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3868A -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3868A
KR20080093868A KR1020080027639A KR20080027639A KR20080093868A KR 20080093868 A KR20080093868 A KR 20080093868A KR 1020080027639 A KR1020080027639 A KR 1020080027639A KR 20080027639 A KR20080027639 A KR 20080027639A KR 20080093868 A KR20080093868 A KR 200800938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slide
state
key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7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4732B1 (ko
Inventor
히로카즈 니이츠
마사키 우에스기
유우이치 오오타
모토유키 다나카
Original Assignee
가시오 히타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 히타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가시오 히타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80093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38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4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4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7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omprising more than two body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06F1/162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changing, e.g. reversing, the face orientation of the screen with a two degrees of freedom mechanism, e.g. for folding into tablet PC like position or orienting towards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user to show to a second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06F1/1671Special purpose buttons or auxiliary keyboards, e.g. retractable mini keypads, keypads or buttons that remain accessible at closed lapt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7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detecting open or closed state or particular intermediate positions assumed by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e.g. detection of display lid position with respect to main body in a laptop, detection of opening of the cover of battery compart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4Image rotation following screen orientation, e.g. switching from landscape to portrait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using combined folding and rotation mo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8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keyboard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휴대전화기(1)는 조작부케이스(2)와, 그 앞면이 조작부케이스(2)의 뒷면에 상대하는 상태에서 조작부케이스(2)에 연결되고, 조작부케이스(2)의 뒷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조작부케이스(2)에 대해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케이스(12)와, 조작부케이스(2)의 뒷면에 설치된 방향입력장치(20)를 구비한다. 슬라이드케이스(12)는 방향입력장치(20)가 슬라이드케이스(12)에 의해서 피복된 상태와, 슬라이드케이스 (12)에 의한 방향입력장치(20)의 피복이 벗겨진 상태의 사이에서 조작부케이스(2)에 대해 슬라이드한다.
조작부케이스, 슬라이드케이스, 방향입력장치, 표리센서, 개폐센서, 터치패널

Description

전자기기{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슬라이드형의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 휴대전화기에 대표되는 바와 같이 무선통신 가능한 휴대전자기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휴대전자기기의 형태로서, 이른바 스트레이트형, 폴더형, 슬라이드형이 있다. 폴더형의 휴대전자기기는 표시화면이 설치된 표시부케이스와, 복수의 키가 설치된 조작부케이스를 힌지에 의해서 연결한 것이다. 슬라이드형의 휴대전자기기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 2006-178924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표시부케이스와 조작부케이스를 슬라이드 기구를 통하여 연결한 것이다. 표시부케이스를 슬라이드시키면, 조작부케이스의 키가 숨거나 나타나거나 한다. 스트레이트형의 휴대전자기기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 2002-318640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케이스가 1개인 것이다.
또, 휴대전자기기의 표시부에 표시된 커서, 포인터 등을 이동시키기 위해 포인팅 디바이스가 휴대전자기기에 설치되어 있다. 포인팅 디바이스로서는 이른바 터치패드, 조이스틱, 십자 키, 트랙볼이 있다. 일본국 특개 2002-318640호 공보에 기재한 스트레이트형의 휴대전자기기에서는 케이스의 뒷면 측에 터치패드가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슬라이드형의 휴대전자기기에 있어서는 조작부케이스의 앞면 면적이 한정되어 있다. 그로 인해, 조작부케이스의 앞면에 복수의 키 외에 포인팅 디바이스를 설치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 스트레이트형의 휴대전자기기에 있어서는 터치패드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그 터치패드가 노출되어 버려, 터치패드가 보호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슬라이드형의 전자기기에 있어서, 조작부케이스의 이면측에 위치하는 케이스에 있어서의 키보드라고 하는 입력부가 배치되는 앞면의 면적이 한정되어 있어도, 다른 입력부를 전자기기에 설치할 수 있으며, 또한, 그 다른 입력부를 보호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전자기기는,
제 1 케이스와,
그 앞면이 상기 제 1 케이스의 뒷면에 상대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 1 케이스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케이스의 뒷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제 1 케이스에 대해 슬라이드하는 제 2 케이스와,
상기 제 1 케이스의 뒷면에 설치된 제 1 입력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케이스는 상기 제 1 입력부가 상기 제 2 케이스에 의해서 피복된 상태와, 상기 제 2 케이스에 의한 상기 제 1 입력부의 피복이 벗겨진 상태의 사이 에서 상기 제 1 케이스에 대해 슬라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 2 케이스의 슬라이드에 의해 제 1 케이스에 대해 제 2 케이스를 개폐하면, 제 1 케이스의 뒷면에 설치된 제 1 입력부가 제 2 케이스에 의해서 숨거나 노출하거나 한다.
그로 인해, 예를 들면 제 2 케이스의 앞면에 제 2 입력부를 설치하면, 제 1 입력부가 노출된 상태에서 제 2 입력부와 동시에 제 1 입력부를 사용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제 1 케이스의 앞면에 표시부를 설치하면, 제 1 케이스나 제 2 케이스를 쥐소 표시부를 보면서, 제 1 케이스 이면측의 제 1 입력부를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자연스러운 손가락의 배치로 전자기기를 손에 쥘 수 있고, 그 조작은 용이하다.
한편, 제 1 입력부가 숨겨진 상태에서는 제 1 입력부를 보호할 수 있다. 또, 제 2 케이스의 앞면 면적이 한정되어 있는 경우라도, 제 1 입력부가 제 1 케이스의 뒷면에 설치되었으므로, 전자기기의 바깥표면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실시형태 1)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단, 이하에 서술하는 실시형태에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 기술적으로 바람직한 여러 가지의 한정이 지어져 있는데, 발명의 범위를 이하의 실시형태 및 도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과 도 2는 휴대전화기(1)의 사시도이다.
