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9194A -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감압성 접착제 제품및 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감압성 접착제 제품및 디스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9194A
KR20080099194A KR1020080042519A KR20080042519A KR20080099194A KR 20080099194 A KR20080099194 A KR 20080099194A KR 1020080042519 A KR1020080042519 A KR 1020080042519A KR 20080042519 A KR20080042519 A KR 20080042519A KR 20080099194 A KR20080099194 A KR 200800991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ensitive adhesive
acrylic
meth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2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5613B1 (ko
Inventor
히로아끼 기시오까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99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9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5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56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ids; Metal or ammonium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4Applications used for foa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08L2666/04Macromolecular compounds according to groups C08L7/00 - C08L49/00, or C08L55/00 - C08L57/00;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ids; Metal or ammonium salt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크릴 중합체 (a), 아크릴 올리고머 (b), 아미노기를 갖는 실란 커플링제, 및 가교제를 포함하며, 상기 아크릴 중합체 (a)는 주 단량체 성분으로서, 탄소수가 4 내지 12개인 알킬기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및 (메트)아크릴산 알콕시알킬 에스테르 중 하나 이상을 함유하고, 아크릴 중합체 (a)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 성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10 중량부의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를 단량체 성분으로서 함유하고, 상기 아크릴 중합체 (a)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400,000 내지 1,500,000이고, 상기 아크릴 올리고머 (b)는 주 단량체 성분으로서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를 함유하고, 아크릴 올리고머 (b)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 성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10 중량부의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를 단량체 성분으로서 함유하고, 상기 아크릴 올리고머 (b)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3,000 이상 6,000 미만이며, 아크릴 중합체 (a)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아크릴 올리고머 (b)가 10 내지 35 중량부이고, 아미노기를 갖는 실란 커플링제가 0.01 중량부 이상 1.0 중량부 미만인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은 투명성이 우수하고, 발포 및 분리 내성이 우수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접착력 감소를 일으키지 않으며, 접착 신뢰성을 현저하게 개선시킨다.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 디스플레이, 투명성, 접착력

Description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감압성 접착제 제품 및 디스플레이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PRODUCT AND DISPLA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유리 및 아크릴,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투명 플라스틱에 대해 투명도가 우수하고, 접착력, 발포 및 분리 내성이 우수하며, 습윤 조건 하에서 유리에 대해 접착력이 특히 우수한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이 도포된 감압성 접착제 제품 및 상기 감압성 접착제 제품을 적층시켜 얻어지는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액정 디스플레이(LCD)와 같은 FPD(평면 패널 디스플레이)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FPD는 감압성 접착제를 통해 다양한 기능을 갖는 광학 필름들을 적층시킴으로써 제조된다. 그러한 적용분야에 있어서는, 고온 다습 조건 하에서 발포나 분리를 전혀 야기하지 않는 특성(발포 및 분리 내성)과 같은 우수한 신뢰성뿐 아니라, 접착력 및 투명성이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에 요구된다.
그러한 특성을 개선시키는 방법으로서, 아크릴 중합체의 분자량 조정(예를 들어, JP-A-1-178467 참조), 개질 단량체들의 공중합화 등이 알려져 있다. 또한, 플라스틱에 대한 접착력을 개선시키기 위해, 점착성부여제와 같은 첨가제를 첨가함으로써 발포 및 분리 내성을 개선시키는 방법 등이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들은 고온 다습한 환경 하에서의 발포 및 분리 내성 특성의 관점에서 충분하지 않다.
나아가, 플라스틱에 대한 투명도 및 분리 내성이 우수하고, 특정 올리고머를 특정 아크릴 중합체와 블렌딩함으로써 제조되는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 및 감압성 접착제 테이프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JP-A-2005-15524 및 JP-A-2005-255877 참조). 하지만, 이들은 습윤 조건 하에서의 유리에 대한 접착력이 불충분하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투명도, 발포 내성 및 접착 특성이 우수하며,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를 구성성분으로 함유하는 중합체 및 아미노기 함유 단량체를 구성성분으로 함유하는 중합체를 함유하는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이 공지되어 있다(일본 특허 No. 3516035 참조). 나아가,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000 내지 2,500,000인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 (A)와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0 내지 500,000인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 (B)를 특정 중량비로 혼합함으로써 제조되며, 상기 중합체 (A) 및 (B) 중 어느 하나가 질소 함유 관능기를 갖는 것인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이 공지되어 있다(JP-A-2001-89731 참조). 하지만, 유리에 대한 접착력을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이러한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 중에 많은 양의 중합체 (B)가 함유될 필요가 있으며, 이는 아민으로 인해 야기되는 황화현상과 같은 문제점을 일으킨다.
반면에, 실란 커플링제를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에 첨가하는 방법이 유리에 대한 접착력을 개선시키는 방법으로서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JP-A-7-3221 참고). 하지만, 실란 커플링제의 보관 안전성은 그러한 계에서는 불량하기 때문에, 오랜 기간 보관되는 경우 실란 커플링제의 이량체화 및 삼량체화 뿐 아니라 가수분해가 일어나며, 그에 따라 유리에 대한 접착력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중량 평균 분자량이 상이한 2개의 카르복실기 함유 아크릴 중합체, 실란 커플링제 및 가교제를 함유하는, 광학 부재 용도의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이 공지되어 있다(JP-A-2004-263165 참조). 하지만, 이 조성물은 플라스틱에 대한 발포 및 분리 내성의 관점에서 불충분하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투명도가 우수하고 발포 및 분리 내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오랜 기간 동안 보관되었을 때에도 유리에 대해 접착력을 유지할 수 있는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감압성 접착제 제품 및 상기 제품을 사용하고 신뢰성이 높은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언급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를 수행한 결과, 각각 특정 분자량과 특정 조성을 갖는 아크릴 중합체 및 아크릴 올리고머 외에도 가교제 및 실란 커플링제를 함유하며, 상기 실란 커플링제의 블렌딩 양이 특정 범위 내에서 조절되는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이 투명도가 우수하고 발포 및 분리 내성이 우수하며, 또한 오랜 기간 동안 보관되었을 때에 우수한 보관 안정성을 보인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하기 항목 1 내지 9에 관한 것이다.
