부형제, 알긴산, 옥 수수 전분 또는 감자 전분, 덱스트린과 같은 붕해제, 스테아르산 마그네슘과 같은 윤활제, 슈크로오즈, 스테비오사이드, 감초 또는 사카린과 같은 감미제, 페퍼민트, 메틸 살리실산염 또는 과일향과 같은 향미제, 계면활성제, 착색료, 보존료, 안정제, 완충제, 현탁제, 기타 상용하는 보조제를 적당히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효 성분은 리포솜, 미세입자 또는 마이크로 캡슐, 나노캡슐 등의 형태일 수 있으며, 투여 단위 형이 캡슐제인 경우에는 제형화 성분 외에도 폴리에틸렌 글리콜 사이크로덱스트린, 당알코올류 또는 지방유와 같은 액상/고상 담체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가수분해물을 의약품에 적합하게 제제화한 경우, 경구, 비경구, 직장, 국소, 경피, 정맥 내, 근육 내, 복강 내, 피하 등으로 투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활성성분의 투여량은 치료 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과, 치료할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 질환 또는 병리 상태의 심각도, 투여경로 및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일반적으로 투여량은 0.001mg/kg/일 내지 대략 2000mg/kg/일의 범위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지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주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옥수수 글루텐을 125-135℃의 스팀을 이용하여 6.5-8.5분 동안 균일하게 열처리 및 증자하여 단백질을 변성시킨 후 8-10배의 물을 가하고, 50℃, 100 rpm 교반하여 2-3회 세척 후, 20-30%의 농도로 옥수수글루텐 반응물을 조성한다(Ⅰ조성물).
반응물의 온도는 40-60℃, pH 4.0-6.0 조정 후 식이섬유 가수분해 효소를 고형분 대비 0.5-1.0% 첨가하여 1-2시간 효소분해 한다. 반응 종료 후 2-3회 원심분리하여 고형분을 얻는다(Ⅱ조성물).
옥수수 글루텐 단백질과 35% 염산을 동량 혼합 후, 그 양의 1/3만큼의 물을 첨가하여 스팀으로 105℃, 30시간 이상 산 가수분해 한다. 체류와 냉각을 진행한 후, 50% 가성소다를 이용하여 80℃, pH 10까지 알카리화 한다. 다시 35% 염산으로 pH 4.9까지 역중화 한다(Ⅲ조성물).
원심분리와 필터프레스를 사용하여 고형분을 제거한 후 pH 5.9-6.1로 조정하여 50% (v/v)농축한다. 20-24시간 저온 체류하고 원심분리기나 필터프레스로 고형분과 액상을 분리한다(Ⅳ조성물).
액상의 pH를 5.9-6.1로 조정하고 탈염(전기투석)하여 0.7 s/m에서 종료 한다(Ⅴ조성물).
탈염액과 Ⅳ조성물의 고형분과 혼합 후 액상의 pH를 2.2이하로 조정 후 2차 탈염한다(Ⅵ조성물).
2차 탈염액을 한외여과막을 사용하여 UF 후 분말화하여 제조한다(Ⅶ조성물).
[표 1] 옥수수 글루텐 전처리에 따른 단백질 함량 변화
Figure 112009030340429-PAT00001
옥수수에서 밀도차에 의해 원심분리를 실시하여 옥수수전분을 제거하고 남은 옥수수 글루텐은 60% (w/w) 정도의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주된 여분의 성분은 셀룰로오스(cellulose), 헤미셀룰로오스(hemicellulose), 리그닌(lignin) 등의 불용성 성분으로, 총 함량의 20-25% (w/w) 정도로 포함되어 있다. 옥수수 글루텐에 물을 가하여 높은 온도에서 열처리를 하면 단백질의 변성으로 인해 단백질의 소수기가 더욱더 수용액에 노출되고 조직이 풀리게 되어 단백질 이외의 물질이 수용액상에 용출되게 된다. 표 1을 참고하면, 가수와 열처리에 의해 약 5% (w/w) 정도의 단백질 함량(68.18% w/w)이 증가된다. 또한 옥수수글루텐에는 셀룰로오스가 함유되어 있는바, 식이섬유분해효소를 처리하면 대략 3-4% (w/w)의 단백질 함량(70.92% w/w)이 증가됨을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옥수수글루텐을 열수와 식이섬유효소 처리에 의해 최종 제품(Ⅶ 조성물)은 70.12% (w/w)로 약 7-8% (w/w)의 단백질 함량이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다.
