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5637A - 저당 성형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저당 성형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5637A
KR20090045637A KR1020070111563A KR20070111563A KR20090045637A KR 20090045637 A KR20090045637 A KR 20090045637A KR 1020070111563 A KR1020070111563 A KR 1020070111563A KR 20070111563 A KR20070111563 A KR 20070111563A KR 20090045637 A KR20090045637 A KR 20090045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rice
weight
parts
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1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7710B1 (ko
Inventor
공영준
이장섭
구금란
Original Assignee
공영준
구금란
이장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영준, 구금란, 이장섭 filed Critical 공영준
Priority to KR1020070111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7710B1/ko
Publication of KR20090045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5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7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77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5Mashed or comminuted pulses or legumes; Products made therefr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5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6Inorganic salts, minerals or trac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쌀의 제조에 있어서, 쌀을 제외한 곡물분말을 혼합한 후 쌀 모양으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당 쌀의 제조방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저당 쌀을 제조함에 있어 곡물분말 혼합시 곡물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난소화성 전분분말 10∼30중량부, 쌀분말 10∼30중량부 및 기능성 성분분말 5∼15중량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분말성분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저당 쌀은 아미노산, 비타민, 무기질, 섬유소 등의 영양성분이 우수하고, GI가 낮아 당뇨, 비만 등의 성인병의 진행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저당의 가공쌀을 소비자에세 제공함으로써 쌀의 소비처를 다양하게 하여 쌀 재배 농가의 수입증대 및 저당 쌀을 섭취하는 소비자의 건강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난소화성 전분, 저당, GI

Description

저당 쌀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rice of low glycemic index}
본 발명은 쌀의 제조에 있어서, 쌀을 제외한 곡물분말을 혼합한 후 쌀 모양으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당 쌀의 제조방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저당 쌀을 제조함에 있어 곡물분말 혼합시 곡물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난소화성 전분분말 10∼30중량부, 쌀분말 10∼30중량부 및 기능성 성분분말 5∼15중량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분말성분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쌀은 아시아 지역의 대표적인 식량의 하나로서 널리 재배되고 있다.
예전에는 쌀은 아시아 지역이 주요한 생산지이자 소비지 였으나, 아시아 사람들의 서구로 이주하고, 또한 서양 지방에서도 쌀의 재배에 알맞은 기후 지역들이 많아 쌀의 재배지는 이제 아시아 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인 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다.
이처럼 쌀의 재배지역이 많아짐에 따라 서양에서 생산된 쌀은 그 지역에서의 소비를 웃돌아 아시아지역으로 판매처를 확대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지속적으로 주요한 식량인 쌀의 재배지, 품종 개량 등의 노력을 통해 쌀의 생산량 증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현재에는 점차적으로 쌀의 소비량이 감소하고 있어 국내의 쌀 재배 농가는 종래의 벼농사를 대체하기 위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처럼 쌀의 소비가 감소하는 이유는 1990년대 이후 지속적으로 유입된 서양의 문화, 식습관 등의 영향도 있지만, 최근 우수한 식품을 섭취하고자 하는 웰빙(well-being) 추세에 비해 쌀의 영양성분의 부족, 또한 쌀을 섭취함으로써 발생하는 비만, 당뇨, 고혈압 등의 성인병 발생 확률 증가도 하나의 이유이다.
이에 쌀의 영양성분을 강화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일예로서 우수한 영양성분을 지니는 벼 품종의 개발, 농약을 사용하지 않는 유기영농법을 이용한 벼의 재배, 기타 영양성분을 이용한 새로운 쌀 제품의 개발등이 있다.
그러나 우수한 영양성분을 지니는 벼 품종의 개발은 많은 시간, 노력, 비용이 수반되지만 아직까지 만족할 만한 벼의 품종 개발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농약을 사용하지 않은 유기영농법의 이용한 벼의 재배는 그 수확량이 적어 생산성이 맞지 않으며, 기타 영양성분을 이용한 새로운 쌀 제품의 개발에도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한 반면, 아직까지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쌀의 제조에 있어서, 쌀을 제외한 곡물분말을 후 쌀 모양으로 성형하여 아미노산, 비타민, 무기질, 섬유소 등의 영양성분이 우수하고, GI(Glycemic Index)가 낮아 당뇨, 비만 등의 성인병의 진행을 억제할 수 있는 저당 쌀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저당 쌀 제조시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난소화성 전분(Resistant starch, RS)은 다른 표현으로 저항전분이라고도 하는 것으로서 사람의 소장에서 소화, 흡수되지 않는 전분과 전분분해산물을 일컫는 것으로, 보다 넓게는 인체조직에 포도당을 제공하지 않고 대장에서 발효되어 가스나 단쇄지방산을 생산하는 전분을 의미한다.
