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8292A - 안전 핸드레일 - Google Patents

안전 핸드레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8292A
KR20090088292A KR1020080062513A KR20080062513A KR20090088292A KR 20090088292 A KR20090088292 A KR 20090088292A KR 1020080062513 A KR1020080062513 A KR 1020080062513A KR 20080062513 A KR20080062513 A KR 20080062513A KR 20090088292 A KR20090088292 A KR 20090088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diameter shaft
flange
safety handrail
insertion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2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8378B1 (ko
Inventor
카즈오 반
토모유키 타다
Original Assignee
아루잉코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루잉코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루잉코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88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8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8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8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02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osed essentially of members elongated in one dimension only, e.g. poles, lattice masts, with or without end portions of special form, connected together by any means
    • E04G1/0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osed essentially of members elongated in one dimension only, e.g. poles, lattice masts, with or without end portions of special form, connected together by any means the members being exclusively poles, rods, beams, or other members of similar form and simple cross-section
    • E04G1/06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osed essentially of members elongated in one dimension only, e.g. poles, lattice masts, with or without end portions of special form, connected together by any means the members being exclusively poles, rods, beams, or other members of similar form and simple cross-section comprising members with rod-like or tubular portions fitting together end to end, with or without separate connecting pie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01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against falling down relating to scaffo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 E04G5/147Railing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prior to the mounting of the plat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수평재에 하향의 하중이 부하되어도 후크가 지주측의 플랜지 구멍으로부터 빠져나오지 않아 작업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안전 핸드레일에 관한 것으로서, 수평재와, 이것의 양단부에 각각의 일단부가 피벗 부착되는 한 쌍의 경사재와, 수평재와 경사재의 각 피벗 부착 단부에 설치한 걸림 후크로 이루어지며, 걸림 후크의 선단부가 지주측의 플랜지의 구멍에 대하여 삽입/분리 가능한 삽입편을 형성하고, 삽입편에는 수평재에 하향의 하중이 부하되었을 때 수평재가 휘어 걸림 후크가 수평 방향으로 변위함으로써 플랜지 구멍의 둘레 가장자리에 걸려 구멍으로부터의 삽입편의 빠져나감을 저지하는 걸림 단차부를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Figure P1020080062513
핸드레일, 구멍뚫린 플랜지, 수평재, 경사재, 걸림 후크, 삽입편, 걸림 단차부, 고정쇠

Description

안전 핸드레일{SAFETY HANDRAIL}
본 발명은 건설 작업 현장에 있어서, 순차 덧이음이 가능하며,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간격마다 구멍뚫린 플랜지를 고정한 지주를 비계판의 가설 간격으로 세워서 설치하고, 서로 이웃하는 지주 사이에 비계판을 가설하여 비계를 조립함에 있어, 지주의 구멍뚫린 플랜지를 이용하여, 기설된 하단측 비계판으로부터, 신설할 상단측 비계판의 선행 핸드레일로서 지주 사이에 부착하는 안전 핸드레일에 관한 것이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멍뚫린 플랜지(4)를 상하로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한 지주(2)를 좌우 및 전후에 설치하고, 이들 전후 좌우에 설치한 지주(2, 2, 2, 2)의 전후의 지주(2, 2) 사이에는 가로살(18)을 상기 구멍뚫린 플랜지(4)를 이용하여 부착하고(도 2의 (b-1) 참조), 이들 좌우 가로살(18, 18) 사이에 하측의 비계판(3a)을 도시하지 않은 하방으로부터 작업자가 양손으로 떠받쳐서 걸쳐놓음과 아울러, 마찬가지로 도시하지 않은 하방으로부터 작업자가 수평재(5)와 경사재(6)로 이루어지는 안전 핸드레일(1)의 양단부를 상기 구멍뚫린 플랜지(4, 4)에 경사재(6)의 하단부를 잡고 원격 조작에 의해 그 상단부의 후크(5a)를 걸어맞춤하도록 하여 부착한다.
그런 다음, 작업자(M)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 비계판(3a) 위로 올라가서 작업자(M)의 안전띠(R)를 안전 핸드레일(1)의 수평재(5)에 후크 걸어맞춤하고, 이에 따라 작업자(M)는 안전 핸드레일(1)에 의해 안전이 확보되며, 이 상태에서 작업자(M)는 상측의 비계판(3b)을 도시한 바와 같이 하방으로부터 작업자(M)가 양손으로 떠받쳐서 지주(2, 2)의 가로살(18, 18) 사이에 걸쳐놓아 작업함과 아울러, 상부측에 또한 동일한 방법으로, 마찬가지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방으로부터 작업자(M)가 수평재(5)와 경사재(6)로 이루어지는 안전 핸드레일(1)의 양단부를 상기 구멍뚫린 플랜지(4, 4)에 경사재(6)의 하단부를 잡고 그 상단부의 후크(5a)를 원격 조작에 의해 걸어맞춤하도록 하여 부착한다.
