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1210A - 윤활 장치 및 오일팬 - Google Patents

윤활 장치 및 오일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1210A
KR20080091210A KR1020087019246A KR20087019246A KR20080091210A KR 20080091210 A KR20080091210 A KR 20080091210A KR 1020087019246 A KR1020087019246 A KR 1020087019246A KR 20087019246 A KR20087019246 A KR 20087019246A KR 20080091210 A KR20080091210 A KR 200800912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hamber
hole
lubrication
flo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9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8617B1 (ko
Inventor
요시오 야마시타
히데오 고바야시
가츠히코 아리사와
겐이치 야마다
구니히코 하야시
다이이치 모리
Original Assignee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91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1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8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8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004Oils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4Filling or draining lubricant of or from machines or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10Indicating devices; Other safety devices
    • F01M11/12Indicating devices; Other safety devices concerning lubricant lev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5/00Heating, cooling, 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lubricant; Lubrication means facilitating engine star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7/00Casings, e.g. crankcases or 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47Control of lubricant levels, e.g. lubricant level control dependent on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004Oilsumps
    • F01M2011/0037Oilsumps with different oil compart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004Oilsumps
    • F01M2011/0037Oilsumps with different oil compartments
    • F01M2011/0041Oilsumps with different oil compartments for accommodating movement or position of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02Cleaning of lubricants, e.g. filters or magnets
    • F16H57/0404Lubricant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5Lubricant storage reservoirs, e.g. reservoirs in addition to a gear sump for collecting lubricant in the upper part of a gear case
    • F16H57/0452Oil p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5Lubricant storage reservoirs, e.g. reservoirs in addition to a gear sump for collecting lubricant in the upper part of a gear case
    • F16H57/0453Section walls to divide a gear su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오일팬 세퍼레이터 (132) 는, 오일팬 (130) 의 내측의 공간을 제 1 실 (30a) 과 제 2 실 (30b) 로 분할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오일팬 세퍼레이터 (132) 에 있어서의 낮은 위치에는, 제 1 실 (30a) 이 제 2 실 (30b) 측으로 돌출되도록 돌출부 (132b) 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 (132b) 의 상단부를 구성하는 돌출부 상판 (132b1) 에는, 실질적으로 제 1 실 (30a) 에서 제 2 실 (30b) 로의 오일의 유출만을 허가하는 일방향 밸브인 주유 밸브 (138) 가 형성되어 있다.
Figure P1020087019246
윤활 장치, 오일 팬

Description

윤활 장치 및 오일팬{LUBRICATION DEVICE AND OIL PAN}
본 발명은, 피윤활 기구 (예를 들어, 엔진 블록이나 자동 변속 기구 등) 의 윤활을 위한 오일을 저류 (貯留) 가능한 오일팬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당해 오일팬을 구비하고 있어서, 상기 오일을 상기 피윤활 기구를 향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윤활 장치 (예를 들어, 엔진이나 자동 변속 장치 등) 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런 종류의 윤활 장치는 상기 오일팬 내에 저류되어 있는 상기 오일을 오일 펌프에 의해 흡출하여, 당해 오일을 상기 피윤활 기구 내의 피윤활 부재 (예를 들어, 기어, 캠 샤프트, 실린더, 피스톤 등) 에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이 윤활 장치는 당해 피윤활 부재에서 윤활 작용을 나타냄과 함께 당해 피윤활 부재로부터 마찰열 등의 열을 흡수한 오일이 중력의 작용으로 상기 피윤활 기구로부터 오일팬 내로 환류 (리턴) 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오일팬의 구조로서 상기 오일의 승온을 촉진함으로써 난기 운전의 진행을 촉진할 수 있는, 소위 2 조식 오일팬 구조가 널리 알려져 있다. 이 2 조식 오일팬 구조를 구비한 상기 오일팬 (이하, 간단히「2 조식 오일팬」이라고 칭한다) 은, 상기 오일팬 내를 주실 (제 1 실이라고 칭해지는 경우도 있다) 과 부실 (제 2 실이라고 칭해지는 경우도 있다) 의 2 조로 구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2 조식 오일팬을 구비한 상기 윤활 장치는, 상기 주실 내의 상기 오일을 상기 피윤활 기구에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이 2 조식 오일팬은 상기 오일 (및 상기 피윤활 부재) 의 온도가 낮은 난기 운전 중에 상기 주실과 상기 부실 사이에서의 상기 오일의 유통을 제한하고, 상기 오일 (및 상기 피윤활 부재) 이 적당한 온도까지 승온한 난기 운전 종료 후에 상기 제한을 해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2 조식 오일팬은 이하와 같이 동작한다. 먼저, 난기 운전 중에 있어서는 상기 주실과 상기 부실 사이의 상기 오일의 유통이 제한된다. 이로써, 상기 피윤활 기구와 상기 오일팬 사이의 상기 오일의 순환량이 상기 주실 내에 저류된 상기 오일의 양으로 실질적으로 제한된다. 따라서, 상기 주실 내의 오일 (및 상기 피윤활 부재) 의 온도가 신속하게 상승하여 난기 운전의 진행이 촉진될 수 있다.
또, 난기 운전 종료 후에는 상기 제한이 완화 내지 해제된다. 이로써, 상기 부실 내에 저류되어 있는 상기 오일이 상기 주실에 유입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오일팬 내의 상기 오일 전체량이 상기 피윤활 기구와 상기 오일팬 사이의 상기 오일의 순환에 제공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피윤활 기구에서 상기 오일에 의한 양호한 윤활 및 냉각이 실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2 조식 오일팬의 구체예로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222012호 (특허 문헌 1) 나 일본 특허공보 평5-43850호 (특허 문헌 2) 에 기재된 것이 알려 져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222012호 (특허 문헌 1) 에 기재된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오일팬의 내측의 공간 내에 오일팬 세퍼레이터가 배치되어 있다. 이 오일팬 세퍼레이터는 상기 오일팬의 내측의 상기 공간을 상기 주실과 상기 부실의 2 개의 구획으로 나누도록 구성 및 배치되어 있다.
상기 주실은 상기 피윤활 기구로서의 엔진 블록을 향하여 개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주실은 상기 엔진 블록으로부터 상기 오일팬으로 환류되어 오는 상기 오일을 수용할 수 있도록 당해 엔진 블록과 연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주실 내의 저부에는 오일 스트레이너가 배치되어 있다. 이 오일 스트레이너는 상기 오일 펌프와 접속되어 있어, 상기 주실 내에 있어서의 상기 오일의 흡입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오일팬 세퍼레이터에는 상기 주실과 상기 부실을 연통시키는 제 1 연통 구멍 및 제 2 연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연통 구멍은 상기 제 2 연통 구멍보다 상방이고, 또한 큰 개구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연통 구멍은 직경 약 8㎜ 인 원형 관통 구멍으로서 여러 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제 2 연통 구멍은 직경 약 2㎜ 인 원형 관통 구멍으로서 다수 (십수개 ∼ 수십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상기 2 조식 오일팬에 있어서는 상기 오일의 온도 변화에 수반하는 점도 변화에 의해 상기 주실과 상기 부실 사이의 상기 오일의 유통 상태가 제어된다.
구체적으로는, 난기 운전 중의 저온에서 점도가 높은 상기 부실의 저부의 상기 오일은 개구경이 작고 하방에 형성된 상기 제 2 연통 구멍을 통과하기 어렵다. 또한, 난기 운전 중에서도 온도가 비교적 높은 상기 부실의 상부의 상기 오일은 개구경이 크고 상방에 형성된 상기 제 1 연통 구멍을 용이하게 통과하여 상기 주실의 상부에 유입될 수 있다. 한편, 난기 운전이 진행되어 상기 부실 내의 상기 오일이 상승되면, 상기 제 1 연통 구멍 및 상기 제 2 연통 구멍을 통하여 상기 주실과 상기 부실 사이의 상기 오일의 유통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일본 특허공보 평5-43850호 (특허 문헌 2) 에 기재된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주실과 상기 부실을 나누는 칸막이판에 연통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연통부에는 상기 주실 내의 상기 오일의 온도에 따라 작동하는 밸브 장치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밸브 장치는, 난기 운전에 의해 상기 오일이 어느 정도 높은 고온측 설정 온도 (예를 들어 60℃ 정도) 로 승온될 때까지는 닫고 상기 고온측 설정 온도 이상이 되면 여는 밸브인 서모스탯 밸브를 구비하고 있다.
발명의 개시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222012호 (특허 문헌 1) 에 기재된 상기 2 조식 오일팬을 구비한 장치에 있어서는, 난기 운전 중이어도 상기 주실과 상기 부실이 상기 제 1 연통 구멍 및 상기 제 2 연통 구멍을 통하여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난기 운전 중에 있어서의 상기 부실에서 상기 주실로의 상기 오일의 유입의 제한이 불충분 또한 불안정해져 난기 운전의 진행 촉진이라는 상기 2 조식 오일팬의 효과가 반드시 충분히 얻어지고 있던 것은 아니었다.
또, 상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실로부터 상기 제 1 연통 구멍 및 상기 제 2 연통 구멍을 통하여 상기 주실에 유입되어 상기 오일 스트레이너의 상기 흡입구에 흡입되는 오일 유로를 상정한 경우의 당해 오일 유로에 있어서의 상기 오일의 유동 저항을 R2 - 1 으로 한다. 또, 상기 주실 내에 미리 저류되어 있는 상기 오일이 상기 오일 스트레이너의 상기 흡입구에 흡입되는 오일 유로를 상정 경우의 당해 오일 유로에 있어서의 상기 오일의 유동 저항을 R1 - 1 로 한다. 이 경우, 분명하게 R2 -1 의 쪽이 R1 -1 보다 크다.
따라서, 상기 장치에 있어서는 난기 운전 종료 후이어도 난기 운전 중과 동일하게 주로 상기 주실 내에 저류된 상기 오일이 상기 오일 스트레이너의 상기 흡입구에 의해 흡입되어 상기 피윤활 기구에 공급되게 된다. 따라서, 당해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부실 내에 저류되어 있는 상기 오일이 상기 엔진 블록과 당해 오일팬 사이의 순환에 제공되기 어려웠다. 이 때문에, 당해 장치에 있어서는 당해 오일팬 내부에 (특히 상기 주실 내에 계속적으로) 저류되어 있는 상기 오일의 열화가 빨라지는 경우가 있을 수 있었다.
한편, 일본 특허공보 평5-43850호 (특허 문헌 2) 에 기재된 상기 2 조식 오일팬을 구비한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밸브 장치의 개폐에 의해 비교적 큰 개구경의 오일 통로가 운전 상태에 따라 확실하게 개폐될 수 있다. 따라서, 난기 운전 중에 있어서는 상기 부실에서 상기 주실로의 상기 오일의 유입의 제한이 확실하게 실시될 수 있다. 또, 상기 부실 난기 운전 종료 후에 있어서는 당해 오일 연통로를 통하여 상기 주실과 상기 부실이 연통됨으로써, 상기 부실에서 상기 주실로의 상기 오일의 유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무엇보다 당해 장치에 있어서는, 오일 교환을 실시할 때에 상기 주실 내의 상기 오일의 온도는 상기 고온측 설정 온도 이하로 되어 있고 상기 밸브 장치는 닫혀져 있다. 이 때문에, 비어 있는 당해 오일팬에 신선한 상기 오일을 주입할 때에 당해 주입 작업이 원활하게 실시되기 어렵다.
즉, 당해 주입 작업시에는, 통상 상기 흡입구가 배치되어 있는 상기 주실 내에 신선한 상기 오일이 먼저 주입된다. 그리고, 당해 주실 내에서 상기 부실 내로 당해 오일이 순차 유출됨으로써, 당해 오일팬 내에 당해 오일이 균등하게 널리 퍼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밸브 장치가 닫혀져 있는 경우, 상기 주실 내에서 상기 부실 내로의 상기 오일의 유출이 신속하게 실시되기 어렵다. 이러한 경우, 상기 주실과 상기 부실 사이에서 오일 레벨 차가 발생한다. 따라서, 오일 교환시에 오일 레벨 게이지를 이용하여 당해 오일팬 내의 오일 레벨을 조정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난기 운전이 양호하게 촉진되고, 상기 오일의 조기 열화가 가급적으로 억제되고, 또한 오일 교환 작업이 신속하게 실시될 수 있는 2 조식 오일팬 및 당해 2 조식 오일팬을 구비한 윤활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대상이 되는 윤활 장치는, 피윤활 기구의 윤활을 위한 오일을 당해 피윤활 기구를 향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윤활 장치는 오일팬과 오일 펌프와 오일 스트레이너를 구비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의 대상이 되는 상기 오일팬은 상기 오일을 내측의 공간 내에서 저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오일팬은 오일팬 커버와 오일팬 세퍼레이터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오일 펌프는, 상기 오일팬 내에 저류된 상기 오일을 상기 피윤활 기구를 향하여 송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오일 스트레이너는 상기 공간 내에 있어서의 상기 오일의 흡입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오일 펌프와 오일 유로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상기 오일팬 커버는 상기 피윤활 기구를 향하여 개구하는 오일 저류용 오목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오일팬 세퍼레이터는 상기 오일 저류용 오목부의 내측의 공간을 제 1 실과 제 2 실로 분할하도록 구성 및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 1 실은 상기 피윤활 기구와 연통하도록 당해 피윤활 기구를 향하여 개구하는 공간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제 1 실의 저부에는 상기 오일 스트레이너의 상기 흡입구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 2 실은 상기 제 1 실과 인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오일팬에는 연통 밸브가 형성될 수 있다. 이 연통 밸브는 상기 오일팬 세퍼레이터에 형성된다. 이 연통 밸브는 상기 피윤활 기구의 운전 상태에 따라 상기 제 1 실과 상기 제 2 실을 연통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1)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오일팬 및 윤활 장치는 실질적으로 당해 제 1 실에서 당해 제 2 실로의 상기 오일의 유출만을 허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일방향 밸브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일방향 밸브는 상기 오일팬 세퍼레이터에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일방향 밸브는 상기 제 1 실 내의 오일 레벨과 상기 제 2 실 내의 오일 레벨 차에 의해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피윤활 기구가 운전되면 상기 오일 펌프가 작동된다. 이 오일 펌프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 1 실의 저부의 상기 오일이 상기 오일 스트레이너의 상기 흡입구로부터 흡출되어, 상기 오일 유로를 통과하여 당해 오일 펌프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제 1 실의 저부로부터 흡출되어 상기 오일 펌프에 공급된 상기 오일은 당해 오일 펌프에 의해 상기 피윤활 기구를 향하여 송출된다.
피윤활 기구에 공급된 상기 오일은 당해 피윤활 기구에서 윤활 작용을 나타냄과 동시에 당해 피윤활 기구에서 마찰이나 연료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고 있는 열을 흡수함으로써 승온한다. 이 승온한 오일은, 중력의 작용으로 상기 오일팬 을 향하여 환류되어 온다. 이 환류 오일이 상기 피윤활 기구와 연통하는 상기 제 1 실에 유입됨으로써, 당해 제 1 실 내에 저류되어 있는 상기 오일이 승온된다.
또, 시동 직전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실과 상기 제 2 실에서 오일 레벨이 거의 동일하였던 반면, 냉간 시동되고 난기 운전이 개시되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실 내의 상기 오일이 상기 오일 펌프에 의해 흡출됨으로써, 상기 제 1 실이 상기 제 2 실보다 오일 레벨이 낮아져 당해 제 1 실과 당해 제 2 실 사이에서 오일 레벨 차가 발생한다.
무엇보다 상기 일방향 밸브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 1 실에서 당해 제 2 실로의 상기 오일의 유출만을 허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오일 레벨 차가 발생하더라도 당해 일방향 밸브를 통한, 상기 제 2 실에서 상기 제 1 실로의 상기 오일의 유입은 실질적으로 발생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난기 운전 중에 있어서는, 상기 오일 펌프에 의해 상기 제 1 실 내로부터 상기 오일이 흡출되는 한편, 상기 제 2 실에서 상기 제 1 실로의 상기 오일의 유입은 제한된다. 특히, 상기 일방향 밸브를 통한 상기 제 2 실에서 상기 제 1 실로의 상기 오일의 유입은 실질적으로 발생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로써, 상기 피윤활 기구와 상기 오일팬 사이에 순환되는 상기 오일의 양이 상기 제 1 실 내에 저류되어 있는 상기 오일의 양으로 실질적으로 제한된다. 따라서, 당해 제 1 실 내에 있어서의 상기 오일의 승온이 촉진되어 난기 운전의 진행이 촉진된다.
또한, 난기 운전 중과 난기 운전 종료 후의 전환은, 상기 피윤활 기구의 운전 상태에 따라 실시될 수 있다. 이「운전 상태」로서는, 예를 들어, 상기 오일 온도 이외에, 냉각 수온, 운전 개시부터의 경과 시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운전 상태」에 관한 인자는 단독으로, 혹은 적절히 복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 오일 교환 때문에, 당해 오일팬으로부터 상기 오일의 전체량이 배출되는 경우, 통상은 상기 오일팬 커버의 저부에 장착된 드레인 볼트가 풀림으로써, 당해 드레인 볼트에 의해 막혀 있던 드레인 볼트 구멍이 개방된다.
