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8383B1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8383B1
KR101538383B1 KR1020100006146A KR20100006146A KR101538383B1 KR 101538383 B1 KR101538383 B1 KR 101538383B1 KR 1020100006146 A KR1020100006146 A KR 1020100006146A KR 20100006146 A KR20100006146 A KR 20100006146A KR 101538383 B1 KR101538383 B1 KR 101538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rib
signal
washing machin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6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6424A (ko
Inventor
박영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6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8383B1/ko
Priority to PCT/KR2011/000417 priority patent/WO2011090334A2/ko
Priority to US13/574,388 priority patent/US20130077809A1/en
Publication of KR20110086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6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8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8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8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8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 G10K11/26Sound-focusing or directing, e.g. scanning
    • G10K11/28Sound-focusing or directing, e.g. scanning using reflection, e.g. parabolic reflect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6Washing liquid 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8Washing liquid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D06F2105/60Audible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호음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제품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음의 출력품질을 향상시킨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제품정보를 소리 신호로 출력하는 신호음 출력부와, 신호음 출력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신호음 출력부와의 사이에 소리통로를 형성하고, 일단에는 신호음 출력부로부터 출력된 신호음을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단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소리통로를 통해 전달된 신호음이 출력되는 개방단이 형성된 신호음 안내부를 포함하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장진단을 위해 출력되는 세탁기의 제품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음의 출력품질을 향상시킨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는 각각 소정 동작을 수행하는 중, 동작 수행을 위한 설정값, 동작 중 발생되는 정보, 고장정보 등을 저장하는데, 특히 고장 발생시에는 소정의 알람을 출력함으로써, 세탁기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세탁기의 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세탁기는 단순히 동작완료 또는 고장발생을 알리기만 할 뿐 아니라, 구비되는 출력수단,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수단, 램프 등을 통해 구체적인 고장정보를 출력하기도 한다.
한편, 세탁기에 이상이 발생된 경우, 사용자는 서비스 센터 등에 연락하여 세탁기의 상태에 대한 조언을 구하거나, 고장난 세탁기에 대한 서비스 인원을 요청하는 등의 애프터 서비스를 이용하게 된다.
이때, 세탁기에 고장 정보가 단순히 출력되거나, 사용자는 알 수 없는 코드값으로 출력되는 것이 일반적이라, 사용자는 세탁기의 고장에 대응하기 어려우며, 서비스 센터에 연결되더라도, 세탁기의 상태를 정확하게 전달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그로 인하여, 서비스 인원이 가정을 방문하는 경우, 사전에 세탁기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함으로 인하여 세탁기 수리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예를 들어, 세탁기 수리에 필요한 부품이 사전에 준비되지 않은 경우, 서비스인원이 가정을 재방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 아니라, 그만큼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세탁기의 제품정보를 소리로 출력하여 서비스 센터 측으로 전송하는 방법이 강구되고 있으며, 이 경우 제품정보를 소리의 형태로 정확하게 출력시킬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세탁기의 제품정보를 소리의 형태로서 신호화하여 출력할 시, 출력되는 신호음의 품질을 향상시킨 세탁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세탁기는 제품정보를 소리 신호로 출력하는 신호음 출력부; 및 상기 신호음 출력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신호음 출력부와의 사이에 소리통로를 형성하고, 일단에는 상기 신호음 출력부로부터 출력된 신호음을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단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소리통로를 통해 전달된 신호음이 출력되는 개방단이 형성된 신호음 안내부를 포함한다.
다르게는, 본 발명의 세탁기는 제품정보를 소리 신호로 출력하는 신호음 출력부; 및 상기 신호음 출력부의 둘레를 따라 리브로 형성되어 상기 신호음 출력부와의 사이에 소리통로를 형성하는 신호음 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음 안내부는, 상기 환형의 리브의 일단에 반사단이 형성되고, 타단에 개방단이 형성되어, 상기 반사단 측에서 상기 개방단 측으로 신호음을 안내하고, 상기 반사단과 연결된 제 1 리브와 상기 개방단과 연결된 제 2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리브와 상기 신호음 출력부 사이에 형성된 소리통로에서의 음압이 상기 제 2 리브와 상기 신호음 출력부 사이에 형성된 소리통로에서의 음압보다 높다.
본 발명의 세탁기는 세탁기 외부로 출력되는 제품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음의 출력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탁기는 세탁기의 제품정보를 신호음을 통해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탁기는 케이싱에 구비된 틈을 통해 신호음이 외부로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신호음 출력을 위한 별도의 구성을 추가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탁기는 신호음을 일정한 방향으로 안내하여 출력함으로써, 신호음의 분산으로 인한 신호 전달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및 세탁기를 포함하는 진단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세탁기의 내부 구조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품정보를 주파수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컨트롤 패널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컨트롤 패널을 구성하는 컨트롤패널 프레임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컨트롤 패널의 일부를 확대한 것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부분의 배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신호음 출력부를 통해 출력된 신호음의 전달 경로의 형태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신호음 유도부가 다른 형태로 구성될 시의 신호음의 전달 경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및 세탁기를 포함하는 진단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세탁기는 진단시스템에 포함되어, 진단시스템의 서비스센터를 통해 세탁기의 상태 및 고장 여부를 진단 받을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센터는 세탁기의 정보 및 진단프로그램이 구비된 진단서버를 포함한다.
세탁기의 진단시스템은 각 가정의 세탁기(W)에서 세탁기의 동작에 대한 정보가 소리(Sound)의 형태로 출력되면, 제품정보가 포함된 신호음이 전화망을 통해 서비스센터(SVC)로 전송되어 세탁기의 상태에 대하여 고장여부를 진단하도록 구성된다.
