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5066A -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5066A
KR20090115066A KR1020090037436A KR20090037436A KR20090115066A KR 20090115066 A KR20090115066 A KR 20090115066A KR 1020090037436 A KR1020090037436 A KR 1020090037436A KR 20090037436 A KR20090037436 A KR 20090037436A KR 20090115066 A KR20090115066 A KR 20090115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home appliance
sound
unit
symb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7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4104B1 (ko
Inventor
박형준
강해용
이군석
김용태
전시문
김영수
김현상
권의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90037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4104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2/432,111 priority patent/US8705715B2/en
Priority to CA2722915A priority patent/CA2722915C/en
Priority to CN200980115633.4A priority patent/CN102017520B/zh
Priority to RU2010144513/08A priority patent/RU2484522C2/ru
Priority to AU2009243293A priority patent/AU2009243293B2/en
Priority to EP09738996.9A priority patent/EP2277281B1/en
Priority to TW098114369A priority patent/TWI409626B/zh
Priority to PCT/KR2009/002288 priority patent/WO2009134090A2/en
Publication of KR20090115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5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4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41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25Reporting to a device located outside the home and the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1/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sonic, ultrasonic or infrasonic wav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5Generic home appliances, e.g. refrig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가전기기에서 제품정보가 소정의 음(Sound)으로 출력됨으로서, 음(Sound)을 연결된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여 원격지의 서비스 센터에서 가전기기의 상태 확인이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본원발명은 제품정보를 음(Sound)으로 출력하기 위해 제품정보를 소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노이즈 또는 신호 오류를 방지하여, 안정적인 신호변환이 가능하고, 음(Sound) 출력을 통한 정보전달의 정확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가전기기, 세탁기, 소리출력, 음(Sound), 고장진단, 주파수, 데드타임

Description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Diagnostic system and operating method for home appliance}
본 발명은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전기기로부터 출력된 음(Sound)을 이용하여, 음(Sound)에 포함된 제품정보를 분석함으로써 가전기기의 상태를 점검하고, 에프터 서비스가 용이하도록 하는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전기기는 각각 소정 동작을 수행하는 중, 동작 수행을 위한 설정값, 동작 중 발생되는 정보, 고장정보 등을 저장하는데, 특히 고장 발생시에는 소정의 알람을 출력함으로써, 가전기기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가전기기의 상태를 인지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가전기기는 단순히 동작완료 또는 고장발생을 알리기만 할 뿐 아니라, 구비되는 출력수단,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수단, 램프 등을 통해 구체적인 고장정보를 출력하기도 한다.
한편, 가전기기에 이상이 발생된 경우, 사용자는 서비스 센터 등에 연락하여 가전기기의 상태에 대한 조언을 구하거나, 고장난 가전기기에 대한 서비스 인원을 요청하는 등의 애프터 서비스를 이용하게 된다.
이때, 가전기기에 고장 정보가 단순히 출력되거나, 사용자는 알 수 없는 코드값으로 출력되는 것이 일반적이라, 사용자는 가전기기의 고장에 대응하기 어려우며, 서비스 센터에 연결되더라도, 가전기기의 상태를 정확하게 전달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그로 인하여, 서비스 인원이 가정을 방문하는 경우, 사전에 가전기기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함으로 인하여 가전기기 수리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예를 들어, 가전기기 수리에 필요한 부품이 사전에 준비되지 않은 경우, 서비스인원이 가정을 재 방문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 아니라, 그만큼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전기기와 서비스센터의 서버가 소정의 통신수단을 통해 연결될 수도 있지만, 통신망을 구축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술의 발달로 전화망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고장정보 등을 원격으로 진단하는 기술로 발전하였다.
출원번호 EP0510519에는 가전기기의 고장정보를 상기 가전기기에 연결된 모뎀을 통하여 전화망을 이용하여 서비스센터로 전달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으나, 이 경우 상기 가전기기에는 상시 모뎀이 연결되어있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세탁물 처리기기와 같은 가전기기는 실외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인바, 상기 세탁물 처리기기와 전화망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장소적인 제약이 있었다.
특허등록번호 US5987105에는 전화망을 이용하여 가전기기의 고장정보를 가청주파수대의 음(Sound)으로 변환하고 이를 전화기를 통하여 서비스센터 등에 전송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가전기기의 고장정보가 가청주파수대의 음(Sound)으로 변환된 후, 이를 다시 전화기의 수화기로 전달하는 과정에서, 주변환경에 따라 신호 간섭이 생길 수도 있으며, 또한 상기 음(Sound)이 전화망을 통하여 전송되는 과정에 있어서, 전화망의 특성에 따라 데이터의 손실이 발생 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앞서 설명한 US5987105의 경우 데이터 손실 방지 및 정확한 제품전달을 위하여, 하나의 정보단위인 1bit를 표현하는 1심볼(symbol)의 크기는 30ms 으로 하고, 각 비트당 독립된 주파수를 사용하도록 한다.
동일한 주파수가 반복되는 간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데이터수에 대응하여 주파수를 사용해야 한다. 7개의 데이터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7개의 상이한 주파수를 사용해야한다. 그에 따라 불필요하게 많은 주파수를 사용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다수의 주파수 사용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 주파수의 수를 감소하기 위해서는 심볼의 크기를 증가시켜야 하는데, 기존의 30ms의 심볼타임을 100ms이상으로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이 경우 심볼의 크기가 커서 전송할 데이터의 크기 또한 증가하게 되므로 그에 따른 전송시간도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에 따라, 적은수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제품정보를 표현함과 동시에 짧은 심볼타임을 이용하여 전체 크기 및 전송시간을 감소시킬 뿐 아니라, 짧은 심볼타임에서의 정확도 향상을 위한 대안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품정보가 포함된 제어신호를 음향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음향신호와 대응되는 음(Sound)을 외부로 출력하는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시스템에서, 신호변환에 사용되는 주파수의 수를 감소시켜 주파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키고, 정보 단위인 심볼타임의 크기를 작게하여 전체 크기 및 전송시간을 감소시킬 뿐 아니라, 음향신호 변환시 발생되는 노이즈 또는 신호 오류를 방지하여 음(Sound)를 통한 가전기기의 상태 진단에 대한 정확도 및 효율성이 향상되는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 진단시스템은 고장진단을 위해 가전기기의 제품정보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관리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가전기기의 고장을 진단하는 가전기기 진단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전기기는, 사용자가 고장진단을 실시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 선택부; 상기 고장진단을 위한 상기 가전기기의 제품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선택부를 통한 고장진단이 선택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제품정보를 로딩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음향신호를 발생시키는 변환부; 및 상기 음향신호를 입력받아 대응하는 음을 출력하는 음향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부로부터 명령입력 시, 스마트진단모드로 진입하여 상기 제품정보를 일정크기의 심볼타임을 갖는 복수의 심볼의 조합으로 형성하고, 심볼과 심볼 사이에 데드타임을 설정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음향신호가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가전기기 진단시스템은 고장진단을 위해 가전기기의 제품정보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관리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가전기기의 고장을 진단하는 가전기기 진단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전기기는, 사용자가 고장진단을 실시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 선택부; 상기 고장진단을 위한 상기 가전기기의 제품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선택부를 통한 고장진단이 선택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제품정보를 로딩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음향신호를 발생시키는 변환부; 및 상기 음향신호를 입력받아 대응하는 음을 출력하는 음향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품정보가 소정의 데이터 값을 갖는 기본단위인 1 비트를 하나의 심볼로 설정하고, 전송속도가 20 이상이고 1216비트당 30개의 에러가 발생되는 에러율보다 작은 에러율로 상기 음이 전송되도록 심볼타임을 설정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 진단시스템의 동작방법은 가전기기 진단시스템의 신호 출력방법에 있어서, 가전기기의 운전정보 및 고장정보가 포함된 제품정보가 저장되는 단계; 상기 가전기기가 스마트진단모드로 진입하도록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품정보를 호출하여 상기 제품정보에 대한 데이터의 기본 단위를 심볼로 설정하고, 심볼간에 데드타임을 설정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신호를 소정 주파수 대역의 음향신호로 변환되고 상기 음향신호를 소정 음으로써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은 제품정보를 음(Sound)으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데이터값이 변경되는 구간 동안 신호변환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 신호 변환 과정에 발생되는 노이즈 또는 신호 오류를 방지하고, 안정적인 신호 변환 및 정확한 음(Sound) 출력이 가능하여, 음(Sound)을 통한 정보 전달이 용이하므로, 통신망을 통한 진단시스템에서의 가전기기에 대한 상태점검 및 진단을 통해 애프터서비스의 이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은수의 주파수를 이용하면서 심볼타임을 감소시킴으로써, 주파수 대역폭이 좁은 음향출력부를 이용하더라도 고장정보, 및 상태정보를 고속으로 출력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전송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의 진단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가전기기의 진단시스템은 각 가정의 가전기기(1)에서 가전기기의 동작에 대한 정보가 음(Sound)으로 출력되면, 전화망을 통해 제품정보가 포함된 소리신호가 서비스센터(90)로 전송되어 가전기기의 상태에 대하여 고장여부를 진단하도록 구성된다.