[표 2] 실시예 1에 따른 각 조성물의 유리아미노산 함량 변화
Figure 112009030340429-PAT00002
Figure 112009030340429-PAT00003
옥수수 글루텐의 산가수분해물(Ⅲ조성물)에서 유리아미노산 중 분지쇄아미노산(BCAA)가 차지하는 비율(BCAA/유리아미노산)은 일반적으로 14.4%이다. 이 반응물의 pH를 분지쇄아미노산(BCAA) 등전점과 유사하게 조정 후 농축 및 체류하여 얻어진 침전물에는 BCAA/유리아미노산(%)가 47.74%였다. 침전물을 혼합한 상등액의 탈염공정에서도 Ⅲ 조성물 대비 약 39.47%의 BCAA/유리아미노산 함량이 증가되었으며, pH를 2.2이하로 조정한 2차 탈염공정에서도 BCAA/유리아미노산 함량이 약 76.38% 증가되었다. 최총 제품에서의 BCAA/유리아미노산(%)는 36.80%으로 Ⅲ 조성물 대비 약 2배의 증가 효과가 있었다. 유리아미노산은 69.80%로, 하기 표 3의 총아미노산인 71.95%의 97%(유리아미노산/총아미노산)가 아미노산 단위로 분해됨을 알 수 있었다.
[표 3]
Figure 112009030340429-PAT00004
[비교예 1]
옥수수글루텐을 실시예 1의 산가수분해 방법으로 분해 후 원심분리와 필터프레스를 사용하여 고형분을 제거한 후 탈염(전기투석)을 0.7 s/m에서 종료하고, 한외여과막을 사용하여 UF 후 분말화하여 완성하였다.
[표 4] 원료의 전처리 없이 제조한 분해물의 단백질 함량
Figure 112009030340429-PAT00005
표 4에서 보듯이 보통의 방법으로 제조된 분해물의 단백질 함량은 초기 원료의 단백질 함량보다 낮다(56.12% w/w). 이는 단백질이 열적, 화학적으로 불안정하기 때문에, 가공처리 과정 중 발생되는 가열 스트레스(heating stress)와 pH의 변화로, 단백질 침전을 일으켜 최종 제품의 단백질 함량을 떨어뜨리게 되기 때문이다.
[표 5] 비교예 1에서 제조된 각 조성물의 유리아미노산 함량 변화
Figure 112009030340429-PAT00006
Figure 112009030340429-PAT00007
표 4의 결과와 유사하게 분해물에서의 BCAA함량은 탈염과 UF처리 시 약간씩 감소가 일어나 최종 제품의 분말의 BCAA/유리아미노산은 약 12.8% (w/w)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옥수수글루텐을 세척 하고(A 조성물), 식이섬유 가수분해로 얻어진 고형분(B 조성물)을 이용하여 20% 용액을 제조 후 90℃ 이상에서 30-60분 살균 처리하여 온도 40-50℃, pH 5-8, 염농도 5-10%에서 엔도형 효소를 단일 처리하거나 엔도형과 엑소형 효소를 중복 처리하여 48-96시간 효소분해 한다(C 조성물). 여과 후 농축하여 침전물을 제거(D 조성물), 1차 탈염(E 조성물), 2차 탈염(F 조성물), UF 및 분말화하여 제조하였다(G 조성물).
[표 6] 실시예 2에 따른 각 조성물의 유리아미노산 함량 변화
Figure 112009030340429-PAT00008
Figure 112009030340429-PAT00009
실시예 2에서는 실시예 1과 달리, 산 가수분해보다 효소 분해물의 BCAA/유리아미노산 함량이 10% (w/w)이상 많음을 볼 수 있다(III조성물과 C조성물 비교). 또한 pH 6.0의 조건에서 농축 후, 아미노산 중 tyrosine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침전물이 발생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D조성물의 침전물). 이 침전물을 제거하고 2회의 탈염과 UF후 최종 제품에는 효소 반응액(C조성물)보다 BCAA/유리아미노산 함량이 64.7% 정도 증가된 약 40%(w/w)의 BCAA가 함유된 것을 볼 수 있다. 유리아미노산은 46.62%(w/w)로, 하기 표 7과 같이 총 아미노산인 67%(w/w)의 70%(유리아미노산/총아미노산)가 아미노산 단위로 분해됨을 알 수 있었다.
