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0652A - 연식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연식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0652A
KR20090090652A KR1020080015997A KR20080015997A KR20090090652A KR 20090090652 A KR20090090652 A KR 20090090652A KR 1020080015997 A KR1020080015997 A KR 1020080015997A KR 20080015997 A KR20080015997 A KR 20080015997A KR 20090090652 A KR20090090652 A KR 200900906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zyme
lotus
barley
lotus leaf
fil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5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3600B1 (ko
Inventor
김성두
박정호
김명우
박복희
조희숙
전은례
Original Assignee
(주)다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연 filed Critical (주)다연
Priority to KR1020080015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3600B1/ko
Publication of KR20090090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0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3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3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70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 A23L2/72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by fil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6Amino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국 고유의 음료인 식혜의 제조시 비타민, 식이섬유 및 아미노산이 포함되는 연잎차 또는 연꽃분말을 첨가함으로써 식혜고유의 맛을 높임과 동시에 연잎차의 은은하고 부드러운 맛과 색이 살아있는 연식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연식혜의 제조방법은 겉보리를 건조한 후 분쇄하는 분쇄단계와, 상기 분쇄단계에서 분쇄된 겉보리를 식수가 충전된 추출탱크에 투입한 후 단계적으로 가열하여 효소를 용해시켜 효소물을 생성시키는 추출단계와, 상기 추출단계에서 생성된 효소물을 여과탱크로 이송하여 식수를 투입하면서 불순물을 걸러내는 여과단계와, 상기 여과단계에서 불순물이 여과된 효소물을 당화조로 이송하여 지에밥을 투입한 후 숙성하며, 밥알이 수면 위로 떠오를 때 부유되는 부유밥알을 걷어낸 다음 설탕을 첨가하여 당도를 조절하는 침전단계와, 상기 침전단계에서 당도가 조절된 효소물에 연잎차을 투입하여 침출시키는 침출단계와, 상기 침출단계에서 연잎차가 침출된 효소물을 당화조로 이송하여 가열하는 가열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식혜, 연잎차, 연꽃분말, 분쇄, 추출, 여과, 침전, 침출, 가열

Description

연식혜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LOTUS SIK-HAE}
본 발명은 연식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국 고유의 음료인 식혜의 제조시 비타민, 식이섬유 및 아미노산이 포함되는 연잎차 또는 연꽃분말을 첨가함으로써 식혜고유의 맛을 높임과 동시에 연잎차의 은은하고 부드러운 맛과 색이 살아있는 연식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혜(食醯)란 찹쌀을 쪄서 엿기름물을 붓고 삭힌 다음 밥알은 냉수에 헹구어 건져 놓고, 그 물에 설탕과 생강을 넣고 끓여 식힌 다음 밥알을 띄워 만든 한국 고유의 음료를 말하는 것으로 단술 또는 감주(甘酒)라고도 한다.
또한 연꽃은 아시아 남부와 오스트레일리아 북부가 원산인인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수련과의 여러해살이 수초로서, 진흙 속에서 자라면서도 청결하고 고귀해 여러 나라 사람들에게 친근감을 주어 온 식물이다. 또한 연못에서 자라고 논밭에서 재배하기도 하는데, 뿌리줄기는 굵고 옆으로 뻗어가며 마디가 많고 가을에는 특히 끝부분이 굵어진다.
잎은 뿌리줄기에서 나와서 높이 1∼2m로 자란 잎자루 끝에 달리고 둥근 형태를 갖고 있으며, 그 지름이 40cm 내외로서 물에 젖지 않으며 잎맥이 방사상으로 퍼지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자루는 겉에 가시가 있고 안에 있는 구멍은 땅속줄기의 구멍과 통한다.
꽃은 7∼8월에 피고 홍색 또는 백색이며 꽃줄기 끝에 1개씩 달리고 지름 15∼20cm이며 꽃줄기에 가시가 있고, 꽃잎은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며 수술은 여러 개이다. 꽃턱은 크고 편평하며 지름 10cm 정도이고 열매는 견과인데, 종자가 꽃턱의 구멍에 들어 있으며, 종자의 수명은 길고 2천 년 묵은 종자가 발아한 예가 있다. 품종은 일반적으로 대륜·중륜·소륜으로 나눈다.
