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4309A -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를 포함하는 가전기기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를 포함하는 가전기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4309A
KR20090114309A KR1020090036630A KR20090036630A KR20090114309A KR 20090114309 A KR20090114309 A KR 20090114309A KR 1020090036630 A KR1020090036630 A KR 1020090036630A KR 20090036630 A KR20090036630 A KR 20090036630A KR 20090114309 A KR20090114309 A KR 200901143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ignal
sound
product information
home appli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6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9643B1 (ko
Inventor
박형준
강해용
김영수
전시문
이군석
김용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90114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4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9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9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07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remote contro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가전기기는 제품정보를 음향신호로 변환시켜 음으로 외부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가전기기시스템은 상기 음을 전송받아 상기 음향신호로 변환한 후에 상기 음향신호를 상기 제품정보로 역변환하여 판독한다. 따라서 상기 가전기기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음으로 상기 음향신호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전기기시스템은 상기 음을 통신망을 통하여 전송받으므로 용이하게 상기 음을 관리장치까지 전송하여 상기 제품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를 포함하는 가전기기시스템{Home appliance and home appliance system}
본 발명은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를 포함하는 가전기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상기 가전기기의 제품정보를 소리음으로 외부로 출력하는 가전기기와, 상기 가전기기를 포함하는 가전기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가전기기의 고장시 서비스 센터에 접촉하여 수리자가 직접 방문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종래에 수리자가 직접 방문하는 것은 비용이 과다하게 발생하고 사전정보가 없어 수리를 함에 있어서 대응이 용이하지 않았다. 이후, 기술의 발달로 전화망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고장정보 등을 원격으로 진단하는 기술로 발전하였다.
한편, 출원번호 EP0510519에는 가전기기의 고장정보를 상기 가전기기에 연결된 모뎀을 통하여 전화망을 이용하여 서비스센터로 전달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으나, 이 경우 상기 가전기기에는 상시 모뎀이 연결되어있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세탁물 처리기기와 같은 가전기기는 실외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인바, 상기 세탁물 처리기기와 전화망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장소적인 제약이 있었다.
특허등록번호 US5987105에는 전화망을 이용하여 가전기기의 고장정보를 가청주파수대의 음으로 변환하고 이를 전화기를 통하여 서비스센터 등에 전송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가전기기의 고장정보가 가청주파수대의 음으로 변환된 후, 이를 다시 전화기의 수화기로 전달하는 과정에서, 주변환경에 따라 신호 간섭이 생길 수도 있으며, 또한 상기 음이 전화망을 통하여 전송되는 과정에 있어서, 전화망의 특성에 따라 데이터의 손실이 발생 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가전기기는 사용자에게 상기 고장정보가 출력되는 시점을 알려주지 않아 상기 고장정보를 정확하게 전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가전기기시스템은 상기 음을 판독한 제품정보가 손상된 경우에 외부명령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품정보를 재전송하지 못하므로 정확한 제품정보를 전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제품정보를 음향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음향신호와 대응되는 음을 외부로 효과적으로 출력하는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가전기기의 고장진단을 위해 제품정보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관리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가전기기의 고장을 진단하는 가전기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전기기는, 사용자가 고장진단을 실시하기 위한 외부명령을신호를 입력받는 선택부와, 제품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음향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부와, 상기 선택부로부터 외부명령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변환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신호에 대응되는 음을 외부로 출력하는 음향출력부와, 상기 고장진단을 위한 상기 가전기기의 