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6336B1 - 세탁기 및 그 음향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세탁기 및 그 음향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6336B1
KR101466336B1 KR1020080045604A KR20080045604A KR101466336B1 KR 101466336 B1 KR101466336 B1 KR 101466336B1 KR 1020080045604 A KR1020080045604 A KR 1020080045604A KR 20080045604 A KR20080045604 A KR 20080045604A KR 101466336 B1 KR101466336 B1 KR 101466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noise
washing machine
patter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5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9509A (ko
Inventor
이주연
김현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5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6336B1/ko
Priority to US12/232,256 priority patent/US8561437B2/en
Publication of KR20090119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9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6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6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8Preventing or reducing imbalance or nois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02Mechanical acoustic impedances; Impedance matching, e.g. by horns; Acoustic resonato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5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 G10K11/1752Mas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3/00Jamming of communication; Counter-measures
    • H04K3/40Jamming having variable characteristics
    • H04K3/45Jamming having variable characteristics characterized by including monitoring of the target or target signal, e.g. in reactive jammers or follower jammers for example by means of an alternation of jamming phases and monitoring phases, called "look-through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3/00Jamming of communication; Counter-measures
    • H04K3/80Jamming or countermeasure characterized by its function
    • H04K3/82Jamming or countermeasure characterized by its function related to preventing surveillance, interception or detection
    • H04K3/825Jamming or countermeasure characterized by its function related to preventing surveillance, interception or detection by jamm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6Imbalance; Noise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2203/00Jamming of communication; Countermeasures
    • H04K2203/10Jamming or countermeasure used for a particular application
    • H04K2203/12Jamming or countermeasure used for a particular application for acoustic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3/00Jamming of communication; Counter-measures
    • H04K3/40Jamming having variable characteristics
    • H04K3/43Jamming having variable characteristics characterized by the control of the jamming power, signal-to-noise ratio or geographic coverage are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3/00Jamming of communication; Counter-measures
    • H04K3/40Jamming having variable characteristics
    • H04K3/44Jamming having variable characteristics characterized by the control of the jamming waveform or modulation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의 동작 중에 발생하는 소음을 상쇄하면서 동시에 사용자에게 세탁기의 진행정보를 음향으로 제공해 주는 세탁기 및 그 음향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입력된 운전명령에 따라 세탁기의 동작을 진행하고; 상기 세탁기의 동작 중에 발생하는 소음의 패턴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소음을 상쇄하기 위한 음향을 판독하고; 상기 판독된 음향을 상기 소음에 매핑하여 출력하는 마스킹 효과로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소음 패턴에 따라 각 행정의 시작과 완료, 그리고 변경을 감지하고, 사용자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여 피드백 음향을 출력함으로서 세탁기의 진행정보를 알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세탁기 및 그 음향제어방법{Washing machine and method to control sound thereof}
본 발명은 세탁기 및 그 음향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탁기의 동작 중에 발생하는 소음을 상쇄하면서 동시에 사용자에게 세탁기의 진행정보를 음향으로 제공해 주는 세탁기 및 그 음향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통상, 드럼세탁기)는 물(세탁수 또는 헹굼수)의 담수를 위한 수조와, 이 수조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포(이하, 포라 한다)를 수용하는 드럼과, 이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모터를 포함하여 원통형의 드럼이 회전할 때 그 내부의 포가 드럼 내벽을 따라 상승하였다가 낙하하는 동작을 통해 세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세탁기는 세제가 용해된 물(구체적으로, 세탁수)로 포의 오염을 분리해내는 세탁 행정과, 세제가 포함되지 않은 물(구체적으로, 헹굼수)로 포의 거품이나 잔류 세제를 헹구어 주는 헹굼 행정과, 포를 고속 탈수시키는 탈수 행정 등의 일련의 동작으로 세탁을 진행하며, 세탁 행정과 헹굼 행정의 경우에는 물의 급수 또는 배수를 위한 급수와 배수 동작을 수반한다.
이러한 일련의 동작을 통해 세탁을 진행하는 세탁기의 경우 각 행정의 진행에 따라 소음이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상당한 불쾌감을 주게 된다.
이에, 세탁기의 동작 중에 발생하는 소음을 줄이기 위한 개선방안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2-0040267호에 개시되었다.