이 드레인 볼트 구멍의 개방에 의해, 상기 제 2 실 내의 상기 오일이 우선적으로 외부로 배출되어 당해 제 2 실의 오일 레벨이 내려간다. 그리고, 당해 제 2 실과 상기 제 1 실의 사이에서 당해 제 1 실이 높아지는 (소정량의) 오일 레벨 차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오일 레벨 차가 발생한 경우, 상기 일방향 밸브가 실질적으로 당해 제 1 실에서 당해 제 2 실로의 상기 오일의 유출만을 허가하도록 작동한다. 이 일방향 밸브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 1 실 내에 잔류한 상기 오일이 상기 제 2 실로 유출되고, 당해 제 2 실 및 상기 드레인 볼트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당해 오일팬 내에 저류된 상기 오일이 효율적으로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오일 교환시에 비어 있는 상기 오일팬 내에 신선한 상기 오일이 주입된 경우, 예를 들어, 당해 오일이 상기 제 1 실에 집중적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당해 제 1 실 내의 오일 레벨만이 상승한다. 이 경우에도 당해 제 1 실과 상기 제 2 실 사이에서 당해 제 1 실이 높아지는 오일 레벨 차가 발생한다.
이 오일 레벨 차에 의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일방향 밸브가 작동한다. 이로써, 상기 제 1 실에 주입된 신선한 상기 오일이 당해 일방향 밸브를 통하여 상기 제 2 실에도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실 및 상기 제 2 실의 오일 레벨의 조정이 확실하게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당해 오일팬으로의 신선한 상기 오일의 주입이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실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구성에 난기 운전이 양호하게 촉진되어 상기 오일의 조기 열화가 가급적으로 억제될 수 있음과 함께, 오일 교환 작업에 있어서의 상기 오일의 배출 및 주입이 신속하게 실시될 수 있다.
(2) 상기 오일팬 및 상기 윤활 장치는, 이하와 같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 상기 오일팬 세퍼레이터는 저판과 측판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측판은 상기 저판을 둘러싸듯이 형성되어 있다. 이 측판은 상기 저판의 단부와 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 측판과 상기 저판으로 형성된 제 1 실 형성용 오목부가 상기 피윤활 기구를 향하여 개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저판 및 상기 측판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또, 상기 저판 및 상기 측판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열전도성이 낮고 단열 성이 높은 재질 (내열성 합성 수지 등) 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피윤활 기구를 향하여 (상방으로) 개구하는 상기 제 1 실 형성용 오목부의 외측에 상기 피윤활 기구를 향하여 (상방으로) 개구하는 상기 오일팬 커버가 배치된다. 이로써, 상기 오일팬 세퍼레이터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실 형성용 오목부를 구성하는 부분보다 외측의 공간에 의해 상기 제 2 실이 형성된다.
즉, 상기 측판이 상기 오일팬 커버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오일팬 세퍼레이터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제 1 실의 측방에 있어서의 외측에 상기 제 2 실이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저판이 상기 오일팬 커버의 하단부에 있어서의 내벽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오일팬 세퍼레이터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제 1 실의 하방에 있어서의 외측에 상기 제 2 실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제 2 실은 상기 제 1 실의 외측에 형성됨으로써, 당해 제 1 실을 단열적으로 덮는 단열층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 오일 교환시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상기 드레인 볼트가 풀림으로써 드레인 볼트 구멍이 개방되면, 먼저, 상기 제 1 실보다 외측에 형성된 상기 제 2 실 내의 상기 오일이 외부로 배출된다. 이로써, 당해 제 2 실의 오일 레벨이 내려간다. 그리고, 당해 제 2 실과 그 내측의 상기 제 1 실 사이에서 당해 제 1 실이 높아지는 (소정량의) 오일 레벨 차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오일 레벨 차가 발생하면, 상기 일방향 밸브가 실질적으로 당해 제 1 실에서 당해 제 2 실로의 상기 오일의 유출만을 허가하도록 작동한다. 이 일방향 밸브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 1 실 내에 잔류한 상기 오일이 그 외측의 상기 제 2 실로 유출되고, 당해 제 2 실 및 상기 드레인 볼트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하여, 당해 오일팬 내에 저류된 상기 오일이 효율적으로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오일 교환시에 비어 있는 상기 오일팬 내에 신선한 상기 오일이 주입된 경우, 예를 들어 당해 오일이 상기 제 1 실 형성용 오목부에 집중적으로 유입된다. 이로써, 상기 제 1 실과 상기 제 2 실 사이에서 오일 레벨에 차가 발생한다.
이 오일 레벨 차에 의해, 상기 제 1 실 형성용 오목부에 주입된 신선한 상기 오일이 상기 일방향 밸브를 통하여 당해 제 1 실 형성용 오목부의 외측에 형성된 상기 제 2 실로 유출된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제 1 실 형성용 오목부에 주입된 상기 오일이 상기 제 2 실에도 공급된다.
본 구성에 의하면, 난기 운전시에 상기 제 1 실이 그 외측의 상기 제 2 실에 의해 단열적으로 덮힘으로써, 당해 제 1 실 내의 오일의 승온이 효과적으로 촉진될 수 있다. 이로써, 난기 운전의 진행이 한층 더 촉진될 수 있다.
동시에, 본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 2 실이 상기 제 1 실의 외측에 형성된 경우에도 당해 오일팬 내에 저류된 상기 오일의 전체량이 배출될 때에, 상기 제 1 실에서 그 외측의 상기 제 2 실로 상기 오일이 효율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또, 당해 오일팬으로의 신선한 상기 오일의 주입시에, 상기 제 1 실에서 그 외측의 상기 제 2 실로 상기 오일이 효율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로써, 오일 교환 작업이 신속하게 실시될 수 있다.
(2') 상기 오일팬 및 상기 윤활 장치가 환류 오일 저류 세퍼레이터와, 오일 환류 제어 밸브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여기에서, 상기 환류 오일 저류 세퍼레이터는 상기 제 2 실의 상방에 환류 오일 저류실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환류 오일 저류실은 상기 피윤활 기구로부터 상기 오일팬을 향하여 환류되어 오는 환류 오일 중의, 상기 제 1 실에 직접 환류하는 부분 이외의 잔부를 저류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오일 환류 제어 밸브는 상기 환류 오일 저류 세퍼레이터에 형성되어 있다. 이 오일 환류 제어 밸브는 상기 피윤활 기구에 있어서의 운전 상태에 따라 열림으로써 환류 오일 저류실에서 상기 제 2 실로의 상기 오일의 유입을 허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환류 오일 저류 세퍼레이터는 수평 칸막이판과, 수직 칸막이판으로부터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수평 칸막이판은 상기 오일팬 세퍼레이터에 형성된 상기 제 1 실 형성용 오목부의 상단과 접속되어 있다. 이 수평 칸막이판은 상기 제 2 실과 상기 환류 오일 저류실을 상하 방향으로 나누도록 구성ㆍ배치되어 있다.
상기 수직 칸막이판은, 상기 수평 칸막이판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수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 칸막이판 및 상기 수직 칸막이판에 의해 형성된, 상기 오일을 저류할 수 있는 오목부에 의해 상기 환류 오일 저류실이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피윤활 기구에 공급된 상기 오일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당해 피윤활 기구에서 윤활 및 냉각 작용을 나타냄으로써 승온하고, 중력의 작용으로 상기 오일팬을 향하여 환류되어 온다. 이 환류 오일의 일부는 상기 피윤활 기구와 연통하는 상기 제 1 실에 유입된다. 이로써, 당해 제 1 실 내에 저류되어 있는 상기 오일이 승온된다. 또, 상기 환류 오일의 잔부는 상기 환류 오일 저류실에 일단 수용된다.
난기 운전 중은 상기 환류 오일 저류 세퍼레이터에 형성된 오일 환류 제어 밸브가 닫혀짐으로써 상기 제 2 실과 상기 환류 오일 저류실의 연통이 차단된다.
이로써, 제한된 양의 상기 오일이 상기 피윤활 기구와 상기 오일팬 사이에서 순환됨으로써, 당해 제 1 실 내에 있어서의 상기 오일의 승온이 촉진된다. 또, 상기 제 2 실의 상방에 위치하는 상기 환류 오일 저류실에 소정량의 상기 환류 오일이 저류된다.
그리고, 난기 운전 종료 후에는 상기 오일 환류 제어 밸브가 열림으로써, 상기 환류 오일 저류실에 저류된 상기 환류 오일이 상기 제 2 실의 상부에 유입되고, 당해 제 2 실의 오일 레벨이 상승한다. 이 제 2 실의 오일 레벨의 상승에 의해 당해 제 2 실 쪽이 상기 제 1 실보다 높아지는 오일 레벨 차가 발생한다.
본 구성에 의하면, 오일 교환 작업의 신속성이 확보되면서, 난기 운전 종료 후의 당해 오일팬 내의 상기 오일의 효율적인 순환이 실시될 수 있다.
(3) 상기 오일팬 및 상기 윤활 장치는, 이하와 같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 상기 오일팬 세퍼레이터에 있어서의 상기 저판과 상기 측판의 상단부 사이에는, 관통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주유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일방향 밸브는 상기 제 1 실 내의 오일 레벨과 상기 제 2 실 내의 오일 레벨 차의 상태에 따라, 상기 주유 구멍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 및 배치된 주유 구멍 폐색 밸브체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오일 교환시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실보다 상기 제 1 실이 높아지는 (소정량의) 오일 레벨 차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오일 레벨 차가 발생함으로써, 상기 주유 구멍 폐색 밸브체에 의해 상기 주유 구멍이 개방되어 오일 레벨이 높은 상기 제 1 실에서 오일 레벨이 낮은 상기 제 2 실로의 상기 오일의 유출이 발생한다.
한편, 난기 운전 중에 상기 제 1 실보다 상기 제 2 실이 높아지는 오일 레벨 차가 발생해도, 상기 주유 구멍은 상기 주유 구멍 폐색 밸브체에 의해 폐색된다. 따라서, 난기 운전 중에 있어서의 상기 주유 구멍을 통한 상기 제 2 실에서 상기 제 1 실로의 상기 오일의 유입이 제한된다.
본 구성에 의하면, 난기 운전시에 상기 주유 구멍을 통한 상기 제 2 실에서 상기 제 1 실 내로의 상기 오일의 유입이 간략한 장치 구성에 의해 확실하게 제한될 수 있다. 또, 오일 교환 작업이 신속하게 실시될 수 있는 상기 일방향 밸브가 간략한 장치 구성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4) 상기 주유 구멍 폐색 밸브체의 외연 (外緣) 과, 상기 주유 구멍의 내연 (內緣) 이 선 접촉되도록 당해 주유 구멍 및 당해 주유 구멍 폐색 밸브체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 2 실 내의 오일 레벨이 상기 주유 구멍 및 상기 주유 구멍 폐색 밸브체의 상방이 되어 있을 때에 상기 주유 구멍 폐색 밸브체의 외연과 상기 주유 구멍의 내연의 접합부를 향하여 슬러지나 불순물 등이 침강될 수 있다.
무엇보다 본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주유 구멍 폐색 밸브체의 외연과 상기 주유 구멍의 내연이 선 접촉되어 있다. 즉, 상기 주유 구멍 폐색 밸브체의 외연과 상기 주유 구멍의 내연이 (비교적 넓은 면적으로) 면접촉되어 있는 경우와 달리, 상기 슬러지 등이 유지될 수 있는 당해 외연과 당해 내연이 좁은 간극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면적이 작다.
따라서, 본 구성에 의하면 상기 주유 구멍 폐색 밸브체의 외연과 상기 주유 구멍의 내연의 접합부에 상기 슬러지 등이 고착됨으로써, 상기 서술한 오일 레벨 차에 기초하는 상기 주유 구멍 폐색 밸브체의 적절한 개폐 동작이 방해되거나, 상기 주유 구멍이 항시 연통되거나 하는 문제의 발생이 가급적 억제될 수 있다.
(5) 상기 오일팬 및 상기 윤활 장치는 이하와 같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 상기 오일팬 세퍼레이터에 있어서의 상기 측판과 상기 저판의 접속부와, 상기 측판의 상단 사이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는, 상기 오일팬의 외측 을 향하여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주유 구멍은, 상기 돌출부의 상단부를 구성하는 돌출부 상판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주유 구멍 폐색 밸브체는, 자중 (自重) 에 의해 하강함으로써 상기 주유 구멍을 상기 돌출부 상판의 상방으로부터 폐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주유 구멍 폐색 밸브체가 상기 오일보다 비중이 약간 높은 (바람직하게는 대략 1.2 배 내지 대략 2 배 정도) 재질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난기 운전 중에 상기 제 1 실과 상기 제 2 실 사이에서 상기 제 2 실이 높아지는 오일 레벨 차가 발생하여 당해 제 2 실에 있어서의 오일 레벨이 상기 돌출부 상판보다 높아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당해 돌출부 상판의 상방의 상기 오일의 압력에 의해, 상기 주유 구멍 폐색 밸브체가 하방을 향하여 가압된다. 이 주유 구멍 폐색 밸브체가 받는 가압과 당해 주유 구멍 폐색 밸브체의 자중에 의해, 상기 주유 구멍이 폐색된다. 즉, 상기 주유 구멍을 통한 상기 제 1 실에서 상기 제 2 실로의 상기 오일의 유출이 억제된다 (당해 일방향 밸브가 닫혀진다).
이로써, 난기 운전 중에 있어서의 당해 주유 구멍을 통한, 상기 제 2 실에서 상기 제 1 실로의 상기 오일의 부주의한 유입이 간략한 구성에 의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또, 오일 교환시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제 2 실 내의 상기 오일만이 외부로 배출되면, 당해 제 2 실과 그 내측의 상기 제 1 실 사이에서 당해 제 2 실이 낮아지는 (소정량의) 오일 레벨 차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오일 레벨 차가 발생하면, 상기 제 1 실 내에 주입된 상기 오일의 압력에 의해 상기 주유 밸브 폐색 밸브체가 상방으로 밀어 올려진다. 그러면, 상기 주유 구멍이 열리고 당해 주유 구멍을 통하여 상기 오일이 상기 제 2 실로 유출된다. 이로써, 상기 제 1 실 내에 잔류한 상기 오일이 상기 제 2 실로 유출된다.
또한, 상기 오일이 상기 제 1 실 내에 집중적으로 주입된 경우, 당해 제 1 실 내의 오일 레벨만이 상승한다. 이 제 1 실 내의 오일 레벨이 상기 돌출부 상판의 높이까지 도달하면, 당해 제 1 실 내에 주입된 상기 오일의 압력에 의해 상기 주유 밸브 폐색 밸브체가 상방으로 밀어 올려진다. 그러면, 상기 주유 구멍이 개방되고 당해 주유 구멍을 통하여 상기 오일이 상기 제 1 실에서 상기 제 2 실로 공급된다.
본 구성에 의하면, 간략한 장치 구성에 의해 난기 운전의 촉진 성능이 확보되고 또한, 오일 교환 작업의 신속성을 달성될 수 있다.
(6) 상기 오일팬 및 상기 윤활 장치는, 이하와 같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 본 오일팬 및 본 윤활 장치는 오일 레벨 게이지 지지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이 오일 레벨 게이지 지지부에는 오일 레벨 게이지 삽입 통과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 오일 레벨 게이지 삽입 통과 구멍은, 오일 레벨 게이지를 삽입 통과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오일 레벨 게이지는, 봉형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오일팬 내의 오일 레벨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오일 레벨 게이지 지지부는 상기 오일 레벨 게이지 삽입 통과 구멍에 상기 오일 레벨 게이지를 삽입 통과시킴으로써, 당해 오일 레벨 게이지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일방향 밸브는 상기 오일 레벨 게이지 지지부에 있어서의 상기 오일 레벨 게이지 삽입 통과 구멍에 상기 오일 레벨 게이지 대신에, 오일 교환시에 사용되는 오일 교환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오일의 배출 또는 주입용 튜브가 삽입 통과된 경우에 상기 주유 구멍 폐색 밸브체가 상기 주유 구멍을 개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는, 오일 교환시에 상기 오일 교환 장치의 상기 튜브가 상기 오일 레벨 게이지 지지부에 있어서의 상기 오일 레벨 게이지 삽입 통과 구멍에 삽입 통과된다. 이로써, 상기 주유 구멍이 개방됨으로써 상기 제 1 실과 상기 제 2 실이 연통된다.
따라서, 당해 오일팬 내에 저류된 상기 오일이 상기 튜브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때에, 상기 주유 구멍을 통하여 상기 오일이 유통됨으로써, 상기 제 1 실 및 상기 제 2 실 내에 저류된 상기 오일이 신속하게 상기 튜브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또, 비어 있는 당해 오일팬 내에 신선한 상기 오일이 상기 튜브를 통하여 주입될 때에 상기 주유 구멍을 통하여 상기 오일이 유통됨으로써 상기 제 1 실 및 상기 제 2 실에 신선한 상기 오일이 신속하게 널리 퍼진다.