세탁기(W)는 소정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며, 이러한 표시부는 LED, LCD, 유기 EL과 같은 형태의 발광체로서, 세탁기(W)의 상태정보, 또는 고장정보를 시각화하여 표시한다. 또한, 세탁기(W)는 소리를 출력하는 수단으로써 신호음 출력부를 구비하여, 세탁기(W)의 동작, 상태, 고장에 대한 정보를 재생하여 소정의 신호음으로 출력한다.
세탁기(W)가 운전 중 고장을 일으키거나 동작에 이상이 발생되는 때, 세탁기(W)는 상기 표시부를 통해, 또는 상기 신호음 출력부를 통해 고장 발생을 사용자에게 통보한다(P1).
이때, 사용자는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세탁기(W)의 제품정보를 확인하여, 세탁기(W)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서비스센터(SVC)에 수리를 요청하게 된다. 사용자는 서비스센터(SVC)에 연락하여 고장 발생 여부를 통보하고 그에 대한 조치를 문의한다(P2).
사용자가 서비스센터(SVC)에 연결하여, 서비스센터(SVC) 측의 요청에 따라(P3), 세탁기(W)에 구비되는 입력부 중 고장진단 수행을 위한 명령이 입력되는 선택부를 조작하는 경우, 세탁기(W)는 제품정보를 단순 출력하지 않고, 제품정보를 소정의 소리로 변환하여 신호음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다. 이렇게 출력된, 제품정보가 포함된 신호음은 통신망을 통해 서비스센터(SVC)로 전송된다(P4).
이때, 사용자는 세탁기(W)의 모델정보와 고장 증상을 서비스센터(SVC)로 통보하면서, 통화 중 전화기(81)를 세탁기(W)의 소리 나는 곳, 즉 신호음 출력부에 가까이 가져다 댐으로써, 자신의 휴대단말기 또는 전화기 등의 단말기(81) 이용하여 세탁기의 제품정보가 포함된 신호음을 서비스센터(SVC)로 전송하여 세탁기(W)에 대한 애프터서비스(A/S)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신호음 출력부는 버져 또는 스피커 등의 음향 출력수단(7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서비스센터(SVC)에서는 연결된 통신망, 예를 들어 전화망을 통해 신호음이 수신되면, 이를 확인하여, 세탁기(W)의 제품상태를 판단하고 고장여부를 진단한다(P5).
서비스센터(SVC)는 진단결과에 대응하여, 세탁기(W)의 제품상태 및 고장진단에 적합한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서비스 인원(93)을 가정에 파견하게 된다(P6). 이때, 진단 결과는 서비스 기사(93)의 단말로 전송되어(P6) 서비스 기사(93)가 세탁기(W)의 고장을 수리할 수 있도록 한다. 경우에 따라 서비스센터(SVC)는 사용자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상담원을 통해 사용자에게 진단결과를 음성 전달하거나 소정 데이터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진단결과는 사용자의 이메일로 전달되거나, 휴대단말로 전송 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진단시스템은 사용자가 서비스 센터에 소정의 통신망을 통해, 예를 들어 전화망을 통해 서비스센터에 연결하면, 세탁기(W)의 제품정보가 포함된 신호음을 분석함으로써, 세탁기(W)의 고장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하여 대처하게 되므로, 신속한 서비스가 가능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세탁기의 내부 구조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W)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기(W)의 제품정보를 신호음으로 출력하는 신호음 출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싱은 상부가 개구된 캐비닛(10)과, 캐비닛(10) 상부에 결합되고 세탁물이 출입하는 세탁물 출입홀이 형성된 탑커버(20)와, 탑커버(20)에 결합되어 사용자로부터 세탁기(W) 작동 전반에 대한 각종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가 구비되고 세탁기(W)의 작동 상태 전반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출력부가 구비되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컨트롤 패널(100)을 포함한다.
또한, 세탁기(W)는 탑커버(20)에 체결되어 회전하며 상기 세탁물 출입홀을 여닫는 도어(21)와, 지지부재(41)에 의해 탑커버(20)에 매달리며 세탁수가 담기는 외조(30)와, 지지부재(41)와 외조(30)를 연결하고 세탁기(W)의 작동 중 발생하는 진동을 완충시키는 댐퍼(25)와, 외조(30)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세탁물이 수용되는 내조(35)와, 내조(35)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펄세이터(40)와, 내조(35) 및/또는 펄세이터(40)에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모터(50) 등의 구동수단을 포하하여 구성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모터(50)에 의해 발생한 회전력은 회전축(55)을 통해 내조(35) 및/또는 펄세이터(40)로 전달된다.
또한, 세탁기(W)는 세탁용 세제, 헹굼용 섬유 유연제 및/또는 표백제 등의 각종 세탁용 첨가제가 수용되는 세제박스(60)가 탑커버(12)에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고, 수도꼭지 등의 외부 수원과 연결된 급수유로(61)를 통해 공급된 세탁수가 내조(35)로 급수된다. 이때, 내조(35)에는, 내조(35)와 외조(30) 간에 세탁수가 유동될 수 있도록 복수의 통공(36)이 형성된다. 한편, 급수유로(61)를 단속하는 급수밸브(7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세탁기(W)는 외조(30)내에 담긴 세탁수를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배수유로(80), 배수유로(80) 상에 구비된 배수밸브(85) 및 펌프(86)를 더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품정보를 주파수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세탁기(W)는 세탁, 행굼, 탈수 등을 행정을 수행하고, 동작 중 발생되는 데이터를 처리하여 선택부(165) 입력에 따른 고장진단모드 수행 시, 세탁기의 데이터가 포함된 제품정보를 일정 포맷의 제어신호로 생성하여 소정의 신홈을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구성을 포함한다.