제품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선택부를 통한 상기 고장진단이 선택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제품정보를 로딩하여 상기 변환부로 전송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신호가 상기 음향출력부로 출력될 때, 상기 제품정보가 상기 변환부에서 변환되어 출력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신호의 단위변환시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가전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가전기기의 고장진단을 위해 제품정보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관리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가전기기의 고장을 진단하는 가전기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전기기는, 사용자가 고장진단을 실시하기 위한 외부명령을신호를 입력받는 선택부와, 제품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음향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부와, 상기 선택부로부터 외부명령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변환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신호에 대응되는 음을 외부로 출력하는 음향출력부와, 상기 고장진단을 위한 상기 가전기기의 제품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선택부를 통한 상기 고장진단이 선택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제품정보를 로딩하여 상기 변환부로 전송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신호가 상기 음향출력부로 출력될 때, 상기 제품정보가 상기 변환부에서 변환되어 출력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신호의 단위변환시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장치는 상기 음을 전송받아 상기 음을 근거로 상기 음을 상기 제품정보로 역변환하는 가전기기시 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 다른 측면은, 제품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를 포함하는 음향신호로 변환하여 음 외부로 출력하고, 상기 변환부에서 변환된 상기 음향신호가 상기 음향출력부로 전송될 때, 상기 변환부에서 상기 제품정보를 상기 음향신호로 변환하는 단위변환시간을 제어하는 가전기기 및 상기 외부로 출력되는 소리음를 전송받아 상기 소리음을 근거로 상기 제품정보로 역변환하는 관리장치;를 포함하는 가전기기시스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시스템은 가전기기로부터 방출되는 음향신호의 단위변환시간을 변화시켜 외부로 가전기기의 제품정보를 정확하게 송출할 수 있다. 또한, 음향신호의 단위변환시간을 변화시킴으로써 제품정보를 효과적으로 구분하여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는 상기 가전기기의 일 실시예로서 세탁물 처리기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상기 가전기기시스템의 일 실시예로서 세탁물 처리기기시스템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전기기의 일 실시예인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세탁물 처리기기(100)에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가전기기에 적용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세탁물 처 리기기(100)를 일 실시예로서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세탁물 처리기기(110)는, 캐비닛(111)과, 캐비닛(111) 내부에 배치되며 세탁물의 세정이 이루어지는 터브(122)와, 터브(122)를 구동시키는 모터(미도시)와, 터브(122)의 세탁수를 공급하는 세탁수공급장치(미도시)와, 세정이 끝난 후에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장치(미도시)를 포함한다. 캐비닛(111)은, 캐비닛 본체(112)와, 캐비닛 본체(112)의 상측에 배치되어 결합하는 캐비닛 커버(113)와, 캐비닛 커버(114) 상측에 배치되며 세탁물 처리기기(110)의 운전을 제어하는 컨트롤패널(116)과, 컨트롤패널(116) 상측에 배치되며 캐비닛 본체(112)와 결합하는 탑 플레이트(115)를 포함한다. 캐비닛 커버(113)는 세탁물이 출입하는 홀(미도시)과, 상기 홀을 개폐 가능하도록 회동하는 도어(114)를 포함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제어흐름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세탁물 처리기기(100)는 사용자가 고장진단을 실시하기 위한 외부명령신호를 입력받는 선택부(160)와, 제품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음향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부(180)와, 선택부(160)로부터 외부명령신호가 입력되면, 변환부(180)로부터 출력된 상기 음향신호에 대응되는 신호음을 외부로 출력하는 음향출력부(181)와, 상기 고장진단을 위한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제품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40)를 구비하고, 선택부(160)를 통한 고장진단이 선택되면, 저장부(140)에 저장된 제품정보를 로딩하여 변환부(180)로 전송하며, 상기 음향신호가 음향출력 부(181)로 출력될 때, 변환부(180)에서 상기 제품정보를 상기 음향신호로 출력되는 단위변환시간을 제어하는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한편, 세탁물 처리기기(미도시)가 작동하게 되면, 상기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품정보들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제품정보들은 제어부(170)에 전송되게 된다. 