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5587B1 -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5587B1
KR101555587B1 KR1020090062722A KR20090062722A KR101555587B1 KR 101555587 B1 KR101555587 B1 KR 101555587B1 KR 1020090062722 A KR1020090062722 A KR 1020090062722A KR 20090062722 A KR20090062722 A KR 20090062722A KR 101555587 B1 KR101555587 B1 KR 1015555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unit
output
sig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2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5160A (ko
Inventor
이팔진
정회진
김현상
조인행
권의혁
김용태
이군석
한종희
강해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2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5587B1/ko
Publication of KR20110005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5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5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22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computer hardware by testing during standby operation or during idle time, e.g. start-up testing
    • G06F11/26Functional testing
    • G06F11/273Tester hardware, i.e. output processing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가전기기에서 제품정보가 소정의 신호 음으로 출력됨으로서, 신호음을 연결된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여 원격지의 서비스 센터에서 가전기기의 상태 확인이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가전기기에서 음을 출력하는 데에 따른 제품정보를 일정포맷으로 코딩하고, 변환하여 음이 출력되도록 함으로써,노이즈 또는 신호 오류를 방지하고, 안정적인 신호 변환 및 정확한 음(Sound) 출력이 가능하며 통신망을 통해 서비스센터로 전송된 음의 복구가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가전기기, 세탁기, 소리출력, 신호음, 고장진단, 진단시스템

Description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Diagnostic system for home appliance and its operating method}
본 발명은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전기기의 제품정보를 소정의 음으로 출력하여 가전기기의 상태 점검 및 애프터 서비스가 용이하도록 하는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전기기는 각각 소정 동작을 수행하는 중, 동작 수행을 위한 설정값, 동작 중 발생되는 정보, 고장정보 등을 저장하는데, 특히 고장 발생시에는 소정의 알람을 출력함으로써, 가전기기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가전기기의 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가전기기는 단순히 동작완료 또는 고장발생을 알리기만 할 뿐 아니라, 구비되는 출력수단,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수단, 램프 등을 통해 구체적인 고장정보를 출력하기도 한다.
한편, 가전기기에 이상이 발생된 경우, 사용자는 서비스 센터 등에 연락하여 가전기기의 상태에 대한 조언을 구하거나, 고장난 가전기기에 대한 서비스 인원을 요청하는 등의 애프터 서비스를 이용하게 된다.
이때, 가전기기에 고장 정보가 단순히 출력되거나, 사용자는 알 수 없는 코 드값으로 출력되는 것이 일반적이라, 사용자는 가전기기의 고장에 대응하기 어려우며, 서비스 센터에 연결되더라도, 가전기기의 상태를 정확하게 전달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그로 인하여, 서비스 인원이 가정을 방문하는 경우, 사전에 가전기기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함으로 인하여 가전기기 수리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예를 들어, 가전기기 수리에 필요한 부품이 사전에 준비되지 않은 경우, 서비스인원이 가정을 재 방문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 아니라, 그만큼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전기기와 서비스센터의 서버가 소정의 통신수단을 통해 연결될 수도 있지만, 통신망을 구축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술의 발달로 전화망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고장정보 등을 원격으로 진단하는 기술로 발전하였다.
출원번호 EP0510519에는 가전기기의 고장정보를 가전기기에 연결된 모뎀을 통하여 전화망을 이용하여 서비스센터로 전달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으나, 이 경우 가전기기에는 상시 모뎀이 연결되어있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세탁물 처리기기와 같은 가전기기는 실외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인바, 세탁물 처리기기와 전화망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장소적인 제약이 있었다.
특허등록번호 US5987105에는 전화망을 이용하여 가전기기의 고장정보를 가청주파수대의 음(Sound)으로 변환하고 이를 전화기를 통하여 서비스센터 등에 전송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가전기기의 고장정보가 가청주파수대의 음(Sound)으로 변환된 후, 이를 다시 전화기의 수화기로 전달하는 과정에서, 주변환경에 따라 신 호 간섭이 생길 수도 있으며, 또한 음(Sound)이 전화망을 통하여 전송되는 과정에 있어서, 전화망의 특성에 따라 데이터의 손실이 발생 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앞서 설명한 US5987105의 경우 데이터 손실 방지 및 정확한 제품전달을 위하여, 하나의 정보단위인 1bit를 표현하는 1심볼(symbol)의 크기는 30ms 으로 하고, 각 비트당 독립된 주파수를 사용하도록 한다.
동일한 주파수가 반복되는 간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데이터수에 대응하여 주파수를 사용해야 한다. 7개의 데이터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7개의 상이한 주파수를 사용해야한다. 그에 따라 불필요하게 많은 주파수를 사용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다수의 주파수 사용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 주파수의 수를 감소하기 위해서는 심볼의 크기를 증가시켜야 하는데, 기존의 30ms의 심볼타임을 100ms이상으로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이 경우 심볼의 크기가 커서 전송할 데이터의 크기 또한 증가하게 되므로 그에 따른 전송시간도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경우 음을 전송하는 통신망 또는 단말의 특성에 의해 음이 왜곡되거나 손실될 수 있으나 그에 대한 대응책이 미비하다.
그에 따라, 적은수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제품정보를 표현함과 동시에 짧은 심볼타임을 이용하여 출력음의 길이 전체 크기 및 전송시간을 감소시킬 뿐 아니라, 짧은 심볼타임에서의 정확도 향상을 위한 대안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전기기로부터 제품정보가 포함된 음을 출력하고 제품정보가 포함된 음을 이용한 가전기기의 고장 진단이 용이한 가전기기 및 진단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을 출력하는 데에 따른 신호의 주파수 특성 및 심볼타임을 조절하여 출력된 음의 인식율을 향상키고 전송이 용이하도록 하며, 가전기기의 고장 진단에 대한 정확도 및 효율성이 향상되는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는 고장진단을 실시하기 위한 명령이 입력되는 선택부; 상기 고장진단을 위한 가전기기의 제품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선택부에 의해 고장진단 실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가전기기를 스마트 진단모드로 변경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제품정보를 인코딩하여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제어신호로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소정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는 모듈레이터; 및 상기 모듈레이터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주파수 신호에 대응하는 음을 출력하는 음향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레이터는 상기 제어신호를 구성하는 복수의 심볼에 대하여, 하나의 심볼에 대응하여 하나의 주파수 신호가 지정된 심볼타임 동안 상기 음향출력부로 인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의 동작방법은 고장진단을 위한 선택부가 입력되면, 스마트 진단모드를 시작하는 단계; 상기 고장진단에 필요한 상기 가전기기의 제품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소정 주파수 신호를 음향출력부로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음향출력부로부터 상기 주파수 신호에 대응하는 음(Sound)이 출력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주파수 신호를 음향출력부로 인가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신호를 구성하는 복수의 심볼에 대하여, 하나의 심볼에 대응하여 하나의 주파수 신호가 지정된 심볼타임 동안 상기 음향출력부로 인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은 가전기기로부터 제품정보가 포함된 음을 출력함에 있어서 제품정보를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하고 프레임단위로 일정방식에 따라 코딩하여 음으로 출력함으로써, 효과적이고 정확한 음의 출력이 가능하고 신호의 변환 과정에 발생되는 노이즈 또는 신호 오류를 방지하고, 안정적인 신호 변환 및 정확한 음(Sound) 출력이 가능하여, 음(Sound)을 통한 정보 전달이 용이하므로, 통신망을 통한 진단시스템에서의 가전기기에 대한 상태점검 및 진단을 통해 애프터서비스의 이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을 출력하는데 있어서 음을 구성하는 신호의 특성 및 주파수 특성을 제어하여 음이 출력되거나 전송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고, 고장진단에 필요한 정확한 데이터 전달이 가능하여 음에 대한 인식율 및 전송율을 향상시키고 음을 이용한 가전기기의 고장진단이 용이하도록 하여 고장진단에 대한 정확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 진단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가전기기 진단시스템은 각 가정의 가전기기(101)에서 가전기기의 동작에 대한 정보가 음(Sound)으로 출력되면, 제품정보가 포함된 음이 전화기 또는 휴대전화 등의 단말로 입력되고, 입력된 음이 소리신호로써, 통신망을 통해 서비스센터(200)로 전송되어, 서비스센터의 진단서버에서 가전기기의 상태에 대하여 고장여부를 진단하도록 구성된다.
가전기기 진단시스템은 가전기기(101)와, 가전기기의 상태 및 고장 여부를 진단하는 서비스 센터(200)를 포함한다. 이때, 서비스 센터는 가전기기의 정보 및 진단프로그램이 구비된 진단서버를 포함한다.
가전기기(101)는 소정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118)를 구비하며, 이러한 표시부는 LED, LCD, 유기 EL과 같은 형태의 발광체로서, 가전기기(101)의 상태정 보, 또는 고장정보를 시각화하여 표시한다. 또한, 가전기기(101)는 소리를 출력하는 수단으로써 음향출력부(160)를 구비하여, 가전기기(101)의 동작, 상태, 고장에 대한 정보를 재생하여 소정 음으로 출력한다.
가전기기(101)가 운전 중 고장을 일으키거나 동작에 이상이 발생되는 때, 가전기기(101)는 표시부(118)를 통해 에러코드를 출력하거나, 또는 음향출력부(160)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하여, 고장 발생을 사용자에게 통보한다(S1).
이때, 가전기기(101)는 운전정보, 고장정보, 사용정보를 포함하는 제품정보를 저장한다.
사용자는 가전기기(101)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가전기기(101)의 정보를 확인하여, 가전기기(101)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서비스센터(200)에 수리를 요청하게 된다. 사용자는 서비스센터(200)에 연락하여 고장 발생을 통보하고 그에 대한 조치를 문의한다(S2).
사용자가 서비스센터(200)에 연결하여, 서비스센터(200) 측의 요청에 따라(S3), 가전기기(101)에 구비되는 입력부(미도시) 중 선택부(미도시)를 조작하는 경우, 가전기기(101)는 제품정보를 변환하여 소정의 음(Sound)으로 음향출력부(160)를 통해 출력한다. 이렇게 출력된, 제품정보가 포함된 음은 통신망을 통해 서비스센터(200)로 전송된다(S4).
이때, 사용자는 가전기기(101)의 모델정보와 고장 증상을 서비스센터(200)로 통보하면서, 통화 중 전화기(80)를 가전기기(101)의 소리 나는 곳, 즉 음향출력부(160)에 가까이 가져다 댐으로써, 자신의 휴대단말기 또는 전화기 등의 단말(80) 을 이용하여 가전기기의 제품정보가 포함된 음(Sound)을 서비스센터(200)로 전송하여 가전기기(101)에 대한 애프터서비스(A/S)를 요청할 수 있다.
서비스센터(200)에서는 연결된 통신망, 예를 들어 전화망을 통해 음이 수신되면, 가전기기(101)에서 출력되는 음(Sound)을 확인하여, 가전기기(101)의 제품상태를 판단하여 고장여부를 진단한다(S5).
서비스센터(200)는 진단결과에 대응하여, 가전기기(101)의 제품상태 및 고장진단에 적합한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서비스 인원(93)을 가정에 파견하게 된다(S6). 이때, 진단 결과는 서비스 기사(93)의 단말로 전송되어(S6) 서비스 기사가 가전기기(101)의 고장을 수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서비스센터(200)는 사용자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상담원을 통해 사용자에게 진단결과를 음성 전달하거나 소정 데이터로 전송할 수 있다(S7).
그에 따라, 진단시스템은 사용자가 서비스 센터(200)에 소정의 통신망을 통해, 예를 들어 전화망을 통해 서비스센터에 연결하면, 가전기기(101)의 상태를 음(Sound)을 통해 정확하게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전송하므로, 신속한 서비스가 가능하고 사용자 또한 가전기기의 상태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원발명의 가전기기(101)는 세탁물 처리기기인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tv, 에어컨, 냉장고, 전기밥솥, 전자레인지 등과 같은 가전기기(101) 전반에 적용될 수 있음을 명시한다. 이때, 통신망은 전화망 또는 휴대 이동통신 망인 것을 예로 하며, 단말기(80)는 전화기, 이동단말이 사용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가전기기(101)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제품정보를 소정의 음(Sound)으로 출력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가전기기의 일 실시예로서 세탁물 처리기기를 중심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가전기기로써, 세탁물 처리기기(101)는 캐비닛(111)과, 캐비닛(111) 내부에 배치되며 세탁물의 세정이 이루어지는 터브(122)와, 터브(122)를 구동시키는 모터(미도시)와, 터브(122)의 세탁수를 공급하는 세탁수 공급장치(미도시)와, 세정이 끝난 후에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장치(미도시)를 포함한다.
