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6736A - 페닐 아크릴레이트 - Google Patents

페닐 아크릴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6736A
KR20090046736A KR1020080109523A KR20080109523A KR20090046736A KR 20090046736 A KR20090046736 A KR 20090046736A KR 1020080109523 A KR1020080109523 A KR 1020080109523A KR 20080109523 A KR20080109523 A KR 20080109523A KR 20090046736 A KR20090046736 A KR 200900467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acrylate
carbon
weight
molec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9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6412B1 (ko
Inventor
준지 모리모토
다츠미 누노
도요모치 다마토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46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6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6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6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27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9/00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07C69/02Esters of acyclic 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having the carboxyl group bound to an acyclic carbon atom or to hyd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9/00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07C69/52Esters of acyclic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having the esterified carboxyl group bound to an acyclic carbon atom
    • C07C69/533Monocarboxylic acid ester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7C69/54Acrylic acid esters; Methacrylic acid est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05Production of optical devices or components in so far as characterised by the lithographic processes or materials used therefor
    • G03F7/001Phase modulating patterns, e.g. refractive index patter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한 헤이즈를 제공하는 광 제어 필름, 및 그 필름을 제조할 수 있게 하는 화합물 및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식 (I)로 표현되는 페닐 아크릴레이트; 페닐 아크릴레이트 및 분자 중에 중합성 탄소-탄소 결합을 가지는 적어도 2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상술된 조성물을 광경화하여 획득한 필름을 제공한다.
Figure 112008076800519-PAT00001
(I)
(식 중, R은 메틸기 또는 수소 원자를 나타낸다)
광 제어 필름, 광경화, 페닐 아크릴레이트

Description

페닐 아크릴레이트{PHENYL ACRYLATE}
본 발명은 페닐 아크릴레이트, 페닐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광경화하여 획득한 필름에 관한 것이다.
광 제어 필름은 특정 각도 영역 (불투명한 각도 영역) 으로부터의 입사광을 산란시켜 높은 헤이즈 (불투명성) 를 제공하고, 다른 각도 영역 (투명한 각도 영역) 으로부터의 입사광을 투과시켜 낮은 헤이즈 (투명성) 를 제공하는 필름이다. 광 제어 필름은 사생활 보호를 위해 현금 자동지급기의 터치 패널, 및 윈도우 글래스에 그 필름을 적용하여 시야각 제어 필름으로 사용되어 왔고, 평판 디스플레이의 시야각 확대 필름으로 사용되어 왔다.
특허 문헌 1은, 광 제어 필름으로서, 2-히드록시-3-페녹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광경화하여 획득한 필름이 높은 헤이즈를 제공함을 개시한다.
특허 문헌 1: JP-A 2001-228334 (실시예 1)
본 발명의 목적은 더욱 높은 헤이즈를 제공하는 광 제어 필름을 제조가능하게 하는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하기의 [1] ~ [7]을 제공한다.
[1] 식 (I)로 표현되는 페닐 아크릴레이트:
Figure 112008076800519-PAT00002
(I)
(식 중, R은 메틸기 또는 수소 원자를 나타낸다)
[2] [1]에 기재된 페닐 아크릴레이트 및 분자 중에 중합성 탄소-탄소 결합을 가지는 적어도 2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3] 분자 중에 중합성 탄소-탄소 결합을 가지는 적어도 2종의 화합물은, 호모폴리머로 중합되는 경우, 상이한 굴절률을 발현하는 적어도 2종의 호모폴리머가 되는 화합물인, [2]에 기재된 조성물.
[4] 조성물은 중합 개시제를 더 포함하는, [2] 또는 [3]에 기재된 조성물.
[5] 분자 중에 중합성 탄소-탄소 결합을 가지는 적어도 2종의 화합물은, 분 자 중에 하나의 중합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 및 브롬 원자를 가지는 화합물, 및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인, [2]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조성물.
