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8833A - 용기 - Google Patents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8833A
KR20090018833A KR20087031087A KR20087031087A KR20090018833A KR 20090018833 A KR20090018833 A KR 20090018833A KR 20087031087 A KR20087031087 A KR 20087031087A KR 20087031087 A KR20087031087 A KR 20087031087A KR 20090018833 A KR20090018833 A KR 200900188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ilm
sheet
layer
cover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7031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시 모테키
미노루 혼다
겐지 오모리
Original Assignee
니프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프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프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18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88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10Bag-typ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5Interconnection of layers the layers not being connected over the whole surface, e.g. discontinuous connection or patterned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9/00Sacks or like containers made of fabrics; Flexible containers of open-work, e.g. net-like construction
    • B65D29/02Sacks with laminated or multipl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61Flexible 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 B65D81/3266Flexible 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separated by a common rupturable seal, a clip or other removable fastening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2Separating means
    • A61J1/2024Separating means having peelable se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93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for products to be mix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0Inorgan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0Inorganic coating
    • B32B2255/205Metall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32B2307/7242Non-permeable
    • B32B2307/7244Oxygen b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40Closed containers
    • B32B2439/46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80Medical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35/00Medical equipment, e.g. bandage, prostheses, catheter

Abstract

가스 배리어성 필름을 박리하지 않고, 또한, 건조제나 산소 흡수제 등을 동봉하지 않는 용기로서, 내용물을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는 용기를 제공한다.
프론트 시트(20) 및 리어 시트(22)로부터 구성되고, 이들 시트의 사이에 공간부(14)를 규정하도록 용착된 용기(10)에 있어서,
프론트 시트(20)는, 최외층으로서 선형 폴리올레핀층을 가져 이루어지는 다층 필름 재료로부터 형성되고, 리어 시트(22)는, 금속박, 금속 증착층 또는 무기물 증착층을 갖는 필름 재료, 바람직하게는 다층 필름 재료로부터 형성되고,
산화금속 증착층을 갖는 필름을 가져 이루어지는 투명한 커버 시트(24)가, 프론트 시트(20)의 안, 적어도 상기 공간부를 규정하는 부분의 외측 표면 전체를 덮도록 프론트 시트(20)에 용착되어 있다.

Description

용기{CONTAINER}
본 발명은, 1 또는 복수(예컨대 2개)의 약제 구획실을 갖고, 복수의 층으로부터 구성된 다층 필름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약제 용기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약제 용기를 구성하는 다층 필름의 최외층이 선형 폴리올레핀층인 약제를 수용하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용기는, 수분 및 산소의 내부에의 투과를 억제하고, 게다가 용기의 내용물을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다.
종래부터, 복수의 약제 구획실이 접속된 복실의 약제 용기가 다수 개발되어, 다양한 약제의 투여 수단으로서 사용되어 왔다. 그와 같은 용기는, 예컨대 수액용 용기로서 사용되고 있다.
2실 타입의 수액용 용기의 일례로서는, 분말상의 약제가 수용된 약제 구획실과, 액체상의 약제가 수용된 약제 구획실이, 연통 가능한 칸막이 수단으로 접속된 것이 있다. 통상, 이들 약제 구획실은, 합성 수지로 만들어진 필름에 의해 형성되지만, 이들 필름은 극히 미량이면서 수분, 가스(예컨대 산소) 등을 투과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예컨대 흡습성을 갖는 경시적(經時的)으로 불안정한 분말상 약 제(예컨대 항생 물질) 등과, 그 용해액, 희석액 등의 액체상의 약제를 따로 따로 수용한 복실의 약제 용기에서는, 용기의 각 실 중, 흡습성, 용이산화성을 갖는 약제를 수용한 약제 구획실의 리어 시트(rear sheet)를 알루미늄박을 포함하도록 구성하고, 한편, 그 프론트 시트(front sheet)는 가스 배리어성 필름을 커버 시트로 하여 접착하여 구성되어 있다(특허문헌 1: 일본 특허 제3419139호 공보 참조).
이와 같은 가스 배리어성 필름으로서는, 폴리에스터와 알루미늄박이 적층된 불투명한 것이 사용되어, 점착제층으로써 접착하고 있다. 상기 복실의 용기를 사용할 때는, 불투명한 가스 배리어성 필름을 용기 표면으로부터 박리한 후, 복실 용기의 2약제 구획실을 연통시켜, 2개의 약제를 혼합하여 투여한다.
그러나, 용기의 사용자가 불투명한 가스 배리어성 필름을 박리하는 것을 잊어버려 2개의 약제를 혼합하고, 그 결과, 외관이 변화된 약제를 혼합시켜 버리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다른 한편, 흡습성, 용이산화성을 갖는 약제를 수용하는 약제 구획실을 수분 비투과성 필름으로, 그 전체를 덮음으로써 약제의 변질을 방지한 약제 용기도 알려져 있다. 이 용기에서는, 약제의 변질 방지를 위해 건조제 및/또는 탈산소제를 수분 비투과성 필름의 내측에 동봉하고 있다(특허문헌 2: 일본 특허 제3060132호 공보 참조). 이 약제 용기에서는, 건조제 및/또는 탈산소제를 동봉하기 위해서, 면적이 큰 가스 배리어성 필름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약제 구획실 전체를 덮는 수분 비투과성 외벽으로서는, 폴리에스터와 폴리염화바이닐리덴과 폴리에틸렌의 3중층 또는 폴리에스터와 폴리바이닐알코올의 실리카 증착 필름과 폴리에틸렌과의 3중 층, 또는 알루미늄 가공 필름 등이 예시되어 있다.
