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7432A - 후드 도약 장치 - Google Patents

후드 도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7432A
KR20090017432A KR1020080078684A KR20080078684A KR20090017432A KR 20090017432 A KR20090017432 A KR 20090017432A KR 1020080078684 A KR1020080078684 A KR 1020080078684A KR 20080078684 A KR20080078684 A KR 20080078684A KR 20090017432 A KR20090017432 A KR 200900174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vibration
damping means
regulating force
ho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8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부히로 이와이
도시히로 요시따께
유우스께 이노마따
가즈오 호시노
미쯔오 에하마
야스히로 미야따
Original Assignee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17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74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60R21/38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using means for lifting bon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약된 후드의 진동을 더 효과적으로 감쇄하는 것이 가능한 후드 도약 장치를 얻는다.
액추에이터에 의해 후드가 도약될 때에, 후드 릿지 멤버에 대한 후드의 동작을 규제하여 후드에 반력을 부여함으로써, 도약될 때에 후드에 발생한 진동을 감쇄하는 감쇄 진동을 후드에 발생시키도록 했다.
Figure P1020080078684
후드, 후드 릿지 멤버, 액추에이터, 진동 감쇄 수단, 후드 도약 장치

Description

후드 도약 장치{HOOD POP-UP SYSTEM}
본 발명은 후드 도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출원공개 평11-198860호 공보는 차량이 전방면 충돌 등 했을 때에 엔진룸의 후드를 상방으로 도약하게 하는 후드 도약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당해 장치에서는 차체와 후드 후단부 사이에 와이어가 가설되어 있다. 이 와이어는 후드 후단부를 절곡하여 후드의 후방 돌출량을 작게 한다. 이에 의해, 후드 후단부가 프론트 윈도우 글래스에 접촉해도 프론트 윈도우 글래스가 깨지기 어려워진다.
그런데, 후드 도약 장치에서는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의한 후드의 도약에 의해 후드에 진동이 발생하는 일이 있다.
후드에 진동이 발생하면, 진동 상태에 있는 후드의 변위나 진동의 위상 등에 의해 후드에 충돌하는 충돌물로부터 후드에 부여되는 충격력이 변화한다. 즉, 후드의 일부가 진동에 의해 상방 이동하고 있는 동안에 충돌물이 그 부분의 상면에 충돌했을 때에는, 충돌물로부터 후드에 부여되는 충격력이 증가해 버릴 우려가 있다. 한편, 후드의 일부가 진동에 의해 하방 이동하고 있는 동안에 충돌물이 그 부분의 상면에 충돌했을 때에는, 후드와 그 아래에 위치하는 구조 부품과의 간극이 작아져 후드가 당해 구조 부품에 충돌할 우려가 있다. 이로 인해, 이와 같은 진동이 후드에 발생하는 경우에는 후드 설계가 곤란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일본 특허출원공개 평11-198860호 공보의 기술과 같이, 차체와 후드 후단부 사이에 단순히 와이어를 가설한 것만으로는 상기 진동을 억제하는 것은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약된 후드의 진동을 더 효과적으로 감쇄하는 것이 가능한 후드 도약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차량의 충돌시 또는 충돌을 예지했을 때에, 차체 상방으로 후드를 도약하게 하는 후드 도약 장치에 있어서, 도약에 의해 발생한 상기 후 드의 진동을 감쇄하는 진동 감쇄 수단을 설치한 후드 도약 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약된 후드의 진동을 더욱 효과적으로 감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형태에 관한 장치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그들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공통의 부호를 부여하는 동시에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실시형태)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후드 도약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1은 후드가 도약된 상태에서의 차체 전방의 측면도(일부 단면도)이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룸(3)의 차폭 방향 양측에는 차량 전후 방향(도면 중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프론트 사이드 멤버(7)가 배치되어 있다. 그들 좌우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7)의 각각의 대략 상방에는 후드 릿지 멤버(2)가 서로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후드 릿지 멤버(2)의 차폭 방향 외측에는 대시 사이드 패널(8)로 덮여 있다. 후드 릿지 멤버(2)의 전단부는 연결 멤버(2a)를 통해 프론트 사이드 멤버(7)의 전단부에 연결되어 지지되어 있다. 엔진룸(3)의 전단부에는 라디에이터 코어 서포트(9)가 설치되어 있다. 그 라디에이터 코어 서포트(9)에는 도시하지 않은 라디에이터나 라디에이터 팬 등이 장착되어 있다.
후드(4)는 엔진룸(3)의 상방 개구부를 개폐한다. 후드(4)는 표면측을 형성하는 후드 아웃터 패널(4a)과, 이면측을 형성하는 후드 이너 패널(4b)로 이루어지는 이중 구조를 갖고 있다. 후드(4)의 중앙부에서는 그들 양 패널(4a, 4b)에 의해 폐단면을 형성하는 동시에, 주연부에서는 양 패널(4a, 4b)을 포개어 헤밍(hemming) 접합하고 있다.
후드 도약 장치(1A)는 후드 릿지 멤버(2)와 후드(4)의 후단부(4E)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 후드 도약 장치(1A)는 후드 힌지(5)와, 에어 실린더를 포함하는 액추에이터(6)를 구비하고 있다. 액추에이터(6)는 통상시(비충돌 상태)에는 단축되어, 닫혀진 후드(4)와 후드 릿지 멤버(2) 사이에 수납된다.
