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6674A - 소음장치 및 그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소음장치 및 그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6674A
KR20080096674A KR1020087020616A KR20087020616A KR20080096674A KR 20080096674 A KR20080096674 A KR 20080096674A KR 1020087020616 A KR1020087020616 A KR 1020087020616A KR 20087020616 A KR20087020616 A KR 20087020616A KR 20080096674 A KR20080096674 A KR 200800966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encer
state
tank
fuel tank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0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5753B1 (ko
Inventor
유다이 후지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80096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66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5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5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77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52Anti-slosh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328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 B60K2015/0344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comprising baff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328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 B60K2015/03453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for fixing or mounting parts of the fuel tank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328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 B60K2015/03453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for fixing or mounting parts of the fuel tank together
    • B60K2015/03467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for fixing or mounting parts of the fuel tank together by clip or snap fit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77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 B60K2015/0775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for reducing movement or slash noise of fu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소음장치의 크기의 자유도를 확대함으로써, 소음장치의 길이를 늘려도 설치 조작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연료탱크에 설치된 개구부(E)를 통해 상기 탱크 내에 삽입되어 설치된 상태로, 연료탱크 내의 연료의 흔들림에 의해 발생하는 소리를 완화흡수하는 소음장치에 있어서, 소음장치(1)가, 상기 개구부(E)의 개구 폭보다 작은 폭 치수부분(X)과, 개구부(E)의 개구 폭보다 큰 길이 치수부분(Y)을 가진 입체형상을 이루면서, 상기 길이 치수부분(Y)이 연결부(3)를 통해 길이 방향의 도중에서 연결된 복수의 소음부(2A, 2B)로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소음장치 및 그 설치방법{SOUND MUFFLING DEVICE AND ITS MOUNTING METHOD}
본 발명은, 연료탱크 내에 설치되어 연료의 출렁거림 등에 따른 소리를 완화흡수하는 소음장치(消音裝置)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연료탱크 내에는, 연료의 출렁거림 등에 따른 소리를 완화흡수하기 위해 다양한 구조의 소음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도 17의 (a)와 (b)는 그 일례로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것을 나타내며, 도 17의 (a)는 연료탱크의 사시도, 도 17의 (b)는 a-a선 단면도이다. 이 연료탱크는, 탱크본체(T)가 블로우(blow)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서, 유닛 게이지 설치용 개구부(開口部)(E) 등을 가지며, 또한, 스테이(S)가 탱크 내의 복수 개소(箇所)에 돌출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소음장치(배플(baffle))(100)는, 두께방향으로 관통한 설치구멍(101)을 가지며, 개구부(E)로부터 탱크 내에 삽입된 후, 스테이(S)에 대해 설치구멍(101)을 삽입하여 상기 스테이(S)의 돌출선단(突出先端)에 클립(C)을 장착함으로써 고정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특허 제3555335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소음장치(100)는, 탱크본체(T)에 설치되어 있는 유닛 게이지 설치용 개구부(E) 등으로부터 탱크 내에 삽입되어 설치조작되는 관계로 폭과 함께 길이도 제약되었다. 이것은, 예컨대, 연료탱크가 박형(薄型)일수록, 소음장치를 탱크측 개구부로부터 삽입할 때 탱크저면(底面)에 간섭하여 설치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그 때문에, 종래는, 소음장치의 길이를 억제함과 아울러 사용 개수를 늘리는 등의 방법으로 대처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과제를 해소하여, 소음장치의 크기의 자유도를 확대함으로써, 소음장치의 길이를 크게 해도 설치 조작성을 양호하게 유지하고, 소음특성이 우수한 소음장치 및 그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의하면, 연료탱크에 설치된 개구부로부터 해당 탱크 내에 삽입되어 설치된 상태로, 상기 연료탱크 내의 연료의 흔들림에 의해 발생하는 소리를 완화흡수하는 소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음장치가, 상기 개구부의 개구 폭보다 작은 폭 치수부분과, 상기 개구 폭보다 큰 길이 치수부분을 가진 입체형상을 이루면서, 상기 길이 치수부분이 연결부를 통해 길이방향의 도중(途中)에서 연결된 복수의 소음부(消音部)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소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소음부가 상기 연결부를 통해 제1 상태와 제2 상태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제1 상태 또는 상기 제2 상태를 유지하여 회동 불가능하게 하는 유지수단을 가지고 있는 것, 상기 유지수단은 상기 복수의 소음부가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로 전환되는 조작과 연동하여 회동 불가능하게 하는 것, 상기 유지수단이 상기 연결부의 기능도 겸비하고 있는 것, 상기 소음장치가 상기 연료탱크 내에 돌출설치된 스터드(stud)에 결합하는 결합부를 일체로 가지고 있는 것, 또는 상기 결합부가 상기 스터드의 돌출위치 편차를 흡수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의하면, 연료탱크에 설치된 개구부로부터 해당 탱크 내에 삽입되어 설치된 상태로, 상기 연료탱크 내의 연료의 흔들림에 의해 발생하는 소리를 완화흡수하는 소음장치의 설치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음장치를 길이방향의 도중을 굴곡하여 제1 상태로 하는 굴곡공정(屈曲工程)과,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소음장치를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연료탱크 내에 끼우는 삽입공정(揷入工程)과, 상기 연료탱크 내에서 상기 소음장치를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사용자세인 제2 상태로 굴곡하는 재굴곡공정(再屈曲工程)과, 상기 연료탱크 내에 상기 소음장치를 설치하는 설치공정을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설치방법에 있어서, 상기 설치공정은 상기 재굴곡공정에서 상기 소음장치를 상기 제2 상태로 굴곡하는 조작과 연속해서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제1 관점에서는, 소음장치의 길이 치수부분이 연결부를 통해 길이방향의 도중에서 연결된 복수의 소음부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各) 형태에 예시되는 것처럼 복수의 소음부를 각도를 갖고 연결하여 탱크 내에 삽입하기 쉽게 하거나, 메인측(側) 및 서브측(側)에 구성함으로써 탱크 안으로의 설치성이나 탱크형상에의 범용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하거나, 또한 제 2형태에 예시되는 것처럼 메인측과 서브측의 연결각(連結角)(소음부의 방향 등)을 고안함으로써 탱크 형상에 따른 최적 소음특성(消音特性)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소음장치에서는, 예컨대, 최적 소음특성을 얻음에 바람직한 상태(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로 복수의 소음부를 유지수단에 의해 회동 불가능하게 하면, 그 최적 소음특성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유지수단이 소음장치를 연료탱크에 삽입한 후, 상기 탱크 내에서 최적 소음특성을 얻음에 바람직한 상태로 전환하는 조작과 연동하여 복수의 소음부를 회동 불가능하게 하면, 연료탱크 내에서의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소음장치에서는, 유지수단이 연결기능도 겸하고 있으면, 유지수단과 연결부를 따로따로 설치하는 것에 비해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소음장치가 연료탱크 내의 스터드에 결합부를 결합한 상태로 설치되면, 예컨대, 종래 클립에 상당하는 부재를 필요 없게 할 수 있어, 양호한 설치 조작도 실현하기 쉬워진다. 또한, 소음장치가 스터드의 돌출위치가 어긋나 있어도 설치 가능하게 되면, 스터드 설치 위치 정밀도 등을 완화하거나 불량 발생을 경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서는, 설치방법으로서, 소음장치를 종래 장치보다 길이 치수를 증대해도, 연료탱크 안으로의 삽입성을 양호하게 유지하거나, 설치 상태(사용 상태)에서의 우수한 소음특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설치공정은, 상기 재굴곡공정에서 상기 소음장치를 상기 제2 상태로 굴곡하는 조작과 연속하여 행해지면, 소음장치의 설치 조작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형태의 소음장치를 직선상에 배치한 상태로 나타낸 개략 외관도이다.
