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7467A - 액체 주입 방법 및 액체 수용 용기 - Google Patents

액체 주입 방법 및 액체 수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7467A
KR20090047467A KR1020097002749A KR20097002749A KR20090047467A KR 20090047467 A KR20090047467 A KR 20090047467A KR 1020097002749 A KR1020097002749 A KR 1020097002749A KR 20097002749 A KR20097002749 A KR 20097002749A KR 20090047467 A KR20090047467 A KR 200900474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ink
induction furnace
chamb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2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4158B1 (ko
Inventor
사토시 시나다
치아키 미야지마
마사히데 마츠야마
유이치 세키
히사시 고이케
다쿠 이시자와
다카요시 가츠무라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6220755A external-priority patent/JP499233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186992A external-priority patent/JP5125277B2/ja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47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7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4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4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96Ink pumps, ink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06Refilling of the cartri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06Refilling of the cartridge
    • B41J2/17509Whilst mounted in the prin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13Inn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Mounting within the prin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Mounting within the printer
    • B41J2/17523Ink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53Out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56Means for regulating the pressure in the cartri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59Cartridg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66Ink level or ink residue contro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 G01F23/28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the variations of parameters of electromagnetic or acoustic waves applied directly to the liquid or fluent solid material
    • G01F23/296Acoustic waves
    • G01F23/2966Acoustic waves making use of acoustical resonance or standing wav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Ink Jet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 완료의 액체 수용 용기를 염가에 재생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3개 이상의 액체 수용실(370, 390, 430)을 구비하고, 이것들의 액체 수용실(370, 390, 430) 상호가 강하형 접속과 상승형 접속을 갖도록 접속되는 액체 수용 용기(1)에 대하여, 최상류의 액체 수용실(370)에 연통하는 주입구(601)를 개구해서, 액체 공급 구멍(50)으로부터의 진공 흡인에 의해 내부를 감압하고, 주입구(601)에서 액체 수용실(370)측을 향해서 액체를 충전한 후 주입구(601)를 밀봉한다.

Description

액체 주입 방법 및 액체 수용 용기{LIQUID FILLING METHOD AND LIQUID RECEIVING CONTAINER}
본 발명은 액체 소비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액체 수용실에 저류되어 있는 액체를 상기 액체 소비 장치에 공급하는 액체 수용 용기에 액체를 주입하는 방법 및 액체 주입에 의해 제조되는 액체 수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액체 수용 용기 및 액체 소비 장치의 예로서, 예컨대 잉크액을 저류한 잉크 카트리지와, 상기 잉크 카트리지가 교환 가능하게 장착되는 잉크젯식 기록 장치를 들 수 있다.
상기 잉크 카트리지는 통상 잉크젯식 기록 장치의 카트리지 장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잉크(액체)가 충전되는 잉크 수용실과, 상기 잉크 수용실에 저류되어 있는 액체를 잉크젯식 기록 장치에 공급하기 위한 잉크 공급 구멍과, 상기 잉크 수용실과 잉크 공급 구멍을 연통하는 잉크 유도로와, 상기 잉크 수용실내의 잉크의 소비에 따라 외부로부터 대기를 상기 잉크 수용실내에 도입하는 대기 연통로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어서, 기록 장치의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비된 잉크 공급 니들이 상기 잉크 공급 구멍에 삽입 접속되는 것에 의해, 저류되어 있는 잉크가 잉크젯식 기록 장치의 기록 헤드에 공 급 가능하게 된다.
잉크젯식 기록 장치에 있어서의 기록 헤드는, 열이나 진동을 이용해서 잉크 방울의 분사를 제어하는 것으로, 잉크 카트리지가 잉크 고갈이 되고, 잉크가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 잉크 토출 동작을 실행하는 공타(空打)가 발생하면, 고장나 버린다. 그래서, 잉크젯식 기록 장치에서는, 기록 헤드가 공타를 하지 않도록, 잉크 카트리지에 있어서의 잉크액의 잔량을 감시할 필요가 생긴다.
이러한 배경으로부터, 잉크 카트리지에 저류된 잉크를 완전히 최후까지 다 써버려서, 기록 장치의 기록 헤드에 공타를 초대하는 일이 없도록, 잉크 수용실에 저류한 잉크의 잔량이 미리 설정한 역치까지 소비되었을 때에, 소정의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액체 잔량 센서를 구비하는 잉크 카트리지가 개발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 2001-146030 호 공보
그런데, 잉크 카트리지는 다수의 부품으로 구성되는 고정밀도로 형성된 용기이기 때문에, 잉크를 소진했을 때에, 그대로 폐기하는 것은, 유용한 자원의 폐기가 되고, 경제적으로 큰 손실이 되어 버린다.
그래서, 사용 완료의 잉크 카트리지에 잉크를 재충전해서 재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종래의 잉크 카트리지는, 그 조립 공정의 도중에, 잉크의 충전 공정을 조합하고 있어서, 잉크 카트리지의 조립 완료 후에는, 동일한 잉크 충전 방법을 이용할 수 없을 경우가 많다.
그래서, 신품의 잉크 카트리지를 조립할 때의 잉크 충전 방법은 이용하지 않고, 잉크의 충전을 실현하는 재생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그러나, 최근의 잉크 카트리지는, 잉크 수용실과 잉크 공급 구멍을 연통하는 잉크 유도로에, 잉크 공급 구멍에 공급하는 잉크압을 조정하는 동시에 잉크 공급 구멍측에서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지 밸브로서도 기능하는 차압 밸브가 마련되어 있거나, 또는 잉크의 잔량을 검출하기 위한 액체 잔량 센서를 구비할 수 있어서, 고성능화되고 있다. 또한, 저류되어 있는 잉크의 품질을 장기에 걸쳐서 유지하기 위해서, 잉크 수용실이나 대기 연통로의 구조도 복잡화되고 있다.
그 때문에, 잉크의 주입 때문에, 부주의로 잉크 카트리지를 가공하면, 잉크를 주입했을 때에, 잉크 수용실 이외의 부분으로 잉크가 새거나, 잉크 충전시에 혼입하는 기포 때문에 당초의 기능이 손상되어서, 재생 불량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또한, 잉크 주입을 위해 잉크 카트리지에 실시하는 가공이 복잡해서, 가공 비용의 고액화 때문에, 재생 비용이 신규인 잉크 카트리지의 제조 비용을 상회하면 재생의 의의가 없어진다.
그래서, 본 발명은, 액체 수용 용기에 액체를 주입할 때에, 액체 수용 용기에의 가공이 적게 완료되고, 또한 그 액체 수용 용기의 여러 가지 기능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이 액체를 주입하는 것이 가능하고, 액체 수용 용기를 염가로 제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과제의 해결은,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실과,
액체 소비 장치에 접속 가능한 액체 공급 구멍과,
상기 액체 수용실에 저류되어 있는 액체를 상기 액체 공급 구멍에 유도하는 액체 유도로와,
상기 액체 수용실을 대기에 연통시키는 대기 연통로와,
상기 액체 유도로의 도중에 마련되고, 상기 액체 유도로에 액체가 채워져 있는 경우와 상기 액체 유도로에 기체가 유입한 경우에 상이한 신호를 출력하는 액체 잔량 센서를 구비하고,
또한, 적어도 3개 이상의 상기 액체 수용실을 구비하는 동시에,
이것들의 액체 수용실 상호는, 상기 액체 유도로내에서의 액체의 흐름 방향이 위로부터 아래로의 강하류가 되도록 한쌍의 액체 수용실 상호를 접속한 강하형 접속과, 상기 액체 유도로내에서의 액체의 흐름 방향이 아래로부터 위로의 상승류가 되도록 한쌍의 액체 수용실 상호를 접속한 상승형 접속을 교대로 반복하도록, 직렬 형상으로 접속되어, 상기 액체 소비 장치에 착탈 가능한 액체 수용 용기에 액체를 주입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액체 수용실에 연통하는 주입구를 상기 대기 연통로에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주입구로부터 소정량의 액체를 주입하는 공정과,
액체 주입후에 상기 주입구를 밀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주입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액체 주입을 위해 액체 수용 용기에 실시하는 가공은, 액체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를 개구시키는 것과, 액체의 주입후에 상기 주입구를 밀봉하는 가공으로, 어느 것이나 간단한 가공으로 된다. 따라서, 가공 비용이 염가로 되고, 또한 시간도 걸리지 않는다.
주입구를 마련하는 위치를 대기 연통로로 했을 경우는, 액체 수용 용기에 장비한 복수개의 모든 액체 수용실과, 액체 수용실 상호를 연락하는 액체 유도로에 원활하게 액체를 주입할 수 있다. 따라서, 액체를 주입한 액체 수용 용기에서는, 액체 수용실 상호를 강하형 접속하는 액체 유도로와 상승형 접속하는 액체 유도로로, 상하에 지그재그로 굴곡한 유로 구조가 복원되어, 만약에 상류의 액체 수용실에서 기포가 발생해도, 강하형의 액체 유도로에 잔존하는 액체가 기포의 진행을 방지하는 방호벽이 된다. 그 때문에, 액체 유도로에 진입한 기포가 하류에 진행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액체 수용실 상호를 연락하는 지그재그로 굴곡한 유로에 추가해서, 하류의 각 액체 수용실의 상부 공간이 유입해 온 기포의 트랩 공간으로서 유효하게 기능하고, 기포가 하류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과제의 해결은,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실과,
액체 소비 장치에 접속 가능한 액체 공급 구멍과,
상기 액체 수용실에 저류되어 있는 액체를 상기 액체 공급 구멍에 유도하는 액체 유도로와,
상기 액체 수용실을 대기에 연통시키는 대기 연통로와,
상기 액체 유도로의 도중에 마련되고, 상기 액체 유도로에 액체가 채워져 있는 경우와 상기 액체 유도로에 기체가 유입한 경우에 상이한 신호를 출력하는 액체 잔량 센서를 구비하고,
또한, 적어도 3개 이상의 상기 액체 수용실을 구비하는 동시에,
이것들의 액체 수용실 상호는, 상기 액체 유도로내에서의 액체의 흐름 방향이 위로부터 아래로의 강하류가 되도록 한쌍의 액체 수용실 상호를 접속한 강하형 접속과, 상기 액체 유도로내에서의 액체의 흐름 방향이 아래로부터 위로의 상승류가 되도록 한쌍의 액체 수용실 상호를 접속한 상승형 접속을 교대로 반복하도록, 직렬 형상으로 접속되어, 상기 액체 소비 장치에 착탈 가능한 액체 수용 용기에 대하여,
상기 액체 수용실에 연통하는 주입구를 상기 대기 연통로에 형성하고, 상기 주입구로부터 소정량의 액체를 주입하고, 액체 주입후에 상기 주입구를 밀봉하여 이루어지는 액체 수용 용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액체 수용실로부터 액체 공급부가 연통되어 있는 액체 유도로에 기포가 진입해도, 액체 수용실 상호를 연락하는 지그재그 형상의 액체 유도로나 액체 수용실에 사용 가능한 액체 잔량이 있는 사이는, 액체 유도로에 진입한 기포가 하류에 진행하기 어려워진다. 그래서, 기포의 진입에 기인한 액체 수용 용기의 여러 가지 기능의 저하를 초래하는 일이 없이 액체를 주입할 수 있다.
또한, 재생에 요구되는 비용이 저렴해서, 액체 수용 용기를 염가에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액체 소비 장치의 운용 비용의 저하에도 공헌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과제의 해결은,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실과,
액체 소비 장치에 접속 가능한 액체 공급 구멍과,
상기 액체 수용실에 저류되어 있는 액체를 상기 액체 공급 구멍에 유도하는 액체 유도로와,
상기 액체 수용실을 대기에 연통시키는 대기 연통로를 구비하고,
또한, 적어도 3개 이상의 상기 액체 수용실을 구비하는 동시에,
이것들의 액체 수용실 상호는, 상기 액체 유도로내에서의 액체의 흐름 방향이 위로부터 아래로의 강하류가 되도록 한쌍의 액체 수용실 상호를 접속한 강하형 접속과, 상기 액체 유도로내에서의 액체의 흐름 방향이 아래로부터 위로의 상승류가 되도록 한쌍의 액체 수용실 상호를 접속한 상승형 접속을 갖도록 접속되어, 상기 액체 소비 장치에 착탈 가능한 액체 수용 용기에 액체를 주입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액체 수용실에 연통하는 주입구를 상기 대기 연통로에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주입구로부터 소정량의 액체를 주입하는 공정과,
액체 주입후에 상기 주입구를 밀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액체 주입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액체 주입을 위해 액체 수용 용기에 실시하는 가공은, 액체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를 개구시키는 것과, 액체의 주입후에 상기 주입구를 밀봉하는 가공으로, 어느 것이나 간단한 가공이 된다. 따라서, 가공 비용이 염가로 되고, 또한 시간도 걸리지 않는다.
주입구를 마련하는 위치를 대기 연통로로 했을 경우는, 액체 수용 용기에 장비한 복수개의 모든 액체 수용실과, 액체 수용실 상호를 연락하는 액체 유도로에 원활하게 액체를 주입할 수 있다. 따라서, 액체를 주입한 액체 수용 용기에서는, 액체 수용실 상호를 강하형 접속하는 액체 유도로와 상승형 접속하는 액체 유도로로, 상하로 굴곡한 유로 구조가 복원되어, 만약에 상류의 액체 수용실에서 기포가 발생해도, 강하형의 액체 유도로에 잔존하는 액체가 기포의 진행을 방지하는 방호벽이 된다. 그 때문에, 액체 유도로에 진입한 기포가 하류에 진행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액체 수용실 상호를 연락하는 굴곡한 유로에 추가해서, 하류의 각 액체 수용실의 상부 공간이 유입해 온 기포의 트랩 공간으로서 유효하게 기능하고, 기포가 하류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한다.