후드 힌지(5)는 좌우의 후드 릿지 멤버(2)에 대응하여 좌우 1대 설치하고 있다. 각 후드 힌지(5)는 각각 후드 릿지 멤버(2)의 상면에 고정하는 차체측 장착부(5a)와, 후드 이너 패널(4b)에 고정하는 후드측 장착부(5b)를 구비한다. 그리고, 차체측 장착부(5a)에 핀(5c)을 통해 하방 링크 아암(5d)의 일단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후드측 장착부(5b)에 핀(5e)을 통해 상방 링크 아암(5f)의 일단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
하방 링크 아암(5d)과 상방 링크 아암(5f)은 그들 타단에 있어서 핀(5g)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들 하방 링크 아암(5d)과 상방 링크 아암(5f)은 차체측 장착부(5a)와 후드측 장착부(5b) 사이에서 절첩 및 신전(伸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통상시(비충돌 상태)에서는, 하방 링크 아암(5d)과 상방 링크 아암(5f)은 절 첩되어 있고, 차체측 장착부(5a)와 후드측 장착부(5b)가 근접 상태로 되고, 후드 힌지(5)를 중심으로 하여 후드(4)의 전단부가 개폐 가능해진다.
또한, 후드(4)의 전단부와 라디에이터 코어 서포트(9)의 상부 중앙 사이에는 후드 로크(10)를 설치하고 있고, 이 후드 로크(10)의 로크가 해제된 경우에 후드(4)의 전단부가 개방 가능해진다.
이에 반해, 충돌시에는 제어 장치가 그 충돌을 검지 혹은 예지하여 액추에이터(6)를 작동시켜, 당해 액추에이터(6)가 도1에 도시하는 상태까지 순식간에 신장한다. 그러면, 후드 힌지(5)의 하방 링크 아암(5d)과 상방 링크 아암(5f)의 신전을 수반하여, 후드(4)의 후단부가 전단부의 후드 로크(10)를 중심으로 하여 도약되도록 되어 있다.
이때, 후드(4)에는 도약 개시시로부터의 가속도 변화(관성)에 의해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진동은 후드(4)의 내충격성, 내구성 등의 설계를 어렵게 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액추에이터(6)에 의해 후드 릿지 멤버(2) 등의 차체에 대해 후드(4)가 상방으로 도약될 때에, 당해 차체에 대한 후드(4)의 동작을 규제함으로써, 당해 도약될 때에 후드(4)에 발생한 진동을 감쇄하는 감쇄 진동을 당해 후드(4)에 발생시키는 후드(4)의 진동 감쇄 수단(20A)을 설치하고 있다.
도2a, 도2b는 후드 힌지(5)의 측면도이며, 도2a는 신전 상태, 도2b는 신전 도중을 도시하는 도면, 도3은 후드 힌지(5)의 신전 상태를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후드 힌지(5)에서는, 하방 링크 아암(5d)과 상방 링크 아암(5f) 사이에 스토퍼 기구(24)를 설치하고, 이 스토퍼 기구(24)를 진동 감쇄 수단(20A)으로서 이용하고 있다.
스토퍼 기구(24)는 상방 링크 아암(5f)의 선단부의 핀(5g)보다도 먼저 돌출한 부분을 하방 링크 아암(5d)의 선단부의 외주를 따라 내측[하방 링크 아암(5d)측]으로 절곡하여 형성한 플랜지부(24a)와, 하방 링크 아암(5d)의 선단부의 외주에 형성한 스토퍼부(24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스토퍼부(24b)는 핀(5g)의 반경 방향 위치에 있어서 플랜지부(24a)와 대략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후드 힌지(5)가 후드 도약에 수반하여 신전하고, 도2a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드 힌지(5)의 상사점(후드 도약 종료 위치) 근방에서 플랜지부(24a)의 측면이 스토퍼부(24b)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이들 플랜지부(24a)와 스토퍼부(24b)의 걸림 고정에 의해 후드(4)의 동작이 규제된다. 후드(4)의 관성 및 이에 따라서 후드 힌지(5)로부터 후드(4)에 작용하는 규제력에 의해 후드(4)에 감쇄 진동이 발생한다.
이때, 스토퍼 기구(24)는 도약에 의해 발생한 후드(4)의 진동의 변위의 방향과 역방향의 변위를 부여하는 규제력을 후드(4)에 가하고 있다. 그리고, 도약에 의해 발생한 후드(4)의 진동이 상향의 변위로 되는 후드 도약 위치[후드(4)의 통상시의 위치에 대한 도약된 후드(4)의 소정 위치]에서, 도약된 후드(4)의 상방 이동을 규제함으로써 발생하는 하향의 규제력을 가하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토퍼 기구(24)가 진동 감쇄 수단(20A)에 상당한다.
또한, 플랜지부(24a)는 스토퍼부(24b)와의 접촉(걸림 고정)에 의해 변형하도록 하여, 이 플랜지부(24a)의 변형에 의해 규제력, 나아가서는 감쇄 진동을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랜지부(24a)가 규제력 조정 기구(30A)에 상당한다.
여기서, 진동 감쇄 수단(20A)에 의한 후드(4)의 진동의 감쇄에 대해, 도5a 내지 도5d 및 도6a 내지 도6c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5a 내지 도5d 및 도6a 내지 도6c는 각 감쇄 개시 시각(A)에서 인가한 역방향의 감쇄 진동에 의해 후드의 진동이 감쇄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들 각 도면에서는, 도약에 의해 후드(4)에 발생한 진동을 실선으로 나타내고(당초 진동), 진동 감쇄 수단(20A)에 의해 발생시킨 감쇄 진동을 파선으로 나타내고(감쇄 진동), 당초 진동과 감쇄 진동의 합성 진동을 굵은 실선으로 나타낸다. 또한, 여기서는 설명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후드(4)의 일차 진동을 정현파의 단진동으로 하고, 감쇄 진동의 진폭 및 주기를 당초 진동과 일치시킨 경우에 대해 고찰한다.