동 공보에 개시된 세탁기는 세탁 시 발생되는 소음에 대응하여 각 행정별 멜로디를 출력함으로서 세탁 시 발생되는 소음을 감소하여 세탁환경을 개선하도록 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세탁기는 세탁 시 발생되는 소음을 감소하기 위한 각 행정별 멜로디를 출력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PC를 통해 원하는 멜로디를 다운로드 받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또한 외부장치와의 데이터 교환을 위해 인터페이스부를 세탁기에 설치해야 하는 구조적 변경으로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세탁기의 동작 중에 발생하는 소음 패턴을 감지하여 소음 상쇄용 음향을 해당 패턴에 매핑하는 마스킹 효과로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세탁기 및 그 음향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탁기의 동작 중에 발생하는 소음 패턴에 따라 각 행정의 시작과 완료, 그리고 변경을 감지하여 피드백 음향을 출력함으로서 사용자에게 현재 진행 중인 행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세탁기 및 그 음향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접근 시 피드백 음향을 출력함으로서 사용자에게 현재 진행 중인 행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세탁기 및 그 음향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세탁기의 음향제어방법은, 입력된 운전명령에 따라 세탁기의 동작을 진행하고; 상기 세탁기의 동작 중에 발생하는 소음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소음을 상쇄하기 위한 음향을 판독하고; 상기 판독된 음향을 상기 소음에 매핑하여 출력하고; 사용자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된 경우 피드백 음향을 출력하여 상기 세탁기의 진행상태를 알리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세탁기의 동작은 급수, 세탁, 헹굼, 배수, 탈수, 건조 또는 구김제거 행정 중 적어도 하나의 행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음을 감지하는 것은, 상기 세탁기의 각 행정을 진행하는 중에 발생하는 상기 소음의 패턴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음의 패턴은 상기 각 행정별로 일정한 패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향을 판독하는 것은, 상기 소음 패턴에 따라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상쇄 음향의 정보를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쇄 음향은 상기 소음보다 진폭이 큰 배경음이나 멜로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향을 출력하는 것은, 상기 소음 패턴에 상응하는 상쇄 음향을 상기 저장부로부터 판독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음 패턴에 따라 이상 소음의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음향을 출력하는 것은, 상기 소음 패턴에 상응하는 상쇄 음향을 상기 저장부로부터 판독하거나 생성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생성된 음향은 상기 이상 소음의 크기에 따라 상기 상쇄 음향의 크기를 조절하여 생성된 음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피드백 음향은 이벤트 효과음이나 멜로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세탁기는, 세탁기의 동작 중에 발생하는 소음을 감지하는 소음감지부; 상기 세탁기의 근처에 사용자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는 사용자 감지부; 상기 감지된 소음을 상쇄하기 위한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출력부; 상기 음향을 상기 감지된 소음에 매핑하여 출력하도록 상기 음향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된 경우, 상기 세탁기의 행정 진행상태를 알리는 피드백 음향을 저장부로부터 판독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음감지부는 상기 세탁기의 각 행정을 진행하는 중에 발생하는 상기 소음의 패턴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세탁기는 상기 소음 패턴에 상응하는 상쇄 음향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음 패턴에 상응하는 상쇄 음향을 상기 저장부로부터 판독하여 상기 소음 패턴의 시작에 매핑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세탁기는 상기 출력되는 음향의 파형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한다.
삭제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세탁기 및 그 음향제어방법은 세탁기의 동작 중에 발생하는 소음 패턴을 감지하여 소음 상쇄용 음향을 해당 패턴에 매핑하는 마스킹 효과로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소음 패턴에 따라 각 행정의 시작과 완료, 그리고 변경을 감지하고, 사용자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여 피드백 음향을 출력함으로서 세탁기의 진행정보를 알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본 발명의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본체(10)의 전면을 형성하며 그 중심부에 세탁물이 투입되는 도어(22)가 마련된 전면 패널(20)과, 전면 패널(20)의 상측에 마련된 컨트롤 패널(30)을 포함한다.
컨트롤 패널(30)에는 세탁코스 및 세탁기에 관련한 동작명령 등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32)와, 세탁코스와 세탁기의 동작상태(행정 진행)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34)와, 세탁기가 설치된 공간에 접근하는 사용자의 존재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사용자 감지부(36)를 마련하며, 컨트롤 패널(30)의 일측에는 세탁기의 동작(행정 진행) 중에 발생하는 소음을 상쇄하기 위한 음향과, 행정의 시작과 완료 그리고 변경이나 행정의 진행상태를 알리기 위한 피드백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출력부(38)가 마련되어 있다.