1. 아크릴 중합체 (a), 아크릴 올리고머 (b), 아미노기를 갖는 실란 커플링제, 및 가교제를 포함하며,
상기 아크릴 중합체 (a)는 주 단량체 성분으로서, 탄소수가 4 내지 12개인 알킬기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및 (메트)아크릴산 알콕시알킬 에스테르 중 하나 이상을 함유하고, 아크릴 중합체 (a)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 성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10 중량부의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를 단량체 성분으로서 함유하고, 상기 아크릴 중합체 (a)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400,000 내지 1,500,000이고,
상기 아크릴 올리고머 (b)는 주 단량체 성분으로서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를 함유하고, 아크릴 올리고머 (b)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 성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10 중량부의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를 단량체 성분으로서 함유하고, 상기 아크릴 올리고머 (b)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3,000 이상 6,000 미만이며,
아크릴 중합체 (a)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아크릴 올리고머 (b)가 10 내지 35 중량부이고, 아미노기를 갖는 실란 커플링제가 0.01 중량부 이상 1.0 중량부 미만인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
2. 1항에 있어서, 아크릴 중합체 (a) 중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및 (메트)아크릴산 알콕시알킬 에스테르 중 하나 이상이 아크릴 중합체 (a)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 성분들을 기준으로 50 중량% 이상의 비율로 함유된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
3. 1항에 있어서, 아크릴 올리고머 (b) 중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가 아크릴 올리고머 (b)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 성분들을 기준으로 50 중량% 이상의 비율로 함유된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
4. 1항에 있어서, 주 단량체 성분으로서 아크릴 올리고머 (b)를 구성하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가 단독중합체로 형성될 때 60℃ 내지 190℃의 유리 전이 온도를 보이는 (메트)아크릴산인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
5. 1항에 있어서, 주 단량체 성분으로서 아크릴 올리고머 (b)를 구성하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가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인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
6. 1항에 있어서, 실란 커플링제가 2차 아민을 갖는 것인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
7. 1항에 따른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이 도포된 감압성 접착제 제품.
8. 7항에 있어서,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이 기재 재료 또는 이형 라이너 상에 도포되어 감압성 접착제 층을 형성하는 것인 접착제 제품.
9. 7항에 따른 감압성 접착제 제품을 유리 상에 적층시킴으로써 얻어진 디스플레이.
본 발명의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에 따르면, 상기 언급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투명도가 우수하고 발포 및 분리 내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FPD에 사용되는 광학 부재를 부착하는데 사용되는 경우, 이들 제품의 가시성 등의 광학 특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접착력이 감소되지 않기 때문에, 신뢰성이 크게 개선될 수 있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은 아크릴 중합체 (a), 아크릴 올리고머 (b), 아미노기를 갖는 실란 커플링제 및 가교제를 필수성분으로서 함유한다.
아크릴 중합체 (a)
본 발명의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아크릴 중합체 (a)는 주 단량체 성분으로서, 탄소수가 4 내지 12개인 알킬기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 테르(이하, "(메트)아크릴산 C4 -12 알킬 에스테르"로 종종 지칭함) 및 (메트)아크릴산 알콕시알킬 에스테르 중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중합체이다. 나아가, 상기 언급한 주 단량체 성분 외에도, 아크릴 중합체 (a)는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를 필수 공중합화 단량체 성분으로서 함유한다. 또한, 다른 단량체 성분들이 필요에 따라 추가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메트)아크릴"은 "아크릴" 및/또는 "메타크릴"을 의미한다.
상기 언급된 (메트)아크릴산 C4 -12 알킬 에스테르는 알킬기의 탄수 수가 4 내지 12개인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이기만 하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그 예로는 n-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sec-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헵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노닐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운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도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가 포함된다. (메트)아크릴산 C4-12 알킬 에스테르로는, n-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가 특히 적합하다.
상기 언급한 (메트)아크릴산 알콕시알킬 에스테르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그 예로는 메톡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에톡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가 포함된다.
상기 언급된 주 단량체 성분들은 단독으로 또는 그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아크릴 중합체 (a) 중에서, 주 다량체 성분들인 (메트)아크릴산 C4 -12 알킬 에스테르 및 (메트)아크릴산 알콕시알킬 에스테르 중 하나 이상의 단량체 비율은 단량체 성분의 전체량을 기준으로, 5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중량% 이상이다. 이와 관련해서, 상기 언급된 주 단량체 성분의 비율의 상한은 99 중량% 이하(특히, 97 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주 단량체 성분들의 비율이 단량체 성분들의 전체량을 기준으로 50 중량% 미만이면, 감압성 접착제로서 필요한 박리 강도 및 점착 강도를 얻을 수 없게 된다. (메트)아크릴산 C4 -12 알킬 에스테르 및 (메트)아크릴산 알콕시알킬 에스테르 둘다 단량체 성분으로서 함유되는 경우, 이들 둘 모두의 전체량이 상기 언급한 범위를 만족하면 충분하다.
상기 언급한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의 예로는 (메트)아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산, 푸마르산, 및 크로톤산이 포함된다. 또한, 이들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의 산 무수물(예를 들어, 말레산 무수물, 이타콘산 무수물 등의 산 무수물을 함유하는 단량체)이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이들 단량체 성분들은 단독으로 또는 그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아크릴 중합체 (a) 중에서,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의 비율은 전체 단량체 성분들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 내지 8 중량부 이다. 상기 언급한 비율이 1 중량부 미만이면, 피착체에 대한 적당한 접착력이 보장될 수 없고, 투명도가 감소되는 경우가 존재한다. 반면에, 10 중량부보다 높으면, 감압성 접착제의 점도 증가로 인해 코팅력 저하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는 경우가 존재한다.
아크릴 중합체 (a) 중에서, 상기 언급한 주 단량체 성분 및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와 공중합가능한 다른 단량체가 필요에 따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그러한 공중합가능한 다른 단량체의 비율은 각 단량체 성분의 종류에 따라, 전체 단량체 성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40 중량부 미만의 범위 내에서 임의로 선택될 수 있다. 적당한 감압성 접착력을 발현하기 위해서는, 아크릴 중합체 (a)의 유리 전이 온도가 -20℃ 이하(바람직하게는, -70℃ 내지 -35℃)가 되도록 하는 양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한 공중합가능한 다른 단량체의 예로는 탄수 수가 1 내지 3개인 알킬기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예를 들어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n-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이소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13 내지 1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예를 들어 트리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스테아릴 (메트)아크릴레이트; 관능성 단량체, 예를 들어 히드록실기 함유 단량체(예를 들어, 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등), 에폭시기 함유 아크릴 단량체(예를 들어,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틸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등), 글리세롤 디메타크릴레이트, 및 2-메타크릴 로일옥시에틸 이소시아네이트; 다관능성 단량체, 예를 들어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및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산 시클로알킬 에스테르, 예를 들어 시클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비방향족 고리 함유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예를 들어 이소보르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방향족 고리 함유 (메트)아크릴 에스테르,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 아릴 에스테르(예를 들어, 페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등), (메트)아크릴산 아릴옥시알킬 에스테르(예를 들어, 페녹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등), (메트)아크릴산 아릴알킬 에스테르(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 벤질 에스테르 등); 비닐 에스테르 단량체, 예를 들어 비닐 아세테이트 및 비닐 프로피오네이트; 스티렌계 단량체, 예를 들어 스티렌, 및 α-메틸 스티렌; 올레핀계 단량체, 예를 들어 에틸렌, 프로필렌, 이소프렌, 및 부타디엔; 및 비닐 에테르 단량체, 예를 들어 비닐 에테르가 포함된다.
