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5391A - 컵 시일 및 이것을 사용한 마스터 실린더 - Google Patents

컵 시일 및 이것을 사용한 마스터 실린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5391A
KR20090045391A KR1020097006188A KR20097006188A KR20090045391A KR 20090045391 A KR20090045391 A KR 20090045391A KR 1020097006188 A KR1020097006188 A KR 1020097006188A KR 20097006188 A KR20097006188 A KR 20097006188A KR 20090045391 A KR20090045391 A KR 200900453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
hydraulic chamber
piston
lip
outer 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6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모히로 아오키
마사키 시와
Original Assignee
봇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봇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봇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45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53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by fluid means, e.g. hydraulic
    • B60T11/16Master control, e.g. master cylinders
    • B60T11/236Piston sea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by fluid means, e.g. hydraulic
    • B60T11/16Master control, e.g. master cyl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by fluid means, e.g. hydraulic
    • B60T11/16Master control, e.g. master cylinders
    • B60T11/232Recuperation valves

Abstract

본 발명의 컵 시일은 제 1 액압실(6) 내의 액압에 의해, 외부 립부(21c)의 제 1 시일부(21e)가 오목부(20)의 밑바닥벽(20a)에 밀착되고, 또한, 베이스부(21a)의 제 2 시일부(21f)가 오목부(20)의 후면(20b)에 밀착된다. 이들의 제 1 및 제 2 시일부(21e, 21f)에 의한 2중 시일에 의해, 제 1 액압실(6)의 브레이크액의 누출이 확실히 방지된다. 제 1 액압실(6) 내가 부압이 되면, 외부 립부(21c)의 선단부가 내측으로 구부러지고, 또한, 베이스부(21a)의 외주단측이 전방으로 구부러진다. 이것에 의해, 저장소의 브레이크액이 제 2 및 제 1 시일부(21f, 21e)와 오목부(20)의 벽면의 틈을 통해 제 1 액압실(6) 내로 유입되어, 액 보급성이 확보된다.
Figure 112009018211624-PCT00001
컵 시일, 액압실, 립부, 시일부, 베이스부, 마스터 실린더

Description

컵 시일 및 이것을 사용한 마스터 실린더{Cup seal and master cylind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동차 등의 차량에 있어서의 브레이크나 클러치의 마스터 실린더 등의 실린더와 이 실린더 내에 그 축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슬라이딩 부재로 이루어지는 실린더 장치에 사용되는 컵 시일(cup seal) 및 이 컵 시일을 구비한 플런저형의 마스터 실린더의 기술분야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의 액압 브레이크 시스템이나 액압 클러치 시스템에 있어서는 브레이크나 클러치를 작동하기 위해서, 브레이크 페달 또는 클러치 페달을 밟는 힘에 따른 액압이 발생하는 마스터 실린더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 이 마스터 실린더로서, 플런저형 마스터 실린더가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261020호에 의해 알려져 있다.
이 플런저형 마스터 실린더는 실린더 구멍을 갖는 실린더 본체와, 실린더 구멍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 액압실을 구획하는 피스톤과, 실린더 본체에 형성되어 저장소에 연통하는 연통로와, 피스톤에 형성되어 이 연통로와 액압실을 연통하는 릴리프 포트와, 실린더 본체의 실린더 구멍 내주면의 오목부에 수용되는 동시에 피스톤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하여, 실린더 구멍 내주면과 피스톤 외주면 의 사이를 시일(seal)하는 시일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플런저형 마스터 실린더는 비작동시, 피스톤의 릴리프 포트와 연통로가 시일 부재로 차단되지 않고, 액압실이 릴리프 포트 및 연통로를 개재하여 저장소에 연통해 있다. 따라서, 비작동시, 액압실 안은 대기압으로 되어 있고, 액압은 발생하지 않았다. 클러치 페달을 밟아 피스톤이 액압실측으로 전진하면, 릴리프 포트와 연통로가 시일 부재로 차단되고, 액압실이 저장소로부터 차단된다. 이것에 의해, 피스톤의 전진에 동반하여, 액압실에는 액압이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261020호에 개시된 마스터 실린더에 사용되고 있는 시일 부재에는 피스톤 전진에 의한 액압 발생시에 액압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를 위한 시일 기능과, 피스톤 후퇴시의 응답성 향상을 위해서 저장소의 브레이크액을 액압실에 보급하는 액 보급 기능인 펌핑 기능이 요구된다. 그래서, 시일 부재에 이들의 양 기능을 발휘시키기 위해서, 시일 부재로서 컵 시일이 채용되고 있다.
도 6a 및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컵 시일(a)은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환상의 베이스부(b)와, 이 베이스부(b)의 내주측 말단부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부 립부(c)와, 베이스부(b)의 외주측 말단부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외부 립부(d)로부터, 단면 コ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액압실에 액압이 발생하고 있을 때에는 이 액압에 의해 내부 립부(c)가 피스톤 외주면에 밀착되고, 또한, 액압에 의해 외부 립부(d)가 이 컵 시일(a)이 수용되는 오목부의 밑바닥벽에 밀착됨으로써, 컵 시일(a)은 피스톤 외주면과 실린더 구멍 내주면의 사이를 액밀하게 시일하고 있다.
또한, 액압의 발생 후의 피스톤 후퇴시에, 액압실의 용적이 증대하기 때문에, 액압실이 저하되어 부압(負厭)이 되려고 한다. 이 때문에, 내부 립부(c)가 외측으로 구부러져 피스톤 외주면으로부터 이격하여 틈이 형성되고, 또한, 외부 립부(d)가 내측으로 구부려 오목부의 밑바닥벽으로부터 이격하여 틈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들의 틈을 통해서, 저장소의 브레이크액이 액압실에 보급되는 것으로, 피스톤이 매끄럽게 또한 신속하게 후퇴하게 된다.
그런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마스터 실린더에서는 컵 시일의 내부 립부(c)에 시일 기능만을 갖게 하고, 외부 립부(d)에 시일 기능과 펌핑 기능을 갖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외부 립부(d)에만 펌핑 기능을 갖게 한 경우에는 베이스부(b)의 내주측과 외주측의 사이의 액의 충분한 흐름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마스터 실린더의 컵 시일에서는 베이스부(b)에, 이 베이스부(b)의 내주측과 외주측을 연통시키고 또한 후방에 개구하는 소정수의 베이스부측 홈(e)이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이 마스터 실린더에서는 외부 립부(d)의 외주면에도 외부 립측 홈(f)이 베이스부측 홈(e)과 동수이고 또한 베이스부측 홈(e)에 연통하도록 하여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컵 시일(a)에는 외부 립부(d)의 선단부 외주면에 환상의 시일부(g)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시일부(g)는 실린더의 오목부의 밑바닥벽(내주면)에 접촉하는 것으로, 실린더 내주면에 대하여 액밀하게 시일하여 마스터 실린더의 액압실로부터 저장소로 액의 흐름을 저지한다.
