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9030B1 - 글루탐산 함량이 높은 미강 유래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글루탐산 함량이 높은 미강 유래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9030B1
KR101079030B1 KR1020090052933A KR20090052933A KR101079030B1 KR 101079030 B1 KR101079030 B1 KR 101079030B1 KR 1020090052933 A KR1020090052933 A KR 1020090052933A KR 20090052933 A KR20090052933 A KR 20090052933A KR 101079030 B1 KR101079030 B1 KR 101079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bran
weight
culture
bacterium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2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4349A (ko
Inventor
김용덕
박석현
김태식
최인석
박동철
Original Assignee
대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2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9030B1/ko
Publication of KR20100134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4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9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90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20Synthetic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 A23L27/21Synthetic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containing amino acids
    • A23L27/22Synthetic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containing amino acids containing glutamic aci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강으로부터 글루탐산 함량이 높은 미강 유래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a) 미강의 수-분산액에 프로테아제를 가하여 가수분해시켜, 가수분해액을 얻는 단계; (b) 단계(a)에서 얻어진 가수분해액에 염화마그네슘(MgCl2)을 가하고 정치한 다음, 침전된 고형분을 회수하는 단계; (c) 아스퍼질러스 오리자 (Aspergillus oryzae) 및 아스퍼질러스 소재 (Aspergillus soja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국균을 배양하고, 상기 국균을 포함한 배양물을 얻는 단계; 및 (d) 단계(b)에서 얻어진 고형분을 물에 분산시켜 얻어진 분산액에 단계(c)에서 얻어진 배양물을 가하여 효소반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미강, 국균

Description

글루탐산 함량이 높은 미강 유래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Process for producing rice bran-derived protein hydrolysate having high glutaminc acid contents}
본 발명은 미강으로부터 글루탐산 함량이 높은 미강 유래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쌀은 세계 3대 곡물중에 하나이고, 아시아에서 가장 많이 소모하는 곡물중에 하나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쌀로부터 섭취되는 단백질의 함량은 전체 섭취량의 약 20% 이상을 차지한다. 쌀로부터 유래된 미강에 함유되어 있는 단백질은 아미노산 조성이 모유와 매우 유사하고, 동양인이 많이 섭취하는 주식으로부터 얻어진 것이므로 알러지 유발 가능성이 거의 없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845032호는 항산화 활성 및 라디칼 소거 활성을 가지는 쌀 펩타이드 및 그의 제조방법을 개시한 바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544831호는 검은콩 및 검은쌀을 효소분해하여 제조된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피부내 섬유아세포의 증식과 콜라겐 합성촉진, 피부주름 개선효과, 항노화효과, 미백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한 바 있다. 일본 특허공개 제 2008-308445호는 가열된 쌀(加熱米)에 셀룰라아제를 작용시키는 공정 등을 포함하여 얻어진 펩타이드 혼합물이 항고혈압 활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따라서, 쌀 또는 쌀의 도정과정에서 얻어지는 산물들은 다양한 기능성 소재로서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나, 아직 식품 조미소재로서의 이용은 미진한 실정이다. 특히 쌀의 도정과정에서 얻어지는 미강은 가축의 사료 혹은 작물 재배용 비료로 소량 활용될 뿐, 아직까지 풍부한 단백질 공급원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미강내에 함유된 단백질은, 아미노산 조성에 있어서, 식품 첨가 시 감칠맛을 내는 정미성 아미노산이 밀글루텐 32∼35% 보다는 낮은 수준을 보이지만, 대두의 18%보다는 높은 수준인 약 19∼21% 수준으로 함유하고 있음이 보고된 바 있다(한국식품영양학회지, 2003, 32(8), pp1385∼1389). 