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4198B1 - 세탁기 및 그 거품감지방법 - Google Patents

세탁기 및 그 거품감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4198B1
KR101034198B1 KR1020050009573A KR20050009573A KR101034198B1 KR 101034198 B1 KR101034198 B1 KR 101034198B1 KR 1020050009573 A KR1020050009573 A KR 1020050009573A KR 20050009573 A KR20050009573 A KR 20050009573A KR 101034198 B1 KR101034198 B1 KR 101034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foam
washing machine
bubble
lev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9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8661A (ko
Inventor
하요철
채창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9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4198B1/ko
Priority to US11/184,962 priority patent/US20060168740A1/en
Priority to CNA2005100876473A priority patent/CN1814897A/zh
Priority to EP05254719A priority patent/EP1688528A1/en
Priority to RU2005124120/12A priority patent/RU2295596C1/ru
Publication of KR20060088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8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4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419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2Condition of the washing liquid, e.g. turbid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8Washing liquid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0Washing liquid condition, e.g. turb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38Time, e.g. dura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8Draining of washing liqui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4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ain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8Control circuits or arrangement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 및 그 거품감지방법에 관한 것으로, 배수구간에서 거품의 배수특성을 이용하여 거품발생을 정확히 감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세탁기의 거품감지방법에 있어서, 배수동작 시 설정된 배수시간 내에 배수완료수위에 도달하였는가 판단하고, 상기 설정된 배수시간 내에 배수완료수위에 도달하지 않으면 배수장치를 온/오프 제어하여 설정된 거품배수시간 내에 거품감지수위에 도달하였는가 판단하고, 상기 설정된 거품배수시간 내에 거품감지수위에 도달하면 설정된 수위레벨에서 배수장치를 온/오프 제어하여 거품발생을 감지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세탁기 및 그 거품감지방법{Washing machine and method to sense sud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세탁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거품감지장치의 제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세탁기의 거품감지방법의 동작 흐름도.
도 4는 도 3에서 정상배수구간의 상세한 동작 흐름도,
도 5는 도 4의 동작 그래프,
도 6은 도 3에서 예비거품감지구간의 상세한 동작 흐름도,
도 7은 도 6의 동작 그래프,
도 8은 도 3에서 본거품감지구간의 상세한 동작 흐름도,
도 9는 도 8의 동작 그래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수조 12 : 회전드럼
15 : 모터 19 : 배수장치
19c : 배수펌프 120 : 수위감지부
130 : 제어부
본 발명은 세탁기의 거품감지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거품의 배수특성을 이용하여 거품발생을 감지하는 세탁기 및 그 거품감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통상, 드럼세탁기)는 원통형의 회전드럼이 회전할 때 그 내부의 세탁물을 상측으로 끌어올린 후 낙하시키는 힘에 의해 세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치로, 종래 펄세이터 방식의 세탁기에 비해 세탁시간은 길지만 옷감의 손상이 적고 물 소모량이 적어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세탁기에서 사용자가 세제를 표준량 이상으로 사용하거나 거품이 많이 발생하는 세제를 사용하였을 경우, 배수 후 탈수행정 시 세탁물에 잔존한 세제성분에 의해 많은 거품이 발생하여 세탁기의 전면(예를 들어, 세제투입구 등)으로 누출되거나 또는 많은 거품이 부하로 작용하여 모터의 구동을 저해하므로 정상적인 탈수rpm에 도달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거품의 발생을 감지하여 거품을 제거하는 방식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282343호에서 제안되었다.