그런데, 실린더 내주면의 오목부에 대한 시일부(g)의 시일 면압을 균일하고 또한 소정의 크기로 확보하지 않으면, 마스터 실린더의 액압실에 액압이 발생하였을 때, 액압은 시일 면압이 작은 부분으로부터 누출될 우려를 생각할 수 있다. 그래서, 컵 시일의 외부 립부(d)의 두께를 크게 하여 탄성계수를 크게 하면, 시일 면압을 균일하고 또한 소정의 크기로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이와 같이 외부 립부(d)의 두께를 단순히 크게 한 것으로는, 외부 립부(d)의 펌프 기능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게 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베이스부 및 외부 립부에 펌핑 기능을 충분히 갖게 하면서, 충분한 보급량을 확보할 수 있고, 더구나 양호한 시일 기능을 갖게 할 수 있는 컵 시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액압 발생이 확실하고, 더구나 피스톤 후퇴시의 응답성을 더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마스터 실린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컵 시일은 오목부에 수용되어, 직경 방향으로 연설되는 환상의 베이스부와, 이 베이스부에 그 내주측 말단부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설되는 환상의 내부 립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그 외주측 말단부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설되고 또한 상기 오목부의 밑바닥벽에 이격 가능하게 접촉하는 환상의 외부 립부를 적어도 구비하는 컵 시일에 있어서, 상기 외부 립부에 제 1 시일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제 1 시일부가 상기 외부 립부의 외주에 있어서, 상기 외부 립부쪽으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쪽으로의 작동액의 흐름에 대하여 상기 오목부의 밑바닥벽에 밀착하여 이 밑바닥벽과의 사이를 시일하는 동시에, 상기 베이스부쪽으로부터 상기 외부 립부쪽으로의 작동액의 흐름에 대하여 상기 오목부의 밑바닥벽으로부터 이격하여 이 밑바닥벽과의 사이에 틈을 형성하는 시일부이고, 또, 상기 베이스부에 제 2 시일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제 2 시일부가 상기 외부 립부의 외주에 있어서, 상기 외부 립부쪽으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쪽으로의 작동액의 흐름에 대하여 상기 외부 립부의 선단이 대향하는 상기 오목부의 제 1 측벽과 반대측의 오목부의 제 2 측벽에 밀착하여 이 제 2 측벽과의 사이를 시일하는 동시에, 상기 베이스부쪽으로부터 상기 외부 립부쪽으로의 작동액의 흐름에 대하여 상기 오목부의 제 2 측벽으로부터 이격하여 이 제 2 측벽과의 사이에 틈을 형성하는 시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컵 시일은 상기 컵 시일이, 상기 베이스부에 상기 내부 립부와 상기 외부 립부의 사이에 위치하여 축방향으로 연설된 중간 립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베이스부, 상기 내부 립부, 상기 외부 립부, 및 상기 중간 립부에 의해, 단면이 대략 E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본 발명에 관계되는 컵 시일은 상기 중간 립부가 소정수 둘레방향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서로 둘레방향에 인접하는 중간 립부의 사이에 상기 중간 립부의 내외주측을 연통하는 연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본 발명에 관계되는 마스터 실린더는 실린더 구멍을 갖는 실린더 본체와, 상기 실린더 구멍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 액압실을 구획하는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 본체에 형성되고, 작동액을 축적하는 저장소에 연통하는 연통로와, 상기 피스톤에 형성되어 상기 액압실과 항상 연통하는 동시에 상기 연통로와 상기 액압실을 연통하는 릴리프 포트와, 상기 실린더 본체의 실린더 구멍 내주면의 오목부에 수용되는 동시에 상기 피스톤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하고, 상기 실린더 구멍 내주면과 상기 피스톤의 외주면의 사이를 시일하는 시일 부재를 구비하고, 비작동시에 상기 연통로와 상기 릴리프 포트가 연통되고, 작동시에 상기 피스톤이 이동하여 상기 시일 부재에 의해 상기 연통로와 상기 릴리프 포트가 차단되도록 되어 있는 마스터 실린더에 있어서, 상기 시일 부재가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컵 시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컵 시일에 의하면, 외부 립부의 외주에 있어서 외부 립부쪽으로부터 베이스부쪽으로의 작동액의 흐름에 대하여, 외부 립부의 제 1 시일부가 오목부의 밑바닥벽에 밀착하여 이 밑바닥벽과의 사이를 시일하는 동시에, 베이스부의 제 2 시일부가 외부 립부의 선단이 대향하는 오목부의 제 1 측벽과 반대측의 오목부의 제 2 측벽에 밀착하여 이 제 2 측벽과의 사이를 시일하게 되기 때문에, 외부 립부쪽으로부터 베이스부쪽으로의 작동액의 흐름에 대하여 직렬로 배치된 2중의 시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컵 시일의 시일성이 향상되어, 컵 시일의 외부 립부의 제 1 시일부보다, 외부 립부쪽으로부터 베이스부쪽으로의 작동액의 흐름에 있어서의 상류측의 액압을 고도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외부 립부의 외주에 있어서 베이스부쪽으로부터 외부 립부쪽으로의 작동액의 흐름에 대하여, 외부 립부의 제 1 시일부가 오목부의 밑바닥벽으로부터 이격하여 이 밑바닥벽과의 사이에 틈을 형성하는 동시에, 베이스부의 제 2 시일부가 오목부의 제 2 측벽으로부터 이격하여 이 제 2 측벽과의 사이에 틈을 형성하게 되기 때문에, 컵 시일의 베이스부의 제 2 시일부보다, 베이스부쪽으로부터 외부 립부쪽으로의 작동액의 흐름에 있어서의 상류측을 향하는 작동액의 흐름을 매끄럽게 할 수 있다.