우선, 후드 도약에 의해 발생한 후드(4)의 진동의 위상각(φ)이 2nπ(n = 1, 2, …)에 있을 때에, 당해 후드(4)의 진동과 역방향의 진동을 후드(4)에 발생시킴으로써 당해 후드(4)의 진동을 감쇄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도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상적으로는 당초 진동은 제로까지 감쇄하게 된다. 즉, 역방향의 감쇄 진동의 인가 개시 시각[감쇄 개시 시각(A)]은 위상각(φ)이 2nπ(n = 1, 2, …)로 되는 시점이 최적인 것을 알 수 있다.
도5b 내지 도5d는 감쇄 개시 시각(A)을 도5a보다도 빠르게 한 경우를 나타내 고 있다. 도5b는 감쇄 개시 시각(A)을 2nπ보다도 π/6만큼 빠르게 하여 2nπ - π/6으로 한 경우, 도5c는 감쇄 개시 시각(A)을 2nπ보다도 π/3만큼 빠르게 하여 2nπ - π/3으로 한 경우, 도5d는 감쇄 개시 시각(A)을 2nπ보다도 π/2만큼 빠르게 하여 2nπ - π/2로 한 경우의 파형이다. 감쇄 개시 시각(A)이 도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2nπ - π/3의 경우에 합성 진동의 진폭이 당초 진동의 진폭과 일치한다. 그리고, 감쇄 진동을 인가하는 위상각(φ)이 2nπ - π/3보다 빠른 경우에는 도5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합성 진동의 진폭이 당초 진동의 진폭보다 커져 감쇄 효과가 없어지나, 2nπ - π/3보다 느린 경우에는 도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합성 진동의 진폭이 당초 진동의 진폭보다 작아져 감쇄 효과가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도6a 내지 도6c는 감쇄 개시 시각(A)을 느리게 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고, 도6a는 감쇄 개시 시각(A)을 2nπ보다도 π/6만큼 느리게 하여 2nπ + π/6으로 한 경우, 도6b는 감쇄 개시 시각(A)을 2nπ보다도 π/3만큼 느리게 하여 2nπ + π/3으로 한 경우, 도6c는 감쇄 개시 시각(A)을 2nπ보다도 π/2만큼 느리게 하여 2nπ + π/2로 한 경우의 파형이다. 감쇄 개시 시각(A)이 도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2nπ + π/3인 경우에 합성 진동의 진폭이 당초 진동의 진폭과 일치한다. 그리고, 감쇄 진동을 인가하는 위상각(φ)이 2nπ + π/3보다 느린 경우에는 도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합성 진동의 진폭이 당초 진동의 진폭보다 커져 감쇄 효과가 없어지나, 2nπ + π/3보다 빠른 경우에는 도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합성 진동의 진폭이 당초 진동의 진폭보다 작아져 감쇄 효과가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역방향의 감쇄 진동을 후드(4)에 발생시키는 위상각(φ)은 2n π의 전후 π/3의 범위(2nπ - π/3 < φ < 2nπ + π/3)로 설정하는 것이 적절한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규제력 조정 기구(30A)를 이용하여, 당초 진동과 감쇄 진동에서, 진동 변위의 소정 시간 내(예를 들어 일주기분의) 시간 적분값의 절대값을 대략 동등하게 하면, 당초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쇄할 수 있는 것은, 도5, 도6 등에 나타내는 파형을 보아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이상적으로는 당해 진동과 대략 동등한 파형의 감쇄 진동을 발생하면 좋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액추에이터(6)에 의해 차체에 대해 후드(4)가 상방으로 도약될 때에(모두 도1 등 참조), 진동 감쇄 수단(20A)에 의해 차체에 대한 후드(4)의 동작을 규제함으로써, 당해 도약될 때에 후드(4)에 발생한 진동을 감쇄하는 감쇄 진동을 당해 후드(4)에 발생시키도록 했다. 따라서, 이 감쇄 진동에 의해, 도약될 때에 발생한 당초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와 같이, 진동 감쇄 수단(20A)에 의해, 도약에 의해 발생한 후드(4)의 진동의 변위의 방향과 역방향의 변위를 부여하는 규제력을 후드(4)에 가함으로써 후드의 진동을 감쇄할 수 있다. 이 경우, 비교적 간소한 구성의 진동 감쇄 수단(20A)에 의해, 도약될 때에 발생한 당초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와 같이, 진동 감쇄 수단(20A)에 의해, 도약에 의해 발생한 후드(4)의 진동이 상향의 변위로 되는 후드 도약 위치에서, 도약된 후드(4)의 상방 이동을 규제함으로써 발생하는 하향의 규제력을 가할 수 있다. 이 경우, 비 교적 간소한 구성의 진동 감쇄 수단(20A)에 의해, 도약될 때에 발생한 당초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와 같이, 후드 힌지(5)에 진동 감쇄 수단(20A) 및 규제력 조정 기구(30A)를 장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체적으로 장치 구성이 간소화되고, 콤팩트하게 할 수 있는데 부가하여 제조 비용의 삭감에 이바지한다.