또한, 건조제 및/또는 탈산소제를 봉입하지 않는 복실의 약제 용기로서, 공간부를 갖고 밀봉 상태로 내부의 구획실 전체를 덮는 수분 비투과성 외벽과, 상기 외벽에 덮인 수분 투과성 내벽에 의해 구성된 상기 내부의 구획실을 구비한, 약제를 수용하는 용기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3: 일본 특허 제3079403호 공보 참조). 이 복실의 약제 용기로서는, 내벽이 폴리에틸렌(외층)과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의 혼합 수지(내층)으로 이루어지는 다층 필름 재료로부터 구성되고, 외벽을 구성하는 배리어 필름으로서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알루미늄 증착 필름 등의 알루미늄 가공 필름, 폴리염화바이닐리덴과 폴리프로필렌의 2중층이 사용된다. 이러한 약제 용기에서는, 외벽이 공간부를 격(隔)하여 내벽 전체를 덮을 필요가 있기 때문에, 약제 용기의 제조에는 복잡한 공정이 필요해진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제3419139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제3060132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허 제3079403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가스 배리어성 필름을 박리하지 않고, 또한, 건조제나 산소 흡수제 등을 동봉하지 않는, 바람직하게는 복실의 약제 용기로서, 약제 구획실에의 수분 및 산소의 투과를 억제함과 함께, 구획실의 내용물을 육 안으로 관찰할 수 있는 약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들은, 먼저 설명한 가스 배리어성 필름 대신에, 수분 및 산소의 투과를 억제한 산화금속 증착층을 갖는 필름을 가져 이루어지는, 투명한 커버 시트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알아내어, 본 발명에 도달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프론트 시트 및 리어 시트로부터 구성되고, 이들 시트 사이에 공간부를 규정하도록 용착(溶着)된 용기로서,
프론트 시트는, 최외층으로서 선형 폴리올레핀층을 가져 이루어지는 다층 필름 재료로부터 형성되고,
리어 시트는, 금속박, 금속 증착층 또는 무기물 증착층을 갖는 필름 재료, 바람직하게는 금속박, 금속 증착층 또는 무기물 증착층을 갖는 다층 필름 재료로부터 형성되고,
산화금속 증착층을 갖는 필름을 가져 이루어지는 투명한 커버 시트가, 프론트 시트의 안, 적어도 상기 공간부를 규정하는 부분의 외측 표면 전체를 덮도록 프론트 시트에 용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를 제공한다.
「프론트 시트의 안, 적어도 상기 공간부를 규정하는 부분」이라는 기재는, 프론트 시트의 일부분이고 상기 공간부를 규정하는 부분만(후술의 도 1을 참조한 설명에 있어서의 화살표 A와 화살표 A' 사이의 부분)은, 커버 시트에 의해서 적어 도 덮여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사용하고 있다. 즉, 상기 공간부에 인접하는 프론트 시트의 부분은 적어도 덮여짐을 의미하여, 리어 시트와 용착된, 프론트 시트의 부분(즉, 용착대(溶着代)의 부분) 및/또는 이들 부분 이외의, 프론트 시트의 다른 부분(예컨대 리어 시트의 주연부보다 외측으로 삐져 나온 부분)은, 커버 시트에 의해서 덮이더라도, 또는 덮이지 않더라도 좋다. 바람직한 하나의 태양으로서는, 상기 공간부를 규정하는 부분 및 그 주위의 부분(예컨대 용착대의 부분(후술의 도 1을 참조한 설명에 있어서의 화살표 A와 화살표 B 사이의 부분, 및 화살표 A'와 화살표 B' 사이의 부분)의 적어도 일부분(전부이더라도 좋다))을 커버 시트가 덮는다.
커버 시트가, 상기 공간부에 인접하는 프론트 시트의 부분을 적어도 덮는 경우, 프론트 시트의 상기 부분과 커버 시트 사이에 공간부가 존재할 수도 있고, 또는 별도의 태양에서는, 그와 같은 공간부가 존재하지 않고서, 프론트 시트의 상기 부분에 커버 시트가 직접 접촉하여 존재할 수도 있다. 커버 시트가 이와 같이 덮는 경우, 커버 시트를 프론트 시트의 상기 부분 전체에 용착할 수도, 또는 커버 시트를 프론트 시트의 상기 부분의 주위부에만 용착할 수도 있다.
예컨대, 프론트 시트와 커버 시트를 먼저 용착하고, 그 후, 커버 시트를 용착하는 경우에는, 프론트 시트의 상기 부분의 주위부에만 용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먼저 커버 시트와 프론트 시트를 용착하는 경우에는, 커버 시트를 프론트 시트의 상기 부분 전체에 용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용기에서는, 프론트 시트 및 리어 시트의 용착은, 용기 내의 공간 부와 용기의 외부 사이를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갖도록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그와 같은 개구부는, 수용해야 할 성분을 용기 내에 공급하는 구부(口部)이더라도 좋고, 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별도의 용기와 접속하는 약(弱)시일(seal)부를 형성하는 구부이더라도 좋다. 그와 같은 개구부는, 그 부분만 용착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태양에서는, 상기 본 발명의 용기는, 박리 가능한 약시일부를 통해서, 별도의 공간부를 규정하는 별도의 용기와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이 태양에서는, 2개의 공간부, 즉, 2실을 갖는 용기로 된다. 이 별도의 용기는, 상기 본 발명의 용기를 형성하는 프론트 시트 및 리어 시트와 같은 재료로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고, 약시일부를 박리(또는 파괴)함으로써, 상기 본 발명의 용기의 공간부와 상기 별도의 용기의 공간부가 연통 상태로 되어, 한쪽의 용기의 내용물을다른쪽의 용기에 옮길 수 있어, 각각의 용기에 포함되고 있는 내용물을 혼합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별도의 용기를 구성하는 프론트 시트 및/또는 리어 시트를 형성하는 재료는, 다른 종류의 재료이더라도 좋다.
