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3067A -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3067A
KR20110013067A KR1020090071063A KR20090071063A KR20110013067A KR 20110013067 A KR20110013067 A KR 20110013067A KR 1020090071063 A KR1020090071063 A KR 1020090071063A KR 20090071063 A KR20090071063 A KR 20090071063A KR 20110013067 A KR20110013067 A KR 201100130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appliance
unit
sound
sound outpu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1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종희
조인행
이팔진
정회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1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3067A/ko
Publication of KR20110013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30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95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the faulty arrangement being the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9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logs of notifications; Post-processing of notific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 진단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전원 공급부와,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는 결합부와, 상기 전원 공급부와 상기 결합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와,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음향출력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음향출력 모듈이 결합되는 결합부는, 컨트롤 패널에 노출되게 배치되거나, 가전기기의 일측에 배치되어, 사용자 또는 서비스센터가 제품의 고장 정보를 정확히 취득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제품의 설계상의 고정화를 지양할 수 있는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 진단시스템을 제공한다.
Figure P1020090071063
음향출력부, 음향출력기, 결합부, 가전기기

Description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 진단시스템{Home appliance and Diagnostic system for home appliance}
본 발명은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 진단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음으로 출력된 가전기기의 제품정보를 바탕으로 가전기기의 상태를 점검하고 고장을 진단하여 애프터 서비스가 용이하도록 하는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 진단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가전기기는 각각 소정 동작을 수행하는 중, 동작 수행을 위한 설정값, 동작 중 발생되는 정보, 고장정보 등을 저장하는데, 특히 고장 발생시에는 소정의 알람을 출력함으로써, 가전기기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가전기기의 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가전기기는 단순히 동작완료 또는 고장발생을 알리기만 할 뿐 아니라, 구비되는 출력수단,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수단, 램프 등을 통해 구체적인 고장정보를 출력하기도 한다.
한편, 가전기기에 이상이 발생된 경우, 사용자는 서비스 센터 등에 연락하여 가전기기의 상태에 대한 조언을 구하거나, 고장난 가전기기에 대한 서비스 인원을 요청하는 등의 애프터 서비스(A/S)를 이용하게 된다.
이때, 가전기기에 고장 정보가 단순히 출력되거나, 사용자는 알 수 없는 코드값으로 출력되는 것이 일반적이라, 사용자는 가전기기의 고장에 대응하기 어려우며, 서비스 센터에 연결되더라도, 가전기기의 상태를 정확하게 전달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그로 인하여, 서비스 인원이 가정을 방문하는 경우, 사전에 가전기기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함으로 인하여 가전기기 수리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예를 들어, 가전기기 수리에 필요한 부품이 사전에 준비되지 않은 경우, 서비스인원이 가정을 재 방문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 아니라, 그만큼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전기기와 서비스센터의 서버가 소정의 통신수단을 통해 연결될 수도 있지만, 통신망을 구축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술의 발달로 전화망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고장정보 등을 원격으로 진단하는 기술로 발전하였다.
출원번호 EP0510519에는 가전기기의 고장정보를 가전기기에 연결된 모뎀을 통하여 전화망을 이용하여 서비스센터로 전달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으나, 이 경우 가전기기에는 상시 모뎀이 연결되어있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세탁물 처리기기와 같은 가전기기는 실외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인바, 세탁물 처리기기와 전화망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장소적인 제약이 있었다.
특허등록번호 US5987105에는 전화망을 이용하여 가전기기의 고장정보를 가청 주파수대의 음(Sound)으로 변환하고 이를 전화기를 통하여 서비스센터 등에 전송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가전기기의 고장정보가 가청주파수대의 음(Sound)으로 변환된 후, 이를 다시 전화기의 수화기로 전달하는 과정에서, 주변환경에 따라 신호 간섭이 생길 수도 있으며, 또한 음(Sound)이 전화망을 통하여 전송되는 과정에 있어서, 전화망의 특성에 따라 데이터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소정의 음(sound)으로 사용자에게 고장 정보를 출력하는 음향출력부가 배치될 수 있는데, 종래기술에 따른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 진단시스템의 경우 음향출력부가 컨트롤패널에 직접 고정되어 있어 다양한 종류의 가전기기에 공용화되지 못하여 상기 컨트롤패널의 설계상 고정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음향출력부는 일반적으로 컨트롤패널에 결합된 채로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도록 컨트롤패널의 배면부에 부착되어 있기 마련인데, 이로 인해 음향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음의 크기가 작아서 사용자가 고장신호를 일찍 취득하지 못하여 고장 수리가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가전기기로부터 제품정보가 포함된 음을 출력하고 제품정보가 포함된 음을 이용한 가전기기의 고장 진단이 용이한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 진단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출력된 음으로부터 추출된 제품정보를 이용하여 가전기기의 상태를 판단하고, 고장을 진단하여 가전기기의 상태에 대한 정확한 고장진단이 가능하고 그에 따른 가전기기의 애프터 서비스(A/S)가 신속하게 처리되도록 하는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 진단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음향출력부를 별도로 모듈화하여 컨트롤패널 또는 가전기기 외부에 별도로 형성된 결합부에 착탈되도록 구성된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 진단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 진단시스템은, 전원 공급부와,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는 결합부와, 상기 전원 공급부와 상기 결합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와,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음향출력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음향출력 모듈이 결합되는 결합부는, 컨트롤 패널에 노출되게 배치되거나, 가전기기의 일측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 진단시스템은, 음향출력부를 구성하는 음향출력 모듈이 사용자에게 음(sound)이 잘 들릴 수 있도록 컨트롤패널에 노출되게 배치되거나, 가전기기의 일측에 노출되게 배치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가전기기의 제품정보를 용이하게 알 수 있게 하여 제품의 고장/수리 지연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 진단시스템은, 가전기기에 공용화된 결합부와 이 결합부에 결합되는 음향출력 모듈을 공용화함으로써 각 가전기기마다 소요되는 설계상의 지연을 방지하고, 설계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 진단시스템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 진단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 진단시스템은 각 가정의 가전기기(101)에서 가전기기의 동작에 대한 정보가 음(Sound)으로 출력되면, 제품정보가 포함된 음이 전화기 또는 휴대전화 등의 단말로 입력되고, 입력된 음이 소리신호로써, 통신망을 통해 서비스센터(200)로 전송되어, 서비스센터의 진단서버에서 가전기기의 상태에 대하여 고장여부를 진단하도록 구성된다.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 진단시스템은 가전기기(101)와, 가전기기의 상태 및 고장 여부를 진단하는 서비스 센터(200)를 포함한다. 이때, 서비스 센터는 가전기기의 정보 및 진단프로그램이 구비된 진단서버를 포함한다.