가전기기(1)는 소정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40)를 구비할 뿐 아니라, 소리를 출력하는 수단으로써 출력부(70)를 구비하여, 가전기기(1)의 동작 상태, 고정 정보 등을 출력한다(S1).
가전기기의 표시부(40)는 LED, LCD, 유기 EL과 같은 형태의 발광체로서, 가 전기기(1)의 상태정보, 또는 고장정보를 시각화하여 표시하며, 출력부(70)는 상태정보나 고장정보를 음향의 형태로 재생하여 출력한다.
가전기기(1)가 운전 중 고장을 일으켰을 때, 가전기기(1)는 표시부(40)를 통해, 또는 출력부(70)를 통해 고장 발생을 사용자에게 통보한다.
이때, 사용자는 가전기기(1)의 표시부(40)에 표시되는 가전기기(1)의 제품정보를 확인하여, 가전기기(1)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서비스센터(90)에 수리를 요청하게 된다(S2). 사용자는 서비스 센터(90)에 연락하여 고장 발생 여부를 통보하고 그에 대한 조치를 문의한다.
사용자가 서비스 센터(90)에 연결하여, 서비스 센터(90) 측의 요청에 따라(S3), 가전기기(1)에 구비되는 입력수단을 조작하는 경우, 제품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음(Sound)이 출력된다(S4). 이때, 본원발명의 가전기기(1)는 제품정보를 단순 출력하지 않고, 제품정보를 변환하여 소정의 음(Sound)으로 출력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가전기기(1)의 모델정보와 고장 증상을 서비스 센터(90)로 통보하면서, 통화 중(S2,S3), 전화기(81)를 가전기기(1)의 소리가 나는 곳에 가져다 댐으로써, 자신의 휴대단말기 또는 전화기를 이용하여 가전기기의 제품정보가 포함된 음(Sound)(S1)을 서비스 센터(90)로 전송하여 가전기기(1)에 대한 애프터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서비스 센터(90)에서는 연결된 통신망을 통해 음이 전달되면, 음(Sound)을 확인하여 가전기기(1)의 제품 상태를 확인 할 수 있게 된다(S5).
사용자가 서비스 센터에 소정의 통신망을 통해, 예를 들어 전화망을 통해 여 결하면, 서비스 센터는 가전기기(1)에서 출력되는 음(Sound)을 확인하여, 가전기기(1)의 제품상태를 판단한다(S5).
서비스 센터(90)는 진단결과에 대응하여, 가전기기(1)의 제품상태 및 고장진단에 적합한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서비스 인원(93)을 가정에 파견하게 된다(S6). 이때, 진단 결과는 서비스 기사(93)의 단말로 전송되어(S6) 서비스 기사가 가전기기(1)의 고장을 수리할 수 있도록 하거나, 상담원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진단결과는 사용자의 이메일로 전달되거나, 휴대단말로 전송 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진단시스템은 사용자가 서비스 센터에 소정의 통신망을 통해, 예를 들어 전화망을 통해 서비스센터에 연결하면, 가전기기(1)의 상태를 음(Sound)을 통해 정확하게 판단하여 대처하게 되므로, 신속한 서비스가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원발명의 가전기기(1)는 세탁물 처리기기인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tv, 에어컨, 세탁기, 냉장고, 전기밥솥, 전자레인지 등과 같은 가전기기(1) 전반에 적용될 수 있음을 명시한다.
이러한, 가전기기(1)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제품정보를 소정의 음(Sound)으로 출력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 및 진단시스템의 제어구성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가전기기(1)는 입력부(20), 감지부(30), 메모리(50), 변환부(60), 출력부(70), 그리고 가전기기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10)를 포함한다.
가전기기는 제어부(1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가전기기(1)가 소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그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물 처리기기의 경우, 구동부는 세탁조 또는 드럼이 회전하여 세탁물의 오물이 제거되도록, 세탁조 또는 드럼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구동하고 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0)의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급수 또는 배수가 수행되도록 밸브를 제어하게 된다.
감지부(3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여, 상기와 같이 구동부(40)에 의해 가전기기(1)가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는 때, 가전기기(1)의 동작상태 확인을 위한 데이터를 측정하여 제어부(10)로 인가한다. 예를 들어, 세탁물 처리기기에서, 감지부(30)는 급수 또는 배수 시 물의 수위를 측정하고, 급수된 물의 온도, 세탁조 또는 드럼의 회전속도 등을 측정한다.
메모리(50)는 상기와 같이 가전기기(1)가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는 중, 동작 중 발생되는 동작상태 데이터, 가전기기(1)가 소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조작부(22)에 의해 입력된 설정데이터 등과 같은 운전정보와, 가전기기(1) 오동작 시, 오동작의 원인 또는 오동작 부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고장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메모리(50)는 가전기기(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 동작제어 시 사용되는 기준데이터가 저장된다.
이때, 메모리(50)는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데이터가 저장되는 ROM, EEPROM, 프로세스 처리에 따른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영역 과 같은 데이터 저장수단을 모두 포함한다. 저장부(51)는 제어부(10)의 버퍼로써 데이터를 임시저장하는 저장수 단이고, 경우에 따라 메모리(50)에 포함된다.
입력부(20)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소정의 신호 또는 데이터를 가전기기(1)로 입력하는 입력수단으로써, 버튼, 스위치, 터치패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조작부(21)와 선택부(22)를 포함한다.
선택부(22)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수단을 포함하여, 스마트 진단모드 진입을 선택입력한다.
선택부(22)는 스마트 진단모드 진입이 선택입력되면, 제품정보가 출력부(70)를 통해 소정의 음(Sound)으로 출력되도록 신호 출력명령을 제어부(10)로 인가한다.
또한, 선택부(22)는 스마트진단모드로 진입하게 됨에 따라, 출력부(70)가 온, 오프(on/off)되도록 한다. 즉, 선택부(22)에 의해 신호 출력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0)의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제품정보가 소정의 음(Sound)으로 출력되는데, 이때, 출력부(70)가 동작되어, 음(Sound)을 출력하게 된다.
조작부(22)는 가전기기(1)의 동작에 따라, 운전코스, 운전설정과 같은 데이터를 입력받아 제어부(10)로 인가한다.
또한, 조작부(22)는 음(Sound) 출력에 따른 설정을 입력받는다. 즉, 조작부(22)는 음(Sound)을 출력하는 방법, 출력되는 음(Sound)의 크기 등을 설정하는 설정값을 입력받는다.
이때, 선택부(22) 및 조작부(22)와 같은 입력부(20)는 버튼,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핑거 마우스, 로터리 스위 치, 조그 다이얼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조작에 의해 소정의 입력데이터를 발생하는 장치라면 어느 것이나 적용 가능하다.
제어부(10)는 선택부(22)로부터 스마트 진단모드 진입에 따른 신호가 입력되면, 메모리(50) 또는 저장부(51)에 저장된 제품정보를 호출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변환부(60)가 제어신호를 소정의 음향신호로 변환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0)는 선택부(22)의 신호 출력명령이 입력됨에 따라, 출력부(70)가 동작 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0)는 변환부(60)에 의해 제품정보가 포함된 제어신호가 변환됨에 있어서, 제어신호에 데드타임을 설정한다. 이때, 제어부(10)는 제어신호의 데이터 값이 변경되는 구간 또는 심볼 사이에 데드타임으로 설정한다.
여기서, 제품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운전설정, 동작중 운전상태 등을 포함하는 운전정보와, 오동작에 대한 고장정보를 포함한다. 제품정보는 0 또는 1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데이터로서, 제어부(10)에 의해 판독 가능한 형태의 디지털 신호이다.
제어부(10)는 이러한 제품정보의 데이터를 분류하고, 특정 데이터가 포함되도록 하며, 일정 크기로 나누거나 합하여, 지정된 규격의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변환부(60)로 인가한다.
또한, 제어부(10)는 하나의 심볼이 하나의 데이터 비트를 나타낼 때, 심볼과 심볼 사이에 데드타임을 삽입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제어부(10)는 하나의 데이터 값을 갖는 단위시간인, 심볼타임을 기준 으로, 심볼타임의 크기에 대응하여 데드타임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0)는 심볼타임의 20%를 넘지 않도록 데드타임을 설정한다.