휴대전화기(1)에 있어서는 조작부케이스(2)와 표시부케이스(4)가 2축힌지(3)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조작부케이스(2)가 제 1 케이스에 상당하고, 표시부케이스(4)가 제3 케이스에 상당한다.
조작부케이스(2)의 앞면(2a)에는 텐 키(7), 기능 키(8), 상하좌우 키(9) 등을 갖는 조작부(10)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부케이스(2)를 앞면(2a)에서 본 경우, 조작부케이스(2)가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부케이스(2)의 앞면(2a) 및 뒷면(2b)(도 3 등에 도시)에 수직인 방향을 두께방향으로 한다. 그 두께방향에 수직인 방향이며 그 직사각형상의 긴 쪽 방향을 세로방향으로 한다. 그 세로방향 및 두께방향에 수직인 방향이며 직사각형상의 짧은 쪽 방향을 가로방향으로 한다. 그로 인해, 조작부케이스(2)의 사이즈는 세로방향, 가로방향, 두께방향의 순서로 길다.
표시부케이스(4)의 앞면에는 액정디스플레이패널 또는 유기EL디스플레이패널 등을 갖는 표시부(11)가 설치되어 있다. 표시부케이스(4)를 앞면에서 본 경우, 표시부케이스(4)가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조작부케이스(2)와 2축힌지(3)는 조작부케이스(2)의 앞면(2a)에 평행이며, 조작부케이스(2)의 가로방향으로 평행한 축선(5)을 중심으로 하여 그 축선(5) 주위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2축힌지(3)와 표시부케이스(4)는 축선(5)에 직교하는 축선(6)을 중심으로 하여 그 축선(6) 주위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되어 있 다. 이와 같이 2축힌지(3)에 의해서 조작부케이스(2)와 표시부케이스(4)가 연결된다. 그로 인해, 표시부케이스(4)의 표리가 축선(6) 주위로 반전한다. 그리고 조작부케이스(2)에 대한 표시부케이스(4)가 축선(5) 주위로 개폐한다.
이하, 조작부케이스(2)에 대해 표시부케이스(4)가 닫힌 상태이며, 표시부 (11)가 조작부케이스(2)의 반대를 향하고 있는 상태를 뷰 스타일상태라고 한다. 그리고, 조작부케이스(2)에 대해 표시부케이스(4)가 열린 상태이며, 표시부(11)가 축선(5) 주위의 둘레방향에 관해서 조작부케이스(2)의 앞면과 서로 마주보는 상태를 오픈상태라고 한다.
조작부케이스(2) 또는 표시부케이스(4)의 한쪽 또는 양쪽의 내부에는 표리센서(31, 도 9에 도시)가 설치된다. 표리센서(31)에 의해서 표시부케이스(4)가 오픈상태인 것이 검출된다. 또, 표리센서(31)에 의해서 표시부케이스(4)가 뷰 스타일상태인 것이 검출된다.
도 1∼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부케이스(2)의 뒷면(2b)이 슬라이드케이스(12)의 앞면(12a)에 서로 마주본 상태에서 조작부케이스(2)와 슬라이드케이스(12)가 슬라이드 기구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케이스(12)의 사이즈는 세로방향, 가로방향, 두께방향의 순서로 길다. 또한, 슬라이드케이스(12)가 제 2 케이스에 상당한다.
슬라이드 기구에 의해서 슬라이드케이스(12)가 조작부케이스(2)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조작부케이스(2)의 뒷면 (2b)이며, 그 세로방향 양단부에는 조작부케이스(2)의 가로방향으로 평행한 홈 형 상의 가이드부(13, 14)가 설치된다. 슬라이드케이스(12)의 앞면(12a)이며, 그 세로방향 양단부에 슬라이더가 설치된다. 슬라이더는 가이드부(13, 14)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슬라이드케이스(12)의 슬라이드 범위는 앞면에서 보아 조작부케이스(2)의 전체가 슬라이드케이스(12)의 전체와 겹친 상태(이하, 키 클로즈상태라고 한다.)에서, 앞면에서 보아 슬라이드케이스(12)가 부분적으로 조작부케이스(2)의 좌측에 겹쳐서 슬라이드케이스(12)가 부분적으로 조작부케이스(2)의 바깥 가장자리로부터 왼쪽으로 벗겨진 상태(이하, 키 오픈상태라고 한다.)까지이다. 또한, 도 1∼2는 키 클로즈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6은 키 오픈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케이스(12)의 앞면(12a)에는 복수의 키를 갖는 키보드(19)가 설치된다. 키보드(19)가 제 2 입력부에 상당한다. 도 7은 키보드(19)의 키 배열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키보드(19)는 4열 분의 키 열(15∼18)로 이루어진다. 각 키 열(15∼18)에 있어서는 복수의 키가 슬라이드케이스(12)의 세로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가장 우측의 키 열(15)을 1열째로 한다. 그리고 가장 좌측의 키 열 (18)을 4열째로서 설명한다.
슬라이드케이스(12) 및 조작부케이스(2)가 키 클로즈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키보드(19)의 모든 키가 조작부케이스(2)에 의해서 덮여진다. 슬라이드케이스(12)와 조작부케이스(2)를 키 클로즈상태로부터 키 오픈상태로 슬라이드시키면, 4열째의 키 열(18), 3열째의 키 열(17), 2열째의 키 열(16), 1열째의 키 열(15)의 순서로 노출되어 간다. 슬라이드케이스(12) 및 조작부케이스(2)가 키 오픈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조작부케이스(2)에 의한 키보드(19)의 피복이 벗겨지고, 키보드(19)의 모든 키가 노출되고 있다. 이하,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열째의 키 열(18)만이 노출된 상태를 하프 오픈상태라고 한다.
