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2957A - 세탁기 및 그 헹굼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세탁기 및 그 헹굼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2957A
KR20090082957A KR1020080008846A KR20080008846A KR20090082957A KR 20090082957 A KR20090082957 A KR 20090082957A KR 1020080008846 A KR1020080008846 A KR 1020080008846A KR 20080008846 A KR20080008846 A KR 20080008846A KR 20090082957 A KR20090082957 A KR 200900829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sing
water
rinse
last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8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7150B1 (ko
Inventor
임태희
김주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8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7150B1/ko
Publication of KR20090082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29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7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7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rins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2Water supp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지막 헹굼의 헹굼 프로파일을 변경하여 헹굼 성능을 향상시키는 세탁기 및 그 헹굼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포를 수용하는 드럼과, 이 드럼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구비한 세탁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마지막 헹굼인가 판단하고; 상기 마지막 헹굼인 경우 상기 모터를 정지하여 헹굼수를 급수하고; 및 상기 모터 운전율을 미리 정해진 모터 운전율보다 감소시켜 헹굼을 진행하는 것;을 포함하여 헹굼 후 배수되는 물을 투명하게 함으로서 사용자가 느끼는 헹굼 성능의 가시적인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세탁기 및 그 헹굼 제어방법{Washing machine and method to control rinse thereof}
본 발명은 세탁기 및 그 헹굼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지막 헹굼의 헹굼 프로파일을 변경하여 헹굼 성능을 향상시키는 세탁기 및 그 헹굼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통상, 드럼세탁기)는 물(세탁수 또는 헹굼수)의 담수를 위한 수조와, 이 수조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포(이하, 포라 한다)를 수용하는 드럼과, 이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모터를 포함하여 원통형의 드럼이 회전할 때 그 내부의 포가 드럼 내벽을 따라 상승하였다가 낙하하는 동작을 통해 세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세탁기는 세제가 용해된 물(구체적으로, 세탁수)로 포의 오염을 분리해내는 세탁 행정과, 세제가 포함되지 않은 물(구체적으로, 헹굼수)로 포의 거품이나 잔류 세제를 헹구어 주는 헹굼 행정과, 포를 탈수시키는 탈수 행정 등의 일련의 동작으로 세탁을 진행한다. 상기의 행정들 중 헹굼 행정은 낙차를 이용하여 헹굼하는 속도(약 30~50RPM)로 드럼을 교반 회전하면서 물(구체적으로, 헹굼수)을 급수한 후 일정시간 동안 포의 낙차가 발생하도록 하는 속도(약 30~50RPM)로 드럼을 교반 회전하여 물을 포에 접촉하고 낙하시키는 힘에 의해 헹굼을 진행한다. 이러한 헹굼 행정은 정해진 기본 헹굼 시간(약 2~3분)을 가지고 정해진 횟수(또는 사용자가 선택한 횟수)동안 반복된다.
그런데, 종래 세탁기는 헹굼 행정을 통해 이루어진 포의 헹굼 성능이 좋더라도 마지막 헹굼 후 배수되는 물(최종 배수액)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불투명하여 사용자가 느끼는 헹굼 성능의 만족도가 크게 떨어진다. 이는 헹굼 시 발생하는 물(구체적으로, 헹굼수)의 유동으로 세제 거품이나 포에서 빠져 나온 이물질 등이 물 속에 부유함에 따라 발생되는 현상으로 사용자 입장에서는 헹굼이 제대로 되지 않았다고 인식할 수 있어 헹굼 성능에 대한 사용자의 불만족을 야기하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마지막 헹굼의 급수 시 모터를 정지시키는 정지 급수로 물(구체적으로, 헹굼수)의 유동을 줄임으로서 헹굼 후 배수되는 물을 투명하게 하는 세탁기 및 그 헹굼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마지막 헹굼 시 모터 운전율과 헹굼 시간 및 헹굼 수량을 일반 헹굼에 비해 감소시켜 물의 유동을 최대한으로 줄여 줌으로서 헹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세탁기 및 그 헹굼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마지막 헹굼 시 일정수량의 물을 도어 측으로 급수하여 도어의 거품을 제거하는 세탁기 및 그 헹굼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포를 수용하는 드럼과, 이 드럼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구비한 세탁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마지막 헹굼인가 판단하고; 상기 마지막 헹굼인 경우 상기 모터를 정지하여 헹굼수를 급수하고; 및 상기 모터 운전율을 미리 정해진 모터 운전율보다 감소시켜 헹굼을 진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헹굼수를 급수하는 것은, 상기 헹굼수를 상기 포가 투입되는 도어 측으로 급수하는 제1급수동작; 및 상기 헹굼수를 상기 드럼 측으로 급수하는 제2급수동작;을 포함한다.
