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1690A - 석창포 잎을 이용한 차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석창포 잎을 이용한 차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1690A
KR20090011690A KR1020070075533A KR20070075533A KR20090011690A KR 20090011690 A KR20090011690 A KR 20090011690A KR 1020070075533 A KR1020070075533 A KR 1020070075533A KR 20070075533 A KR20070075533 A KR 20070075533A KR 20090011690 A KR20090011690 A KR 200900116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ves
minutes
spearmint
tea
rub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5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3448B1 (ko
Inventor
마승진
정원철
박성화
천길용
이준경
송정희
정재천
홍희철
Original Assignee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정원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정원철 filed Critical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075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3448B1/ko
Publication of KR20090011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1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3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3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4Tea preparations, e.g.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2Rolling or shredding tea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34Tea substitutes, e.g. matè; Extracts or infusio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40Tea flavour; Tea oil; Flavouring of tea or tea extrac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Tea And Coffe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현재 거의 사용하고 있지 않은 석창포의 잎을 이용한 차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제조방법은 석창포의 잎을 수확하자마자 가마솥에 넣고 덖거나 수증기를 이용하여 데쳐 효소를 불활성화 시키고 건조한 후, 강하게 비빈 후 다시 건조시켜 불발효차를 만들거나, 석창포의 잎을 수확한 후 강하게 비벼서 잎의 조직에 존재하는 효소가 용출되게 한 후 그늘에서 15-36시간 정도 발효시킨 후, 솥에 넣고 덖거나 수증기를 이용하여 데쳐 효소를 불활성화시키고 나서 건조하는 과정으로 제조한 발효차의 제조과정을 포함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제조된 차는 카페인 성분이 전혀 없으면서도 유용한 성분인 아사론과 가바 성분이 석창포의 잎을 그냥 건조할 때에 비해 크게 증가되는 특징이 있으며, 또한 제조과정 중의 성분변화에 의하여 소비자들의 기호도가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또한, 가열을 통한 효소 불활성화 시점, 비비기를 통한 잎 조직내의 효소의 용출정도, 발효정도 조절 등에 의하여 유효성분 및 향기성분의 함량이 현저히 증가되어 본 제조방법을 통해 기호성과 기능성이 향상된 차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제조방법에 의해 제공되는 차는 기존의 석창포 뿌리를 이용한 한약 침출물 형태가 아니라 사용되지 않고 버려지는 석창포의 잎을 이용하여 제조되기 때문에 가격이 싸고 휴대가 간편하며 한약 특유의 거부감이 없는 잎차 형태이기 때문에 쉽게 음용할 수 있으며 그 추출물을 쉽게 음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석창포, 잎, 차, 제조방법

Description

석창포 잎을 이용한 차 및 그 제조방법{tea using Acorus gramineus leaf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현재 거의 사용하고 있지 않은 석창포의 잎 부위를 이용하여 차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창포(Acorus gramineus)는 천남성과의 여러해살이 풀로 창포(Acorus calamus)와 비슷하게 생겼는데 창포보다 잎이 좁고 가운데 도드라진 뼈대가 없다. 또한, 창포가 주로 개울이나 저수지, 늪에서 자라기 때문에 수창포라 불리는 반면 석창포는 바위틈이나 물주변의 산비탈에서 주로 자란다. 석창포는 이뇨, 진정, 진통, 건위에 효과가 있다고 하여 예로부터 한약재로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모두 석창포의 뿌리부위를 사용하며, 때문에 한방 및 민간요법에서 석창포라하면 모두 석창포의 뿌리를 의미한다. 석창포의 뿌리는 물에 씻은 후 햇볕에 말려 사용하며 예로부터 머리를 맑게 해준다고 하여 총명탕의 주재료로 사용되어 왔다. 석창포의 이러한 약리 작용은 주로 정유성분인 아사론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이러한 정유성분은 뿌리에 0.5-0.9% 정도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 다. 현재 석창포를 이용한 특허는 석창포를 이용한 차의 제조 {노화지연용 항산화 차(10-1998-0058008), 건방증 개선 효능이 있는 총명차의 제조방법 (10-2001-0069282), 생약성분을 함유하는 비만방지 차 조성물(10-2001-0051732), 차 조성물 (10-2005-0067482) 등}와 약학적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 {석창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노화방지 조성물(10-2003-0099478), 석창포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치료 또는 예방제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제제(10-2002-0077134), 허혈성 심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석창포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과 건강식품 (10-2004-0042189), 신경보호작용을 갖는 석창포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적 제제 (10-2001-0026688), 석창포 치료용 향수(10-2006-0027373), 석창포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 및 혈당조절 식품 및 사료(10-2005-0034790) 등}에 대하여 다수 보고되어 있지만, 이들은 모두 석창포의 뿌리부위를 단독 또는 다른 한약제와 혼합하여 제조하는 방법 및 조성물에 관한 것일 뿐 석창포의 잎 부위를 사용한 특허는 전혀 발견되지 않고 있다.
또한 일부 차에 대한 발명의 내용도 석창포의 뿌리를 단독 또는다른 한약재와 같이 혼합하는 분말차 또는 한약 침출액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한방 침출액 및 분말차는 대개 한방 탕약 특유의 쓴맛이 강하여 기호성이 떨어지고 가격면에 있어서 고가일 수밖에 없어서 일반 대중적인 음료나 차류와 같이 수시로 음용 내지는 복용하기에는 현실적으로 어려운 면이 있다. 뿐만 아니라 한방 침출액의 경우, 생약재 성분을 추출하여 레토르트 포장을 하는 것이 대부분인데 개별포장을 해도 휴대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복용시 다시 중탕을 하여 데 워야 하는 불편이 있다.