또한, 상기 구성의 액체 주입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강하형 접속과 상기 상승형 접속을 갖는 조합이 복수조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액체 주입 방법에 의하면, 복수조의 액체 수용실 상호를 강하형 접속하는 액체 유도로와 상승형 접속하는 액체 유도로로, 상하에 지그재그로 굴곡한 유로 구조가 복원되어, 액체 유도로에 진입한 기포가 하류에 더욱 진행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상기 구성의 액체 주입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액체 유도로에 액체가 채워져 있는 경우와 상기 액체 유도로에 기체가 유입한 경우에 상이한 신호를 출력하는 액체 잔량 센서가, 상기 액체 유도로에 있어서 상기 강하형 접속 및 상기 상승형 접속에서 하류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액체 주입 방법에 의하면, 액체 수용실로부터 액체 잔량 센서가 연통되어 있는 액체 유도로에 기포가 진입해도, 액체 수용실 상호를 연락하는 지그재그 형상의 액체 유도로나 액체 수용실에 의해, 액체 유도로에 진입한 기포가 액체 잔량 센서에 의한 검출 위치에 도달하는 것을 억지할 수 있고, 기포의 진입에 기인한 액체 잔량 센서의 오류 검출에 의해 다 쓸 수 없고 폐기되는 액체량이 증가한다는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과제의 해결은,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실과,
액체 소비 장치에 접속 가능한 액체 공급 구멍과,
상기 액체 수용실에 저류되어 있는 액체를 상기 액체 공급 구멍에 유도하는 액체 유도로와,
상기 액체 수용실을 대기에 연통시키는 대기 연통로를 구비하고,
또한, 적어도 3개 이상의 상기 액체 수용실을 구비하는 동시에,
이것들의 액체 수용실 상호는, 상기 액체 유도로내에서의 액체의 흐름 방향이 위로부터 아래로의 강하류가 되도록 한쌍의 액체 수용실 상호를 접속한 강하형 접속과, 상기 액체 유도로내에서의 액체의 흐름 방향이 아래로부터 위로의 상승류가 되도록 한쌍의 액체 수용실 상호를 접속한 상승형 접속을 갖도록 접속되어, 상기 액체 소비 장치에 착탈 가능한 액체 수용 용기에 대하여,
상기 액체 수용실에 연통하는 주입구를 상기 대기 연통로에 형성하고, 상기 주입구로부터 소정량의 액체를 주입하고, 액체 주입후에 상기 주입구를 밀봉하여 이루어지는 액체 수용 용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액체 수용실로부터 액체 공급부가 연통되어 있는 액체 유도로에 기포가 진입해도, 액체 수용실 상호를 연락하는 지그재그 형상의 액체 유도로나 액체 수용실에 사용 가능한 액체 잔량이 있는 사이는, 액체 유도로에 진입한 기포가 하류에 진행하기 어려워진다. 그래서, 기포의 진입에 기인한 액체 수용 용기의 여러 가지 기능의 저하를 초래하는 일이 없이 액체를 주입할 수 있다.
또한, 재생에 요구되는 비용이 저렴해서, 액체 수용 용기를 염가에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액체 소비 장치의 운용 비용의 저하에도 공헌한다.
또한, 상기 구성의 액체 수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강하형 접속과 상기 상승형 접속을 갖는 조합이 복수조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액체 수용 용기에 의하면, 복수조의 액체 수용실 상호를 강하형 접속하는 액체 유도로와 상승형 접속하는 액체 유도로로, 상하에 지그재그로 굴곡한 유로 구조가 복원되어, 액체 유도로에 진입한 기포가 하류에 더욱 진행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상기 구성의 액체 수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액체 유도로에 액체가 채워져 있는 경우와 상기 액체 유도로에 기체가 유입한 경우에 상이한 신호를 출력하는 액체 잔량 센서가, 상기 액체 유도로에 있어서 상기 강하형 접속 및 상기 상승형 접속에서 하류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액체 수용 용기에 의하면, 액체 수용실에 저류한 액체의 잔량이 미리 설정한 역치까지 소비되었을 때에, 소정의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액체 수용실로부터 액체 잔량 센서가 연통되어 있는 액체 유도로에 기포가 진입해도, 액체 수용실 상호를 연락하는 지그재그 형상의 액체 유도로나 액체 수용실에 의해, 액체 유도로에 진입한 기포가 액체 잔량 센서에 의한 검출 위치에 도달하는 것을 억지할 수 있고, 기포의 진입에 기인한 액체 잔량 센서의 오류 검출에 의해 다 쓸 수 없고 폐기되는 액체량이 증가한다고 하는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의 액체 수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대기 연통로에는, 상기 액체 수용실로부터의 액누설 방지하는 공기실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액체 수용 용기에 의하면, 열팽창 등에 의해 액체가 액체 수용실로부터 대기측에 유출했을 경우이여도, 공기실에서 확실하게 트랩하고, 액체 누설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공기실에서 트랩한 액체는, 액체의 소비에 따라 액체 수용실측에 흘러 들어오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내부에 수용된 액체를 낭비없이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의 액체 수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대기 연통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액체 용기의 중력 방향에서 가장 위가 되는 부분을 통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액체 수용 용기에 의하면, 액체가 역류했을 경우이여도 가장 중력 방향에서 위가 되는 부분을 넘어서 용기 본체의 대기 개방 구멍까지 겨우 도착하기 어렵다. 따라서 액체 누설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구성의 액체 수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대기 연통로에는, 기체를 통과시키는 동시에, 액체를 통과 불가능하게 차단하는 기액 분리 필터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액체 수용 용기에 의하면, 대기 연통로에 액체가 유출된 경우이여도, 대기 연통로에는 기액 분리 필터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액체는 이 기액 분리 필터를 넘어서 대기 개방 구멍측에 누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대기 개방 구멍으로부터의 잉크 누설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의 액체 수용 용기는, 내부의 기압이 대기압 이하가 되도록 감압 밀봉한 감압 팩의 내부에 곤포(梱包)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액체 수용 용기에 의하면, 사용전에는 액체 수용 용기 내부의 기압이 감압 팩의 부압 흡인력에 의해 규정값 이하로 유지되어, 용존 공기가 적은 액체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과제의 해결은,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실과,
액체 소비 장치에 접속 가능한 액체 공급 구멍과,
상기 액체 수용실과 상기 액체 공급 구멍을 연통시키는 액체 유도로와,
상기 액체 수용실을 대기에 연통시키는 대기 연통로를 구비하고,
또한, 적어도 3개 이상의 상기 액체 수용실을 구비하는 동시에,
이것들의 액체 수용실 상호는, 상기 액체 유도로내에서의 액체의 흐름 방향이 위로부터 아래로의 강하류가 되도록 한쌍의 액체 수용실 상호를 접속한 강하형 접속과, 상기 액체 유도로내에서의 액체의 흐름 방향이 아래로부터 위로의 상승류가 되도록 한쌍의 액체 수용실 상호를 접속한 상승형 접속을 갖도록 접속되어, 상기 액체 소비 장치에 착탈 가능한 액체 수용 용기에 액체를 주입하는 방법으로서,
주입구를 최상류의 액체 수용실에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주입구로부터 소정량의 액체를 주입하는 공정과,
액체 주입후에 상기 주입구를 밀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액체 주입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액체 주입을 위해 액체 수용 용기에 실시하는 가공은, 액체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를 개구시키는 것과, 액체의 주입후에 상기 주입구를 밀봉하는 가공으로, 어느 것이나 간단한 가공이 된다. 따라서 가공 비용이 염가로 되고, 또한 시간도 걸리지 않는다.
주입구를 마련하는 위치를, 최상류의 액체 수용실로 했을 경우는, 액체 수용 용기에 장비한 복수개의 모든 액체 수용실과, 액체 수용실 상호를 연락하는 액체 유도로에, 원활하게 액체를 주입할 수 있다. 따라서, 액체를 주입한 액체 수용 용기에서는, 액체 수용실 상호를 강하형 접속하는 액체 유도로와 상승형 접속하는 액체 유도로로, 상하로 굴곡한 유로 구조가 복원되어, 만약에 상류의 액체 수용실에서 기포가 발생해도, 강하형의 액체 유도로에 잔존하는 액체가 기포의 진행을 방지하는 방호벽이 된다. 그 때문에, 액체 유도로에 진입한 기포가 하류에 진행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액체 수용실 상호를 연락하는 굴곡한 유로에 추가해서, 하류의 각 액체 수용실의 상부 공간이 유입해 온 기포의 트랩 공간으로서 유효하게 기능하고, 기포가 하류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한다.
또한, 상기 구성의 액체 주입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강하형 접속과 상기 상승형 접속을 갖는 조합이 복수조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액체 주입 방법에 의하면, 복수조의 액체 수용실 상호를 강하형 접속하는 액체 유도로와 상승형 접속하는 액체 유도로로, 상하에 지그재그로 굴곡한 유로 구조가 복원되어, 액체 유도로에 진입한 기포가 하류에 더욱 진행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상기 구성의 액체 주입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액체 유도로에 액체가 채워져 있는 경우와 상기 액체 유도로에 기체가 유입한 경우에 상이한 신호를 출력하는 액체 잔량 센서가, 상기 액체 유도로에 있어서 상기 강하형 접속 및 상기 상승형 접속보다 하류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액체 주입 방법에 의하면, 액체 수용실로부터 액체 잔량 센서가 연통되어 있는 액체 유도로에 기포가 진입해도, 액체 수용실 상호를 연락하는 지그재그 형상의 액체 유도로나 액체 수용실에 의해, 액체 유도로에 진입한 기포가 액체 잔량 센서에 의한 검출 위치에 도달하는 것을 억지할 수 있고, 기포의 진입에 기인한 액체 잔량 센서의 오류 검출에 의해 다 쓸 수 없고 폐기되는 액체량이 증가한다고 하는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과제의 해결은,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실과,
액체 소비 장치에 접속 가능한 액체 공급 구멍과,
상기 액체 수용실과 상기 액체 공급 구멍을 연통시키는 액체 유도로와,
상기 액체 수용실을 대기에 연통시키는 대기 연통로를 구비하고,
또한, 적어도 3개 이상의 상기 액체 수용실을 구비하는 동시에,
이것들의 액체 수용실 상호는, 상기 액체 유도로내에서의 액체의 흐름 방향이 위로부터 아래로의 강하류가 되도록 한쌍의 액체 수용실 상호를 접속한 강하형 접속과, 상기 액체 유도로내에서의 액체의 흐름 방향이 아래로부터 위로의 상승류가 되도록 한쌍의 액체 수용실 상호를 접속한 상승형 접속을 갖도록 접속되어, 상기 액체 소비 장치에 착탈 가능한 액체 수용 용기에 대하여,
상기 액체 수용실에 연통하는 주입구를 대기 연통로에 형성하고, 상기 주입구로부터 소정량의 액체를 주입하고, 액체 주입후에 상기 주입구를 밀봉하여 이루어지는 액체 수용 용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액체 수용실로부터 액체 공급부가 연통되어 있는 액체 유도로에 기포가 진입해도, 액체 수용실 상호를 연락하는 지그재그 형상의 액체 유도로나 액체 수용실에 사용 가능한 액체 잔량이 있는 사이는, 액체 유도로에 진입한 기포가 하류에 진행하기 어려워진다. 그래서, 기포의 진입에 기인한 액체 수용 용기의 여러가지 기능의 저하를 초래하는 일이 없이 액체를 주입할 수 있다.
또한, 재생에 요구되는 비용이 저렴해서, 액체 수용 용기를 염가에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액체 소비 장치의 운용 비용의 저하에도 공헌한다.