도 2의 (a)와 (b)는 상기 소음장치의 탱크 설치 상태도와 그 A-A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의 (a)∼(c)는 상기 소음장치의 설치 순서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상기 소음장치를 직선상에 배치한 상태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소음장치를 직선상에 배치한 상태로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6의 (a)와 (b)는 상기 소음장치의 우측면도와 좌측면도이다.
도 7의 (a)와 (b)는 도 4의 B-B선 확대 단면도와 C-C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의 (a)와 (b)는 도 5의 D-D선을 따라 단면한 유지수단의 록(lock) 상태와 록 해제 상태를 나타낸 모식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형태의 소음장치를 나타내는 탱크 설치 상태 및 그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소음장치를 사용상태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소음장치를 사용상태로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12는 도 9의 소음장치를 사용상태로 나타낸 하면도이다.
도 13의 (a)는 도 11의 C-C선 단면도, (b)와 (c)는 힌지부를 통해 회동했을 때의 참고도이다.
도 14의 (a)와 (b)는 도 10의 A-A선 확대 단면도와 연결구를 떼어낸 상태에서의 확대도이다.
도 15의 (a)와 (b)는 도 10의 B-B선 확대 단면도와 연결구를 떼어낸 상태에서의 확대도이다.
도 16의 (a)∼(d)는 도 14의 (a)와 (b)의 연결구를 나타내는 정면도, 우단면도(右端面圖), 도 16의 (b)의 D-D와 E-E선 단면도이다.
도 17의 (a)와 (b)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소음장치의 설명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 형태의 소음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도 8의 (b)는 제1 형태를 나타내며, 도 9∼도 16의 (d)는 제2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1 형태의 장치구조, 탱크본체측으로의 설치방법, 제2 형태의 장치구조, 탱크본체측으로의 설치방법의 순서로 상술한다.
(제1 형태) 도 1∼도 8의 (b)의 소음장치(1)는, 연료탱크를 구성하고 있는 탱크본체(T)의 개구부(E)를 통해 해당 탱크 내에 삽입되어 탱크 내에 돌출설치한 스터드(9)에 장착되는 것이다. 입체형상으로서는, 개구부(E)의 개구 폭보다 작은 폭 치수부분(입체형상을 단축(短軸)방향과 장축(長軸)방향으로 나누면, 탱크본체측 개구부(E)에 삽입가능한 단축방향 부분의 것, 이하 동일)(X)과, 탱크본체측 개구부(E)의 개구 폭보다 큰 길이 치수부분(입체형상을 단축방향과 장축방향으로 나누 면, 상기 탱크본체측의 개구에 삽입 불가능한 장축방향 부분의 것, 이하 동일)(Y)을 가지면서, 길이 치수부분(Y)이 연결부로서의 힌지부(3) 및 유지수단(4)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연결한 복수의 소음부(2A, 2B)로 구성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소음장치(1)는, 입체형상으로서, 개구부(E)의 개구 폭보다 큰 길이 치수부분(Y)을 갖고 있다. 이 길이 치수부분(Y)은, 복수의 소음부(2A, 2B)가 길이방향의 도중에서 힌지부(3)를 통해 제1 상태와 제2 상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제1 상태 또는 상기 제2 상태를 유지하여 회동 불가능하게 하는 유지수단(4)을 가지고 있다.
또한, 탱크본체(T)는, 특허문헌 1의 것과 마찬가지로 블로우성형된 수지성형품이며, 유닛 게이지 설치용 개구부(E) 또는 그와 유사한 개구부를 가지고 있다. 탱크본체(T)의 설치벽에는, 소음장치(1)를 설치하기 위한 복수의 스터드(9)가 입설(立設)되어 있다. 각 스터드(9)는,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치벽의 외면에 용접 등으로 고정되는 머리부(9a)와, 머리부(9a)에 돌출되어 설치벽에 설치된 관통구멍으로부터 탱크 안으로 삽입통과되는 축부(軸部)(9b)와, 축부(9b)의 도중으로부터 선단에 걸쳐 거의 등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탄성걸림날개(9c)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소음부(2A, 2B)는 종단면(縱斷面)이 거의 역 L 형상을 이루며, 소음부(2A)가 메인측이며 수평판(10) 및 수직판(20)으로 구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소음부(2B)가 서브측이며 일체로 형성된 수평판부(25) 및 수직판부(26)로 구성되어 있다. 수평판(10) 및 수직판(20), 소음부(2B)는 모두 POM(폴리아세탈) 등의 수지성형 체이다.
소음부(2A)에서, 수평판(10)은, 도 4와 도 7의 (a)와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길이방향의 양측(兩側)이 한 계단 낮게 형성됨과 아울러, 배면측(背面側)에 부착설치된 횡배치의 연결편(11)을 가지며, 상기 연결편(11)의 외면에 2개의 결합돌기(12)를 형성하고 있다. 수평판(10)은, 상기 한 계단 낮게 된 양측 부분을 제외한 곳에 대해 상하면을 관통하고 있는 복수의 통공(通孔)(13)과, 하면에 돌출되어 있는 다수의 돌출부(14)와, 상전연(上前緣)을 따라 돌출되어 있는 입벽(立壁)(17)이 설치되며, 또한, 한 계단 낮게 된 양측 부분에 대해 하면에 돌출되어 있는 2개의 통형부(筒形部)(15A, 15B)와, 통형부(15A, 15B)의 상개구단(上開口端)에 대응하여 상면 폭 방향으로 움푹 들어간 가이드오목부(16A, 16B)와, 소음부(2B)와 연결하는 측에 있는 측벽(18)을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10a∼10d는 보강용 리브이다. 이에 대해, 수직판(20)은, 전면(前面)에 돌출설치된 2개의 테두리형상부(21)를 가지며, 각(各) 결합돌기(12)를 대응하는 테두리형상부(21) 내에 끼워 넣어, 테두리형상부(21)에 설치되어 있는 걸림구멍(22)에 탄성적으로 걸린 상태로 수평판(10)에 대해 연결된다. 수직판(20)에는, 전후면을 관통하고 있는 복수의 통공(23)과, 전면에 돌출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돌출부(24)와, 소음부(2B)와 연결하는 한쪽 편에 설치되어 있는 연결테두리(20a)를 일체로 가지고 있다. 연결테두리(20a)는, 수평판(10)과 수직판(20)이 결합돌기(12) 및 걸림구멍(22)의 결합을 통해 연결된 상태로, 측벽(18)에 설치되어 있는 돌기(18a)와 결합한다.
