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9640A - 감식용 점착 시트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감식용 점착 시트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9640A
KR20080109640A KR1020080054645A KR20080054645A KR20080109640A KR 20080109640 A KR20080109640 A KR 20080109640A KR 1020080054645 A KR1020080054645 A KR 1020080054645A KR 20080054645 A KR20080054645 A KR 20080054645A KR 20080109640 A KR20080109640 A KR 200801096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tive adhesive
meth
adhesive sheet
pressure
acry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4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노리 우에스기
에이지 야마나까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109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96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pressure-sensitive, i.e.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16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use of irradi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09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including irradiated or wave energy treated compon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착제층의 후막 도공이 용이하며, 채취 대상물의 표면이 수분으로 젖어 있는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고, 제조 공정에서 유기 용제를 이용하지 않는, 채취 대상물 표면의 파손을 억제한 감식용 점착 시트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각화된 흔적을 점착제층의 표면에 전사하여 채취하는 감식용 점착 시트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이 a) 주단량체로서 알킬기의 평균 탄소수 1 내지 14의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b)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c) 광 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광 조사하여 형성되며, 상기 점착제층의 겔 분율이 50 중량% 이상이고, 상기 점착제층의 스테인레스판에 대한 점착력이 0.1 내지 2.0 N/2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식용 점착 시트가 제공된다.
감식용 점착 시트, 점착체층,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Description

감식용 점착 시트 및 그의 제조 방법{ADHESIVE SHEET FOR IDENTIFICA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미분말을 솔 등으로 도포하는 방법 또는 용액 중에 분산시킨 미분말을 분무하는 방법 등으로 시각화한 지문, 발자국, 타이어 흔적 등의 흔적을 점착면에 전사시켜 채취하는 데에 사용하는 감식용 점착 시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지문, 발자국 등을 채취하는 방법으로서는, 채취 대상면에 알루미늄 등의 분말을 솔 등으로 도포하여 지문의 흔적 부분에 부착시킨 분말을 채취하는 방법, 또는 사삼산화철과 계면활성제를 물에 녹인 용액을 흔적 부분에 도포하여 흔적 부분에 부착된 사삼산화철을 점착 시트 등을 이용하여 채취하는 방법 등이 알려져 있다.
종래, 지문 등의 채취에 사용되는 감식용 점착 시트로서는, 투명 필름의 한쪽면에 우레탄계 점착 시트를 도포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내지 4 참조). 우레탄계 점착 시트는 내열성, 내한성, 내수성을 갖기 때문에 감식용 점착 시트로서 주로 사용되어 왔다. 그 밖에 지문 검출 또는 지문 채취용 시트로서 하기 특허 문헌 5 내지 8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지문 융선(隆線) 부분에 알루미늄 분말 등을 부착시켜 부상시킨 지문 흔적을 감식용 점착 시트에 충분히 전사시키기 위해서는, 점착제층의 두께를 어느 정도 두껍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기 감식용 점착 시트에서는, 이들 점착제층은 통상 용제로 희석한 점착제 용액을 도포하고, 이 점착제 용액 중의 용제를 건조시킴으로써 형성되는 것이고, 후막 도공을 행하면 점착제층의 표면에 건조된 점착제층막이 형성됨으로써, 내부 용제가 건조되지 않고, 점착제층이 크레이터상이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 문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점착제층을 적층하는 수법(예를 들면, 특허 문헌 3 참조) 등이 제안되어 있지만, 점착제층을 적층하는 횟수만큼 도포 또는 건조의 공정이 필요하므로 생산 공정수가 많아지는 것이었다.
또한, 종래 아크릴계 점착제를 이용한 감식용 점착 시트(예를 들면, 특허 문헌 8)에서는 요철의 급경사 융기면에 부착된 지문을 채취하는 경우, 채취 대상면에 아크릴계 점착 시트를 밀접시키면, 각 등의 급경사면 변화 개소에서 점착제층이 늘어져 박육화되고 그 개소에서의 점착제량이 부족하여 정확한 채취가 어려워졌다. 한편, 점착제층을 두껍게 하면 그만큼 점착력이 상승되고, 아크릴계 점착제 본래의 높은 점착력과 함께 채취 대상면의 도장 박리 등, 특히 오래된 도장면 등에서는 현상 파손이 생기기 쉬워졌다.
한편, 사삼산화철, 운모 등의 용액(분산액)을 이용하는 습식법에서는, 지문 등의 흔적 이외의 부분에 잔류하는 사삼산화철 등을 수세 등으로 제거할 필요가 있고, 수세 후의 건조에 장시간이 소요되는 경우가 있었다. 예를 들면, 지문을 채취 하는 대상이 자동차인 경우, 건조되기까지 5 시간이나 걸리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우천의 경우에도 지문의 채취가 필요한 경우도 있어, 채취 대상물이 젖어 있는 상태라도 지문 등을 점착면에 충분히 전사시켜 채취할 수 있는 감식용 점착 시트가 요망되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 우레탄계 점착제 등을 이용한 감식용 점착 시트로서는, 채취 대상물의 표면이 수분으로 젖어 있는 경우, 지문 등의 접착력이 저하되며, 채취 대상물에 대하여 점착 시트의 어긋남이 생기기 쉬우므로 지문 등의 채취가 곤란하였다. 또한, 젤라틴계 감식용 점착 시트도 알려져 있지만, 젤라틴이 물에 용해되기 때문에 수분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었다.
다른 한편, 상기 종래 감식용 점착 시트에 사용되었던 우레탄계 점착제 등의 감압성 점착제의 제조시에 통상 다량의 유기 용제를 이용하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들 유기 용제의 안전성과 환경 보호의 관점에서 이러한 다량의 유기 용제의 사용을 중단하거나 또는 감소시키는 수법이 요구되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1-40299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94302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00060호 공보
[특허 문헌 4] 일본 특허 공개 제2003-89776호 공보
[특허 문헌 5] 일본 특허 공개 제2000-83929호 공보
[특허 문헌 6] 일본 특허 공개 (평)9-75329호 공보
[특허 문헌 7] 일본 특허 공개 제2004-187859호 공보
[특허 문헌 8] 일본 특허 공개 (평)3-80833호 공보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점착제층의 후막 도공이 용이하고, 채취 대상물의 표면이 수분으로 젖어 있는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으며, 제조 공정에서 유기 용제를 이용하지 않는, 채취 대상물 표면의 파손을 억제한 감식용 점착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점착제층의 후막 도공이 용이하고, 채취 대상물의 표면이 수분으로 젖어 있는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으며, 제조 공정에서 유기 용제를 이용하지 않는, 채취 대상물 표면의 파손을 억제한 감식용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이하에 나타내는 감식용 점착 시트에 의해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시각화된 흔적을 점착제층의 표면에 전사하여 채취하는 감식용 점착 시트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이 a) 주단량체로서 알킬기의 평균 탄소수 1 내지 14의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b)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c) 광 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광 조사하여 형성되며,
상기 점착제층의 겔 분율이 50 중량% 이상이고, 상기 점착제층의 스테인레 스판에 대한 점착력이 0.1 내지 2.0 N/2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메트)아크릴계 중합체란 아크릴계 중합체 및/또는 메타크릴계 중합체를 말한다. 또한,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란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및/또는 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말하고, (메트)아크릴레이트란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메타크릴레이트를 말한다.
