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2747B1 - 드럼 세탁기의 거품제거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드럼 세탁기의 거품제거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2747B1
KR101202747B1 KR1020050064282A KR20050064282A KR101202747B1 KR 101202747 B1 KR101202747 B1 KR 101202747B1 KR 1020050064282 A KR1020050064282 A KR 1020050064282A KR 20050064282 A KR20050064282 A KR 20050064282A KR 101202747 B1 KR101202747 B1 KR 101202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ubble
tub
washing machine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4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9192A (ko
Inventor
이석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50064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2747B1/ko
Publication of KR20070009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9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2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2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6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destroying scu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4Control of the operating time, e.g. reduction of overall operating tim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2Condition of the washing liquid, e.g. turb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5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4He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7Water 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1/14Time setting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8Washing liquid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0Washing liquid condition, e.g. turb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8Draining of washing liq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탈수행정시 거품이 발생되는지를 감지하고 거품이 완전히 제거된 상태에서 탈수가 수행되도록 하는 드럼 세탁기의 거품제거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드럼 세탁기의 거품제거장치는 캐비닛 내측에 스프링에 의해 매달리도록 설치되는 터브 및 상기 터브 내측에 설치되어 세탁물의 세탁이 이루어지는 드럼이 구비된다. 순환 파이프는 터브의 저부에 일단이 연결되어 세탁수의 연결 통로가 된다. 히팅박스 어셈블리는 순환 파이프의 자유단부에 연결되어 세탁수를 가열시킨다. 습식사우나수 분사장치는 히팅박스 어셈블리와 연결되어 사우나수를 발생시키며 그 발생된 사우나수를 터브 내로 분사시킨다. 거품제거 파이프는 순환 파이프에 연결되어 터브 내에서 발생되는 거품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거품 체크장치는 거품제거 파이프에 설치되어 체크된 거품의 양 신호를 출력시킨다. 컨트롤러는 거품체크장치의 출력 신호에 따라 거품이 과다할 경우에 상기 거품제거 파이프의 통로를 개방하고 거품이 과다하지 않을 경우에 거품제거 파이프의 통로를 폐쇄시킨다.
습식 사우나수, 드럼 세탁기, 거품제거장치, 거품제거방법.

Description

드럼 세탁기의 거품제거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A BUBBLE OF DRUM TYPE WASHING MACHIN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거품제거장치가 적용된 드럼 세탁기의 개략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드럼세탁기의 거품제거방법의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드럼 세탁기의 거품제거장치의 개략도;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드럼 세탁기의 거품제거방법의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캐비닛 4: 스프링
10: 세탁조 22: 세제박스
30: 순환 파이프 32: 히팅박스 어셈블리
34: 습식 사우나수 분사장치
36: 거품제거 파이프 38: 거품 체크장치
40: 컨트롤러
본 발명은 드럼 세탁기의 거품제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탈수행정시 거품이 발생되는지를 감지하고 거품이 완전히 제거된 상태에서 탈수가 수행되도록 하는 드럼 세탁기의 거품제거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전기를 이용해 기계적인 작용을 제공하여 의류에 묻은 때 등을 제거하는 기계로서, 드럼세탁기는 수평하게 설치되는 드럼 내에 세제와 세탁수 및 세탁물이 투입된 상태에서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드럼과 세탁물간의 마찰을 이용하여 세탁하는 것으로 세탁물의 손상이 거의 없고 세탁물이 서로 엉키지 않으며, 두드리고 비벼빠는 세탁 효과가 있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거품제거장치가 적용된 드럼 세탁기의 개략도로서, 캐비닛(2) 내측에 스프링(4)에 의해 매달리도록 설치되는 터브(6)와 상기 터브(6) 내측에 설치되어 세탁물의 세탁이 이루어지는 드럼(8)으로 이루어지는 세탁조(10)와, 상기 드럼(8)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일정 높이에서 세탁물이 중력에 의해 낙하될 수 있도록 상기 세탁물을 끌어올리는 리프터(12)와, 상기 터브(6)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드럼(8)을 회전시키는 모터(1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세탁조(10)내의 세탁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캐비닛(2)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터브(6) 내부로 세탁수 및 세제를 공급하는 급수호스(18) 및 급수밸브(20)와 세제박스(22)가 내장되며, 상기 터브(6)의 하부 일측에는 세탁수를 순환시키거나 배출시키는 배수펌프(24) 및 배수호스 (26)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드럼 세탁기의 헹굼 행정 완료시 세탁물내에 남아 있는 잔여세제성분으로 인해 탈수 행정 수행시 거품이 발생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탈수 행정시 발생되는 거품을 제거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드럼 세탁기의 거품제거방법은, 먼저 제 1 단계에서 탈수 행정 수행중 수위 주파수가 상승하였는지를 감지하게 된다(S1 및 S2).