그러나 식혜의 경우 텁텁한 엿기름 맛에 대한 신세대들의 외면과 대추, 생강 및 향신료 등 첨가물에 대한 깔끔한 뒷맛 부족 등으로 인해 대중적으로 널리 사랑받는 음료가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한국 고유의 음료인 식혜의 제조시 비타민, 식이섬유 및 아미노산이 포함되는 연잎차 또는 연꽃분말을 첨가함으로써 식혜고유의 맛을 높임과 동시에 연잎차의 은은하고 부드러운 맛과 색이 살아있는 연식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겉보리를 건조한 후 분쇄하는 분쇄단계와, 상기 분쇄단계에서 분쇄된 겉보리를 식수가 충전된 추출탱크에 투입한 후 단계적으로 가열하여 효소를 용해시켜 효소물을 생성시키는 추출단계와, 상기 추출단계에서 생성된 효소물을 여과탱크로 이송하여 식수를 투입하면서 불순물을 걸러내는 여과단계와, 상기 여과단계에서 불순물이 여과된 효소물을 당화조로 이송하여 지에밥을 투입한 후 숙성하며, 밥알이 수면 위로 떠오를 때 부유되는 부유밥알을 걷어낸 다음 설탕을 첨가하여 당도를 조절하는 침전단계와, 상기 침전단계에서 당도가 조절된 효소물에 연잎차을 투입하여 침출시키는 침출단계와, 상기 침출단계에서 연잎차가 침출된 효소물을 당화조로 이송하여 가열하는 가열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식혜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분쇄단계는 15℃ 내지 25℃의 온도에서 8일 내지 10일간 발효시킨 겉보리의 맥아잎눈이 1.2cm 내지 2.0cm가 될 때 건조한 후 분쇄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추출단계는 추출탱크 내에 95리터 내지 105리터의 식수를 충전한 다음 가열하여 50℃ 내지 53℃가 되는 시점에서 상기 분쇄단계에서 분쇄된 겉보리 4.0kg 내지 4.5kg을 투입한 다음, 다시 60℃ 내지 63℃가 되는 시점까지 가열한 다음 25분 내지 30분간 침출하여 분쇄된 겉보리에 함유된 알파-아밀라아제 효소를 용해시키고, 다시 67℃ 내지 70℃가 되는 시점까지 가열한 다음 40분 내지 45분간 침출하여 분쇄된 겉보리에 함유된 베타-아밀라아제 효소를 용해시키며, 다시 77℃ 내지 80℃가 되는 시점까지 가열하여 분쇄된 겉보리에 함유된 글루코오스-아밀라아제 효소를 용해시킨 다음, 요오드 적정법을 통해 효소물의 색상이 자색을 띄면 상기 여과단계를 위해 여과기로 이송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여과단계는 75℃ 내지 85℃의 온도로 유지되는 여과탱크 내에서 75℃ 내지 85℃ 식수를 1회당 20리터 내지 25리터씩 3회에 걸쳐 투입하여 겉보리와 잡티 및 맥아전분을 걸러내며, 여과가 완료된 후에는 필터기를 작동하면서 상기 침전단계를 위해 당화조로 이송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침전단계는 효소물이 이송된 당화조 내에 지에밥을 투입한 후 75℃ 내지 85℃의 온도로 3시간 내지 5시간 숙성하여 효소물 내의 효소를 통해 다당류인 지에밥을 단당류로 발효시키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침출단계에서 투입되는 연잎차는, 냉동 저장된 연잎을 해동하는 해동단계와, 상기 해동단계에서 해동된 연잎을 절단하는 절단단계와, 상기 절단단계에서 절단된 연잎을 증기로 쪄내는 증제단계와, 상기 증제단계에서 쪄진 연잎을 냉풍을 통해 통기시키는 통기단계와, 상기 통기단계에서 통기된 연잎에 열풍을 공급하며 교반하는 조유단계와, 상기 조유단계에서 조유된 연잎을 비벼내는 1차 유념단계와, 상기 1차 유념단계에서 비벼진 연잎에 열풍을 공급하며 교반하는 중유단계와, 상기 중유단계에서 중유된 연잎을 비벼내는 2차 유념단계와, 상기 2차 유념단계에서 비벼진 연잎에 열풍을 공급하며 교반하는 재건단계와, 상기 재건단계에서 재건된 연잎을 열풍으로 건조하는 자동건조단계와, 상기 자동건조단계에서 건조된 연잎을 체망을 이용해 형상 및 크기별로 선별하는 선별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방법에 의해 제조되며, 제조된 연잎차 4kg 내지 5kg을 보자기 내에 수용한 후 효소물 내에서 15분 내지 20분간 침출시키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가열단계는 당화조 내에서 상기 침천단계에서 걷어진 부유밥알과 함께 90℃ 내지 100℃의 온도로 8분 내지 10분간 가열하는 것으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겉보리를 건조한 후 분쇄하는 분쇄단계와, 상기 분쇄단계에서 분쇄된 겉보리를 식수가 충전된 추출탱크에 투입한 후 단계적으로 가열하여 효소를 용해시켜 효소물을 생성시키는 추출단계와, 상기 추출단계에서 생 성된 효소물을 여과탱크로 이송하여 식수를 투입하면서 불순물을 걸러내는 여과단계와, 상기 