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6061A - 가전기기 - Google Patents

가전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6061A
KR20130006061A KR1020110067877A KR20110067877A KR20130006061A KR 20130006061 A KR20130006061 A KR 20130006061A KR 1020110067877 A KR1020110067877 A KR 1020110067877A KR 20110067877 A KR20110067877 A KR 20110067877A KR 20130006061 A KR20130006061 A KR 20130006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appliance
signal
casing
passage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7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1279B1 (ko
Inventor
송수연
이근형
김덕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7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1279B1/ko
Publication of KR20130006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0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1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1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8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 G10K11/22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for conducting sound through hollow pipes, e.g. speaking tub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0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4Sound-produc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가전기기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고, 제품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음을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출력부로부터 출력된 신호음을 상기 출력부와 이격된 상기 케이싱 상의 소정의 지점으로 안내하는 신호음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음 통로는, 상기 출력부로부터 출력된 신호음의 진행경로를 따라 통로 단면적이 점점 줄어드는 통로 축소부; 및 상기 통로 축소부를 통과한 신호음을 상기 소정의 지점까지 유도하는 신호음 유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전기기{HOME APPLIANCE}
본 발명은 가전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품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음을 출력하는 가전기기에 관한 것이다.
가전기기의 작동 중 이상이 발생하면, 사용자는 서비스센터에 문의를 하여 이상 증상을 자체적으로 처리하거나, 적절한 조치를 위한 서비스 인원을 파견시켜줄 것을 요청하게 된다.
그러나, 가전기기의 이상 작동에 대한 상기와 같은 방식의 대응은, 사용자가 가전기기의 이상 증상을 서비스센터 측에 정확하게 전달하는데 한계가 있고, 서비스센터 측의 대응 역시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최근에는 사용자측에서 서비스센터 측으로 보다 정확하게 가전기기의 이상 증상을 전달하기 위해, 가전기기의 증상을 소정 패턴의 신호음으로 출력하고, 이를 통해 가전기기의 진단을 실시하는 진단시스템이 개발된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진단시스템은 공기를 매질로 하여 전달되는 신호음 특성상, 신호음의 감쇄 또는 왜곡이 발생할 수 있으며, 진단 결과의 정확도를 떨어뜨리는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심한 경우 진단 실패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제품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음을 정확하게 출력할 수 있는 가전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가전기기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고, 제품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음을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출력부로부터 출력된 신호음을 상기 출력부와 이격된 상기 케이싱 상의 소정의 지점으로 안내하는 신호음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음 통로는, 상기 출력부로부터 출력된 신호음의 진행경로를 따라 통로 단면적이 점점 줄어드는 통로 축소부; 및 상기 통로 축소부를 통과한 신호음을 상기 소정의 지점까지 유도하는 신호음 유도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가전기기는 제품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음을 출력할 시, 상기 신호음의 감쇄 현상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전기기는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음이 신호음 통로를 따라 진행할 시 일정구간에서 신호음의 강도가 세진 다음 소정의 위치까지 유도되기 때문에, 신호음 감쇄를 줄일 수 있고, 음원으로부터 보다 먼 거리까지 신호음을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제품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음을 출력하는 가전기기 및 이를 포함하는 진단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전기기의 주요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컨트롤패널의 배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컨트롤패널에 부져가 장착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컨트롤패널의 전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도 5의 A-A 및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들을 비교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음 통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음 통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제품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음을 출력하는 가전기기 및 이를 포함하는 진단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진단시스템은 제품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음을 출력하는 가전기기(1)와, 통신망을 통해 가전기기로부터 출력된 신호음을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음을 분석하여 가전기기를 진단하는 진단장치(SVC)를 포함한다.
도 1에는 가전기기의 일례로 세탁기(1)가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품정보를 음의 형태로 신호화하여 출력하는 것이면, 냉장고, 에어컨, 식기세척기, TV 등의 다양한 종류의 가전기기에 적용될 수 있음을 명시한다.
