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3608A - 상승 또는 하강 기능을 갖는 조리판을 구비한 저당밥 조리기기를 이용한 저당밥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상승 또는 하강 기능을 갖는 조리판을 구비한 저당밥 조리기기를 이용한 저당밥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3608A
KR20210033608A KR1020190115085A KR20190115085A KR20210033608A KR 20210033608 A KR20210033608 A KR 20210033608A KR 1020190115085 A KR1020190115085 A KR 1020190115085A KR 20190115085 A KR20190115085 A KR 20190115085A KR 20210033608 A KR20210033608 A KR 202100336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rice
heating
steam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5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5681B1 (ko
Inventor
김미영
Original Assignee
김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미영 filed Critical 김미영
Priority to KR1020190115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5681B1/ko
Publication of KR20210033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3608A/ko
Priority to KR1020210124450A priority patent/KR1023089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5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5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6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56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 A47J27/62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by device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heat supply by switching off heaters or for automatically lifting the cooking-vessels
    • A47J27/64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by device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heat supply by switching off heaters or for automatically lifting the cooking-vessels for automatically lifting the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2Time-controlled igniting mechanisms or alarm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쌀, 보리쌀, 찹쌀, 가바쌀 등의 곡물을 이용하여 밥을 지을 때 밥에 포함된 탄수화물의 흡수를 최대한 낮출 수 있는 저당밥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와 같은 저당밥 제조방법은, 상기 조리 용기의 내부에 장착된 상기 조리판의 내부 또는 상부에 미리 설정된 분량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곡물과 밥물을 각각 넣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저당밥 조리명령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저당밥 조리명령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상기 조리 용기의 밑면에 장착된 가열판을 제어하여 가열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가열이 종료된 후,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상기 곡물이 담긴 상기 조리판을 상기 밥물과 분리되도록 미리 설정된 높이까지 상승시키고, 상기 가열판을 제어하여 1차 뜸 들이기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상승 또는 하강 기능을 갖는 조리판을 구비한 저당밥 조리기기를 이용한 저당밥 제조방법{Method for cooking low-sugar rice using a cooking plate having up or down function}
본 발명은 저당(低糖)밥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백미, 현미, 잡곡 등의 다양한 곡물 중에서 하나 이상의 곡물을 이용하여 밥을 지을 때 쌀에 포함된 탄수화물의 흡수를 최대한 낮출 수 있는 상승 또는 하강 기능을 갖는 조리판을 구비한 저당밥 조리기기를 이용한 저당밥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 국민 1인당 1일 당(糖) 섭취량이 2002년 40g이었으며, 10년이 지난 2012년 당(糖) 섭취량 65.3g으로 38% 증가하여 당뇨병 및 심혈관질환 등의 질환으로 각종 질병이 증가되고 있다.
이와 같은 질병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18만4천여 명이 년간 사망에 이루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당뇨병이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에서도 2030년에는 당뇨병 대란이 올 것이라는 보도가 있었다. 이는 지난 수십여 년 동안의 당뇨병 증가 추세를 반영한 결과로, 실제로 30세 이상 당뇨병 유병률은 지난 1971년 1.5%에서 최근에는 약 12%까지 늘어나, 40년간 무려 7배 이상 증가하였다. 더 큰 문제는 당뇨병 발생 위험도가 매우 높은 당뇨병 전단계 환자 수가 당뇨병 환자의 두 배 가까이 되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어서 향후 당뇨병의 폭발적인 증가가 예상된다.
이러한 위기감 때문에 지난 2011년 UN에서는 향후 인류를 위협할 수 있는 4대 비전염성 질환 중 하나로 당뇨병을 선정한 바 있다.
이러한 사회적 위기감을 해소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45637호 (2009년 05월 08일)에는 쌀을 제외한 곡물 분말을 혼합한 후 쌀 모양으로 성형하여 아미노산, 비타민, 무기질, 섬유소 등의 영양성분이 우수하고, GI가 낮아 당뇨, 비만 등의 성인병의 진행을 억제할 수 있는 저당 쌀 및 이의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39640호 (2011년06월01일)에는 뽕잎추출물 4~6 중량부, 양파즙 60~70 중량부, 해양심층수 18~20 중량부, 알코올 8~12 중량부, 및 알긴산나트륨 0.5~1.5 중량부로 이루어진 쌀 코팅용 조성물로 이루어진 코팅액으로 쌀을 코팅함으로써 혈당 강하 효과가 높은 기능성 쌀인 저당미를 제조할 수 있는 뽕잎추출물 및 양파즙의 혼합물 코팅액을 이용한 저당미의 제조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67685호 (2009년 06월 25일)에는 쌀보리, 현미, 다시마 현미, 늘보리, 진흑미, 흑미, 압맥, 할맥, 서리태, 적두, 흑태, 백태, 약콩, 밤콩, 깐 녹두, 거두, 청태, 강낭콩, 율무의 혼합곡물 85~95중량%와; 야콘 분말, 보리 새싹 분말, 함초 분말, 도토리 분말의 첨가분말 5~15중량%의 원료 중에서 혼합곡물을 깨끗하게 세정한 후 첨가 분말을 첨가하고 밥을 지어 일정 포장단위로 포장하는 다이어트와 당뇨에 도움을 주는 기능성 즉석밥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05591호 (2012년 01월 05일)에는 뽕나무 추출물에 강황 수용액, 상황버섯 추출물, 가시오가피 추출물, 양파즙, 감식초, 알긴산 나트륨을 혼합하여 코팅액을 제조한 다음, 상기 코팅액을 쌀에 코팅시켜 제조하여, 혈당 강하에 좋은 효과가 있는 혈당 강하 기능성 쌀 저당미 및 그의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은 쌀을 제외한 곡물 분말을 혼합한 후 쌀 모양으로 성형하거나, 별도의 혼합곡물을 혼합하거나, 특정 기능성 코팅액을 쌀에 코팅하기 때문에 쌀 자체에 함유된 당분을 효과적으로 줄이는 데는 한계가 있었으며, 쌀에 포함된 탄수화물이 체내에서 소화되면서 포도당으로 분해되어 흡수되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체내 당 농도가 증가하게 되고 이는 당뇨병 환자나 혈당이 높은 사람에게는 당뇨병의 원인을 제공할 수 있는 단점을 그대로 갖고 있다.