난소화성 전분은 소장에서 소화, 흡수되지 못하기 때문에 식후의 혈액 중 인슐린과 혈당을 낮출 수 있으며, 그 결과 에너지 밀도(energy density)를 감소시킬 수 있다.
난소화성 전분은 사람의 소장에서 소화, 흡수되지 않는 점에서 식이섬유소와 유사한 생리활성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GI(Glycemic Index)는 탄수화물에 포함되어 있는 당질의 양을 기초로 혈당치 상승률을 비교한 값으로 포도당을 먹었을 때 혈당치의 상승도를 100으로 각 음식을 섭취하였을 때의 혈당치 상승을 지수로 표시한 것이다.
고(高) GI 식품은 급속하게 분해되고 흡수되어서 혈당치의 급격한 변동을 발생시키고, 저(低) GI 식품은 반대로 서서히 분해/흡수되어 혈당치 및 인슐린 수치를 점진적으로 상승시켜 건강에 도움이 된다. 특히 저(低) GI 식이는 당뇨병(1형, 2형)을 가진 사람들에게서 포도당 및 지질의 수치를 개선하는데, 이는 식욕을 제어하고 포만감을 연장시키는데 도움을 줌으로서 체중 조절에도 도움을 줄 수 있어 인슐린 분비 및 인슐린 내성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한다.
미국 하버드 보건대학의 최근 연구에 따르면, 2형 당뇨병 및 심혈관계 질환과 같은 질병의 위험은 GI 식이와 밀접하게 관련 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999년 세계보건기구(WHO)와 식품농업기구(FAO)는 개발도상국가의 국민들은 심혈관계 질 환, 당뇨, 비만과 같은 가장 흔한 질병의 유입을 막기 위해서는 저(低) GI 식이를 기본으로 해야 한다고 권고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영양성분이 우수하고, GI가 낮은 가공 쌀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아미노산, 비타민, 무기질, 섬유소 등의 영양성분이 우수하고, GI가 낮아 당뇨, 비만 등의 성인병의 진행을 억제할 수 있는 저당 쌀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쌀을 제외한 곡물분말을 혼합한 후 쌀 모양으로 성형하여 아미노산, 비타민, 무기질, 섬유소 등의 영양성분이 우수하고, GI가 낮아 당뇨, 비만 등의 성인병의 진행을 억제할 수 있는 저당 쌀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저당 쌀은 아미노산, 비타민, 무기질, 섬유소 등의 영양성분이 우수하고, GI가 낮아 당뇨, 비만 등의 성인병의 진행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저당의 가공쌀을 소비자에세 제공함으로써 쌀의 소비처를 다양하게 하여 쌀 재배 농가의 수입증대 및 저당 쌀을 섭취하는 소비자의 건강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쌀의 제조에 있어서, 쌀을 제외한 곡물분말을 혼합한 후 쌀 모양 으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당 쌀의 제조방법을 나타낸다.
상기에서 곡물분말은 서리태, 대두, 옥수수, 밀, 팥, 보리, 수수, 조, 귀리, 메밀을 각각 분쇄기로 분쇄하여 소정의 입도를 지닌 곡물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곡물분말은 서리태, 대두, 옥수수, 밀, 팥, 보리, 수수, 조, 귀리, 메밀을 각각 분쇄기로 분쇄하여 입도가 10∼200메쉬(mesh)인 곡물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곡물분말은 서리태, 대두, 옥수수, 밀, 팥, 보리, 수수, 조, 귀리, 메밀을 각각 분쇄기로 분쇄하여 입도가 100±10메쉬(mesh)인 곡물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서리태, 대두, 옥수수, 밀, 팥, 보리, 수수, 조, 귀리, 메밀을 각각 분쇄기로 분쇄하여 소정의 입도를 지닌 곡물분말은 서리태분말 10∼40중량%, 대두분말 10∼30중량%, 찰옥수수분말 10∼30중량%, 밀분말 13∼30중량%, 팥분말 13∼30중량%, 보리분말 10∼30중량%, 수수분말 1∼5중량%, 조분말 1∼5중량%, 귀리분말 1∼5중량%, 메밀분말 1∼5중량%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곡물분말은 서리태, 대두, 옥수수, 밀, 팥, 보리, 수수, 조, 귀리, 메밀을 각각 분쇄기로 분쇄하여 소정의 입도를 지닌 곡물분말을 동일한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저당 쌀 제조시 상기 곡물분말 혼합시 곡물분말 이외에 난소화성 전분분말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저당 쌀 제조시 상기 곡물분말 혼합시 곡물분말 100중량부에 대하 여 난소화성 전분분말 10∼30중량부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저당 쌀 제조시 상기 곡물분말 혼합시 곡물분말 이외에 쌀분말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저당 쌀 제조시 상기 곡물분말 혼합시 곡물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쌀분말 