본 발명의 감식용 점착 시트에 따르면, 실시예의 결과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술한 특정 성분을 포함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무용매형 광 중합성 점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광 조사하여 가교한 점착제층을 이용하기 때문에, 채취 대상물의 표면이 수분으로 젖어 있는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고, 채취 대상물 표면의 파손을 억제하게 된다. 상기 감식용 점착 시트가 이러한 특성을 발현하는 상세한 이유는 분명하지 않지만, 상술한 무용매형 광 중합성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함으로써, 이것을 빛으로써 가교시킨 점착제층은 응집력 및 점착력이 양호한 균형으로 부여되어, 감식용 점착 시트에 적합한 우수한 점착성 및 채취 대상물 표면의 파손 억제를 병립하여 실현하였다고 추측된다.
또한, 상기 감식용 점착 시트는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광 조사하여 얻어진 것이기 때문에, 제조 공정에서 유기 용제를 이용하지 않고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함으로써 점착제층의 후막 도공에 있어서 종래 내부 용제가 건조되지 않으며, 점착제층이 크레이터상이 된다고 하는 문제도 발생하지 않으며, 종래 점착제층을 적층하는 횟수만큼 도포 또는 건조의 공정이 필요하였던 수법에 비해 생산 공정수를 대폭 감소시키게 되었 다.
본 발명의 감식용 점착 시트는 상기 점착제층이 a) 주단량체인 탄소수 1 내지 14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b)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c) 광 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광 조사하여 형성되며, 상기 점착제층의 겔 분율이 50 중량% 이상이고, 상기 점착제층의 스테인레스판에 대한 점착력이 0.1 내지 2.0 N/2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용매형 광 중합성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함으로써 응집력 및 점착력이 양호한 균형으로 부여된 점착제층이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b)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란 1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반응성의 관능기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2개 이상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화합물)를 말하지만, 반응성 관능기로서는 수산기, 메틸올기 등과 반응하는 관능기를 들 수 있다. 상기 b)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를 이용함으로써 균형이 양호한 응집력 및 박리성을 얻을 수 있다고 추측된다.
상기 b)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1,2-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12-도데칸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b)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사용량은,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아크릴계 점착제층의 겔 분율이 50 중량% 이상이 되도록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겔 분율이 50 중량% 미만으로 하면 점착제층의 응집력이 부족하고, 피착체에 대한 풀(糊) 잔여물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가 감소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겔 분율은, 점착제 조성물 약 1 g을 정칭하여 이것을 아세트산에틸 약 40 g에 7 일간 침지시키고, 그 후 아세트산에틸에 대한 불용해분을 전부 회수하여 130 ℃에서 2 시간 건조시키고, 그 중량을 구하여 얻어진 수치를 이하의 식에 대입하여 산출하였다.
ㆍ불용해분(겔 분율)=(불용해분 중량/침지 전의 점착제 조성물의 중량)×100(중량%).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이 무용매형 광 중합에 의해 얻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함으로써 무용매형 광 중합성 점착제 조성물의 조정 및 중합률의 제어를 행하기 쉬워지며, 광 가교의 공정을 용이하면서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전체 단량체 중, a) 주단량체인 탄소수 1 내지 14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100 중량부에 대하여 d) 극성기 함유 단량체의 함유량이 4.5 중량부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d) 극성기 함유 중합성 단량체의 함유량을 규정함으로써, 균형이 양호한 응집력 및 박리성을 보다 확실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d) 극성기 함유 중합성 단량체란 분자 중에 극성이 큰 관능기를 함유하고, 중합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중합성 단량체로서 상기 b)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에 해당하지 않는 것을 말하지만, 극성이 큰 관능기로서는 카르복실기, 술포닐기, 수산기, 메틸올기 등의 관능기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감식용 점착 시트에 있어서는 상기 점착제층의 스테인레스판에 대한 점착력이 0.1 내지 2.0 N/20 mm이다. 상기 공정을 갖는 제조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이러한 범위의 감식용 점착 시트를 제조하는 것이 용이해지며, 점착력이 이 범위이면 전사ㆍ채취를 행할 때 박리 작업성도 양호해진다.
또한,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가 50 내지 5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이면 채취 대상면에 요철이 있는 경우에도 요철에 대한 추종성이 양호해진다.
또한, 상기 전사 대상이 흔적에 부착된 사삼산화철의 미분말인 것이 바람직하다. 사삼산화철의 미분말은 그의 분산액이 사용되기 때문에 수세가 필요하고, 본 발명과 같이 채취 대상물의 표면이 수분으로 젖어 있는 경우에도, 점착 시트가 어긋남을 일으키지 않고 시각화된 흔적을 선명하게 전사ㆍ채취할 수 있는 감식용 점착 시트가 특히 효과적이다.
한편, 본 발명은 시각화된 흔적을 점착제층의 표면에 전사하여 채취하는 감식용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a) 주단량체로서 알킬기의 평균 탄소수 1 내지 14의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b)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c) 광 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기재 상에 형성하는 공정, 및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광 조사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공정을 갖는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제조 공정에서 유 기 용제를 이용하지 않고 점착제층의 후막 도공이 용이하고, 상술한 특징을 갖는 감식용 점착 시트를 양호한 효율로 얻을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감식용 점착 시트 일례의 사용 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감식용 점착 테이프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각화된 흔적을 점착제층 (20)의 표면에 전사하여 채취하는 것이지만, 점착제층 (20)은 기재 (10)의 한쪽면측에 형성된다. 이 때, 점착제층 (20)과 기재 (10) 사이에는 프라이머층 등을 설치할 수도 있다.
시각화되는 흔적으로서는, 감식 대상이 되는 지문, 발자국, 타이어 흔적 등을 들 수 있다. 시각화 방법으로서는, 미분말 등을 이용한 건식법, 습식법 중 어느 방법에 의한 것이어도 좋다.