이러한 태양에서는, 예컨대, 상기 본 발명의 용기에 분말 약제를 수용하여, 상기 별도의 용기 내에 (약제, 희석액 등이더라도 좋은) 액제(즉, 액체상의 성분)를 수용하고, 약시일부를 박리함으로써, 예컨대 분말 약제를 상기 별도의 용기 내에 옮겨, 액제와 혼합할 수 있다. 이러한 복실 용기 자체는 주지되어 있으며, 예컨대 상기 특허문헌 1 내지 3에도 개시되어 있고, 상기 별도의 용기, 약시일부 등에 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필요에 따라, 상기 별도의 용기에 있어서도, 프론트 시트에는, 상기 커버 시트가 용착되어 있더라도 좋다. 즉, 상기 별도의 용기도, 상기 본 발명의 용기이어 서 좋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용기 및/또는 상기 별도의 용기에 약시일부를 통해서 추가로 별도의 용기가 접속되어 있더라도 좋고(따라서, 3실을 갖는 용기임), 상기 추가적인 별도의 용기는, 상기 별도의 용기와 같더라도 좋고, 또는 상기 본 발명의 용기와 같더라도 좋다. 이러한 3실 용기는, 먼저와 마찬가지로, 추가로 또 하나의 별도의 용기를 갖더라도 좋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복수의 공간부가 약시일부에 의해서 접속된 복실 용기로서,
적어도 하나의 공간부를 형성하는 프론트 시트는, 최외층으로서 선형 폴리올레핀층을 가져 이루어지는 다층 필름 재료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부를 형성하는 리어 시트는, 금속박, 금속 증착층 또는 무기물 증착층을 갖는 필름 재료, 바람직하게는 다층 필름 재료로부터 형성되고,
산화금속 증착층을 갖는 필름을 가져 이루어지는 투명한 커버 시트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부를 규정하는 프론트 시트 부분의 외측 표면 전체를 덮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부를 형성하는 프론트 시트에 용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실 용기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커버 시트는, 산화금속 증착층(즉, 금속산화물의 증착층) 을 갖는 필름을 포함하고, 증착되어 있는 산화금속으로서는, 알루미나, 실리카 등이 바람직하고, 이들이 단독으로(즉, 알루미나 또는 실리카만) 증착되어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필름은, 플라스틱 재료의 기재로서 이용할 수 있는 필름이면 된다. 예시할 수 있는 필름으로서는, 폴리에틸렌(특히 선형 폴리에틸렌, 예컨대 저밀도 선형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미연신의 것이 바람직함),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바이닐알코올 필름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필름은, 이러한 필름의 단일층으로부터 형성되어 있더라도, 복수의 층이 적층된 것이더라도 좋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커버 시트는, 산화금속 증착층을 갖는 필름이 1장 또는 복수장 적층된 것이면 되고, 또한, 그와 같은 커버 시트는, 상술의 플라스틱 재료의 기재로서 이용할 수 있는 필름(금속 증착층을 포함하지 않는 필름)을 1층 또는 복수층 갖더라도 좋다. 특히, 투명한 커버 시트는, 프론트 시트에 용착되기 위해서는, 최내층이 프론트 시트와 용착 가능한 플라스틱 재료, 예컨대, 상기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선형 폴리올레핀 필름이 적층된 다층 필름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커버 시트는, 산화금속 증착층을 갖는 필름을 적어도 1층, 바람직하게는 2층 포함하거나, 또는 3층 또는 그 이상 포함하더라도 좋다. 또한, 복수층 포함하는 경우에는, 산화금속 증착층을 갖는 필름이 직접 인접하도록 적층되어 있더라도, 또는 필름 사이에 별도의 층이 존재하여도 좋다. 예컨대, 증착층 위에 별도의 플라스틱 재료가 용융 압출되어 있더라도 좋고, 또는 필름을 접착하는 접착제층이 존재하여도 좋다.
또한, 별도의 태양에서는, 산화금속 증착층을 갖는 필름은, 기재로서의 필름 위에 프라이머층을 설치하고, 그 위에, 산화금속을 증착한 것이더라도 좋다.
이러한 산화금속 증착층을 갖는 필름은, 그 산소 투과율(후술)이 0.02(cc/m2.day.atm) 이하이며, 수증기 투과율(후술)이 0.13(g/m2.day.at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증기 투과율은, 0.11(g/m2.day.at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듯이, 3실 이상의 공간부를 갖는 복실 용기도, 상술의 2실을 공간부로서 갖는 복실 용기와 마찬가지로, 공간부에 소정의 성분, 예컨대 분말의 약제, 액제 등을 수용하고, 필요에 따라 약시일부를 박리할 목적으로 하는 성분을 혼합할 수 있다. 상술의 여러 가지 용기는, 예컨대, 상기 공간부 내에 성분으로서 여러 가지 약제를 보유하는 약제 용기로서 사용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용기에서는, 프론트 시트의 최외층(선형 폴리올레핀층)의 표면이 산화금속 증착층을 갖는 필름을 갖는 투명한 커버 시트로 덮여 있기 때문에, 커버 시트를 박리하지 않고도, 용기의 내용물을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기에 이용하는 커버 시트는, 상술 및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산소 및 수분의 투과를 억제할 수 있어, 건조제나 산소 흡수제 등을 동봉하지 않고도 용기의 공간부에의 수분 및 산소의 투과를 막을 수 있다.
또한, 액제를 수용하는 액제 구획실과 박리 가능한 시일부를 통해서 액밀(液密)하게 결합된, 약제를 수용하는 약제 구획실을 갖는 복실 약제 용기에 있어서, 용이하게 2실의 연통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 용기에서는, 커버 시트를 약제 구획실을 구성하는 프론트 시트에 부착하는 것만으로 좋기 때문에, 제조가 간편하다.
본 발명의 용기의 바람직한 태양으로서는, 40℃, 75% RH(상대 습도)의 조건 하에서 6개월간 보존한 경우, 용기의 내용물의 수분 증가율은, 0.5wt% 이하이다(후술하는 염화칼슘을 용기에 넣어 보존한 실시예를 참조).
[도 1] 본 발명의 복실 용기의 1실시태양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본 발명의 복실 용기의 별도의 1실시태양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0…약제 용기, 12…액제 구획실, 14…약제 구획실, 16…프론트 시트, 18…리어 시트, 20…프론트 시트, 22…리어 시트, 24…커버 시트, 26…용이박리성 약시일부, 28…별도의 부재, 30…개구부, 32…마개, 40…약제 용기, 42…공간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프론트 시트)
프론트 시트란, 본 발명의 용기의 일면을 구성하는 투명한 시트이며, 통상, 프론트 시트에는, 예컨대 용기가 수용하는 내용물의 표시가 인쇄되어 있다. 최외층이 선형 폴리올레핀층인 다층 필름 재료(즉, 복수의 필름 재료가 적층된 것)가 프론트 시트를 구성한다. 프론트 시트의 내층, 필요에 따른 중간층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최내층은, 용기가 수용하는 물질에 영향을 주지 않는 재료, 예컨대, 환상 폴리올레핀, 선형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터(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으로부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프론트 시트를 구성하는 다층 필름 재료는, 무기물 증착층을 가져도 좋고, 프론트 시트의 투명성을 확보하는, 예컨대 후술의 무기물 증착층이면 된다.