또, 소정수의 중간 립부를 둘레방향에 소정의 큰 간격을 두고 원환상으로 또한 간헐적으로 배치하고, 인접하는 중간 립부간의 부분에 중간 립부가 존재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외부 립부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구부러지기 쉽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외부 립부의 외주측에서, 작동액의 베이스부측으로부터 외부 립부측으로의 흐름을 더 한층 매끄럽게 또한 더 한층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관계되는 마스터 실린더에 의하면, 작동시, 액압실에 발생한 액압에 의해, 내부 립부가 피스톤의 외주면에 밀착하는 동시에, 외부 립부의 제 1 시일부가 오목부의 밑바닥벽에 밀착하고 또한 베이스부의 제 2 시일부가 오목부의 제 2 측벽에 밀착하게 되기 때문에, 액압실로부터 저장소를 향하는 브레이크액의 흐름에 대하여 직렬로 배치된 2중의 시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컵 시일에 의한 시일성이 향상되어, 액압실의 액압을 고도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작동 해제에 있어서의 피스톤의 후퇴시에, 액압실내의 내압이 부압 경향이 된 경우는 외부 립부의 제 1 시일부가 오목부의 밑바닥벽으로부터 이격하여 이 밑바닥벽과의 사이에 틈을 형성하고, 또한 베이스부의 제 2 시일부가 오목부의 제 2 측벽으로부터 이격하여 이 제 2 측벽과의 사이에 틈을 형성하기 때문에, 저장소로부터 액압실을 향하는 작동액의 흐름을 매끄럽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외부 립부 및 베이스부에 펌핑 기능을 발휘시킬 수 있다. 이 펌핑 기능에 의해 저장소의 작동액을 액압실에 액 보급을 충분히 할 수 있기 때문에, 피스톤의 후퇴방향의 이동을 매끄럽게 또한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컵 시일에 제 2 시일부를 형성하여도 컵 시일의 액 보급성을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고, 피스톤의 후퇴시의 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마스터 실린더에 의하면, 컵 시일의 외부 립부 및 베이스부에 펌핑 기능을 충분히 갖게 하면서, 양호한 시일 기능도 갖게 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컵 시일을 구비하는 마스터 실린더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1b는 도 1a에 있어서의 제 1 컵 시일부의 부분 확대도.
도 2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하는 예의 마스터 실린더에 사용되고 있는 컵 시일의 일례를 도시하고, 도 2a는 평면도, 도 2b는 도 2a에 있어서의 ⅡB-ⅡB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2a의 하면도.
도 4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하는 예의 컵 시일의 거동을 도시하고, 도 4a는 컵 시일의 시일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4b는 컵 시일의 액 보급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하는 예의 마스터 실린더에 사용되고 있는 컵 시일의 다른 예를 도시하고, 도 5a는 평면도, 도 5b는 도 5a에 있어서의 VB-VB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종래의 마스터 실린더에 사용되고 있는 컵 시일의 일례를 도시하고, 도 6a는 평면도, 도 6b는 도 6a에 있어서의 VIB-VIB 선에 따른 단면도.
이하, 도면을 사용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컵 시일을 구비하는 마스터 실린더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1b는 도 1a에 있어서의 제 1 컵 시일부의 부분 확대도, 도 2a 및 도 2b는 이 마스터 실린더에 사용되고 있는 컵 시일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의 마스터 실린더의 전, 후는 각각 도면에 있어서 왼쪽, 오른쪽을 말한다.
도 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런저형 마스터 실린더(1)는 브레이크 시스템의 마스터 실린더로서 사용되고 있고, 실린더 본체(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실린더 본체(2) 내에는 실린더 구멍(3)이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 구멍(3) 내에는 제 1 피스톤(4)과, 제 2 피스톤(5)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제 1 피스톤(4)은 도시하지 않는 브레이크 페달 또는 이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힘을 배력(倍力)하여 출력하는 브레이크 배력장치에 의해서 왼쪽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들의 제 1 피스톤(4) 및 제 2 피스톤(5)에 의해, 실린더 구멍(3) 내에는 제 1 액압실(6)이 제 1 피스톤(4)과 제 2 피스톤(5)의 사이에 구획 형성되고, 또한 제 2 액압실(7)이 제 2 피스톤(5)과 실린더 구멍(3)의 밑바닥부(3a)의 사이에 구획 형성되어 있다.
제 1 액압실(6)에는 제 1 축 부재(8)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제 1 축 부재(8)에는 좌우한 쌍의 제 1 및 제 2 레테이너(9, 10; retainer)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레테이너(9)는 제 1 축 부재(8)에 고정되어 있지만, 제 2 레테이너(10)는 제 1 축 부재(8)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제 2 레테이너(10)가 제 1 축 부재(8)의 우측단에 형성된 플랜지(8a)에 접촉하는 것으로, 제 1 및 제 2 레테이너(9, 10)는 서로 도 1a에 도시하는 최대로 이격한 상태로 설정된다. 이들의 제 1 및 제 2 레테이너(9, 10)의 사이에는 제 1 리턴 스프링(11)이 모아져 설치되어 있다. 제 1 레테이너(9)는 제 2 피스톤(5)에 항상 접촉되는 동시에 제 2 레테이너(10)는 제 1 피스톤(4)에 항상 접촉되어 있고, 도 1a에 도시하는 마스터 실린더(1)의 비작동시에는 제 1 피스톤(4)과 제 2 피스톤(5)은 최대로 이격한 상태로 설정된다.
또, 제 2 액압실(7)에는 제 2 축 부재(12)가 배치되어 있고, 이 제 2 축 부재(12)에 제 3 레테이너(13)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감합되어 있다. 이 경우, 제 3 레테이너(13)는 제 2 축 부재(12)의 우측단에 형성된 플랜지(12a)에 접촉하는 것으로, 제 3 레테이너(13)는 서로 도 1a에 도시하는 최대로 이격한 상태로 설정된다. 제 2 축 부재(12)의 좌단에 형성된 플랜지(12b)와 제 3 레테이너(13)의 사이에는 제 2 리턴 스프링(14)이 모아져 설치되어 있다. 제 3 레테이너(13)는 제 2 피스 톤(5)에 항상 접촉되는 동시에, 제 2 축 부재(12)는 실린더 구멍(3)의 밑바닥부(3a)에 항상 접촉되어 있고, 도 1a에 도시하는 마스터 실린더(1)의 비작동시에는 제 2 피스톤(5)은 밑바닥부(3a)로부터 최대로 이격한 상태로 설정된다.
실린더 본체(2)에는 작동액인 브레이크액을 축적하는 저장소(1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저장소(15)는 제 1 연통로(16) 및 제 1 피스톤(4)에 형성되어 제 1 액압실(6)에 항상 연통하는 제 1 릴리프 포트(17)를 개재하여 제 1 액압실(6)에 연통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제 1 릴리프 포트(17)는 제 1 피스톤(4)의 좌단측 통 형상부(4a)에 천공 형성되어 제 1 피스톤(4)의 내주측의 제 1 액압실(6)과 외주측의 제 1 연통로(16)를 연통하는 직경 방향의 연통 구멍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저장소(15)는 제 2 연통로(18) 및 제 2 피스톤(5)에 형성된 제 2 릴리프 포트(19)를 개재하여 제 2 액압실(7)에 연통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제 1 릴리프 포트(17)와 같이, 제 2 릴리프 포트(19)도, 제 2 피스톤(5)의 통 형상부(5a)에 천공 형성되어 제 2 피스톤(5)의 내주측의 제 2 액압실(7)과 외주측의 제 2 연통로(18)를 연통하는 직경 방향의 연통 구멍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피스톤(4)이 배치되는 실린더 구멍(3)의 내주면에는 오목부(20)가 형성되어 있다. 도 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오목부(20)에는 환상의 제 1 컵 시일(21)이 수용되어 있는 동시에, 제 1 피스톤(4)이 이 제 1 컵 시일(21)을 액밀하게 또한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하고 있다.