석창포의 약리효과가 알려지면서 그 뿌리를 한약제 및 건강식품으로 이용하고 있으나 석창포의 잎은 전혀 사용되지 못하고 버려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사실은 버려지고 있는 석창포의 잎에도 석창포의 주요 유효 정유성분으로 추정되고 있는 아사론이 뿌리 함유량의 약 1/3 정도(0.2-0.3%)가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이용되지 못하고 버려지는 석창포의 잎을 이용하여 부가가치가 높은 차를 제조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다.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석창포의 잎을 발효 및 가공과정을 통하여 유효성분과 기호성이 상승된 차로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은,
채취되어 이물질이 제거되고 세절된 석창포 잎을 적어도 3회 이상 덖고 비비는 작업을 반복하되, 석창포 잎의 효소가 불활성화되도록 석창포 잎을 250℃ - 100℃의 온도범위 그리고 9 - 1분의 시간범위 내에서 온도와 시간을 단계적으로 낮추어 덖고 비비는 단계; 및
상기 단계를 거친 석창포 잎을 수분함량이 8 - 12%이하가 되도록 건조시켜 불발효된 차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창포 잎을 이용한 차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채취되어 이물질이 제거되고 세절된 석창포 잎을 적어도 3회 이상 마이크로웨이브에 노출시겨 가열하고 비비는 작업을 반복하되, 석창포 잎의 효소가 불활성화되도록 석창포 잎을 4 - 1분의 범위 내에서 단계적으로 낮추어 가열하고 비비는 단계; 및
상기 단계를 거친 석창포 잎을 수분함량이 8 - 12%이하가 되도록 마이크로웨이브에 4 - 1분 동안 노출시켜 석창포 잎의 수분함량이 8 - 12% 이하가 되도록 건조하여 불발효된 차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창포 잎을 이용한 차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채취된 석창포 잎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고 세절하는 단계;
석창포 잎의 효소가 불활성화되도록 석창포 잎을 230℃ - 250℃의 고온에서 7 - 9분 동안 1차 덖은 후 털면서 식히는 단계;
상기 단계를 거친 석창포 잎의 세포가 파괴되어 성분의 용출이 용이하도록 석창포 잎을 손으로 강하게 1차 비비는 단계;
상기 단계를 거친 석창포 잎을 140℃ - 160℃에서 4 - 6분 동안 2차 덖은 후 털면서 식히는 단계;
상기 단계를 거친 석창포 잎의 세포가 파괴되도록 손으로 2차 비비는 단계;
상기 단계를 거친 석창포 잎을 100℃에서 1 - 3분 동안 3차 덖은 후 털면서 식히는 단계;
상기 단계를 거친 석창포 잎의 세포가 파괴되도록 손으로 3차 비비는 단계; 및
상기 단계를 거친 석창포 잎의 수분함량이 8 - 12% 이하가 되도록 건조하여 효소가 불발효된 차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창포 잎을 이용한 차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채취된 석창포 잎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고 세절하는 단계;
석창포 잎의 효소가 불활성화되도록 석창포 잎을 마이크로웨이브에 4 - 1분 동안 노출시켜 가열한 후 털면서 식히는 단계;
상기 단계를 거친 석창포 잎의 세포가 파괴되어 성분의 용출이 용이하도록 석창포 잎을 손으로 강하게 1차 비비는 단계;
상기 단계를 거친 석창포 잎을 마이크로웨이브에 4 - 1분 동안 노출시켜 가열한 후 털면서 식히는 단계;
상기 단계를 거친 석창포 잎의 세포가 파괴되도록 손으로 2차 비비는 단계;
상기 단계를 거친 석창포 잎을 마이크로웨이브에 4 - 1분 동안 노출시켜 가열한 후 털면서 식히는 단계;
상기 단계를 거친 석창포 잎의 세포가 파괴되도록 손으로 3차 비비는 단계; 및
상기 단계를 거친 석창포 잎을 마이크로웨이브에 4 - 1분 동안 노출시켜 석창포 잎의 수분함량이 8 - 12% 이하가 되도록 건조하여 효소가 불발효된 차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창포 잎을 이용한 차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3차 비비는 단계는 석창포 잎의 일부가 부서지는 정도까지만 비 비는 것을 특징으로 하다.
이물질이 제거되고 세절된 석창포 잎의 효소가 불활성화되도록 100℃의 증기로 9 - 11분 동안 익힌 곧바로 냉각시키는 단계;
상기 단계를 통해 익혀지고 냉각된 석창포 잎을 140℃ - 160℃에서 8 - 12분간 덖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덖은 석창포 잎으로부터 효소의 용출이 용이하도록 세포를 파괴하기 위하여 손으로 비비는 단계; 및
상기 단계를 거친 석창포 잎을 수분함량이 8 - 12%이하가 되도록 건조시켜 불발효된 차를 얻는 단계;를 포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창포 잎을 이용한 차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물질이 제거되고 세절된 석창포 잎의 효소가 불활성화되도록 100℃의 증기로 9 - 11분 동안 익힌 곧바로 냉각시키는 단계;
상기 단계를 통해 익혀지고 냉각된 석창포 잎을 마이크로웨이브에 4 - 1분 동안 노출시켜 가열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가열된 석창포 잎으로부터 효소의 용출이 용이하도록 세포를 파괴하기 위하여 손으로 비비는 단계; 및
상기 단계를 거친 석창포 잎을 수분함량이 8 - 12%이하가 되도록 마이크로웨이브에 4 - 1분 동안 노출시켜 건조시여 불발효된 차를 얻는 단계;를 포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창포 잎을 이용한 차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손으로 비비는 단계는 석창포 잎의 일부가 부서지는 정도까지만 비비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물질이 제거되고 세절한 석창포 잎을 장갑 낀 손으로 9 - 11분 동안 강하게 1차 적으로 비비는 단계;
비비는 단계를 거친 후 세포가 파괴된 석창포 잎을 소쿠리에 보자기를 깔고 담아 그늘에서 13 - 17시간 동안 발효시키되, 수분함량이 60 - 70%가 될 때까지만 발효시키는 단계;
발효된 석창포 잎을 240℃ - 260℃에서 8 - 12분 동안 덖는 단계;
덖은 석창포 잎을 세포가 파괴되도록 18 - 22분 동안 비비는 단계; 및
비벼진 석창포 잎을 수분함량이 8 - 12%이하가 되도록 건조하여 반 발효된 차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창포 잎을 이용한 차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발효시키는 단계는 주기적으로 석창포 잎을 섞고 뒤집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물질이 제거되고 세절한 석창포 잎을 장갑 낀 손으로 9 - 11분 동안 강하게 1차 적으로 비비는 단계;
비비는 단계를 거친 후 세포가 파괴된 석창포 잎을 소쿠리에 보자기를 깔고 담아 그늘에서 13 - 17시간 동안 발효시키되, 수분함량이 60 - 70%가 될 때까지만 발효시키는 단계;
발효된 석창포 잎을 마이크로웨이브에 4 - 1분 동안 노출시켜 가열하는 단계;