본 구성에 의하면, 상기 오일 교환 장치에 의해 상기 제 1 실 및 상기 제 2 실의 일방으로부터 급격하게 사용이 완료된 상기 오일이 배출되거나 비어 있는 상기 제 1 실 및 상기 제 2 실의 일방에 대해 급격하게 신선한 상기 오일이 주입되거나 하는 경우에도, 상기 제 1 실과 상기 제 2 실 사이에 큰 압력차가 발생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실과 상기 제 2 실을 구분하는 상기 오일팬 세퍼레이터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큰 압력 차에 의해 파손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오일 교환 장치를 사용한 오일 교환 작업이 양호하고 또한 신속하게 실시될 수 있다.
(7) 상기 일방향 밸브는 맞닿음부와 링크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여기에서, 상기 맞닿음부는 상기 오일 레벨 게이지 삽입 통과 구멍의 중심축선의 연장선 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 맞닿음부는, 상기 튜브가 상기 오일 레벨 게이지 삽입 통과 구멍에 삽입 통과된 경우에 상기 튜브의 선단부와 맞닿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링크부는 상기 맞닿음부와 상기 튜브의 상기 선단부가 맞닿아 당해 선단부에 의해 상기 맞닿음부가 가압된 경우에, 상기 주유 구멍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상기 주유 구멍 폐색 밸브체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오일 교환시에 상기 오일 교환 장치의 상기 튜브가 상기 오일 레벨 게이지 삽입 통과 구멍에 삽입 통과됨으로써, 당해 튜브의 선단부는 상기 맞닿음부와 맞닿고, 또한 당해 맞닿음부를 가압한다. 그러면, 상기 링크부는 상기 주유 구멍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상기 주유 구멍 폐색 밸브체를 이동시키도록 작동한다.
본 구성에 의하면, 상기 오일 교환 장치를 사용한 오일 교환 작업시의 상기 주유 구멍의 개방이 간략한 장치 구성에 의해 확실하게 실시될 수 있다.
(8) 상기 맞닿음부의 표면에는 요철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요철은 상기 튜브의 상기 선단부에 형성된 개구인 튜브 선단 개구와 상기 맞닿음부가 맞닿은 경우에, 당해 튜브 선단 개구의 가장자리 사이에서 간극이 형성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널링 (룰렛) 가공, 샌드 블라스트 가공, 홈 가공 등에 의해 상기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맞닿음부에 구멍이나 관통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당해 오일팬 내에 저류된 상기 오일을 상기 오일 교환 장치를 이용하여 배출할 때에, 상기 튜브 선단 개구가 상기 맞닿음부의 상기 표면에 의해 막히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9) 상기 맞닿음부는, 상기 오일 레벨 게이지 지지부에 상기 오일 레벨 게이지가 지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당해 오일 레벨 게이지의 선단과 이격되도록 배치 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운전 중은 상기 오일 레벨 게이지가 상기 오일 레벨 게이지 삽입 통과 구멍에 삽입 통과됨으로써 상기 오일 레벨 게이지 지지부에 지지되어 있다. 이 경우, 당해 오일 레벨 게이지의 상기 선단은, 상기 맞닿음부와 맞닿지 않는다. 따라서, 당해 오일 레벨 게이지를 상기 오일 레벨 게이지 삽입 통과 구멍에 삽입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주유 구멍이 개방되는 일은 없다.
본 구성에 의하면, 운전시의 상기 주유 구멍의 폐색과, 상기 오일 교환 장치를 사용한 오일 교환 작업시의 상기 주유 구멍의 개방이 간략한 장치 구성에 의해 확실하게 실시될 수 있다.
(10) 상기 오일팬 세퍼레이터의 상기 저판과 상기 오일팬 커버의 저부의 사이에는 상기 제 2 실을 구성하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제 2 실은, 상기 제 1 실의 측방 및 하방의 모두를 덮듯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난기 운전시에 상기 제 1 실이 그 외측의 상기 제 2 실에 의해 단열적으로 덮임으로써, 당해 제 1 실 내의 오일의 승온이 효과적으로 촉진될 수 있다. 이로써, 난기 운전의 진행이 한층 더 촉진될 수 있다. 또, 본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 2 실이 상기 제 1 실의 외측의 모두를 덮듯이 형성된 경우에도 오일 교환 작업이 신속하게 실시될 수 있다.
(11) 상기 제 1 실 내의 오일 레벨에 따라 작동함으로써 드레인 구멍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 플로트 밸브가 추가로 구비되어 있어도 된다. 여기에서, 상기 드레인 구멍은 상기 오일팬 세퍼레이터의 상기 저판에 형성된 관통 구멍이다. 이 드레인 구멍은 상기 제 2 실을 구성하는 상기 간극과, 그 상방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실의 저부를 연통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플로트 밸브는 플로트부와 밸브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플로트부는, 상기 제 1 실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고, 당해 제 1 실 내에 저류된 상기 오일 중에서 부력에 의해 부상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밸브 기구는 상기 제 1 실 내의 오일 레벨의 상승에 수반하는 상기 플로트부의 상승에 의해 상기 드레인 구멍을 폐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 내의 오일 레벨이 충분히 높은 경우, 상기 플로트부가 상한 위치까지 상승한다. 이로써, 상기 드레인 구멍이 상기 밸브 기구에 의해 폐색된다. 따라서, 난기 운전 중에 있어서의 상기 드레인 구멍을 통한 상기 제 2 실의 저부에서 상기 제 1 실의 저부로의 상기 오일의 유입이 억제 (차단) 된다.
한편, 예를 들어 극저온 시동시에 있어서, 시동 직전의 오일량이 적은 경우, 상기 제 1 실 내의 오일 레벨이 극단적으로 낮아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플로트부가 하강함으로써, 상기 밸브 기구에 의한 상기 드레인 구멍의 폐색이 해제되어 상기 드레인 구멍을 통하여 상기 제 2 실의 저부로부터 상기 제 1 실의 저부로 상기 오일이 공급될 수 있다.
또, 오일 교환을 위해서, 당해 오일팬으로부터 상기 오일의 전체량이 배출될 때, 상기 드레인 볼트가 풀림으로써 상기 드레인 볼트 구멍이 개방된다. 이로써 상기 제 2 실의 오일 레벨이 내려간다. 이 때, 상기 제 1 실 내에는 배출되어야 할 상기 오일이 잔류되고 있어, 상기 플로트부가 부력을 수용함으로써 상기 밸브 기구에 의해 상기 드레인 구멍이 폐색되어 있다.
무엇보다 이 경우, 상기 제 1 실 내의 오일 레벨이 상기 제 2 실의 오일 레벨보다 높아져, (소정량의) 오일 레벨 차가 발생함으로써 상기 일방향 밸브가 열린다. 이로써, 당해 제 1 실 내에 저류되어 있는 상기 오일이 당해 일방향 밸브를 통하여 상기 제 2 실로 유출된다.
이와 같이, 본 구성에 의하면 상기 드레인 구멍이 상기 플로트 밸브에 의해 폐색되면서, 상기 제 1 실 내의 급격한 오일 레벨의 저하라는 예측하지 못한 사태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플로트 밸브가 작동된다. 따라서, 난기 운전의 진행이 확실하게 촉진되면서, 상기 피윤활 기구로의 상기 오일의 공급량 부족의 발생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또, 오일 교환을 위해서 당해 오일팬으로부터 상기 오일의 전체량이 배출될 때에 상기 일방향 밸브가 작동함으로써, 상기 제 1 실 내에 저류된 상기 오일이 비교적 조기에 상기 제 2 실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오일 교환 작업이 신속하게 실시될 수 있다.
(12) 상기 밸브 기구는, 드레인 구멍 폐색 밸브체와 접속 바와 지지부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여기에서, 상기 드레인 구멍 폐색 밸브체는 상기 제 1 실의 내측으로서, 상기 드레인 구멍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접속 바는 상기 드레인 구멍 폐색 밸브체와 상기 플로트부를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접속 바를 회전 운동할 수 있게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당해 밸브 기구는 상기 제 1 실 내의 오일 레벨의 상승에 수반하는 상기 플로트부의 상승에 의해 상기 접속 바가 제 1 방향으로 회전 운동함으로써 상기 드레인 구멍 폐색 밸브체가 하강하고, 상기 제 1 실 내의 오일 레벨의 하강에 수반하는 상기 플로트부의 하강에 의해 상기 접속 바가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의 제 2 방향으로 회전 운동함으로써 상기 드레인 구멍 폐색 밸브체가 상승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플로트 밸브의 각 구성 요소는 상기 오일팬 세퍼레이터의 상기 저판보다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본 구성에 의하면, 상기 오일팬 커버의 저부가 상방으로 변형되어, 당해 저부와 상기 오일팬 세퍼레이터의 상기 저판의 거리가 변동되어도, 상기 제 1 실 내의 오일 레벨에 따라 상기 플로트 밸브가 확실하게 작동할 수 있다.
또, 본 구성에 의하면 상기 플로트 밸브의 확실한 작동이 확보되면서 상기 오일팬 커버의 저부와, 상기 오일팬 세퍼레이터의 상기 저판 사이의 상기 간극이 가급적 작게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일팬 세퍼레이터의 저판과, 상기 오일 스트레이너의 상기 흡입구의 간격이 당해 흡입구에 의한 상기 오일의 흡입이 양호하게 실시되는 정도로 넓게 설정되면서, 당해 저판 및 당해 흡입구가 가급적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당해 오일팬 내에 있어서의 상기 오일의 저류양이 적게 된 경우에도, 상기 제 1 실 내의 오일 레벨이 상기 오일 스트레이너의 상기 흡입구보다 상방에 유지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상기 피윤활 기구로의 상기 오일의 공급량의 부족의 발생이 가급적 억제될 수 있다. 또, 당해 오일팬 및 당해 제 1 실의 용량을 그렇게 크게 하지 않고, 상기 피윤활 기구에 대한 상기 오일의 공급량이 확보될 수 있다. 따라서, 난기 운전시의 당해 제 1 실 내의 상기 오일의 승온이 보다 조기에 실시되고, 추가로 연비 저감 효과가 얻어진다.
(13) 상기 일방향 밸브는, 상기 플로트 밸브에 있어서의 상기 플로트부의 상한 위치보다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일방향 밸브가 상기 제 1 실의 저부에 상당하는 위치로서, 상기 플로트부의 상기 상한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상기 주유 구멍, 상기 주유 구멍 폐색 밸브체, 또는 상기 돌출부 상판이 상기 상한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오일 교환을 위해서 상기 오일팬 커버의 저부에 장착된 상기 드레인 볼트가 풀림으로써, 당해 드레인 볼트에 의해 막혀 있던 상기 드레인 볼트 구멍이 개방된다. 그러면, 먼저 상기 제 2 실 내의 상기 오일이 외부로 배출되기 시작하고 당해 제 2 실의 오일 레벨이 내려가기 시작한다. 그리고, 당해 제 2 실과 상기 제 1 실 사이에서, 상기 일방향 밸브가 열릴 수 있는 정도의 (근소한) 오일 레벨 차가 발생한다.
이 오일 레벨 차에 기초하여 발생하는 상기 제 1 실과 상기 제 2 실의 차압에 의해, 당해 제 1 실 내에 저류된 상기 오일이, 상기 일방향 밸브를 통하여 상기 제 2 실로 유출되고 당해 제 2 실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하여, 오일 배출의 초기에서 종기에 이를 때까지, 상기 제 1 실 및 상기 제 2 실의 쌍방으로부터 당해 오일팬의 외부로, 상기 오일이 연속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상기 일방향 밸브를 통한 상기 제 2 실에서 상기 제 2 실로의 상기 오일의 유출은, 당해 제 1 실 내의 오일 레벨이 상기 일방향 밸브와 거의 동일한 높이가 되는 시점까지 발생한다. 무엇보다 이 시점에 있어서는, 당해 제 1 실 내의 오일 레벨은 상기 플로트 밸브에 있어서의 상기 플로트부의 상한 위치보다 낮아져 있다. 따라서, 이 시점에 있어서는 상기 드레인 구멍이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당해 드레인 구멍을 통하여 상기 제 1 실의 저부에 잔류하고 있던 상기 오일이 상기 제 2 실의 저부 (상기 간극) 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오일 교환을 위해서 비어 있는 상기 오일팬 내에 신선한 상기 오일이 주입될 때, 우선 비어 있는 상기 제 1 실 내에 당해 오일이 주입된다. 이 때, 상기 플로트 밸브는 하강되어 있고 상기 드레인 구멍은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당해 오일은 상기 드레인 구멍을 통하여 상기 제 2 실 내로 유입된다.
상기 제 2 실 내의 오일 레벨이 상승하여, 상기 오일팬 세퍼레이터의 상기 저판에까지 도달하면 상기 플로트 밸브가 상승하기 시작한다. 무엇보다 상기 플로트부가 상기 상한 위치까지 상승하여 상기 드레인 구멍이 폐색되기 전에 상기 일방향 밸브가 열린다. 이로써, 상기 제 1 실에 일단 주입된 상기 오일이 계속하여 상기 제 2 실에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실로의 상기 오일의 주입이 종료될 때까지 상기 일방향 밸브가 계속 열릴 수 있다. 즉, 오일 주입의 초기에서 종기에 이를 때까지, 상기 제 1 실 및 상기 제 2 실의 쌍방에 신선한 상기 오일이 연속적으로 주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구성에 의하면, 상기 오일의 주입 및 배출시에 상기 일방향 밸브가 비교적 조기에 열려 상기 제 1 실 내의 오일 레벨의 변화와, 상기 제 2 실 내의 오일 레벨의 변화가 거의 항상 연동하여 변화한다. 따라서, 본 구성에 의하면 오일 교환 작업이 보다 신속하게 실시될 수 있다.
또, 본 구성에 의하면, 오일 주입시에 상기 제 1 실의 오일 레벨과, 상기 제 2 실의 오일 레벨이 거의 일치하도록, 상기 제 1 실과 상기 제 2 실의 오일 레벨의 조정이 적절히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오일 주입시에 상기 오일 레벨 게이지에 의해 당해 오일팬 내의 오일량이 적절 또한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또한, 만일 슬러지 등의 퇴적에 의해 상기 플로트 밸브가 열리지 않게 된 경우에도, 상기 제 1 실로부터 가급적으로 다량의 상기 오일이 상기 제 2 실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당해 제 1 실에 잔류한 낡은 상기 오일의 양이 가급적 억제될 수 있다. 또, 상기 오일의 주입시에 상기 드레인 구멍이 열려 있지 않아도 비교적 조기에 상기 제 1 실에서 상기 제 2 실로의 상기 오일의 공급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구성에 의하면 상기 오일을 배출할 때에 상기 제 1 실 내에 저류된 상기 오일이 확실하게 상기 제 2 실로 배출될 수 있다. 또, 상기 제 1 실에 일단 주입된 신선한 상기 오일이 확실하게 상기 제 2 실로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구성에 의하면 오일 교환이 보다 신속하고 또한 확실하게 실시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밸브 기구가 상기 드레인 구멍 폐색 밸브체와, 상기 접속 바와, 상기 지지부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플로트 밸브의 각 구성 요소가 상기 오일팬 세퍼레이터의 상기 저판보다 상방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오일의 배출 및 주입이 확실하게 실시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윤활 장치인 엔진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고 있는 오일팬의 실시형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2 에 나타내고 있는 드레인 구멍의 주변을 확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 는 도 2 에 나타내고 있는 연통 밸브의 주변을 확대한 측단면도로서, 도 4A 는 저온시에 있어서의 폐밸브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4B 는 고온시에 있어서의 개밸브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 는, 도 2 에 나타내고 있는 주유 밸브의 주변을 확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6A, 도 6B, 도 7A, 도 7B, 도 8A, 도 8B, 도 9A 및 도 9B 는 도 2 에 나타내고 있는 오일팬에 있어서의 오일 교환시의 플로트 밸브 및 주유 밸브의 동작 모습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0 은, 도 2 에 나타내고 있는 오일팬의 변형예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1A 는, 도 10 에 나타내고 있는 오일팬에 있어서의 오일 주입시의 동작 모습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1B 는, 이 오일팬에 있어서의 난기 운전시의 동작 모습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2 는 도 5 에 나타내고 있는 주유 밸브의 변형예의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3 은, 도 5 에 나타내고 있는 주유 밸브의 다른 변형예의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4A 는, 도 2 에 나타내고 있는 플로트 밸브의 변형예의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4B 는 동일 측단면도이다.
도 15A 는, 도 2 에 나타내고 있는 플로트 밸브의 다른 변형예의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5B 는 동일 측단면도이다.