세탁기(W)는 입력부(160), 감지부(151), 메모리(185), 저장부(186), 구동부(152), 모듈레이터(153), 신호음 출력부(154), 그리고 세탁기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입력부(160)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세탁기(W)의 작동 제어를 위한 각종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입력수단을 적어도 하나 구비되며, 세탁기(W) 작동을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조작부(110)와, 고장진단모드 수행을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선택부(165)를 포함한다.
선택부(165)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수단을 포함하여, 고장진단모드 진입이 선택 입력되면, 제품정보가 신호음 출력부(154)를 통해 소정의 신호음으로 출력되도록 신호 출력명령을 제어부(180)로 인가한다.
이때, 선택부(165)는 조작부(110)와는 별도로, 소정 입력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 둘 이상의 조작키가 동시 조작됨에 따라 선택부로써 동작되거나 인식될 수 있다.
또한, 선택부(165)는 고장진단모드로 진입하게 됨에 따라, 신호음 출력부(154)가 온, 오프(on/off)되도록 한다. 즉, 선택부(165)에 의해 신호 출력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80)의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제품정보가 소정의 신호음으로 출력되는데, 이때, 신호음 출력부(154)가 동작되어, 신호음을 출력하게 된다.
조작부(110)는 세탁기(W)의 동작에 따라, 운전코스, 운전설정과 같은 데이터를 입력받아 제어부(180)로 인가한다. 또한, 조작부(110)는 신호음의 출력에 따른 설정을 입력받을 수 있다. 즉, 조작부(110)는 신호음을 출력하는 방법, 출력되는 신호음의 크기 등을 설정하는 설정값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선택부(165) 및 조작부(110)와 같은 입력부(160)는 버튼,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핑거 마우스, 로터리 스위치, 조그 다이얼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누름, 회전, 압력, 접촉 등의 조작에 의해 소정의 입력데이터를 발생하는 장치라면 어느 것이나 적용 가능하다.
감지부(151)는 온도, 압력, 전압, 전류, 수위, 회전수 등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감지 또는 측정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인가한다. 예를 들어, 급수 또는 배수 시 감지부(151)에서 물의 수위를 측정하고, 급수된 물의 온도, 세탁조 또는 드럼의 회전속도 등을 측정할 수 있다.
구동부(152)는 제어부(18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세탁기(W)가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그 구동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구동부(152)는 내조(35) 및/또는 펄세이터(40)가 회전하여 세탁물을 세탁하도록 내조(35) 및/또는 펄세이터(40)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구동시키고 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의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급수 또는 배수가 수행되도록 밸브(61,85)를 제어하게 된다.
메모리(185)는 세탁기(W)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 세탁기의 동작 제어 중 사용되는 기준데이터가 저장된다.
이때, 메모리(185)는 세탁기에 대한 제어데이터가 저장되는 ROM, EEPROM, 과 같은 데이터 저장수단을 포함한다. 저장부(186)는 제어부(180)의 버퍼로써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저장수단이고, DRAM, SRAM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제어부(180) 또는 메모리(185)에 포함된다.
메모리(185)는 세탁기(W)가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는 중, 동작 중 발생되는 동작상태 데이터, 세탁기(W)가 소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조작부(110)에 의해 입력된 설정데이터 등과 같은 운전정보와, 세탁기(W)가 특정 동작을 수행한 횟수, 세탁기의 모델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정보와, 세탁기(W) 오동작 시 오동작의 원인 또는 오동작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고장정보가 저장된다.
즉, 메모리(185)는 운전정보, 사용정보, 고장정보를 포함하는 제품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부(186) 또한 동작 중 발생되는 운전정보, 고장정보에 대한 임시데이터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제품정보는 세탁기 사용횟수, 설정 코스, 옵션설정정보, 에러코드, 센서측정값, 제어부의 산출데이터, 각 부의 동작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운전정보는 세탁기의 세탁행정에 관한 정보, 행굼행정에 관한 정보 및 탈수행정에 관한 정보, 등과 같이 세탁기의 운전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장정보는 세탁기의 운전이 수행될 때, 각 운전 중에 발생하는 고장정보, 세탁기의 기기상의 고장정보, 고장정보에 대응되는 에러코드(Error code), 제어부(180)의 정보, 감지부(151)에서 감지된 값, 모터의 감지값, 세탁수공급장치의 고장정보, 배수장치의 고장정보 등 다양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정보는 사용자가 세탁기를 사용한 횟수, 사용자가 설정한 코스, 세탁기에 설정된 옵션설정정보 등 다양하게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정보는 사용자로부터 세탁기로 입력된 내용이나 세탁기에 초기 설정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선택부(165)로부터 고장진단모드 진입에 따른 신호가 입력되면, 메모리(185) 또는 저장부(186)에 저장된 제품정보를 호출하여 일정 포맷으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모듈레이터(153)로 인가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선택부(165)가 조작됨에 따라, 신호음 출력부(154)가 동작 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세탁기로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고, 감지부(151)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인가하거나, 구동부(152)로 감지된 데이터를 전달하여 세탁기가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메인제어부(181)와, 선택부(165)의 입력에 따라 음을 출력하기 위해 제품정보를 일정 포맷의 제어신호로 변환하는 인코딩부(182)를 포함한다.
메인제어부(181)는 선택부(165)가 입력되어 고장진단모드로 진입되면 신호음 출력부(154)를 통해 고장진단모드가 시작됨을 알리는 시작음이 출력되도록 하고, 표시부(116)를 통해 고장진단모드가 수행됨을 알리는 소정의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한다.