[6] 조성물은, 페닐 아크릴레이트의 100중량부 전체에 대해 0.001 ~ 15 중량부인 [1]에 기재된 페닐 아크릴레이트 및 분자 중에 중합성 탄소-탄소 결합을 가지는 적어도 2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2]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조성물.
[7] [2]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조성물을 광 경화하여 획득한 필름.
본 발명에 의한 화합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광 제어 필름은 더욱 높은 헤이즈를 제공할 수 있다.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모드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식 (I) (이하, 일부의 경우에서는 화합물 (I)로 칭함) 로 표현되는 페닐 아크릴레이트이다.
Figure 112008076800519-PAT00003
(I)
식 (I)에서, R은 메틸기 또는 수소 원자를 나타낸다.
화합물 (I)은 구체적으로 2,4-디-tert-펜틸페닐 아크릴레이트 또는 2,4-디-tert-펜틸페닐 메타크릴레이트이고, 바람직하게는 2,4-디-tert-펜틸페닐 아크릴레이트이다.
화합물 (I)의 제조 방법은 2,4-디-tert-펜틸페닐 아크릴레이트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 방법의 예는 트리에틸아민 등의 유기 염기의 존재시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2,4-디-tert-펜틸페놀 및 아크릴산을 반응시킴으로써 에스테르화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합물 (I) 및 분자 중에 중합성 탄소-탄소 결합을 가지는 적어도 2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그 조성물 내에 포함된 분자 중에 중합성 탄소-탄소 결합을 가지는 적어도 2종의 화합물은, 각 화합물의 단일중합 (homopolymerization) 으로 획득된 호모폴리머가 상이한 굴절률을 가지는 화합물이다.
본 명세서에서 중합성 탄소-탄소 결합은 첨가 중합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 또는 첨가 중합성 탄소-탄소 삼중 결합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그 예는 비닐기, 알릴기, 스티릴기, 아크릴로일기, 메타크릴로일기, 아크릴아미드기, 트랜스-1-옥소-2-부테녹시기, 신나모일기, 부타디엔 구조, 중합성 공액 결합, 및 시클로펜텐 환구조 등의 시클로올레핀 구조를 포함한다. 그 중에서, 중합성 탄소-탄소 결합은 바람직하게 아크릴로일기 또는 메타크릴로일기이고, 특히 바람직하게 아크릴로일기이다.
분자 중에 중합성 탄소-탄소 결합을 가지는 적어도 2종의 화합물 각각의 단일 중합에 의해 획득된 호모폴리머 중에서, 적어도 2종의 호모폴리머는 상이한 굴절률을 가진다.
적어도 2종의 호모폴리머의 굴절률 차가 더 커짐에 따라, 형성된 필름의 헤이즈는 더 커진다. 굴절률 차는 보통 0.01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0.02 이상이다.
분자 중에 중합성 탄소-탄소 결합을 가지는 3종 이상의 화합물이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고, 그러한 경우, 그 화합물의 호모폴리머 중에서 적어도 2종의 호모폴리머의 굴절률이 상이하면 충분하다.
상이한 굴절률을 가지는 2종의 호모폴리머를 제공하는, 분자 중에 중합성 탄소-탄소 결합을 가지는 2종의 화합물의 혼합비는 보통 중량으로 (1:9) ~ (9:1) 의 범위이다.
분자 중에 중합성 탄소-탄소 결합을 가지는 적어도 2종의 화합물의 예는 모노머 및 올리고머를 포함한다.