또한 미강 내에는 특히 유용한 아미노산인 쓰레오닌, 아르기닌, 메치오닌 등이 풍부하고, 또한 높은 글루타민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미강내에 함유된 단백질은 높은 함량의 황화 결합으로 인하여 물에 대한 용해도가 낮고, 글루타민 형태의 아미노산이 가장 높은 함유량을 보이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503100호는 쌀겨로부터 알칼리추출공정; 불용성물질을 제거하는 탈수공정; 파파인(papain) 및 브로머레인(bromelain)을 사용하여 단백질을 분해하는 공정; 한외여과 막을 이용하여 저 분자화된 펩타이드를 회수하는 공정 등을 포함하는 쌀겨 유래의 천연 펩타이드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한 바 있으나, 제조과정에서 강알카리 및 강산성 조건을 채용하여야 하며, 얻어지는 생성물이 저분자의 펩타이드 형태로 얻어지게 되어 조미 소재로서의 적용이 곤란하다. 또한, 고가의 고농도 당화효소, 엔도/엑소 프로테아제 및 글루타미나아제 등을 포함한 3∼4종의 효소시스템을 채용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본 발명자들은 국균을 pH 7.5∼8.5의 조건으로 배양하고, 상기 국균을 포함한 pH 7.5∼8.5의 배양물을 식물성 단백질원인 수불용성 소맥 글루텐의 가용성 분산액에 적용하여 효소반응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 글루탐산 함량이 높은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을 개발한 바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888783호). 그러나, 상기 제조방법을 미강의 가용성 분산액에 적용하여 미강 유래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제조를 시도할 경우, 미강은 원료 특성상 미분의 쌀 전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효소 반응이 원활히 수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자들은 미강 유래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를 수행한 결과, 미강의 수-분산액에 프로테아제를 가하여 가수분해시킨 후, 염화마그네슘(MgCl2)을 가하고 고형분을 회수한 다음, 얻어진 고형분에 대하여 본 발명자들이 개발한 효소반응 시스템(즉,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888783호)을 적용하였을 때, 상기 고형분 중에 미강 유래의 단백질이 고농도로 농축됨으로써 이를 효소반응시킬 경우 글루탐산 함량이 높은 미강 유래 단백질 가수분해물이 얻어질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글루탐산 함량이 높은 미강 유래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라, (a) 미강의 수-분산액에 프로테아제를 가하여 가수분해시켜, 가수분해액을 얻는 단계; (b) 단계(a)에서 얻어진 가수분해액에 염화마그네슘(MgCl2)을 가하고 정치한 다음, 침전된 고형분을 회수하는 단계; (c) 아스퍼질러스 오리자 (Aspergillus oryzae) 및 아스퍼질러스 소재 (Aspergillus soja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국균을 배양하고, 상기 국균을 포함한 배양물을 얻는 단계; 및 (d) 단계(b)에서 얻어진 고형분을 물에 분산시켜 얻어진 분산액에 단계(c)에서 얻어진 배양물을 가하여 효소반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글루탐 산 함량이 높은 미강 유래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단계(a)의 상기 프로테아제는 엔도프로테아제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단계(b)에서 상기 염화마그네슘은 단계(a)에서 사용된 미강 총중량에 대하여 0.05∼1.0 중량%로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침전된 고형분을 회수한 다음, 살균 처리하는 단계를 추가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c)의 상기 배양은 배지 총 중량에 대하여 탄소원 0.5∼2 중량%, 탈지 대두 분말 0.5∼2 중량%, 인산칼륨 0.5∼2 중량%, 콩 식용유 0.2∼2 중량%, 및 잔량은 물을 포함하는 배지 중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국균의 배양은 pH 7.5∼8.5 에서 수행될 수 있고, 상기 pH 조절은 HCl 또는 NaOH 의 첨가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제조방법은 단계(d)를 수행한 후, 얻어진 효소반응물에 대하여 살균; 미분해 단백질 및 고형균체의 제거; 농축; 불용성 물질과 소수성 아미노산의 제거 공정; 및 탈색 공정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불용성 물질과 소수성 아미노산의 제거 공정이 전단계에서 얻어진 농축물을 15 ℃ 이하의 온도로 냉각하여 불용성 침전물을 형성시킨 후 여과하여 여액을 취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미강 유래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제조할 경우, 즉, 미강의 수-분산액에 프로테아제를 가하여 가수분해시킨 후, 염화마그네슘(MgCl2)을 가하고 고형분을 회수할 경우 미강 유래의 단백질이 고농도로 농축시킬 수 있으며, 얻어진 고형분에 대하여 본 발명자들이 개발한 효소반응 시스템을 적용할 경우, 글루탐산 함량이 높은 미강 유래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미강(Rice Bran)"이라 함은 '쌀겨'로도 칭해지기도 하며, 쌀의 도정 과정 중 왕겨 형태의 껍질을 제거한 후, 발생된 쌀 이외의 성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a) 미강의 수-분산액에 프로테아제를 가하여 가수분해시켜, 가수분해액을 얻는 단계; (b) 단계(a)에서 얻어진 가수분해액에 염화마그네슘(MgCl2)을 가하고 정치한 다음, 침전된 고형분을 회수하는 단계; (c) 아스퍼질러스 오리자 (Aspergillus oryzae) 및 아스퍼질러스 소재 (Aspergillus