그리고, 이들 작업 도중에 발이 미끄러지는 등의 사고로 작업자(M)가 하측 비계판(3a)으로부터 하방으로 낙하하는 사태가 발생하여도, 작업자(M)는 안전 핸드레일(1)의 수평재(5)와 작업자(M)를 연결하는 안전띠(R)로 공중에 매달린 형태로 보호되어, 예기치 못한 사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데, 이 때, 수평재의 단부에 있는 후크(5a)를 전술한 바와 같이 경사재(6)의 하단부를 잡고 그 상단부의 후크(5a)를 원격 조작에 의해 원활하게 걸어맞춤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단 걸어맞춤하면 상기와 같이 안전 핸드레일(1)에 외부 부하를 받아도 후크(5a)가 플랜지(4)의 구멍(4a)으로부터 용이하게 빠져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후크(5a)의 구조를 상당히 복잡하게 형성할 필요가 있어 그 제조가 번거로웠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상기 후크의 원격 조작에 의한 상기 구멍뚫린 플랜지에의 걸어맞춤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수평재에 하향의 하중이 부하되어도 후크가 지주측의 플랜지 구멍으로부터 빠져나가지 않아 작업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간단한 구성의 안전 핸드레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전 핸드레일(1)은, 순차 덧이음이 가능하며,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구멍(4a) 뚫린 플랜지(4)를 고정한 지주(2)를 비계판(3)의 가설 간격으로 세워서 설치하고, 서로 이웃하는 지주(2, 2) 사이에 비계판(3)을 가설하여 비계를 조립함에 있어, 지주(2)의 구멍(4a)뚫린 플랜지(4)를 이용하여 기설된 하단측 비계판(3)으로부터 신설할 상단측 비계판(3)의 선행 핸드레일로서 지주(2, 2) 사이에 부착하는 안전 핸드레일에 있어서,
수평재(5)와, 수평재(5)의 양단부에 각각의 일단부가 피벗 부착되며, 서로 교차하는 한 쌍의 경사재(6, 7)로 이루어지고, 수평재(5)와 경사재(6, 7)의 각 피벗 부착 단부에는 수평재(5)측 단부 또는 경사재(6, 7)측 단부에 걸림 후크(8)를 설치하고, 이 걸림 후크(8)의 선단부가 플랜지(4)의 구멍(4a)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삽입/분리 가능한 삽입편(9)을 형성하고, 이 삽입편(9)에는 수평재(5)에 하향의 하중이 부하되었을 때 수평재(5)가 휘어 걸림 후크(8)가 수평 방향으로 변위함으로써 플랜지 구멍(4a)의 둘레 가장자리(4ao)에 걸려 구멍(4a)으로부터의 삽입편(9)의 빠져나감을 저지하는 걸림 단차부(10)를 설치하고, 각 경사재(6, 7)의 타단부에는 플랜지(4)에 고정 가능한 고정쇠(12)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 핸드레일에 의하면, 수평재(5)와 경사재(6, 7)의 각 피벗 부착 단부의 수평재(5)측 단부 또는 경사재(6, 7)측 단부에 걸림 후크(8)를 설치하고, 이 걸림 후크(8)의 선단부가 플랜지(4)의 구멍(4a)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삽입/분리 가능한 삽입편(9)을 형성하고, 삽입편(9)에는 수평재(5)에 하향의 하중이 부하되었을 때 수평재(5)가 휘어 걸림 후크(8)가 수평 방향으로 변위함으로써 플랜지 구멍(4a)의 둘레 가장자리에 걸려 구멍(4a)으로부터의 삽입편(9)의 빠져나감을 저지하는 걸림 단차부(10)를 설치하였으므로, 작업자가 자신의 몸에 두른 안전띠를 수평재(5)에 연결하여 작업을 행하고 있을 때 발이 미끄러지거나 하여 비계판으로부터 추락 상태가 되고, 그 안전띠를 통하여 수평재(5)에 하향의 충격 하중(P)이 부하되면, 도 5(b)의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재(5)가 휘어 수평재(5)의 단부가 수평 방향(H)으로 변위하고, 그에 따라 삽입편(9)의 걸림 단차부(10)가 플랜지(4)의 구멍(4a)의 둘레 가장자리(4ao)에 걸려 구멍(4a)으로부터의 삽입편(9)의 빠져나감을 저지하고, 그에 따라 안전 핸드레일이 지주(2)로부터 이탈하지 않아 작업자의 추락이 방지된다.
그 밖의 목적은 이하의 설명에 의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핸드레일의 정면도, (b)는 (a)의 화살표(A)로 나타낸 부분의 확대도, (c)는 (a)의 화살표(B)로 나타낸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2의 (a-1)은 도 1에 도시한 안전 핸드레일의 사용 상태를 보인 정면도, (a-2)는 (a-1)의 화살표(C)로 나타낸 부분의 확대도, (a-3)은 (a-1)의 화살표(D)로 나타낸 부분의 확대도, 또한 (b-1)은 안전 핸드레일(1)의 사용 상태의 평면도, (b-2)는 (b-1)의 화살표(E)로 나타낸 부분의 확대도, (b-3)은 (b-1)의 화살표(F)로 나타낸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의 (a)는 도 1의 (b)의 확대도, (b)는 (a)의 G-G선 확대 단면도, (c)는 (a)의 H-H선 확대 단면도, (d)는 다른 예를 보인 (b)와 동일한 단면도, (e)는 (c)와 동일한 단면도이다.
이 안전 핸드레일(1)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순차 덧이음이 가능하며,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구멍(4a)뚫린 플랜지(4)를 고정한 지주(2)를 비계판(3)이 가설되는 간격으로 세워서 설치하고, 서로 이웃하는 지주(2, 2) 사이에 비계판(3)을 가설하여 조립되는 단관 비계의 조립에 있어서, 지주(2)의 구멍(4a)뚫린 플랜지(4)를 이용하여, 도 2의 (a-1)에 도시한 바와 같은 기설된 비계판(3) 상으로부터,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지금부터 새로 가설하고자 하는 상단측 비계판(3)의 선행 핸드레일로서 부착하도록 한 것으로서, 수평재(5)와, 수평재(5)의 양단부에 각각의 일단부가 볼트·너트(13)(핀)에 의해 피벗 부착되며(도 3의 (a) 참조), 서로 교차하는 한 쌍의 경사재(6, 7)로 이루어진다. 비계판(3)은, 도 2의 (b-1)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비계판(3)의 폭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지주(2, 2)의 플랜지(4, 4)에 연결된 횡스테이(18, 18) 사이에 걸쳐진다.