(리어 시트)
리어 시트란, 상기 용기의 반대면을 구성하는 시트이며, 프론트 시트를 지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별도의 태양으로서는, 프론트 시트가 리어 시트를 지지할 수도 있다. 리어 시트는, 금속박, 금속 증착층 또는 무기물 증착층을 갖는 필름 재료로부터 형성되어 있다. 이 필름 재료는, 프론트 시트와 같은 폴리머로부터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통상, 그와 같은 필름 재료와 (금속박, 금속 증착층 또는 무기물 증착층을 갖더라도, 또는 갖지 않더라도 좋은) 다른 필름 재료, 즉, 복수의 필름 재료가 적층된 다층 필름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박, 금속 증착층 또는 무기물 증착층은, 리어 시트의 어떤 위치에 존재해도 좋고, 내층, 중간층 또는 외층의 어느 것을 구성해도 좋다. 통상, 최내층은, 수용하는 약제에 영향을 주지 않는 재료, 예컨대, 환상 폴리올레핀 등으로부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어 시트를 형성하는 필름 재료는, 금속박, 금속 증착층 또는 무기물 증착층을 갖기 때문에, 불투명하지만, 기체 및/또는 산소에 대하여 가급적이면 비투과성의 바람직하게는 다층의 필름 재료이다. 한편, 리어 시트를 구성하는 필름 재료의 금속박, 금속 증착층 및 무기물 증착층은, 먼저 설명한 특허문헌에서 개시되어 있는 약제 용기 또는 마찬가지의 약제 용기에 사용되어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구체적으로는, 금속박으로서는, 예컨대 알루미늄박, 크로뮴박, 니켈박, 동박, 금박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금속 증착층으로서는, 예컨대 알루미늄, 은 등의 단체(單體) 금속, 금속 화합물, 합금 등의 증착층을 예시할 수 있고, 또한, 무기물 증착층으로서는, 무기 산화물로부터 형성된 증착 박막층이며, 예컨대 규소, 알루미늄, 타이타늄, 지르코늄, 주석, 마그네슘 등의 산화물로부터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증착층은, 예컨대 진공증착법, 스퍼터링법, 플라즈마 기상 성장법 등의 진공 프로세스에 의해서 형성할 수 있다.
(용기)
본 발명의 용기는, 예컨대 약제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부와,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간부와 용기의 외부를 연통하는 구부를 갖고, 프론트 시트 및 리어 시트로부터 구성된 대상물(袋狀物)이다. 상술의 프론트 시트 및 리어 시트로부터 형성되어 있다. 한편, 대상물이란, 상기 프론트 시트와 리어 시트의 주변을 용착함으로써 이들 사이에 공간부를 규정하도록 형성되는 것이고, 그 형상은 임의이다. 통상, 사각형을 갖는다. 이 대상물의 내부의 공간부에는 예컨대 약제가 수용되고, 따라서, 이러한 용기는, 그 공간부에 약제를 수용하는 약제 용기로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약제를 도입 및/또는 배출하기 위해서, 상단 및/또는 하단에 구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약제 용기란, 일반적인 의료 또는 진단 행위에 사용하는 용기를 의미한다. 그와 같은 의료 또는 진단 행위로서는, 예컨대 항생 물질 등의 약제의 점적에 의한 투약 등의 행위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용기로서는, 예컨대 1종 또는 2종, 또는 그 이상의 약제를 수용하는 대상(袋狀)의 복실 용기가 있다. 이 복실 용기는, 먼저 설명했듯이, 프론트 시트와 리어 시트의 복수의 쌍에 의해서 형성되는 복수의 공간부를 갖고, 이들 공간부 사이에는 약시일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공간부의 안, 적어도 하나의 공간부를 구성하는 용기에 관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용기의 특징이 꼭 들어맞는다.
즉, 복실 용기의 적어도 하나의 공간부에 관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부를 규정하는 프론트 시트가, 최외층으로서 선형 폴리올레핀층을 가져 이루어지는 다층 필름 재료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부를 규정하는 리어 시트는, 금속박, 금속 증착층 또는 무기물 증착층을 갖는 필름 재료, 바람직하게는 다층 필름 재료로부터 형성되고,
산화금속 증착층을 갖는 필름을 가져 이루어지는 투명한 커버 시트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부를 규정하는 프론트 시트 부분의 외측 표면 전체를 덮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부를 형성하는 프론트 시트에 용착되어 있다.
(프론트 시트의 예)
프론트 시트의 구체적인 태양으로서는, 다음 다층 필름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 선형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층(최내층)과 상기 층에 인접한 환상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층(제 1 중간층), 폴리에스터층 또는 무기물 증착 박막을 갖는 폴리에스터층(제 2 중간층) 및 선형 폴리올레핀층(최외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되는, 적어도 4층으로 이루어지는 다층 필름 재료;
· 선형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층(최내층)과 상기 층에 인접한 환상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층(제 1 중간층), 상기 층에 인접한 선형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층(제 2 중간층)과 폴리에스터층 또는 무기물 증착 박막을 갖는 폴리에스터층(제 3 중간층) 및 선형 폴리올레핀층(최외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되는, 적어도 5층으로 이루어지는 다층 필름 재료;
· 환상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층(최내층)과 상기 층에 인접한 선형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층(제 1 중간층), 폴리에스터층 또는 무기물 증착 박막을 갖는 폴리에스터층(제 2 중간층) 및 선형 폴리올레핀층(최외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되는, 적어도 4층으로 이루어지는 다층 필름 재료.
(리어 시트의 예)
리어 시트의 구체적인 태양으로서는, 다음 다층 필름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 선형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층(최내층)과 상기 층에 인접한 환상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층(제 1 중간층), 금속박, 금속 증착층 또는 무기물 증착층(제 2 중간층) 및 폴리에스터층(최외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되는, 적어도 4층으로 이루어지는 다층 필름 재료;
· 환상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층(최내층)과 상기 층에 인접한 선형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층(제 1 중간층), 금속박, 금속 증착층 또는 무기물 증착층(제 2 중간층) 및 폴리에스터층(최외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되는, 적어도 4층으로 이루어지는 다층 필름 재료.