제품정보는 가전기기의 운전정보, 사용정보 및 고장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운전정보는 사용에 의해 설정된 설정정보(customer setting information), 가전기기의 운전상태에 관한 정보(operation information)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기를 예로 들면, 상기 운전정보는 세탁 또는 헹굼시의 냉/온수 급수설정, 세탁물의 오염정도에 대한 설정값, 모터 등의 구동부의 설정값 등을 들 수 있다.
사용정보는 가전기기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정보, 가전기기의 운전이력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전 이력에 관한 정보로는, 가전기기가 최근 몇 시간 동안 어떠한 패턴으로 운전을 하였는지에 관한 정보 또는 최근 몇 사이클(cycle) 동안의 운전 패턴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고장정보는 가전기기의 이상작동 또는 오작동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고장정보는 에러코드(error code)를 예로들 수 있으며, 이러한 에러코드는 가전기기를 구성하는 각종 구성품의 정상작동 여부를 알리거나, 가전기기의 이상작동이 사용자의 오조작에 의한 것임을 알리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품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음 출력을 위해 가전기기는 출력부(57, 도 2 참조)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출력부는 스피커(speaker) 또는 부저(buzzer) 등의 음향 출력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가전기기(1)의 진단이 수행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가전기기(1)의 고장이 발생하거나, 가전기기(1)가 설치된 환경적인 원인 또는 사용자의 조작 미숙 등으로 인하여 가전기기(1)가 정상 작동하지 못하는 경우, 가전기기(1)로부터 소정의 경고음이 출력된다(P1). 사용자는 이를 인지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하게 되는데, 필요 시 서비스센터(SCV)에 연락하여 조치를 문의하게 된다(P2). 사용자는 가전기기(1)의 이상증상을 서비스센터의 상담원에게 설명하고, 상담원은 그에 상응하는 조치를 사용자에게 알려준다(P3). 사용자는 상담원이 알려준 처리방법에 따라 가전기기(1)를 조작하여 조치를 시도할 수 있으나, 상담원이 알려준 처리방법 만으로는 가전기기(1)의 이상 증상이 해소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사용자가 가전기기(1)의 상태를 정확하게 상담원에게 알려주지 못하였거나, 사용자가 알려준 이상 증상만으로는 가전기기(1)의 오작동 원인을 정확하게 진단할 수 없기 때문이라 할 것이다.
상담원과의 상담만으로는 가전기기(1)의 이상 증상을 적절하게 조치할 수 없는 경우, 사용자는 상담원의 안내에 따라 출력부(57) 근처로 단말기(81)를 가져다 대고, 가전기기(1)가 진단모드를 수행하도록 조작한다. 단말기(81)는 공기를 매개 출력부(57)로부터 출력된 신호음을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음을 통신망을 통해 서비스센터 측으로 전송하면 족한 것으로, 유/무선 전화기, 휴대폰(mobile phone)/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스마트폰(smart phone) 등의 이동통신기기를 예로 들 수 있다.
가전기기(1)에는 사용자가 진단모드 실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선택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선택부는 버튼(button), 다이얼(dial), 택트 스위치(tact switch), 터치패드(touch pad)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선택부를 조작함으로써 진단모드로 진입되면, 가전기기(1)는 제품정보를 소정의 신호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제품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음은 전술한 바와 같이 출력부(57)를 통해 출력되고, 단말기(81)와 연결된 통신망을 통해 서비스센터로 전송된다. 서비스센터에는 통신망과 연결되어 가전기기(1)가 출력한 제품정보가 포함됨 신호음을 수신하고(P4), 수신된 음을 분석하여 가전기기의 진단을 수행하는 진단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진단장치는 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신호음으로부터 역으로 제품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분석하여 가전기기(1)를 진단한다.
한편, 진단결과는 가전기기(1)의 수리를 위해 사용자의 가정에 파견될 수리자(93)에게 통보될 수 있다(P6). 수리자(93)는 통보된 진단결과를 확인하고, 가전기기(1) 수리를 위해 필요한 부품을 준비한 후 사용자를 방문한다. 필요한 부품을 사전에 정확하게 준비할 수 있는 바, 수리자(93)가 사용자를 재방문하는 가능성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전기기의 주요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가전기기(1)는 감지부(51), 구동부(52), 입력부(53), 제어부(54), 인코딩부(55), 변조부(56), 출력부(57), 메모리부(58)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51)는 가전기기(1)의 작동상태를 감지하는 것이다. 감지부(51)는 가전기기(1)를 이루는 구성품들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거나, 상기 구성품을 제어하기 위한 변수들을 감지하는 각종 센서들로 구성될 수 있다.
