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4153A - Led 광원 유니트 - Google Patents

Led 광원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4153A
KR20090014153A KR1020087026636A KR20087026636A KR20090014153A KR 20090014153 A KR20090014153 A KR 20090014153A KR 1020087026636 A KR1020087026636 A KR 1020087026636A KR 20087026636 A KR20087026636 A KR 20087026636A KR 20090014153 A KR20090014153 A KR 20090014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source unit
led light
adhesive tape
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6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히코 오카지마
가츠노리 야시마
도시카츠 미츠나가
다쿠야 오카다
Original Assignee
덴끼 가가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덴끼 가가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덴끼 가가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14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41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01Thermal arrangements, e.g. for cooling, heating or preventing overheating
    • H05K1/0203Cooling of mounted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01Thermal arrangements, e.g. for cooling, heating or preventing overheating
    • H05K1/0203Cooling of mounted components
    • H05K1/0204Cooling of mounted components using means for thermal conduction connec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substrate
    • H05K1/0206Cooling of mounted components using means for thermal conduction connec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substrate by printed thermal via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0058Laminating printed circuit boards onto other substrates, e.g. metallic substrates
    • H05K3/0061Laminating printed circuit boards onto other substrates, e.g. metallic substrates onto a metallic substrate, e.g. a heat sin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3Use of materials for the substrate
    • H05K1/05Insulated conductive substrates, e.g. insulated metal substrate
    • H05K1/056Insulated conductive substrates, e.g. insulated metal substrate the metal substrate being covered by an organic insulating lay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2Fillers; Particles; Fibers; Reinforcement materials
    • H05K2201/0203Fillers and particles
    • H05K2201/0206Materials
    • H05K2201/0209Inorganic, non-metallic partic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06Light emitting diode [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01Tools for processing; Objects used during processing
    • H05K2203/0191Using tape or non-metallic foil in a process, e.g. during filling of a hole with conductive pas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8Improvement of the adhesion between the insulating substrate and the metal
    • H05K3/386Improvement of the adhesion between the insulating substrate and the metal by the use of an organic polymeric bonding layer, e.g. adhes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방열성이 양호하고 LED의 손상이 방지되어 밝고 긴 수명의 LED 광원 유니트를 제공한다. 프린트 기판과 상기 프린트 기판에 설치되는 1개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프린트 기판을 방열 부재 표면에 고정하기 위한 점착 테이프를 가지는 LED 광원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점착 테이프의 열전도율이 1-4 W/mK이며, 프린트 기판의 고정면과 방열 부재 고정면 사이의 내전압이 1.0 kV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광원 유니트.

Description

LED 광원 유니트{LED LIGHT SOURCE UNIT}
본 발명은 발광 다이오드(LED)를 광원에 사용하는 방열성이 뛰어난 긴 수명의 발광 다이오드(LED) 광원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소자와 백 라이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액정 표시장치 등에 있어서, 백 라이트의 광원에는 CFL(냉음극관)이라고 하는 소형 형광관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상기 CFL(냉음극관)의 광원은 방전관 안에 Hg(수은)를 봉입하고 있어, 방전에 의해 여기된 수은으로부터 방출되는 자외선이 CFL(냉음극관)의 관벽의 형광체에 부딪쳐 가시광으로 변환되는 구조가 채용되고 있다. 이 때문에 최근에는 환경을 고려하여, 유해한 수은을 사용하지 않는 대체 광원의 사용이 요구되고 있다.
최근에는 발광 다이오드(LED)를 광원으로 사용한 LED 광원 유니트가 여러가지 분야에서 이용되어 오고 있다.
예를 들면 액정 표시장치의 새로운 광원으로서 발광 다이오드(이하, 단순히 LED라고도 적는다)를 사용한 것이 제안되고 있다. LED는 광에 지향성이 있고 특히 프린트 기판 등에 대한 면 실장 타입에서는 한 방향으로 광이 나오기 때문에, 종래의 CFL(냉음극관)을 이용한 구조와는 달리, 광 손실도 적은 것으로부터 면상 광원 방식의 백 라이트 광원으로 사용되고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LED를 광원으로 한 백 라이트는 저가격화와 발광 효율 향상 및 환경 규제에 수반하여, 액정 표시장치의 백 라이트로서 보급되기 시작하고 있다. 동시에 액정 표시장치의 고휘도화 및 표시 영역의 대형화에 수반하여 발광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LED의 프린트 기판 등에 대한 탑재수 증가와 대출력화가 더욱 더 진행되고 있다.
그렇지만 LED 광원은 발광 효율이 높지 않기 때문에 LED가 발광할 때 입력 전력의 대부분이 열로 방출된다. LED는 전류를 흘리면 열을 발생하고, 발생한 열에 의해서 고온이 되며, 이 정도가 현저하면 LED가 파괴되어 버린다. LED를 광원으로 한 백 라이트에 있어서도, 이 발생열이 LED와 그것을 실장한 기판에 축열되고 LED의 온도 상승에 수반하여 LED 자신의 발광 효율의 저하를 초래한다. 그러나 백 라이트를 밝게 하기 위해서 LED의 실장 수를 증가하거나 입력 전력을 증가시키면 그 발열량이 증대하는 것으로부터, 한층 이 열을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
LED 실장 기판의 축열을 저감하여 LED 칩의 온도 상승을 작게 하기 위해서 LED 실장 기판의 LED 칩 실장 면에, LED 칩이 실장되는 실장 금속막과 LED 칩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는 구동 배선과 방열을 목적으로 한 금속막 패턴이 형성된다. 또한 LED 칩 실장면과 대향하는 면에 방열용 금속막이 형성되어 LED 칩 실장 기판의 두께 방향으로, 한쪽의 주면측의 금속 패턴과 다른 한쪽의 주면측의 방열용 금속막을 접속하는 금속 스루 홀을 형성하고 LED로부터의 발열을 금속 스루 홀에 의해 이면의 금속막에 방열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특허 문헌 2 참조).
그러나 이 경우에는 프린트 기판 이면의 금속막까지의 방열은 좋지만, 이면 의 금속막으로부터 앞의 상자체로의 방열이 고려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LED를 연속 점등시켰을 경우에는 LED의 온도 상승에 수반하여 LED 자신의 발광 효율 저하를 초래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프린트 기판이 LED로부터의 발열의 영향을 받아 휘어져 버려, 점착 테이프로부터 벗겨지거나 발광시키고 싶은 원하는 위치로부터 LED가 어긋나 본래의 광학 특성을 얻을 수 없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두께 2 mm 정도의 금속판 상에 무기 필러를 충전한 에폭시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절연층을 설치, 그 위에 회로 패턴을 형성한 금속 베이스 회로 기판은 열방산성과 전기 절연성이 뛰어난 것으로부터 고발열성 전자 부품을 실장하는 통신기 및 자동차 등의 전자기기용 회로 기판으로 이용되고 있다(특허 문헌 3, 특허 문헌 4 참조).
한편 프린트 기판 대신에 두께 2 mm 정도의 금속 베이스판을 이용한 금속 베이스 회로 기판을 사용하면, 금속 스루 홀 등을 설치하는 일 없이 양호한 방열성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기판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 또 프린트 기판보다도 전극 및 배선패턴 등에서 타발 치수를 크게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기판 면적이 커져 버리는 문제가 있다. 또한 LED 탑재 부분 이외를 임의로 접어 구부릴 수 없기 때문에 입력 단자의 형성 위치 등이 제약을 받는다.
또 상기 금속 베이스 회로 기판의 금속 베이스 판 두께를 얇게 하여 프린트 기판과 같이 전극 및 배선패턴 등에서의 타발 치수를 작게 한 구조로 하면, 스루 홀이 형성된 프린트 기판과 같이 금속 베이스판 이면으로부터 앞의 상자체로의 방열이 고려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LED를 연속 점등시켰을 경우에는 LED의 온도 상승 에 수반하여 LED 자신의 발광 효율의 저하를 초래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금속 베이스 회로 기판이 다소 휘는 것만으로도 절연층에 크랙이 들어가 사용하지 못하고, 또 LED 탑재 부분을 임의로 접어 구부릴 수 없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2005-293925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개 2005-283852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개소 62-271442호 공보
특허 문헌 4: 일본 특개평 06-350212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LED 광원을 실장하는 LED 실장 기판의 두께가 종래 정도로 얇고, 또 기판의 폭을 좁게 한 상태대로, 또한 LED 바로 아래 스루 홀을 형성하거나 실장 기판 상의 LED 탑재면에 방열용 금속막을 패턴화하는 일 없이 방열성을 향상하여, 그 결과 LED 손상이 방지되어 밝고 긴 수명의 LED 광원 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즉, 본 발명은 이하의 요지를 갖는다.
(1) 프린트 기판과 상기 프린트 기판에 설치되는 1개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프린트 기판을 방열 부재 표면에 고정하기 위한 점착 테이프를 가지는 LED 광원 유니트로서, 상기 점착 테이프의 열전도율이 1~4 W/mK이며 프린트 기판의 고정면과 방열 부재 고정면 사이의 내(耐)전압이 1.0kV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광원 유니트.
(2) 점착 테이프의 두께가 30-300 ㎛인 상기 (1) 기재의 LED 광원 유니트.
(3) 점착 테이프 두께가 30-50 ㎛인 상기 (1) 기재의 LED 광원 유니트.