이 안전 핸드레일(1)의 수평재(5)와 경사재(6, 7)의 각 피벗 부착 단부에는 각 경사재(6, 7)측의 단부에 걸림 후크(8)가 설치되고, 이 걸림 후크(8)의 선단부는 플랜지(4)의 구멍(4a)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삽입/분리 가능한 삽입편(9)을 형성하고, 이 삽입편(9)에는 수평재(5)에 하향의 하중이 부하되었을 때 수평재(5)가 휘어 걸림 후크(8)가 수평 방향으로 변위함으로써 플랜지(4)의 구멍(4a)의 둘레 가장자리(4ao)(도 5(a), (b) 참조)에 걸려 구멍(4a)으로부터의 삽입편(9)의 빠져나감을 저지하기 위한 걸림 단차부(10)가 설치되어 있다. 각 경사재(6, 7)의 타단부에는 플랜지(4)에 고정 가능한 주지의 고정쇠(12)가 설치되어 있다.
걸림 후크(8)는, 도 2의 (b-2), (b-3) 및 도 3의 (a)∼(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재(6)의 일단부에 용접에 의해 고정된 판형 후크 본체(14)와, 이 판형 후크 본체(14)의 선단측에 용접에 의해 하향으로 일체로 돌출하도록 부착된 축형상체로 이루어지는 삽입편(9)으로 구성되며, 삽입편(9)은 상부측의 소직경 축부(9a)와 하부측의 대직경 축부(9b)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소직경 축부(9a)와 대직경 축부(9b) 사이에 걸림 단차부(1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삽입편(9)의 대직경 축부(9b)는 그 하부측이 아래로 좁아지는 테이퍼형의 삽입 가이드부(9o)를 형성하고 있다.
걸림 후크(8)의 삽입편(9)을 판형 후크 본체(14)에 부착하려면, 도 3의 (b), (c)에 예시한 바와 같이, 판형 후크 본체(14)의 선단측에 삽입편(9)의 소직경 축부(9a)를 끼워넣기 가능한 개구홈(14a)를 형성하여, 여기에 소직경 축부(9a)의 상부측을 끼워넣고, 이 끼워넣은 소직경 축부(9a)를 후크 본체(14)의 개구홈(14a) 부 분에 용접하여 고착하면 된다. 삽입편(9)을 판형 후크 본체(14)에 부착하는 다른 방법으로서, 도 3의 (d),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형 후크 본체(14)의 선단측에 그 하단면으로부터 소직경 축부(9a)를 끼워넣기 가능한 구멍(14o)을 설치하고, 이 구멍(14o)에 소직경 축부(9a)의 상부측을 끼워넣고 적당히 용접함으로써 부착할 수 있다.
각 경사재(6, 7)의 타단부에 설치되는 고정쇠(12)는, 도 4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주(2)의 플랜지(4)에 걸 수 있는 ㄷ자형 틀편(19)과, 플랜지(4)에 걸린 ㄷ자형 틀편(19)의 상방으로부터 ㄷ자형 틀편(19) 및 플랜지(4)의 구멍(4a)을 관통하여 박혀져 들어가는 쐐기편(20)으로 이루어지고, ㄷ자형 틀편(19)은 브래킷(22)을 통하여 경사재(6, 7)의 타단부에 고정되거나 피벗 부착된다. 이 고정쇠(12)를 부착함에 있어서는, 도시한 바와 같이, ㄷ자형 틀편(19)을 지주(2)의 플랜지(4)에 걸어두고, ㄷ자형 틀편(19)의 상방으로부터 쐐기(10)를 ㄷ자형 틀편(19)의 상하 구멍(19a, 19a) 및 플랜지(4)의 구멍(4a)에 관통하도록 박아넣으면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안전 핸드레일(1)을 사용함에 있어서는, 이미 가설한 하단측 비계판(3) 상에 있어서, 작업자가 어느 하나의 경사재(6)의 하단부를 잡고 수직으로 일으켜세우고, 이 경사재(6)의 상단부에 있는 걸림 후크(8)의 삽입편(9)을, 이제부터 새로 가설하고자 하는 상단측 비계판(3)의 가설 위치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어느 하나의 지주(2)의 플랜지(4)의 구멍(4a)에, 올려다보도록 원격 조작에 의해 그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똑바로 내려 삽입한 후, 나머지 하나 의 경사재(7)를 마찬가지로 원격 조작에 의해 일으켜세워, 수평재(5)를 수평 자세로 유지한 상태에서, 이 경사재(7)의 상단부에 있는 걸림 후크(8)의 삽입편(9)을 대응하는 지주(2)의 플랜지(4)의 구멍(4a)에 삽입하고, 그리고 양 경사재(6, 7)를 교차시킨 상태에서 각 경사재(6, 7)의 하단부에 있는 고정쇠(12)를 각 지주(2)의 소요 높이에 있는 플랜지(4)에 고정시켜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로 한다.
이와 같이 걸림 후크(8)의 삽입편(9)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방을 향하여 수직으로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재(6)의 하단부를 작업자가 잡고 그 상단부의 걸림 후크(8)의 삽입편(9)을 지주(2)의 플랜지(4)의 구멍(4a)에 걸어맞춤할 때, 걸림 후크(8)를 수직으로 하방으로 내리는 것만으로 삽입편(9)은 플랜지(4)의 구멍(4a)에 삽입되므로, 비록 하방으로부터의 원격 조작이라 하더라도, 용이하게 삽입편(9)을 플랜지(4)의 구멍(4a)에 삽입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안전 핸드레일(1)을 비계판(3)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지주(2, 2) 사이에 가설한 후에 상단측 비계판(3)을 걸친다. 이 비계판(3)은, 도 2의 (b-1)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비계판(3)의 폭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지주(2, 2)의 플랜지(4, 4)에 연결된 횡스테이(18, 18) 사이에 걸치도록 되어 있다.