상기 마지막 헹굼 시 급수되는 헹굼 수량은 상기 마지막 헹굼 이전의 헹굼 수량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포를 수용하는 드럼과, 이 드럼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구비한 세탁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마지막 헹굼인가 판단하고; 및 상기 마지막 헹굼인 경우 상기 모터 운전율을 미리 정해진 모터 운전율보다 감소시켜 헹굼을 진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정해진 모터 운전율은 상기 마지막 헹굼 이전의 일반 헹굼 모터 운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헹굼을 진행하는 시간은 상기 마지막 헹굼 이전의 헹굼 시간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세탁기는 포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모터; 및 마지막 헹굼인 경우 상기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모터 운전율을 미리 정해진 모터 운전율보다 감소시켜 헹굼을 진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정해진 모터 운전율은 상기 마지막 헹굼 이전의 일반 헹굼 모터 운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지막 헹굼의 헹굼 시간을 상기 마지막 헹굼 이전의 헹굼 시간보다 짧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세탁기는 물을 급수하는 급수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지막 헹굼인 경우 상기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드럼을 정지시키고, 상기 급수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드럼의 정지 중에 상기 물을 급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지막 헹굼의 헹굼 수량을 상기 마지막 헹굼 이전의 헹굼 수량보다 작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세탁기 및 그 헹굼 제어방법은 마지막 헹굼의 급수 시 모터를 정지시키는 정지 급수로 물의 유동을 줄이고, 이어지는 급수 후 헹굼에서 모터 운전율과 헹굼 시간, 헹굼 수량을 감소시켜 물의 유동을 최대한으로 줄여 줌으로서 헹굼 후 배수되는 물을 투명하게 하여 사용자가 느끼는 헹굼 성능의 가시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탁기 및 그 헹굼 제어방법은 헹굼 급수 시 일정수량의 물을 도어 측으로 급수하여 도어의 거품을 제거해 줌으로서 헹굼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구성을 나타낸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2에서, 본 발명의 세탁기는 물(세탁수 또는 헹굼수)의 담수를 위해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드럼형의 수조(11)와, 수조(1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통형의 드럼(12)을 포함하며, 수조(11)와 드럼(12)의 전방에는 드럼(12)의 내부로 포를 넣거나 내부의 포를 꺼낼 수 있도록 개구(13)가 형성된 도어(14)가 설치된다.
수조(11)의 상부에는 세제를 공급하기 위한 세제공급장치(19)와, 물(세탁수 또는 헹굼수)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장치(20)가 설치된다.
세제공급장치(19)는 내부가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각 공간에 세제 및 헹굼제를 투입하기 용이하도록 본체(10)의 전면부 쪽에 설치된다.
또한, 급수장치(20)는 수조(11) 내부로 물(세탁수 또는 헹굼수)을 공급하기 위해 도시되지 않은 외부의 수도관과 세제공급장치(19) 사이를 연결하는 제1급수관(22), 세제공급장치(19)와 수조(11) 사이를 연결하는 제2급수관(23), 제1급수관(22)의 일측에 설치되어 급수를 제어하는 메인 급수밸브(24;이하, 제1급수밸브라 한다)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은 수조(11)의 내부로 공급되는 물이 세제공급장치(19)를 경유하도록 함으로서 세제공급장치(19) 내부의 세제가 물과 함께 수조(11)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급수장치(20)는 도어(14) 측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제3급수관(25), 제3급수관(25)의 출구에 설치된 급수노즐(26), 제3급수관(25)의 일측에 설치되어 급수를 제어하는 프리 급수밸브(27;이하, 제2급수밸브라 한다), 제3급수관(25)과 세제공급장치(19) 사이를 연결하는 제4급수관(28)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은 세탁 또는 헹굼 시 일정수량(예를 들어, 리셋수위)의 물을 도어(14) 측으로 공급하여 도어(14)의 거품이 제거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수조(11)의 하부에는 세탁, 헹굼 및 탈수 행정을 수행하도록 드럼(12)을 회전시키는 모터(30)와, 수조(11) 내부의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장치(40)가 설치된다. 배수장치(40)는 수조(11)의 물을 외부로 안내하는 배수관(41)과, 이 배수관(41)에 설치되는 배수펌프(42)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헹굼 제어 구성도로서, 입력부(50), 수위감지부(52), 온도감지부(54), 제어부(56) 및 구동부(5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입력부(50)는 사용자가 선택하는 세탁코스와 세탁온도, 탈수RPM, 헹굼 추가 등의 운전정보를 제어부(56)에 입력하고, 수위감지부(52)는 수조(11)에 급수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며, 온도감지부(54)는 수조(11)에 급수된 물의 온도를 감지한다.