(4) 점착 테이프가 (메타)아크릴산과 (메타)아크릴산과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고분자 수지 재료 20-45 부피%과 입자 지름 45 ㎛ 이하(최대 입자 지름 45 ㎛)로 평균 입자 지름 0.3-30 ㎛인 무기 필러 40-80 부피%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LED 광원 유니트.
(5) 무기 필러가 알루미나, 결정성 실리카 및 수산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상기 (4) 기재의 LED 광원 유니트.
(6) 점착 테이프가 유리 직물(glass clothes)을 함유하고 있는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LED 광원 유니트.
(7) 점착 테이프가 열전도율이 2-5 W/mK인 실리콘 고무 시트의 양면에 (메타)아크릴산을 포함한 점착층을 가지고, 실리콘 고무 시트의 두께가 100-300 ㎛이며, 양면에 형성시킨 점착층의 두께가 5 ㎛-40 ㎛인 상기 (1) 기재의 LED 광원 유니트.
(8) 점착 테이프와 프린트 기판의 고정면 및 점착 테이프와 방열 부재 고정면의 접착력이 2-10 N/cm인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LED 광원 유니트.
(9) 프린트 기판이 유리 직물 기재에 에폭시 수지를 함침시킨 복합재료(프리프레그)로 이루어진 절연층을 가지고, 그 양면에 구리박을 모아 붙인 것으로서 상기 구리박에 소정의 회로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를 실장하는 바로 아래에 스루 홀이 형성된 프린트 기판인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LED 광원 유니트.
(10) 스루 홀부에 도금 도체층 또는 도체가 매립되어 있는 상기 (9) 기재의 LED 광원 유니트.
(11) 프린트 기판이 금속 베이스판 상에 무기 필러와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를 함유하고, 한편 열전도율 1-4 W/mK를 가지는 절연층을 통하여 도체 회로를 설치한 기판으로서, 금속 베이스판의 두께가 100-500 ㎛이며, 절연층의 두께가 20-300 ㎛이며, 도체 회로의 두께가 9-140 ㎛인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LED 광원 유니트.
(12) 절연층이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를 25-50 부피% 함유하고, 잔부가 입자 지름 75 ㎛ 이하(최대 입자 지름 75 ㎛)이며, 평균 입자 지름 10-40 ㎛인 구상 조립자(租粒子)와 평균 입자 지름 0.4-1.2 ㎛인 구상 미립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나트륨 이온 농도가 500 ppm 이하의 무기 필러인 상기 (11) 기재의 LED 광원 유니트.
(13)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 중의 염화물 이온 농도가 500 ppm 이하인 상기 (11) 또는 (12) 기재의 LED 광원 유니트.
(14) 열가소성 수지가 4불화에틸렌-퍼플루오로알콕시에틸렌 공중합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불소 수지인 상기 (1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LED 광원 유니트.
(15) 열경화성 수지가 수소 첨가된 비스페놀 F형 또는 A형이며, 또한 에폭시 당량이 800-4000인 에폭시 수지를 함유하는 상기 (1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LED 광원 유니트.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LED 광원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프린트 기판 이면에서 전기 절연성과 열전도성을 가지는 점착 테이프를 통하여 금속 상자체에 양호하게 방열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양면에 회로가 형성된 프린트 기판을 이용해도, 금속 상자체와 고정하는 측의 회로면을 커버 레이 필름(폴리이미드 필름 등)으로 보호하는 일 없이 전기 절연성과 열전도성을 가지는 점착 테이프로 전기 절연성과 열전도성을 확보함으로써, 점착 테이프를 통하여 외부에 방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LED 실장 기판의 축적을 저감하여 LED의 온도 상승을 작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것에 의해 LED의 발광 효율 저하를 억제할 수 있어 LED의 손상을 방지하여, 밝고 긴 수명의 LED 광원 유니트를 제공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LED 광원 유니트의 일례에 대해서 그 대략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LED 광원 유니트에서는 베이스 기재 (2)와 도체 회로 (3)과 이면 도체 회로 (4) 등으로 이루어진 프린트 기판에 있어서, 도체 회로 (3) 상에 1개 이상의 LED (1)이 땜납 접합부 (5) 등에 의해 접합, 탑재되고 전기 절연성을 가지는 열전도성 점착 테이프 (7)을 통하여 방열성을 가지는 알루미늄 등의 상자체 (8)과 밀착되고 있다. 도체 회로 (3)에서 이면 도체 회로 (4)는 비아 홀(스루 홀이라고도 한다) (6)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있고, LED (1)에 외부에서 전원 입력할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있다.
도 1에 있어서, 프린트 기판은 예를 들면 유리 직물 기재에 에폭시 수지를 함침시킨 복합재료(프리프레그)로 이루어진 절연성 시트의 양면에 구리박을 모아 붙인 것이다. 프린트 기판의 상기 구리박에는 소정의 회로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를 실장하는 바로 아래 비아 홀 (6)(스루 홀)이 형성되고 있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를 실장한 바로 아래의 비아 홀 (6)은 LED로부터의 열을 금속 베이스판 (2)의 이면에 전하는 역할도 있지만, 유리 직물 기재에 에폭시 수지를 함침시킨 복합재료(프리프레그)로 이루어진 절연층을 가져, 그 양면에 구리박을 모아 맞춰진 프린트 기판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필요하다. 특히 방열 특성을 높이는 목적으로 비아 홀 (6)을 원주상 구리로 형성된 필드 비어로 하는 것은 유효하다.
열전도성 점착 테이프 (7)은 LED를 발광시켰을 때 발생하는 열을 금속 베이스 회로 기판을 통하여 금속 베이스 기판의 이면으로부터 상자체로 효율적으로 방열시키기 위해, 종래의 점착 테이프보다 열전도율을 향상시킨 것이다.
열전도성을 가지지 않는 점착 테이프에서는 LED의 발광에 수반하는 열을 상자체에 열전달하는 것이 불충분하게 되어, LED의 온도 상승을 초래하여 사용할 수 없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열전도성 점착 테이프는 열전도율이 1-4 W/mK, 바람직하게는 3-4 W/mK이며, 한편 점착 테이프의 두께가 30-300 ㎛, 바람직하게는 30-150 ㎛, 더욱 바람직하게는 30-50 ㎛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열전도성 점착 테이프 (7)에는 후술하듯이, 열전도성 전기 절연제를 고분자 수지 재료 중에 충전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열전도성 점착 테이프 (7)에 사용되는 고분자 수지 재료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금속에 대한 밀착성 향상을 위해서 아크릴산 및/또는 메타크릴산(이하, (메타)아크릴산이라고도 한다)과 이들 (메타)아크릴산과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고분자 수지 재료가 바람직하게 선택된다.
상기 (메타)아크릴산과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로는 탄소수 2-12의 알킬기를 가지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유연성과 가공성의 점으로부터 바람직한 모노머는 에틸아크릴레이트, 프로필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옥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 데실아크릴레이트, 데실메타크릴레이트 및 도데실메타크릴레이트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 종류 이상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를 포함한 모노머의 공중합체가 한층 바람직하다. 모노머로는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열전도성 점착 테이프 (7)에 함유되는 열전도성 전기 절연제는 양호한 방열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부터, 점착 테이프 (7) 중에 40-80 부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0-70 부피% 함유하는 것이 보다 한층 바람직하다.
상기 열전도성 전기 절연제로는 전기 절연성과 열전도성의 점에서 양호한, 여러 가지의 무기 필러, 혹은 유기 필러를 사용할 수 있다.
무기 필러로는 예를 들면 산화알루미늄(알루미나), 이산화티탄 등의 금속 산화물; 질화알루미늄, 질화붕소(붕소나이트라이드라고도 한다), 질화규소 등의 질화물; 탄화규소, 수산화알루미늄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알루미나, 결정성 실리카 및 수산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실란 커플링제 등에 의한 표면 처리를 한 것을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무기 필러의 입자 지름에 대해서는 입자 지름이 바람직하게는 45 ㎛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20-40 ㎛이며, 평균 입경이 바람직하게는 0.3-30 ㎛, 특히 바람직하게는 10-20 ㎛인 것이 점착 테이프의 두께, 충전성의 관점으로부터 매우 바람직하다.
유기 필러로는 천연 고무, 아크릴 고무, 니트릴로부타디엔 고무(NBR),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EPDM) 등의 고무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아크릴 고무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 고무로는 유연성과 점착성의 관점으로부터 탄소수 2-12의 알킬기를 가지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의 중합체로부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에틸아크릴레이트, n-프로필아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n-펜틸아크릴레이트, 이소아밀아크릴레이트, n-헥실아크릴레이트, 2-메틸펜틸아크릴레이트, n-옥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n-데실아크릴레이트, n-도데실아크릴레이트, n-옥타데실아크릴레이트, 시아노메틸아크릴레이트, 1-시아노에틸아크릴레이트, 2-시아노에틸아크릴레이트, 1-시아노프로필아크릴레이트 및 2-시아노프로필아크릴레이트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상기 모노머 중 2 종류 이상을 블렌드한 모노머의 중합체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바람직한 모노머는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이다.
점착 테이프 (7)에는 유리 직물을 함유시킴으로써 점착 테이프의 기계적 강도의 향상과 전기 절연 특성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유리 직물은 열전도성 점착 테이프의 보강재로서의 효과에 덧붙여, 상자체와 프린트 기판을 모아 붙일 때의 압착력이 너무 강해서 프린트 기판의 이면과 상자체의 거리가 너무 접근하는 것에 의한 전기적인 단락을 막을 수 있으므로 극히 유효하다. 상자체와 프린트 기판을 붙일 때의 압착력이 너무 강해도, 유리 직물의 두께보다도 프린트 기판의 이면과 상자체가 접근하지 않고 전기적 특성이 확보되기 때문이다.