마이크로웨이브에 노출되어 가열된 석창포 잎을 세포가 파괴되도록 18 - 22분 동안 비비는 단계; 및
비벼진 석창포 잎을 수분함량이 8 - 12%이하가 되도록 마이크로웨이브에 4 - 1분 동안 노출시켜 건조하여 반 발효된 차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창포 잎을 이용한 차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발효시키는 단계는 주기적으로 석창포 잎을 섞고 뒤집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세절한 석창포의 잎을 표면이 거친 흠집이 많은 알루미늄 판에 18 - 22분간 문질러서 상처를 내는 단계;
상처가 난 석창포 잎을 소쿠리에 보자기를 깔고 담아 그늘에서 11 - 13시간 동안 1차 발효시키는 단계;
발효된 석창포 잎에 증류수를 분무한 후 장갑 낀 손으로 18 - 22분간 강하게 1차 비비는 단계;
1차 비벼진 석창포 잎을 23 - 25시간 동안 2차 발효시키는 단계;
발효가 완료된 석창포 잎을 240℃ - 260℃에서 8 - 12분간 덖는 단계;
덖은 석창포 잎을 장갑 낀 손으로 4 - 6분 동안 2차 비비는 단계; 및
2차 비벼진 석창포 잎을 수분함량이 8 - 12%이하가 될 때까지 건조하여 완전발효된 차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창포 잎을 이용한 차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세절한 석창포의 잎을 표면이 거친 흠집이 많은 알루미늄 판에 18 - 22분간 문질러서 상처를 내는 단계;
상처가 난 석창포 잎을 소쿠리에 보자기를 깔고 담아 그늘에서 11 - 13시간 동안 1차 발효시키는 단계;
발효된 석창포 잎에 증류수를 분무한 후 장갑 낀 손으로 18 - 22분간 강하게 1차 비비는 단계;
1차 비벼진 석창포 잎을 23 - 25시간 동안 2차 발효시키는 단계;
발효가 완료된 석창포 잎을 마이크로웨이브에 4 - 1분 동안 노출시켜 가열하는 단계;
마이크로웨이브에 노출되어 가열된 석창포 잎을 장갑 낀 손으로 4 - 6분 동안 2차 비비는 단계; 및
2차 비벼진 석창포 잎을 수분함량이 8 - 12%이하가 될 때까지 마이크로웨이브에 4 - 1분 동안 노출시켜 건조하여 완전발효된 차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창포 잎을 이용한 차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2차 발효 단계는 주기적으로 증류수를 분무한 후 섞는 뒤집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각 방법에서 석창포 잎을 건조하는 단계는 석창포 잎을 덖어서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석창포 잎을 건조하는 단계는 석창포 잎을 마이크로웨이브에 4 - 1분 동안 노출시켜 건조하되, 1 - 2분 동안 노출시켜 가열한 후 뒤집고, 다시 1 - 2분 동안 노출하여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전술한 방법들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창포 잎을 이용한 차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석창포의 잎을 이용한 차 및 그 제조방법은 석창포의 잎을 수확하자마자 가마솥에 넣고 덖거나 혹은 수증기를 이용하여 데치거나 혹은 마이크로웨이브에 노출시켜 효소를 불활성화 시키고 건조한 후, 강하게 비빈 후 다시 건조시켜 불발효차를 만들거나, 석창포의 잎을 수확한 후 강하게 비벼서 잎의 조직에 존재하는 효소가 용출되게 한 후 그늘에서 15-36시간 정도 발효시킨 후, 가마솥에 넣고 덖거나 혹은 수증기를 이용하여 데치거나 혹은 마이크로웨이브에 노출시켜 효소를 불활성화시키고 나서 건조하는 과정으로 제조하는 것으로, 이러한 방법에 의한 차는 카페인 성분이 전혀 없으면서도 유용한 성분인 아사론과 가바 성분이 석창포의 잎을 그냥 건조할 때에 비해 크게 증가되는 특징이 있으며, 또한 제조과정 중의 성분변화에 의하여 소비자들의 기호도가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그리고, 가열을 통한 효소 불활성화 시점, 비비기를 통한 잎 조직내의 효소의 용출정도, 발효정도 조절 등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유효성분 및 향기성분의 함량이 현저히 증가되어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통해 기호성과 기능성이 향상된 차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차는 기존의 한약 침출물 형태가 아니라 사용되지 않고 버려지는 석창포의 잎을 이용하여 제조되기 때문에 가격이 싸고 휴대가 간편하며 한약 특유의 거부감이 없는 잎차 형태이기 때문에 쉽게 음용할 수 있 으며 그 추출물을 쉽게 음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각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각 발명에 따르면, 석창포 잎을 처리하여 불발효차, 반발효차, 완전발효차 등을 제조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잎의 채취 및 전처리 과정
차로 제조하기 위한 석창포 잎의 체취시기는 1년 연중 가능하나 봄부터 초가을까지의 잎이 가장 적당하다. 이는 봄부터 초가을까지의 잎이 부드러워서 가공하기 좋기 때문이다. 채취한 석창포의 생잎은 묻어있는 흙을 물로 헹궈내고 물기를 뺀 후 1-1.5cm로 세절하여 사용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이 생잎을 위생팩에 넣어 냉동고(deepfreezer)에 보관하였다가 사용시 냉동고에서 꺼내 실온에 방치하여 해동한 뒤 세절하여 사용해도 된다. 세절하는 이유는 이후 제조공정이 편리하기 때문이며 세절에 의하여 석창포 잎 중의 효소를 용출시키기 용이하여 효소 발효가 잘 일어나게 되기 때문이다.
먼저, 불발효차의 제조과정을 살펴본다.
현재 거의 사용하고 있지 않은 석창포 잎을 이용한 불발효차는 잎을 수확한 후 바로 강한 열처리 과정을 통해 잎에 존재하는 효소들을 불활성화 시킨 후 비비기 과정을 통해 잎의 세포를 파괴하여 세포 안에 존재하는 향기 및 유용성분들이 잘 용출되도록 만든다. 열처리 방법은 솥에서 덖는 방법과 고압증기를 이용해 찌는 방법,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여 가열하는 방법 등 세가지 방법을 다 포함할 수 있다.
첫째, 덖어서 불발효차를 제조하는 방법
세절한 석창포 생잎 500g을 230℃ - 250℃의 솥에서 7 - 9분 바람직하게는 8분 동안 덖은 후 손으로 털면서 식힌다. 식은 석창포 잎을 장갑 낀 손으로 대략 20분 동안 강하게 비벼서 잎의 세포를 파괴한다. 이와 같이 석창포 잎 조직을 파괴하 는 이유는 석창포 잎 조직 안에 들어있는 아사론 성분을 비롯한 유용물질들이 잘 용출될 수 있게 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비벼진 석창포 잎을 다시 140℃ - 160℃ 바람직하게는 150℃ 온도의 솥에 넣어 4 - 6분 바람직하게는 5분 동안 덖고 난 후 대략 20분 동안 비빈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100℃ 온도의 솥에서 1 - 3분 바람직하게는 2분간 덖는다.
2차적으로 덖은 잎을 손으로 비비되, 비볐을 때 잎이 살짝 부수어 지는 정도까지 비빈다. 즉, 손으로 비볐을 때 잎이 대략 3 - 7% 정도 부수어지면 바람직하다. 만약 7%이상일 경우 상품성이 저하되고, 3%이하일 경우 덖음이 부족한 것이다.