도 16A, 도 16B 및 도 16C 는 도 2 에 나타내고 있는 플로트 밸브의 또 다른 변형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7A 및 도 17B 는, 도 2 에 나타내고 있는 플로트 밸브의 또 다른 변형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7A 는 플로트 가이드 부재의 평면도이고, 도 17B 는, 오일팬 세퍼레이터의 드레인 구멍 주변을 확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18A, 도 18B 및 도 18C 는, 도 17 에 나타내고 있는 플로트 밸브의 동작 모습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9A 는, 도 2 에 나타내고 있는 플로트 밸브의 또 다른 변형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9B 는 동일 측면도이다.
도 20 은, 도 2 에 나타내고 있는 오일팬 및 주유 밸브의 다른 변형예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21 은, 도 20 에 나타내고 있는 주유 밸브의 평면도이다.
도 22 는, 도 2 에 나타내고 있는 오일팬의 다른 변형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발명의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 (본원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먼저 출원인이 최선이라고 생각하는 실시형태) 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형태의 엔진의 개략 구성>
도 1 은, 본 발명의 윤활 장치의 일 실시형태인 엔진 (10) 의 개략도이다. 이 엔진 (10) 은, 엔진 블록 (20) 과 오일팬 (30) 과 오일 공급부 (40) 를 구비하고 있다.
피윤활 기구로서의 엔진 블록 (20) 에는, 피스톤 (21), 크랭크 샤프트 (22), 캠 샤프트 (23) 등의 복수의 피윤활 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이 엔진 블록 (20) 의 하단부에는 오일팬 (30) 이 접속되어 있다. 이 오일팬 (30) 은 엔진 블록 (20) 내의 윤활을 위한 오일을 그 내측의 공간 내에서 저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오일팬 (30) 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오일 공급부 (410) 는 오일팬 (30) 내에 저류되어 있는 오일을 엔진 블록 (20) 의 내부의 각부에 공급할 수 있도록 이하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오일 스트레이너 (41) 는, 오일팬 (30) 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오일 스트레이너 (41) 는, 오일팬 (30) 의 내측에 저류된 오일을 흡입하기 위한 오일 흡입구 (41a) 를 구비하고 있다. 또, 이 오일 스트레이너 (41) 는 엔진 블록 (20) 에 형성된 오일 펌프 (42) 와 접속되어 있다.
오일 펌프 (42) 는, 오일팬 (30) 내에 저류된 오일을 엔진 블록 (20) 내의 상기 피윤활 부재를 향하여 송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오일 펌프 (42) 는 주지된 로터리 펌프로 구성되어 있다. 이 오일 펌프 (42) 의 로터 (42a) 는, 크랭크 샤프트 (22) 와 함께 회전하도록, 당해 크랭크 샤프트 (22) 와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오일 스트레이너 (41) 와 오일 펌프 (42) 는 스트레이너 유로 (43) 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이 스트레이너 유로 (43) 는, 금속제 또는 합성 수지제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그 하단이 오일 스트레이너 (41) 에 접속되어 있다. 이 스트레이너 유로 (43) 의 상단은, 엔진 블록 (20) 의 하단부에 형성된 오일 통로인 펌프 입구 통로 (42b) 와 접속되어 있다.
오일 펌프 (42) 의 오일 송출측은, 엔진 블록 (20) 의 외부에 형성된 오일필터 (44) 와 오일 수송로 (45) 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또, 오일필터 (44) 는, 상기 각 피윤활 부재를 향하는 오일 유로로서 형성된 오일 공급로 (46) 와 접속되어 있다.
<실시형태의 오일팬의 구성>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고 있는 오일팬 (30) 의 실시형태인, 오일팬 (130) 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의 오일팬 (130) 은 오일팬 커버 (131) 와, 오일팬 세퍼레이터 (132) 와, 환류 오일 저류 세퍼레이터 (133) 와, 로어 케이스 (134) 와, 플로트 밸브 (135) 와, 연통 밸브 (136) 와 오일 환류 제어 밸브 (137) 와 주유 밸브 (138) 를 구비하고 있다.
<오일팬 커버>
오일팬 커버 (131) 는 오일팬 (130) 의 하부 커버를 구성하는 부재이다. 이 오일팬 커버 (131) 는 강판을 프레스 금형으로 드로잉 가공함으로써, 상방의 실린더 블록 (20a) 을 향하여 개구하도록 배스터브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이 오일팬 커버 (131) 는 상방의 실린더 블록 (20a) 을 향하여 개구하도록 형성된 오일 저류용 오목부 (131a) 의 내측의 공간 내에 오일을 저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오일 저류용 오목부 (131a) 는, 저판 (131a1) 과 측판 (131a2) 으로 구성되어 있다. 저판 (131a1) 과 측판 (131a2) 은 상기 서술한 배스터브 형상을 형성하도록 이음새없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측판 (131a2) 은 저판 (131a1) 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수직 설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오일 저류용 오목부 (131a) 의 상단인, 오일팬 커버 (131) 의 측판 (131a2) 의 상단은, 도면 중 1 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오일 레벨 게이지 (50) 에 있어서의 오일 레벨의 표시「F」에 상당하는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여기에서, 오일 레벨 게이지 (50) 는, 봉형 부재로 이루어져 그 선단부에서, 오일팬 (130) 내 (제 2 실 (30b) 내) 의 오일 레벨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저판 (131a1) 에 있어서의 최저 위치에는 드레인 볼트 구멍 (131c) 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최저 위치」란, 엔진 (10) 을 포함하는 소정의 장치 (예를 들어 자동차 등) 가 수평인 지면에 놓여진 경우의, 연직 방향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 에 있어서의 가장 낮은 위치를 말하는 것으로 한다.
이 드레인 볼트 구멍 (131c) 내연부에는 드레인 볼트 (131d) 가 끼워질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오일팬 커버 (131) 는 오일 저류용 오목부 (131a) 에 저류된 오일이 드레인 볼트 구멍 (131c) 을 향하여 중력의 작용으로 침전없이 원활하게 흐를 수 있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오일팬 커버 (131) 의 측판 (131a2) 의 상단에 있어서의 주연부에는, 플랜지부 (131e) 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플랜지부 (131e) 는, 측판 (131a2) 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수직 설치되어 있다. 이 플랜지부 (131e) 가 후술하는 로어 케이스 (134) 에 볼트 등으로 고정됨으로써, 당해 오일팬 커버 (131) 가 당해 로어 케이스 (134) 를 통하여 실린더 블록 (20a) 의 하단부와 접속되어 있다.
<<오일팬 세퍼레이터>>
오일팬 세퍼레이터 (132) 는, 열전도성이 낮은 합성 수지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이 오일팬 세퍼레이터 (132) 를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나일론,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PAI), 폴리술폰 (PSF), 폴리아릴레이트 (PAR), 폴리페닐렌술파이드 (PPS),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PEEK),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PTFE),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ㆍ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 (PFA) 등의, 내열성이 높은 (내열 온도가 150℃, 바람직하게는 250℃ 를 초과하는) 합성 수지, 또는 이들을 유리 섬유 등에 의해 강화시킨 것이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오일팬 세퍼레이터 (132F) 는, 내열성, 기계적 강도 및 고온 크리프 강도가 높은 유리 섬유 강화된 6 나일론 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오일팬 세퍼레이터 (132) 는, 오일팬 커버 (131) 에 있어서의 오일 저류용 오목부 (131a) 내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당해 오일팬 세퍼레이터 (132) 는 당해 오일 저류용 오목부 (131a) 를 제 1 실 (30a) 과 제 2 실 (30b) 로 분할할 수 있도록 구성 및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 1 실 (30a) 은, 실린더 블록 (20a) 을 향하여 개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제 1 실 (30a) 은 실린더 블록 (20a) 과, 제 1 실 개구부 (30a1) 를 통하여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제 1 실 (30a) 의 저부에는 오일 스트레이너 (41) 의 오일 흡입구 (41a) 가 배치되어 있다.
제 2 실 (30b) 은, 당해 오일팬 세퍼레이터 (132) 를 사이에 두고, 제 1 실 (30a) 과 인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제 2 실 (30b) 은, 제 1 실 (30a) 의 측방 및 하방을 둘러싸듯이 당해 제 1 실 (30a) 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다. 즉, 제 1 실 (30a) 의 하방 및 측방의 공간으로서, 오일팬 커버 (131) 와 오일팬 세퍼레이터 (132) 에 의해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의해 제 2 실 (30b) 이 형성되어 있다.
오일팬 세퍼레이터 (132) 에는, 제 1 실 형성용 오목부 (132a)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 1 실 형성용 오목부 (132a) 의 내측의 공간에 의해, 실린더 블록 (20a) 을 향하여 개구하는 제 1 실 (30a)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 1 실 형성용 오목부 (132a) 는 저판 (132a1) 과 측판 (132a2) 으로 형성되어 있다.
저판 (132a1) 은, 오일팬 커버 (131) 의 저판 (131a1) 사이에 제 2 실 (30b) 을 구성하는 간극이 형성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측판 (132a2) 은, 저판 (132a1) 를 둘러싸듯이 형성되어 있다. 또, 측판 (132a2) 은, 저판 (132a1) 의 단부 (주연부) 로부터 상방으로 수직 설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측판 (132a2) 은 오일팬 커버 (131) 의 측판 (131a2) 사이에 제 2 실 (30b) 을 구성하는 간극이 형성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저판 (132a1) 의 단부와 측판 (132a2) 의 하단부가 접속됨으로써, 저판 (132a1) 및 측판 (132a2) 은 이음새없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측판 (132a2) 의 상단부, 즉 제 1 실 (30a) 의 상단부에는, 제 1 실 개구부 (30a1) 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실 개구부 (30a1) 의 위치는 도면 중 1 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오일 레벨 게이지 (50) 에 있어서의 오일 레벨의 표시「F」에 상당하는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이 제 1 실 개구부 (30a1) 는, 실린더 블록 (20a) 과 제 1 실 (30a) 을 연통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실린더 블록 (20a) 으로부터 중력의 작용에 의해 낙하해 오는 환류 오일이 이 제 1 실 개구부 (30a1) 를 통과하여 제 1 실 (30a) 내에 이를 수 있도록 당해 제 1 실 개구부 (30a1) 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실 형성용 오목부 (132a) 에 있어서의, 도시하지 않은 파워 트레인 기구와 근접하는 측 (도면 중 우측) 의 저부에는, 측방을 향하여 돌출하듯이, 돌출부 (132b)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 (132b) 는 제 1 실 (30a) 의 저부가 제 2 실 (30b) 측 (외측) 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 (132b) 의 상단부에는 평판상의 돌출부 상판 (132b1) 이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 상판 (132b1) 은 수평면과 거의 평행한 평탄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돌출부 (132b) 는, 오일팬 (130) 의 저부에 형성되어 있다. 즉, 돌출부 상판 (132b1) 은, 오일 레벨 게이지 (50) 에 있어서의 오일 레벨의 표시「L」에 상당하는 높이보다 하방에 형성되어 있다. 또, 돌출부 상판 (132b1) 은 오일팬 (130) 의 최저부인 오일팬 커버 (131) 의 저판 (131a1) 과, 상기 서술한 오일 레벨「L」의 중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돌출부 상판 (132b1) 은, 오일 스트레이너 (41) 의 상단부와 거의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오일 레벨 게이지 (50) 에 있어서의 오일 레벨「L」은, 예를 들어, 가혹한 운전 조건하에서도 오일 스트레이너 (41) 의 오일 흡입구 (41a) 로부터 오일이 양호하게 흡입되는 최저한의 오일 레벨에 상당하는 높이로 설정될 수 있다.
구체예로서는, 오일 레벨「L」은, 극저온 환경하 (예를 들어 -30℃ 정도) 에 있어서의 냉간 시동시에서, 오일 스트레이너 (41) 의 오일 흡입구 (41a) 로부터 공기가 흡입되지 않는, 시동전의 최저한의 오일 레벨로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오일 레벨「L」의 높이는 실험 등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또, 오일 레벨「F」는 상기 서술한 오일 레벨「L」에 있어서의 오일 저류량에 대해 적당한 양의 오일을 첨가한 경우의 오일 레벨로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오일팬 (130) 에 있어서는, 제 1 실 (30a) 내의 오일 레벨이「F」의 경우인 당해 제 1 실 (30a) 내의 오일의 저류량은 대략 2.8리터로 설정되어 있다. 또, 제 1 실 (30a) 내의 오일 레벨이「L」의 경우인 당해 제 1 실 (30a) 내의 오일의 저류량은 대략 1.6리터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오일 레벨「F」와 오일 레벨「L」의 높이의 차는 대략 10 ∼ 50㎜ 로 설정되어 있다.
오일팬 세퍼레이터 (132) 의 측판 (132a2) 의 상단에 있어서의 주연부에는 플랜지부 (132c) 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플랜지부 (132c) 는, 측판 (132a2) 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수직 설치되어 있다. 이 플랜지부 (132c) 가 후술하는 로어 케이스 (134) 에 볼트 등으로 고정됨으로써, 당해 오일팬 세퍼레이터 (132) 가, 당해 로어 케이스 (134) 를 통하여 실린더 블록 (20a) 의 하단부와 접속되어 있다.
오일팬 세퍼레이터 (132) 의 저판 (132a1) 의 최저 위치에는, 관통 구멍으로서의 드레인 구멍 (132d) 이 형성되어 있다. 이 드레인 구멍 (132d) 은, 오일팬 커버 (131) 의 저판 (131a1) 과 오일팬 세퍼레이터 (132) 의 저판 (132a1) 사이의, 제 2 실 (30b) 을 형성하는 간극과, 그 상방에 위치하는 제 1 실 (30a) 의 저부를 연통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이 드레인 구멍 (132d) 은 오일 스트레이너 (41) 의 오일 흡입구 (41a) 의 근방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 드레인 구멍 (132d) 은, 저온 (예를 들어 0℃ 정도) 의 고점도 오일이어도 제 1 실 (30a) 의 외부 (제 2 실 (30b) 측) 로 유출시킬 수 있는 정도의 충분한 크기 (예를 들어 직경 20㎜ 정도) 로 형성되어 있다.
<<환류 오일 저류 세퍼레이터>>
환류 오일 저류 세퍼레이터 (133) 는, 오일팬 세퍼레이터 (132) 에 있어서의 상기 서술한 돌출부 상판 (132b1) 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 환류 오일 저류 세퍼레이터 (133) 는, 상기 서술한 도시하지 않은 파워 트레인 기구와 근접하는 부분 (도면 중 우측의 부분) 에 있어서의 제 2 실 (30b) 의 상방에 환류 오일 저류실 (30c) 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환류 오일 저류실 (30c) 은, 실린더 블록 (20a) 으로부터 오일팬 (130) 을 향하여 환류되어 오는 상기 환류 오일 중, 제 1 실 (30a) 에 직접 유입되는 부분 이외의 잔부를 난기 운전 중에 소정량 저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환류 오일 저류실 (30c) 은 실린더 블록 (20a) 에 있어서의 상기 서술한 도시되지 않은 파워 트레인 기구와 근접하는 측에서 중력의 작용으로 환류되어 온 상기 환류 오일을 수용하여 일단 저류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환류 오일 저류 세퍼레이터 (133) 는 오일팬 세퍼레이터 (132) 와 동일 재질의 합성 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당해 오일팬 세퍼레이터 (132) 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환류 오일 저류 세퍼레이터 (133) 는 수평 칸막이판 (133a) 과 수직 칸막이판 (133b) 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평 칸막이판 (133a) 은 평판상의 부재로서, 오일팬 세퍼레이터 (132) 의 돌출부 상판 (132b1) 과 거의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수평 칸막이판 (133a) 은 제 2 실 (30b) 의 상부와 환류 오일 저류실 (30c) 을 나누듯이 배치되어 있다.
수평 칸막이판 (133a) 의 상기 서술한 도시되지 않은 파워 트레인 기구로부터 이간하는 측 (도면 중 좌측) 의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수직 칸막이판 (133b) 이 수직 설치되어 있다. 이 수직 칸막이판 (133b) 은, 엔진 길이 방향 (기통 배열 방향, 즉 크랭크 샤프트 (22) 의 길이 방향 ; 도면 중 좌우 방향) 에 있어서의 환류 오일 저류실 (30c) 의 일단부를 규정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수평 칸막이판 (133a) 에는, 오일 환류 관통 구멍 (133c) 및 오일 레벨 게이지 지지 관통 구멍 (133d) 이 형성되어 있다.