건식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미분말을 흔적 부분에 솔 등으로 도포한 후, 흔적부 이외의 분말은 바람 등으로 불어 제거하는 방법, 또는 그 밖에 알루미늄 대신에 자성 분말 등을 사용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식용 점착 테이프를 이용하면 채취 대상면의 도장 박리 등, 특히 오래된 도장면 등이라도 현상 파손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습식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사삼산화철의 미분말과 계면활성제를 물로 녹인 분산액을 흔적 부분에 도포한 후 수세하는 방법, 또는 그 밖에 사삼산화철 대신에 운모류 또는 진주 분말 등의 미분말을 사용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전사 대상이 흔적에 부착된 사삼산화철의 미분말인 경우에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감식용 점착 테이프를 이용하면 수세 후에 채취 대상물의 표면이 수분으로 젖어 있는 경우에도, 점착 시트가 어긋남을 일으키지 않고 시각화된 흔적을 선명하게 전사ㆍ채취할 수 있다. 즉, 수세한 채취 대상물의 건조를 실시하지 않더라도 전사ㆍ채취가 가능하고, 우천의 경우에도 그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점착제층은 a) 주단량체로서 알킬기의 평균 탄소수 1 내지 14의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b)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c) 광 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광 조사하여 형성되며, 상기 점착제층의 겔 분율이 50 중량% 이상이고, 상기 점착제층의 스테인레스판에 대한 점착력이 0.1 내지 2.0 N/2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로서는 a) 주단량체로서 알킬기의 평균 탄소수 1 내지 14의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b)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c) 광 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이 이용된다.
상기 a) 주단량체로서 알킬기의 평균 탄소수 1 내지 14의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s-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n-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 n-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n-운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n-도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n-트리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n-테트라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술한 a) 주단량체로서 알킬기의 평균 탄소수 1 내지 14의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지만, 전체로서의 함유량은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전체 단량체 성분 중 50 내지 99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60 내지 98 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0 내지 95 중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점착제 조성물 중에서 a) 주단량체로서 알킬기의 평균 탄소수 1 내지 14의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는 부분 중합체(일부 중합된 단량체 시럽) 등일 수도 있다. 그 경우, 예를 들면 고분자가 10 중량% 포함되고, 점도가 20 포아즈(2 Paㆍs)인 단량체 용액(단량체 시럽)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는, 그 밖의 중합성 단량체 성분으로서 점착 성능이 균형을 이루기 쉬운 이유 때문에 Tg가 0 ℃ 이하(통상 -100 ℃ 이상)가 되도록 하고,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 또는 박리성을 조정하기 위한 중합성 단량체 등을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사용되는 상술한 그 밖의 중합성 단량체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비닐에스테르류, 방향족 비닐 화합물 등의 응집력ㆍ내열성 향상 성분, 또는 아미드기 함유 단량체, 아미노기 함유 단량체, 에폭시기 함유 단량체, 비닐에테르류 등의 접착력 향상이나 가교화 기점으로서 기능하는 관능기를 갖는 성분 등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들 단량체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비닐에스테르류로서는, 예를 들면 아세트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라우르산비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스티렌, 클로로스티렌, 클로로메틸스티렌, α-메틸스티렌, 그 밖의 치환 스티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미드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디에틸아크릴아미드, N-비닐피롤리돈,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메타크릴아미드, N,N-디에틸아크릴아미드, N,N-디에틸메타크릴아미드, N,N'-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크릴아미드, 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미노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로일모르폴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폭시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메틸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알릴글리시딜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비닐에테르류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비닐에테르, 에틸비닐에비닐에테르, 이소부틸비닐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술한 기타 중합성 단량체 성분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어서 상기 b)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란 1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반응성 관능기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2개 이상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화합물)를 말하지만, 반응성 관능기로서는 수산기, 메틸올기 등과 반응하는 관능기를 들 수 있다. 상기 b)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를 이용함으로써 균형이 양호한 응집력 및 박리성을 얻을 수 있다고 추측된다.
상기 b)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1,2-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1,12-도데칸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2관능 이상의 다가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b)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무용매형 광 중합성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a) 주단량체로서 알킬기의 평균 탄소수 1 내지 14의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b)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0.1 내지 3 중량부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1 내지 2 중량부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2 내지 1.5 중량부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b)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을 규정함으로써 균형이 양호한 응집력 및 박리성을 얻을 수 있다고 추측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무용매형 광 중합성 점착제 조성물 중, 상기 a) 주단량체로서 알킬기의 평균 탄소수 1 내지 14의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100 중량부에 대하여 d) 상기 b) 이외의 극성기 함유 중합성 단량체의 함유량이 4.5 중량부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함유량이 3 중량부 미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상기 함유량이 2 중량부 미만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d) 극성기 함유 중합성 단량체의 함유량을 규정함으로써, 균형이 양호한 응집력 및 박리성을 보다 확실하게 얻을 수 있다고 추측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d) 극성기 함유 중합성 단량체는 분자 중에 극성이 큰 관능기를 함유하고, 중합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중합성 단량체로서 상기 b)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에 해당하지 않는 것을 말하지만, 극성이 큰 관능기로서는 카르복실기, 술포닐기, 히드록실기, 메틸올기 등의 관능기를 들 수 있다.
상기 d) 극성기 함유 중합성 단량체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 산 무수물기 함유 단량체, 인산기 함유 단량체 등의 불포화산, 히드록실기 함유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d) 극성기 함유 중합성 단량체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카르복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시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타콘산, 말레산, 푸마르산, 크로톤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산 무수물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무수 말레산, 무수 이타콘산, 및 상기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의 무수물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술폰산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스티렌술폰산, 알릴술폰산, 2-(메트)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메트)아크릴아미드프로판술폰산, 술포프 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로일옥시나프탈렌술폰산, 비닐술폰산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인산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로일포스페이트를 들 수 있다.