이에 따라 쌀 자체에 함유된 탄수화물을 줄일 수 있는 저당밥을 짓는 방법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45637호 (2009년 05월 08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67685호 (2009년 06월 25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39640호 (2011년06월01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05591호 (2012년 01월 05일)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종래기술의 단점과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생각해 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쌀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곡물을 이용하여 밥을 지으면서, 뜸 들이기를 할 때 곡물을 당이 녹아 있는 밥물로 부터 분리시킨 상태에서 뜸 들이기를 함으로써 저당밥을 지을 수 있는 상승 또는 하강 기능을 갖는 조리판을 구비한 저당밥 조리기기를 이용한 저당밥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승 또는 하강 기능을 갖는 조리판을 구비한 저당밥 조리기기를 이용한 저당밥 제조방법은, 하우징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리 프로그램이 내장된 마이크로프로세서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에 가열판, 조리 용기, 조리 조리판이 차례로 장착되는 조리기기에 있어서, 상기 조리 용기의 내부에 장착된 상기 조리판의 내부 또는 상부에 미리 설정된 분량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곡물과 밥물을 각각 넣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저당밥 조리명령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저당밥 조리명령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상기 조리 용기의 밑면에 장착된 가열판을 제어하여 1차 가열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1차 가열이 종료된 후,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상기 곡물이 담긴 상기 조리판을 상기 밥물과 분리되도록 미리 설정된 높이까지 상승시키고, 상기 가열판을 제어하여 1차 뜸 들이기를 실행하는 단계; 상기 1차 뜸 들이기 단계가 종료된 후,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상기 곡물이 담긴 상기 조리판을 미리 설정된 위치까지 하강시키고, 상기 가열판을 제어하여 2차 가열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2차 가열단계가 종료된 후,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상기 조리판을 미리 설정된 높이까지 상승시키고, 상기 가열판을 제어하여 2차 뜸 들이기를 실행하는 단계; 상기 2차 뜸 들이기 단계가 종료된 후,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상기 조리판을 미리 설정된 위치까지 하강시키고, 상기 가열판을 제어하여 3차 가열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3차 가열단계가 종료된 후,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미리 설정된 높이까지 상승시키고, 상기 가열판을 제어하여 3차 뜸 들이기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승 또는 하강 기능을 갖는 조리판을 구비한 저당밥 조리기기를 이용한 저당밥 제조방법은, 하우징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리 프로그램이 내장된 마이크로프로세서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에 가열판, 조리 용기, 조리 조리판이 차례로 장착되는 조리기기에 있어서, 상기 조리 용기의 내부에 장착된 상기 조리판의 내부 또는 상부에 미리 설정된 분량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곡물과 밥물을 각각 넣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저당밥 조리명령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저당밥 조리명령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상기 조리 용기의 밑면에 장착된 가열판을 제어하여 가열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가열이 종료된 후,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상기 곡물이 담긴 상기 조리판을 상기 밥물과 분리되도록 미리 설정된 높이까지 상승시키고, 상기 가열판을 제어하여 1차 뜸 들이기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상승 또는 하강 기능을 갖는 조리판을 구비한 저당밥 조리기기를 이용한 저당밥 제조방법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곡물을 이용하여 밥을 지을 때, 가열 모드에서는 곡물을 밥물에 젖은 상태로 가열하고, 뜸 들이기 모드에서는 곡물을 당분이 녹아 있는 밥물로부터 분리시킨 상태에서 뜸 들이기를 함으로써, 뜸 들이기 공정 중에 밥물에 녹아 있는 당분의 함량만큼 당분의 흡수가 줄어든 저당밥을 지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승 또는 하강 기능을 갖는 조리판을 구비한 저당밥 조리기기를 이용한 저당밥 제조공정을 보인 제어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승 또는 하강 기능을 갖는 조리판을 구비한 저당밥 조리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승 또는 하강 기능을 갖는 조리판을 구비한 저당밥 조리기기의 조리판의 상승 또는 하강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승 또는 하강 기능을 갖는 조리판을 구비한 저당밥 조리기기의 조리 용기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승 또는 하강 기능을 갖는 조리판을 구비한 저당밥 조리기기의 상승 또는 하강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첫 번째 실시 예에 따른 저당밥 조리기기를 이용한 저당밥의 시험성적표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두 번째 실시 예에 따른 저당밥 조리기기를 이용한 저당밥의 시험성적표이다.
도 10은 일반적인 전기밥솥을 이용한 일반밥의 시험 성적표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승 또는 하강 기능을 갖는 조리판을 구비한 저당밥 조리기기를 이용한 저당밥을 짓는 절차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승 또는 하강 기능을 갖는 조리판을 구비한 저당밥 조리기기를 이용한 저당밥 제조공정을 보인 제어흐름도이다.