또한, 상기 각 통공(13, 23)은, 좌우 및 전후, 또는, 좌우 및 상하 모두 거 의 등간격으로 동일 지름의 작은 원형구멍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각 돌출부(14, 24)는, 좌우 및 전후, 또는, 좌우 및 상하 모두 거의 등간격이면서, 1개의 통공(13)이나 통공(23)을 4개의 돌출부(14)나 돌출부(24)로 둘러싸는 배치로 설치되어 있다. 돌출부(14, 24)의 형상은, 속이 빈 원추형상이지만, 기단측(基端側)으로부터 선단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형상이면 좋다. 돌출부(14, 24)의 높이는 적당히 설정된다. 이들 통공 및 돌출부는, 탱크본체(T) 내의 연료이동에 따른 액음(液音), 다시 말해 물결(液波) 에너지를 효율 좋게 분산하거나 감쇠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는 시험결과로부터 채용된 것이다.
통형부(15A, 15B)는 횡단면이 직사각형 테두리 모양을 이루고 있다. 그 테두리 내에는, 도 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합편부(19)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결합편부(19)는, 각(各) 직사각형 내면(內面) 중, 폭 방향의 대향(對向) 내면으로부터 아래를 향해 각각 돌출설치되어 있다. 또한, 통형부(15A)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형부(15B)보다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됨과 아울러, 각 결합편부(19)의 판폭(板幅) 치수도 그 길어진 부분만큼 넓게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예컨대, 각 스터드(9)의 설치위치나 스터드(9)끼리의 간격이 설계 값으로부터 약간 어긋나 있을 때라도, 각 스터드(9)가 통형부(15A, 15B)에 대해 통 위로부터 통 아래를 향해 삽입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다.
가이드오목부(16A, 16B)는, 도 3의 (b)와 도 5로부터 추측되는 바와 같이, 각(各) 통형부(15A, 15B)의 통공입구(筒孔入口)를 지나도록 설치되며, 상기한 한 계단 낮게 된 단차벽(段差壁)(16c, 16c) 및 상기 단차벽과 대향하여 돌출된 리 브(16d)나 리브(16e)로 구획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오목부(16A)는, 리브(16d)가 전측(前側)으로 갈수록 오목부의 폭을 확대하도록 경사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것은, 소음부(2A)가 탱크본체 내에 넣어져서, 손더듬작업(盲作業)에 의해 설치 조작될 때, 각 스터드(9)가 가이드오목부 및 리브(16e)에 안내되어 통형부(15A, 15B)에 들어가기 쉽게 하는 가이드 구성이다. 입벽(17)은, 소음부(2A)를 탱크본체측의 설치벽에 대해 틈을 두고 배치 가능하게 하기 위한 리브이다.
이에 대해, 소음부(2B)에서, 수평판부(25)는, 수평판(10)에 대응해 있으며, 양측으로부터 아래를 향해 돌출설치한 측벽(25a, 25b)과, 후측(後側)에 틈을 두고 수직판부(26)에 일체화해 있는 복수의 연결편부(25c)와, 상하면을 관통하고 있는 복수의 통공(27)을 가지고 있다. 수직판부(26)는, 수직판(20)에 대응해 있으며, 전후면을 관통하고 있는 복수의 통공(28)과, 전면(前面)에 돌출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돌출부(29) 등을 가지고 있다.
힌지부(3) 및 유지수단(4)은, 도 8의 (a)와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음부(2A)의 측벽(18)과 소음부(2B)의 측벽(25a) 사이에 설치되며, 힌지부(3)가 상측에 위치하고, 유지수단(4)이 하측에 위치해 있다. 이 중, 힌지부(3)는, 도 5 및 도 8의 (a)와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18)에 대해 폭 방향 등간격으로 3개의 지지리브(30, 31, 30)를 돌출하고, 각(各) 지지리브(30)와 지지리브(31) 사이에 축부(34)를 각각 설치함과 아울러, 측벽(25a)에 대해 각 축부(34)에 회동 가능하게 끼워 맞추는 훅부(35)를 설치한 구조이다. 이상의 힌지 구조에서는, 도 3의 (a)∼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음부(2A)와 소음부(2B)를 소정 각도(이 예에서는 거 의 90°)만큼 회동 가능하게 하는 것이므로, 예컨대, 소음부(2B)를 소음부(2A)에 대해 상방향(上方向)으로 거의 90°회동한 제1 상태로부터, 소음부(2B)를 탱크 내면에 당접했을 때의 반력을 이용하여 사용자세인 직선 형상이 되는 제2 상태로 회동전환 가능하게 한다.
유지수단(4)은, 도 5 및 도 8의 (a)와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벽(18)에 대해 제1 결합부(40) 및 제2 결합부(42)를 돌출설치함과 아울러, 측벽(25a)에 대해 제1 결합부(40)를 걸림/걸림해제하는 제1 걸림부(45) 및 제2 결합부(42)를 걸림/걸림해제하는 제2 걸림부(47)를 설치한 구조이다. 또한, 도 8의 (b)의 확대도는 각 결합부(40, 42)와 각 걸림부(45, 47)를 위에서 본 모양으로 나타내고 있다. 즉, 제1 결합부(40)는, 측벽(18)에 대해 거의 U 형상으로 돌출되면서, U 형상의 내측에 설치되어 하측으로 돌출하는 고리부(41)를 갖고 있다. 제2 결합부(42)는, 제1 결합부(40)의 후측에 위치하며, 측벽(18)에 대해 판(板) 형상으로 돌출되면서, 선단에 설치되어 전측(前側)으로 돌출한 고리부(43)를 가지고 있다. 한편, 제1 걸림부(45)는, 측벽(25a)에 대해 거의 직사각형 테두리 형상으로 돌출되며, 제1 결합부(40)가 고리부(41)를 퇴피(退避)하는 방향으로 변위하면서 직사각형 테두리 형상 내에 끼워 넣어지면, 고리부(41)가 원래 상태로 복귀한 상태로 직사각형 테두리 형상 내의 하측 단차(段差)(46)를 형성하고 있는 전단면(前端面)에 걸린다. 제2 걸림부(47)는, 상기한 직사각형 테두리 형상의 후방 선단측에 종(縱)리브 형상으로 설치되고, 고리부(43)와 걸림/걸림해제하는 단차형상의 고리부(48)를 가지며, 제2 결합부(42)가 접근하면, 제2 결합부(42)의 고리부(43)가 고리부(48)를 탄성변위를 수반하여 타고 넘음으로써 걸리게 되도록 한다. 또한, 이 구조에서는, 제1 결합부(40) 및 제2 결합부(42)가 제1 걸림부(45) 및 제2 걸림부(47)와 함께 소음부(2A)와 소음부(2B)를 거의 직선 형상으로 유지하는 유지수단을 구성하고 있음과 아울러, 제2 결합부(42)가 본 소음장치의 탱크 안으로의 삽입 작업시에 제2 걸림부(47)의 전단면에 대해 당접한 상태가 됨으로써 각 결합부(40, 42)가 대응하는 걸림부(45, 47)에 용이하게 결합하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stopper)의 역할을 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이상의 유지수단(4)은, 측벽(18)에 대해 걸림부(45, 47)를 설치하고, 측벽(25a)에 대해 결합부(40, 42)를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설치방법) 이상의 소음장치(1)는, 개구부(E)로부터 탱크본체(T) 내에 삽입하여 미리 설치벽에 돌출설치된 2개의 스터드(9)에 대해 통형부(15A, 15B)를 통해 설치된다. 이 설치 조작에서는, 소음장치(1)(소음부(2A, 2B))를 힌지부(3)를 통해 소정 각도로 구부려 삽입자세인 제1의 상태로 하는 굴곡공정과, 도 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음장치(1)(소음부(2A, 2B))를 상기 제1 상태로 개구부(E)로부터 탱크본체(T) 내에 삽입하는 삽입공정과, 도 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탱크본체(T) 내에서 소음장치(1)(소음부(2A, 2B))를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사용자세인 제2 상태로 굴곡하는 재굴곡공정과, 소음장치(1)(소음부(2A, 2B))를 도 3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탱크본체(T) 내의 스터드(9)에 설치하는 설치공정을 거친다.