구동부(52)는 제어부(54)로부터 인가된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가전기기(1)를 구동하는 것으로, 이때 제어부(54)는 감지부(51)의 감지값에 따라 구동부(52)를 제어할 수 있다.
입력부(53)는 사용자로부터 가전기기(1)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것으로, 예를 들어, 입력부(53)를 통해 가전기기(1)의 진단명령이 입력되면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진단모드가 수행된다.
메모리부(58)는 가전기기(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 구동 알고리즘, 제품정보 등을 저장하는 것이다. 메모리부(58)는 ROM, EEPROM, DRAM, SRA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진단모드가 수행되는 시점까지 메모리부(58)에 저장된 제품정보가 인코딩부(55), 변조부(56) 및 출력부(57)를 통해 소리의 형태로 신호화되어 출력된다.
인코딩부(55)는 메모리부(58)에 저장되는 제품정보를 호출하여 지정된 일정 방식에 따라 인코딩하여 데이터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신호에 프리앰블과 에러체크비트를 추가하여 일정 포맷의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인코딩부(55)는 제품정보를 인코딩함으로써 복수의 심볼로 구성되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인코딩부(55)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데 있어서, 제어신호를 일정 크기로 분할하여 프레임화하여 복수의 프레임으로 패킷을 구성하고, 프레임 사이 사이에 일정시간 소리가 출력되지 않는 구간인 IFS(Inter Frame Space)를 설정할 수 있으며, 또한, 제품정보를 제어신호로 변환할 시, 커패시터의 충전과 방전 원리로 인하여 다음 신호 변환에 영향을 끼치는 잔향효과를 제거하기 위해 데이터의 값이 변경되는 구간에서 심볼에 데드타임을 설정할 수 있다.
변조부(56)는 제어부(54)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출력부(57)로 일정 구동신호를 인가하여 출력부(57)를 통해 신호음이 출력되도록 한다. 따라서, 이렇게 출력되는 신호음은 제품정보를 포함하게 된다.
변조부(56)는 제어신호를 구성하는 심볼에 대하여, 하나의 심볼에 대응하여 지정된 주파수 신호가 심볼타임 동안 출력되도록 출력부(57)로 신호를 인가한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2 개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신호음을 출력하는 경우, 제어신호를 구성하는 심볼의 조합 중 데이터 “1”에 대응하여 지정된 주파수와 데이터 “0”에 대응하여 지정되는 주파수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출력부(57)는 신호음을 출력하는 것으로, 부져(buzzer), 스피커(speaker) 등의 음향 출력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컨트롤패널의 배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컨트롤패널에 부져가 장착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컨트롤패널의 전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도 5의 A-A 및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들을 비교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음 통로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3에 도시된 세탁기(1)를 예로 들것이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품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음 출력하는 가전기기의 일례로써 든 것뿐이고, 본 발명의 가전기기가 반드시 세탁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명시한다.
통상 가전기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에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제어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53) 또는 가전기기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display)를 구비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컨트롤패널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기(1)의 케이싱은 컨트롤패널(10)과, 포가 출입될 수 있도록 전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케비닛(20)과, 캐비닛(20)의 개구부를 여닫는 도어(30)가 구비된다.
출력부(57)는 이러한 가전기기의 케이싱 내부에 구비되고, 가전기기 진단 시 단말기(81)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부터 접근한다. 따라서, 상기 케이싱에는 가전기기 진단 시 사용자가 단말기(81)를 접근시키도록 유도하기 위한 소정의 표시가 기호, 문자 및/또는 도형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단말기(81) 접근 지점이 명시적으로 표시되지 않고 가전기기의 사용 안내서 또는 서비스센터 측 상담원의 안내에 따라 안내되는 것도 가능하다.