<첫번째 실시 예> : 1~3차 가열하기 및 1~4차 뜸 들이기 실행
(1) 곡물 안치기 및 밥물 맞추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조리 용기(110)의 내부에 조리판(120)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조리판(120)의 상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곡물을 안치고 미리 설정된 용량의 밥물을 조리 용기(110)의 내부 용량에 맞게 맞춘다(도 1 S11단계). 또는 사용자는 조리 용기(110)의 내부에 조리판(120)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용량의 밥물을 조리 용기(110)의 내부 용량에 맞게 넣고 조리판(120)의 상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곡물을 안칠 수 도 있다. 이어 조리 용기(110)의 내부를 닫도록 용기 뚜껑(130)을 하우징(230)의 상부에 장착시킨다 (도 1 S12단계).
이때, 곡물은 (1) 흰쌀(백미), (2) 흰쌀과 현미, (3) 흰쌀과 잡곡과 같이 하나 이상의 곡물을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다양하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곡물과 밥물의 비율은 1:3~4의 부피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조리 용기(110)의 제1 결합봉(11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장착부(210)의 제3 결합봉(220)에 포개지도록 안착되는 동시에 조리판(120)의 제2 결합봉(122)은 조리 용기(110)의 제1 결합봉(112)에 포개지도록 안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조리판(120)의 표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타공(124)이 관통 형성되어 있어서 조리 용기(110)의 내부에 들어 있는 밥물이 다수개의 타공(124)을 통해 조리판(120)의 내부로 유입되거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2) 밥짓기 명령 실행
사용자는 조리기기의 조작 패널(410)을 사용하여 미리 설정된 용량에 맞게 특정 종류의 밥짓기 명령(예를 들어, 백미, 백미+현미, 백미+잡곡 등)을 실행한다(도 1 S13단계).
이와 같은 밥짓기 명령은 즉시 밥짓기 모드와 예약 밥짓기 모드로 구분될 수 있으며, 하우징(230)의 내부에 설치된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른 시간에 밥짓기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는 컴퓨터의 산술논리연산기, 레지스터, 프로그램 카운터, 명령디코더, 제어회로 등의 연산장치와 제어장치를 1개의 작은 실리콘 칩에 모아놓은 처리장치로써,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미리 다양한 조리메뉴가 프로그램화되어 있어, 사용자의 조리명령을 해석하고, 해당 기능을 실행한다.
(3) 1차 가열하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조리판(120)이 조리 용기(110)의 상부면에 장착된 가열 준비상태인지를 판단하여(도 1 S14단계), 조리판(120)이 조리 용기(110)의 상부면에 정상적으로 장착된 상태로 판단되면 아래의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 용기(110)의 밑면에 장착된 가열판(24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여 미리 설정된 1차 가열시간(8~12분) 동안 저당밥 조리기기의 최대 출력으로 설정된 1600~1800 Watt (바람직하게는 1,700 Watt)로 1차 가열을 실행한다(도 1 S16단계).
(5) 1차 뜸 들이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1차 가열시간(8~12분)을 카운트하여 1차 가열시간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되면(도 1 S17단계), 곡물이 담긴 조리판(120)을 밥물과 분리되도록 미리 설정된 높이까지 상승시키고(도 1 S18단계), 이어, 아래의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판(24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여 미리 설정된 1차 뜸 들이기 시간 (4~8분) 동안 미리 설정된 최대출력의 1/2 출력으로 1차 뜸 들이기를 실행한다(도 1 S19단계).
여기서, 조리판(120)이 상승되는 미리 설정된 높이는 조리판(120)의 상승동작시 용기 뚜껑(130)의 밑면과 충돌하지 않도록 조리판(120)의 상단 외주면이 조리 용기(110)의 상단 외주면을 초과하지 않는 높이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6) 2차 가열하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1차 뜸 들이기 시간(4~8분)을 카운트하여 1차 뜸 들이기 시간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되면(도 1 S20단계), 곡물이 담긴 조리판(120)을 밥물에 젖도록 조리 용기(110)의 상부면에 장착되도록 하강시키고(도 1 S21단계), 이어, 아래의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판(24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여 미리 설정된 2차 가열시간(2~6분) 동안 미리 설정된 최대출력의 1/5 출력으로 2차 가열을 실행한다(도 1 S22단계).
(7) 2차 뜸 들이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2차 가열 시간(2~6분)을 카운트하여 2차 가열시간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되면(도 1 S23단계), 곡물이 담긴 조리판(120)을 밥물과 분리되도록 미리 설정된 높이까지 상승시키고(도 1 S24단계), 이어, 아래의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판(24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여 미리 설정된 2차 뜸 들이기 시간(2~6분) 동안 미리 설정된 최대출력의 1/5 출력으로 2차 뜸 들이기를 실행한다(도 1 S25단계).
(8) 3차 가열하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2차 뜸 들이기 시간(2~6분)을 카운트하여 2차 뜸 들이기 시간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되면(도 1 S26단계), 곡물이 담긴 조리판(120)을 밥물에 젖도록 조리 용기(110)의 상부면에 장착되도록 하강시키고(도 1 S27단계), 이어, 아래의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판(24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여 미리 설정된 3차 가열시간(2~5분) 동안 저당밥 조리기기의 미리 설정된 최대출력의 8/9 출력으로 3차 가열을 실행한다(도 1 S28단계).