그리고, 진동 감쇄 수단(20A)에 의해 역방향의 감쇄 진동을 인가하는 경우에는, 도약에 의해 발생한 후드(4)의 당초 진동의 위상각(φ)이 2nπ(n = 1, 2,…)일 때에 당초 진동과 역방향의 감쇄 진동을 후드(4)에 발생시키는 것이 최적이고, 2nπ의 전후 π/3의 범위(2nπ - π/3 < φ < 2nπ + π/3)로 설정하는 것이 적절하고, 이와 같이 함으로써 효과적으로 당초 진동을 감쇄할 수 있다.
또한, 감쇄 진동의 진동 변위의 소정 시간 내에서의 시간 적분값의 절대값과, 도약에 의해 발생한 후드(4)의 당초 진동의 진동 변위의 소정 시간 내에서의 시간 적분값의 절대값과 대략 일치시킴으로써 효과적으로 당초 진동을 감쇄할 수 있다.
도4는 후드 힌지(5)에 설치한 스토퍼 기구(24)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확대 측면도이다. 본 변형예에 관한 스토퍼 기구(25)는 상방 링크 아암(5f)의 선단부의 외주 상에 직렬로(둘레 방향으로 나열하여) 배치된 2개의 설편(25b, 25c)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2개의 설편(25b, 25c)은 후드 힌지(6)의 신전시에 하방 링크 아암(5d)의 선단부의 외주 상에 설치한 스토퍼부(25a)에 차례로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스토퍼부(25a)에 최초로 접촉하는 설편(25b)은 당해 접촉에 의해 소성 변형하도록 하고, 다음의 설편(25c)의 강성은 설편(25b)보다 높여, 당해 설편(25c)과 스토퍼부(25a)의 걸림 고정에 의해 최종적으로 후드 힌지(5)의 신전이 규제되도록 하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설편(25b)이 규제력 조정 기구(30B)에 상당하고, 스토퍼 기구(25)가 진동 감쇄 수단(20B)에 상당한다.
따라서, 본 변형예에 의해서도,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감쇄 진동에 의해, 도약될 때에 발생한 당초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쇄할 수 있는 동시에, 후드 힌지(5)에 진동 감쇄 수단(20B) 및 규제력 조정 기구(30B)를 장비한 만큼 장치 구성이 간소화되고, 콤팩트하게 할 수 있는데 부가하여 제조 비용의 삭감에 이바지한다.
(제2 실시형태)
도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후드 도약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이 진동 감쇄 수단(20C)은 후드(4)와 차체로서의 후드 릿지 멤버(2) 사이에 가설되는 와이어(20c)와, 와이어(20c)의 일단이 고정되는 피스톤(20a)과, 피스톤(20a)이 수용되는 실린더(20b)를 구비하고 있고, 기본적으로는, 와이어(20c)에 의해 후드(4)의 동작(도약 동작)을 규제함으로써, 후드(4)의 관성에 대항하여 와이어(20c)로부터 후드(4)에 작용하는 힘(충격적인 힘)에 의해 감쇄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와이어(20c)의 길이나, 와이어(20c)나 와이어(20c)의 후드(4)와의 접속점(작용점)(P)의 위치를 적절하게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감쇄 진동을 발생시키는 타이밍[감쇄 개시 시각(A)]은 와이어(20c)의 길이 등으로 조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진동 감쇄 수단(20C)은, 유체의 점성 저항을 이용하여 후드(4)에 부여하는 규제력을 조정하는 규제력 조정 기구(30C)를 구비하고 있다. 즉, 피스톤(20a)을 수납한 실린더(20b) 내에 점성 유체를 봉입하고, 실린더(20b)를 후드 릿지 멤버(2)에 고정하는 한편, 피스톤(20a)에 와이어(20c)를 고정하고 있다. 따라서, 후드(4)에는 피스톤(20a)이 실린더(20b) 내에서 이동(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승)할 때에 작용하는 저항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규제력 조정 기구(30C)를 이용함으로써 감쇄 진동의 시간 파형의 형상(수직 상승)이나 진폭 등을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는, 후드(4)에 대한 규제력의 작용점(P)을 액추에이터(6)와 후드(4)의 접촉점(Q) 근방과 동일 위상으로 진동하고 있는 영역에 설정함으로써 효과적으로 당초 진동을 감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진동 감쇄 수단(20C)을 후드(4)와 차체로서의 후드 릿지 멤버(2) 사이에 가설되는 와이어(20c)와, 와이어(20c)의 일단이 고정되는 피스톤(20a)과, 피스톤(20a)이 수용되는 실린더(20b)를 구비하고, 기본적으로는, 와이어(20c)에 의해 후드(4)의 동작을 규제함으로써, 후드(4)의 관성에 대항하여 와이어(20c)로부터 후드(4)에 작용하는 힘에 의해 감쇄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구성했다. 따라서, 진동 감쇄 수단(20C)을 비교적 간소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체의 저항을 이용하여 진동 감쇄 수단(20C)으로부터 인가되는 규제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했다. 이로 인해, 더 효과적으로 당초 진동을 감쇄할 수 있게 된다.