여기서, 데드타임은 후술하는 도 3 및 4와 같이 커패시터의 충전과 방전 원리로 인하여 하나의 심볼타임이 끝나고 다음 심볼타임이 시작되어, 새로운 데이터 비트를 표현하는데 있어서, 이전 심볼타임의 데이터 비트가 다음 심볼타임에도 영향을 주는 잔향효과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제어부(10)는 제어신호의 데이터의 값이 0에서 1로, 또는 1에서 0으로 변경되는 구간을 데드타임으로 설정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변환부(60)는 제어부(10)의 제품정보가 포함된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음(Sound) 출력을 위한 소정의 음향신호로 변환한다. 여기서 변환부(60)는 디지털 신호인 제어신호를 소정 주파수 대역의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는데, 신호 변환 시, 주파수 편이 방식, 진폭편이방식, 위상편이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음향신호로 변환한다.
여기서, 주파수 편이방식은 제어신호의 데이터 값에 대응하여 소정 주파수의 신호로 변환하는 방식이고, 진폭편이 방식은 데이터 값에 대응하여 진폭의 크기가 상이하도록 변환하는 방식이다. 또한, 위상편이방식은 데이터값에 따라 위상이 상이하도록 신호를 변환하는 방식이다.
주파수 편이방식중 BFSK(Binary Frequency Shift Keying, 이하 BFSK)의 경우, 제어신호의 데이터의 값이 0인 경우 제1 주파수로 변환하고, 데이터의 값이 1인 경우 제2 주파수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값이 0인 경우 2.5KHz의 주파수 를 갖는 신호로 변환하고, 데이터 값이 1인 경우 2.9KHz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진폭편이방식의 경우, 2.5KHz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로 변환하되, 제어신호의 데이터의 값이 0 인 경우, 진폭의 크기가 1인 2.5KHz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로 변환하고, 데이터의 값이 1인 경우, 진포크기가 2인 2.5KHz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변환부(60)는 데드타임이 설정된 구간 동안에는 신호변환을 중지한다. 이때, 변환부(60)는 펄스폭모듈레이션(PWM) 방식을 이용하여 신호를 변환하는 때, 데드타임이 설정된 구간에서는 모듈레이션을 위한 공진주파수를 오프(off)하여 데드타임동안의 주파수 신호변환을 일시 정지한다. 변환부(60)는 상기와 같은 방식에 따라 제어신호를 소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고, 각각 변환된 신호를 조합하여 음향신호를 출력한다.
음향신호는 제품정보가 포함된 제어신호가 변환부(60)에 의해 변환된 데이터로써, 출력부(70)를 동작시킴과 동시에 소정의 소리음이 출력부(70)로 출력되도록 하는 신호이다.
출력부(70)는 제어부(10)의 제어명령에 의해 동작이 온, 오프 되며, 변환부(60)로부터 출력된 음향신호를 입력받아 소정의 음(Sound)을 출력한다. 이때, 출력부(70)는 스피커, 버저 등과 같이 소리를 출력하는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출력부(70)는 음향신호를 소정의 음(Sound)으로 출력한 후, 출력이 종료되면, 동작 정지되고, 선택부(22)에 의해 신호 출력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다시 동작 되어 소정의 음(Sound)을 출력한다.
출력부(70)는 재생 주파수 대역이 좁은 버저, 또는 재생 주파수 대역이 넓은 스피커가 이용될 수 있다. 스피커는 재생 주파수 대역이 넓은 대신 부피가 크고 가격이 비싸고 낭비되는 재생 주파수 대역이 넓은반면, 버저는 재생 대역이 좁은 대신 가격이 싸고 낭비되는 재생 대역이 거의 없는 차이점을 갖는다. 출력부(70)가 사람의 음성을 재생하거나 넓은 주파수 대역을 필요로 하는 효과음을 재생하지 않는다면, 스피커 보다는 버저로 구성되는 것이 합리적이다.
이하에서는 출력부(70)는 버저를 지칭하며, 가전기기의 상태정보, 또는 고장정보에 해당하는 음향신호를 재생한다.
표시부(40)의 제어부(10)의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선택부(22) 및 조작부(22)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 가전기기(1)의 동작상태 정보, 가전기기 동작완료 등에 따른 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가전기기 오동작시 오동작에 관한 고장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
이때, 가전기기는 상기와 같은 출력부(70), 표시부(40) 이외에도 점등 또는 점멸되는 램프, 진동소자 등이 더 포함될 수 는 있으나, 그에 대한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가전기기(1)는 소정의 음(Sound)을 출력하여, 다음 설명하는 바와 같이, 서비스 센터(90)로 가전기기(1)의 제품정보를 전달하게 된다.
서비스 센터(9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93), 디코더(91), 진단부(92)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93)는 서비스 센터의 관리자, 사용자, 서비스 인원이 진단결과 진단진행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데이터를 입력받거나 출력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93)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버튼, 키, 터치패드, 스위치와 같은 입력수단을 포함하고, 진단서버의 동작 정보 및 진단결과가 출력되는 표시수단 이 포함된다. 또한, 입출력부(270)는 외부입력장치, 휴대용 메모리 수단에 대한 접속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93)는 입력수단이 조작되는 경우, 전화망 또는 휴대 이동통신 망을 통해 사용자의 가전기기(1)로부터 출력되는 소정의 음(Sound)가 디코더(91)로 인가되어 진단부(92)에 진단이 수행되도록 한다.
디코더(91)는 가전기기의 제품정보가 포함된 음(Sound)이 전화망 또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수신되면, 이를 변환하여 진단부(92)로 인가한다. 이때, 디코더(93)는 입력되는 가전기기의 음(Sound)을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 및 주파수의 변환을 통해 제품정보가 포함된 제어신호를 획득한다. 이때, 디코더(91)는 가전기기(1)의 제품정보가 포함된 제어신호를 획득하여 진단부(92)로 인가한다.
디코더(91)는 가전기기(1)에서의 신호 변환에 대한 역 변환으로써, 각 가전기기와 동일한 신호 변환 체계를 통해 데이터를 변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코더(91)는 소정 주파수 대역의 아날로그 신호인 음(Sound)을, 주파수 편이 방식, 진폭편이방식, 위상편이방식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한 역변환을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진단부(92)는 디코더(91)로부터 입력된 제어신호를 분석하여 가전기기(1)의 동작상태, 고장 여부를 진단한다. 진단부(92)는 제어신호의 분석 및 제어신호에 포함된 제품정보의 분석에 따른 가전기기 진단을 위한 진단 프로그램이 포함되며, 진단 프로그램이 진단데이터를 포함한다.
또한, 진단부(92)는 고장 시, 고장의 원인에 대하 분석하여 대처 방안 또는 서비스 방향에 대한 진단결과를 생성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93)로 인가한다.
진단부(92)의 진단결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93)를 통해 출력되며, 그에 따라 서비스 센터(90)는 가전기기(1)의 오동작에 따른 대처방안을 사용자에게 전달하거나, 서비스 인원을 파견한다.
여기서, 가전기기(1)의 변환부(60)에 의해 제품정보가 음향신호로 변환되는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의 제품정보가 포함된 음(Sound)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신호의 예가 도시된 도이고, 도 4 는 도 3의 가전기기에서 제어신호의 음향신호 변환에 따른 예가 도시된 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가전기기(1)는 0 또는 1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운전 또는 동작정보와 고장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제품정보를 메모리(50)에 저장한다. 이하, 변환부(60)는 BFSK 방식에 따라 신호를 변환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도3의 (a)는 제품정보가 도시된 도이고, 도 3의 (b)는 변환된 음향신호이다. 여기서 이해를 높이기 위해 신호를 구형파 형태의 펄스 신호로 표시한다.
도 3의 (a)와 같이 제품정보가 010인 경우, 변환부(60)는 BFSK방식에 따라 변환하는 경우, 제 1 심볼타임(111)에서의 데이터의 값이 0이면, 2.5KHz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121)로 변환하고, 제 2 심볼타임(112)에서 데이터의 값이 1이면, 2.9KHz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122)로 변환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정보에는 각 심볼타임(110) 별로 데이터의 값이 변경되는 구간(101, 102)이 발생되는데, 제어부(10)는 이렇게 값이 변경되는 구간 101, 102에 데드타임을 설정한다. 여기서, 제어부(10)는 데드타임(101, 102)의 구간이 심볼타임(110)의 20%를 넘지 않도록 설정한다.
변환부(60)는 전술한 도 3와 같이 신호를 변환하되, 상기와 같이 데드타임(101,102)이 설정된 구간에서는 주파수 변환을 위한 공진주파수를 오프(off)하여, 신호변환을 중지한다.