아크릴 중합체 (a)는 통상적으로 공지되어 있거나 흔히 사용되는 중합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아크릴 중합체 (a)의 중합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용액 중합화, 에멀젼 중합화, 벌크 중합화, 자외선 조사에 의한 중합화 방법 등이 언급될 수 있으며, 이 중 용액 중합화가 투명성, 내수성(water resistance), 비용 등의 관점에서 적합하다.
이와 관련해서, 아크릴 중합체 (a)의 중합화를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개시제, 사슬 전이제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 공지되어 있거나 흔히 사용되는 물질들로부터 임의적으로 선택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보다 예시적으로, 개시 제의 바람직한 예로는 아조 유형의 개시제, 예를 들어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4-메톡시-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1,1'-아조비스(시클로헥산-1-카르보니트릴), 2,2'-아조비스(2,4,4-트리메틸펜탄), 2,2'-아조비스(메틸), 및 디메틸-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오네이트); 및 지용성 개시제, 예를 들어 퍼옥시드 유형의 개시제, 예를 들어 벤조일 퍼옥시드, t-부틸 히드로퍼옥시드, 디-t-부틸 퍼옥시드, t-부틸 퍼옥시벤조에이트, 디쿠밀 퍼옥시드, 1,1-비스(t-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1,1-비스(t-부틸퍼옥시)시클로도데칸이 포함된다.
상기 개시제는 단독으로 또는 그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사용되는 개시제의 양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전체 단량체 성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약 0.01 중량부 내지 1 중량부의 범위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다양한 일반적인 용매들이 용액 중합화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용매의 예로는 유기 용매, 예를 들어 에틸 아세테이트, n-부틸 아세테이트 등의 에스테르; 톨루엔, 벤젠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n-헥산, n-헵탄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 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 등의 지환족 탄화수소; 및 메틸 에틸 케톤, 메틸 이소부틸 케톤 등의 케톤이 포함된다. 상기 용매는 단독으로 또는 그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아크릴 중합체 (a)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400,000 이상 1,500,000 이하(400,000 내지 1,500,000), 바람직하게는 600,000 내지 900,000, 보 다 바람직하게는 600,000 내지 800,000이다. 아크릴 중합체 (a)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400,000 미만이면, 감압성 접착제로서 필요한 감압성 접착 강도 및 점착 강도를 발휘하는 것이 불가능해지며, 상기 값이 1,500,000을 초과하면, 감압성 접착제의 점도 증가로 인해 코팅력 부재 등의 문제점이 나타나는 경우가 존재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하기 설명되는 아크릴 중합체 (a) 및 아크릴 올리고머 (b)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로 측정될 수 있다. 보다 예시적으로, 이는 하기 GPC 측정 조건 하에서 GPC 측정 장치로서 "HLC-8120 GPC" (상표명, 도소 코포레이션(TOSOH CORPORATION)에 의해 제조)를 사용하여 측정함으로써 폴리스티렌-협력값(concerted value)으로부터 계산될 수 있다.
GPC 측정 조건
- 샘플 농도: 0/2 중량% (테트라히드로푸란 용액)
- 샘플 주입량: 10 ㎕
- 용리액: 테트라히드로푸란 (THF)
- 유량(유속): 0.6 ml/분
- 컬럼 온도(측정 온도):40℃
- 컬럼: 상표명 "TSK겔 수퍼 HM-H/H4000/H3000/H2000" (도소 코포레이션에 의해 제조)
- 검출기: 시차 굴절계(RI)
아크릴 중합체 (a)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개시제 및 사슬 전이제의 종류, 이 들의 사용량, 중합화 온도 및 중합화에 걸린 시간 뿐 아니라, 단량체 농도, 단량체 적하 속도 등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아크릴 올리고머 (b)
본 발명의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아크릴 올리고머 (b)는 주 단량체 성분으로서 일반적인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중합체이다. 상기 언급한 주 단량체 성분으로서 사용되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로는,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메트)아크릴산 알콕시알킬 에스테르 및 분자 중에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한 주 단량체 성분 뿐 아니라, 아크릴 올리고머 (b)는 필수 공중합화 단량체 성분으로서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를 함유한다. 또한, 다른 단량체 성분들이 필요에 따라 추가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로는, 예를 들어, 상기 언급한 (메트)아크릴산 C4 -12 알킬 에스테르 (아크릴 중합체 (a)의 주 단량체 성분으로 예시됨)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언급된 (메트)아크릴산 알콕시알킬 에스테르로는, 상기 언급한 (메트)아크릴산 알콕시알킬 에스테르(아크릴 중합체 (a)의 주 단량체 성분으로 예시됨)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특히, 험한 조건(고온 다습 조건) 하에서 아크릴 수지 및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와 같은 투명 플라스틱에 대한 발포 및 분리 내성을 얻는다는 관점에서, 상기 언급한 주 단량체 성분들 중, 분자 중에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 르가 바람직하고, 분자 중에 고리 구조를 갖고, 단독중합체로 형성될 때 60℃ 내지 190℃의 유리 전이 온도(Tg)를 보이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가 특히 바람직하다.
분자 중에 고리 구조를 갖고 단독중합체로 형성될 때 60℃ 내지 190℃의 유리 전이 온도(Tg)를 보이는 상기 언급한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중 고리로는, 방향족 고리 또는 비방향족 고리일 수 있지만, 비방향족 고리가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언급한 방향족 고리의 예로는 방향족 탄화수소 고리(예를 들어, 벤젠 고리 또는 나프탈렌 등의 축합 탄소 고리), 및 다양한 방향족 헤테로고리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언급한 비방향족 고리의 예로는 비방향족 지환족 고리(예를 들어, 시클로알칸 고리, 예를 들어 시클로펜탄 고리, 시클로헥산 고리, 시클로헵탄 고리, 및 시클로옥탄 고리; 시클로알켄 고리, 예를 들어 시클로헥센 고리), 및 비방향족 가교 고리(예를 들어, 피난, 피넨, 보르난, 노르보르난, 노르보르넨 등에서의 비시클릭 탄화수소 고리; 아다만탄 등에서의 트리시클릭 탄화수소 고리 뿐 아니라, 테트라시클릭 탄화수소 고리 등의 가교 유형 탄화수소 고리 등)가 포함된다.
분자 중에 고리 구조를 갖고 단독중합체로 형성될 때 60℃ 내지 190℃의 유리 전이 온도(Tg)를 보이는 그러한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로는, (메트)아크릴산 시클로알킬 에스테르,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레이트, 비방향족 고리 함유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예를 들어 이소보르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이 바람직하고, 예시적으로는, 시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 및 이소보르닐 (메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게 예시될 수 있다.