(제3 실시형태)
도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고, 후드가 도약된 상태에서의 차체 전방부의 측면도(일부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진동 감쇄 수단(20D)으로서 후드 릿지 멤버(2)와 후드(4)를 점(P), 점(R) 사이에서 접속하는 와이어(21)를 설치하는 동시에, 이 와이어(21)를 규제력 조정 기구(30D)로서도 이용하는 점이, 상기 제2 실시형태와 다르다. 즉, 와이어(21)의 탄성 변형이나 소성 변형을 이용하여, 와이어(21)의 가설에 의한 후드(4)의 동작 규제에 의해 발생하는 감쇄 진동의 진동 변위의 소정 시간 내에서의 시간 적분값의 절대값을, 후드(4)의 당초 진동의 진동 변위의 시간 적분값의 절대값에 가까워지도록 조정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해서도,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감쇄 진동에 의해, 도약될 때에 발생한 당초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쇄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21)를 진동 감쇄 수단(20D)으로서 뿐만 아니라 규제력 조정 기구(30D)로서도 이용하기 때문에 장치 구성이 간소화되고, 제조 비용의 삭감에 이바지한다.
(제4 실시형태)
도9a, 도9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9a는 액추에이터 상단에서 후드를 도약된 상태, 도9는 후드의 이동이 액추에이터 상단에서 규제된 상태를 각각 도시하는 액추에이터 선단부 및 후드의 확대 단면도이다.
이 도9a, 도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진동 감쇄 수단(20E)으로서 액추에이터(6)의 로드의 선단부(상단부)에 직경 방향으로 확대된 플랜지부(6k)를 설치하고, 그 상단 플랜지부(6k)를 후드 이너 패널(4b) 하면에 고정하지 않고 접촉시킨 상태로 하고 있다. 후드 이너 패널(4b) 하측에는 후드 이너 패널(4b)의 하면으로부터 소정 거리(D)를 갖고 스토퍼면(4c)을 형성하고 있다. 이때, 거리(D)는 플랜지부(6k)의 두께(T)보다도 크게(D > T)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후드 도약시에는, 도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6)의 플랜지부(6k)가 후드 이너 패널(4b)의 하면에 접촉하여 후드(4)에 상향의 압박력이 부가된다. 그리고, 도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부(6k)를 스토퍼면(4c)에 접촉시킴으로써 후드(4)의 동작(상승)을 규제하고, 이에 의해 감쇄 진동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스트로크(d)(= D - T)의 조정에 의해 감쇄 개시 시각(A)을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상의 본 실시형태에 의해서도, 상기 각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감쇄 진동에 의해, 도약될 때에 발생한 당초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쇄할 수 있다. 또한, 액추에이터(6)에 진동 감쇄 수단(20E)을 설치한 만큼 장치 구성을 더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제5 실시형태)
도10, 도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10은 후드가 도약된 상태에서의 차체 전방부의 측면도(일부 단면도), 도11은 액추에이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후드 도약 장치(1F)의 액추에이터(6F)에 진동 감쇄 수단(20F) 및 규제력 조정 기구(30F)를 장비하고 있다.
이 경우, 액추에이터(6F)로서는, 도11a, 도11b에 각각 도시하는 액추에이 터(6FA, 6FB)를 이용할 수 있다. 모두 신전 규제 플랜지를 갖는 상자 형상의 실린더(6c1, 6c2, 6c3)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의 신전이 규제됨으로써 후드(4)의 동작이 규제되게 된다.
도11a에 도시하는 액추에이터(6FA)는 다단으로 된 실린더(6c1, 6c2, 6c3) 사이에 에너지 흡수재(EA재)(22)를 개재시키고, 액추에이터(6FA)의 신전에 수반하여 EA재(22)를 압축 변형시키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에너지 흡수재(22)의 개재의 유무나, 에너지 흡수재(22)의 사양 등의 조정에 의해 규제력, 나아가서는 감쇄 진동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도11b에 도시하는 액추에이터(6FB)는 다단으로 된 실린더(6c1, 6c2, 6c3 …)에 끝이 가는 테이퍼를 부여하여, 액추에이터(6FB)가 신전할 때에 실린더(6c1)의 피스톤과 실린더(6c2)의 내면 사이, 및 실린더(6c2)의 피스톤과 실린더(6c3)의 내면 사이에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테이퍼 형상의 경사 각도나 미끄럼 이동 구간 등의 조정에 의해 규제력, 나아가서는 진동을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해서도, 상기 각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감쇄 진동에 의해, 도약될 때에 발생한 당초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쇄할 수 있다. 또한, 액추에이터(6F)에 진동 감쇄 수단(20F) 및 규제력 조정 기구(30F)를 통합시킨 만큼 장치 구성을 더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제6 실시형태)
도1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고, 후드가 도약된 상태에서의 차체 전방부의 측면도(일부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진동 감쇄 수단(20G) 및 규제력 조정 기구(30G)로서 액추에이터(6)와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여 역방향으로 설치된 실린더 장치(23)를 설치하고 있다.
이 실린더 장치(23)는 후드 릿지 멤버(2)와 후드 이너 패널(4b)에도 고정되고, 통상시에는 폐지한 후드(4)와 후드 릿지 멤버(2) 사이에 단축하여 수납되어 있고, 후드 도약에 수반하여 신전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실린더 장치(23)의 신전이 규제되었을 때에 후드(4)의 동작이 규제된다. 그리고, 예를 들어 도11a, 도11b에 도시한 구성 등에 의해, 실린더 장치(23) 내의 복수의 실린더끼리의 상대 이동에 저항을 발생시키고, 이에 의해, 실린더 장치(23)에 의한 후드(4)의 동작의 규제력, 나아가서는 후드(4)의 감쇄 진동을 조정할 수 있다.