모노머의 예는 분자 중에 하나의 중합성 탄소-탄소 결합을 가지는 화합물을 포함하고,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 아크릴레이트, 에틸 카르비톨 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옥시에틸 아크릴레이트, 페닐 카르비톨 아크릴레이트, 노닐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페녹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ω-히드록시헥사노일옥시에틸 아크릴레이트, 아크릴로일옥시에틸 숙시네이트, 아크릴로일옥시에틸 프탈레이트, 이소보르닐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라우릴 아크릴레이트, 2,2,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N-비닐피롤리돈, N-아크릴로일모르폴린, 2-페닐페닐 아크릴레이트, p-쿠밀페닐 아크릴레이트, 디페닐메틸 아크릴레이트, 3-페녹시페닐 아크릴레이트, 및 이들 아크릴레이트들에 상응하는 메타크릴레이트 모노머, 그리고 스티렌과 에틸렌과 같이 분자 중에 중합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가지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모노머의 다른 예는 분자 중에 하나의 중합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 및 브롬 원자를 가지는 화합물을 포함하며, 2,4,6-트리브로모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2,4,6-트리브로모페닐 아크릴레이트 (이하, 일부 경우에서는 브로모 타입 (메타)아크릴레이트라 칭함) 등을 들 수 있다.
그 또다른 예는 분자 중에 복수의 중합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가지는 화합물을 포함하며, 비스페놀 A 디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수소화 디시클로펜타디에닐 디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헥사크릴레이트, 에틸렌 옥사이드-변성 (oxide-modified) 비스페놀 A 디아크릴레이트, 트리스아크릴옥시 이소시아누레이트, 다관능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및 다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이들 아크릴레이트에 상응하는 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비스알릴 카르보네이트, 디비닐벤젠, 부타디엔, 및 트리알릴 이소시아누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올리고머의 예는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폴리올 폴리아크릴레이트, 변성 폴리올 폴리아크릴레이트, 이소시아누르산 골격을 가지는 폴리아크릴레이트, 멜 라민 아크릴레이트, 히단토인 골격을 가지는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부타디엔 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및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와 같은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및 이들 아크릴레이트에 상응하는 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한다.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예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폴리올, 및 2-히드록시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의 첨가 반응으로 제조된 것들을 포함한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예는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이다. 폴리올의 예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및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 등의 폴리에테르 폴리올을 포함한다.
분자 중에 중합성 탄소-탄소 결합을 가지는 적어도 2종의 화합물은 미리 중합되어 올리고머 또는 폴리머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 내에서의, 분자 중에 중합성 탄소-탄소 결합을 가지는 적어도 2종의 화합물은 브로모 타입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 내에서의, 화합물 (I)의 함량은 조성물의 100중량부 전체에 대해서 0.001 중량부 이상 15 중량부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부 이상 12 중량부 이하이다. 그 함량은, 형성된 필름의 불투명한 각도 영역에서의 헤이즈 곡선의 최소값이 크고, 불투명한 각도 영역이 확대되기 때문에, 0.1 중량부 이상 8 중량부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화합물 (I)이 0.01 중량부 이상의 양으로 포함되는 경우, 바람직하게도, 형성된 필름은 불투명한 각도 영역에서 더욱 높은 헤이즈를 제공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그 양이 15 중량부 이하인 경우, 바람직하게도, 형성된 필름은 투명한 각도 영역에서 충분히 낮은 헤이즈를 제공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광 제어력이 억제되지 않는 한, 화합물 (I) 및 분자 중에 중합성 탄소-탄소 결합을 가지는 적어도 2종의 화합물 이외에,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 알코올 및 나일론 등의 폴리머, 톨루엔, n-헥산, 시클로헥산, 메틸 알코올, 에틸 알코올, 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 테트라히드로푸란, 에틸 아세테이트,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및 아세토니트릴 등의 유기 화학물질, 유기 할라이드 화합물, 유기 실리콘 화합물, 그리고 가소제 및 안정화제 등의 플라스틱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필름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광경화하여 획득한다. 그 제조 방법의 예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유리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판 등의 기판 상에 코팅하여 필름상 조성물 (비경화 상태) 을 획득하고, 그 후 형성된 조성물을 광경화하는 방법; 및 본 발명의 조성물을 셀 내에 밀봉하여 필름상 조성물 (비경화 상태) 을 획득하고, 그 후 형성된 조성물을 광경화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비경화 상태의 필름상 조성물은 보통 약 25㎛ ~ 1000㎛의 두께, 5㎝ ~ 300㎝의 폭, 5㎝ ~ 수백 미터의 길이를 가지도록 조절된다.