한편, 프론트 시트 및 리어 시트의 조합은, 수용하는 약제에 따라, 적의,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산화금속 증착층을 갖는 필름, 커버 시트)
본 발명에서는, 산화금속 증착을 갖는 필름을 갖는 커버 시트로써, 프론트 시트의 최외층의 표면을 덮고, 이 커버 시트는, 프론트 시트에 용착되어 있다(후술의 도 1 참조). 이 커버 시트는 투명하며, 따라서, 산화금속 증착을 갖는 필름도 투명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투명한, 산화금속 증착층을 갖는 필름이란, 산화금속, 특히 산화규소 또는 산화알루미늄의 증착층을 갖는 기재로서의 필름이다. 상기 기재로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등의 폴리올레핀 필름, 나일론(예컨대 나일론-66) 등의 폴리아마이드 필름, 폴리바이닐알코올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 필름, 폴리이미드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기재 필름은 연신, 미연신의 어느 쪽이라도 좋지만, 2축 방향으로 임의로 연신된 필름이 바람직하고, 또한 기계 강도나 치수 안정성을 갖는 것이 좋다. 특히 이들 중에서 2축 연신 폴리아마이드 필름,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바람직하다. 또한, 산화금속 증착층 위에 예컨대 선형 폴리올레핀이 적층된 다층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산화금속 증착층을 갖는 필름은, 단층이더라도, 복수의 적층이더라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산화금속 증착층을 갖는 필름은, 40℃, 90% RH(상대 습도) 조건에서의 수분 또는 수증기 투과율이 0.2g/m2·일 이하이며, 25℃, 0% RH에서의 산소 투과율이 0.02cc/m2·일·at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산화금속 증착층을 갖는 필름의 투명성은, 파장 450nm의 광선의 투과율이 55 내지 99%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투명한, 산화금속 증착층을 갖는 필름은 자체 이미 알려져 있으며, 여러 가지 것이 시판되고 있고, 상술한 산화금속 증착층을 갖는 필름의 설명에 관계된 특징을 갖는 한, 본 발명에 있어서 어떠한 적당한 필름을 이용하여, 커버 시트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복실 용기)
본 발명의 약제 용기의 1실시태양으로서는, 액제를 수용하는 액제 구획실을 규정하는 용기와, 약제(액체 또는 고체, 통상, 분말상)를 수용하는 약제 구획실을 규정하는 용기가 박리 가능한 약시일부로 유체밀(流體密)하게 구획되어 있다. 예컨대, 약제 구획실을 규정하는 용기는, 본 발명의 용기에 대응하는, 프론트 시트 및 리어 시트로부터 구성된 대상물이며, 액제 구획실은 관상 필름으로부터 형성된 대상물이다.
이러한 복실 용기를, 그 긴 방향의 단면도로써 모식적으로 도 1에 나타낸다. 그림 중, 복실 용기(10)는, 액제 구획실(12) 및 약제 구획실(본 발명의 용기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14)로부터 구성되어 있다. 액제 구획실(12)에서는, 편의상 프론트 시트(16) 및 리어 시트(18)를 도시하고 있지만, 이들은 일체(一體)의 관상 필름 재료로부터 형성되어 있다. 약제 구획실(14)은, 프론트 시트(20) 및 리어 시트(22)를 용착하여 형성되고, 프론트 시트(20)를 덮도록 커버 시트(24)가 존재한다. 프론트 시트(20)는, 최외층이 선형 폴리올레핀층인 다층 필름 재료로부터 형성되고, 리어 시트(22)는, 중간층이 금속박, 금속 증착층 또는 무기물 증착층을 갖는 다층 필름 재료로부터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태양에서는, 프론트 시트 내의, 공간부로서의 약제 구획실(14)을 규정하는 부분(화살표 A와 화살표 A'에 끼어 있는 부분, A-A')에 더하여, 그 부분의 주연부(화살표 A와 화살표 B에 끼어 있는 부분(A-B 부분) 및 화살표 A'와 화살표 B'에 끼어 있는 부분(A'-B'부분))도 덮도록, 즉, 프론트 시트(20)의 실질적으로 전부를 커버 시트(24)가 덮고 있다. 도시한 태양에서는, 커버 시트(24)는 프론트 시트(20)에 실질적으로 접촉한 상태로 인접하고 있다.
본 발명의 용기에서는, 커버 시트(24)는 적어도 A-A' 부분을 덮으면 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그 주연부((A-B 부분) 및 (A'-B'부분))도 덮는다. 커버 시트에 의해서 덮이는 주연부는,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론트 시트(20)의 단부까지 연재(延在)할 필요는 없고, A와 B 사이(및/또는 A'과 B' 사이)의 도중까지이더라도 좋다.
커버 시트(24)가 프론트 시트(20)를 덮는 경우, 커버 시트의 전체를 프론트 시트에 용착할 수도 있고, 또는, 커버 시트의 주연부만을 프론트 시트에 용착할 수도 있다. 특히 바람직한 태양으로서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 시트의 주연부가, 공간부로서의 약제 구획실(14)을 규정하는, 프론트 시트의 부분의 주위에 겹쳐지고, 그 겹쳐진 부분을 서로 용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제 구획실(12)은, 예컨대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단층 필름 재료, 또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필름을 복수 포함하는 다층 필름 재료, 또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필름 및 다른 수지의 필름을 포함하는 다층 필름 재료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그와 같은 층 구성의 관상체를 이용하여 용제 구획실(12)을 형성할 수 있다. 별도의 태양에서는, 2장이 그와 같은 층 구성의 필름 재료의 주연부를 액체밀(液體密)하게 붙여 합친(즉 강(强)시일한) 대상 용기이더라도 좋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 수지를 들 수 있다. 액제 구획실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통상, 약제 구획실의 두께에 준한다. 또한 별도의 태양으로서는, 액체 구획실(2)은, 상기 약제 구획실을 구성하는 프론트 시트 및 리어 시트와 같은 필름 재료로 구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상술한 액제를 수용하는 액제 구획실(12)과 약제를 수용하는 약제 구획실(14)은, 박리 가능한 시일부(26)로 액체밀하게 구획되어 있다. 박리 가능한 시일부(26)란, 이른바 이지 필(easy peel) 기능을 갖는 부분이며, 약제 구획실(14) 및/또는 액제 구획실(12)을 형성하는 시트의 최내층을 서로 약(弱) 용착한 부분이거나, 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의 최내층에 대하여 용착 강도가 작은 수지로부터 형성되는 별도 부재(28)(예컨대 시트상 부재)와 상기 시트의 최내층을 약 용착한 부분이다.
한편, 그와 같은 별도 부재를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와의 블렌드 폴리머,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A)와 상기 공중합체(A)와 α-올레핀 함유율이 다른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B) 및/또는 프로필렌 단독중합체(C)와의 혼합 수지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지 필 기능이란, 상술한 바와 같이 시일부를 형성한 후, 약제와 액제를 혼합할 때에, 예컨대 손 또는 지그로 가할 수 있는 힘으로(예컨대, 손으로 액제 구획실을 힘으로 가압함으로써) 용착한 부분이 용이하게 박리 가능한 기능을 의미한다.