다음에, 규제력 조정 기구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13a 내지 도13e 및 도14a 내지 도14d는 규제력 조정 기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3a에 도시하는 규제력 조정 기구(30H)는 폴리프로필렌(PP)의 발포체로 형성되는 PP 패드 등을 이용한 EA(에너지 흡수)재(26)로 구성한 것으로, EA재(26)를 후드 릿지 멤버(2)의 하면에 장착하고 있다. 그리고, 후드(4)에 장착한 와이어(26a)를 EA재(26)의 하면을 덮는 기판(26b)에 결합하여, 후드 도약에 수반하여 와이어(26a)에 상방으로 끌어당겨지는 기판(26b)에 의해 EA재(26)를 압축하고, 이 압축에 의해 규제력을 조정하는 것이다.
도13b에 도시하는 규제력 조정 기구(30I)는 중공체(27)로 구성한 것으로, 중공체(27)를 후드 릿지 멤버(2)의 하면에 장착하고, 후드(4)에 장착한 와이어(27a)를 중공체(27)에 삽입 관통하고 있다. 그리고, 중공체(27)의 하부에 와이어(27a)를 걸림 고정하여, 후드 도약에 수반하여 끌어당겨지는 와이어(27a)로 중공체(27)를 찌부러뜨리고, 이 찌부러뜨림 변형에 의해 규제력을 조정하는 것이다. 또한, 중공체(27)의 단면 형상은 원형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 형상이나 그 밖의 다각 형상이라도 좋다.
도13c에 도시하는 규제력 조정 기구(30J)는 중공관(28)으로 구성한 것으로, 중공관(28)을 후드 릿지 멤버(2)의 하면에 종방향으로 장착하고, 후드(4)에 장착한 와이어(28a)를 중공관(28)의 내부에 삽입 관통하고 있다. 그리고, 중공관(28)의 저면에 와이어(28a)를 걸림 고정하여, 후드 도약에 수반하여 끌어당겨지는 와이어(28a)로 중공관(28)을 축 방향으로 찌부러뜨리고, 이 찌부러뜨림 변형에 의해 규제력을 조정하는 것이다.
도13d에 도시하는 규제력 조정 기구(30K)는 단면 역사다리꼴 형상의 크러시 박스(29)로 구성한 것으로, 크러시 박스(29)를 후드 릿지 멤버(2)의 하면에 장착하고, 후드(41)에 장착한 와이어(29a)를 크러시 박스(29)의 하면에 결합하고 있다. 그리고, 후드 도약에 수반하여 끌어당겨지는 와이어(29a)로 크러시 박스(29)를 찌부러뜨리고, 이 찌부러뜨림 변형에 의해 규제력을 조정하는 것이다.
도13e에 도시하는 규제력 조정 기구(30)는 중공관(33a) 및 이 중공관(33a)의 외측에 나선 형상으로 권취한 와이어(33b)의 조합체(33)로 구성한 것으로, 중공 관(33a)을 후드 릿지 멤버(2)의 하면에 종방향으로 장착하는 동시에, 와이어(30b)를 후드(4)에 장착하고 있다. 그리고, 후드 도약에 수반하여 끌어당겨지는 와이어(33b)로 중공관(30a)을 체결 부착하여 찌부러뜨리고, 이 찌부러뜨림 변형에 의해 규제력을 조정하는 것이다.
또한, 물론 이들 도13a 내지 도13e에 나타내는 각 예에 있어서는, 와이어(26a, 27a, 28a, 29a, 33b) 자체의 탄성 변형이나 소성 변형에 의해서도 규제력을 조정할 수 있다.
도14a 내지 도14d의 각 예는 탄성 변형이나 소성 변형을 이용하여 저항력을 발생하는 탄소성 변형체(31)와, 점성 저항을 이용하여 저항력을 발생하는 점성 저항 발생체(32)를 각종 조합하여 규제력 조정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탄소성 변형체(31)에는 와이어가 포함되는 동시에, 점성 저항 발생체(32)에는 대시 포트(dash pot)[즉, 제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유체가 봉입된 실린더(20b) 및 실린더(20b) 내에서 미끄럼 이동하는 피스톤(20a)을 포함하는 구성]이 포함된다.
도14a에 도시하는 규제력 조정 기구(30M)는 탄소성 변형체(31)에 의해서만 구성되어 있다.
도14b에 도시하는 규제력 조정 기구(30N)는 탄소성 변형체(31)와 점성 저항 발생체(32)를 병렬 배치하여 구성하고 있다.
도14c에 도시하는 규제력 조정 기구(30P)는 탄소성 변형체(31)와 점성 저항 발생체(32)를 직렬 배치하여 구성하고 있다.
도14d에 도시하는 규제력 조정 기구(30Q)는 점성 저항 발생체(32)와, 병렬 배치한 탄소성 변형체(31)와 점성 저항 발생체(32)를 직렬 배치하여 구성하고 있다.
또한, 탄소성 변형체(31) 및 점성 저항 발생체(32)의 조합은 도14a 내지 도14d에는 한정되지 않고, 그 밖의 조합 구조를 각종 채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예를 들어, 진동 감쇄 수단 및 규제력 조정 기구를 지지하는 차체 부재는 후드 릿지 멤버 이외의 다른 부재나, 차체에 결합한 브래킷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후드 도약용의 액추에이터는 에어백이나 그 밖의 도약 발생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후드 힌지도 상기 실시형태에는 한정되지 않고, 통상시에는 후드의 회전 지지점으로 되고, 충돌시에는 후드의 도약 기능을 구비한 구조이면 좋다. 상기 실시형태를 적절하게 조합한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진동 감쇄 수단이 장비된 차체 전방부의 후드가 도약된 상태에서의 측면도(일부 단면도).