또한, 상기 구성의 액체 수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강하형 접속과 상기 상승형 접속을 갖는 조합이 복수조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액체 수용 용기에 의하면, 복수조의 액체 수용실 상호를 강하형 접속하는 액체 유도로와 상승형 접속하는 액체 유도로로, 상하에 지그재그로 굴곡한 유로 구조가 복원되어, 액체 유도로에 진입한 기포가 하류에 더욱 진행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상기 구성의 액체 수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액체 유도로에 액체가 채워져 있는 경우와 상기 액체 유도로에 기체가 유입한 경우에 상이한 신호를 출력하는 액체 잔량 센서가, 상기 액체 유도로에 있어서 상기 강하형 접속 및 상기 상승형 접속보다 하류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액체 수용 용기에 의하면, 액체 수용실에 저류한 액체의 잔량이 미리 설정한 역치까지 소비되었을 때에, 소정의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액체 수용실로부터 액체 잔량 센서가 연통되어 있는 액체 유도로에 기포가 진입해도, 액체 수용실 상호를 연락하는 지그재그 형상의 액체 유도로나 액체 수용실에 의해, 액체 유도로에 진입한 기포가 액체 잔량 센서에 의한 검출 위치에 도달하는 것을 억지할 수 있고, 기포의 진입에 기인한 액체 잔량 센서의 오류 검출에 의해 다 쓸 수 없고 폐기되는 액체량이 증가한다고 하는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의 액체 수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대기 연통로에는, 상기 액체 수용실로부터의 액누설 방지하는 공기실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액체 수용 용기에 의하면, 열팽창 등에 의해 액체가 액체 수용실로부터 대기측에 유출했을 경우이여도, 공기실에서 확실하게 트랩하고, 액체 누설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공기실에서 트랩한 액체는, 액체의 소비에 따라 액체 수용실측에 흘러 들어오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내부에 수용된 액체를 낭비없이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의 액체 수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대기 연통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액체 용기의 중력 방향에서 가장 위기 되는 부분을 통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액체 수용 용기에 의하면, 액체가 역류했을 경우이여도 가장 중력 방향에서 위가 되는 부분을 넘어서 용기 본체의 대기 개방 구멍까지 겨우 도착하기 어렵다. 따라서, 액체 누설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구성의 액체 수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대기 연통로에는, 기체를 통과시키는 동시에, 액체를 통과 불가능하게 차단하는 기액 분리 필터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액체 수용 용기에 의하면, 대기 연통로에 액체가 유출된 경우이여도, 대기 연통로에는 기액 분리 필터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액체는 이 기액 분리 필터를 넘어서 대기 개방 구멍측으로 누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대기 개방 구멍으로부터의 잉크 누설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의 액체 수용 용기는, 내부의 기압이 대기압 이하가 되도록 감압 밀봉한 감압 팩의 내부에 곤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액체 수용 용기에 의하면, 사용전에는 액체 수용 용기 내부의 기압이 감압 팩의 부압 흡인력에 의해 규정값 이하로 유지되어, 용존 공기가 적은 액체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과제의 해결은,
액체 소비 장치에 착탈 가능하며,
적어도 3개 이상의 액체 수용실과,
상기 액체 소비 장치에 접속 가능한 액체 공급부와,
상기 액체 수용실과 상기 액체 공급부를 연통시키는 액체 유도로와,
상기 액체 수용실을 대기에 연통시키는 대기 연통로를 구비하고,
이것들의 액체 수용실 상호는, 상기 액체 유도로내에서의 액체의 흐름 방향이 위로부터 아래로의 강하류가 되도록 한쌍의 액체 수용실 상호를 접속한 강하형 접속과, 상기 액체 유도로내에서의 액체의 흐름 방향이 아래로부터 위로의 상승류가 되도록 한쌍의 액체 수용실 상호를 접속한 상승형 접속을 갖도록 접속된 액체 수용 용기로서,
또한, 상기 대기 연통로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필름 부재와,
상기 대기 연통로를 형성하는 필름 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액체 수용실에 연통하는 주입구를 밀봉하는 밀봉부를 구비한 액체 수용 용기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구성의 액체 수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는 필름 또는 마개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성의 액체 수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액체 유도로에 마련되고, 상기 액체 유도로에 액체가 채워져 있는 경우와 상기 액체 유도로에 기체가 유입한 경우에 상이한 신호를 출력하는 액체 검출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과제의 해결은,
액체 소비 장치에 착탈 가능하며,
적어도 3개 이상의 액체 수용실과,
상기 액체 소비 장치에 접속 가능한 액체 공급부와,
상기 액체 수용실과 상기 액체 공급부를 연통시키는 액체 유도로와,
상기 액체 수용실을 대기에 연통시키는 대기 연통로를 구비하고,
이것들의 액체 수용실 상호는, 상기 액체 유도로내에서의 액체의 흐름 방향이 위로부터 아래로의 강하류가 되도록 한쌍의 액체 수용실 상호를 접속한 강하형 접속과, 상기 액체 유도로내에서의 액체의 흐름 방향이 아래로부터 위로의 상승류가 되도록 한쌍의 액체 수용실 상호를 접속한 상승형 접속을 갖도록 접속된 액체 수용 용기로서,
또한, 최상류의 액체 수용실을 형성하는 필름 부재와,
상기 필름 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액체 수용실에 연통하는 주입구를 밀봉하는 밀봉부를 구비한 액체 수용 용기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구성의 액체 수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는 필름 또는 마개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성의 액체 수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액체 유도로에 마련되고, 상기 액체 유도로에 액체가 채워져 있는 경우와 상기 액체 유도로에 기체가 유입한 경우에 상이한 신호를 출력하는 액체 검출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수용 용기의 재생 방법에 의해 재생되는 액체 수용 용기로서의 잉크 카트리지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잉크 카트리지를 도 1과는 역의 각도로부터 본 외관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잉크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잉크 카트리지를 도 3과는 역의 각도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잉크 카트리지를 잉크젯식 기록 장치의 캐리지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1의 잉크 카트리지의 캐리지에의 장착 직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7은 도 1의 잉크 카트리지의 캐리지에의 장착 직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8은 도 1의 잉크 카트리지의 카트리지 본체를 정면측에서 본 도면,
도 9는 도 1의 잉크 카트리지의 카트리지 본체를 배면측에서 본 도면,
도 10의 (a)는 도 8의 간략 모식도이며 (b)는 도 9의 간략 모식도,
도 11은 도 8의 A-A 단면도,
도 12는 도 8에 도시한 카트리지 본체내의 유로 구조의 일부의 확대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수용 용기의 주입 방법을 실시하는 잉크 재주입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4는 도 10의 (b)에 도시한 잉크 카트리지의 구조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주입 방법에서 잉크를 주입 가능한 개소의 설명도.
※ 부호의 설명 ※
1 : 잉크 카트리지(액체 수용 용기) 10 : 카트리지 본체(용기 본체)
11 : 계합 레버 20 : 커버 부재
30 : 잉크젯 센서 31 : 잉크 잔량 센서(액체 잔량 센서)
40 : 차압 밸브 50 : 잉크 공급 구멍(액체 공급 구멍)
70 : 기액 분리 필터 80 : 필름
90 : 밀봉 필름(폐색 수단) 100 : 대기 개방 구멍
150 : 대기 연통로 200 : 캐리지
330 : 상부 연결 유로 340 : 잉크 트랩실(공기실)
350 : 연결 버퍼실(공기실) 370 : 상부 잉크 수용실(액체 수용실)
371, 432 : 잉크 배출구(액체 배출구)
374, 394, 434 : 요홈부 375, 395, 435 : 액체 수용실의 저벽
380 : 잉크 유도로(액체 유도로)
390 : 하부 잉크 수용실(액체 수용실)
391, 431 : 잉크류 입구(액체류 입구)
400 : 상류측 잉크젯 센서 액체 유도로(액체 유도로)
410 : 하류측 잉크젯 센서 액체 유도로(액체 유도로)
420 : 잉크 유도로(액체 유도로) 430 : 버퍼실(액체 수용실)
501 : 미충전실(탈기실) 600 : 잉크 재주입 장치
601 : 주입구 610 : 잉크 주입 수단
620 : 진공 흡인 수단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주입 방법과, 액체 수용 용기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형태에서는, 액체 수용 용기의 일 예로서, 액체 분사 장치의 일 예인 잉크젯식 기록 장치(프린터)에 장착되는 잉크 카트리지를 들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수용 용기로서의 잉크 카트리지의 외관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잉크 카트리지를 도 1과는 역의 각도로부터 본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잉크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잉크 카트리지를 도 3과는 역의 각도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잉크 카트리지를 잉크젯식 기록 장치의 캐리지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캐리지에의 장착 직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7은 캐리지에의 장착 직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잉크 카트리지(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직방체 형상을 갖고, 내부에 마련된 잉크 수용실에 잉크를 저류·수납하는 액체 수용 용기이다. 잉크 카트리지(1)는 액체 소비 장치의 일 예로서의 잉크젯식 기록 장치의 캐리지(200)에 장착되어, 상기 잉크젯식 기록 장치에 잉크를 공급한다(도 5 참조).
잉크 카트리지(1)의 외관적 특징에 대해서 설명하면, 도 1 및 도 2에 도시하 는 바와 같이, 잉크 카트리지(1)는 평면인 상면(1a)을 갖고, 상면(1a)에 대향하는 저면(1b)에 잉크젯식 기록 장치에 접속되어서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 공급 구멍(50)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저면(1b)에는, 잉크 카트리지(1) 내부에 대기를 도입하는 대기 개방 구멍(100)이 개구되어 있다. 즉, 잉크 카트리지(1)는 대기 개방 구멍(100)으로부터 공기를 도입하면서 잉크 공급 구멍(50)으로부터 잉크를 공급하는 대기 개방형의 잉크 카트리지이다.
잉크 카트리지(1)의 대기 개방 구멍(100)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저면(1b)에 저면측으로부터 상면측을 향해서 개구된 대략 원통형상의 오목부(101)와, 오목부(101)의 내주면으로 개구된 작은 구멍(102)을 갖고 있다. 작은 구멍(102)은, 후술의 대기 연통로에 연통되어 있고, 이 작은 구멍(102)을 거쳐서 대기가 후술의 최상류의 잉크 수용실(370)에 도입된다.
대기 개방 구멍(100)의 오목부(101)는 캐리지(200)에 형성된 돌기(230)를 수용하는 깊이로 구성되어 있다. 이 돌기(230)는, 대기 개방 구멍(100)을 기밀하게 폐색하는 폐색 수단으로서의 밀봉 필름(90)의 벗기기 잊음을 방지하기 위한 박리 잊음 방지 돌기이다. 즉, 밀봉 필름(90)을 부착한 상태에서는, 대기 개방 구멍(100)내에 돌기(230)가 삽입되지 않기 때문에 , 잉크 카트리지(1)가 캐리지(200)에 장착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유저가 대기 개방 구멍(100)상에 밀봉 필름(90)이 부착된 채로 캐리지(200)에 잉크 카트리지(1)를 장착하려 해도 장착할 수 없도록 하는 것에 의해, 잉크 카트리지(1)의 장착시에는 확실하게 밀봉 필름(90)을 벗기도록 재촉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잉크 카트리지(1)의 상면(1a)의 하나의 짧은 변측에 이웃하는 좁은 측면(1c)에는, 잉크 카트리지(1)가 잘못된 위치에 장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오삽입 방지 돌기(22)가 형성되어 있다. 받는 측이 되는 캐리지(200)측에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삽입 방지 돌기(22)와 대응하는 요철(220)이 형성되어 있고, 잉크 카트리지(1)는 오삽입 방지 돌기(22)와 요철(220)이 간섭하지 않을 경우만 캐리지(200)에 장착된다. 오삽입 방지 돌기(22)는 잉크(I)의 종류마다 다른 형상을 갖고, 받는 측이 되는 캐리지(200)측의 요철(220)도 대응하는 잉크(I)의 종류에 따른 형상을 갖고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캐리지(200)가 복수의 잉크 카트리지를 장착 가능한 경우라도, 잘못된 위치에 잉크 카트리지를 장착하는 일이 없다.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잉크 카트리지(1)의 좁은 측면(1c)과 대향하는 좁은 측면(1d)에는 계합 레버(11)가 마련되어 있다. 이 계합 레버(11)는, 캐리지(200)에의 장착시에 캐리지(200)에 형성된 오목부(210)와 계합하는 돌기(11a)가 형성되어 있고, 계합 레버(11)가 요홈이면서 돌기(11a)와 오목부(210)가 계합하는 것에 의해 캐리지(200)에 대하여 잉크 카트리지(1)가 위치 고정된다.
또한, 계합 레버(11)의 아래쪽으로는 회로 기판(34)이 마련되어 있다. 이 회로 기판(34)상에는 복수의 전극 단자(34a)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전극 단자(34a)가 캐리지(200)에 마련된 전극 부재(도시되지 않음)와 접촉하는 것에 의해, 잉크 카트리지(1)가 전기적으로 잉크젯식 기록 장치와 접속된다. 회로 기판(34)에는 데이터 재기록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가 마련되어 있고, 잉크 카트리지(1)에 관한 각종 정보나 잉크젯식 기록 장치의 잉크 사용 정보 등이 기억된다. 또한, 회로 기판(34)의 뒷측에는, 잉크 카트리지(1)내의 잉크 잔량에 따라 상이한 신호를 출력하는 잉크 잔량 센서(액체 잔량 센서)(31)(도 3 또는 도 4 참조)가 마련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잉크 잔량 센서(31)와 회로 기판(34)을 합쳐서 잉크젯 센서(30)로 호칭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잉크 카트리지(1)의 상면(1a)에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잉크 카트리지의 내용을 나타내는 라벨(60a)이 부착되어 있다. 이 라벨(60a)은 넓은 측면(1f)을 덮는 외표면 필름(60)의 단부가 상면(1a)에까지 걸쳐서 부착되어 있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잉크 카트리지(1)의 상면(1a)의 2개의 긴 변측에 이웃하는 넓은 측면(1e, 1f)은 편평한 면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편의상 넓은 측면(1e)의 측을 정면측, 넓은 측면(1f)의 측을 배면측, 좁은 측면(1c)의 측을 우측면측, 그리고 좁은 측면(1d)의 측을 좌측면측으로 설명한다.
다음에,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서, 잉크 카트리지(1)를 구성하는 각부에 대해서 설명한다.
잉크 카트리지(1)는 용기 본체인 카트리지 본체(10)와, 카트리지 본체(10)의 정면측을 덮는 커버 부재(20)를 갖고 있다.
카트리지 본체(10)는 그 정면측에는 여러가지 형상을 갖는 리브(10a)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의 리브(10a)가 칸막이를 이루고, 잉크(I)가 충전되는 복수의 잉크 수용실(액체 수용실), 잉크는 충전되지 않는 미충전실, 후술의 대기 연통로(150)의 도중에 위치하는 공기실 등을 내부에 구획 형성한다.
카트리지 본체(10)와 커버 부재(20)와의 사이에는, 카트리지 본체(10)의 정면측을 덮는 필름(80)이 마련되어 있고, 이 필름(80)에 의해 리브, 오목부, 홈의 상면이 막아져서 복수의 유로나 잉크 수용실, 미충전실, 공기실이 형성된다.