동 공보에서 제안된 세탁기는 모터에 걸리는 부하의 증가여부를 감지하여 거품의 발생을 판단한 후, 많은 양의 거품이 발생한 경우 급수→ 헹굼→ 배수동작을 반복하는 소정의 거품제거과정을 통해 거품을 제거하였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 세탁기의 거품감지방법은, 세탁포량 또는 전원전압의 변동으로 인한 모터출력변화 등으로 오차가 발생할 확률이 높기 때문에 정확한 거품감지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거품감지에러로 세탁성능이 저하되거나 전력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수구간에서 거품의 배수특성을 이용하여 거품발생을 정확히 감지하는 세탁기 및 그 거품감지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수구간에서의 수위변화에 따라 거품발생은 물론, 배수펌프의 고장 또는 배수펌프에 이물이 있을 때를 정확히 구별하여 감지할 수 있는 세탁기 및 그 거품감지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세탁기의 거품감지방법에 있어서, 배수동작 시 설정된 배수시간 내에 배수완료수위에 도달하였는가 판단하는 정상배수단계; 상기 설정된 배수시간 내에 배수완료수위에 도달하지 않으면 배수장치를 온/오프 제어하여 거품을 배수하는 거품배수단계; 및 상기 배수장치의 온/오프 제어에 따라 변화하는 수위를 검출하여 거품을 감지하는 거품감지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수시간은 세탁기의 코스 중 최대수량을 배수할 수 있는 배수완료시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품배수단계는 거품과 배수장치의 이물을 구분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배수장치를 온/오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은 배수장치의 온/오프에 따라 거품을 배수할 수 있는 거품배수시간이고, 상기 거품배수시간은 세탁기 용량과 배수장치의 능력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품감지단계는 배수장치의 온/오프 제어에 따라 정해진 거품배수시간 내에 거품감지수위에 도달하였는지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해진 거품배수시간 내에 거품감지수위에 도달하면 거품과 배수장치의 이물을 세분화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수위레벨에서 배수장치를 온/오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위레벨은 거품감지수위보다 낮게 설정되며, 상기 배수장치의 온/오프 제어를 위한 최고 및 최저수위레벨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수장치의 온/오프에 따른 거품감지횟수를 카운터하여 거품감지횟수가 소정횟수 이상이면 거품발생이라고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품배수단계는 거품과 배수장치의 이물을 세분화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수위레벨에서 설정시간동안 배수장치를 온/오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설정시간은 배수장치의 온/오프에 따라 거품을 감지할 수 있는 거품감지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기의 거품감지방법에 있어서, 배수동작 시 설정된 배수시간 내에 배수완료수위에 도달하였는가 판단하고, 상기 설정된 배수시간 내에 배수완료수위에 도달하지 않으면 배수장치를 온/오프 제어하여 설정된 거품배수시간 내에 거품감지수위에 도달하였는가 판단하고, 상기 설정된 거품배수시간 내에 거품감지수위에 도달하면 설정된 수위레벨에서 배수장치를 온/오프 제어하여 거품발생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세탁수 및 세제를 배수하는 배수장치를 갖춘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배수장치의 구동에 따라 변화하는 수위를 검출하는 수위감지부; 및 설정된 배수시간 내에 배수완료수위에 도달하였는가를 판단하여 배수완료수위에 도달하지 않으면 상기 배수장치를 온/오프 제어하여 거품을 배수한 후, 수위변화를 검출하여 거품을 감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배수장치의 온/오프 제어에 따라 설정된 거품배수시간 내에 거품감지수위에 도달하였는가 판단하여 거품감지수위에 도달하면 일정수위레벨에서 배수장치를 온/오프 제어하여 거품발생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세탁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서, 본 발명의 세탁기는 세탁수의 담수를 위한 것으로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드럼형의 수조(11)와, 상기 수조(1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드럼(12)을 포함한다.
상기 수조(11)는 입구(11b)가 형성된 전면부(11a)가 후면부(11c)보다 높은 위치가 되도록 전체적으로 세탁기의 설치면에 대하여 소정각도(α) 경사를 이루도록 설치되고, 수조(11)의 내부에 설치되는 회전드럼(12)은 수조(11)와 동일한 형태로 입구(12b)가 형성된 전면부(12a)가 그 후면부(12c)보다 높은 위치가 되도록 경 사지게 설치된다.
즉, 회전드럼(12)은 입구(12b)가 형성된 전면부(12a)가 전방 상부를 향하는 형태로 그 회전중심선(“A”)이 세탁기의 설치면에 대하여 소정각도(α) 경사를 이루도록 설치된다. 이때 회전드럼(12)은 그 후면부(12c) 중심에 결합되는 회전축(13)이 수조(11)의 후면 중심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으로써 수조(11)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 회전드럼(12)의 둘레에는 다수의 통공(12d)이 형성되고, 회전드럼(12)의 내면에는 회전드럼(12)이 회전할 때 세탁물의 상승 및 낙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복수의 리프터(14)가 설치된다.
상기 수조(11)의 후면부(11c) 외측에는 세탁, 헹굼 및 탈수동작을 수행하도록 회전드럼(12)과 연결된 회전축(13)을 회전시키는 구동장치로 모터(15)가 설치되고, 상기 수조(11)의 하측 내부에는 수조(11) 내부로 공급된 세탁수를 가열하는 세탁히터(16)가 설치된다.
상기 모터(15)는 수조(11) 후면부(11c)에 고정되는 고정자(15a)와, 이 고정자(15a)의 외곽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배치되는 회전자(15b), 그리고 회전자(15b)와 회전축(13)을 연결하는 회전판(15c)으로 구성된다.
또, 상기 본체(10) 전면부에는 회전드럼(12)의 내부로 세탁물을 넣거나 내부의 세탁물을 꺼낼 수 있도록 회전드럼(12)의 입구(12b) 및 수조(11)의 입구(11b)와 대응하는 위치에 개방된 입구(17b)가 형성되고, 상기 입구(17b)에는 입구(17b)를 개폐하는 도어(17)가 설치된다.