가전기기(101)는 소정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118)를 구비하고, 이러한 표시부(118)는 LED, LCD, 유기 EL과 같은 형태의 발광체로서, 가전기기(101)의 상 태정보, 또는 고장정보를 시각화하여 표시한다. 또한, 가전기기(101)는 소리를 출력하는 수단으로써 음향출력부(160)를 구비하여, 가전기기(101)의 동작, 상태, 고장에 대한 정보를 재생하여 소정 음으로 출력한다.
가전기기(101)가 운전 중 고장을 일으키거나 동작에 이상이 발생되는 때, 가전기기(101)는 표시부(118)를 통해 에러코드를 출력하거나, 또는 음향출력부(160)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하여, 고장 발생을 사용자에게 통보한다(S1). 이때, 가전기기(101)는 운전정보, 고장정보, 사용정보를 포함하는 제품정보를 저장한다.
사용자는 가전기기(101)의 표시부(118)에 표시되는 가전기기(101)의 정보를 확인하여, 가전기기(101)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서비스센터(200)에 수리를 요청하게 된다. 사용자는 서비스센터(200)에 연락하여 고장 발생을 통보하고 그에 대한 조치를 문의한다(S2).
사용자가 서비스센터(200)에 연결하여, 서비스센터(200) 측의 요청에 따라(S3), 가전기기(101)에 구비되는 입력부(미도시) 중 선택부(미도시)를 조작하는 경우, 가전기기(101)는 제품정보를 변환하여 소정의 음(Sound)으로 음향출력부(160)를 통해 출력한다. 이렇게 출력된, 제품정보가 포함된 음은 통신망을 통해 서비스센터(200)로 전송된다(S4).
이때, 사용자는 가전기기(101)의 모델정보와 고장 증상을 서비스센터(200)로 통보하면서, 통화 중 전화기(80)를 가전기기(101)의 소리나는 곳, 즉 음향출력부(160)에 가까이 가져다 댐으로써, 자신의 휴대단말기 또는 전화기 등의 단말(80)을 이용하여 가전기기의 제품정보가 포함된 음(Sound)을 서비스센터(200)로 전송하 여 가전기기(101)에 대한 애프터서비스(A/S)를 요청할 수 있다.
서비스센터(200)에서는 연결된 통신망, 예를 들어 전화망을 통해 음이 수신되면, 가전기기(101)에서 출력되는 음(Sound)을 확인하여, 가전기기(101)의 제품상태를 판단하여 고장여부를 진단한다(S5).
서비스센터(200)는 진단결과에 대응하여, 가전기기(101)의 제품상태 및 고장진단에 적합한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서비스 인원(93)을 가정에 파견하게 된다(S6). 이때, 진단 결과는 서비스 기사(93)의 단말로 전송되어(S6) 서비스 기사가 가전기기(101)의 고장을 수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서비스센터(200)는 사용자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상담원을 통해 사용자에게 진단결과를 음성 전달하거나 소정 데이터로 전송할 수 있다(S7). 그에 따라, 진단시스템은 사용자가 서비스 센터(200)에 소정의 통신망을 통해, 예를 들어 전화망을 통해 서비스센터에 연결하면, 가전기기(101)의 상태를 음(Sound)을 통해 정확하게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전송하므로, 신속한 서비스가 가능하고 사용자 또한 가전기기의 상태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원발명의 가전기기(101)는 세탁물 처리기기인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TV, 에어컨, 냉장고, 전기밥솥, 전자레인지 등과 같은 가전기기(101) 전반에 적용될 수 있음을 명시한다. 이때, 통신망은 전화망 또는 휴대 이동통신 망인 것을 예로 하며, 단말기(80)는 전화기, 이동단말이 사용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가전기기(101)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제품정보를 소정의 음(Sound)으로 출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의 음향출력부의 일 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의 음향출력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가전기기의 일 실시예로서 세탁물 처리기기를 중심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가전기기로써, 세탁물 처리기기(101)는 캐비닛(111)과, 캐비닛(111) 내부에 배치되며 세탁물의 세정이 이루어지는 터브(122)와, 터브(122)를 구동시키는 모터(미도시)와, 터브(122)의 세탁수를 공급하는 세탁수 공급장치(미도시)와, 세정이 끝난 후에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장치(미도시)를 포함한다.