10∼30중량부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저당 쌀 제조시 상기 곡물분말 혼합시 곡물분말 이외에 기능성 성분분말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저당 쌀 제조시 상기 곡물분말 혼합시 곡물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기능성 성분분말 5∼15중량부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저당 쌀 제조시 상기 곡물분말 혼합시 곡물분말 이외에 난소화성 전분분말, 쌀분말 및 기능성 성분분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분말성분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저당 쌀 제조시 상기 곡물분말 혼합시 곡물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난소화성 전분분말 10∼30중량부, 쌀분말 10∼30중량부 및 기능성 성분분말 5∼15중량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분말성분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난소화성 전분분말은 (1)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고구마 전분의 전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전분과 물을 1:1∼3.5w/v의 비율로 혼합하고 110∼130℃에서 1∼3시간 가열하는 단계, (2)상기 가열단계 후 0∼5℃에서 12∼48시간 동안 냉각시키는 단계, (3)상기 가열단계 및 냉각단계를 2∼6회 반복하여 고체 고형물을 얻고 이를 분말화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기능성 성분 분말은 녹차, 브로콜리, 오가피, 매실, 토코페롤, 식이섬유, 마늘, 안토시아닌, 클로로겐산, 딸기, 가지, 카카오, 적포도주, 비타민 C, β-카로틴, 베타씨토스테롤, 포도씨, 케르세틴, 세사미놀, 세사몰, 세사몰린, 카라기난, 다시마, 한천, 알긴산나트륨, 김, 미역, 클로렐라, 모자반, 대황, 톳, 파래, 청각, 해태, 식이섬유, 타우린(taurine), 감마아미노부티르산(GABA), 스쿠알렌(squalene), 글루코사민(glucosamine), 콘드로이틴황산(chondroitin sulfate), 콜라겐(collagen), 레티놀(retinol), 감초, 자몽씨, 프로폴리스, 우롱차, 으름덩굴, 계피, 황련, 드릅나무, 느릅나무, 모자반, 알로에, 쑥, 클로렐라, 홍차, 홍삼, 인삼, 구기자, 사상자, 황기, 솔비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파라티노스, 만니톨, 말티톨, 이노시톨, 쿠에르시톨, 마치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의 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저당 쌀 제조시 성형공정은 1차 온도 50∼60℃에서 1∼3분, 2차 온도 30∼40℃에서 1∼3분, 3차 온도 10∼20℃에서 1∼3분 및 스크류 회전속도 1000∼1200rpm, 원료투입속도 500∼600g/min, 가수율 20∼30%, 절단칼회전속도 500∼800rpm의 조건으로 압출성형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방법에 의해 제조한 저당 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저당 쌀 제조에 있어서, 다양한 성분, 함량 등의 조건에 의해 저당 쌀을 제조한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에서 언급한 조건으로 저당 쌀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저당 쌀 제조
서리태, 대두, 찰옥수수, 밀, 팥, 보리, 수수, 조, 귀리, 메밀을 분쇄기로 분쇄하여 입도가 100±10메쉬(mesh)인 각각의 분말을 얻었다.
상기에서 얻은 서리태분말 20중량%, 대두분말 20중량%, 찰옥수수분말 10중량%, 밀분말 15중량%, 팥분말 10중량%, 보리분말 15중량%, 수수분말 2.25중량%, 조분말 2.25중량%, 귀리분말 2.25중량%, 메밀분말 2.25중량%를 혼합하여 혼합 곡물분말을 얻었다.
상기 혼합 곡물분말을 3단계로 온도 조절이 가능한 압출성형기에 넣은 후 1차 온도 52℃에서 1분, 2차 온도 36℃에서 1분, 3차 온도 13℃에서 1분 및 스크류 회전속도 1100rpm, 원료투입속도 550g/min, 가수율 25%, 절단칼회전속도 700rpm의 조건으로 압출성형하여 쌀 모양의 저당 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난소화성 전분을 포함하는 저당 쌀 제조
서리태, 대두, 찰옥수수, 밀, 팥, 보리, 수수, 조, 귀리, 메밀을 분쇄기로 분쇄하여 입도가 100±10메쉬(mesh)인 각각의 분말을 얻었다.
상기에서 얻은 서리태분말 20중량%, 대두분말 20중량%, 찰옥수수분말 10중량%, 밀분말 15중량%, 팥분말 10중량%, 보리분말 15중량%, 수수분말 2.25중량%, 조분말 2.25중량%, 귀리분말 2.25중량%, 메밀분말 2.25중량%를 혼합하여 혼합 곡물분말을 얻었다.