슬라이드케이스(12) 또는 조작부케이스(2)에는 스토퍼가 설치된다. 스토퍼에 의해서 슬라이드케이스(12) 및 조작부케이스(2)가 키 오픈상태, 하프 오픈상태, 키 클로즈상태의 각각으로 정지된다. 그리고, 그와 같이 정지된 상태는 해제 가능하다. 예를 들면, 가이드(13)에 탄성걸림고정편이 설치되고, 슬라이드케이스 (12) 및 조작부케이스(2)가 키 오픈상태인 경우에는, 탄성걸림고정편이 슬라이더에 걸림 고정하는 동시에 그 탄성걸림고정편이 탄성 변형하는 것으로 그 걸림고정이 해제된다. 하프 오픈상태, 키 클로즈상태에 대해서도, 각각 대응하는 탄성걸림고정편이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드케이스(12)와 조작부케이스(2)의 한쪽 또는 양쪽의 내부에는 개폐센서(32, 도 9에 도시)가 설치된다. 개폐센서(32)에 의해서 슬라이드케이스(12) 및 조작부케이스(2)가 키 오픈상태인 것이 검출된다. 또, 개폐센서(32)에 의해서 슬라이드케이스(12) 및 조작부케이스(2)가 키 클로즈상태인 것이 검출된다. 또, 개폐센서(32)에 의해서 슬라이드케이스(12) 및 조작부케이스(2)가 하프 오픈상태인 것이 검출된다.
도 3∼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부케이스(2)의 뒷면(2b)에는 제 1 입력부인 방향입력장치(2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방향입력장치(20)는 트랙볼식 포인팅 디바이스이다. 또한, 방향입력장치(20)는 트랙볼식 포인팅 디바이스는 아니고, 복수 택트스위치식 포인팅 디바이스(예를 들면, 십자 키), 스틱식 포인팅 디바이스(예를 들면, 조이스틱), 광학식 포인팅 디바이스, 정전용량식 포인팅 디바이스(예를 들면, 터치패드), 그 밖의 포인팅 디바이스라도 좋다.
방향입력장치(20)가 설치되는 위치는, 세로방향에 대해서는 중앙부이다. 그리고, 가로방향에 대해서는 슬라이드케이스(12)가 키 클로즈상태로 닫히는 방향측, 즉 뒷면에서 보아 좌측이다. 그리고, 슬라이드케이스(12) 및 조작부케이스 (2)가 키 클로즈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방향입력장치(20)가 슬라이드케이스(12)에 의해서 덮여진다. 한편, 슬라이드케이스(12) 및 조작부케이스(2)가 키 오픈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슬라이드케이스(12)에 의한 방향입력장치(20)의 피복이 벗겨져 방향입력장치(20)가 노출되어 있다.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케이스(12)의 앞면(12a, 도 6에 도시)이며, 앞에서 보아 우측에는 오목부(21)가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케이스(12) 및 조작부케이스(2)가 키 클로즈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 방향입력장치(20)가 오목부(21)에 수납된다. 이와 같은 오목부(21)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슬라이드케이스 (12)가 키 오픈상태로부터 키 클로즈상태로 슬라이드할 때에는 방향입력장치(20)가 슬라이드케이스(12)에 맞닿지 않는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부케이스(2)의 내부에는 CPU, RAM, ROM, 각종 드라이버 등을 갖는 제어부(33)가 탑재되어 있다. 방향입력장치(20)가 조작되면, 조작내용에 따른 조작신호가 방향입력장치(20)로부터 제어부(33)로 출력된다. 또, 조작부(10)의 키가 눌러지면, 눌러진 키에 대응한 신호가 조작부(10)로부터 제어부(33)로 출력된다. 또, 키보드(19)의 키가 눌러지면, 눌러진 키에 따른 신호가 키보드(19)로부터 제어부(33)로 출력된다.
표리센서(31)에 의해서 오픈상태가 검출되면, 그 취지의 신호가 표리센서 (31)로부터 제어부(33)로 출력된다. 표리센서(31)에 의해서 뷰 스타일상태가 검출되면, 그 취지의 신호가 표리센서(31)로부터 제어부(33)로 출력된다. 또, 개폐센서(32)에 의해서 키 오픈상태가 검출되면, 그 취지의 신호가 개폐센서(32)로부터 제어부(33)로 출력된다. 개폐센서(32)에 의해서 키 클로즈상태가 검출되면, 그 취지의 신호가 개폐센서(32)로부터 제어부(33)로 출력된다. 개폐센서(32)에 의해서 하프 오픈상태가 검출되면, 그 취지의 신호가 개폐센서(32)로부터 제어부(33)로 출력된다.
제어부(33)는 표리센서(31)나 개폐센서(32)의 검출결과에 의거하여 키보드 (19)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한 제어기능을 전환하는 기능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33)는 키보드(19)의 각 키에 대한 코드(예를 들면, 문자, 기호, 도형, 기능 등)의 할당을 복수종 기억한 기억수단(예를 들면, ROM)과,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복수종의 할당 중에서 표리센서(31)나 개폐센서(32)의 검출결과에 의거하여 1종의 할당을 선택하는 선택수단(예를 들면, CPU)과, 키보드(19)의 눌러진 키에 따른 신호를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할당에 따라서 코드화하는 코드화 수단(예를 들면, CPU)으로 기능한다. 제어부(33)의 이들 수단은 ROM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제어부(33)가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키의 1종류째의 할당은 키 톱의 상측에 붙여진 코드이다. 2종류째의 할당은 키 톱의 하측에 붙여진 탈색(흰색)의 코드이다. 3종류째의 할당은 키 톱의 하측에 붙여진 프레임 내의 코드이다. 제어부(33)는 이들 3종류의 할당을 ROM에 기억하고 있다. 그리고, 도 10의 흐름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리센서(31)의 검출신호가 오픈상태인 취지의 신호인 경우에는(스텝S1: Yes), 제어부(33)가 2종류째의 할당을 선택하는(스텝S2) 동시에 방향입력장치(20)의 입력을 유효하게 한다. 또, 표리센서(31)의 검출신호가 뷰 스타일상태인 취지의 신호인 경우에는(스텝S3: Yes), 제어부(33)가 1종류째의 할당을 선택하는(스텝S4) 동시에 방향입력장치(20)의 입력을 유효하게 한다. 또, 표리센서(31)의 검출신호가 오픈상태와 뷰 스타일상태의 어느 쪽도 아닌 취지의 신호인 경우이며, 개폐센서(32)의 검출신호가 하프 오픈상태인 취지의 신호일 때는(스텝S5: Yes), 제어부(33)가 3종류째의 할당을 선택한다(스텝S6).