아크릴 올리고머 (b) 중에서, 상기 언급한 주 단량체 성분은 단량체 성분들의 전체량을 기준으로, 5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중량% 이상의 비율로 함유된다. 이와 관련하여, 단량체 성분들의 전체량을 기준으로 한 상기 비율의 상한은 99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97 중량% 이하이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언급한 주 단량체 성분은 단독으로 또는 그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는 필수 공중합화 단량체 성분으로서 아크릴 올리고머 (b) 중에 사용된다. 그러한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로는, 상기 언급한 아크릴 중합체 (a) 중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의 경우와 유사하게,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산, 푸마르산, 크로톤산 등이 언급될 수 있다. 또한, 이들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들의 산 무수물(예를 들어, 말레산 무수물, 이타콘산 무수물 등의 산 무수물을 함유하는 단량체)이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아크릴 올리고머 (b) 중에서, 상기 언급한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의 비율은 아크릴 올리고머 (b)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 성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 내지 8 중량부이다.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의 비율이 1 중량부 미만이면, 일부 경우에 있어서, 투명도가 감소되고,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의 점도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에,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중합화 동안의 온도 조절이 곤란해지는 경향이 있으며, 따라서 두 경우 모두 바람직하지 않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언급한 단량체 성분 뿐 아니라, 다른 공중합가능한 단 량체가 필요에 따라 아크릴 올리고머 (b) 중에 함께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다른 공중합가능한 단량체로는, 상기 언급한 주 단량체 성분들 및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 이외의 단량체 성분(상기 언급한 아크릴 중합체 (a)에서 다른 공중합가능한 단량체로서 예시됨)이 사용될 수 있다.
아크릴 올리고머 (b)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바람직하게는 6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180℃이다. 아크릴 올리고머 (b)의 유리 전이 온도가 60℃ 미만이면, 감압성 접착제의 접착력이 감소되고, 그로 인해 부유 또는 분리를 방지하는 특성이 일부 경우에 있어서 감소된다. 이와 관련하여, 공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하기 식에 의해 나타내지는 유리 전이 온도이다(이론값).
1/Tg = W1/Tg1 + W2/Tg2 + … + Wn/Tgn
상기 식에서, Tg는 공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단위: K)이고, Tgn은 단량체 n의 단독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단위: K)이며, Wn은 단량체 n의 중량 분율이다.
아크릴 올리고머 (b)는 통상적으로 공지되어 있거나 흔히 사용되는 중합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아크릴 올리고머 (b)의 중합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상기 언급한 아크릴 중합체 (a)의 중합화 방법의 경우와 유사하게, 용액 중합화, 에멀젼 중합화, 벌크 중합화, 자외선 조사에 의한 중합화 등이 언급될 수 있으며, 이들 중 투명성, 내수성, 비용 등의 관점에서 용액 중합화가 적합하다.
이와 관련하여, 아크릴 올리고머 (b)의 중합화를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개시제, 용매 등에 관해서는, 상기 언급한 아크릴 중합체 (a)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되는 개시제의 양은 일반적인 사용량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전체 단량체 성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약 0.1 내지 15 중량부의 범위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사슬 전이제가 분자량을 조절하기 위한 목적으로 아크릴 올리고머 (b) 중에 사용될 수 있다. 사슬 전이제의 예로는 2-메르캅토에탄올, 라우릴메르캅탄, 글리시딜메르캅탄, 메르캅토아세트산, 2-에틸헥실티오글리콜레이트, 2,3-디메틸메르캅토-1-프로판올, 및 α-메틸 스티렌 이량체가 포함된다. 사용되는 사슬 전이제의 양으로는, 예를 들어, 전체 단량체 성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약 0.01 내지 15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아크릴 올리고머 (b)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3,000 이상 6,000 미만, 바람직하게는 3,300 내지 5,500, 보다 바람직하게는 3,500 내지 5,000이다. 중량 평균 분자량은 개시제 및 사슬 전이제의 종류, 이들의 사용량, 중합화 온도 및 중합화에 걸린 시간 뿐 아니라, 단량체 농도, 단량체 적하 속도 등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
본 발명의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에 따르면, 아크릴 올리고머 (b)의 블렌딩 비율은 아크릴 중합체 (a)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내지 3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 중량부이다. 아크릴 올리고머 (b)의 블렌딩 비율이 아크릴 중합체 (a)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중량부 미만이면, 아크릴 올리고머 (b)를 첨가하는 효과가 거의 발휘되지 않을 수 있으며, 35 중량부를 초과하면, 아크릴 중합체 (a)에 의한 부착 특성에 크게 영향을 주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은 특정 블렌딩 비율로 아크릴 중합체 (a) 및 아크릴 올리고머 (b)를 함유한다. 따라서, 본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을 함유하는 감압성 접착제 층은 투명도가 우수하다. 또한, 점착 강도(전단력에 대한 드랙(drag)) 및 접착력(계면에서의 수직방향 드랙) 모두가 우수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플라스틱 기재와 적층시킴으로써 사용되는 경우, 기재로부터 생성된 기포(발포)로 인해 접착 계면에서 부유 및 분리가 생성되지 않아서, 발포 및 분리 내성 또한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은 아미노기를 갖는 실란 커플링제를 함유한다. 아미노기를 갖는 실란 커플링제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그의 바람직한 예로는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 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아닐리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및 γ-아닐리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이 포함된다. 특히, 2차 아민을 갖는 실란 커플링제가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한 아미노기를 갖는 실란 커플링제의 첨가량은 아크릴 중합체 (a)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1 중량부 이상 1.0 중량부 미만, 바람직하게는 0.03 내지 0.5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3 내지 0.3 중량부이다. 첨가량이 0.01 중량부 미만이면, 실란 커플링제의 첨가 효과가 불충분해지고, 1.0 중량부 이상인 경우에는, 고온 보관시 황화현상이 심해지는 경우가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미세한 작용 메커니즘이 분명하지는 않지만, 카르복실기 를 갖는 아크릴 올리고머 및 아미노기를 갖는 실란 커플링제가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에 첨가되었을 때, 아미노기와 카르복실기가 서로 상호작용하여 유리에 대한 우수한 접착력 및 보관 안정성을 발휘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즉, 유리에 대한 접착력은 아미노기의 효과와 실란 커플링제의 효과로 인해 개선된다. 또한, 실란 커플링제가 단독으로 첨가되는 경우 가수분해로 인해 보관 안정성이 감소되지만, 실란 커플링제가 아크릴 올리고머와 상호작용하는 경우에는, 가수분해 속도가 낮아지고, 이량체화 및 삼량체화가 일어나기 곤란해짐으로써, 상기 언급한 실란 커플링제의 효과가 오랜 시간 동안 계속되게 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본 발명의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은 가교제를 함유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감압성 접착제로서의 점착 강도는 가교제를 사용하여 아크릴 중합체 (a) 및 아크릴 올리고머 (b)를 가교시킴으로써 더욱 증가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가교제로 알려진 것들이 널리 사용될 수 있다. 가교제의 바람직한 예로는 다관능성 멜라민 화합물, 다관능성 에폭시 화합물 및 다관능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포함된다. 가교제는 단독으로 또는 그들 중 2 이상의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다관능성 멜라민 화합물의 예로는 메틸화 트리메틸올멜라민 및 부틸화 헥사메틸올멜라민이 포함된다. 나아가, 다관능성 에폭시 화합물의 예로는 디글리시딜아닐린 및 글리세릴 디글리시딜 에테르가 포함된다. 나아가, 다관능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예로는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메틸렌폴리페닐 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과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 생성물, 폴리에테르 폴리이소시아 네이트 및 폴리에스테르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포함된다.