soja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국균을 배양하고, 상기 국균을 포함한 배양물을 얻는 단계; 및 (d) 단계(b)에서 얻어진 고형분을 물에 분산시켜 얻어진 분산액에 단계(c)에서 얻어진 배양물을 가하여 효소반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글루탐산 함량이 높은 미강 유래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미강을 미강을 가수분해시킨 다음, 염화마그네슘으로 고형분을 회수할 경우 미강 유래의 단백질이 고농도로 농축시킬 수 있으며, 얻어진 고형분에 대하여 국균을 포함한 배양물로 효소반응을 수행할 경우, 글루탐산 함량이 높은 미강 유래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미강의 수-분산액에 프로테아제를 가하여 가수분해시 켜, 가수분해액을 얻는 단계[즉, 단계(a)]를 포함한다. 상기 가수분해 반응은, 예를 들어 약 50∼60 ℃에서 미강의 수-분산액에 프로테아제를 가하여 약 3∼12 시간 동안 처리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테아제로는 엔도프로테아제 혹은 엑소프로테아제가 모두 사용될 수 있으나, 엔도프로테아제 (예를 들어, Novo사 Flavourzyme 등)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필요할 경우, 상기 미강의 수-분산액은 가수분해 반응 전에 통상의 방법, 예를 들어 121 ℃에서 20 분 동안 처리함으로써 살균 처리할 수 있다. 상기 프로테아제의 사용량은 수-분산액 중에 함유되는 미강의 양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수분산에 이용된 미강 중량을 기준으로 0.1∼0.5 중량% 범위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가수분해 반응 종료 후, 얻어진 반응액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어 약 250 μm의 체망을 사용하여 여과하여 잔류 고형분을 제거함으로써, 가수분해액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상기와 같이 얻어진 가수분해액에 염화마그네슘(MgCl2)을 가하고 정치한 다음, 침전된 고형분을 회수하는 단계[즉, 단계(b)]를 포함한다. 상기 염화마그네슘은 단계(a)에서 사용된 미강 총중량에 대하여 0.05∼1.0 중량%로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0.25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0.25 중량%로 가할 수 있다. 상기 정치는 50∼60℃, 바람직하게는 약 50℃에서 2∼12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4 시간 정도 교반없이 유지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정치 과정을 수행하면, 고형분이 침전되게 되며, 침전된 고형분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어 원심분리 혹은 여과를 통하여 회수할 수 있다. 필요할 경우, 얻어진 고형분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어 약 60℃에서 약 10∼20 시간 동안 건조함으로써 분말 형태로 얻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아스퍼질러스 오리자 (Aspergillus oryzae) 및 아스퍼질러스 소재 (Aspergillus soja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국균을 배양하고, 상기 국균을 포함한 배양물을 얻는 단계[즉, 단계(c)]를 포함한다.
상기 국균은 간장 국균으로 널리 사용되는 아스퍼질러스 오리자 (Aspergillus oryzae) 또는 아스퍼질러스 소재 (Aspergillus sojae)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국균의 배양은 국균 배양에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통상의 배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통상 상기 배지는 물 중에 포도당, 유당 등의 탄소원, 탈지 대두 분말, 등을 포함하는 액상 배지일 수 있다. 상기 탄소원 및 탈지 대두 분말의 함량은 각각 0.5∼2 중량% 및 0.5∼2 중량%의 범위일 수 있으나, 크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배지는 인산칼륨을 0.5 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5∼2 중량%의 범위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콩 식용유를 0.2 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2∼2 중량%의 범위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배지는 탄소원 0.5∼2 중량%, 탈지 대두 분말 0.5∼2 중량%, 인산칼륨 0.5∼2 중량%, 콩 식용유 0.2∼2 중량%, 및 잔량은 물을 포함하는 배지일 수 있다. 상기 국균은 pH 7.5∼8.5, 더욱 바람직하게는 pH 7.5∼8.0,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pH 7.5의 조건으로 배양하는 것이 바람직며, 상기 pH 조절은 HCl 또는 NaOH 등을 첨가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배양은 약 25∼33 ℃, 더욱 바람직하게는 25∼30 ℃의 범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국균을 배양하여 얻어 진 배양물은, 내부에 글루타미나아제가 다량으로 생성된 국균을 포함하고 배양액 중에 프로테아제가 다량으로 포함된 배양물로서, pH 7.5∼8.5의 산도를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상기(즉, 단계(b))에서 얻어진 고형분을 물에 분산시켜 얻어진 분산액에 상기(즉, 단계(c))에서 얻어진 배양물을 가하여 효소반응을 수행하는 단계[즉, 단계(d)]를 포함한다.