유리 직물로는 용융로로부터 직접 방사하는 다이렉트 멜트법으로 제조된 품질, 비용이 뛰어난 유리 섬유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유리 섬유의 조성에 대해서는 전기적 용도로 이용되는 무알칼리 유리인 E유리(알루미나·칼슘보로실리케이트 유리)를 장섬유로 한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 직물은 바람직하게는 전기 절연용 부직포로 유리 등의 습식법 부직포이다. 유리 직물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 ㎛-2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50 ㎛이다. 또 알루미나·칼슘보로실리케이트 유리로 된 유리 장섬유의 유리 직물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열전도성 점착 테이프의 전기 절연 신뢰성이 한층 향상하고, 그 결과 LED 광원 유니트의 신뢰성이 한층 향상한다.
열전도성 점착 테이프 (7)은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특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기존의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열전도성 점착 테이프 (7)의 경화시에, 영향이 없는 범위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서 점성을 컨트롤하기 위한 첨가제, 개질제, 노화 방지제, 열안정제, 착색제 등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열전도성 점착 테이프 (7)은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 경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열중합 개시제에 의한 열중합, 광중합 개시제에 의한 광중합, 열중합 개시제와 경화촉진제를 이용한 중합 등의 방법으로 경화시킬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생산성 등의 관점으로부터 광중합 개시제에 의한 광중합이 바람직하다.
점착 테이프 (7)의 구체적 태양으로는 여러 가지의 것이 있지만, 예를 들면 붕소나이트라이드 입자를 함유하고, 열전도율이 2-5 W/mK인 실리콘 고무 시트의 양면에 (메타)아크릴산을 포함한 점착층을 가지고, 실리콘 고무 시트의 두께가 100 ㎛-300 ㎛이며, 양면에 형성시킨 점착층의 두께가 5 ㎛-40 ㎛인 점착 테이프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LED 광원 유니트에서의 점착 테이프 (7)과 방열 부재인 상자체 (8)의 접착력은 바람직하게는 2-10 N/cm, 보다 바람직하게는 4-8 N/cm인 것이 매우 적합하다. 접착력이 상기 범위보다도 작은 경우에는 점착 테이프가 프린트 기판의 고정면 또는 방열 부재 고정면으로부터 벗겨지기 쉬워진다. 반대로 접착력이 상기 범위보다도 큰 경우에는 취급성에 문제가 있어, 오히려 생산성을 저하하는 일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도 2는 본 발명의 LED 광원 유니트의 절연층을 가지는 다른 예로서 그 대략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LED 광원 유니트에 있어서는 도체 회로 (3)과 열전도성을 가지는 절연층 (9)와 금속 베이스판 (10)으로 이루어진 프린트 기판의 도체 회로 (3) 상에, 1개 이상의 LED (1)이 땜납 등에 의해 접합, 탑재되어 열전도성 점착 테이프 (7)을 통하여 방열성을 가지는 상자체 (8)에 밀착되어 있다.
도 2의 LED 광원 유니트에서는 금속 베이스판 (10)을 가지는 프린트 기판의 절연층 (9)가 열전도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LED (1)로부터 발생한 열이 절연층 (9)를 통하여 금속 베이스판 (10)에 전해져, 열전도성을 가지는 점착 테이프 (7)을 통하여 방열성을 가지는 금속 상자체 (8)에 방열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도 1과 같이 프린트 기판에 비아 홀(스루 홀)을 설치하지 않아도 LED로부터 발생한 열이 상자체에 효율적으로 방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프린트 기판이 금속 베이스판 (10)을 가지고 있으므로 LED 광원 유니트를 3000시간 이상 연속 점등시켜도, LED의 발열에 의해 프린트 기판이 휘어지는 것이 없고, 점착 테이프가 벗겨지거나 발광시키고 싶은 원하는 위치로부터 LED가 어긋나 본래의 광학 특성이 저하하는 등의 문제가 없어지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도 2의 LED 광원 유니트에서는 상기 금속 베이스판 (10)의 두께가 100-500 ㎛이며, 상기 절연층 (9)가 무기 필러와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를 함유하고, 두께가 바람직하게는 20 ㎛-300 ㎛, 특히 바람직하게는 80-150 ㎛이며, 상기 도체 회로의 두께가 바람직하게는 9 ㎛-140 ㎛, 특히 바람직하게는 18-70 ㎛이다. 절연층 (9)의 두께에 대해서, 20 ㎛ 미만에서는 절연성이 낮고 300 ㎛를 넘으면 열방산성이 저하한다.
금속 베이스판 (10)으로는 양호한 열전도성을 가지는 구리 혹은 구리 합금, 알루미늄 혹은 알루미늄 합금, 철, 스테인리스 등이 사용 가능하다. 금속 베이스판 (10)의 두께로는 100 ㎛-500 ㎛, 바람직하게는 150-300 ㎛인 것이 선택된다. 금속 베이스판 (10)의 두께가 100 ㎛ 미만인 경우에는 금속 베이스 회로 기판의 강성이 저하해 용도가 제한되고, LED를 연속 점등했을 때 프린트 기판이 휘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없다. 금속 베이스판 (10)의 두께가 500 ㎛를 넘으면 LED 광원 유니트의 두께가 두꺼워져 바람직하지 않다.
절연층 (9)는 열가소성 수지 또는/및 열경화성 수지를 바람직하게는 25-50 부피%, 보다 바람직하게는 30-45 부피% 함유하고, 잔부로서 무기 필러가 함유된다.
절연층 (9)에 함유되는 열가소성 수지는 내열성 수지가 바람직하고, 특히 열용융하는 무기 필러를 혼합할 수 있는 불소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불소 수지는 4불화에틸렌-퍼플루오로알콕시에틸렌 공중합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다.
절연층 (9)에 함유되는 열경화성 수지로는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실리콘 수지, 아크릴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무기 필러를 포함하면서도 경화 상태에 있어서, 금속 베이스판 (10)과 도체 회로 (3)의 접합력이 뛰어난 한편 실온에서 굴곡성이 뛰어난 것으로부터, 수소 첨가된 중부가형 에폭시 경화제를 주성분으로 한 것이 바람직하다.
중부가형 에폭시 경화제로는 열경화 후에 열경화성 수지의 굴곡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폴리옥시알킬렌폴리아민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옥시알킬렌폴리아민의 배합량에 대해서는 열경화성 수지에 포함되는 에폭시 수지의 에폭시 당량에 대해서, 활성 수소 당량을 0.8-1배 첨가하는 것이 절연층의 강성, 휨가공성, 절연성 등을 확보하기 위해서 바람직하다.
상기 에폭시 수지로는 수소 첨가된 비스페놀 F형 또는 A형 에폭시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에폭시 당량이 180-240인 것은 실온에서 액상인 것으로부터, 열경화성 수지 중 60-100 중량%의 범위에서 이용할 수 있으므로 한층 바람직하다.
수소 첨가된 비스페놀 F형 또는 A형 에폭시 수지는 범용 비스페놀 F형이나 A형에 비해, 강직한 구조는 아니기 때문에 얻어진 절연층은 굴곡성이 뛰어나다. 또 수지의 점도가 낮기 때문에 에폭시 당량 800-4000인 직쇄상 고분자량 에폭시 수지를 열경화성 수지 중에 최대 40 중량%로 다량으로, 또 절연층 중에 무기 필러를 50-75 부피%도 첨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절연층 (9)에 에폭시 당량이 800-4000, 바람직하게는 1000-2000인 직쇄상 고분자량 에폭시 수지를 함유시키면, 접합성이 향상하고 실온에서의 굴곡성이 향상하므로 바람직하다. 이러한 에폭시 수지의 함유량은 경화성 수지 중 40 중량% 이하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40 중량%를 넘으면 에폭시 경화제의 첨가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되어, 열경화성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 (Tg)가 상승하여, 굴곡성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절연층 (9)를 구성하는 열경화성 수지로는 에폭시 당량이 800-4000인 직쇄상 고분자 에폭시 수지, 수소 첨가된 비스페놀 F형 및/또는 A형 에폭시 수지를 주체로 하는 수지에 대해서, 페놀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페녹시 수지, 아크릴 고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등을 배합해도 된다. 그러한 배합량은 실온에서의 휨성, 전기 절연성, 내열성 등을 고려하면, 에폭시 수지의 합계량에 대해서 3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20 중량%이다.
절연층 (9)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불소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이 중 불소 수지가 내열성, 내약품성 및 내후성이 뛰어나다고 하는 특성에 덧붙여, 전기 절연성이 우수한, 더욱 용융시킨 상태로 열전도성 필러를 분산시키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절연층 (9)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 중의 염화물 이온 농도는 500pp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50 pp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열가소성 수지 또는 경화성 수지 조성물 중의 염화물 이온 농도는 1000 ppm 이하이면 고온하, 직류 전압 하에서도 전기 절연성은 양호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절연층 (9)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는 실온에서도 접어 구부릴 수 있을 만큼 유연한 구조이기 때문에 염화물 이온 농도가 500 ppm를 넘으면, 고온하, 직류 전압 하에서 이온성 불순물의 이동이 일어나 전기 절연성이 저하하는 경향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적은 염화물 이온 농도가 선택되는 경우, 장기에 걸쳐 신뢰할 수 있는 LED 전원 유니트를 얻을 수 있다.