제어부(56)는 입력부(50)로부터 입력된 운전정보에 따라 세탁기를 제어하는 마이컴으로서, 선택된 세탁코스에서 부하량(포의 무게)에 따라 정해진 헹굼 수량, 모터RPM과 모터 운전율(모터 온-오프시간), 헹굼 시간을 저장하고 있으며, 마지막 헹굼의 급수와 급수 후 마지막 헹굼 행정에서 모터 운전율과 헹굼 시간, 헹굼 수량을 감소시켜 헹굼 후 배수되는 물이 투명해지도록 모터(30) 및 급수장치(20)의 동 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56)는 헹굼의 급수 시작 시 일정수량의 물이 도어(14) 측으로 공급되어 도어(14)의 거품을 제거하도록 급수장치(20)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동부(58)는 제어부(56)의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제1 및 제2급수밸브(24,27), 모터(30), 배수펌프(42) 등을 구동시킨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세탁기 및 그 헹굼 제어방법의 동작과정 및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헹굼 제어 동작순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포의 헹굼(전체 헹굼 횟수가 3회 이상 선택된 경우)을 진행하는 데에 있어 마지막 헹굼 후 배수되는 물이 투명해지도록 헹굼 프로파일을 변경하는 헹굼 행정에 관한 것으로, 물과 세제의 투입으로 세탁 행정을 진행하는 과정은 일반적인 세탁기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드럼(12)의 내부에 포를 넣고 사용자가 포의 종류에 따라 세탁코스와 탈수RPM, 헹굼 추가 등의 운전정보를 선택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운전정보가 입력부(50)를 통해 제어부(56)에 입력된다.
따라서, 제어부(56)는 입력부(50)로부터 입력된 운전정보에 따라 세탁 및 헹굼을 진행하기 시작하는데, 먼저 헹굼 행정인가를 판단한다(100).
헹굼 행정이면, 제어부(56)는 드럼(12)에 투입된 부하량(포의 무게)을 감지하여 감지된 부하량에 따라 헹굼을 위한 헹굼 수량과 모터 운전율(모터 온-오프시 간), 헹굼 시간 등을 설정하고 첫 번째 헹굼인가를 판단한다(102).
단계 102의 판단결과, 첫 번째 헹굼인 경우 제어부(56)는 설정된 헹굼 수량(약 22ℓ)을 공급하기 위해 급수장치(20)를 동작시킴으로써 제1급수밸브(24)가 열리면서 물(헹굼수)이 제1 및 제2급수관(22,23)을 거쳐 수조(11) 내부로 급수된다(104). 이때 제어부(56)는 헹굼 성능의 향상을 위해 낙차를 이용하여 헹굼하는 속도(약 30~50RPM)로 드럼(12)을 교반 회전하면서 헹굼수를 급수하는 교반 급수로 급수동작을 제어한다.
제1급수밸브(24)를 통한 교반 급수 시 수조(11)에 급수되는 수위를 수위감지부(52)에서 감지하여 미리 정해진 헹굼 수위(설정된 헹굼 수량에 따라 결정된 수위;예를 들어, 약 22ℓ)인가를 판단하여(106), 헹굼 수위가 아닌 경우 제1급수밸브(24)를 통해 급수동작을 계속한다.
단계 106의 판단결과, 헹굼 수위인 경우 제어부(56)는 헹굼수 급수를 중지하고(108), 정해진 모터 운전율(예를 들어, 10초 모터 온/7초 모터 오프)로 드럼(12)을 교반 회전시킴으로서 물을 포에 접촉하고 낙하시키는 힘에 의해 헹굼을 진행한다(110).