제 2 단계는 상기 제 1 단계에서 수위 주파수가 상승된 경우 거품이 발생된 것을 판단하고 상기 세탁조(10)내에 남아있는 세탁수를 배수한다(S3).
제 3 단계는 상기 제 2 단계의 세탁수 배수 후 세탁수를 급수 후 설정 시간동안 탈수 행정을 중지한다(S4).
즉, 상기 세탁수 급수 후 거품이 제거될 동안 탈수 행정을 중지하는 것이다.
제 4 단계는 상기 제 3 단계의 설정 시간 경과후 설정 수위로 세탁수가 급수된다(S5).
제 5 단계는 상기 제 2 단계 내지 제 4 단계를 설정 횟수(n)동안 반복 수행하여 거품을 완전히 제거하게 된다(S6).
여기서, 상기 제 5 단계는 제 2 단계 내지 제 4 단계를 3 회 반복수행하여 거품을 제거하게 된다.
제 6 단계는 상기 제 5 단계의 설정 횟수(n)가 완료되면 탈수 행정이 재수행된다(S7).
제 7 단계는 상기 제 6 단계에서 탈수 행정이 재수행된 후 설정된 탈수 시간 이 경과하게 되면 탈수행정을 완료하게 된다(S8 및 S9).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드럼세탁기의 거품제거방법은 탈수 행정시 발생되는 거품을 제거하기 위하여 세탁수의 배수 및 급수과정과 설정 시간동안 정지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되므로 이로 인해 소모되는 에너지가 증가하게 되고, 상기 배수, 급수 및 정지과정의 반복 수행후에도 세탁물내에 잔여세제성분이 남아 있을 수 있어 사용자가 상기 세탁물을 착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건강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우나수를 분사시켜 거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드럼 세탁기의 거품제거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캐비닛 내측에 스프링에 의해 매달리도록 설치되는 터브 및 상기 터브 내측에 설치되어 세탁물의 세탁이 이루어지는 드럼이 구비되는 드럼세탁기의 거품제거장치로서,
상기 터브의 저부에 일단이 연결되어 세탁수의 연결 통로가 되는 순환 파이프;
상기 순환 파이프의 자유단부에 연결되어 세탁수를 가열시키는 히팅박스 어셈블리;
상기 히팅박스 어셈블리와 연결되어 사우나수를 발생시키며 그 발생된 사우나수를 상기 터브 내로 분사시키는 습식사우나수 분사장치;
상기 순환 파이프에 연결되어 상기 터브 내에서 발생되는 거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거품제거 파이프;
상기 거품제거 파이프에 설치되어 체크된 거품의 양 신호를 출력시키는 거품 체크장치; 및
상기 거품제거 파이프의 통로를 개폐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의 거품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품체크장치는 센서이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헹굼행정 완료시 세탁수 배수 후 탈수행정이 수행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의 탈수행정 수행중 거품 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거품 수위의 과다 여부가 판단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에서 상기 거품 수위가 과다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탈수 행정이 정지되고 세탁조내로 습식 사우나수가 급수되는 제 3 단계;
상기 제 3 단계의 습식 사우나수 급수 후 상기 거품 수위의 과다 여부가 판단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제 4 단계의 거품 수위가 설정치 이상인 경우 추가 헹굼행정이 수행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의 거품제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3 단계는 탈수 행정이 정지되는 제 1 과정; 탈수 행정이 정지된 후 습식 사우나수가 급수되는 제 2 과정; 습식 사우나수가 급수된 후 잔여세제가 상기 세탁수에 용해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감소되도록 드럼을 회전시키는 제 3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제 2 단계에의 거품 수위가 과다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설정된 탈수시간 경과후 탈수행정이 종료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5 단계는 상기 거품 수위가 설정치 이상인 경우 탈수행정이 재수행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드럼 세탁기의 거품제거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드럼 세탁기의 거품제거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도 3에서는 본 발명의 거품제거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불필요한 부분을 생략하여 나타내었고, 하기에서는 도 1과 연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드럼 세탁기는 터브(6)와 드럼(8)을 포함하는 세탁조(10)를 구비한다. 터브(6)는 캐비닛(2) 내측에 스프링(4)에 의해 매달리도록 설치된다. 드럼(8)은 터브(6) 내측에 설치되어 세탁물이 투입되는 것으로서, 터브(6) 내부에서 회전 반복된다. 리프터(12)는 드럼(8)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일정 높이에서 세탁물이 중력에 의해 낙하될 수 있도록 상기 세탁물을 끌어올린다. 모터(14)는 터브(6)의 일측에 장착되어 드럼(8)을 회전시킨다. 수위감지센서는 세탁조(10) 내의 세탁수 수위를 감지한다(다시 도 1 참조).