(9) 3차 뜸 들이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3차 가열 시간(2~5분)을 카운트하여 3차 가열시간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되면(도 1 S29단계), 곡물이 담긴 조리판(120)을 밥물과 분리되도록 미리 설정된 높이까지 상승시키고(도 1 S30단계), 이어, 아래의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판(24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여 미리 설정된 3차 뜸 들이기 시간(2~5분) 동안 미리 설정된 최대출력의 1/3~1/5 출력으로 3차 뜸 들이기를 실행한다(도 1 S31단계).
(10) 4차 뜸 들이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선택적으로 3차 뜸 들이기 시간(2~5분)을 카운트하여 3차 뜸 들이기시간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되면(도 1 S32단계), 아래의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밥에 포함된 수분을 최대한 증발시키기 위하여 가열판(24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여 미리 설정된 4차 뜸 들이기 시간(4~8분) 동안 미리 설정된 최대출력의 1/8 출력으로 4차 뜸 들이기를 실행한다(도 1 S33단계).
(11) 저당밥 짓기 종료
마이크로프로세서는 4차 뜸 들이기 시간(4~8분)을 카운트하여 4차 뜸 들이기시간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되면(도 1 S34단계), 곡물이 담긴 조리판(120)이 미리 설정된 높이까지 상승된 상태에서 밥짓기 명령을 종료한다. 이때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미리 설정된 보온모드로 전환하면서 밥짓기가 종료되었음을 알리는 종료음을 출력 및 조작패널(410)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프로세서는 4차 뜸 들이기 시간(4~8분)을 카운트하여 4차 뜸 들이기 시간이 종료된 상태(도 1 S34단계)에서 조리 용기(110)의 내부에 남아있는 수분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 용기(110)의 내부에 남아있는 수분을 최대한 증발시키기 위하여 곡물이 담긴 조리판(120)을 조리 용기(110)의 상부면에 장착되도록 하강시키면서 밥짓기 명령을 종료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 S35단계)
구분 1차 가열 1차 뜸 들이기 2차 가열 2차 뜸 들이기 3차 가열하기 3차 뜸 들이기 4차 뜸 들이기 합계
끓임세기
(W)
최대출력 1/2 1/5 1/5 8/9 1/3~1/5 1/8
끓임시간
(분)
8-12분 4-8분 2-6분 2-6분 2-5분 2-5분 4~8분 24-50분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저당밥 제조공정에서 조리판(120)의 상승 또는 하강동작을 전기를 이용한 조리판 승하강방식과 자력을 이용한 조리판 승하강방식을 이용하여 실행될 수 있는데,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기를 이용한 조리판 승하강방식을 설명하면,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제어명령에 따라 조리판(120)의 상승모드 또는 하강모드의 실행이 요구되는 경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모터(310)를 구동하여 모터(310)의 구동축(미도시)에 연결된 회전 제한판(320)을 구동축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상응하게 회전시킨다. 한편, 회전감지 스위치(330)는 회전 제한판(320)이 위치 조절봉(350)의 미리 설정된 상부 위치 또는 하부 위치에 도달하면 이를 감지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전달하기 때문에 마이크로프로세서는 회전 제한판(320)이 위치 조절봉(350)의 미리 설정된 상부 위치 또는 하부 위치에 도달할 때마다 모터(310)의 회전을 중지시키고, 모터(310)의 다음 회전시 회전방향을 반대방향으로 전환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상부는 위치 조절봉(350)이 결합 또는 고정되면서 하부는 모터(310)의 구동축에 연결된 커넥팅로드(340)가 구동축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방향에 상응하도록 조절봉(350)의 미리 설정된 상부 위치 또는 하부 위치에 상응하도록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이크로프로세서는 가열모드에서는 위치 조절봉(350)에 의해 조리판(120)의 제2 결합봉(122)을 제1 결합봉(112)의 외주면을 따라 미리 설정된 하부위치 즉, 조리 용기(110)의 상부면에 장착되는 위치까지 하강시킨 상태에서 가열을 실행하고, 뜸 들이기 모드에서는 조리판(120)의 제2 결합봉(122)을 제1 결합봉(112)의 외주면을 따라 미리 설정된 상부 위치, 조리 용기(110)의 상단 외주면 까지 상승시킨 상태에서 뜸 들이기를 실행할 수 있다.