단계(b)에서 얻어진 고형분을 물에 분산시켜 얻어진 분산액에 단계(c))에서 얻어진 배양물을 가하여, 바람직하게는 pH 5.0∼7.0에서, 효소반응을 수행할 경우, 글루탐산 함량이 높은 미강 유래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단계(d)의 상기 효소반응은 통상의 반응기 내에서 약 45 ℃ 정도의 온도에서 24∼72 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효소반응에 있어서, 상기 국균 배양물의 사용량은 상기 고형분을 함유한 수용액의 농도에 따라 상이하지만, 약 10 중량%의 농도의 고형분-함유 수용액을 기준으로 상기 국균 배양물을 25∼50 중량%의 비율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효소반응 혼합물은 균체(즉, 국균), 미분해 단백질 등이 존재하게 된다. 목적으로 하는 단백질 가수분해물은 통상의 방법(살균, 여과, 농축, 탈색 등)에 따라 분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d)의 공정을 수행한 후, 얻어진 효소반응물에 대하여 살균; 미분해 단백질 및 고형균체의 제거; 농축; 불용성 물질과 소수성 아미노산의 제거 공정; 및 탈색 공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미강 유래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살균 공정은 효소 반응물을 121 ℃에서 가열 처리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고, 상기 미분해 단백질 및 고형균체의 제거 공정은 살균 처리한 생성물을 원심분리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농축 공정은 가압 필터를 통하여 얻어진 생성물을 고형분 함량이 40 브릭스(Brix)이상, 바람직하게는 40∼50 브릭스 범위가 되도록 농축(예를 들어, 약 50∼70 ℃에서 감압농축)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불용성 물질과 소수성 아미노산의 제거 공정은 전단계에서 얻어진 농축물을 15 ℃ 이하, 바람직하게는 8∼15 ℃의 온도의 온도로 냉각하여 불용성 침전물을 형성시킨 후, 여과(예를 들어, 왓트만 종이 필터(GF/B)를 사용한 여과)하여 여액을 취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탈색 공정은 상기와 같이 불용성 물질과 소수성 아미노산의 제거 공정을 수행하여 얻어진 생성물 중에 함유된 고형분 대비 약 3∼15 중량%의 활성탄을 첨가하여 50∼70 ℃ 범위로 가온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탈색 공정은 약 3 시간 동안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으며, 이를 다시 왓트만 종이 필터(GF/B) 등을 이용하여 여과함으로써, 고농도 글루탐산이 함유된 아미노산액(즉,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얻어진 단백질 가수분해물은 필요에 따라, 최종적으로 살균처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얻어진 단백질 가수분해물은 액상이며, 액상 조미료로서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얻어진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통상의 건조 방 법, 예를 들어 열풍 건조 방법 등을 이용하여 분말 조미료 형태로 얻을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미강으로부터 단백질 추출물 제조
미강 100g에 물 1L를 가하여 121℃에서 20분 동안 열처리 한 후, 0.5g의 엔도프로테아제(Novo사 Flavourzyme)를 가하고, 50℃에서 6시간 동안 진탕 교반하여 가수분해 반응을 수행하였다. 가수분해 반응 동안 pH는 6.8에서 6.2로 저하를 보였다. 상기 가수분해 반응액을 250μm 표준 체망(mesh)을 이용하여 고형분 덩어리를 제거하였다. 얻어진 여액을 100ml 씩 각각의 플라스크에 분주한 후, 염화마그네슘(MgCl2)을 농도별로 처리한 후, 50℃에서 약 4시간 동안 정치하였다. 정치된 용액 중 응고된 단백질은 원심분리(3000rpm x 20min)하여, 미강 유래 단백질 추출물을 회수하고, 60℃에서 16시간 동안 건조하여 중량을 측정하였으며, 단백질 함량은 단백질 정량법(Bio-Rad사 Bradford method)에 의해 계산하였다. 그 결과는 표 1과 같다. 표 1의 결과는 첨가된 단백질 응고제(10% 미강 분산액 부피 기준) 양에 따라 추출된 단백질량을 나타낸다.