[표 7]
Figure 112009030340429-PAT00010
[비교예 2]
옥수수글루텐을 실시예 2의 효소분해 방법으로 분해 후 원심분리와 필터프레스를 사용하여 고형분을 제거한 후 탈염(전기투석)을 0.7 s/m에서 종료하고, 한외여과막을 사용하여 UF 후 분말화하여 완성한다.
[표 8] 비교예 2에서 제조된 각 조성물의 유리아미노산 함량 변화
Figure 112009030340429-PAT00011
비교예 2에서는 처음 효소반응물보다 탈염시 약간의 고형분의 농축이 일어나 BCAA가 차지하는 비율이 약 5% w/w 정도 증가되어 최종 제품에는 대략 30% w/w 정도의 BCAA가 함유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전분 및 섬유질분해로 얻어진 고형분을 이용하여 수분함량을 20-40%로 조정 후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를 접종하고 30℃, 2-3일 배양하였다. 배양 후 20% 농도가 되도록 반응액을 제조하여 5% 염, 45℃의 조건에서 소량의 엔도 및 엑소형 효소를 가하고 72시간 효소와 반응하였다(c 조성물). 여과 후 농축하여 침전물을 제거(d 조성물), 1차 탈염(e 조성물), 2차 탈염(f조성물), UF 및 분말화하여 제조하였다(g 조성물).
[표 9] 실시예 3에 따른 각 조성물의 유리 아미노산의 함량변화
Figure 112009030340429-PAT00012
Figure 112009030340429-PAT00013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pH 6.0의 조건에서 유리아미노산 중 티로신(tyrosine)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침전물을 얻을 수 있었다. 침전물 중 티로신(tyrosine)의 함량은 50% 이상이었으며(d 조성물의 침전물), 이 침전물을 제거하 고 2회의 탈염에 의한 BCAA 농축 공정을 거친 후 BCAA/유리아미노산 함량(g 조성물)은 C조성물에 비하여 76.78% 증가하였다. 최종 제품에서의 BCAA/유리아미노산 함량은 40% 이상이었다(g조성물). 유리 아미노산 66.51%(w/w)로 하기 표 10에서와 같은 총 아미노산(75%)의 89가 아미노산 단위%(유리아미노산/총아미노산)로 분해됨을 알 수 있었다.
[표 10]
Figure 112009030340429-PAT00014
[비교예 3]
옥수수글루텐을 실시예 3의 천연 발효 방법으로 분해 후 원심분리와 필터프레스를 사용하여 고형분을 제거한 후 탈염(전기투석)을 0.7 s/m에서 종료하고, 한외여과막을 사용하여 UF 후 분말화하여 완성하였다.
[표 11] 비교예 3에서 제조된 각 조성물의 유리아미노산 함량 변화
Figure 112009030340429-PAT00015
비교예 2에서와 마찬가지로 처음 효소반응물보다 탈염시 약간의 고형분의 농축이 일어나 BCAA가 차지하는 비율이 약 3% (w/w) 정도 증가되어 최종제품에는 대략 25% (w/w) 정도의 BCAA가 함유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31)

  1. (a) 옥수수 글루텐에 함유된 탄수화물, 수용성 당류, 무기물 또는 섬유질을 제거하고, 옥수수 글루텐 단백질을 분리하는 단계;
    (b) 상기 옥수수 글루텐 단백질을 산가수분해, 효소 분해 및 천연 발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통해 분해하여 옥수수 글루텐 단백질의 분해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옥수수 글루텐 단백질의 분해물을 분리, 농축, 침전, 탈염 및 여과하여, 분해물에 포함된 분지쇄아미노산(branch chain amino acid: BCAA)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옥수수 글루텐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 이전에 옥수수 글루텐을 열처리 또는 증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수수 글루텐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옥수수 글루텐을 110 내지 150℃에서, 5 내지 10분 동안 열처리 또는 증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수수 글루텐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질은 효소를 가하여 분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수수 글루텐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는 셀룰라아제(Cellulase), 헤미셀룰라아제(Hemicellulase) 및 펙티나아제(Pectinas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수수 글루텐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옥수수 글루텐 단백질을 산 가수분해한 다음, pH 9 내지 11로 알칼리화하고, 다시 pH 4 내지 6으로 산성화하는 역중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수수 글루텐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엔도형 효소 및 엑소형 효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효소를 옥수수 글루텐 단백질에 처리하여 옥수수 글루텐 단백질을 분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수수 글루텐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엔도형 효소는 알칼라아제(alcalase), 프로타멕스(protamex) 및 뉴트라아제(neutras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수수 글루텐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엑소형 효소는 플라보자임(flavourzym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수수 글루텐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옥수수 글루텐 