절연층 (9)에 함유되는 무기 필러로는 전기 절연성으로, 열전도성이 양호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실리카, 알루미나, 질화알루미늄, 질화규소, 질화붕소 등이 이용된다. 절연층 (9) 중의 무기 필러의 함유량은 50-75 부피%가 바람직하고, 55-70 부피%가 보다 바람직하다.
무기 필러로서 입자 지름이 75 ㎛ 이하로 평균 입자 지름이 10-40 ㎛, 바람직하게는 15-25 ㎛인 구상 조립자와 평균 입자 지름이 0.4-1.2 ㎛, 바람직하게는 0.6-1.0 ㎛인 구상 미립자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상 조립자와 구상 미립자를 혼합하면 파쇄 입자나 구상 입자를 단독으로 이용했을 경우보다도 고충전이 가능해지고, 실온에서의 휨성이 향상한다.
무기 필러 중의 나트륨 이온 농도는 500 pp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pp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무기 필러 중의 나트륨 이온 농도가 500 ppm를 넘으면, 고온하, 직류 전압 하에 있어서 이온성 불순물의 이동이 일어나, 전기 절연성이 저하하는 경향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도 2의 LED 광원 유니트는 상기 구성을 가지고, 상기 절연층이 무기 필러와 열경화성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고, 두께가 20-300 ㎛이며, 상기 도체 회로의 두께는 9 ㎛-140 ㎛, 바람직하게는 18-70 ㎛이다. 또 금속 베이스판의 두께는 100-500 ㎛이며, 상기 도체 회로의 두께는 9-140 ㎛이며, 절연층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가 불소 수지를 함유한다.
상기 절연층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으로서 열전도율이 1-4 W/mK인 것이 이용된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LED 광원 유니트는 도체 회로와 금속박 사이의 내전압이 1.5 kV 이상이라고 하는, 종래의 프린트 기판을 이용한 LED 광원 유니트에 비해, 높은 방열성과 내전압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LED 광원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효율적으로 기판 이면측에 방열하고, 추가로 외부에 방열함으로써 LED 실장 기판의 축열을 저감하여, LED의 온도 상승을 작게 함으로써 LED의 발광 효율 저하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LED의 손상을 방지하여 밝고 긴 수명이다.
절연층의 유리 전이 온도는 0-40℃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 전이 온도가 0℃ 미만이면 강성과 전기 절연성이 낮고, 40℃를 넘으면 굴곡성이 저하한다. 유리 전이 온도가 0-40℃이면, 종래의 금속 베이스 기판으로 이용되고 있는 절연층과 같이 실온에서 단단한 것과는 달리, 실온에서 휨 가공 혹은 드로잉 가공(시보리 가공)을 실시해도 금속 베이스판 (10)과 절연층 (9)의 박리나 절연층 크랙 등에 의해 내전압의 저하가 일어나기 어렵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LED 광원 유니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LED 광원 유니트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
부호의 설명
1 LED
1a LED 전극 단자
2 베이스 기재
3 도체 회로
4 이면 도체 회로(인출 배선)
5 땜납 접합부
6 비아 홀(스루 홀)
7 열전도성을 가지는 점착 테이프
8 상자체
9 열전도성 절연층
10 금속 베이스판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로 한정하여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1에 나타낸 타입의 LED 광원 유니트를 제작했다. 즉, 100 ㎛ 두께의 유리 기재를 함침시킨 에폭시 레진 직물의 양면에 35 ㎛ 두께의 구리박이 형성되어 있는 유리 직물 들이 프린트 기판에 대해서, 소정의 위치(LED의 전극 단자 (1a)와 접속되어 있는 도체 회로와 그 바로 아래 위치하는 이면 도체 회로를 접속하는 위치)에 스루 홀을 형성하여 구리 도금한 후, LED를 실장하는 도체 회로, LED에 점등 및 방열시키기 위한 이면 도체 회로를 형성하여 프린트 기판으로 했다.
아크릴 고무 10 중량%(일본 제온사제 「AR-53L」)가 용해된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토아합성사제, 「2EHA」) 90 중량%에, 아크릴산(토아합성사제, 「AA」) 10 중량%를 혼합하고, 이 혼합물에 대해서, 광중합 개시제 2,2-디메톡시-1,2-디페닐에탄-1-온 0.5 중량%(치바·스페셜티·케미컬즈사제)와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르캅탄 0.2 중량%(마루젠케미컬사제)과 2-부틸-2-에틸-1,3-프로판디올디아크릴레이트 0.2 중량%(쿄에이샤화학사제)를 추가로 첨가하여 혼합, 수지 조성물 A를 얻었다.
또 수소 첨가된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대일본잉크화학공업사제, 「EXA-7015」) 80 중량%와 방향족 폴리아민(일본합성가공사제, 「H-84B」) 20 중량%를 혼합하여 수지 조성물 B를 얻었다.
다음에 수지 조성물 A를 45 부피%, 수지 조성물 B를 15 부피%, 무기 필러로서 입자 지름 65 ㎛ 이하로 평균 입경 20 ㎛인 산화 알루미늄(덴키화학공업사제, 「DAW-20」)을 40 부피%가 되도록 배합하고 혼합, 분산하여 수지 조성물 C를 얻었다.
두께 75 ㎛의 표면에 이형 처리를 실시한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상에, 탈포 처리한 수지 조성물 C를 두께 100 ㎛가 되도록 도공하고, 그 위로부터 추가로 표면에 이형 처리를 실시한 PET 필름을 씌우고, 파장 365 nm인 자외선을 표리로부터 3000 mJ/cm2 조사했다. 그 후 100 ℃에서 3시간의 가열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수지 조성물 C를 경화시켜, 전기 절연성을 가지는 열전도성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그 다음에 프린트 기판의 도체 회로의 소정의 위치에 크림 땜납(센쥬금속사제, M705)을 스크린 인쇄로 도포하여, LED(니치아화학사제, NFSW036B)를 땜납 리플로우 장치에서 실장했다. 그 후 프린트 기판의 LED가 실장되어 있지 않은 측에 전기 절연성을 가지는 열전도성 점착 테이프를 붙여 금속 상자체에 고정하여 LED 광원 유니트를 얻었다.
얻어진 LED 광원 유니트에 대해서,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으로 (1) 이면 도체 회로와 금속 상자체 사이의 초기 내전압, (2) 고온 고습 방치 후에서의 이면 도체 회로와 금속 상자체 사이의 내전압, (3) 프린트 기판의 고정면과 점착 테이프의 접착력, (4) 고온 고습 방치 후에서의 프린트 기판의 고정면과 점착 테이프의 접착력, (5) 점착 테이프와 방열 부재 고정면의 접착력, (6) 고온 고습 방치 후에서의 프린트 기판의 고정면과 점착 테이프의 접착력, (7) 열전도 점착 테이프의 열전도율, (8) 초기의 LED 점등 시험, (9) 고온 고습 방치 후에서의 LED 점등 시험, (10) 연속 점등 후의 기판 휘어진 양 등에 관해 측정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1) 이면 도체 회로와 금속 상자체 사이의 초기 내전압
온도 23℃, 습도 30%의 환경하에서 프린트 기판의 이면 도체 회로와 금속 상자체 사이의 내전압을 JIS C 2110에 규정된 단계 승압법에 의해 측정했다.
(2) 고온 고습 방치 후에 있어서의 이면 도체 회로와 금속 상자체 사이의 내전압
온도 85℃, 습도 85%의 환경하에서 1000시간 방치한 후에, 온도 23℃, 습도 30%의 환경하에서 프린트 기판의 이면 도체 회로와 금속 상자체 사이의 내전압을 JIS C 2110에 규정된 단계 승압법에 의해 측정했다.
(3) 프린트 기판의 고정면과 점착 테이프의 접착력
온도 23℃, 습도 30%의 환경하에서 프린트 기판과 점착 테이프 사이의 접착력을 JIS C 6481에 규정된 방법에 의해 점착 테이프를 당겨 벗김으로써 측정했다.
(4) 고온 고습 방치 후에서의 프린트 기판의 고정면과 점착 테이프의 접착력
온도 85℃, 습도 85%의 환경하에서 1000시간 방치한 후에, 온도 23℃, 습도 30%의 환경하에서 프린트 기판과 점착 테이프 사이의 접착력을 JIS C 6481에 규정된 방법에 의해 점착 테이프를 당겨 벗김으로써 측정했다.
(5) 점착 테이프와 방열 부재 고정면의 접착력
온도 23℃, 습도 30%의 환경하에서 점착 테이프와 방열 부재(알루미늄 상자체) 고정면 사이의 접착력을 JIS C 6481에 규정된 방법에 의해 점착 테이프를 당겨 벗김으로써 측정했다.
(6) 고온 고습 방치 후에서의 프린트 기판의 고정면과 점착 테이프의 접착력
온도 85℃, 습도 85%의 환경하에서 1000시간 방치한 후에, 온도 23℃, 습도 30%의 환경하에서 점착 테이프와 방열 부재(알루미늄 상자체) 고정면 사이의 접착력을 JIS C 6481에 규정된 방법에 의해 점착 테이프를 당겨 벗김으로써 측정했다.
(7) 열전도성 점착 테이프의 열전도율
측정 샘플을 두께 10 mm가 되도록 적층하고, 50mm X 120mm로 가공하여 신속 열전도율계(쿄토전자공업사제, QTM-500)에 의해 구했다.