여과단계에서 불순물이 여과된 효소물을 당화조로 이송하여 지에밥을 투입한 후 숙성하며, 밥알이 수면 위로 떠오를 때 부유되는 부유밥알을 걷어낸 다음 설탕을 첨가하여 당도를 조절하는 침전단계와, 상기 침전단계에서 당도가 조절된 효소물에 연꽃분말을 투입하여 침출시키는 침출단계와, 상기 침출단계에서 연잎차가 침출된 효소물을 당화조로 이송하여 가열하는 가열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식혜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분쇄단계는 15℃ 내지 25℃의 온도에서 8일 내지 10일간 발효시킨 겉보리의 맥아잎눈이 1.2cm 내지 2.0cm가 될 때 건조한 후 분쇄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추출단계는 추출탱크 내에 95리터 내지 105리터의 식수를 충전한 다음 가열하여 50℃ 내지 53℃가 되는 시점에서 상기 분쇄단계에서 분쇄된 겉보리 4.0kg 내지 4.5kg을 투입한 다음, 다시 60℃ 내지 63℃가 되는 시점까지 가열한 다음 25분 내지 30분간 침출하여 분쇄된 겉보리에 함유된 알파-아밀라아제 효소를 용해시키고, 다시 67℃ 내지 70℃가 되는 시점까지 가열한 다음 40분 내지 45분간 침출하여 분쇄된 겉보리에 함유된 베타-아밀라아제 효소를 용해시키며, 다시 77℃ 내지 80℃가 되는 시점까지 가열하여 분쇄된 겉보리에 함유된 글루코오스-아밀라아제 효소를 용해시킨 다음, 요오드 적정법을 통해 효소물의 색상이 자색을 띄면 상기 여과단계를 위해 여과기로 이송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여과단계는 75℃ 내지 85℃의 온도로 유지되는 여과탱크 내에서 75℃ 내지 85℃ 식수를 1회당 20리터 내지 25리터씩 3회에 걸쳐 투입하여 겉보리와 잡티 및 맥아전분을 걸러내며, 여과가 완료된 후에는 필터기를 작동하면서 상기 침전단계를 위해 당화조로 이송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침전단계는 효소물이 이송된 당화조 내에 지에밥을 투입한 후 75℃ 내지 85℃의 온도로 3시간 내지 5시간 숙성하여 효소물 내의 효소를 통해 다당류인 지에밥을 단당류로 발효시키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침출단계에서 투입되는 연꽃분말은, 연꽃을 채취하여 냉동 저장하는 숙성단계와, 상기 숙성단계에서 냉동 숙성된 연꽃을 선별하는 선별단계와, 상기 선별단계에서 선별된 연꽃을 해동하는 해동단계와, 상기 해동단계에서 해동된 연꽃을 절단하는 절단단계와, 상기 절단단계에서 절단된 연꽃에 열풍을 공급하며 교반하는 중유단계와, 상기 중유단계에서 중유된 연꽃에 열풍을 공급하며 교반하는 재건단계와, 상기 재건단계에서 재건된 연꽃을 열풍으로 건조하는 건조단계와, 상기 건조단계에서 건조된 연꽃을 분말화하는 분쇄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방법에 의해 제조되며, 제조된 연꽃분말 4kg 내지 5kg을 보자기 내에 수용한 후 효소물 내에서 15분 내지 20분간 침출시키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가열단계는 당화조 내에서 상기 침천단계에서 걷어진 부유밥알과 함께 90℃ 내지 100℃의 온도로 8분 내지 10분간 가열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한국 고유의 음료인 식혜의 제조시 비타민, 식이섬유 및 아미노산이 포함되는 연잎차 또는 연꽃분말을 첨가함으로써 식혜고유의 맛을 높임과 동시에 연잎차의 은은하고 부드러운 맛과 색이 살아있는 연식혜의 제조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식혜의 제조방법에 대한 순서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연식혜의 제조방법은 겉보리를 건조한 후 분쇄하는 분쇄단계(S100)와, 분쇄단계(S100)에서 분쇄된 겉보리를 식수가 충전된 추출탱크에 투입한 후 단계적으로 가열하여 효소를 용해시켜 효소물을 생성시키는 추출단계(S110)와, 추출단계(S110)에서 생성된 효소물을 여과탱크로 이송하여 식수를 투입하면서 불순물을 걸러내는 여과단계(S120)와, 여과단계(S120)에서 불순물이 여과된 효소물을 당화조로 이송하여 지에밥을 투입한 후 숙성하며, 밥알이 수면 위로 떠오를 때 부유되는 부유밥알을 걷어낸 다음 설탕을 첨가하여 당도를 조절 하는 침전단계(S130)와, 침전단계(S130)에서 당도가 조절된 효소물에 연잎차을 투입하여 침출시키는 침출단계(S140)와, 침출단계(S140)에서 연잎차가 침출된 효소물을 당화조로 이송하여 가열하는 가열단계(S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분쇄단계(S100)는, 추후에 설명될 추출단계(S110)에서 효소물을 생성하기 위해 겉보리를 분쇄하는 단계이다.