캐비닛(111)은, 캐비닛 본체(112)와, 캐비닛 본체(112)의 전면에 배치되어 결합하는 캐비닛 커버(113)와, 캐비닛 커버(114) 상측에 배치되며 세탁물 처리기기(101)의 운전을 제어하는 컨트롤패널(116)과, 컨트롤패널(116) 상측에 배치되며 캐비닛 본체(112)와 결합하는 탑 플레이트(115)를 포함한다. 캐비닛 커버(113)는 세탁물이 출입하는 홀(미도시)과, 홀을 개폐 가능하도록 회동하는 도어(114)를 포함한다.
컨트롤패널(116)은, 세탁물 처리기기(101)의 운전을 조작하는 복수의 조작키(117)를 포함하는 입력부가 컨트롤패널(116)에 배치되고, 세탁물 처리기기(101)의 운전 상태를 신호음으로 출력하는 음향출력부(160)와, 운전 상태를 문자, 숫자, 특수기호, 이미지 등으로 표시하는 표시부(118)를 포함한다. 입력부는 조작키가 키, 버튼, 스위치, 로터리스위치, 터치입력수단 과 같은 형태로 누름, 접촉, 압력, 회전 등에 의해 일정 신호를 인가하는 입력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세탁물 처리기기(101)는 사용자가 컨트롤패널(116)에 구비되는 선택부를 누름 조작함에 따라, 스마트 진단모드 진입 명령 및 신호 출력명령이 입력되고, 제품정보를 소정 포맷의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모듈레이터(미도시)로 인가하여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동작됨에 따라 음향출력부(160)를 통해 소정의 음(Sound)이 출력된다.
음향출력부(160)를 통해 출력된 음은, 소정의 통신망에 연결된 단말(80)을 통해 서비스센터(200)로 전달된다.
서비스센터(200)는 진단서버를 포함하여, 세탁물 처리기기로부터 출력된 음이 소리신호로 수신됨에 따라 이를 분석하여 가전기기(101)의 운전정보와 고장정보를 획득한다. 그에 따라 서비스 센터는 가전기기(101)의 상태 및 고장여부를 진단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하거나, 서비스 인원을 파견하게 된다.
도 3 은 도 2 의 가전기기에서 음향출력부와 소리안내부 그리고 조작부의 구조가 도시된 도이다. 도 3의 a는 음향출력부와 소리안내부(161)의 일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의 b는 소리출입홀에 삽입 체결되는 구조의 조작부의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컨트롤패널(116)의 배면에는 음향출력부(160)가 배치되고, 음향출력부(160)에서 출력된 소리정보를 외부로 방출하는 소리출입홀(162) 그리고, 소리정보를 소리출입홀(162)로 안내하는 소리안내부(161)가 구비된다.
음향출력부(160)는 세탁물 처리기기(101)의 효과음, 경고음, 알림음 그리고 제품정보가 포함된 소정의 음(Sound)을 소리정보로써 출력하며, 출력된 소리정보는 소리안내부(161)를 통해 소리출입홀(162)로 전달되고, 소리출입홀(162)을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이때, 음향출력부(160) 및 소리출입홀(162)은 컨트롤 패널의 어느 일측에 구비되나, 그 위치는 도면에 한정되지 않는다.
소리안내부(161)는 컨트롤패널(116)의 배면에 형성되는 소리유로(163)를 포함한다. 소리유로(163)는 컨트롤패널(116)의 배면에 인입되도록 형성된다. 소리유로는 컨트롤패널(116)의 배면의 일측이 인입되어 형성되므로 컨트롤패널(116)의 다른 부분보다 낮게 형성된다. 한편, 음향출력부(160)는 소리출입홀(162)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음향출력부(160)는 컨트롤패널(116)의 배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음향출력부(160)에서 소리정보가 출력될 때 컨트롤패널(116)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지 않으면, 소리정보가 컨트롤패널(116)에 충돌하여 간섭 또는 굴절하게 된다. 따라서 소리정보가 정확하고 또렷하게 방출되지 못한다.
이때, 음향출력부(160)는 음향, 음성 등 일련의 소리를 출력하는 모든 장치가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스피커, 부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음향출력부(160)가 부저인 것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부저로부터 소리정보가 출력되면, 소리정보는 부저의 주변으로 전달되는데, 소리정보는 소리유로(163)를 통하여 유동하게 된다. 소리유로(163)는 음향출력부(160)로부터 소리출입홀(162)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소리정보는 소리유 로(163)에 진입하여 밀집하게 된다. 따라서 소리정보는 소리유로(163)를 통하여 소리출입홀(162)로 효과적이고 정확하게 전달된다.
특히 음향출력부(160)로부터 제품정보가 포함된 음이 출력되는 경우, 음은 소리출입홀(162)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되고, 사용자가 음향출력부(160)의 소리출입홀에 단말(80)을 가져다 대는 경우, 외부로 방출된 음은 단말(80)로 입력되어 서비스 센터(200)로 전송된다.
그러나 소리유로(163)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이유에 의해 소리정보가 소리출입홀(162)을 통하여 정확하게 전달되지 못한다. 따라서 음향출력부(160)로부터 출력된 음을 외부로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해 소리유로(16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소리출입홀(162)에는 조작부(117)가 삽입될 수 있다. 조작부(117)가 누름 조작 되면, 조작부(117)가 인입되어 소리유로(163)를 통해 소리정보가 외부로 방출되게 된다. 그에 따라 조작부 인입시에는 소리정보를 출력하고, 조작부가 인입되지 않은 경우에는 소리출입홀(162)을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로 인한 음향출력부(16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단, 소리출입홀(162)과 조작부(117)의 체결관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소리출입홀(162)은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리출입홀(162)은 컨트롤패널(116)의 전면 또는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소리출입홀(162)은 컨트롤패널(116)에 형성되지 않고 캐비닛(111)에 형성될 수 있다.
소리출입홀(162)은 소리정보가 정확하게 세탁물 처리기기(101)로부터 방출되 는 최적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사용자가 단말(80)을 가져가 대기 용이한 곳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소리출입홀(162)에는 조작부(117)의 어느 하나의 조작키(117a)가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소리출입홀은 컨트롤패널(116)에 구비되는 조작부(117)의 복수의 조작키가 형성된 부분이라면 어디에도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리출입홀에 전원키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조작키(117a)는 컨트롤패널(116)의 배면에 체결되는 입력바디부(117a-2)와, 사용자로부터 입력신호를 입력받는 누름부(117a-1)를 포함한다. 이 때, 누름부(117a-1)가 소리출입홀(162)에 삽입되면, 입력바디부(117a-2)는 소리출입홀(162)이 형성된 컨트롤패널(116)의 배면과 밀착하여 체결된다. 입력바디부(117a-2)가 컨트롤패널(116)의 배면과 밀착하면, 입력바디부(117a-2)에 의하여 소리유로(163)가 차단된다.
따라서 입력바디부(117a-2)의 일 측은 소리유로(163)를 통하여 전달되는 소리정보가 방출되도록 인입되어 형성된다. 즉, 입력바디부(117a-2)는 컨트롤패널(116)의 배면에 밀착하게 된다. 입력바디부(117a-2)의 일 측에 인입되도록 형성된 부분(117a-3)에 의하여 소리정보가 출입하는 통로가 형성된다. 그에 따라 형성된 통로를 통하여 소리정보가 외부로 용이하게 방출될 수 있다.
또한, 조작키(117a)와 소리출입홀(162)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조작키(117a)의 중심과 소리출입홀(162)의 중심은 서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조작키(117a)가 소리출입홀(162)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 이 조작키(117a)는 소리출입홀(162)에 삽입된다.
조작키(117a)는 소리출입홀(162)에 편심되도록 삽입된다. 조작키(117a)가 소리출입홀(162)에 편심되도록 삽입되면, 조작키(117a)가 소리출입홀(162)의 일측으로 치우치게 된다. 특히 누름부(117a-1)와 소리출입홀(162) 사이에는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틈이 형성된다. 이러한 틈을 통하여 외부로 소리정보가 방출될 수 있다. 이 때, 소리정보가 방출되는 부분이 다른 부분에 비하여 누름부(117a-1)와 소리출입홀(162) 사이에 틈이 커지도록 누름부(117a-1)가 소리출입홀(162)에 편심되도록 삽입된다. 또한, 이렇게 형성된 틈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리정보가 소리유로(163) 및 조작키(117a)에 인입되도록 형성된 부분(117a-3)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정확하게 소리정보를 외부로 안내할 수 있다.
따라서 소리출입홀에 조작키가 형성되더라도 조작키가 누름조작되거나, 어느 일측으로 치우쳐 구비됨에 따라 형서되는 틈을 통해 음향출력부(160)의 소리정보가 외부로 방출되어 사용자 또는 사용자의 단말(80)로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리출입홀(162)에 전원키가 구비될 수 있다. 가전기기 동작을 위해 전원키가 누름조작되면, 소리출입홀과 전원키사이에는 소리정보가 외부로 방출될 수 있는 정도의 틈이 형성된다. 그에 따라 음향출력부(160)에서 생성된 제품정보가 포함된 음(sound)은 소리유로를 통해 소리출입홀로 안내되고, 상기와 같이 형성된 틈을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이러한 소리출입홀 및 조작부의 구성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소리출입홀(162)에, 기존에 사용되는 조작키(117a)가 체결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한, 소리출입홀(162)은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소리출입홀은 컨트롤패널(116)의 어느 일 측에 독립된 홀(119)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소리출입홀에 조작키가 삽입되는 구조에서는 독립된 홀(119)은 구비되지 않는다.
도 4 및 도 5 는 가전기기의 음향출력부와 소리안내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음향출력부(17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컨트롤패널(116)의 배면에 배치된다. 소리안내부(161)는 소리안내리브(164)를 포함한다.
이때,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며, 이하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소리안내리브(164)는 복수개로 형성된다. 즉, 소리안내리브(164)는 컨트롤패널(116)의 배면에 형성되는 제 1 소리안내리브(164a)와, 제 1 소리안내리브(164a)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제 2 소리안내리브(164b)를 포함한다. 제 1 소리안내리브(164a)는 컨트롤패널(116)의 배면에 형성되어 소리정보를 안내한다. 또한, 제 2 소리안내리브(164b)는 소리정보가 정확하게 소리출입홀(165)로 가이드되도록 제 1 소리안내리브(164a)와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소리정보는 음향출력부(160)를 통하여 출력되어 소리안내리브(164)에 의해 소리출입홀(165)로 안내되어 외부로 방출된다.
소리안내리브(164)가 구비되는 경우의 소리정보 유동은 다음과 같다. 소리정보가 음향출력부(160)로부터 출력되면, 컨트롤패널(116)의 배면과 충돌한다. 소리정보는 컨트롤패널(116)의 배면과 충돌하여 컨트롤패널(116)의 배면으로 확산된다.
이 때, 제 1 소리안내리브(164a)와 제 2 소리안내리브(164b)가 형성되어 소리정보를 안내한다. 안내된 소리정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그와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하게 소리출입홀(165)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소리출입홀(165)에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세탁수의 침투를 방지하고 컨트롤패널(116)의 배면에 형성되는 수분이 입력부(116)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리브(166)가 형성된다. 방수리브(166)는 컨트롤패널(116)의 배면에 형성되고, 소리출입홀(165)의 주위에 배치된다.
이 때, 방수리브(166)는 소리안내리브(164)를 통하여 전달되는 소리정보를 차단할 수 있으므로, 소리정보가 소리출입홀(165)로 출입 가능하도록 일측이 개방된다(167).