굴곡공정에서는, 유지수단(4)의 비(非)유지상태에서, 예컨대, 소음부(2A)에 대해 소음부(2B)를 힌지부(3)를 지지점으로 해서 소정 각도만큼 회동하여 제1 상태로 전환 조작된다. 제1 상태는, 소음장치(1)를 개구부(E)로부터 탱크본체(T) 안으 로 삽입함에 바람직한 형태이며, 이 예에서는 약 45°이다. 삽입공정에서는, 예컨대, 소음부(2A)를 손에 쥐고, 소음부(2B)측으로부터 탱크본체(T) 내의 스터드(9)측으로 삽입함과 아울러, 소음부(2A)도 탱크본체(T) 내에 삽입하게 된다. 재굴곡공정에서는,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소음부(2B)의 단부(端部)를 탱크본체(T)의 내면측에 당접했을 때 생기는 아래를 향한 반력을 이용하여 제2 상태로 회동 전환한다. 이 예에서는, 제2 상태가 소음장치(1)의 사용자세이며, 소음부(2A)와 소음부(2B)가 직선상에 배치된다. 이 구조에서는, 제2 상태로 전환됨과 동시에, 소음부(2A)와 소음부(2B)가 상술한 유지수단(4)(제1 결합부(40)의 고리부(41)가 제1 걸림부(45)의 단차(46)에 걸리고, 제2 결합부(42)의 고리부(43)가 제2 걸림부(47)의 고리부(48)에 걸림)을 통해 제2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이 재굴곡공정에서는, 다음의 설치공정이 연속해서 행해지도록 되어 있으며, 소음부(2A)가 리브(16e)의 안내작용과 가이드오목부(16A, 16B)의 안내작용을 따라, 통형부(15A, 15B)가 대응하는 스터드(9)에 일치하도록 위치(位置)된다. 그리고, 소음장치(1)(소음부(2A, 2B))는, 설치벽 쪽으로 눌러지면, 각 스터드(9)가 통형부(15A, 15B)의 양(兩) 결합편부(19)를 확경(擴徑)하면서 결합편부끼리의 틈을 통과함과 아울러, 입벽(17)이 설치벽에 당접한 상태로, 결합편부(19)가 대응하는 걸림날개(9c)끼리 사이의 목부에 결합하고, 이 결합에 의해 각 스터드(9)에 강고하게 장착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이 형태에서는, 소음장치(1)의 길이 치수부분을 형성하고 있는 복수의 소음부(2A, 2B)를 힌지부(3)를 통해 굴곡시킴으로써, 연료탱크에 삽입할 때 가장 바람직한 상태와, 최적 소음특성을 얻음에 바람직한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소음장치에서는, 예컨대, 제1 상태로 연료탱크 내에 개구부(E)로부터 넣어지고, 삽입 후에 제2 상태로 되돌려 탱크 내벽에 설치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박형(薄型) 연료탱크이어도 종래품보다 장치 길이를 크게 하여, 사용 개수를 늘리는 일없이 양호한 소음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탱크측으로의 설치방법으로서는, 소음장치(1)를 종래 장치보다 길이 치수를 증대해도, 연료탱크 안으로의 삽입성을 양호하게 유지하거나, 간단히 설치 조작할 수 있고, 설치 상태(사용 상태)에서의 뛰어난 소음특성도 얻어진다.
(제2 형태) 도 9∼도 16의 소음장치(1A)는, 상기 제1 형태와 마찬가지로 연료탱크를 구성하고 있는 탱크본체(T)에 설치된 유닛 게이지 설치용 등의 개구부(도시를 생략)를 통해 해당 탱크 내에 삽입되어 탱크 내에 돌출설치한 스터드(9)에 장착된다. 입체형상으로서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탱크본체측 개구부의 개구 폭보다 작은 폭 치수부분(X)과, 탱크본체측 개구부의 개구 폭보다 큰 길이 치수부분(Y)을 가지면서, 길이 치수부분(Y)이 힌지 겸용의 유지수단(8)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연결한 복수의 소음부(5, 6)로 구성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소음장치(1A)는, 입체형상으로서, 탱크본체측 개구부의 개구 폭보다 큰 길이 치수부분(Y)을 가지고 있다. 이 길이 치수부분(Y)은, 복수의 소음부(5, 6)가 길이방향의 도중에서 유지수단(8)의 힌지 기능에 의해 제1 상태와 제2 상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제1 상태 또는 상기 제2 상태를 유지수단(8)의 유지 기능에 의해 유지하여 회동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탱크본체(T)에는, 도 9의 상측 모식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탱크본체측 설치벽에 대해 2개의 소음장치(1A)를 설치하기 위한 한쪽 편에 2 개, 합계 4개의 스터드(9)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각 스터드(9)는, 상기 제1 형태와 마찬가지로, 머리부(9a)와 축부(9b)와 복수의 탄성걸림날개(9c)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소음부(5)는, 메인측이며, 복수의 플레이트(50, 51)를 연결구(7A)에 의해 일체로 적층한 구성이다. 소음부(6)는, 서브측에 설정되며, 복수의 플레이트(60∼63)를 연결구(7B)에 의해 일체로 적층한 구성이다. 재질은, 상기 각(各) 플레이트 및 연결구 모두 POM 등의 수지성형체이다. 여기서, 플레이트(50, 51) 및 플레이트(60∼63)는 모두가 변형하기 어려운 거의 직사각형 강성판(剛性板)이다. 형상은, 탱크본체측 설치벽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는 내측 플레이트(1번째 플레이트)(50) 또는 내측 플레이트(60)와, 그 이외의 플레이트(51)와 플레이트(61∼63)로서 크게 다르게 되어 있다. 또한, 플레이트(61∼63)는, 형상적으로 같든가 유사하기 때문에 플레이트(61)의 예로서 설명한다.