또한, 카트리지 본체(10)의 배면측에는, 차압 밸브(40)를 수용하는 오목부로서의 차압 밸브 수용실(40a)과 기액 분리 필터(70)를 구성하는 오목부로서의 기액 분리실(70a)이 형성되어 있다.
차압 밸브 수용실(40a)에는 밸브 부재(41)와 스프링(42)과 스프링 시트(43)가 수납되어서 차압 밸브(40)를 구성하고 있다. 차압 밸브(40)는 하류측의 잉크 공급 구멍(50)과 상류측의 잉크 수용실과의 사이에 배치되어서, 잉크 수용실측에서 잉크 공급 구멍(50)측에의 잉크의 흐름을 차단하는 폐쇄 밸브 상태로 가압되어 있다. 잉크 공급 구멍(50)으로부터 프린터측에의 잉크 공급에 따라 차압 밸브(40)의 잉크 공급 구멍(50)측과 잉크 수용실측의 차압이 일정 이상으로 되는 것에 의해, 차압 밸브(40)가 폐쇄 밸브 상태로부터 개방 밸브 상태로 이행하고, 잉크 공급 구멍(50)에 잉크(I)가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잉크 공급 구멍(50)으로부터 공급되는 잉크(I)에 부압을 작용시킨다.
기액 분리실(70a)의 상면에는, 기액 분리실(70a)의 중앙부 근방에 마련된 외주를 둘러싸는 제방(70b)에 따라 기액 분리막(71)이 점착되어 있다. 이 기액 분리막(71)은 기체를 통과시키는 동시에 액체를 통과 불가능하게 차단하는 소재이며, 전체로 기액 분리 필터(70)를 구성하고 있다. 기액 분리 필터(70)는 대기 개방 구멍(100)과 잉크 수용실을 연결하는 대기 연통로(150)내에 마련되어 있고, 잉크 수용실의 잉크(I)가 대기 연통로(150)를 거쳐서 대기 개방 구멍(100)으로부터 유출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카트리지 본체(10)의 배면측에는 차압 밸브 수용실(40a)과 기액 분리실(70a) 이외에도 복수의 홈(10b)이 새겨져 있다. 이들 홈(10b)은 차압 밸브(40)와 기액 분리 필터(70)가 구성된 상태에서 외표면을 외표면 필름(60)이 덮는 것에 의해 각 홈(10b)의 개구부가 폐쇄되어, 대기 연통로(150)나 잉크 유도로가 형성된다.
카트리지 본체(10)의 우측면측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잉크젯 센서(30)를 구성하는 각 부재를 수납하는 오목부로서 센서실(30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센서실(30a)에는 잉크 잔량 센서(31)와, 잉크 잔량 센서(31)를 센서실(30a)의 내벽면에 가압해서 고정하는 압축 스프링(32)이 수납된다. 또한, 센서실(30a)의 개구부는 커버 부재(33)에 의해 덮어져, 이 커버 부재(33)의 외표면(33a)상에 회로 기판(34)이 고정된다. 잉크 잔량 센서(31)의 센싱 부재는 회로 기판(34)과 접속되어 있다.
잉크 잔량 센서(31)는 잉크 수용실로부터 잉크 공급 구멍(50)과의 사이의 잉크 유도로의 일부를 형성하는 캐비티와, 이 캐비티의 벽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진동판과, 이 진동판상에 진동을 인가시키는 압전 소자(압전 액추에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진동판에 진동을 인가시킨 때의 잔류 진동을 신호로서 잉크젯식 기록 장치에 출력한다. 잉크젯식 기록 장치의 액체 잔량 검출부는 이 잉크 잔량 센서(31)로부 터 출력할 수 있은 신호로부터, 잉크(I)와 기체(잉크에 혼입한 기포(B))와의 사이에서의 잔류 진동의 진폭, 주파수 등의 차이를 검출하고, 카트리지 본체(10)내에 있어서의 잉크(I)의 유무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잉크젯식 기록 장치의 액체 잔량 검출부는, 카트리지 본체(10)내의 잉크 수용실의 잉크(I)가 소진 또는 소정량까지 감소하고, 잉크 수용실내에 도입된 대기가 잉크 유도로를 통해서, 잉크 잔량 센서(31)의 캐비티내에 진입하면, 잉크 잔량 센서(31)에서의 신호에 의거하여, 그 때의 잔류 진동의 진폭이나 주파수의 변화로부터, 카트리지 본체(10)내의 잉크 수용실의 잉크(I)가 소진 또는 소정량까지 감소한 것을 검지하고, 잉크 엔드 또는 잉크 니어 엔드를 나타내는 전기 신호를 출력한다.
카트리지 본체(10)의 저면측에는, 상술한 잉크 공급 구멍(50)과 대기 개방 구멍(100) 이외에,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잉크 주입시에 진공 흡인 수단을 거쳐서 잉크 카트리지(1) 내부로부터 공기를 흡출해서 감압에 이용되는 감압 구멍(110)과, 잉크 수용실로부터 잉크 공급 구멍(50)에 도달하는 잉크 유도로를 구성하는 오목부(95a)와, 잉크 엔드 센서(30)의 하방에 마련된 버퍼실(30b)이 형성되어 있다.
잉크 공급 구멍(50), 대기 개방 구멍(100), 감압 구멍(110), 오목부(95a), 및 버퍼실(30b)은 잉크 카트리지 제조 직후에는 모두 각각 밀봉 필름(54, 90, 98, 95, 35)에 의해 각각의 개구부가 밀봉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중, 대기 개방 구멍(100)을 밀봉하는 밀봉 필름(90)은 잉크 카트리지를 잉크젯식 기록 장치에 장착 해서 사용 상태로 하기 전에 사용자에 의해 박리된다. 이에 의해, 대기 개방 구멍(100)이 외부에 노출하고, 잉크 카트리지(1) 내부의 잉크 수용실이 대기 연통로(150)를 거쳐서 외기와 연통한다.
또한, 잉크 공급 구멍(50)의 외표면에 부착된 밀봉 필름(54)은,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잉크젯식 기록 장치에의 장착시에 잉크젯식 기록 장치측의 잉크 공급 니들(240)에 의해 찢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잉크 공급 구멍(50)의 내부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착시에 잉크 공급 니들(240)의 외표면에 가압되는 환상의 밀봉 부재(51)와, 프린터에 장착되지 않은 경우는 밀봉 부재(51)와 접촉해서 잉크 공급 구멍(50)을 폐색하는 스프링 시트(52)와, 스프링 시트(52)를 밀봉 부재(51)의 접촉 방향으로 가압하는 압축 스프링(53)을 구비하고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잉크 공급 니들(240)이 잉크 공급 구멍(50)내에 삽입되면, 밀봉 부재(51)의 내주와 잉크 공급 니들(240)의 외주가 밀봉되어, 잉크 공급 구멍(50)과 잉크 공급 니들(240)과의 사이의 빈틈이 액밀로 밀봉된다. 또한, 잉크 공급 니들(51)의 선단이 스프링 시트(52)와 접촉하고, 스프링 시트(52)를 위로 밀어 올리고, 스프링 시트(52)와 밀봉 부재(51)의 밀봉이 해제되는 것에 의해, 잉크 공급 구멍(50)으로부터 잉크 공급 니들(240)에 잉크(I)가 공급 가능해진다.
다음에,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서, 상기 잉크 카트리지(1)의 내부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잉크 카트리지(1)의 카트리지 본체(10)를 정면측에서 본 도면이며, 도 9는 잉크 카트리지(1)의 카트리지 본체(10)를 배면측에서 본 도면이며, 도 10의 (a)는 도 8의 간략 모식도이며, 도 10의 (b)는 도 9의 간략 모식도이며, 도 11은 도 8의 A-A 단면도이다. 또한, 도 12는 도 8에 도시한 유로의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상기 잉크 카트리지(1)에서는, 잉크(I)가 충전되는 메인 잉크 수용실로서, 상하 2개로 분단된 상부 잉크 수용실(370) 및 하부 잉크 수용실(390)과, 이것들의 상하의 잉크 수용실에 끼워지도록 위치하는 버퍼실(430)의 3개의 잉크 수용실이 카트리지 본체(10)의 정면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카트리지 본체(10)의 배면측에는, 잉크(I)의 소비량에 따라, 대기를 최상류의 잉크 수용실인 상부 잉크 수용실(370)에 도입하는 대기 연통로(150)가 형성되어 있다.
잉크 수용실(370, 390) 및 버퍼실(430)은 리브(10a)에 의해 구분되어 있다. 그리고, 이것들의 각 잉크 수용실은 수평방향으로 연재해서 수용실의 저벽이 되는 리브(10a)의 일부에, 아래쪽으로 오목하게 된 형상의 요홈부(374, 394, 434)가 형성되어 있다.
요홈부(374)는 상부 잉크 수용실(370)의 리브(10a)에 의한 저벽(375)의 일부를 하방으로 오목하게 들어가게 한 것이다. 요홈부(394)는, 하부 잉크 수용실(390)의 리브(10a)에 의한 저벽(395)과 벽면의 팽출부에 의해 카트리지 두께 방향에 팽창시킨 것이다. 요홈부(434)는 버퍼실(430)의 리브(10a)에 의한 저벽(435) 의 일부를 아래쪽으로 오목하게 들어가게 한 것이다.
그리고, 각 요홈부(374, 394, 434)의 바닥부 또는 그 부근에는, 잉크 유도로(380), 상류측 잉크 엔드 센서 액체 유도로(400) 및 잉크 유도로(440)에 연통하는 잉크 배출구(371, 311, 432)가 마련되어 있다.
잉크 배출구(371, 432)는 각 잉크 수용실의 벽면을 카트리지 본체(10)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 관통 구멍이다. 또한, 잉크 배출구(312)는 잉크 잔량 센서(31)내의 캐비티(유로)의 출구이다.
잉크 유도로(380)는, 일단이 상부 잉크 수용실(370)의 잉크 배출구(371)에 연통하는 동시에, 타단이 하부 잉크 수용실(390)에 마련된 잉크류 입구(391)에 연통되어 있고, 상부 잉크 수용실(370)의 잉크를 하부 잉크 수용실(390)에 유도하는 액체 유도로가 되어 있다. 이 잉크 유도로(380)는 상부 잉크 수용실(370)의 잉크 배출구(371)로부터 연직 하방으로 연장된 형태로 마련되어 있고, 액체 유도로내에서의 액체의 흐름 방향이 위로부터 아래로의 강하류가 되는 강하형 접속으로 한쌍의 잉크 수용실(370, 390) 상호를 접속하고 있다.
잉크 유도로(420)는, 일단이 잉크 잔량 센서(31)내의 캐비티의 잉크 배출구(312)에 연통하는 동시에, 타단이 버퍼실(430)에 마련된 잉크류 입구(431)에 연통되어 있고, 상류측 잉크 엔드 센서 액체 유도로(400)를 거쳐서 하부 잉크 수용실(390)의 잉크를 버퍼실(430)에 유도한다. 이 잉크 유도로(420)는 액체 유량 센서(31)내의 캐비티의 잉크 배출구(312)로부터 비스듬하게 위쪽에게 연장된 형태로 마련되어 있고, 액체 유도로내에서의 액체의 흐름 방향이 아래로부터 위로의 상승 류가 되는 상승형 접속으로 한쌍의 잉크 수용실(390, 430) 상호를 접속하고 있다.
즉, 상기 도시예의 카트리지 본체(10)에서는, 3개의 잉크 수용실(370, 390, 430) 상호는 강하형 접속과, 상승형 접속을 갖도록 접속되어 있다.
잉크 유도로(440)는 버퍼실(430)의 잉크 배출구(432)로부터 차압 밸브(40)에 잉크를 유도하는 잉크 유로이다.
또한, 상기 각 잉크 수용실의 잉크류 입구(372, 391, 431)는 어느 것이나 각 잉크 수용실에 있어서, 각 잉크 수용실의 저벽(375, 395, 435)의 근방에 마련되어 있다.
이하, 우선 메인 잉크 수용실인 상부 잉크 수용실(370)로부터 잉크 공급 구멍(50)에 이르기까지의 잉크 유도로를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상부 잉크 수용실(370)은 카트리지 본체(10)내의 최상류(최상위)의 잉크 수용실에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 본체(10)의 정면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 상부 잉크 수용실(370)은 잉크 수용실의 약 반분을 차지하는 잉크 수용 영역이며, 카트리지 본체(10)의 대략 반분으로부터 위의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상부 잉크 수용실(370)의 저벽의 요홈부(374)에는 잉크 유도로(380)와 연통하는 잉크 배출구(371)가 개구되어 있다. 이 잉크 배출구(371)는 상부 잉크 수용실(370)의 저벽으로 되어 있는 리브(10a) 보다도 내려간 위치에 있고, 상부 잉크 수용실(370)내의 잉크 액면이 저벽까지 내려가도, 그 때의 액면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고, 안정한 잉크(I)의 도출을 계속한다.
잉크 유도로(380)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 본체(10)의 배면측 에 형성되어 상방으로부터 잉크를 하방의 하부 잉크 수용실(390)로 유도한다.
하부 잉크 수용실(390)은, 상부 잉크 수용실(370)에 저류되어 있는 잉크(I)가 도입되는 잉크 수용실에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 본체(10)의 정면측에 형성되는 잉크 수용실의 약 반분을 차지하는 잉크 수용 영역이며, 카트리지 본체(10)의 대략 반분으로부터 아래의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이 하부 잉크 수용실(390)의 저벽으로 되어 있는 리브(10a)의 근방에, 잉크 유도로(380)와 연통하는 잉크류 입구(391)는, 하부 잉크 수용실(390)의 저벽(395)의 하방에 배치된 연통 유로로 개구되어 있고, 상기 연통 유로를 거쳐서 상부 잉크 수용실(370)로부터의 잉크(I)가 유입한다.