셀 내에 밀봉하여 획득된 조성물과 같이 산소가 분리되는 조성물은 반드시 광중합 개시제를 요구하는 것은 아니지만, 기판 상에 코팅하는 방법의 경우 경화성 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광중합 개시제를 미리 혼합한다.
광중합 개시제의 예는 벤조페논, 벤질, 미클러 케톤(Michler's ketone), 2-클로로티오크산톤, 2,4-디에틸티오크산톤, 벤조인 메틸 에테르, 벤조인 에틸 에테르, 디에톡시 아세토페논, 벤질 디메틸 케탈, 2-히드록시-2-메틸프로피오페논, 및 1-히드록시시클로헥실 페닐 케톤을 포함한다.
광중합 개시제가 조성물에 첨가되는 경우, 그 혼합량은 필름상 조성물의 100 중량부에 대해서 보통 약 0.01 ~ 5 중량부이고, 바람직하게 약 0.1 ~ 3 중량부이다.
광중합 방법의 예는, 도 2의 자외선 경화 장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대형 광원 (2) 으로부터 차광판 (3) 의 슬릿 (4) 을 통해 수직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고, 유리판 상에 코팅된 필름상 조성물 (1) 을 콘베이어 (5) 상에 탑재하고, 그리고 약 0.01 ~10 m/min, 바람직하게는 0.1 ~ 5m/min 으로 유리판을 이동시키면서 조성물을 점차 경화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자외선 광원의 예는 고압 수은 램프 및 금속 할라이드 램프를 포함하고, 광원 형태의 예는 간단한 막대형 광원 등의 선형 광원, 선상으로 연속 배열된 다수의 점광원, 및 회전 거울 또는 오목 거울을 사용하여 레이저 빔 등의 광으로 조성물을스캔 (광을 선상으로 이동시키면서 다수의 상이한 각도로부터 조사되는 소정 위치에서의 일 지점으로의 광 조사) 하는 광원을 포함한다. 그 중에서, 막대형 광원이 다루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필름은 유리판 및 다른 플라스틱 시트와 같은 투명 기판 상에 커 버하거나 또는 투명 기판 상에 도포함으로써 라미네이트로서 사용될 수 있다. 형성된 라미네이트는, 예를 들어, 건축 자재의 윈도우, 자동차 윈도우, 거울, 그린하우스용 외벽, 평판 디스플레이, 및 리어 (rear)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의 광학 필름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더욱 높은 헤이즈를 제공하는 광 제어 필름을 제조할 수 있게 하는 화합물이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헤이즈는 적분구 타입 광 투과율 측정 장치 (헤이즈-가드 플러스 4725, Gardner 제작) 를 사용하여 필름의 중심으로부터 적분구까지 4cm 거리에서 필름의 전체 광 투과율 및 확산 광 투과율을 측정하고 하기 식에 따라 계산함으로써 획득한 값이다.
Figure 112008076800519-PAT00004
확산 투과율 = 전체 광 투과율 - 평행 광 투과율
필름에서의 헤이즈의 각도 의존성은 다음과 같이 측정된다. 즉, 상술한 헤이즈는, 필름의 시험편 (1) 에 대한 입사광의 각도 θ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0 ~ 180°범위에서 변하면서, 모든 각도에서 측정된다. 각도 θ는 시험편 (1) 의 평면에 평행한 방향에서 0°로 설정되고, 시험편 (1) 의 법선 방향에서 90°로 설정되며, 그리고 시험편 (1) 의 회전은 헤이즈의 각도 의존성이 최대가 되는 방향에서 수행된다. 도 1에서의 A 및 B는 도 1의 좌측 도면 (시험편 (1) 에 대한 수직 방향에서의 입사광의 경우: θ=90°) 및 도 1의 우측 도면 (경사 방향에서의 입사광의 경우) 에 대해서 시험편 (1) 의 상응 부분을 알게 하기 위한 부호이다.