(8) 초기의 LED 점등 시험
온도 23℃, 습도 30%의 환경하에서, LED에 450 mA의 정격 전류를 인가해 LED를 점등시켜, 15 분후의 LED 땜납 접합부의 온도를 측정했다.
(9) 고온 고습 방치 후에서의 LED 점등 시험
LED 광원 유니트를 85℃, 습도 85%의 환경하에서 1000시간 방치하고, 다시 온도 23℃, 습도 30%의 환경하에서, LED에 450 mA의 정격 전류를 인가해 LED를 점등시켜, 15 분후의 LED 땜납 접합부의 온도를 측정했다.
(10) 연속 점등 후의 기판 휘어진 양
LED 광원 유니트를 온도 23℃, 습도 30%의 환경하에서, LED에 150 mA의 전류를 3000시간 인가해 LED를 연속 점등시켜, 그 후의 기판 휘어진 상태(LED 실장부에서 5 mm의 위치)를 마이크로미터에 의해 측정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이하의 점을 제외하고 마찬가지로 LED 광원 유니트를 제작했다. 즉, 무기 필러로서 산화 알루미늄(덴키화학공업사제, 「DAW-10」)을 45 ㎛인 체에서 분급하여, 최대 입경 45 ㎛ 이하로 평균 입경 9 ㎛인 무기 필러 A를 사용했다. 그리고 이 무기 필러 A를 40 부피%, 수지 조성물 A를 45 부피%, 수지 조성물 B를 15 부피%가 되도록 배합하고 혼합함으로써 수지 조성물 D를 얻었다.
그 다음에 탈포처리한 수지 조성물 D를 두께 75 ㎛인 표면에 이형 처리를 실시한 PET 필름 상에 도공하고, 그 위로부터 추가로 표면에 이형 처리를 실시한 PET 필름을 씌우고, 파장 365 nm인 자외선을 표리로부터 3000 mJ/cm2 조사했다. 그 후 100 ℃에서 3시간의 가열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수지 조성물 D를 경화시켜, 두께 46 ㎛인 전기 절연성 열전도성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그 다음에 프린트 기판의 도체 회로의 소정의 위치에 크림 땜납(센쥬금속사제, M705)을 스크린 인쇄로 도포하여, LED(니치아화학사제, NFSW036B)를 땜납 리플로우 장치에서 실장했다. 그 후 프린트 기판의 LED가 실장되어 있지 않은 측에, 상기 전기 절연성을 가지는 열전도성 점착 테이프를 붙여 금속 상자체에 고정하여 LED 광원 유니트를 얻었다.
얻어진 LED 광원 유니트의 평가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 있어서, 이하의 점을 제외하고 마찬가지로 LED 광원 유니트를 제작했다.
즉, 실시예 2에서 사용한 것과 같은 수지 조성물 D를 사용하고, 그 탈포처리한 수지 조성물 D를 두께 75 ㎛인 표면에 이형 처리를 실시한 PET 필름 상에 두께 46 ㎛가 되도록 도공하고, 그 위에 두께 50 ㎛인 유리 직물을 적층하고, 그 위에 추가로 표면에 이형 처리를 실시한 PET 필름을 씌워 라미네이트 함으로써 유리 직물에 수지 조성물 D를 함침시켰다.
그 다음에 365 nm인 자외선을 표리로부터 3000 mJ/cm2 조사했다. 그 후 100 ℃에서 3시간의 가열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수지 조성물 D를 경화시켜, 두께 150 ㎛인 전기 절연성 열전도성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그 다음에 프린트 기판의 도체 회로의 소정의 위치에 크림 땜납(센쥬금속사제, M705)을 스크린 인쇄로 도포하여, LED(니치아화학사제, NFSW036B)를 땜납 리플로우 장치에서 실장했다. 그 후 프린트 기판의 LED가 실장되어 있지 않은 측에 전기 절연성을 가지는 열전도성 점착 테이프를 붙여 금속 상자체에 고정하여 LED 광원 유니트를 얻었다.
얻어진 LED 광원 유니트의 평가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 있어서, 이하의 점을 제외하고 마찬가지로 LED 광원 유니트를 제작했다.
즉, 액상 실리콘 고무(토오레·다우코닝·실리콘사제, 「CF-3110」) 100 중량부, 평균 입경 9.5 ㎛인 보론나이트라이드(BN) 가루 200 중량부와 톨루엔 20 중량부를 혼합, 조제하여 닥터 블레이드법으로 그린 시트를 성형했다. 그 후 그린 시트를 유리 섬유 직물(카네보사제, 「KS-1090」)의 양면에 모아 붙여 가열 가류하여 두께 200 ㎛인 절연 방열 시트를 제작했다.
절연 방열 시트의 표면, 이면에 각각 20 ㎛의 두께가 되도록 아크릴 점착제를 도포하여 양면에 점착성을 갖게 해 전기 절연성 열전도성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그 다음에 프린트 기판의 도체 회로의 소정의 위치에 크림 땜납(센쥬금속사제, M705)을 스크린 인쇄로 도포하여, LED(니치아화학사제, NFSW036B)를 땜납 리플로우 장치에서 실장했다. 그 후 프린트 기판의 LED가 실장되어 있지 않은 측에 전기 절연성을 가지는 열전도성 점착 테이프를 붙여 금속 상자체에 고정하여 LED 광원 유니트를 얻었다.
얻어진 LED 광원 유니트의 평가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5)
도 2에 나타나는 LED 광원 유니트를 제작했다.
즉,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의 불소 수지(다이킨공업사제, 「네오프레온 FEP」)에 대해서, 입자 지름이 75 ㎛ 이하로 평균 입자 지름이 21 ㎛이며 나트륨 이온 농도가 10 ppm인 구상 조립자의 산화 알루미늄(쇼와전공사제, 「CB-A20」)과 평균 입자 지름이 0.7 ㎛로 나트륨 이온 농도가 8 ppm인 구상 미립자의 산화 알루미늄(스미토모화학사제, 「AKP-15」)를 합해 66 부피%(구상 조립자와 구상 미립자는 중량비가 7:3)가 되도록 배합하여 두께가 100 ㎛가 되도록 35 ㎛ 두께의 구리박 상에 절연층을 형성했다.
그 다음에 두께 300 ㎛인 알루미늄박 상에, 상기 형성한 절연층 및 35 ㎛ 두께의 구리박을 순차 중합하고 200℃에 가열 프레스 함으로써 알루미늄박, 절연층 및 구리박을 접착하여 금속 베이스 기판을 얻었다. 금속 베이스 기판의 절연층 중의 열가소성 수지 전체에서 염화물 이온 농도가 300 ppm 이하이며, 절연층 중의 무 기 필러 전체에서 나트륨 이온 농도가 60 ppm 이하였다.
상기 금속 베이스 기판에 대해서, 윗면의 구리박 면에 대해서 소정의 위치를 에칭 레지스트로 마스크 하여 구리박을 에칭한 후, 에칭 레지스트를 제거하고 회로를 형성하여 금속 베이스 회로 기판으로 했다.
금속 베이스 회로 기판의 도체 회로의 소정의 위치에 크림 땜납(센쥬금속사제, 「M705」)을 스크린 인쇄로 도포하고, 땜납 리플로우에 의해 LED(니치아화학사제, 「NFSW036AT」)를 실장했다. 그 후 금속 베이스 회로 기판의 LED가 실장되어 있지 않은 쪽을 실시예 1에서 얻은 열전도율이 1 W/mK인 두께 100 ㎛의 열전도성 점착 테이프에 의하여 U자형 상자체에 고정하여 LED 광원 유니트를 얻었다.
또한 열전도성 점착 테이프는 산화 알루미늄(덴키화학공업사제, 「DAW-10」)을 400 중량부 충전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조성을 사용하여, 실시예 1에 나타낸 순서로 조정한 것이다.
얻어진 LED 광원 유니트의 평가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6)
실시예 5에 있어서, 이하의 점을 제외하고 마찬가지로 LED 광원 유니트를 제작했다.
즉, 에폭시 당량이 207인 수소 첨가된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대일본잉크화학공업사제, 「EXA-7015」)를 에폭시 수지 전체로 70 중량%와 에폭시 당량이 1200인 수소 첨가된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재팬에폭시레진사제, 「YL-7170」) 30 중량%로 이루어지는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경화제로서 폴리옥시프로필렌디아민(하르츠만사제, 「D-400」와 「D-2000」의 중량비가 6:4) 48 중량부를 더해, 입자 지름이 75 ㎛ 이하로 평균 입자 지름이 21 ㎛이며 나트륨 이온 농도가 10 ppm인 구상 조립자의 산화 알루미늄(쇼와전공사제, 「CB-A20」)과 평균 입자 지름이 0.7 ㎛로 나트륨 이온 농도가 8 ppm인 구상 미립자의 산화 알루미늄(스미토모화학사제, 「AKP-15」)을 합하여 절연층 중 50 부피%(구상 조립자와 구상 미립자는 중량비가 7:3)가 되도록 배합하여 혼합물을 얻었다.
이 혼합물을 사용하여, 35 ㎛ 두께의 구리박 상에 경화 후의 두께가 100 ㎛가 되도록 절연층을 형성했다. 그 다음에 가열함으로써 절연층을 열경화시켜 금속 베이스 기판을 얻었다. 절연층 중의 열경화성 수지 전체에서 염화물 이온 농도가 300 ppm 이하로, 절연층 중의 무기 필러 전체에서 나트륨 이온 농도가 50 ppm 이하였다.