정해진 헹굼 시간(약, 2~3분) 동안 헹굼이 완료되면, 제어부(56)는 드럼(12)을 정지하고 헹굼수를 배수한 후 중간 탈수를 진행한다(112). 이어서 다음의 헹굼 진행을 위해 급수장치(20)를 동작시킴으로써 제2급수밸브(27)가 열리면서 물(헹굼수)이 제3급수관(25)을 거쳐 급수노즐(26)을 통해 도어(14) 측으로 급수된다(114). 이때에도 제어부(56)는 드럼(12)을 교반 회전하면서 헹굼수를 급수하는 교반 급수 로 급수동작을 제어한다.
제2급수밸브(27)를 통한 교반 급수 시 수조(11)에 급수되는 수위를 수위감지부(52)에서 감지하여 미리 정해진 리셋수위(도어의 거품을 제거하기 위한 수위;예를 들어, 약 3ℓ)인가를 판단하여(116), 리셋수위가 아닌 경우 제2급수밸브(27)를 통해 급수동작을 계속한다.
단계 116의 판단결과, 리셋수위인 경우 제어부(56)는 제2급수밸브(27)를 통한 급수동작을 중지하고 제1급수밸브(24)를 개방하여 헹굼수가 제1 및 제2급수관(22,23)을 거쳐 수조(11) 내부로 급수되도록 하는 교반 급수동작을 제어한다(118).
이후, 제어부(56)는 제1 및 제2급수밸브(24,27)를 통해 급수된 헹굼수가 미리 정해진 헹굼 수위에 도달하였는가를 판단하여(120), 헹굼 수위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제1급수밸브(24)를 통해 급수동작을 계속한다.
단계 120의 판단결과, 헹굼 수위에 도달한 경우 제어부(56)는 헹굼수 급수를 중지하고(122), 정해진 모터 운전율(예를 들어, 10초 모터 온/7초 모터 오프)로 드럼(12)을 교반 회전시킴으로서 물을 포에 접촉하고 낙하시키는 힘에 의해 헹굼을 진행한다(124).
정해진 헹굼 시간 동안 헹굼이 완료되면, 제어부(56)는 드럼(12)을 정지하고 헹굼수를 배수한 후 중간 탈수를 진행한다(126). 이어서 다음의 헹굼 진행을 위해 마지막 헹굼인가를 판단하여(128), 마지막 헹굼이 아닌 경우 단계 114로 피드백하여 이후의 동작을 진행한다.
단계 128의 판단결과, 마지막 헹굼인 경우 제어부(56)는 설정된 마지막 헹굼 수량(약 13ℓ)을 공급하기 위해 급수장치(20)를 동작시킴으로써 제2급수밸브(27)가 열리면서 헹굼수가 제3급수관(25)을 거쳐 급수노즐(26)을 통해 도어(14) 측으로 급수된다(130). 이때 제어부(56)는 물의 유동을 줄이기 위해 모터 운전율을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0초 모터 온/0초 모터 오프로 하여 드럼(12)을 정지시키는 정지 급수로 급수동작을 제어한다.
이후, 제어부(56)는 제2급수밸브(27)를 통해 급수된 헹굼수가 미리 정해진 리셋수위에 도달하였는가를 판단하여(132), 리셋수위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제2급수밸브(27)를 통해 급수동작을 계속한다.
단계 132의 판단결과, 리셋수위에 도달한 경우 제2급수밸브(27)를 통한 급수동작을 중지하고 제1급수밸브(24)를 개방하여 헹굼수가 제1 및 제2급수관(22,23)을 거쳐 수조(11) 내부로 급수되도록 하는 정지 급수동작을 제어한다(134).
이후, 제어부(56)는 제1 및 제2급수밸브(24,27)를 통해 급수된 헹굼수가 미리 정해진 마지막 헹굼 수위(설정된 마지막 헹굼 수량에 따라 결정된 수위로 일반 헹굼에 비해 적은 수량;예를 들어, 약 13ℓ)에 도달하였는가를 판단하여(136), 마지막 헹굼 수위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제1급수밸브(24)를 통해 급수동작을 계속한다.