이는 신호변환 과정에서, 데이터의 값이 변경되는 구간에서는 두 개의 주파수가 나타날 수 있어, 음향신호에 불필요한 신호가 추가될 수 있으며, 또는 데이터의 값이 변하는 과정에서 하나의 주파수 신호가 다른 주파수 신호로 바뀌는 데에 따른 영향이 남아 지정된 시간 이후까지 계속될 수 있기 때문으로, 데이터의 값이 변경되는 동안에는 신호 변환을 중지한다.
그에 따라, 제 1 구간(131)에서는 제품정보가, 데이터의 값 0 에 대응하여 2.5KHz의 주파수 신호로 변환되고, 데드타임(101)이 설정된 제 2 구간(132)에는 별도의 신호 변환이 중지되며, 제 3 구간(133)에는 데이터의 값 1 에 대응하여 2.9KHz의 주파수 신호로 변환된다.
이후, 데드타임(102)이 설정된 제 4 구간(134) 동안에는 신호 변환이 중지되고, 제 5 구간(135)에는 데이터의 값 0 에 대응하여 2.5KHz의 신호로 변환된다. 여기서, 제 5 구간(135)시간 이 후, 다음 심볼타임에는 데이터의 값이 변경되지 않으므로, 데드타임은 설정되지 않고, 제 6 구간(136) 동안 제품정보는 2.9KHz의 주파수 신호로 변환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주파수는 일 예 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람의 가청주파수 범위 내에서 다른 주파수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다른 변환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도 5 는 도 4의 가전기기에서 데드타임 없이 제어신호의 음향신호 변환시하는 경우 신호형태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전술한 도 5의 (a)와 같이 010의 제어신호를 음향신호로 변환 시, 데드타임 없이 제어신호를 음향신호로 변환하는 경우, 신호변환 시의 동기를 맞추기 위한 동기신호(141)와 함께 PWM에 의한 공진주파수(142)가 변환부(60)에서 생성된다. 변환부(60)는 이를 이용하여 주파수변환방식에 의해 제어신호를 음향신호로 변환한다(143). 음향신호는 편의를 위해 스펙트럼으로 표시하였다.
즉, 상기와 같이 데드타임 없이 제어신호를 음향신호로 변환하는 경우 도 5의 변환된 신호(143)은 제 1 심볼타임의 데이터비트가 다음 심볼타임까지 넘어가게 된다.
그에 따라 도 5의 (b)와 같은 웨이브 폼이 나타나게 된다.
이는, 가전기기(1)에서 음이 출력될 때 뿐 아니라 서비스센터에서 신호를 변 환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데이터 비트가 변경되는 구간의 잔향으로 인하여 다음 심볼에까지 영향을 주게 된다. 서비스센터의 디코더(91)에서 신호를 역으로 변환하는 경우에 신호의 잔영으로 인하여 다음 심볼에 까지 영향이 있는 경우 정확한 데이터 추 출이 어려워진다
도 6 은 도 4의 가전기기에서 데드타임을 적용하여 제어신호의 음향신호 변환하는 경우 신호형태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변환부(60)는 동기신호(151), 공진주파수(152)를 이용하여 신호를 변환 시, 제어부(10)의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데드타임이 설정된 구간에서 PWM에 의한 공진주파수를 정지시킨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드타임 구가에서 공진주파수가 오프되면, 변환된 음향신호가 지정된 심볼타임 구간 내에서 생성된다. 음향신호는 편의에 따라 스펙트럼 신호로써 표시한다.
상기와 같이 데드타임이 설정된 제어신호를 음향신호로 변환하는 경우,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심볼타임 크기로 신호가 변환 생성된다.
이렇게 생성된 음향신호는 출력부(70)로 인가되어 소정의 음(Sound)으로써 출력된다.
이때, 제어신호 및 음향신호의 심볼타임은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도 7 은 도 3의 가전기기에서 제어회로의 음향신호 변환 시 심볼타임 설정에 따른 예가 도시된 도이다. 도 7의 (a)는 음향신호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낸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출력부(70)에 인가되는 음향신호는 두 개의 주파수 성분으로 구성된다.
출력부(70)에 버저가 사용되는 것을 예로 할 때, 버저의 재생 주파수 대역이 2.5khz ∼ 3kh 라고 가정하면, 음향신호는 2,6khz의 펄스와 2.8khz의 펄스로 구성되는 심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변환부(60)에서 생성되는 음향신호는 2.6khz와 2.8khz의 두 개의 주파수 성분을 이용하여 2.6khz는 논리 "0"에 대응하고, 2.8khz는 논리 '1'에 대응하게 된다.
만일, 출력부(70)의 재생 주파수 대역이 이보다 높거나 낮다면, 음향신호를 구성하는 펄스의 주파수 또한 높거나 낮아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버저의 재생 주파수 대역이 매우 한정되므로 버저의 재생 주파수 대역에서 높고 낮은 주파수 대역을 각각 논리 "1"과 논리 "0"(또는 논리 "0"과 논리 "1")에 대응시켜서 사용하는 것은 동일하다.
여기서, 심볼은 하나의 데이터 비트로써, 하나의 논리 레벨에 대응하고, 각 심볼은 복수의 펄스로 구성되며, 각 펄스는 두 개의 주파수에 따라 그 주기가 결정된다.
가전기기(1)에서 음향신호를 음(Sound)로 출력하여 전화망 또는 휴대 이동통신 망을 통해 전송하는 경우, 그 데이터 전송속도는 심볼의 크기에 따라 가변된다. 심볼타임이 30ms인 경우 100byte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약 30초 정도의 시간이 소요된다.
그에 따라 전송속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심볼의 크기, 심볼타임을 감소시켜야 하는데, 이는 곧 하나의 심볼 내에서 각 주파수신호에서 심볼 당 펄수의 수가 감소됨을 의미한다.
심볼 당 펄스의 개수가 감소할 경우, 각 심볼을 가청주파수 대역으로 재생하였을 경우, 재생 시간이 짧아지므로 출력부(70)에서 정확한 음이 출력되지 않을 수 있으면, 음은 출력되나 음이 전화망 또는 휴대 이동통신 망을 통해 전송되는 과정에서 신호 감쇄 또는 신호 왜곡이 발생될 수 있어 서비스센터(90)에서 음을 이용한 가전기기 진단 시 진단이 불가능 하거나, 오진단 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본원발명은 하나의 심볼을 구성하는 펄수의 개수를 결정함으로써, 음에 대한 데이터의 크기, 전송속도를 감소시킬 뿐 아니라, 정확한 음의 출력 및 전송이 가능하게 된다.
제어부(10)에서 변환부(60)로 인가되는 제어신호의 심볼의 크기, 심볼타임에 대응하여, 변환부(60)에서 출력되는 음향신호에 심볼당 포함되는 펄스의 수가 결정된다. 출력부(70)에서 출력된 음(Sound)의 데이터 전송 능력은 심볼내의 펄수의 수에 따라 결정된다.
또한, 변환부(60)에서 제어신호를 음향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사용하는 주파수 성분에 따라 심볼당 펄스의 주기가 얼마나 짧은가에 따라 결정된다.
심볼타임이 작아질 경우 심볼이 출력부(70)에서 재생되는 시간이 극히 짧아지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음의 출력 및 인식문제가 발생될 수 있고, 반대로 심볼당 펄스의 수 및 심볼의 크기를 크게 할 경우, 인식이 요이한 대신 재품정보가 포 함되어 출력된 음의 전송시간이 증가하므로, 이용하는 전화기, 휴대단말기, 전환망, 휴대 이동통신 망의 특성에 따라 인식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심볼의 크기, 즉 심볼타임이 결정된다.
심볼을 구성하는 펄스의 개수는 출력부(70)의 재생 주파수 대역, 예컨대 2,6khz와 2.8khz에 의해 그 주기가 결정된다. 따라서, 동일한 시 구간에 배치되는 펄스의 개수는 동일하다. 이때, 가청주파수 대역의 음향신호를 수신하는 휴대단말기(5)는 음향신호를 수신 후, 샘플링을 하므로 심볼의 크기는 일정수준 이하로 감소되면 안된다.
그에 따라 심볼타임은 변환부(60)에서 변환된 음향신호를 기준으로 심볼당 포함되는 펄스의 개수를 8 ∼ 32개가 되도록 심볼타임을 정의한다.
8 내지 32개의 펄스로 구성되는 하나의 심볼은 가전기기(1)가 음향신호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5) 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오류가 거의 없고, 최고의 전송 속도를 구현할 수 있다.
도 8 의 (b)는 제어부(10)에 의해 생성된 제어신호 및 변환부(60)의 음향신호에 대응하여 변환된 음향신호의 심볼에 대한 상세구조를 도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10)는 하나의 심볼에 대해 8개의 펄스(t1 ∼ t8)를 할당하며, 심볼타임은 7ms ∼ 24m로 설정된다.