단백질에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를 접종하고 엔도형 효소 및 엑소형 효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효소를 처리하여 옥수수 글루텐 단백질을 분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수수 글루텐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의 분리 과정은 원심분리(decanter) 또는 필터프레스(Filter press)를 통해 옥수수 글루텐 단백질의 분해물로부터 고형분을 제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수수 글루텐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의 농축 과정은 분리 과정을 통해 분리된 액상 단백질 분해물에 침전핵을 투입하고, 액상 단백질 분해물의 pH를 5 내지 7로 조정하여, 생성된 침전물을 액상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수수 글루텐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의 침전 과정은 농축 과정을 거친 액상 단백질 분해물을 30 내지 40℃에서 1에서 75시간 체류시켜, 생성된 침전물을 액상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수수 글루텐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의 탈염 과정은 액상 단백질 분해물의 pH를 1 내지 10로 조절하여 전기 투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수수 글루텐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의 탈염 과정은 액상 단백질 분해물의 pH를 2 내지 8로 조절하여 전기 투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수수 글루텐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탈염 과정을 거친 액상 단백질 분해물의 농축액과, 농축 및 침전 과정에서 생성된 침전물을 혼합하여, 2차 탈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수수 글루텐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탈염 과정에서 생성된 분지쇄아미노산(BCAA) 이외의 아미노산 침전물을 제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수수 글루텐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 단백질 분해물의 농축액과, 농축 및 침전 과정에서 액상 단백질 분해물로부터 생성된 침전물 혼합액의 pH를 3이하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수수 글루텐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의 여과 과정은 분리, 농축, 침전 및 탈염 과정을 통해 생성된 분해물을 한외 여과막에 투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수수 글루텐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에 사용되는 막은 폴리술폰, 폴리스티렌슬폰산 및 폴리사카라이드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부터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수수 글루텐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21.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분지쇄 아미노산(BCAA) 함유 옥수수 글루텐 가수분해물.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수분해물은 가수분해물에 포함된 총 아미노산에 대한 유리 아미노산의 비율이 60 내지 9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수수 글루텐 가수분해물.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수분해물에 포함된 유리 아미노산에 대한 분지쇄 아미노산(BCAA)의 비율이 10 내지 99%(w/w)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수수 글루텐 가수분해물.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수분해물에 포함된 유리 아미노산에 대한 분지쇄 아미노산(BCAA)의 비율이 30 내지 70%(w/w)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수수 글루텐 가수분해물.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지쇄 아미노산은 루신(Leucine), 이소루신(Isoleucine), 및 발린(Vali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수수 글루텐 가수분해물.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분지쇄 아미노산 중 루신(Leucine), 이소루신(Isoleucine), 및 발린(Valine)의 함량은 각각 0 내지 99%(w/w)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수수 글루텐 가수분해물.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분지쇄 아미노산 중 루신(Leucine), 이소루신(Isoleucine), 및 발린(Valine)의 함량은 각각 1 내지 80%(w/w)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수수 글루텐 가수분해물.
  28. 제 21 항에 따른 옥수수 글루텐 가수분해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식료품 조성물.
  29. 제 21 항에 따른 옥수수 글루텐 가수분해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미용 식품 조성물.