상기 수조(11)의 상부에는 세제를 공급하기 위한 세제공급장치(18)와,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장치(20)가 설치되며, 수조(11)의 하부에는 수조(11) 내부의 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것으로 배수관(19a), 배수밸브(19b), 배수펌프(19c)를 포함하는 배수장치(19)가 설치된다.
상기 세제공급장치(18)는 내부가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각 공간에 세제 및 유연제를 투입하기 용이하도록 본체(10)의 전면부 쪽에 설치된다.
상기 급수장치(20)는 수조(11) 쪽으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21) 및 이 급수관(21)의 급수를 제어하도록 급수관(21)에 설치되는 급수밸브(22)를 구비한다. 이때 급수관(21)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세제공급장치(18) 쪽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세제공급장치(18)와 연결된다. 그리고 세제공급장치(18)와 수조(11)사이에는 세제공급장치(18)를 거친 물이 수조(11)로 공급될 수 있도록 별도의 연결관(23)이 설치되고, 상기 연결관(23)의 출구에는 급수노즐(24)이 설치된다. 이는 수조(11)의 내부로 공급되는 물이 세제공급장치(18)를 경유하도록 함으로서 세제공급장치(18) 내부의 세제가 물에 용해된 상태에서 수조(11)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거품감지장치의 구성도로서, 신호입력부(100), 온도감지부(110), 수위감지부(120), 제어부(130) 및 구동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신호입력부(100)는 사용자가 선택하는 세탁코스와 세탁온도, 탈수rpm 헹굼추가 등의 운전정보를 제어부(130)에 입력하고, 온도감지부(110)는 세탁수의 온도를 감지한다.
상기 수위감지부(120)는 세탁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것으로, 배수구간에서 배수되는 세탁수 및 거품의 양에 따라 변화하는 수위데이터를 감지하여 제어부(130)에 입력한다.
상기 제어부(130)는 배수구간에서 수위감지부(120)로부터 입력되는 수위데이터의 변화에 따라 배수펌프(19c)의 구동을 제어하여 거품발생, 배수펌프(19c)의 고장 또는 배수펌프(19c)의 이물을 감지하는 마이컴으로서, 상기 배수펌프(19c)의 구동(온/오프)시간을 카운터하는 타이머와, 세탁코스, 세탁기 용량 또는 배수펌프(19c)의 능력에 따라 설정시간 또는 설정수위 등의 데이터를 롬테이블에 미리 저장해둔다.
상기 제어부(130)는 정상배수구간에서 설정된 배수완료시간 내에 배수완료수위에 도달하였는지를 체크하여 거품발생을 1차적으로 감지하고, 정상배수구간에서 설정된 배수시간 내에 배수완료수위에 도달하지 않으면 거품과 배수펌프(19c)의 이물을 구분하기 위해 예비거품감지구간으로 진행하여 거품을 좀더 빨리 배수시킴에 따라 설정된 거품배수시간 내에 거품감지수위에 도달하였는지를 체크하여 거품발생을 2차적으로 감지하고, 예비거품감지구간에서 설정된 거품배수시간 내에 거품감지수위에 도달하면 거품과 배수펌프(19c)의 이물을 좀더 세밀하게 구분하기 위해 본거품감지구간으로 진행하여 설정된 거품감지시간내에 거품감지횟수가 소정횟수 이상 반복되었는지를 체크하여 거품발생을 3차적으로 감지한다.
상기 구동부(140)는 제어부(130)의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모터(15), 세탁히터 (16), 배수밸브(19b), 배수펌프(19c), 급수밸브(22) 등을 구동시킨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세탁기 및 그 거품감지방법의 동작과정 및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세탁기의 거품감지방법의 동작 흐름도로서, 본 발명의 거품감지방법은 세탁행정 후의 배수구간 또는 헹굼행정 후의 배수구간 어디에서도 수행할 수 있는 배수동작 시의 거품감지 알고리즘이다.
세탁 또는 헹굼 후 배수가 시작되면, 배수펌프(19c)를 온 구동시키는 정상배수구간에서 설정된 배수완료시간(Tend; 세탁코스별 최대 수량을 배수할 수 있는 시간) 내에 수위데이터가 배수완료수위에 도달하였는지를 체크하여 거품발생을 1차적으로 감지한다(S100).
