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3726A - 내시경용 처치구의 조작부 구조 - Google Patents

내시경용 처치구의 조작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3726A
KR20090013726A KR1020080075506A KR20080075506A KR20090013726A KR 20090013726 A KR20090013726 A KR 20090013726A KR 1020080075506 A KR1020080075506 A KR 1020080075506A KR 20080075506 A KR20080075506 A KR 20080075506A KR 20090013726 A KR20090013726 A KR 20090013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treatment instrument
wire
sheath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5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따 무야리
Original Assignee
올림푸스 메디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올림푸스 메디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올림푸스 메디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13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37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92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having a flexible, catheter-like structure, e.g. for heart ab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12Connection or coup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42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 A61B18/1445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at the distal end of a shaft, e.g. forceps or scissors at the end of a rigid 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367Details of actuation of instruments, e.g. relations between pushing buttons, or the like, and activation of the tool, working tip, or the like
    • A61B2017/00415Details of actuation of instruments, e.g. relations between pushing buttons, or the like, and activation of the tool, working tip, or the like having power generation near the working tip of the to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05Electrodes having a specific shape
    • A61B2018/1407Loo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05Electrodes having a specific shape
    • A61B2018/144Wi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75Electrodes retractable in or deployable from a housing

Abstract

내시경용 처치구의 조작부 구조는, 체강 내에 삽입되는 훅 나이프와, 선단이 훅 나이프에 접속된 와이어(3)와, 와이어(3)의 외주에 설치된 관 형상의 가요성의 시스(4)를 갖는 내시경용 처치구의 조작부 구조로서, 선단에 시스(4)가 접속된 본체와, 와이어(3)의 기단이 고정되고,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섭동 가능하게 본체에 부착된,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섭동체(11)와, 섭동체(11)의 둘레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섭동체(11)에 부착된 조작 부재(12)와, 조작 부재(12)에 설치되고, 섭동체(11)와 접촉하여 도통하는 도전성 재료로 형성된 도통부를 갖는 통전 플러그(13)를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해, 선단 구조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선단 기구, 와이어, 시스, 본체, 기단, 도전성 재료, 섭동체

Description

내시경용 처치구의 조작부 구조{OPERATION SECTION STRUCTURE OF TREATMENT INSTRUMENT FOR ENDOSCOPIC USE}
본 발명은, 내시경 장치의 작업용 채널에 삽입하여 사용하는 내시경용 처치구의 조작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내시경 장치의 스코프를 따라 설치된 작업용 채널에 삽입하여 각종 처치를 행하는 내시경용 처치구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1 참조). 이들 처치구의 선단 기구는, 조직 채취, 조직 소작 등을 목적으로 하는 처치에 따라 각각 서로 다르다. 많은 처치구에 있어서, 처치 대상의 조직 등과 선단 기구와의 위치 관계를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 선단 기구를 회전시키는 것이 요청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종래의 내시경용 처치구에서는, 선단 기구에 접속된 와이어 등이 고정된 슬라이더와, 와이어의 외측을 덮는 관 형상의 시스가 고정된 본체의 양방을 회전시킬 필요가 있다.
[특허 문헌1] 일본 특개소 57-145654호 공보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조작을 행하기 위해서는, 본체 및 슬라이더를 유지하고 있던 손을 한번 떼고, 다시 잡아 회전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조작이 번잡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선단 구조에 고주파 전류를 통전시키는 내시경용 처치구에서는, 슬라이더에 설치된 통전 플러그에 고주파 전원으로부터 코드가 접속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처치구에서 상기의 조작을 행하면, 본체를 회전시키는 데에 수반하여, 코드가 본체에 감겨지게 되어, 조작이 곤란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선단 구조를 용이하게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한 내시경용 처치구의 조작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체강 내에 삽입되어 각종 처치를 행하는 선단 기구와, 선단이 상기 선단 기구에 접속된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외주에 설치된 관 형상의 가요성의 시스를 갖는 내시경용 처치구의 조작부 구조로서, 선단에 상기 시스가 접속된 본체와, 상기 와이어의 기단이 고정되고,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섭동 가능하게 상기 본체에 부착된,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섭동체와, 상기 섭동체의 둘레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섭동체에 부착된 조작 부재와, 상기 조작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섭동체와 접촉하여 도통하는 도전성 재료로 형성된 도통부를 갖는 통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내시경용 처치구의 조작부 구조에 따르면, 본체를 회전 조작함으로써, 조작 부재를 회전시키지 않고, 섭동체, 와이어, 및 선단 기구가 회전한다.