상기 금속 베이스 기판에 대해서, 소정의 위치를 에칭 레지스트로 마스크 하여 구리박을 에칭한 후, 에칭 레지스터를 제거하고 회로를 형성하여 금속 베이스 회로 기판으로 했다.
금속 베이스 회로 기판의 도체 회로의 소정의 위치에 크림 땜납(센쥬금속사제, 「M705」)을 스크린 인쇄로 도포하고, 땜납 리플로우에 의해 LED(니치아화학사제, 「NFSW036AT」)를 실장했다. 그 후 금속 베이스 회로 기판의 LED가 실장되어 있지 않은 측을, 후술하는 열전도율이 2 W/mK로 두께 100 ㎛인 열전도성 점착 테이프로 U자형 상자체에 고정하여 LED 광원 유니트를 얻었다.
또한 열전도성 점착 테이프는 산화 알루미늄(덴키화학공업사제, 「DAW-10」)을 400 중량부 충전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에서 얻은 조성을 사용하여, 실시예 1에 나타낸 순서로 조정한 것이다.
얻어진 LED 광원 유니트의 평가는 실시예 1과 같게 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7)
실시예 1에 있어서, 이하의 점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하여 LED 광원 유니트를 제작했다. 즉, 무기 필러로서 산화 알루미늄(덴키화학공업사제, 「DAW-10」)을 45 ㎛인 체로 분급하여, 최대 입경 45 ㎛ 이하로 평균 입경 9 ㎛인 무기 필러 A를 사용했다. 그리고 이 무기 필러 A를 50 부피%, 수지 조성물 A를 40 부피%, 수지 조성물 B를 10 부피%가 되도록 배합하고 혼합함으로써 수지 조성물 D를 얻었다.
그 다음에 탈포처리한 수지 조성물 D를 두께 75 ㎛인 표면에 이형 처리를 실시한 PET 필름 상에 도공하고, 그 위로부터 추가로 표면에 이형 처리를 실시한 PET 필름을 씌우고, 파장 365 nm인 자외선을 표리로부터 3000 mJ/cm2 조사했다. 그 후 100℃에서 3시간 가열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수지 조성물 D를 경화시켜, 두께 46 ㎛인 전기 절연성 열전도성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그 다음에 프린트 기판의 도체 회로의 소정의 위치에 크림 땜납(센쥬금속사제, M705)을 스크린 인쇄로 도포하여, LED(니치아화학사제, NFSW036B)를 땜납 리플로우 장치에서 실장했다. 그 후 프린트 기판의 LED가 실장되어 있지 않은 측에, 상기 전기 절연성을 가지는 열전도성 점착 테이프를 붙여 금속 상자체에 고정하여 LED 광원 유니트를 얻었다.
얻어진 LED 광원 유니트의 평가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8)
실시예 1에 있어서, 이하의 점을 제외하고 마찬가지로 LED 광원 유니트를 제작했다. 즉, 무기 필러로서 산화 알루미늄(덴키화학공업사제, 「DAW-10」)을 45 ㎛인 체로 분급하여, 최대 입경 45 ㎛ 이하로 평균 입경 9 ㎛인 무기 필러 A를 사용했다. 그리고 이 무기 필러 A를 70 부피%, 수지 조성물 A를 25 부피%, 수지 조성물 B를 5 부피%가 되도록 배합하고 혼합함으로써 수지 조성물 D를 얻었다. 그 다음에 탈포처리한 수지 조성물 D를 두께 75 ㎛인 표면에 이형 처리를 실시한 PET 필름 상에 도공하고, 그 위로부터 추가로 표면에 이형 처리를 실시한 PET 필름을 씌우고, 파장 365 nm인 자외선을 표리로부터 3000 mJ/cm2 조사했다. 그 후 100 ℃에서 3시간의 가열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수지 조성물 D를 경화시켜, 두께 46 ㎛인 전기 절연성 열전도성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그 다음에 프린트 기판의 도체 회로의 소정의 위치에 크림 땜납(센쥬금속사제, M705)을 스크린 인쇄로 도포하여, LED(니치아화학사제, NFSW036B)를 땜납 리플로우 장치에서 실장했다. 그 후 프린트 기판의 LED가 실장되어 있지 않은 측에, 상기 전기 절연성을 가지는 열전도성 점착 테이프를 붙여 금속 상자체에 고정하여 LED 광원 유니트를 얻었다.
얻어진 LED 광원 유니트의 평가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같은 프린트 기판을 사용했다. 상기 프린트 기판의 도체 회로의 소정의 위치에 크림 땜납(센쥬금속사제, 「M705」)을 스크린 인쇄로 도포하여, 땜납 리플로우에 의해 LED(니치아화학사제, 「NFSW036AT」)를 실장했다. 그 후 프린트 기판의 LED가 실장되어 있지 않은 쪽을 두께 250 ㎛인 점착 테이프(스미토모3M사제, 「Y-9479」)를 붙여 금속 상자체에 고정하여 LED 광원 유니트를 얻었다.
그 후 LED 광원 유니트를 온도 23℃, 습도 30%의 환경하에서, 얻어진 LED 광원 유니트에 안정화 전원을 접속하여 전류 450 mA를 흘려 LED 점등시켰다. 그 때의 전압은 12.5 V였다. 점등시킨 LED의 온도를 열전대(熱電對)에 의해 측정했는데, LED의 온도는 70℃였다.
그 후 LED 광원 유니트를 온도 85℃, 습도 85%의 환경하에서 1000 시간 방치하고, 다시 온도 23℃, 온도 30%의 환경하에서, LED 광원 유니트에 안정화 전원을 접속하여 LED를 점등시키려고 했지만, 점착 테이프가 열화했기 때문에 프린트 기판의 이면 회로와 금속 상자체의 사이에 단락이 발생하여 LED가 점등하지 않았다.
LED 광원 유니트를 온도 23℃, 습도 30%의 환경하에서, LED에 150 mA의 전류를 3000시간 인가해 LED를 연속 점등시켜, 그 후의 기판 휘어짐(LED 실장부로부터 5 mm의 위치)을 마이크로미터에 의해 측정했는데, 350 ㎛이며 프린트 기판의 LED가 실장되어 있지 않은 면이 점착 테이프의 계면에서 벗겨지는 일이 발생하고 있었다.
그러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
이면회로와 금속 상자체 사이의 내전압 프린트 기판의 고정면과 점착 테이프의 접착력 점착 테이프와 방열부재 고정면의 접착력 점착 테이프의 열전도율(W/mK) LED 점등시험 (LED 접합부의 온도) 연속 점등후 기판 휘어진 양 ( ㎛)
초기 (kV) 고온고습 방치 후 (kV) 초기 (N/cm) 고온고습 방치 후 (N/cm) 초기 (N/cm) 고온고습 방치 후 (N/cm) 초기 (℃) 고온고습 방치 후 (℃)
실시예 1 4.0 3.5 7.0 7.2 8.0 8.1 1.0 54 56 200
실시예 2 3.0 2.5 4.0 4.1 4.5 4.6 1.1 44 47 180
실시예 3 5.0 4.9 5.0 5.2 7.0 7.1 1.0 55 59 200
실시예 4 5.1 5.0 3.0 3.1 4.0 4.2 3.0 43 44 170
실시예 5 4.0 3.5 7.0 7.2 8.0 8.2 1.0 55 57 80
실시예 6 4.0 3.5 7.0 7.2 8.0 8.2 1.0 54 56 50
실시예 7 3.5 3.0 6.0 6.2 7.0 7.1 1.0 53 55 200
실시예 8 3.0 2.5 4.0 4.1 4.5 4.6 3.8 40 42 170
비교예 1 2.6 0.0(NG) 3.5 1.5 4.0 1.8 0.6 70 - 350
본 발명의 LED 광원 유니트는 방열성이 향상하고 있으므로 LED 광원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효율적으로 기판 이면측에 방열하고, 추가로 외부에 방열함으로써 LED 실장 기판의 축열을 저감하여 LED의 온도 상승을 작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LED의 발광 효율 저하를 억제하고 LED의 손상을 방지하여, LED를 연속 점등시켜도, 프린트 기판이 LED로부터의 발열의 영향을 받아 휘어져 버리거나 점착 테이프로부터 벗겨지거나 발광시키고 싶은 원하는 위치로부터 LED가 어긋나 본래의 광학 특성을 얻을 수 없는 등의 문제가 없고, 밝고 긴 수명을 가지고, 또 고발열하는 LED를 실장할 수 있는 특징을 나타내므로, 여러가지 용도 분야에 적용할 수 있어 산업상 유용하다.
또한 2006년 5월 31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2006-150810호 및 2007년 1월 30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2007-019755호의 명세서, 특허 청구의 범위, 도면 및 요약서의 모든 내용을 여기에 인용하여, 본 발명의 명세서의 개시로서 도입하는 것이다.

Claims (15)

  1. 프린트 기판과 상기 프린트 기판에 설치되는 1개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프린트 기판을 방열 부재 표면에 고정하기 위한 점착 테이프를 가지는 LED 광원 유니트로서, 상기 점착 테이프의 열전도율이 1-4 W/mK이며, 프린트 기판의 고정면과 방열 부재 고정면 사이의 내(耐)전압이 1.0kV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광원 유니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점착 테이프의 두께가 30-300 ㎛인 LED 광원 유니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점착 테이프 두께가 30-50 ㎛인 LED 광원 유니트.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점착 테이프가 (메타)아크릴산과 (메타)아크릴산과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고분자 수지 재료 20-45 부피%와 입자 지름 45 ㎛ 이하로 평균 입자 지름 0.3-30 ㎛인 무기 필러 40-80 부피%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광원 유니트.