캐비닛(111)은, 캐비닛 본체(112)와, 캐비닛 본체(112)의 전면에 배치되어 결합하는 캐비닛 커버(113)와, 캐비닛 커버(114) 상측에 배치되며 세탁물 처리기기(101)의 운전을 제어하는 컨트롤패널(116)과, 컨트롤패널(116) 상측에 배치되며 캐비닛 본체(112)와 결합하는 탑 플레이트(115)를 포함한다. 캐비닛 커버(113)는 세탁물이 출입하는 홀(미도시)과, 홀을 개폐 가능하도록 회동하는 도어(114)를 포함한다
컨트롤패널(116)은, 세탁물 처리기기(101)의 운전을 조작하는 복수의 조작키(117, 도 5 및 도 6의 도면부호 118b 참조)를 포함하는 입력부가 컨트롤패 널(116)에 배치되고, 세탁물 처리기기(101)의 운전 상태를 신호음으로 출력하는 음향출력부(160, 도 3 및 도 4의 도면부호 300 참조)와, 운전 상태를 문자, 숫자, 특수기호, 이미지 등으로 표시하는 표시부(118)를 포함한다. 입력부는 조작키가 키, 버튼, 스위치, 로터리스위치, 터치입력수단 과 같은 형태로 누름, 접촉, 압력, 회전 등에 의해 일정 신호를 인가하는 입력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세탁물 처리기기(101)는 사용자가 컨트롤패널(116)에 구비되는 선택부를 누름 조작함에 따라, 스마트 진단모드 진입 명령 및 신호 출력명령이 입력되고, 제품정보를 소정 포맷의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모듈레이터(미도시)로 인가하여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동작됨에 따라 음향출력부(160)를 통해 소정의 음(Sound)이 출력된다.
종래에는, 음향출력부(160)가 컨트롤 패널(116)의 배면에 구비되어 내부에서 소정의 음을 출력하였다. 그리고, 종래의 음향출력부(160)는 조작부(117) 또는 선택부(130) 또는 소리출력홀(119)에서 소정 거리 떨어져 배치됨에 따라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 또는 이물질로부터 보호되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음향출력부(160)가 상술한 바와 같이 컨트롤패널(116)의 배면부에 구비되는 바, 음이 전방 외부로 잘 방출되도록 컨트롤패널(116)에 별도의 소리유로 또는 소리안내부를 형성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컨트롤패널(116)은 가전기기마다 그 형상 및 크기, 설치위치가 상이한 바, 상기와 같은 소리유로 또는 소리안내부의 형성은 컨트롤패널(116)이 설치되는 부분에 대한 설계 변경이 뒤따라야 하는 설계상의 문제점도 지적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 진단시스 템은, 음향출력부(160)를 컨트롤패널(116)과는 무관하게 별도로 모듈화하여 가전기기(예컨대, 세탁물 처리기기)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구성 중 음향출력부(160)(300)는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컨트롤패널(116)의 배면부에 설치된 전원 공급부(116a)와, 전원 공급부(116a)로부터 전류를 전달하는 와이어(116b)와, 와이어(116b)에 연결되고 전원 공급부(116a)로 전달된 전원을 인가하는 결합부(302)와, 결합부(302)에 착탈되는 음향출력기(301)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원 공급부(116a)와 와이어(116b)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내부에 배치되되, 외부로부터 은폐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결합부(302)는 음향출력기(301)가 착탈되는 부위로써, 세탁물 처리기기의 전방부에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결합부(302)는 일종의 전기적인 커넥터 역할을 수행한다.
음향출력기(301)는 종래 음향출력부(160)를 모듈화하여 별도로 제작한 부품으로써, 세탁물 처리기기의 고장 정보를 음으로 방출하는 역할을 한다.
다양한 종류의 가전기기에 규격, 크기 등 제원이 동일한 결합부(302)를 구비하고, 결합부(302)에 결합될 수 있는 음향출력기(301) 또한 공용화한다면, 음향출력기(301) 자체가 고장난 경우에도 그 교체가 용이함은 물론, 음향출력기(301)가 세탁물 처리기기의 외부(특히, 전방부)에 설치되는 바, 사용자가 제품의 고장 정보를 쉽게 취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음향출력기(301)가 가전기기(세탁물 처리기기)의 외부에 설치된 바, 제품의 고장 정보 취득시 사용자가 서비스 센터(200)에 소정의 통신망을 통해, 예를 들어 전화망을 통해 서비스센터에 연결하면, 가전기기(101)의 상태를 음(Sound)을 통해 정확하게 방출하여 서비스센터에 전송하므로, 신속한 서비스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여기서, 음향출력기(30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이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출력기(301)에서 방출되는 음 중 하나는 가전기기의 제품정보가 포함되어, 소정 주파수의 조합으로 구성된 음을 출력하고, 다른 하나는 가전기기의 효과음 또는 경고음, 상기와 같은 제품정보가 포함된 음을 출력하는 데에 따른 시작 또는 종료를 알리는 알림음을 출력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 진단시스템에서, 음향출력부(160)의 구성이 상기한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음향출력부(160)(300)는, 컨트롤패널(116) 상에 직접 외부로 노출되도록 공용화된 결합부(302)가 설치되고, 이 결합부(302)에 대응되도록 공용화된 음향출력기(301)기가 착탈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결합부(302)는 컨트롤패널(116)과 일체로 형성되어도 무방하고, 별도로 제작되어 컨트롤패널(116)에 고정되어도 무방하다.