소음부(5)에서, 내측 플레이트(50)는, 도 9∼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 상하면을 관통하고 있는 복수의 통공(53)과, 판 하면에 돌출되어 있는 다수의 돌출부(54) 및 좌우의 통형부(55, 55)와, 판 상면에 돌출되어 있는 가이드용 리브(57a) 및 스토퍼용 입벽(57b)과, 판 후연(後緣)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종벽(縱壁)(58)과, 판 양측에 각각 돌출되어 있는 한 쌍의 지지편부(50a, 50a)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이 중, 각 통공(53)은, 좌우 및 전후 모두 거의 등간격이면서, 작은 원형구멍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각 돌출부(54)는, 좌우 및 전후 모두 거의 등간격이면서, 통형부(55)의 개소를 제외하고 1개의 통공(53)을 4개의 돌출부(54)로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있다. 돌출부(54)의 형상은, 속이 빈 원추형상이지만,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형상이면 좋다. 각(各) 통형부(55)는 횡단면이 거의 직사각형 테두리 형상으로 되어 있다. 각 통형부(55)는, 도 9와 도 14의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단측에 있으며, 직사각형의 전후벽에 대향하여 천공설치된 걸림구멍(55a)과, 직사각형의 좌우벽의 외면에 돌출설치된 한 쌍의 규제리브(56)를 가지고 있다. 또한, 우측의 통형부(55)에는, 상하로 연장되는 규제리브(59)가 직사각형의 좌우벽의 내면에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걸림구멍(55a)은, 거의 직사각형 구멍으로서 형성되며, 여기에 후술하는 연결구(7A)의 탄성고리(72)가 걸린다. 규제리브(56)는, 그 아래에 배치되는 플레이트(51)와의 간격을 유지하는 돌기이다. 규제리브(59)는 연결구(7A)를 가이드하는 리브이다. 좌측의 통형부(55)에는 규제리브(59)가 생략되어 있다. 가이드용 리브(57a)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통형부(55)의 통공입구에 대응한 후측에 설치되며, 소음부(5)를 탱크본체측에 설치할 때, 각 스터드(9)를 해당 리브에 접함으로써 통형부(55)의 통공입구에 일치시키기 쉽게 한다. 입벽(57b)은, 소음부(5)를 탱크본체측의 설치벽에 대해 틈을 갖고 배치 가능하게 하기 위한 리브이다. 종벽(58)은, 소음부(5)의 설치 상태에서, 탱크본체측 설치벽의 대응부에 당접함으로써 충격을 받아도 덜컹거리지 않도록 안정되게 유지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플레이트(51)는, 도 9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측 플레이트(50)와 거의 같은 크기의 직사각형 형상으로서, 상하면을 관통해 있는 복수의 통공(51a, 51b) 및 좌우에 설치되어 통형부(55)를 삽입통과하는 테두리부(51c)와, 각 테두리부(51c)의 상하를 테 두르고 있는 규제리브(51d)와, 양측에 각각 기립(起立)되어 상기 지지편부(50a)끼리의 사이(후술하는 틈(84))에 끼워 넣어지는 연결편부(52)를 일체로 가지고 있다. 이 중, 각 통공(51a)은, 돌출부(54)가 여유를 갖고 삽입통과하는 크기의 원형 구멍(孔)으로, 플레이트(51)가 내측 플레이트(50)에 겹쳐질 때, 대응하는 돌출부(54)와 대향한다. 각 통공(51b)은, 통공(53)과 마찬가지로 설치되어, 플레이트(51)가 내측 플레이트(50)에 겹쳐질 때, 통공(53)과 대향한다. 테두리부(51c)는, 통형부(55)에 대응한 직사각형 구멍으로, 상하면에 돌출설치된 규제리브(51d)로 테 두르기 되어 있다. 규제리브(51d)는, 플레이트(51)를 내측 플레이트(50)에 적층하기 위해, 각 통형부(55)를 대응하는 테두리부(51c) 내에 삽입통과한 상태로, 플레이트(50)와 플레이트(51)의 간격을 소정 치수로 유지한다. 양측의 연결편부(52)에는 고리(52a)가 선단 외측에 돌출설치되어 있다.
연결구(7A)는, 도 16의 (a)∼(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략 직사각형 통 형상을 이루며, 통형부(55) 내에 끼워 넣어지는 삽입부(70a)와, 삽입부(70a)의 위에 접속되어 통형부(55)의 바깥에 배치되는 파지부(把持部)(70b)와, 삽입부(70a)와 파지부(70b)를 구분하도록 통(筒) 외주(外周)에 돌출설치되어 있는 직사각형의 플랜지부(71)와, 삽입부(70a)를 구획하고 있는 대향벽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탄성고리(72)와, 삽입부(70a)를 구획하고 있는 대향벽 중, 탄성고리(72)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대향벽의 내면에 각각 돌출설치되어 있는 결합편부(73)를 가지고 있다.
삽입부(70a)는, 도 9와 도 14의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형부(55) 의 내부에 대해, 탄성고리(72)를 형성하고 있는 측이 빈틈없이 끼워 넣어지는 치수이면서, 결합편부(73)를 형성하고 있는 측이 리브(59)를 가지고 있으면 상기 리브(59)를 따라 빈틈없이 끼워 넣어지며, 리브(59)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약간의 틈을 갖고 끼워 넣어진다. 상기 틈은, 스터드(9)의 돌출위치가 조금 어긋나거나 스터드(9)끼리의 간격이 설계 값으로부터 약간 어긋나 있을 때라도, 탄성고리(72)와 걸림구멍(55a)의 결합을 유지하면서 연결구(7A)를 미동(微動) 가능하게 하여 스터드(9)에 대해 위치조정 가능하게 한다. 파지부(70b)는, 연결구(7A)를 손이나 로봇핸드로 붙잡는 곳이며, 결합편부(73)를 내면에 돌출설치하고 있다. 플랜지부(71)는, 삽입부(70a)가 통형부(55)에 끼워 넣어져, 탄성고리(72)가 걸림구멍(55a)에 결합된 상태로, 통형부(55)의 단면(端面)에 당접함과 아울러, 통형부(55)를 통해 적층되어 있는 플레이트(51)의 빠짐을 막는 빠짐방지부로서 작용한다. 각(各) 탄성고리(72)는, 삽입부(70a)의 하측 부분에 대략 ㄷ형상의 슬릿(slit)으로 구획되어 있어, 통형부(55)에 끼워 넣어지는 과정에서 내측으로 탄성변위하며, 걸림구멍(55a)에 도달하면 원래 상태로 복귀하여 상기 걸림구멍(55a)과 결합한다. 또한, 플레이트(50, 51)끼리의 대향면에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스(boss)(50b, 51g)가 복수 개소에 설치되어 있어, 플레이트(51)가 플레이트(50)에 대해 보스(50b, 51g)에 대응한 간격을 갖고 겹쳐지도록 되어 있다.