오일 환류 관통 구멍 (133c) 은 환류 오일 저류실 (30c) 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다. 즉, 이 오일 환류 관통 구멍 (133c) 은 수직 칸막이판 (133b) 보다, 상기 서술한 도시되지 않은 파워 트레인 기구로부터 이간하는 측 (도면 중 좌측) 에 배치 형성되어 있다. 이 오일 환류 관통 구멍 (133c) 은, 수직 칸막이판 (133b) 을 넘어 환류 오일 저류실 (30c) 로부터 넘쳐 나온 상기 환류 오일의 적어도 일부가 통과하여 제 2 실 (30b) 로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오일 레벨 게이지 지지 관통 구멍 (133d) 은, 수평 칸막이판 (133a) 에 형성된 관통 구멍으로서 봉형의 오일 레벨 게이지 (50) 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오일 레벨 게이지 지지 관통 구멍 (133d) 은, 제 2 실 (30b) 에 있어서의 최고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 오일 레벨 게이지 지지 관통 구멍 (133d) 은 환류 오일 저류실 (30c) 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즉, 이 오일 레벨 게이지 지지 관통 구멍 (133d) 은, 상기 서술한 도시되지 않은 파워 트레인 기구와 근접하는 측 (도면 중 우측) 의 수평 칸막이판 (133a) 의 단부에 배치 형성되어 있다.
이 오일 레벨 게이지 지지 관통 구멍 (133d) 은 오일 레벨 게이지 (50) 가 삽입된 상태에서, 당해 오일 레벨 게이지 (50) 사이에 소정폭의 좁은 간극이 형성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당해「소정폭의 좁은 간극」이란 난기 운전 중의 저온에서 고점도의 오일의 통과가 곤란해지는 협소함인 반면, 난기 운전 종료 후의 비교적 고온 (예를 들어 60℃ 이상) 에서 저점도의 오일의 통과가 용이해지는 정도의 클리어런스를 갖는 폭 (예를 들어 수 ㎜ 정도) 을 말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오일팬 세퍼레이터 (132) 및 환류 오일 저류 세퍼레이터 (133) 는 엔진 (10) 의 모든 운전 상태에 있어서 오일이 항상 양호하게 순환할 수 있는 적절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난기 운전 중에서, 적절한 양의 상기 환류 오일이 제 1 실 개구부 (30a1) 를 통하여 직접적으로 제 1 실 (30a) 내로 환류됨으로써, 극저온 시동시의 제 1 실 (30a) 내의 오일 부족이 방지되면서, 당해 제 1 실 (30a) 내의 오일의 승온에 의한 난기 운전이 충분히 촉진되도록 수평 칸막이판 (133a) 및 수직 칸막이판 (133b) 의 형상이 적절히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의 오일팬 (130) 은 실린더 블록 (20a) 의 하단의 개구부 중 대략 30 ∼ 60% 가 제 1 실 (30a) 에 직접 대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본 실시형태의 오일팬 (130) 은 실린더 블록 (20a) 의 하단의 개구부 중 대략 40 ∼ 70% 가, 환류 오일 저류실 (30c) 과 대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환류 오일 중 대략 30 ∼ 60% 가 제 1 실 (30a) 로 직접 환류되고, 상기 환류 오일 중 대략 40 ∼ 70% 가 환류 오일 저류실 (30c) 에 일단 수용되도록 (이 중의 일부는, 수직 칸막이판 (133b) 을 넘어 제 1 실 (30a) 내로 유입되는 경 우가 있을 수 있다), 오일팬 세퍼레이터 (132) 및 환류 오일 저류 세퍼레이터 (133) 의 형상이 적절히 설정되어 있다.
<<로어 케이스>>
로어 케이스 (134) 는 실린더 블록 (20a) 의 하단부에 배치된 크랭크 샤프트 (22) 의 하방을 덮듯이 배치되어 있다. 이 로어 케이스 (134) 는 측벽부 (134a) 와, 슬로프부 (134b) 와, 상측 플랜지부 (134c) 와, 하측 플랜지부 (134d) 와, 내측 플랜지부 (134e) 로 구성되어 있다.
측벽부 (134a) 는 크랭크 샤프트 (22) 의 하방을 측방으로부터 덮듯이, 통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슬로프부 (134b) 는 측벽부 (134a) 의 하단의 개구에 있어서의 상기 서술한 도시되지 않은 파워 트레인 기구와 근접하는 측 (도면 중 우측) 의 부분을 하측으로부터 막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슬로프부 (134b) 의 상면은, 받아들여진 상기 환류 오일이 상기 서술한 오일팬 커버 (131) 의 내측의 공간을 향하여 완만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로어 케이스 (134) 에 있어서의 측벽부 (134a) 및 슬로프부 (134b) 와, 상기 서술한 환류 오일 저류 세퍼레이터 (133) 에 있어서의 수평 칸막이판 (133a) 및 수직 칸막이판 (133b) 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 의해 상기 서술한 환류 오일 저류실 (30c) 이 형성되어 있다.
측벽부 (134a) 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도록 상측 플랜지부 (134c)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상측 플랜지부 (134c) 가 볼트 등에 의해 실린더 블록 (20a) 의 하단면에 접합ㆍ고정됨으로써 당해 로어 케이스 (134) 가 실린 더 블록 (20a) 과 접속되고 있다.
측벽부 (134a) 및 슬로프부 (134b) 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도록 하측 플랜지부 (134d) 가 형성되어 있다. 이 하측 플랜지부 (134d) 에 상기 서술한 오일팬 커버 (131) 에 있어서의 플랜지부 (131e) 가 접합ㆍ고정됨으로써 당해 오일팬 커버 (131) 가 로어 케이스 (134) 의 하단의 개구를 막도록 당해 로어 케이스 (134) 와 접속되어 있다.
측벽부 (134a) 및 슬로프부 (134b) 의 하단에서 내측에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도록 내측 플랜지부 (134e)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내측 플랜지부 (134e) 에 상기 서술한 오일팬 세퍼레이터 (132) 에 있어서의 플랜지부 (132c) 및 환류 오일 저류 세퍼레이터 (133) 의 단부가 접합ㆍ고정됨으로써 당해 오일팬 세퍼레이터 (132) 및 환류 오일 저류 세퍼레이터 (133) 가 오일팬 커버 (131) 의 내측의 공간 내에서 지지되고 있다.
<<플로트 밸브>>
오일팬 세퍼레이터 (132) 의 저부에 형성된 상기 서술한 드레인 구멍 (132d) 에는 플로트 밸브 (135) 가 장착되어 있다. 플로트 밸브 (135) 는 제 1 실 (30a) 내의 오일 레벨에 따라 작동함으로써, 드레인 구멍 (132d) 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플로트 밸브 (135) 는 플로트부 (135a) 와, 접속 바 (135b) 와, 구멍 폐색 밸브체 (135c) 를 구비하고 있다.
플로트부 (135a) 는, 제 1 실 (30a)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 플로트부 (135a) 는, 제 1 실 (30a) 내에 저류된 오일 중에서 부력에 의해 부상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플로트부 (135a) 는 오일의 비중 (0.85 ∼ 0.98) 보다 낮은 비중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어 있다. 이 플로트부 (135a) 는 예를 들어, 내열성을 갖는 발포성 수지 (페놀 수지,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등의 발포체) 나 내열성을 갖는 합성 수지의 중공 성형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플로트부 (135a) 는, 접속 바 (135b) 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접속 바 (135b) 의 타단부에는, 드레인 구멍 폐색 밸브체 (135c) 가 접속되어 있다. 이 드레인 구멍 폐색 밸브체 (135c) 는 제 2 실 (30b) 측에 배치되어 있고, 당해 드레인 구멍 폐색 밸브체 (135c) 가 오일팬 세퍼레이터 (132) 의 저판 (132a1) 에 맞닿음으로써, 드레인 구멍 (132d) 을 하방으로부터 막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 은, 도 2 에 나타내고 있는 드레인 구멍 (132d) 의 주변을 확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3 을 참조하면, 드레인 구멍 폐색 밸브체 (135c) 의 상면으로서, 드레인 구멍 (132d) (저판 (132a1)) 과 대향하는 면인 밸브 표면 (135c1) 은, 볼록 형상의 구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드레인 구멍 (132d) 의 하측의 개구단으로서, 밸브 표면 (135c1) 과 대향하는 부분에는 밸브체 접촉면 (132d1) 이 형성되어 있다. 이 밸브체 접촉면 (132d1) 은 오목 형상의 구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밸브 표면 (135c1) 에 있어서의 곡률 반경 (Rv) 과, 밸브체 접촉면 (132d1) 의 곡률 반경 (RH) 의 관계가 Rv≤RH 가 되도록 밸브 표면 (135c1) 및 밸브체 접촉면 (132d1) 이 형성되어 있다.
다시 도 2 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의 플로트 밸브 (135) 는 제 1 실 (30a) 내의 오일 레벨이 소정의 플로트 하강 개시 레벨 이상이 된 경우에, 플로트부 (135a) 의 부력에 의해 도 2 에 나타내고 있는 상한 위치까지 상승함으로써, 드레인 구멍 폐색 밸브체 (135c) 에 의해 드레인 구멍 (132d) 을 하방으로부터 막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이 플로트 밸브 (135) 는 제 1 실 (30a) 내의 오일 레벨이 상기 플로트 하강 개시 레벨보다 아래가 되어, 제 1 실 (30a) 내의 오일량의 부족이 발생한 경우에, 하강함으로써 드레인 구멍 (132d) 을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플로트 밸브 (135) 는, 상한 위치까지 상승했을 경우의 플로트부 (135a) 의 높이 (이하, 단순히「플로트부 (135a) 의 상한 위치」라고 칭한다) 가 오일팬 세퍼레이터 (132) 의 돌출부 (132b) 에 있어서의 상단부를 구성하는 돌출부 상판 (132b1) 보다 높아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플로트부 (135a) 의 높이」는, 플로트부 (135a) 에 있어서의 중심 위치를 말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플로트 밸브 (135) 에 있어서는,「플로트부 (135a) 의 상한 위치」와, 상기 플로트 하강 개시 레벨이 거의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1 실과 제 2 실 사이의 오일 연통로의 구성>>
오일팬 세퍼레이터 (132) 의 측판 (132a2) 의 저부에는, 연통 밸브 (136)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연통 밸브 (136) 는, 측판 (132a2) 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연통 밸브 (136) 는, 엔진 (10) 의 운전 상태에 따라 변화하는 제 1 실 (30a) 내의 오일의 온도에 따라 제 1 실 (30a) 과 제 2 실 (30b) 을 연통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이 연통 밸브 (136) 에 의해, 제 1 실 (30a) 과 제 2 실 (30b) 사이에서의 오일의 유통이 제 1 실 (30a) 내의 오일의 온도에 따라 가능해지는 오일 연통로가 구성되어 있다.
연통 밸브 (136) 는 오일 레벨 게이지 (50) 에 있어서의 오일 레벨 표시「L」보다 낮고, 또한 오일 스트레이너 (41) 의 오일 흡입구 (41a)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 이 연통 밸브 (136) 의 중앙부가 플로트부 (135a) 의 상기 상한 위치와 거의 동일해지도록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한 위치보다 약간 (수 ㎜ 내지 수 ㎝ 정도) 높아진다) 당해 연통 밸브 (136) 가 배치되어 있다. 또, 연통 밸브 (136) 는 환류 오일 저류실 (30c) 로부터 가장 먼 측의 측판 (132a2) 에 형성되어 있다.
도 4A 및 도 4B 는, 도 2 에 나타내고 있는 연통 밸브 (136) 의 주변을 확대한 측단면도이다. 여기에서, 도 4A 는 저온시에 있어서의 폐밸브 상태를 나타내고, 도 4B 는 고온시에 있어서의 개밸브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연통 밸브 (136) 는, 제 1 실 (30a) 내의 오일의 온도에 감응하는 감온부인 왁스 (136a) 를 구비하고 있다. 이 연통 밸브 (136) 는, 왁스 (136a) 가 제 1 실 (30a) 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왁스 (136a) 는, 금속제의 서모스탯 밸브체 (136b) 의 내부에 봉입되어 있다. 이 서모스탯 밸브체 (136b) 는, 중심에 관통 구멍을 갖는 대략 원판상의 연통로 개폐 밸브 (136b1) 와, 내부에 왁스 (136a) 가 봉입된 공동부를 갖는 대략 원주 형상의 본체부 (136b2) 와, 연통로 개폐 밸브 (136b1) 및 본체부 (136b2) 를 접속하는 대략 원통 형상의 접속부 (136b3) 로 구성되어 있다.
연통로 개폐 밸브 (136b1) 에 형성된 상기 서술한 관통 구멍은, 접속부 (136b3) 의 내측의 공간과 접속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들 관통 구멍 및 공간의 내측에는 로드 (136c) 가 배치되어 있다. 이 로드 (136c) 는 왁스 (136a) 가 봉입된 상기 공동부 내에 그 일단이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이 로드 (136c) 는 상기 일단과 반대측의 타단이 연통로 개폐 밸브 (136b1) 로부터 서모스탯 밸브체 (136b) 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연통로 개폐 밸브 (136b1) 의 상기 관통 구멍에는, 시일 부재 (136e) 가 삽입되어 있다. 이 시일 부재 (136e) 에 의해, 서모스탯 밸브체 (136b) 내에 봉입되어 있는 왁스 (136a) 가 당해 서모스탯 밸브체 (136b) 의 외부에 누출되지 않도록 시일되어 있다.
서모스탯 밸브체 (136b) 에 있어서의 본체부 (136b2) 의 주위는, 금속제의 대략 원통형의 부재인 케이싱 (136d) 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이 케이싱 (136d) 에는, 관통 구멍으로서의 제 1 실측 개구부 (136d1)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 1 실측 개구부 (136d1) 는, 당해 케이싱 (136d) 의 내측의 공간과 외측의 공간 (제 1 실 (30a)) 을 연통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케이싱 (136d) 의, 제 1 실 (30a) 측의 단부에는, 관통 구멍 (136d2) 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 구멍 (136d2) 은 그 내측을 서모스탯 밸브체 (136b) 의 본체부 (136b2) 가 이동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케이싱 (136d) 의 제 2 실 (30b) 측의 단부에는 원판상의 플랜지부 (136f) 가 외측 (도면 중 상하 방향) 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플랜지부 (136f) 가 오일팬 세퍼레이터 (132) 의 측판 (132a2) 에 대해 볼트 (B) 및 너트 (N) 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연통 밸브 (136) 가 당해 측판 (132a2) 에 장착되어 있다.
플랜지부 (136f) 보다 제 2 실 (30b) 측에는 당해 제 2 실 (30b) 측에 노출된 판상 부재로 이루어지는 제 2 실측 커버 (136g)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 2 실측 커버 (136g) 에는 관통 구멍인 제 2 실측 개구부 (136g1)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제 2 실측 커버 (136g) 에는 상기 서술한 로드 (136c) 에 있어서의 상기 타단이 고착되어 있다. 그리고, 당해 제 2 실 측 커버 (136g) 와, 연통로 개폐 밸브 (136b1) 가 맞닿은 경우에, 케이싱 (136d) 의 내측의 공간과 제 2 실측 커버 (136g) 의 내측의 공간의 연통이 당해 연통로 개폐 밸브 (136b1) 에 의해 차단될 수 있도록, 당해 제 2 실측 커버 (136g) (및 연통로 개폐 밸브 (136b1)) 의 형상이 설정되어 있다.
케이싱 (136d) 의 내측의 공간에는, 서모스탯 밸브체 (136b) 의 주위를 둘러싸듯이 배치된 코일 스프링 (136h) 이 배치되어 있다. 이 코일 스프링 (136h) 은 그 일단측이 연통로 개폐 밸브 (136b1) 에 맞닿고, 타단측이 케이싱 (136d) 에서의 상기 일단측에 맞닿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연통 밸브 (136) 는 왁스 (136a) 가 봉입되어 있는 서모 스탯 밸브체 (136b) 의 주위의 온도가 소정의 개밸브 온도보다 저온인 경우, 왁스 (136a) 가 수축됨으로써, 도 4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실 (30a) 과 제 2 실 (30b) 의 연통을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폐밸브 상태).
즉,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왁스 (136a) 의 수축에 의해, 코일 스프링 (136h) 의 탄성력에 의해 왁스 (136a) 가 봉입되어 있는 공동부 내에 로드 (136c) 가 밀어넣어짐으로써, 제 2 실측 커버 (136g) 와 연통로 개폐 밸브 (136b1) 가 맞닿아, 제 1 실 (30a) 과 제 2 실 (30b) 의 연통이 차단되게 되어 있다.
또, 이 연통 밸브 (136) 는 왁스 (136a) 가 봉입되어 있는 서모스탯 밸브체 (136b) 의 주위의 온도가 고온인 경우, 왁스 (136a) 가 용융되어 당해 왁스 (136a) 의 체적이 팽창됨으로써 도 4B 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제 1 실측 개구부 (136d1) 와, 제 2 실측 개구부 (136g1) 사이에 케이싱 (136d) 의 내부를 통한 오일 연통로 (이하, 간단히「오일 연통로」라고 칭한다) 가 개통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개밸브 상태).
즉,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왁스 (136a) 의 팽창에 의해, 왁스 (136a) 가 봉입되어 있는 공동부 내로부터 로드 (136c) 의 상기 일단이 밀려 나옴으로써, 서모스탯 밸브체 (136b) 가 코일 스프링 (136h) 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제 1 실 (30a) 측으로 밀려 나와 제 2 실측 커버 (136g) 와 연통로 개폐 밸브 (136b1)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당해 연통 밸브 (136) 는, 온도 상승에 따라 개밸브율 (상기 오일 연통로에서의 최대 유로 단면적에 대한 현재의 유로 단면적의 비율) 이 높아지도록 되어 있다.