하부 잉크 수용실(390)은 저벽(395)을 관통한 잉크 배출구(311)에 의해 상류측 잉크 엔드 센서 액체 유도로(400)에 연통되어 있다. 상류측 잉크 엔드 센서 액체 유도로(400)에는, 3차원적으로 형성된 미로 유로가 형성되어 있고, 이 미로 유로에서 잉크 엔드 이전에 유입한 기포 등을 포착해서 하류측으로 흐르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류측 잉크 엔드 센서 액체 유도로(400)는 도시하지 않는 관통 구멍을 거쳐서 하류측 잉크 엔드 센서 액체 유도로(410)에 연통되어 있고, 하류측 잉크 엔드 센서 액체 유도로(410)를 거쳐서 잉크(I)가 잉크 잔량 센서(31)로 유도된다.
잉크 잔량 센서(31)에 유도된 잉크는, 잉크 잔량 센서(31)내의 캐비티(유로)를 통해서, 캐비티의 출구인 잉크 배출구(312)로부터 카트리지 본체(10)의 배면측에 형성된 잉크 유도로(420)로 유도된다. 잉크 유도로(420)는 잉크 잔량 센서(31) 로부터 비스듬하게 상방으로 잉크를 유도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버퍼실(430)과 연통하는 잉크류 입구(431)에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잉크 잔량 센서(31)를 나간 잉크는 잉크 유도로(420)를 거쳐서 버퍼실(430)로 유도된다.
버퍼실(430)은 상부 잉크 수용실(370)과 하부 잉크 수용실(390)과의 사이에 리브(10a)에 의해 구획 형성된 작은 부분 챔버이며, 차압 밸브(40)의 직전의 잉크 저류 공간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버퍼실(430)은 차압 밸브(40)의 뒷측에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버퍼실(430)의 요홈부(434)에 형성된 잉크 배출구(432)가 연통된 잉크 유도로(440)를 거쳐서 차압 밸브(40)에 잉크(I)가 유입한다.
차압 밸브(40)에 유입한 잉크는 차압 밸브(40)에 의해 하류측으로 유도되고, 관통 구멍(451)을 거쳐서 출구 유로(450)에 유도된다. 출구 유로(450)는 잉크 공급 구멍(50)에 연통되어 있고, 잉크 공급 구멍(50)에 끼워맞춤된 잉크 공급 니들(240)을 거쳐서 잉크(I)가 잉크젯식 기록 장치측으로 공급된다.
다음에, 대기 개방 구멍(100)으로부터 상부 잉크 수용실(370)에 이르기까지의 대기 연통로(150)를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잉크 카트리지(1)내의 잉크(I)가 소비되어서 잉크 카트리지(1) 내부의 압력이 저하하면, 저류되어 있는 잉크(I)의 감소분만큼 대기 개방 구멍(100)으로부터 대기(공기)가 상부 잉크 수용실(370)에 유입한다.
대기 개방 구멍(100)의 내부에 마련된 작은 구멍(102)은 카트리지 본체(10)의 배면측에 형성된 사행도(310)의 일단에 연통되어 있다. 사행도(310)는 대기 개방 구멍(100)으로부터 상부 잉크 수용실(370)까지의 거리를 길게 해 잉크중의 수분 의 증발을 억제하도록 가늘고 길게 형성된 사행로이다. 사행도(310)의 타단은 기액 분리 필터(70)에 접속되어 있다.
기액 분리 필터(70)를 구성하는 기액 분리실(70a)의 저면에는 관통 구멍(322)이 형성되어 있고, 관통 구멍(322)을 거쳐서 카트리지 본체(10)의 정면측에 형성된 공간(320)에 연통되어 있다. 기액 분리 필터(70)에 있어서는, 관통 구멍(322)과 사행도(310)의 타단과의 사이에 기액 분리막(71)이 배치된다. 기액 분리막(71)은 발수성 및 발유성이 높은 섬유 재료를 메쉬 형상으로 짠 것으로 형성된다.
공간(320)은 카트리지 본체(10)의 정면측에서 보아서 상부 잉크실의 우상방에 형성되어 있다. 공간(320)에는 관통 구멍(322)의 상부에 관통 구멍(321)이 개구되어 있다. 공간(320)은 이 관통 구멍(321)을 거쳐서 배면측에 형성된 상부 연결 유로(330)에 연통되어 있다.
상부 연결 유로(330)는 잉크 카트리지(1)의 가장 상면측, 즉 잉크 카트리지(1)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의 중력 방향에서 가장 위가 되는 부분을 통과하도록, 배면측에서 보아서 관통 구멍(321)으로부터 긴 변에 따라 우방향에 연장되는 유로 부분(333)과, 짧은 변 근방의 반환부(335)에서 되돌려서 유로 부분(333)에서도 잉크 카트리지(1)의 상면측을 통해서 관통 구멍(321)의 근방에 형성된 관통 구멍(341)까지 연장되는 유로 부분(337)을 갖고 있다. 또한, 관통 구멍(341)은 정면측에 형성된 잉크 트랩실(340)에 연통되어 있다.
여기에서, 배면측으로부터 이 상부 연결 유로(330)를 보면, 반환부(335)로부 터 관통 구멍(341)까지의 연장되는 유로 부분(337)에는, 관통 구멍(341)이 형성된 위치(336)와, 위치(336)보다 카트리지 두께 방향 위치가 깊게 파여 있는 요홈부(332)가 마련되어 있고, 이 요홈부(332)를 구분하도록 리브(331)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 또한, 관통 구멍(321)으로부터 반환부(335)까지 연장되는 유로 부분(333)은 반환부(335)에서 관통 구멍(341)까지의 연장되는 유로 부분(337)보다도 깊이가 얕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잉크 카트리지(1)에서는, 상부 연결 유로(330)를 중력 방향에서 가장 위가 되는 부분에 형성하고 있으므로, 기본적으로는 잉크(I)가 상부 연결 유로(330)를 통과해서 대기 개방 구멍(100)측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연결 유로(330)는 모세관 현상 등에 의해 잉크(I)의 역류가 발생하지 않는 정도로 폭이 넓은 굵기를 갖는 동시에, 유로 부분(337)에는 요홈부(33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역류해 온 잉크를 포착하기 쉽게 구성되어 있다.
잉크 트랩실(340)은 정면측에서 보아서 카트리지 본체(10)의 우상쪽의 코너의 위치에 형성된 직방체형상의 공간이다. 관통 구멍(341)은,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면측에서 보아서 잉크 트랩실(340)의 좌상쪽 내측 코너부 근방으로 개구되어 있다. 또한, 잉크 트랩실(340)의 우하쪽 전방 코너부에는, 칸막이가 되는 리브(10a)의 일부가 절결된 절결부(342)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절결부(342)를 거쳐서 연락 버퍼실(350)에 연통되어 있다. 여기에서, 잉크 트랩실(340) 및 연락 버퍼실(350)은, 대기 연통로(150)의 도중의 용적을 확장한 형태의 공기실에서, 어떠한 이유에 의해 상부 잉크 수용실(370)로부터 잉크(I)가 역류했을 경우라도 이 잉 크 트랩실(340) 및 연락 버퍼실(350)에 잉크를 남기고, 더 이상 대기 개방 구멍(100)측으로 되도록이면 흘러 들어오지 않도록 구성된 것이다. 구체적인 잉크 트랩실(340) 및 연락 버퍼실(350)의 역할에 있어서는 후술한다.
연락 버퍼실(350)은 잉크 트랩실(340)의 아래쪽으로 형성된 공간이다. 연결 버퍼실(350)의 저면(352)에는 잉크 주입시에 공기 빼기를 실행하기 위한 감압 구멍(110)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저면(352) 근방이며 잉크젯식 기록 장치에의 장착시 가장 중력 방향 하방의 부위에는 두께 방향측에 관통 구멍(351)이 개구되어 있고, 이 관통 구멍(351)을 거쳐서 배면측에 형성된 액체 유도로(360)에 연통되어 있다.
액체 유도로(360)는 배면측에서 보아서 중앙 상방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부 잉크 수용실(370)의 저면 근방으로 개구된 관통 구멍(372)을 거쳐서 상부 잉크 수용실(370)과 연통되어 있다. 즉, 대기 개방 구멍(100)으로부터 액체 유도로(360)까지가 상기 잉크 카트리지(1)의 대기 연통로(150)를 구성하고 있다. 액체 유도로(360)는 메니스커스를 형성하고, 잉크(I)의 역류가 발생하지 않는 정도의 가늘기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잉크 카트리지(1)의 경우, 도 8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 본체(10)의 정면측에는, 전술의 잉크 수용실(상부 잉크 수용실(370, 390), 버퍼실(430))이나, 공기실(잉크 트랩실(340), 연락 버퍼실(350))이나, 잉크 유도로(상류측 잉크 엔드 센서 액체 유도로(400), 하류측 잉크 엔드 센서 액체 유도로(410)) 이외에, 잉크(I)가 충전되지 않는 미충전실(501)이 구획 형성되어 있다.
미충전실(501)은 카트리지 본체(10)의 정면측에서, 좌측면 집합의 해칭을 실시한 영역에서, 상부 잉크 수용실(370)과 하부 잉크 수용실(390)에 끼워지도록 구획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미충전실(501)은, 그 내부 영역의 좌측 상단 코너에, 배면측으로 관통한 대기 개방 구멍(502)이 마련되고, 상기 대기 개방 구멍(502)에 의해 외기에 연통되어 있다.
이 미충전실(501)은, 잉크 카트리지(1)를 감압 팩 포장했을 때에, 탈기용 부압을 축압한 탈기실이 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잉크 카트리지(1)에서도, 예컨대 사용 도중에 캐리지(200)로부터 분리된 잉크 카트리지(1)가 쓰러지거나, 또는 캐리지(200)에 장착된 상태에서도 외부 진동의 영향 등으로 각 잉크 수용실(370, 390, 430) 내의 잉크 액면이 흔들렸을 때, 잉크 잔량이 적은 잉크 수용실에서는, 그 수용실내의 잉크 배출구에 공기층이 접촉하고, 잉크 배출구에 연통하는 잉크 유도로에 기포(B)가 진입하는 일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잉크 카트리지(1)의 구성에 의하면, 3개의 잉크 수용실(370, 390, 430)이 강하형 접속과 상승형 접속을 갖도록 각각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잉크 공급 구멍(50)까지의 액체 유도로가 상하로 굴곡한 유로로 되어 있고, 강하형의 액체 유도로에 잔존하는 잉크(I)가 기포의 진행을 방지하는 방호벽이 된다. 그 때문에, 잉크 유도로에 진입한 기포(B)가 하류에 진행하기 어렵다.
또한, 상승형 접속이 되는 잉크 유도로는, 캐리지(200)로부터 분리된 잉크 카트리지(1)가 천지 역으로 된 것 같을 경우에는, 강하형 접속으로서 기능하고, 기포의 하류측으로의 이동을 저지한다. 즉, 잉크 카트리지(1)가 천지 역으로 되어도, 강하형 접속에 의해 기포의 하류측에의 이동을 저지하는 작용을 얻을 수 있다.
또한, 2단째 이후에 접속되는 잉크 수용실(390, 430)은 상류의 상부 잉크 수용실(370)로부터 유입해 오는 기포를 포착하는 트랩 공간으로서 기능하고, 예컨대 잉크 카트리지(1)가 옆으로 넘어짐 상태가 되고, 상하 방향에 연재되어 있는 유로가 수평방향으로 연재하는 형태로 되면, 잉크 수용실 상호의 강하형 접속이 기포의 이동 저지에 충분한 효력을 발휘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그러한 경우라도, 각 잉크 수용실(390, 430)의 상부 공간이 유입해 온 기포의 트랩 공간으로서 유효하게 기능하고, 그 잉크 수용실(390, 430)에 잔존하는 잉크(I)가 기포의 하류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방호벽으로서 기능하고, 기포의 하류에의 이동을 확실하게 저지한다.
또한, 상위의 잉크 수용실(370)로부터 잉크 유도로(380)에 기포(B)가 진입해도, 잉크 수용실 상호를 연락하는 아래로 굴곡한 잉크 유도로(380)나 잉크 수용실(390)에 사용 가능한 잉크 잔량이 있는 사이는, 잉크 유도로에 진입한 기포(B)가 잉크 잔량 센서(31)에 의한 검출 위치에 도달하는 것을 억지할 수 있고, 기포의 진입에 기인한 잉크 잔량 센서(31)의 오류 검출에 의해 다 쓸 수 없고 폐기되는 잉크량이 증가한다고 하는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상술의 잉크 카트리지(1)에서는, 하나의 카트리지 본체내에 3개의 잉크 수용실을 구획 형성하고 있었지만, 카트리지 본체내에 장비하는 잉크 수용실의 수량은 3개 이상의 임의 수의 것이 고려되고, 잉크 수용실의 장비수가 증가하는 만 큼, 기포 트랩이 다중화되어서, 기포의 하류에의 이동을 저지하는 성능이 향상한다. 특히, 액체 잔량 센서보다 상류에 있어서의 잉크 수용실이나 강하형 접속 및 상승형 접속의 장비수가 증가하는 만큼, 기포가 액체 잔량 센서에 의한 검출 위치에 도달하는 것을 확실하게 억지할 수 있다.