상기 히드록실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8-히드록시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10-히드록시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12-히드록시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메틸시클로헥실)메틸아크릴레이트, 비닐알코올, 알릴알코올, 2-히드록시에틸비닐에테르, 4-히드록시부틸비닐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비닐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용매형 광 중합성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a) 주단량체로서 알킬기의 평균 탄소수 1 내지 14의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와 상기 b)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의 배합시, 또는 상기 a) 주단량체로서 알킬기의 평균 탄소수 1 내지 14의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와 상기 b)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의 배합 후에, c) 광 중합 개시제(및 광 중합 개시 보조제)를 더 배합할 수도 있다.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부분 중합체가 광 중합에 의해 얻어진 것인 경우에는, 상기 광 중합시에 미반응 그대로 상기 부분 중합체 중에 잔존하는 광 중합 개시제(및 광 중합 개시 보조제)를 점착제 조성물의 광 가교를 위해 적절하게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a) 주단량체로서 알킬기의 평균 탄소수 1 내지 14의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의 부분 중합시의 광 중합 개시제(및 광 중합 개시 보조제)가 잔존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광 중합 개시제(및 광 중합 개시 보조제)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 광 중합 개시제로서는, 그 중합 반응의 계기가 될 수 있는 적당한 파장의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라디칼 또는 양이온을 생성하는 물질이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광 라디칼 중합 개시제 또는 광 양이온 중합 개시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광 라디칼 중합 개시제로서, 예를 들면 벤조이소메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2,2-디메톡시-1,2-디페닐에탄-1-온 등의 벤조인에테르, 아니솔메틸에테르 등의 치환 벤조인에테르, 2,2-디에톡시아세토페논,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등의 치환 아세토페논, 2-메틸-2-히드록시프로피오페논 등의 치환 알파 케톨, 2-나프탈렌 술포닐클로라이드 등의 방향족 술포닐클로라이드, 1-페닐-1,1-프로판디온-2-(o-에톡시카르보닐)-옥심 등의 광 활성 옥심, 아실포스핀옥시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광 양이온 중합 개시제로서, 예를 들면 방향족 디아조늄염, 방향족 요오도늄염, 방향족 술포늄염 등의 오늄염, 또는 철-아렌 착체, 티타노센 착체, 아릴실라놀-알루미늄 착체 등의 유기 금속 착체류, 니트로벤질에스테르, 술폰산 유도체, 인산에스테르, 페놀술폰산에스테르, 디아조나프토퀴논, N-히드록시이미드술포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c) 광 중합 개시제는, 상기 a) 주단량체로서 알킬기의 평균 탄소수 1 내지 14의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등의 부분 중합시의 광 중합 개시제(및 광 중합 개시 보조제)가 잔존하지 않는 경우, 상기 a) 주단량체로서 알킬기의 평균 탄소수 1 내지 14의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5 중량부를 상기 단량체 혼합물에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5 내지 5 중량부 배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 내지 3 중량부 배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아민류 등의 광 중합 개시 보조제를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광 중합 개시 보조제로서는, 예를 들면 2-디메틸아미노에틸벤조에이트, 디메틸아미노아세토페논, p-디메틸아미노벤조산에틸에스테르, p-디메틸아미노벤조산이소아밀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적절하게 달리 가교시킴으로써 내열성, 내후성이 더욱 우수해진다.
가교 방법의 구체적 수단으로서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에폭시 화합물, 멜라민계 수지, 아지리딘 화합물 등의 가교제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그 중에서도, 주로 적절한 응집력을 얻는 관점에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나 에폭시 화합물이 특히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이들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 중,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는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환족 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부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저급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류, 시클로펜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환족 이소시아네이트류, 2,4-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류, 트리메틸올프로판/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3량체 부가물, 트리메틸올프로판/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3량체 부가물,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누레이트체(닛본 폴리우레탄사 제조, 콜로네이트 HX) 등의 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에폭시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N,N,N',N'-테트라글리시딜-m-크실렌디아민(미쓰비시 가스 가가꾸사 제조, 상품명 테트라드(TETRAD)-X) 또는 1,3-비스(N,N-디글리시딜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미쓰비시 가스 가가꾸사 제조, 상품명 테트라드-C)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멜라민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헥사메틸올멜라민 등을 들 수 있다. 멜라민계 수지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아지리딘 유도체로서는, 예를 들면 시판품으로서의 상품명 HDU, 상품명 TAZM, 상품명 TAZO(이상, 소고 약꼬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 가교제의 사용량은 가교해야 할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과의 균형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된다. 아크릴 점착제의 응집력에 의해 충분한 내열성을 얻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는, 상기 점착제층의 겔 분율이 50 중량% 이상이고, 60 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70 중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이 무용매형 광 중합에 의해 얻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함으로써 무용제형 광 중합성 점착제 조성물의 조정 및 중합률의 제어를 행하기 쉬워지며, 광 가교의 공정을 용이하면서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특히 상술한 무용매형 광 중합에 의해 얻어진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하는 경우, 미반응 그대로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중에 잔존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광 중합 개시제(및 광 중합 개시 보조제)를 포함한 채로 점착제 조성물을 조정할 수도 있고,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중합하였을 때의 반응물을 정제 등의 공정을 적절하게 생략 또는 경감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 중합은 자외선 조사에 의해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얻어지는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은 랜덤 공중합체, 블록 공중합체, 교대 공중합체, 그래프트 공중합체 등 어느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자외선에 의한 광 중합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광 중합 개시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외선으로서는, 파장 200 내지 400 nm의 자외선이 이용되는 것이 바람 직하다. 또한, 상기 광 중합 개시제의 종류, 첨가량 및 두께에 의해 적절하게 다른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광 중합 개시제로서는, 그 중합 반응의 계기가 될 수 있는 적당한 파장의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라디칼 또는 양이온을 생성하는 물질이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광 라디칼 중합 개시제 또는 광 양이온 중합 개시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광 라디칼 중합 개시제로서, 예를 들면 벤조이소메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2,2-디메톡시-1,2-디페닐에탄-1-온 등의 벤조인에테르, 아니솔메틸에테르 등의 치환 벤조인에테르, 2,2-디에톡시아세토페논,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등의 치환 아세토페논, 2-메틸-2-히드록시프로피오페논 등의 치환 알파 케톨, 2-나프탈렌술포닐클로라이드 등의 방향족 술포닐클로라이드, 1-페닐-1,1-프로판디온-2-(o-에톡시카르보닐)-옥심 등의 광활성 옥심, 아실포스핀옥시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광 양이온 중합 개시제로서, 예를 들면 방향족 디아조늄염, 방향족 요오도늄염, 방향족 술포늄염 등의 오늄염, 또는 철-아렌 착체, 티타노센 착체, 아릴실라놀-알루미늄 착체 등의 유기 금속 착체류, 니트로벤질에스테르, 술폰산 유도체, 인산에스테르, 페놀술폰산에스테르, 디아조나프토퀴논, N-히드록시이미드술포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자외선은 고압 수은등, 마이크로파 여기형 램프, 케미컬 램프 등의 적절하게 광원을 이용하여 조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주성분(점착제 조성물 전량 중 50 중량% 이상)으로서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Tg)가 통상 0 ℃ 이하인 것이 이용되지만, -100 ℃ 내지 -5 ℃인 것이 바람직하고, -80 ℃ 내지 -1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가 O ℃보다 높아지면 충분한 점착력을 얻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사용되는 단량체 성분 또는 조성비를 적절하게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범위 내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점착제 조성물에는 그 밖의 공지된 첨가제를 함유할 수도 있고, 예를 들면 착색제, 안료 등의 분체, 계면활성제, 가소제, 점착성 부여제, 저분자량 중합체, 표면 윤활제, 레벨링제, 산화 방지제, 부식 방지제, 광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중합 금지제, 실란 커플링제, 무기 또는 유기 충전제, 금속 분말, 입자상, 박상물(箔狀物) 등을 사용하는 용도에 따라서 적절하게 첨가할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점착제 조성물은 상술한 것과 같은 구성을 갖는 무용매형 광 중합성 점착제 조성물이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점착제층 (20)은 상기 무용매형 광 중합성 점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광 가교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은 그의 취급상 미리 도공에 적합한 점도(통상 B형 점도계에서의 점도 측정에 있어서, 25 ℃에서 O.3 내지 40(Paㆍs))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상기 무용매형 광 중합성 점착제 조성물은 예비 중합시켜 부분 중합물로 만들어 둘 수 있다.