여기서, 도 4에 참조된 음향출력부(160)(300)의 다른 실시예는, 컨트롤패널(116)에 설치된 결합부(302)를 공용화함과 아울러, 이 결합부(302)에 착탈되는 음향출력기(301)를 공용화함으로써 도 5로 참조된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음향출력부(160)를 통해 출력된 음은, 소정의 통신망에 연결된 단말(80)을 통해 서비스센터(200)로 전달된다. 이때, 통신망은 전화망 또는 휴대 이동통신 망인 것을 예로 하며, 단말(80)은 전화기, 이동단말이 사용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서비스센터(200)는 진단서버를 포함하여, 세탁물 처리기기로부터 출력된 음이 소리신호로 수신됨에 따라 이를 분석하여 가전기기(1)의 운전정보와 고장정보를 획득한다. 그에 따라 서비스 센터는 가전기기(1)의 오동작에 따른 대처방안을 사용자에게 전달하거나, 서비스 인원을 파견하게 된다.
도 5 은 도 1의 가전기기 진단시스템에서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가전기기(101)는 내부에 세탁물에 대한 세탁, 헹굼, 탈수 등을 행정을 수행하고, 동작 중 발생되는 데이터를 처리하여 선택부 입력에 따른 스마트 진단모드 설정 시, 가전기기의 데이터가 포함된 제품정보를 일정 포맷의 제어신호로 생성하여 소정 음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구성을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가전기기(101)는 입력부(125), 감지부(170), 메모리(145), 저장부(146), 구동부(180), 모듈레이터(150), 음향출력부(160), 그리고 가전기기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입력부(125)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소정의 신호 또는 데이터를 가전기기(101)로 입력하는 입력수단이 적어도 하나 구비되며, 조작부(117)와 선택부(130) 를 포함한다.
선택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수단을 포함하여, 스마트 진단모드 진입이 선택 입력되면, 제품정보가 음향출력부(160)를 통해 소정의 음(Sound)으로 출력되도록 신호 출력명령을 제어부(140)로 인가한다.
이때, 선택부(130)는 조작부(117)와는 별도의 입력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 둘 이상의 조작부(117)가 동시 조작됨에 따라 선택부로써 동작하거나 인식될 수 있고, 또한 특정 조작부(117)가 연속적으로 조작되거나, 소정시간 이상 조작되는 경우 선택부로써 동작하거나 인식될 수 있다.
또한, 선택부(130)는 스마트진단모드로 진입하게 됨에 따라, 음향출력부(160)가 온, 오프(on/off)되도록 한다. 즉, 선택부(130)에 의해 신호 출력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40)의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제품정보가 포함된 제어신호가 소정의 음(Sound)으로 출력되는데, 이때, 음향출력부(160)가 동작되어, 음(Sound)을 출력하게 된다.
조작부(117)는 가전기기(101)의 동작에 따라, 운전코스, 운전설정과 같은 데이터를 입력받아 제어부(140)로 인가한다. 또한, 조작부(117)는 음(Sound) 출력에 따른 설정을 입력받는다. 즉, 조작부(117)는 음(Sound)을 출력하는 방법, 출력되는 음(Sound)의 크기 등을 설정하는 설정값을 입력한다.
이때, 선택부(130) 및 조작부(117)를 포함하는 입력부(125)는 버튼,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핑거 마우스, 로터리 스위치, 조그 다이얼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누름, 회전, 압력, 접촉 등의 조작에 의해 소정의 입력데이터를 발생하는 장치라면 어느 것이나 적용 가능하다.
감지부(170)는 온도, 압력, 전압, 전류, 수위, 회전수 등을 감지하는 감지수단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감지 또는 측정되는 데이터를 제어부(140)로 인가한다. 예를 들어, 감지부(170)는 세탁물 처리기기에서 급수 또는 배수 시 에서 물의 수위를 측정하고, 급수된 물의 온도, 세탁조 또는 드럼의 회전속도 등을 측정한다.
구동부(180)는 제어부(14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가전기기(101)가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그 구동을 제어한다. 그에 따라 세탁물 처리기기는 세탁행정, 헹굼행정, 탈수행정과 같은 일련의 행정을 수행하여 세탁물의 오염을 제거하게 된다. 예를 들어, 세탁물 처리기기의 경우, 구동부(180)는 세탁조 또는 드럼이 회전하여 세탁물의 오물이 제거되도록, 세탁조 또는 드럼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구동하고 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40)의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급수 또는 배수가 수행되도록 밸브를 제어하게 된다.
메모리(145)는 가전기기(10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 가전기기의 동작 제어 중 사용되는 기준데이터가 저장된다.
이때, 메모리(145)는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데이터가 저장되는 ROM, EEPROM, 과 같은 데이터 저장수단을 모두 포함한다. 저장부(146)는 제어부(140)의 버퍼로써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저장수단이고, DRAM, SRAM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제어부(140) 또는 메모리(145)에 포함된다.
메모리(145)는 가전기기(101)가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는 중, 동작 중 발생되는 동작상태 데이터, 가전기기(101)가 소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조작부(117)에 의해 입력된 설정데이터 등과 같은 운전정보와, 가전기기(101)가 특정 동작을 수행한 횟수, 가전기기의 모델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정보와, 가전기기(101) 오동작 시 오동작의 원인 또는 오동작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고장정보가 저장된다.