도 5의 (a)는 상기와 같이 하여 안전 핸드레일(1)을 서로 이웃하는 지주(2, 2) 사이에 가설하였을 때 걸림 후크(8)의 삽입편(9)이 플랜지(4)의 구멍(4a)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 삽입편(9)은 대직경 축부(9b)의 하부측이 아래로 좁아 지는 테이퍼형의 삽입 가이드부(9o)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플랜지(4)의 구멍(4a)에 상방으로부터 삽입편(9)을 삽입할 때 그 삽입이 훨씬 용이해진다.
도 5의 (b)는 안전 핸드레일(1)의 작용, 특히 삽입편(9)의 작용을 나타낸 것으로서, 작업자가 자신의 몸에 두른 안전띠를 수평재(5)에 연결하여 작업을 행하고 있을 때 발이 미끄러지거나 하여 비계판으로부터 추락 상태가 되고, 그 안전띠를 통하여 수평재(5)에 하향의 충격 하중(P)이 부하되면, 도 5(b)의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재(5)가 휘어 수평재(5)의 단부가 수평 방향(H)으로 변위하고, 그에 따라 삽입편(9)의 걸림 단차부(10)가 도 5(b)의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4)의 구멍(4a)의 둘레 가장자리(4ao)에 걸려 구멍(4a)으로부터의 삽입편(9)의 빠져나감을 저지하고, 그에 따라 안전 핸드레일이 지주(2)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되어 작업자의 추락이 방지되게 된다.
이와 같이 걸림 후크(8)의 삽입편(9)을 하방으로부터의 원격 조작에 의해 플랜지(4)의 구멍(4a)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안전 핸드레일(1)의 수평편(5) 내지 경사재(6, 7)가 하방 방향의 부하를 받은 경우에는 확실하게 삽입편(9)이 플랜지(4)의 구멍 둘레 가장자리(4ao)에 걸어맞춤되어 삽입편(9)의 구멍(4a)으로부터의 빠져나감을 저지하고, 안전 핸드레일(1)의 지주(2)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추락 등의 예기치 않은 사고의 발생을 유효하게 없앨 수 있다.
도 6의 (a-1)은 걸림 후크(8)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정면도, (a-2)는 그 일부 확대도이다. 이 걸림 후크(8)는, 경사재(6)의 일단부에 일체로 설치된 판 형 후크 본체(14)와, 이 판형 후크 본체(14)의 선단측에 용접에 의해 하향으로 돌출하도록 일체로 부착된 삽입편(9)으로 구성되며, 삽입편(9)은 상부측의 소직경 축부(9a)와 하부측의 대직경 축부(9b)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대직경 축부(9b)의 상단 가장자리부가 모따기되어 있으며, 그 모따기부를 9c로 도시한다.
도 6의 (b-1)은 걸림 후크(8)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정면도, (b-2)는 (b-1)의 A-A선 확대 단면도이다. 이 걸림 후크(8)의 삽입편(9)은 판형 후크 본체(14)의 선단측에 용접에 의해 하향으로 일체로 돌출되어 설치된 축형상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이 축형상체의 상부측 내측면부를 소요 두께만큼 절제함으로써 상부측의 소직경 축부(9a)를 형성하고, 그 하부측의 비절제 부분이 하부측의 대직경 축부(9b)를 형성하고, 이리하여 소직경 축부(9a)와 대직경 축부(9b) 사이에 걸림 단차부(10)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대직경 축부(9b)의 하부측은 아래로 좁아지는 테이퍼형 삽입 가이드부(9o)를 형성하고 있다.
도 7의 (a-1)은 걸림 후크(8)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정면도, (a-2)는 (a-1)의 I-I선 확대 단면도이다. 이 걸림 후크(8)는 경사재(6)의 일단부에 일체로 설치된 판형 후크 본체(14)와, 이 판형 후크 본체(14)의 선단측에 일체로 연장되어 설치된 판형상부로 이루어지는 삽입편(9)에 의해 구성되며, 이 판형 삽입편(9)의 내측 단면의 소요 부위에 걸림 단차부(10)를 형성하였다. 또한 이 걸림 단차부(10)의 하부측에는 걸림 단차부(10)측보다 폭이 좁아진 삽입 가이드부(9e)를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걸림 후크(8)의 삽입편(9)이 판형 후크 본체(14)의 선단측에 연속 되어 일체로 연장되어 설치된 판형상부로 이루어지는 것이면, 후크 본체(14)와 삽입편(9)을 한 장의 판재에 의해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제작이 용이해진다.
도 7의 (b-1)은 걸림 후크(8)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정면도, (b-2)는 (b-1)의 J-J선 확대 단면도이다. 이 걸림 후크(8)의 삽입편(9)도 도 7의 걸림 후크(8)와 마찬가지로, 판형 후크 본체(14)의 선단측에 연속되어 일체로 연장되어 설치된 판형상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이 판형 삽입편(9)의 내측 단면의 소요 부위에 걸림 단차부(10)를 형성하였고, 또한 걸림 단차부(10)의 하부측에 걸림 단차부(10)측보다 폭이 좁아진 테이퍼형의 삽입 가이드부(9o)를 형성하였다.