또한, 메인제어부(181)는 인코딩부(182)에서 생성된 제어신호가 모듈레이터(153)로 인가되어, 신호음 출력부(154)를 출력되는 때 음의 출력 전과 음 출력 완료 후 소정의 알림음이 출력되도록 신호음 출력부(154)를 제어한다. 단, 알림음은 경우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이때, 메인제어부(181)는 신호음 출력부(154)가 둘 이상 구비되는 경우, 알림음과 제품정보를 포함하는 음이 각각 상이한 신호음 출력부(154)로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메인제어부(181)는 고장진단모드 진입 시, 선택부(165) 및 전원키를 제외한 조작부(110)가 동작되지 않도록 하며, 세탁기가 다른 동작을 모두 정지하도록 감지부(151) 및 구동부(152)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메인제어부(181)는 전원 입력 후, 조작부(110) 중 세탁기의 운전설정에 따른 어느 하나의 조작키가 입력되는 경우, 선택부(165)가 입력되더라도 고장진단모드가 시작되지 않도록 한다. 특히, 선택부(165)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고 조작부(110)의 복수의 조작키 중 둘 이상의 조작키의 조합에 의해 선택부(165)가 입력된 것으로 인식하는 경우에는 전원키 입력 후 다른 입력이 없이 바로 지정된 키 조합에 의해 선택부(165)가 입력된 경우에 한하여 고장진단모드가 시작되도록 한다.
이는, 조작부에 의한 세탁기의 운전설정이, 고장진단모드로 진입할 의사가 사용자에게 없는 것으로 보고 고장진단모드로 진입하지 않는 것이며, 또한 조작부의 조작 실수로 인하여 불필요하게 고장진단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인코딩부(182)는 메모리(185)에 저장되는 제품정보를 호출하여 지정된 일정 방식에 따라 인코딩하고, 데이터신호에 프리앰블과 에러체크비트를 추가하여 일정 포맷의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인코딩부(182)는 제품정보를 인코딩함으로써 복수의 심볼로 구성되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인코딩부(182)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데 있어서, 제어신호를 일정 크기로 분할하여 프레임화하여 복수의 프레임으로 패킷을 구성한다. 또한 인코딩부(182)는 제어신호에 프레임 간에 일정시간 소리가 출력되지 않도록 IFS(Inter Frame Space)를 설정할 수 있으며, 또한, 신호변환 시, 커패시터의 충전과 방전 원리로 인하여 다음 신호 변환에 영향을 끼치는 잔향효과를 제거하기 위해 데이터의 값이 변경되는 구간에서 심볼에 데드타임을 설정할 수 있다.
제어신호를 구성되는 복수의 심볼에 대하여, 각 심볼의 길이를 심볼타임이라 하고, 심볼에 대응하여 신호음 출력부(154)를 통해 출력된 음에 대하여 음을 구성하는 주파수 신호의 기본 길이 또한 심볼타임으로 할때, 인코딩부(182)는 하나의 심볼에 대하여 심볼타임 내에서 데드타임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데드타임은 심볼타임의 길이에 따라 그 크기가 가변된다.
여기서, 제품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운전설정, 동작중 운전상태 등을 포함하는 운전정보, 사용정보 그리고 오동작에 대한 고장정보를 포함한다. 제품정보는 0 또는 1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데이터로서, 제어부(180)에 의해 판독 가능한 형태의 디지털 신호이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제품정보의 데이터를 분류하고, 세탁기 동작에 대한 특정 데이터가 포함되도록 하며, 일정 크기로 나누거나 합하여, 지정된 규격의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모듈레이터(153)로 인가한다.
모듈레이터(153)는 제어부(18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신호음 출력부(154)로 일정 구동신호를 인가하여 신호음 출력부(154)를 통해 신호음이 출력되도록 한다. 이렇게 출력되는 신호음은 제품정보를 포함한다.
모듈레이터(153)는 제어신호를 구성하는 심볼에 대하여, 하나의 심볼에 대응하여 지정된 주파수 신호가 심볼타임동안 출력되도록 신호음 출력부(154)로 신호를 인가한다. 이때, 제어신호를 구성하는 심볼의 조합 중 데이터 “1”에 대응하여 지정된 주파수와 데이터 “0”에 대응하여 지정되는 주파수는 서로 주파수 대역을 갖도록 설정된다.
즉, 모듈레이터(153)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신호음이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제어부(180)의 설정에 대응하여, 사용하는 주파수의 수에 따라, 주파수 신호 당 심볼의 수를 변경하여 출력한다.
즉, 2가지 주파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1심볼당 하나의 주파수 신호가 지정된 시간 동안 출력되고, 4가지 주파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어신호 2심볼당 하나의 주파수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도 5는 2가지 주파수를 사용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써, 데이터 "1”에 대응하는 1심볼에 대응하여 f1의 주파수 신호를 출력하고, 데이터 “0”에 대응하는 1 심볼에 대응하여 f2의 주파수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f1은 2.8kHz값을 갖고, f2는 2.6kHz값을 갖을 수 있다.
모듈레이터(153)는 사용가능한 주파수의 수에 대응하여, 주파수별 발진주파수를 생성하는 주파수발진부(미도시)를 구비하고,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지정된 주파수발진부의 주파수 신호가 신호음 출력부(154)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모듈레이터(153)는 제어부(180)의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신호음을 출력하기 위해 신호음 출력부(154)를 제어하는데 있어서, 주파수 편이 방식, 진폭편이방식, 위상편이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신호를 변환한다.
여기서, 주파수 편이방식은 제어신호의 데이터 값에 대응하여 소정 주파수의 신호로 변환하는 방식이고, 진폭편이 방식은 데이터 값에 대응하여 진폭의 크기가 상이하도록 변환하는 방식이다. 또한, 위상편이방식은 데이터값에 따라 위상이 상이하도록 신호를 변환하는 방식이다.