즉, 메모리(145)는 운전정보, 사용정보, 고장정보를 포함하는 제품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부(146) 또한 동작 중 발생되는 운전정보, 고장정보에 대한 임시데이터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제품정보는 세탁기 사용횟수, 설정 코스, 옵션설정정보, 에러코드, 센서측정값, 제어부의 산출데이터, 각 부의 동작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세탁물 처리기기의 경우, 운전정보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세탁행정에 관한 정보, 탈수행정에 관한 정보, 헹굼행정에 관한 정보 등과 같이 세탁물 처리기기의 운전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고장정보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운전이 수행될 때, 각 운전 중에 발생하는 고장정보, 세탁물 처리기기의 기기상의 고장정보, 고장정보에 대응되는 에러코드(Error code), 제어부(140)의 정보, 감지부(170)에서 감지된 값, 모터의 감지값, 세탁수공급장치의 고장정보, 배수장치의 고장정보 등 다양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정보는 사용자가 세탁물 처리기기를 사용한 횟수, 사용자가 설정한 코스, 세탁물 처리기기에 설정된 옵션설정정보 등 다양하게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정보는 사용자로부터 세탁물 처리기기로 입력된 내용이나 세탁물 처리기기에 초기 설정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선택부(130)로부터 스마트 진단모드 진입에 따른 신호가 입력 되면, 메모리(145) 또는 저장부(146)에 저장된 제품정보를 호출하여 일정 포맷으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모듈레이터(150)로 인가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선택부(130)가 조작됨에 따라, 음향출력부(160)가 동작 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40)는 가전기기로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고, 감지부(170)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인가하거나, 구동부(180)로 감지된 데이터를 전달하여 가전기기가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메인제어부(141)와, 선택부(130)의 입력에 따라 음을 출력하기 위해 제품정보를 일정 포맷의 제어신호로 변환하는 인코딩부(142)를 포함한다.
메인제어부(141)는 선택부(130)가 입력되어 스마트 진단모드로 진입되면 음향출력부(160)를 통해 스마트 진단모드가 시작됨을 알리는 시작음이 출력되도록 하고, 표시부(118)를 통해 스마트 진단모드가 수행됨을 알리는 소정의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한다.
또한, 메인제어부(141)는 인코딩부(142)에서 생성된 제어신호가 모듈레이터(150)로 인가되어, 음향출력부(160)를 출력되는 때 음의 출력 전과 음 출력 완료 후 소정의 알림음이 출력되도록 음향출력부(160)를 제어한다. 단, 음의 출력 전 알림음은 경우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이때, 메인제어부(141)는 음향출력부(160)가 둘 이상 구비되는 경우, 알림음과 제품정보를 포함하는 음이 각각 상이한 음향출력부(160)로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메인제어부(141)는 스마트 진단모드 진입 시, 선택부(130) 및 전원키를 제외 한 조작부(117)가 동작되지 않도록 하며, 가전기기가 다른 동작을 모두 정지하도록 감지부(170) 및 구동부(180)를 제어한다.
또한, 메인제어부(141)는 전원 입력 후, 조작부(117) 중 가전기기의 운전설정에 따른 어느 하나의 조작키가 입력되는 경우, 선택부(130)가 입력되더라도 스마트 진단모드가 시작되지 않도록 한다. 특히, 선택부(130)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고 조작부(117)의 복수의 조작키 중 둘 이상의 조작키의 조합에 의해 선택부(130)가 입력된 것으로 인식하는 경우에는 전원키 입력 후 다른 입력이 없이 바로 지정된 키 조합에 의해 선택부(130)가 입력된 경우에 한하여 스마트 진단모드기 시작되도록 한다.
이는, 조작부(117)에 의한 가전기기의 운전설정이, 스마트 진단모드로 진입할 의사가 사용자에게 없는 것으로 보고 스마트 진단모드로 진입하지 않는 것이며, 또한 조작부(117)의 조작 실수로 인하여 불필요하게 스마트 진단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인코딩부(142)는 메모리(145)에 저장되는 제품정보를 호출하여 지정된 일정 방식에 따라 인코딩하고, 데이터신호에 프리앰블과 에러체크비트를 추가하여 일정 포맷의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인코딩부(142)는 제품정보를 인코딩함으로써 복수의 심볼로 구성되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인코딩부(142)는 제품정보가 음으로 출력되어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데이터손실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비트에러를 복구하기 위한 에러코딩 방식을 적용하여 제품정보를 인코딩한다. 인코딩부는 FEC 인코딩(Forward Error Correction) 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예로 한다. 이때, 인코딩부(142)는 컨볼루션 코드(Convolution Code)를 활용하여 제품정보를 인코딩(encoding)한다. 여기서, 서비스센터의 진단서버는 이러한 인코딩 방식에 대응하여 비터비 디코딩 알고리즘(Viterbi decoding algorithm)을 이용하여 디코딩(decoding)한다.
인코딩부(142)는 상기와 같은 인코딩 시, 1비트의 입력에 대응하여 2비트가 출력되는 1/2 코드레이트(code rate) 또는 2/3 코드레이트 방식을 기반으로 한다. 또한, 인코딩부(142)는 펑쳐링 알고리즘(Puncturing algorithm)을 이용하여 여분의 비트(redundant bit)의 수를 감소시킨다.
또한, 인코딩부(142)는 데이터 전송중 발생될 수 있는 버스트 에러(burst error)에 대응하여 비트 인터리빙(bit interleaving)을 수행한다. 전체 데이터를 기준비트 단위로 잘라서 비트 인터리빙을 수행하는데, 32 비트(bits) 단위로 비트 인터리빙을 수행한다. 즉 60바이트(bytes)의 데이터가 존재할 때 4바이트 단위로 일정 규칙에 따라 그 순서를 섞는 방식이다.
또한, 인코딩부(142)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데 있어서, 제어신호를 일정 크기로 분할하여 프레임화하여 복수의 프레임으로 패킷을 구성한다. 또한 인코딩부(142)는 제어신호에 프레임 간에 일정시간 IFS를 설정할 수 있으며, 또한, 신호변환 시, 커패시터의 충전과 방전 원리로 인하여 다음 신호 변환에 영향을 끼치는 잔향효과를 제거하기 위해 데이터의 값이 변경되는 구간에서 심볼에 데드타임을 설정할 수 있다.