상기 정상배수구간에서 설정된 배수완료시간(Tend) 내에 배수완료수위에 도달하지 않으면 거품과 배수펌프(19c)의 이물을 구분하기 위해 배수펌프(19c)를 온/오프 제어하는 예비거품감지구간으로 진행하여 거품을 좀더 빨리 배수시킴에 따라 설정된 거품배수시간(Tpre) 내에 거품감지수위에 도달하였는지를 체크한다(S200).
이는, 설정된 배수시간(Tend) 내에 배수완료수위에 도달하지 않은 원인이 거품발생에 의한 것인지 또는 배수펌프(19c)의 고장 및 이물에 의한 것인지를 구별하기 위함이다.
상기 예비거품감지구간에서 설정된 거품배수시간(Tpre) 내에 거품감지수위에 도달하면 거품과 배수펌프(19c)의 이물을 좀더 세밀하게 구분하기 위해 일정수위레벨을 정하여 배수펌프(19c)를 온/오프 제어하는 본거품감지구간으로 진행하여 설정 된 거품감지시간(Tmain)내에 거품감지횟수(Nc)가 소정횟수 이상 반복되었는지를 체크한다(S300).
이는, 설정된 거품배수시간(Tpre) 내에 거품감지수위에 도달한 원인이 거품발생에 의한 것인지 또는 배수펌프(19c)에 존재하는 소량의 이물에 의한 것인지를 좀더 명확히 구별하기 위함이다.
상기 본거품감지구간에서 설정된 거품감지시간(Tmain) 내에 거품감지횟수(Nc)가 소정횟수 이상 반복되면 확실한 거품발생이라고 판단하여 거품제거행정을 수행한다(S400).
거품제거행정은 수조(11)에 물을 재급수한 다음 모터(15) 교반(헹굼)과 배수또는 탈수의 동작을 반복하는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방식에 따른다.
상기 정상배수구간(S100)을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세탁기의 코스 중 가장 많은 수량을 기준수량으로 하여 그 수량을 배수하였을 때의 시간(T)을 측정한 후, 이 측정시간(T)의 2배인 시간(T*2)을 배수완료시간(Tend; 약 1분)으로 설정한다.
먼저, 세탁수의 정상배수를 위해 배수펌프(19c)를 온 구동시키고(S110), 배수펌프(19c)의 온 구동에 따른 정상배수시간(Tcn)을 카운터한다(S120).
카운터한 정상배수시간(Tcn)이 설정된 배수완료시간(Tend) 이내인지를 판단하여(S130), 배수완료시간(Tend) 이내이면 배수동작에 의해 수위데이터가 설정된 배수완료수위(배수완료시점을 판단할 수 있는 최저수위 또는 배수펌프 동작 후 다 음 동작을 진행할 수 있는 수위)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한다(S140).
설정된 배수완료시간(Tend) 내에 배수완료수위에 도달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품이 없을 경우 일반적으로 배수완료시간(Tend) 내에 배수를 끝내게 되므로 이후 탈수행정으로 진입하여 탈수를 진행한다(S150).
그러나, 거품이나 배수펌프(19c)에 이물이 있을 경우에는 배수완료시간(Tend) 내에 설정된 배수완료수위까지 도달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설정된 배수완료시간(Tend) 내에 배수완료수위에 도달하지 않으면, 거품과 배수펌프(19c)의 이물을 구분하기 위해 배수펌프(19c)를 온/오프 제어하는 예비거품감지구간(S200)으로 진행한다.
상기 예비거품감지구간(S200)을 도 6 및 도 7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예비거품감지구간(S200)의 가장 큰 목적은 본거품감지구간(S300)으로 진입하기 전에 먼저 거품과 배수펌프(19c)의 이물을 구분하는 것이다.
배수펌프(19c)의 온/오프에 따라 거품감지수위에 도달하는 최소시간을 거품배수시간(Tpre; 약 2분)으로 설정하며, 이 거품배수시간(Tpre)은 세탁기 용량과 배수펌프(19c)의 능력에 따라 결정된다.
먼저, 거품의 빠른 배수를 위해 배수펌프(19c)를 온/오프 구동시키고(S210), 배수펌프(19c)의 온/오프 구동에 따른 예비거품감지시간(Tcp)을 카운터한다(S220).
카운터한 예비거품감지시간(Tcp)이 설정된 거품배수시간(Tpre) 이내인지를 판단하여(S230), 거품배수시간(Tpre) 이내이면 거품 배수에 의해 수위데이터가 설정된 거품감지수위(거품이나 배수펌프의 이물을 구분할 수 있는 최저수위 또는 세 탁수량의 20% 이내인 수위)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한다(S240).