주파수 편이방식중 BFSK(Binary Frequency Shift Keying, 이하 BFSK)의 경우, 제어신호의 데이터의 값이 0인 경우 제 1 주파수로 변환하고, 데이터의 값이 1인 경우 제 2 주파수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값이 0인 경우 2.6KHz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로 변환하고, 데이터 값이 1인 경우 2.8KHz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진폭편이방식의 경우, 2.6KHz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로 변환하되, 제어신호의 데이터의 값이 0 인 경우, 진폭의 크기가 1인 2.6KHz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로 변환하고, 데이터의 값이 1인 경우, 진폭크기가 2인 2.6KHz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모듈레이터(153)는 주파수 편이방식을 이용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 또한 일 예 일뿐 변경될 수 있다.
모듈레이터(153)는 제어신호에 데드타임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데드타임이 설정된 구간 동안에는 신호변환을 중지한다. 이때, 모듈레이터(153)는 펄스폭모듈레이션(PWM) 방식을 이용하여 신호를 변환하는 때, 데드타임이 설정된 구간에서는 모듈레이션을 위한 발진주파수를 오프(off)하여 데드타임동안의 주파수 신호변환이 일시 정지되도록 한다. 그에 따라 심볼과 심볼 간의 잔향효과가 제거된 음이 신호음 출력부(154)를 통해 출력된다.
신호음 출력부(154)는 제어부(180)의 제어명령에 의해 동작이 온, 오프 되며, 모듈레이터(153)의 제어에 의해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일정 주파수의 신호를 지정된 시간 동안 출력함으로써, 제품정보가 포함된 소정의 신호음을 출력한다.
이때, 신호음 출력부(154)는 적어도 하나 구비되며 바람직하게는 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음 출력부가 두개 구비되는 경우, 어느 하나를 통해 제품정보가 포함된 소정의 음이 출력되고, 다른 하나를 통해 세탁기의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경고음 또는 효과음이 출력될 수 있으며 또한 고장진단모드 진입 또는 음 출력 전의 알림음이 출력될 수 있다.
신호음 출력부(154)는 모듈레이터(153)에서의 출력에 대응하여 제어신호를 소정의 신호음으로 출력한 후, 출력이 종료되면, 동작 정지되고, 선택부(165)가 다시 조작되는 경우,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다시 동작됨에 따라 제품정보가 포함된 소정의 신호음을 출력한다.
이때, 신호음 출력부(154)는 스피커, 버저 등과 같이 소리를 출력하는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신호음 출력부(154)는 고장진단모드 진입 시, 메인제어부(181)의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고장진단모드가 시작됨을 알리는 시작음을 출력하고, 제품정보가 포함된 음의 출력이 시작되는 때와 종료되는 때에 각각 소정의 알림음을 출력한다.
표시부(116)는 메인제어부(181)의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선택부(165) 및 조작부(110)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 세탁기(W)의 동작상태 정보, 세탁기 동작완료 등에 따른 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세탁기 오동작시 오동작에 관한 고장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16)는 메인제어부(181)의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고장진단모드가 시작되면, 고장진단모드임을 표시하고, 신호음 출력부(154)를 통해 음이 출력되는 때에, 그 진행상황을 문자, 이미지, 숫자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표시한다.
이때, 세탁기는 신호음 출력부(154), 표시부(116) 이외에도 점등 또는 점멸되는 램프, 진동소자 등의 출력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그에 대한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세탁기(W)는 소정의 신호음을 출력하여, 다음 설명하는 바와 같이, 서비스센터(SVC)로 세탁기(W)의 제품정보를 전달하게 된다.
세탁기(W)의 제품정보가 신호음으로 출력되어 전화망 등을 통해 서비스 센터(SVC)로 전송되면, 이는 서비스센터(SVC)에 구비된 진단서버로 입력되어 세탁기(W)에 대한 고장 진단을 수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컨트롤 패널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컨트롤 패널을 구성하는 컨트롤패널 프레임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컨트롤 패널의 일부를 확대한 것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부분의 배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4 및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세탁기(W)는 제품정보를 소리 신호로 출력하는 신호음 출력부(154)와, 신호음 출력부(154)의 둘레를 따라 환형으로 형성되어, 신호음 출력부(154)와의 사이에 소리통로를 형성하고, 일단에는 신호음 출력부(154)로부터 출력된 신호음을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단(146)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소리통로를 통해 전달된 신호음이 출력되는 개방단(147)이 형성된 신호음 안내부(140)를 포함한다.
신호음 출력부(154)는 버져(buzzer)나 스피커(speaker) 등의 소리 출력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세탁기(W)의 케이싱 내에 구비된다. 도 2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은 컨트롤패널(1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하, 신호음 출력부(154)는 컨트롤패널(100) 내부에 구비된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세탁기(W)이 케이싱을 구성하는 탑커버(20) 또는 캐비닛(10)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신호음 안내부(140)는 상기 케이싱의 배면에 구비된다. 이하, 신호음 출력부(154)가 컨트롤패널(100) 내에 구비되는 것에 대응하여, 신호음 안내부(140)가 컨트롤패널(100)의 배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세탁기(W)이 케이싱을 구성하는 탑커버(20) 또는 캐비닛(10)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컨트롤패널(100)은 컨트롤패널 프레임(120)과, 컨트롤패널 프레임(120)의 상면에 부착되어 미감을 향상시키고 컨트롤패널(100)에 구비되는 각종 조작키들의 기능 설명이 인쇄된 장식패널을 포함한다.