이를 위해 15℃ 내지 25℃ 온도 발효기 내에서 8일 내지 10일간 발효시킨 겉보리의 맥아잎눈이 1.2cm 내지 2.0cm가 될 때 건조한 후 분쇄기에 투입하여 분쇄한다.
전술한 분쇄단계(S100)에서 분쇄된 겉보리는 추출단계(S110)가 진행되는데, 이 추출단계(S110)에서는 겉보리에 함유된 효소를 용해시킴으로써 효소물을 생성시킨다.
이를 위해 분쇄된 겉보리를 식수가 충전된 추출탱크에 투입한 후 단계적으로 가열하여 효소를 용해시킨다.
즉, 추출탱크 내에 95리터 내지 105리터의 식수를 충전한 다음 가열하여 50℃ 내지 53℃가 되는 시점에서 상기 분쇄단계(S100)에서 분쇄된 겉보리 4.0kg 내지 4.5kg을 투입한다.
그런 다음, 다시 60℃ 내지 63℃가 되는 시점까지 가열한 다음 25분 내지 30분간 침출하여 분쇄된 겉보리에 함유된 알파-아밀라아제 효소를 용해시키고, 다시 67℃ 내지 70℃가 되는 시점까지 가열한 다음 40분 내지 45분간 침출하여 분쇄된 겉보리에 함유된 베타-아밀라아제 효소를 용해시킨다.
그럼 다음, 다시 77℃ 내지 80℃가 되는 시점까지 가열하여 분쇄된 겉보리에 함유된 글루코오스-아밀라아제 효소를 용해시킨 다음, 요오드 적정법을 통해 효소물의 색상이 자색을 띄면 추후에 설명될 여과단계(S120)를 위해 여과기로 이송된다.
이때, 요오드 적정법은 요오드의 표준 용액을 이용하는 산화 적정법과, 반응에 의하여 유리되는 요오드를 티오황산나트륨 표준 용액을 써서 환원 적정 하는 종래기술에 따른 요오드 적정법과 동일한 것으로 하여,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추출단계(S110)에서 추출된 효소물은 여과단계(S120)가 진행되는데, 이 여과단계(S120)에서는 겉보리, 잡티 및 맥아전분과 같은 불순물을 걸러내어 제거한다.
이를 위해, 전술한 추출단계(S110)에서 생성된 효소물을 여과탱크로 이송하여 식수를 투입하면서 불순물을 걸러낸다.
즉, 75℃ 내지 85℃의 온도로 유지되는 여과탱크 내에서 75℃ 내지 85℃ 식수를 1회당 20리터 내지 25리터씩 3회에 걸쳐 투입하여 겉보리와 잡티 및 맥아전분을 걸러내며, 여과가 완료된 후에는 효소물 내에 잡티가 발생되지 않도록 필터기를 작동하면서 침전단계(S130)를 위해 당화조로 이송한다.
전술한 여과단계(S120)에서 여과된 효소물은 침전단계(S130)가 진행되는데, 이 침전단계(S130)에서는 효소물의 숙성 및 당도를 조절하게 된다.
이를 위해 불순물이 여과된 효소물을 당화조로 이송하여 지에밥을 투입한 후 숙성하며, 밥알이 수면 위로 떠오를 때 부유되는 부유밥알을 걷어낸 다음 설탕을 첨가하여 당도를 조절하게 된다.
즉, 효소물이 이송된 당화조 내에 지에밥을 투입한 후 75℃ 내지 85℃의 온도로 3시간 내지 5시간 숙성하여 효소물 내의 효소를 통해 다당류인 지에밥을 단당류로 발효시키게 되다.
전술한 침전단계(S130)에서 침전된 효소물은 침출단계(S140)가 진행되는데, 이 침출단계(S140)에서는 효소물 내에 연잎차를 침출시킨다.