순환 파이프(30)는 터브(6)의 저부에 일단이 연결되어 세탁수의 연결 통로가 된다.
히팅박스 어셈블리(32)는 순환 파이프(30)의 자유단부에 연결되어 세탁수를 가열시킨다.
습식 사우나수 분사장치(34)는 히팅박스 어셈블리(32)와 연결되어 사우나수를 발생시키며 그 발생된 사우나수를 터브(6) 내로 분사시킨다.
거품제거 파이프(36)는 순환 파이프(30)에 연결되어 터브(6) 내에서 발생되는 거품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센서 및 부표와 같은 거품 체크장치(38)는 거품제거 파이프(36)에 설치되어 체크된 거품의 양 신호를 출력시킨다. 가령, 센서를 이용한 거품 체크장치(38)는 두 개의 센서를 설치한 후 거품에 의해 하나의 센서로부터 다른 센서에 이르기까지 거품이 채워졌을 때 통전되어 거품이 과다하다는 출력 신호를 내보낸다. 또한 부표를 이용한 거품 체크장치(38)는 거품에 의해 부표가 소정의 수위만큼 떠오를 경우 거품이 과다하다는 출력 신호를 내보낸다.
컨트롤러(40)는 거품 체크장치(38)의 출력 신호에 따라 거품이 과다할 경우에 상기 거품제거 파이프(36)의 통로를 개방하고 거품이 과다하지 않을 경우에 거품제거 파이프(36)의 통로를 폐쇄시킨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습식 사우나수를 이용한 드럼 세탁기의 거품제거장치의 작용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기술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습식 사우나수를 이용한 드럼 세탁기의 거품제거방법의 순서도를 보여준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제 1 단계에서 헹굼 행정의 완료시 헹굼수 배수 후 탈수 행정이 수행된다(S221).
제 2 단계는 상기 제 1 단계의 탈수 행정 수행 중 상기에서 설명된 거품 체크장치(38)에서 감지되는 수위 주파수의 상승여부를 판단한다. 이와 같이 감지된 수위 주파수가 상승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세탁조(10)내에 거품이 과다하게 발생된 것으로 판단한다(S222).
제 3 단계는 제 2 단계에서 거품 수위가 과다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탈수 행정이 정지되고 습식 사우나수 분사장치(34)가 구동되어 세탁조(10) 내로 습식 사우나수가 급수된다.
제 3 단계는 탈수 행정이 정지되는 제 1 과정(S223), 탈수 행정이 정지된 후 급수밸브(20)가 온되어 세탁조(10)로 설정 수위의 습식 사우나수가 급수되는 제 2 과정(S224), 습식 사우나수가 설정 수위로 급수 완료된 후 세탁물에 포함된 잔여세제성분이 세탁수에 용해되는데 소용되는 시간이 감소되도록 드럼(8)을 설정 횟수동안 좌우로 회전시키는 제 3 과정(S225)을 포함한다.
삭제
삭제
제 4 단계는 상기 제 3 단계의 드럼(8) 회전 후 상기 세탁수에 포함된 거품의 과다 여부를 판단한다(S226).
제 5 단계는 상기 제 4 단계에서 감지된 거품이 설정치 이상인 경우 상기 추가 헹굼 행정을 수행하도록 한다(S227).
제 5 단계에는 추가 헹굼 행정을 수행한 후, 탈수 행정이 재수행되는 과정(S228)을 더 포함한다.
탈수 행정이 재수행되는 동안, 탈수 행정이 설정된 탈수 시간이 경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229), 탈수 시간이 경과하면 탈수행정이 완료된다(S230).
한편, 제 3 단계는 제 2 단계에서 거품 수위가 과다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탈수시간 경과 후 탈수행정이 완료되는 과정(S229,S230)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드럼 세탁기의 거품제거장치 및 거품 제거방법은 순환 파이프에 연결되어 터브 내에서 발생되는 거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거품제거 파이프가 구비되고, 거품제거 파이프에 설치되어 체크된 거품의 양 신호를 출력시키는 거품 체크장치가 구비되며, 거품체크장치의 출력 신호에 따라 거품이 과다할 경우에 상기 거품제거 파이프의 통로를 개방하고 거품이 과다하지 않을 경우에 거품제거 파이프의 통로를 폐쇄시키는 컨트롤러가 구비됨으로써, 세탁물에 의해 터브 내에 발생된 거품을 제거하기 위해 습식사우나 분사장치를 이용하여 사우나수를 분사시켜 주어 세제 용해도가 크게 향상되는 것은 물론 발생된 거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발명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상기한 실시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통상의 지식의 범위 내에서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하다.