상기 제품정보들은 단위신호들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품정보는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운전정보 또는 고장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운전정보는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세탁행정에 관한 정보, 탈수행정에 관한 정보, 행굼행정에 관한 정보 등과 같이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운전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장정보는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운전이 수행될 때, 각 운전 중에 발생하는 고장정보,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기기상의 고장정보 등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상기 제품정보를 변환부(180)로 전송한다. 상기 전송된 제품정보는 변환부(180)에서 적어도 하나의 음향신호로 변환된다. 변환부(180)는 상기 제품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신호로 변환하여 음향출력부(181)로 출력한다. 한편, 음향출력부(181)는 스피커, 부저출력부 등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외부로 상기 음을 출력하는 모든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선택부(160)를 통하여 작동외부명령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작동외부명령신호를 입력하면,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상기 음의 출력을 인지하도록 변환부(180)에서 변환되어 출력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신호를 제어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신호의 구성은 이하에서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제품정보의 단위신호(S1,S2)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품정보를 변환한 음향신호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전술한 도 3과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품정호는 단위신호(S1,S2)로 구성된다. 단위신호(S1,S2)는, 제 1 단위신호(S1)와, 상기 제 1 단위신호(S1)와 상이한 제 2 단위신호(S2)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품정보는 복수개의 단위신호들(S1,S2)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변화부(180)에서 상기 제 1 단위신호(S1)에 대응하는 음향신호(F1)를 제 1 단위변환시간(T1)동안 출력하고, 제 1 단위변환시간(T1)과 상이하고, 변환부(180)에서 제 2 단위신호(S2)에 대응하는 음향신호(F2)로 제 2 단위변환시간(T2)동안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제 1 단위시간(S1)에 대응되는 음향신호(F1)와 제 2 단위신호(S2)에 대응되는 음향신호(F2)는 서로 동일한 주파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상기 제품신호의 제 1 단위신호(S1)가 변환부(180)에 입력되면,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를 포함하는 제 1 단위신호(S1)에 대응되는 음향신호(F1)를 변환하여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상기 제품신호의 제 2 단위신호(S2)가 변환부(180)에 입력되면,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를 포함하는 제 2 단위신호(S2)를 생성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가 동일하기 때문에 제 1 단위신호(S1)에 대응되는 음향신호(F1)가 출력되는 제 1 단위변환시간(T1)과 제 2 단위신호(S2)에 대응되는 음향신호(F2)가 출력되는 제 2 단위변환시 간(T2)을 서로 상이하게 제어한다. 상기 출력되는 음이 서로 상이한 시간동안 외부로 출력된다. 따라서 상기 제품정보가 변환되어 외부로 출력되는 음을 가지고 외부에서 상기 제품정보를 역변환하여 수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170)는 선택부(160)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상기 작동외부명령신호에 따라 단위변환시간들(T1,T2)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선택부(160)를 통하여 상기 작동외부명령신호를 입력하면, 제어부(170)는 제 1 단위변환시간(T1)을 제 2 단위변환시간(T2)과 서로 상이하게 형성한다. 따라서 변환부(180)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상기 음향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음향신호(F1,F2)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내용을 나타내며, 이하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제 1 단위변환시간(T1)과 제 2 단위변환시간(T2) 사이에 제 1 단위신호(S1)에 대응하는 음향신호(F1)와 제 2 단위신호(S2)에 대응하는 음향신호(F2)를 구분하기 위하여 구분신호(F3)를 구분시간(T3)동안 변환부(180)에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즉, 제 1 단위신호(S1)가 변환부(180)가 입력되면, 변환부(180)는 제 1 단위신호(S1)을 제 1 단위신호(S1)에 대응하는 음성신호(F1)로 변환하여 제 1 단위변환시간(T1)동안 출력한다. 또한, 변환부(180)는 제 1 단위신호(S1)의 변환이 종료되면, 구분신호(F3)를 구분시간(T3)동안 출력한다. 변환부(180)는 구분신호(F3)의 출력이 종료되면, 제 2 단위신호(S2)를 제 2 단위신호(S2)에 대응하는 음향신호(F2)로 변환하여 제 2 단위변환시간(T2)동안 출력한다. 또한, 제 1 단위변환시간(T1)과 제 2 단위변환시간(T2)은 서로 상이하게 제어된다. 따라서 변환부(180)는 제 1 단위신호(S1)에 대응하는 음향신호(F1)와 제 2 단위신호(S2)에 대응하는 음향신호(F2)가 서로 동일한 주파수를 포함하더라도 구분신호(F3)에 의하여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제 1 단위변환시간(T1)과 제 2 단위변환시간(T2)이 서로 상이하므로 외부에서 음향신호들(F1,F2)을 구분할 수 있다.