(실시예 1)
평균 분자량 약 3,000인 폴리프로필렌 글리콜을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와 반응시켜 획득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화합물 (2), 화합물 (2) 의 호모폴리머의 굴절률은 1.460) 의 40중량부, 2,4,6-트리브로모페닐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1), 화합물 (1) 의 호모폴리머의 굴절률은 1.58) 의 55중량부, 2,4-디-tert-펜틸페닐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I-1)) 의 5중량부, 및 2-히드록시-2-메틸프로피오페논 (광경화 개시제) 의 1.5중량부를 포함하는 광 경화성 조성물을, 유리판에 도포되어 있는 188㎛ 두께의 PET 필름 상에 240㎛ 두께로 코팅한다. 80 W/cm의 막대형 고압 수은 램프를 형성된 필름상 조성물 (비경화 상태) 상의 50cm 부분에 세팅하고, 코팅된 필름을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유리판을 1.0m/min 속도로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슬릿을 구비한 차광판을 통해 코팅된 필름의 전체 표면에 광을 조사하여 (도 2 참조)필름을 획득한다. 헤이즈의 입사광 각도 의존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된다. 획득된 각도 의존성 헤이즈 곡선으로부터 산출된 최대 헤이즈 (%) 는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2,4,6-트리브로모페닐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1)) 의 55 중량부 및 2,4-디-tert-펜틸페닐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I-1)) 의 5 중량부 대신에, 2,4,6-트리브로모페닐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1)) 의 50 중량부 및 2,4-디-tert-펜틸페닐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I-1)) 의 10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필름을 획득한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2,4-디-tert-펜틸페닐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I)) 의 10 중량부 대신에, 2-히드록시-3-페녹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I')) 의 10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에 따라 필름을 획득한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화합물 (1) 화합물 (2) 화합물 (I-1) 화합물 (I') 최대 헤이즈 (%)
실시예 1 55 중량부 40 중량부 5 중량부 0 중량부 86.4
실시예 2 50 중량부 40 중량부 10 중량부 0 중량부 78.7
비교예 1 50 중량부 40 중량부 0 중량부 10 중량부 75.8
화합물 (1): 2,4,6-트리브로모페닐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2):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화합물 (I-1): 2,4-디-tert-펜틸페닐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I'): 2-히드록시-3-페녹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본 발명에 따르면, 더욱 높은 헤이즈를 제공하는 광 제어 필름을 제조할 수 있게 하는 화합물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헤이즈의 각도 의존성 측정 방법의 개략도.
도 2는 자외선 경화 장치의 측면도 (좌측), 및 자외선 경화 장치의 사시도 (우측).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유리판 상의 필름
2 광원 (막대형 자외선 램프)
3 차광판
4 차광판에 구비된 슬릿
5 콘베이어

Claims (7)

  1. 식 (I),
    Figure 112008076800519-PAT00005
    (I)
    (식 중, R은 메틸기 또는 수소 원자이다)
    로 표현되는, 페닐 아크릴레이트.
  2. 제 1 항에 기재된 페닐 아크릴레이트 및
    분자 중에 중합성 탄소-탄소 결합을 가지는 적어도 2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자 중에 중합성 탄소-탄소 결합을 가지는 적어도 2종의 화합물은,
    호모폴리머로 중합되는 경우, 상이한 굴절률을 발현하는 호모폴리머가 되는 화합물인, 조성물.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중합 개시제를 더 포함하는, 조성물.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자 중에 중합성 탄소-탄소 결합을 가지는 적어도 2종의 화합물은,
    분자 중에 하나의 중합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 및 브롬 원자를 가지는 화합물, 및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인, 조성물.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페닐 아크릴레이트의 100중량부 전체에 대해 0.001 ~ 15 중량부인 제 1 항에 기재된 페닐 아크릴레이트 및
    상기 분자 중에 중합성 탄소-탄소 결합을 가지는 적어도 2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7.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을 광 경화하여 획득한, 필름.