다음으로, 휴대전화기(1)의 사용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는 축선(5) 주위의 회전 운동에 의해 조작부케이스(2)에 대해 표시부케이스(4)를 닫거나 열거나 한다. 또, 사용자는 축선(6) 주위의 회전 운동에 의해 표시부케이스(4)를 반전시킨다. 이와 같은 조작에 의해, 표시부케이스(4)를 오픈상태(도 4, 도 6 상태)로 하거나, 뷰 스타일상태(도 5 상태)로 하거나, 그 밖의 상태(예를 들면, 도 1, 도 2, 도 8 상태)로 하거나 할 수 있다.
또, 사용자는 조작부케이스(2)에 대해 슬라이드케이스(12)를 좌우로 슬라이드한다. 이와 같은 조작에 의해, 조작부케이스(2) 및 슬라이드케이스(12)를 키 오 픈상태(도 3∼6 상태)로 하거나, 하프 오픈상태(도 8 상태)로 하거나, 키 클로즈상태(도 12 상태)로 하거나 할 수 있다.
표시부케이스(4)가 오픈상태이면,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부(33)에 의해서 2종류째의 할당이 선택된다. 이에 따라 키보드(19)의 각 키는 세로배열보조키로서 기능한다. 사용자가 조작부케이스(2) 및 슬라이드케이스(12)를 키 오픈상태로 해서 키보드(19)의 어떤 키를 누르면, 제어부(33)가 그 키에 따른 신호를 2종류째의 할당에 따라서 코드화한다. 이에 따라, 그 코드에 따라서 제어부(33)가 동작한다.
또, 표시부케이스(4)가 뷰 스타일상태이면,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부(33)에 의해서 1종류째의 할당이 선택된다. 이에 따라 키보드(19)가 풀(full) 키보드로서 기능한다. 사용자가 조작부케이스(2) 및 슬라이드케이스(12)를 키 오픈상태로 해서 키보드(19)의 어떤 키를 누르면, 제어부(33)가 그 키에 따른 신호를 1종류째의 할당에 따라서 코드화한다. 이에 따라, 그 코드에 따라서 제어부(33)가 동작한다.
또, 표시부케이스(4)가 뷰 스타일상태와 오픈상태의 어느 쪽도 아니고, 조작부케이스(2) 및 슬라이드케이스(12)가 하프 오픈상태이면,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부(33)에 의해서 3종류째의 할당이 선택된다. 이에 따라, 4열째 키 열(18)의 각 키가 사이드 키로서 기능한다. 사용자가 4열째 키 열(18) 중의 어떤 키를 누르면, 제어부(33)가 그 키에 따른 신호를 3종류째의 할당에 따라서 코드화한다. 이에 따라, 그 코드에 따라서 제어부(33)가 동작한다.
또, 조작부케이스(2) 및 슬라이드케이스(12)가 키 오픈상태인 경우에,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방향입력장치(20)를 조작하면, 그 조작에 따른 신호가 제어부(33) 로 출력되고, 제어부(33)가 그 신호에 따라서 동작한다. 예를 들면, 표시부(11)에 표시된 포인터가 화면 내를 이동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슬라이드케이스(12)를 키 오픈상태로 인출하면, 방향입력장치(20)가 노출된다. 그로 인해, 방향입력장치(20)를 키보드(19)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양손의 엄지를 키보드(19)나 조작부(10) 측에 배치하고, 양손의 다른 손가락을 뒷면 측에 배치하여 휴대전화기(1)를 양손으로 쥔다. 그러면, 엄지로 키보드 (19)의 키나 조작부(10)의 키(7, 8, 9)를 누르고, 다른 손가락으로 방향입력장치 (20)를 조작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손가락을 자연스러운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또, 휴대전화기(1)를 한 손으로 쥐면, 휴대전화기(1)를 쥔 손의 손가락에서는 키보드(19), 조작부(10) 및 방향입력장치(20)를 조작하면서, 휴대전화기(1)를 쥐고 있지 않은 손의 손가락에서는 키보드(19) 및 조작부(10)를 조작할 수 있다.
또, 슬라이드케이스(12)가 키 오픈상태이며, 표시부케이스(4)가 뷰 스타일상태인 경우에는, 조작부(10)가 표시부케이스(4)에 의해서 숨는다. 그러나, 키보드 (19)와 방향입력장치(20)의 양쪽을 이용하는 것으로, 휴대전화기(1)를 조작할 수 있다. 그로 인해, 표시부(11)를 가로방향으로 긴 와이드화면으로서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어 브라우저 등을 와이드화면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슬라이드케이스(12)를 키 클로즈상태로 하면, 방향입력장치(20)가 슬라이드케이스(12)에 의해서 보호되는 동시에, 키보드(19)가 조작부케이스(2)에 의해서 보호된다.
제어부(33)의 기억수단이나 선택수단의 기능에 의해서, 표시부케이스(4)나 슬라이드케이스(12)의 상태에 따라서 키보드(19)의 입력기능이 다르도록 할 수 있다. 그로 인해, 휴대전화기(1)의 상태ㆍ형태에 의하지 않고, 키보드(19)를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실시형태에 대해서 여러 가지의 설계 변경을 실행한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이하, 변형예를 드는데,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변형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변형예로 들어지는 전자기기는 변경한 부분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휴대전화기(1)와 똑같다.