제어신호를 구성하는 복수의 심볼에 대하여, 각 심볼의 길이를 심볼타임이라 하고, 심볼에 대응하여 음향출력부(160)를 통해 출력된 음에 대하여 음을 구성하는 주파수 신호의 기본 길이 또한 심볼타임으로 할때, 인코딩부(142)는 하나의 심볼에 대하여 심볼타임 내에서 데드타임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데드타임은 심볼타임의 길이에 따라 그 크기가 가변된다.
여기서, 제품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운전설정, 동작중 운전상태 등을 포함하는 운전정보, 사용정보 그리고 오동작에 대한 고장정보를 포함한다. 제품정보는 0 또는 1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데이터로서, 제어부(140)에 의해 판독 가능한 형태의 디지털 신호이다.
제어부(140)는 이러한 제품정보의 데이터를 분류하고, 특정 데이터가 포함되도록 하며, 일정 크기로 나누거나 합하여, 지정된 규격의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모듈레이터(150)로 인가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모듈레이터(150)에서 사용되는 주파수의 수에 따라, 출력되는 주파수 신호에 대응하는 심볼의 수를 변경할 수 있다.
모듈레이터(150)는 제어부(14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음향출력부(160)로 일정 구동신호를 인가하여 음향출력부(160)를 통해 음(Sound)이 출력되도록 한다. 이렇게 출력되는 음(Sound)은 제품정보를 포함한다.
모듈레이터(150)는 제어신호를 구성하는 심볼에 대하여, 하나의 심볼에 대응하여 지정된 주파수 신호가 심볼타임동안 출력되도록 음향출력부(160)로 신호를 인가한다. 이때, 모듈레이터(150)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음이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제어부(140)의 설정에 대응하여, 사용하는 주파수 의 수에 따라, 주파수 신호 당 심볼의 수를 변경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2가지 주파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1심볼당 하나의 주파수 신호가 출력되고, 4가지 주파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어신호 2심볼당 하나의 주파수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모듈레이터(150)는 사용가능한 주파수의 수에 대응하여, 주파수별 발진주파수를 생성하는 주파수발진부(미도시)를 구비하고,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지정된 주파수발진부의 주파수 신호가 음향출력부(16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모듈레이터(150)는 제어부(140)의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음(Sound)을 출력하기 위해 음향출력부(160)를 제어하는데 있어서, 주파수 편이 방식, 진폭편이방식, 위상편이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신호를 변환한다.
여기서, 주파수 편이방식은 제어신호의 데이터 값에 대응하여 소정 주파수의 신호로 변환하는 방식이고, 진폭편이 방식은 데이터 값에 대응하여 진폭의 크기가 상이하도록 변환하는 방식이다. 또한, 위상편이방식은 데이터값에 따라 위상이 상이하도록 신호를 변환하는 방식이다.
주파수 편이방식중 BFSK(Binary Frequency Shift Keying, 이하 BFSK)의 경우, 제어신호의 데이터의 값이 0인 경우 제1 주파수로 변환하고, 데이터의 값이 1인 경우 제2 주파수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값이 0인 경우 2.6KHz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로 변환하고, 데이터 값이 1인 경우 2.8KHz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진폭편이방식의 경우, 2.6KHz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로 변환하되, 제어신호의 데이터의 값이 0 인 경우, 진폭의 크기가 1인 2.6KHz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 로 변환하고, 데이터의 값이 1인 경우, 진폭크기가 2인 2.6KHz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모듈레이터(150)는 주파수 편이방식을 이용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 또한 일 예일 뿐 변경될 수 있다.
모듈레이터(150)는 제어신호에 데드타임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데드타임이 설정된 구간 동안에는 신호변환을 중지한다. 이때, 모듈레이터(150)는 펄스폭모듈레이션(PWM) 방식을 이용하여 신호를 변환하는 때, 데드타임이 설정된 구간에서는 모듈레이션을 위한 발진주파수를 오프(off)하여 데드타임동안의 주파수 신호변환이 일시 정지되도록 한다. 그에 따라 음향출력부(160)를 통해 출력된 음은 심볼과 심볼 간의 잔향효과가 제어된다.
음향출력부(160)는 제어부(140)의 제어명령에 의해 동작이 온, 오프 되며, 모듈레이터(150)의 제어에 의해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일정 주파수의 신호를 지정된 시간 동안 출력함으로써, 제품정보가 포함된 소정의 음(Sound)을 출력한다.
이때, 음향출력부(160)는 적어도 하나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출력부가 두개 구비되는 경우, 어느 하나를 통해 제품정보가 포함된 소정의 음이 출력되고, 다른 하나를 통해 가전기기의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경고음 또는 효과음이 출력될 수 있으며 또한 스마트 진단모드 진입 또는 음 출력 전의 알림음이 출력될 수 있다.
음향출력부(160)는 모듈레이터(150)에서 출력에 대응하여 제어신호를 소정의 음(Sound)으로 출력한 후, 출력이 종료되면, 동작 정지되고, 선택부(130)가 다시 조작되는 경우,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다시 동작됨에 따라 제품정보가 포함된 소정의 음(Sound)을 출력한다. 이때, 음향출력부(160)는 스피커, 버저 등과 같이 소리를 출력하는 수단이 사용될 수 있으나,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기 위해 재생 대역이 넓은 스피커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음향출력부(160)는 스마트 진단 모드 진입 시, 메인제어부(141)의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스마트 진단모드가 시작됨을 알리는 시작음을 출력하고, 제품정보가 포함된 음의 출력이 시작되는 때와 종료되는 때에 각각 소정의 알림음을 출력한다.