상기 본체의 기단에는, 상기 본체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핸들이 설치되어도 된다.
상기 도통부는, 판 형상의 도전성 재료가, 절선이 상기 섭동체의 섭동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절곡되어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도통부는,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용수철을 포함하여 형성되어도 된다.
상기 내시경용 처치구는, 상기 시스의 내측 또한 상기 와이어의 외측에 설치되고, 선단이 상기 선단 기구에 고정되고, 기단이 상기 본체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된 코일 시스를 갖고, 상기 섭동체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가 상기 본체를 사이에 끼워 넣도록 고정되어 구성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내시경용 처치구의 조작부 구조에 따르면, 조작부를 유지한 상태에서, 본체를 회전시킴으로써, 조작 부재를 회전시키지 않고 선단 기구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조작부 구조를 구비한 내시경용 처치구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조작부 구조를 구비한 내시경용 처치구(1)의 평면도이다. 내시경용 처치구(1)는, 선단에 훅 나이프(2)(선단 기구)가 부착된 와이어(3)와, 와이어(3)의 외주를 피복하는 시스(4)와, 시스(4)의 기단이 고정된 본 체(5)와, 와이어(3)의 기단이 고정된 조작부(6)를 구비하고 있다.
훅 나이프(2)는 막대 형상의 금속 부재의 선단을, 1.5밀리미터 정도 직각으로 절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훅 나이프(2)의 기단은 와이어(3)에 고정되어 있다. 와이어(3)는, 스테인레스강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가요성의 관 형상의 시스(4)에 삽입 관통되어 있다.
본체(5)는 수지 등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막대 형상의 한쌍의 측벽부(7)가 2개 평행하게 배열되어 구성되어 있다. 측벽부(7)의 선단에는, 시스 고정부(8)가 도시하지 않은 홈 등의 감합 기구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스(4)의 기단이 시스 고정부(8) 내부의 접속 부재(8A)를 통하여 시스 고정부(8)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시스 고정부(8)의 선단에는 관통 구멍(9)이 형성되어 있으며, 시스(4) 및 접속 부재(8A)에 삽입 관통된 와이어(3)가 관통 구멍(9)을 통하여, 측벽부(7) 사이에 도입되어 있다. 측벽부(7)의 기단에는, 조작 시에 손가락을 거는 고리 형상의 핸들(10)이 설치되어 있다.
조작부(6)는, 본체(5)에 섭동 가능하게 부착된 섭동체(11)와, 섭동체(11)의 외주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조작 부재(12)와, 조작 부재(12)에 부착된 통전 플러그(통전부)(13)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섭동체(11)는 금속 등의 도전성 재료로 형성된 대략 원주 형상의 부재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섭동체(11)의 평면부의 중심에는, 와이어(3)가 고정되는 고정 구멍(14)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 구멍(14)을 사이에 둔 좌우의 위치에는, 본 체의 각 측벽부(7)가 삽입 관통 가능한 한쌍의 섭동 구멍(15)이 형성되어 있다.
섭동체(11)는, 섭동 구멍(15)에 본체(5)의 측벽부(7)가 삽입 관통되어, 고정 구멍(14)에 시스 고정부(8)의 관통 구멍(9)을 통과한 와이어(3)의 기단(3A)이 삽입되어 있다. 기단(3A)은, 섭동체(11)의 외주로부터 고정 구멍(14)에 도달하는 나사 구멍(16)에 돌려 넣어진 나사(17)에 의해, 섭동체(11)에 고정되어 있다. 즉, 와이어(3)와 일체로 된 섭동체(11)는, 측벽부(7)에서 섭동 가능하게 본체(5)에 고정되어 있다.
조작 부재(12)는, 수지 등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섭동체(11)의 섭동 방향의 전후에 형성된 전벽부(18) 및 후벽부(19)와, 후벽부(19)의 핸들(10)측에 설치된 손가락 걸이부(20)와, 전벽부(18)와 후벽부(19) 사이에 설치된 플러그 설치부(21)를 갖고 구성되어 있다.
전벽부(18) 및 후벽부(19)는, 본체(5)와 대략 동일한 직경의 구멍을 갖는 원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섭동체(11)의 섭동 방향의 전후로부터 섭동체(11)가 사이에 끼워 넣어져 있다. 전벽부(18)와 후벽부(19)는, 양자 간에 섭동체(11)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설치된 통 형상부(22)에 의해 일체로 되어 있다.