한편, 구분신호(F3)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즉, 구분신호(F3)에 대응되는 음은 무음일 수 있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음향신호들(F1,F2)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 부호는 동일한 내용을 나타내며, 이하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는 복수개의 주파수들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주파수들은, 제 1 단위신호(S1)와 대응되는 제 1 주파수와, 상기 제 1 주파수와 상이하고 제 2 단위신호(S2)에 대응되는 제 2 주파수를 포함한다. 즉, 제어부(170)는 제 1 단위신호(S1)가 입력되면, 변환부(180)에서 제 1 단위신호(S1)에 대응되는 음향신호(F4)를 상기 제 1 주파수를 포함하여 변환하도록 제어한다. 반면, 제어부(180)는 제 2 단위신호(S2)가 입력되면, 변환부(180)는 제 2 단위신호(S2)에 대응되는 음향신호(F5)를 상기 제 2 주파수를 포함하여 변환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제 1 단위신호에 대응하는 음향신호(F4)가 상기 제 1 주파수를 포함하여 제 1 단위변환시간(T4)동안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70)는 제 2 단위신호(S2)에 대응하는 음향신호(F5)가 상기 제 2 주파수를 포함 하여 제 2 단위변환시간(T5)동안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제 1 단위변환시간(T5)과 제 2 단위변환시간(T5)가 서로 상이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세탁물 처리기기(100)가 음향신호들(F4,F5)에 대응되는 음은 서로 상이한 주파수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서로 상이한 시간동안 외부로 출력된다. 즉, 상기 음이 서로 상이한 시간동안 외부로 출력되므로 상기 제 1 주파수와 상기 제 2 주파수의 구분이 용이하지 않더라도 단위변환시간들(T4,T5)을 근거로 상기 음을 구분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음을 효과적으로 전달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음향신호들(F4,F5)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내용을 나타내며, 이하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제어부(170)는 제 1 단위신호(S1)에 대응되는 음향신호(F4)와 제 2 단위신호(S2)에 대응하는 음향신호(F5) 사이에 제 1 단위신호(S1)에 대응하는 음향신호(F4)와 제 2 단위신호(S2)에 대응하는 음향신호(F5)를 구분하기 위하여 구분신호(F6)를 구분시간(T6)동안 변환부(180)에서 구분신호(F6)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제 1 단위신호(S1)가 변환부(180)에 입력되면, 변환부(180)에서 상기 제 1 주파수를 포함하는 음향신호(F4)를 출력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 1 주파수를 포함하는 음향신호(F4)의 출력이 종료되면, 제어부(170)는 구분신호(F6)를 구분시간(T6)동안 변환부(180)에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구분신호(F6)가 종료되면, 상기 제 2 주파수를 포함하는 음향신호(F5)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음향신호들(F4,F5) 은 서로 상이한 상기 단위변환시간들(T4,T5)로 출력되고, 구분신호(F6)에 의하여 구별되므로 음향신호들(F4,F5)에 대응되는 음을 효과적으로 구별되게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가전기기시스템의 일 실시예인 세탁물 처리기기시스템(W1)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세탁물 처리기기시스템(W1)의 제어흐름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세탁물 처리기기시스템(W1)에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가전기기에 이하의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세탁물 처리기기시스템(W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세탁물 처리기기시스템(W1)은, 세탁물 처리기기(200) 및 용자가 고장진단을 실시하기 위한 외부명령신호를 입력받는 선택부(260)와, 제품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음향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부(280)와, 