입력부(32)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세탁코스(세탁메뉴 등을 포함)와 헹굼 및 탈수, 건조, 구김제거 행정의 설정을 포함한 동작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버 튼이 마련되어 있다.
디스플레이부(34)에는 세탁코스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초기화면에서 제공해 주고, 사용자가 세탁코스를 선택하면 선택된 세탁코스의 전체 행정 진행시간을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세탁종료 시점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LCD(액정표시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LED 디스플레이가 한정된 공간에서 한정된 정보만을 제공하는데 반해, LCD 디스플레이는 한정된 공간이라도 상황의 변화에 따라 유동적으로 사용자가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디스플레이부(34)에는 세탁기의 동작 중에 발생하는 소음을 상쇄하기 위해 출력되는 상쇄 음향(BGM:Back Ground Music)의 파형과, 세탁기의 행정 변경이나 사용자의 접근 시 세탁기의 행정 진행상태를 알려 주기 위해 출력되는 피드백 음향의 파형을 화면을 통해 제공하여 시각적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제어 구성도로서, 입력부(32), 디스플레이부(34), 사용자 감지부(36), 음향출력부(38), 소음감지부(50), 제어부(52), 저장부(54) 및 부하(56)를 포함한다.
사용자 감지부(36)는 세탁기가 설치된 공간에 접근하는 사용자의 존재 유무를 감지하는 것으로, 손이나 그림자 또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이미지센서와, 사용자(사람)에게서 발산되는 고유 파장의 적외선을 감지하는 적외선센서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접촉센서 등으로 구성된다.
음향출력부(38)는 세탁기의 동작(행정 진행) 중에 발생하는 소음을 상쇄하기 위한 음향(예를 들어, 배경음)과, 행정의 진행상태를 알리기 위한 피드백 음향(예를 들어, 이벤트 효과음)을 출력하는 것으로, 멜로디나 음악 등을 출력하는 스피커 등으로 구성된다.
소음감지부(50)는 세탁기의 동작 중에 발생하는 소음을 감지하는 것으로, 세탁기의 가동이나 정지, 작동의 반복, 물의 공급과 배수, 모터의 좌/우 반전에 따른 구동 등 세탁기의 모든 행정(급수, 세탁, 헹굼, 배수, 탈수, 건조 또는 구김제거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마이크로폰 등을 이용하여 감지한다.
음의 크기(Loudness)는 공기의 진동에 의해서 발생한 음파 진폭의 크고 작음에 의해 결정되는데, 진폭이 클수록 음은 크게 들리고 진폭이 작을수록 작게 들린다. 그러나 인간이 느끼는 음의 크고 작음은 청감으로 지각할 수 있는 감각량이어서 물리적인 음의 크기와는 다르다. 이러한 이유로 물리적으로 측정한 음의 크기를 인간이 청감으로 느끼는 음의 크기와 일치시켜 dB(데시벨:decibel)이라고 표현한다.
세탁기의 동작 중에 발생하는 소음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행정마다 서로 다른 패턴을 가지고 일정하게 발생한다.
도 3은 급수 시 발생하는 소음의 패턴을 나타낸 것으로, 급수 시에는 밸브의 동작에 따라 물이 세탁기 내부로 공급되는 유동 소음이 1.2㎑ 대역의 일정한 주파수 특성(18sec의 반복 주기)을 가지고 발생한다.
도 4는 세탁 시 발생하는 소음의 패턴을 나타낸 것으로, 세탁 시에는 모터의 좌/우 반전에 따라 물이 세탁기 내부에서 유동하는 수류 소음과 모터 소음, 세탁기 구조 진동에 따른 소음 등이 2sec의 반복 주기를 가지고 발생한다.
도 5는 배수 시 발생하는 소음의 패턴을 나타낸 것으로, 배수 시에는 펌프의 동작에 따라 물이 세탁기 내부에서 배수되는 유동 소음과 펌프 소음 등이 일정한 패턴을 가지고 발생한다.
