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3667A - 곡물쌀 - Google Patents

곡물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3667A
KR20000063667A KR1020000043876A KR20000043876A KR20000063667A KR 20000063667 A KR20000063667 A KR 20000063667A KR 1020000043876 A KR1020000043876 A KR 1020000043876A KR 20000043876 A KR20000043876 A KR 20000043876A KR 20000063667 A KR20000063667 A KR 200000636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grain
grains
boiled
nutrient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3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용
Original Assignee
이태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용 filed Critical 이태용
Priority to KR1020000043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63667A/ko
Publication of KR20000063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3667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15Flavour affecting ag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쌀에 곡물과 결합하므로써 영양소를 풍부하게 만들며 곡물의 종류는 각각 성인병을 치료 예방하는 효능이 있고 곡물의 천연에 맛과 향을 느끼면서 먹을 수 있도록 발명된 곡물쌀이며, 곡물쌀의 혼합 가공과정은 곡물류 중에서 서로 음식궁합에 맞게 1∼3가지를 선택해서 따로따로 벼와 함께 100℃의 뜨거운 물에 넣고 40분정도 삶은 다음 꺼내서 햇볕에 단단하게 건조 후 벼와 선택한 곡물류의 껍질을 벗겨서 따로따로 제분기에 넣고 제분해서 밀가루처럼 고운 쌀가루와 곡물가루로 만들고, 쌀가루 70∼80%에 곡물가루 20∼30%정도 골고루 혼합하고 혼합된 쌀가루에 물 35∼45%정도 넣고 골고루 혼합믹서해서 반죽하고, (도1) (도2) (도3)과 같은 모형으로 가공해서 햇볕에 단단하게 건조 후 가공한 곡물쌀이다:

Description

곡물쌀{CEREALS RICE}
본 발명은 우리가 주식으로 먹는 쌀에 곡물과 결합해서 가공한 곡물쌀이며, 곡물의 종류는 찹쌀 밀 옥수수 메밀 콩 밤 보리 팥 녹두 도토리 조 마 해바라기 씨 고구마 감자 오갈피 열매이며 곡물류 중에서 1∼3가지를 음식궁합에 맞게 선택해서, 벼와 함께 곡물을 따로따로 100℃의 뜨거운 물에 40분정도 삶은 후 꺼내서 햇볕에 단단하게 건조해서 제분기에 넣고 제분해서 고운 쌀가루와 고운 곡물가루로 만들어서, 물 35∼45%를 넣고 골고루 혼합믹서해서 곡물쌀로 가공했기에 영양소가 풍부하며 곡물류의 성인병 효능이 있고 곡물쌀은 물에 씻을 필요 없이 밥을 할 수 있으며 곡물쌀 속에는 선택한 곡물이 들어있어서 따로따로 물에 씻어서 삶을 필요 없으며 1차 삶어서 가공한 곡물쌀이므로 쌀에 적당량의 물을 넣고 밥을 쉽게 하며 밥하는 시간이 단축되고 곡물의 고소한 맛과 향을 느끼고 밥을 먹으면서 성인병을 치료 예방할 수 있어서, 국가농업정책 및 농민의 소득과 활기를 주며 수입쌀로부터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천연자원 그대로의 곡물쌀이다.