그리고, 비벼진 잎을 수분함량이 8 - 12% 바람직하게는 10%이하가 되도록 건조하여 불발효된 차를 얻는다. 이때, 수분이 10%이하가 되어야만 나중에 보관할 경우 미생물, 특히 곰팡이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비벼진 석창포 잎을 건조하는 과정은 석창포 잎을 덖어서 건조하거나 마이크로웨이브에 노출시켜 건조할 수 있다. 석창포 잎을 덖어서 건조할 경우 석창포 잎이 타지 않도록 약한 불(대략 160℃ 이하)에서 자주 저어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마이크로웨이브에 노출시켜 건조할 경우, 마이크로웨이브을 발생시키는 장치는 대략 700W의 출력, 2450MHz의 주파수 그리고 건조시간은 3-5분, 바람직하게는 4분 정도 건조한다. 그리고,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여 건조할 경우 2분 가열한 후 석창포 잎을 뒤집고, 다시 2분 가열한다. 이는 석창포 잎을 마이크로웨이브에 연속하여 노출할 경우 잎이 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여 건조할 겨우 건조시간과 출력, 주파수 등은 석창포잎의 양 또는 장치에 따라 충분히 가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석창포 잎을 먼저 높은 온도에서 8분간 가열하고 조금더 낮은 온도에서 다시 가열하는 등 단계적으로 고온에서 저온으로 온도를 낮추는 것은, 처음에 강한 열로 하는 덖어서 효소를 빨리 불활성화 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비빈 뒤 다시 덖는 것을 반복하는 것은 그러한 과정을 통해서 잎에 원래 있던 향기 성분 이외에도 열에 덖음으로 인해 구수한 향기 성분이 생성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잎에 들어있는 당과 단백질 등이 열에 의해서 변성이 생겨서 구수한 향기가 생성되도록 한다. 이는 우리나라 사람들은 이렇게 구수한 맛과 향이 있는 차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석창포 잎을 고온에서 덖고 강하게 비비는 것은 석창포의 잎이 녹차와 같은 여린 차보다 훨씬 단단하고 강하기 때문에 녹차보다 훨씬 강한 조건이 필요한 것이다.
한편, 고온에서 저온으로, 장시간에서 단시간으로 단계적으로 덖고 비비는 것을 반복하는 것은, 한꺼번에 강한 온도로 오랜시간 열처리를 하면 잎이 다 타버릴 수가 있기 때문에 식혔다가 다시 비비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이다.
둘째, 석창포 잎을 수증기로 쪄서 불발효차를 제조하는 방법
세절한 석창포 생잎 500g을 증열기에 넣고 100℃의 고압증기를 통과시켜 9 - 11분 바람직하게는 10분 동안 석창포 잎을 익힌다. 익힌 후 곧바로 냉각시킨다. 이때 바로 냉각을 시키지 않고 연속처리하면 색이 좋지 않고 향이 감소한다.
이어서, 140℃ - 160℃ 바람지하게는 150℃로 솥에 넣고 8 - 12분 바람직하게는 10분 동안 덖은 후 장갑 낀 손으로 대략 20분 동안 손으로 비볐을 때 잎이 살짝 부수어 지는 정도까지 비빈다. 그리고, 잎의 수분함량이 8 - 12% 바람직하게는 10%이하가 될 때까지 건조하여 불발효된 차를 완성한다.
건조방식은 전술한 방식을 이용한다.
셋째, 석창포 잎을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여 가열하여 불발효차를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석창포 잎을 마이크로웨이브에 노출시킬 경우, 마이크로웨이브을 발생시키는 장치는 대략 700W의 출력, 2450MHz의 주파수를 사용한다. 즉, 세절한 석창포 생잎 500g을 마이크로웨이브 오븐에 넣고 2450MHz, 700W의 마이크로웨이브에 6 - 1분, 바람직하게는 4분 정도 노출시켜 건조한다. 이렇게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여 4분간 가열하는 경우 2분 가열한 후 석창포 잎을 뒤집고, 비빈 후 다시 2분 가열한다. 이는 석창포 잎을 마이크로웨이브에 연속하여 노출할 경우 잎이 타는 것을 방지하고, 세포를 파괴하여 효소의 용출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여 석창포 잎을 가열하고 건조할 겨우 건조시간과 출력, 주파수 등은 석창포잎의 양 또는 장치에 따라 충분히 가별 될 수 있다. 이때, 노출시간이 길 경우 석창포 잎의 수분이 다량으로 증발되어 원하는 수분함량의 석창포 잎을 얻을 수 없다. 따라서 노출시간은 전술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오븐의 출력이나 주파 수, 석창포 잎의 양 등을 감안하여 결정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여 불발효차를 제조할 경우 석창포 잎을 솥에서 덖는 과정이 생략될 수 있다.
한편, 발효차를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발효차는 반발효차와 완전발효차가 있다.
즉, 석창포 잎을 이용한 발효차는 잎을 수확한 후 잎 조직의 효소에 의한 발효과정을 거친 후에 열처리하여 효소를 불활성화 시킨다. 발효의 정도에 따라 반발효와 완전발효차를 제조 할 수 있다.
이때, 발효차를 제조하기 위한 열처리 방법은 솥에서 덖는 방법과 고압증기를 이용해 찌는 방법,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여 가열하는 방법 등 세가지 방법을 다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반발효차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세절한 석창포 잎 500g을 장갑 낀 손으로 9 - 12분 동안 바람직하게는 10분 동안 강하게 비빈 후 소쿠리에 보자기를 깔고 석창포의 잎을 담는다 이어서 뚜껑을 덮고 기온이 온화한 그늘에서 잎이 부드러워 질 때까지 13 - 17시간 바람지하게는 15시간 동안 발효시킨다. 소쿠리가 없는 경우는 신문지를 사용하여도 된다. 발효를 시킬 때에는 약 2시간 마다 주기적으로 석창포의 잎을 잘 섞어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석창포 잎의 수분함량이 약 60 - 70% 바람직하게는 65%가 되면 발효를 끝낸다.
그리고, 240℃ - 260℃ 바람직하게는 250℃ 온도의 솥에 넣어 8 - 12분 바람 직하게는 10분간 덖은 후 장갑 낀 손으로 대략 18 - 22분 바람직하게는 20분 동안 비빈다. 비비는 정도는 손으로 비볐을 때 잎이 살짝 부수어 지는 정도까지가 좋다. 이어서 수분함량이 8 - 12% 바람직하게는 10%이하가 될 때까지 건조하여 완성한다.
건조방식은 전술한 바와 같이 덖거나 마이크로웨이브에 노출시켜 건조한다.
한편, 전술한 반발효차의 제조방법에서 발효가 끝난 석창포 잎을 마이크로웨이브에 6 - 1분 동안 노출시켜 가열(열처리)하여 반발효차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석창포 잎이 마이크로웨이브에 장시간 노출될 경우 과도하게 열처리될 수 있으므로 출력이나 주파수에 따라 가변적이지만 대략 2분 정도 노출시킨 후 뒤집거나 섞은 후 다시 2분 동안 가열하는 것을 반복하여 원하는 열처리 상태를 얻을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마이크로웨이브에 노출시켜 건조시킬 수 있다.