상기 혼합 곡물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난소화성 전분분말 10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3단계로 온도 조절이 가능한 압출성형기에 넣은 후 1차 온도 52℃에서 1분, 2차 온도 36℃에서 1분, 3차 온도 13℃에서 1분 및 스크류 회전속도 1100rpm, 원료투입속도 550g/min, 가수율 25%, 절단칼회전속도 700rpm의 조건으로 압출성형하여 쌀 모양의 저당 쌀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난소화성 전분분말은 옥수수 전분과 물을 1:1w/v의 비율로 혼합하고 120℃에서 2시간 가열하고, 1℃에서 24시간 동안 냉각 후 상기의 가열 및 냉각공정을 4회 반복하여 고체 고형물을 얻고 이를 분쇄기로 분쇄하여 100메쉬(mesh)의 분말화된 난소화성 전분분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난소화성 전분 및 현미를 포함하는 저당 쌀 제조
서리태, 대두, 찰옥수수, 밀, 팥, 보리, 수수, 조, 귀리, 메밀을 분쇄기로 분쇄하여 입도가 100±10메쉬(mesh)인 각각의 분말을 얻었다.
상기에서 얻은 서리태분말 20중량%, 대두분말 20중량%, 찰옥수수분말 10중량%, 밀분말 15중량%, 팥분말 10중량%, 보리분말 15중량%, 수수분말 2.25중량 %, 조분말 2.25중량%, 귀리분말 2.25중량%, 메밀분말 2.25중량%를 혼합하여 혼합 곡물분말을 얻었다.
상기 혼합 곡물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난소화성 전분분말 10중량부 및 현미분말 10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3단계로 온도 조절이 가능한 압출성형기에 넣은 후 1차 온도 52℃에서 1분, 2차 온도 36℃에서 1분, 3차 온도 13℃에서 1분 및 스크류 회전속도 1100rpm, 원료투입속도 550g/min, 가수율 25%, 절단칼회전속도 700rpm의 조건으로 압출성형하여 쌀 모양의 저당 쌀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난소화성 전분분말은 옥수수 전분과 물을 1:1w/v의 비율로 혼합하고 120℃에서 2시간 가열하고, 1℃에서 24시간 동안 냉각 후 상기의 가열 및 냉각공정을 4회 반복하여 고체 고형물을 얻고 이를 분쇄기로 분쇄하여 100메쉬(mesh)의 분말화된 난소화성 전분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현미분말은 현미를 분쇄기로 분쇄하여 입도가 100±10메쉬(mesh)인 분말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4> 난소화성 전분, 현미 및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저당 쌀 제조
서리태, 대두, 찰옥수수, 밀, 팥, 보리, 수수, 조, 귀리, 메밀을 분쇄기로 분쇄하여 입도가 100±10메쉬(mesh)인 각각의 분말을 얻었다.
상기에서 얻은 서리태분말 20중량%, 대두분말 20중량%, 찰옥수수분말 10중량%, 밀분말 15중량%, 팥분말 10중량%, 보리분말 15중량%, 수수분말 2.25중량%, 조분말 2.25중량%, 귀리분말 2.25중량%, 메밀분말 2.25중량%를 혼합하여 혼 합 곡물분말을 얻었다.
상기 혼합 곡물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난소화성 전분분말 10중량부, 현미분말 10중량부 및 기능성 성분분말 5중량부(녹차분말 1중량부, 매실분말 1중량부, 토코페롤분말 1중량부, 마늘분말 1중량부, 쑥분말 1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3단계로 온도 조절이 가능한 압출성형기에 넣은 후 1차 온도 52℃에서 1분, 2차 온도 36℃에서 1분, 3차 온도 13℃에서 1분 및 스크류 회전속도 1100rpm, 원료투입속도 550g/min, 가수율 25%, 절단칼회전속도 700rpm의 조건으로 압출성형하여 쌀 모양의 저당 쌀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난소화성 전분분말은 옥수수 전분과 물을 1:1w/v의 비율로 혼합하고 120℃에서 2시간 가열하고, 1℃에서 24시간 동안 냉각 후 상기의 가열 및 냉각공정을 4회 반복하여 고체 고형물을 얻고 이를 분쇄기로 분쇄하여 100메쉬(mesh)의 분말화된 난소화성 전분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현미분말은 현미를 분쇄기로 분쇄하여 입도가 100±10메쉬(mesh)인 분말을 사용하였다.