도 2a, 2b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환상의 제 1 컵 시일(21)은 직경 방향으로 연설되고 또한 제 1 피스톤(4)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하는 원환상 의 베이스부(21a), 이 베이스부(21a)의 내주측 말단부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설되고 또한 제 1 피스톤(4)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하는 환상의 내부 립부(21b)와, 베이스부(21a)의 외주측 말단부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설되고 또한 오목부(20)의 밑바닥벽(20a)에 이격 가능하게 접촉하는 환상의 외부 립부(21c)와, 내부 립부(21b)와 외부 립부(21c)의 직경 방향 중간에 위치하여 베이스부(21a)의 내주측 말단부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설된 중간 립부(21d)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외부 립부(21c)의 선단이 오목부(20)의 전방측의 제 1 측벽(20c)에 대향하고 있다. 또한, 외부 립부(21c)는 그 선단측이 탄성적으로 구부러지기 쉬운 두께로 되어 있고, 저장소(15)로부터의 브레이크액을 흡입하기 쉽게 되어 있다. 또, 외부 립부(21c)의 축방향 길이는 내부 립부(21b)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지만, 중간 립부(21d)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다. 이 외부 립부(21c)의 선단부 외주면에 환상 돌기형의 제 1 시일부(21e)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부(21a)의 외주 말단부측 후면에, 환상 돌기형의 제 2 시일부(21f)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 2 시일부(21f)는 오목부(20)의 제 1 측벽(20c)과 반대측의 오목부(20)의 후방측의 제 2 측벽(20b)에 대향하고 있다. 또, 베이스부(21a)의 후면에는 제 2 시일부(21f)보다 내주측에 위치하고, 베이스부(21a)의 내주 가장자리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후방에 개구하는 소정수의 베이스부측 홈(21g)이 둘레방향의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중간 립부(21d)는 소정수(도시예에서는 5개)의 중간 립부(21d)가 둘레방향으로 소정의 큰 간격을 두고 원환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컵 시 일(21)은 중간 립부(21d)의 부분에서는 축방향 단면이 약 E자형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중간 립부(21d)가 없는 부분, 요컨대 연통로(21h)의 부분에서는 축방향 단면이 コ자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서로 둘레방향에 인접하는 중간 립부(21d, 21d)의 사이에 중간 립부(21d)의 내외주측을 연통하는 연통로(21h)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중간 립부(21d)는 이들의 선단이 오목부(20)의 제 1 측벽(20c)에 접촉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동시에 이 제 1 측벽(20c)에 접촉하는 것으로 그 이상의 축방향 전방의 이동이 저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각 중간 립부(21d)의 선단에는 오목 홈(21d1)이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 홈(21d1)의 부분은 오목부(20)의 제 1 측벽(20c)에 접촉하지 않는다.
그리고, 도 1a 및 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컵 시일(21)이 오목부(20) 내에 수용된 상태로 마스터 실린더(1)의 비작동시에는 제 1 시일부(21e)가 오목부(20)의 저면(20a)에 접촉하는 동시에, 제 2 시일부(21f)가 오목부(20)의 제 2 측벽(20b)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마스터 실린더(1)의 비작동시에는 각 중간 립부(21d)가 오목부(20)의 제 1 측벽(20c)에 형성된 테이퍼면(20c')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실린더 본체(2)에는 제 1 컵 시일(21)의 후방 근방에 위치하고, 제 1 릴리프 포트(17)와 제 1 연통로(16)를 연통하는 축방향 통로(2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축방향 통로(22)는 제 1 컵 시일(21)의 베이스부측 홈(21g)에도 항상 연통해 있다.
제 2 피스톤(5)이 배치되는 실린더 구멍(3)의 내주면에도, 상술한 오목 부(20)와 같은 오목부(부호 생략)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에는 환상의 제 2 컵 시일(23)이 수용되어 있는 동시에, 제 2 피스톤(5)이 이 제 2 컵 시일(23)을 액밀하게 또한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하고 있다. 이 제 2 컵 시일(23)은 제 1 컵 시일(21)과 완전히 같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도 1a에는 명료하게 도시되지 않지만, 이 제 2 컵 시일(23)의 후방 근방에도, 제 2 연통로(18)와 제 2 릴리프 포트(19)를 연통하는 축방향 통로(22)와 완전히 같은 축방향 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축방향 통로도 제 2 컵 시일(23)의 베이스부측 홈(제 1 컵 시일(21)의 베이스부측 홈(21g)과 완전히 동일)에 항상 연통해 있다.
제 1 액압실(6)은 제 1 출력 포트(24)에 연통되어 있는 동시에, 이 제 1 출력 포트(24)를 개재하여 도시하지 않는 2 브레이크 계통 중, 한쪽의 브레이크 계통의 차륜의 휠 실린더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 2 액압실(7)은 제 2 출력 포트(25)에 연통되어 있는 동시에, 이 제 2 출력 포트(25)를 개재하여 도시하지 않는 브레이크 계통 중, 다른쪽의 브레이크 계통의 차륜의 휠 실린더에 접속되어 있다.
실린더 본체(2)의 실린더 구멍(3)의 후단부 내주에는 컵 시일(26)이 형성되어 있고, 이 컵 시일(26)을 제 1 피스톤(4)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하고 있다. 컵 시일(26)은 상술한 제 1 및 제 2 컵 시일(21, 23)과 다른 종래 공지의 컵 시일로 이루어지고, 실린더 본체(2)의 실린더 구멍(3)의 내주면과 제 1 피스톤(4)의 외주면의 사이의 액밀을 확보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연통로(16)의 브레이크액이 실린더 본체(2)로부터 외부에 누출되는 것이 방지되고 있다.