도 8의 (a-1)은 걸림 후크(8)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정면도, (a-2)는 (a-1)의 K-K선 확대 단면도이다. 이 걸림 후크(8)는 경사재(6)의 일단부에 일체로 설치된 판형 후크 본체(14)와, 이 판형 후크 본체(14)의 선단측에 용접에 의해 하향으로 돌출하게 고착된 축형상체로 이루어지는 삽입편(9)으로 구성되며, 삽입편(9)은 상부측의 소직경 축부(9a) 및 하부측의 대직경 축부(9b)를 형성함과 아울러, 소직경 축부(9a)와 대직경 축부(9b) 사이에 걸림 단차부(10)를 형성하고, 또한 대직경 축부(9b)의 하부측은 아래로 좁아지는 테이퍼형 삽입 가이드부(9o)를 형성하고, 또한 대직경 축부(9b)의 상단 가장자리부는 모따기되어 모따기부(9c)를 형성하고 있다.
도 8의 (b-1)은 걸림 후크(8)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정면도, (b-2)는 (b-1)의 L-L선 확대 단면도이다. 이 걸림 후크(8)는 대직경 축부(9b)의 상단 가장자리부가 모따기되어 있지 않은 점을 제외하고 도 8의 (a-1), (a-2)에 도시한 걸림 후크(8)와 동일하다.
도 8의 (c-1)은 걸림 후크(8)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정면도, (c-2)는 (c-1)의 M-M선 확대 단면도이다. 이 걸림 후크(8)의 삽입편(9)도 경사재(6)의 일단부에 일체로 설치된 판형 후크 본체(14)의 선단측에 용접에 의해 하향으로 돌출하도록 고착된 축형상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이 축형상체의 상부측 내측면의 소요 부분을 상하 방향으로 소요 길이 및 소요 깊이 절제함으로써 상부측의 소직경 축부(9a)를 형성하고, 그 하부측을 하부측의 대직경 축부(9b)로 하여 소직경 축부(9a)와 대직경 축부(9b) 사이에 걸림 단차부(10)를 형성하고, 또한 대직경 축부(9b)의 하부측이 아래로 좁아지는 테이퍼형 삽입 가이드부(9o)를 형성하고 있다.
도 8의 (d-1)은 걸림 후크(8)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정면도, (d-2)는 (d-1)의 N-N선 확대 단면도이다. 이 삽입편(9)은 판형 후크 본체(14)의 선단측에 용접에 의해 하향으로 돌출하도록 고착된 축형상체로 이루어지며, 이 축형상체의 상부측이 소직경 축부(9a)를 형성하고, 그 하부측이 하부측의 대직경 축부(9b)를 형성하며, 소직경 축부(9a)와 대직경 축부(9b) 사이에 걸림 단차부(10)를 형성하고, 또한 대직경 축부(9b)의 하반부는 아래로 좁아지는 테이퍼형 삽입 가이드부(9o)를 형성하고, 또한 대직경 축부(9b)의 상단 가장자리부는 모따기부(9c)를 형성하고 있다.
도 9의 (a)는 도 8의 (b-1) 및 (b-2)에 도시한 걸림 후크(8)의 삽입편(9)이 플랜지(4)의 구멍(4a)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9의 (b)는 그 삽입편(9)의 작용을 나타낸 것으로서, 작업자가 자신의 몸에 두른 안전띠를 수평재(5)에 연결하여 작업을 행하고 있을 때 발이 미끄러지거나 하여 비계판으로부터 추락 상태가 되고, 안전띠를 통하여 수평재(5)에 하향의 충격 하중(P)이 부하되면,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재(5)가 휘어 수평재(5)의 단부가 수평 방향(H)으로 변위하고, 그에 따라 삽입편(9)의 걸림 단차부(10)가 도 9(b)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4)의 구멍(4a)의 둘레 가장자리(4ao)에 걸려 구멍(4a)으로부터의 삽입편(9)의 빠져나감을 저지하고, 그에 따라 안전 핸드레일이 지주(2)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되어 작업자의 추락이 방지된다.
도 10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핸드레일(11)의 정면도, (b)는 (a)의 화살표(O)로 나타낸 부분의 확대도, (c)는 (a)의 화살표(P)로 나타낸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1의 (a-1)은 안전 핸드레일(11)의 사용 상태를 보인 정면도, (a-2)는 (a-1)의 화살표(Q)로 나타낸 부분의 확대도, (a-3)은 (a-1)의 화살표(R)로 나타낸 부분의 확대도, 또한 (b-1)은 안전 핸드레일(11)의 사용 상태의 평면도, (b-2)는 (b-1)의 화살표(S)로 나타낸 부분의 확대도, (b-3)은 (b-1)의 화살표(T)로 나타낸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한 안전 핸드레일(1)에서는, 수평재(5)와 경사재(6, 7)의 각 피벗 부착 단부의 경사재(6, 7)측 단부에 걸림 후크(8)가 설치되어 있으나,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안전 핸드레일(11)에서는 수평재(5)와 경사재(6, 7)의 각 피벗 부착 단부의 수평재(5)측 단부에 걸림 후크(8)를 설치하였다.
즉, 이 안전 핸드레일(11)에서는 수평재(5)의 양단부에 부착편(23, 23)이 부착되고, 이들의 부착편(23, 23)에 경사재(6, 7)의 일단부가 각각 볼트·너트 (13)(핀)에 의해 피벗 부착되고, 수평재(5)의 각 단부에 걸림 후크(8)가 일체로 설치되며, 이 걸림 후크(8)의 선단부는 플랜지(4)의 구멍(4a)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삽입/분리 가능한 삽입편(9)을 형성하고, 이 삽입편(9)에는 수평재(5)에 하향의 하중이 부하되었을 때 수평재(5)가 휘어 걸림 후크(8)가 수평 방향으로 변위함으로써 플랜지(4)의 구멍(4a)의 둘레 가장자리(4ao)에 걸려 구멍(4a)으로부터의 삽입편(9)의 빠져나감을 저지하는 걸림 단차부(10)가 설치되고, 각 경사재(6, 7)의 타단부에는 플랜지(4)에 고정 가능한 고정쇠(12)가 설치되어 있다. 각 걸림 후크(8)는 도 3의 (a)∼(c)에 도시한 것과 동일한 구조이다. 고정쇠(12)는 도 4의 (a), (b)에 도시한 구조와 동일하다.