방수리브(166)의 개방되는 부분(167)을 통하여 소리정보가 소리출입홀(165)로 전달된다.
한편, 소리안내리브(164)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4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음향출력부(160)로부터 소리출입홀(165)까지 일직선으로 형성되나, 제 1 소리안내리브(164a)와 제 2 소리안내리브(164b)의 이격거리가 가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1 소리안내리브(164a)는 컨트롤패널(116)의 배면에 일직선으로 형성되고, 제 2 소리안내리브(164b)는 제 1 소리안내리브(164a)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컨트롤패널(116)의 배면에 형성된다. 단, 제 1 소리안내리브(164a)와 제 2 소리안내리브(164b)는 동일한 거리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지 않는다. 제 1 소리안내리 브(164a)와 제 2 소리안내리브(164b)는 음향출력부(160)의 중심으로부터 각각 소정각도를 형성하며 컨트롤패널(116)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 소리안내리브(164a)와 제 2 소리안내리브(164b)간의 이격거리가 소리출입홀(165)를 향해 점점 증가하거나 또는 감소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101)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소리정보를 소리출입홀(165)로 정확하게 안내하는 소리안내리브(164)가 컨트롤패널(116)의 배면에 형성된 경우는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101)는 소리안내리브(164)의 형상은 실험 등에 의하여 소리를 소리출입홀(165)로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모든 형상을 포함한다.
이 경우, 소리출입홀(165)은 기존에 컨트롤패널(116)에 형성된 부분을 활용하므로 설계의 변경없이도 소리정보를 외부로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
소리출입홀(165)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그 위치가 도면에 한정되지 않음을 명시한다.
도 5의 a는 음향출력부와 소리안내부의 구조가 도시된 도이고, 도 5의 b는 도 5의 a에 도시된 소리안내하우징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며, 이하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5의 a 및 b를 참조하면, 소리안내부(161)는 소리안내하우징(168)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세탁물 처리기기(101)는 음향출력부(160)로부터 발생하는 소리정보를 소리출입홀(169)로 안내하는 소리안내하우징(168)을 포함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음향출력부(160)는 컨트롤패널(116)의 배면에 배치되며, 컨트롤패널(116)의 배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이 때, 소리안내하우징(168)은 음향출력부(160)의 일부분이 삽입되도록 일측이 개방된다. 음향출력부(160)는 소리안내하우징(168)의 개방된 일측(168a)으로 일부분이 삽입된다.
소리안내하우징(168)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소리정보가 공간으로 전달된다. 이 때, 소리안내하우징(168)는 소리출입홀(169)쪽으로 향하는 타측(168b)이 개방된다. 그에 따라 음향출력부(160)의 소리정보가 소리안내하우징(168)을 따라 소리출입홀(169)로 정확히 전달되고, 외부로 방출된다.
소리안내하우징(168)에서의 소리정보의 전달을 살펴보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음향출력부(160)로부터 소리정보가 출력되면, 소리정보는 소리안내하우징(168)에 개방된 부분(168a)을 통하여 소리안내하우징(168)의 내부에 전달된다. 소리정보는 소리안내하우징(168)의 내부를 유동한 후 개방된 타측(168b)을 통하여 소리안내하우징(168)의 외부로 방출된다. 개방된 타측(168b)은 소리출입홀(169)쪽으로 개방된다. 따라서 소리정보는 소리안내하우징(168)을 통하여 유동한 후 소리출입홀(169)쪽으로 방출된다. 소리정보는 소리출입홀(169)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소리안내하우징(168)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의 b에 개시된 것처럼 6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소리안내하우징(168)은 사각뿔, 삼각뿔 또는 원통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소리안내하우징(168)은 소리정보를 내부 의 공간을 통하여 소리출입홀(169)로 안내하는 모든 형태를 포함한다.
이때, 소리출입홀(169)은 전술한 바와 같이, 그 위치가 도면에 한정되지 않음을 명시한다.
도 6 는 도 1의 가전기기 및 진단시스템에서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가전기기(101)는 내부에 세탁물에 대한 세탁, 행굼, 탈수 등을 행정을 수행하고, 동작 중 발생되는 데이터를 처리하여 선택부 입력에 따른 스마트 진단모드 설정 시, 가전기기의 데이터가 포함된 제품정보를 일정 포맷의 제어신호로 생성하여 소정 음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구성을 포함한다.
도 6을 참조하면, 가전기기(101)는 입력부(125), 감지부(170), 메모리(145), 저장부(146), 구동부(180), 모듈레이터(150), 음향출력부(160), 그리고 가전기기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입력부(125)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소정의 신호 또는 데이터를 가전기기(101)로 입력하는 입력수단이 적어도 하나 구비되며, 조작부(117)와 선택부(130)를 포함한다.
선택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수단을 포함하여, 스마트 진단모드 진입이 선택 입력되면, 제품정보가 음향출력부(160)를 통해 소정의 음(Sound)으로 출력되도록 신호 출력명령을 제어부(140)로 인가한다.
이때, 선택부(130)는 조작부(117)와는 별도의 입력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 둘 이상의 조작부(117)가 동시 조작됨에 따라 선택부로써 동작하 거나 인식될 수 있고, 또한 특정 조작부(117)가 연속적으로 조작되거나, 소정시간 이상 조작되는 경우 선택부로써 동작하거나 인식될 수 있다.
또한, 선택부(130)는 스마트진단모드로 진입하게 됨에 따라, 음향출력부(160)가 온, 오프(on/off)되도록 한다. 즉, 선택부(130)에 의해 신호 출력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40)의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제품정보가 포함된 제어신호가 소정의 음(Sound)으로 출력되는데, 이때, 음향출력부(160)가 동작되어, 음(Sound)을 출력하게 된다.
조작부(117)는 가전기기(101)의 동작에 따라, 운전코스, 운전설정과 같은 데이터를 입력받아 제어부(140)로 인가한다. 또한, 조작부(117)는 음(Sound) 출력에 따른 설정을 입력받는다. 즉, 조작부(117)는 음(Sound)을 출력하는 방법, 출력되는 음(Sound)의 크기 등을 설정하는 설정값을 입력한다.
이때, 선택부(130) 및 조작부(117)를 포함하는 입력부(125)는 버튼,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핑거 마우스, 로터리 스위치, 조그 다이얼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누름, 회전, 압력, 접촉 등의 조작에 의해 소정의 입력데이터를 발생하는 장치라면 어느 것이나 적용 가능하다.
감지부(170)는 온도, 압력, 전압, 전류, 수위, 회전수 등을 감지하는 감지수단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감지 또는 측정되는 데이터를 제어부(140)로 인가한다. 예를 들어, 감지부(170)는 세탁물 처리기기에서 급수 또는 배수 시 에서 물의 수위를 측정하고, 급수된 물의 온도, 세탁조 또는 드럼의 회전속도 등을 측정한다.
구동부(180)는 제어부(14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가전기 기(101)가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그 구동을 제어한다. 그에 따라 세탁물 처리기기는 세탁행정, 행굼행정, 탈수행정과 같은 일련의 행정을 수행하여 세탁물의 오염을 제거하게 된다.
예를 들어, 세탁물 처리기기의 경우, 구동부(180)는 세탁조 또는 드럼이 회전하여 세탁물의 오물이 제거되도록, 세탁조 또는 드럼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구동하고 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40)의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급수 또는 배수가 수행되도록 밸브를 제어하게 된다.
메모리(145)는 가전기기(10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 가전기기의 동작 제어 중 사용되는 기준데이터가 저장된다.
이때, 메모리(145)는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데이터가 저장되는 ROM, EEPROM, 과 같은 데이터 저장수단을 모두 포함한다. 저장부(146)는 제어부(140)의 버퍼로써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저장수단이고, DRAM, SRAM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제어부(140) 또는 메모리(145)에 포함된다.
메모리(145)는 가전기기(101)가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는 중, 동작 중 발생되는 동작상태 데이터, 가전기기(101)가 소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조작부(117)에 의해 입력된 설정데이터 등과 같은 운전정보와, 가전기기(101)가 특정 동작을 수행한 횟수, 가전기기의 모델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정보와, 가전기기(101) 오동작 시 오동작의 원인 또는 오동작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고장정보가 저장된다.
즉, 메모리(145)는 운전정보, 사용정보, 고장정보를 포함하는 제품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부(146) 또한 동작 중 발생되는 운전정보, 고장정보에 대한 임시데이 터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제품정보는 세탁기 사용횟수, 설정 코스, 옵션설정정보, 에러코드, 센서측정값, 제어부의 산출데이터, 각 부의 동작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세탁물 처리기기의 경우, 운전정보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세탁행정에 관한 정보, 탈수행정에 관한 정보, 행굼행정에 관한 정보 등과 같이 세탁물 처리기기의 운전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고장정보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운전이 수행될 때, 각 운전 중에 발생하는 고장정보, 세탁물 처리기기의 기기상의 고장정보, 고장정보에 대응되는 에러코드(Error code), 제어부(140)의 정보, 감지부(170)에서 감지된 값, 모터의 감지값, 세탁수공급장치의 고장정보, 배수장치의 고장정보 등 다양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정보는 사용자가 세탁물 처리기기를 사용한 횟수, 사용자가 설정한 코스, 세탁물 처리기기에 설정된 옵션설정정보 등 다양하게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정보는 사용자로부터 세탁물 처리기기로 입력된 내용이나 세탁물 처리기기에 초기 설정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품정보는 하기의 표1과 같은 크기로 저장된다.
분류(Category) 명칭(Name) 크기(Size) (byte)
작동정보(Operation info) 상태(Status) 1
사용자정보
(Customer info)
일반(Common) 11
세탁(Wash) 4
헹굼(Rinse) 4
탈수(Spin) 6
건조(Dry) 8
에러코드(Error code) 1
횟수(Counts) 8
옵션(Options) 9
표1을 참고하면, 분류(Category)는 제품정보의 속성을 의미한다. 또한, 명칭(Name)은 각 분류(Category)의 의미를 나타낸다.
이하에서 자세히 살펴보면, 상태(Status)는 세탁물 처리기기(101)의 전체 행정 중, 가장 마지막에 수행되는 행정을 의미한다. 즉, 상태(Status)는 세탁물 처리기기(101)가 세탁행정, 탈수행정, 헹굼행정을 수행할 때, 사용자가 헹굼행정을 마지막으로 수행되면, 헹굼행정을 수행할 때의 제품정보를 의미한다. 이 때, 상태(Status)는 1바이트(Byte)의 크기를 갖는다.
일반(Common)은 세탁물 처리기기(101)의 전체 행정에 걸쳐 샘플링(Sampling)해야 하는 속성을 가진 제품정보를 의미한다. 즉, 일반(Common)은 세탁물 처리기기의 전체 행정에 걸쳐 상기 모터, 상기 세탁수공급장치 등이 수행될 때, 일정한 시점 또는 상기 각 행정들에 있어서의 제품정보를 의미한다. 일반(Common)은 11바이트(Bytes)의 크기를 갖도록 설정된다.
또한, 세탁(Wash)은 세탁행정에서 샘플링(Sampling)해야 하는 속성을 가진 제품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세탁행정이 수행될 때, 세탁수의 수위 또는 세탁수공급장치의 작동시간 등을 샘플링(Sampling)해야 하는 속성을 가진 제품정보를 의미한다. 세탁(Wash)은 4바이트(Bytes)의 크기를 갖도록 설정된다. 헹굼(Rinse)은 상기 헹굼행정에서 샘플링해(Sampling)해야 하는 속성을 가진 제품정보를 의미한다. 헹굼(Rinse)은 4바이트(Bytes)의 크기를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탈수(Spin)는 탈수행정에서 샘플링(Sampling)해야 하는 속성을 가진 제품정보를 의미한다. 이 때, 탈수(Spin)는 6바이트(Bytes)의 크기를 갖도록 설정된다. 건조(Dry)는 건조행정에서 샘플링(Sampling)해야 하는 속성을 가진 제품정보를 의미한다. 건조(Dry)는 8바이트(Bytes)의 크기를 갖도록 형성된다.