어느 경우에나, 가전기기 진단을 위한 단말기(81)의 접근 위치는 케이싱 내에 설치된 출력부(57)의 위치를 고려하여, 즉, 출력부(57)로부터 출력된 신호음의 왜곡 또는 감쇄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위치에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출력부(57)로부터 출력된 신호음을, 출력부(57)와 이격된 소정의 위치, 즉, 가전기기 진단 시의 단말기(81) 접근위치(이하, '단말기 접근위치'라고 한다.)까지 신호음 감쇄를 최소화하며 유도하기 위한 신호음 통로(17)들에 관한 것이다.
도 3에는 단말기 접근위치(11)가 컨트롤패널(10)에 형성되어 있으나, 이는 사용자의 접근 편의성을 고려한 일례일 뿐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케이싱의 다른 부분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3에서 단말기 접근위치(11)는 세탁기의 전원버튼(19)과 근접한 위치에 형성되었다.
마찬가지로, 도 4 내지 도 9에서도 신호음 통로(17)들이 컨트롤패널(10)에 위치하나, 이는 상기 도면들에서 출력부(57)가 컨트롤패널(10)에 위치하는 것을 예로 들었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였을 뿐이며, 상기 신호음 통로가 반드시 컨트롤패널(10)에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케이싱의 다른 부분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컨트롤패널(10)에는 출력부(57)로부터 출력된 제품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음을 단말기 접근위치(11) 측으로 안내하는 신호음 통로(17)가 형성될 수 있다. 신호음 통로(17)는 가전기기의 사출성형에 의해 컨트롤패널(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신호음 통로(17)는 출력부(57)측과 단말기 접근위치(11)측 사이를 연결하는 관 형상의 통로로 형성되고, 출력부(57)측 일단에는 출력부(57)로부터 출력된 신호음 수신을 위한 신호음 입구(13)가 형성되어야 하나, 단말기 접근위치(11)측인 타단에는 반드시 출구가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케이싱에서 단말기 접근위치(11)가 표시된 부분에 신호음 출력을 위한 홀이 형성된 경우에는 단말기 접근위치(11)와 인접한 신호음 통로(17)의 타단에 신호음 출구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대로 상기 케이싱에 신호음 출력을 위한 홀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는 단말기 접근위치(11)와 인접한 신호음 통로(17)의 타단이 개방단이 아니어도 무방하다.
신호음 통로(17)는 출력부(57)로부터 출력된 제품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음이 입력됨과 아울러, 입력된 신호음이 진행되는 경로를 따라 통로의 단면적이 점점 축소되는 통로 축소부(14)와, 통로 축소부(14)를 통과한 신호음을 단말기 접근위치(11) 측으로 유도하는 신호음 유도부(15)를 포함한다.
신호음 통로(17)는 컨트롤패널(10)에 길게 형성된 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10)의 배면에 출력부(57)가 배치됨을 고려할 시, 신호음 통로(17)를 이루는 홈은 컨트롤패널(10)의 전면에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컨트롤패널(10)의 전면에는 외장부재(18)가 배치될 수 있고, 이 경우, 신호음 통로(17)는 컨트롤패널(10)에 형성된 홈과 외장부재(18)로 둘러 쌓인 통로이다.