손가락 걸이부(20)는, 본체(5)와 대략 동일한 직경의 구멍을 갖는,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원통 형상의 부재이며, 후벽부(19)의 핸들(10)측에, 후벽부(19)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플러그 설치부(21)는, 통 형상부(22)의 외주면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 설치부(21)에 둘러싸여진 통 형상 부(22)의 외주면에는, 통전 플러그(13)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 구멍(23)이 형성되어 있다.
통전 플러그(13)는, 막대 형상의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며, 선단이 도시하지 않은 전원에 접속된다. 통전 플러그(13)는, 통 형상부(22)의 설치 구멍(23)에 삽입 관통되어 설치되고, 플랜지 형상의 고정부(24)에 의해 통 형상부(22)에 고정되어 있다. 통전 플러그(13)의 섭동체(11)측의 단부에는, 통전 플러그(13)와 섭동체(11)와의 도통을 확보하는 도통 설편(도통부)(25)이 설치되어 있다.
도통 설편(25)은, 판 형상의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며, 양단이 통전 플러그(13)에 고정되고, 대략 고리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통 설편(25)은, 절선(25A)이 통 형상부(22)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절곡되어 구성되어 있다. 절선(25A) 사이의 부분은, 섭동체(11)를 향하여 볼록해지는 곡면(25B)으로 되도록 굽힘 가공되어 있다. 절선(25A)에는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가려고 하는 탄성이 생기며, 곡면(25B)은 섭동체(11)에 접촉하도록 부세되어 있다.
전체적으로, 조작 부재(12) 및 통전 플러그(13)는, 본체(5) 및 섭동체(11)에 대하여, 본체(5)의 축선 둘레에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섭동체(11)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내시경용 처치구(1)의 사용 시의 동작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우선, 내시경의 삽입부를 환자 등의 체내에 삽입하고, 삽입부의 선단을 처치 대상의 조직 부근까지 이동시킨다.
유저는 손가락 걸이부(20)와 핸들(10)에 손가락을 걸어서 조작 부재(12)를 핸들(10)측에 가까이 당기고, 훅 나이프(2)의 선단을 시스(4) 내에 수용한다. 시스(4)의 선단을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시경(100)의 조작부에 개구한 겸자 구멍(101)으로부터 작업용 채널(102)에 삽입하고, 삽입부(103)의 선단으로부터 시스의 선단을 돌출시킨다.
유저는 조작 부재(12)를 내시경(100)의 선단 방향으로 압출하여, 훅 나이프(2)의 선단을 시스(4)로부터 노출시킨다. 그리고 통전 플러그(13)의 선단에, 도시하지 않은 전원 코드를 접속한다.
유저는, 손가락 걸이부(20)에 손가락을 건 채, 핸들(10)로부터 손가락을 떼고, 다른 한쪽의 손으로 본체(5)를 축선 둘레에 원하는 각도 회전시킨다. 그렇게 하면,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섭동체(11)와, 섭동체(11)에 고정된 와이어(3)가 본체(5)와 함께 회전하고, 와이어(3)의 선단에 부착된 훅 나이프(2)의 선단도 회전한다. 유저는, 훅 나이프(2)의 선단을 내시경의 화상으로 확인하면서, 훅 나이프(2)의 선단이 처치를 행하기 쉬운 방향으로 향하도록 본체(5)를 회전 조절한다.
이 때, 조작 부재(12)는 본체(5) 및 섭동체(11)와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본체(5)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하는 일은 없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전 플러그(13)의 도통 설편(25)의 곡면(25B)이, 절선(25A) 부분의 탄성에 의해 부세되어 섭동체(11)에 항상 접촉함으로써, 통전 플러그(13)와 섭 동체(11)와의 도통이 확보된다.