상기 무용매형 광 중합성 점착제 조성물의 부분 중합물의 중합률은 부분 중합물 중의 중합체 분자량에도 의존하지만, 2 내지 40 중량%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 내지 20 중량%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분 중합을 행할 때는, 산소와의 접촉을 피하여 자외선 조사함으로써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점착제층은 중합률 96 %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조도 또는 광량은 중합률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람직한 조사 조건은 점착제 조성 또는 광 중합 개시제의 종류 또는 부수에 의해서 다르다.
상기 중합률이 96 % 미만인 경우, 접착력의 저하가 잔존하는 단량체 성분에 의한 악취 등의 결점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중합률은 자외선 조사 후에 건조를 행함으로써도 향상시킬 수 있다.
ㆍ중합률(중량%)=[130 ℃×2 hr 건조 후의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중량(g)/건조 처리 전의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중량(g)]×100.
또한, 상기 자외선은 고압 수은등, 마이크로파 여기형 램프, 케미컬 램프 등 의 적절하게 광원을 이용하여 조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식용 점착 시트는 상기 점착제층을 기재 상에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 때,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가교는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도포 후에 행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상기 점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다른 지지체 상에서 가교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한 후, 상기 지지체에 전사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점착제층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점착 시트류의 제조에 이용되는 공지된 방법이 적절하게 이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롤 코팅, 그라비아 코팅, 리버스 코팅, 롤 브러시, 분무 코팅, 에어 나이프 코팅법, 다이 코터 등에 의한 압출 코팅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가 50 내지 500 ㎛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내지 40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0 내지 300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두께를 50 ㎛ 이상으로 함으로써, 예를 들면 100엔 동전 정도의 요철면에서도 지문 등의 채취를 보다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감식용 점착 시트에 있어서는 상기 점착제층의 스테인레스판에 대한 점착력이 0.1 내지 2.0 N/20 mm이고, 0.1 내지 1.5 N/20 mm인 것이 바람직하고, 0.2 내지 1.0 N/20 m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범위의 감식용 점착 시트를 제조하는 것이 용이하며, 상기 점착력이 이 범위이면 전사ㆍ채취를 행할 때 박리 작업성도 양호해진다. 특히 상기 범위의 감식용 점착 시트를 이용함으로써 도장면이 오래된 지문 채취면 또는 물러서 망가지기 쉬운 지문 채취면이어도 양호하게 채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재 (10)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기재의 점착 도공면에는, 투묘성(anchorage)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필요에 따라서 코로나 처리 등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기재의 두께는 채취 작업성이 양호하다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 50 내지 150 ㎛,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25 ㎛ 정도이다.
또한, 본 발명의 감식용 점착 테이프는 사용 전 또는 사용 후에는 통상 대지(臺紙) (30)에 점착되어 있다. 대지 (30)은 지질 시트 (32)의 이면에 흑색 또는 백색 플라스틱 필름 (31)이 접착 또는 융착되어 있고, 플라스틱 필름 (31)면에 상기 점착제층 (20)이 접합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라스틱 필름에 필요에 따라서 실리콘계 또는 장쇄 알킬계 등의 이형 처리제를 도포할 수 있다.
상기 대지의 두께는 통상 100 내지 400 ㎛,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300 ㎛ 정도이다.
상기 대지에는 필요에 따라서 실리콘계, 불소계, 장쇄 알킬계 또는 지방산 아미드계 이형제, 실리카 분말 등에 의한 이형 및 방오 처리, 또는 산 처리, 알칼리 처리, 프라이머 처리,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자외선 처리 등의 역(易)접착 처리, 도포형, 혼련형, 증착형 등의 정전 방지 처리를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감식용 점착 시트에 있어서는 점착 시트 전체의 두께가 100 내지 650 ㎛인 것이 바람직하고, 150 내지 55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0 내 지 500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시각화된 흔적을 점착제층의 표면에 전사하여 채취하는 감식용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a) 주단량체로서 알킬기의 평균 탄소수 1 내지 14의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b)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c) 광 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기재 상에 형성하는 공정, 및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광 조사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술한 공정을 갖는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제조 공정에서 유기 용제를 이용하지 않고 점착제층의 후막 도공이 용이해지며, 상술한 특징을 갖는 감식용 점착 시트를 양호한 효율로 얻을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구성과 효과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실시예 등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 등에 있어서의 평가 항목은 하기와 같이 하여 측정하였다.
<단량체 시럽(A)의 제조>
[단량체 시럽(A)]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100 중량부, 2,2-디메톡시-1,2-디페닐에탄-1-온 0.05 중량부 및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0.05 중량부를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서서히 교반하면서 질소 가스를 도입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단량체 시럽(A)를 제조하였다. 상기 단량체 시럽(A)의 중합률 13.0 중량%였다.
ㆍ중합률=(130 ℃×2 hr 건조 후 중량)/(건조 전 중량)×100(중량%).
[실시예 1]
(점착제 용액의 제조)
상기 단량체 시럽(A)에 상기 단량체 시럽(A) 100 중량부에 대하여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0.6 중량부를 첨가하여 상온(25 ℃)하에서 15 분간 균일 혼합 교반하여 광 중합성 점착제(1)을 제조하였다.
(점착 시트의 제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도레이사 제조, 루미라 T60, 두께: 75 ㎛) 상에 상기 광 중합성 아크릴 점착제(1)을 광 중합 후의 두께가 280 ㎛가 되도록 도포하고, 상기 점착제를 포함하는 층 위에 박리 처리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미쯔비시 가가꾸 폴리에스테르 필름사 제조, 다이야 호일 MRN38, 두께: 38 ㎛)을 덮어 접합시킨 시트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시트를 메탈 할라이드 램프(최대 조도: 250 mW/cm2, 광량: 8000 mJ/cm2)를 이용하여 광 중합 반응을 행하여, 점착 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점착제 용액의 제조)
상기 단량체 시럽(A)에 상기 단량체 시럽(A) 100 중량부에 대하여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0.6 중량부 및 아크릴산 1 중량부를 첨가하여 상온(25 ℃)하에서 15 분간 균일 혼합 교반하여 광 중합성 점착제(2)를 제조하였다.