그리고, 완전발효차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세절한 석창포의 잎을 표면에 거친 흠집이 많는 알루미늄 판에 18 - 22분간 바람직하게는 20분간 문질러서 상처를 낸다. 이어서 소쿠리에 보자기를 깔고 잎 표면에 상처가 난 석창포의 잎 500g을 담은 후 뚜껑을 덮고 기온이 온화한 그늘에서 11 - 13시간 바람직하게는 12시간 발효시킨다. 스프레이로 증류수를 분무하고 다시 장갑 낀 손으로 18 - 22분 바람직하게는 20분간 강하게 비빈 후 다시 23 - 25시간 바람직하게는 24시간 발효시킨다. 발효를 시킬 때에는 약 6시간 마다 주기적으로 스프레이로 증류수를 분무하고 나서 석창포의 잎을 잘 섞어준다. 소쿠리가 없는 경우는 신문지를 사용하여도 된다. 발효가 끝나면 240℃ - 260℃ 바람직하게는 250℃로 솥에 넣고 8 - 12분 바람직하게는 10분간 덖은 후 장갑 낀 손으로 4 - 6분 바람 직하게는 5분 동안 비빈다. 비비는 정도는 손으로 비볐을 때 잎이 살짝 부수어 지는 정도까지가 좋다. 이어서 수분함량이 8 - 12% 바람직하게는 10%이하가 될 때까지 건조하여 완성한다.
한편, 전술한 완전발효차의 제조방법에서 발효가 끝난 석창포 잎을 마이크로웨이프에 6 - 1분 동안 노출시켜 가열(열처리)한 후 비비고 건조하여 완전발효차를 얻을 수 있다. 즉, 발효가 끝난 석창포 잎을 솥에서 덖지 않고 마이크로웨이브로 열처리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완전발효차의 제조방법과 같다.
그리고, 완전발효차의 건조방식은 전술한 바와 같이 덖거나 마이크로웨이브에 6 - 1분 동안 노출시켜 건조한다. 이와 같이 마이크로웨이브에 노출시켜 건조할 경우 대략 2분 동안 건조하고 뒤집은 후 다시 2분 동안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장시간 마이크로웨이브에 노출될 경우 석창포 잎이 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1-2분 간격으로 노출시켜 열처리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완성된 차는 그대로 뜨거운 물에 용출시켜 음용하기도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 분쇄기로 갈아 티백에 넣은 후 뜨거운 물에 용출시켜 음용할 수도 있다.
한편, 반발효차나 완전발효차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는 방법이 제시된다.
이하, 본 발명을 아래의 실험 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험 예 1: 석창포 잎으로 제조한 차의 아사론 성분 함량 측정
석창포는 예로부터 머리를 맑게 해준다고 하여 총명탕의 주재료로 사용되어 왔으며 이러한 약리 작용은 석창포의 정유성분인 아사론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본 실험 예에서는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차 제품과 석포 생잎 및 자연건조물에 함유되어 있는 아사론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먼저 차제품, 석창포 생잎, 자연건조물 등 시료 2g을 연속추출장치에 넣고 pentane 100와 dichloromethane 50를 넣은 후 60로 2시간동안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분액여두에 넣고 증류수 100를 가하여 세척하고 얻은 유기용매 층에 탈수제를 넣어 수분을 제거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용매 추출물을 질소농축한 후 dichloromethane으로 녹여서 GC/MS로 분석하였다. 이때의 GC/MS분석 조건은 다음과 같다.
GC /MS 분석조건
GC GC - 2010 SHIMADZU
Column SPB - 1 (0.25 id × 30m)
Column 온도 65에서 1분 유지, 65에서 230까지 5/min로 승온, 230에서 10분 유지
주입구/검출기(FID) 205/270
이동상 가스 질소, split ratio 1:50
GC/MS 이온화 전압 Mass range QP2010 SHIMADZU 70eV 30-300 m/z
이 방법을 통하여 분석한 각 시료의 아사론 함량은 다음의 표 1와 같다. 표 1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석창포의 생잎, 자연건조물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불발효차 타입과 발효차 타입의 석창포 잎차에는 아사론(asarone)이 석창포 생잎 기준 100g당 각각 11.93㎎, 20.14㎎, 24.45㎎, 50.05㎎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나 발명의 실시 예에 제시한 바와 같이 효소 발효를 오래 진행시켜 제조한 차일수록 아사론 함량이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표 1.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효시간에 따른 아사론의 함량 변화
Figure 112007054814553-PAT00001
실험 예 2: 석창포 잎으로 제조한 차의 가바 성분 함량 측정
가바(GABA, gama aminobutyric acid)성분은 아미노산의 일종으로 뇌의 산소 공급량을 증가시킴으로서 뇌세포의 대사기능을 촉진시키고 신경을 안정시키며 불안감을 해소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 본 실험 예에서는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차 제품과 석창포의 생잎 및 자연건조물의 가바성분 함량을 측정하였다.
먼저 차제품, 석창포 생잎, 자연건조물 등 시료 2g을 막자사발에 넣고 준비 된 액화질소를 이용하여 마쇄하였다. 마쇄된 샘플에 메탄올 : 클로로포름 : 물 = 12 : 5 : 3의 혼합액 50을 가하여 혼합한 후, 원심분리(12,000rpm, 15min, 4)하여 상등액을 취하였다. 상등액을 취하고 남은 침전물은 클로로포름 : 물 = 3 : 5의 혼합액 50을 가하고 혼합한 후 원심분리(12,000rpm, 15min, 4)하여 재차 상등액을 취하였다. 얻어진 두가지 상등액을 혼합한 후 다시 한번 원심분리(12,000rpm, 15min, 4)하여 상등액 취한 후 소량의 메탄올과 혼합한 후 동결건조하였다. 동결건조한 시료를 소량의 물로 용해시킨 후 PITC derivating reagent(EtOH:Water:Triethyl amine:Phenyl isothiocyanate=7:1:1:1) 100을 가하여 20분간 상온에서 반응시켰다. 이어 EtOH : D.W = 7 : 1로 혼합된 용매 2ml을 넣고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킨 다음 질소 농축하여 분석용 최종 시료로 하였다. 이 최종 시료를 HPLC 분석시 사용하는 solvent A 용액으로 녹인 후 0.45 PVDF 필터(Millipore)를 이용하여 여과하고 이를 HPLC로 분석하여 가바의 함량을 구하였다. 이때의 HPLC분석 조건은 다음과 같다.