마찬가지로, 실린더 본체(2)의 실린더 구멍(3)의, 제 2 연통로(18)보다 후방 근방부에는 컵 시일(27)이 형성되어 있고, 이 컵 시일(27)을 제 2 피스톤(5)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하고 있다. 컵 시일(27)도 상술한 제 1 및 제 2 컵 시일(21, 23)과 다른 종래 공지의 컵 시일로 이루어지고, 실린더 본체(2)의 실린더 구멍(3)의 내주면과 제 2 피스톤(4)의 외주면의 사이의 액밀을 확보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액압실(6)의 액압이 유지된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이 예의 마스터 실린더(1)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a에 도시하는 브레이크 비작동 상태에서는 제 1 피스톤(4) 및 제 2 피스톤(5)이 함께 도 1a에 도시하는 비작동 위치에 설정된다. 이 비작동 위치는 양 피스톤(4, 5)의 후퇴 한계 위치로 되어 있다. 제 1 피스톤(4)의 후퇴 한계 위치에서는 그 제 1 릴리프 포트(17)의 후단측의 일부가 제 1 컵 시일(21)의 베이스부(21a)의 후단보다 후방에 위치하여 소정의 틈(α; 도 1b에 도시)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틈(α)에 의해, 제 1 릴리프 포트(17)와 제 1 연통로(16)가 축방향 통로(22)를 개재하여 연통한다. 따라서, 제 1 액압실(6)이 저장소(15)에 연통되고, 제 1 액압실(6) 내는 액압이 발생하지 않았고, 대기압으로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피스톤(5)의 후퇴 한계 위치에서는 제 2 액압실(7)이 저장소(15)에 연통시켜, 제 2 액압실(7) 내는 액압이 발생하지 않았고, 대기압으로 되어 있다.
브레이크 페달이 밟혀 제 1 피스톤(4)이 전진하면, 제 1 릴리프 포트(17)의 전체가 제 1 컵 시일(21)의 베이스부(21a) 및 내부 립부(21b)에 의해서 폐색된다. 이 때문에, 제 1 릴리프 포트(17)와 제 1 연통로(16)가 차단되어 제 1 액압실(6)이 저장소(15)로부터 차단되고, 제 1 액압실(6)에 페달의 밟는 힘에 따른 액압이 발생한다. 또한, 제 1 피스톤(4)의 전진에 의한 제 1 리턴 스프링(11)을 개재하여 전달되는 페달의 밟는 힘에 의해서 제 2 피스톤(5)이 전진하고, 마찬가지로 하여, 제 2 액압실(7)이 저장소(15)로부터 차단되고, 제 2 액압실(7) 내에 액압이 발생한다.
그리고,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액압실(6) 내의 액압에 의해, 제 1 컵 시일(21)이 오목부(20) 내에서 후방으로 가압되고, 제 2 시일부(21f) 및 베이스부(21a)의 후단면이 오목부(20)의 제 2 측벽(20b)에 밀착된다. 그리고, 제 2 시일부(21f)는 오목부(20)의 제 2 측벽(20b)과의 사이를 시일한다. 또한, 제 1 컵 시일(21)의 내부 립부(21b)가 제 1 피스톤(4)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동시에, 제 1 컵 시일(21)의 외부 립부(21c)의 제 1 시일부(21e)가 오목부(20)의 밑바닥벽(20a)에 밀착된다. 그리고, 제 1 시일부(21e)는 오목부(20)의 밑바닥벽(20a)과의 사이를 시일한다. 즉, 제 1 및 제 2 시일부(21e, 21f)는 외부 립부(21c)의 외주면과 오목부(20)의 밑바닥벽(20a)의 사이 및 베이스부(21a)의 후단면과 오목부(20)의 제 2 측벽(20b)의 사이를 통해서 제 1 액압실(6)로부터 저장소(15)를 향하는 브레이크액의 흐름에 대하여 직렬로 배치되어 2중의 시일부를 구성한다. 이 때, 중간 립부(21d)의 선단은 오목부(20)의 테이퍼면(20c')으로부터 이격한다.
이것에 의해, 제 1 액압실(6)은 저장소(15)로부터 밀봉되고, 제 1 액압실(6)의 브레이크액이 저장소(15)에 누출되지 않아, 제 1 액압실(6)의 액압이 확보된다. 이때, 가령 제 1 시일부(21e)의 시일 면압이 부분적으로 작고, 도 4a에 화살표시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액압실(6)의 브레이크액이 제 1 시일부(21e)와 오목부(20)의 밑바닥벽(20a)의 사이의 시일부분 중, 이 시일 면압이 작은 부분으로부터 누출된 것으로 한다. 그러나 제 1 시일부(21e)를 누출한 브레이크액은 제 2 시일부(21f)와 오목부(20)의 제 2 측벽(20b)의 사이의 시일부분에서 차단되어, 베이스부측 홈(21g)쪽으로 누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브레이크액의 흐름 방향에 직렬로 배치된 제 1 및 제 2 시일부(21e, 21f)에 의한 2중 시일에 의해, 제 1 액압실(6)의 브레이크액의 누출이 확실히 방지되고, 제 1 액압실(6)의 액압이 고도로 확보된다.
제 1 피스톤(4)이 더욱 전진하면, 제 1 액압실(6)의 액압이 상승한다. 이 제 1 액압실(6)의 액압은 제 1 출력 포트(24)로부터 한쪽의 브레이크 계통의 휠 실린더에 송급되어, 한쪽의 브레이크 계통의 브레이크가 작동한다.
제 2 피스톤(5)이 전진하면, 제 2 액압실(7)에 액압이 발생한다. 마찬가지로 하여, 제 2 컵 시일(23)의 제 1 및 제 2 시일부에 의한 2중 시일에 의해, 제 2 액압실(7)의 브레이크액의 누출이 확실히 방지되고, 제 2 액압실(7)의 액압이 고도로 확보된다.
제 2 피스톤(5)이 더욱 전진하면, 제 2 액압실(7)의 액압이 상승한다. 이 제 2 액압실(7)의 액압은 제 2 출력 포트(25)로부터 다른쪽의 브레이크 계통의 휠 실린더에 송급되어, 다른쪽의 브레이크 계통의 브레이크가 작동한다.
브레이크가 작동한 상태로부터,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것을 해제하면, 제 1 피스톤(4)이 제 1 리턴 스프링(11)의 스프링력으로 후퇴하여 비작동 위치로 되돌아 가려고 하기 때문에, 제 1 액압실(6)의 액압이 저하되어 순간적으로 부압 경향이 된다. 외부 립부(21c)의 후단측이 저장소(15)에 연통해 있어 대기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컵 시일(21)이 오목부(20) 내에서 전방으로 이동하고, 제 1 컵 시일(21)의 후단면 및 제 2 시일부(21f)와 오목부(20)의 제 2 측벽(20b)의 사이에 틈이 형성된다. 이 때, 중간 립(21d)이 테이퍼면(20c')에 접촉한다. 또한, 제 1 액압실(6)의 액압이 순간적으로 부압 경향이 되는 것으로, 외부 립부(21c)의 선단측이 내측으로 구부러져, 오목부(20)의 밑바닥벽(20a)과 외부 립부(21c)의 제 1 시일부(21e)의 사이에 틈이 형성되는 동시에, 베이스부(21a)의 외주 말단부측이 전방으로 구부러져, 베이스부(21a)의 후단면과 오목부(20)의 제 2 측벽(20b)의 틈이 커진다.