즉, 당해 연통 밸브 (136) 의 근방에 있어서의 제 1 실 (30a) 내의 오일 온도에 따라, 왁스 (136a) 의 팽창에 의해 서모스탯 밸브체 (136b) 가 제 1 실 (30a) 측으로 밀려 나오는 힘과, 상기 코일 스프링 (136h) 에 의한 가압력이 균형잡힌 소정의 위치에, 당해 서모스탯 밸브체 (136b) 가 위치함으로써 상기 오일 연통로에 있어서의 오일의 교류 상태가 상기 오일 온도에 따라 변화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왁스 (136a), 서모스탯 밸브체 (136b) 및 로드 (136c) 에 의해, 제 1 실 (30a) 내의 오일의 온도에 따라 변형할 수 있는 감온 변형부가 구성되어 있다.
<<제 2 실과 환류 오일 저류실 사이의 오일 환류로의 구성>>
다시 도 2 를 참조하면, 수평 칸막이판 (133a) 과, 수직 칸막이판 (133b) 과, 로어 케이스 (134) 에 의해 상기 서술한 환류 오일 저류실 (30c) 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오일 환류 관통 구멍 (133c) 은 환류 오일 저류실 (30c) 에 의해 일단 받아들여진 후에 수직 칸막이판 (133b) 을 넘어 당해 원배 오일 저류실 (30c) 로부터 넘쳐 나온 상기 환류 오일을, 제 2 실 (30b) 로 환류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오일 레벨 게이지 지지 관통 구멍 (133d) 은, 오일 레벨 게이지 (50) 가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당해 오일 레벨 게이지 (50) 와의 사이에 소정폭의 좁은 간극이 형성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이 오일 레벨 게이지 지지 관통 구멍 (133d) 은, 난기 운전 종료 후에 상당하는 고온의 상기 환류 오일을 환류 오일 저류실 (30c) 로부터 제 2 실 (30b) 의 상부로 환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환류 오일 저류실 (30c) 의 저판을 구성하는 수평 칸막이판 (133a) 에는 오일 환류 오목부 (133a1)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일 환류 오목부 (133a1) 에는 오일 환류 제어 밸브 (137) 가 형성되어 있다.
오일 환류 제어 밸브 (137) 는 상기 서술한 연통 밸브 (136) 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즉, 오일 환류 제어 밸브 (137) 는 환류 오일 저류실 (30c) 에 저류된 오일의 온도에 따라 개폐함으로써, 환류 오일 저류실 (30c) 과 그 하방의 제 2 실 (30b) 의 연통 상태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오일 환류 제어 밸브 (137) 는, 환류 오일 저류실 (30c) 에 일시적으로 저류되어 있는 상기 환류 오일의 온도가 소정의 고온 (예를 들어 60℃) 에 도달한 경우에 개밸브함으로써, 당해 환류 오일을 환류 오일 저류실 (30c) 로부터 단번에 제 2 실 (30b) 내에 유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환류 오일 저류실 (30c) 과 제 2 실 (30b) 의 연통부를 구성하는 오일 환류 제어 밸브 (137) 와, 제 1 실 (30a) 과 제 2 실 (30b) 의 연통부 (상기 오일 연통로) 를 구성하는 연통 밸브 (136) 는, 대각 위치 (가장 떨어진 위치) 에 배치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오일 환류 제어 밸브 (137) 는 연통 밸브 (136) 보다 뒤에 개밸브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환류 오일 저류실 (30c) 과, 제 2 실 (30b) 의 상부는 연통 밸 브 (136) 가 환류 오일 저류실 (30c) 과 제 2 실 (30b) 의 연통부인 오일 환류 제어 밸브 (137) 와 대각 위치 (가장 떨어진 위치) 에 배치되어 있다. 오일 환류 관통 구멍 (133c), 오일 레벨 게이지 지지 관통 구멍 (133d) 및 오일 환류 제어 밸브 (137) 를 통하여 연통하도록 되어 있다.
즉, 당해 제 1 실 개구부 (30a1) 에 의해, 상기 환류 오일이 제 1 실 (30a) 에 직접적으로 환류하는 제 1 오일 환류로가 구성되어 있다. 또, 오일 환류 관통 구멍 (133c), 오일 레벨 게이지 지지 관통 구멍 (133d) 및 오일 환류 제어 밸브 (137) 에 의해, 상기 환류 오일이 (일단 환류 오일 저류실 (30c) 에 수용된 후에) 제 2 실 (30b) 로 환류되는 제 2 오일 환류로가 구성되어 있다.
<<주유 밸브>>
오일팬 세퍼레이터 (132) 의 돌출부 (132b) 에 있어서의 상단부를 구성하는 돌출부 상판 (132b1) 에는 주유 밸브 (138) 가 형성되어 있다. 즉, 주유 밸브 (138) 는, 플로트 밸브 (135) 에 있어서의 플로트부 (135a) 의 상기 상한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주유 밸브 (138) 는, 제 1 실 (30a) 내의 오일 레벨과 제 2 실 (30b) 내의 오일 레벨 차에 의해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주유 밸브 (138) 는 실질적으로 제 1 실 (30a) 에서 제 2 실 (30b) 로의 오일의 유출만을 허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주유 밸브 (138) 의 구체적 구성은 이하와 같다.
돌출부 상판 (132b1) 에는 관통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주유 구멍 (132b2) 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주유 밸브 (138) 는 제 1 실 (30a) 내의 오일 레벨과 제 2 실 (30b) 내의 오일 레벨 차 상태에 따라, 주유 구멍 (132b2) 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 및 배치된 주유 구멍 폐색 밸브체 (138a) 를 구비하고 있다.
이 주유 구멍 폐색 밸브체 (138a) 는 자중에 의해 하강함으로써, 주유 구멍 (132b2) 을 돌출부 상판 (132b1) 의 상방으로부터 폐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주유 구멍 폐색 밸브체 (138a) 는 오일의 비중 (0.85 ∼ 0.98) 보다 약간 높은 비중 (바람직하게는 대략 1.2 배 내지 대략 2 배 정도) 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주유 구멍 폐색 밸브체 (138a) 는, 오일팬 세퍼레이터 (132) 와 동일한 재질인, 유리 섬유를 중량% 로 30% 함유함으로써 강화된 6 나일론 수지 (비중 1.37 정도) 로 구성되어 있다.
도 5 는, 도 2 에 나타내고 있는 주유 밸브 (138) 의 주변을 확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5 를 참조하면 주유 구멍 폐색 밸브체 (138a) 의 외연부의 하면으로서, 주유 구멍 (132b2) 과 대향하는 면인 주유 밸브 표면 (138a1) 은 원추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주유 구멍 (132b2) 의 내연이 주유 밸브 표면 (138a1) 과 선 접촉하도록, 당해 주유 구멍 (132b2) 의 내연 형상이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5 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주유 구멍 (132b2) 의 내연 형상은 측단면시에서 예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주유 구멍 (132b2) 의 내연부의 상면으로서, 주유 구멍 폐색 밸브체 (138a) 와 대향하는 면인 주유 구멍 상면 (132b3) 은, 주유 밸브 표면 (138a1) 의 경사보다 완 만한 경사를 갖는 원추 오목부 (conical depression)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주유 구멍 폐색 밸브체 (138a) 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가이드 핀 (138b) 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 핀 (138b) 은, 돌출부 상판 (132b1) 에 형성된 주유 밸브 가이드 (132b4) 에 형성된 관통 구멍인 가이드 구멍 (132b5) 에 삽입 통과되고 있다.
가이드 핀 (138b) 의 하단에는 가이드 구멍 (132b5) 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스토퍼 (138c)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스토퍼 (138c) 는 주유 구멍 폐색 밸브체 (138a) 의 상승 위치를 규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시형태의 장치 구성의 동작 설명>
이하, 본 실시형태의 오일팬 (130) 을 구비한 엔진 (10) 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엔진 (10) 의 시동전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제 1 실 (30a) 과 제 2 실 (30b) 에서 오일 레벨이 거의 동등해져 있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엔진 (10) 이 시동되면, 크랭크 샤프트 (22) 가 회전된다. 이 크랭크 샤프트 (22) 의 회전에 의해, 오일 펌프 (42) 의 로터 (42a) 가 회전함으로써 당해 오일 펌프 (42) 가 작동된다. 이 오일 펌프 (42) 의 작동에 의해, 제 1 실 (30a) 에 있어서의 저부에 배치된 오일 스트레이너 (41) 의 오일 흡입구 (41a) 를 통하여 당해 제 1 실 (30a) 내의 오일이 흡출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 1 실 (30a) 로부터 흡출된 오일은, 스트레이너 유로 (43) 및 펌프 입구 통로 (42b) 를 통과하여 오일 펌프 (42) 에 도달한다. 오일 펌프 (42) 에 이른 오일은 당해 오일 펌프 (42) 에 의해, 오일 수송로 (45) 를 향하여 송출되고, 오일 필터 (44) 및 오일 공급로 (46) 를 통하여 피스톤 (21) 이나 크랭크 샤프트 (22) 등의 피윤활 부재에 공급된다.
피스톤 (21) 이나 크랭크 샤프트 (22) 등의 피윤활 부재에 공급된 오일은, 당해 피윤활 부재에서 윤활 작용을 나타냄과 함께, 당해 피윤활 부재로부터 마찰열 등의 열을 흡수한다. 그 후, 당해 오일은, 중력의 작용으로 상기 피윤활 기구로서의 엔진 블록 (20) 으로부터 오일팬 (30) 을 향하여 환류된다.
도 2 를 참조하면, 이 환류 오일은 그 일부가 제 1 실 개구부 (30a1) 를 통하여 직접적으로 제 1 실 (30a) 로 환류되고, 잔부가 로어 케이스 (134) (슬로프부 (134b)) 나 환류 오일 저류 세퍼레이터 (133) (수평 칸막이판 (133a)) 에 의해 받아들여진다.
<<난기 운전 중>>
여기에서, 냉간 시동시에 있어서의 시동 직후 (난기 운전 중) 에 있어서는, 제 1 실 (30a) 내의 오일의 온도가 저온이다. 또, 환류 오일 저류실 (30c) 내에는, 상기 환류 오일이 소량 밖에 저류되지 않고, 그 온도도 비교적 저온이다. 이 경우, 도 4A 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연통 밸브 (136) 및 오일 환류 제어 밸브 (137) 는 폐밸브 상태가 된다.
다시 도 2 를 참조하면, 연통 밸브 (136) 의 폐밸브에 의해, 제 1 실 (30a) 의 저부와 제 2 실 (30b) 사이의 상기 오일 연통로가 차단된다. 또, 제 1 실 (30a) 내의 오일 레벨이 극단적으로 내려가지 않은 경우, 플로트 밸브 (135) 는 제 1 실 (30a) 내의 오일 중에서 부력에 의해 상승하고 있다. 따라서, 당해 플로트 밸브 (135) 의 드레인 구멍 폐색 밸브체 (135c) (밸브 표면 (135c1)) 에 의해 드레인 구멍 (132d) 이 폐색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실 (30b) 내 (의 저부) 의 저온 오일의 제 1 실 (30a) 의 저부로의 유입이 억제된다. 즉, 엔진 블록 (20) 에 공급될 수 있는 오일의 양이 제 1 실 (30a) 내에 저류되어 있는 양으로 제한된다.
냉간 시동 후의 난기 운전 중에 있어서, 오일 펌프 (42) 에 의해 제 1 실 (30a) 내의 오일이 흡출되면, 제 1 실 (30a) 내의 오일 레벨이 시동 전보다도 내려 간다. 한편, 제 1 실 (30a) 과 제 2 실 (30b) 사이에서의 오일의 유통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제 2 실 (30b) 내의 오일 레벨은 시동전과 거의 동일하다. 따라서, 냉간 시동 후의 난기 운전 중에 있어서는, 제 1 실 (30a) 이 제 2 실 (30b) 보다 오일 레벨이 낮아진다.
이와 같은 오일 레벨 차가 발생하여도 주유 밸브 (138) 는 열리지 않는다. 즉, 이 주유 밸브 (138) 의 상방의 제 2 실 (30b) 내의 오일에 의한 압력에 의한 주유 밸브 (138) 에 있어서의 주유 구멍 폐색 밸브체 (138a) 가 하방으로 탄성 지지되어 주유 구멍 (132b2) 이 주유 구멍 폐색 밸브체 (138a) 에 의해 폐색된다.
또, 제 1 실 (30a) 내에 상기 환류 오일의 일부가 환류됨으로써, 당해 제 1 실 (30a) 내의 오일이 승온된다. 이와 같이, 상기 환류 오일의 환류에 의해 제 1 실 (30a) 내의 오일이 승온되면서, 엔진 블록 (20) 과 오일팬 (130) 사이에 순환 하는 오일의 양이 제한된다. 이로써, 제 1 실 (30a) 내의 오일 및 상기 서술한 피윤활 부재의 승온이 촉진된다. 즉, 난기 운전의 진행이 촉진된다.
또한, 난기 운전 중에는, 제 2 실 (30b) 내 (의 저부) 의 저온의 오일의 제 1 실 (30a) 의 저부로의 유입이 억제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실 (30a) 내의 오일 레벨이 (예를 들어 10㎜ 정도) 내려가 제 2 실 (30b) 의 오일 레벨보다 낮아진다. 즉, 제 1 실 (30a) 과 제 2 실 (30b) 사이에서 오일 레벨 차가 발생한다.
난기 운전 중에는 오일 환류 제어 밸브 (137) 가 폐밸브 상태에 있다. 따라서, 환류 오일 저류실 (30c) 에 저류된 상기 환류 오일의 제 2 실 (30b) 로의 유입이 억제된다. 이로써, 소정량의 상기 환류 오일이 당해 환류 오일 저류실 (30c) 에 저류될 수 있다.
또한, 수직 칸막이판 (133b) 을 넘어 당해 환류 오일 저류실 (30c) 로부터 넘쳐 나온 상기 환류 오일은, 오일 환류 관통 구멍 (133c) 를 통하여 제 2 실 (30b) 내로 유입되거나, 혹은, 제 1 실 개구부 (30a1) 를 통하여 제 1 실 (30a) 로 유입된다.
<<난기 운전 종료>>
제 1 실 (30a) 내의 오일의 온도가 소정의 고온 (예를 들어 60℃ 정도) 에 도달한 시점에서 난기 운전이 종료된다. 이 난기 운전의 종료시에는, 먼저, 제 1 실 (30a) 내의 오일의 승온에 기초하여, 연통 밸브 (136) 가 도 4B 에 나타내고 있는 개밸브 상태가 된다. 이로써, 제 1 실 (30a) 의 저부와 제 2 실 (30b) 사 이의 상기 오일 연통로가 개통된다. 이 연통 밸브 (136) 의 개밸브에 의해 상기 오일 연통로가 개통되면, 난기 운전 중에 발생한 상기 서술한 제 1 실 (30a) 과 제 2 실 (30b) 의 오일 레벨 차의 발생에 수반하는 차압에 의해, 제 2 실 (30b) 내의 오일이 제 1 실 (30a) 의 저부로 유입된다.
계속해서, 환류 오일 저류실 (30c) 내에 오일 환류 제어 밸브 (137) 의 감온부 (도 4 에 나타내고 있는 연통 밸브 (136) 에 있어서의 왁스 (136a) 에 대응하는 부분) 가 침지된 상태에서, 당해 환류 오일 저류실 (30c) 내의 오일이 승온함으로써 오일 환류 제어 밸브 (137) 가 개밸브 상태가 된다. 이로써, 환류 오일 저류실 (30c) 내에 저류된 상기 환류 오일이 오일 환류 제어 밸브 (137) 를 통하여 중력의 작용에 의해 기세 좋게 제 2 실 (30b) 의 상부로 유입된다. 이 제 2 실 (30b) 의 상부로의 상기 환류 오일의 유입에 의해, 제 1 실 (30a) 과 제 2 실 (30b) 의 오일 레벨 차가 순간적으로 다시 발생한다. 이 오일 레벨 차의 발생에 수반하는 차압에 의해 제 2 실 (30b) 내의 오일이 제 1 실 (30a) 의 저부로 유입된다.
그 후, 연통 밸브 (136) 의 개밸브에 의해, 제 1 실 (30a) 과 제 2 실 (30b) 의 오일 레벨 차는 거의 없어진다. 즉, 오일 레벨 차는, 제 1 실 (30a) 이 약간 낮아지는 것에 그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오일 스트레이너 (41) 의 오일 흡입구 (41a) 에서 발생하고 있는 부압의 영향이, 당해 오일 흡입구 (41a) 의 근방 위치에 형성된 연통 밸브 (136) 에 있어서의 상기 오일 연통로에 미치게 된다. 이로써, 제 2 실 (30b) 내의 오일이 제 1 실 (30a) 의 저부로 유입될 수 있다.