도 6은 탈수 시 발생하는 소음의 패턴을 나타낸 것으로, 탈수 시에는 모터의 고속 회전에 따라 포의 물을 짜내는 유동(공력) 소음과 모터 소음, 세탁기 구조 진동에 따른 소음 등이 일정한 패턴을 가지고 발생한다.
이와 같이, 세탁기의 각 행정마다 일정한 주파수 패턴을 가지고 발생하는 소음을 소음감지부(50)에서 감지하여 제어부(52)에 전달한다.
제어부(52)는 입력부(32)에서 입력된 세탁코스에 따라 각종 부하(56;예를 들어, 모터, 밸브, 모터 등)를 제어하여 세탁과 헹굼 및 탈수, 건조, 구김제거 등 세탁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컴으로서, 세탁기의 동작 중에 발생하는 소음을 소음감지부(50)로부터 입력받아 현재 진행 중인 세탁기의 행정을 판단하고, 소음을 상쇄하기 위한 음향(예를 들어, 배경음)을 저장부(54)로부터 판독하여 음향출력부(38)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52)는 세탁기의 행정 진행 중에 일정한 패턴을 가지고 발생하는 소음 패턴의 시작에 매핑하여 상쇄 음향을 출력함으로서 세탁기의 동작 중에 발생하는 소음을 마스킹하여 소음을 최소화시킨다.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마스킹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다.
도 7에서 보듯이, 어떤 음 "A"를 듣고 있을 때 "A"보다 진폭이 큰 음 "B"가 매핑되면 원래의 음 "A"는 들리지 않게 된다. 이때 음 "A"가 음 "B"에게 마스킹되 었다고 하며, 이러한 현상을 마스킹 효과(Masking Effect)라고 한다. 조용한 상태에서는 작은 음이라도 명확하게 들리지만 주위의 소음이 클 경우에는 큰 음이라도 잘 들리지 않는 것과 같다.
또한, 제어부(52)는 소음감지부(50)로부터 입력되는 소음에 따라 소음 패턴을 분석하여 각 행정의 시작과 완료, 그리고 변경 여부를 감지하고, 이러한 행정의 진행상태를 알려 주기 위한 피드백 음향(예를 들어, 이벤트 효과음)을 저장부(54)로부터 판독하여 음향출력부(38)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52)는 세탁기의 동작 중에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하기 위해 출력되는 상쇄 음향에 현재 행정의 피드백 음향을 결합하여 출력해 줌으로서 사용자로 하여금 기능적인 만족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52)는 사용자 감지부(36)를 통해 사용자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세탁기 근처에 오지 않아도 행정의 진행상태를 알 수 있도록 피드백 음향(예를 들어, 이벤트 효과음)을 저장부(54)로부터 판독하여 음향출력부(38)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때에도 제어부(52)는 세탁기의 동작 중에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하기 위해 출력되는 상쇄 음향에 현재 행정의 피드백 음향을 결합하여 출력해 줌으로서 사용자로 하여금 기능적인 만족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이외에도, 제어부(52)는 소음감지부(50)로부터 입력되는 소음 패턴에서 주파수가 급격히 변화하는 이상 소음의 발생 여부를 감지하여 이상 소음의 발생 시 이를 상쇄하기 위한 음향을 생성하여 음향출력부(38)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상 소음을 상쇄하기 위한 음향은 저장부(54)에 저장된 기존 음향(배경음이나 이 벤트 효과음)의 볼륨레벨을 크게 조절함으로서 이상 소음의 발생을 사용자가 알 수 없도록 한다.
저장부(54)는 디스플레이부(34)를 통해 제공되는 세탁코스와 사용자 입력에 의해 기억된 현재의 세탁기 행정 상태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로, 각 행정마다 다르게 발생되는 소음을 상쇄하기 위한 음향을 데이터베이스(예를 들어, OracleLite, SQLCE, 삼성 SW연구소에서 개발한 AceDB 등)화하여 저장한다.
저장부(54)에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되는 상쇄 음향은 BGM(Back Ground Music)로 계속 흐르게 되는 사운드를 제작하기 위해 전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지 않고 일부 주파수 대역(약 20~1900㎐)를 사용하며, 피드백 음향은 BGM이 갖고 있지 않은 영역의 주파수 대역(약 2000㎐ 이상)을 사용하여 사운드를 제작함으로서 서로 간섭받지 않는 음향을 사용자에게 제공해 줄 수 있도록 한다.