표시부(118)는 메인제어부(141)의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선택부(130) 및 조작부(117)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 가전기기(101)의 동작상태 정보, 가전기기 동작완료 등에 따른 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가전기기 오동작시 오동작에 관한 고장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18)는 메인제어부(141)의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스마트 진단모드가 시작되면, 스마트 진단모드임을 표시하고, 음향출력부(160)를 통해 음이 출력되는 때에, 그 진행상황을 문자, 이미지, 숫자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표시한다.
이때, 가전기기는 음향출력부(160), 표시부(118) 이외에도 점등 또는 점멸되는 램프, 진동소자 등의 출력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그에 대한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가전기기(101)는 소정의 음(Sound)을 출력하여, 다음 설명하는 바와 같이, 서비스센터(200)로 가전기기(101)의 제품정보를 전달하게 된다.
도 6은 도 1의 가전기기 및 진단시스템에서 서비스센터의 진단서버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가전기기(101)에서 소정의 음(Sound)이 출력되면, 출력된 음은 사용자의 단말(80)로 입력되고, 통신망을 통해 서비스센터(200)로 전송된다. 서비스센터(200)는 음에 대한 소리신호를 수신하여 진단서버로 인가하여 가전기기에 대한 고장진단을 수행한다.
서비스센터(200)의 진단서버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220), 신호처리부(230), 데이터부(240), 서버서버입력부(280), 서버표시부(270), 진단부(260) 그리고 진단서버의 동작전반을 제어하는 서버제어부(210)를 포함한다.
서버입력부(280) 및 서버출력부(270)는 서비스 센터의 관리자, 사용자, 서비스 인원이 진단결과 진단진행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소정의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데이터를 입력받거나 출력한다.
서버입력부(280)는 서비스센터(200)의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버튼, 키, 터치패드, 스위치와 같은 입력수단을 포함한다. 서버입력부(280)는 외부입력장치, 휴대용 메모리 수단에 대한 접속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서버입력부(280)는 구비되는 입력수단이 조작되는 경우, 서버제어부(210)로 신호를 인가하여, 전화망을 통해 연결된 사용자의 전화기 또는 휴대단말로부터, 가전기기(101)의 음(Sound)에 대한 소리신호가 진단서버로 수신되도록 한다.
서버출력부(270)는 진단서버의 동작정보 및 진단결과가 출력되는 표시수단이 포함된다.
통신부(220)는 서비스 센터(200)의 전산망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인터넷과 같은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통신한다. 특히, 통신부(220)는 서버제어부(210)의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서버입력부(280)를 통해 녹음명령 또는 수신명령 입력 시 전화망을 통해, 가전기기로부터 출력된 음을 소리신호로써 수신하고, 진단완료 시 진단 결과를 외부로 전송한다.
통신부(220)는 진단결과를 서비스 인원의 단말로 전송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단말로 진단결과를 전송한다.
데이터부(240)에는 진단서버의 동작제어를 위한 제어데이터와, 세탁물 처리기기 등의 가전기기로부터 수신된 소리신호가 신호음 데이터로 저장되고, 소리신호 또는 음의 변환, 제품정보 추출을 위한 기준데이터, 고장 여부 및 고장원인을 진단하기 위한 고장진단데이터가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부(240)에는 수신된 데이터의 변화 또는 제품정보 검출 과정에서 생성되는 임시데이터를 저장하고, 진단결과데이터 및 진단결과를 사용자에게 전송하기 위한 진단결과리포트가 저장된다.
데이터부(240)는 서버제어부(210)에 의해, 데이터의 입출력이 제어되고 관리되며 갱신된다.
신호처리부(230)는 수신된 소리 신호를 판독 가능하도록 변환하여 추출된 제품정보를 진단부로 인가한다.
신호처리부(230)는 수신되는 아날로그의 소리신호를 변환하여 저장한다. 이때, 신호처리부(230)에서의 신호 변환은 가전기기(101)에서의 신호 변환에 대한 역 변환으로써, 각 가전기기와 진단서버는 상호 협약을 통해 가전기기에서 사용하는 신호 변환 체계와 동일한 신호 변환 체계를 통해 데이터를 변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호처리부(23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의 아날로그 신호인 신호음을, 주파수 편이 방식, 진폭편이방식, 위상편이방식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한 역변환을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신호 처리부(230)는 변환된 데이터로부터 프레임 단위로 제어신호를 추출한 후, 제어신호를 디코딩하여 제품정보를 추출한다. 이때, 신호처리부(230)는 프리앰블을 검출하고, 검출된 프리앰블을 기준으로 제품정보가 포함된 제어신호를 검출하고, 지정된 포맷의 제어신호를 가전기기의 제품정보 인코딩방식에 대응하는 디코딩방식으로 디코딩하여 제어신호에 포함된 가전기기의 제품정보를 추출한다.
신호처리부(230)는 데이터부(240)에 저장된, 제어신호의 구조 또는 포맷정보, 주파수 특성, 디코딩 정보에 근거하여 신호를 변환하고, 분석한다.
이렇게 검출된 제품정보는 진단부(260)로 인가되며, 데이터부(240)에 저장된다.
진단부(260)는 서버제어부(210)의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입력된 제품정보를 분석하여 가전기기의 동작 상태, 고장 여부를 진단한다. 진단부(260)는 가전기기의 제품정보 분석 및 제품정보에 따른 가전기기의 상태 판단을 위한 진단프로그램을 포함하고, 데이터부(240)에 저장된 고장진단데이터를 이용하여 가전기기를 진단한 다.