단계 136의 판단결과, 마지막 헹굼 수위에 도달한 경우 제어부(56)는 헹굼수 급수를 중지하고(138), 마지막 헹굼의 모터 운전율(예를 들어, 10초 모터 온/10초 모터 오프)을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 헹굼의 모터 운전율(10초 모터 온/7 초 모터 오프)에 비해 감소시켜 드럼(12)을 교반 회전시킴으로서 마지막 헹굼을 진행한다(140).
마지막 헹굼의 모터 운전율을 일반 헹굼에 비해 감소시키는 이유는, 마지막 헹굼 시 모터 운전율을 감소하여 물의 유동을 최대한 줄임으로서 헹굼 후 배수되는 물을 투명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사용자가 느끼는 헹굼 성능의 가시적인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이후, 제어부(56)는 정해진 마지막 헹굼 시간(일반 헹굼 시간에 비해 적은 시간;약 1분)이 경과하였는가를 판단하여(142), 마지막 헹굼 시간 동안 헹굼이 완료되면, 드럼(12)을 정지하고 헹굼수를 배수한다(144).
마지막 헹굼의 헹굼 시간(약 1분)을 일반 헹굼의 헹굼 시간(약 2~3분)에 비해 감소시키는 이유는, 마지막 헹굼 시 모터 운전율과 마찬가지로 헹굼 시간을 감소하여 물의 유동을 최대한으로 줄이기 위함이다.
마지막 헹굼의 배수 후 제어부(56)는 설정된 최종 탈수RPM(약 1100RPM 이상)로 탈수를 진행한 후(146) 드럼(12)을 정지하고 동작을 종료한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은 마지막 헹굼의 급수 시 모터 운전율을 0/0로 하는 정지 급수로 물의 유동을 줄이면서 일정수량(리셋수위)의 물을 도어(14) 측으로 급수하여 도어(14)의 거품을 제거하고, 전체적인 헹굼 수량을 감소시켜 도어(14) 측으로 거품이 관찰되지 않게 한다. 또한 마지막 헹굼의 진행 시 모터 운전율과 헹굼 시간을 일반 헹굼에 비해 감소시켜 물의 유동을 최대한으로 줄여 줌으로서 마지막 헹굼 후 배수되는 물의 투명도를 높여 줌은 물론, 전기전도도를 향상시켜 전체적으 로 헹굼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헹굼 행정을 통해 마지막 헹굼 후 배수되는 물(최종 배수액)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1에 비해 투명도가 현저히 높음을 알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헹굼 행정을 통해 마지막 헹굼 후 배수되는 물(최종 배수액)과 공급되는 물(수도수)의 전기전도도 차이를 확인해 본 결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에 비해 전기전도도 값이 현저히 작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마지막 헹굼을 3번째 헹굼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예를 들어, 4회 이상)의 헹굼에서 마지막으로 진행되는 헹굼을 마지막 헹굼으로 설정함으로서 최종 배수되는 물의 투명도를 높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 헹굼 행정을 통해 마지막 헹굼 후 배수되는 물(최종 배수액)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헹굼 제어 구성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헹굼 제어 동작순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마지막 헹굼 프로파일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헹굼 행정을 통해 마지막 헹굼 후 배수되는 물(최종 배수액)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마지막 헹굼 후 배수되는 물(최종 배수액)과 공급되는 물(수도수)의 전기전도도 차이를 나타낸 표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수조 12 : 드럼
14 : 도어 20 : 급수장치
24,27 : 급수밸브 22,23,25,28 : 급수관
30 : 모터 40 : 배수장치
50 : 입력부 52 : 수위감지부
56 : 제어부

Claims (11)

  1. 포를 수용하는 드럼과, 이 드럼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구비한 세탁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마지막 헹굼인가 판단하고;
    상기 마지막 헹굼인 경우 상기 모터를 정지하여 헹굼수를 급수하고; 및
    상기 모터 운전율을 미리 정해진 모터 운전율보다 감소시켜 헹굼을 진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세탁기의 헹굼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헹굼수를 급수하는 것은,
    상기 헹굼수를 상기 포가 투입되는 도어 측으로 급수하는 제1급수동작; 및
    상기 헹굼수를 상기 드럼 측으로 급수하는 제2급수동작;을 포함하는 세탁기의 헹굼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지막 헹굼 시 급수되는 헹굼 수량은 상기 마지막 헹굼 이전의 헹굼 수량보다 작은 세탁기의 헹굼 제어방법.