상기 선택부(260)로부터 외부명령신호가 입력되면, 변환부(280)로부터 출력된 상기 음향신호에 대응되는 신호음을 외부로 출력하는 음향출력부(281)와, 상기 고장진단을 위한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제품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240)를 구비하고, 선택부(260)를 통한 고장진단이 선택되면, 저장부(240)에 저장된 제품정보를 로딩하여 변환부(280)로 전송하며, 음향신호가 상기 음향출력부(281)로 출력될 때, 변환부(280)에서 상기 제품정보를 상기 음향신호로 출력되는 단위변환시간을 제어하는 제어부(270)와, 상기 음을 전송받아 상기 음을 근거로 상기 제품정보로 역변환하는 관리장치(290)를 포함한다. 한편, 변환부(280), 선택부(260), 음향출력부(281), 제어부(270)는 세탁물 처리기기(200)와 별개로 형성될 수 있고, 세탁물 처리기 기(200)에 포함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세탁물 처리기기(200)는 상기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한편, 관리장치(290)는, 세탁물 처리기기(200)의 음향출력부(281)로부터 외부로 출력되는 상기 음을 송수신하는 송수신부(291)와, 송수신부(291)로부터 수신받은 상기 음을 근거로 상기 제품정보로 역변환하는 신호변환부(292)와, 상기 변환된 제품정보를 판독하는 관리장치제어부(293)와, 관리장치제어부(293)에서 판독한 상기 제품정보를 저장하는 관리장치저장부(294)와, 관리장치제어부(293)에서 판독한 상기 제품정보를 수리자에게 전송하는 수리단말기(295)를 포함한다.
한편, 세탁물 처리기기(200)의 상기 제품정보를 상기 음향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상기 음향신호에 대응하는 음을 출력하는 방법 및 제어흐름은 상기 도 2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다. 또한, 상기 제품정보를 상기 음향신호로 변환하는 방법도 상기 도 3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다.
한편, 음향출력부(281)로부터 출력된 음은 통신망을 통하여 관리장치(290)에 전송된다. 또한, 세탁물 처리기기시스템(W1)은 관리장치(290)와 상기 통신망에 연결되는 외부단말기(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외부단말기(230)는 유선전화기, 무선전화기, 모바일폰 등 음향출력부(281)로부터 출력된 상기 음을 관리장치(290)로 전송할 수 있는 모든 장치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음향출력부(281)로부터 출력되는 음을 외부단말기(230)에 입력한다. 외부단말기(230)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음은 상기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반대로 상기 음을 상기 음성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음성신호를 상기 제품정보로 역변환한다. 상기 역변환된 상기 제품정보는 기 입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제품정보를 수리자에게 연결하여 준다.
즉, 관리장치(290)의 제어흐름을 살펴보면, 변환부(280)에서 상기 도 3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음향신호들이 출력되면, 음향출력부(281)는 상기 음향신호들에 대응되는 음을 외부로 출력한다. 상기 출력된 음은 사용자가 외부단말기(230)를 통하여 관리장치(290)로 전송된다. 상기 전송된 음은 송수신부(291)로 수신된다. 한편, 송수신부(291)는 상기 음을 수신할 뿐만 아니라 관리장치(290)으로부터 생성되는 음을 외부로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수신된 음은 신호변환부(292)로 전송된다. 상기 전송과정에서 상기 음은 음향신호로 변환되어 전송된다. 상기 전송된 음향신호는 신호변환부(292)에서 상기 제품정보로 변환된다. 상기 전송된 음향신호가 상기 제품정보로 변환되는 과정은 상기 도 3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반대로 변환된다. 상기 변환된 제품정보는 관리장치제어부(293)로 전송된다. 관리장치제어부(293)에는 기 설정된 데이터가 저장된다. 따라서 관리장치제어부(293)는 기 설정된 데이터와 상기 변환된 제품정보를 비교하여 판단한다. 상기 변환된 제품정보가 기 설정된 데이터와 상이한 것으로 판단되면, 관리장치제어부(293)는 수리단말기(295)를 통해 외부의 수리자에게 상기 변환된 제품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관리장치제어부(293)는 상기 변환된 제품정보를 관리장치저장부(294)에 저장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세탁물 처리기기(200)의 고장이력이나 운전정보 등을 보관할 수 있다.