이때, 침출단계(S140)에서 투입되는 연잎차는, 냉동 저장된 연잎을 해동하는 해동단계(S140-1)와, 해동단계(S140-1)에서 해동된 연잎을 절단하는 절단단계(S140-2)와, 절단단계(S140-2)에서 절단된 연잎을 증기로 쪄내는 증제단계(S140-3)와, 증제단계(S140-3)에서 쪄진 연잎을 냉풍을 통해 통기시키는 통기단계(S140-4)와, 통기단계(S140-4)에서 통기된 연잎에 열풍을 공급하며 교반하는 조유단계(S140-5)와, 조유단계(S140-5)에서 조유된 연잎을 비벼내는 1차 유념단계(S140-6)와, 1차 유념단계(S140-6)에서 비벼진 연잎에 열풍을 공급하며 교반하는 중유단계(S140-7)와, 중유단계(S140-7)에서 중유된 연잎을 비벼내는 2차 유념단계(S140-8)와, 2차 유념단계(S140-8)에서 비벼진 연잎에 열풍을 공급하며 교반하는 재건단계(S140-9)와, 재건단계(S140-9)에서 재건된 연잎을 열풍으로 건조하는 자동건조단계(S140-10)와, 자동건조단계(S140-10)에서 건조된 연잎을 체망을 이용해 형상 및 크기별로 선별하는 선별단계(S140-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또한, 제조된 연잎차 4kg 내지 5kg을 보자기 내에 수용한 후 효소물 내에서 15분 내지 20분간 침출시킨다.
전술한 침출단계(S140)에서 연잎차가 침출된 효소물은 가열단계(S150)가 진행되는데, 이 가열단계(S150)에서는 전술한 침천단계에서 걷어진 부유밥알과 함께 90℃ 내지 100℃의 온도로 8분 내지 10분간 가열하여 연잎차의 영양성분이 포함된 식혜를 완성하게 된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연식혜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15℃ 온도 발효기 내에서 10일간 발효시킨 겉보리의 맥아잎눈이 1.5cm가 될 때 건조한 후 분쇄기에 투입하여 분쇄한다.
그런 다음, 추출탱크 내에 100리터의 식수를 충전한 다음 가열하여 50℃가 되는 시점에서 분쇄된 겉보리 4.5kg을 투입한다.
그런 다음, 다시 62℃가 되는 시점까지 가열한 다음 30분간 침출하여 분쇄된 겉보리에 함유된 알파-아밀라아제 효소를 용해시키고, 다시 68℃가 되는 시점까지 가열한 다음 45분간 침출하여 분쇄된 겉보리에 함유된 베타-아밀라아제 효소를 용해시킨다.
그럼 다음, 다시 78℃가 되는 시점까지 가열하여 분쇄된 겉보리에 함유된 글루코오스-아밀라아제 효소를 용해시킨 다음, 요오드 적정법을 통해 효소물의 색상이 자색을 띄면 추후에 설명될 여과단계(S120)를 위해 여과기로 이송한다.
그런 다음, 80℃의 온도로 유지되는 여과탱크 내에서 80℃ 식수를 1회당 20리터씩 3회에 걸쳐 투입하여 겉보리와 잡티 및 맥아전분을 걸러내며, 여과가 완료된 후에는 효소물 내에 잡티가 발생되지 않도록 필터기를 작동하면서 침전단계(S130)를 위해 당화조로 이송한다.
그런 다음, 효소물이 이송된 당화조 내에 지에밥을 투입한 후 80℃의 온도로 4시간 숙성하여 효소물 내의 효소를 통해 다당류인 지에밥을 단당류로 발효시킨다.
그런 다음, 냉동 저장된 연잎을 해동하는 해동단계와, 해동단계에서 해동된 연잎을 절단하는 절단단계와, 절단단계에서 절단된 연잎을 증기로 쪄내는 증제단계와, 증제단계에서 쪄진 연잎을 냉풍을 통해 통기시키는 통기단계와, 통기단계에서 통기된 연잎에 열풍을 공급하며 교반하는 조유단계와, 조유단계에서 조유된 연잎을 비벼내는 1차 유념단계와, 1차 유념단계에서 비벼진 연잎에 열풍을 공급하며 교반하는 중유단계와, 중유단계에서 중유된 연잎을 비벼내는 2차 유념단계와, 2차 유념단계에서 비벼진 연잎에 열풍을 공급하며 교반하는 재건단계와, 재건단계에서 재건된 연잎을 열풍으로 건조하는 자동건조단계와, 자동건조단계에서 건조된 연잎을 체망을 이용해 형상 및 크기별로 선별하는 선별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방법에 의해 연잎차를 제조하고, 이렇게 제조된 연잎차 4kg을 보자기 내에 수용한 후 효소물 내에서 20분간 침출시킨다.