상기 언급한 가교제의 사용량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며, 일반적으로는, 아크릴 중합체 (a)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1 내지 20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한 아크릴 중합체 (a), 아크릴 올리고머 (b), 아미노기를 갖는 실란 커플링제 및 가교제 뿐 아니라, 본 발명의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은 임의적으로, 다른 일반적인 첨가제, 예를 들어 자외선 흡수제, 산화방지제, 광 안정화제, 노화 방지제, 분리 조정제, 점착성부여제, 가소제, 연화제, 충전제, 착색제(안료, 염료 등), 계면활성제 및 대전방지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은 아크릴 중합체 (a), 아크릴 올리고머 (b), 아미노기를 갖는 실란 커플링제, 가교제 및 임의적인 다른 첨가제를 혼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감압성 접착제 제품
감압성 접착제 제품은 상기 언급한 본 발명의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을 기재 재료 또는 이형 라이너 상에 도포하여 감압성 접착제 층을 형성함으로써 얻어진다. 본 발명의 감압성 접착제 제품에는 예를 들어, 감압성 접착제 시트 및 감압성 접착제 테이프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감압성 접착제 제품은 상기 언급한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을 이형 라이너 상에 코팅함으로써 제조되는 기재 재료가 없는(기재 재료 무함유) 시트 또는 테이프 형태, 또는 본 발명의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감압성 접착제 층이 기재 재료의 한 면 또는 양면 상에 배치된 시트 또는 테이프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언급한 감압성 접착제 층의 두께(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의 코팅 및 건조 후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 ㎛이다. 이와 관련하여, 감압성 접착제 층은 단일층 또는 층상 제품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언급한 감압성 접착제 층이 기재 재료 상에 배치되는 경우, 기재 재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그의 예로는 다양한 광학 필름, 예를 들어 플라스틱 필름, 반사방지(AR) 필름, 편광판, 및 위상차판이 포함된다. 상기 언급한 플라스틱 필름 등의 원료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등의 아크릴계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 트리아세틸 셀룰로스, 폴리술폰, 폴리아릴레이트, 상표명 "아르톤(ARTON)(시클릭 올레핀계 중합체; JSR에 의해 제조)", 상표명 "제오노르(ZEONOR)(시클릭 올레핀계 중합체; 닛폰 제온(Nippon Zeon)에 의해 제조)" 등의 플라스틱 재료가 언급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플라스틱 재료는 단독으로 또는 그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기재 재료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1 내지 1,000 ㎛가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언급한 기재 재료는 단일층 또는 층상 제품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 공지되어 있거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표면 처리, 예를 들어 코로나 방전 처리, 플라즈마 처리 등의 물리적 처리 또는 언더코팅 처리 등의 화학 처리가 기재 재료 표면에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감압성 접착제 제품을 제조함에 있어서 감압성 접 착제 조성물을 도포하기 위한 통상적으로 공지된 도포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코터, 예를 들어 그라비아 롤 코터, 리버스 롤 코터, 키스 롤 코터, 딥 롤 코터, 바 코터, 나이프 코터, 스프레이 코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압성 접착제 제품이 디스플레이 등에 사용되는 경우, 상기 감압성 제품은 높은 투명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가시광 파장 영역에서의 전체 광 투과율로서, 85% 이상(바람직하게는, 9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이상)의 투명도(JIS K 7361에 따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감압성 접착제 제품(감압성 접착제 시트 등)은, 예를 들어 1.0% 미만의 헤이즈 값(JIS K 7136에 따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한 감압성 접착제 제품(감압성 접착제 시트 또는 감압성 접착제 테이프)의 피착체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아크릴 수지판, 폴리카르보네이트판, 유리,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이 예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압성 접착제 제품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터치 패널, 액정 패널 등의 디스플레이에 적합하게 사용된다.
하기는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는 것이지만,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아크릴 중합체 제조예 1
단량체 성분으로서의 96 중량부 부분의 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4 중량부의 아 크릴산, 개시제로서의 0.2 중량부의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및 중합화 용매로서의 185.7 중량부의 에틸 아세테이트를 별도의 플라스크 내에 넣고, 질소 기체를 주입하면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러한 방식으로 중합화 계로부터 산소를 제거한 후, 내용물을 63℃까지 가열하고, 10시간 동안 반응을 진행시킨 후, 톨루엔을 거기에 첨가하여 고형분 함량이 25 중량%인 아크릴 중합체 용액(이하, "아크릴 중합체 용액 A"로 종종 지칭함)을 얻었다. 아크릴 중합체 용액 A 중 아크릴 중합체(이하, "중합체 A"로 종종 지칭함)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850,000이었다.
아크릴 중합체 제조예 2
고형분 함량이 25 중량%인 아크릴 중합체 용액(이하, "아크릴 중합체 용액 B"로 종종 지칭함)을 아크릴 중합체 제조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얻되, 다만 95 중량부의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및 5 중량부의 아크릴산을 단량체 성분으로 사용하였고, 0.2 중량부의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을 개시제로 사용하였으며, 233.3 중량부의 에틸 아세테이트를 중합화 용매로 사용하였다. 아크릴 중합체 용액 B 중 아크릴 중합체(이하, "중합체 B"로 종종 지칭함)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800,000이었다.
아크릴 중합체 제조예 3
고형분 함량이 25 중량%인 아크릴 중합체 용액(이하, "아크릴 중합체 용액 C"로 종종 지칭함)을 아크릴 중합체 제조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얻되, 다만 100 중량부의 부틸 아크릴레이트를 단량체 성분으로 사용하였고, 0.2 중량부의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을 개시제로 사용하였으며, 233.3 중량부의 에틸 아 세테이트를 중합화 용매로 사용하였다. 아크릴 중합체 용액 C 중 아크릴 중합체(이하, "중합체 C"로 종종 지칭함)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750,000이었다.