외장부재(18)는 입력부(53)를 구성하는 다이얼(dial), 버튼(button), 스위치(switch) 등의 각종 입력수단을 명칭 또는 기능을 표시하는 필름, 투명부재, 케이싱의 미관 향상을 위한 장식부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57)로부터 출력된 신호음은 통로 축소부(14)를 통과하면서 점점 강도가 세진다. 따라서, 통로 축소부(14)를 통과한 신호음이 신호음 유도부(15)를 따라 단말기 접근위치(11)까지 유도되어도, 단말기(81)로 입력되는 신호음은 충분한 강도를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신호음 유도부(15)에 의해 보다 먼 거리까지 신호음을 유도할 수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출력부(57)와 단말기 접근위치(11) 간의 위치 관계에 따라서는 신호음 유도부(15)를 절곡 형성하여야 하는 경우도 있을 것이나, 이 경우 절곡이 이루어지는 부위에서 신호음의 감쇄가 발생할 수 있으나, 이미 통로 축소부(14)를 통과하며 신호음의 강도가 세어진 이후이기 때문에 신호음 유도부(15)의 절곡 구조에도 불구하고 단말기 접근위치(11)에 이르른 신호음의 세기는 충분한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신호음 통로(17)는 출력부(57)를 둘러싸는 신호음 분산 방지벽(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신호음 분산 방지벽(12)은 컨트롤패널(10)의 배면에서 돌출된 리브로 구성될 수 있고, 통로 축소부(14)와의 연결부분에 신호음 입구(13)가 형성된다. 신호음 분산 방지벽(12)은 출력부(57)로부터 출력된 신호음이 분산되는 것을 줄이고, 상기 신호음을 신호음 입구(13)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상에서, 출력부(57)는 부져(buzzer)인 것을 예로 들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음 통로의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신호음 통로(17)가 관 형상의 형태로 컨트롤패널(10)에 일체로 형성된다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가 있고, 그 이외에는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Claims (11)

  1.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고, 제품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음을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출력부로부터 출력된 신호음을 상기 출력부와 이격된 상기 케이싱 상의 소정의 지점으로 안내하는 신호음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음 통로는,
    상기 출력부로부터 출력된 신호음의 진행경로를 따라 통로 단면적이 점점 줄어드는 통로 축소부; 및
    상기 통로 축소부를 통과한 신호음을 상기 소정의 지점까지 유도하는 신호음 유도부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음 통로는,
    상기 케이싱에 형성된 홈; 및
    상기 홈을 덮는 외장부재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 함몰 형성된 가전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부재는,
    상기 케이싱의 전면을 구비되는 가전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음 통로는,
    관 형상으로 상기 케이싱에 일체로 형성되는 가전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음 통로는,
    상기 출력부를 둘러싸는 신호음 분산 방지벽을 더 포함하는 가전기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음 분산 방지벽에는 상기 출력부로부터 출력된 신호음이 상기 통로 축소부로 입력되도록, 상기 통로 축소부와 연통되는 신호음 입구가 형성되는 가전기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음 유도부는 절곡 형성되는 가전기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위치는,
    상기 출력부로부터 출력된 신호음을 수신하기 위한 단말기가 접근되는 단말기 접근위치인 가전기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에는,
    상기 단말기 접근위치가 표시된 가전기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접근위치에는 신호음 유도부를 따라 유도된 신호음이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 출력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된 가전기기.
KR1020110067877A 2011-07-08 2011-07-08 가전기기 KR101291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877A KR101291279B1 (ko) 2011-07-08 2011-07-08 가전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877A KR101291279B1 (ko) 2011-07-08 2011-07-08 가전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061A true KR20130006061A (ko) 2013-01-16
KR101291279B1 KR101291279B1 (ko) 2013-07-30

Family

ID=47837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7877A KR101291279B1 (ko) 2011-07-08 2011-07-08 가전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1279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5587B1 (ko) * 2009-07-09 2015-09-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1279B1 (ko) 2013-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9483B1 (ko) 가전기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403000B1 (ko) 가전기기 및 그 신호출력방법
US8615380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ng home appliance
KR20100112948A (ko)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진단방법
US8432291B2 (en)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for home appliance
US8717188B2 (en)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for home appliance
US8341002B2 (en)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for home appliance
KR20110010375A (ko) 가전기기 진단 시스템 및 그 진단방법
EP1186695B1 (en) Remote control system of laundry appliance
US20110060553A1 (en)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for home appliance
US8547200B2 (en)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20110054845A1 (en)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for home appliance
KR101442107B1 (ko) 가전기기 진단장치
KR101709478B1 (ko) 가전기기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US8346508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ng home appliance
KR101708686B1 (ko)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JP5453520B2 (ja) 家電機器及び家電機器システム
US20110054844A1 (en)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for home appliance
KR20110013581A (ko)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진단방법
KR20100112946A (ko)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 시스템
KR101291279B1 (ko) 가전기기
KR20110086424A (ko) 세탁기
KR20090114309A (ko)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를 포함하는 가전기기시스템
KR20110010373A (ko)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14436A (ko) 가전기기 및 그 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