[ 변형예 1]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키보드(19) 대신에 표시와 입력을 실행하는 터치패널(50)이 슬라이드케이스(12)의 앞면(12a)에 설치되어도 좋다. 터치패널(50)은 표시부(예를 들면, 액정디스플레이패널, EL디스플레이패널 등)와, 그 표시부의 표면에 첩착(貼着)된 투명한 터치센서(예를 들면, 매트릭스 스위치)를 구비한 것이다. 이 경우, 터치패널(50)의 터치센서가 제 1 입력부에 상당한다. 또한, 표시부와 입력부를 겸한 터치패널(50) 대신에 접촉에 의해 입력을 실행하는 터치패드로 해도 좋다.
[ 변형예 2]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부(10) 대신에 표시와 입력을 실행하는 터치패널(60)이 조작부케이스(2)의 앞면(2a)에 설치되어도 좋다. 이 터치패널(60)은 표시부와, 그 표시부의 표면에 첩착된 투명한 터치센서를 구비한 것이다. 이 경우, 터치패널(60)의 터치센서가 조작부에 상당한다. 방향입력장치(20)가 노출된 상태에서는, 터치패널(60) 및 키보드(19)와 동시에 방향입력장치(20)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와 입력부를 겸한 터치패널(60) 대신에 접촉에 의해 입력을 실행하는 터치패드로 해도 좋고, 표시를 실행하는 표시부로 해도 좋다.
[ 변형예 3]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조작부케이스(2)에 표시부케이스(4)가 연결되어 있는데, 표시부케이스(4)가 연결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즉,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부케이스(4) 및 2축힌지(3)가 없어도 좋다. 이 경우, 조작부케이스 (2)의 앞면(2a)에는 조작부(10)가 설치되는 대신에,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와 입력을 실행하는 터치패널(70)이 조작부케이스(2)의 앞면(2a)에 설치되어 있다. 이 터치패널(70)은 표시부와, 그 표시부의 표면에 첩착된 투명한 터치센서를 구비한 것이다. 이 경우, 터치패널(70)의 터치센서가 조작부에 상당한다. 또한, 터치패널(70)은 아니고, 액정디스플레이패널, EL디스플레이패널이라고 하는 표시부가 조작부케이스(2)의 앞면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 변형예 4]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4열째의 키 열(18)만이 노출된 상태를 하프 오픈상태로 했다. 그렇지만, 3열째 및 4열째의 키 열(17, 18)만이 노출된 상태를 하프 오픈상태로 해도 좋다. 또, 2∼4열째의 키 열(16∼18)만이 노출된 상태를 하프 오픈상태로 해도 좋다.
[ 변형예 5]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슬라이드케이스(12)가 가로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것으로 했다. 그렇지만, 슬라이드케이스(12)가 세로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14에 나타내어진 화살표 A의 방향으로 슬라이드케이스 (12)가 슬라이드하면, 슬라이드케이스(12)가 조작부케이스(2)에 대해 열린다. 도 14에 나타내어진 화살표 B의 방향으로 슬라이드케이스(12)가 슬라이드하면, 슬라이드케이스(12)가 조작부케이스(2)에 대해 닫힌다. 슬라이드케이스(12)의 슬라이드 범위는, 앞면에서 보아 조작부케이스(2)의 바깥 가장자리와 슬라이드케이스 (12)의 바깥 가장자리가 겹친 상태에서, 앞면에서 보아 슬라이드케이스(12)의 상측(화살표 B의 방향측)의 부분이 조작부케이스(2)와 겹쳐서 슬라이드케이스(12)의 하측(화살표 A의 방향측)의 부분이 조작부케이스(2)의 바깥 가장자리에서 아래로 벗겨진 상태까지이다. 방향입력장치(20)가 설치되는 위치는 조작부케이스(2)의 뒷면이며, 조작부케이스(2)의 상부이다. 그로 인해, 슬라이드케이스(12)가 화살표 A의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면, 방향입력장치(20)가 노출된다. 슬라이드케이스 (12)가 화살표 B의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면, 방향입력장치(20)가 슬라이드케이스 (12)에 의해서 숨는다. 또한, 도 14에서는 제 2 입력부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그렇지만, 예를 들면 도 5∼8,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제 2 입력부를 제 2 케이스의 앞면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변형예 6〕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2축힌지(3)에 의해서 조작부케이스(2)와 표시부케이스 (4)가 연결되어 있다. 그렇지만, 2축힌지(3) 대신에 1축힌지에 의해서 조작부케이스(2)와 표시부케이스(4)가 연결되어도 좋다. 이 경우, 1축힌지의 축선은 도 1에 나타내어진 축선(5)이 된다. 또한, 1축힌지인 경우, 축선(5)이 조작부케이스(2)의 세로방향에 평행이 되도록 변경해도 좋다. 축선(5)이 조작부케이스(2)의 세로방향에 평행인 경우에는, 조작부케이스(2)는 도 1의 지면(紙面) 안쪽의 장변에 있어서 1축힌지로 연결하고, 1축힌지가 표시부케이스(4)의 장변에 연결한다.
[ 변형예 7]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2축힌지(3)의 축선(5)이 조작부케이스(2)의 가로방향으로 평행이었다. 그렇지만, 2축힌지(3)의 축선(5)이 조작부케이스(2)의 세로방향으로 평행이라도 좋다. 이 경우, 2축힌지(3)가 조작부케이스(2)의 단변측에서 조작부케이스(2)에 연결하는 것은 아니고, 장변측(도 1의 지면 안쪽)에서 조작부케이스 (2)에 연결한다. 그리고, 2축힌지(3)가 표시부케이스(4)의 단변측에서 표시부케이스(4)에 연결하는 것은 아니고, 표시부케이스(4)의 장변측에서 표시부케이스(4)에 연결한다.