(점착 시트의 제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도레이사 제조, 루미라 T60, 두께: 75 ㎛) 상에 상기 광 중합성 아크릴 점착제(2)를 광 중합 후의 두께가 280 ㎛가 되도록 도포하며, 상기 점착제를 포함하는 층 위에 박리 처리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미쯔비시 가가꾸 폴리에스테르 필름사 제조, 다이야 호일 MRN38, 두께: 38 ㎛)을 덮어 접합시킨 시트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시트를 메탈 할라이드 램프를 이용하여 광 중합 반응을 행하여, 점착 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점착제 용액의 제조)
상기 단량체 시럽(A)에 상기 단량체 시럽(A) 100 중량부에 대하여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0.4 중량부 및 아크릴산 1 중량부를 첨가하여 상온(25 ℃)하에서 15 분간 균일 혼합 교반하여 광 중합성 점착제(3)을 제조하였다.
(점착 시트의 제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도레이사 제조, 루미라 T60, 두께: 75 ㎛) 상에 상기 광 중합성 아크릴 점착제(3)을 광 중합 후의 두께가 280 ㎛가 되도록 도포하며, 상기 점착제를 포함하는 층 위에 박리 처리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미쯔비시 가가꾸 폴리에스테르 필름사 제조, 다이야 호일 MRN38, 두께: 38 ㎛)을 덮어 접합시킨 시트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시트를 메탈 할라이드 램프를 이용하여 광 중합 반응을 행하여, 점착 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점착제 용액의 제조)
상기 단량체 시럽(A)에 상기 단량체 시럽(A) 100 중량부에 대하여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0.4 중량부 및 아크릴산 4 중량부를 첨가하여 상온(25 ℃)하에서 15 분간 균일 혼합 교반하여, 광 중합성 점착제(4)를 제조하였다.
(점착 시트의 제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도레이사 제조, 루미라 T60, 두께: 75 ㎛) 상에 상기 광 중합성 아크릴 점착제(4)를 광 중합 후의 두께가 280 ㎛가 되도록 도포하며, 상기 점착제를 포함하는 층 위에 박리 처리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미쯔비시 가가꾸 폴리에스테르 필름사 제조, 다이야 호일 MRN38, 두께: 38 ㎛)을 덮어 접합시킨 시트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시트를 메탈 할라이드 램프를 이용하여 광 중합 반응을 행하여, 점착 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점착제 용액의 제조)
상기 단량체 시럽(A)에 상기 단량체 시럽(A) 100 중량부에 대하여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0.15 중량부 및 아크릴산 4 중량부를 첨가하여 상온(25 ℃)하에서 15 분간 균일하게 혼합 교반하여 광 중합성 점착제(5)를 제조하였다.
(점착 시트의 제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도레이사 제조, 루미라 T60, 두께: 75 ㎛) 상에 상기 광 중합성 아크릴 점착제(5)를 광 중합 후의 두께가 280 ㎛가 되도록 도포하며, 상기 점착제를 포함하는 층 위에 박리 처리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미쯔비시 가가꾸 폴리에스테르 필름사 제조, 다이야 호일 MRN38, 두께: 38 ㎛)을 덮어 접합시킨 시트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시트를 메탈 할라이드 램프를 이용하여 광 중합 반응을 행하여, 점착 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점착제 용액의 제조)
상기 단량체 시럽(A)에 상기 단량체 시럽(A) 100 중량부에 대하여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0.2 중량부 및 아크릴산 2 중량부를 첨가하여 상온(25 ℃)하에서 15 분간 균일하게 혼합 교반하여 광 중합성 점착제(6)을 제조하였다.
(점착 시트의 제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도레이사 제조, 루미라 T60, 두께: 75 ㎛) 상에 상기 광 중합성 아크릴 점착제(6)을 광 중합 후의 두께가 280 ㎛가 되도록 도포하며, 상기 점착제를 포함하는 층 위에 박리 처리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미쯔비시 가가꾸 폴리에스테르 필름사 제조, 다이야 호일 MRN38, 두께: 38 ㎛)을 덮어 접합시킨 시트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시트를 메탈 할라이드 램프를 이용하여 광 중합 반응을 행하여, 점착 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점착제 용액의 제조)
상기 단량체 시럽(A)에 상기 단량체 시럽(A) 100 중량부에 대하여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0.1 중량부 및 아크릴산 1 중량부를 첨가하여 상온(25 ℃)하에서 15 분간 균일하게 혼합 교반하여 광 중합성 점착제(7)을 제조하였다.
(점착 시트의 제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도레이사 제조, 루미라 T60, 두께: 75 ㎛) 상에 상기 광 중합성 아크릴 점착제(7)을 광 중합 후의 두께가 280 ㎛가 되도록 도포하며, 상기 점착제를 포함하는 층 위에 박리 처리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미쯔비시 가가꾸 폴리에스테르 필름사 제조, 다이야 호일 MRN38, 두께: 38 ㎛)을 덮어 접합시킨 시트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시트를 메탈 할라이드 램프를 이용하여 광 중합 반응을 행하여, 점착 시트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비교예에서 얻어진 점착 시트에 대하여 이하의 요령으로 특성 평가(점착제층의 두께, 점착력, 겔 분율) 및 지문 채취성(지문 채취성, 요철 추종성, 내열성)에 대하여 측정, 평가하며, 그 결과에 기초하여 감식용 시트로서의 종합 판정을 행하였다. 또한, 상기 종합 판정의 판정 기준은 이하와 같다.
ㆍ특성 평가 및 지문 채취성 전부를 통과한 경우: ○
ㆍ특성 평가 및 지문 채취성 전부는 통과하지 못한 경우: ×.
<점착제층의 두께 측정>
점착제층의 두께는 1/1000 다이얼 게이지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점착력의 측정>
JIS G 4305에 규정하는 SUS304 강판을 JIS R 6253에 규정하는 360번의 내수 연마지로 길이 방향으로 잘 연마한 것을 시험편으로 하고, 시험 전에 시험편 표면을 톨루엔으로 세정하고, 충분히 건조시켰다. 그 후, 20 mm 폭×100 mm 크기로 절단한 측정 샘플을 2 kg 롤러를 이용하여 300 mm/분의 속도로 압착시키고, 압착 30 분 후, 인장 시험기로써 인장 속도 300 mm/분의 조건에서 180° 필링법으로 측 정하고, 점착력값으로 하였다.
<지문 채취 평가 A(선명성, 작업성)>
JIS G 4305에 규정하는 SUS304 강판을 JIS R 6253에 규정하는 360번의 내수 연마지로 길이 방향으로 잘 연마한 것을 시험편으로 하고, 시험 전에 시험편을 톨루엔으로 세정하고, 세정면(지문 채취면)에 의도적으로 손가락을 압박하여 지문을 남긴 물건에 알루미늄 분말을 솔로 도포하여 지문을 검출시켰다. 지문을 발현시킨 물건으로부터 20 mm×40 mm 크기로 절단한 점착 시트 샘플의 호면(湖面)을 접착시키고, 배면에서 손가락으로 압박한 후, 점착 시트 샘플을 박리하여 점착제면에 전사된 지문 흔적에 대해 육안으로 선명성을 판정하였다. 또한, 지문 채취할 때의 작업성(접착 용이성, 박리 용이성)에 대해서도 판정하였다. 또한, 각각의 판정 기준은 이하와 같다.