도 12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핸드레일(21)의 정면도, (b)는 (a)의 화살표(U)로 나타낸 부분의 확대도, (c)는 (a)의 화살표(V)로 나타낸 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13의 (a-1)은 안전 핸드레일(21)의 사용 상태를 보인 정면도, (a-2)는 (a-1)의 화살표(W)로 나타낸 부분의 확대도, (a-3)은 (a-1)의 화살표(X)로 나타낸 부분의 확대도, 또한 (b-1)은 안전 핸드레일(21)의 사용 상태의 평면도, (b-2)는 (b-1)의 화살표(Y)로 나타낸 부분의 확대도, (b-3)은 (b-1)의 화살표(Z)로 나타낸 부분의 확대도이다. 여기에 도시한 안전 핸드레일(21)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안전 핸드레일(11)과 마찬가지로 수평재(5)와 경사재(6, 7)의 각 피벗 부착 단부의 수평재(5)측 단부에 걸림 후크(8)를 설치한 것으로서, 각 걸림 후크(8)는 도 8의 (b-1), (b-2)에 도시한 것과 동일한 구조이다.
청구항 2에 따른 발명과 같이, 삽입편(9)으로는 판형 후크 본체(14)의 선단 측에 돌출되어 설치된 축형상체로서, 상부측의 소직경 축부(9a)와 하부측의 대직경 축부(9b) 사이에 걸림 단차부(10)를 형성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따른 발명과 같이, 청구항 2에 기재된 대직경 축부(9b)는 상단 가장자리부(9c)를 모따기할 수도 있다.
청구항 4에 따른 발명과 같이, 청구항 2 또는 3에 기재된 대직경 축부(9b)에서는, 그 하부측에 아래로 좁아지는 테이퍼형의 삽입 가이드부(9o)를 형성함으로써 플랜지(4)의 구멍(4a)에 상방으로부터 삽입편(9)을 삽입할 때 그 삽입이 용이해진다.
청구항 5에 따른 발명과 같이, 삽입편(9)으로는 판형 후크 본체(14)의 선단측에 돌출되어 설치된 축형상체의 상부측 내측면 소요 부분을 소요 깊이만큼 절제함으로써 상부측의 소직경 축부(9a)를 형성하고, 그 하부측을 하부측 대직경 축부(9b)로 하여, 소직경 축부(9a)와 대직경 축부(9b) 사이에 걸림 단차부(10)를 형성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따른 발명과 같이, 삽입편(9)은 판형 후크 본체(14)의 선단측에 일체로 연장되어 설치된 판형상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이 판형상부의 내측 단면의 소요 부위에 걸림 단차부(10)를 형성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따른 발명과 같이, 청구항 6에 기재된 삽입편(9)에서는, 걸림 단차부(10)의 하부측에 폭이 좁아진 삽입 가이드부(9e)를 형성함으로써 플랜지(4)의 구멍(4a)에 상방으로부터 삽입편(9)을 삽입할 때 그 삽입이 용이해진다.
청구항 8에 따른 발명과 같이, 고정쇠(12)로는 플랜지(4)에 걸 수 있는 ㄷ자 형 틀편(19)과, 플랜지(4)에 걸린 ㄷ자형 틀편(19)의 상방으로부터 ㄷ자형 틀편(19) 및 플랜지(4)의 구멍(4a)을 관통하여 박혀져들어가는 쐐기편(20)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도 1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핸드레일의 정면도, (b)는 (a)의 화살표(A)로 나타낸 부분의 확대도, (c)는 (a)의 화살표(B)로 나타낸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2의 (a-1)은 도 1에 도시한 안전 핸드레일의 사용 상태를 보인 정면도, (a-2)는 (a-1)의 화살표(C)로 나타낸 부분의 확대도, (a-3)은 (a-1)의 화살표(D)로 나타낸 부분의 확대도, 또한 (b-1)은 안전 핸드레일(1)의 사용 상태의 평면도, (b-2)는 (b-1)의 화살표(E)로 나타낸 부분의 확대도, (b-3)은 (b-1)의 화살표(F)로 나타낸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의 (a)는 도 1의 (b)의 확대도, (b)는 (a)의 G-G선 확대 단면도, (c)는 (a)의 H-H선 확대 단면도, (d)는 다른 예를 보인 (b)와 동일한 단면도, (e)는 (c)와 동일한 단면도이다.
도 4의 (a)는 고정쇠의 부착 부분의 확대 정면도, (b)는 평면도이다.
도 5의 (a), (b)는 안전 핸드레일의 작용을 보인 확대 설명도이다.
도 6의 (a-1)은 걸림 후크의 다른 실시 형태를 보인 정면도, (a-2)는 (a-1)의 요부 확대도이다. (b-1)은 걸림 후크의 다른 실시 형태를 보인 정면도, (b-2)는 (b-1)의 A-A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의 (a-1)은 걸림 후크의 다른 실시 형태를 보인 정면도, (a-2)는 (a-1)의 I-I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의 (a-1)은 걸림 후크의 다른 실시 형태를 보인 정면도, (a-2)는 (a-1) 의 K-K선 확대 단면도, (b-1)은 걸림 후크의 다른 실시 형태를 보인 정면도, (b-2)는 (b-1)의 L-L선 확대 단면도, (c-1)은 걸림 후크의 또 다른 실시 형태를 보인 정면도, (c-2)는 (c-1)의 M-M선 확대 단면도, (d-1)은 걸림 후크(8)의 또 다른 실시 형태를 보인 정면도, (d-2)는 (d-1)의 N-N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9의 (a)는 도 8의 (b-1) 및 (b-2)에 도시된 걸림 후크의 삽입편이 플랜지의 구멍에 삽입된 상태를 보인 설명도, (b)는 그 삽입편의 작용을 보인 설명도이다.