아크릴 중합체 제조예 4
고형분 함량이 25 중량%인 아크릴 중합체 용액(이하, "아크릴 중합체 용액 D"로 종종 지칭함)을 아크릴 중합체 제조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얻되, 다만 88 중량부의 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12 중량부의 아크릴산을 단량체 성분으로 사용하였고, 0.2 중량부의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을 개시제로 사용하였으며, 233.3 중량부의 에틸 아세테이트를 중합화 용매로 사용하였다. 아크릴 중합체 용액 D 중 아크릴 중합체(이하, "중합체 D"로 종종 지칭함)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800,000이었다.
올리고머 제조예 1
단량체 성분으로서의 95 중량부 부분의 시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단독중합체(시클로헥실 폴리메타크릴레이트)의 유리 전이 온도: 66℃) 및 5 중량부의 아크릴산, 사슬 전이제로서의 10 중량부의 α-메틸스티렌 이량체, 개시제로서의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및 중합화 용매로서의 120 중량부의 톨루엔을 별도의 플라스크 내에 넣고, 질소 기체를 주입하면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러한 방식으로 중합화 계로부터 산소를 제거한 후, 내용물을 85℃까지 가열하고, 5시간 동안 반응을 진행시켜 고형분 함량이 50 중량%인 아크릴 올리고머 용액(이하, "아크릴 올리고머 용액 E"로 종종 지칭함)을 얻었으며, 아크릴 올리고머 용액 E 중 아크릴 올리고머(이하, "아크릴 올리고머 E"로 종종 지칭함)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4,000 이었다.
올리고머 제조예 2
고형분 함량이 50 중량%인 아크릴 올리고머 용액(이하, "아크릴 올리고머 용액 F"로 종종 지칭함)을 올리고머 제조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얻되, 다만 100 중량부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단독중합체(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유리 전이 온도: 105℃)를 단량체 성분으로 사용하였다. 아크릴 올리고머 용액 F 중 아크릴 올리고머(이하, "아크릴 올리고머 F"로 종종 지칭함)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4,000이었다.
실시예 1
100 중량부(고형분 함량 기준)의 아크릴 중합체 용액 A를 25 중량부(고형분 함량)의 아크릴 올리고머 용액 E, 0.05 중량부의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KBM 903", 신-에츠 케미칼(Shin-Etsu Chemical Co., Ltd.)) 및 0.05 중량부(고형분 함량)의 사관능성 에폭시계 가교제(상표명 "TETRAD-C", 미쯔비시 가스 케미칼 컴퍼니(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와 상기 비율로 혼합함으로써 감압성 접착제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감압성 접착제 용액을, 한 면에 표면 윤활 처리를 시행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두께 38 ㎛)의 표면 윤활 처리된 면 상에 도말하고 코팅하고, 3분 동안 130℃에서 가열함으로써 건조시키고, 72시간 동안 50℃에서 추가로 노화시킴으로써, 감압성 접착제 시트(기재 재료 무함유 유형)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감압성 접착제 시트를 제조하되,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KBM 903)의 첨가량을 0/3 중량부로 변경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감압성 접착제 시트를 제조하되, 아크릴 중합체 용액 A를 아크릴 중합체 용액 B로 변경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아크릴 중합체, 아크릴 올리고머 및 실란 커플링제 성분 각각의 블렌딩 양(첨가량)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으며, 이하 동일한 내용이 적용된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감압성 접착제 시트를 제조하되, 0.1 중량부의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KBM 403", 신-에츠 케미칼에 의해 제조)을 실란 커플링제로 사용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감압성 접착제 시트를 제조하되, 아크릴 올리고머 용액 E를 첨가하지 않았다. 이 감압성 접착제 용액의 코팅력은 점도 증가로 인해 불량하였으므로, 감압성 접착제 시트를 제조하지 못했다.
비교예 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감압성 접착제 시트를 제조하되, 아크릴 올리고머 E를 20 중량부(고형분 함량)의 아크릴 올리고머 F로 변경하였다. 이 감압성 접착제 용액의 코팅력은 점도 증가로 인해 불량하였으므로, 감압성 접착제 시트를 제조하지 못했다.
비교예 4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감압성 접착제 시트를 제조하되, 아크릴 중합체 용액 A를 아크릴 중합체 용액 C로 변경하였다.
비교예 5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감압성 접착제 시트를 제조하되,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KBM 903)의 첨가량을 1 중량부로 변경하였다.
비교예 6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감압성 접착제 시트를 제조하되, 아크릴 중합체 용액 A를 아크릴 중합체 용액 D로 변경하였다.
비교예 7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감압성 접착제 시트를 제조하되,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KBM 903)을 첨가하지 않았다.
평가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7에서 얻어진 감압성 접착제 용액 및 감압성 접착제 시트에 대해, 하기 측정 방법 또는 평가 방법에 의해 코팅력, 투명도, 접착력(습윤화 후 접착 강도) 및 고온 보관에 의한 색조 변화를 평가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평가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1) 코팅력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감압성 접착제 용액을 1 내지 10 m/분의 코팅 속도로 표면 윤활 처리된 PET 필름 상에 도말하고 코팅함으로써 감압성 접착제 시 트를 제조한 경우, 코팅 스트라이프를 생성하지 않고 평활한 코팅면을 보인 것들을 양호한 코팅력(양호)으로 판정하고, 코팅 스트라이프 등이 생성되고 코팅면이 평활하게 되지 않은 것들을 불량한 코팅력(불량)으로 판정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판정은 육안으로 수행하였다.
(2) 투명도(헤이즈 값)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감압성 접착제 시트 각각을 슬라이드 글라스(마쯔나미 글라스(Matsunami Glass)에 의해 제조, 상표명 "S-1111", 헤이즈 값 0.4%) 상에 적층시키고 나서, PET 필름을 박리시킴으로써 감압성 접착제 층/슬라이드 글라스의 층 구조를 갖는 시편을 제조하고, 시편의 헤이즈 값(%)을 헤이즈 계측기(무라까미 컬러 리서치 레이보러토리(Murakami Color Research Laboratory), 상표명 "HM-150")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헤이즈 값(%)은 "굴절 투과도/전체 광 투과도 x 100"의 식으로 계산하였다.
헤이즈 값이 1.0% 미만인 경우에는 투명성이 양호하며, 1.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불량한 것이다.
(3) 습윤화 후(제조 직후) 접착 강도
본 발명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감압성 접착제 시트 각각을 용이 부착 처리 표면을 갖는 PET 필름(도요보(Toyobo Co., Ltd.)에 의해 제조, 상표명 "A 4100", 두께 125 ㎛) 상에 적층시킴으로써, 폭이 25 mm이고 길이가 120 mm인 시편을 제조하였다.