도2a 내지 도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진동 감쇄 수단이 장비된 후드 힌지의 측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진동 감쇄 수단이 장비된 후드 힌지의 신전 상태를 전방에서 본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진동 감쇄 수단이 장비된 후드 힌지의 일부의 확대 측면도.
도5a 내지 도5d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진동 감쇄 수단에 의한 진동 감쇄 효과를 나타내는 진동 파형의 모식도이며, 감쇄 개시 시각을 변화시킨 각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6a 내지 도6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진동 감쇄 수단에 의한 진동 감쇄 효과를 나타내는 진동 파형의 모식도이며, 감쇄 개시 시각을 변화시킨 각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진동 감쇄 수단이 장비된 차체 전방부의 후드가 도약된 상태에서의 측면도(일부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진동 감쇄 수단이 장비된 차체 전방부의 후드가 도약된 상태에서의 측면도(일부 단면도).
도9a 내지 도9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진동 감쇄 수단이 장비된 액추에이터 선단부 및 후드의 확대 단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관한 진동 감쇄 수단이 장비된 차체 전방부의 후드가 도약된 상태에서의 측면도(일부 단면도).
도11a 내지 도11b는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관한 진동 감쇄 수단이 장비된 액추에이터의 내부 구조의 각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1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관한 진동 감쇄 수단이 장비된 차체 전방부의 후드가 도약된 상태에서의 측면도(일부 단면도).
도13a 내지 도13e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규제력 조정 기구의 변형예를 각각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
도14a 내지 도14d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규제력 조정 기구의 다른 변형예를 각각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1F : 후드 도약 장치
2 : 후드 릿지 멤버
3 : 엔진룸
4 : 후드
5 : 후드 힌지
6 : 액추에이터
7 : 프론트 사이드 멤버
10 : 후드 로크
24 : 스토퍼 기구

Claims (7)

  1. 차량의 충돌시 또는 충돌을 예지했을 때에, 차체 상방으로 후드를 도약하게 하는 후드 도약 장치에 있어서,
    도약에 의해 발생한 상기 후드의 진동을 감쇄하는 진동 감쇄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도약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감쇄 수단은, 도약에 의해 발생한 상기 후드의 진동의 변위의 방향과 역방향의 변위를 부여하는 규제력을 후드에 가함으로써 후드의 진동을 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도약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감쇄 수단은, 도약에 의해 발생한 상기 후드의 진동이 상향의 변위로 되는 후드 도약 위치에서, 도약된 상기 후드의 상방 이동을 규제함으로써 발생하는 하향의 상기 규제력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도약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감쇄 수단은, 감쇄 진동의 진동 변위의 소정 시간 내에서의 시간 적분값의 절대값과, 도약에 의해 발생한 후드의 진동의 진동 변위의 소정 시간 내에서의 시간 적분값의 절대값을 대략 일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도약 장치.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력을 조정하는 규제력 조정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도약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력 조정 기구는 유체의 저항을 이용하여 규제력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도약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력 조정 기구는 재료의 변형을 이용하여 규제력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도약 장치.
KR1020080078684A 2007-08-14 2008-08-12 후드 도약 장치 KR200900174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211270 2007-08-14
JP2007211270A JP5239253B2 (ja) 2007-08-14 2007-08-14 フード跳ね上げ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7432A true KR20090017432A (ko) 2009-02-18

Family

ID=39855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8684A KR20090017432A (ko) 2007-08-14 2008-08-12 후드 도약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311701B2 (ko)
EP (1) EP2025565B1 (ko)
JP (1) JP5239253B2 (ko)
KR (1) KR20090017432A (ko)
CN (1) CN10136741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51657A1 (de) * 2005-10-28 2007-05-0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Pyrotechnischer Aktuator
DE102009006451A1 (de) * 2009-01-28 2010-07-29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Dämpfungseinrichtung an einer Frontklappe eines Kraftfahrzeugs
JP5136527B2 (ja) * 2009-08-31 2013-02-06 豊田合成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
DE102009051980A1 (de) 2009-11-04 2011-05-05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
DE102010029410A1 (de) 2010-05-27 2011-12-01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Feder- und Dämpfer-Baueinheit
CN102582568B (zh) * 2011-01-17 2015-12-16 奥托立夫开发公司 用于抬起机动车辆车身件的装置
WO2012112093A1 (en) * 2011-02-18 2012-08-23 Autoliv Development Ab Hood lifting arrangement and method for lifting a hood
DE102011112388A1 (de) * 2011-09-03 2013-03-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bdeckeinrichtung
DE102011118123A1 (de) * 2011-11-10 2013-05-1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etzen des Staates Delaware) Kraftfahrzeugkarosserie mit aktiver Haube
CN102490677A (zh) * 2011-12-19 2012-06-13 袁玉君 一种汽车安全防护系统
US8763744B2 (en) * 2012-01-26 2014-07-01 Fuji Jukogyo Kabushiki Kaisha Vehicle hood moving device
KR101491310B1 (ko) * 2013-09-04 2015-0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후드 장치
JP6193109B2 (ja) * 2013-12-11 2017-09-06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
JP6187248B2 (ja) * 2013-12-26 2017-08-30 豊田合成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
JP5907182B2 (ja) 2014-01-20 2016-04-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ポップアップフード装置
KR101819408B1 (ko) 2014-08-07 2018-01-16 도요타 지도샤(주) 차량용 팝업 후드 장치
JP6245235B2 (ja) * 2015-08-21 2017-12-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ポップアップフード装置
JP6732423B2 (ja) * 2015-09-30 2020-07-29 住友建機株式会社 ショベル
US10315612B2 (en) * 2016-08-24 2019-06-11 Honda Motor Co., Ltd. Vehicle hood lift system
DE102017114652B4 (de) * 2017-06-30 2021-11-11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Schutzvorrichtung zum Schutz von Verkehrsteilnehmern außerhalb eines Kraftfahrzeugs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Schutzvorrichtung
US10508484B1 (en) * 2018-06-15 2019-12-1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uto-lock folding prop rod
DE102019132161A1 (de) * 2018-11-27 2020-05-28 Magna Closures Inc. AKTIVES FUßGÄNGER-MOTORHAUBENSCHARNIER MIT INTEGRIERTERVERRIEGELUNGSANORDNUNG
US11447989B2 (en) * 2019-11-05 2022-09-20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Hood prop rod assembly for vehicles
CZ2021541A3 (cs) * 2021-11-29 2023-06-07 ÄŚeskĂ© vysokĂ© uÄŤenĂ­ technickĂ© v Praze Způsob pro zvýšení pevnosti konstrukce
US20240010161A1 (en) * 2022-07-05 2024-01-11 Hyundai Motor Company Active Hood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85741A1 (fr) * 1991-12-31 1993-07-02 Thomson Brandt Armements Verin pyrotechnique a course amortie.