저장부(54)에는 행정의 시작과 완료, 변경 시에 그리고 사용자의 접근 시에 출력되는 피드백 음향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쇄 음향과 피드백 음향의 정보를 저장부(54)에 별도로 저장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음향 정보를 제어부(52)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세탁기 및 그 음향제어방법의 동작과정 및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에서 각 행정의 진행 중에 발생하는 소음을 상쇄하면서 동시에 사용자에게 행정에 대한 진행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음향 제어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세탁기 내부에 포를 넣고 사용자가 원하는 세탁코스와 탈수RPM, 헹굼 추가 등의 운전정보를 선택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운전정보가 입력부(32)를 통해 제어부(52)에 입력된다.
따라서, 제어부(52)는 입력부(32)로부터 입력된 운전정보에 따라 세탁, 헹굼, 탈수, 건조, 구김제거로 이어지는 일련의 행정을 진행하기 시작하는데, 먼저 행정 시작인가를 판단한다(100).
행정 시작인 경우 제어부(52)는 행정 시작을 알리는 피드백 음향(예를 들어, 이벤트 효과음)을 저장부(54)에서 판독하여 음향출력부(38)를 통해 출력한다(102). 이때 피드백 음향을 출력하는 시간을 제어부(52)에 미리 설정하여 설정된 시간 동안 피드백 음향을 출력해 줌으로서 전력소모를 줄이면서도 사용자에게 행정이 시작되었음을 알려 준다.
또한, 컨트롤 패널(30)에 마련된 디스플레이부(34)를 통해 행정 시작을 알리는 피드백 음향의 파형을 표시해 줌으로서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만족도 함께 제공해준다.
이후, 세탁기의 행정(예를 들어, 급수, 세탁, 헹굼, 배수, 탈수, 건조, 구김제거 등)이 진행되면(104), 세탁기의 행정 진행 중에 발생하는 소음을 소음감지부(50)에서 감지한다(106).
세탁기의 행정 진행 중에 발생하는 소음은 각 행정에 따라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한 패턴을 가지고 반복된다.
예를 들어, 급수의 경우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1.2㎑ 대역의 일정한 주파수 특성(18sec의 반복 주기)을 가지고 소음(기계음)을 발생하므로 제어부(52)는 소음감지부(50)로부터 입력되는 소음의 패턴을 분석하여(108), 현재 진행 중인 행정이 무엇인지 판단한다.
이와 같이, 각 행정에 따라 서로 다르게 발생되는 소음 패턴을 분석한 후, 제어부(52)는 분석된 소음 패턴을 상쇄하기 위한 음향(예를 들어, 배경음)을 저장부(54)로부터 판독하여 음향출력부(38)를 통해 출력한다(110). 저장부(54)에는 각각의 소음 패턴에 대응하는 상쇄 음향이 미리 저장되어 있어 제어부(52)는 분석된 소음 패턴에 대응하는 상쇄 음향을 저장부(54)에서 판독하여 소음 패턴의 시작에 매핑하여 출력해 줌으로서 세탁기의 동작 중에 발생하는 소음을 마스킹하여 소음을 최소화시킨다.
예를 들어, 급수의 경우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1.2㎑ 이상의 일정한 주파수 특성(18sec의 반복 주기)을 갖는 상쇄 음향을 매핑하여 급수 중에 발생하는 소음을 마스킹하고, 세탁의 경우에는 2sec마다 20~30dBA의 규칙적인 패턴을 갖는 상쇄 음향을 매핑하여 세탁 중에 발생하는 소음을 마스킹하며, 배수의 경우에는 배수 초기 120에 대한 40dBA 상쇄 음향을 매핑하여 배수 중에 발생하는 소음을 마스킹한다.
이때, 출력되는 상쇄 음향의 파형을 컨트롤 패널(30)에 마련된 디스플레이부(34)를 통해 표시해 줌으로서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만족도 함께 제공해줄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마스킹 효과를 이용하여 매핑되는 상쇄 음향은 주변 환경을 해치지 않으면서 적절한 무드를 제공할 수 있는 원형 사운드로 일반적인 음악과 달리 사용자에게 세탁기가 작동하고 있다는 것을 미묘하게 알려 줄 수 있는 배경의 사운드를 제공해야 하나 그 정도가 강하여 상쇄 음향 자체가 주가 되어서는 안 된다. 왜냐하면 세탁기의 행정 진행 중에 발생하는 소음을 상쇄하기 위해 제공되는 음향 자체가 사용자에게 또 다른 소음으로 느껴지면 안되기 때문이다.