한편, 자력을 이용한 조리판 승하강방식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제어명령에 따라 조리판(520)의 상승모드(또는 하강모드)의 실행이 요구되는 경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미리 설정된 회전시간 동안 모터(720)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킨다. 이때, 모터(720)의 회전에 의해 연동으로 회전되는 구동축과 연결된 회전 기어봉(730)이 모터(720)의 구동축의 정회전(또는 역회전) 동작에 상응하게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제1 영구자석(760)을 구비한 이송 케이스(750)가 회전 기어봉(730)의 회전동작에 상응하게 회전 기어봉(730)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이(미도시)를 따라 상부방향 (또는 하부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으며, 이때, 조리판(520)의 제2 결합봉(522)의 재질은 철 성분이 포함된 금속재질이므로, 조리판(520)의 제2 결합봉(522)이 제1 영구자석(760)에서 용기 장착부(610)의 제3 결합봉(612)의 중심방향으로 잡아당기는 자력에 의해서 제1 영구자석(760)과 연동으로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이크로프로세서는 가열모드에서는 조리판(520)의 제2 결합봉(522)을 조리용기(510)의 제1 결합봉(512)의 외주면을 따라 미리 설정된 하부위치까지 하강시킨 상태에서 가열을 실행할 수 있고, 뜸 들이기 모드에서는 조리판(520)의 제2 결합봉(522)을 제1 결합봉(512)의 외주면을 따라 미리 설정된 상부 위치까지 상승시킨 상태에서 뜸 들이기를 실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첫 번째 실시 예에 따르면, 조리 용기(110)의 내부에 장착된 조리판(120)의 내부 또는 상부에 미리 설정된 분량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곡물과 밥물을 각각 넣고, 조리 용기(110)의 밑면에 장착된 가열판(240)을 가열하여 밥을 지을 때, 1차 가열 단계, 1차 뜸 들이기 단계, 2차 가열 단계, 2차 뜸 들이기 단계, 3차 가열 단계, 3차 뜸 들이기 단계, 및 4차 뜸 들이기 단계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며, 이때 1차 내지 3차 가열 단계에서 조리판(120)은 곡물이 밥물에 젖도록 미리 설정된 위치까지 하강되도록 제어하며, 1차 내지 4차 뜸 들이기 단계에서는 조리판(120)이 밥물과 분리되도록 미리 설정된 높이까지 상승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번째 실시 예> : 1차 가열하기 및 1차 및 2차 뜸 들이기만 실행
(1) 곡물 안치기 및 밥물 맞추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조리 용기(110)의 내부에 조리판(120)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조리판(120)의 상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곡물을 안치고 미리 설정된 용량의 밥물을 조리 용기(110)의 내부 용량에 맞게 맞춘다. 또는 사용자는 조리 용기(110)의 내부에 조리판(120)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용량의 밥물을 조리 용기(110)의 내부 용량에 맞게 넣고 조리판(120)의 상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곡물을 안칠 수 도 있다. 이어 조리 용기(110)의 내부를 닫도록 용기 뚜껑(130)을 하우징(230)의 상부에 장착시킨다.
이때, 곡물은 (1) 흰쌀(백미), (2) 흰쌀과 현미, (3) 흰쌀과 잡곡과 같이 하나 이상의 곡물을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다양하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곡물과 밥물의 비율은 1:3~4의 부피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조리 용기(110)의 제1 결합봉(11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장착부(210)의 제3 결합봉(220)에 포개지도록 안착되는 동시에 조리판(120)의 제2 결합봉(122)은 조리 용기(110)의 제1 결합봉(112)에 포개지도록 안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조리판(120)의 표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타공(124)이 관통 형성되어 있어서 조리 용기(110)의 내부에 들어 있는 밥물이 다수개의 타공(124)을 통해 조리판(120)의 내부로 유입되거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2) 밥짓기 명령 실행
사용자는 조리기기의 조작 패널(410)을 사용하여 미리 설정된 용량에 맞게 특정 종류의 밥짓기 명령(예를 들어, 백미, 백미+현미, 백미+잡곡 등)을 실행한다.
이와 같은 밥짓기 명령은 즉시 밥짓기 모드와 예약 밥짓기 모드로 구분될 수 있으며, 하우징(230)의 내부에 설치된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른 시간에 밥짓기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3) 가열하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조리판(120)이 조리 용기(110)의 상부면에 장착된 가열 준비상태인지를 판단하여, 조리판(120)이 조리 용기(110)의 상부면에 정상적으로 장착된 상태로 판단되면 아래의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 용기(110)의 밑면에 장착된 가열판(24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여 미리 설정된 가열시간(13~20분) 동안 저당밥 조리기기의 최대 출력으로 설정된 1600~1800 Watt (바람직하게는 1,700 Watt)로 가열을 실행한다.
(4) 1차 뜸 들이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1차 가열시간(8~12분)을 카운트하여 1차 가열시간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곡물이 담긴 조리판(120)을 밥물과 분리되도록 미리 설정된 높이까지 상승시키고, 이어, 아래의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판(24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여 미리 설정된 1차 뜸 들이기 시간(13~20분) 동안 미리 설정된 최대출력의 1/2 출력으로 1차 뜸 들이기를 실행한다.
여기서, 조리판(120)이 상승되는 미리 설정된 높이는 조리판(120)의 상승동작시 용기 뚜껑(130)의 밑면과 충돌하지 않도록 조리판(120)의 상단 외주면이 조리 용기(110)의 상단 외주면을 초과하지 않는 높이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2차 뜸 들이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선택적으로 1차 뜸 들이기 시간(13~20분)을 카운트하여 1차 뜸 들이기시간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아래의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밥에 포함된 수분을 최대한 증발시키기 위하여 가열판(24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여 미리 설정된 2차 뜸 들이기 시간(4~10분) 동안 미리 설정된 최대출력의 1/8 출력으로 2차 뜸 들이기를 실행한다.