US5749425A (en) * 1996-06-07 1998-05-12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Vehicle hood check and damping mechanism
JP3528486B2 (ja) * 1997-01-08 2004-05-1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フード跳ね上げ装置
JP3589002B2 (ja) * 1998-01-13 2004-11-1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跳ね上げ式フードの後端部構造
JP3377763B2 (ja) * 1999-07-08 2003-02-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フード装置
JP3320681B2 (ja) * 1999-07-19 2002-09-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フード装置
EP1258402B8 (de) 2001-05-17 2006-06-28 TRW Automotive Electronics & Components GmbH & Co. KG Antrieb für Fahrzeughaube
DE10307994A1 (de) * 2003-02-25 2004-09-02 Trw Occupant Restraint Systems Gmbh & Co. Kg Antrieb für eine Vorrichtung zum Anheben einer Motorhaube
US7712569B2 (en) * 2003-06-06 2010-05-11 Magna Electronics Europe Gmbh & Co. Kg Device and method for raising the hood of a motor vehicle during a collision with a pedestrian
JP4306485B2 (ja) * 2004-02-13 2009-08-0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跳ね上げ式フード
US7303040B2 (en) * 2004-05-18 2007-12-04 Autolive Asp, Inc. Active vehicle hood system and method
US7686120B2 (en) * 2004-06-09 2010-03-3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Hood lift mechanisms utilizing active materials and methods of use
JP4666146B2 (ja) * 2005-04-13 2011-04-0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跳ね上げ式フード構造
JP2006290297A (ja) 2005-04-14 2006-10-26 Nissan Motor Co Ltd 跳ね上げ式フード構造及びフード跳ね上げ方法
GB0602586D0 (en) * 2006-02-10 2006-03-22 Ford Global Tech Llc A hinge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25565B1 (en) 2018-10-10
US8311701B2 (en) 2012-11-13
US20090048734A1 (en) 2009-02-19
CN101367411B (zh) 2011-07-06
CN101367411A (zh) 2009-02-18
EP2025565A1 (en) 2009-02-18
JP5239253B2 (ja) 2013-07-17
JP2009045965A (ja) 2009-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17432A (ko) 후드 도약 장치
US7393012B2 (en) Knee bolster structure
KR101734694B1 (ko) 자동차용 패시브 후드 힌지 장치
JP4410822B2 (ja) 車両用ポップアップフード装置
JP4410823B2 (ja) 車両用ポップアップフード装置
JP2009067303A (ja) 自動車のフード跳ね上げ装置及びフード跳ね上げ方法
JP2008520857A (ja) 緩衝器付き蝶番
CN103946100A (zh) 转向管柱装置
JP2013522103A (ja) 調整装置、特に自動車シート用の高さ又は縦方向調整装置
CN107264421A (zh) 一种汽车手套箱及汽车
JP2003032868A (ja) ワイヤハーネス余長吸収装置
IT201900005758A1 (it) Cerniera per l’apertura e la chiusura di ante a battente di mobili
JP5765267B2 (ja) 車両用ポップアップフード装置
JP2009011834A (ja) ミシン
EP3527472B1 (en) Straddled vehicle
JP4666146B2 (ja) 跳ね上げ式フード構造
KR20140086163A (ko) 차량용 후드의 액티브 팝업 장치
KR100520360B1 (ko) 자동차용 후드힌지의 충격흡수장치
KR20210030577A (ko) 자동차 조향컬럼
KR101418684B1 (ko) 충돌 감응 링크 셋을 갖춘 안전페달유닛
JP2009073273A (ja) 車両用ポップアップフード装置
JP5170368B2 (ja) 引出のダンパ装置及び収納家具
JP2007112336A (ja) 車両用収納装置
KR100774678B1 (ko) 차량의 후드 힌지
KR100368397B1 (ko) 자동차의 후드힌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0513

Effective date: 2012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