이에 대해, 소음부(6)는, 도 10과 도 15의 (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음부(5)가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로, 비스듬히 아래를 향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내측 플레이트(60)는, 판 전후면을 관통해 있는 복수의 통공(64)과, 판 배 면에 돌출되어 있는 다수의 돌출부(65) 및 중앙부의 통형부(66) 및 리브(67)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각 통공(64)은, 좌우 및 상하 모두 거의 등간격이면서, 작은 원형 구멍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각 돌출부(65)는, 좌우 및 상하 모두 거의 등간격이면서, 통형부(66)의 개소를 제외하고 1개의 통공(64)을 4개의 돌출부(65)로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있다. 돌출부(65)의 형상은, 속이 빈 원추형상이지만,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형상이면 좋다. 통형부(66)는, 전후로 관통된 대략 직사각형 테두리 형상으로 되고 있으며, 기단측에 있어서 직사각형의 좌우벽에 대향하여 천공설치된 걸림구멍(66a)과, 직사각형의 상하벽의 외면에 돌출설치된 한 쌍의 규제리브(66b)를 가지고 있다. 걸림구멍(66a)에는 후술하는 연결구(7B)의 탄성고리(77)가 걸린다. 리브(67)는 복수 개소에 설치되어 다음의 플레이트(61)와의 간격을 유지하는 돌기이다.
플레이트(61(62, 63))는, 내측 플레이트(60)와 거의 같은 크기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전후면을 관통해 있는 복수의 통공(61a, 61b) 및 중앙부에 설치되어 통형부(66)를 삽입통과하는 테두리부(61c)와, 테두리부(61c)를 테 두르기하고 있는 규제리브(61d)를 갖고 있다. 이 중, 각 통공(61a)은 통공(64)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각 통공(61b)은, 돌출부(65)가 여유를 갖고 삽입통과하는 크기의 원형 구멍이다. 그리고, 플레이트(61)가 내측 플레이트(60)에 겹쳐질 때는, 돌출부(65)가 대응하는 개소의 통공(61b)에 헐겁게 끼워지거나 대향하는 관계이다. 테두리부(61c)는, 통형부(66)에 대응한 직사각형 구멍이며, 규제리브(61d)로 테 두르기 되어 있다. 규제리브(61d)는, 플레이트(61)를 내측 플레이트(60)에 적층하기 위해, 통형 부(66)를 대응하는 테두리부(61c) 내에 삽입통과시킨 상태로, 플레이트끼리의 간격을 소정 치수로 유지한다.
연결구(7B)는, 개략 직사각형 통 형상을 이루며, 통형부(66) 내에 끼워 넣어지는 삽입부(75)와, 삽입부(75) 후단측의 통(筒) 외주에 돌출설치되어 있는 직사각형의 플랜지부(76)와, 삽입부(75)를 구획하고 있는 대향벽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탄성고리(77)를 갖고 있다. 이 중, 삽입부(75)는, 통형부(66) 내에 대해, 탄성고리(7)를 형성하고 있는 측이 빈틈없이 끼워 넣어지는 치수로 되어 있다. 플랜지부(76)는, 삽입부(75)가 통형부(66)에 끼워 넣어져, 탄성고리(77)가 걸림구멍(66a)에 결합된 상태로, 통형부(66)의 단면에 당접함과 아울러, 통형부(66)를 통해 적층되어 있는 플레이트(61, 62, 63)의 빠짐을 막는 빠짐방지부로서 작용한다. 각 탄성고리(77)는, 삽입부(75)의 하측 부분에 거의 ㄷ형상의 슬릿으로 구획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어, 통형부(66)에 끼워 넣는 과정에서 내측으로 탄성변위하고, 걸림구멍(66a)에 도달하면 원래 상태로 복귀하여 상기 걸림구멍(66a)과 결합한다.
유지수단(8)은, 도 9와 도 13의 (a)∼(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음부(5)를 구성하고 있는 내측 플레이트(50)에 설치되어 있는 걸림부(80)와, 소음부(6)를 구성하고 있는 내측 플레이트(60)에 설치되어 있는 결합부(85)로 이루어지며, 유지 기능과 함께 힌지 기능도 겸비하고 있다. 또한, 이 구조에서는, 걸림부(80)를 내측 플레이트(50)의 양측에 설치함과 아울러, 결합부(85)를 내측 플레이트(60)의 양측에 설치함으로써, 소음장치로서 도면의 연결 형태 이외에, 예컨대, 소음부(5)가 좌우로 소음부(6)를 각각 연결하거나, 소음부(5)와 소음부(6)과 소음부(5)를 한 조로 하여 구성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여기서, 걸림부(80)는, 지지편부(50a)와 지지편부(50a)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하로 연장되어 있는 종판부(縱板部)(81)와, 종판부(81)의 내면에 있어서 상하 대략 중간에 돌출되어 있는 내측 횡리브(82)와, 종판부(81)의 외면 하측에 돌출되어 있는 외측 횡리브(83)로 구성되어 있다. 종판부(81)는, 플레이트(50)의 대응 연부(緣部)와의 사이에 소정 폭의 틈(84)을 유지하고 있다. 이에 대해, 결합부(85)는, 내측 플레이트(60)의 측면에 있어서 대략 중간부로부터 돌출설치되어, 위로부터 아래를 향해 돌출해 있는 짧은 결합편(86)과, 아래로부터 위를 향해 돌출해 있는 긴 결합편(87)으로서 반(半)닫힘상태의 결합공간(88)을 형성하고 있다.
이상의 구조에서는, 내측 플레이트(60)(소음부(6))가 내측 플레이트(50)(소음부(5))에 대해 다음과 같은 요령으로 힌지 연결됨과 아울러, 필요에 따라 회동 불가능하게 유지한다. 즉, 이 연결 조작에서는, 도 13의 (b)의 참고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합부(85)가 걸림부(80)에 대해, 짧은 결합편(86)을 외측 횡리브(83)에 걸어 두면서, 긴 결합편(87)을 틈(84)의 하측으로부터 종판부(81)의 하단 내측에 걸어 둔다. 이 상태에서는, 도 13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측 플레이트(60)(소음부(6))가 내측 플레이트(50)(소음부(5))에 대해 시계회전방향인 아래로 경사진 방향, 다시 말해 긴 결합편(87)이 내측 횡리브(82)에 당접할 때까지 회동 자유롭게 되어 있다(이 예에서는, 내측 플레이트(60)가 내측 플레이트(50)에 대해 약 30°정도만큼 회동 자유롭게 연결된다).