컨트롤패널 프레임(120)은 표시부(116)가 장착되는 표시부 장착부(126)와, 세탁물의 종류에 따른 세탁코스 또는 세탁물의 오염 정도에 따른 세탁코스 등을 다이얼을 이용하여 설정하는 다이얼입력부(114)가 장착되는 다이얼 장착부(124)와, 세탁물의 오염정도를 설정하는 설정키 또는 탈수속도를 설정하는 설정키 등의 각종 선택키(113)들이 장착되는 선택키 장착부(123)와, 추가헹굼 선택키, 사용자 프로그램 설정키 및/또는 섬유 유연제 투입선택키 등의 각종 선택키(115)들이 장착되는 선택키 장착부(125)와, 세탁기(W)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전원키(111)가 장착되는 전원키 장착부(130)와, 신호음 출력부(154)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신호음 안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키 장착부(130)는 컨트롤패널 프레임(120)의 전면에 전원키(111)이 장착될 수 있도록, 컨트롤패널 프레임(120)의 전면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된다. 전원키(111)가 전원키 장착부(130)에 체결되고, 컨트롤패널 프레임(120)의 전면에 장식패널(미도시)이 부착되는 구조를 고려할 시, 상기 장식패널에는 전원키(111)에 대응하여 홀이 형성되고, 이때 전원키(111)와 상기 홀 사이에는 소정의 틈이 형성된다.
또한, 전원키(111)가, 전원키 장착부(130)가 형성하는 홈진 공간을 완전히 채우는 상태로 결합되지 않는 이상, 전원키(111)와 전원키 장착부(130) 사이에는 부저(72)로부터 출력된 신호음이 전달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됨은 자명하며, 따라서, 부저(72)로부터 출력된 신호음이 전원키 장착부(130)로 유도될 수 있는 소리통로만 형성된다면, 상기 소리통로를 통해 안내된 신호음이 전원키(111)와 컨트롤패널(100) 사이에 형성된 틈을 통해 세탁기(W) 외부로 효과적으로 출력될 수 있을 것이다. 전원키(111)와 컨트롤패널(100) 사이에 형성되는 틈의 예로써, 전원키(111)와 컨트롤패널 프레임(120) 사이 또는 전원키(111)와 장식패널 사이에 틈이 형성되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전원키(111)는 전원키 장착부(130)에 형성된 결합홀(131a, 131b, 131c)에 후크 결합되므로 전원키(111)와 전원키 장착부(130)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신호음 출력을 위한 틈을 형성하는 이유는, 부저(72)로부터 출력된 신호음이 신호 감쇄를 최소화하면서 세탁기(W)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별도의 개구부를 컨트롤패널(100)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지만, 본 실시예에서와 같은 구조는 통상적으로 세탁기(W)에 구비되는 버튼식 조작키들의 설치구조상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틈을 그대로 이용하면서도 세탁기(W) 외부로 출력되는 신호음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신호음 출력부(154)는 전술한 바와 같이 부저나 스피커 중 어느 것으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나, 이하, 신호음 출력부(154)는 부저(72)인 것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부저(72)는 컨트롤패널(100) 내부에 구비되고, 부저(72)로부터 출력된 신호음은 전원키(111)와 컨트롤패널(100) 사이에 형성된 틈을 통해 세탁기(W)의 외부로 출력되나, 이와는 다르게 컨트롤패널(100)에 구비된 다른 조작키들과 컨트롤패널(100) 사이에 형성된 틈을 통해 출력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1은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신호음 출력부를 통해 출력된 신호음의 전달 경로의 형태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신호음 안내부(140)는 컨트롤패널(100)의 배면으로부터 돌출된 리브의 형태로 구성된다. 신호음 안내부(140)는 부저(72)의 둘레를 따라 환형으로 연장되어, 부저(72)로부터 출력된 신호음이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신호음을 전원키 장착부(130) 측으로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신호음 안내부(140)는 부저(72)와의 사이에 소리통로를 형성하고, 일단에는 신호음 출력부(72)로부터 출력된 신호음이 반사되는 반사단(146)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소리통로를 통해 전달된 신호음이 출력되는 개방단(147)이 형성된다.
한편, 부저(72)로부터 출력된 신호음이 세탁기(W)를 구성하는 구성품들을 통한 매질 전파가 아니라 공기의 진동을 통해 세탁기(W) 외부로 직접 전파될 수 있도록, 개방단(147)은 세탁기(W)의 케이싱에 형성된 개구부(예컨데, 컨트롤패널(100)과 전원키(111) 사이에 형성된 틈)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신호음 안내부(140)는 반사단(146)과 연결되는 제 1 리브(141)와, 개방단(147)과 연결되는 제 2 리브(145)를 포함한다. 이때, 제 1 리브(141)와 부저(72) 사이에 형성된 소리통로 구간의 폭(L1)이 제 2 리브(145)와 부저(72) 사이에 형성된 소리통로 구간의 폭(L2)보다 작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방단(147)을 통해 출력되는 신호음의 세기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반사단(146) 측으로부터 개방단(147) 측으로 유도되는 신호음의 비율이 높을수록 유리할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제 1 리브(141)와 부저(72) 사이에 형성된 소리통로 구간에서의 음압이 제 2 리브(145)와 부저(72) 사이에 형성된 소리통로 구간에서의 음압보다 높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리브(141)와 부저(72) 사이에 형성된 소리통로 구간의 폭(L1)을 제 2 리브(145)와 부저(72) 사이에 형성된 소리통로 구간의 폭(L2)보다 작도록 함으로써, 제 1 리브(141)와 부저(72) 사이에 형성된 소리통로 구간에서의 음압을 제 2 리브(145)와 부저(72) 사이에 형성된 소리통로 구간에서의 음압보다 높인다.
한편, 신호음 안내부(140)는 제 1 리브(141)와 제 2 리브(145)를 연결하는 제 3 리브(143)를 더 포함하고, 제 3 리브(143)는 반사단(146) 측으로부터 전달된 소리가 개방단(147) 측으로 반사되도록 곡면을 이루는 구간을 포함한다. 상기 곡면을 이루는 구간은 제 3 리브(143)가 제 1 리브(141)와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제 1 곡면(142)과, 제 3 리브(143)가 제 2 리브(145)와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제 2 곡면(14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한편, 컨트롤패널 프레임(120)에는 부저(72)가 장착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홀(132)이 형성될 수 있고, 부저(72)로부터 출력된 신호음 중의 일부는 홀(132)을 통해 전원키 장착부(130) 측으로 전달된다.