그런 다음, 전술한 침천단계에서 걷어진 부유밥알과 함께 100℃의 온도로 10분간 가열하여 연잎차의 영양성분이 포함된 식혜를 완성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식혜의 제조방법에 대한 순서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식혜의 제조방법은, 겉보리를 건조한 후 분쇄하는 분쇄단계(S200)와, 분쇄단계(S200)에서 분쇄된 겉보리를 식수가 충전된 추출탱크에 투입한 후 단계적으로 가열하여 효소를 용해시켜 효소물을 생성시키는 추출단계(S210)와, 추출단계(S210)에서 생성된 효소물을 여과탱크로 이송하여 식수를 투입하면서 불순물을 걸러내는 여과단계(S220)와, 여과단계(S220)에서 불순물이 여과된 효소물을 당화조로 이송하여 지에밥을 투입한 후 숙성하며, 밥알이 수면 위로 떠오를 때 부유되는 부유밥알을 걷어낸 다음 설탕을 첨가하여 당도를 조절하는 침전단계(S230)와, 침전단계(S230)에서 당도가 조절된 효소물에 연꽃분말을 투입하여 침출시키는 침출단계(S240)와, 침출단계(S240)에서 연잎차가 침출된 효소물을 당화조로 이송하여 가열하는 가열단계(S250)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식혜의 제조방법은, 침출단계에서 연잎차 대산 연꽃분말이 투입된다는 점과, 이러한 연꽃분말이 연꽃을 채취하여 냉동 저장하는 숙성단계(S240-1)와, 숙성단계(S240-1)에서 냉동 숙성된 연꽃을 선별하는 선별단계(S240-2)와, 선별단계(S240-2)에서 선별된 연꽃을 해동하는 해동단계(S240-3)와, 해동단계(S240-3)에서 해동된 연꽃을 절단하는 절단단계(S240-4)와, 절단단계(S240-4)에서 절단된 연꽃에 열풍을 공급하며 교반하는 중유단계(S240-5)와, 중유단계(S240-5)에서 중유된 연꽃에 열풍을 공급하며 교반하는 재건단계(S240-6)와, 재건단계(S240-6)에서 재건된 연꽃을 열풍으로 건조하는 건조단계(S240-7)와, 건조단계(S240-7)에서 건조된 연꽃을 분말화하는 분쇄단계(S240-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 각각의 구성물질 및 제조방법은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다른 연식혜의 제조방법과 동일유사하여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충분히 유추될 수 있으므로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식혜의 제조방법에 대한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식혜의 제조방법에 대한 순서도.

Claims (14)

  1. 겉보리를 건조한 후 분쇄하는 분쇄단계(S100);
    상기 분쇄단계에서 분쇄된 겉보리를 식수가 충전된 추출탱크에 투입한 후 단계적으로 가열하여 효소를 용해시켜 효소물을 생성시키는 추출단계(S110);
    상기 추출단계에서 생성된 효소물을 여과탱크로 이송하여 식수를 투입하면서 불순물을 걸러내는 여과단계(S120);
    상기 여과단계에서 불순물이 여과된 효소물을 당화조로 이송하여 지에밥을 투입한 후 숙성하며, 밥알이 수면 위로 떠오를 때 부유되는 부유밥알을 걷어낸 다음 설탕을 첨가하여 당도를 조절하는 침전단계(S130);
    상기 침전단계에서 당도가 조절된 효소물에 연잎차을 투입하여 침출시키는 침출단계(S140); 및
    상기 침출단계에서 연잎차가 침출된 효소물을 당화조로 이송하여 가열하는 가열단계(S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식혜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쇄단계는 15℃ 내지 25℃의 온도에서 8일 내지 10일간 발효시킨 겉보리의 맥아잎눈이 1.2cm 내지 2.0cm가 될 때 건조한 후 분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식혜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출단계는 추출탱크 내에 95리터 내지 105리터의 식수를 충전한 다음 가열하여 50℃ 내지 53℃가 되는 시점에서 상기 분쇄단계에서 분쇄된 겉보리 4.0kg 내지 4.5kg을 투입한 다음, 다시 60℃ 내지 63℃가 되는 시점까지 가열한 다음 25분 내지 30분간 침출하여 분쇄된 겉보리에 함유된 알파-아밀라아제 효소를 용해시키고, 다시 67℃ 내지 70℃가 되는 시점까지 가열한 다음 40분 내지 45분간 침출하여 분쇄된 겉보리에 함유된 베타-아밀라아제 효소를 용해시키며, 다시 77℃ 내지 80℃가 되는 시점까지 가열하여 분쇄된 겉보리에 함유된 글루코오스-아밀라아제 효소를 용해시킨 다음, 요오드 적정법을 통해 효소물의 색상이 자색을 띄면 상기 여과단계를 위해 여과기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식혜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여과단계는 75℃ 내지 85℃의 온도로 유지되는 여과탱크 내에서 75℃ 내지 85℃ 식수를 1회당 20리터 내지 25리터씩 3회에 걸쳐 투입하여 겉보리와 잡티 및 맥아전분을 걸러내며, 여과가 완료된 후에는 필터기를 작동하면서 상기 침전단계를 위해 당화조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식혜의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침전단계는 효소물이 이송된 당화조 내에 지에밥을 투입한 후 75℃ 내지 85℃의 온도로 3시간 내지 5시간 숙성하여 효소물 내의 효소를 통해 다당류인 지에밥을 단당류로 발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식혜의 제조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침출단계(S500)에서 투입되는 연잎차는,