  4. 포를 수용하는 드럼과, 이 드럼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구비한 세탁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마지막 헹굼인가 판단하고; 및
    상기 마지막 헹굼인 경우 상기 모터 운전율을 미리 정해진 모터 운전율보다 감소시켜 헹굼을 진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세탁기의 헹굼 제어방법.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해진 모터 운전율은 상기 마지막 헹굼 이전의 일반 헹굼 모터 운전율인 세탁기의 헹굼 제어방법.
  6.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헹굼을 진행하는 시간은 상기 마지막 헹굼 이전의 헹굼 시간보다 짧은 세탁기의 헹굼 제어방법.
  7. 포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모터; 및
    마지막 헹굼인 경우 상기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모터 운전율을 미리 정해진 모터 운전율보다 감소시켜 헹굼을 진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세탁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해진 모터 운전율은 상기 마지막 헹굼 이전의 일반 헹굼 모터 운전율 인 세탁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지막 헹굼의 헹굼 시간을 상기 마지막 헹굼 이전의 헹굼 시간보다 짧게 설정하는 세탁기.
  10. 제7항에 있어서,
    물을 급수하는 급수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지막 헹굼인 경우 상기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드럼을 정지시키고, 상기 급수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드럼의 정지 중에 상기 물을 급수하는 세탁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지막 헹굼의 헹굼 수량을 상기 마지막 헹굼 이전의 헹굼 수량보다 작게 설정하는 세탁기.
KR1020080008846A 2008-01-29 2008-01-29 세탁기 및 그 헹굼 제어방법 KR1014471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8846A KR101447150B1 (ko) 2008-01-29 2008-01-29 세탁기 및 그 헹굼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8846A KR101447150B1 (ko) 2008-01-29 2008-01-29 세탁기 및 그 헹굼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2957A true KR20090082957A (ko) 2009-08-03
KR101447150B1 KR101447150B1 (ko) 2014-10-08

Family

ID=41203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8846A KR101447150B1 (ko) 2008-01-29 2008-01-29 세탁기 및 그 헹굼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71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14012B1 (en) * 2016-01-22 2017-07-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ower source element replacement during vehicle operation
US9828093B2 (en) * 2015-05-27 2017-11-28 First Principles, Inc. System for recharging remotely controlled aerial vehicle, charging station and rechargeable remotely controlled aerial vehicle, and method of use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0069B2 (ja) * 1986-04-14 1995-10-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洗濯機の制御装置
KR20030090086A (ko) * 2002-05-21 2003-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의 헹굼 제어방법
KR100751759B1 (ko) * 2004-08-09 2007-08-2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드럼세탁기의 급수장치
KR20060089300A (ko) * 2005-02-03 2006-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세탁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28093B2 (en) * 2015-05-27 2017-11-28 First Principles, Inc. System for recharging remotely controlled aerial vehicle, charging station and rechargeable remotely controlled aerial vehicle, and method of use thereof
US9714012B1 (en) * 2016-01-22 2017-07-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ower source element replacement during vehicle operation
US10583814B2 (en) 2016-01-22 2020-03-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ower source element replacement during vehicle ope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7150B1 (ko) 2014-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63563B1 (en) Method for cleaning a tub in a washing machine
US8695139B2 (en) Washing machine including a bubble gen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169592B2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RU2005136643A (ru)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и используемый в ней способ удаления пены
AU2005330965A1 (en) Method for cleaning a tub in a washing machine
KR101457163B1 (ko) 세탁기 및 그 헹굼 제어방법
JP2006297059A (ja) すすぎ剤投入装置を有する洗濯機及びその制御方法
EP2904140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laundry washing machine and laundry washing machine
JP2008055016A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18114212A (ja) 洗濯機
KR20090082957A (ko) 세탁기 및 그 헹굼 제어방법
KR20090079496A (ko) 세탁기의 탈수 제어방법
JP3421647B2 (ja) 洗濯機
EP2192223A2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90120575A (ko) 세탁기의 제어 방법
KR100242494B1 (ko) 최적 헹굼이 가능한 전자동 세탁기
JP6259995B2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1447151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70860A (ko) 드럼세탁기의 거품제거방법
KR101466333B1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KR20000031640A (ko) 세탁기의 세탁물 구김 방지방법
KR101496914B1 (ko) 세탁기의 제어 방법
JP3433176B2 (ja) 洗濯機
JP2016112090A (ja) ドラム式洗濯機
KR20100071197A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