  30. 제 21 항에 따른 옥수수 글루텐 가수분해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1. 제 21 항에 따른 옥수수 글루텐 가수분해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KR1020090044178A 2008-05-20 2009-05-20 옥수수 글루텐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옥수수 글루텐 가수분해물 KR1011040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46582 2008-05-20
KR1020080046582 2008-05-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1253A true KR20090121253A (ko) 2009-11-25
KR101104014B1 KR101104014B1 (ko) 2012-01-06

Family

ID=41340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4178A KR101104014B1 (ko) 2008-05-20 2009-05-20 옥수수 글루텐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옥수수 글루텐 가수분해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697420B2 (ko)
EP (1) EP2288716B1 (ko)
JP (1) JP5241918B2 (ko)
KR (1) KR101104014B1 (ko)
CN (1) CN102037134B (ko)
WO (1) WO2009142441A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633B1 (ko) * 2010-12-29 2013-08-12 주식회사농심 분지쇄 아미노산 고함유 쌀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KR20170037483A (ko) 2015-09-25 2017-04-04 씨제이제일제당 (주) 곡물 분말 내의 단백질을 농축하는 방법
KR20190098465A (ko) 2018-02-14 2019-08-22 씨제이제일제당 (주) 효모를 이용하여 이취가 개선된 발효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220136528A (ko) * 2021-03-30 2022-10-1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식물 및 곤충 단백질 가수 분해물을 이용한 배양육 제조를 위한 최적 배양 방법 및 그 응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7549B1 (ko) * 2011-11-08 2013-10-15 씨제이제일제당 (주) 발효 옥수수글루텐의 제조방법
CN102599503B (zh) * 2012-03-14 2014-04-16 上海善力健保健食品有限公司 一种具有醒酒保肝功能的保健食品及其制备方法
CN104041653A (zh) * 2013-03-15 2014-09-17 丰益(上海)生物技术研发中心有限公司 一种改善蛋白粉品质的方法
JP6190999B2 (ja) * 2013-06-05 2017-09-06 日本食品ペプチド研究所株式会社 アルコール代謝促進剤として有効なオリゴペプチドの製造方法
CN104593318B (zh) * 2013-10-31 2018-05-04 中国食品发酵工业研究院 一种用于细胞培养基的玉米活性肽添加剂
US9534026B2 (en) 2013-10-31 2017-01-03 China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Food & Fermentation Industries Corn active peptide additive for cell culture medium
CN103966296A (zh) * 2014-04-14 2014-08-06 雷泉 一种酸酶结合法水解黄酒糟的方法
EP3148352A1 (en) * 2014-05-29 2017-04-05 Lb Lyopharm S.R.L.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functional plant proteins
GR1009010B (el) * 2015-08-27 2017-04-11 Ιωαννης Μιχαηλιδης Εμπορικες Και Βιομηχανικες Επιχειρησεις Ανωνυμη Εταιρια Και Σια Ε.Ε. Με Δ.Τ. "Εβυπ Ε.Ε." Οργανικο λιπασμα-βιοενεργοποιητης φυτικης προελευσης και μεθοδος παραγωγης
WO2018058150A1 (en) 2016-09-23 2018-03-29 Cargill, Incorporated Corn protein retention during extraction
JP6308510B2 (ja) * 2017-06-17 2018-04-11 日本食品ペプチド研究所株式会社 アルコール代謝促進剤
BR112020002209A2 (pt) 2017-08-02 2020-07-28 Cargill, Incorporated produto alimentar, e, método para fabricar um produto alimentar extrudado.
CN111108115A (zh) * 2017-09-22 2020-05-05 嘉吉公司 富含和缺乏玉米醇溶蛋白的蛋白质
KR101951686B1 (ko) * 2017-10-16 2019-02-25 주식회사농심 식용곤충 산 가수분해물을 제조하는 방법
CN110004191A (zh) * 2019-02-21 2019-07-12 广州博采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氨基酸浓缩液的制备方法和一种含氨基酸饲料
CN110894522A (zh) * 2019-12-01 2020-03-20 齐齐哈尔龙江阜丰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玉米皮水解产物及其在发酵制备苏氨酸中的应用
CN112851753B (zh) * 2020-12-23 2023-05-02 西北民族大学 一种马铃薯蛋白水解物,制备及在贴壁细胞培养中的应用
KR20230087856A (ko) 2021-12-10 2023-06-19 교촌 에프 앤 비(주) 생체이용율과 이미다졸 펩타이드가 증가된 수용성 닭가슴살 가수분해물 및 그 제조방법