  5. 청구항 4에 있어서,
    무기 필러가 알루미나, 결정성 실리카 및 수산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LED 광원 유니트.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점착 테이프가 유리 직물을 함유하고 있는 LED 광원 유니트.
  7. 청구항 1에 있어서,
    점착 테이프가 열전도율이 2-5 W/mK인 실리콘 고무시트의 양면에 (메타)아크릴산을 포함한 점착층을 가지고, 실리콘 고무 시트의 두께가 100-300 ㎛이며, 양면에 형성시킨 점착층의 두께가 5-40 ㎛인 LED 광원 유니트.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점착 테이프와 프린트 기판의 고정면 및 점착 테이프와 방열 부재 고정면의 접착력이 2-10 N/cm인 LED 광원 유니트.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린트 기판이 유리 직물 기재에 에폭시 수지를 함침시킨 복합재료(프리프레그)로 이루어진 절연층을 가지고, 그 양면에 구리박을 모아 붙인 것으로서 상기 구리박에 소정의 회로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를 실장하는 바로 아래에 스루 홀이 형성된 프린트 기판인 LED 광원 유니트.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스루 홀부에 도금 도체층 또는 도체가 매립되고 있는 LED 광원 유니트.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린트 기판이 금속 베이스판 상에 무기 필러와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를 함유하고, 한편 열전도율 1-4 W/mK를 가지는 절연층을 통하여 도체 회로를 설치한 기판으로서, 금속 베이스판의 두께가 100-500 ㎛이며, 절연층의 두께가 20-300 ㎛이며, 도체 회로의 두께가 9-140 ㎛인 LED 광원 유니트.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절연층이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를 25-50 부피% 함유하고, 잔부가 입자 지름 75 ㎛ 이하이며, 평균 입자 지름 10-40 ㎛인 구상 조립자와 평균 입자 지름 0.4-1.2 ㎛인 구상 미립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나트륨 이온 농도가 500 ppm 이하의 무기 필러인 LED 광원 유니트.
  13. 청구항 11 또는 청구항 12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 중의 염화물 이온 농도는 500 ppm 이하인 LED 광원 유니트.
  14. 청구항 1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가 4불화에틸렌-퍼플루오로알콕시에틸렌 공중합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불소 수지인 LED 광원 유니트.
  15. 청구항 1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경화성 수지가 수소 첨가된 비스페놀 F형 또는 A형이고, 또한 에폭시 당량이 800-4000인 에폭시 수지를 함유하는 LED 광원 유니트.
KR1020087026636A 2006-05-31 2007-05-31 Led 광원 유니트 KR200900141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150810 2006-05-31
JP2006150810 2006-05-31
JP2007019755 2007-01-30
JPJP-P-2007-019755 2007-01-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4153A true KR20090014153A (ko) 2009-02-06

Family

ID=38778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6636A KR20090014153A (ko) 2006-05-31 2007-05-31 Led 광원 유니트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090279300A1 (ko)
EP (1) EP2023414A4 (ko)
JP (1) JPWO2007139195A1 (ko)
KR (1) KR20090014153A (ko)
CN (1) CN101454909B (ko)
CA (1) CA2653867A1 (ko)
MX (1) MX2008015288A (ko)
SG (1) SG185848A1 (ko)
TW (1) TWI418062B (ko)
WO (1) WO2007139195A1 (ko)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11187A3 (en) * 2009-07-20 2011-04-07 Sunpower Corporation Optoelectronic device with heat spreader unit
US8304644B2 (en) 2009-11-20 2012-11-06 Sunpower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for solar power generation
US8336539B2 (en) 2010-08-03 2012-12-25 Sunpower Corporation Opposing row linear concentrator architecture
US8528366B2 (en) 2011-12-22 2013-09-10 Sunpower Corporation Heat-regulating glass bending apparatus and method
US8604404B1 (en) 2010-07-01 2013-12-10 Sunpower Corporation Thermal tracking for solar systems
US8796535B2 (en) 2011-09-30 2014-08-05 Sunpower Corporation Thermal tracking for solar systems
US8809671B2 (en) 2009-12-08 2014-08-19 Sunpower Corporation Optoelectronic device with bypass diode
US8839784B2 (en) 2010-12-22 2014-09-23 Sunpower Corporation Locating connectors and methods for mounting solar hardware
US8893713B2 (en) 2010-12-22 2014-11-25 Sunpower Corporation Locating connectors and methods for mounting solar hardware
US8991682B2 (en) 2012-09-28 2015-03-31 Sunpower Corporation Methods and structures for forming and improving solder joint thickness and planarity control features for solar cells
US9035168B2 (en) 2011-12-21 2015-05-19 Sunpower Corporation Support for solar energy collectors
US9038421B2 (en) 2011-07-01 2015-05-26 Sunpower Corporation Glass-bending apparatus and method
US9246037B2 (en) 2010-12-03 2016-01-26 Sunpower Corporation Folded fin heat sink
US9397611B2 (en) 2012-03-27 2016-07-19 Sunpower Corporation Photovoltaic systems with local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prevention and methods for operating same
US9685573B2 (en) 2010-08-03 2017-06-20 Sunpower Corporation Diode and heat spreader for solar module
US9897346B2 (en) 2010-08-03 2018-02-20 Sunpower Corporation Opposing row linear concentrator architecture
US9911882B2 (en) 2010-06-24 2018-03-06 Sunpower Corporation Passive flow accelera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10098B2 (ja) * 2007-01-30 2014-02-05 電気化学工業株式会社 Led光源ユニット
US7625104B2 (en) * 2007-12-13 2009-12-01 Philips Lumileds Lighting Company, Llc Light emitting diode for mounting to a heat sink
JP2011519148A (ja) * 2007-12-13 2011-06-30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ヒートシンクに取り付ける発光ダイオード
JP2011043525A (ja) * 2007-12-14 2011-03-03 Denki Kagaku Kogyo Kk 複合反射シート
JP2009206506A (ja) * 2008-01-31 2009-09-10 Sanyo Electric Co Ltd 素子搭載用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半導体モジュールおよびこれを搭載した携帯機器
JP2009272363A (ja) * 2008-05-01 2009-11-19 Rohm Co Ltd Ledランプ
JP2009302127A (ja) * 2008-06-10 2009-12-24 Dainippon Printing Co Ltd Led用基板、led実装モジュール、およびled用基板の製造方法
JP5553977B2 (ja) * 2008-08-22 2014-07-23 株式会社アイ・ライティング・システム Led照明器具
KR20100092152A (ko) * 2009-02-12 2010-08-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CN201407526Y (zh) * 2009-05-10 2010-02-17 柯建锋 Led直型灯管
DE102009041853A1 (de) 2009-09-18 2011-03-24 A. Kayser Automotive Systems Gmbh Ventilbaugruppe
JP5582633B2 (ja) * 2009-11-06 2014-09-0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Led照明装置
US8829771B2 (en) 2009-11-09 2014-09-09 Lg Innotek Co., Ltd. Lighting device
US8115369B2 (en) * 2009-11-09 2012-02-14 Lg Innotek Co., Ltd. Lighting device
US20130016494A1 (en) * 2010-01-11 2013-01-17 Ingo Speier Package for light emitting and receiving devices
EP2346100B1 (en) * 2010-01-15 2019-05-22 LG Innotek Co., Ltd. Light emitting apparatus and lighting system
US8592844B2 (en) * 2010-01-29 2013-11-26 Nitto Denko Corporation Light-emitting diode device
JP5629135B2 (ja) * 2010-06-15 2014-11-19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モジュール
DE102010026344A1 (de) * 2010-07-07 2012-01-12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Leuchtdiode
KR101735571B1 (ko) 2010-08-20 2017-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열 재료, 상기 방열 재료로 만들어진 접합부를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DE202011111134U1 (de) * 2010-09-02 2020-08-19 Sumitomo Bakelite Co., Ltd. Fixierharzzusammensetzung zur Verwendung in einem Rotor
KR20140086474A (ko) * 2012-12-28 2014-07-08 삼성전기주식회사 열전도성 필름 및 회로 기판 모듈
FR3001357B1 (fr) * 2013-01-22 2015-02-06 Sylumis Support de fixation mecanique et de raccordement electrique de diodes electroluminescentes
CN103196057A (zh) * 2013-03-18 2013-07-10 林智勇 大功率液体散热led灯
KR20150002361A (ko) 2013-06-28 2015-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발광소자 장치 및 광원 모듈의 제조 방법
JP2013229639A (ja) * 2013-08-13 2013-11-07 Nec Lighting Ltd 発光装置及び発光装置の製造方法
CN103629621B (zh) * 2013-11-21 2018-08-07 董绍品 一种自发光景观灯及其制造方法
JP2016018896A (ja) * 2014-07-08 2016-02-0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実装基板および実装基板の製造方法
JP6511914B2 (ja) * 2015-03-30 2019-05-1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Led実装モジュール及びled表示装置
CN104763902B (zh) * 2015-04-03 2017-07-11 贵州索立得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高可靠性的led光源模组及其制造方法
EP3306182B1 (en) * 2015-05-28 2020-08-05 LG Innotek Co., Ltd. Light-emitting device package and vehicular light comprising same
CN105111954A (zh) * 2015-09-23 2015-12-02 苏州华周胶带有限公司 一种led发光胶带
US10257932B2 (en) * 2016-02-16 2019-04-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Laser diode chip on printed circuit board
JP6790964B2 (ja) * 2017-03-31 2020-11-25 株式会社島津製作所 ガスクロマトグラフ