참조부호, 123a 및 125a는 조작키들이 장착되는 마운트를 도시한 것이며, 조작키와 마운트 사이의 틈을 통해 신호음이 세탁기(W) 외부로 출력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1 내지 도 13에는 부저(7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음의 발생위치(S1 내지 S3)에 따른 신호음의 전달경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를 참조하면, 부저(72)로부터 출력된 신호음 중 음원 S1에서 출력된 신호음은 반사단(146)에서 반사되어 제 1 리브(141)를 향해 진행되며, 다시 제 1 리브(141) 및 부저(72)에 의해 교대로 반사된 후, 제 1 곡면(142)을 향해 진행하고, 제 1 곡면(142)에서 다시 반사가 이루어져 부저(72), 제 3 리브(143) 및 제 2 리브(145)에서 계속적으로 반사가 이루어지면서 개방단(147)측으로 진행된다.
특히, 도 11에서는 반사단(146)에 의해 반사된 신호음이 개방단(147)을 통해 출력된다는 점에 주목하여야 한다. 또한, L1의 길이가 L2 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반사단(146)에서 반사된 신호음의 진행경로의 전체 길이를 줄이고, 반사단(146) 측으로부터 개방단(147) 측으로 음압 구배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반사단(146)에서 반사된 신호음의 신호감쇄를 최소화하면서 개방단(147)을 통해 출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음원 S2로부터 출력된 신호음이 도 11에서와는 다르게 일차적으로 제 1 리브(141)에 의해 반사되어 반사단(146)을 향해 진행하고, 반사단(146)에서 반사된 후 부저(72)를 향해 진행되고, 다시 부저(72)에서 반사되어 반사단(146)을 향해 진행한 후 반사단(146)에서 반사된다. 반사단(146)에서 반사가 이루어진 후의 진행경로는 도 11에서와 유사함으로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부저(72)로부터 출력된 신호음 중의 일부는 반사단(146)에 의해 반사됨으로써, 개방단(147)을 통해 출력된다. 따라서, 개방단(147)측으로 유도되는 신호음의 양이 증가되는 특성을 보여준다. 반대로, 반사단(146)이 개방된 경우, 즉, 신호음 안내부(140)의 양단이 모두 개방된 구조로 형성되는 경우를 가정하면, 음원 S1 또는 S2로부터 출력된 신호음이 개방단(147)으로 유도되는 비율이 떨어지게 될 것인바, 개방단(147)을 통해 출력되는 신호음의 출력 품질 역시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음원 S3으로부터 출력된 신호음은 SP1, SP2 및 SP3의 경로로 각각 진행된다. 이때, SP1, SP2 및 SP3 중 어느 경로를 따라 진행하더라도 제 1 곡면(142)에 의해 반사된 신호음은 개방단(147) 측으로 유도된다. 따라서, 제 1 곡면(142)의 구성으로 인하여 반사단(146) 측으로부터 개방단(147) 측으로 유도되는 신호음의 비율이 높아지는 효과가 도출됨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작용을 하는 제 1 곡면(142)으로부터 도출되는 효과는, 제 1 곡면의 구성이 결여된 상태로 제 1 리브(241), 제 2 리브(245), 제 3 리브(243), 반사단(246) 및 개방단(247) 만으로 구성된 신호음 안내부(240)가 도시된 도 14와의 대비를 통해 극명해지는데, 도 14를 참조하면, 도 13과 동일한 위치의 음원 S3로부터 출력된 신호음들이 각각 SP1, SP2 및 SP3를 따라 진행될 시, 도 13에서 와는 반대로 반사단(146)측으로 유도된다.
한편, 제 1 곡면(142)과 마찬가지로 제 2 곡면(144) 역시 반사단(146) 측으로부터 개방단(147)측으로 신호음의 진행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함은 물론이다.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4)

  1. 제품정보를 소리 신호로 출력하는 신호음 출력부; 및
    상기 신호음 출력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신호음 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음 안내부는,
    상기 신호음 출력부로부터 출력된 소리 신호가 상기 신호음 안내부와 상기 신호음 출력부 간에 계속적으로 반사되며 진행되도록 소리통로를 형성하되, 상기 소리통로를 통해 진행된 소리 신호가 상기 신호음 안내부의 외측으로 출력되도록 개구된 개방단이 형성된 세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음 안내부는,
    상기 개방단의 일측에 위치되어 상기 신호음 출력부로부터 출력된 소리 신호를 상기 소리통로 내로 반사시키는 반사단;
    상기 반사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1 리브; 및
    상기 제 1 리브와의 사이에 상기 신호음 출력부를 두고, 상기 제 1 리브와 나란하게 연장되고, 상기 개방단의 타측과 연결되는 제 2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음 출력부를 기준으로 상기 개방단과는 반대쪽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리브와 상기 제 2 리브 사이를 연결하는 제 3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리브와 상기 신호음 출력부 사이에 형성된 소리통로 구간의 폭이 상기 제 2 리브와 상기 신호음 출력부 사이에 형성된 소리통로 구간의 폭보다 작은 세탁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리브는,
    상기 반사단 측으로부터 상기 소리통로를 통해 전달된 소리가 상기 개방단 측으로 반사되도록 곡면을 이루는 구간을 포함하는 세탁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은,
    상기 제 1 리브와 상기 제 3 리브가 연결되는 부분 및 상기 제 2 리브와 상기 제 3 리브가 연결되는 부분 중 적어도 한 부분에 형성되는 세탁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세탁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음 출력부는 상기 케이싱의 배면에 구비되고,
    상기 신호음 안내부는,
    상기 케이싱의 배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세탁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에 형성된 개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음 안내부의 개방단은 상기 개구부와 연통되는 세탁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에 장착되어 사용자로부터 각종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케이싱에 상기 입력부가 장착될 시 형성되는 틈인 세탁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음 안내부는,
    상기 개방단의 일측에 위치되어 상기 신호음 출력부로부터 출력된 신호음을 상기 소리통로 내로 반사시키는 반사단;
    상기 반사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1 리브; 및
    상기 제 1 리브와의 사이에 상기 신호음 출력부를 두고, 상기 제 1 리브와 나란하게 연장되고, 상기 개방단의 타측과 연결되는 제 2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음 출력부를 기준으로 상기 개방단과는 반대쪽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리브와 상기 제 2 리브 사이를 연결하는 제 3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리브와 상기 신호음 출력부 사이에 형성된 소리통로 구간의 폭이 상기 제 2 리브와 상기 신호음 출력부 사이에 형성된 소리통로 구간의 폭보다 작은 세탁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리브는,
    상기 반사단 측으로부터 전달된 소리가 상기 개방단 측으로 반사되도록 곡면을 이루는 구간을 포함하는 세탁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을 이루는 구간은,
    상기 제 3 리브가 상기 제 1 리브와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세탁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을 이루는 구간은,
    상기 제 3 리브가 상기 제 2 리브와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세탁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음 출력부는,