한편, 에러코드(Error code)는 세탁물 처리기기(101)의 동작 중 이상 감지 시 경고를 표기하던 에러(Error)에 대한 코드(Code)를 의미한다. 즉, 에러코드(Error code)는 세탁물 처리기기(101)의 고장시 사용자가 인식하도록 외부로 표시하는 에러코드(Error code)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에러코드(Error code)는 세탁물 처리기기(101)가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사용상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미도시)나 부저 등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되는 에러메세지 또는 부저 등을 의미한다. 이 때, 에러코드(Error code)는 1바이트(Byte)의 크기를 갖도록 형성된다.
한편, 횟수(Counters)는 사용자가 세탁물 처리기기(101)를 사용한 횟수 및 에러(Error)가 발생한 횟수 등을 포함하는 제품정보를 의미한다. 횟수(Counters)는 8바이트(Bytes)의 크기를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옵션(Options)은 사용자가 최근 세탁물 처리기기(101)를 작동시킬 때, 사용자가 설정한 각종 옵션(Options)을 포함하는 제품정보를 의미한다. 옵션(Options)은 사용자가 세탁물 처리기기(101)에 설정하는 것으로서, 세탁시간을 15분, 탈수시간을 5분, 헹굼시간을 10분 등과 같이 설정하는 것을 말한다. 이 때, 옵션(Options)은 9바이트(Bytes)의 크기를 갖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각 크기(Size), 분류(Category), 명칭(Name)은 일 실시예에 불과하다. 따라서 가전기기의 특성에 따라서 각 크기(Size), 분류(Category), 명칭(Name) 등은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선택부(130)로부터 스마트 진단모드 진입에 따른 신호가 입력되면, 메모리(145) 또는 저장부(146)에 저장된 제품정보를 호출하여 일정 포맷으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모듈레이터(150)로 인가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선택부(130)가 조작됨에 따라, 음향출력부(160)가 동작 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40)는 가전기기로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고, 감지부(170)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인가하거나, 구동부(180)로 감지된 데이터를 전달하여 가전기기가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메인제어부(141)와, 선택부(130)의 입력에 따라 음을 출력하기 위해 제품정보를 일정 포맷의 제어신호로 변환하는 인코딩부(142)를 포함한다.
메인제어부(141)는 선택부(130)가 입력되어 스마트 진단모드로 진입되면 음향출력부(160)를 통해 스마트 진단모드가 시작됨을 알리는 시작음이 출력되도록 하고, 표시부(118)를 통해 스마트 진단모드가 수행됨을 알리는 소정의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한다.
또한, 메인제어부(141)는 인코딩부(142)에서 생성된 제어신호가 모듈레이터(150)로 인가되어, 음향출력부(160)를 출력되는 때 음의 출력 전과 음 출력 완료 후 소정의 알림음이 출력되도록 음향출력부(160)를 제어한다. 단, 음의 출력 전 알림음은 경우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이때, 메인제어부(141)는 음향출력부(160)가 둘 이상 구비되는 경우, 알림음과 제품정보를 포함하는 음이 각각 상이한 음향출력부(160)로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메인제어부(141)는 스마트 진단모드 진입 시, 선택부(130) 및 전원키를 제외한 조작부(117)가 동작되지 않도록 하며, 가전기기가 다른 동작을 모두 정지하도록 감지부(170) 및 구동부(180)를 제어한다.
또한, 메인제어부(141)는 전원 입력 후, 조작부(117) 중 가전기기의 운전설정에 따른 어느 하나의 조작키가 입력되는 경우, 선택부(130)가 입력되더라도 스마트 진단모드가 시작되지 않도록 한다. 특히, 선택부(130)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고 조작부(117)의 복수의 조작키 중 둘 이상의 조작키의 조합에 의해 선택부(130)가 입력된 것으로 인식하는 경우에는 전원키 입력 후 다른 입력이 없이 바로 지정된 키 조합에 의해 선택부(130)가 입력된 경우에 한하여 스마트 진단모드가 시작되도록 한다.
이는, 조작부에 의한 가전기기의 운전설정이, 스마트 진단모드로 진입할 의사가 사용자에게 없는 것으로 보고 스마트 진단모드로 진입하지 않는 것이며, 또한 조작부의 조작 실수로 인하여 불필요하게 스마트 진단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인코딩부(142)는 메모리(145)에 저장되는 제품정보를 호출하여 지정된 일정 방식에 따라 인코딩하고, 데이터신호에 프리앰블과 에러체크비트를 추가하여 일정 포맷의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인코딩부(142)는 제품정보를 인코딩함으로써 복수의 심볼로 구성되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인코딩부(142)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데 있어서, 제어신호를 일정 크기로 분할하여 프레임화하여 복수의 프레임으로 패킷을 구성한다. 또한 인코딩부(142)는 제어신호에 프레임 간에 일정시간 IFS를 설정할 수 있으며, 또한, 신호변환 시, 커패시터의 충전과 방전 원리로 인하여 다음 신호 변환에 영향을 끼치는 잔향효과를 제거하기 위해 데이터의 값이 변경되는 구간에서 심볼에 데드타임을 설정할 수 있다.
제어신호를 구성되는 복수의 심볼에 대하여, 각 심볼의 길이를 심볼타임이라 하고, 심볼에 대응하여 음향출력부(160)를 통해 출력된 음에 대하여 음을 구성하는 주파수 신호의 기본 길이 또한 심볼타임으로 할때, 인코딩부(142)는 하나의 심볼에 대하여 심볼타임 내에서 데드타임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데드타임은 심볼타임의 길이에 따라 그 크기가 가변된다.
여기서, 제품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운전설정, 동작중 운전상태 등을 포함하는 운전정보, 사용정보 그리고 오동작에 대한 고장정보를 포함한다. 제품정보는 0 또는 1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데이터로서, 제어부(140)에 의해 판독 가능한 형태의 디지털 신호이다.
제어부(140)는 이러한 제품정보의 데이터를 분류하고, 특정 데이터가 포함되도록 하며, 일정 크기로 나누거나 합하여, 지정된 규격의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모듈레이터(150)로 인가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모듈레이터(150)에서 사용되는 주파수의 수에 따라, 출력되는 주파수 신호에 대응하는 심볼의 수를 변경할 수 있다.
모듈레이터(150)는 제어부(14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음향출력부(160)로 일정 구동신호를 인가하여 음향출력부(160)를 통해 음(Sound)이 출력되도록 한다. 이렇게 출력되는 음(Sound)은 제품정보를 포함한다.
모듈레이터(150)는 제어신호를 구성하는 심볼에 대하여, 하나의 심볼에 대응하여 지정된 주파수 신호가 심볼타임동안 출력되도록 음향출력부(160)로 신호를 인가한다.
이때, 모듈레이터(150)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음이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제어부(140)의 설정에 대응하여, 사용하는 주파수의 수에 따라, 주파수 신호 당 심볼의 수를 변경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2가지 주파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1심볼당 하나의 주파수 신호가 출력되고, 4가지 주파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어신호 2심볼당 하나의 주파수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모듈레이터(150)는 사용가능한 주파수의 수에 대응하여, 주파수별 발진주파수를 생성하는 주파수발진부(미도시)를 구비하고,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지정된 주파수발진부의 주파수 신호가 음향출력부(16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모듈레이터(150)는 제어부(140)의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음(Sound)을 출력하기 위해 음향출력부(160)를 제어하는데 있어서, 주파수 편이 방식, 진폭편이방식, 위상편이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신호를 변환한다.
여기서, 주파수 편이방식은 제어신호의 데이터 값에 대응하여 소정 주파수의 신호로 변환하는 방식이고, 진폭편이 방식은 데이터 값에 대응하여 진폭의 크기가 상이하도록 변환하는 방식이다. 또한, 위상편이방식은 데이터값에 따라 위상이 상이하도록 신호를 변환하는 방식이다.
주파수 편이방식중 BFSK(Binary Frequency Shift Keying, 이하 BFSK)의 경우, 제어신호의 데이터의 값이 0인 경우 제1 주파수로 변환하고, 데이터의 값이 1인 경우 제2 주파수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값이 0인 경우 2.6KHz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로 변환하고, 데이터 값이 1인 경우 2.8KHz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로 변환한다. 이는 후술하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또한, 진폭편이방식의 경우, 2.6KHz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로 변환하되, 제어신호의 데이터의 값이 0 인 경우, 진폭의 크기가 1인 2.6KHz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로 변환하고, 데이터의 값이 1인 경우, 진폭크기가 2인 2.6KHz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모듈레이터(150)는 주파수 편이방식을 이용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 또한 일 예 일뿐 변경될 수 있다.
모듈레이터(150)는 제어신호에 데드타임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데드타임이 설정된 구간 동안에는 신호변환을 중지한다. 이때, 모듈레이터(150)는 펄스폭모듈레이션(PWM) 방식을 이용하여 신호를 변환하고, 데드타임이 설정된 구간에서는 모듈레이션을 위한 발진주파수를 오프(off)하여 데드타임동안의 주파수 신호변환이 일시 정지되도록 한다. 그에 따라 음향출력부(160)를 통해 출력된 음은 심볼과 심볼 간의 잔향효과가 제어된다.
음향출력부(160)는 제어부(140)의 제어명령에 의해 동작이 온, 오프 되며, 모듈레이터(150)의 제어에 의해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일정 주파수의 신호를 지정된 시간 동안 출력함으로써, 제품정보가 포함된 소정의 음(Sound)을 출력한다.
이때, 음향출력부(160)는 적어도 하나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출력부가 두개 구비되는 경우, 어느 하나를 통해 제품정보가 포함된 소정의 음이 출력되고, 다른 하나를 통해 가전기기의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경고음 또는 효과음이 출력될 수 있으며 또한 스마트 진단모드 진입 또는 음 출력 전의 알림음이 출력될 수 있다.
음향출력부(160)는 모듈레이터(150)에서 출력에 대응하여 제어신호를 소정의 음(Sound)으로 출력한 후, 출력이 종료되면, 동작 정지되고, 선택부(130)가 다시 조작되는 경우,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다시 동작됨에 따라 제품정보가 포함된 소정의 음(Sound)을 출력한다.
이때, 음향출력부(160)는 스피커, 버저 등과 같이 소리를 출력하는 수단이 사용될 수 있으나,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기 위해 재생 대역이 넓은 스피커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음향출력부(160)는 스마트 진단 모드 진입 시, 메인제어부(141)의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스마트 진단모드가 시작됨을 알리는 시작음을 출력하고, 제품정보가 포함된 음의 출력이 시작되는 때와 종료되는 때에 각각 소정의 알림음을 출력한다.
표시부(118)는 메인제어부(141)의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선택부(130) 및 조작부(117)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 가전기기(101)의 동작상태 정보, 가전기기 동작완료 등에 따른 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가전기기 오동작시 오동작에 관한 고장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18)는 메인제어부(141)의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스마트 진단모드가 시작되면, 스마트 진단모드임을 표시하고, 음향출력부(160)를 통해 음이 출력되는 때에, 그 진행상황을 문자, 이미지, 숫자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표시한다.
이때, 가전기기는 음향출력부(160), 표시부(118) 이외에도 점등 또는 점멸되는 램프, 진동소자 등의 출력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그에 대한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과 같이 구성되는 가전기기(101)는 소정의 음(Sound)을 출력하여, 다음 설명하는 바와 같이, 서비스센터(200)로 가전기기(101)의 제품정보를 전달하게 된다.
도 7은 도 1의 가전기기 및 진단시스템에서 서비스센터의 진단서버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가전기기(101)에서 소정의 음(Sound)이 출력되면, 출력된 음은 사용자의 단말(80)로 입력되고, 통신망을 통해 서비스센터(200)로 전송된다. 서비스센터(200)는 음에 대한 소리신호를 수신하여 진단서버로 인가하여 가전기기에 대한 고장진단을 수행한다.
서비스센터(200)의 진단서버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220), 신호처리부(230), 데이터부(240), 서버서버입력부(280), 서버표시부(270), 진단부(260) 그리고 진단서버의 동작전반을 제어하는 서버제어부(210)를 포함한다.