    냉동 저장된 연잎을 해동하는 해동단계(S140-1);
    상기 해동단계에서 해동된 연잎을 절단하는 절단단계(S140-2);
    상기 절단단계에서 절단된 연잎을 증기로 쪄내는 증제단계(S140-3);
    상기 증제단계에서 쪄진 연잎을 냉풍을 통해 통기시 키는 통기단계(S140-4);
    상기 통기단계에서 통기된 연잎에 열풍을 공급하며 교반하는 조유단계(S140-5);
    상기 조유단계에서 조유된 연잎을 비벼내는 1차 유념단계(S140-6);
    상기 1차 유념단계에서 비벼진 연잎에 열풍을 공급하며 교반하는 중유단계(S140-7);
    상기 중유단계에서 중유된 연잎을 비벼내는 2차 유념단계(S140-8);
    상기 2차 유념단계에서 비벼진 연잎에 열풍을 공급하며 교반하는 재건단 계(S140-9);
    상기 재건단계에서 재건된 연잎을 열풍으로 건조하는 자동건조단계(S140-10); 및
    상기 자동건조단계에서 건조된 연잎을 체망을 이용해 형상 및 크기별로 선별하는 선별단계(S140-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방법에 의해 제조되며, 제조된 연잎차 4kg 내지 5kg을 보자기 내에 수용한 후 효소물 내에서 15분 내지 20분간 침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식혜의 제조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열단계는 당화조 내에서 상기 침천단계에서 걷어진 부유밥알과 함께 90℃ 내지 100℃의 온도로 8분 내지 10분간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식혜의 제조방법.
  8. 겉보리를 건조한 후 분쇄하는 분쇄단계(S200);
    상기 분쇄단계에서 분쇄된 겉보리를 식수가 충전된 추출탱크에 투입한 후 단계적으로 가열하여 효소를 용해시켜 효소물을 생성시키는 추출단계(S210);
    상기 추출단계에서 생성된 효소물을 여과탱크로 이송하여 식수를 투입하면서 불순물을 걸러내는 여과단계(S220);
    상기 여과단계에서 불순물이 여과된 효소물을 당화조로 이송하여 지에밥을 투입한 후 숙성하며, 밥알이 수면 위로 떠오를 때 부유되는 부유밥알을 걷어낸 다음 설탕을 첨가하여 당도를 조절하는 침전단계(S230);
    상기 침전단계에서 당도가 조절된 효소물에 연꽃분말을 투입하여 침출시키는 침출단계(S240); 및
    상기 침출단계에서 연잎차가 침출된 효소물을 당화조로 이송하여 가열하는 가열단계(S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식혜의 제조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분쇄단계는 15℃ 내지 25℃의 온도에서 8일 내지 10일간 발효시킨 겉보리의 맥아잎눈이 1.2cm 내지 2.0cm가 될 때 건조한 후 분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식혜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추출단계는 추출탱크 내에 95리터 내지 105리터의 식수를 충전한 다음 가열하여 50℃ 내지 53℃가 되는 시점에서 상기 분쇄단계에서 분쇄된 겉보리 4.0kg 내지 4.5kg을 투입한 다음, 다시 60℃ 내지 63℃가 되는 시점까지 가열한 다음 25분 내지 30분간 침출하여 분쇄된 겉보리에 함유된 알파-아밀라아제 효소를 용해시 키고, 다시 67℃ 내지 70℃가 되는 시점까지 가열한 다음 40분 내지 45분간 침출하여 분쇄된 겉보리에 함유된 베타-아밀라아제 효소를 용해시키며, 다시 77℃ 내지 80℃가 되는 시점까지 가열하여 분쇄된 겉보리에 함유된 글루코오스-아밀라아제 효소를 용해시킨 다음, 요오드 적정법을 통해 효소물의 색상이 자색을 띄면 상기 여과단계를 위해 여과기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식혜의 제조방법.계를 위해 여과기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식혜의 제조방법.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여과단계는 75℃ 내지 85℃의 온도로 유지되는 여과탱크 내에서 75℃ 내지 85℃의 식수를 1회당 20리터 내지 25리터씩 3회에 걸쳐 투입하여 겉보리와 잡티 및 맥아전분을 걸러내며, 여과가 완료된 후에는 필터기를 작동하면서 상기 침전단계를 위해 당화조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식혜의 제조방법.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침전단계는 효소물이 이송된 당화조 내에 지에밥을 투입한 후 75℃ 내지 85℃의 온도로 3시간 내지 5시간 숙성하여 효소물 내의 효소를 통해 다당류인 지에밥을 단당류로 발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식혜의 제조방법.