심볼의 주기가 7ms 보다 작을 경우 휴대단말기에서 버저(72)의 재생음을 제대로 획득하지 못하여 인식오류가 발생할 수 있고, 24ms를 초과할 경우, 가전기기(1)에서 휴대단말기(5)로 전송되는 음향신호의 전송 속도가 저감된다.
도 8 은 도 7의 가전기기에서 심볼타임의 크기 변화에 따른 전송속도 및 에러율의 관계가 도시된 도이다.
제어신호 및 음향신호에 대한 심볼타임의 크기에 따라 전송속도가 가변되는데, 도 8은 1216bits 당 30bits의 에러율(161)을 기준으로 그 이하에서 심볼타임당 전송속도를 도시한 것이다. 가로축은 심볼타임, 세로축은 전송속도를 나타내며, 반비례 곡선은 에러율이다.
심볼타임이 증가할 수록 전송할 데이터터의 크기를 증가하므로 그에 따른 전송시간이 가변될 뿐 아니라, 전송시간 증가에 따른 전송오류 또한 가변된다.
소정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테스트하는 경우, 30/1216bits 이하의 에러율을 만족하면서 심볼타임을 12ms에서 30ms 으로 심볼타임을 가변하면 그 전송속도가 도 8과 같이 가변된다.
15ms의 심볼타임에서 전송속도는 약 24로 가장 높으나, 에러율이 30/1216bits를 넘어서므로 에러율 조건을 만족하지 못한다.
21ms, 24ms의 심볼타임에서는 전송속도가 7,8 로 매우 낮아 지는 것을 알 수 있다.
12ms 와 15ms에서 높은 전송속도를 나타내나 15ms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에러율이 증가하므로, 낮은 에러율에서, 전송속도가 빠른 12ms를 심볼타임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가전기기 및 진단시스템에서 심볼타임을 설정하고, 심볼타임 간에 데드타임을 설정하여 신호 변환 및 신호출력 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9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의 신호 출력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이하, 가전기기 중 세탁물 처리기기를 예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세탁물 처리기기가 조작부(22)를 통해 입력되는 설정에 따라 세탁을 수행한다(S410). 이때, 세탁물 처리기기의 동작에 대한 설정 정보는 운전정보로써 저장된다.
동작 중 에러가 발생되면(S420), 제어부(10)는 오동작에 따른 에러발생 정보를 고장정보로써 저장한다. 여기서, 고장정보와 운전정보는 제품정보로 메모리(50)에 저장된다(S430).
제어부(10)는 발생된 에러는 표시부(40)를 통해 출력하고, 선택부(22)를 통해 스마트진단모드 진입이 선택입력되면(S450), 고장정보 및 운전정보를 포함한 제품정보를 메모리(50)로부터 호출하여(S460), 제품정보를 소정 규격의 제어신호로 생성한다.
제어부(10)는 생성된 제어신호를 변환부(60)로 인가하고 더불어 출력부(70)가 동작되도록 제어명령을 출력부(70)로 인가한다.
이때, 제어부(10)는 제품정보의 데이터값이 변경되는 구간, 즉 심볼과 심볼 사이의 구간에 데드타임을 설정하고, 변환부(60)는 설정된 데드타임을 고려하여, 제품정보가 포함된 제어신호를 소정의 주파수 대역의 음향신호로 변환한다(S470).
출력부(70)는 변환부(60)에서 변환되어 출력된 음향신호를 입력받아, 소정의 음(Sound)을 출력한다(S480).
도 10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의 신호 변환방법이 도시된 순 서도이다.
상기와 같이 세탁물 처리기기가 소정의 음(Sound)을 출력하는 경우, 제품정보를 포함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제어신호가 음향신호로 변환되어 음(Sound)으로 출력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변환부(60)는 주파수 편이방식에 따라 신호를 변환하는 것으로 예로 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명시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어부(10)에 의해 제품정보가 메모리(50)로부터 호출되면(S510), 제어부(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품정보의 데이터 값에 대응하여 데드타임을 설정한다.
제어부(110)는 제품정보를 일정 크기로 나누거나 합하고, 심볼간에 데드타임을 설정하여 소정 규격의 제어신호로 생성한다.
이때, 변환부(60)는 제어신호를 소정의 주파수 대역의 음향신호로 변환하는데, 제어신호 중 데드타임이 설정된 구간인 경우(S520), 일시적으로 신호 변환을 정지한다(S530). 데드타임 구간이 지나면 다시 신호변환을 시작한다.
변환부(60)는 제어신호의 데이터 값이 0 이면(S540) 제 1 주파수로 신호변환하고(S550), 데이터의 값이 1이면(S560) 제 2 주파수로 신호 변환한다(S570). 즉 변환부(60)는 데이터의 값이 0이면 2.5KHz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로 변환하고, 데이터의 값이 1이면 2.9KHz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로 변환한다. 이때, 데이터의 값이 변경되는 데드타임 구간에서는 신호변환을 일시 중지한다.
이때 PWM의 공진주파수 신호를 오프시켜 데드타임 구간에서 신호 변환이 중지되도록 한다. 데드타임 구간에서 공진주파수가 오프되면 전술한 도 5 및 6과 같 이 커패시터의 특성에 따른 잔향신호의 영향이 있더라도 심볼타임 내에서 음향신호가 형성된다.
여기서, 변환부(60)는 신호 변환시, 제품정보가 하나의 데이터 값을 갖는 단위시간인 심볼타임을 기준으로하여, 심볼타임 단위로 신호를 변환한다.
상기와 같이 심볼타임 간격으로 신호변환을 수행하여(S520 내지 S570), 제품정보에 대한 신호변환이 완료되면(S580), 심볼타임 간격으로 변환된 각 신호를 음향신호로써 출력된다.
출력부(70)는 변환부(60)에서 출력된 음향신호를 입력받아, 출력함으로써 소정의 음(Sound)을 출력한다(S590).
그에 따라, 사용자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품정보가 포함된 음(Sound)을 듣게 되고, 이는 전술한 도 1 및 2에서와 같이, 연결된 통신망을 통해 서비스 센터로 전송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 및 그 신호출력방법은 가전기기 동작중에 발생되는 고장 정보 또는 가전기기 동작을 위한 설정정보와 같은 운전정보를 포함하는 제품정보를 소정의 음(Sound)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데 있어서, 제품정보가 포함된 제어신호의 심볼간에 데드타임을 설정하여 데드타임 구간 동안 신호변환이 중지되도록 함으로써, 데이터의 값이 변경되는 구간에서의 신호 잡음 및 왜곡을 방지하고, 효율적인 신호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데 있어서 음향신호에서의 심볼당 펄스의 수를 고려하여 심볼타임을 설정함으로써, 안정된 음의 출력 및 전송이 가능하고 전송속도 가 향상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응용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의 진단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 및 진단시스템의 제어구성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록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의 제품정보가 포함된 음(Sound)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신호의 예가 도시된 도,
도 4 는 도 3의 가전기기에서 제어신호의 음향신호 변환에 따른 예가 도시된 도,
도 5 는 도 4의 가전기기에서 데드타임 없이 제어신호의 음향신호 변환시하는 경우 신호형태가 도시된 예시도,
도 6 은 도 4의 가전기기에서 데드타임을 적용하여 제어신호의 음향신호 변환하는 경우 신호형태가 도시된 예시도,
도 7 은 도 3의 가전기기에서 제어신호의 음향신호 변환 시 심볼타임 설정에 따른 예가 도시된 도,
도 8 은 도 7의 가전기기에서 심볼타임의 크기 변화에 따른 전송속도 및 에러율의 관계가 도시된 도,
도 9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의 신호 출력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의 신호 변환방법이 도시된 순 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 가전기기 10: 제어부
21: 입력부 22: 조작부
30: 감지부 40: 표시부
50: 저장부 60: 변환부
70: 음향출력부 90: 서비스센터
91: 디코더 92: 진단부

Claims (19)

  1. 고장진단을 위해 가전기기의 제품정보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관리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가전기기의 고장을 진단하는 가전기기 진단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전기기는,
    사용자가 고장진단을 실시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 선택부;
    상기 고장진단을 위한 상기 가전기기의 제품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선택부를 통한 고장진단이 선택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제품정보를 로딩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음향신호를 발생시키는 변환부; 및
    상기 음향신호를 입력받아 대응하는 음을 출력하는 음향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부로부터 명령입력 시, 스마트진단모드로 진입하여 상기 제품정보를 일정크기의 심볼타임을 갖는 복수의 심볼의 조합으로 형성하고, 심볼과 심볼 사이에 데드타임을 설정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음향신호가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드타임을 상기 심볼타임의 20% 이하로 설정하는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 1 심볼과 제 2 심볼의 사이에 설정하고,
    상기 제 1 심볼과 상이한 논리값을 갖도록 상기 데드타임을 설정하는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품정보가 소정의 데이터 값을 갖는 기본단위인 1 비트를 하나의 심볼로 설정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7ms 내지 24ms 범위에서 상기 심볼타임을 설정하는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12ms으로 상기 심볼타임을 설정하는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향신호의 심볼 당 8 내지 32개의 펄스가 포함되도록 상기 심볼타임을 설정하는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송속도가 20 이상이고 1216비트당 30개의 에러가 발생되는 에러율보다 작은 에러율로 상기 음이 전송되도록 상기 심볼타임을 설정하는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상기 제어신호를 소정 주파수 대역의 음향신호로 변환하고,상기 데드타임이 설정된 구간 동안 상기 신호 변환을 중지하는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펄스폭변환방식에 따른 공진주파수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음향신호 변환하고, 상기 데드타임 구간에서 상기 공진주파수를 오프시키는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주파수 편이방식에 따라 상기 제품정보 변환 시,
    상기 제어신호의 논리값이 0 인 경우, 제 1 주파수를 갖는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제어신호의 논리값이 1 인 경우, 제 2 주파수를 갖는 신호로 변환하며,
    상기 제 1 주파수 및 상기 제 2 주파수의 변환된 신호를 조합하여, 상기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12.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상기 진폭 편이 방식에 따라 상기 제품정보 변환 시,
    상기 제어신호의 논리값이 0 인 경우, 제 1 크기를 갖는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제어신호의 논리값이 1 인 경우, 제 2 크기를 갖는 신호로 변환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크기의 신호를 조합하여, 상기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13. 가전기기 진단시스템의 신호 출력방법에 있어서,
    가전기기의 운전정보 및 고장정보가 포함된 제품정보가 저장되는 단계;
    상기 가전기기가 스마트진단모드로 진입하도록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품정보를 호출하여 상기 제품정보에 대한 데이터의 기본 단위를 심볼로 설정하고, 심볼간에 데드타임을 설정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신호를 소정 주파수 대역의 음향신호로 변환되고 상기 음향신호를 소정 음으로써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진단시스템의 동작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출력된 상기 음이 전화망 또는 휴대 이동통신 망을 통해 서비스 센터로 수신 되는 단계;