이때, 제어부(52)는 상쇄 음향이 세탁기의 행정 진행 중에 계속 출력되도록 설계할 수 있으나, 이 또한 소음으로 느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소음 패턴에서 사용자가 청감으로 지각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에서만 상쇄 음향이 출력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세탁기의 행정 진행 중에 발생하는 소음을 상쇄하는 중에도 제어부(52)는 소음감지부(50)로부터 입력되는 소음의 패턴을 계속 분석하여 행정이 변경되었는가를 판단한다(112).
행정이 변경된 경우, 제어부(52)는 행정의 변경을 알리는 피드백 음향(예를 들어, 이벤트 효과음)을 저장부(54)에서 판독하여 음향출력부(38)를 통해 출력한다(114). 이때 소음 상쇄 음향에 현재 행정의 피드백 음향을 결합하여 출력해 줌으로서 사용자에게 행정이 변경되었음을 알려 준다.
행정의 변경을 알려 주는 피드백 음향은 단계 102에서 행정의 시작을 알려 주는 피드백 음향과 동일한 음향을 사용하거나 다른 음향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저장부(54)에 저장되는 피드백 음향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함에 따라 조절 가능 하다. 이때, 출력되는 피드백 음향의 파형을 컨트롤 패널(30)에 마련된 디스플레이부(34)를 통해 표시해 줌으로서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만족도 함께 제공해줄 수 있다.
이후, 세탁기의 행정 진행 중에 사용자가 접근하였는가를 사용자 감지부(36)에서 감지하여(116), 사용자 접근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52)는 행정의 진행상태를 알리는 피드백 음향을 저장부(54)에서 판독하여 음향출력부(38)를 통해 출력한다(118). 이때 소음 상쇄 음향에 현재 행정의 피드백 음향(예를 들어, 이벤트 효과음)을 결합하여 출력해 줌으로서 사용자가 세탁기에 오지 않아도 현재 진행 중인 행정이 무엇인지 알 수 있도록 한다.
행정의 진행상태를 알려 주는 피드백 음향은 단계 102에서 행정의 시작 또는 단계 114에서 행정의 변경을 알려 주는 피드백 음향과 동일한 음향을 사용하거나 다른 음향을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음향을 사용하는 경우 각각의 행정 고유의 음향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부(54)에 저장한다. 이때, 출력되는 피드백 음향의 파형을 컨트롤 패널(30)에 마련된 디스플레이부(34)를 통해 표시해 줌으로서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만족도 함께 제공해줄 수 있다.
이후, 세탁기의 행정 완료인가를 판단하여(120), 행정 완료가 아니면 단계 102로 피드백하여 이후의 동작을 반복 진행한다.
행정 완료인 경우 제어부(52)는 행정 완료를 알리는 피드백 음향(예를 들어, 이벤트 효과음)을 저장부(54)에서 판독하여 음향출력부(38)를 통해 출력한다(122).