KR1020080109523A 2007-11-06 2008-11-05 페닐 아크릴레이트 KR1015564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288166 2007-11-06
JP2007288166 2007-11-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6736A true KR20090046736A (ko) 2009-05-11
KR101556412B1 KR101556412B1 (ko) 2015-10-01

Family

ID=40380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9523A KR101556412B1 (ko) 2007-11-06 2008-11-05 페닐 아크릴레이트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956115B2 (ko)
EP (1) EP2060558B1 (ko)
JP (1) JP5098962B2 (ko)
KR (1) KR101556412B1 (ko)
CN (1) CN101429121B (ko)
AT (1) ATE500213T1 (ko)
DE (1) DE602008005233D1 (ko)
TW (1) TWI42832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13713B (zh) * 2013-11-26 2016-03-30 山东瑞丰高分子材料股份有限公司 应用于透明pvc制品抗冲acr助剂的制备方法
CN112694692A (zh) * 2020-12-25 2021-04-23 东莞市悠悠美居家居制造有限公司 一种对位转金套金印刷覆膜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9495A (ja) * 1982-09-29 1984-04-05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熱転写用記録紙
JP3446739B2 (ja) 2000-12-22 2003-09-16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4802707B2 (ja) * 2005-05-17 2011-10-26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制御膜
JP2007070465A (ja) * 2005-09-07 2007-03-22 Sumitomo Chemical Co Ltd 光重合性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硬化してなる光制御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956115B2 (en) 2011-06-07
CN101429121A (zh) 2009-05-13
JP2009132699A (ja) 2009-06-18
KR101556412B1 (ko) 2015-10-01
JP5098962B2 (ja) 2012-12-12
CN101429121B (zh) 2013-09-04
DE602008005233D1 (de) 2011-04-14
US20090118407A1 (en) 2009-05-07
EP2060558B1 (en) 2011-03-02
EP2060558A1 (en) 2009-05-20
TW200930699A (en) 2009-07-16
ATE500213T1 (de) 2011-03-15
TWI428320B (zh) 2014-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02707B2 (ja) 光制御膜
JP3178091B2 (ja) 光重合性組成物及び光制御板の製造方法
WO2009084550A1 (ja) 光制御膜の製造装置及び光制御膜の製造方法
JP6492799B2 (ja) 保護層形成用光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並びに光学フィルム
JP2006323379A (ja) 光制御膜の製造方法
JP2008298962A (ja) 光学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556412B1 (ko) 페닐 아크릴레이트
JPH0387701A (ja) 光散乱透過性領域を備えた光制御板の製造法
JP4928657B2 (ja) 光制御膜の製造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3211381B2 (ja) 光制御板の製造方法
JP2945939B2 (ja) 光制御板の製造方法
JP2782200B2 (ja) 光制御板用の樹脂組成物
JP2011186494A (ja) 光制御膜
JP2008247946A (ja) 光硬化性組成物及びこれを硬化させてなる光制御膜
US20060238853A1 (en) Method of producing light control film
JP6256021B2 (ja) 光学フィルム又はシート形成用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組成物及び光学フィルム又はシート
JP2782250B2 (ja) 光制御板用組成物
JP2008239755A (ja) 光硬化性組成物及びこれを硬化させてなる光制御膜
JP2007070465A (ja) 光重合性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硬化してなる光制御膜
JP7476553B2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組成物
JP4802748B2 (ja) 光制御膜の製造方法及びこれにより得られる光制御膜
JP2837229B2 (ja) 光制御板の製造法
KR20150078040A (ko) 고점도를 갖는 광경화형 점접착제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8037913A (ja) 光硬化性組成物及びこれを硬化させてなる光制御膜
JP2007254646A (ja) 光硬化性組成物及びこれを硬化させてなる光制御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