상기에서 녹차분말, 매실분말, 토코페롤분말, 마늘분말, 쑥분말은 녹차, 매실, 토코페롤, 마늘, 쑥을 각각 분쇄기로 분쇄하여 입도가 100±10메쉬(mesh)인 각각의 분말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5>
서리태분말 10중량%, 대두분말 10중량%, 찰옥수수분말 10중량%, 밀분말 10중량%, 팥분말 10중량%, 보리분말 10중량%, 수수분말 10중량%, 조분말 10중량%, 귀리분말 10중량%, 메밀분말 10중량%를 혼합하여 혼합 곡물분말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저당 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난소화성 전분분말 20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저당 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난소화성 전분분말 30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저당 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난소화성 전분분말 10중량부, 현미 20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저당 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9>
난소화성 전분분말 10중량부, 현미 30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저당 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난소화성 전분분말 20중량부, 현미 20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저당 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난소화성 전분분말 20중량부, 현미 30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저당 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난소화성 전분분말 30중량부, 현미 20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저당 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3>
난소화성 전분분말 30중량부, 현미 30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저당 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4>
난소화성 전분분말 20중량부, 현미 10중량부, 기능성 성분분말 5중량부(녹차분말 1중량부, 매실분말 1중량부, 토코페롤분말 1중량부, 마늘분말 1중량부, 쑥분말 1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저당 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5>
난소화성 전분분말 30중량부, 현미 10중량부, 기능성 성분분말 5중량부(녹차분말 1중량부, 매실분말 1중량부, 토코페롤분말 1중량부, 마늘분말 1중량부, 쑥분말 1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저당 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6>
난소화성 전분분말 10중량부, 현미 20중량부, 기능성 성분분말 5중량부(녹차분말 1중량부, 매실분말 1중량부, 토코페롤분말 1중량부, 마늘분말 1중량부, 쑥분말 1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저당 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7>
난소화성 전분분말 10중량부, 현미 30중량부, 기능성 성분분말 5중량부(녹차분말 1중량부, 매실분말 1중량부, 토코페롤분말 1중량부, 마늘분말 1중량부, 쑥분말 1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저당 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8>
난소화성 전분분말 20중량부, 현미 10중량부, 기능성 성분분말 10중량부(녹차분말 2중량부, 매실분말 2중량부, 토코페롤분말 2중량부, 마늘분말 2중량부, 쑥분말 2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저당 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9>
난소화성 전분분말 30중량부, 현미 10중량부, 기능성 성분분말 10중량부(녹차분말 2중량부, 매실분말 2중량부, 토코페롤분말 2중량부, 마늘분말 2중량부, 쑥분말 2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저당 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0>
난소화성 전분분말 10중량부, 현미 20중량부, 기능성 성분분말 15중량부(녹차분말 3중량부, 매실분말 3중량부, 토코페롤분말 3중량부, 마늘분말 3중량부, 쑥분말 3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저당 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1>
난소화성 전분분말 10중량부, 현미 30중량부, 기능성 성분분말 15중량부(녹 차분말 3중량부, 매실분말 3중량부, 토코페롤분말 3중량부, 마늘분말 3중량부, 쑥분말 3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저당 쌀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관능검사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21에서 제조한 저당 쌀로 제조한 밥을 실험군으로 하고 대조군로서 흰쌀로 재료로 하여 밥을 짓고, 각각의 밥을 섭취시 맛, 향기 및 전체적 기호도와 같은 관능검사를 식품 관련 분야에서 3년 이상 종사한 관능검사 요원 20인(남여 각각 10명)으로 하여금 5점 척도법에 의하여 측정하고 그 결과를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실험군 및 대조군의 관능검사
항목 전체적 기호도
실시예 1 3.5 3.7 3.8
실시예 2 3.6 3.8 3.7
실시예 3 3.5 3.6 3.8
실시예 4 3.7 3.7 3.7
실시예 5 3.6 3.8 3.8
실시예 6 3.7 3.7 3.9
실시예 7 3.6 3.8 3.7
실시예 8 3.5 3.7 3.6
실시예 9 3.6 3.6 3.7
실시예 10 3.6 3.6 3.8
실시예 11 3.5 3.7 3.8
실시예 12 3.4 3.8 3.7
실시예 13 3.5 3.8 3.8
실시예 14 3.6 3.6 3.7
실시예 15 3.7 3.7 3.7
실시예 16 3.8 3.7 3.8
실시예 17 3.7 3.5 3.9
실시예 18 3.6 3.6 4.0
실시예 19 3.7 3.7 4.0
실시예 20 3.8 3.7 3.9
실시예 21 3.7 3.6 3.8
대조군 3.1 3.3 3.5
* 상기 표 1에 대한 각각의 수치 값은 관능검사 요원들의 점수의 총합을 관능검사 요원수로 나눈 후 소수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한 값을 나타낸 것으로 수치가 높을수록 관능성이 우수함을 의미한다.
<시험예 2>
대조군으로서 백미로 제조한 밥에 대해 각각 수분을 제거한 백미분말과 실험군으로서 상기 실시예 1(실험군1), 실시예 2(실험군2), 실시예 3(실험군3) 및 실시예 4(실험군4)의 가공 쌀로 제조한 밥에 대해 수분을 제거한 저당 쌀 분말을 얻었다.