훅 나이프(2)의 선단이 원하는 방향으로 되면, 전원을 온으로 하여, 통전 플러그(13), 섭동체(11), 및 와이어(3)를 통하여 훅 나이프(2)에 통전하여, 조직 절제 등의 처치를 행한다.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용 처치구(1)의 조작부(6)에 따르면, 조작 부재(12)가 섭동체(11) 및 본체(5)에 대하여, 둘레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므로, 유저는, 손가락 걸이부(20)에 손가락을 걸어서 조작 부재(12)를 유지한 상태에서, 본체(5)를 회전시켜서 훅 나이프(2)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통전 플러그(13)가 조작 부재(12)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훅 나이프(2)를 회전시키는 데에 수반하여, 통전 플러그(13)에 접속된 전원 코드가 조작 부재(12) 및 본체(5)에 감기는 일이 없다. 따라서 훅 나이프(2)의 회전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통전 플러그(13)에 설치된 도통 설편(25)의 곡면(25B)은, 절선(25A)의 주위에 생기는 탄성력에 의해 섭동체(11)를 향하여 부세되어, 섭동체(11)와의 접촉을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본체(5)의 회전 조작 시에도, 도통 설편(25)의 선단이 섭동부(11)에 걸리는 일 없이 섭동체(11)와 통전 플러그(13)와의 도통이 확보되어, 훅 나이프(2)에 양호하게 통전할 수 있다.
또한, 시스(4)가 본체(5)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으므로, 내시경(100)의 작업용 채널(102)의 내벽과 시스(4)의 외면 사이에 큰 마찰력이 발생한 경우라도, 본체(5) 및 와이어(3) 선단의 훅 나이프(2)를 스무스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조작부 구조를 구비한 내시경용 처치구에 대하여,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용 처치구(31)와,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의 내시경용 처치구(1)와의 다른 부분은, 선단 기구의 구성, 본체의 핸들의 구조, 및 도통부의 형상이다. 또한, 전술한 내시경용 처치구(1)와 공통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공통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시경용 처치구(31)의 선단 기구는, 스네어 루프(32)로 되어 있고, 스네어 루프(32)의 단부는 와이어(3)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본체(5)의 기단에 설치된 핸들(33)은, 본체(5)에 대하여 축선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통전 플러그(34)의, 통 형상부(22) 내측에 위치하는 고정부(35)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부가 섭동체(11)측으로 절곡하여 연장되어 있다. 연장된 고정부(35)의 선단(35A)은, 섭동체(11)와 조작 부재(12)의 후벽부(19) 사이에 진입하여, 섭동체(11)와 접촉하고 있다.
도 8은 도 7의 B-B선에서의 통전 플러그(34)의 단면도이다. 통전 플러그(34)의 섭동체(11)측의 단부에는, 한쌍의 도통 설편(36)이 설치되어 있다. 각 도통 설편(36)은, 중점(36A) 부근에서, 제1 실시 형태의 도통 설편(25)과 마찬가지의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다. 각 도통 설편(36)은 선단 부근의 부분에서 섭동체(11)와 접촉하여 도통을 확보하고 있다.
또한, 섭동체(11)의, 도통 설편(36)이 접촉하는 부위와 반대측의 외주면과, 통 형상부(22)와의 사이에는, 스파이럴 용수철(37)이 개재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섭동체(11)를 통전 플러그(34)를 향하여 부세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내시경용 처치구(31)의 사용 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조작으로, 내시경을 환자 등의 체내에 삽입하고, 시스(4)를 겸자구(101)로부터 삽입하여, 시스(4)의 선단을 삽입부(103)의 선단으로부터 돌출시킨다.
다음으로 조작 부재(12)를 본체(5)의 선단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시스(4)로부터 스네어 루프(32)를 노출시키면, 스네어 루프(32)는 자신의 탄성력에 의해 전개하여,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루프면(32A)를 형성한다.
여기에서, 루프면(32A)의 방향을 처치 대상의 조직에 대하여 적절한 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해서, 본체(5)를 회전시키지만,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용 처치구(31)에서는, 유저는, 손가락 걸이부(20) 및 핸들(33)로부터 손가락을 떼지 않고, 다른 한쪽의 손으로 본체(5)만을 회전시킨다.
그렇게 하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5), 섭동체(11), 와이어(3), 및 와이어(3)의 선단에 고정된 스네어 루프(32)가 일체로 되어 회전하여, 루프면(32A)의 방향이 변화한다.
본체(5)를 회전시킬 때는, 도 9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부재(12)와 핸들(33) 사이의 부분을 갖고 회전시켜도 되고, 조작 부재(12)로부터 스 네어 루프(32)측의 부분을 갖고 회전시켜도 된다.