다시 말해서, 배수펌프(19c)의 이물은 배수펌프(19c)를 온/오프하여도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한 경사를 가지고 진행하나, 거품의 경우는 배수펌프(19c)를 온/오프하면 배수펌프(19c)를 온했을 때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좀더 빠른 배수특성을 보여 거품배수시간(Tpre) 내에 거품감지수위에 도달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설정된 거품배수시간(Tpre) 내에 거품감지수위에 도달하면, 거품과 배수펌프(19c)의 이물을 좀더 세밀하게 구분하기 위해 일정수위레벨을 정하여 배수펌프(19c)를 온/오프 제어하는 본거품감지구간 (S300)으로 진행한다.
그러나, 배수펌프(19c)에 이물이 있을 경우에는 거품배수시간(Tpre) 내에 설정된 거품감지수위까지 도달하지 못하게 된다.
설정된 거품배수시간(Tpre) 내에 거품감지수위에 도달하지 않으면, 다시 배수펌프(19c)의 이물과 고장을 구분하기 위해 배수펌프(19c)를 온 구동하는 정상배수구간(S100)으로 진행한다.
만약, 배수펌프(19c)가 고장이면, 상기의 과정을 계속해서 반복하게 되고 설계자가 지정해 놓은 시간(배수에러시간)동안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배수에러를 발생시킨다.
상기 본거품감지구간(S300)을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거품감지구간(S300)의 가장 큰 목적은 예비거품감지구간(S200)을 통과한 배수펌프(19c)의 이물(이때의 이물은 아주 작은 양)을 다시 한번 구분하여 거품만 을 정확히 감지하는 것이다.
거품을 좀더 정확하게 감지하기 위해 일정수위레벨(거품감지수위보다 작은 일정범위의 최고 및 최저수위레벨)을 정하여 배수펌프(19c)의 온/오프에 따라 거품감지횟수(Nc)가 소정횟수(Ns; 확실한 거품발생이라고 판단할 수 있는 횟수, 약 4회) 이상이 되는 제한시간을 거품감지시간(Tmain)으로 설정하며, 이 거품감지시간(Tmain)은 세탁기 용량과 배수펌프(19c)의 능력에 따라 결정된다.
먼저, 거품의 배수를 위해 배수펌프(19c)를 온 구동시키고(S310), 본거품감지시간(Tcm)을 카운터하기 시작한다(S320).
상기 배수펌프(19c)의 온 구동에 따라 낮아지는 수위데이터를 감지하여 설정된 최저수위레벨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여(S330), 최저수위레벨에 도달하면 배수펌프(19c)를 오프시킨다(S340).
거품이 있는 경우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펌프(19c)가 오프상태일 때 수위가 다시 상승하는 특징을 보인다. 따라서 이때 다시 수위가 상승하는 횟수를 지정하여 거품감지횟수(Nc)를 카운터한다(S350).
상기 배수펌프(19c)의 오프에 따라 상승하는 수위데이터를 감지하여 설정된 최고수위레벨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여(S360), 최고수위레벨에 도달하면 단계S310으로 피드백되어 배수펌프(19c)를 온시킨다.
이와 같이, 일정수위레벨을 정하여 배수펌프(19c)를 온/오프 제어하는 본거품감지시간(Tcm)이 설정된 거품감지시간(Tmain) 이내인지를 판단하여(S370), 거품감지시간(Tmain) 이내이면 카운터한 거품감지횟수(Nc)가 설정된 소정횟수(Ns) 이상 인지를 판단한다(S380).
다시 말해서, 배수펌프(19c)의 이물은 일정수위레벨을 정하여 배수펌프(19c)를 온/오프하여도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한 경사를 가지고 진행하나, 거품의 경우는 배수펌프(19c)를 온/오프하면 배수펌프(19c)가 오프상태일 때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위가 다시 상승하는 배수특성을 보여 제한된 거품감지시간(Tmain) 내에 거품감지횟수(Nc)가 소정횟수(Ns)이상 반복되는 것이다.
따라서, 설정된 거품감지시간(Tmain) 내에 거품감지횟수(Nc)가 소정횟수(Ns) 이상이면, 확실한 거품발생이라고 판정하여 거품제거행정(S400)으로 진행한다.
그러나, 배수펌프(19c)에 소량의 이물이 있을 경우에는 거품감지시간(Tmain) 내에 거품감지횟수(Nc)가 소정횟수(Ns) 이상 발생하지 못하게 된다.
설정된 거품감지시간(Tmain) 내에 거품감지횟수(Nc)가 소정횟수(Ns) 이상 발생되지 않으면, 배수펌프(19c)의 이물과 고장을 구분하기 위해 배수펌프(19c)를 온 구동하는 정상배수구간(S100)으로 진행하여 처음부터 다시 체크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배수구간에서 거품의 배수특성을 이용하여 거품발생을 정확히 감지할 수 있음은 물론, 배수펌프(19c)의 고장과 이물에 따른 에러발생도 구별할 수 있기 때문에 배수펌프(19c)의 고장과 이물에 따른 에러를 거품발생으로 오감지하여 오동작하는 문제를 확실히 방지할 수 있으며, 헹굼 시에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거품도 정확히 감지할 수 있게 되었다.