MgCl2 첨가량(%; wt/wt) 미강 중량 대비 추출 단백질량(중량 %, wt/v)
0.00 1.2
0.05 3.2
0.10 10.8
0.25 14.4
0.50 15.6
1.00 13.6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미강 중량 대비 0.05∼1.0 중량% 범위의 염화마그네슘을 가할 경우 증가된 수율을 얻을 수 있으며, 0.1∼1.0 중량%의 염화마그네슘을 가할 경우 10% 이상의 높은 수율을 얻을 수 있고, 약 0.50 중량%의 염화마그네슘을 가할 경우 가장 높은 수율을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미강 유래 단백질 가수분해물(조미료)의 제조
5L 배양기에 탄소원으로 포도당 20 g, 탈지 대두 분말 20 g, 인산칼륨 20 g, 콩 식용유 10 ml에 증류수 2L를 첨가한 후, 121 ℃에서 20 분 동안 가압살균하여 배지를 준비하였다. 상기 배지에 아스퍼질러스 소재 (Aspergillus sojae) 종균액을 접종한 후, pH를 7.5로 조절하면서, 250rpm, 28 ℃에서 1/2 통기로 4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얻어진 배양물(균체를 포함한 배양물) 1L을,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미강 유래 단백질 추출물 150g을 물 2L에 분산시켜 얻어진 분산액과 혼합하여 pH를 pH 6.0으로 조절하면서, 45 ℃에서 72 시간 동안 효소 반응을 수행하였다.
얻어진 가수분해물을 121 ℃에서 20분 동안 살균한 후, 4000rpm 으로 2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균체 및 미분해 단백질을 제거하였다. 얻어진 생성물을 고형분 함량이 약 50 브릭스(Brix)로 약 65 ℃에서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농축물을 약 10 ℃로 16 시간 동안 냉각한 다음, 왓트만 종이 필터(GF/B)를 사용하여 여과하여 불용성 침전물을 제거하였다. 얻어진 생성물(여액 A)을 일부 취하여 건조시켜 고형분의 함량을 측정한 후, 얻어진 고형분 중량 대비 약 5 %의 활성탄을 상기 생성물(여액 A)에 첨가하여 60 ℃에서 약 2 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동일한 종이 필터(GF/B)로 여과하여 액상의 가수분해물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가수분해물을 121 ℃ 가열살균관을 통과시킨 후, 통풍 가열 방식의 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시켜 분말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최종적으로 제조된 분말 조미료의 아미노산 성분 함량은 하기 표 2와 같다. 표 2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얻어진 분말 조미료 내의 글루탐산 함량은 약 7% 이상이었다.
아미노산 유리 아미노산량 (g/100g)
Asp 2.72
Glu 7.01
Ser 2.38
Gln 0.02
His 1.06
Gly 1.39
Thr 2.49
Arg 3.36
Ala 2.36
Tyr 2.81
Val 2.62
Met 0.82
Trp 0.88
Phe 2.96
Ile 2.35
Leu 4.42
Lys 1.24
합계 40.9

Claims (7)

  1. (a) 미강의 수-분산액에 프로테아제를 가하여 가수분해시키고, 잔류 고형분을 제거하여 가수분해액을 얻는 단계;
    (b) 단계(a)에서 얻어진 가수분해액에 염화마그네슘(MgCl2)을 단계(a)에서 사용된 미강 총중량에 대하여 0.05∼1.0 중량%로 가하고 정치한 다음, 침전된 고형분을 회수하는 단계;
    (c) 아스퍼질러스 오리자 (Aspergillus oryzae) 및 아스퍼질러스 소재 (Aspergillus soja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국균을 배양하고, 상기 국균을 포함한 배양물을 얻는 단계; 및
    (d) 단계(b)에서 얻어진 고형분을 물에 분산시켜 얻어진 분산액에 단계(c)에서 얻어진 배양물을 가하여 효소반응을 수행하여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얻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글루탐산 함량이 높은 미강 유래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단계(a)의 상기 프로테아제가 엔도프로테아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단계(c)의 상기 국균의 배양이 pH 7.5∼8.5 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단계(c)의 상기 배양이 배지 총 중량에 대하여 탄소원 0.5∼2 중량%, 탈지 대두 분말 0.5∼2 중량%, 인산칼륨 0.5∼2 중량%, 콩 식용유 0.2∼2 중량%, 및 잔량은 물을 포함하는 배지 중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단계(d)를 수행한 후, 얻어진 효소반응물에 대하여 살균; 미분해 단백질 및 고형균체의 제거; 농축; 불용성 물질과 소수성 아미노산의 제거 공정; 및 탈색 공정을 추가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불용성 물질과 소수성 아미노산의 제거 공정이 전단계에서 얻어진 농축물을 15 ℃ 이하의 온도로 냉각하여 불용성 침전물을 형성시킨 후 여과하여 여액을 취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KR1020090052933A 2009-06-15 2009-06-15 글루탐산 함량이 높은 미강 유래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KR101079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933A KR101079030B1 (ko) 2009-06-15 2009-06-15 글루탐산 함량이 높은 미강 유래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933A KR101079030B1 (ko) 2009-06-15 2009-06-15 글루탐산 함량이 높은 미강 유래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4349A KR20100134349A (ko) 2010-12-23