<<제 1 실 내의 오일 레벨의 급격한 저하시>>
운전 중에 어떠한 이유로, 제 1 실 (30a) 내의 오일 레벨이 급격하게 저하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극저온 환경하에 있어서의 냉간 시동시에 있어서 시동 시점의 오일 저류량이 오일 레벨「L」부근이었던 경우, 시동 직후에 제 1 실 (30a) 내의 오일이 오일 펌프 (42) 에 의해 흡출되는 한편, 저온에서 고점도인 오일은 좀체로 오일팬 (130) (제 1 실 (30a)) 으로 환류되어 오지 않는다.
이와 같은 경우, 제 1 실 (30a) 내의 오일 레벨이 플로트 밸브 (135) 의 상기 플로트 하강 개시 레벨 (플로트부 (135a) 의 상한 위치) 보다 낮아질 수 있다. 이 때, 플로트 밸브 (135) 가 하강하고 드레인 구멍 (132d) 이 개방된다. 이 드레인 구멍 (132d) 의 개방에 의해, 제 1 실 (30a) 의 저부와 제 2 실 (30b) 의 저부가 당해 드레인 구멍 (132d) 을 통하여 연통한다.
이 드레인 구멍 (132d) 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오일 스트레이너 (41) 의 오일 흡입구 (41a) 의 근방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당해 오일 흡입구 (41a) 에서 발생하고 있는 부압의 영향이 드레인 구멍 (132d) 에 미쳐, 당해 드레인 구멍 (132d) 을 통하여, 제 2 실 (30b) 의 저부로부터 오일이 제 1 실 (30a) 의 저부로 유입되고 오일 스트레이너 (41) 의 오일 흡입구 (41a) 로 공급된다.
그 후, 상기 환류 오일이 대량으로 오일팬 (130) 으로 환류되어 오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난기 운전 중에는 오일 환류 제어 밸브 (137) 는 폐밸브 상태에 있다. 또, 난기 운전 중에는 상기 환류 오일의 온도도 그다지 고온은 아니 다. 따라서, 오일 레벨 게이지 (50) 와 오일 레벨 게이지 지지 관통 구멍 (133d) 사이의 간극을 당해 환류 오일이 통과하는 것은 곤란하다. 따라서, 이 경우, 당해 환류 오일은 제 1 실 개구부 (30a1) 를 통하여 제 1 실 (30a) 내로 집중적으로 환류된다. 이로써, 제 1 실 (30a) 내의 오일 레벨이 제 2 실 (30b) 보다 높아진다.
이와 같은 상기 환류 오일의 제 1 실 (30a) 로의 집중적인 환류에 의해, 제 1 실 (30a) 내의 오일 레벨이 제 2 실 (30b) 보다 높아지는 오일 레벨 차가 발생한 경우, 주유 밸브 (138) 가 열린다. 즉, 제 1 실 (30a) 과 제 2 실 (30b) 의 오일 레벨 차에 의해 발생한 차압에 의해, 주유 구멍 폐색 밸브체 (138a) 를 밀어 올려짐으로써 주유 구멍 (132b2) 이 개방된다. 이와 같이 하여 주유 밸브 (138) 가 열리면 주유 구멍 (132b2) 을 통하여 제 1 실 (30a) 에서 제 2 실 (30b) 로 오일이 유출된다.
이 경우, 상기 환류 오일의 제 1 실 (30a) 의 상부에 대한 집중적인 환류에 의해 발생한 제 1 실 (30a) 과 제 2 실 (30b) 의 차압에 의해, 제 1 실 (30a) 의 저부의 비교적 저온의 오일이 우선적으로 주유 구멍 (132b2) 을 통하여 제 2 실 (30b) 로 유출된다. 즉, 제 1 실 (30a) 내의 비교적 저온의 오일이 제 2 실 (30b) 로 유출되고, 비교적 고온의 상기 환류 오일이 우선적으로 제 1 실 (30a) 에 잔류한다.
또, 제 2 실 (30b) 로 유출된 오일도 극저온 시동 당초부터 제 2 실 (30b) 에 저류되어 있는 오일보다 비교적 고온이다. 따라서, 주유 구멍 (132b2) 을 통하여 제 2 실 (30b) 로 유입된 오일에 의해, 제 2 실 (30b) 내의 오일의 온도도 약간 상승한다.
이와 같이, 상기 환류 오일의 제 1 실 (30a) 에 대한 집중적인 환류에 의해, 주유 구멍 (132b2) 을 통한 오일의 순환이 발생함으로서, 난기 운전의 진행이 더욱 촉진될 수 있다.
<<오일 교환시>>
도 6A 내지 도 9B 는, 도 2 에 나타내고 있는 오일팬 (130) 에서의 오일 교환시의 플로트 밸브 (135) 및 주유 밸브 (138) 의 동작 모습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오일 배출시>>>
도 6A 를 참조하면, 드레인 볼트 구멍 (131c) 이 개방되면, 제 2 실 (30b) 내의 오일이 드레인 볼트 구멍 (131c) 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로써, 제 2 실 (30b) 내의 오일 레벨이 저하된다.
여기에서, 오일 교환 작업은 엔진 정지 후 잠시 후에 실시된다. 따라서, 이 오일 배출시에 있어서는 연통 밸브 (136) 는 폐밸브 상태가 되어 있다. 또, 제 1 실 (30a) 내에는 다량의 오일이 잔류되어 있다. 따라서, 플로트 밸브 (135) 가 상기 상한 위치에 있고, 오일팬 세퍼레이터 (132) 의 드레인 구멍 (132d) 은 폐색되어 있다.
따라서, 오일 배출의 초기에 있어서는, 드레인 구멍 (132d) 및 연통 밸브 (136) 를 통한, 제 1 실 (30a) 과 제 2 실 (30b) 의 연통이 실질적으로 차단되고 있다. 이로써, 도 6A 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오일의 배출에 의한 제 2 실 (30b) 내의 오일 레벨의 저하에 수반하여, 제 1 실 (30a) 과 제 2 실 (30b) 의 사이에서 제 1 실 (30a) 이 높아지는 오일 레벨 차가 근소하고 또한 순간적으로 발생한다.
이와 같은 오일 레벨 차가 발생한 경우, 제 1 실 (30a) 과 제 2 실 (30b) 의 차압이 발생한다. 이 차압에 의해, 도 6A 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주유 구멍 폐색 밸브체 (138a) 가 밀어 올려진다. 이로써, 주유 구멍 (132b2) 이 개방되고, 당해 주유 구멍 (132b2) 을 통하여 제 1 실 (30a) 에서 제 2 실 (30b) 로 오일이 배출된다.
이와 같이 하여, 오일 배출의 초기부터 제 1 실 (30a) 과 제 2 실 (30b) 의 오일 레벨의 조정이 실시되면서, 제 1 실 (30a) 및 제 2 실 (30b) 로부터 오일이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된다.
계속하여, 도 6A 에 나타내고 있는 상태보다 더욱 오일 레벨이 내려가, 도 6B 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제 1 실 (30a) 내의 오일 레벨이 상기 플로트 하강 개시 레벨보다 아래가 된다. 그러면, 플로트 밸브 (135) 가 하강된다. 이로써, 드레인 구멍 (132d) 도 개방된다. 이 경우, 주유 구멍 (132b2) 및 드레인 구멍 (132d) 을 통하여 제 1 실 (30a) 에서 제 2 실 (30b) 로 오일이 배출된다.
또한, 오일 레벨이 내려가, 도 7A 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제 1 실 (30a) 내의 오일 레벨이 돌출부 상판 (132b1) 보다 아래가 된다. 그러면, 주유 밸브 (138) 에 있어서의 주유 구멍 폐색 밸브체 (138a) 가 자중에 의해 하강되고, 주유 구멍 (132b2) 이 폐색된다. 무엇보다 플로트 밸브 (135) 는 하강되고 있으므로 드레인 구멍 (132d) 은 개방된 채이다. 이 경우, 드레인 구멍 (132d) 을 통하여 제 1 실 (30a) 에서 제 2 실 (30b) 로 오일이 배출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도 7B 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오일팬 (130) 내의 모든 오일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오일 배출의 초기에서 종기에 이를 때까지, 제 1 실 (30a) 및 제 2 실 (30b) 의 쌍방으로부터 당해 오일팬 (130) 의 외부로 오일이 거의 연속적으로 배출된다.
<<<오일 주입시>>>
오일팬 (130) 내의 모든 오일이, 드레인 볼트 구멍 (131c) 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 후, 도 8A 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당해 드레인 볼트 구멍 (131c) 에 드레인 볼트 (131d) 가 틀어박혀 드레인 볼트 구멍 (131c) 이 폐색된다. 이 상태에서 신선한 오일이 오일팬 (130) 의 상방으로부터 주입된다. 이 신선한 오일은 제 1 실 개구부 (30a1) 를 통하여, 먼저 제 1 실 (30a) 내에 집중적으로 유입된다 (극히 일부는 오일 환류 관통 구멍 (133c) 를 통하여 제 2 실 (30b) 로 유입될 수 있다).
무엇보다 오일 주입의 초기에 있어서는, 플로트 밸브 (135) 가 하강하고 있고, 드레인 구멍 (132d) 이 개방되고 있다. 따라서, 도 8B 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제 1 실 (30a) 에 주입된 오일은 드레인 구멍 (132d) 을 통하여 제 2 실 (30b) 로 유출된다.
제 2 실 (30b) 의 오일 레벨이 오일팬 세퍼레이터 (132) 의 저판 (132a1) 보다 상방에 도달하면 오일이 제 1 실 (30a) 내에도 충전되기 시작한다. 그리고, 제 1 실 (30a) 내의 오일 레벨이 상기 상한 위치까지 도달하면, 플로트 밸브 (135) 에 의해 드레인 구멍 (132d) 이 폐색된다.
무엇보다 제 1 실 (30a) 내의 오일 레벨이 돌출부 상판 (132b1) 보다 높아지면 당해 제 1 실 (30a) 내의 오일에 의해 주유 구멍 폐색 밸브체 (138a) 가 밀어 올려진다. 이로써, 도 9A 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주유 구멍 (132b2) 이 개방되어 제 1 실 (30a) 내에 주입된 오일이 당해 주유 구멍 (132b2) 을 통하여 제 2 실 (30b) 에도 주입된다.
이 주유공 폐색 밸브체 (138a) 를 구성하는 재질의 비중은 오일보다 약간 높을 뿐이다. 따라서, 제 1 실 (30a) 에 대한 오일의 주입이 계속되고 있는 동안에는, 주유 구멍 (132b2) 을 통하여 상방을 향하여 흐르는 오일의 강한 기세에 의해 도 9A 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주유 구멍 폐색 밸브체 (138a) 는 부상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오일 주입의 비교적 초기부터 종기에 이를 때까지, 제 1 실 (30a) 과 제 2 실 (30b) 사이의 오일 레벨이 거의 동일해지도록, 제 1 실 (30a) 및 제 2 실 (30b) 내의 오일 레벨의 조정이 실시된다. 그리고, 제 1 실 (30a) 에 대한 오일의 주입이 종료되면, 도 9B 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주유 구멍 폐색 밸브체 (138a) 가 자중에 의해 하강됨으로써 주 유 구멍 (132b2) 이 폐색된다.
<실시형태의 장치 구성에 의한 작용ㆍ효과>
도 2 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의 장치 구성에 있어서는 주유 밸브 (138) 에 의해 오일 교환 작업에 있어서의 오일 배출시 및 오일 주입시 중 어느 것에서도 제 1 실 (30a) 과 제 2 실 (30b) 의 사이의 오일 레벨의 조정이 적절히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오일 주입시에 오일 레벨 게이지 (50) 를 이용하여 오일 주입량의 파악이 적절 또한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오일 배출시 및 오일 주입시에서 제 1 실 (30a) 과 제 2 실 (30b) 의 사이에서 큰 오일 레벨 차 (차압) 가 발생함으로써 오일팬 세퍼레이터 (132) 가 파손된다는 문제가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2 조식 오일팬을 구비한 윤활 장치에 있어서의 오일 교환 작업이 적절 또한 신속히 실시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장치 구성에 있어서는, 주유 밸브 (138) 가 오일보다 약간 비중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주유 구멍 폐색 밸브체 (138a) 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주유 구멍 폐색 밸브체 (138a) 가 자중 및 제 1 실 (30a) 과 제 2 실 (30b) 사이의 오일 레벨 차에 의해 상하 이동함으로써, 주유 구멍 (132b2) 을 개폐한다. 이로써, 제 1 실 (30a) 의 저부에 형성된 돌출부 (132b) 에 있어서의 돌출부 상판 (132b1) 에 형성된 주유 구멍 (132b2) 에 있어서의 오일의 유통 방향이 실질적으로 제 1 실 (30a) 로부터 제 2 실 (30b) 을 향하는 방향으로 규제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난기 운전 중에 있어서의 주유 구멍 (132b2) 을 통한 제 2 실 (30b) 에서 제 1 실 (30a) 로의 준비되지 않은 오일의 유입이 확실하게 차단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환류 오일이 대량으로 제 1 실 (30a) 에 환류되어 왔을 경우에, 당해 제 1 실 (30a) 에서 제 2 실 (30b) 로 오일이 공급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간략한 장치 구성에 의해 난기 운전이 양호하게 촉진됨과 함께, 오일 교환 작업이 신속 또한 적절히 실시될 수 있다.
도 5 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의 장치 구성에 있어서는 주유 구멍 폐색 밸브체 (138a) 의 외연을 구성하는 주유 밸브 표면 (138a1) 과, 주유 구멍 (132b2) 의 내연이 선 접촉된다. 이로써, 슬러지 등이 유지될 수 있는 좁은 간극이 형성되는 면적이 작아진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주유 밸브 표면 (138a1) 과 주유 구멍 (132b2) 의 내연의 접합부에 슬러지 등이 고착됨으로써 주유 밸브 (138) 의 적절한 개폐 동작이 방해되거나 주유 구멍 (132b2) 이 항상 연통하거나 하는 문제의 발생이 가급적 억제될 수 있다.
다시 도 2 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의 장치 구성에 있어서는 주유 밸브 (138) 가 플로트 밸브 (135) 에 있어서의 플로트부 (135a) 의 상기 상한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즉, 돌출부 상판 (132b1), 주유 구멍 (132b2) 및 주유 구멍 폐색 밸브체 (138a) 가 상기 상한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플로트 밸브 (135) 에 의해 드레인 구멍 (132d) 이 개방되는 오일 레벨이 주유 밸브 (138) 에 의해 주유 구멍 (132b2) 이 개방되는 오일 레벨보다 높아진다. 이 경우, 오일 배출시에는 주유 밸브 (138) 가 닫히기 전에 플로트 밸브 (135) 가 열린다. 또, 오일 주입시에는 플로트 밸브 (135) 가 닫히기 전에 주유 밸브 (138) 가 열린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오일 교환이 보다 신속하고 또한 확실하게 실시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장치 구성에 있어서는, 오일 저류용 오목부 (131a) 및 그 내측의 제 1 실 형성용 오목부 (132a) 가, 상기 피윤활 기구로서의 실린더 블록 (20a) 을 향하여 개구하도록 형성되고 있어, 오일팬 커버 (131) 와 오일팬 세퍼레이터 (132) 사이에 제 2 실 (30b) 을 형성하는 소정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실 (30a) 의 외측에 제 2 실 (30b) 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2 실 (30b) 이 제 1 실 (30a) 을 단열적으로 덮는 단열층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난기 운전 중의 제 1 실 (30a) 내의 오일의 승온이 보다 촉진되어 난기 운전의 진행이 한층 더 촉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오일 교환 작업시에 제 2 실 (30b) 과, 그 내측에 위치하는 제 1 실 (30a) 의 오일 레벨의 조정이 적절히 실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오일 교환 작업의 신속성이 확보되면서 난기 운전 종료 후의 오일팬 (130) 내의 오일의 효율적인 순환이 실시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장치 구성에 있어서는 연통 밸브 (136) 에 의해, 난기 운 전 중과 난기 운전 종료 후의 사이에서, 제 1 실 (30a) 과 제 2 실 (30b) 사이의 상기 오일 연통로에 있어서의 연통 상태가 확실하게 전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난기 운전의 진행의 촉진이라는 2 조식 오일팬 구조의 효과를 감쇄시키지 않고, 난기 운전 종료 후에 있어서의 제 1 실 (30a) 과 제 2 실 (30b) 사이의 오일의 순환을 활발히 실시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실 (30a) 내의 한정된 양의 오일만이 집중적으로 사용되어 조기에 오일이 열화한다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이 해결되어 당해 오일의 내구성의 악화가 억제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장치 구성에 있어서는, 제 2 실 (30b) 의 상방에 환류 오일 저류실 (30c) 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연통 밸브 (136) 의 개밸브의 뒤에서 오일 환류 제어 밸브 (137) 가 개밸브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2 실 (30b) 내에 저류되어 있던 오일이 제 1 실 (30a) 에 대해 보다 조기에 공급될 수 있다. 이로써, 제 1 실 (30a) 내의 오일 레벨의 극단적인 저하가 가급적 억제될 수 있다. 즉, 엔진 블록 (20) 에 대한 오일의 공급량의 부족의 발생이 가급적 억제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장치 구성에 있어서는, 연통 밸브 (136) 가 환류 오일 저류실 (30c) 과 제 2 실 (30b) 의 연통부인 오일 환류 제어 밸브 (137) 와, 대각 위치 (가장 떨어진 위치) 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오일 환류 제어 밸브 (137) 의 개밸브에 의해 연통 밸브 (136) 와 대각 위치에서 발생한 제 2 실 (30b) 에 있어서의 일시적인 오일 레벨의 상승에 의해, 당해 연통 밸브 (136) 근방의 제 2 실 (30b) 내의 오일이 당해 연통 밸브 (136) 를 통하여 제 1 실 (30a) 내로 유입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오일팬 (130) 내의 오일의 순환이 활발히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오일의 내구성의 악화가 한층 더 억제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장치 구성에 있어서는, 난기 운전 중에 제 1 실 (30a) 내의 오일의 양의 부족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플로트 밸브 (135) 에 의해 드레인 구멍 (132d) 이 확실하게 폐색된다. 한편, 난기 운전 중이어도, 제 1 실 (30a) 내의 오일 레벨이 극단적으로 저하된 경우에는, 플로트 밸브 (135) 가 하강함으로써 드레인 구멍 (132d) 이 개방되고, 당해 드레인 구멍 (132d) 을 통하여 제 2 실 (30b) 내의 오일이 제 1 실 (30a) 내에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난기 운전의 촉진이 저해되지 않고, 만일 급격한 제 1 실 (30a) 내의 오일 레벨의 저하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피윤활 기구에 대한 오일 공급량의 부족의 발생을 가급적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실시형태의 장치 구성에 의하면, 밸브 표면 (135c1) 이 구면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당해 밸브 표면 (135c1) 과 드레인 구멍 (132d) 의 양호한 밀착 상태가 얻어진다. 따라서, 난기 운전 중의 드레인 구멍 (132d) 에 있어서의 오일의 시일 성능이 보다 향상된다.