행정의 완료를 알려 주는 피드백 음향은 단계 102에서 행정의 시작 또는 단 계 114에서 행정의 변경을 알려 주는 피드백 음향과 동일한 음향을 사용하거나 다른 음향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세탁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식기세척기나 건조기 등과 같이 일련의 행정을 진행하는 어떠한 가전기기에서도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3은 급수 시 발생하는 소음의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세탁 시 발생하는 소음의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배수 시 발생하는 소음의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탈수 시 발생하는 소음의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마스킹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에서 각 행정의 진행 중에 발생하는 소음을 상쇄하면서 동시에 사용자에게 행정에 대한 진행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음향제어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9는 급수 시 발생하는 소음을 상쇄하기 위한 음향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30 : 컨트롤 패널 32 : 입력부
34 : 디스플레이부 36 : 사용자 감지부
38 : 음향출력부 50 : 소음감지부
52 : 제어부 54 : 저장부
56 : 부하

Claims (17)

  1. 입력된 운전명령에 따라 세탁기의 동작을 진행하고;
    상기 세탁기의 동작 중에 발생하는 소음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소음을 상쇄하기 위한 음향을 판독하고;
    상기 판독된 음향을 상기 소음에 매핑하여 출력하고;
    사용자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된 경우 피드백 음향을 출력하여 상기 세탁기의 진행상태를 알리는 것을 포함하는 세탁기의 음향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기의 동작은 급수, 세탁, 헹굼, 배수, 탈수, 건조 또는 구김제거 행정 중 적어도 하나의 행정인 세탁기의 음향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을 감지하는 것은,
    상기 세탁기의 각 행정을 진행하는 중에 발생하는 상기 소음의 패턴을 감지하는 세탁기의 음향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의 패턴은 상기 각 행정별로 일정한 패턴을 가지는 세탁기의 음향제어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을 판독하는 것은,
    상기 소음 패턴에 따라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상쇄 음향의 정보를 판독하는 세탁기의 음향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쇄 음향은 상기 소음보다 진폭이 큰 배경음이나 멜로디인 세탁기의 음향제어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을 출력하는 것은,
    상기 소음 패턴에 상응하는 상쇄 음향을 상기 저장부로부터 판독하여 출력하는 세탁기의 음향제어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패턴에 따라 이상 소음의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음향을 출력하는 것은,
    상기 소음 패턴에 상응하는 상쇄 음향을 상기 저장부로부터 판독하거나 생성 하여 출력하는 세탁기의 음향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음향은 상기 이상 소음의 크기에 따라 상기 상쇄 음향의 크기를 조절하여 생성된 음향인 세탁기의 음향제어방법.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음향은 이벤트 효과음이나 멜로디인 세탁기의 음향제어방법.
  12.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세탁기의 동작 중에 발생하는 소음을 감지하는 소음감지부;
    상기 세탁기의 근처에 사용자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는 사용자 감지부;
    상기 감지된 소음을 상쇄하기 위한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출력부;
    상기 음향을 상기 감지된 소음에 매핑하여 출력하도록 상기 음향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된 경우, 상기 세탁기의 행정 진행상태를 알리는 피드백 음향을 저장부로부터 판독하여 출력하는 세탁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기의 동작은 급수, 세탁, 헹굼, 배수, 탈수, 건조 또는 구김제거 행정 중 적어도 하나의 행정인 세탁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감지부는 상기 세탁기의 각 행정을 진행하는 중에 발생하는 상기 소음의 패턴을 감지하는 세탁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패턴에 상응하는 상쇄 음향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음 패턴에 상응하는 상쇄 음향을 상기 저장부로부터 판독하여 상기 소음 패턴의 시작에 매핑하여 출력하는 세탁기.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되는 음향의 파형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
  17. 삭제
KR1020080045604A 2008-05-16 2008-05-16 세탁기 및 그 음향제어방법 KR101466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5604A KR101466336B1 (ko) 2008-05-16 2008-05-16 세탁기 및 그 음향제어방법
US12/232,256 US8561437B2 (en) 2008-05-16 2008-09-12 Washing machine and sou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5604A KR101466336B1 (ko) 2008-05-16 2008-05-16 세탁기 및 그 음향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9509A KR20090119509A (ko) 2009-11-19
KR101466336B1 true KR101466336B1 (ko) 2014-11-27

Family

ID=41314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5604A KR101466336B1 (ko) 2008-05-16 2008-05-16 세탁기 및 그 음향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561437B2 (ko)
KR (1) KR1014663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87762B2 (en) 2019-07-19 2020-09-29 Lg Electronics Inc.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383B1 (ko) * 2010-01-22 2015-07-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JP4992998B2 (ja) * 2010-06-22 2012-08-08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同装置の騒音防止方法及び騒音防止プログラム