(6) 저당밥 짓기 종료
마이크로프로세서는 2차 뜸 들이기 시간(4~10분)을 카운트하여 2차 뜸 들이기시간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곡물이 담긴 조리판(120)이 미리 설정된 높이까지 상승된 상태에서 밥짓기 명령을 종료한다. 이때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미리 설정된 보온모드로 전환하면서 밥짓기가 종료되었음을 알리는 종료음을 출력 및 조작패널(410)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프로세서는 2차 뜸 들이기 시간(4~10분)을 카운트하여 2차 뜸 들이기 시간이 종료된 상태에서 조리 용기(110)의 내부에 남아있는 수분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조리 용기(110)의 내부에 남아있는 수분을 최대한 증발시키기 위하여 곡물이 담긴 조리판(120)을 조리 용기(110)의 상부면에 장착되도록 하강시키면서 밥짓기 명령을 종료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분 가열하기 1차 뜸 들이기 2차 뜸 들이기 합계
끓임세기
(W)
최대출력 1/2 1/8
끓임시간
(분)
13-20분 13-20분 4~10분 30-50분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두 번째 실시 예에서는 1차 가열 및 1차 및 2차 뜸 들이기 공정만을 수행하는데, 1차 및 2차 뜸들이기 공정을 수행할 때에는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첫 번째 실시 예와 동일하게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조리판(120)을 미리 설정된 상부 위치까지 상승시킨 상태에서 뜸들이기를 할 수 있어, 곡물 자체에 포함된 탄수화물이 곡물에 흡수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비교예 1> : 일반적인 전기밥솥을 이용한 밥짓기
(1) 쌀 안치기 및 밥물 맞추기
전기밥솥의 조리 용기의 내부에 미리 설정된 용량의 곡물과 밥물을 붓는다. 이때, 곡물과 밥물의 비율은 1:1.2~1.5 부피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가열하기
사용자는 전기밥솥의 조작 패널을 사용하여 미리 설정된 용량에 맞게 밥짓기 명령을 인가하면,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사용자가 설정한 밥짓기 시간에 맞게 전기밥솥의 가열판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여 미리 설정된 가열시간 동안 조리 용기를 미리 설정된 출력으로 가열한다.
(5) 뜸 들이기
전기밥솥의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미리 설정된 가열시간을 카운트하여 가열시간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가열판에 전원을 공급을 유지하도록 제어하여 미리 설정된 뜸 들이기 시간 동안 조리 용기의 미리 설정된 출력으로 뜸 들이기 한다.
이와 같은 기존의 전기밥솥을 이용하여 밥을 짓는 경우에는 밥을 뜸 들이기 동안에 밥이 밥물에 젖거나 잠긴 상태에서 가열되기 때문에 밥물에 포함된 탄수화물이 완성된 밥에 그대로 흡수될 수 있다.
<실험예 1> 저당밥의 탄수화물 및 열량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3을 통하여 지어진 저당밥과 비교예 1에서 지어진 일반 밥에 대한 탄수화물 및 열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첫번째 및 두번째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저당밥 및 일반적인 전기밥솥으로 지은 일반밥 시료를 SGS Korea에 각각 의뢰하여 100g 당 검출되는 열량,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수분, 회분, 식이섬유의 7대 영양소의 함량을 확인한 결과, 8 내지 도 10과 같은 시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첫 번째 실시 예에 따른 저당밥 조리기기를 이용한 저당밥의 시험성적표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두 번째 실시 예에 따른 저당밥 조리기기를 이용한 저당밥의 시험성적표이며, 도 10은 일반적인 전기밥솥을 이용한 일반밥의 시험 성적표이다.
도 8 내지 도 10 및 아래의 표 3을 참조하면, 탄수화물과 열량의 함량은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 예, 두번째 실시예 그리고 비교예 1의 순서로 낮은 것을 알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 예에 의해 지어진 저당밥의 탄수화물과 비교예 1에 의해 지어진 일반밥의 탄수화물 차이는 30% 이상의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시험 항목
탄수화물 단위 열량 단위
첫번째 실시예 24.5 g/100g 117 kcal/100g
두번째 실시예 27.5 g/100g 121 kcal/100g
비교예 1 42.9 g/100g 186 kcal/100g
<실험예 2> 저당밥의 기호도 평가
상기 본 발명의 첫 번째 내지 두 번째 실시예를 통하여 지어진 저당밥과 비교예 1에서 지어진 일반 밥에 대한 기호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관능실험을 실시하였다.
상기 관능실험은 9점 척도 (9-point hedonic scale)법을 사용하여 기호도를 평가하였다(9점 : 매우 좋다, 7점 : 좋다, 5점 : 보통이다, 3점 : 나쁘다, 1점 : 매우 나쁘다) 평가항목은 찰기, 냄새, 담백하고 부드러운 식감, 전체 만족도로 하고, 관능검사 대상 인원은 20~50대 남녀 100명으로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얻은 검사 결과의 평균값을 다음 표 3에 나타내었다.
검사 항목
찰기 냄새 식감 전체적인 만족도
첫번째 실시예 7.2 7.2 6.8 7.1
두번째 실시예 6.7 6,8 6.4 6,6
비교예 1 7.9 7.8 7.5 7.6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전기밥솥으로 지은 일반밥의 찰기, 냄새, 식감 및 전체적인 만족도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첫 번째 실시 예에 의해 지어진 저당밥의 찰기, 냄새, 식감 및 전체적인 만족도를 서로 비교하여 볼때 많은 차이를 갖고 있지 않은 것으로 알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 예에 의해 지어진 저당밥의 찰기, 냄새, 식감 및 전체적인 만족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첫 번째 실시 예 보다 상대적으로 낮을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상승 또는 하강 기능을 갖는 조리판을 구비한 저당밥 조리기기를 이용한 저당밥 제조방법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곡물을 이용하여 밥을 지을 때, 적어도 한번 이상의 가열 모드에서는 곡물을 밥물에 젖은 상태로 가열하고, 적어도 한번 이상의 뜸 들이기 모드에서는 곡물을 당분이 녹아 있는 밥물로부터 분리시킨 상태에서 뜸 들이기를 할 수 있는데, 가열과 뜸들이기 횟수는 곡물재료에 따라 가변적으로 조정될수 있다.