서버입력부(280) 및 서버출력부(270)는 서비스 센터의 관리자, 사용자, 서비스 인원이 진단결과 진단진행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소정의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데이터를 입력받거나 출력한다.
서버입력부(280)는 서비스센터(200)의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버튼, 키, 터치패드, 스위치와 같은 입력수단을 포함한다. 서버입력부(280)는 외부입력장치, 휴대용 메모리 수단에 대한 접속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서버입력부(280)는 구비되는 입력수단이 조작되는 경우, 서버제어부(210)로 신호를 인가하여, 전화망을 통해 연결된 사용자의 전화기 또는 휴대단말로부터, 가전기기(101)의 음(Sound)에 대한 소리신호가 진단서버로 수신되도록 한다.
서버출력부(270)는 진단서버의 동작정보 및 진단결과가 출력되는 표시수단이 포함된다.
통신부(220)는 서비스 센터(200)의 전산망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인터넷과 같은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통신한다. 특히, 통신부(220)는 서버제어부(210)의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서버입력부(280)를 통해 녹음명령 또는 수신명령 입력 시 전화망을 통해, 가전기기로부터 출력된 음을 소리신호로써 수신하고, 진단완료 시 진단 결과를 외부로 전송한다.
통신부(220)는 진단결과를 서비스 인원의 단말로 전송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단말로 진단결과를 전송한다.
데이터부(240)에는 진단서버의 동작제어를 위한 제어데이터와, 세탁물 처리기기 등의 가전기기로부터 수신된 소리신호가 신호음 데이터로 저장되고, 소리신호 또는 음의 변환, 제품정보 추출을 위한 기준데이터, 고장 여부 및 고장원인을 진단하기 위한 고장진단데이터가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부(240)에는 수신된 데이터의 변화 또는 제품정보 검출 과정에서 생성되는 임시데이터를 저장하고, 진단결과데이터 및 진단결과를 사용자에게 전송하기 위한 진단결과리포트가 저장된다.
데이터부(240)는 서버제어부(210)에 의해, 데이터의 입출력이 제어되고 관리되며 갱신된다.
신호처리부(230)는 수신된 소리 신호를 판독 가능하도록 변환하여 추출된 제품정보를 진단부로 인가한다.
신호처리부(230)는 수신되는 아날로그의 소리신호를 변환하여 저장한다. 이때, 신호처리부(230)에서의 신호 변환은 가전기기(101)에서의 신호 변환에 대한 역 변환으로써, 각 가전기기와 진단서버는 상호 협약을 통해 가전기기에서 사용하는 신호 변환 체계와 동일한 신호 변환 체계를 통해 데이터를 변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호처리부(23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의 아날로그 신호인 신호음을, 주파수 편이 방식, 진폭편이방식, 위상편이방식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한 역변환을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신호 처리부(230)는 변환된 데이터로부터 프레임 단위로 제어신호를 추출한 후, 제어신호를 디코딩하여 제품정보를 추출한다. 이때, 신호처리부(230)는 프리앰블을 검출하고, 검출된 프리앰블을 기준으로 제품정보가 포함된 제어신호를 검출하고, 지정된 포맷의 제어신호를 가전기기의 제품정보 인코딩방식에 대응하는 디코딩방식으로 디코딩하여 제어신호에 포함된 가전기기의 제품정보를 추출한다.
신호처리부(230)는 데이터부(240)에 저장된, 제어신호의 구조 또는 포맷정보, 주파수 특성, 디코딩 정보에 근거하여 신호를 변환하고, 분석한다.
이렇게 검출된 제품정보는 진단부(260)로 인가되며, 데이터부(240)에 저장된다.
진단부(260)는 서버제어부(210)의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입력된 제품정보를 분석하여 가전기기의 동작 상태, 고장 여부를 진단한다. 진단부(260)는 가전기기의 제품정보 분석 및 제품정보에 따른 가전기기의 상태 판단을 위한 진단프로그램을 포함하고, 데이터부(240)에 저장된 고장진단데이터를 이용하여 가전기기를 진단한다.
또한, 진단부(260)는 발생된 고장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여, 그에 대한 해결책 또는 대응방안을 도출하고, 고객 서비스 방향에 대한 진단결과를 출력한다.
이때 진단부(260)는 제품정보의 데이터를 일정 기준에 따라 분류하고 관련 데이터의 조합에 따라 고장진단을 실시한다. 또한, 진단부(260)는 정확한 진단이 가능한 부분과 진단이 불가능한 부분에 대해 판단하여 고장진단을 수행하며, 추론가능한 진단 항목에 대하여 고장 확률에 따라 높은 확률 순으로 고장진단을 수행한다.
진단결과는 고장계통, 확률에 따른 고장원인 리스트, 고장부품의 리스트를 포함하며, 서비스인원의 파견 여부에 대한 안내정보도 포함된다.
서버제어부(210)는 통신부(220)를 통한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하고, 서버입력부(280) 및 서버출력부(270)를 통한 데이터의 입출력을 제어한다. 또한, 서버제어부(210)는 가전기기의 대한 고장 진단이 수행되도록 신호처리부(230) 및 진단부(260)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서버제어부(210)는 진단부(260)의 진단결과가 서버출력부(27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고 부가적으로 통신부(220)를 통해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서버제어부(210)는 진단부(260)의 진단결과가 서버출력부(27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그에 따라 서비스센터(200)는 가전기기(101)의 오동작에 따른 대처방안을 전화망을 통해 연결된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전달하거나, 서비스 인원이 파견되도록 한다. 서비스 인원 파견시 서버제어부(210)는 진단결과가 통신부(220)를 통해 서비스 인원의 단말로 전송되도록 한다.
또한, 서버제어부(210)는 진단결과를 통신부(220)로 인가하여, 사용자에게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서버제어부(210)는 신호처리 또는 진단과정에서 오류 발생 시 가전기기에서 음이 재출력 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 또는 경고음이 서버출력부(27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이 경우 서비스 센터(200)는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사용자에게 가전기기에서 음이 재출력 되도록 요청한다.
도 8 은 도 6의 가전기기의 제품정보 인코딩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이다.
제어부(140)는 스마트 진단모드 진입 시, 기 저장된 제품정보를 호출하여 인코딩하고 소정 규격의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인코딩부(142)는 제품정보가 음으로 출력되어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데이터손실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비트에러를 복구하기 위한 에러코딩 방식을 적용하여 제품정보를 인코딩한다. 인코딩부는 FEC 인코딩(Forward Error Correction) 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예로 한다.
이때, 인코딩부(142)는 컨볼루션 코드(Convolution Code)를 활용하여 제품정보를 인코딩(encoding)한다. 여기서, 서비스센터의 진단서버는 이러한 인코딩 방식에 대응하여 비터비 디코딩 알고리즘(Viterbi decoding algorithm)을 이용하여 디코딩(decoding)한다.
인코딩부(142)는 쉬프트레지스터(Shift Register)와 XOR로 구성되는 논리회로를 이용하여 인코딩을 수행하는데, 1비트의 입력에 대응하여 2비트가 출력되는 1/2 코드레이트(code rate)를 기반으로 한다. 1/2 코드 레이트는 부가적인 여분의 비트(redundant bit)를 많이 필요로 하므로, 펑쳐링 알고리즘(Puncturing algorithm)을 이용하여 여분의 비트(redundant bit)의 수를 감소시킨다.
펑쳐링 알고리즘(Puncturing algorithm)은 1/2 코드레이트로 인코딩된 출력값 중에서 특정 패턴으로 비트를 삭제하는 방식으로, 삭제 패턴은 펑쳐링 매트릭스(Puncturing matrix)로 나타낸다. 펑쳐링 매트릭스 중 1은 삭제하지 않는 것 0 은 삭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펑쳐링 알고리즘 이용시 전송 데이터의 량이 감소되므로 요구되는 데이터 레이트를 충족시킬 수 있다. 전송속도 등을 고려하여 펑쳐링 매트릭스를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8의 a와 같이 1/2 코드레이트 기반의 컨벌루션 코딩시, i0,i1,i2,i3,i4,i5,i6의 데이터가 입력되면 a0 내지 a6 그리고 b0내지 b6이 출력된다. 펑쳐링 매트릭스(펑쳐링 패턴)을 코딩값에 적용하면 펑쳐링 패트릭스의 패턴에 따라 0인 부분이 삭제되고 1인 부분만 남아 최종적으로 a0,b0,b1,a2,a3,b3,b4,a5가 출력된다. 도 8은 코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일뿐, 본 발명의 코딩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코딩부(142)는 과 같은 방식으로 제품정보를 인코딩한다.
또한, 인코딩부(142)는 데이터 전송중 발생될 수 있는 버스트 에러(burst error)에 대응하여 비트 인터리빙(bit interleaving)을 수행한다. 전체 데이터를 기준비트 단위로 잘라서 비트 인터리빙을 수행하는데, 32 비트(bits) 단위로 비트 인터리빙을 수행한다. 즉 60바이트(bytes)의 데이터가 존재할 때 4바이트 단위로 일정 규칙에 따라 그 순서를 섞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도 8의 b와 같이 aaaabbbbccccddddeeeeffffgggg의 데이터를 0,4,8,12,16,20번째 데이터, 1,5,9,13,17,21번째 데이터의 순으로 비트 인터리빙을 수행하면 abcdefgabcdefgabcdefgabcdefg로 데이터의 순서가 변경된다. 인터리빙된 데이터가 전송되는 과정에서 일부 비트 손실이 발생되더라도 역으로 인터리빙을 수행하면, aa_abbbcccddde_eef_ffg_gg가 되므로 주변 비트를 이용하여 복구 가능하게 된다.
도 9 는 가전기기의 제품정보의 인코딩 및 그에 따른 제어신호의 구성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인코딩부(142)는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프레임으로 패킷을 구성한다.
인코딩부(142)는 진단데이터(Diagnosis date)인 제품정보에 제품번호(product ID) 그리고 버전정보를 추가한다. 이는 어플리케이션 계층에서 수행된다.
이때, 버전정보는 스마트진단의 버전으로 스마트 진단 알고리즘 또는 전체 스마트 진단 시스템에 대한 버전정보이고, 스마트진단의 버전정보는 그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네임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도 9의 b와 같이 버전(Version)이 0x01이라고 표시된 경우 프로토콜 명칭(Protocol Name)은 'Smart Diagnosis for Washing Machine v1.0'을 의미한다. 제품번호는 제품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이며, 진단데이터는 가전기기의 고장진단을 위한 제품정보이다.
버전(Version)과 제품번호(Prouduct ID)는 제어부(140)에 직접 입력된다. 반면, 진단데이터(Diagnosis Data), 즉 제품정보는 메모리(145) 또는 저장부(146)에 저장된다. 따라서 스마트 진단이 실시되면, 제어부(140)는 메모리(145)에 저장된 데이터와, 저장부(146)에 저장된 임시데이터를 제품정보, 즉 진단데이터로써 로딩한다.
도 10 는 제어신호의 구성 및 인코딩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이다.
도 10의 a와 같이, 인코딩부(142)는 제품정보에 제품번호와 버전정보가 추가된 데이터를 프레임화 하기 위하 소정 단위로 분할한다. 인코딩부(142)는 프레임단위로 에러를 확인하기위해 FCS(Freame check sequence)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60바이트(bytes)의 데이터를 15바이트(bytes) 크기로 분할하는 경우 하나의 프레임에는 15바이트의 데이터가 포함되고, 패킷은 4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이때 분할하는 단위에 따라 프레임의 수는 가변될 수 있고 패킷을 구성하는 프레임의 수도 가변된다. 각 프레임의 크기는 후술하는 IFS 및 제품정보, 심볼타임에 따라 가변된다.
인코딩부(142)는 도 10의 b와 같이, 헤더(header)와 페이로드(payload)로 프레임을 구성한다.
프레임의 헤더는 프레임의 형식을 나타내는 프래임 타입, 리저브, 길이(length), 그리고 FCS로 구성된다. 페이로드는 제품정보에 제품번호와 버전정보가 추가된 데이터가 분할되어 포함되는 필드이다.