  13.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침출단계(S240)에서 투입되는 연꽃분말은,
    연꽃을 채취하여 냉동 저장하는 숙성단계(S240-1);
    상기 숙성단계에서 냉동 숙성된 연꽃을 선별하는 선별단계(S240-2);
    상기 선별단계에서 선별된 연꽃을 해동하는 해동단계(S240-3);
    상기 해동단계에서 해동된 연꽃을 절단하는 절단단계(S240-4);
    상기 절단단계에서 절단된 연꽃에 열풍을 공급하며 교반하는 중유단계(S240-5);
    상기 중유단계에서 중유된 연꽃에 열풍을 공급하며 교반하는 재건단계(S240-6);
    상기 재건단계에서 재건된 연꽃을 열풍으로 건조하는 건조단계(S240-7); 및
    상기 건조단계에서 건조된 연꽃을 분말화하는 분쇄단계(S240-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방법에 의해 제조되며, 제조된 연꽃분말 4kg 내지 5kg을 보자기 내에 수용한 후 효소물 내에서 15분 내지 20분간 침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식혜의 제조방법.
  14.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가열단계는 당화조 내에서 상기 침천단계에서 걷어진 부유밥알과 함께 90℃ 내지 100℃의 온도로 8분 내지 10분간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식혜의 제조방법.
KR1020080015997A 2008-02-21 2008-02-21 연식혜의 제조방법 KR100983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5997A KR100983600B1 (ko) 2008-02-21 2008-02-21 연식혜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5997A KR100983600B1 (ko) 2008-02-21 2008-02-21 연식혜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0652A true KR20090090652A (ko) 2009-08-26
KR100983600B1 KR100983600B1 (ko) 2010-09-27

Family

ID=41208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5997A KR100983600B1 (ko) 2008-02-21 2008-02-21 연식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36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23915A (zh) * 2012-09-21 2012-12-19 赵守丽 一种功能饮料
CN103355725A (zh) * 2013-07-17 2013-10-23 西藏青稞研究与发展中心 一种青稞露饮品加工工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9806B1 (ko) 2019-11-12 2021-12-14 이경자 팥 식혜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1576A (ko) * 2000-09-15 2002-03-21 최정란 비타민 식혜(食醯)
KR100538612B1 (ko) * 2002-12-09 2005-12-22 주식회사 바이오굴바라 연을 이용한 티백 및 그 티백의 제조방법
KR100583088B1 (ko) * 2004-06-16 2006-05-23 (주)명설차 연잎차를 함유하는 연냉면 제조방법
KR20060055725A (ko) * 2004-11-19 2006-05-24 유선희 다이어트 식혜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23915A (zh) * 2012-09-21 2012-12-19 赵守丽 一种功能饮料
CN103355725A (zh) * 2013-07-17 2013-10-23 西藏青稞研究与发展中心 一种青稞露饮品加工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3600B1 (ko) 2010-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7409B1 (ko) 작두콩차의 제조방법
KR102056473B1 (ko) 장미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맥주의 제조방법
CN108893213A (zh) 一种新型荞麦保健啤酒及其制备方法
CN101258912A (zh) 一种苦槠豆腐制作工艺
KR100983600B1 (ko) 연식혜의 제조방법
KR101075852B1 (ko) 연잎 발효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2315628B1 (ko) 밀싹즙이 포함된 주스의 제조방법
KR101564071B1 (ko) 천연물을 이용한 고품질 식혜의 제조방법
CN108094649A (zh) 一种谷物杂糖及其制作工艺
KR101713292B1 (ko) 대학찰옥수수를 이용한 맥주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맥주
KR20130092747A (ko) 호박고구마 식혜 및 그 조리 방법
KR101352655B1 (ko) 침전 안정성이 우수한 아미노산 고함유 쌀음료 및 그 제조 방법
KR101778658B1 (ko) 앙금의 제조방법 및 그 앙금
KR101568756B1 (ko) 칡 음료의 제조방법
CN103710189A (zh) 一种营养啤酒的制备方法
CN104095212A (zh) 一种山芋粉丝的制作方法
KR101918214B1 (ko) 율무를 이용한 주류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주류
CN106747788A (zh) 一种竹荪栽培用培养料
KR102126604B1 (ko) 식혜용 엿기름 티백의 제조방법
CN106306066A (zh) 一种豆腐皮的制作方法
JP2011062165A (ja) 発芽玄米飲料の製造方法
KR101704908B1 (ko) 식혜용 엿기름 티백의 제조방법
CN104489514A (zh) 鲜花香芋糕及其加工方法
CN107927093A (zh) 栀子饼干产品及其制备方法
KR102608281B1 (ko) 감자를 이용한 맥주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감자 맥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