한편, 관리장치제어부(294)는 상기 변환된 제품정보를 기 설정된 데이터와 비교할 뿐만 아니라, 상기 변환된 제품정보가 정확하게 전송되었는지 판단한다. 상기 변환된 제품정보가 관리장치제어부(294)에 전송되면서 외부의 방해 요인들에 의하여 손상될 수 있다. 관리장치제어부(294)가 상기 변환된 제품정보가 손상된 것으로 판단하면, 관리장치제어부(294)는 상기 변환된 제품정보가 손상되었다는 외부명령신호를 신호변환부(293)로 전송한다. 상기 전송된 외부명령신호는 신호변환부(293)에서 상기 외부명령신호에 대응되는 관리장치음향신호로 변환된다. 상기 변환된 관리장치음향신호는 송수신부(291)로 전송된다. 상기 전송된 관리장치음향신호는 송수신부(291)에서 상기 관리장치음향신호에 대응하는 음으로 외부단말기(230)를 통하여 세탁물 처리기기(200)로 전송된다. 상기 전송된 소리음은 음향입력부(253)로 전송되고, 역변환부(251)을 통하여 상기 외부명령신호를 변환하여 제어부(270)으로 전송한다. 제어부(270)는 상기 외부명령신호를 전송받으면, 상기 제품정보를 다시 변환부(280)로 재전송한다. 상기 재전송된 제품정보는 상기 도 3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과정을 거쳐 다시 음향출력부(281)를 통하여 외부로 출력된다. 따라서 세탁물 처리기기시스템(W1)은 관리장치(290)에 손상된 제품정보를 전송한 경우에도 상기 외부명령신호를 받아 정확한 제품정보를 반복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세탁물 처리기기시스템(W1)은 상기 제품정보를 정확하게 보냄으로써 세탁물 처리기기(200)의 정확한 수리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전기기의 일 실시예인 세탁물 처리기기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흐름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품정보의 단위신호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품정보를 변환한 음향신호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음향신호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음향신호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음향신호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가전기기시스템의 일 실시예인 세탁물 처리기기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세탁물 처리기기시스템의 제어흐름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략한 설명>
100 : 세탁물 처리기기 170 : 제어부
111 : 캐비닛 180 : 변환부
112 : 캐비닛 본체 181 : 음향출력부
113 : 캐비닛 커버 190 : 관리장치
114 : 도어 291 : 송수신부
115 : 컨트롤패널 292 : 신호변환부
160 : 선택부

Claims (26)

  1. 가전기기의 고장진단을 위해 제품정보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관리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가전기기의 고장을 진단하는 가전기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전기기는,
    사용자가 고장진단을 실시하기 위한 외부명령을신호를 입력받는 선택부와,
    제품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음향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부와,
    상기 선택부로부터 외부명령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변환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신호에 대응되는 음을 외부로 출력하는 음향출력부와,
    상기 고장진단을 위한 상기 가전기기의 제품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선택부를 통한 상기 고장진단이 선택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제품정보를 로딩하여 상기 변환부로 전송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신호가 상기 음향출력부로 출력될 때, 상기 제품정보가 상기 변환부에서 변환되어 출력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신호의 단위변환시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품정보는,
    상기 가전기기의 운전정보 또는 고장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환부에서 제품정보가 변환될 때, 상기 단위변환시간동안 상기 제품정보의 단위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음향신호를 상기 변환부에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가전기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단위신호는,
    제 1 단위신호와,
    상기 제 1 단위신호와 상이한 제 2 단위신호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환부에서 상기 제 1 단위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음향신호를 제 1 단위변환시간동안 출력하고,
    상기 제 1 단위변환시간과 상이하고, 상기 변환부에서 상기 제 2 단위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음향신호로 제 2 단위변환시간동안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가전기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단위변환시간과 상기 제 2 단위변환시간 사이에 상기 제 1 단위신 호에 대응하는 음향신호와 상기 제 2 단위신호에 대응하는 음향신호를 구분하기 위하여 구분신호를 상기 변환부에서 구분시간동안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가전기기.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는 복수개의 주파수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주파수들은,
    상기 제 1 단위신호와 대응되는 제 1 주파수와,
    상기 제 1 주파수와 상이하고 상기 제 2 단위신호에 대응되는 제 2 주파수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환부에서 상기 제 1 단위신호를 상기 제 1 주파수를 포함하는 상기 음향신호로 출력하는 제 1 단위변환시간과,
    상기 제 2 단위신호를 상기 제 2 주파수를 포함하는 상기 음향신호로 출력하고, 상기 제 1 단위변환시간과 상이한 제 2 단위변환시간을 제어하는 가전기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작동외부명령신호를 입력받는 음향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향입력부를 통하여 사용자가 상기 작동외부명령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단위변환시간을 제어하는 가전기기.