상기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세탁기 및 그 거품감지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 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세탁기 및 그 거품감지방법에 의하면, 배수구간에서 거품의 배수특성을 이용하여 거품발생을 정확히 감지함으로써 거품감지의 정확도를 높여 확실한 거품발생 시에만 거품제거행정을 수행하여 거품감지에러로 인한 전력낭비 또는 세탁성능저하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수구간에서의 수위변화에 따라 거품발생은 물론, 배수펌프의 고장 또는 배수펌프에 이물이 있을 때를 정확히 구별하여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에러발생에 대한 능동적인 대처가 가능하고,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6)

  1. 세탁기의 거품감지방법에 있어서,
    배수동작 시 설정된 배수시간 내에 배수완료수위에 도달하였는가 판단하는 정상배수단계;
    상기 설정된 배수시간 내에 배수완료수위에 도달하지 않으면 배수장치를 온/오프 제어하여 거품을 배수하는 거품배수단계; 및
    상기 배수장치의 온/오프 제어에 따라 변화하는 수위를 검출하여 거품을 감지하는 거품감지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거품감지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시간은 세탁기의 코스 중 최대수량을 배수할 수 있는 배수완료시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거품감지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품배수단계는 거품과 배수장치의 이물을 구분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배수장치를 온/오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거품감지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은 배수장치의 온/오프에 따라 거품을 배수할 수 있는 거품배수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거품감지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거품배수시간은 세탁기 용량과 배수장치의 능력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거품감지방법.
  6.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거품감지단계는 배수장치의 온/오프 제어에 따라 정해진 거품배수시간 내에 거품감지수위에 도달하였는지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거품감지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정해진 거품배수시간 내에 거품감지수위에 도달하면 거품과 배수장치의 이물을 세분화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수위레벨에서 배수장치를 온/오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거품감지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레벨은 거품감지수위보다 낮게 설정되며, 상기 배수장치의 온/오프 제어를 위한 최고 및 최저수위레벨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거품감지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장치의 온/오프에 따른 거품감지횟수를 카운터하여 거품감지횟수가 소정횟수 이상이면 거품발생이라고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거품감지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품배수단계는 거품과 배수장치의 이물을 세분화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수위레벨에서 설정시간동안 배수장치를 온/오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거품감지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시간은 배수장치의 온/오프에 따라 거품을 감지할 수 있는 거품감지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거품감지방법.
  12. 세탁기의 거품감지방법에 있어서,
    배수동작 시 설정된 배수시간 내에 배수완료수위에 도달하였는가 판단하고,
    상기 설정된 배수시간 내에 배수완료수위에 도달하지 않으면 배수장치를 온/ 오프 제어하여 설정된 거품배수시간 내에 거품감지수위에 도달하였는가 판단하고,
    상기 설정된 거품배수시간 내에 거품감지수위에 도달하면 설정된 수위레벨에서 배수장치를 온/오프 제어하여 거품발생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거품감지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레벨은 거품감지수위보다 낮게 설정되며, 상기 배수장치의 온/오프 제어를 위한 최고 및 최저수위레벨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거품감지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장치의 온/오프에 따른 거품감지횟수를 카운터하여 거품감지횟수가 소정횟수 이상이면 거품발생이라고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거품감지방법.