루프면(32A)이 조직에 대하여 적절한 방향으로 된 후, 유저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조작으로 스네어 루프(32)에 통전하면서, 조작 부재(12)를 핸들(33)측에 가까이 당겨서 스네어 루프(32)를 닫고 처치를 행한다. 이 때, 섭동체(11)와 후벽부(19) 사이에 진입한 통전 플러그(34)의 고정부(35)에 의해, 통전 플러그(34)와 섭동체(11)가 확실하게 도통된다.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용 처치구(31)에 따르면, 조작 부재(12) 외에 핸들(33)이 본체(5)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므로, 유저는, 손가락 걸이부(20) 및 핸들(33)을 유지한 상태에서, 본체(5)만을 회전시킴으로써, 스네어 루프(32)의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시스(4)와 선단 기구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확실하게 고정한 상태에서 선단 기구의 방향의 조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통전 플러그(34)의 고정부(35)가, 섭동체(11)와 후벽부(19) 사이에 진입되어 있으므로, 조작 부재(12)를 이동시킬 때에도 확실하게 통전 플러그(34)과 섭동체(11)와의 도통이 확보된다. 따라서, 통전이 수반하는 처치를 안정된 상태에서 행할 수 있다.
또한, 도통 설편(36)이 접촉하는 부위와 반대측의 섭동체(11)의 외주면과 통 형상부(22) 사이에, 스파이럴 용수철(37)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도통 설편(36)이 섭동체(11)를 누르는 힘과 스파이럴 용수철(37)이 섭동체(11)를 누르는 힘이 길항한다. 따라서, 섭동체(11)의 본체(5)에 대한 축 어긋남이 억제되어, 섭동체(11)의 섭동 시에서의 덜컹거림 등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조작부 구조를 구비한 내시경용 처치구에 대하여,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용 처치구(41)와 전술한 내시경용 처치구(1)의 서로 다른 부분은, 선단 기구의 구성, 섭동체가 2개의 부재로 형성되어 있는 점, 및 도통부의 형상이다.
또한, 전술한 내시경용 처치구(1)와 공통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공통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시경용 처치구(41)의 선단 기구는, 한쌍의 겸자 부재(42)와, 각 겸자 부재(4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43)를 갖는 공지의 구성의 고주파 겸자(44)로 되어 있다. 각 겸자 부재(42)는, 핀(45)을 통하여 지지 부재(4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와이어(46)는 2개의 금속제 소선이 더 합쳐져 있고, 각 소선의 선단이 각 겸자 부재(42)의 기단에 접속되어 있다. 즉, 한쌍의 겸자 부재(42)는, 와이어(46)의 진퇴에 의해 개폐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지지 부재(43)는, 금속제 소선이 밀하게 감겨서 형성된 코일 시스(47)의 선단에 레이저 용접이나 경납땜, 납땜, 카시메 등의 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와이어(46)는 코일 시스(47)의 내부에 삽입 관통되어 있고, 코일 시스(47)는 시스(4) 내에 삽입 관통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 시스(47)의 기단은, 본체(48)의 선단에 형성된 고정 홈(49)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코일 시스(47)는, 기단측으로부터 삽입 관통된 T자 부재(50)에 의해, 본체(48)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즉, 본체(48)를 회전시키면, 코일 시스(47)도 모두 회전한다. 고정 홈(49) 내의 코일 시스(47) 및 T자 부재(50)는, 커버(51)에 의해 덮여져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섭동체(52)의 외형은, 제1 실시 형태의 섭동체(11)와 마찬가지이지만,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부재(52A)와 제2 부재(52B)가, 측벽부(53)를 상하로부터 사이에 두도록 하여 배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도 12는, 도 11의 C-C선에서의 섭동체(52) 및 통전 플러그(54)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통 설편(55)은 1매 설치되어 있다. 기단(55A)이 통전 플러그(54)의 하단에 고정된 도통 설편(55)은, 섭동체(52)의 폭방향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고, 절첩된 단부는 하방으로 볼록한 곡면(55B)을 이루도록 굽힘 가공되어 있다. 도통 설편(55)과 섭동체(52)는, 곡면(55B)에서 접촉하여 도통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용 처치구(41)에 따르면, T자 부재(50)에 의해 코일 시스(47)가 본체(48)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으므로, 코일 시스를 수반하는 고주파 겸자(44) 등의 선단 기구이어도, 본체(48)를 회전함으로써, 조작 부재(12)를 다시 잡는 일 없이 방향의 조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도통 설편(55)의 한쪽의 단부(55A)만을 고정하여 도통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통전 플러그(54)를 간소한 구조로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 범위는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전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도통부가 판 형상의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이 대신에, 도 13에 도시하는 변형예와 같이, 도통부(60)가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스파이럴 용수철(용수철)(61)을 포함하여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전 플러그(62)에 스파이럴 용수철(61)의 한쪽의 단부(61A)를 수용하는 오목부(62A)를 형성하고, 대략 원호 형상의 접촉면(63A)과, 스파이럴 용수철의 다른쪽의 단부(61B)를 수용하는 통 형상부(63B)를 구비한 도통 부재(63)를, 스파이럴 용수철(61)과 섭동체(11) 사이에 개재시키도록 하면, 섭동체(11)와 통전 플러그와의 도통을 확실하게 하고, 또한 안정된 도통부를 구성할 수 있다.