성체 랫트(rat)를 5개 그룹으로 나누고 이중 한 그룹에는 고당지수 식이로서 상기 대조군의 백미분말을 32주(week)간 하루 두 번 같은 양을 섭취시키고, 젊은 성체 랫트(rat) 5개 그룹 중 나머지 4개 그룹에는 각각 저당지수 식이로서 실험군1 내지 실험군4의 저당 쌀 분말을 32주(week)간 하루 두 번 같은 양을 섭취시켰다. 한편 물 또한 일정한 시간에만 섭취하도록 하였다.
32주의 식이 중재 기간 동안 5개 그룹의 랫트 체중 증가에 있어 의미 있게 다른 패턴이 관찰되었다. 실험군1 내지 실험군4의 저당 쌀 분말을 섭취한 저당지수 식이군 섭취 실험군은 체중이 안정되어 있었으나, 고당지수 식이 섭취 대조군은 점점 체중이 늘어 32주가 무렵에는 체중이 16% 더 무거워졌다. 신체수분량(total body water)으로 측정한 총지방량 역시 고당지수 식이 섭취 대조군에서 의미 있게 높았다(40%; P<0.05).
심장과 간 자체는 아니지만 각각의 장기 주위 지방 역시 고당지수 섭취 대조군에서 더 무거웠다. 더 중요한 소견은 고당지수 식이 섭취 대조군의 평균 내장 지방량이 저당지수 식이 섭취 실험군에 비해 대부분 2배에 이르렀고, 총체지방량에 대한 비율 역시 의미 있게 높은 수치를 유지했다는 점이다(P<0.05). 반면 피하 지방은 전체 지방량으로 보정했을 때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한편 고당지수 식이 섭취 대조군에서는 전신적 지방 산화가 현저히 낮은 결과를 얻었다. 더 나아가 고당지수 식이 섭취 대조군에서는 더 높은 간 지방 신생과 간과 근육 글리코겐 축적이 관찰되었다. 고당지수 식이 섭취 대조군은 산화를 통한 긴 사슬 지방산의 유입에 주된 조절 부위인 간에서의 carnitine palmitoyltransferase 1(CPT-1) mRNA의 감소를 보였다. 동시에 간에서 acetyl-CoA carboxylase(ACC) mRNA의 증가가 관찰되었다(ACC는 malonyl-CoA의 생성을 촉매한다). 간에서 malonyl-CoA는 지방 신생의 중간 산물이자 CPT-1의 강력한 억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에너지원의 산화에 미치는 단기적인 효과 외에도 장기적인 고당지수 식이의 섭취는 효소 표현의 변화를 초래하여 간에서의 지방 산화를 억제하는 효과를 갖는다.
동물 실험에서의 이러한 결과는 고당지수의 식이 섭취는 전체 영양소와 열량이 정확히 조절되는 경우라고 해도 내장 지방의 축적을 증가시키고, 지방 감소 능력을 저해시키는 결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 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저당 가공 쌀을 종래 백미와 비교시 혼합곡류에 함유된 우수한 영양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저당 가공쌀은 GI가 낮아 당뇨, 비만 등의 성인병의 진행을 억제할 수 있어 국민 건강 생활에 기여할 수 있다.

Claims (7)

  1. 쌀의 제조에 있어서,
    쌀을 제외한 곡물분말을 혼합한 후 쌀 모양으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당 쌀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곡물분말은 서리태, 대두, 옥수수, 밀, 팥, 보리, 수수, 조, 귀리, 메밀의 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당 쌀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곡물분말 혼합시 곡물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난소화성 전분분말 10∼30중량부, 쌀분말 10∼30중량부 및 기능성 성분분말 5∼15중량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분말성분을 추가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당 쌀의 제조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난소화성 전분분말은
    (1)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고구마 전분의 전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전분과 물을 1:1∼3.5w/v의 비율로 혼합하고 110∼130℃에서 1∼3시간 가열하는 단계,
    (2)상기 가열단계 후 0∼5℃에서 12∼48시간 동안 냉각시키는 단계,
    (3)상기 가열단계 및 냉각단계를 2∼6회 반복하여 고체 고형물을 얻고 이를 분말화한 것 임을 특징으로 하는 저당 쌀의 제조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기능성 성분 분말은 녹차, 브로콜리, 오가피, 매실, 토코페롤, 식이섬유, 마늘, 안토시아닌, 클로로겐산, 딸기, 가지, 카카오, 적포도주, 비타민 C, β-카로틴, 베타씨토스테롤, 포도씨, 케르세틴, 세사미놀, 세사몰, 세사몰린, 카라기난, 다시마, 한천, 알긴산나트륨, 김, 미역, 클로렐라, 모자반, 대황, 톳, 파래, 청각, 해태, 식이섬유, 타우린(taurine), 감마아미노부티르산(GABA), 스쿠알렌(squalene), 글루코사민(glucosamine), 콘드로이틴황산(chondroitin sulfate), 콜라겐(collagen), 레티놀(retinol), 감초, 자몽씨, 프로폴리스, 우롱차, 으름덩굴, 계피, 황련, 드릅나무, 느릅나무, 모자반, 알로에, 쑥, 클로렐라, 홍차, 홍삼, 인삼, 구기자, 사상자, 황기, 솔비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파라티노스, 만니톨, 말티톨, 이노시톨, 쿠에르시톨, 마치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의 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당 쌀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성형은 1차 온도 50∼60℃에서 1∼3분, 2차 온도 30∼40℃에서 1∼3분, 3차 온도 10∼20℃에서 1∼3분 및 스크류 회전속도 1000∼1200rpm, 원료투입속도 500∼600g/min, 가수율 20∼30%, 절단칼회전속도 500∼800rpm의 조건으로 압출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당 쌀의 제조방법.