  15. 세탁수 및 세제를 배수하는 배수장치를 갖춘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배수장치의 구동에 따라 변화하는 수위를 검출하는 수위감지부; 및
    설정된 배수시간 내에 배수완료수위에 도달하였는가를 판단하여 배수완료수위에 도달하지 않으면 상기 배수장치를 온/오프 제어하여 거품을 배수한 후, 수위변화를 검출하여 거품을 감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배수장치의 온/오프 제어에 따라 설정된 거품배수시간 내에 거품감지수위에 도달하였는가 판단하여 거품감지수위에 도달하면 일정수위레벨에서 배수장치를 온/오프 제어하여 거품발생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1020050009573A 2005-02-02 2005-02-02 세탁기 및 그 거품감지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034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9573A KR101034198B1 (ko) 2005-02-02 2005-02-02 세탁기 및 그 거품감지방법
US11/184,962 US20060168740A1 (en) 2005-02-02 2005-07-20 Washing machine and suds sensing method thereof
CNA2005100876473A CN1814897A (zh) 2005-02-02 2005-07-27 洗衣机及其泡沫检测方法
EP05254719A EP1688528A1 (en) 2005-02-02 2005-07-28 Washing machine and foam sensing method thereof
RU2005124120/12A RU2295596C1 (ru) 2005-02-02 2005-07-28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и способ измерения количества пены для не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9573A KR101034198B1 (ko) 2005-02-02 2005-02-02 세탁기 및 그 거품감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8661A KR20060088661A (ko) 2006-08-07
KR101034198B1 true KR101034198B1 (ko) 2011-05-12

Family

ID=35717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9573A Expired - Fee Related KR101034198B1 (ko) 2005-02-02 2005-02-02 세탁기 및 그 거품감지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60168740A1 (ko)
EP (1) EP1688528A1 (ko)
KR (1) KR101034198B1 (ko)
CN (1) CN1814897A (ko)
RU (1) RU2295596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5555B1 (ko) 2005-05-04 2011-12-19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거품제거방법
DE102006027197A1 (de) * 2006-06-12 2007-12-13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erfahren zum Beseitigen von Schaum in einer Trommelwaschmaschine und hierzu geeignete Trommelwaschmaschine
KR101463809B1 (ko) * 2007-11-29 2014-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거품감지방법
US8532273B2 (en) * 2008-04-29 2013-09-10 Lg Electronics Inc. Home appliance and home appliance system
KR101627219B1 (ko) * 2008-04-29 2016-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를 포함하는 가전기기시스템
CN102017519A (zh) * 2008-04-29 2011-04-13 Lg电子株式会社 家用电器和家用电器系统
US8705715B2 (en) * 2008-04-30 2014-04-22 Lg Electronics Inc. Home appliance, home appliance system, and diagnosis method of a home appliance
US9054953B2 (en) * 2008-06-16 2015-06-09 Lg Electronics Inc. Home appliance and home appliance system
US8388695B2 (en) * 2008-07-01 2013-03-05 Whirlpoo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aundering cycle by sensing wash aid concentration
KR101597523B1 (ko) * 2009-04-10 2016-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서비스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8565079B2 (en) * 2009-04-10 2013-10-22 Lg Electronics Inc. Home appliance and home appliance system
KR101442115B1 (ko) * 2009-04-10 2014-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 시스템
KR101421685B1 (ko) * 2009-04-10 2014-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진단방법
US8984338B2 (en) 2009-07-06 2015-03-17 Lg Electronics Inc. Home appliance diagnosis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KR20110010374A (ko) * 2009-07-24 2011-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72402B1 (ko) * 2009-07-31 2014-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진단방법
KR101472401B1 (ko) * 2009-07-31 2014-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진단방법
KR101482137B1 (ko) * 2009-07-31 201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진단방법
KR20110013582A (ko) * 2009-07-31 2011-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진단방법
KR101553843B1 (ko) * 2009-07-31 2015-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진단방법
CN102498691B (zh) 2009-08-05 2015-05-20 Lg电子株式会社 家用电器及其操作方法
KR101748605B1 (ko) 2010-01-15 2017-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 진단시스템
KR101442107B1 (ko) 2010-07-06 2014-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진단장치
JP5214687B2 (ja) * 2010-09-09 2013-06-19 株式会社東芝 洗濯機
US8844082B2 (en) 2010-12-14 2014-09-30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biofilm treating cycle
US20120144871A1 (en) * 2010-12-14 2012-06-14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biofilm treating cycle
TR201101412A2 (tr) * 2011-02-15 2011-09-21 Vestel Beyaz Eşya Sanayi̇ Ve Ti̇caret Anoni̇m Şi̇rketi̇@ Çamaşır yıkama makineleri için köpük tespit etme ve giderme yöntemi.