유지 조작에서는, 내측 플레이트(60)가 도 13의 (c)의 상태로부터, 더욱더 시계회전방향으로 강하게 회동된다. 그러면, 내측 플레이트(60)(소음부(6))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짧은 결합편(86)이 외측 횡리브(83)에 걸리면서, 긴 결합편(87)이 내측 횡리브(82)를 강제적으로 타고 넘어서 내측 횡리브(82)의 상단면에 걸림으로써, 내측 플레이트(50)(소음부(5))에 대해 회동 불가능하게 유지된다. 유지수단(8)은, 이상과 같은 유지 상태로 전환되면, 긴 결합편(87)이 틈(84)을 메우면서, 긴 결합편(87)의 선단이 내측 횡리브(82)의 상단면과 상기한 연결편부(52)의 고리(52a) 사이에 구속되기 때문에, 유지 상태가 부주의로 해제되지 않는다.
(설치방법) 이상의 소음장치(1A)는, 제1 형태와 마찬가지로, 탱크측 개구부로부터 탱크본체(T) 내에 삽입하여 미리 설치벽에 돌출설치된 2개의 스터드(9)에 대해 통형부(7A, 7B)를 통해 설치된다. 이 설치 조작에서는, 소음장치(1A)(소음부(5, 6))를 유지수단(8)의 힌지 기능에 의해 삽입자세인 제1 상태로 하는 굴곡공정과, 소음장치(1A)(소음부(5, 6))를 상기 제1 상태로 탱크측 개구부로부터 탱크본체(T) 내에 삽입하는 삽입공정과, 탱크본체(T) 내에서 소음장치(1A)(소음부(5, 6))를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사용자세인 제2 상태로 굴곡하는 재굴곡공정과, 소음장치(1A)(소음부(5, 6))를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탱크본체(T) 안의 스터드(9)에 설치하는 설치공정을 거친다.
굴곡공정에서는, 유지수단(8)의 비(非)유지상태로, 예컨대, 소음부(5)에 대해 소음부(6)를 유지수단(8)의 힌지 기능에 의해 소정 각도만큼 회동하여 제1 상태로 전환한다. 제1 상태는, 소음장치(1A)를 탱크본체(T) 안으로 삽입하는 점에서 바 람직한 형태이다. 삽입공정에서는, 예컨대, 소음부(5)를 손에 쥐고, 소음부(6)측으로부터 탱크본체(T) 안의 스터드(9)측으로 삽입함과 아울러, 소음부(5)도 탱크본체(T) 내에 삽입한다. 재굴곡공정에서는,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소음부(6)의 단부를 탱크본체(T)의 내면측에 당접했을 때 생기는 아래를 향한 반력을 이용하여 제2 상태로 회동 전환한다. 이 예에서는, 제2 상태가 소음장치(1A)의 사용자세이며, 소음부(6)가 소음부(5)에 대해 약 45°의 경사로서 배치된다. 이 구조에서는, 제2 상태로 전환됨과 아울러, 소음부(5)와 소음부(6)가 상술한 유지수단(8)의 유지 기능을 통해 제2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재굴곡공정에서는, 다음의 설치공정이 연속해서 행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소음부(5)가 리브(57a)의 안내 작용을 따라, 각 통형부(7A)가 대응하는 스터드(9)에 일치하도록 위치된다. 그리고, 소음장치(1A)(소음부(5, 6))는, 설치벽측으로 눌러지면, 각 스터드(9)가 대응하는 통형부(7A)의 양(兩) 결합편부(73)를 확경하면서 결합편부끼리의 틈을 통과함과 아울러, 입벽(57b)이 설치벽에 당접한 상태로, 결합편부(73)가 대응하는 걸림날개(9c)끼리 사이의 목부에 결합하고, 이 결합에 의해 각 스터드(9)에 강고하게 장착된다. 이 때문에, 이상의 소음장치(1A)에서도 제1 형태와 마찬가지인 효과를 구비할 수 있고, 게다가 유지수단(8)이 힌지 기능 및 유지 기능을 겸비하고 있기 때문에 각부(各部)의 간소화도 실현된다.
또한, 상기한 각 형태에서는, 탱크본체(T)가 블로우성형된 예를 제시했지만, 개구부를 가지고 있으면 블로우성형 이외의 방법으로 작성된 것이라도 지장이 없다. 또한, 상기의 각 형태에서, 상기 돌출부는 거의 원추형상으로 했지만, 원추형 상의 선단을 자른 형상이나, 둘레벽이 만곡한 형상이어도 좋다. 이 경우, 중공형상의 돌출부의 선단에 통공이나 작은 구멍을 형성하고 있으면, 돌출부가 선단을 아래를 향한 상태로 배치되어도, 내부에 연료 등의 액(液)이 고인다는 결점을 막을 수 있다.
또한, 2006년 2월 28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06-052810호의 명세서, 특허청구범위, 도면 및 요약서의 전체 내용을 여기에 인용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의 개시로서, 도입하는 것이다.

Claims (8)

  1. 연료탱크에 설치된 개구부로부터 해당 탱크 내에 삽입되어 설치된 상태로, 상기 연료탱크 내의 연료의 흔들림에 의해 발생하는 소리를 완화흡수하는 소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음장치가, 상기 개구부의 개구 폭보다 작은 폭 치수부분과, 상기 개구 폭보다 큰 길이 치수부분을 가진 입체형상을 이루면서, 상기 길이 치수부분이 연결부를 통해 길이 방향의 도중에서 연결된 복수의 소음부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소음부가, 상기 연결부를 통해 제1 상태와 제2 상태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제1 상태 또는 상기 제2 상태를 유지하여 회동 불가능하게 하는 유지수단을 가지고 있는 소음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지수단은, 상기 복수의 소음부가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로 전환되는 조작과 연동하여 회동 불가능하게 하는 소음장치.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유지수단이 상기 연결부의 기능도 겸비하고 있는 소음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장치가, 상기 연료탱크 내에 돌출설치된 스터드에 결합하는 결합부를 일체로 가지고 있는 소음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가, 상기 스터드의 돌출위치 편차를 흡수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소음장치.
  7. 연료탱크에 설치된 개구부로부터 해당 탱크 내에 삽입되어 설치된 상태로, 상기 연료탱크 내의 연료의 흔들림에 의해 발생하는 소리를 완화흡수하는 소음장치 설치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음장치를 길이방향의 도중을 굴곡하여 제1 상태로 하는 굴곡공정과, 상기 제1 상태로 상기 소음장치를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연료탱크 내에 끼우는 삽입공정과, 상기 연료탱크 내에서 상기 소음장치를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사용자세인 제2 상태로 굴곡하는 재굴곡공정과, 상기 연료탱크 내에 상기 소음장치를 설치하는 설치공정을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장치의 설치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설치공정은, 상기 재굴곡공정에서 상기 소음장치를 상기 제2 상태로 굴곡하는 조작과 연속하여 행해지는 소음장치의 설치방법.