이것에 의해, 저장소(15)의 브레이크액이 제 1 연통로(16), 축방향 통로(22), 베이스부측 홈(21g), 베이스부(21a)의 후단면과 오목부(20)의 제 2 측벽(20b)의 사이의 틈, 및 밑바닥벽(20a)과 외부 립부(21c)의 사이의 틈을 통해 제 1 컵 시일(21)의 앞측으로 유입된다. 또, 이 브레이크액은 중간 립(21d)을 내측으로 구부러져 제 1 액압실(6) 내에 유입된다. 이와 같이, 제 1 및 제 2 시일부(21e, 21f)는 저장소(15)로부터 제 1 액압실(6)에 대한 작동액의 흐름에 대하여, 각각 오목부(20)의 밑바닥벽(20a) 및 제 2 측벽(20b)으로부터 이격하여 이들의 밑바닥벽(20a) 및 제 2 측벽(20b)과의 사이에 틈을 형성하는 시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저장소(15)로부터 브레이크액이 제 1 액압실(6)에 확실히 보급되고, 제 1 액압실(6)의 액압이 저하되어, 제 1 피스톤(4)은 제 1 리턴 스프링(11) 의 가압력으로 매끄럽게 또한 신속하게 후퇴한다.
제 1 피스톤(4)의 후퇴 및 제 1 액압실(6)의 액압의 저하에 의해, 제 2 피스톤(5)이 제 2 리턴 스프링(14)의 가압력으로 후퇴하려고 한다. 이 때, 상술한 제 1 액압실(6)과 같이, 제 2 액압실(7)에 저장소(15)의 브레이크액이 보급된다. 따라서, 제 2 피스톤(5)도 매끄럽게 또한 신속하게 후퇴하여, 제 2 액압실(7)의 액압이 저하된다.
제 1 피스톤(4)이 후퇴하여, 도 1a 및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릴리프 포트(17)의 후단측의 일부가 제 1 컵 시일(21)의 베이스부(21a)의 후단보다 후방에 위치하면, 제 1 릴리프 포트(17)와 제 1 연통로(16)가 축방향 통로(22) 및 베이스부측 홈(21g)을 개재하여 연통한다. 이것에 의해, 제 1 액압실(6)의 브레이크액이 제 1 릴리프 포트(17) 및 제 1 연통로(16)를 통해 저장소(15)에 배출되고, 제 1 액압실(6)의 액압이 더욱 저하된다.
마찬가지로 하여, 제 2 피스톤(5)이 후퇴하는 것으로, 제 2 릴리프 포트(19)와 제 2 연통로(18)가 연통되고, 제 2 액압실(7)의 브레이크액이 제 2 릴리프 포트(19) 및 제 2 연통로(18)를 통해 저장소(15)에 배출되어, 제 2 액압실(7)의 액압이 더욱 저하된다.
양 피스톤(4, 5)이 도 1a에 도시하는 후퇴 한계 위치가 되면, 양 피스톤(4, 5)이 정지하고, 제 1 및 제 2 액압실(6, 7)이 대기압이 되고, 마스터 실린더(1)가 비작동 상태가 되어, 브레이크가 해제된다.
이와 같이, 이 예의 제 1 및 제 2 컵 시일(21, 23)에 의하면, 외부 립 부(21c)의 외주에 있어서 외부 립부(21c)쪽으로부터 베이스부(21a)쪽으로의 브레이크액(작동액)의 흐름에 대하여, 외부 립부(21c)의 제 1 시일부(21e)가 오목부(20)의 밑바닥벽(20a)에 밀착하여 이 밑바닥벽(20a)과의 사이를 시일하는 동시에, 베이스부(21a)의 제 2 시일부(21f)가 대향하는 오목부(20)의 제 2 측벽(20b)에 밀착하여 이 제 2 측벽(20b)과의 사이를 시일하게 되기 때문에, 외부 립부(21c)쪽으로부터 베이스부(21a)쪽으로의 브레이크액의 흐름에 대하여 직렬로 배치된 2중의 시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및 제 2 컵 시일(21, 23)의 시일성이 향상되고, 제 1 및 제 2 컵 시일(21, 23)의 외부 립부(21c)의 제 1 시일부(21e)로부터, 외부 립부(21c)쪽으로부터 베이스부(21a)쪽으로의 브레이크액이 흐름에 있어서의 상류측의 액압(요컨대, 제 1 및 제 2 액압실(6, 7)의 액압)을 고도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외부 립부(21c)의 외주에 있어서 베이스부(21a)쪽으로부터 외부 립부(21c)쪽으로의 브레이크액의 흐름에 대하여, 외부 립부(21c)의 제 1 시일부(21e)가 오목부(20)의 밑바닥벽(20a)으로부터 이격하여 이 밑바닥벽(20a)과의 사이에 틈을 형성하는 동시에, 베이스부(21a)의 제 2 시일부(21f)가 오목부(20)의 제 2 측벽(20b)으로부터 이격하여 이 제 2 측벽(20b)과의 사이에 틈을 형성하게 되기 때문에, 제 1 및 제 2 컵 시일(21, 23)의 베이스부(21a)의 제 2 시일부(21f)로부터, 베이스부쪽으로부터 외부 립부쪽으로의 브레이크액의 흐름에 있어서의 상류측을 향하는 브레이크액의 흐름(요컨대, 저장소(15)로부터 제 1 및 제 2 액압실(6, 7)을 향하는 브레이크액의 흐름)을 매끄럽게 할 수 있다.
또, 소정수의 중간 립부(21d)를 둘레방향에 소정의 큰 간격을 두고 원환상으로 또한 간헐적으로 배치하고, 인접하는 중간 립부(21d) 사이의 부분(요컨대, 연통로(21h)의 부분)에 중간 립부(21d)가 존재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외부 립부(21c)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구부러지기 쉽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외부 립부(21c)의 외주측에 있어서, 브레이크액의 베이스부(21a)측으로부터 외부 립부(21c)측으로의 흐름을 더 한층 매끄럽게 또한 더 한층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이 외부 립부(21c)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의 굴곡 용이성은 제 2 시일부(21f)가 형성되지 않는 종래 공지의 횡단면 E자형의 컵 시일에서도 얻을 수 있다.