    상기 음을 역 변환하여 상기 음으로부터 상기 가전기기의 제품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품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가전기기의 상태 및 고장여부를 진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진기기 진단시스템의 동작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신호 생성단계는 상기 제어신호의 데드타임 구간에 대하여 신호변환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진단시스템의 동작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신호 생성단계는 상기 제어신호를 주파수 편이 방식, 진폭편이방식, 위상편이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변환하는 가전기기 진단시스템의 동작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7ms 내지 24ms 범위에서 상기 심볼타임을 설정하는 가전기기 진단시스템의 동작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12ms으로 상기 심볼타임을 설정하는 가전기기 진단시스템의 진단방법.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향신호의 심볼 당 8 내지 32개의 펄스가 포함되도록 상기 심볼타임을 설정하는 가전기기 진단시스템의 진당방법.
KR1020090037436A 2008-04-30 2009-04-29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1404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432,111 US8705715B2 (en) 2008-04-30 2009-04-29 Home appliance, home appliance system, and diagnosis method of a home appliance
KR1020090037436A KR101404104B1 (ko) 2008-04-30 2009-04-29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CN200980115633.4A CN102017520B (zh) 2008-04-30 2009-04-30 家用电器系统及其操作方法
RU2010144513/08A RU2484522C2 (ru) 2008-04-30 2009-04-30 Система для бытовых электроприборов и способ ее функционирования
CA2722915A CA2722915C (en) 2008-04-30 2009-04-30 Home appliance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AU2009243293A AU2009243293B2 (en) 2008-04-30 2009-04-30 Home appliance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EP09738996.9A EP2277281B1 (en) 2008-04-30 2009-04-30 Home appliance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TW098114369A TWI409626B (zh) 2008-04-30 2009-04-30 家電系統及其操作方法
PCT/KR2009/002288 WO2009134090A2 (en) 2008-04-30 2009-04-30 Home appliance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920108P 2008-04-30 2008-04-30
KR1020080040677 2008-04-30
KR20080040677 2008-04-30
KR1020090031499 2009-04-10
KR20090031499 2009-04-10
KR1020090037436A KR101404104B1 (ko) 2008-04-30 2009-04-29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5066A true KR20090115066A (ko) 2009-11-04
KR101404104B1 KR101404104B1 (ko) 2014-06-10

Family

ID=41255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7436A KR101404104B1 (ko) 2008-04-30 2009-04-29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705715B2 (ko)
EP (1) EP2277281B1 (ko)
KR (1) KR101404104B1 (ko)
CN (1) CN102017520B (ko)
AU (1) AU2009243293B2 (ko)
CA (1) CA2722915C (ko)
RU (1) RU2484522C2 (ko)
TW (1) TWI409626B (ko)
WO (1) WO2009134090A2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05512A3 (ko) * 2010-07-06 2012-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진단장치
CN102915004A (zh) * 2011-08-02 2013-02-06 Lg电子株式会社 家用电器、家用电器诊断系统和方法
US8854204B2 (en) 2009-04-10 2014-10-07 Lg Electronics Inc. Home appliance
US8984338B2 (en) 2009-07-06 2015-03-17 Lg Electronics Inc. Home appliance diagnosis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US8983798B2 (en) 2009-07-24 2015-03-17 Lg Electronics Inc.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for home appliance
US9013320B2 (en) 2012-07-09 2015-04-21 Lg Electronics Inc. Home appliance and its system
US9054953B2 (en) 2008-06-16 2015-06-09 Lg Electronics Inc. Home appliance and home appliance system
US9495859B2 (en) 2012-07-03 2016-11-15 Lg Electronics Inc. Home appliance and method of outputting signal sound for diagnosis
US9644886B2 (en) 2010-01-15 2017-05-09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diagnostic system for the same
US9979560B2 (en) 2011-08-18 2018-05-22 Lg Electronics Inc. Diagnostic apparatus and method for home appliance
KR101981701B1 (ko) * 2018-06-20 2019-05-23 주식회사 에스피지코리아 가상현실을 이용한 교육실습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15587B2 (en) * 2005-09-26 2015-04-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Home network device and method of receiving and transmitting sound information using the same
DE102008024102A1 (de) * 2008-05-17 2009-12-03 Diehl Ako Stiftung & Co. Kg Motorsteuerung zum Ansteuern eines Elektromotors
KR101538383B1 (ko) * 2010-01-22 2015-07-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CN101848151B (zh) * 2010-04-27 2012-05-30 南京乐金熊猫电器有限公司 家电装置诊断系统及其诊断方法
EP2461299B1 (en) 2010-12-06 2021-02-24 E.I. Technology Unlimited Company Alarm device testing using time-encoded acoustic messages
KR101275582B1 (ko) * 2010-12-31 2013-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동작방법
KR101772543B1 (ko) * 2011-02-14 2017-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가전기기 진단방법
US9953278B2 (en) * 2011-05-02 2018-04-24 Sears Brands, L.L.C. System and methods for interacting with networked home appliances
JP6305928B2 (ja) * 2011-11-17 2018-04-04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機器に関連された例えば光等の出力を機器音に基づいて生成するシステム、装置及び方法
AT514901A1 (de) * 2013-07-25 2015-04-15 Fronius Int Gmbh Energiegerät
CN104456862A (zh) * 2013-09-23 2015-03-25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空调系统、空调器故障诊断系统和空调器故障诊断方法
KR101475863B1 (ko) * 2013-09-24 2014-12-23 (주)파워보이스 음파를 출력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그리고 음파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방법
CN104515258B (zh) * 2013-09-30 2018-03-16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空调器控制方法、系统及其装置
DE102014208861A1 (de) * 2014-05-12 2015-11-12 BSH Hausgeräte GmbH Wasserführendes Haushaltsgerät
CN106527313A (zh) * 2016-11-14 2017-03-22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具有展示空调、冰箱故障信息的智能服务方法
CN107169700B (zh) * 2017-05-02 2020-04-24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家电故障统计方法及装置
CN111865434A (zh) * 2020-07-20 2020-10-30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用于传输数据的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10322A (en) 1972-08-24 1975-10-07 Westinghouse Electric Corp Test set controlled by a remotely positioned digital computer
US4146754A (en) 1977-09-08 1979-03-27 Sam Rose Telephone signalling method and apparatus
GB2074346B (en) 1980-04-17 1984-09-26 Kenwood Mfg Co Ltd Control device
US4897659A (en) 1981-08-03 1990-01-3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ommunication receiver
JPS5894288A (ja) 1981-11-30 1983-06-04 Sony Corp 映像信号記録装置
US4953085A (en) 1987-04-15 1990-08-28 Proprietary Financial Products, Inc. System for the operation of a financial account
US4977394A (en) 1989-11-06 1990-12-11 Whirlpool Corporation Diagnostic system for an automatic appliance
US5103214A (en) 1990-09-07 1992-04-0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Auxiliary alarm
DE4113499A1 (de) 1991-04-25 1992-10-29 Electronic Werke Deutschland Verfahren zur durchfuehrung von reparaturen an geraeten der unterhaltungselektronik
US5210784A (en) 1991-06-28 1993-05-11 Lifeline Systems, Inc. Adaptive speakerphone system
US5268666A (en) 1991-12-23 1993-12-07 At&T Bell Laboratories Appliance control system providing out-of-context usage
US5452344A (en) * 1992-05-29 1995-09-19 Datran Systems Corporation Communication over power lines
CA2158940C (en) 1993-03-22 2001-02-13 James Johansen Apparatus to provide a remote display of the operating condition of a water treatment system
JPH06284216A (ja) 1993-03-25 1994-10-07 Sony Corp 電話回線を用いた電子機器の検査・調整システム
KR960003651B1 (ko) 1993-12-24 1996-03-21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고속 로컬버스용 통합 멀티미디어 보드회로
US5774529A (en) 1994-09-28 1998-06-30 Johannsen; James Apparatus to provide a remote display of the operating condition of a water treatment system
US6236724B1 (en) * 1994-10-04 2001-05-22 Enco-Tone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data transmitted over telephone lines
ES2137584T3 (es) 1995-05-11 1999-12-16 Miele & Cie Electrodomestico con dispositivo indicador.