본 발명은 우리의 주식인 일반쌀을 한 단계 더 나아가 쌀의 질적인 면을 향상하기 위해 발명한 곡물쌀로써, 곡물의 종류는 찹쌀 밀 옥수수 메밀 콩 밤 보리 팥 녹두 고구마 감자 도토리 조 마 해바라기 씨 오갈피 열매이며, 곡물류 중에서 1∼3가지를 서로 음식궁합에 맞게 선택해서 벼와 선택한 곡물을 따로따로 100℃의 뜨거운 물에 넣고 40분정도 삶어서 꺼내고 햇볕에 단단하게 바싹 건조 후 삶은 벼를 현미기에 넣고 벼의 껍질(왕겨)을 벗기고 곡물은 따로따로 껍질을 벗겨 놓고 벼의 껍질(왕겨)을 벗긴 현미쌀과 껍질을 벗긴 곡물을 각각 제분기에 넣고 믹서해서 밀가루처럼 고운 가루로 제분하면 삶은 쌀가루와 삶은 곡물가루가 되며, 곡물쌀의 혼합 가공과정은 삶은 쌀가루 80%에 선택한 곡물가루 20%정도 넣고 골고루 혼합하고 곡물쌀을 반죽할 수 있는 물 35∼45%정도 넣고 골고루 혼합믹서해서 반죽하고, 재료가 혼합된 쌀가루 반죽을 넙적하게 눌러주는 원형으로된 로울러 기계에 넣고 가동해서 로울러와 로울러사이의 간격을 좁히면서 2∼3회 반복해서 통과해 2mm로 곡물쌀의 세로두께(1B)로 넙적하게 눌러진 다음 원형으로된 세로칼날 로울러 기계의 칼날 간격이 3mm로 곡물쌀의 가로두께(1C)로 쪼갠 후 바로 밑에서 원형으로 된 가로칼날 로울러 기계의 칼날간격이 5mm로 조개쌀의 길이(1A)로 잘라내서 꺼내고, 햇볕에 단단하게 건조 후 정미기에 넣고 1∼2회 믹서하면 모서리 없이 길쭉한 모양이 되며 쌀겨를 걸러내고 마무리 가공되며, 종래의 쌀은 단순한 쌀로 가공했으며 현미쌀 검정쌀 찹쌀 인삼쌀 (특허출원: 10-1999-0004022) 가공쌀의 제조방법(출원번호 93-28065) (출원번호 95-25055)등이 있으며 벼의 껍질(왕겨)을 벗기고 정미기에 넣어서 3∼4회 믹서하며 영양소 많은 쌀눈과 쌀겨층을 걸러내고 곡물과 합해서 가공했다.
본 발명은 쌀에 곡물을 넣고 결합해서 곡물쌀로 가공했으며, 곡물의 종류는 찹쌀 밀 옥수수 메밀 콩 보리 밤 팥 녹두 고구마 감자 도토리 조 마 해바라기 씨 오갈피 열매이며 이와 같은 곡물류 중에서 1∼3가지를 서로 음식궁합에 맞게 선택해서, 벼와 선택한 곡물을 따로따로 100℃의 뜨거운 물에 넣고 40분정도 삶어서 꺼내고 햇볕에 단단하게 건조 후 벼는 현미기에 넣고 벼의 껍질(왕겨)을 벗기고 곡물은 따로따로 껍질을 벗기면 껍질의 영양소가 삶은 과정에서 쌀이나 곡물에 침투되어서 고소한 맛이 되고 영양이 더 많아지며, 삶은 벼는 원형으로된 고무 로울러의 현미기에 넣고 가공하면 영양이 많은 쌀눈과 쌀겨층이 손상되지 않고 벼의 껍질(왕겨)만 벗겨지며 선택해서 삶은 곡물류 중에서 찹쌀은 벼와 같은 방법으로 껍질을 벗기고 찹쌀을 제외한 나머지 곡물류는 각각 곡물의 종류에 따라서 껍질을 벗기거나 쪼개어서 잘게 빻아 버리면 쌀눈이나 쌀겨층 또는 곡물의 영양소 많은 껍질 부분의 층이 함께 혼합되며, 껍질을 벗긴 현미쌀과 