한편, 도시한 태양에서는, 액제를 수용하는 액제 구획실(12)을 규정하는 하나의 용기 및 약제를 수용하는 약제 구획실(14)을 규정하는 본 발명의 하나의 별도의 용기가 약시일부(26)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지만,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용기 및/또는 별도의 용기를 약시일부를 통해서 추가로 접속하여 복실 용기를 형성해도 좋고, 접속하는 모든 용기가 본 발명의 용기이더라도 좋다. 별도의 태양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용기가 본 발명의 용기이면 좋다. 한편, 각 용기에는, 목적에 응하여, 예컨대 혼합하는 약제 및/또는 액제에 따라, 이들을 용기의 내부로부터 그 밖으로, 어떤 것은 별도의 용기로 배출하는 개구부를 설치할 수 있고, 도시한 태양에서는, 그와 같은 개구부 중 하나에 별도 부재(28)가 삽입·용착되어 있고, 약제와 혼합한 액제를 외부에 배출하기 위해서 별도의 개구부(30)가 액제 구획실(12)의 하부에 설치되고, 거기에는 마개(32)가 끼워져 있다. 또한, 각 용기 내에 보유하는 성분을 공급하는 공급구를 별도로 설치하더라도 좋다.
도시한 태양에서는, 약제 용기의 시트(20 및 22)가 별도 부재(28)에 용착되어 있는 동시에, 액제 용기의 시트(16 및 18)에도 용착되어 있다. 또한, 액제 용기의 시트(16 및 18)도 별도 부재(28)에 용착되어 있다.
(복실 용기의 제법)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복실 용기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우선, 사각형의 프론트 시트(20)와 리어 시트(22)의 3변을 강(强)시일하고, 나머지 한변에 별도 부재(28)로서의 약시일편을 삽입하고 약시일하여 약제 구획실(14)을 제작한다. 한편, 관상 필름의 일단에 약제 도출구(30)를 삽입하고 강시일하고, 다른 단에 별도 부재(28)를 삽입하여 약시일하여 액제 구획실(12)을 형성한다. 이어서, 양 구획실(12 및 14)의 약시일한 부분으로부터의 연출(延出) 부분을 서로 용착하여 용이하게 박리 가능한 약시일부(26)를 형성함과 함께, 양 구획실을 연결한 복실 용기로 한다. 또한, 약제 구획실(14)의 프론트 시트(20)의 표면 전체를 커버 시트(24)로 피복하고, 그 단 부분(즉, 주연부(A-B 부분) 및 (A'-B' 부분))을 용착한다. 이 용착은, 커버 시트를 박리할 수 있는 정도로 분리 가능한 강도의 시일이더라도 좋다. 별도의 태양에서는, 커버 시트(24)는, 프론트 시트(20)의 전면에 용착할 수도 있다.
(복실 용기의 사용법)
상술된 복실 용기는, 용기 내에 보유되어 있는 성분을 소망하는 대로 혼합하기 위해서, 우선, 손으로써 약제 구획실(14) 또는 액제 구획실(12)의 어느 것인가의 표면을 가압하여, 그 구획실내의 압력을 증가시켜 약시일부(26)를 박리한다. 약시일부(26)의 박리에 의해, 각 용기의 프론트 시트와 리어 시트 사이, 또는, 각 용기의 프론트 시트 또는 리어 시트와 별도 부재 사이가 개방되어, 약제 구획실(14)과 액제 구획실(12)의 내부가 연통 상태로 된다. 이것에 의해서, 약제 구획실(14) 내의 약제를 액제 구획실(12) 내의 액제에 의해서 용해 또는 현탁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하여 형성된 혼합물은, 액제 도출구(30)로부터 배출되어, 예컨대 환자의 체내로 보내어진다.
상술된 복실 용기는, 본 발명의 용기를 포함하고, 그 용기의 프론트 시트(20)는 투명한 커버 시트(24)로 피복되어 있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약시일부를 박리하기 전에, 프론트 시트(20) 및 리어 시트(22)로 형성된 약제 구획실(14)의 내용물을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다. 또한, 커버 시트(24)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산소 투과율 및 수증기 투과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약제 구획실의 외부에서 그 내용물이 보임에도 불구하고, 내용물에의 산소 및/또는 수분의 영향을 가급적 억제할 수 있다.
(별도의 태양의 복실 용기)
도 2에, 본 발명의 용기를 가져 이루어지는 복실 용기의 별도의 태양을, 그 긴 방향의 단면도로써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시한 복실 용기(40)에서는, 본 발명의 용기의 커버 시트(24)가 프론트 시트(20)로부터 이간하고 그 사이에 공간부(42)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도 1의 복실 용기(10)와는 다르다. 이 공간부에 건조 공기를 봉입해 두면, 용기의 내부에의 산소 및/또는 수분의 침입을 억제하는 효과가 커진다.
후술하는 실시예에 있어서, 하기 항목은 다음 방법에 의해 측정했다.
· 수증기 투과율(또는 수분 투과율): 후술의 커버 시트(두께 50 내지 100㎛)에 대하여, JIS K 7129B법에 따라서, 온도 40℃, 90% RH에서, 수증기의 투과율(g/m2·일)을 측정했다.
· 산소 투과율: 후술의 커버 시트(두께 50 내지 100㎛)에 대하여, JIS K7126B법에 따라서, 온도 23℃, 0% RH에서, 산소의 투과율(cc/m2·일·atm)을 측정했다.
· 수분 증가율: 후술의 대상 용기(세로 70mm×가로 70mm)에 염화칼슘 2g을 도입하여, 40℃, 75% RH에서 보존했다. 보존 전과 후의 염화칼슘의 중량을 측정하여, 수분 증가율(wt%)을 산출했다.
· 역가(力價): 후술의 대상 용기에 각종 약제를 도입하여, 40℃, 75% RH에 서 보존했다. 보존 후의 각종 약제 함유 역가를 측정하여, 역가를 산출했다.
실시예 1
실시예 1(수증기 투과율)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층 구성을 갖는, 산화금속 증착층을 갖는 필름 및 다른 필름으로부터 구성되는 커버 시트를 준비했다. 또한, 참조로서, 알루미늄박의 적층물도 준비했다.
커버 시트 층 구성(괄호 안은 플라스틱 필름 또는 박의 두께, 단위:㎛)
1 알루미나 증착 PET(12)/PE(40)
2 알루미나 증착 PET(12)/알루미나 증착 PET(12)/PE(40)
3 실리카 증착 PET(12)/실리카 증착 PVA(12)/PE(60)
참조 시트 PET(12)/알루미늄박(20)/PP(40)
표 1
PE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VA: 폴리바이닐알코올
PE: 폴리에틸렌
PP: 폴리프로필렌
커버 시트 1은, 알루미나 증착 PET 필름과 PE 필름의 라미네이트(톱판인사츠(凸版印刷) 가부시키가이샤제).