한편, 이 예의 마스터 실린더(1)에 의하면, 작동시, 제 1 액압실(6)에 발생한 액압에 의해, 제 1 컵 시일(21)의 내부 립부(21b)가 제 1 피스톤(4)의 외주면에 밀착하는 동시에, 외부 립부(21c)의 제 1 시일부(21e)가 오목부(20)의 밑바닥벽(20a)에 밀착하고, 또, 베이스부(21a)의 제 2 시일부(21f)가 오목부(20)의 제 2 측벽(20b)에 밀착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브레이크액의 흐름 방향에 직렬로 배치된 제 1 및 제 2 시일부(21e, 21f)에 의한 2중 시일에 의해, 제 1 액압실(6)의 브레이크액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고, 제 1 액압실(6)의 액압을 고도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하여, 제 2 컵 시일 부재(23)의 제 1 및 제 2 시일부에 의한 2중 시일에 의해, 제 2 액압실(7)의 브레이크액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고, 제 2 액압실(7)의 액압을 고도로 확보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및 제 2 컵 시일(21, 23)에 의한 시일성이 향상된다.
또한, 작동 해제에 있어서의 제 1 피스톤(4)의 후퇴 개시시에는 제 1 컵 시 일(21)의 베이스부(21a) 및 외부 립부(21c)의 각 펌핑 기능에 의해 저장소(15)의 브레이크액을 제 1 액압실(6)에 보급하고 있기 때문에, 제 1 피스톤(4)의 후퇴방향의 이동을 매끄럽게 또한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여, 제 2 피스톤(5)의 후퇴시에는 제 2 컵 시일(23)의 베이스부 및 외부 립부의 각 펌핑 기능에 의해 저장소(15)의 브레이크액을 제 2 액압실(7)에 보급하고 있기 때문에, 제 2 피스톤(5)의 후퇴방향의 이동을 매끄럽게 또한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컵 시일(21, 23)의 브레이크액 보급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양 피스톤(4, 5)의 후퇴시의 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이 예의 마스터 실린더(1)에 의하면, 제 1 및 제 2 컵 시일(21, 23)의 각 외부 립부 및 각 베이스부에 펌핑 기능을 충분히 갖게 하면서, 양호한 시일 기능도 갖게 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예에서는 소정수의 중간 립부(21d)를 둘레방향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중간 립부(21d)를 1개의 연속한 환상의 립으로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5a 및 도 5b는 상술한 예의 마스터 실린더에 사용되는 컵 시일의 다른 예를 도시하고, 각각, 도 2a 및 도 2b와 같은 도면이다. 또, 같은 구성요소에는 같은 부호를 붙임으로써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하는 예의 컵 시일(21)은 중간 립부(21d)를 갖는 단면 E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도 5a 및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예의 컵 시일(21)은 중간 립부(21d)를 갖지 않고, 내부 립부(21b)와 외부 립부(21c)로부 터 단면 コ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예의 마스터 실린더(1) 및 제 1, 제 2 컵 시일(21, 23)의 다른 구성 및 작용 효과는 상술한 예와 같다.
또, 본 발명의 컵 시일은 상술한 예와 같이 브레이크장치의 마스터 실린더에 한정되지 않고, 실린더와 이 실린더 내에 그 축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슬라이딩 부재로 이루어지는 실린더 장치로, 컵 시일의 축방향 1측으로부터 축방향 타측으로의 작동액의 흐름을 저지하고 또한 컵 시일의 축방향 타측으로부터 축방향 1측으로의 작동액의 흐름을 허용하도록 되어 있는 실린더 장치이면, 어떠한 실린더 장치에나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마스터 실린더는 상술한 예와 같이 브레이크장치의 마스터 실린더에 한정되지 않고, 클러치장치의 마스터 실린더를 비롯하여, 피스톤의 전진으로 액압실에 액압을 발생하는 것이면, 어떠한 액압장치에나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예에서는 2개의 피스톤이 직렬로 배치된 탠덤(tandem) 마스터 실린더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플런저형 마스터 실린더이면, 싱글 마스터 실린더를 비롯하여 어떠한 마스터 실린더에나, 본 발명의 마스터 실린더를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컵 시일은 실린더와 이 실린더 내에 그 축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슬라이딩 부재로 이루어지는 실린더 장치에 적합하게 이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마스터 실린더는 컵 시일을 구비하고, 피스톤의 전진시에 액압실에 액압을 발생시키고, 또한 피스톤의 후퇴시에 액압실에 작동 브레이크액을 보급하는 플런저형의 마스터 실린더에 적합하게 이용 가능하다. 특히, 자동차 등의 차량에 있어서의 브레이크나 클러치의 마스터 실린더에 적합하게 이용 가능하다.

Claims (4)

  1. 오목부에 수용되어, 직경 방향으로 연설되는 환상의 베이스부와, 이 베이스부에 그 내주측 말단부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설되는 환상의 내부 립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그 외주측 말단부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설되고 또한 상기 오목부의 밑바닥벽에 이격 가능하게 접촉하는 환상의 외부 립부를 적어도 구비하는 컵 시일에 있어서,
    상기 외부 립부에 제 1 시일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제 1 시일부는 상기 외부 립부의 외주에 있어서, 상기 외부 립부쪽으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쪽으로의 작동액의 흐름에 대하여 상기 오목부의 밑바닥벽에 밀착하여 이 밑바닥벽과의 사이를 시일하는 동시에, 상기 베이스부쪽으로부터 상기 외부 립부쪽으로의 작동액의 흐름에 대하여 상기 오목부의 밑바닥벽으로부터 이격하여 이 밑바닥벽과의 사이에 틈을 형성하는 시일부이고,
    또, 상기 베이스부에 제 2 시일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제 2 시일부는 상기 외부 립부의 외주에 있어서, 상기 외부 립부쪽으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쪽으로의 작동액의 흐름에 대하여 상기 외부 립부의 선단이 대향하는 상기 오목부의 제 1 측벽과 반대측의 오목부의 제 2 측벽에 밀착하여 이 제 2 측벽의 사이를 시일하는 동시에, 상기 베이스부쪽으로부터 상기 외부 립부쪽으로의 작동액의 흐름에 대하여 상기 오목부의 제 2 측벽으로부터 이격하여 이 제 2 측벽과의 사이에 틈을 형성하는 시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시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컵 시일은 상기 베이스부에 상기 내부 립부와 상기 외부 립부의 사이에 위치하여 축방향으로 연설된 중간 립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베이스부, 상기 내부 립부, 상기 외부 립부, 및 상기 중간 립부에 의해, 단면이 약 E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시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립부가 소정수 둘레방향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서로 둘레방향에 인접하는 중간 립부의 사이에 상기 중간 립부의 내외주측을 연통하는 연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시일.