물론, 오목부(62A)나 도통 부재(63)를 설치하지 않고, 스파이럴 용수철(61)에 의해서만 도통부(60)가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전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통전 플러그를 구비한 예를 설명하였지만, 통전을 필요로 하지 않는 선단 기구를 구비한 내시경용 처치구이면, 통전 플러그는 설치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선단 기구도 전술한 각 실시 형태의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작부 구조는, 적절한 위치 결정을 위해 회전을 필요로 하는 모든 선단 기구에 대하여 적용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전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본체의 거의 전체가 측벽부에 의해 구성된 예를 설명하였지만, 이 대신에, 조작 부재의 전후 어느 하나의 일정한 범위를 파지하기 쉬운 형상, 예를 들면 적절한 굵기 등으로 형성하고, 섭동체가 그 이외의 범위를 섭동할 수 있도록 본체를 형성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선단 기 구의 회전 조작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은 전술한 설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첨부한 클레임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조작부 구조를 구비하는 내시경용 처치구의 평면도.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내시경용 처치구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에서의 통전 플러그 및 섭동체의 단면도.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내시경용 처치구를 내시경에 삽입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내시경용 처치구의 사용 시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조작부 구조를 구비하는 내시경용 처치구의 평면도.
도 7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내시경용 처치구의 단면도.
도 8은 도 7의 B-B선에서의 통전 플러그의 단면도.
도 9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내시경용 처치구의 사용 시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조작부 구조를 구비하는 내시경용 처치구의 평면도.
도 11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내시경용 처치구의 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C-C선에서의 통전 플러그 및 섭동체의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서의 통전 플러그 및 섭동체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내시경용 처치구
2 : 훅 나이프
3 : 와이어
4 : 시스
5 : 본체
6 : 조작부
7 : 측벽부
8 : 시스 고정부
8A : 접속 부재
9 : 관통 구멍
10 : 핸들
11 : 섭동체
12 : 조작 부재
13 : 통전 플러그(통전부)
14 : 고정 구멍

Claims (5)

  1. 체강 내에 삽입되어 각종 처치를 행하는 선단 기구와, 선단이 상기 선단 기구에 접속된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외주에 설치된 관 형상의 가요성의 시스를 갖는 내시경용 처치구의 조작부 구조로서,
    선단에 상기 시스가 접속된 본체와,
    상기 와이어의 기단이 고정되고,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섭동 가능하게 상기 본체에 부착된,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섭동체와,
    상기 섭동체의 둘레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섭동체에 부착된 조작 부재와,
    상기 조작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섭동체와 접촉하여 도통하는 도전성 재료로 형성된 도통부를 갖는 통전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처치구의 조작부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기단에는, 상기 본체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핸들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처치구의 조작부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통부는, 판 형상의 도전성 재료를, 절선이 상기 섭동체의 섭동 방향 으로 연장되도록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처치구의 조작부 구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통부는,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용수철을 포함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처치구의 조작부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용 처치구는, 상기 시스의 내측 또한 상기 와이어의 외측에 설치되고, 선단이 상기 선단 기구에 고정되고, 기단이 상기 본체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된 코일 시스를 갖고, 상기 섭동체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가 상기 본체를 사이에 두도록 고정되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처치구의 조작부 구조.