JP3197785B2 (ja) 1995-05-15 2001-08-13 三洋電機株式会社 遠隔管理システム
EP0851054A3 (de) 1996-12-04 1999-03-03 Miele &amp; Cie. GmbH &amp; Co. Verfahren zur Übermittlung von Programm- und Gerätedaten eines programmgesteuerten Haushaltgeräts
EP0846991B1 (de) 1996-12-04 1999-06-02 Miele &amp; Cie. GmbH &amp; Co. Zentrale Steuer- und Überwachungseinrichtung für Haushaltsgeräte mit drahtloser Anzeigeeinheit
US5939992A (en) 1997-04-03 1999-08-17 Devries; Wilbur Safety apparatus for electric appliances
KR19990000871A (ko) 1997-06-11 1999-01-15 배순훈 세탁기의 서비스모드 처리방법
EP0887989A3 (en) * 1997-06-25 2001-02-28 FISHER &amp; PAYKEL LIMITED Appliance communication system
US6759954B1 (en) 1997-10-15 2004-07-06 Hubbell Incorporated Multi-dimensional vector-based occupancy sensor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US6121593A (en) 1998-08-19 2000-09-19 Duck Creek Energy, Inc. Home appliances provided with control systems which may be actuated from a remote location
IL127569A0 (en) 1998-09-16 1999-10-28 Comsense Technologies Ltd Interactive toys
US6629223B2 (en) 1998-10-06 2003-09-3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a memory core multiple times in a single clock cycle
WO2001011575A1 (en) * 1999-08-09 2001-02-15 Wow Company S.A. Portable certification device with acoustic coupling
IT1310142B1 (it) * 1999-08-20 2002-02-11 Merloni Elettrodomestici Spa Dispositivo, sistema e metodo per il monitoraggio di una utenzaelettrica domestica, in particolare un elettrodomestico.
US6763458B1 (en) 1999-09-27 2004-07-13 Captaris, Inc. System and method for installing and servicing an operating system in a computer or information appliance
IT1309109B1 (it) 1999-10-13 2002-01-16 Merloni Elettrodomestici Spa Sistema per il monitoraggio e controllo di un insieme di utenzeelettriche.
US6473708B1 (en) 1999-12-20 2002-10-29 Bechtel Bwxt Idaho, Llc Device and method for self-verifying temperature measurement and control
US7337457B2 (en) 2000-04-12 2008-02-26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nd obtaining product information through a broadcast signal
JP2002045590A (ja) 2000-08-01 2002-02-12 Sanyo Electric Co Ltd 洗濯機
EP1309747B1 (en) 2000-08-05 2010-05-12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with device for data exchange to/from external device
DE10038764A1 (de) 2000-08-09 2002-02-21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r Ferndiagnose und zentralen Fehlerauswertung von dezentralen elektrischen Geräten und dezentrales elektronisches Gerät hierzu
TW593950B (en) 2000-09-11 2004-06-21 Toshiba Corp Remote inspection system for refrigerator
EP1186695B1 (en) 2000-09-12 2012-05-30 Kabushiki Kaisha Toshiba Remote control system of laundry appliance
US6906617B1 (en) 2000-11-17 2005-06-1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Intelligent appliance home network
KR100393997B1 (ko) * 2000-11-23 2003-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고장 진단장치 및 방법
US20020120728A1 (en) 2000-12-22 2002-08-29 Jason Braatz Method and apparatus for network-enablement of devices using device intelligence and network architecture
KR100411057B1 (ko) 2000-12-27 2003-12-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파수 복조기법을 이용한 기어상태 진단방법
US6710715B2 (en) 2001-01-25 2004-03-23 Douglas Arthur Deeds Alarm system with integrated weather alert function
JP2002253892A (ja) 2001-02-28 2002-09-10 Hitachi Ltd 洗濯機、表示操作パネル及びこの表示操作パネルを備えた家庭電化機器
JP2002279091A (ja) 2001-03-16 2002-09-27 Hitachi Ltd 家電機器保守サービスシステム
KR100434270B1 (ko) 2001-05-30 2004-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네트워크 제어시스템
CN1393672A (zh) 2001-06-24 2003-01-29 海尔集团公司 声控开门冰箱
US6515909B1 (en) 2001-10-05 2003-02-04 Micron Technology Inc. Flash memory device with a variable erase pulse
JP2003204596A (ja) 2002-01-04 2003-07-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拡声放送システムおよび拡声放送装置
US6697466B2 (en) 2002-03-05 2004-02-24 Emware, Inc. Audio status communication from an embedded device
KR100424317B1 (ko) 2002-03-06 2004-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6775642B2 (en) 2002-04-17 2004-08-10 Motorola, Inc. Fault detection system having audio analysi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0887575B1 (ko) 2002-04-22 2009-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중도어를 구비한 냉장고
US6741554B2 (en) 2002-08-16 2004-05-25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liably communicating information packet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100483977B1 (ko) 2002-10-10 2005-04-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속 패킷 데이터 방식 단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4407126B2 (ja) 2003-01-09 2010-02-03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BRPI0406949A (pt) 2003-01-24 2006-01-03 Tecumseh Products Co Sistema de controle de motor cc sem escova e sem sensor com detecção de rotor travado e parado
JP4084694B2 (ja) 2003-04-22 2008-04-30 シャープ株式会社 洗濯機
US20060048405A1 (en) 2003-05-23 2006-03-09 Baek Seung M Drum type washing machine and dryer and method for automatic drying by using the same
CA2528045A1 (en) 2003-06-05 2004-12-16 Enfo Broadcast As A method and a system for automatic management of demand for non-durables
US8064554B2 (en) * 2003-06-19 2011-11-22 Sony Corporation Radio communication system performing multi-carrier transmission, reception device, reception method, transmission device, transmission method, delay time calculation device, and delay time calculation method
US7243174B2 (en) 2003-06-24 2007-07-10 Emerson Electric Co.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with an appliance through an optical interface using a control panel indicator
US7428829B2 (en) 2003-06-30 2008-09-30 General Electric Company Clothes washer filling control systems and methods
KR100548274B1 (ko) 2003-07-23 2006-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포량 검출방법
DE10345359B4 (de) 2003-09-29 2006-11-02 Berghof Labor- Und Automationstechnik Gmbh Serieller Datenbus, Bewegungssystem sowie Verfahren zur ereignisgesteuerten Übertragung von Nachrichten
KR20050034412A (ko) 2003-10-09 2005-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
US7424809B2 (en) 2003-10-23 2008-09-16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with melody generating assembly
US7187718B2 (en) * 2003-10-27 2007-03-06 Disney Enterprises, Inc. System and method for encoding and decoding digital data using acoustical tones
KR100519917B1 (ko) 2003-11-28 2005-10-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통신 시스템을 위한 심볼 타이밍 검출 장치
GB0328708D0 (en) 2003-12-11 2004-01-14 Ncr Int Inc An acoustic coupling product label
US7319407B2 (en) 2003-12-19 2008-01-15 Lg Electronics Inc. Display unit for refrigerator
DE10360554A1 (de) 2003-12-22 2005-07-14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Geschirrspülmaschine mit einem System zur Füllstandserkennung
KR100564761B1 (ko) 2003-12-22 2006-03-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하이브리드 내재 토큰 csma/ca 프로토콜.