또한, 비록 가열과 뜸들이기 횟수가 곡물재료에 따라 가변적으로 조정되더라도 뜸 들이기 공정 중에 밥물에 녹아 있는 당분의 함량만큼 당분의 흡수가 줄어든 저당밥을 지을 수 있는 효과는 동일하게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10 : 조리 용기 112 : 제1 결합봉
120 : 조리판 122 : 제2 결합봉
124 : 타공 130 : 용기 뚜껑
210 : 용기 장착부 220 : 제3 결합봉
230 : 하우징 240 : 가열판
310 : 모터 320 : 회전 제한판
330 : 회전 제한 스위치 340 : 커넥팅로드
350 : 위치 조절봉 410 : 조작패널
510 : 조리 용기 512 : 제1 결합봉
520 : 조리판 522 : 제2 결합봉
530 : 용기 뚜껑 610 : 용기 장착부
612 : 제3 결합봉 720 : 모터
730 : 회전 기어봉 740 : 안내편
750 : 이송 케이스 760 : 영구자석

Claims (7)

  1. 하우징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리 프로그램이 내장된 마이크로프로세서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에 가열판, 조리 용기, 조리 조리판이 차례로 장착되는 조리기기에 있어서,
    상기 조리 용기의 내부에 장착된 상기 조리판의 내부 또는 상부에 미리 설정된 분량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곡물과 밥물을 각각 넣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저당밥 조리명령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저당밥 조리명령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상기 조리 용기의 밑면에 장착된 가열판을 제어하여 1차 가열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1차 가열이 종료된 후,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상기 곡물이 담긴 상기 조리판을 상기 밥물과 분리되도록 미리 설정된 높이까지 상승시키고, 상기 가열판을 제어하여 1차 뜸 들이기를 실행하는 단계;
    상기 1차 뜸 들이기 단계가 종료된 후,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상기 곡물이 담긴 상기 조리판을 미리 설정된 위치까지 하강시키고, 상기 가열판을 제어하여 2차 가열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2차 가열단계가 종료된 후,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상기 조리판을 미리 설정된 높이까지 상승시키고, 상기 가열판을 제어하여 2차 뜸 들이기를 실행하는 단계;
    상기 2차 뜸 들이기 단계가 종료된 후,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상기 조리판을 미리 설정된 위치까지 하강시키고, 상기 가열판을 제어하여 3차 가열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3차 가열단계가 종료된 후,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미리 설정된 높이까지 상승시키고, 상기 가열판을 제어하여 3차 뜸 들이기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 또는 하강 기능을 갖는 조리판을 구비한 저당밥 조리기기를 이용한 저당밥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차 뜸 들이기 단계가 종료된 후, 상기 가열판을 4~8분 동안 미리 설정된 최대 출력의 1/8 출력으로 가열하여 4차 뜸들이기를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 또는 하강 기능을 갖는 조리판을 구비한 저당밥 조리기기를 이용한 저당밥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1차 가열단계에서 8~12분 동안 최대출력으로 가열하고, 상기 2차 가열단계에서 2~6분 동안 상기 최대출력의 1/5출력으로 가열하고, 상기 3차 가열단계에서 2~5분 동안 상기 최대 출력의 8/9출력으로 가열을 각각 실행하며;
    상기 1차 뜸 들이기 단계에서 4~8분 동안 상기 최대출력의 1/2 출력으로 뜸들이기를 하고, 상기 2차 뜸 들이기 단계에서 2~6분 동안 상기 최대출력의 1/5출력으로 뜸들이기를 하고, 상기 3차 뜸 들이기 단계에서 2~5분 동안 상기 최대출력의 1/3~1/5 출력으로 뜸 들이기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 또는 하강 기능을 갖는 조리판을 구비한 저당밥 조리기기를 이용한 저당밥 제조방법.
  4. 하우징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리 프로그램이 내장된 마이크로프로세서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에 가열판, 조리 용기, 조리 조리판이 차례로 장착되는 조리기기에 있어서,
    상기 조리 용기의 내부에 장착된 상기 조리판의 내부 또는 상부에 미리 설정된 분량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곡물과 밥물을 각각 넣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저당밥 조리명령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저당밥 조리명령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상기 조리 용기의 밑면에 장착된 가열판을 제어하여 가열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가열이 종료된 후,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상기 곡물이 담긴 상기 조리판을 상기 밥물과 분리되도록 미리 설정된 높이까지 상승시키고, 상기 가열판을 제어하여 1차 뜸 들이기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 또는 하강 기능을 갖는 조리판을 구비한 저당밥 조리기기를 이용한 저당밥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가열단계에서 13~20분 동안 최대출력으로 가열을 실행하며;
    상기 1차 뜸 들이기 단계에서 13~20분 동안 상기 최대출력의 1/2 출력으로 뜸들이기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 또는 하강 기능을 갖는 조리판을 구비한 저당밥 조리기기를 이용한 저당밥 제조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뜸 들이기 단계가 종료된 후, 상기 가열판을 제어하여 2차 뜸 들이기를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 또는 하강 기능을 갖는 조리판을 구비한 저당밥 조리기기를 이용한 저당밥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2차 뜸 들이기 단계에서 4~10분 동안 상기 최대출력의 1/8출력으로 뜸들이기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 또는 하강 기능을 갖는 조리판을 구비한 저당밥 조리기기를 이용한 저당밥 제조방법.