다음에, 이상으로 설명한 잉크 카트리지(1)내의 잉크(I)가 소진되었을 경우, 또는 소정량까지 감소했을 경우에, 그 사용 완료의 잉크 카트리지(1)에 잉크를 주입하는 방법의 일 실시형태를 도 13 및 도 1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실시형태의 재생 방법에서 사용하는 잉크 재주입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잉크 재주입 장치(600)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 본체(10)에 천공 가공에 의해 개구된 주입구(601)에 접속되는 잉크 주입 수단(610)과, 카트리지 본체(10)의 잉크 공급 구멍(50)에 접속되는 진공 흡인 수단(620)으로 구성되어 있다.
잉크 주입 수단(610)은 충전하는 잉크를 저류한 잉크 탱크(611)와, 이 잉크 탱크(611) 내의 잉크를 상기 주입구(601)에 접속된 유로(612)에 압송하는 펌프(613)와, 이 펌프(613)와 주입구(601)와의 사이에서 유로(612)를 개폐하는 밸브(614)를 구비하고 있다.
진공 흡인 수단(620)은 진공 흡인에 필요한 부압을 발생하는 진공 펌프(621)와, 이 진공 펌프(621)의 발생하는 부압을 잉크 공급 구멍(50)에 작용시키는 액체 유도로(622)와, 액체 유도로(622)의 도중에 장비되어서 진공 흡인에 의해 카트리지 본체(10)측에서 액체 유도로(622)에 유입해 온 잉크를 포착·회수하고, 잉크 미스트 등으로부터 진공 펌프(621)를 보호하는 잉크 트랩(623)과, 이 잉크 트랩(623)과 잉크 공급 구멍(50)과의 사이에서 액체 유도로(622)를 개폐하는 밸브(624)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잉크 카트리지(1)의 구조나 기능을 배려하고, 상부 잉크 수용실(370)에 연통하는 주입구(601)를 대기 연통로(150)에 형성하는 위치가, 대기 연통로(150)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액체 유도로(360)의 하류단에 위치하는 관통 구멍(372)과 대향하는 위치 부근으로 된다.
그리고, 관통 구멍(372)과 대향하는 주입구(601)는 관통 구멍(372)에 일치하도록 카트리지 본체(10)의 배면측을 덮고 있는 외표면 필름(60)에 구멍을 개구시키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주입구(601)에 삽입되는 유로(612)의 선단부는, 예컨대 관통 구멍(372)으로 가압되면, 관통 구멍(372)의 주위의 용기 벽면에 기밀하게 밀착하고, 유로(612)와 관통 구멍(372)을 기밀한 접속 상태로 하는 시일 링 등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카트리지 본체(10)상의 주입구(601)는, 대기 연통로(150)에 형성하는 주입구가 최상류의 상부 잉크 수용실(370)에 연통하는 형태이면 좋고, 주입구(601)의 장비 위치는 특히 관통 구멍(372)의 대향 위치에 한정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카트리지 본체(10)의 배면측에서 주입구(601)를 형성할 경우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잉크 수용실(370)의 영역에 대응하고, 배면측에 장비되어 있는 사행도(310)나 잉크 유도로(380)와 간섭하지 않는 적시 위치(P2)를 주입구(601) 의 장비 위치에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주입 방법은, 우선 상부 잉크 수용실(370)에 연통하도록, 주입구(601)를 대기 연통로(150)에 개구시키는 주입구 형성 공정과, 잉크 공급 구멍(50)으로부터 내부에 잔류하는 잉크 및 잔류 기체를 진공 흡인 수단(620)에 의해 흡인 제거하는 진공 흡인 공정과, 주입구(601)로부터 잉크 주입 수단(610)에 의해 소정량의 잉크를 주입하는 액체 충전 공정과, 액체 충전 공정의 종료후에 주입구(601)를 밀봉하는 밀봉 공정을 순차로 실시함으로써, 사용 완료의 잉크 카트리지(1)를 다시 사용 가능한 재생 잉크 카트리지(재생 액체 수용 용기)로서 부활시킨다.
밀봉 공정은, 구체적으로는 주입구(601)를 밀봉 필름 또는 테이프 등을 접착 또는 용착하거나, 또는 마개 등으로 기밀로 막는 처리 공정이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실시형태의 잉크 카트리지(1)의 재생 방법에서는, 잉크(I)의 주입을 위해 잉크 카트리지(1)에 실시하는 가공은, 최상류의 상부 잉크 수용실(370)에 연통하도록 연통로(150)에 잉크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601)를 개구시키는 것과, 잉크(I)의 충전후에 주입구(601)를 밀봉하는 가공으로, 어느 것이나 간단한 가공이 된다. 따라서 가공 비용이 염가로 되고, 또한 시간도 걸리지 않는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재생 방법에서는, 잉크 공급 구멍(50)으로부터 내부에 잔류하는 잉크 및 잔류 기체를 흡인 제거하는 진공 흡인 공정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주입구(601)로부터 소정량의 잉크를 주입하는 액체 충전 공정은, 카트리지 본체(10)의 각 잉크 유도로(380, 420, 440)나 각 잉크 수용실을 감압 환경으로 관리하고, 주입한 잉크를 잉크 수용실(370, 390, 430) 뿐만 아니라, 잉크 공급 구멍(50)에 이르는 모든 잉크 유도로의 구석구석까지 효율적으로 충전할 수 있다.
또한, 잉크(I)의 충전시에 혼입하는 기포도, 진공 흡인에 의해 잉크 공급 구멍(50)으로부터 외부로 배제하거나, 또는 진공 흡인에 의해 형성하는 용기내의 감압 환경에 의해, 유입한 기포를 액중에 용해·소멸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잉크(I)의 주입시에 혼입하는 기포(B)가 잉크 수용실이나 잉크 유도로에 부유하거나, 또는 유로 벽면에 부착되어서 잔존하는 일이 없고, 예컨대 액체 잔량 센서의 검출부 부근에 기포(B)가 잔존하는 것에 의해 액체 잔량 센서가 정상으로 작동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도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주입구(601)를 마련하는 위치가 최상류의 상부 잉크 수용실(370)에 연통하는 대기 연통로이기 때문에, 카트리지 본체(10)에 장비한 복수개의 모든 잉크 수용실과, 잉크 수용실 상호를 연락하는 액체 유도로에 원활하게 잉크를 주입할 수 있다.
따라서, 잉크를 주입한 재생 잉크 카트리지(1)에서는, 잉크 수용실 상호를 강하형 접속하는 액체 유도로인 잉크 유도로(380)와 상승형 접속하는 액체 유도로인 잉크 유도로(420)로, 상하로 굴곡한 유로 구조가 복원되어, 만약에 상류의 잉크 수용실(370)에서 기포(B)가 발생해도, 강하형의 액체 유도로에 잔존하는 잉크(I)가 기포의 하류로의 이동을 방지하는 방호벽이 된다. 그 때문에, 잉크 유도로(380)에 진입한 기포(B)가 하류에 진행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잉크 수용실 상호를 연락하는 상하로 굴곡한 유로에 추가해서, 하류의 각 잉크 수용실(390, 430)의 상부 공간이 유입해 온 기포의 트랩 공간으로서 유효하게 기능하고, 기포(B)가 하류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한다.
즉, 잉크 수용실 상호의 액체 유도로(380, 420)에 있어서의 기포 트랩 기능이나, 하류의 잉크 수용실(390, 430)에 의한 기포 트랩 기능이 잉크 카트리지(1)의 신규 제조시와 마찬가지로 부활한다.
따라서, 신규로 제조된 잉크 카트리지(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잉크 수용실로부터 잉크 유도로에 진입한 기포(B)가 잉크 잔량 센서(31)에 의한 검출 위치에 도달하는 것을 억지할 수 있고, 기포의 진입에 기인한 액체 잔량 센서의 오류 검출에 의해 다 쓸 수 없고 폐기되는 잉크량이 증가한다고 하는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잉크 카트리지(1)의 재생 방법에 의하면, 사용 완료의 잉크 카트리지(1)에 잉크를 주입할 때에, 잉크 카트리지(1)에의 가공이 적게 완료되고, 더구나 그 잉크 카트리지(1)의 여러가지 기능을 손상하는 일이 없이 잉크를 주입하는 것이 가능하고, 재생 잉크 카트리지(1)를 염가에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재생 방법에 의해 재생한 재생 잉크 카트리지를 제공하면, 잉크 카트리지의 용기로서의 제품 수명이 연장되기 때문에, 자원의 절약, 환경 오염의 방지에 공헌할 수 있다. 또한, 재생에 요구되는 비용이 적고, 염가에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잉크젯식 기록 장치의 운용 비용의 저하에도 공헌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주입구(601)를 마련하는 위치가 최상류의 상부 잉크 수용실(370)에 연통하는 대기 연통로이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주입구를 상부 잉크 수용실(370)과 직접 연통하도록 필름(60), 필름(80) 또는 카트리지 본체(10)에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트리지 본체(10)의 배면측을 덮고 있는 외표면 필름(60)에 구멍을 개구해서 상부 잉크 수용실(370)과 직접 연통하는 주입구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또한 커버 부재(20)를 분리하고, 필름(80)을 노출시켜, 상부 잉크 수용실(370)과 직접 연통하는 주입구를 형성하는 것도 할 수 있다. 또한, 필름(60)이 용착한 카트리지 본체(10)에 주입구를 형성하는 것도 할 수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상부 잉크 수용실(370)과 직접 연통하는 주입구를 형성했을 경우이라도, 잉크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를 개구시키는 것과, 잉크(I)의 충전후에 주입구를 밀봉하는 가공으로, 어느 것이나 간단한 가공이 된다. 따라서, 가공 비용이 염가로 되고, 또한 시간도 걸리지 않는다.
또한, 주입구를 마련하는 위치가 최상류의 상부 잉크 수용실(370)이기 때문에, 카트리지 본체(10)에 장비한 복수개의 모든 잉크 수용실과, 잉크 수용실 상호를 연락하는 액체 유도로에 원활하게 잉크를 주입할 수 있다.
따라서, 잉크를 주입한 재생 잉크 카트리지(1)에서는, 잉크 수용실 상호를 강하형 접속하는 액체 유도로인 잉크 유도로(380)와 상승형 접속하는 액체 유도로인 잉크 유도로(420)로, 상하로 굴곡한 유로 구조가 복원되어, 만약에 상류의 잉크 수용실(370)에서 기포(B)가 발생해도, 강하형의 액체 유도로에 잔존하는 잉크(I)가 기포의 하류에의 이동을 방지하는 방호벽이 된다. 그 때문에, 잉크 유도로(380)에 진입한 기포(B)가 하류에 진행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잉크 수용실 상호를 연락하는 상하로 굴곡한 유로에 추가해서, 하류의 각 잉크 수용실(390, 430)의 상부 공간이 유입되어 온 기포의 트랩 공간으로서 유효하게 기능하고, 기포(B)가 하류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한다.
즉, 잉크 수용실 상호의 액체 유도로(380, 420)에 있어서의 기포 트랩 기능이나, 하류의 잉크 수용실(390, 430)에 의한 기포 트랩 기능이 잉크 카트리지(1)의 신규 제조시와 마찬가지로 부활한다.
따라서, 신규로 제조된 잉크 카트리지(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잉크 수용실로부터 잉크 유도로에 진입한 기포(B)가 잉크 잔량 센서(31)에 의한 검출 위치에 도달하는 것을 억지할 수 있고, 기포의 진입에 기인한 액체 잔량 센서의 오류 검출에 의해 다 쓸 수 없고 폐기되는 잉크량이 증가한다고 하는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잉크 카트리지(1)에 있어서는, 한쌍의 잉크 수용실 상호를 상승형 접속으로 접속하는 잉크 유도로(420)가 상류측 잉크 엔드 센서 액체 유도로(400) 및 하류측 잉크 엔드 센서 액체 유도로(410)를 거쳐서 하부 잉크 수용실(390)과 버퍼실(430)을 접속하고 있고, 하부 잉크 수용실(390)과 버퍼실(430)은 잉크 유도로(420)에 의해 직접 접속되지 않고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액체 수용 용기는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한쌍의 액체 수용실 상호가 강하형 접속과 상승형 접속을 교대로 반복하는 직렬 형상으로 접속되어도 좋은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잉크 카트리지(1)에 있어서는, 강하형 접속의 잉크 유도로(380)의 후에 잉크 유도로(420)에서 상승형 접속으로 한 후, 상승형 접속의 잉크 유도로(440)의 후에 출구 유로(450)에서 강하형 접속으로 되어 있고, 강하형 접속과 상승형 접속을 갖는 조합(강하와 상승의 순서는 상관 없음)이 복수조 마련된 구성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액체 수용 용기가 4개 이상의 액체 수용실을 구비하는 때에는, 이것들의 액체 수용실 상호가 강하형 접속과 상승형 접속을 적어도 하나씩 갖고 있으면 좋고, 나머지의 액체 수용실 상호의 접속은 강하형 접속 또는 상승형 접속, 또는 액체의 흐름 방향이 수평류가 되는 수평형 접속 등의 다른 접속 형태를 적당히 채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제조하는 액체 수용 용기는 상기 실시형태에 도시한 잉크 카트리지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제조한 액체 수용 용기가 장착되는 용기 장착부를 구비한 액체 소비 장치도 상기 실시형태에 도시한 잉크젯식 기록 장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액체 소비 장치로서는, 액체 수용 용기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용기 장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액체 수용 용기에 저류되어 있는 액체가 장치에 공급되는 각종의 장치가 해당하고,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칼라 필터 제조에 사용할 수 있는 색재 분사 헤드를 구비한 장치, 유기 EL 디스플레이, 면 발광 디스플레이(FED) 등의 전극 형성에 사용할 수 있는 전극재(도전 페이스트) 분사 헤드를 구비한 장치, 바이오칩 제조에 이용되는 생체 유기물 분사 헤드를 구비한 장치, 정밀 피펫으로서의 시료 분사 헤드를 구비한 장치 등을 들 수 있다.