프레임 타입, 리저브, 길이(length)의 크기가 1바이트, FCS가 1바이트 할당되어 헤더는 총 2 바이트, 페이로드는 1내지 15바이트가 할당된다. 이 때, 프레임 타입(Frame Type)은 2비트(Bits), 리저브(Reserved)는 2비트(Bits), 길이(Length)는 4비트(Bits)의 크기를 갖도록 구성된다.
프레임 타입(Frame Type)은 프레임의 형식 및 프레임의 순서를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FCS를 제외한 헤더부분의 6번과 7번 비트(Bit)에 그 정보가 포함된다. 예를 들면, 프레임 타입(Frame Type)이 00인 경우 프레임은 패킷(Packet)의 시작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또한, 프레임 타입(Frame Type)이 01인 경우 프레임은 패킷(Packet)의 중간 부분을 의미하며, 프레임 타입(Frame Type)이 11인 경우 프레임은 패킷(Packet)의 마지막 부분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프레임 타입(Frame Type)을 구분함으로써 서비스센터(200)에서 복수의 프레임을 취합할 때 프레임타입을 이용하여 프레임의 순서를 구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길이(Length)는 프레임에 포함된 페이로드(Payload)의 길이를 바이트(Byte) 단위로 나타낸다. 페이로드는 최소 1에서 최대 15바이트이므로 길이(length) 필드는 3bit로 표현되고 FCS를 제외한 헤더부분의 0, 1,2번 비트에 그 정보가 포함된다.
예를 들면, 길이(Length)의 값이 001인 경우 페이로드(Payload)는 1바이트(Byte)의 크기를 갖는 것을 의미한다. 길이(Length)의 값이 101인 경우 페이로드(Payload)는 5바이트(Bytes)임을 의미한다.
또한, FCS는 프레임(Frame)의 에러 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FCS(FCS)가 프레임(Frame)의 에러 유무를 검사하는 방법으로 CRC-8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리저브(Reserved)는 설계시 필요한 내용이 삽입될 수 있다. 리저브(Reserved)는 FCS를 제외한 헤더부분에서 4, 5번 비트(Bit)로 표현된다.
페이로드(Payload)는 전술한 도 9의 a에 도시된 데이터가 분할된 것으로, 60바이트의 패킷을 15바이트씩 4개의 프레임으로 분할하는 경우 각 프레임당 15바이트의 페이로드가 포함된다. 이러한 페이로드에 프레임 헤더가 더해져 하나의 프레임을 형성한다.
인코딩부(142)는 프레임에 대하여 전술한 도 8과 같이 비트 에러를 복구하기 FEC 인코딩을 수행하며, 컨벌루션 코딩 및 펑쳐링 방식을 따르고, 그리고 인터리빙을 수행한다.
이 는, 음향출력부(160)를 통해 출력된 음이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과정에서 백그라운드 노이즈 또는 인터퍼런스에 의해 손상될 수 있으므로 그에 대응하기 위해 프레임을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인코딩하여 FEC code로 변경한다.
인코딩부(142)는 도 10의 c와 같이 헤더와 페이로드를 각각 상이한 코드레이트로 인코딩한다. 인코딩부(142)는 2 바이트의 헤더를 1/2 코드 레이트 기반으로 코딩하고 인터리빙을 수행하며, 1내지 15바이트의 페이로드를 2/3 코드 레이트 기반으로 코딩하고 인터리빙을 수행한다. 즉 헤더는 인코딩됨에 따라 1비트입력에 대하여 2비트의 심볼이 출력되고, 페이로드는 2비트 입력에 3비트의 심볼이 출력된다. 이때 전술한 펑쳐링 매트릭스(puncturing matrix)를 이용한 펑쳐링(puncturing)을 통해 늘어난 길이를 감소시킨다. 이때, 인코딩부(142)는 전송중 버스트 에러에 대응하기 위해 코딩후 32비트 단위로 비트 인터리빙을 수행한다.
이때, FEC 인코딩 수행 시, 부가적인 테일심볼(tail symbol)이 발생하는데, 헤더와 페이로드를 각각 인코딩하므로 2번의 부가적인 테일심볼(tail symbol)이 발생한다. 이러한 테일심볼을 펑쳐링 또는 인터리빙 수행중 제거될 수 있으나, 일정 비트수를 맞추기 위해 스터프가 추가된다.
또한, 인코딩부(142)는 인코딩된 헤더와 페이로드에 프리앰블을 추가한다. 프레임과 프레임 사이에는 IFS(Inter frame space)를 추가한다.
프리엠블(Preamble)은 하나의 프레임이 시작됨을 나타내는 것으로 다양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리엠블(Preamble)의 패턴은 0x0FF0의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IFS는 프레임과 프레임 사이에 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구간이다.
그에 따라 인코딩부(142)는 제품정보를 인코딩하고 프레임으로 분할하여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제어신호는 복수의 심볼로 구성된다.
이때, 하나의 프레임은, 헤더, 페이로드, 프리앰블 그리고 IFS가 각각 복수의 심볼로 구성되여 일정 크기를 갖는다. 프레임은, 프리앰블이 16심볼, 헤더가 32심볼, 헤더의 테일심볼이 4심볼, 페이로드가 12 내지 180심볼, 페이로드의 테일심볼이 4심볼, IFS가 16심볼로 구성된다. 스터프는 인코딩결과에 따른 비트수 정렬 또는 모듈레이션 결과에 따라 일정 크기로 정렬하기 위해 그에 맞춰 가변된다. 즉 32비트 얼라인 시 결과물이 31비트인 겨우 스터프가 1비트 추가된다.
즉, 하나의 패킷은 복수의 프레임으로 분할되고 프레임은 각각 프리앰블, 헤더 그리고 페이로드를 포함하며 프레임과 프레임 사이에는 IFS가 포함된다. 그에 따라 하나의 프레임에는 프리앰블부터 IFS까지, 84 내지 252 정도의 심볼로 구성되며, 스터프 심볼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인코딩부(142)는 제품정보를 인코딩 및 프레임화 하고 프리앰블과 IFS를 추가함으로써, 음을 출력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모듈레이터(150)는 상기와 같이 인코딩되어 복수의 심볼로 구성된 제어신호에 대하여 프레임단위로 신호를 변환(modulation)할 수 있다. 모둘레이터(150)는 인코딩된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주파수 신호로 변환하여 음향출력부(160)로 인가함으로써 제품정보가 포함된 음(Sound)이 출력된다.
도 11 은 제어신호의 IFS 설정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이다. 도 11의 a는 단말에서 노이즈를 인식하여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이고, 도 11의 b는 도 10의 a와 같은 노이즈 감쇄를 회피하기 위해 IFS(Inter Frame Space)가 설정된 프레임이 도시된 도이다.
도 11의 a를 참조하면, 단말(80)은 가청주파수 대역의 신호들 중 제 1 신호(87)과 같이 변화가 발생하는 신호는 데이터로서 인식하고, 제 2 신호(88)와 같이 시간의 변동에도 일정한 패턴을 갖는 신호는 노이즈로 인식한다.
단말(80)은 노이즈로 인식된 제 2 신호(88)에 대해 이득(Gain)을 감소시켜 제 3 신호(89)와 같은 파형을 전송하게 된다.
단말(80)은 이러한 특성에 따라 가전기기(101)에서 출력된 음을 노이즈로 인식하여 신호를 감쇄시켜, 서비스 센터(200)로 가전기기(101)의 음이 전달되지 않거나 왜곡되거나 손실된 상태로 전송될 우려가 있다.
그에 따라 가전기기(101)의 인코딩부(142)는 도 11의 b와 같이 제어신호 생성 시, 패킷을 복수의 프레임으로 분할하고, 프레임과 프레임 사이에 IFS를 설정하여, 단말(80)에서 음이 노이즈로 인식되지 않도록 한다. IFS(Inter Frame Space)는 프레임과 프레임 사이에 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구간이다.
단말(80)은 노이즈로 인식하기전 IFS의 단속음으로 인하여 가전기기의 음을 통상의 음성신호와 마찬가지로 인식하게 되므로 신호감쇄 없이 음이 서비스 센터(200)로 제공될 수 있다.
단말(80)이 노이즈를 인식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고려하여 단말(80)이 가전기기(101)에서 출력된 음(Sound)을 노이즈로 인식하기 전 IFS에 의한 단속음이 발생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의 단말(80)은 2.5 ∼ 6초 이상 일정 주파수의 신호가 지속되면 노이즈로 판단하며, 최대 10초 이상 동일한 주파수의 음향신호는 노이즈로 판단한다.
그에 따라 인코딩부(142)는 하나의 프레임당 출력시간이 2.5 내지 3초 또는 그 이하가 되도록 하고 최대 10초를 넘지 않도록,프레임의 크기 및 심볼타임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하나의 프레임이 음으로 출력되는데 걸리는 시간은 심볼타임과, 사용되는 주파수의 수, 프레임의 크기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이때 단말(80)은 일정시간 무음 구간이 발생하더라도 이를 일시적인 현상으로 보고 신호가 지속적으로 입력되는 상태로 인식할 수 있으므로, 단말(80)이 무음으로 인식할 수 있는 정도로 IFS가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IFS 구간의 크기가 작을수록 단위 시간(예컨대 1초)당 전송 가능한 신호의 량이 증가하나, 단말(80)에서 노이즈로 판단될 소지가 있고, IFS 구간의 크기가 클수록 휴대단말기에서 음향신호가 노이즈로 인식될 위험은 적은대신 단위 시간(예컨대 1초)당 전송할 수 있는 신호의 량은 감소한다.
그에 따라 IFS 구간은 0.1초 ∼ 1초 사이의 값을 갖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약 16심볼로 설정되는 경우, 1심볼의 심볼타임이 12ms일 때, IFS는 192ms이다.
도 12은 모듈레이터의 주파수 변환이 도시된 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코딩부(142)에 의해 소정 방식에 따라 인코딩된 제어신호는 모듈레이터(150)에 의해 주파수 변환되어 음향출력부(160)를 통해 음(Sound)으로 출력된다.
모듈레이터(150)는 주파수 편이방식을 이용하고 2.6khz 2.8khz의 두 주파수를 이용하는 것을 예로 설명한다. 모듈레이터(150)는 논리값 0에 대응하여 2.6khz의 주파수가 출력되도록 하고, 논리값1에 대응하여 2.8khz 주파수가 출력되도록 한다.
모듈레이터(150)는 제어신호가 010인 경우, 제 1 비트(11)의 값이 0이므로 2.6KHz의 주파수의 신호(21)로 변환하고, 제 2 비트(12)에서 값이 1이므로 2.8KHz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22)로 변환한다. 제 3 비트(13) 은 값이 0이므로 2.6KHz의 주파수 신호(23)으로 변환된다.
이때, 제어신호의 각 비트가 하나의 심볼이고, 심볼의 길이가 심볼타임이며, 하나의 심볼에 대응하여 하나의 주파수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출력된 음을 구성하는 주파수 신호의 기본단위의 길이가 심볼타임이 될 수 있다.
도 13은 데드타임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인코딩부(142)는 제품정보를 인코딩 하는 과정에서 데드타임을 설정하고, 모듈레이터(150)는 신호 변환 시, 데드타임이 설정된 구간에서는 주파수 변환을 위한 공진주파수를 오프(off)하여, 신호변환을 중지한다.
이는 커패시터의 충전과 방전 원리로 인하여 다음 신호 변환에 영향을 끼치는 잔향효과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잔향효과로 인하여 값이 변경되는 구간에서는 두 개의 주파수가 나타날 수 있고, 음향신호에 불필요한 신호가 추가될 수 있으며, 또는 데이터의 값이 변하는 과정에서 하나의 주파수 신호가 다른 주파수 신호로 바뀌는 데에 따른 영향이 남아 지정된 시간 이후까지 계속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IFS는 프레임 간에 설정되는 것이고, 데드타임은 제어신호의 심볼단위로 설정되는 것으로 상이하다.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어신호는 신호변환시 도 13의 b와 같이 값이 0에서 1로 변경되거나 1에서 0로 변경되는 구간에서 그 값이 즉시 변경되지 않고 서서히 변경된다.