잘게 빻아 놓은 선택한 곡물을 따로따로 각각 제분기에 넣고 믹서해서 밀가루처럼 고운 가루로 제분하면 삶은 쌀가루와 삶은 곡물가루가 되며, 곡물쌀의 혼합 가공과정은 삶은 쌀가루 80%에 선택한 곡물가루 20%정도 넣고 골고루 혼합하면 영양소가 풍부해지며 골고루 혼합된 쌀가루와 곡물가루에 물 35∼45%정도 넣고 골고루 혼합하면 삶어서 가공된 쌀가루와 곡물가루이기에 물을 넣게 되면 끈적거려서 결합이 잘 되며, 이와 같은 재료를 골고루 혼합믹서해서 반죽하고 골고루 혼합된 쌀가루 반죽을 넙적하게 눌러주는 원형으로된 로울러 기계에 넣고 로울러와 로울러 사이의 간격을 좁히면서 2∼3회 반복해서 통과해 2mm로 곡물쌀의 세로두께(1B)로 넙적하게 눌러진 다음 원형으로된 세로칼날 로울러 기계의 칼날간격이 3mm로 곡물쌀의 가로두께(1C)로 쪼갠 후 바로 밑에서 원형으로된 가로칼날 로울러 기계의 칼날간격이 5mm로 조개쌀의 길이(1A)로 잘라내서 꺼내고, 햇볕에 단단하게 건조해서 정미기에 넣고 1∼2회 가공하면 곡물쌀은 껍질부분의 영양소가 결합해서 영양이 풍부하고 삶어서 가공했기에 고소하고 밥이 찰지며 현미쌀과 곡물류는 각각 성인병에 효능이 있으며, 곡물쌀은 물에 씻을 필요 없으며 적당량의 물을 넣고 밥을 하고 1차 삶어서 가공했기에 밥하는 시간이 단축되어서 우리의 입맛에 맞은 곡물쌀이다.
도 1은 곡물쌀의 길이를 위에서 본 평면도
도 2는 곡물쌀의 길이를 옆에서 본 측면도
도 3은 곡물쌀의 길이를 절반으로 절단한 절개도
* 도면의 주요 부호 설명
1A: 곡물쌀의 길이
1B: 곡물쌀의 세로두께
1C: 곡물쌀의 가로두께
이상과 같이 우리의 주식인 쌀에 곡물과 결합해서 발명된 곡물쌀이며, 곡물의 종류는 찹쌀 밀 보리 조 옥수수 고구마 감자 메밀 녹두 콩 마 팥 밤 도토리 해바라기 씨 오갈피 열매이고 이와 같은 곡물을 합한 영양소는 단백질 탄수화물 칼슘 인 지질 철 비타민 A B1B2C등이고, 곡물의 성인병 치료 예방효능은 찹쌀은 젖이 안나오는 산모에 효과가 있고, 밀은 칼로리원으로 우수한 식품으로, 보리는 당뇨에 효과가 있고, 조는 임산부에 좋으며, 옥수수는 피부 노화방지와 피부 저항력에 효과가 있으며, 고구마에는 칼륨 성분이 많은 알칼리성 식품으로 변통에 좋고, 감자는 질소 화합물이 풍부한 식품이며, 메밀은 소화효과 및 고혈압에 좋으며, 녹두는 소화성이 좋고 해열 고혈압 숙취에 효과가 있으며, 콩은 심장염 각기병 변비에 효능이 있고, 마에는 우수한 단백질과 필수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소화성이 좋으며 매력적인 강장식품이고, 팥은 신장염 각기병 변비에 효과가 있으며, 밤에는 위장기능 강화에 효과가 있고, 도토리에는 비만에 효과가 있으며, 해바라기 씨에는 고혈압 신경과민에 효과가 있고, 오갈피 열매에는 간장보호나 해독작용에 효과가 있으며, 곡물쌀의 혼합 가공과정은 곡물류 