또한, 진단부(260)는 발생된 고장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여, 그에 대한 해결책 또는 대응방안을 도출하고, 고객 서비스 방향에 대한 진단결과를 출력한다.
이때 진단부(260)는 제품정보의 데이터를 일정 기준에 따라 분류하고 관련 데이터의 조합에 따라 고장진단을 실시한다. 또한, 진단부(260)는 정확한 진단이 가능한 부분과 진단이 불가능한 부분에 대해 판단하여 고장진단을 수행하며, 추론가능한 진단 항목에 대하여 고장 확률에 따라 높은 확률 순으로 고장진단을 수행한다.
진단결과는 고장계통, 확률에 따른 고장원인 리스트, 고장부품의 리스트를 포함하며, 서비스인원의 파견 여부에 대한 안내정보도 포함된다.
서버제어부(210)는 통신부(220)를 통한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하고, 서버입력부(280) 및 서버출력부(270)를 통한 데이터의 입출력을 제어한다. 또한, 서버제어부(210)는 가전기기의 대한 고장 진단이 수행되도록 신호처리부(230) 및 진단부(260)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서버제어부(210)는 진단부(260)의 진단결과가 서버출력부(27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고 부가적으로 통신부(220)를 통해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서버제어부(210)는 진단부(260)의 진단결과가 서버출력부(27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그에 따라 서비스센터(200)는 가전기기(101)의 오동작에 따른 대처방안을 전화망을 통해 연결된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전달하거나, 서비스 인원이 파견되도록 한다. 서비스 인원 파견시 서버제어부(210)는 진단결과가 통신부(220)를 통해 서비스 인원의 단말로 전송되도록 한다.
또한, 서버제어부(210)는 진단결과를 통신부(220)로 인가하여, 사용자에게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서버제어부(210)는 신호처리 또는 진단과정에서 오류 발생 시 가전기기에서 음이 재출력 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 또는 경고음이 서버출력부(27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이 경우 서비스 센터(200)는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사용자에게 가전기기에서 음이 재출력 되도록 요청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 진단시스템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 또는 다른 실시예의 구현이 가능함은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이어지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 진단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의 음향출력부의 일 예를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의 음향출력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며,
도 5 은 도 1의 가전기기 진단시스템에서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고,
도 6은 도 1의 가전기기 및 진단시스템에서 서비스센터의 진단서버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1: 가전기기 116: 컨트롤패널
116a: 전원 공급부 116b: 와이어
117: 조작부 118: 표시부
130: 선택부 140: 제어부
141: 메인제어부 142: 인코딩부
150: 모듈레이터 160,300: 음향출력부
301: 음향출력기 302: 결합부

Claims (7)

  1. 가전기기의 운전 중 고장 또는 동작 이상이 발생되는 때, 소정의 음을 음향출력부로 출력하거나 통신망을 통해 상기 소정의 음을 서비스센터로 전송하는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 진단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음향출력부는,
    가전기기의 캐비닛에 설치된 컨트롤 패널과;
    상기 컨트롤 패널의 배면부에 은닉되게 설치된 전원 공급부와;
    상기 컨트롤 패널의 외부로 노출되게 상기 가전기기의 캐비닛에 설치된 음향출력기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음향출력기는,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류를 전달하는 와이어와 연결되는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음향출력기는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고 상기 전원 공급부로 전달된 전원을 인가하는 결합부를 매개로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는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가전기기의 운전 중 고장 또는 동작 이상이 발생되는 때, 소정의 음을 음향출력부로 출력하거나 통신망을 통해 상기 소정의 음을 서비스센터로 전송하는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 진단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음향출력부는,
    가전기기의 캐비닛에 설치된 컨트롤 패널과;
    상기 컨트롤 패널의 배면부에 은닉되게 설치된 전원 공급부와;
    상기 컨트롤 패널의 외부로 노출되게 상기 컨트롤 패널에 설치된 음향출력기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음향출력기는,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류를 전달하는 와이어와 연결되고,
    상기 전원 공급부로 전달된 전원을 인가하는 결합부를 매개로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는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음향출력기는 상기 결합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패널은, 상기 결합부와 일체로 형성된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KR1020090071063A 2009-07-31 2009-07-31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KR201100130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1063A KR20110013067A (ko) 2009-07-31 2009-07-31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1063A KR20110013067A (ko) 2009-07-31 2009-07-31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3067A true KR20110013067A (ko) 2011-02-09

Family

ID=43772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1063A KR20110013067A (ko) 2009-07-31 2009-07-31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306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25054B2 (en) Home appliance and signal output method thereof
KR20110010374A (ko)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방법
US8615380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ng home appliance
TWI409626B (zh) 家電系統及其操作方法
KR20110010378A (ko)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20110010375A (ko) 가전기기 진단 시스템 및 그 진단방법
CN102474420B (zh) 家电诊断系统及其操作方法
US8432291B2 (en)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for home appliance
US20100259404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ng home appliance
US8341002B2 (en)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for home appliance
US20100318324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ng home appliance
US20110054845A1 (en)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for home appliance
KR20110014277A (ko)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진단방법
JP5368629B2 (ja) 家電機器及び家電機器システム
US20110050441A1 (en)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for home appliance
US20110054844A1 (en)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for home appliance
KR20110005160A (ko)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20110010373A (ko)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82337A (ko) 가전기기, 진단장치 및 그 진단방법
KR20110013067A (ko)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RU2574359C2 (ru) Быт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и его система
KR20130082338A (ko) 가전기기, 진단장치 및 그 진단방법
KR20100112947A (ko) 가전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