  10. 가전기기의 고장진단을 위해 제품정보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관리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가전기기의 고장을 진단하는 가전기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전기기는,
    사용자가 고장진단을 실시하기 위한 외부명령을신호를 입력받는 선택부와,
    제품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음향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부와,
    상기 선택부로부터 외부명령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변환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신호에 대응되는 음을 외부로 출력하는 음향출력부와,
    상기 고장진단을 위한 상기 가전기기의 제품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선택부를 통한 상기 고장진단이 선택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제품정보를 로딩하여 상기 변환부로 전송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신호가 상기 음향출력부로 출력될 때, 상기 제품정보가 상기 변환부에서 변환되어 출력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신호의 단위변환시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장치는 상기 음을 전송받아 상기 음을 근거로 상기 음을 상기 제품정보로 역변환하는 가전기기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품정보는,
    상기 가전기기의 운전정보 또는 고장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가전기 기시스템.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환부에서 제품정보가 출력될 때, 상기 단위변환시간동안 상기 제품정보의 단위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음향신호를 상기 변환부에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가전기기시스템.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단위신호는,
    제 1 단위신호와,
    상기 제 1 단위신호와 상이한 제 2 단위신호를 포함하는 가전기기시스템.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환부에서 상기 제 1 단위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음향신호를 제 1 단위변환시간동안 출력하고,
    상기 제 1 단위변환시간과 상이하고, 상기 변환부에서 상기 제 2 단위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음향신호로 제 2 단위변환시간동안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가전기기시스템.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단위변환시간과 상기 제 2 단위변환시간 사이에 상기 제 1 단위신호에 대응하는 음향신호와 상기 제 2 단위신호에 대응하는 음향신호를 구분하기 위하여 구분신호를 구분시간동안 상기 변환부에서 상기 구분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가전기기시스템.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는 복수개의 주파수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주파수들은,
    상기 제 1 단위신호와 대응되는 제 1 주파수와,
    상기 제 1 주파수와 상이하고 상기 제 2 단위신호에 대응되는 제 2 주파수를 포함하는 가전기기시스템.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환부에서 상기 제 1 단위신호를 상기 제 1 주파수를 포함하는 상기 음향신호로 출력하는 제 1 단위변환시간과,
    상기 제 2 단위신호를 상기 제 2 주파수를 포함하는 상기 음향신호로 출력하고, 상기 제 1 단위변환시간과 상이한 제 2 단위변환시간을 제어하는 가전기기시스 템.
  18. 청구항 10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작동외부명령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사용자가 상기 작동외부명령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단위변환시간을 제어하는 가전기기시스템.