(선명성)
ㆍ선명하게 채취할 수 있었던 경우: ○
ㆍ어긋남에 의해 지문 채취할 수 없었던 경우:×
ㆍ도장면(지문 채취면)이 파괴되어 지문 채취할 수 없었던 경우:×.
(작업성)
ㆍ문제없이 시인할 수 있었던 경우: ○
ㆍ손가락으로 압박하면 어긋남이 발생한 경우: ×
ㆍ무거워 박리하기 어려웠던 경우: ×.
<지문 채취 평가 B(선명성, 작업성)>
상기 지문 채취면으로서 오래된 도장면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상기 지문 채취 평가 A와 동일하게 평가, 판정을 행하였다. 또한, 각각의 판정 기준은 상기 지문 채취 평가 A와 동일하였다.
<지문 채취 평가 C(선명성, 작업성)>
빈 캔의 바닥부를 아세트산에틸로써 세정하고, 세정면에 의도적으로 손가락을 압박하여 지문을 남기고, 그 지문부에 사삼산화철 분말 95 중량부와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카오사 제조, 에멀겐 130K) 5 중량부를 혼합한 것을 증류수로 3 % 용액으로 희석 조정한 지문 채취용 용액을 솔로써 도포하고, 그 후 수세함으로써 지문을 검출시켰다. 검출한 지문 상에 물을 가하고, 젖은 상태 위에서 20 mm×40 mm 크기로 절단한 점착 시트 샘플의 호면을 접착시켜 배면에서 손가락으로 압박하였다. 그 후, 점착 시트 샘플을 박리하여 점착제면에 전사된 지문 흔적에 대해 육안으로 선명성을 판정하였다. 또한, 지문 채취할 때의 작업성(접착 용이성, 박리 용이성)에 대해서도 판정하였다. 또한, 각각의 판정 기준은 상기 지문 채취 평가 A와 동일하였다.
<요철 추종성 평가>
100엔 동전의 이면을 아세트산에틸로 세정하고, 세정면에 의도적으로 손가락을 압박하여 지문을 남지고, 그 지문부에 알루미늄 분말을 솔로써 도포함으로써 지문을 검출시켰다. 검출한 지문 상에 30 mm×30 mm 크기로 절단한 점착 시트 샘플의 호면을 접착시키고, 배면에서 손가락으로 압박한 후, 점착 시트를 박리하고, 점착면에 전사된 100엔 동전의 오목부 채취 상태를 육안으로 판정하였다.
<내열성 평가>
상기 지문 채취 평가 A에서 지문을 검출한 스테인레스판을 120 ℃ 건조기 내에서 1 hr 이상 가열한 물건에 점착 시트를 접착시켜 지문 채취를 시도하였다. 또한, 여름철의 차 본네트를 상정한 평가이다.
ㆍ선명하게 채취할 수 있었던 경우: ○
ㆍ어긋남에 의해 지문 채취할 수 없었던 경우: ×
ㆍ도장면(지문 채취면)이 파괴되어 지문 채취할 수 없었던 경우: ×.
<겔 분율>
겔 분율은, 점착제 조성물 약 1 g을 정칭하여 이것을 아세트산에틸 약 40 g에 7 일간 침지시키고, 그 후 아세트산에틸에 대한 불용해분을 전부 회수하여 130 ℃에서 2 시간 건조시키고, 그 중량을 구하여 얻어진 수치를 이하의 식에 대입하여 산출한다.
ㆍ불용해분(겔 분율)=(불용해분 중량/침지 전의 점착제 조성물의 중량)×100(중량%).
이상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112008041655115-PAT00001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서 제조된 점착 시트를 이용한 경우(실시예 1 내지 5), 모든 실시예에서 특성 평가(점착제층의 두께, 점착력) 및 지문 채취성(지문 채취성, 요철 추종성, 내열성)을 병립시킬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감식용 점착 시트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점착제층의 후막 도공이 용이하고, 채취 대상물의 표면이 수분으로 젖어 있는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으며, 채취 대상물 표면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 명백해졌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5의 점착 시트는 박리 속도가 300 m/분에서의 180°필 점착력이 0.1 내지 2.0 N/20 mm의 범위에 있고, 감식용 점착 시트로서 특히 바람직한 점착 시트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감식용 점착 시트 일례의 사용 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Claims (8)

  1. 시각화된 흔적을 점착제층의 표면에 전사하여 채취하는 감식용 점착 시트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이 a) 주단량체로서 알킬기의 평균 탄소수 1 내지 14의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b)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c) 광 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광 조사하여 형성되며,
    상기 점착제층의 겔 분율이 50 중량% 이상이고, 상기 점착제층의 스테인레스판에 대한 점착력이 0.1 내지 2.0 N/2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식용 점착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전체 단량체 중, a) 주단량체로서 알킬기의 평균 탄소수 1 내지 14의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100 중량부에 대하여 d) 극성기 함유 단량체의 함유량이 4.5 중량부 미만인 감식용 점착 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가 50 내지 500 ㎛인 감식용 점착 시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 대상이 흔적에 부착된 사삼산화철의 미분말인 감식용 점착 시트.