KR101079030B1 true KR101079030B1 (ko) 2011-11-02

Family

ID=43509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2933A KR101079030B1 (ko) 2009-06-15 2009-06-15 글루탐산 함량이 높은 미강 유래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90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3225B1 (ko) 2016-09-13 2018-07-04 매일식품 주식회사 미강 및 쌀단백질의 효소분해물을 포함하는 알러지 프리 천연조미소재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천연조미소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49110B (zh) * 2013-11-04 2015-06-24 中南林业科技大学 一种水溶性米糠蛋白的提取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783B1 (ko) * 2009-01-21 2009-03-13 대상 주식회사 글루탐산 함량이 높은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783B1 (ko) * 2009-01-21 2009-03-13 대상 주식회사 글루탐산 함량이 높은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 Agri. Food Chem. (1999) Vol47, pp.411-416*
Journal of Food Biochemistry (1999) Vol.23, pp.307-321*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3225B1 (ko) 2016-09-13 2018-07-04 매일식품 주식회사 미강 및 쌀단백질의 효소분해물을 포함하는 알러지 프리 천연조미소재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천연조미소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4349A (ko) 2010-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09883B2 (en) Method for producing wheat glutamine peptide
CN102115774B (zh) 一种酶法制备植物多肽的方法
CN101766253B (zh) 一种利用米渣蛋白制取米蛋白多肽粉方法
Pedroche et al. Obtaining of Brassica carinata protein hydrolysates enriched in bioactive peptides using immobilized digestive proteases
NO179853B (no) Fremgangsmåte for fremstilling av et smaksgivende middel
CN103243143A (zh) 利用骨粉提取水解胶原蛋白的方法
KR101079030B1 (ko) 글루탐산 함량이 높은 미강 유래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US6495342B2 (en) Nitrogenous composition resulting from the hydrolysis of maize gluten and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N1234288C (zh) 从大豆粉中制备蛋白质水解产物的方法
CN1264567C (zh) 一种大蒜蛋白酶解物系列产品及其用途
EP1372407B1 (en)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high protein hydrolysate
CN109576331A (zh) 一种小麦胚芽肽的提取方法
KR20130012688A (ko) 맥강 단백질 이용한 미네랄 결합 펩타이드의 제조방법
US20030022274A1 (en) Partially hydrolysed protein nutrient supplement
JP2799352B2 (ja) コーングルテンミール加水分解物の製造方法
CN112941135A (zh) 一种鹰嘴豆小肽及其生产方法
KR100888783B1 (ko) 글루탐산 함량이 높은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JPH07284369A (ja) ペプチド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EP0858743A2 (en) Processes for extracting zinc rich mineral components from cereal germs
CN1710091A (zh) 一种提高玉米蛋白水解度和降解率的方法
CN114457137B (zh) 一种连续循环水解并精准筛选肽分子量的深度水解乳清蛋白的制备方法
JPH0584050A (ja) 蛋白質加水分解物及びその製造法
US6420133B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high protein hydrolysate
KR100523549B1 (ko) 식물 종자의 발아를 이용한 펩타이드 제조방법
KR100353396B1 (ko) 시알산이결합된폴리펩타이드혼합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