Claims (35)

  1.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실과,
    액체 소비 장치에 접속 가능한 액체 공급 구멍과,
    상기 액체 수용실에 저류되어 있는 액체를 상기 액체 공급 구멍에 유도하는 액체 유도로와,
    상기 액체 수용실을 대기에 연통시키는 대기 연통로와,
    상기 액체 유도로의 도중에 마련되고, 상기 액체 유도로에 액체가 채워져 있는 경우와 상기 액체 유도로에 기체가 유입한 경우에 상이한 신호를 출력하는 액체 잔량 센서를 구비하고,
    또한, 적어도 3개 이상의 상기 액체 수용실을 구비하는 동시에,
    이것들의 액체 수용실 상호는, 상기 액체 유도로내에서의 액체의 흐름 방향이 위로부터 아래로의 강하류가 되도록 한쌍의 액체 수용실 상호를 접속한 강하형 접속과, 상기 액체 유도로내에서의 액체의 흐름 방향이 아래로부터 위로의 상승류가 되도록 한쌍의 액체 수용실 상호를 접속한 상승형 접속을 교대로 반복하도록, 직렬 형상으로 접속되어, 상기 액체 소비 장치에 착탈 가능한 액체 수용 용기에 액체를 주입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액체 수용실에 연통하는 주입구를 상기 대기 연통로에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주입구로부터 소정량의 액체를 주입하는 공정과,
    액체 주입후에 상기 주입구를 밀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주입 방법.
  2.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실과,
    액체 소비 장치에 접속 가능한 액체 공급 구멍과,
    상기 액체 수용실에 저류되어 있는 액체를 상기 액체 공급 구멍에 유도하는 액체 유도로와,
    상기 액체 수용실을 대기에 연통시키는 대기 연통로와,
    상기 액체 유도로의 도중에 마련되고, 상기 액체 유도로에 액체가 채워져 있는 경우와 상기 액체 유도로에 기체가 유입한 경우에 상이한 신호를 출력하는 액체 잔량 센서를 구비하고,
    또한, 적어도 3개 이상의 상기 액체 수용실을 구비하는 동시에,
    이것들의 액체 수용실 상호는, 상기 액체 유도로내에서의 액체의 흐름 방향이 위로부터 아래로의 강하류가 되도록 한쌍의 액체 수용실 상호를 접속한 강하형 접속과, 상기 액체 유도로내에서의 액체의 흐름 방향이 아래로부터 위로의 상승류가 되도록 한쌍의 액체 수용실 상호를 접속한 상승형 접속을 교대로 반복하도록, 직렬 형상으로 접속되어, 상기 액체 소비 장치에 착탈 가능한 액체 수용 용기에 대하여,
    상기 액체 수용실에 연통하는 주입구를 상기 대기 연통로에 형성하고, 상기 주입구로부터 소정량의 액체를 주입하고, 액체 주입후에 상기 주입구를 밀봉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용 용기.
  3.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실과,
    액체 소비 장치에 접속 가능한 액체 공급 구멍과,
    상기 액체 수용실에 저류되어 있는 액체를 상기 액체 공급 구멍에 유도하는 액체 유도로와,
    상기 액체 수용실을 대기에 연통시키는 대기 연통로를 구비하고,
    또한, 적어도 3개 이상의 상기 액체 수용실을 구비하는 동시에,
    이것들의 액체 수용실 상호는, 상기 액체 유도로내에서의 액체의 흐름 방향이 위로부터 아래로의 강하류가 되도록 한쌍의 액체 수용실 상호를 접속한 강하형 접속과, 상기 액체 유도로내에서의 액체의 흐름 방향이 아래로부터 위로의 상승류가 되도록 한쌍의 액체 수용실 상호를 접속한 상승형 접속을 갖도록 접속되어, 상기 액체 소비 장치에 착탈 가능한 액체 수용 용기에 액체를 주입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액체 수용실에 연통하는 주입구를 상기 대기 연통로에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주입구로부터 소정량의 액체를 주입하는 공정과,
    액체 주입후에 상기 주입구를 밀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주입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강하형 접속과 상기 상승형 접속을 갖는 조합이 복수조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주입 방법.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유도로에 액체가 채워져 있는 경우와 상기 액체 유도로에 기체가 유입한 경우에 상이한 신호를 출력하는 액체 잔량 센서가, 상기 액체 유도로에 있어서 상기 강하형 접속 및 상기 상승형 접속보다 하류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주입 방법.
  6.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실과,
    액체 소비 장치에 접속 가능한 액체 공급 구멍과,
    상기 액체 수용실에 저류되어 있는 액체를 상기 액체 공급 구멍에 유도하는 액체 유도로와,
    상기 액체 수용실을 대기에 연통시키는 대기 연통로를 구비하고,
    또한, 적어도 3개 이상의 상기 액체 수용실을 구비하는 동시에,
    이것들의 액체 수용실 상호는, 상기 액체 유도로내에서의 액체의 흐름 방향이 위로부터 아래로의 강하류가 되도록 한쌍의 액체 수용실 상호를 접속한 강하형 접속과, 상기 액체 유도로내에서의 액체의 흐름 방향이 아래로부터 위로의 상승류가 되도록 한쌍의 액체 수용실 상호를 접속한 상승형 접속을 갖도록 접속되어, 상기 액체 소비 장치에 착탈 가능한 액체 수용 용기에 대하여,
    상기 액체 수용실에 연통하는 주입구를 상기 대기 연통로에 형성하고, 상기 주입구로부터 소정량의 액체를 주입하고, 액체 주입후에 상기 주입구를 밀봉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용 용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강하형 접속과 상기 상승형 접속을 갖는 조합이 복수조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용 용기.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유도로에 액체가 채워져 있는 경우와 상기 액체 유도로에 기체가 유입한 경우에 상이한 신호를 출력하는 액체 잔량 센서가, 상기 액체 유도로에 있어서 상기 강하형 접속 및 상기 상승형 접속보다 하류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용 용기.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연통로에는, 상기 액체 수용실로부터의 액누설 방지하는 공기실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용 용기.
  10.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연통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액체 용기의 중력 방향에서 가장 위가 되는 부분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용 용기.
  11. 제 6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연통로에는, 기체를 통과시키는 동시에, 액체를 통과 불가능하게 차단하는 기액 분리 필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용 용기.
  12. 제 6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부의 기압이 대기압 이하가 되도록 감압 밀봉한 감압 팩의 내부에 곤포(梱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용 용기.
  13.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실과,
    액체 소비 장치에 접속 가능한 액체 공급 구멍과,
    상기 액체 수용실과 상기 액체 공급 구멍을 연통시키는 액체 유도로와,
    상기 액체 수용실을 대기에 연통시키는 대기 연통로를 구비하고,
    또한, 적어도 3개 이상의 상기 액체 수용실을 구비하는 동시에,
    이것들의 액체 수용실 상호는, 상기 액체 유도로내에서의 액체의 흐름 방향이 위로부터 아래로의 강하류가 되도록 한쌍의 액체 수용실 상호를 접속한 강하형 접속과, 상기 액체 유도로내에서의 액체의 흐름 방향이 아래로부터 위로의 상승류가 되도록 한쌍의 액체 수용실 상호를 접속한 상승형 접속을 갖도록 접속되어, 상기 액체 소비 장치에 착탈 가능한 액체 수용 용기에 액체를 주입하는 방법으로서,
    주입구를 최상류의 액체 수용실에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주입구로부터 소정량의 액체를 주입하는 공정과,
    액체 주입후에 상기 주입구를 밀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주입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강하형 접속과 상기 상승형 접속을 갖는 조합이 복수조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주입 방법.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유도로에 액체가 채워져 있는 경우와 상기 액체 유도로에 기체가 유입한 경우에 상이한 신호를 출력하는 액체 잔량 센서가, 상기 액체 유도로에 있어서 상기 강하형 접속 및 상기 상승형 접속보다 하류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주입 방법.
  16.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실과,
    액체 소비 장치에 접속 가능한 액체 공급 구멍과,
    상기 액체 수용실과 상기 액체 공급 구멍을 연통시키는 액체 유도로와,
    상기 액체 수용실을 대기에 연통시키는 대기 연통로를 구비하고,
    또한, 적어도 3개 이상의 상기 액체 수용실을 구비하는 동시에,
    이것들의 액체 수용실 상호는, 상기 액체 유도로내에서의 액체의 흐름 방향이 위로부터 아래로의 강하류가 되도록 한쌍의 액체 수용실 상호를 접속한 강하형 접속과, 상기 액체 유도로내에서의 액체의 흐름 방향이 아래로부터 위로의 상승류가 되도록 한쌍의 액체 수용실 상호를 접속한 상승형 접속을 갖도록 접속되어, 상기 액체 소비 장치에 착탈 가능한 액체 수용 용기에 대하여,
    주입구를 최상류의 액체 수용실에 형성하고, 상기 주입구로부터 소정량의 액체를 주입하고, 액체 주입후에 상기 주입구를 밀봉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용 용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강하형 접속과 상기 상승형 접속을 갖는 조합이 복수조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용 용기.
  18.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유도로에 액체가 채워져 있는 경우와 상기 액체 유도로에 기체가 유입한 경우에 상이한 신호를 출력하는 액체 잔량 센서가, 상기 액체 유도로에 있어서 상기 강하형 접속 및 상기 상승형 접속보다 하류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용 용기.
  19. 제 16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연통로에는, 상기 액체 수용실로부터의 액누설 방지하는 공기실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용 용기.
  20. 제 16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연통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액체 용기의 중력 방향에서 가장 위가 되는 부분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용 용기.
  21. 제 16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연통로에는, 기체를 통과시키는 동시에, 액체를 통과 불가능하게 차단하는 기액 분리 필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용 용기.
  22. 제 16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부의 기압이 대기압 이하가 되도록 감압 밀봉한 감압 팩의 내부에 곤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용 용기.
  23. 액체 소비 장치에 착탈 가능하며,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실과,
    상기 액체 소비 장치에 접속 가능한 액체 공급부와,
    상기 액체 수용부와 상기 액체 공급부를 연통시키는 액체 유도로와,
    상기 액체 수용부를 대기에 연통시키는 대기 연통로를 구비하고,
    또한, 적어도 3개 이상의 상기 액체 수용실을 구비하는 동시에,
    이것들의 액체 수용실 상호는, 상기 액체 유도로내에서의 액체의 흐름 방향이 위로부터 아래로의 강하류가 되도록 한쌍의 액체 수용실 상호를 접속한 강하형 접속과, 상기 액체 유도로내에서의 액체의 흐름 방향이 아래로부터 위로의 상승류가 되도록 한쌍의 액체 수용실 상호를 접속한 상승형 접속을 갖도록 접속된 액체 수용 용기로서,
    또한, 상기 대기 연통로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필름 부재와,
    상기 대기 연통로를 형성하는 필름 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액체 수용부에 연통하는 주입구를 밀봉하는 밀봉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용 용기.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는 필름 또는 마개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용 용기.
  25. 제 23 항 또는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유도로에 마련되고, 상기 액체 유도로에 액체가 채워져 있는 경우와 상기 액체 유도로에 기체가 유입한 경우에 상이한 신호를 출력하는 액체 검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용 용기.
  26. 액체 소비 장치에 착탈 가능하며,
    적어도 3개 이상의 액체 수용부와,
    상기 액체 소비 장치에 접속 가능한 액체 공급부와,
    상기 액체 수용부와 상기 액체 공급부를 연통시키는 액체 유도로와,
    상기 액체 수용실을 대기에 연통시키는 대기 연통로를 구비하고,
    이것들의 액체 수용실 상호는, 상기 액체 유도로내에서의 액체의 흐름 방향이 위로부터 아래로의 강하류가 되도록 한쌍의 액체 수용실 상호를 접속한 강하형 접속과, 상기 액체 유도로내에서의 액체의 흐름 방향이 아래로부터 위로의 상승류가 되도록 한쌍의 액체 수용실 상호를 접속한 상승형 접속을 갖도록 접속된 액체 수용 용기로서,
    또한, 최상류의 액체 수용실을 형성하는 필름 부재와,
    상기 필름 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액체 수용부에 연통하는 주입구를 밀봉하는 밀봉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용 용기.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는 필름 또는 마개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용 용기.
  28. 제 26 항 또는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유도로에 마련되고, 상기 액체 유도로에 액체가 채워져 있는 경우와 상기 액체 유도로에 기체가 유입한 경우에 상이한 신호를 출력하는 액체 검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용 용기.
  29.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실과,
    액체 소비 장치에 접속 가능한 액체 공급 구멍과,
    상기 액체 수용실에 저류되어 있는 액체를 상기 액체 공급 구멍에 유도하는 액체 유도로와,
    상기 액체 수용실을 대기에 연통시키는 대기 연통로와,
    상기 액체 유도로의 도중에 마련되고, 상기 액체 유도로에 액체가 채워져 있는 경우와 상기 액체 유도로에 기체가 유입한 경우에 상이한 신호를 출력하는 액체 잔량 센서를 구비하고,
    또한, 적어도 3개 이상의 상기 액체 수용실을 구비하는 동시에,
    이것들의 액체 수용실 상호는, 상기 액체 유도로내에서의 액체의 흐름 방향이 위로부터 아래로의 강하류가 되도록 한쌍의 액체 수용실 상호를 접속한 강하형 접속과, 상기 액체 유도로내에서의 액체의 흐름 방향이 아래로부터 위로의 상승류가 되도록 한쌍의 액체 수용실 상호를 접속한 상승형 접속을 교대로 반복하도록, 직렬 형상으로 접속되어, 상기 액체 소비 장치에 착탈 가능한 액체 수용 용기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액체 수용실에 연통하는 주입구를 상기 대기 연통로에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주입구로부터 소정량의 액체를 주입하는 공정과,
    액체 주입후에 상기 주입구를 밀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용 용기의 제조 방법.