  7. 특허청구범위 제1항 내지 제6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 조한 저당 쌀.
KR1020070111563A 2007-11-02 2007-11-02 저당 성형쌀의 제조방법 KR100917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1563A KR100917710B1 (ko) 2007-11-02 2007-11-02 저당 성형쌀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1563A KR100917710B1 (ko) 2007-11-02 2007-11-02 저당 성형쌀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5637A true KR20090045637A (ko) 2009-05-08
KR100917710B1 KR100917710B1 (ko) 2009-09-21

Family

ID=40855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1563A KR100917710B1 (ko) 2007-11-02 2007-11-02 저당 성형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7710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66768A (zh) * 2014-03-06 2014-05-07 平正建 一种富硒玉米糁
CN103876138A (zh) * 2014-03-14 2014-06-25 德阳市荞老头食品有限公司 一种适合糖尿病人的苦荞生活食品
KR20190018575A (ko) * 2017-08-14 2019-02-25 충남태안영농조합법인 곤충 분말을 이용한 인조콩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26995A (ko) * 2017-09-04 2019-03-14 충남태안영농조합법인 곤충 분말을 이용한 인조 조리콩의 제조방법
KR102018366B1 (ko) * 2019-05-31 2019-09-04 (주)자연미약선연구원 혈당 강하용 인공쌀의 제조방법
KR20190117988A (ko) * 2018-04-09 2019-10-17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카카오 빈과 쌀 압출성형물을 첨가한 빵의 제조방법
KR20190117987A (ko) * 2018-04-09 2019-10-17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카카오 빈을 포함하는 쌀 압출성형물
KR102148926B1 (ko) * 2019-09-25 2020-08-28 주식회사 자인 성형미와 팽화미를 이용한 스낵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스낵
KR102193331B1 (ko) 2020-07-28 2020-12-22 주식회사 더원스테이스 전기밥솥용 저당밥 취사용기 및 그 제조 방법
KR20210033608A (ko) 2019-09-19 2021-03-29 김미영 상승 또는 하강 기능을 갖는 조리판을 구비한 저당밥 조리기기를 이용한 저당밥 제조방법
KR102243925B1 (ko) 2019-12-11 2021-04-23 (주)에버그린엔터프라이즈 전기밥솥용 저당밥 취사장치
IT202000003979A1 (it) * 2020-02-26 2021-08-26 Next Foods R&S S R L Unipersonale “Metodo per la produzione di riso a basso indice glicemico e a basso carico glicemico”
CN115812908A (zh) * 2022-12-14 2023-03-21 广东思维佳食品有限公司 一种速食功能大米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71719B (zh) * 2012-08-15 2013-10-30 王跃进 红茶珍珠米的制造工艺
CN103704613A (zh) * 2013-12-10 2014-04-09 安徽省明光市中富粮油食品贸易有限公司 一种橘红营养保健米粒及其制备方法
KR101420756B1 (ko) 2014-04-10 2014-07-17 삼광 영농조합법인 가공 혼합쌀의 제조방법
CN106108027A (zh) * 2016-07-14 2016-11-16 大连民族大学 一种牛磺酸能量食品
KR20190025094A (ko) 2017-08-28 2019-03-11 주식회사 퍼스트바이오푸드 현미를 이용한 압출성형쌀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즉석 현미밥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667A (ko) * 2000-07-28 2000-11-06 이태용 곡물쌀
KR20020026765A (ko) * 2000-10-02 2002-04-12 김대흥 곡류 및 기능성 식품소재를 이용한 재 성형 쌀의 제조방법.