KR1020080075506A 2007-08-02 2008-08-01 내시경용 처치구의 조작부 구조 KR2009001372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202103 2007-08-02
JP2007202103A JP5053749B2 (ja) 2007-08-02 2007-08-02 内視鏡用処置具の操作部構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3726A true KR20090013726A (ko) 2009-02-05

Family

ID=39874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5506A KR20090013726A (ko) 2007-08-02 2008-08-01 내시경용 처치구의 조작부 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740899B2 (ko)
EP (1) EP2022431B1 (ko)
JP (1) JP5053749B2 (ko)
KR (1) KR2009001372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8690B1 (ko) * 2011-01-25 2013-08-21 신경민 의료용 스네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33582A4 (en) * 2009-05-21 2014-02-12 Sumitomo Bakelite Co RF TREATMENT DEVICE
JP6110098B2 (ja) * 2012-10-12 2017-04-05 株式会社ハイレックスコーポレーション 鉗子装置
JP6163887B2 (ja) * 2013-06-03 2017-07-19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高周波処置具
JP6210848B2 (ja) * 2013-11-11 2017-10-11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医療器具
WO2015089377A1 (en) * 2013-12-12 2015-06-18 Holaira, Inc. Catheter and handle assembly, systems, and methods
CN109953820A (zh) * 2017-12-25 2019-07-02 杭州安杰思医学科技有限公司 电手术用器械操纵装置
CN113951993B (zh) * 2021-11-08 2022-09-23 中国人民解放军海军军医大学第一附属医院 外科微创手术用标本圈套固定器
JP2023113571A (ja) 2022-02-03 2023-08-16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内視鏡用処置具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45654A (en) * 1981-03-02 1982-09-08 Olympus Optical Co Ultrasonic incision instrument
US5066295A (en) * 1986-05-13 1991-11-19 Mill-Rose Laboratories, Inc. Rotatable surgical snare
JP2979386B2 (ja) * 1997-02-07 1999-11-15 栄通信工業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カップリングコネクタ
US6352539B1 (en) * 1997-05-02 2002-03-05 Scilogy Corp. Surgical instrument with rotatable shaft
US6235026B1 (en) * 1999-08-06 2001-05-22 Scimed Life Systems, Inc. Polypectomy snare instrument
JP2002253563A (ja) * 2001-03-02 2002-09-10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用処置具
JP4109069B2 (ja) * 2002-10-01 2008-06-25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生体組織の結紮装置
JP2004188013A (ja) * 2002-12-12 2004-07-08 Olympus Corp 高周波処置具
JP3923022B2 (ja) * 2003-02-28 2007-05-3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用処置具
FR2867964B1 (fr) * 2004-03-24 2007-08-10 Pentax Corp Instrument de traitement par haute frequence pour endoscope
JP4616210B2 (ja) 2006-06-01 2011-01-19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高周波処置具
JP5160050B2 (ja) 2006-06-07 2013-03-13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内視鏡用処置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8690B1 (ko) * 2011-01-25 2013-08-21 신경민 의료용 스네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22431A1 (en) 2009-02-11
JP5053749B2 (ja) 2012-10-17
EP2022431B1 (en) 2015-09-30
US20090036737A1 (en) 2009-02-05
JP2009034388A (ja) 2009-02-19
US8740899B2 (en) 2014-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13726A (ko) 내시경용 처치구의 조작부 구조
JP4441496B2 (ja) 内視鏡用バイポーラ型高周波処置具
JP5160050B2 (ja) 内視鏡用処置具
JP5111931B2 (ja) 内視鏡用処置具
JP5290658B2 (ja) 内視鏡用処置具
KR101855110B1 (ko) 의료용 스네어
JP5171471B2 (ja) 内視鏡用処置具
JPWO2011077850A1 (ja) 内視鏡用処置具
JP5114333B2 (ja) 内視鏡用処置具
JP4542559B2 (ja) 内視鏡用処置具
WO2020079824A1 (ja) 内視鏡用処置具
KR101847253B1 (ko) 고주파 처치구
JP5158952B2 (ja) 内視鏡用モノポーラ型高周波処置具
JP5137758B2 (ja) 内視鏡用バイポーラ型高周波処置具
JP2018033501A (ja) 内視鏡用処置具
JP6130134B2 (ja) 内視鏡用処置具
JP4503038B2 (ja) 内視鏡用処置具
JP2008253541A (ja) 内視鏡用高周波処置具
JP5137754B2 (ja) 内視鏡用処置具
JP2001061846A (ja) 医療用処置具
JP2010063539A (ja) 内視鏡用処置具
JP2010131049A (ja) 内視鏡用高周波処置具
JP2009142622A (ja) 内視鏡用高周波処置具の操作部
JP5292531B2 (ja) 内視鏡用処置具
JP2009125526A (ja) 内視鏡用鉗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