  30.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실과,
    액체 소비 장치에 접속 가능한 액체 공급 구멍과,
    상기 액체 수용실에 저류되어 있는 액체를 상기 액체 공급 구멍에 유도하는 액체 유도로와,
    상기 액체 수용실을 대기에 연통시키는 대기 연통로를 구비하고,
    또한, 적어도 3개 이상의 상기 액체 수용실을 구비하는 동시에,
    이것들의 액체 수용실 상호는, 상기 액체 유도로내에서의 액체의 흐름 방향이 위로부터 아래로의 강하류가 되도록 한쌍의 액체 수용실 상호를 접속한 강하형 접속과, 상기 액체 유도로내에서의 액체의 흐름 방향이 아래로부터 위로의 상승류가 되도록 한쌍의 액체 수용실 상호를 접속한 상승형 접속을 갖도록 접속되어, 상기 액체 소비 장치에 착탈 가능한 액체 수용 용기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액체 수용실에 연통하는 주입구를 상기 대기 연통로에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주입구로부터 소정량의 액체를 주입하는 공정과,
    액체 주입후에 상기 주입구를 밀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용 용기의 제조 방법.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강하형 접속과 상기 상승형 접속을 갖는 조합이 복수조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용 용기의 제조 방법.
  32. 제 30 항 또는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유도로에 액체가 채워져 있는 경우와 상기 액체 유도로에 기체가 유입한 경우에 상이한 신호를 출력하는 액체 잔량 센서가, 상기 액체 유도로에 있어서 상기 강하형 접속 및 상기 상승형 접속보다 하류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용 용기의 제조 방법.
  33.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실과,
    액체 소비 장치에 접속 가능한 액체 공급 구멍과,
    상기 액체 수용실과 상기 액체 공급 구멍을 연통시키는 액체 유도로와,
    상기 액체 수용실을 대기에 연통시키는 대기 연통로를 구비하고,
    또한, 적어도 3개 이상의 상기 액체 수용실을 구비하는 동시에,
    이것들의 액체 수용실 상호는, 상기 액체 유도로내에서의 액체의 흐름 방향이 위로부터 아래로의 강하류가 되도록 한쌍의 액체 수용실 상호를 접속한 강하형 접속과, 상기 액체 유도로내에서의 액체의 흐름 방향이 아래로부터 위로의 상승류가 되도록 한쌍의 액체 수용실 상호를 접속한 상승형 접속을 갖도록 접속되어, 상기 액체 소비 장치에 착탈 가능한 액체 수용 용기의 제조 방법으로서,
    주입구를 최상류의 액체 수용실에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주입구로부터 소정량의 액체를 주입하는 공정과,
    액체 주입후에 상기 주입구를 밀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용 용기의 제조 방법.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강하형 접속과 상기 상승형 접속을 갖는 조합이 복수조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용 용기의 제조 방법.
  35. 제 33 항 또는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유도로에 액체가 채워져 있는 경우와 상기 액체 유도로에 기체가 유입한 경우에 상이한 신호를 출력하는 액체 잔량 센서가, 상기 액체 유도로에 있어서 상기 강하형 접속 및 상기 상승형 접속보다 하류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용 용기의 제조 방법.
KR1020097002749A 2006-08-11 2007-08-10 액체 주입 방법 및 액체 수용 용기 KR1010241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220755 2006-08-11
JP2006220755A JP4992338B2 (ja) 2006-08-11 2006-08-11 液体収容容器の製造方法
JP2006220762 2006-08-12
JPJP-P-2006-220762 2006-08-12
JPJP-P-2007-186992 2007-07-18
JP2007186992A JP5125277B2 (ja) 2006-08-12 2007-07-18 液体注入方法及び液体収容容器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7467A true KR20090047467A (ko) 2009-05-12
KR101024158B1 KR101024158B1 (ko) 2011-03-22

Family

ID=38543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2749A KR101024158B1 (ko) 2006-08-11 2007-08-10 액체 주입 방법 및 액체 수용 용기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8235513B2 (ko)
EP (2) EP2050570B1 (ko)
KR (1) KR101024158B1 (ko)
AR (1) AR062342A1 (ko)
AT (1) ATE540817T1 (ko)
AU (1) AU2007282345B2 (ko)
BR (1) BRPI0716484A2 (ko)
CA (1) CA2660430A1 (ko)
CL (1) CL2007002335A1 (ko)
DE (1) DE102007037915A1 (ko)
ES (1) ES2377212T3 (ko)
FR (1) FR2915707A1 (ko)
GB (2) GB2440837B (ko)
HK (1) HK1117469A1 (ko)
MX (1) MX2009001581A (ko)
MY (1) MY149588A (ko)
PL (1) PL2050570T3 (ko)
TW (1) TWI328524B (ko)
WO (1) WO20080186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70212B2 (ja) * 2005-03-14 2011-09-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体
JP4985501B2 (ja) * 2008-03-21 2012-07-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供給システム及びそのための製造方法
JP4985500B2 (ja) * 2008-03-21 2012-07-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供給システム及びそのための製造方法
JP2010023247A (ja) * 2008-07-15 2010-02-04 Seiko Epson Corp 液体供給システム及びそのための製造方法
JP5338547B2 (ja) * 2009-07-31 2013-11-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流体噴射装置、及び、流体噴射方法
JP5728959B2 (ja) 2010-03-25 2015-06-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
RU2533107C2 (ru) 2010-07-15 2014-11-20 Сейко Эпсон Корпорейшн Контейнер для жидкости и система выталкивания жидкости
JP6155556B2 (ja) * 2012-05-31 2017-07-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の製造方法
WO2014024458A1 (ja) 2012-08-10 2014-02-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体、液体消費装置、液体供給システム、液体収容体ユニット
JP6102149B2 (ja) 2012-08-31 2017-03-2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の製造方法、液体収容容器
JP6102150B2 (ja) 2012-08-31 2017-03-2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の製造方法、液体収容容器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13979B2 (ja) 1994-09-16 2004-03-3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用インクカートリッジ
US5790158A (en) * 1992-01-28 1998-08-04 Seiko Epson Corporation Ink-jet recording apparatus and ink tank cartridge therefor
US5790157A (en) * 1993-08-31 1998-08-04 Canon Kabushiki Kaisha Ink filling method and apparatus for ink cartridge
JP3713632B2 (ja) * 1994-12-28 2005-11-09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US5721576A (en) * 1995-12-04 1998-02-24 Hewlett-Packard Company Refill kit and method for refilling an ink supply for an ink-jet printer
US5774530A (en) * 1996-02-09 1998-06-30 Bell Atlantic Network Services, Inc. Telecommunications network circuit usage measurement
JP3513377B2 (ja) * 1996-12-05 2004-03-31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への液体充填方法、該充填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充填ユニットと該充填方法により製造された液体収容容器、及び液体吐出記録装置
JPH11207990A (ja) * 1998-01-30 1999-08-03 Fuji Xerox Co Ltd インク補充装置およびインク補充方法
EP1016533B3 (en) * 1998-07-15 2011-08-31 Seiko Epson Corporation Ink supply unit
JP3925038B2 (ja) 1999-05-20 2007-06-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容器
EP1679196B1 (en) * 2000-06-15 2008-05-07 Seiko Epson Corporation Liquid charging method, liquid contain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3685262B2 (ja) 2000-10-20 2005-08-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用インクカートリッジ
ES2306687T3 (es) * 2000-10-20 2008-11-16 Seiko Epson Corporation Cartucho de tinta para un dispositivo de registro de inyeccion de tinta.
SG148861A1 (en) * 2001-05-17 2009-01-29 Seiko Epson Corp Ink cartridge and method of ink injection thereinto
ATE367271T1 (de) * 2001-05-17 2007-08-15 Seiko Epson Corp Tintenkartusche und tintenstrahlaufzeichnungsgerät das diese verwendet
CN2611150Y (zh) * 2001-05-17 2004-04-14 精工爱普生株式会社 墨盒
EP1314565B1 (en) * 2001-11-26 2006-09-20 Seiko Epson Corporation Ink cartridge and ink jet record apparatus using ink cartridge
DE60300624T2 (de) * 2002-02-14 2006-04-27 Seiko Epson Corp. Tintenbehälter und Tintenstrahldrucker
JP3772859B2 (ja) * 2002-07-09 2006-05-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カートリッジおよびインクカートリッジ減圧包装品
JP2004167692A (ja) 2002-11-15 2004-06-17 Sharp Corp インクタンク及びそのインクエンプティ検知方法
EP1852260A1 (en) * 2002-12-10 2007-11-07 Seiko Epson Corporation Liquid cartridge
JP4182491B2 (ja) * 2003-01-21 2008-11-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カートリッジ
KR100526199B1 (ko) * 2003-10-09 2005-11-08 주식회사 프린톤 잉크카트리지의 잉크리필방법
US8070272B2 (en) * 2004-06-16 2011-12-06 Seiko Epson Corporation Liquid container adapted to be mounted on a carriage to reciprocate together with a liquid ejecting head
JP4715115B2 (ja) * 2004-06-23 2011-07-0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充填方法
JP2006069233A (ja) 2004-08-31 2006-03-16 Toyo Tire & Rubber Co Ltd ゴムブッシュ付きスタビライザーバーの製造方法
AR051513A1 (es) * 2004-11-29 2007-01-17 Seiko Epson Corp Metodo para cargar liquido en un cartucho dispositivo de carga de liquido y cartucho
JP4770212B2 (ja) 2005-03-14 2011-09-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体
JP4735344B2 (ja) * 2005-03-28 2011-07-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体
JP4682862B2 (ja) * 2005-03-31 2011-05-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体及びその液体充填方法
US7635180B2 (en) * 2005-09-29 2009-12-22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k cartridge
JP4793163B2 (ja) * 2005-11-30 2011-10-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
CN101817261B (zh) * 2006-03-24 2013-01-23 精工爱普生株式会社 墨水容器
WO2007122793A1 (ja) * 2006-03-24 2007-11-01 Seiko Epson Corporation 液体収容容器
US8141992B2 (en) * 2006-03-24 2012-03-27 Seiko Epson Corporation Liquid storage container
JP4407678B2 (ja) 2006-08-12 2010-02-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注入方法及び液体収容容器
KR100936840B1 (ko) * 2006-08-11 2010-01-14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액체 주입 방법, 액체 수용 용기 및 액체 수용 용기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7282345B2 (en) 2010-12-02
BRPI0716484A2 (pt) 2014-03-18
CL2007002335A1 (es) 2008-04-18
GB0715668D0 (en) 2007-09-19
AR062342A1 (es) 2008-10-29
EP2353873A1 (en) 2011-08-10
US8235513B2 (en) 2012-08-07
ATE540817T1 (de) 2012-01-15
CA2660430A1 (en) 2008-02-14
HK1117469A1 (en) 2009-01-16
TWI328524B (en) 2010-08-11
PL2050570T3 (pl) 2012-05-31
EP2050570B1 (en) 2012-01-11
FR2915707A1 (fr) 2008-11-07
US20080036833A1 (en) 2008-02-14
KR101024158B1 (ko) 2011-03-22
EP2050570A1 (en) 2009-04-22
GB0814989D0 (en) 2008-09-24
WO2008018602A1 (en) 2008-02-14
GB2440837B (en) 2009-03-18
GB2451194A8 (en) 2009-02-25
GB2451194A (en) 2009-01-21
MY149588A (en) 2013-09-13
GB2440837A (en) 2008-02-13
TW200827176A (en) 2008-07-01
ES2377212T3 (es) 2012-03-23
AU2007282345A1 (en) 2008-02-14
MX2009001581A (es) 2009-04-24
DE102007037915A1 (de) 2008-02-14
EP2050570A4 (en) 2010-11-03
GB2451194B (en) 200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4158B1 (ko) 액체 주입 방법 및 액체 수용 용기
KR100936840B1 (ko) 액체 주입 방법, 액체 수용 용기 및 액체 수용 용기의 제조 방법
JP5125277B2 (ja) 液体注入方法及び液体収容容器の製造方法
JP4407678B2 (ja) 液体注入方法及び液体収容容器
JP4992338B2 (ja) 液体収容容器の製造方法
JP4349474B2 (ja) 液体収容容器
KR100938315B1 (ko) 액체 수용용기의 액체 주입 방법 및 액체 수용용기
JP4371175B2 (ja) 液体収容容器
JP5282841B2 (ja) 液体収容容器
JP4380671B2 (ja) 液体収容容器の製造方法
KR20080014664A (ko) 액체 주입 방법 및 액체 수용 용기
JP4424442B2 (ja) 液体収容容器
JP5126187B2 (ja) 液体収容容器
KR20080014688A (ko) 액체 주입 방법 및 액체 수용 용기
JP2008044192A (ja) 液体注入方法及び液体収容容器
JP2008044199A (ja) 液体収容容器
JP2008044200A (ja) 液体注入方法及び液体収容容器
JP4780177B2 (ja) 液体収容容器
JP2008044197A (ja) 液体収容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