KR1020087020616A 2006-02-28 2006-12-28 소음장치 KR1013557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52810A JP4808511B2 (ja) 2006-02-28 2006-02-28 消音装置及びその取付方法
JPJP-P-2006-00052810 2006-02-28
PCT/JP2006/326279 WO2007099691A1 (ja) 2006-02-28 2006-12-28 消音装置及びその取付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6674A true KR20080096674A (ko) 2008-10-31
KR101355753B1 KR101355753B1 (ko) 2014-01-27

Family

ID=38458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0616A KR101355753B1 (ko) 2006-02-28 2006-12-28 소음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946381B2 (ko)
EP (1) EP1990226A4 (ko)
JP (1) JP4808511B2 (ko)
KR (1) KR101355753B1 (ko)
CN (1) CN101389503B (ko)
TW (1) TW200732178A (ko)
WO (1) WO20070996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45082B2 (en) * 2005-04-21 2008-11-04 Nifco Inc. Noise suppressing device and installation structure of same
JP4808511B2 (ja) * 2006-02-28 2011-11-02 株式会社ニフコ 消音装置及びその取付方法
FR2961738B1 (fr) * 2010-06-23 2014-02-28 Inergy Automotive Systems Res Procede de fabrication d'un reservoir a carburant muni d'un baffle
DE102010032278A1 (de) 2010-07-26 2012-01-26 Kautex Textron Gmbh & Co. Kg Kraftstoffbehälter aus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CN102000973B (zh) * 2010-12-27 2012-09-12 柳州五菱汽车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汽车消声器筒体的组装设备
JP2012187754A (ja) * 2011-03-09 2012-10-04 Yachiyo Industry Co Ltd 中空容器における内蔵部品のクランプ構造およびクランプ方法
US9358878B2 (en) * 2012-05-04 2016-06-07 TransNav Inc. Fluid energy reducing device
JP6235869B2 (ja) * 2013-11-01 2017-11-22 八千代工業株式会社 燃料タンクにおける波消し板固定構造
KR101487130B1 (ko) 2014-02-25 2015-01-28 주식회사 동희산업 연료탱크용 배플 조립방법
EP2916017B1 (en) * 2014-03-05 2017-06-28 Inergy Automotive Systems Research (Société Anonyme) Noise reduction baffle and method for installing same
KR101738258B1 (ko) 2015-09-23 2017-05-29 주식회사 동희산업 플라스틱 연료탱크용 조립 배플
DE102017201887A1 (de) 2017-02-07 2018-08-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Kraftstofftank mit von außen montierbarer Anti-Schwappvorrichtung
LU500212B1 (fr) * 2021-05-27 2022-11-28 Plastic Omnium Advanced Innovation & Res Baffle anti-bruit pour réservoir de véhicule automobile
CN216709014U (zh) * 2021-11-03 2022-06-10 北京车和家汽车科技有限公司 油箱防浪板、油箱及车辆
BE1031122B1 (fr) * 2022-12-09 2024-07-10 Plastic Omnium Advanced Innovation And Res Sa Vessie pour reservoir a carburant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6762A (en) * 1906-08-31 1907-09-24 Ben T Wilson Noise-deadening means for drain-pipes.
US2813593A (en) * 1954-02-26 1957-11-19 Francis N Gladding Downspout muffler
DE3530228A1 (de) * 1985-08-23 1987-03-05 Westerwaelder Eisen Gerhard Transporttank mit schwallschutzelementen
JP2719002B2 (ja) 1989-08-17 1998-02-2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燃料タンクのバッフル構造
JP3555335B2 (ja) 1996-06-24 2004-08-1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樹脂燃料タン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FR2771972B1 (fr) * 1997-12-10 2000-02-25 Marwal Systems Dispositif de reserve pour un reservoir de carburant de vehicule automobile
US6408979B1 (en) * 2000-03-15 2002-06-25 Larry D. Forbes Noise abatement filter for fuel tanks
DE10128308A1 (de) * 2001-06-12 2003-01-02 Siemens Ag Einrichtung zur Verminderung eines Schwappens von Kraftstoff in einem Kraftstoffbehälter
JP2003049730A (ja) * 2001-08-02 2003-02-21 Yachiyo Industry Co Ltd 燃料タンク用消音装置
JP2003170751A (ja) 2001-12-04 2003-06-17 Yachiyo Industry Co Ltd 燃料タンク用消音装置
KR200290731Y1 (ko) * 2002-06-03 2002-10-04 신영철 일회용 접이식 포크
JP2004322996A (ja) * 2003-04-11 2004-11-18 Shiienji:Kk 消波材を備える燃料タンク、燃料タンク消波材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2005170084A (ja) * 2003-12-08 2005-06-30 Piolax Inc 燃料タンク用消音装置
US20050211500A1 (en) * 2004-03-26 2005-09-29 Wendt Alan C Fibrous faced ceiling panel
JP2006052810A (ja) 2004-08-13 2006-02-23 Komatsu Ltd 作業機械用油圧回路の制御装置
JP4808511B2 (ja) * 2006-02-28 2011-11-02 株式会社ニフコ 消音装置及びその取付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90226A1 (en) 2008-11-12
CN101389503A (zh) 2009-03-18
TW200732178A (en) 2007-09-01
JP2007230307A (ja) 2007-09-13
US20100224440A1 (en) 2010-09-09
JP4808511B2 (ja) 2011-11-02
EP1990226A4 (en) 2012-04-18
WO2007099691A1 (ja) 2007-09-07
CN101389503B (zh) 2012-06-13
KR101355753B1 (ko) 2014-01-27
US7946381B2 (en) 2011-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5753B1 (ko) 소음장치
JP4882370B2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
JP5140893B2 (ja) ラッチ装置
JP5194136B2 (ja) 消音装置及びその取付構造
JP2007237843A (ja) 燃料タンク
JP5864391B2 (ja) クリップ
JP5844075B2 (ja) 乗物用ラッチ装置
JP2017066683A (ja)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ハンドル装置
JP4196899B2 (ja) ドアハンドル装置
JP2017159778A (ja) シートロック装置
JP4580311B2 (ja) 竿受け装置
JP2015160582A (ja) 車両ドア
JP2005075112A (ja) フューエルリッド支持構造
WO2022181802A1 (ja) 車両用外装部品
WO2013008792A1 (ja) ラッチ装置
US20210002926A1 (en) Inside handle device
JP4716916B2 (ja) 消音装置
US20240093540A1 (en) Door lock assembly
JP6069371B2 (ja) ヘッドレスト
JP4716917B2 (ja) 消音装置及びその取付方法
JP6585688B2 (ja) 収納扉及び当該収納扉の取付方法
JP4693100B2 (ja) 扉施錠装置
JP4488614B2 (ja) 蓋体のヒンジ構造
JP2013112224A (ja) 取付部、バンパーカバーの取付部及びバンパーカバーの組付構造
JP4347132B2 (ja) 隔壁部材の車体フレーム内配設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