표면 윤활 처리된 PET 필름을 이 시편으로부터 박리하고, JIS Z-0237에 따라 23℃의 대기 중에서, 중량이 19.6 N이고 폭이 45 mm인 롤러를 한 번 왕복시킴으로써, 두께가 2 mm인 소다 라임 유리(마쯔나미 글라스에 의해 제조, 용품 번호 S)의 한 면(주석 접촉면이 아님) 상에 적층하였다. 이러한 방식으로 준비된 적층된 샘플을 (i) 50℃, 24시간, (ii) 60℃, 95% RH, 250시간 또는 (iii) 23℃, 50% RH, 2시간의 환경 하에 정치시켰다. 그 후, 텐시론(TENSIRON) 박리 시험기를 사용하여 JIS Z-0237에 따라 300 mm/분의 탄성 응력 속도로 90° 박리 시험을 수행함으로써, 부착 강도(N/25 mm)를 측정하고 "습윤화 후(제조 직후) 접착 강도"로 간주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언급한 (i)에서, 23℃, 50% RH 조건으로부터 온도를 변경하고, 습도는 조절하지 않았다.
(4) 습윤화 후(고온 보관 후, 고온 다습 보관 후) 접착 강도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감압성 접착제 시트 각각을 30일 동안 60℃ 환경 하에서(상기 언급한 (i)의 경우와 유사하게 습도는 조절하지 않음) 보관하여 고온 보관 후 샘플을 제조하였다. 샘플을 사용하여, 상기 언급한 (3)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i) 내지 (iii)의 처리를 시행한 후, 접착 강도를 측정하고, "습윤화 후(고온 보관 후) 접착 강도"로 간주하였다.
또한, 보관 환경을 40℃, 92% RH로 변경하고, 상기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30일 동안 보관함으로써, 고온 다습 보관 후 샘플을 준비하였다. 샘플을 사용하여, 상기 언급한 (3)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i) 내지 (iii)의 처리를 시행한 후, 접착 강도를 측정하고, "습윤화 후(고온 다습 보관 후) 접착 강도"로 간주하였다.
(5) 고온 보관 동안의 색조 변화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감압성 접착제 시트 각각을 80℃ 환경 하에서(상기 언급한 (i)의 경우와 유사하게 습도는 조절하지 않음) 1,000시간 동안 보관하였다. 그 후, 상기 감압성 접착제 시트를 슬라이드 글라스(마쯔나미 글라스에 의해 제조, 상표명 "S-1111", 헤이즈 값 0.4%) 상에 적층시키고 나서, PET 필름을 박리시킴으로써 감압성 접착제 층/슬라이드 글라스의 층 구조를 갖는 시편을 제조하였다.
무라까미 컬러 리서치 레이보러토리에 의해 제조된 "DOT-3C"를 사용하여, 랩 비색 시스템의 b 값을 측정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b 값이 0.5 미만이면 양호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Figure 112008032647071-PAT00001
표 1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정해진 바를 만족하는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은 코팅력이 우수하며, 상기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감압성 접착제 층 및 감압성 접착제 테이프는 투명도 및 접착 특성이 우수하다. 또한, 고온 환경 또는 고온 다습 환경 하에서의 장기간 보관 후에도, 이들은 시간에 따른 접착 강도, 색상 등의 변화의 관점에서 아무런 문제점을 보이지 않았다(실시예들).
반면에, 아미노기를 갖지 않는 실란 커플링제를 사용한 경우(비교예 1), 고온 환경 또는 고온 다습 환경 하에서 장기간 보관된 경우 습윤화 후 접착 강도가 감소되었다. 또한, 아크릴 올리고머가 첨가되지 않은 경우(비교예 2) 또는 아크릴 올리고머가 카르복실기를 갖지 않는 경우(비교예 3),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은 점도 상승을 야기하였고, 코팅력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아크릴 중합체가 카르복실기를 갖지 않는 경우(비교예 4), 중합체와 올리고머의 상용성이 불량하여, 그의 투명도가 감소하였다. 또한, 아크릴 중합체 중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의 함량이 과도한 경우(비교예 6),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의 점도가 높아져서, 코팅력이 감소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실란 커플링제가 첨가되지 않은 경우(비교예 7), 유리에 대한 접착 강도는 얻을 수 없었고, 실란 커플링제가 과도하게 첨가된 경우(비교예 5), 고온 환경 하에서 오랜 시간 보관한 경우 색상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이 특정 실시태양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경법 및 변형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본 출원은 2007년 5월 8일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No. 2007-123918에 기초하고 있으며, 상기 출원은 전체로서 본원에 참고문헌으로 포함된다.
나아가, 본원에서 인용된 모든 참고문헌들은 전체로서 포함된다.

Claims (9)

  1. 아크릴 중합체 (a), 아크릴 올리고머 (b), 아미노기를 갖는 실란 커플링제, 및 가교제를 포함하며,
    상기 아크릴 중합체 (a)는 주 단량체 성분으로서, 탄소수가 4 내지 12개인 알킬기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및 (메트)아크릴산 알콕시알킬 에스테르 중 하나 이상을 함유하고, 아크릴 중합체 (a)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 성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10 중량부의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를 단량체 성분으로서 함유하고, 상기 아크릴 중합체 (a)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400,000 내지 1,500,000이고,
    상기 아크릴 올리고머 (b)는 주 단량체 성분으로서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를 함유하고, 아크릴 올리고머 (b)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 성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10 중량부의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를 단량체 성분으로서 함유하고, 상기 아크릴 올리고머 (b)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3,000 이상 6,000 미만이며,
    아크릴 중합체 (a)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아크릴 올리고머 (b)가 10 내지 35 중량부이고, 아미노기를 갖는 실란 커플링제가 0.01 중량부 이상 1.0 중량부 미만인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아크릴 중합체 (a) 중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및 (메트)아크릴산 알콕시알킬 에스테르 중 하나 이상이 아크릴 중합체 (a)를 구성하 는 전체 단량체 성분들을 기준으로 50 중량% 이상의 비율로 함유된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아크릴 올리고머 (b) 중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가 아크릴 올리고머 (b)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 성분들을 기준으로 50 중량% 이상의 비율로 함유된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주 단량체 성분으로서 아크릴 올리고머 (b)를 구성하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가 단독중합체로 형성될 때 60℃ 내지 190℃의 유리 전이 온도를 보이는 (메트)아크릴산인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주 단량체 성분으로서 아크릴 올리고머 (b)를 구성하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가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인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실란 커플링제가 2차 아민을 갖는 것인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
  7. 제1항에 따른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이 도포된 감압성 접착제 제품.
  8. 제7항에 있어서,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이 기재 재료 또는 이형 라이너 상에 도포되어 감압성 접착제 층을 형성하는 것인 접착제 제품.
  9. 제7항에 따른 감압성 접착제 제품을 유리 상에 적층시킴으로써 얻어진 디스플레이.