JP7464491B2 (ja) 2020-09-30 2024-04-09 日東精工株式会社 照明装置
US11293627B1 (en) * 2021-02-02 2022-04-05 Gary Lagasse Miniature LED lightbulb mounting device
DE102022120485A1 (de) * 2022-08-12 2024-02-15 Lisa Dräxlmaier GmbH Elektronische baugruppe für eine hochvoltbatterie eines kraftfahrzeugs und verfahren zum bestücken eines gehäuses einer hochvoltbatterie für ein kraft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3891A (ja) * 1983-08-19 1985-03-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高熱伝導性金属ペ−スプリント基板
SE449693B (sv) * 1985-10-03 1987-05-18 Moelnlycke Ab Absorberande langstreckt alster sasom en bloja eller ett inkontinensskydd
JPS62271442A (ja) 1987-04-02 1987-11-25 Denki Kagaku Kogyo Kk 混成集積回路
JPH01105971U (ko) * 1987-12-29 1989-07-17
JPH02172771A (ja) * 1988-12-27 1990-07-04 Mitsubishi Electric Corp Ledアレイヘッド基板の製造方法
JPH06350212A (ja) 1993-06-11 1994-12-22 Denki Kagaku Kogyo Kk 金属ベース回路基板とその製造方法
JPH08202289A (ja) * 1995-01-31 1996-08-09 Mitsubishi Cable Ind Ltd 多色ディスプレイ装置
JP3358694B2 (ja) * 1995-10-16 2002-12-24 電気化学工業株式会社 金属ベース多層回路基板
JPH09199880A (ja) * 1996-01-16 1997-07-31 Denki Kagaku Kogyo Kk 放熱シート
JP3882266B2 (ja) * 1997-05-19 2007-02-14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半導体装置
US6432497B2 (en) * 1997-07-28 2002-08-13 Parker-Hannifin Corporation Double-side thermally conductive adhesive tape for plastic-packaged electronic components
JP4101391B2 (ja) * 1999-03-31 2008-06-18 電気化学工業株式会社 電子部品の放熱部材
JP2001111235A (ja) * 1999-10-13 2001-04-20 Mitsubishi Gas Chem Co Inc フリップチップ搭載用高密度多層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
JP2001160664A (ja) * 1999-12-01 2001-06-12 Denki Kagaku Kogyo Kk 金属ベース回路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CN100539106C (zh) * 2000-09-25 2009-09-09 揖斐电株式会社 半导体元件及其制造方法、多层印刷布线板及其制造方法
WO2003019347A1 (fr) * 2001-08-30 2003-03-06 Nissha Printing Co., Ltd. Structure de montage pour panneau tactile transparent amovible, et feuille de montage utilisee a cet effet
CN1241157C (zh) * 2002-09-20 2006-02-08 新知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高散热性的发光二极管显示模组
US6999318B2 (en) * 2003-07-28 2006-02-14 Honeywell International Inc. Heatsinking electronic devices
WO2005066252A2 (en) * 2004-01-08 2005-07-21 Showa Denko K.K. Inorganic powder, resin composition filled with the powder and use thereof
JP2005306718A (ja) * 2004-01-08 2005-11-04 Showa Denko Kk 無機質粉体、およびこれを充填した樹脂組成物とその用途
JP2005283852A (ja) 2004-03-29 2005-10-13 Kyocera Corp 液晶表示装置
JP4298559B2 (ja) * 2004-03-29 2009-07-22 新光電気工業株式会社 電子部品実装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JP4226511B2 (ja) 2004-03-31 2009-02-18 シャープ株式会社 照明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6150810A (ja) 2004-11-30 2006-06-15 Canon Inc 画像処理方法、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4672425B2 (ja) * 2005-04-19 2011-04-20 電気化学工業株式会社 金属ベース回路基板およびその製法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混成集積回路
JP4718257B2 (ja) 2005-07-06 2011-07-0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分散認証アクセス制御システム
JP4582144B2 (ja) * 2005-07-22 2010-11-17 三菱電機株式会社 熱伝導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熱伝導シートを用いたパワーモジュール

Cited B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30990B2 (en) 2009-07-20 2013-09-10 Sunpower Corporation Optoelectronic device with heat spreader unit
US9466748B2 (en) 2009-07-20 2016-10-11 Sunpower Corporation Optoelectronic device with heat spreader unit
WO2011011187A3 (en) * 2009-07-20 2011-04-07 Sunpower Corporation Optoelectronic device with heat spreader unit
US8860162B2 (en) 2009-07-20 2014-10-14 Sunpower Corporation Optoelectronic device with heat spreader unit
US8946541B2 (en) 2009-11-20 2015-02-03 Sunpower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for solar power generation
US8304644B2 (en) 2009-11-20 2012-11-06 Sunpower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for solar power generation
US8546681B2 (en) 2009-11-20 2013-10-01 Sunpower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for solar power generation
US9252314B2 (en) 2009-11-20 2016-02-02 Sunpower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for solar power generation
US8809671B2 (en) 2009-12-08 2014-08-19 Sunpower Corporation Optoelectronic device with bypass diode
US9911882B2 (en) 2010-06-24 2018-03-06 Sunpower Corporation Passive flow accelerator
US8604404B1 (en) 2010-07-01 2013-12-10 Sunpower Corporation Thermal tracking for solar systems
US9281431B2 (en) 2010-07-01 2016-03-08 Sunpower Corporation Thermal tracking for solar systems
US9322963B2 (en) 2010-08-03 2016-04-26 Sunpower Corporation Opposing row linear concentrator architecture
US9685573B2 (en) 2010-08-03 2017-06-20 Sunpower Corporation Diode and heat spreader for solar module
US8336539B2 (en) 2010-08-03 2012-12-25 Sunpower Corporation Opposing row linear concentrator architecture
US9897346B2 (en) 2010-08-03 2018-02-20 Sunpower Corporation Opposing row linear concentrator architecture
US8584667B2 (en) 2010-08-03 2013-11-19 Sunpower Corporation Opposing row linear concentrator architecture
US9246037B2 (en) 2010-12-03 2016-01-26 Sunpower Corporation Folded fin heat sink
US8839784B2 (en) 2010-12-22 2014-09-23 Sunpower Corporation Locating connectors and methods for mounting solar hardware
US8893713B2 (en) 2010-12-22 2014-11-25 Sunpower Corporation Locating connectors and methods for mounting solar hardware
US9746655B2 (en) 2010-12-22 2017-08-29 Sunpower Corporation Locating connectors and methods for mounting solar hardware
US9249044B2 (en) 2011-07-01 2016-02-02 Sunpower Corporation Glass bending method and apparatus
US9038421B2 (en) 2011-07-01 2015-05-26 Sunpower Corporation Glass-bending apparatus and method
US8796535B2 (en) 2011-09-30 2014-08-05 Sunpower Corporation Thermal tracking for solar systems
US9455664B2 (en) 2011-12-21 2016-09-27 Sunpower Corporation Support for solar energy collectors
US9035168B2 (en) 2011-12-21 2015-05-19 Sunpower Corporation Support for solar energy collectors
US8528366B2 (en) 2011-12-22 2013-09-10 Sunpower Corporation Heat-regulating glass bending apparatus and method
US9397611B2 (en) 2012-03-27 2016-07-19 Sunpower Corporation Photovoltaic systems with local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prevention and methods for operating same
US8991682B2 (en) 2012-09-28 2015-03-31 Sunpower Corporation Methods and structures for forming and improving solder joint thickness and planarity control features for solar cel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653867A1 (en) 2007-12-06
SG185848A1 (en) 2012-12-28
TWI418062B (zh) 2013-12-01
EP2023414A4 (en) 2010-02-17
JPWO2007139195A1 (ja) 2009-10-15
CN101454909A (zh) 2009-06-10
MX2008015288A (es) 2008-12-12
EP2023414A1 (en) 2009-02-11
TW200814373A (en) 2008-03-16
US20090279300A1 (en) 2009-11-12
WO2007139195A1 (ja) 2007-12-06
CN101454909B (zh) 2012-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14153A (ko) Led 광원 유니트
KR101333355B1 (ko) Led 광원 유닛
US8071882B2 (en) Metal base circuit board, LED, and LED light source unit
CN101161039B (zh) 金属基电路基板、led及led光源单元
CA2726173C (en) Metal base circuit board
KR20160070243A (ko) 방열시트
JP2011181650A (ja) 放熱基板とその製造方法
JP2008042120A (ja) 熱伝導基板と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5396721B2 (ja) 熱伝導硬化物及びこれを用いた放熱基板とその製造方法
JP4459910B2 (ja) Led光源ユニット
JP2011181648A (ja) 放熱基板とその製造方法
JP2009203261A (ja) 熱伝導性材料及びこれを用いた放熱基板とその製造方法
JP2009203262A (ja) 熱伝導性材料及びこれを用いた放熱基板とその製造方法
CN101280891B (zh) 光源模块
JP2012054164A (ja) 光源装置および電子機器
MX2007012974A (es) Tablero de circuitos con base metalica, diodo emisor de luz y unidad de fuente de luz de diodos emisores de luz.
JP2012054166A (ja) 光源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20150090393A (ko) 인쇄회로기판
JP2011181649A (ja) 放熱基板とその製造方法
JP2012054165A (ja) 光源装置およ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