KR101416937B1 (ko) 2011-08-02 2014-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동작방법
KR101252167B1 (ko) 2011-08-18 2013-04-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진단장치 및 그 진단방법
CN102535095A (zh) * 2012-01-19 2012-07-04 松下家电研究开发(杭州)有限公司 一种洗衣机排水过程的控制方法
KR101942781B1 (ko) 2012-07-03 2019-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 진단을 위한 신호음 출력방법
KR20140007178A (ko) 2012-07-09 2014-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및 그 시스템
US10066333B2 (en) * 2014-02-21 2018-09-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with ball balancer and method of controlling vibration reduction thereof
US10017892B2 (en) * 2014-02-21 2018-07-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U2017203834B2 (en) * 2016-06-08 2019-10-03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466662B1 (ko) * 2016-06-14 2022-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CN107587309B (zh) * 2016-07-07 2021-03-02 佛山市顺德海尔电器有限公司 一种洗衣机溢水保护方法及全自动洗衣机
CN106978701B (zh) * 2017-03-24 2020-04-14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洗衣机及其带水脱水控制方法和装置
CN108978114B (zh) * 2017-06-01 2021-11-26 上海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洗衣机的泡沫检测方法
CN108978119B (zh) * 2017-06-01 2022-05-06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洗衣机脱水方法
CN108265461B (zh) * 2017-12-22 2020-06-1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洗衣机内泡沫的处理方法和装置
CN108179586B (zh) * 2018-01-27 2019-12-27 深圳市景方盈科技有限公司 一种洗衣机泡沫控制方法
CN108035122B (zh) * 2018-01-27 2019-11-26 深圳市景方盈科技有限公司 一种防泡沫溢出洗衣机
KR102533498B1 (ko) * 2018-06-04 2023-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2535188B1 (ko) * 2018-06-04 2023-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제어방법
CN111850961B (zh) * 2019-04-17 2023-12-22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洗衣机及其泡沫检测方法、装置
AU2020424948A1 (en) * 2020-01-24 2022-06-30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Washing appliance, method of detecting operational error, and control arrangement
CN112458697B (zh) * 2020-11-25 2021-10-2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衣物处理设备的洗涤控制方法、衣物处理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9565B1 (ko) 1997-12-02 2000-01-15 윤종용 세탁기의 운전 제어방법
KR20000055285A (ko) * 1999-02-01 2000-09-05 윤종용 드럼세탁기의 거품제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38498C2 (de) * 1986-11-11 1994-06-30 Licentia Gmbh Programmgesteuerte Waschmaschine
SU1559020A1 (ru) * 1988-06-15 1990-04-23 Московский 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Министерства Бытового Обслуживания Населения Рсфср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 качества стирки
DE4012115A1 (de) * 1990-04-14 1991-10-17 Licentia Gmbh Verfahren zum schleudern von waesche in einer programmgesteuerten haushaltsmaschine
US5361439A (en) * 1993-10-12 1994-11-08 Speed Queen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spinning and draining automatic clothes washer
DE19505595A1 (de) * 1995-02-18 1996-08-22 Foron Waschgeraete Gmbh Waschmaschine
US5890247A (en) * 1997-12-22 1999-04-06 Maytag Corporation Automatic washing machine incorporating a suds detection and control system
KR100282343B1 (ko) 1998-10-12 2001-02-15 구자홍 드럼세탁기의 거품감지방법
IT1311717B1 (it) * 1999-10-28 2002-03-19 Electrolux Zanussi Elettrodome Metodo per controllare il dosaggio di detersivo in una lavatriceautomatica, o simile
DE10234472A1 (de) * 2002-07-29 2004-02-12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erfahren zum Beseitigen von Schaum im Laugenbehälter einer Trommelwaschmaschi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9565B1 (ko) 1997-12-02 2000-01-15 윤종용 세탁기의 운전 제어방법
KR20000055285A (ko) * 1999-02-01 2000-09-05 윤종용 드럼세탁기의 거품제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88528A1 (en) 2006-08-09
CN1814897A (zh) 2006-08-09
KR20060088661A (ko) 2006-08-07
US20060168740A1 (en) 2006-08-03
RU2295596C1 (ru) 2007-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4198B1 (ko) 세탁기 및 그 거품감지방법
US7984628B2 (en) Washing machine capable of detecting leakage at water feed unit
KR101185957B1 (ko) 배수기능을 갖는 가전기기 및 그 제어방법
EP2189567A1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2170694A (ja) ドラム式洗濯機
KR20090111603A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9025136A (ja) 洗濯機
KR100704288B1 (ko) 세탁기 및 그 배수에러 감지방법
KR102466662B1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CN112424412B (zh) 洗衣机
KR0153185B1 (ko) 세탁기의 필터막힘감지방법
JP2013123555A (ja) ドラム式洗濯機
KR20080100542A (ko) 드럼세탁기용 배수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669009B1 (ko) 세탁기의 거품감지방법
JP5694909B2 (ja) 洗濯機
KR20000055285A (ko) 드럼세탁기의 거품제거방법
KR101053613B1 (ko) 세탁기의 배수 동작 제어 방법
KR20080089840A (ko) 세탁기의 배수펌프 제어장치 및 방법
JP6883739B2 (ja) 洗濯乾燥機
KR101202747B1 (ko) 드럼 세탁기의 거품제거장치 및 방법
KR20090120575A (ko) 세탁기의 제어 방법
KR20000055286A (ko) 드럼세탁기의 거품제거방법
KR20090082957A (ko) 세탁기 및 그 헹굼 제어방법
JP2006204718A (ja) 洗濯機
WO2023128971A1 (en) A wash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20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12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5020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4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5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5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