Claims (6)

  1. 캐비닛 내측에 설치되는 터브 및 상기 터브 내측에 설치되어 세탁물의 세탁이 이루어지는 드럼이 구비되는 드럼세탁기의 거품제거장치로서,
    상기 터브의 저부에 일단이 연결되어 세탁수의 연결 통로가 되는 순환 파이프;
    상기 순환 파이프의 자유단부에 연결되어 세탁수를 가열시키는 히팅박스 어셈블리;
    상기 히팅박스 어셈블리와 연결되어 사우나수를 발생시키며 그 발생된 사우나수를 상기 터브 내로 분사시키는 습식사우나수 분사장치;
    상기 순환 파이프에 연결되어 상기 터브 내에서 발생되는 거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거품제거 파이프;
    상기 거품제거 파이프에 설치되어 체크된 거품의 양 신호를 출력시키는 거품 체크장치; 및
    상기 거품제거 파이프의 통로를 개폐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의 거품제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품체크장치는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의 거품제거장치.
  3. 헹굼행정 완료시 세탁수 배수 후 탈수행정이 수행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의 탈수행정 수행중 거품 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거품 수위의 과다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에서 상기 거품 수위가 과다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탈수 행정이 정지되고 세탁조내로 습식 사우나수가 급수되는 제 3 단계;
    상기 제 3 단계의 습식 사우나수 급수 후 상기 거품 수위의 과다 여부를 판단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제 4 단계의 거품 수위가 설정치 이상인 경우 추가 헹굼행정이 수행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의 거품제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탈수 행정이 정지되는 제 1 과정; 탈수 행정이 정지된 후 습식 사우나수가 급수되는 제 2 과정; 습식 사우나수가 급수된 후 잔여세제가 상기 세탁수에 용해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감소되도록 드럼을 회전시키는 제 3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의 거품제거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제 2 단계에의 거품 수위가 과다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설정된 탈수시간 경과후 탈수행정이 종료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의 거품제거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는 상기 거품 수위가 설정치 이상인 경우 탈수행정이 재수행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의 거품제거방법.
KR1020050064282A 2005-07-15 2005-07-15 드럼 세탁기의 거품제거장치 및 방법 KR101202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4282A KR101202747B1 (ko) 2005-07-15 2005-07-15 드럼 세탁기의 거품제거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4282A KR101202747B1 (ko) 2005-07-15 2005-07-15 드럼 세탁기의 거품제거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9192A KR20070009192A (ko) 2007-01-18
KR101202747B1 true KR101202747B1 (ko) 2012-11-19

Family

ID=38011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4282A KR101202747B1 (ko) 2005-07-15 2005-07-15 드럼 세탁기의 거품제거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27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97245B (zh) * 2018-11-19 2022-05-06 青岛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一种洗衣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392A (ja) 1997-06-30 1999-01-26 Sharp Corp 全自動洗濯機
KR100284022B1 (ko) 1994-12-06 2001-03-02 마찌다 가쯔히꼬 드럼식 세탁기 및 건조기
JP2005013577A (ja) 2003-06-27 2005-01-20 Toshiba Corp ドラム式洗濯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4022B1 (ko) 1994-12-06 2001-03-02 마찌다 가쯔히꼬 드럼식 세탁기 및 건조기
JPH1119392A (ja) 1997-06-30 1999-01-26 Sharp Corp 全自動洗濯機
JP2005013577A (ja) 2003-06-27 2005-01-20 Toshiba Corp ドラム式洗濯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9192A (ko) 2007-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5555B1 (ko) 세탁기 및 그 거품제거방법
CN107059354B (zh) 一种检测及消除泡沫的方法及采用该方法的洗衣机
US9169592B2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2189567A1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2170694A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1202747B1 (ko) 드럼 세탁기의 거품제거장치 및 방법
JP2012000355A (ja) 食器洗い機
JP2013123555A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13090736A (ja) 洗濯機
KR20090079496A (ko) 세탁기의 탈수 제어방법
KR100479096B1 (ko) 드럼 세탁기의 거품제거방법
KR100730941B1 (ko) 드럼 세탁기의 거품 제거 장치 및 거품 제거 방법.
KR0152462B1 (ko) 세탁기의 세제거품제거방법
KR101447150B1 (ko) 세탁기 및 그 헹굼 제어방법
KR950012727B1 (ko) 세탁기의 세제 자동 투입장치 및 방법
KR101165013B1 (ko) 드럼 세탁기의 세제 용해 방법
KR100492319B1 (ko) 세탁기의 급수 제어 방법
KR20070064002A (ko) 드럼세탁기용 급수장치
KR102320897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165015B1 (ko) 드럼세탁기의 걸레세탁 방법
JP2017153517A (ja) 洗濯機
KR100239565B1 (ko) 세탁기의 운전 제어방법
KR20040011221A (ko) 드럼세탁기의 거품제거방법
JP2006314501A (ja) 食器洗い機
KR101636081B1 (ko) 세탁기의 세탁수 급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