KR1020190115085A 2019-09-19 2019-09-19 상승 또는 하강 기능을 갖는 조리판을 구비한 저당밥 조리기기를 이용한 저당밥 제조방법 KR102305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5085A KR102305681B1 (ko) 2019-09-19 2019-09-19 상승 또는 하강 기능을 갖는 조리판을 구비한 저당밥 조리기기를 이용한 저당밥 제조방법
KR1020210124450A KR102308961B1 (ko) 2019-09-19 2021-09-17 상승 또는 하강 기능을 갖는 조리판을 구비한 저당밥 조리기기를 이용한 저당밥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5085A KR102305681B1 (ko) 2019-09-19 2019-09-19 상승 또는 하강 기능을 갖는 조리판을 구비한 저당밥 조리기기를 이용한 저당밥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4450A Division KR102308961B1 (ko) 2019-09-19 2021-09-17 상승 또는 하강 기능을 갖는 조리판을 구비한 저당밥 조리기기를 이용한 저당밥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3608A true KR20210033608A (ko) 2021-03-29
KR102305681B1 KR102305681B1 (ko) 2021-09-28

Family

ID=7524986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5085A KR102305681B1 (ko) 2019-09-19 2019-09-19 상승 또는 하강 기능을 갖는 조리판을 구비한 저당밥 조리기기를 이용한 저당밥 제조방법
KR1020210124450A KR102308961B1 (ko) 2019-09-19 2021-09-17 상승 또는 하강 기능을 갖는 조리판을 구비한 저당밥 조리기기를 이용한 저당밥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4450A KR102308961B1 (ko) 2019-09-19 2021-09-17 상승 또는 하강 기능을 갖는 조리판을 구비한 저당밥 조리기기를 이용한 저당밥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056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9351B1 (ko) * 2022-01-12 2022-05-17 이문석 저당용 전기밥솥을 이용한 저당밥 취사방법
CN115868779A (zh) * 2023-02-09 2023-03-31 姬路科技(佛山)有限公司 一种低糖电饭煲及使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5637A (ko) 2007-11-02 2009-05-08 공영준 저당 성형쌀의 제조방법
KR20090067685A (ko) 2007-12-21 2009-06-25 김광진 다이어트와 당뇨에 도움을 주는 기능성 즉석밥 및 그제조방법
KR101039640B1 (ko) 2008-09-29 2011-06-09 주식회사 지지아이푸드엔터프라이즈 뽕잎추출물 및 양파즙의 혼합물 코팅액을 이용한 저당미의 제조 방법
KR101105591B1 (ko) 2011-05-30 2012-01-17 윤창용 혈당강하 기능성 쌀 저당미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5637A (ko) 2007-11-02 2009-05-08 공영준 저당 성형쌀의 제조방법
KR20090067685A (ko) 2007-12-21 2009-06-25 김광진 다이어트와 당뇨에 도움을 주는 기능성 즉석밥 및 그제조방법
KR101039640B1 (ko) 2008-09-29 2011-06-09 주식회사 지지아이푸드엔터프라이즈 뽕잎추출물 및 양파즙의 혼합물 코팅액을 이용한 저당미의 제조 방법
KR101105591B1 (ko) 2011-05-30 2012-01-17 윤창용 혈당강하 기능성 쌀 저당미 및 그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amsung_7676님의 블로그, 네이버 블로그, [online], 2019.09.04. [2021.06.27. 검색], 인터넷:<URL : https://blog.naver.com/samsung_7676/221638832505>*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9351B1 (ko) * 2022-01-12 2022-05-17 이문석 저당용 전기밥솥을 이용한 저당밥 취사방법
CN115868779A (zh) * 2023-02-09 2023-03-31 姬路科技(佛山)有限公司 一种低糖电饭煲及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8032A (ko) 2021-09-29
KR102308961B1 (ko) 2021-10-05
KR102305681B1 (ko) 2021-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8379B1 (ko) 가열식 조리기를 이용한 저당밥의 제조방법
KR102308961B1 (ko) 상승 또는 하강 기능을 갖는 조리판을 구비한 저당밥 조리기기를 이용한 저당밥 제조방법
WO2007147331A1 (fr) Procédé de mijotage ou de cuisson automatique ou semi-automatique
CN2448232Y (zh) 自动烹调装置
CN107536444A (zh) 电饭煲及电饭煲的煮饭控制方法
CN107969613A (zh) 小米祛湿杂粮营养粉及其制备方法
CN206621184U (zh) 沥米饭电饭煲
CN112493453A (zh) 一种提高火锅底料风味的方法
CN110463768A (zh) 一种豆浆粥的制作方法
TW200918009A (en) Tea-brewing machine
CN110367833B (zh) 一种饭煲的控制方法
JP7228395B2 (ja) 加熱調理器
CN207604752U (zh) 一种适合糖尿病和消化功能差的人群的多功能自动电饭锅
CN208799109U (zh) 一种料理机
CN109864562A (zh) 烹饪器具及其控制方法
CN206365721U (zh) 一种虹吸火锅装置
CN110313798B (zh) 电饭煲的控制方法
CN208658672U (zh) 厨用料理炒菜一体机
WO2019242137A1 (zh) 烹饪方法、烹饪装置、烹饪器具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206700070U (zh) 一种食物料理机的加热控制装置及食物料理机
CN212729527U (zh) 一种电饭煲
CN110074656A (zh) 可以煮饭时米水分离的电饭煲
CN109330362A (zh) 一种玉米水煮锅
CN213850333U (zh) 多功能食品加工机
CN214230883U (zh) 料理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