중에서 1∼3가지를 서로 음식궁합에 맞게 선택해서 벼와 선택한 곡물을 따로따로 100℃의 뜨거운 물에 넣고 40분정도 삶어서 꺼내고 햇볕에 단단하게 바싹 건조 후, 벼는 현미기에 넣고 벼의 껍질(왕겨)을 벗기고 곡물은 따로따로 껍질을 벗기면 껍질의 영양소가 삶은 과정에서 현미쌀이나 곡물에 침투되어서 영양소가 많아지고 고소한 맛이 나며, 삶은 벼를 고무 로울러의 현미기에 넣고 벼의 껍질(왕겨)을 벗기면 영양이 많은 쌀눈과 쌀겨층이 손상되지 않고 선택한 삶은 곡물류 중에서 찹쌀은 벼와 같은 방법으로 껍질을 벗기고 나머지 삶은 곡물류는 각각 곡물의 종류에 따라서 껍질을 벗기거나 쪼개어서 잘게 빻으면 쌀눈이나 쌀겨층 및 곡물의 영양소가 많은 껍질 부분의 층이 함께 혼합되고 껍질을 벗긴 현미쌀과 잘게 빻아놓은 선택한 곡물을 따로따로 각각 제분기에 넣고 믹서해서 밀가루처럼 고운 가루로 제분하면 삶은 쌀가루와 삶은 곡물가루가 되며, 곡물쌀의 혼합 가공과정은 삶은 쌀가루 80%에 선택한 삶은 곡물가루 20%정도 넣고 골고루 혼합하고 재료를 혼합한 삶은 쌀가루에 물 35∼45%정도 넣고 골고루 혼합 믹서해서 반죽하면 삶어서 가공된 쌀가루와 곡물가루이기에 물을 넣게 되면 끈적거려서 결합이 잘 되고, 곡물쌀의 가공과정은 혼합된 쌀과 곡물가루 반죽을 넙적하게 눌러주는 원형으로된 로울러 기계에 넣고 기계를 작동해서 로울러와 로울러사이의 간격을 좁히면서 2∼3회 반복해서 통과해 2mm로 곡물쌀의 세로두께(1B)로 넙적하게 눌러진 다음 원형으로된 세로칼날 로울러 기계의 칼날간격이 3mm로 곡물쌀의 가로두께(1C)로 쪼갠 후 바로 밑에서 원형으로된 가로칼날 로울러 기계의 칼날간격이 5mm로 곡물쌀의 길이 (1A)로 잘라내서 꺼내고, 햇볕에 단단하게 건조 후 정미기에 넣고 1∼2회 믹서해서 모서리 없이 길쭉한 모형으로 마무리 가공되며 곡물쌀은 영양소가 풍부하며 성인병에 효능이 좋고 밥하기가 쉬우며 밥하는 시간이 단축되고 고소하며, 상기와 같은 곡물쌀의 영양소 및 효능은 건양대학교 식문화 연구소장 유태종 박사의 저서인 유태종 박사의 식품동의보감에 기록되어 있고 1999년 10월 11일 발행했으며 발행처는 아카데미북에서 발행했기에 인체의 건강에 좋은 바다식물 쌀이다.
이상과 같이 종래의 일반쌀은 벼를 도정해서 단순 가공했지만 발명된 곡물쌀은 한 단계 더 나아가 영양소 및 쌀의 질적인 면을 향상시켰으며, 벼와 곡물을 삶어서 가공했기 때문에 영양소가 풍부하고 성인병을 치료 예방하는 효능이 있고 밥하는 시간이 단축되며 번거롭지 않고 삶의 질을 향상하며 유전자 재배쌀이 아닌 천연자원 그대로의 고소한 맛과 향을 즐기면서 식탁을 만들며, 우리나라와 같이 농업자원이 적은 나라에서는 농업의 질 좋은 곡물쌀로 발명하므로써 수입쌀에 경쟁력을 가질 수 있으며 우리나라의 내수판매와 외국으로 우리의 곡물쌀을 수출할 수 있고 국가농업정책 및 농업인의 소득과 활기를 줄 수 있다.