[ 변형예 8]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휴대전자기기로서 휴대전화기(1)를 예로 들어 설명했다. 그렇지만, 퍼스널컴퓨터, 디지털카메라,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전자수첩, 휴대무선기, 그 밖의 휴대전자기기에 본 발명을 적용해도 좋다.
[ 변형예 9]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입력부가 방향입력장치(20)이다. 그렇지만, 제어 부(33)에 입력을 실행하는 것이면, 방향입력장치(20)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방향입력장치(20) 대신에 1 또는 복수의 입력 키, 버튼, 택트스위치 또는 돔스위치를 조작부케이스(2)의 뒷면(2b)에 설치해도 좋다. 또, 조작부케이스(2)의 뒷면(2b)이며, 방향입력장치(20)의 주위에 입력 키, 버튼, 택트스위치 또는 돔스위치를 설치해도 좋다. 조작부케이스(2)의 뒷면에 설치된 입력 키, 버튼, 택트스위치 또는 돔스위치에 대한 코드의 할당은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 변형예 10]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슬라이드케이스(12)가 직선 형상으로 슬라이드하는 것으로 했다. 그렇지만, 슬라이드케이스(12)는 곡선 형상으로 슬라이드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예를 들면, 조작부케이스(2)의 뒷면(2b)에 수직인 피벗(pivot)을 조작부케이스(2)의 뒷면(2b)에 설치한다. 그 피벗을 슬라이드케이스(12)의 앞면(12a)에 연결한다. 그리고, 슬라이드케이스(12)가 그 피벗을 중심으로 해서 조작부케이스(2)에 대해 회전 운동한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케이스(12)가 곡선 형상으로 슬라이드한다. 피벗은 조작부케이스(2)의 뒷면(2b) 코너에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작부케이스(2)의 뒷면(2b) 하측(도 1에서는 화살표 A의 방향)의 좌측에 피벗을 설치할 경우는, 반 시계방향으로 슬라이드케이스(12)를 회전 운동시킬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조작부케이스(2)의 뒷면(2b) 하측의 우측에 피벗을 설치할 경우는 시계방향으로 슬라이드케이스(12)를 회전 운동시킬 수 있다.
[ 변형예 11]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슬라이드케이스(12)가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슬 라이드하는 것으로 했다. 그렇지만, 슬라이드케이스(12)가 경사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예를 들면, 조작부케이스(2)와 슬라이드케이스(12)가 겹치져 있는 상태로부터, 왼쪽 경사 아래쪽 방향으로 슬라이드케이스(12)가 슬라이드하면, 슬라이드케이스(12)가 조작부케이스(2)에 대해 열린다. 그리고, 오른쪽 경사 위쪽 방향으로 슬라이드케이스(12)가 슬라이드하면, 슬라이드케이스(12)가 조작부케이스(2)에 대해 닫힌다. 이 경우, 슬라이드케이스(12)의 슬라이드 범위는, 앞면에서 보아 조작부케이스(2)의 바깥 가장자리와 슬라이드케이스(12)의 바깥 가장자리가 겹친 상태에서, 앞면에서 보아 슬라이드케이스(12)의 좌측의 부분 및 하측의 부분이 조작부케이스(2)의 왼쪽 가장자리 및 아래쪽 가장자리로부터 왼쪽 경사 아래쪽 방향으로 벗겨진 상태까지이다. 이 경우, 방향입력장치(20)가 설치되는 위치는, 예를 들면 조작부케이스(2)의 뒷면이며, 조작부케이스(2)의 상부의 우측이다. 그로 인해, 슬라이드케이스(12)가 왼쪽 경사 아래쪽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면, 방향입력장치(20)가 노출된다. 슬라이드케이스(12)가 오른쪽 경사 위쪽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면, 방향입력장치(20)가 슬라이드케이스(12)에 의해서 숨는다.
본 발명은 입력부를 다수 필요로 하는 휴대용의 전자기기에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휴대전자기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휴대전자기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표시부케이스를 닫은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휴대전자기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슬라이드케이스를 슬라이드시킨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휴대전자기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표시부케이스를 열고, 슬라이드케이스를 슬라이드시킨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휴대전자기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슬라이드케이스를 슬라이드시키고, 키보드가 노출되어 있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휴대전자기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표시부케이스를 열고, 슬라이드케이스를 슬라이드시키며, 키보드가 노출되어 있는 도면이다.
도 7은 키보드의 각 키의 할당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휴대전자기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슬라이드케이스를 슬라이드시키고, 키보드를 하프 오픈시키고 있는 도면이다.