    상기 제품정보를 서로 다른 복수의 주파수로 구성된 신호음으로 출력하는 세탁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정보에 인코딩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인가된 제어신호를 구성하는 서로 다른 비트를 각각 서로 다른 주파수 신호로 변환시키는 모듈레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음 출력부는,
    상기 모듈레이터로부터 인가된 주파수 신호에 대응하여 소리 신호를 출력하는 세탁기.
  1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단과 상기 개방단은,
    상기 신호음 출력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 3 리브와는 반대쪽에 위치되는 세탁기.
KR1020100006146A 2010-01-22 2010-01-22 세탁기 KR101538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6146A KR101538383B1 (ko) 2010-01-22 2010-01-22 세탁기
PCT/KR2011/000417 WO2011090334A2 (ko) 2010-01-22 2011-01-21 세탁기
US13/574,388 US20130077809A1 (en) 2010-01-22 2011-01-21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6146A KR101538383B1 (ko) 2010-01-22 2010-01-22 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6424A KR20110086424A (ko) 2011-07-28
KR101538383B1 true KR101538383B1 (ko) 2015-07-21

Family

ID=44307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6146A KR101538383B1 (ko) 2010-01-22 2010-01-22 세탁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30077809A1 (ko)
KR (1) KR101538383B1 (ko)
WO (1) WO201109033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9027B1 (ko) * 2011-08-22 2018-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제품 정보 관리 시스템
KR101880082B1 (ko) * 2012-03-27 2018-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KR20140122109A (ko) * 2013-04-09 2014-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 및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 제어방법
EP3396050B1 (en) * 2017-04-28 2020-12-23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Household appliance and method of operating a household appliance
KR20210051962A (ko) * 2019-10-31 2021-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물 처리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7254A (ja) * 1997-06-25 1999-05-11 Fisher & Paykel Ltd 装置及び該装置を制御する方法
KR20080068448A (ko) * 2007-01-19 2008-07-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80068447A (ko) * 2007-01-19 2008-07-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 서비스 제공 방법
US20100092006A1 (en) * 2008-10-10 2010-04-15 Rosen Michael D Ducting Sound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50172B1 (en) * 1998-04-29 2002-09-17 Medtronic, Inc. Broadcast audible sound communication from an implantable medical device
US8103035B2 (en) * 2006-12-22 2012-01-24 Bose Corporation Portable audio system having waveguide structure
JP4431836B2 (ja) * 2007-07-26 2010-03-17 株式会社カシオ日立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音声取得装置、雑音除去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8705715B2 (en) * 2008-04-30 2014-04-22 Lg Electronics Inc. Home appliance, home appliance system, and diagnosis method of a home appliance
KR101466336B1 (ko) * 2008-05-16 2014-11-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음향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7254A (ja) * 1997-06-25 1999-05-11 Fisher & Paykel Ltd 装置及び該装置を制御する方法
KR20080068448A (ko) * 2007-01-19 2008-07-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80068447A (ko) * 2007-01-19 2008-07-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 서비스 제공 방법
US20100092006A1 (en) * 2008-10-10 2010-04-15 Rosen Michael D Ducting Sou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077809A1 (en) 2013-03-28
WO2011090334A3 (ko) 2011-12-29
WO2011090334A2 (ko) 2011-07-28
KR20110086424A (ko) 2011-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25054B2 (en) Home appliance and signal output method thereof
US20110022358A1 (en)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for home appliance
KR101708686B1 (ko)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1538383B1 (ko) 세탁기
KR101404104B1 (ko)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US8432291B2 (en)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for home appliance
AU2010279835B2 (en)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20110060553A1 (en)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for home appliance
US8717188B2 (en)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for home appliance
US8341002B2 (en)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for home appliance
US20110054845A1 (en)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for home appliance
KR20110010375A (ko) 가전기기 진단 시스템 및 그 진단방법
US20110054843A1 (en)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for home appliance
US20110054844A1 (en)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for home appliance
KR20110137614A (ko) 가전기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10010373A (ko)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114309A (ko)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를 포함하는 가전기기시스템
KR20020056400A (ko) 세탁기 및 그 이상경고 출력방법
KR101291279B1 (ko) 가전기기
KR20040096141A (ko) 세탁기의 응급조치 제어 방법
KR20110013067A (ko)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