  5. 시각화된 흔적을 점착제층의 표면에 전사하여 채취하는 감식용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a) 주단량체로서 알킬기의 평균 탄소수 1 내지 14의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b)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c) 광 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기재 상에 형성하는 공정, 및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광 조사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식용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전체 단량체 중, a) 주단량체로서 알킬기의 평균 탄소수 1 내지 14의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100 중량부에 대하여 d) 극성기 함유 단량체의 함유량이 4.5 중량부 미만인 감식용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가 50 내지 500 ㎛인 감식용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 대상이 흔적에 부착된 사삼산화철의 미분말인 감식용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
KR1020080054645A 2007-06-12 2008-06-11 감식용 점착 시트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801096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55469A JP5165282B2 (ja) 2007-06-12 2007-06-12 鑑識用粘着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JP-P-2007-00155469 2007-06-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9640A true KR20080109640A (ko) 2008-12-17

Family

ID=39720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4645A KR20080109640A (ko) 2007-06-12 2008-06-11 감식용 점착 시트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80311388A1 (ko)
EP (1) EP2003180A1 (ko)
JP (1) JP5165282B2 (ko)
KR (1) KR20080109640A (ko)
CN (1) CN101324486A (ko)
TW (1) TW20091195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07417B2 (ja) * 2002-10-15 2008-06-25 日東電工株式会社 チップ状ワークの固定方法
CN102754163B (zh) 2010-02-19 2015-11-25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半导体器件
WO2012111964A2 (ko) * 2011-02-14 2012-08-23 주식회사 엘지화학 무용제형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2180332A (ja) * 2011-03-03 2012-09-20 Nitto Denko Corp 貼付剤および貼付製剤
JP2013142148A (ja) * 2012-01-12 2013-07-22 Nitto Denko Corp 紫外線硬化型アクリル系粘着剤層を有する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
JP2013181054A (ja) * 2012-02-29 2013-09-12 Nitto Denko Corp 粘着製品
KR101807920B1 (ko) * 2014-11-12 2017-12-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 필름
KR102452985B1 (ko) * 2015-04-01 2022-10-11 니타 가부시키가이샤 감온성 점착제 조성물
WO2016158414A1 (ja) * 2015-04-03 2016-10-06 ニッタ株式会社 感温性粘着テープおよび感温性粘着シート
JP6771942B2 (ja) * 2016-02-29 2020-10-21 リンテック株式会社 証拠採取保存方法、証拠採取保存用シート、証拠採取保存用シートの製造方法
JP6723764B2 (ja) * 2016-02-29 2020-07-15 リンテック株式会社 証拠採取方法、証拠採取用シート、証拠採取用シートの製造方法
JP6837879B2 (ja) * 2016-08-26 2021-03-03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テープ
CN106805982B (zh) * 2017-03-09 2023-12-08 公安部物证鉴定中心 一种凝胶型手印提取胶片及其应用
JP6898134B2 (ja) * 2017-03-29 2021-07-07 リンテック株式会社 証拠採取保存用セット
JP6811669B2 (ja) * 2017-03-29 2021-01-13 リンテック株式会社 証拠採取用シート
JP6803317B2 (ja) * 2017-12-14 2020-12-23 株式会社コスモ計器 血液指紋転写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81752A (en) * 1974-09-03 1980-01-0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Acrylic-type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by means of ultraviolet radiation curing
JPS58189646A (ja) * 1982-04-01 1983-11-05 Canon Inc 磁性トナ−
US5714029A (en) * 1984-03-12 1998-02-03 Nitto Electric Industrial Co., Ltd. Process for working a semiconductor wafer
JPH0616524B2 (ja) * 1984-03-12 1994-03-02 日東電工株式会社 半導体ウエハ固定用接着薄板
US4706600A (en) * 1986-11-10 1987-11-17 Crisis Communication, Inc. Kit for making sets of transparent fingerprints using differential adhesion
US5028484A (en) * 1987-08-14 1991-07-0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ressure-sensitive adhesive
JPH0380833A (ja) 1989-08-23 1991-04-05 Shinko Kagaku Kogyo Kk 鑑識用粘着シート
JPH0975329A (ja) 1995-09-18 1997-03-25 Nisshinbo Ind Inc 指紋採取用シ−ト
JPH09272844A (ja) * 1996-04-04 1997-10-21 Nitto Denko Corp 光重合性組成物と感圧性難燃接着剤と接着シ―ト類
DE69718245T2 (de) * 1996-06-28 2003-08-14 Nitto Denko Corp Druckempfindliches klebendes Blatt zum Nachweis von Mikroorganismen und Methode zum Nachweis von Mikroorganismen
JPH11283279A (ja) * 1998-01-30 1999-10-15 Minnesota Mining & Mfg Co <3M> 貼り合わせ型光ディスク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2000083929A (ja) 1998-09-16 2000-03-28 Kenzo Masuko 潜在指紋検出方法
JP4355405B2 (ja) * 1998-10-13 2009-11-04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ニンヒドリン含有粘着剤組成物、及び指紋検出用、又は手形若しくは足形採取用のシート
JP3774338B2 (ja) 1999-08-02 2006-05-10 日東電工株式会社 鑑識用粘着シ−ト及び痕跡採取方法
JP2002194302A (ja) 2000-12-27 2002-07-10 Nitto Denko Corp 粘着剤式鑑識用シート
JP4550292B2 (ja) 2001-01-09 2010-09-22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式鑑識シート及び粘着剤式鑑識シートの製造方法
DE10121556A1 (de) * 2001-05-03 2002-11-14 Infineon Technologies Ag Verfahren zum Rückseitenschleifen von Wafern
JP4707901B2 (ja) 2001-09-18 2011-06-22 日東電工株式会社 鑑識用粘着シート
JP3886121B2 (ja) * 2002-07-29 2007-02-28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テープ
JP2004143222A (ja) * 2002-10-22 2004-05-20 Sekisui Chem Co Ltd 光カチオン重合性粘着型接着剤
JP4219667B2 (ja) 2002-12-10 2009-02-04 帝國製薬株式会社 血液指紋採取シート
JP2006152282A (ja) * 2004-11-04 2006-06-15 Nitto Denko Corp 鑑識用粘着シート
JP2007000467A (ja) * 2005-06-24 2007-01-11 Lintec Corp 鑑識用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911953A (en) 2009-03-16
JP5165282B2 (ja) 2013-03-21
US20080311388A1 (en) 2008-12-18
EP2003180A1 (en) 2008-12-17
CN101324486A (zh) 2008-12-17
JP2008308522A (ja) 2008-1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109640A (ko) 감식용 점착 시트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086212B1 (ko) 점착 시트
KR101945050B1 (ko) 박층 기재용 캐리어재
US8685535B2 (en) Surface protective film
JP5580069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用粘着剤組成物とその利用
EP2572803B1 (e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TWI494394B (zh) 黏著劑層及黏著膜
TWI568814B (zh) 黏著劑層及黏著膜
KR102081465B1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층, 점착 시트, 표면 보호 시트, 광학용 표면 보호 시트 및 표면 보호 시트 부착 광학 필름
JP6258681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及び光学部材
WO2013005506A1 (ja) 水分散型粘着剤組成物、粘着剤及び粘着シート
KR20090094029A (ko) 점착 시트
TW201430082A (zh) 黏著劑層及黏著膜
JP6510192B2 (ja) 積層体、表面保護物品、積層体の製造方法
WO2016021332A1 (ja) 粘着シート付き建築部材、および建築部材用粘着シート
JP2009155532A5 (ko)
US20190106608A1 (e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TW201923006A (zh) 黏著片材
JP2016079232A (ja) 建築部材用粘着シート、および粘着シート付き建築部材
TW201706128A (zh) 透明導電性膜用載膜及積層體
JP4656626B2 (ja) アクリル系粘着剤層およびアクリル系粘着シート
US20190161651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WO2022038926A1 (ja) 接合体の分離方法
JP6920483B2 (ja) 粘着剤層、及び粘着フィルム
KR20220024129A (ko) 점착 시트, 및 점착 시트 첩부품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