도 9는 조작부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제어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키보드의 각 키의 할당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휴대전자기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슬라이드케이스의 앞면에 설치된 터치패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휴대전자기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조작부케이스의 앞면에 설치된 터치패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휴대전자기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표시부케이스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휴대전자기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슬라이드케이스를 세로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고 있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휴대전화기 2: 조작부케이스
2a: 앞면 2b: 뒷면
3: 2축힌지 4: 표시부케이스
5, 6: 축선 7: 텐 키
8: 기능 키 9: 상하좌우 키
10: 조작부 11: 표시부
12: 슬라이드케이스 12a: 앞면
13, 14: 가이드부 15: 1열째의 키
16: 2열째의 키 17: 3열째의 키
18: 4열째의 키 19: 키보드
20: 방향입력장치 21: 오목부
31: 표리센서 32: 개폐센서
33: 제어부 50, 60, 70: 터치패널

Claims (13)

  1. 제 1 케이스와,
    그 앞면이 상기 제 1 케이스의 뒷면에 상대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 1 케이스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케이스의 뒷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제 1 케이스에 대해 슬라이드하는 제 2 케이스와,
    상기 제 1 케이스의 뒷면에 설치된 제 1 입력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케이스는 상기 제 1 입력부가 상기 제 2 케이스에 의해서 피복된 상태와, 상기 제 2 케이스에 의한 상기 제 1 입력부의 피복이 벗겨진 상태의 사이에서 상기 제 1 케이스에 대해 슬라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케이스의 앞면에 설치된 제 2 입력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 2 케이스의 슬라이드는, 상기 제 1 입력부가 상기 제 2 케이스에 의해서 피복되는 동시에 상기 제 2 입력부가 상기 제 1 케이스에 의해서 피복된 상태와, 상기 제 2 케이스에 의한 상기 제 1 입력부의 피복이 벗겨지는 동시에 상기 제 1 케이스에 의한 상기 제 2 입력부의 피복이 벗겨진 상태의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스의 앞면에 설치된 표시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케이스의 앞면에 설치된 제 2 입력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 2 케이스의 슬라이드는, 상기 제 1 입력부가 상기 제 2 케이스에 의해서 피복되는 동시에 상기 제 2 입력부가 상기 제 1 케이스에 의해서 피복된 상태와, 상기 제 2 케이스에 의한 상기 제 1 입력부의 피복이 벗겨지는 동시에 상기 제 1 케이스에 의한 상기 제 2 입력부의 피복이 벗겨진 상태의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케이스의 슬라이드 범위는, 상기 제 1 케이스의 전체가 상기 제 2 케이스와 겹친 상태에서 상기 제 1 케이스가 부분적으로 상기 제 2 케이스와 겹친 상태까지로 되며,
    상기 제 1 입력부는 상기 제 1 케이스의 뒷면 중, 상기 제 1 케이스가 부분적으로 상기 제 2 케이스와 겹친 상태에서 노출된 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스의 뒷면에 평행한 세로방향의 상기 제 1 케이스의 길이가, 그 뒷면에 평행한 방향이며 세로방향으로 수직인 가로방향의 상기 제 1 케이스의 길이보다도 길고, 상기 제 2 케이스가 가로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스의 뒷면에 평행한 세로방향의 상기 제 1 케이스의 길이가, 그 뒷면에 평행한 방향이며 세로방향으로 수직인 가로방향의 상기 제 1 케이스의 길이보다도 길고, 상기 제 2 케이스가 세로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제 3 케이스와,
    상기 제 1 케이스와 상기 제 3 케이스를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제 1 케이스에 대해 상기 제 3 케이스를 개폐시키는 동시에 상기 제 3 케이스의 표리를 반전시키는 2축힌지와,
    상기 제 3 케이스의 앞면에 설치된 표시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9. 제 2 항에 있어서,
    제 3 케이스와,
    상기 제 1 케이스와 상기 제 3 케이스를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제 1 케이스에 대해 상기 제 3 케이스를 개폐시키는 동시에 상기 제 3 케이스의 표리를 반전시키는 2축힌지와,
    상기 제 3 케이스의 앞면에 설치된 표시부와,
    상기 2축힌지에 의한 상기 제 1 케이스와 상기 제 2 케이스의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의 검출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제 2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한 제어기능을 전환하는 기능을 갖는 제어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케이스의 상기 제 1 케이스에 대한 슬라이드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의 검출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제 2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한 제어기능을 전환하는 기능을 갖는 제어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스의 앞면에 설치된 조작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입력부는 복수의 키를 갖는 동시에 각 키가 복수의 코드를 갖는 키보드이며,
    상기 센서의 검출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의 코드 중, 1종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입력부는 복수의 키를 갖는 동시에 각 키가 복수의 코드를 갖는 키보드이며,
    상기 센서의 검출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의 코드 중, 1종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KR1020080027639A 2007-04-17 2008-03-26 전자기기 KR1009647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08212A JP4450008B2 (ja) 2007-04-17 2007-04-17 電子機器
JPJP-P-2007-00108212 2007-04-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3868A true KR20080093868A (ko) 2008-10-22
KR100964732B1 KR100964732B1 (ko) 2010-06-21

Family

ID=39872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7639A KR100964732B1 (ko) 2007-04-17 2008-03-26 전자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986985B2 (ko)
JP (1) JP4450008B2 (ko)
KR (1) KR100964732B1 (ko)
CN (1) CN10129135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19879B2 (en) * 2008-02-29 2009-11-17 Lenovo Singapore Pte Ltd. Laptop dual-swivel hinges
JP2009212683A (ja) * 2008-03-03 2009-09-17 Casio Hitachi Mobile Communications Co Ltd ヒンジ装置、及び携帯電子機器
JP2009278411A (ja) * 2008-05-15 2009-11-26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携帯装置
JP4927791B2 (ja) * 2008-06-26 2012-05-09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JP5033200B2 (ja) * 2008-07-17 2012-09-26 シャープ株式会社 短辺方向スライド型無線装置
CN101674713B (zh) * 2008-09-12 2012-12-19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滑盖机构及应用该滑盖机构的便携式电子装置
US20100124944A1 (en) * 2008-11-16 2010-05-20 Inno Design, Inc.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with slidable and pivotable screen
JP5652805B2 (ja) * 2008-12-16 2015-01-14 レノボ・イノベーションズ・リミテッド(香港) 携帯電話装置
US20100216513A1 (en) * 2009-02-23 2010-08-26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electronic device with rotatable member
JP5363890B2 (ja) * 2009-06-26 2013-12-11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話機