KR100540784B1 (ko) * 2003-07-16 2006-01-10 주식회사 농진 다기능성 성형 쌀 조성물 및 성형 쌀의 제조방법
KR20060120335A (ko) * 2005-05-19 2006-11-27 강원도 난소화성 전분이 함유된 가공 쌀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66768A (zh) * 2014-03-06 2014-05-07 平正建 一种富硒玉米糁
CN103876138A (zh) * 2014-03-14 2014-06-25 德阳市荞老头食品有限公司 一种适合糖尿病人的苦荞生活食品
KR20190018575A (ko) * 2017-08-14 2019-02-25 충남태안영농조합법인 곤충 분말을 이용한 인조콩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26995A (ko) * 2017-09-04 2019-03-14 충남태안영농조합법인 곤충 분말을 이용한 인조 조리콩의 제조방법
KR20190117987A (ko) * 2018-04-09 2019-10-17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카카오 빈을 포함하는 쌀 압출성형물
KR20190117988A (ko) * 2018-04-09 2019-10-17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카카오 빈과 쌀 압출성형물을 첨가한 빵의 제조방법
KR102018366B1 (ko) * 2019-05-31 2019-09-04 (주)자연미약선연구원 혈당 강하용 인공쌀의 제조방법
KR20210033608A (ko) 2019-09-19 2021-03-29 김미영 상승 또는 하강 기능을 갖는 조리판을 구비한 저당밥 조리기기를 이용한 저당밥 제조방법
KR20210118032A (ko) 2019-09-19 2021-09-29 김미영 상승 또는 하강 기능을 갖는 조리판을 구비한 저당밥 조리기기를 이용한 저당밥 제조방법
KR102148926B1 (ko) * 2019-09-25 2020-08-28 주식회사 자인 성형미와 팽화미를 이용한 스낵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스낵
KR102243925B1 (ko) 2019-12-11 2021-04-23 (주)에버그린엔터프라이즈 전기밥솥용 저당밥 취사장치
IT202000003979A1 (it) * 2020-02-26 2021-08-26 Next Foods R&S S R L Unipersonale “Metodo per la produzione di riso a basso indice glicemico e a basso carico glicemico”
WO2021171116A1 (en) * 2020-02-26 2021-09-02 Next Foods R&S S.R.L. Unipersonale Method for producing rice with a low glyaecmic index and a low glyaecmic load
KR102193331B1 (ko) 2020-07-28 2020-12-22 주식회사 더원스테이스 전기밥솥용 저당밥 취사용기 및 그 제조 방법
CN115812908A (zh) * 2022-12-14 2023-03-21 广东思维佳食品有限公司 一种速食功能大米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7710B1 (ko) 2009-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7710B1 (ko) 저당 성형쌀의 제조방법
Bolarinwa et al. Nutritive value and acceptability of bread fortified with moringa seed powder
KR101625612B1 (ko) 고(高) 단백질 과자 성형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17771B1 (ko) 애완 동물 영양 사료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2894265A (zh) 一种复合小麦胚芽粉保健大米及其制备方法
CN103636991B (zh) 一种含中药成分的育肥期肉猪饲料
CN104041695A (zh) 一种西红柿风味肉鸭复合饲料
CN110367398A (zh) 一种有助于改良生鱼肉质及风味的膨化饲料及其制备方法
CN105614682A (zh) 一种低gi青稞谷物配餐棒及其制备方法
CN101828678B (zh) 青稞芝麻糊及其制备方法
KR101867654B1 (ko) 삼채 찰보리 라면 제조방법
Bello et al. Developmen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from sprouted sorghum, pigeon pea and orange fleshed sweet potato flour blends
Tecson-Mendoza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s in the Philippines
CN103609903A (zh) 一种防治肉牛消化道疾病的绿色复合饲料
Jasper et al. Quality Evaluation of Bread Fortified with Pumpkin (Cucurbitapepo) Seed Milk.
CN105831208A (zh) 一种猕猴桃复合营养饼干
KR101263654B1 (ko) 백련이 함유된 도너츠 반죽물과 백련이 함유된 도너츠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백련 도너츠
CN103750009A (zh) 一种茶香风味的笼养肉鸡专用饲料
CN103704470A (zh) 一种能提高肉鸡免疫功能的复合饲料
CN105145721A (zh) 一种降血脂保健面粉及其加工处理方法
CN101209099A (zh) 一种天然养生山药粉
CN114467812A (zh) 一种罗非鱼脆化的养殖方法
KR20130071202A (ko) 상황버섯 배양현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치료 후 기력회복을 위한 식품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Alsuhaibani et al. Effect of the addition of different levels of chard on the dough properties and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pan breads
KR20120098063A (ko) 메뚜기를 함유한 건강기능성 스낵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