  19.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관리장치는,
    상기 음향출력부로부터 외부로 출력되는 상기 음을 송수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송수신부로부터 수신받은 상기 음를 근거로 상기 제품정보로 역변환하는 신호변환부와,
    상기 변환된 상기 제품정보를 판독하는 관리장치제어부를 포함하는 가전기기시스템.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관리장치제어부에서 판독한 상기 제품정보를 저장하는 관리장치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가전기기시스템.
  21.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관리장치제어부에서 판독한 상기 제품정보를 수리자에게 전송하는 수리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가전기기시스템.
  2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음향출력부로부터 출력된 음은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관리장치에 전달되는 가전기기시스템.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관리장치와 상기 통신망에 연결되는 외부단말기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는 상기 음향출력부로부터 출력된 음를 상기 외부단말기에 입력하는 가전기기시스템.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관리장치는 상기 외부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음과 기 입력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제품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제품정보를 기초로 판단하여, 상기 제품정보를 수리자에게 연결해주는 가전기기시스템.
  25.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관리장치로부터 외부명령신호를 입력받는 음향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관리장치에서 상기 음향입력부로 상기 외부명령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단위변환시간을 제어하는 가전기기시스템.
  26. 제품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를 포함하는 음향신호로 변환하여 음 외부로 출력하고, 상기 변환부에서 변환된 상기 음향신호가 상기 음향출력부로 전송될 때, 상기 변환부에서 상기 제품정보를 상기 음향신호로 변환하는 단위변환시간을 제어하는 가전기기; 및
    상기 외부로 출력되는 소리음를 전송받아 상기 소리음을 근거로 상기 제품정보로 역변환하는 관리장치;를 포함하는 가전기기시스템.
KR1020090036630A 2008-04-29 2009-04-27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를 포함하는 가전기기시스템 KR1016296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0025 2008-04-29
KR20080040025 2008-04-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4309A true KR20090114309A (ko) 2009-11-03
KR101629643B1 KR101629643B1 (ko) 2016-06-21

Family

ID=41555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6630A KR101629643B1 (ko) 2008-04-29 2009-04-27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를 포함하는 가전기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964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05512A3 (ko) * 2010-07-06 2012-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진단장치
US9013320B2 (en) 2012-07-09 2015-04-21 Lg Electronics Inc. Home appliance and its system
US9495859B2 (en) 2012-07-03 2016-11-15 Lg Electronics Inc. Home appliance and method of outputting signal sound for diagnosis
US10044518B2 (en) 2015-09-11 2018-08-0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home applian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87105A (en) * 1997-06-25 1999-11-16 Fisher & Paykel Limited Appliance commun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87105A (en) * 1997-06-25 1999-11-16 Fisher & Paykel Limited Appliance communication syste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05512A3 (ko) * 2010-07-06 2012-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진단장치
US9495859B2 (en) 2012-07-03 2016-11-15 Lg Electronics Inc. Home appliance and method of outputting signal sound for diagnosis
US9013320B2 (en) 2012-07-09 2015-04-21 Lg Electronics Inc. Home appliance and its system
US10044518B2 (en) 2015-09-11 2018-08-0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home appli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9643B1 (ko) 2016-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4295B1 (ko)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시스템
US8565393B2 (en) Home appliance and home appliance system
KR101404104B1 (ko)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1482136B1 (ko)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 시스템
US8983798B2 (en)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for home appliance
US8325054B2 (en) Home appliance and signal output method thereof
US8204189B2 (en) Data download system and method
KR101629644B1 (ko)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를 포함하는 가전기기시스템
KR20110010378A (ko)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CN111338221B (zh) 一种多设备的自适应控制方法、装置及系统
KR20090114309A (ko)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를 포함하는 가전기기시스템
US9495859B2 (en) Home appliance and method of outputting signal sound for diagnosis
US8532273B2 (en) Home appliance and home appliance system
US20100066554A1 (en) Home appliance system
KR20110010373A (ko)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21686B1 (ko) 전자기기시스템
KR20090050512A (ko) 통화단말을 통한 원격제어 방법 및 통화단말과 이를 위한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