KR101591524B1 (ko) * 2009-08-25 2016-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뉴 표시 방법
JP5238654B2 (ja) * 2009-09-15 2013-07-17 船井電機株式会社 携帯端末
JP5623727B2 (ja) * 2009-10-21 2014-11-12 日本電気株式会社 端末装置
US20110115719A1 (en) * 2009-11-17 2011-05-19 Ka Pak Ng Handheld input device for finger touch motion inputting
US8797268B2 (en) * 2009-11-18 2014-08-05 Qualcomm Incorporated Folding mobile device
US8698761B2 (en) * 2010-04-30 2014-04-15 Blackberry Limited Electronic device
EP2439607A1 (en) * 2010-10-07 2012-04-11 Research In Motion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sensitive display
EP2469804B1 (en) * 2010-11-22 2012-09-12 Research In Motion Limited Multi-display mobile device
US8606340B2 (en) * 2010-11-22 2013-12-10 Blackberry Limited Multi-display mobile device
US20120188395A1 (en) * 2011-01-20 2012-07-26 Jennifer Barber Editing and Annotating Digital Camera
US20140031095A1 (en) * 2012-03-02 2014-01-30 Juan Herrera Fold out cellular phone case
CN103369887A (zh) * 2012-03-28 2013-10-23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具有连接机构的装置
US10248161B2 (en) 2016-08-25 2019-04-02 Blackberry Limited Control of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and keyboard moveable relative to the display
USD974351S1 (en) * 2018-06-05 2023-01-03 Compal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with slidable display
KR101983504B1 (ko) 2018-08-29 2019-05-29 최태홍 시각장애인용 스마트폰 케이스 겸용 키보드
CN114443185A (zh) * 2020-10-30 2022-05-0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电子设备和显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30981B (en) * 1997-10-31 2002-07-03 Nokia Mobile Phones Ltd A radiotelephone handset
JP2001016635A (ja) 1999-06-30 2001-01-19 Sanyo Electric Co Ltd 携帯電話機
US6665173B2 (en) * 1999-12-20 2003-12-16 Wireless Agents, Llc Physical configuration of a hand-held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JP2002171189A (ja) 2000-11-30 2002-06-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端末
US6747635B2 (en) * 2000-12-16 2004-06-08 Kamran Ossia Multi-mode handheld computer
JP2002318640A (ja) 2001-04-19 2002-10-31 Casio Comput Co Ltd 小型電子機器
JP2003298699A (ja) * 2002-03-29 2003-10-17 Nec Corp スライド型携帯電話機
AU2003261656A1 (en) * 2002-09-17 2004-04-08 Si Han Kim Multi display device
JP4243083B2 (ja) 2002-09-26 2009-03-25 京セラ株式会社 折り畳み式携帯端末機
JP2005109970A (ja) 2003-09-30 2005-04-21 Kyocera Corp 携帯端末装置
JP4262577B2 (ja) 2003-11-07 2009-05-13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JP4650997B2 (ja) * 2003-11-14 2011-03-16 ユーエムイー・インシュアランス・インク 多機能携帯電話機
US7907121B2 (en) * 2003-11-19 2011-03-15 Qualcomm Incorporated Portable device with versatile keyboard
KR100532334B1 (ko) * 2003-11-26 2005-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겸용 폴딩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KR100703418B1 (ko) * 2004-05-06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겸용 폴딩 타입 휴대 장치
JP4208200B2 (ja) 2004-09-28 2009-01-14 シャープ株式会社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JP4344887B2 (ja) 2004-10-13 2009-10-14 株式会社カシオ日立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携帯情報端末
KR100721337B1 (ko) 2004-12-22 2007-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이드 슬라이딩형 전자장치
JP2006189917A (ja) 2004-12-28 2006-07-20 Olympus Corp 携帯情報端末装置
KR100741285B1 (ko) * 2005-02-21 2007-07-19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
JP4220488B2 (ja) 2005-03-31 2009-02-04 株式会社東芝 携帯端末装置
US7447528B2 (en) * 2005-04-12 2008-11-04 Nokia Corporation Multifunction electronic device
JP4142033B2 (ja) 2005-06-09 2008-08-27 株式会社カシオ日立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携帯用電子機器
KR20070001447A (ko) * 2005-06-29 2007-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배면 입력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US20070146977A1 (en) * 2005-12-23 2007-06-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Sliding and folding type portable terminal
JP2007194855A (ja) 2006-01-18 2007-08-02 Casio Hitachi Mobile Communications Co Ltd 折り畳み式電子機器
JP4466630B2 (ja) 2006-03-31 2010-05-26 株式会社カシオ日立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ヒンジ装置及び携帯型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91351A (zh) 2008-10-22
JP4450008B2 (ja) 2010-04-14
KR100964732B1 (ko) 2010-06-21
CN101291351B (zh) 2012-02-08
JP2008269061A (ja) 2008-11-06
US20080261666A1 (en) 2008-10-23
US7986985B2 (en) 2011-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4732B1 (ko) 전자기기
US6757157B2 (en) Folding electronic device
KR101035814B1 (ko) 휴대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US8886264B2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WO2009084147A1 (ja) 携帯端末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並びに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5586826B2 (ja) 携帯電子機器
US8760406B2 (en) Edge to edge qwerty keypad for a handheld device
JP2012168869A (ja) 携帯端末及びキー操作装置
US10061394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keypad with keys having a ridged surface profile
JP4447843B2 (ja) 情報処理装置
CN113485526B (zh) 一种笔记本电脑
KR100749557B1 (ko) 문자입력장치
KR100632114B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방향입력장치
KR100469704B1 (ko) 트랙볼을이용한휴대폰사용자인터페이스장치
US20120200502A1 (en) Electronic mobile device seamless key/display structure
KR20100011716A (ko) 입력 장치
KR102400162B1 (ko) 쾌속 터치 이동 자판
US8743050B2 (en) Handheld device having pivotally retractable keypad assembly
KR100715787B1 (ko) 회전에 따라 문자입력모드를 전환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0958361B1 (ko) 키보드로 전환되는 터치패드를 구비한 모바일 장치
JP5718182B2 (ja) 入力装置
JP2015039069A (ja) タッチパネルタイプのコンピューター端末
JP2014086936A (ja) 電子機器及び文字入力プログラム
KR20190091690A (ko) 휴대용 키보드
KR10103994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조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