KR100600734B1 (ko) 2004-02-25 2006-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7439439B2 (en) 2004-03-09 2008-10-21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Appliance audio notification device
JP2005309077A (ja) 2004-04-21 2005-11-04 Fuji Xerox Co Ltd 故障診断方法および故障診断装置、並びに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US7891218B2 (en) 2004-06-01 2011-02-22 Lg Electronics Inc. Drain system of drum-type washing machine
US8428910B2 (en) 2004-06-14 2013-04-23 Wanda G. Papadimitriou Autonomous fitness for service assessment
DE102004043838B3 (de) 2004-09-08 2005-05-25 Miele & Cie. K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Waschmaschine
US7179696B2 (en) * 2004-09-17 2007-02-2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hosphorus activated NMOS using SiC process
JP4828812B2 (ja) 2004-09-27 2011-11-30 株式会社東芝 テレビジョン放送受信装置
US7050929B2 (en) 2004-10-21 2006-05-23 Shop Vac System and method of ensuring legitimacy of a sensor signal received from a rotor position sensor in a motor
EP1836576B1 (en) 2004-12-17 2012-02-01 Korea Research Institute of Standards and Science A precision diagnostic method for the failure protection and predictive maintenance of a vacuum pump and a precision diagnostic system therefor
US7305316B2 (en) 2004-12-23 2007-12-04 Minebea Co., Ltd. Microcontroller methods of improving reliability in DC brushless motors and cooling fans
KR101034198B1 (ko) 2005-02-02 2011-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거품감지방법
KR100641974B1 (ko) 2005-02-21 2006-11-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식별 기술을 이용한 냉장고 음식물 관리 방법
DE102005013418A1 (de) 2005-03-23 2006-09-28 B. Braun Medizintechnologie Gmbh Blutbehandlungsgerät mit Alarmvorrichtung
US7843819B1 (en) 2005-03-29 2010-11-30 Avaya Inc. Protocol for wireless multi-channel access control
US7498936B2 (en) 2005-04-01 2009-03-03 Strauss Acquisitions, L.L.C. Wireless event status communication system, device and method
US7417834B2 (en) 2005-04-22 2008-08-26 Balboa Instruments, Inc. Shutoff system for pool or spa
US20060253562A1 (en) 2005-05-06 2006-11-09 Tp Lab Apparatus to operate and manage a consumer network device
US8027752B2 (en) 2005-06-09 2011-09-27 Whirlpool Corporation Network for changing resource consumption in an appliance
EP2228969B1 (en) 2005-06-09 2017-04-19 Whirlpool Corporation Software architecture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with, and management of, at least one component within a household appliance
EP1744248A1 (en) * 2005-07-11 2007-01-17 WRAP S.p.A. Device for monitoring an electric appliance
KR20070013090A (ko) * 2005-07-25 2007-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전기기 및 그 고장대처방법
AU2005335889B2 (en) * 2005-08-22 2010-04-29 Ultra Proizvodnja Elektronskih Naprav D.O.O. Modem with acoustic coupling
EP1783264A3 (en) 2005-11-04 2008-10-15 Fisher &amp; Paykel Appliances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washing machines
US8983283B2 (en) 2006-01-27 2015-03-17 Emerson Electric Co.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n electric water heater using adjustable temperature setpoints
JP2008002897A (ja) 2006-06-21 2008-01-10 Olympus Corp 分注装置および自動分析装置
US8204189B2 (en) 2006-08-11 2012-06-19 Fisher & Paykel Appliances Limited Data download system and method
US8391255B2 (en) 2006-08-17 2013-03-05 Cisco Technology, Inc. Content throughput on wireless mesh networks
CN100525231C (zh) * 2006-09-06 2009-08-05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节能信息家电网络及节能控制方法
US20100208894A1 (en) 2006-09-29 2010-08-19 Linx Technologies, Inc. Encoder and decoder apparatus and methods
CN101202639A (zh) 2006-12-14 2008-06-1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传输基于电子地图的信息的系统及方法
JP2008268187A (ja) 2007-03-26 2008-11-06 Nippon Steel Corp 極低速回転機械の異常診断方法及び装置
US8045636B1 (en) 2007-03-27 2011-10-25 Marvell International Ltd. Maximum-likelihood frame synchronization algorithms for OFDM systems
US7843919B2 (en) * 2008-03-20 2010-11-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thernet virtualization using a network packet alteration
KR101627219B1 (ko) 2008-04-29 2016-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를 포함하는 가전기기시스템
US20090282308A1 (en) 2008-05-09 2009-11-12 Jan Gutsche Memory Cell Arrangement and Method for Reading State Information From a Memory Cell Bypassing an Error Detection Circuit
KR101028087B1 (ko) 2008-05-23 2011-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KR20110010374A (ko) 2009-07-24 2011-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03000B1 (ko) 2009-07-24 2014-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및 그 신호출력방법
KR101472402B1 (ko) 2009-07-31 2014-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진단방법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54953B2 (en) 2008-06-16 2015-06-09 Lg Electronics Inc. Home appliance and home appliance system
US8854204B2 (en) 2009-04-10 2014-10-07 Lg Electronics Inc. Home appliance
US8984338B2 (en) 2009-07-06 2015-03-17 Lg Electronics Inc. Home appliance diagnosis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US8983798B2 (en) 2009-07-24 2015-03-17 Lg Electronics Inc.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for home appliance
US9644886B2 (en) 2010-01-15 2017-05-09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diagnostic system for the same
KR101442107B1 (ko) * 2010-07-06 2014-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진단장치
WO2012005512A3 (ko) * 2010-07-06 2012-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진단장치
KR101423266B1 (ko) * 2010-07-06 2014-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진단방법
US10325269B2 (en) 2010-07-06 2019-06-18 Lg Electronics Inc. Home appliance diagnosis system and diagnosis method for same
CN102915004B (zh) * 2011-08-02 2015-11-04 Lg电子株式会社 家用电器、家用电器诊断系统和方法
US9197437B2 (en) 2011-08-02 2015-11-24 Lg Electronics Inc. Home appliance, home appliance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CN102915004A (zh) * 2011-08-02 2013-02-06 Lg电子株式会社 家用电器、家用电器诊断系统和方法
US9979560B2 (en) 2011-08-18 2018-05-22 Lg Electronics Inc. Diagnostic apparatus and method for home appliance
US9495859B2 (en) 2012-07-03 2016-11-15 Lg Electronics Inc. Home appliance and method of outputting signal sound for diagnosis
US9013320B2 (en) 2012-07-09 2015-04-21 Lg Electronics Inc. Home appliance and its system
KR101981701B1 (ko) * 2018-06-20 2019-05-23 주식회사 에스피지코리아 가상현실을 이용한 교육실습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9243293A1 (en) 2009-11-05
CN102017520A (zh) 2011-04-13
CA2722915A1 (en) 2009-11-05
AU2009243293B2 (en) 2013-08-29
CA2722915C (en) 2016-11-22
EP2277281A2 (en) 2011-01-26
RU2484522C2 (ru) 2013-06-10
TWI409626B (zh) 2013-09-21
RU2010144513A (ru) 2012-06-10
CN102017520B (zh) 2014-07-30
EP2277281B1 (en) 2017-06-21
KR101404104B1 (ko) 2014-06-10
US8705715B2 (en) 2014-04-22
WO2009134090A2 (en) 2009-11-05
WO2009134090A3 (en) 2010-03-11
US20100027770A1 (en) 2010-02-04
EP2277281A4 (en) 2012-06-06
TW201009572A (en) 2010-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4104B1 (ko)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1403000B1 (ko) 가전기기 및 그 신호출력방법
US8983798B2 (en)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for home appliance
US8346508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ng home appliance
CN102915004B (zh) 家用电器、家用电器诊断系统和方法
US8615380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ng home appliance
KR101708686B1 (ko)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CN102388572B (zh) 家用电器和家用电器系统
KR20110010375A (ko) 가전기기 진단 시스템 및 그 진단방법
BR102013014829A2 (pt) Utensílio doméstico, sistema e método de operação para o mesmo
KR101416938B1 (ko) 가전기기, 진단장치 및 그 진단방법
US8532273B2 (en) Home appliance and home appliance system
KR20110005160A (ko)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US8565079B2 (en) Home appliance and home appliance system
KR20090114309A (ko)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를 포함하는 가전기기시스템
KR20110010373A (ko)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127946A (ko) 가전기기 및 그 시스템
RU2574359C2 (ru) Быт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и его система
KR20110013067A (ko)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KR20130082338A (ko) 가전기기, 진단장치 및 그 진단방법
KR20100112947A (ko) 가전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