GABA 함량 분석을 위한 HPLC 조건
Column Phenomenex Luna 5u C18
Mobile phase Sovent A 1.4mM sodium acetate, 0.1%TEA, 6% acetonitrile, pH 6.1
Sovent B 60% acetonitrile
Flow rate 1.2ml/min
Detector 254nm
이 방법을 통하여 분석한 각 시료의 아사론 함량은 다음의 표 2와 같다. 표 2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석창포의 잎의 생잎, 자연건조물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불발효차 타입과 발효차 타입의 석창포 잎차에는 가바 함량이 석창포 생잎 기준 100g당 각각 12.44㎎, 54.71㎎, 31.43㎎, 62.42㎎으로 발효차 타입의 석창포 잎차에서 가바성분이 제일 많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제시한 효소 발효의 과정 중에 다량의 가바가 생성됨이 확인되었다.
표 2.
Figure 112007054814553-PAT00002
실험 예 3: 석창포 잎과 석창포 잎으로 제조한 차의 카페인 성분 측정
카페인(GABA, gama aminobutyric acid)은 중추신경 흥분, 강심, 이뇨 등의 효과가 있으며 소량으로는 피로회복의 효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중독성이 있으며 다량 복용할 시에는 중추신경 및 호흡의 흥분이 과다하게 일어나는 부작용이 있다. 대표적인 기호음료인 커피와 차에는 이러한 카페인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필요이상의 흥분 작용을 일으키기 때문에 카페인이 없는 또는 카페인 함량이 낮 은 기호 음료를 개발하고자 하는 노력 또한 계속되고 있다.
본 실험 예에서는 석창포의 생잎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차 제품의 카페인 함량을 측정하였다. 먼저 석창포의 생잎과 석창포 잎차 제품 5 g을 100 증류수 100에 2분간 추출한후 Sep-pak C18 cartridge에 5씩 통과시켰다. 이어서 Sep-pak C18 cartridge가 마르지 않도록 하면서 증류수로 세척한 다음. HPLC 이동상 용매 15로 용출하였다. 용출액을 0.45 membrane filter로 여과한 후 HPLC에 주입했다. 이때의 HPLC분석 조건은 다음과 같다.
카페인 분석을 위한 HPLC 조건
Column Phenomenex Luna 5u C18
Mobile phase Methanol : Acetic acid : Water
( 20 : 1 : 79 )
Flow rate 1.2ml/min
Detector 280nm
Injection Vol. 10μL
그 결과 석창포의 잎과 제품에서 카페인이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아래 표 3은 카페인 표준품과 석창포 잎의 카페인 분석을 위한 LPLC 크로마토그램이며 석창포 잎의로 제조한 차제품의 크로마토그램도 석창포 잎의 크로마토그램과 동일하게 나타났다.
표 3
Figure 112007054814553-PAT00003
실험예 4: 석창포 잎으로 제조한 차의 관능평가 실험
본 실험예 4에서는 상기의 실시예 의하여 제조된 각 종류의 석창포 잎차(불발효차 타입, 반발효차 타입, 발효차타입)와 생잎 및 자연건조잎에 대하여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일반인 17명, 차 전문인 18명(차 문화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각 종류의 석창포차를 100 물 150에 5분간 우려서 시음하도록 하였다. 관능평가는 차에 대하여 비교적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는 목포대학교 차문화학과 대학원생(차전문인 그릅) 18명과 에 차에 대하여 음용 경험이 비교적 적은 일반인 (일반인 그릅) 17명을 훈련시킨 후, 실험에 응하도록 하였다. 차전문인과 일반인의 분반은 전문지식 이외에 하루에 10잔이상의 차를 마시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을 기준으로 하여 그릅을 나누었다. 관능평가 방식은 석창포의 잎으로 제조된 각각의 시료 15 g을 약 90 물 150에 5분간 우려서 시음하도록 하였으며 시료의 번호는 세자리 숫자의 난수표 방식을 사용하였다. 관능평가의 항목은 맛, 색, 향, 종합적인 기호도로 설정하였으며, 5점 평점법에 의하여 수치가 클수록 기호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하였다. (5점: 매우 좋다, 1점: 매우 나쁘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실시한 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석창포 잎차와 생잎 및 자연건조잎에 대한 관능평가 결과를 다음에 나타내었다. 다음의 결과처럼 생잎 또는 생잎을 자연건조 시킨 것보다 본 발명의 예에 제시한 제조과정을 통해 제조한 차제품이 전반적으로 선호도가 높았으며 특히, 불발효차 중 덖음 방식으로 효소를 불활성화 시킨 차와 발효차가 차 전문인과 일반인 모두에게 높은 평가를 받았다. 특히 일반인은 덖음방식의 불발효차를, 차 전문인은 발효차를 좀 더 선호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석창포 잎차의 관능평가
일반인
생잎 자연건조 불발효차 약발효차 발효차
찐차 덖음차
2.44 2.50 3.06 3.09 3.25 2.00
2.94 3.06 3.00 3.38 3.13 3.38
색깔 2.94 3.44 3.19 3.38 3.38 2.50
전체평가 2.79 2.93 3.15 3.36 3.13 3.21
차 전문인
생잎 자연건조 불발효차 약발효차 발효차
찐차 덖음차
3.00 2.72 2.78 3.11 2.94 3.06
3.00 2.94 2.89 3.51 2.83 3.60
색깔 2.89 2.83 3.06 3.39 2.94 3.67
전체평가 2.08 2.83 2.86 3.27 3.00 3.38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 예에 의한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실시 예에 의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실시 예에 의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실시 예에 의한 순서도.

Claims (22)

  1. 채취되어 이물질이 제거되고 세절된 석창포 잎을 적어도 3회 이상 덖고 비비는 작업을 반복하되, 석창포 잎의 효소가 불활성화되도록 석창포 잎을 250℃ - 100℃의 온도범위 그리고 9 - 1분의 시간범위 내에서 온도와 시간을 단계적으로 낮추어 덖고 비비는 단계; 및
    상기 단계를 거친 석창포 잎을 수분함량이 8 - 12%이하가 되도록 건조시켜 불발효된 차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창포 잎을 이용한 차 제조방법.
  2. 채취되어 이물질이 제거되고 세절된 석창포 잎을 적어도 3회 이상 마이크로웨이브에 노출시겨 가열하고 비비는 작업을 반복하되, 석창포 잎의 효소가 불활성화되도록 석창포 잎을 4 - 1분의 범위 내에서 단계적으로 낮추어 가열하고 비비는 단계; 및
    상기 단계를 거친 석창포 잎을 수분함량이 8 - 12%이하가 되도록 마이크로웨이브에 4 - 1분 동안 노출시켜 석창포 잎의 수분함량이 8 - 12% 이하가 되도록 건조하여 불발효된 차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창포 잎을 이용한 차 제조방법.