특히, 1에서 0으로 변경되는 경우(12,13) 앞의 신호의 값이 다음신호(13)에 영향을 주게 되되므로 심볼을 기준으로 데드타임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제어신호 1 비트, 즉 1심볼에 대응하여 심볼 당 데드타임을 설정한다. 단, 값이 변경되지 않고 유지되는 경우에는 데드타임을 설정하지 않고 그 값이 변경되는 경우에만 설정할 수도 있다.
신호의 값이 서서히 변경되므로 심볼타임 내에서 데드타임(17)을 설정한다. 이때, 데드타임이 너무 길면 심볼인식율이 낮아지고 데드타임이 너무 짧으면 앞의 신호가 다음신호에 영향을 주게 되므로, 심볼의 크기 즉 심볼타임에 대응하여 데드타임을 설정해야한다. 따라서 데드타임의 심볼타임의 20% 를 넘지 않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듈레이터(150)는 제어신호에 데드타임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데드타임이 설정된 구간 동안에는 신호변환을 중지한다. 이때, 모듈레이터(150)는 펄스폭모듈레이션(PWM) 방식을 이용하여 신호를 변환하는 때, 데드타임이 설정된 구간에서는 모듈레이션을 위한 발진진주파수를 오프(off)하여 데드타임동안의 주파수 신호변환을 일시 정지되도록 한다. 그에 따라 음향출력부(160)를 통해 출력된 음은 심볼과 심볼 간의 잔향효과가 제거된 상태로 출력된다.
도 14는 데드타임 없이 신호를 변환하는 경우 출력신호형태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14의 a와 같이 모듈레이터(150)에서 제어신호 변환시, 데드타임 없이 제어신호를 소정 주파수 신호로 변환하는 경우, 신호변환 시의 동기를 맞추기 위한 동기신호(41)와 함께 PWM에 의한 주파수가 각각 생성된다.
이때 주파수 변환에 사용되는 주파수의 수 만큼 주파수발진부로부터 주파수가 생성되며, 각 주파수 별 출력신호가 결합되어 음향출력부(160)를 통해 하나의 음으로 출력된다.
모듈레이터(150)는 주파수변환방식에 의해 제어신호를 변환하는데 이때 변환된 신호는 편의를 위해 스펙트럼(43)으로 표시하였다. 즉, 상기와 같이 데드타임 없이 제어신호를 음향신호로 변환하는 경우 해당 구간에서의 신호가 심볼타임 보다 길어져 다음 심볼타임에 영향을 주는 오류가 발생된다(45).
그에 따라 도 14의 b와 같은 웨이브 폼이 나타나게 된다(46).
이는, 가전기기(101)에서 음이 출력될 때 뿐 아니라 서비스센터에서 신호를 변환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데이터 비트가 변경되는 구간의 잔향으로 인하여 다음 심볼에까지 영향을 주게 된다.
도 15는 가전기기에서 데드타임을 적용하여 제어신호의 음향신호 변환하는 경우 신호형태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모듈레이터(150)는 동기신호(51), 공진주파수(52)를 이용하여 신호를 변환 시, 제어부(140)의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데드타임이 설정된 구간에서 PWM에 의한 공진주파수를 정지시킨다(54).
도 1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드타임 구간(17)에서 발진주파수가 오프되면(54), 변환된 신호가 지정된 심볼타임 구간 내에서 생성된다(55).
상기와 같이 데드타임이 설정된 제어신호를 음향신호로 변환하는 경우, 도 1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볼타임 크기로 신호가 변환 된다.
이렇게 생성된 음향신호는 음향출력부(160)로 인가되어 소정의 음(Sound)으로써 출력된다.
이때, 심볼타임은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도 16 은 가전기기에서 심볼타임 설정에 따른 예로써 음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16를 참조하면, 모듈레이터(150)의 주파수 변환에 의해 음향출력부(160)는 적어도 둘 이상의 주파수 신호가 조합된 음(Sound)을 출력한다. 2.6khz, 2.8khz의 주파수가 사용되는 것을 예로 한다.
이때, 출력되는 음의 주파수는 음향출력부(160)의 가용 주파수 대역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만일, 음향출력부(160)의 재생 주파수 대역이 2.6 khz 또는 2.8khz이보다 높거나 낮다면, 음향신호를 구성하는 펄스의 주파수 또한 높거나 낮아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심볼은 제어신호를 구성하는 데이터 단위로써, 하나의 심볼에 대응하여 하나의 주파수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음향출력부(160)를 통해 출력되는 음을 하나의 정보를 나타내는 기본단위로써 사용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심볼은 출력된 음에서 하나의 주파수 신호에 대응될 수 있다. 단, 주파수 신호에 대응하는 심볼의 수는 모듈레이터(150)에서 사용되는 주파수의 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심볼에 대응하여 출력된 주파수신호를 복수의 펄스로 구성되며, 각 펄스는 모듈레이터(150)에서 사용되는 주파수에 따라 그 주기가 결정된다.
가전기기(101)에서 음향신호를 음(Sound)로 출력하여 전화망 또는 휴대 이동통신 망을 통해 전송하는 경우, 그 데이터 전송속도는 심볼의 크기에 따라 가변된다. 심볼타임이 30ms인 경우 100byte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약 30초 정도의 시간이 소요된다.
그에 따라 전송속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심볼의 크기, 심볼타임을 감소시켜야 하는데, 이는 곧 심볼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각 주파수신호에서 펄스의 수가 감소됨을 의미한다.
편의상 출려된 음의 주파수 신호의 기본단위를 심볼로 볼때, 심볼 당 펄스의 개수가 감소할 경우, 각 심볼을 변환하여 가청주파수 대역으로 재생하였 때, 재생 시간이 짧아지므로 음향출력부(160)에서 정확한 음이 출력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음은 출력되나 음이 전화망 또는 휴대 이동통신 망을 통해 전송되는 과정에서 신호 감쇄 또는 신호 왜곡이 발생될 수 있어 서비스센터(200)에서 음을 이용한 가전기기 진단 시 진단이 불가능 하거나, 오진단 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하나의 심볼을 구성하는, 즉 심볼에 대응하여 출력된 하나의 주파수 신호에 포함되는 펄스의 개수를 결정하여 심볼타임을 설정함으로써, 음에 대한 데이터의 크기와, 그에 따른 전송속도를 감소시킬 뿐 아니라, 정확한 음의 출력 및 전송이 가능하게 된다.
심볼의 크기, 즉 심볼타임은 음으로 출력할 제어신호의 총 길이와, 출력되는 음의 총 길이, 전송속도 뿐 아니라, 실제 일정 소리로 출력될 수 있는지 여부 및 통신망 전송 가능 여부를 고려하여 설정된다. 이렇게 설정된 심볼타임에 따라 데드타임과 IFS가 결정 될 수 있다.
특히, 음향출력부(160)에서 음(Sound)의 출력 여부 및 통신망을 통한 전송은 심볼내의 펄스의 수에 영향을 받으므로 심볼당 펄스의 수와 사용하는 주파수성분을 고려하여 심볼타임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심볼타임이 작아질 경우 심볼이 음향출력부(160)에서 재생되는 시간이 극히 짧아지므로, 음의 출력 및 인식문제가 발생될 수 있고, 반대로 심볼당 펄스의 수 및 심볼의 크기를 크게 할 경우, 인식이 용이한 대신 재품정보가 포함되어 출력된 음의 전송시간이 증가하므로, 이용하는 전화기, 휴대단말기, 전환망, 휴대 이동통신 망의 특성에 따라 인식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심볼의 크기, 즉 심볼타임이 결정된다.
심볼에 대응하는 주파수신호를 구성하는 펄스는 음향출력부(160)의 재생 주파수 대역, 예컨대 2,6khz와 2.8khz에 의해 그 주기가 결정된다. 따라서, 동일한 주파수에 대하여 동일한 시 구간에 배치되는 펄스의 개수는 동일하다. 이때, 가청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는 휴대단말은 소리신호를 수신 후, 샘플링을 하므로 심볼의 크기는 일정수준 이하로 감소되어선 안된다.
그에 따라 심볼당 포함되는 펄스의 개수가 적어도 8 이상이 되도록 하며, 심볼타임이 3ms 이상이 되도록 한다.
심볼당 펄스의 개수는 8 내지 67 개 범위 내에서 설정 될 수 있다.
8 내지 32개의 펄스로 구성되는 하나의 심볼은 가전기기(101)가 음향신호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80) 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오류가 거의 없고, 최고의 전송 속도를 구현할 수 있다.
심볼타임이 7ms 보다 작을 경우 휴대단말기에서 음향출력부(160)버저(72)의 재생음을 제대로 획득하지 못하여 인식오류가 발생할 수 있고, 24ms를 초과할 경우, 가전기기(101)에서 휴대단말기(5)로 전송되는 음향신호의 전송 속도가 저감된다.
도 17 은 가전기기에서 심볼타임의 크기 변화에 따른 전송속도 및 에러율의 관계가 도시된 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심볼타임에 따라 음을 출력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출력된 음이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속도가 가변된다.
도 17을 참조하면, 가전기기에서 출력된 음이 휴대 단말을 통해 서비스 센터로 전송되는 경우, 일정 에러율을 만족하면서 심볼타임을 12ms에서 30ms 으로 가변하면 그 전송속도가 가변된다. 도 17은 가로축이 심볼타임, 세로축이 전송속도를 나타내며, 반비례 곡선(90)은 에러율이다. 이때, 에러율 곡선(90)은 1216bits 당 30bits의 에러가 발생되는 에러율을 의미한다.
심볼타임이 증가할수록 전송해야하는 데이터의 크기가 증가하므로, 그에 따른 전송시간이 가변될 뿐 아니라, 전송시간 증가에 따른 전송오류 또한 가변된다.
심볼타임이 21ms, 24ms인 경우에는, 전송속도가 7,8 로 매우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심볼타임이 15ms 인 경우, 전송속도는 약 24로 가장 높으나, 에러율이 30/1216bits를 넘어서므로 에러율 조건을 만족하지 못한다.
심볼타임이 12ms 와 15ms인 경우, 높은 전송속도를 나타내나 15ms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에러율이 증가하므로, 낮은 에러율에서, 전송속도가 빠른 12ms를 심볼타임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심볼타임을 설정함에 있어서, 심볼당 펄스의 수가 적어도 8개 이상 되도록 하고, 심볼타임은 3ms 내지 24ms 범위내에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인식율을 고려할 때 7ms 내지 24ms 범위내에서 설정될 수 있으며, 에러율과 전송속도를 고려하는 경우 12ms 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8은 가전기기 및 서비스센터에서의 제품정보가 포함된 음의 처리에 있어서 프레임 및 프레임의 에러체크코드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가전기기에서 제품정보는 프레임화되어, 프리앰블과 에러체크를 포함하여 변조되고 음으로 출력되어 서비스 센터(200)로 전송된다.
이때, 서비스 센터는 수신되는 음을 역변환하여 디코딩 하고 그로부터 제품정보를 추출하는데, 프리앰블을 이용하여 프레임을 구분할 수 있고, 에러체크를 통해 프레임이 정상인지 오류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서비스 센터의 진단서버는 각각의 프레임에 대한 오류를 검사한다. 이때, 순환 중복 검사(CRC)를 이용하여 오류를 검사할 수 있으며, 패리티 검사(Parity Check) 방식, 체크썸(checksum) 방식, Adler-32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도 있다.
진단서버의 서버제어부(210)는 오류가 있는 프레임이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오류가 있는 프레임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신호처리부(230)를 통해 제품정보를 추출하고 진단부(260)에서 가전기기에 대한 고장진단이 수행되도록 한다.