커버 시트 2는, 알루미나 증착 PET 필름과 알루미나 증착 PET 필름과 PE 필름의 라미네이트(톱판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제).
커버 시트 3은, 실리카 증착 PET 필름과 실리카 증착 PVA 필름과 PE 필름의 라미네이트(미쓰비시쥬시 가부시키가이샤제).
참조 커버 시트는, PET 필름과 알루미늄박과 PP 필름의 라미네이트(후지모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이들 커버 시트의 수증기 투과율(g/m2·일)을 측정했다. 측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커버 시트 수증기 투과율(g/m2·일)
1 0.03
2 0.02
3 0.11
참조 시트 0.03
이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용기에 이용하는 커버 시트는, 충분히 작은 수증기 투과율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2(산소 투과율)
상기 표 1에 나타내는 구성을 갖는 커버 시트에 대하여 산소 투과율(cc/m2·일·atm)을 측정했다. 측정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커버 시트 산소 투과율(g/m2·일·atm)
1 0.02 이하
2 0.02 이하
3 0.02 이하
참조 시트 0.02 이하
이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용기에 이용하는 커버 시트는, 충분히 작은 산소 투과율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실시예 3(수분 증가율)
하기 표 4에 나타내는 층 구성을 갖는 프론트 시트 및 리어 시트(양자의 길이 7cm, 폭 7cm)를 준비하고, 양자를 포개고, 그 3변을 강시일하여 약제 용기를 제작하고, 그 후, 상기 표 1에 나타내는 구성을 갖는 커버 시트로 프론트 시트를 피복하여 본 발명의 용기(도 1의 상방의 본 발명의 용기만)를 준비했다. 한편, 커버 시트가, 프론트 시트 전체에 접촉한 상태로 그것을 덮도록 배치하여, 커버 시트의 주연부를 프론트 시트에 용착했다. 한편, 커버 시트의 PE층이 안쪽에 위치하도록 용착했다.
상기 용기의 나머지 1변으로부터 염화칼슘의 분말 2g을 도입하여 그 1변을 강시일하여, 1 내지 6개월간, 75% RH에서, 온도 40℃하로 보존했다.
(표중의 기호, 숫자는 표 1와 같음, 좌측이 안쪽)
프론트 시트 PE(40)/무기물 증착 PET(12)/PET(12)/PE(60)
리어 시트 PE(40)/알루미늄박(12)/PET(16)
프론트 시트: 후지모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리어 시트: 후지모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보존 후, 1개월, 3개월 및 6개월 경과한 때의 염화칼슘의 중량을 측정하여, 최초에 측정해 둔 염화칼슘의 중량으로부터 수분 증가율을 구했다.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커버 시트 1개월후 3개월후 6개월후
1 0.13% 0.43% 0.94%
2 0.03% 0.08% 0.22%
3 0.00% 0.19% 0.49%
이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용기의 내부에의 수분의 침투는 매우 작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실시예 4(역가)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하여, 염화칼슘 대신에 여러 가지 항생 물질을 봉입하고 보존하여, 1개월후 및 3개월후에 그 역가를 측정했다. 보존 후의 약제의 역가를 표 6에 나타낸다.
항생 물질 커버 시트 보존 개시시 3개월후 6개월후
A 2 100 99 97
3 100 98 95
참조 시트 100 99 98
B 2 100 100 99
3 100 99 99
참조 시트 100 99 100
C 2 100 97
3 100 99
참조 시트 100 96
이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용기로써 약제를 보존하는 경우, 역가의 저하는 매우 작고, 수분 및/또는 산소의 영향이 충분히 억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16)

  1. 프론트 시트 및 리어 시트로부터 구성되고, 이들 시트의 사이에 공간부를 규정하도록 용착(溶着)된 용기로서,
    프론트 시트는, 최외층으로서 선형 폴리올레핀층을 가져 이루어지는 다층 필름 재료로부터 형성되고,
    리어 시트는, 금속박, 금속 증착층 또는 무기물 증착층을 갖는 필름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필름 재료로부터 형성되고,
    산화금속 증착층을 갖는 필름을 가져 이루어지는 투명한 커버 시트가, 프론트 시트의 안, 적어도 상기 공간부를 규정하는 부분의 외측 표면 전체를 덮도록 프론트 시트에 용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금속은, 산화규소 또는 산화알루미늄인 용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금속 증착층을 갖는 필름은, 산화금속 증착층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바이닐알코올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또는 나일론 필름인 용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금속 증착층을 갖는 필름 아래에 선형 폴리올레핀 필름이 적층된 다층 필름에 의해 커버 시트가 형성되어 있는 용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버 시트는, 적층된 복수장의 상기 산화금속 증착층을 갖는 필름을 가져 이루어진 용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커버 시트는, 적층된 2장의 상기 산화금속 증착층을 갖는 필름을 가져 이루어진 용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시트의 수증기 투과율이 0.2g/m2·일 이하인 용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시트의 산소 투과율이 0.02cc/m2·일·atm 이하인 용기.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분 증가율(40℃, 75% RH하, 6개월간 보존)이 0.5wt% 이하인 용기.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금속 증착층을 갖는 필름의, 파장 450nm의 광선 투과율이 55 내지 99%인 용기.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버 시트는, 그 주연부가 프론트 시트에 용착되어 있는 용기.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버 시트는, 프론트 시트에 접촉한 상태로 인접하고 있는 용기.
  13.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버 시트는, 프론트 시트와의 사이에 공간을 격(隔)한 상태로 인접하고 있는 용기.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약제를 보유하는 용기로서 이용하는 용기.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별도의 용기와 약(弱)시일(seal)부를 통해서 접속된 용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별도의 용기는 액제를 보유하고, 상기 용기는 분말 약제를 보유하는, 약시일부를 통해서 접속된 용기.