  4. 실린더 구멍을 갖는 실린더 본체와, 상기 실린더 구멍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 액압실을 구획하는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 본체에 형성되고, 작동액을 축적하는 저장소에 연통하는 연통로와, 상기 피스톤에 형성되어 상기 액압실과 항상 연통하는 동시에 상기 연통로와 상기 액압실을 연통하는 릴리프 포트와, 상기 실린더 본체의 실린더 구멍 내주면의 오목부에 수용되는 동시에 상기 피스톤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하여, 상기 실린더 구멍 내주면과 상기 피스톤의 외주면의 사이를 시일하는 시일 부재를 구비하고, 비작동시에 상기 연통로와 상기 릴리프 포트가 연통되고, 작동시에 상기 피스톤이 이동하여 상기 시일 부재에 의해 상기 연통 로와 상기 릴리프 포트가 차단되도록 되어 있는 마스터 실린더에 있어서,
    상기 시일 부재는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컵 시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실린더.
KR1020097006188A 2006-10-31 2007-10-30 컵 시일 및 이것을 사용한 마스터 실린더 KR200900453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95189A JP5201648B2 (ja) 2006-10-31 2006-10-31 カップシー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マスタシリンダ
JPJP-P-2006-295189 2006-10-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5391A true KR20090045391A (ko) 2009-05-07

Family

ID=39344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6188A KR20090045391A (ko) 2006-10-31 2007-10-30 컵 시일 및 이것을 사용한 마스터 실린더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00066028A1 (ko)
EP (1) EP2080939A4 (ko)
JP (1) JP5201648B2 (ko)
KR (1) KR20090045391A (ko)
CN (1) CN101529141A (ko)
WO (1) WO20080540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26091A (ja) * 2008-11-28 2010-06-10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マスタシリンダ
FR2940221B1 (fr) * 2008-12-19 2011-10-21 Bosch Gmbh Robert Joint a levres de maitre-cylindre d'un circuit de freinage.
FR2940222B1 (fr) * 2008-12-19 2010-12-24 Bosch Gmbh Robert Joint de maitre cylindre de freinage,pour vehicule automobile
FR2944761B1 (fr) * 2009-04-22 2015-08-28 Bosch Gmbh Robert Joint d'etancheite et maitre-cylindre pour systeme de freinage muni de ce joint
DE102010003674A1 (de) * 2010-04-07 2011-10-13 Robert Bosch Gmbh Ringförmiges Dichtelement
TW201219249A (en) * 2010-11-05 2012-05-16 de-san Chen allowing return-oil fluid to pass a seal ring through simultaneous formation of two oil return passages while significantly reducing the pressure-release impedance in the hydraulic cylinder
FR2969089B1 (fr) 2010-12-21 2012-12-28 Bosch Gmbh Robert Joint d'etancheite de maitre-cylindre de systeme de freinage
WO2013179751A1 (ja) * 2012-05-31 2013-12-05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マスタシリンダ
JP5903496B2 (ja) * 2012-10-31 2016-04-13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マスタシリンダ
WO2014119611A1 (ja) * 2013-01-31 2014-08-07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マスタシリンダ
JP6060265B2 (ja) * 2013-08-30 2017-01-11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マスタシリンダ
KR101702835B1 (ko) * 2013-09-09 2017-02-06 주식회사 만도 마스터 실린더의 실링부재
CN104405884A (zh) * 2014-10-31 2015-03-11 柳州市二和汽车零部件有限公司 汽车刹车泵皮碗
FR3046820B1 (fr) * 2016-01-15 2018-02-16 Valeo Embrayages Cylindre hydraulique emetteur a dispositif d'etancheite perfectionne
AU2017414095B2 (en) * 2017-05-11 2020-09-17 Valqua, Ltd. Seal structure
DE112018004880B4 (de) * 2017-08-29 2021-10-07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Hauptzylinder
KR20220011486A (ko) * 2020-07-21 2022-01-28 주식회사 만도 캘리퍼 브레이크
CN114321063A (zh) * 2021-12-24 2022-04-12 华为数字能源技术有限公司 一种活塞阀和车辆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51762U (ja) * 1983-03-31 1984-10-11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マスタシリンダ用シ−ル部材
US4781024A (en) * 1985-03-07 1988-11-01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Static cup seal assembly for master cylinder end
JPH0547733Y2 (ko) * 1985-03-07 1993-12-16
JPS6353862U (ko) * 1986-09-27 1988-04-11
JPH10297463A (ja) * 1997-04-25 1998-11-10 Aisin Seiki Co Ltd マスタシリンダ
JP4380108B2 (ja) 2002-03-06 2009-12-09 ボッシュ株式会社 プランジャ型マスタシリンダ
DE10234542A1 (de) * 2002-07-30 2004-03-04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Dichtmanschette mit mittlerer Stützrippe
JP4286548B2 (ja) * 2003-01-31 2009-07-0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マスタシリンダ
DE102004014867A1 (de) * 2003-08-18 2005-11-24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Zylinder insbesondere für hydraulische Kraftfahrzeugbremsanlagen
JP4417233B2 (ja) * 2004-09-30 2010-02-17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マスタシリンダ
FR2940221B1 (fr) * 2008-12-19 2011-10-21 Bosch Gmbh Robert Joint a levres de maitre-cylindre d'un circuit de freinage.
FR2940222B1 (fr) * 2008-12-19 2010-12-24 Bosch Gmbh Robert Joint de maitre cylindre de freinage,pour vehicule automob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54010A1 (fr) 2008-05-08
US20100066028A1 (en) 2010-03-18
EP2080939A4 (en) 2010-12-08
JP5201648B2 (ja) 2013-06-05
EP2080939A1 (en) 2009-07-22
JP2008111495A (ja) 2008-05-15
CN101529141A (zh) 2009-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45391A (ko) 컵 시일 및 이것을 사용한 마스터 실린더
KR100814180B1 (ko) 컵 시일 및 이것을 이용한 마스터 실린더
US8407996B2 (en) Common rai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ommon rail
EP2192011B1 (en) Cup seal and master cylinder using the same
JP5232376B2 (ja) マスタシリンダ
US7343741B2 (en) Vehicle master cylinder
KR101499744B1 (ko) 보조 제동 장치에 연결된 자동차용 마스터 실린더
JP5201912B2 (ja) カップシー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マスタシリンダ
CN109476294B (zh) 主缸
JP5537252B2 (ja) マスタシリンダおよびこれを用いたブレーキシステム
US20110185890A1 (en) Sealing member for master cylinder and master cylinder having the same
JP2010120480A (ja) マスタシリンダ
JP4772824B2 (ja) マスタシリンダ
JP4699439B2 (ja) マスタシリンダ
JP2017178073A (ja) シリンダ装置
JP2020111171A (ja) マスタシリンダ
JP2020055397A (ja) マスタシリンダ
JP2001239933A (ja) マスタシリンダ
JP2008126930A (ja) マスタシリンダ
JPH0379215B2 (ko)
JP2005104458A (ja) マスタシリンダ用センタバル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