  3. 채취된 석창포 잎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고 세절하는 단계;
    석창포 잎의 효소가 불활성화되도록 석창포 잎을 230℃ - 250℃의 고온에서 7 - 9분 동안 1차 덖은 후 털면서 식히는 단계;
    상기 단계를 거친 석창포 잎의 세포가 파괴되어 성분의 용출이 용이하도록 석창포 잎을 손으로 강하게 1차 비비는 단계;
    상기 단계를 거친 석창포 잎을 140℃ - 160℃에서 4 - 6분 동안 2차 덖은 후 털면서 식히는 단계;
    상기 단계를 거친 석창포 잎의 세포가 파괴되도록 손으로 2차 비비는 단계;
    상기 단계를 거친 석창포 잎을 100℃에서 1 - 3분 동안 3차 덖은 후 털면서 식히는 단계;
    상기 단계를 거친 석창포 잎의 세포가 파괴되도록 손으로 3차 비비는 단계; 및
    상기 단계를 거친 석창포 잎의 수분함량이 8 - 12% 이하가 되도록 건조하여 효소가 불발효된 차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창포 잎을 이용한 차 제조방법.
  4. 채취된 석창포 잎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고 세절하는 단계;
    석창포 잎의 효소가 불활성화되도록 석창포 잎을 마이크로웨이브에 4 - 1분 동안 노출시켜 가열한 후 털면서 식히는 단계;
    상기 단계를 거친 석창포 잎의 세포가 파괴되어 성분의 용출이 용이하도록 석창포 잎을 손으로 강하게 1차 비비는 단계;
    상기 단계를 거친 석창포 잎을 마이크로웨이브에 4 - 1분 동안 노출시켜 가열한 후 털면서 식히는 단계;
    상기 단계를 거친 석창포 잎의 세포가 파괴되도록 손으로 2차 비비는 단계;
    상기 단계를 거친 석창포 잎을 마이크로웨이브에 4 - 1분 동안 노출시켜 가열한 후 털면서 식히는 단계;
    상기 단계를 거친 석창포 잎의 세포가 파괴되도록 손으로 3차 비비는 단계; 및
    상기 단계를 거친 석창포 잎을 마이크로웨이브에 4 - 1분 동안 노출시켜 석창포 잎의 수분함량이 8 - 12% 이하가 되도록 건조하여 효소가 불발효된 차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창포 잎을 이용한 차 제조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3차 비비는 단계는 석창포 잎의 일부가 부서지는 정도까지만 비비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창포 잎을 이용한 차 제조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3차 비비는 단계는 석창포 잎의 일부가 부서지는 정도까지만 비비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창포 잎을 이용한 차 제조방법.
  7. 이물질이 제거되고 세절된 석창포 잎의 효소가 불활성화되도록 100℃의 증기로 9 - 11분 동안 익힌 곧바로 냉각시키는 단계;
    상기 단계를 통해 익혀지고 냉각된 석창포 잎을 140℃ - 160℃에서 8 - 12분 간 덖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덖은 석창포 잎으로부터 효소의 용출이 용이하도록 세포를 파괴하기 위하여 손으로 비비는 단계; 및
    상기 단계를 거친 석창포 잎을 수분함량이 8 - 12%이하가 되도록 건조시켜 불발효된 차를 얻는 단계;를 포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창포 잎을 이용한 차 제조방법.
  8. 이물질이 제거되고 세절된 석창포 잎의 효소가 불활성화되도록 100℃의 증기로 9 - 11분 동안 익힌 곧바로 냉각시키는 단계;
    상기 단계를 통해 익혀지고 냉각된 석창포 잎을 마이크로웨이브에 4 - 1분 동안 노출시켜 가열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가열된 석창포 잎으로부터 효소의 용출이 용이하도록 세포를 파괴하기 위하여 손으로 비비는 단계; 및
    상기 단계를 거친 석창포 잎을 수분함량이 8 - 12%이하가 되도록 마이크로웨이브에 4 - 1분 동안 노출시켜 건조시여 불발효된 차를 얻는 단계;를 포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창포 잎을 이용한 차 제조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비비는 단계는 석창포 잎의 일부가 부서지는 정도까지만 비비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창포 잎을 이용한 차 제조방법.
  10. 이물질이 제거되고 세절한 석창포 잎을 장갑 낀 손으로 9 - 11분 동안 강하게 1차 적으로 비비는 단계;
    비비는 단계를 거친 후 세포가 파괴된 석창포 잎을 소쿠리에 보자기를 깔고 담아 그늘에서 13 - 17시간 동안 발효시키되, 수분함량이 60 - 70%가 될 때까지만 발효시키는 단계;
    발효된 석창포 잎을 240℃ - 260℃에서 8 - 12분 동안 덖는 단계;
    덖은 석창포 잎을 세포가 파괴되도록 18 - 22분 동안 비비는 단계; 및
    비벼진 석창포 잎을 수분함량이 8 - 12%이하가 되도록 건조하여 반 발효된 차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창포 잎을 이용한 차 제조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발효시키는 단계는 주기적으로 석창포 잎을 섞고 뒤집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창포 잎을 이용한 차 제조방법.
  12. 이물질이 제거되고 세절한 석창포 잎을 장갑 낀 손으로 9 - 11분 동안 강하게 1차 적으로 비비는 단계;
    비비는 단계를 거친 후 세포가 파괴된 석창포 잎을 소쿠리에 보자기를 깔고 담아 그늘에서 13 - 17시간 동안 발효시키되, 수분함량이 60 - 70%가 될 때까지만 발효시키는 단계;
    발효된 석창포 잎을 마이크로웨이브에 4 - 1분 동안 노출시켜 가열하는 단계;
    마이크로웨이브에 노출되어 가열된 석창포 잎을 세포가 파괴되도록 18 - 22분 동안 비비는 단계; 및
    비벼진 석창포 잎을 수분함량이 8 - 12%이하가 되도록 마이크로웨이브에 4 - 1분 동안 노출시켜 건조하여 반 발효된 차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창포 잎을 이용한 차 제조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발효시키는 단계는 주기적으로 석창포 잎을 섞고 뒤집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창포 잎을 이용한 차 제조방법.
  14. 세절한 석창포의 잎을 표면이 거친 흠집이 많은 알루미늄 판에 18 - 22분간 문질러서 상처를 내는 단계;
    상처가 난 석창포 잎을 소쿠리에 보자기를 깔고 담아 그늘에서 11 - 13시간 동안 1차 발효시키는 단계;
    발효된 석창포 잎에 증류수를 분무한 후 장갑 낀 손으로 18 - 22분간 강하게 1차 비비는 단계;
    1차 비벼진 석창포 잎을 23 - 25시간 동안 2차 발효시키는 단계;
    발효가 완료된 석창포 잎을 240℃ - 260℃에서 8 - 12분간 덖는 단계;
    덖은 석창포 잎을 장갑 낀 손으로 4 - 6분 동안 2차 비비는 단계; 및
    2차 비벼진 석창포 잎을 수분함량이 8 - 12%이하가 될 때까지 건조하여 완전발효된 차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창포 잎을 이용한 차 제 조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2차 발효 단계는 주기적으로 증류수를 분무한 후 섞는 뒤집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창포 잎을 이용한 차 제조방법.