KR1020080042519A 2007-05-08 2008-05-07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감압성 접착제 제품및 디스플레이 KR1013156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23918A JP5118880B2 (ja) 2007-05-08 2007-05-08 粘着剤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粘着製品、ディスプレイ
JPJP-P-2007-00123918 2007-05-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9194A true KR20080099194A (ko) 2008-11-12
KR101315613B1 KR101315613B1 (ko) 2013-10-08

Family

ID=39714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2519A KR101315613B1 (ko) 2007-05-08 2008-05-07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감압성 접착제 제품및 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088864B2 (ko)
EP (1) EP2000518A1 (ko)
JP (1) JP5118880B2 (ko)
KR (1) KR101315613B1 (ko)
TW (1) TWI42712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3435A (ko) * 2012-03-09 2013-09-23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터치 패널 부재 첩부용 점착제, 터치 패널 부재 첩부용 점착 시트 및 터치 패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99917B2 (ja) * 2009-02-25 2013-05-15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粘着型機能性フィルム
JP5484104B2 (ja) * 2010-01-29 2014-05-07 日本カーバイド工業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シート
JP5502543B2 (ja) * 2010-03-25 2014-05-28 日東電工株式会社 アクリル系粘着テープ
JP2011202012A (ja) * 2010-03-25 2011-10-13 Nitto Denko Corp 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およびアクリル系粘着テープ
KR101591105B1 (ko) * 2010-04-06 2016-02-02 (주)엘지하우시스 터치 패널용 점착 필름 및 터치 패널
CN104093806B (zh) 2011-11-18 2017-04-05 3M创新有限公司 压敏粘合剂组合物
JP6022795B2 (ja) * 2012-04-06 2016-11-09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粘着シート、表面保護シート、光学用表面保護シート、及び、表面保護シート付き光学フィルム
KR20130131795A (ko) * 2012-05-24 2013-12-04 (주)엘지하우시스 유연도가 높은 점착 조성물
EP2906654B1 (en) 2012-10-09 2020-04-08 Avery Dennison Corporation Adhesives and related methods
CN105247003B (zh) 2013-05-14 2017-03-29 3M创新有限公司 粘合剂组合物
CN109439206B (zh) * 2013-10-10 2021-08-27 艾利丹尼森公司 胶黏剂和相关方法
CN110079218B (zh) * 2013-10-10 2022-07-15 艾利丹尼森公司 胶黏剂和相关方法
CN111484803A (zh) * 2013-10-10 2020-08-04 艾利丹尼森公司 胶黏剂和相关方法
CN106459708B (zh) 2014-03-26 2018-11-23 3M创新有限公司 紫外固化型(甲基)丙烯酸酯压敏粘合剂组合物及其制备方法
EP3253837A1 (en) 2015-02-05 2017-12-13 Avery Dennison Corporation Label assemblies for adverse environments
JP2017043725A (ja) * 2015-08-28 2017-03-02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感圧式接着剤、感圧式接着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光学積層体
JP2017132872A (ja) * 2016-01-27 2017-08-03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部材、光学部材、および電子部材
WO2017150463A1 (ja) * 2016-03-02 2017-09-08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粘着テープ、電子機器部品固定用粘着テープ及び光学用透明粘着テープ
JP6152451B2 (ja) * 2016-05-19 2017-06-21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粘着シート、表面保護シート、光学用表面保護シート、及び、表面保護シート付き光学フィルム
EP3481910B1 (en) 2016-07-06 2020-08-19 Eastman Chemical Company (meth)acrylic oligomers
WO2018116067A2 (en) 2016-12-19 2018-06-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dhesive compositions and articles
US10526511B2 (en) 2016-12-22 2020-01-07 Avery Dennison Corporation Convertible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comprising urethane (meth)acrylate oligomers
JP7226977B2 (ja) * 2018-11-29 2023-02-21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乗物外装用装飾フィルム
JP7291474B2 (ja) * 2018-12-04 2023-06-15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用粘着剤、粘着剤層、光学部材、および画像表示装置
CN110684490B (zh) * 2019-01-30 2021-05-14 杭州星华反光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高固含量低粘度丙烯酸树脂胶黏剂的制作方法及其应用
CN114214008B (zh) * 2021-12-29 2023-11-10 苏州凡赛特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于薄型胶带的胶黏剂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2875B2 (ja) 1987-12-29 1997-03-19 日東電工株式会社 感圧性接着剤
JP3295744B2 (ja) 1993-06-14 2002-06-24 株式会社コーワ 掃除機用吸入ノズル
JPH073221A (ja) 1993-06-18 1995-01-06 Sekisui Chem Co Ltd 装飾用粘着シート
JP3516035B2 (ja) 1997-05-13 2004-04-05 綜研化学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
JP2001089731A (ja) 1999-09-20 2001-04-03 Lintec Corp 粘着剤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接着性光学機能部材
JP3819661B2 (ja) * 2000-02-24 2006-09-13 日東電工株式会社 感圧性接着シ―ト類および機能性フイルムの固定方法
JP4433145B2 (ja) * 2003-02-12 2010-03-17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部材用粘着剤組成物、光学部材用粘着剤層、粘着型光学部材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3907611B2 (ja) * 2003-06-23 2007-04-18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製品
JP4515118B2 (ja) 2004-03-12 2010-07-28 日東電工株式会社 透明両面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及びタッチパネル
JP2006309114A (ja) 2005-03-30 2006-11-09 Lintec Corp 偏光板用粘着剤、粘着剤付き偏光板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3435A (ko) * 2012-03-09 2013-09-23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터치 패널 부재 첩부용 점착제, 터치 패널 부재 첩부용 점착 시트 및 터치 패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911940A (en) 2009-03-16
KR101315613B1 (ko) 2013-10-08
US8088864B2 (en) 2012-01-03
EP2000518A1 (en) 2008-12-10
TWI427129B (zh) 2014-02-21
US20080281047A1 (en) 2008-11-13
JP5118880B2 (ja) 2013-01-16
JP2008280390A (ja) 2008-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5613B1 (ko)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감압성 접착제 제품및 디스플레이
KR100657076B1 (ko)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 및 감압성 접착제 제품
KR101510470B1 (ko)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점착 제품, 디스플레이
JP4813509B2 (ja) 両面粘着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及び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の固定方法
EP2169024B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for optical member adhesion
JP5199917B2 (ja) 粘着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粘着型機能性フィルム
JP6001255B2 (ja) 粘着シート
JP6062759B2 (ja) 粘着剤組成物、光学用粘着シート、光学フィルム、及び表示装置
TWI509046B (zh) 光學壓感黏著片材
US20130289210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KR20130000358A (ko) 광학용 양면 감압 점착 시트
CN101955738A (zh) 双面压敏胶粘带
US20140256877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