JP7454201B1 (ja) 2023-02-10 2024-03-22 株式会社フジワラテクノアート 糸状菌固体培養物の製造方法、及び糸状菌固体培養物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05604B (it) * 1981-06-23 1989-03-23 Pierrel Spa Procedimento per la eliminazione totale o parziale di acido aspartico e acido glutammico da idrolisati proteici e micele di amminoacidi con conseguete ottenimento di miscele di aminoacidi ad alto valore nutrizionale
JP2945995B2 (ja) * 1989-05-12 1999-09-06 大塚製薬株式会社 オリゴペプチド混合物、その製造法及び肝疾患患者用栄養補給組成物
JP2931022B2 (ja) * 1989-10-24 1999-08-09 大塚製薬株式会社 食用ペプチド含有物質及びその製造方法
KR0149277B1 (ko) 1994-12-22 1998-08-17 김경환 옥수수 및 소맥의 글루텐을 이용한 펩타이드의 제조방법
PT913097E (pt) 1997-10-31 2005-03-31 Nestle Sa Producao de hidrolisado
TW589383B (en) * 1998-04-30 2004-06-01 Ajinomoto Kk Method for producing hydrolyzed protein
SG106572A1 (en) * 1999-12-02 2004-10-29 Nestle Sa Production of hydrolysate seasoning
GB0022236D0 (en) * 2000-09-11 2000-10-25 Pinet Aylette Partially hydrolysed protein nutrient supplement
CN1268762C (zh) * 2003-12-19 2006-08-09 吉林大学 玉米肽、制备方法及其应用
AR047658A1 (es) * 2004-02-03 2006-02-01 Cargill Inc Concentrado de proteinas y corriente acuosa con carbohidratos hidrosolubles
KR100566380B1 (ko) * 2005-02-28 2006-03-31 샘표식품 주식회사 미생물 및 효소를 이용한 옥수수 글루텐의 가수분해 방법
US20070190130A1 (en) * 2006-02-16 2007-08-16 Mark William A Protein hydrolysate excipient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633B1 (ko) * 2010-12-29 2013-08-12 주식회사농심 분지쇄 아미노산 고함유 쌀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KR20170037483A (ko) 2015-09-25 2017-04-04 씨제이제일제당 (주) 곡물 분말 내의 단백질을 농축하는 방법
KR20190098465A (ko) 2018-02-14 2019-08-22 씨제이제일제당 (주) 효모를 이용하여 이취가 개선된 발효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220136528A (ko) * 2021-03-30 2022-10-1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식물 및 곤충 단백질 가수 분해물을 이용한 배양육 제조를 위한 최적 배양 방법 및 그 응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42441A3 (en) 2010-03-04
JP5241918B2 (ja) 2013-07-17
JP2011521629A (ja) 2011-07-28
EP2288716A4 (en) 2012-01-18
US8697420B2 (en) 2014-04-15
EP2288716B1 (en) 2013-03-27
CN102037134B (zh) 2015-04-15
EP2288716A2 (en) 2011-03-02
US20110070608A1 (en) 2011-03-24
KR101104014B1 (ko) 2012-01-06
WO2009142441A2 (en) 2009-11-26
CN102037134A (zh) 201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4014B1 (ko) 옥수수 글루텐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옥수수 글루텐 가수분해물
CN101766253B (zh) 一种利用米渣蛋白制取米蛋白多肽粉方法
US4448790A (en) Process for fractioning grain flour into components of food quality
CA2034547A1 (en) Method for preparing reduced calorie foods
CN111685286B (zh) 一种具有降血脂功能的牡蛎肽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3215210B (zh) 一种采用聚唾液酸发酵液制备唾液酸的方法
CN113151383A (zh) 一种酵母提取方法
KR20130084804A (ko) 발효 옥수수 단백질 가수분해물 및 이의 제조방법
EP3094734A1 (en) Process for fractionation of oligosaccharides from agri-waste
JPH02154664A (ja) 食物繊維高含有デキストリンの製造法
DK152222B (da) Fremgangsmaade til fremstilling af en carbohydrase til nedbrydning af et hoejmolekylaert kulhydrat
US6899902B1 (en) Dietary fiber and oligosaccharides from ginseng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JPH0445146B2 (ko)
KR100385913B1 (ko) 인삼 올리고당 및 그 제조방법
CN109576331B (zh) 一种小麦胚芽肽的提取方法
CN110897059A (zh) 一种利用小麦胚芽制备植物水解蛋白饮料的方法
JPH0458893A (ja) 酵母水溶性多糖類の製造方法
JP2000270806A (ja) 昆布エキス及びその製造法
KR101079030B1 (ko) 글루탐산 함량이 높은 미강 유래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KR100353396B1 (ko) 시알산이결합된폴리펩타이드혼합물
CN114181990A (zh) 一种酶法联合微生物发酵制备大豆低聚肽的方法及其应用
CN105255980A (zh) 一种利用小麦麸皮生产低聚糖多肽混合物的方法
CN116024293A (zh) 一种陶瓷膜分离大豆肽粉的方法
WO2022222528A1 (zh) 酵母甘露寡糖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3080453A (zh) 一种特殊膳食补充剂的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