도 10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안전 핸드레일의 정면도, (b)는 (a)의 화살표(O)로 나타낸 부분의 확대도, (c)는 (a)의 화살표(P)로 나타낸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1의 (a-1)은 도 10의 안전 핸드레일의 사용 상태를 보인 정면도, (a-2)는 (a-1)의 화살표(Q)로 나타낸 부분의 확대도, (a-3)은 (a-1)의 화살표(R)로 나타낸 부분의 확대도, 또한 (b-1)은 안전 핸드레일의 사용 상태의 평면도, (b-2)는 (b-1)의 화살표(S)로 나타낸 부분의 확대도, (b-3)은 (b-1)의 화살표(T)로 나타낸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2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안전 핸드레일의 정면도, (b)는 (a)의 화살표(U)로 나타낸 부분의 확대도, (c)는 (a)의 화살표(V)로 나타낸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3의 (a-1)은 도 12의 안전 핸드레일의 사용 상태를 보인 정면도, (a-2)는 (a-1)의 화살표(W)로 나타낸 부분의 확대도, (a-3)은 (a-1)의 화살표(X)로 나타 낸 부분의 확대도, 또한 (b-1)은 안전 핸드레일의 사용 상태의 평면도, (b-2)는 (b-1)의 화살표(Y)로 나타낸 부분의 확대도, (b-3)은 (b-1)의 화살표(Z)로 나타낸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4는 좌우의 지주 사이에 비계판과 안전 핸드레일을 부착하는 상태를 보인 설명도이다.
<부호의 설명>
1, 11, 21…안전 핸드레일,
2…지주,
3…비계판,
4…플랜지,
4a…플랜지의 구멍,
4ao…구멍의 둘레 가장자리,
5…수평재,
6, 7…경사재,
8…걸림 후크,
9…삽입편,
9a…상부측의 소직경 축부,
9b…하부측의 대직경 축부,
9e…삽입 가이드부,
9o…삽입 가이드부,
10…걸림 단차부,
12…고정쇠,
14…판형 후크 본체

Claims (8)

  1. 순차 덧이음이 가능하며,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구멍뚫린 플랜지를 고정한 지주를 비계판의 가설 간격으로 세워서 설치하고, 서로 이웃하는 지주 사이에 비계판을 가설하여 비계를 조립함에 있어, 지주의 구멍뚫린 플랜지를 이용하여 기설된 하단측 비계판으로부터 신설할 상단측 비계판의 선행 핸드레일로서 지주 사이에 부착하는 안전 핸드레일에 있어서,
    수평재와, 수평재의 양단부에 각각의 일단부가 피벗 부착되며, 서로 교차하는 한 쌍의 경사재로 이루어지고, 수평재와 경사재의 각 피벗 부착 단부에는 수평재측 단부 또는 경사재측 단부에 걸림 후크를 설치하고, 이 걸림 후크의 선단부가 플랜지의 구멍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삽입/분리 가능한 삽입편을 형성하고, 이 삽입편에는 수평재에 하향의 하중이 부하되었을 때 수평재가 휘어 걸림 후크가 수평 방향으로 변위함으로써 플랜지의 구멍의 둘레 가장자리에 걸려 구멍으로부터의 삽입편의 빠져나감을 저지하는 걸림 단차부를 설치하고, 각 경사재의 타단부에는 플랜지에 고정 가능한 고정쇠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핸드레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편은 판형 후크 본체의 선단측에 돌출되어 설치된 축형상체로서, 상부측의 소직경 축부와 하부측의 대직경 축부로 이루어지고, 소직경 축부와 대직경 축부 사이에 걸림 단차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안전 핸드레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대직경 축부의 상단 가장자리부를 모따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핸드레일.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대직경 축부의 하부측에 아래로 좁아지는 테이퍼형의 삽입 가이드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핸드레일.
  5.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편은, 판형 후크 본체의 선단측에 돌출되어 설치된 축형상체로 이루어지고, 이 축형상체의 상부측 내측면 소요부를 소요 깊이만큼 절제함으로써 상부측의 소직경 축부를 형성하고, 그 하부측을 하부측 대직경 축부로 하며, 소직경 축부와 대직경 축부 사이에 걸림 단차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핸드레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편은 판형 후크 본체의 선단측에 일체로 연장되어 설치된 판형상부로 이루어지고, 이 선단측 판형상부의 내측 단면의 소요 부위에 걸림 단차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핸드레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단차부의 하부측에 폭이 좁아진 삽입 가이드부 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핸드레일.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쇠는 플랜지에 걸 수 있는 ㄷ자형 틀편과, 플랜지에 걸린 ㄷ자형 틀편의 상방으로부터 ㄷ자형 틀편 및 플랜지의 구멍을 관통하여 박혀져들어가는 쐐기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핸드레일.