한편, 수신된 프레임 중 오류 프레임이 존재하는 경우, 서버제어부(210)는 수신된 프레임을 임시 저장하고, 가전기기로 재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서버제어부(2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에는 프레임 타입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오류 프레임의 순서를 일수 있으므로, 임시 저장된 1차 전송된 복수의 프레임(31)과, 2차 전송된 복수의 프레임(32)을 각각 비교하여, 정상 프레임을 조합하여(33) 고장진단이 수행되도록 한다. 또한, 서버제어부(210)는 모든 프레임을 재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오류 프레임(35,37)에 대해 재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3 은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의 동작방법을 가전기기의 표시부에 나타나는 화면의 예가 도시된 도이다. 이하, 스마트 진단모드에 따른 정보를 표시하는 실시예이다.
도 19의 a,b와 같이 선택부(130)를 통해 스마트 진단모드 진입시, 표시부를 통해 소정의 이미지가 표시된다.
이때, 메인제어부(141)는 조작부(117)가 조작되더라도 조작부의 신호를 무시하거나, 조작부가 동작되지 않도록 제어하고, 가전기기가 스마트 진단을 위한 동작을 제외한 일련의 동작이 정지되도록 한다.
이러한 이미지가 표시됨에 따라 사용자는 스마트 진단모드가 진입됨을 인지할수 있게 된다. 제품정보가 음(Sound)으로 출력되기까지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한다.
도 20을 참조하면, 음의 출력이 시작되기 전과 종료되는 때에, 메인제어부는 제품정보가 음의 출력시작과 끝을 알리는 알림음이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문자 또는 숫자가 포함된 안내메시지 또는 이미지가 표시부(118)에 표시될 수 있다.
표시부(118)에는 음의 출력이 시작되면, 음(Sound)의 출력이 종료될 시점까지 남은 시간을 나타내는 이미지가 표시된다.
도 2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18)에 사운드가 종료될 시점까지 남은 시간이 10 초인 경우, 10을 나타내는 숫자 이미지(61)가 표시된다.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표시되는 숫자가 감소하고 9초가 경과하면 도 2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을 나타내는 숫자 이미지(62)가 표시된다. 즉, 역으로 카운트되는 이미지가 표시부(118)에 표시된다.
이때, 이러한 숫자 표시는 LED로 표시될 수도 있다.
한편, 도 2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18)에 원형 그래프와 함께 남은 시간을 40초를 숫자로 표시한 이미지(63)가 표시된다. 시간이 경과하면, 도 2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그래프가 변경되고 그와 함께 남은 시간을 20초를 숫자로 표시한 이미지(64)가 표시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2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18)에는 다양한 크기의 막대 그래프를 나타내는 이미지(65)가 표시된다. 시간이 경과하면, 크기가 큰 막대 그래프 먼저 표시 종료함으로써, 남은 시간이 줄어들었음을 알린다.
도 2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18)에는 다수개의 막대 그래프를 나타내는 이미지(66)가 표시된다. 시간이 경과하면, 표시된 막대 그래프의 개수가 줄어 들거나 늘어나도록 함으로써, 남은 시간이 줄어들었음을 알린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18)에 사운드가 출력되는 전체 시간에 대하여, 사운드가 종료될 시점까지 남은 시간의 비율을 나타내는 숫자가 그래프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도 24은 가전기기에서 제품정보가 포함된 음을 출력함에 있어 음량을 조절하는 예가 도시된 도이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전기기(101)는 스마트진단모드 진입시, 가전기기(101)의 제품정보가 포함된 음을 출력함에 있어서, 음의 음량을 변경할 수 있다(69a,69b). 출력되는 음의 음량이 변경되는 경우 그에 대응하여 표시부(118)에 음량이 숫자 또는 이미지로 표시된다(68a, 68b).
표시부(118)는 사용자에 의해 조절된 음의 크기를 표시하기 위한 복수개의 LED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음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복수개의 LED 장치가 하측에서 상측으로 차례로 점등되게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현재의 음의 크기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표시부(118)로 LCD가 구비되는 경우 표시부(118)에 음량을 숫자 또는 이미지로 표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응용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 진단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의 구성이 도시된 도,
도 3 은 도 2의 가전기기에서 음향출력부와 소리안내부 그리고 조작부의 구조가 도시된 도,
도 4 및 도 5 는 가전기기의 음향출력부와 소리안내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 은 도 1의 가전기기 및 진단시스템에서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구성이 도시된 블록도,
도 7 은 도 1의 가전기기 및 진단시스템에서 서비스센터의 진단서버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
도 8 은 도 6의 가전기기의 제품정보 인코딩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
도 9 는 가전기기의 제품정보의 인코딩 및 그에 따른 제어신호의 구성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
도 10 는 제어신호의 구성 및 인코딩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
도 11 은 제어신호의 IFS 설정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
도 12 는 모듈레이터의 주파수 변환이 도시된 도,
도 13 은 데드타임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
도 14 는 데드타임 없이 신호를 변환하는 경우 출력신호형태가 도시된 예시 도,
도 15 는 가전기기에서 데드타임을 적용하여 제어신호의 음향신호 변환하는 경우 신호형태가 도시된 예시도,
도 16 은 가전기기에서 심볼타임 설정에 따른 예로써 음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
도 17 은 가전기기에서 심볼타임의 크기 변화에 따른 전송속도 및 에러율의 관계가 도시된 도,
도 18 은 가전기기 및 서비스센터에서의 제품정보가 포함된 음의 처리에 있어서 프레임 및 프레임의 에러체크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
도 19 내지 도 23 은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의 동작방법을 가전기기의 표시부에 나타나는 화면의 예가 도시된 도,
도 24 는 가전기기에서 제품정보가 포함된 음을 출력함에 있어 음량을 조절하는 예가 도시된 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1: 가전기기 117: 조작부
130: 선택부 140: 제어부
141: 메인제어부 142: 인코딩부
150: 모듈레이터 160: 음향출력부
200: 서비스센터/진단서버

Claims (26)

  1. 고장진단을 위한 선택부가 입력되면, 스마트 진단모드를 시작하는 단계;
    상기 고장진단에 필요한 가전기기의 제품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소정 주파수 신호를 음향출력부로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음향출력부로부터 상기 주파수 신호에 대응하는 음(Sound)이 출력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신호 생성 시, 상기 음향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상기 음이 노이즈로 인식되지 않도록 상기 프레임 간에 일정시간 무음을 출력하는 IFS(Inter frame space)를 설정하고,
    상기 주파수 신호를 상기 음향출력부로 인가하는 경우, 상기 제어신호를 구성하는 복수의 심볼에 대하여, 하나의 심볼에 대응하여 하나의 주파수 신호가 지정된 심볼타임 동안 상기 음향출력부로 인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의 동작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 출력되는 단계는 상기 음이 출력되는 진행상태를 문자, 숫자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전기기의 동작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진단모드 시작 단계는, 상기 스마트 진단모드가 시작됨을 알리는 문자, 숫자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가전기기의 동작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진단모드 시작 단계는, 상기 스마트 진단모드가 시작됨을 알리는 효과음을 출력하는 가전기기의 동작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진단모드 시작 단계는, 상기 스마트 진단모드 이외의 모든 동작을 정지하고, 상기 스마트 진단모드에 관련된 입력을 제외한 모든 입력을 무시하는 가전기기의 동작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진단모드 시작 단계는, 스마트 진단모드 진입을 위한 선택부가 입력되기 전, 전원입력 후 바로 상기 선택부가 입력된 경우 상기 스마트 진단 모드를 시작하고,
    전원입력 후 구비된 다른 조작부가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선택부의 입력을 무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전기기의 동작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생성단계는, 상기 가전기기의 운전정보, 고장정보 및 사용정보가 포함된 상기 제품정보를 일정 크기의 데이터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페이로드와 상기 분할된 데이터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헤더로 구성되는 프레임을 복수로 생성하는 가전기기의 동작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생성단계는,
    상기 헤더와 상기 페이로드를 각각 개별 인코딩하는 가전기기의 동작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생성단계는, 상기 복수의 프레임 각각에, 상기 프레임의 시작을 알리는 프리앰블을 설정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가전기기의 동작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 출력 단계 전, 상기 음의 음량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전기기의 동작방법.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신호를 상기 음향출력부로 인가하는 단계는, 심볼과 심볼 사이의 잔향효과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심볼타임 내에서 데드타임을 설정하고, 상기 데드타임이 설정된 구간 동안 상기 주파수 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하는 가전기기의 동작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신호를 상기 음향출력부로 인가하는 단계는, 상기 음이 출력되기 위한 최소시간, 상기 음이 출력되는데 소요되는 총시간, 상기 음이 소리신호로써 전송되는 속도, 상기 음을 소리신호로써 전송하는 단말에서의 샘플링주기, 상기 음이 전송되는 중 발생되는 에러율 및 상기 제어신호의 길이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상기 심볼타임을 설정하는 가전기기의 동작방법.
  14. 삭제
  15. 삭제
  16. 고장진단을 실시하기 위한 명령이 입력되는 선택부;
    상기 고장진단을 위한 가전기기의 제품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선택부에 의해 고장진단 실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가전기기를 스마트 진단모드로 변경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제품정보를 인코딩하여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제어신호로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소정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는 모듈레이터; 및
    상기 모듈레이터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주파수 신호에 대응하는 음을 출력하는 음향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이 노이즈로 인식되지 않도록 상기 프레임 간에 일정시간 무음을 출력하는 IFS(Inter frame space)를 설정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모듈레이터는 상기 제어신호를 구성하는 복수의 심볼에 대하여, 하나의 심볼에 대응하여 하나의 주파수 신호가 지정된 심볼타임 동안 상기 음향출력부로 인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부가 입력되기 전, 구비되는 다른 조작부가 입력된 경우 상기 선택부의 입력을 무시하고, 전원입력 후 상기 다른 조작부의 입력 없이 상기 선택부가 입력되면 상기 스마트 진단 모드를 시작하는 가전기기.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전기기의 운전정보, 고장정보 및 사용정보가 포함된 상기 제품정보를 일정 크기의 데이터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페이로드와 상기 분할된 데이터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헤더로 구성되는 프레임을 복수로 생성하고, 상기 헤더와 상기 페이로드를 각각 개별 인코딩하는 가전기기.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프레임 각각에, 상기 프레임의 시작을 알리는 프리앰블을 설정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가전기기.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신호를 구성하는 복수의 심볼에 대하여, 심볼과 심볼 사이의 잔향효과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심볼에 데드타임을 설정하고,
    상기 모듈레이터는 상기 데드타임이 설정된 구간 동안 상기 주파수 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하는 가전기기.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KR1020090062722A 2009-07-09 2009-07-09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15555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2722A KR101555587B1 (ko) 2009-07-09 2009-07-09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2722A KR101555587B1 (ko) 2009-07-09 2009-07-09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160A KR20110005160A (ko) 2011-01-17
KR101555587B1 true KR101555587B1 (ko) 2015-09-24

Family

ID=43612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2722A KR101555587B1 (ko) 2009-07-09 2009-07-09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55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5503A (ko) * 2016-08-31 2018-03-09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전기밥솥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1279B1 (ko) * 2011-07-08 2013-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KR101416938B1 (ko) * 2012-01-11 2014-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진단장치 및 그 진단방법
KR20240030893A (ko) 2022-08-29 2024-03-07 탈렌티스 주식회사 동 케이블 접속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5503A (ko) * 2016-08-31 2018-03-09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전기밥솥
KR102491253B1 (ko) 2016-08-31 2023-01-26 주식회사 위니아 전기밥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160A (ko) 2011-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0262B1 (ko)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US9013320B2 (en) Home appliance and its system
US8432291B2 (en)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for home appliance
US8547200B2 (en)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8983798B2 (en)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for home appliance
KR20110014277A (ko)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진단방법
US8341002B2 (en)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for home appliance
US8717188B2 (en)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for home appliance
RU2477516C2 (ru) Быт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истема бытового устройства
US20110054845A1 (en)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for home appliance
US20110054844A1 (en)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for home appliance
KR20110010378A (ko)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1555587B1 (ko)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20110014436A (ko) 가전기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80127946A (ko) 가전기기 및 그 시스템
KR101553840B1 (ko) 가전기기 및 그 동작방법
RU2574359C2 (ru) Быт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и его система
KR20130082338A (ko) 가전기기, 진단장치 및 그 진단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