USD684740S1 (en) 2011-09-02 2013-06-18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aete Gmbh Control panel of washing and/or drying machine
KR101888426B1 (ko) * 2011-10-18 2018-08-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노이즈 제거회로를 이용한 표시장치 및 비디오 시스템
KR101880082B1 (ko) * 2012-03-27 2018-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US10424292B1 (en) * 2013-03-14 2019-09-24 Amazon Technologies, Inc. System for recognizing and responding to environmental noises
DE102014111830A1 (de) * 2014-08-19 2016-03-17 Miele & Cie. K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instellen der Lautstärke eines Signaltons zum Signalisieren eines Zustands eines Haushaltsgeräts und Haushaltsgerät
WO2016073254A1 (en) 2014-11-03 2016-05-12 Emerson Electric Co. Food waste disposer noise reduction using active noise control
TR201615941A1 (tr) 2016-11-08 2018-05-21 Arcelik As Bi̇r ses maskeleme yöntemi̇ ve kullanildiği ses maskeleme ci̇hazi
TR201701638A2 (tr) 2017-02-03 2018-08-27 Arcelik As Bi̇r ses kaynaği i̇çeren bi̇r ev ci̇hazi
KR102497295B1 (ko) * 2018-03-23 2023-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20190108532A (ko) 2019-09-04 2019-09-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건조기 내의 이물질 감지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13944035A (zh) * 2020-07-16 2022-01-18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洗衣机的控制方法、装置、洗衣机、及存储介质
CN112509592B (zh) * 2020-11-18 2024-01-30 广东美的白色家电技术创新中心有限公司 电器设备、噪音处理方法和可读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8031A (ko) * 1994-11-14 1996-06-17 배순훈 세탁기의 소음감지방법
KR970006623A (ko) * 1995-07-28 1997-02-21 배순훈 세탁기의 능동소음제어장치
KR20020064072A (ko) * 2001-01-31 2002-08-07 엘지전자주식회사 주파수감지센서가 구비된 세탁기
KR100807955B1 (ko) * 2000-11-15 2008-02-28 베에스하 보쉬 운트 지멘스 하우스게랫테 게엠베하 개선된 소음패턴을 가지는 가전제품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85917B2 (ja) * 1989-08-31 1997-12-08 株式会社東芝 消音装置
US6654467B1 (en) * 1997-05-07 2003-11-25 Stanley J. York Active noise cancella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0734381B1 (ko) * 2000-11-24 2007-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음향 제어방법
US6742208B2 (en) * 2001-08-24 2004-06-01 Maytag Corporation Clothes washing machine incorporating noise reduction system
JP2005121639A (ja) * 2003-09-22 2005-05-12 Omron Corp 検査方法および検査装置ならびに設備診断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8031A (ko) * 1994-11-14 1996-06-17 배순훈 세탁기의 소음감지방법
KR970006623A (ko) * 1995-07-28 1997-02-21 배순훈 세탁기의 능동소음제어장치
KR100807955B1 (ko) * 2000-11-15 2008-02-28 베에스하 보쉬 운트 지멘스 하우스게랫테 게엠베하 개선된 소음패턴을 가지는 가전제품
KR20020064072A (ko) * 2001-01-31 2002-08-07 엘지전자주식회사 주파수감지센서가 구비된 세탁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87762B2 (en) 2019-07-19 2020-09-29 Lg Electronics Inc.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282874A1 (en) 2009-11-19
KR20090119509A (ko) 2009-11-19
US8561437B2 (en) 2013-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6336B1 (ko) 세탁기 및 그 음향제어방법
US10978067B2 (en)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by voice recognition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KR101999701B1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175295B1 (ko) 가전제품 및 가전제품 제어방법
CA2671219A1 (en) Complex wash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102428212B1 (ko)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370894B1 (ko) 복합 세탁장치
CN111850959A (zh) 洗衣设备、用于洗衣设备的用户接口系统和用于设备的门组件
CA2391068C (en) Suds detection and display system for an automatic washing machine
KR20150028006A (ko) 세탁기
JP2009100985A (ja) 洗濯機
JP6151094B2 (ja) 洗濯機
JP2011156244A (ja) 洗濯機、洗濯機の操作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20120365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N109972346B (zh) 衣物处理装置及其控制方法
JPH04325193A (ja) 洗濯機
KR20100023316A (ko)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3132289A (zh) 具有音频播放功能的洗衣机
JP2002355486A (ja) 洗濯機
JP2007143630A (ja) 振動検出装置、アンバランス検出装置及び洗濯機
KR100741810B1 (ko) 주파수감지센서가 구비된 세탁기
KR20210009247A (ko) 음성 인식 기능을 구비한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 방법
KR20210100200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온라인 시스템
KR20200095725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온라인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1320671B1 (ko) 페데스탈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