KR1020080062513A 2008-02-14 2008-06-30 안전 핸드레일 KR1010283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33083A JP4543095B2 (ja) 2008-02-14 2008-02-14 安全手摺り
JPJP-P-2008-00033083 2008-02-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8292A true KR20090088292A (ko) 2009-08-19
KR101028378B1 KR101028378B1 (ko) 2011-04-13

Family

ID=40874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2513A KR101028378B1 (ko) 2008-02-14 2008-06-30 안전 핸드레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543095B2 (ko)
KR (1) KR101028378B1 (ko)
CN (1) CN101509316B (ko)
DE (1) DE102008034329A1 (ko)
FR (1) FR2927639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288B1 (ko) * 2012-12-18 2014-09-29 최완석 다용도 난간 장치
JP2018009350A (ja) * 2016-07-13 2018-01-18 株式会社三共 先行手摺り
JP6940905B1 (ja) * 2021-03-08 2021-09-29 株式会社クリス・コーポレーション 単管建地用先行筋交い及び仮設足場
JP6968327B1 (ja) * 2021-03-12 2021-11-17 株式会社クリス・コーポレーション 単管足場用先行筋交い及び仮設足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32157A (ja) * 2010-12-20 2012-07-12 Alinco Inc 先行手摺り
JP5824226B2 (ja) * 2011-04-01 2015-11-25 アルインコ株式会社 先行手摺
JP6105893B2 (ja) * 2012-10-17 2017-03-29 アルインコ株式会社 足場用手摺
CN103114715A (zh) * 2013-03-07 2013-05-22 上海星晔进出口有限公司 安全撑及包括其的脚手架和安装方法
CN104790641A (zh) * 2015-04-22 2015-07-22 天津大学 一种榫卯式脚手架斜撑体系
JP6591215B2 (ja) * 2015-06-18 2019-10-16 アルインコ株式会社 緊結式足場における安全手摺
DE202018101602U1 (de) * 2018-03-22 2019-06-27 Peri Gmbh Traggerüst
JP6817369B2 (ja) * 2019-05-24 2021-01-20 アルインコ株式会社 緊結式足場における安全手摺
DE102021101768A1 (de) * 2021-01-27 2022-07-28 Wilhelm Layher Verwaltungs-Gmbh Anordnung von gerüstbauteilen
CN113445717B (zh) * 2021-06-07 2022-11-08 北京市政路桥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管廊施工的盘扣式支撑架及施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02922U (ko) * 1975-02-16 1976-08-18
GB2133106A (en) * 1982-12-24 1984-07-18 Wah Wong Scaffold joint
DE19602737A1 (de) * 1996-01-26 1997-07-31 Peri Gmbh Gerüstknoten
JP4268701B2 (ja) * 1997-12-26 2009-05-27 辰雄 小野 枠体及び枠体を組付けた構造体
CN1137339C (zh) * 1999-06-25 2004-02-04 小野辰雄 脚手架用结构和整体式构架体结构
CN2568752Y (zh) * 2001-04-10 2003-08-27 高鹏 直插式双自锁型多功能脚手架
JP3996102B2 (ja) * 2003-08-25 2007-10-24 アルインコ株式会社 安全手摺
JP2005068650A (ja) * 2003-08-25 2005-03-17 Alinco Inc 安全手摺
JP4020894B2 (ja) * 2004-07-08 2007-12-12 アルインコ株式会社 アルミニウム製足場用建枠及び足場装置
KR200384333Y1 (ko) * 2005-02-15 2005-05-13 김종영 건축용 비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288B1 (ko) * 2012-12-18 2014-09-29 최완석 다용도 난간 장치
JP2018009350A (ja) * 2016-07-13 2018-01-18 株式会社三共 先行手摺り
JP6940905B1 (ja) * 2021-03-08 2021-09-29 株式会社クリス・コーポレーション 単管建地用先行筋交い及び仮設足場
JP6968327B1 (ja) * 2021-03-12 2021-11-17 株式会社クリス・コーポレーション 単管足場用先行筋交い及び仮設足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8034329A1 (de) 2009-08-20
JP4543095B2 (ja) 2010-09-15
FR2927639A1 (fr) 2009-08-21
CN101509316B (zh) 2011-03-09
KR101028378B1 (ko) 2011-04-13
JP2009191517A (ja) 2009-08-27
CN101509316A (zh) 2009-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8378B1 (ko) 안전 핸드레일
US20140252291A1 (en) Removable Bracket for a Walkway Handrail
US20120186910A1 (en) Horizontal Scaffold Member
JP3181041U (ja) 橋梁用足場取付け部材
CA2638490C (en) Scaffolding safety device
JP2010229700A (ja) 妻側先行手摺り
US20030051429A1 (en) Roof safety system
KR200428173Y1 (ko) 갱폼 추락방지장치
CA3175641A1 (en) Ladder guard
JP5649854B2 (ja) 建築作業用安全ネットの吊具および安全構造
GB2466768A (en) A clamp having a pivotal hook and locking element
JP5164890B2 (ja) 足場用妻側幅木
JP5156216B2 (ja) 足場用幅木
KR20090034709A (ko) 추락방지대 설치용 브래킷
DE4412072A1 (de) Einrichtung zur Befestigung von Geländern an Rändern von begehbaren Lauf- und Arbeitsflächen-Elementen
KR100812130B1 (ko) 구명줄 겸용 안전네트
KR20070057465A (ko) 슬라이딩폼의 가이드 레일 고정장치
JP6203309B2 (ja) 仮設用落下防止柵の構築方法及び仮設用落下防止柵
CA2527250A1 (en) Guard rail base
KR20090002041U (ko) 낙하방지망 설치 브래킷
KR102610538B1 (ko) 추락방지용 안전고리 고정장치
KR20090011644U (ko) 연결 장치가 구비된 안전발판
KR20100005314U (ko) 거푸집 작업대의 난간파이프 조립구조
JP2010090667A (ja) 送電鉄塔用仮足場
KR200367402Y1 (ko) 건설공사용 안전망 가설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