  16. 세절한 석창포의 잎을 표면이 거친 흠집이 많은 알루미늄 판에 18 - 22분간 문질러서 상처를 내는 단계;
    상처가 난 석창포 잎을 소쿠리에 보자기를 깔고 담아 그늘에서 11 - 13시간 동안 1차 발효시키는 단계;
    발효된 석창포 잎에 증류수를 분무한 후 장갑 낀 손으로 18 - 22분간 강하게 1차 비비는 단계;
    1차 비벼진 석창포 잎을 23 - 25시간 동안 2차 발효시키는 단계;
    발효가 완료된 석창포 잎을 마이크로웨이브에 4 - 1분 동안 노출시켜 가열하는 단계;
    마이크로웨이브에 노출되어 가열된 석창포 잎을 장갑 낀 손으로 4 - 6분 동안 2차 비비는 단계; 및
    2차 비벼진 석창포 잎을 수분함량이 8 - 12%이하가 될 때까지 마이크로웨이브에 4 - 1분 동안 노출시켜 건조하여 완전발효된 차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창포 잎을 이용한 차 제조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2차 발효 단계는 주기적으로 증류수를 분무한 후 섞는 뒤집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창포 잎을 이용한 차 제조방법.
  1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석창포 잎을 건조하는 단계는 석창포 잎을 덖어서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창포 잎을 이용한 차 제조방법.
  1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석창포 잎을 건조하는 단계는 석창포 잎을 마이크로웨이브에 4 - 1분 동안 노출시켜 건조하되, 1 - 2분 동안 노출시켜 가열한 후 뒤집고, 다시 1 - 2분 동안 노출하여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창포 잎을 이용한 차 제조방법.
  2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7 중 어느 한 항에 의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창포 잎을 이용한 차.
  21. 청구항 18에 의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창포 잎을 이용한 차.
  22. 청구항 19에 의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창포 잎을 이용한 차.
KR1020070075533A 2007-07-27 2007-07-27 석창포 잎을 이용한 차 및 그 제조방법 KR100913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5533A KR100913448B1 (ko) 2007-07-27 2007-07-27 석창포 잎을 이용한 차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5533A KR100913448B1 (ko) 2007-07-27 2007-07-27 석창포 잎을 이용한 차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690A true KR20090011690A (ko) 2009-02-02
KR100913448B1 KR100913448B1 (ko) 2009-08-25

Family

ID=40682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5533A KR100913448B1 (ko) 2007-07-27 2007-07-27 석창포 잎을 이용한 차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344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2710B1 (ko) * 2010-12-29 2013-01-15 원주시 다래나무 순을 이용한 녹차제조방법
KR101328105B1 (ko) * 2011-11-21 2013-11-13 신동현 사탕수수추출 천연 설탕과 솔잎을 이용한 쓴맛과 풋 냄새가 제거된 감잎차 제조 방법
KR20190054333A (ko) * 2017-11-13 2019-05-22 임수경 무 카페인 에너지 음료액
CN114847375A (zh) * 2022-06-15 2022-08-05 凯乐康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冲泡式明目茶饮包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9512B1 (ko) 2009-11-24 2011-08-26 (재)남해마늘연구소 마늘잎차의 제조방법
KR101192905B1 (ko) 2010-06-07 2012-10-18 장욱덕 냉동 산나물 제조방법
KR101395692B1 (ko) 2012-07-25 2014-05-15 강원도 녹색을 유지하는 묵나물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9808B1 (ko) * 2000-08-22 2005-04-06 최이분 녹차잎을 이용한 발효차 제조방법
KR20020088320A (ko) * 2001-05-21 2002-11-27 임흥준 수제녹차 제조방법
KR100432930B1 (ko) * 2001-11-22 2004-05-27 고영옥 구황차(九黃茶) 및 그 제조방법
KR100567620B1 (ko) * 2004-02-27 2006-04-05 이숙영 기능성 동백엽차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2710B1 (ko) * 2010-12-29 2013-01-15 원주시 다래나무 순을 이용한 녹차제조방법
KR101328105B1 (ko) * 2011-11-21 2013-11-13 신동현 사탕수수추출 천연 설탕과 솔잎을 이용한 쓴맛과 풋 냄새가 제거된 감잎차 제조 방법
KR20190054333A (ko) * 2017-11-13 2019-05-22 임수경 무 카페인 에너지 음료액
CN114847375A (zh) * 2022-06-15 2022-08-05 凯乐康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冲泡式明目茶饮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3448B1 (ko) 2009-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3448B1 (ko) 석창포 잎을 이용한 차 및 그 제조방법
CN104082768A (zh) 一种茉莉花香的卤制凤爪及其制备方法
KR101166884B1 (ko) 당귀, 천궁, 작약, 숙지황, 홍삼, 감초 및 대추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5192235A (zh) 一种罗汉果薄荷糖及其制作方法
KR102128913B1 (ko) 갈비탕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갈비탕
KR20070100066A (ko) 노화방지에 효능이 있는 생약재 조성물 및 이를 티백형태로 제조하는 방법
KR101037572B1 (ko) 복분자를 이용한 발효분말 제조방법
KR102361720B1 (ko) 청미래덩굴차 및 그 제조방법
CN106173021A (zh) 一种暖胃麦香苦荞茶饮及其制备方法
CN107594013A (zh) 一种蒲公英黑茶及其生产方法
KR20060090140A (ko) 과자모형의 청국장 제조방법
CN107047877A (zh) 一种复方桑叶茶及其制备方法
KR101962386B1 (ko) 황태 된장의 제조 방법
CN105462787A (zh) 一种黑豆糯米酒的酿制方法
KR20160146198A (ko) 황칠된장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황칠된장
KR100701869B1 (ko) 가공 마늘의 제조방법 및 이의 마늘을 함유한 마늘 가공식품
CN106173082A (zh) 一种清热消炎麦香苦荞茶饮及其制备方法
CN106234693A (zh) 一种提神清热麦香苦荞茶饮及其制备方法
KR101199065B1 (ko) 죽순과 녹차잎이 함유된 면의 제조 방법
KR101433888B1 (ko) 밤을 주재로 하는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CN106260340A (zh) 一种养颜补血枣香苦荞茶饮及其制备方法
KR102176756B1 (ko) 녹용 홍삼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녹용 홍삼액
CN106035914A (zh) 一种排毒苦荞茶饮及其制备方法
KR102448023B1 (ko) 당귀뿌리 차 제조방법
KR100297244B1 (ko) 치커리를 이용한 인스탄트형 분말차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