KR20087031087A 2006-05-23 2007-05-22 용기 KR2009001883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143039 2006-05-23
JP2006143039 2006-05-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8833A true KR20090018833A (ko) 2009-02-23

Family

ID=38723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7031087A KR20090018833A (ko) 2006-05-23 2007-05-22 용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00219094A1 (ko)
EP (1) EP2022461A4 (ko)
JP (1) JP5056754B2 (ko)
KR (1) KR20090018833A (ko)
CN (1) CN101453977A (ko)
AU (1) AU2007252465B2 (ko)
CA (1) CA2653002A1 (ko)
WO (1) WO20071360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58608A4 (en) * 2005-11-29 2013-01-23 Otsuka Pharma Co Ltd BAG WITH SEVERAL CHAMBERS AND GAS BARRIER FOIL
JP5237654B2 (ja) * 2007-07-06 2013-07-17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多層シート、容器および包装体
ES2386044B1 (es) * 2011-01-10 2013-06-14 Mixpaksystem, S.L. Envase multiproducto
JP5920335B2 (ja) * 2011-03-03 2016-05-18 ニプロ株式会社 複室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4582750B (zh) * 2013-07-05 2017-08-08 甘布罗伦迪亚股份公司 用于制备医用溶液的粉末材料的包装
JP2016022092A (ja) * 2014-07-18 2016-02-08 ニプロ株式会社 エダラボン含有プラスチック容器
CN104229277B (zh) * 2014-09-09 2017-03-01 四川科伦药物研究院有限公司 一种粉‑液双室输液袋的多层共挤膜材及其制备方法
US10233007B2 (en) 2015-04-30 2019-03-19 Cryovac, Llc Package, packaged product, method of releasing at least one agent into chamber portion of package, and process of packaging
WO2017189218A2 (en) * 2016-04-29 2017-11-02 Corning Incorporated Bioprocess bag having plastic tubing with metallized interior channel
CN107199734A (zh) * 2017-06-06 2017-09-26 石家庄鹏海制药股份有限公司 软袋大输液的生产工艺
CN111298214B (zh) * 2020-03-21 2020-12-15 苏州康特威医疗器械有限公司 医用集尿袋
CN113212959A (zh) * 2021-04-21 2021-08-06 苏州思脉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医用灭菌包装袋及其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62318A (ja) 1984-06-08 1985-12-25 三菱電機株式会社 押ボタン装置
JPS63290214A (ja) 1987-05-23 1988-11-28 Nippon Steel Corp 上底吹き転炉の精錬方法
JPH03118911U (ko) * 1990-03-15 1991-12-09
US5176634A (en) * 1990-08-02 1993-01-05 Mcgaw, Inc. Flexible multiple compartment drug container
US5267646A (en) * 1990-11-07 1993-12-07 Otsuka Pharmaceutical Factory, Inc. Containers having plurality of chambers
JP3060133B2 (ja) * 1990-11-07 2000-07-10 株式会社大塚製薬工場 複室容器
US5423421A (en) * 1992-05-03 1995-06-13 Otsuka Pharmaceutical Factory, Inc. Containers having plurality of chambers
JP3079403B2 (ja) * 1992-05-03 2000-08-21 株式会社大塚製薬工場 複室容器
US5610170A (en) * 1993-01-22 1997-03-11 Otsuka Pharmaceutical Factory, Inc. Package form for bicarbonate-containing powdery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a method of stabilizing the compositions
US5462526A (en) * 1993-09-15 1995-10-31 Mcgaw, Inc. Flexible, sterile container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same
JP3419139B2 (ja) * 1995-04-11 2003-06-23 ニプロ株式会社 可撓性複室容器
SE9601348D0 (sv) * 1996-04-10 1996-04-10 Pharmacia Ab Improved containers for parenteral fluids
US5944709A (en) * 1996-05-13 1999-08-31 B. Braun Medical, Inc. Flexible, multiple-compartment drug container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same
US5910138A (en) * 1996-05-13 1999-06-08 B. Braun Medical, Inc. Flexible medical container with selectively enlargeable compartments and method for making same
JP2002028999A (ja) * 2000-05-11 2002-01-29 Mitsui Chemicals Inc ガスバリアフィルム積層体
JP2002234101A (ja) * 2001-02-07 2002-08-20 Mitsui Chemicals Inc ガスバリヤー性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243787B2 (en) * 2003-03-26 2007-07-17 Nipro Corporation Medicine bag
KR20060133059A (ko) * 2004-03-30 2006-12-22 로도세이야구가부시기가이샤 트라닐라스트를 함유하는 의약 제품
JP3118911U (ja) * 2005-11-29 2006-02-09 株式会社大塚製薬工場 複室バッグ
EP1958608A4 (en) * 2005-11-29 2013-01-23 Otsuka Pharma Co Ltd BAG WITH SEVERAL CHAMBERS AND GAS BARRIER FOI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7252465B2 (en) 2013-05-02
WO2007136062A1 (ja) 2007-11-29
CA2653002A1 (en) 2007-11-29
CN101453977A (zh) 2009-06-10
US20100219094A1 (en) 2010-09-02
EP2022461A4 (en) 2014-02-12
AU2007252465A1 (en) 2007-11-29
EP2022461A1 (en) 2009-02-11
JPWO2007136062A1 (ja) 2009-10-01
JP5056754B2 (ja) 2012-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18833A (ko) 용기
JP3419139B2 (ja) 可撓性複室容器
KR101211552B1 (ko) 의료용 다층 용기 및 의료용 다층 복실용기
TWI409057B (zh) 醫療用容器
JP4607609B2 (ja) 薬液バッグ、薬液バッグ収容体および薬液バッグ収容体の製造方法
WO1993021890A1 (en) Vessel having a plurality of chambers
JP2003205972A (ja) 非経口流体用改良型容器
WO2013084515A1 (ja) 錠剤包装体
JP4696773B2 (ja) 医療用多層容器および医療用多層複室容器
JP2013183952A (ja) 錠剤包装体
JP3060133B2 (ja) 複室容器
JP2009039210A (ja) 医療用容器包装袋、およびこれを用いた医療用容器の収容方法、薬剤混注済み医療用容器包装体、薬剤未混注の医療用容器包装体の製造方法、ならびに薬剤未混注の医療用容器包装体
JP4920246B2 (ja) 医療用薬液容器および薬剤入り医療用薬液容器
JP3700039B2 (ja) 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製複室容器
JP2014068770A (ja) 薬剤包装用シート、薬剤包装用ブリスターパック、および薬剤包装体
JP5239121B2 (ja) インジケーター付積層遮光フィルム及び外装袋
KR100740508B1 (ko) 이중 챔버 수액 용기 및 이에 적용되는 다층 필름
CN110077708B (zh) 多室容器用保护膜、多室容器、以及多室容器的制造方法
CN100445090C (zh) 多层膜
JP2004305722A (ja) 薬剤バッグ
JP5008864B2 (ja) 薬液収納容器
JP2004016318A (ja) 複室容器
JP2004329433A (ja) 複室容器
JP2001190639A (ja) 医療用容器
JPH10338275A (ja) 医療用容器の包装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