Claims (1)

  1. 곡물쌀의 혼합가공과정에 있어서 곡물의 종류는 찹쌀 밀 보리 조 옥수수 고구마 감자 메밀 녹두 콩 마 팥 밤 도토리 해바라기 씨 오갈피 열매이고, 이와 같은 곡물류 중에서 1∼3가지를 선택하고 벼와 선택한 곡물류를 따로따로 100℃의 뜨거운 물에 넣고 40분정도 삶어서 꺼내고 햇볕에 단단하게 건조 후 삶은 벼는 현미기에 넣고 벼의 껍질(왕겨)을 벗기고 선택한 곡물은 각각 껍질을 벗기거나 쪼개서 삶은 현미쌀이나 삶은 곡물을 제분기에 넣고 제분해서 고운 쌀가루나 고운 곡물가루로 만들고, 곡물쌀 혼합 가공과정은 삶은 쌀가루 80%에 곡물가루 20%정도 넣고 혼합하고 물 35∼45%정도를 함께 골고루 혼합믹서해서 2mm로 곡물쌀의 세로두께(1B)로 넙적하게 눌러서 3mm로 곡물쌀의 가로두께(1C)로 쪼갠 후 바로 밑에서 5mm로 곡물쌀의 길이(1A)로 잘라내고 햇볕에 단단하게 건조 후 정미기에 넣고 1∼2회 믹서해서 쌀겨를 걸러내고 마무리 가공함에 있어서;
    곡물쌀은 쌀 껍질 부분의 영양소와 쌀눈의 영양소 및 곡물 껍질부분의 영양소가 곡물쌀에 결합되고 껍질(왕겨)과 함께 삶어서 가공했기에 영양소가 더 많아지고 곡물류 각각 성인병의 효능이 있으며 곡물쌀로 밥을 하면 곡물쌀을 물에 씻을 필요 없이 1차 삶어서 가공했기에 밥하는 시간이 단축되며 고소하므로 우리의 건강에 좋은 곡물쌀에 있어서;
KR1020000043876A 2000-07-28 2000-07-28 곡물쌀 Ceased KR200000636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3876A KR20000063667A (ko) 2000-07-28 2000-07-28 곡물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3876A KR20000063667A (ko) 2000-07-28 2000-07-28 곡물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3667A true KR20000063667A (ko) 2000-11-06

Family

ID=19680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3876A Ceased KR20000063667A (ko) 2000-07-28 2000-07-28 곡물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6366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270B1 (ko) * 2001-11-23 2008-09-08 원농라이스주식회사 메밀의 성분이 함유된 청결미 제조방법.
KR100917710B1 (ko) * 2007-11-02 2009-09-21 공영준 저당 성형쌀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270B1 (ko) * 2001-11-23 2008-09-08 원농라이스주식회사 메밀의 성분이 함유된 청결미 제조방법.
KR100917710B1 (ko) * 2007-11-02 2009-09-21 공영준 저당 성형쌀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7787B1 (ko) 송이버섯이 포함된 된장의 제조방법
KR20110045898A (ko) 감탁주 및 그 제조방법
KR101813446B1 (ko) 매실 추출액을 이용한 국수제조방법
KR100539104B1 (ko) 함초 오곡 죽의 제조방법
CN104026573A (zh) 发芽糯糙米大豆复合营养粉及其制作方法
KR20230026639A (ko) 천연 콩가루를 포함하는 기정떡의 제조방법
KR101766288B1 (ko) 사과현미국수와 그 제조방법
KR102354570B1 (ko) 감미 증진 부석태 한식 간장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20000058409A (ko) 곡물국수
KR100722971B1 (ko) 더덕이 포함된 된장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된장
KR102358659B1 (ko) 파스닙을 포함하는 선식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91483B1 (ko) 효모수 발아 곡물을 포함하는 호박과자 제조방법
KR20000063667A (ko) 곡물쌀
KR100427534B1 (ko) 호박을 함유한 식혜의 제조방법
KR102320471B1 (ko) 감자 옹심이 및 그 제조방법
KR20110138127A (ko) 무화과를 이용한 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떡
KR20000063666A (ko) 바다식물쌀
KR20060103721A (ko) 복령버섯을 함유한 식품 제조방법
KR101668010B1 (ko) 아마란스 종실 함유 김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93479A (ko) 렉틴 프리 도사 반죽물 제조방법
KR102804274B1 (ko) 밤과 잡곡을 활용한 영양 누룽지의 제조 방법
KR102043974B1 (ko) 톳이 함유된 된장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73412B1 (ko) 현미묵의 제조방법
KR102196439B1 (ko) 등겨장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34268A (ko) 땅콩 국수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7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07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210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207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