도 3 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의 장치 구성에 있어서는 밸브 표면 (135c1) 에 있어서의 곡률 반경 (Rv) 과, 드레인 구멍 (132d) 에 있어서의 밸브체 접촉면 (132d1) 의 곡률 반경 (RH) 의 관계가, Rv≤RH 가 되도록 밸브 표면 (135c1) 및 밸 브체 접촉면 (132d1) 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Rv≒RH 인 경우, 거의 동일 곡률의 밸브 표면 (135c1) 과 밸브체 접촉면 (132d1) 이 보다 넓은 범위에서 면접촉된다. 따라서, 양자의 밀착성이 보다 향상되고, 드레인 구멍 (132d) 에 있어서의 오일의 시일 성능이 보다 향상된다.
한편, Rv<RH 인 경우, 밸브체 접촉면 (132d1) 과 밸브 표면 (135c1) 과 사이에 작은 간극이 형성된다. 따라서, (급발진ㆍ급가속ㆍ선회시 등) 오일에 원심력이나 가속도가 더해져 유면이 기움으로서 플로트 밸브 (135) 가 경사진 경우에도, 밸브 표면 (135c1) 과 밸브체 접촉면 (132d1) 이 양호하게 밀착되면서 당해 플로트 밸브 (135) 가 원활하게 요동한다.
따라서, 이 경우, 당해 플로트 밸브 (135) 가 요동할 때에 밸브체 접촉면 (132d1) 과 밸브 표면 (135c1) 사이에 큰 간극이 발생하여 드레인 구멍 (132d) 에 있어서의 오일의 시일 성능이 크게 악화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또, 이 경우, 밸브체 접촉면 (132d1) 과 밸브 표면 (135c1) 사이의 간극의 폭은 외측이 될수록 넓어진다. 또한, 밸브 표면 (135c1) 의 경사는 외측이 될수록 커진다. 따라서, 당해 간극에 있어서의 이물질의 퇴적ㆍ고착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변형예의 예시>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출원인이 우선 본원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최선이라고 생각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단순히 예시한 것 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처음부터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본질적 부분을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의 구성에 대해 여러 가지의 변형이 실시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이하, 선원주의 하에서 본원의 출원시에 추기할 수 있는 정도로, 변형예에 대해 몇 가지를 예시한다. 이하의 각 변형예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각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ㆍ기능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당해 변형예에 있어서도 동일한 명칭 및 동일 (완전 동일 또는 아래 2자리수가 동일) 부호가 부여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당해 구성 요소의 설명에 대해서는,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설명이 모순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원용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무엇보다 변형예에서 이하의 예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본원 발명을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 및 하기 변형예의 기재에 기초하여 한정 해석하는 것은, 선원주의 하에서 출원을 서두르는 출원인의 이익을 부당하게 해치는 반면, 모방자를 부당하게 이롭게 하는 발명의 보호 및 이용을 목적으로 하는 특허법 목적에 반하며 허용되지 않는다.
또, 하기의 각 변형예는 기술적으로 모순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적절히 복합하여 적용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01) 도 10 은, 도 2 에 나타내고 있는 오일팬 (130) 의 변형예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또, 도 11A 및 도 11B 는, 도 10 에 나타내고 있 는 오일팬 (130) 에 있어서의 동작 모습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여기에서, 도 11A 는 오일 주입시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고, 도 11B 는 난기 운전시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이 변형예의 오일팬 (130) 에 있어서는, 돌출부 (132b) 가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보다 큰 용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당해 변형예에 있어서는 당해 돌출부 (132b) 에 있어서의 상단부를 구성하는 돌출부 상판 (132b1) 이 오일 레벨「L」에 상당하는 높이에 위치하도록, 오일팬 세퍼레이터 (132) 가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도 11A 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제 1 실 (30a) 과 제 2 실 (30b) 사이의 오일 레벨 차에 기초하여, 오일 주입시에 주유 밸브 (138) 가 열린다. 이로써, 오일 주입이 신속히 실시될 수 있다.
또,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도 11B 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난기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정도로, 제 1 실 (30a) 의 저부의 오일의 저류량을 크게 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극저온 환경하에서의 냉간 시동시에 제 1 실 (30a) 내의 오일량의 부족이 발생하는 것이 가급적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돌출부 (132b) 의 측방의 좁은 폭의 제 2 실 (30b) 의 부분이 상하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이로써, 도 11B 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난기 운전 중에 있어서의 제 1 실 (30a) 과 제 2 실 (30b) 의 오일 레벨 차를 비교적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난기 운전이 종료되어 연통 밸브 (136) 가 개밸브했을 때에, 제 2 실 (30b) 내의 오일을 제 1 실 (30a) 로 기 세좋게 유입시킴으로써, 오일팬 (130) 내에 있어서의 오일의 순환이 양호하게 실시될 수 있다.
(02) 도 12 는, 도 5 에 나타내고 있는 주유 밸브 (138) 의 변형예의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또, 도 13 은, 도 5 에 나타내고 있는 주유 밸브 (138) 의 다른 변형예의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2 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주유 밸브 표면 (138a1) 은 구면 형상 또는 곡면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도 13 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주유 밸브 표면 (138a1) 과 주유 구멍 상면 (132b3) 이 면접촉하고 있어도 지장없다.
(03) 도 14A 및 도 14B 는, 도 2 에 나타내고 있는 플로트 밸브 (135) 의 변형예의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에서, 도 14A 는 평면도이고, 도 14B 는 측단면도이다. 또한, 도 14A 에 있어서는 플로트 밸브 (135) 를 구성하는 각 부재가 2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변형예에 있어서는, 오일팬 세퍼레이터 (132) 의 저판 (132a1) 의 상측 표면 (제 1 실 (30a) 측의 표면) 으로서, 드레인 구멍 (132d) 근방 위치에는 플로트 가이드 부재 (139) 가 고정되어 있다. 이 플로트 가이드 부재 (139) 는 플로트 밸브 (135) 에 있어서의 접속 바 (135b) 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플로트 가이드 부재 (139) 는 당해 접속 바 (135b) 를 둘러싸듯이 구성되어 있어, 당해 접속 바 (135b) 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함으로써 플로트 밸브 (135) 의 경사를 억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플로트 가이드 부재 (139) 는 플로트 밸브 (135) 에 있어서의 접속 바 (135b) 를 둘러싸듯이 구성된 판상의 가이드부 (139a) 와, 그 가이드부 (139a) 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수직 설치된 복수의 다리부 (139b) 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플로트 가이드 부재 (139) 는 플로트 밸브 (135) 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드레인 구멍 (132d) 이 개방된 경우에, 당해 드레인 구멍 (132d) 및 상기 서술한 가이드부 (139a) 의 하방의 공간으로서 복수의 다리부 (139b) 끼리의 공간을 통과하여, 제 1 실 (30a) 과 제 2 실 (30b) 사이에서 오일이 유통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차량의 운전 중으로 발진, 정지, 선회, 등강판 등일 때에 오일이 이동하더라도 플로트 밸브 (135) 의 경사가 억제된다. 또, 이 밸브 표면 (135c1) 은 외측에 볼록한 구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오일이 이동하여 플로트 밸브 (135) 가 약간 셩사져도 플로트부 (135a) 의 부력에 의해 구면 형상의 당해 밸브 표면 (135c1) 이 원형의 드레인 구멍 (132d) 과 양호하게 밀착된다. 이로써, 특히 난기 운전 중에 있어서의 드레인 구멍 (132d) 에서의 오일의 시일이 양호하게 실시될 수 있다.
도 14B 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플로트 밸브 (135) 의 드레인 구멍 폐색 밸브체 (135c) 에 있어서의 밸브 표면 (135c1) 이 구면 형상인 경우,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당해 플로트 밸브 (135) 의 경사에 의해 제 1 실 (30a) 과 제 2 실 (30b) 사이의 오일의 유통의 제한 (차단) 상태가 크게 악화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이 경우, 도 14A 및 도 14B 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플로트 가이드 부 재 (139) 의 가이드부 (139a) 에 형성된 가이드 구멍 (139a1) 과 접속 바 (135b) 의 외주면의 클리어런스가 비교적 크게 (예를 들어 5㎜ 정도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 1 실 (30a) 내에 있어서의 오일 레벨의 변화에 수반하는 플로트 밸브 (135) 의 상하 이동이 극히 원활히 실시될 수 있다. 특히, 제 1 실 (30a) 및 제 2 실 (30b) 로부터 오일의 전체량을 배출할 때에, 당해 오일 배출 작업이 극히 원활하게 실시될 수 있다.
또, 도 14B 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오일팬 세퍼레이터 (132) 의 저판 (132a1) 에 있어서의 드레인 구멍 (132d) 의 하단부에는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밸브체 접촉면 (132d1) 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04) 도 15A 및 도 15B 는, 도 2 에 나타내고 있는 플로트 밸브 (135) 의 다른 변형예의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에서, 도 15A 는 평면도이고, 도 15B 는 측단면도이다.
도 15 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밸브 표면 (135c1) 이 원추면 형상인 경우, 플로트 가이드 부재 (139) 의 가이드부 (139a) 에 형성된 가이드 구멍 (139a1) 과 접속 바 (135b) 의 외주면과의 클리어런스가 비교적 작게 (예를 들어 1 내지 수 ㎜ 정도로) 설정될 수 있다. 이로써, 플로트 밸브 (135) 의 경사가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플로트 밸브 (135) 의 경사에 의해 제 1 실 (30a) 과 제 2 실 (30b) 사이의 오일의 유통의 제한 (차단) 상태가 크게 악화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05) 도 16A, 도 16B 및 도 16C 는, 도 2 에 나타내고 있는 플로트 밸브 (135) 의 또 다른 변형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이 변형예에 있어서의 플로트 밸브 (235) 는 플로트부 (235a) 와, 접속 바 (235b) 와, 드레인 구멍 폐색 밸브체 (235c) 로 구성되어 있다. 이 변형예에 있어서는, 플로트부 (235a) 의 하면 (235a1) (후술하는 플로트 가이드 부재 (239) 부재 (239) 와 대향하는 면) 에 있어서의 중앙부가 대략 원추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주위가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플로트부 (235a) 에 있어서의 하면 (235a1) 에 의해, 당해 플로트부 (235a) 의 하단부에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드레인 구멍 폐색 밸브체 (235c) 에 있어서의 밸브 표면 (235c1) 는 외측으로 볼록한 구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당해 변형예에 있어서의 플로트 가이드 부재 (239) 는, 가이드부 (239a) 와 다리부 (239b) 로 구성되어 있다. 당해 변형예에 있어서의 플로트 가이드 부재 (239) (가이드부 (239a)) 는, 접속 바 (235b) 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대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플로트 가이드 부재 (239) 의 상면 (239a2) 은, 상기 서술한 플로트부 (235a) 의 하면 (235a1) 을 본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당해 플로트부 (235a) 의 하면 (235a1) 에 있어서의 중앙부가 원추 오목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주위가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플로트 가이드 부재 (239) 의 상면 (239a2) 에 의해, 당해 플로트 가이드 부재 (239) 의 상단부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6A 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플로트 밸브 (235) 가 상기 상한 위치에 있는 경우에, 플로트부 (235a) 의 하면 (235a1) 과 플로트 가이드 부재 (239) 의 상면 (239a2) 사이의 간극 (δ) 이 일정해지도록, 당해 하면 (235a1) 및 상면 (239a2) 은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즉, 이 변형예에 있어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오일 배출시나, 제 1 실 (30a) 내에 있어서의 급격한 유면 저하시에, 필요량의 오일이 드레인 구멍 (132d) 을 통과할 수 있는 최소한의 리프트량 (δ) 에 플로트 밸브 (235) 의 하강량의 최대치가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는 도 16B 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플로트 가이드 부재 (239) (가이드부 (239a)) 에 의해, 플로트 밸브 (235) 의 접속 바 (235b) 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대부분이 둘러싸여 있다. 따라서, 플로트 밸브 (235) 의 경사량이 가급적 제한될 수 있다.
또, 도 16B 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상한 위치에서 플로트 밸브 (235) 가 경사져도, 드레인 구멍 (132d) 과 밸브 표면 (235c1) 양호한 밀착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드레인 구멍 (132d) 에 있어서의 오일의 시일 성능이 양호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 도 16C 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플로트 밸브 (235) 의 하강 위치에서 플로트부 (235a) 의 하단부에 형성된 상기 서술한 볼록부와 플로트 가이드 부재 (239) 의 상단부에 의해 형성된 상기 서술한 오목부가 걸어맞춰진다. 그리고, 도 16A 및 도 16C 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플로트 밸브 (235) 의 이동량이 필요 최소한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플로트 밸브 (235) 의 상하 이동시에 당해 플로트 밸 브 (235) 의 경사가 적어진다. 따라서, 플로트 밸브 (235) 의 상하 이동이 원활하게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실 (30a) 내의 오일 레벨의 상승에 수반하여 플로트 밸브 (235) 가 순조롭게 상기 상한 위치로 이동하고, 신속하게 또한 확실하게 드레인 구멍 (132d) 이 폐쇄될 수 있다. 또, 제 1 실 (30a) 내의 오일 레벨의 저하에 수반하여 플로트 밸브 (235) 가 원활하게 하강 위치로 이동하고, 신속 또한 확실하게 드레인 구멍 (132d) 이 개방되어 당해 드레인 구멍 (132d) 을 통하여 소정량의 오일이 제 1 실 (30a) 과 제 2 실 (30b) 사이에서 유통될 수 있다.
(06) 도 17A 및 도 17B 는, 도 2 에 나타내고 있는 플로트 밸브 (135) 의 또 다른 변형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A 및 도 18B 는, 도 17 에 나타내고 있는 플로트 밸브의 동작 모습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이 변형예에 있어서는, 플로트 밸브 (335) 와 플로트 가이드 부재 (339) 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 17A 는, 플로트 가이드 부재 (339) 의 평면도이고, 도 17B 는, 오일팬 세퍼레이터 (132) 의 드레인 구멍 (132d) 주변을 확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17A 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당해 변형예의 플로트 가이드 부재 (339) 는 원판상의 가이드부 (339a) 와 원통 형상의 다리부 (339b) 로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부 (339a) 의 평면시 있어서의 중앙부에는 플로트 밸브 (335) 를 관통시키도록 가이드 구멍 (339a1) 이 형성되어 있다. 또, 도 17A 및 B 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다리부 (339b) 에는, 오일의 통로인 복수의 개구부 (339b1) 가 형성되어 있다.
도 17B 를 참조하면, 이 변형예의 플로트 밸브 (335) 는 플로트부 (335a) 와, 스템 부재 (335b) 와, 드레인 구멍 폐색 밸브체 (335c) 와, 플로트 스토퍼 부재 (335d) 로 구성되어 있다.
플로트부 (335a) 는 외형 형상이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플로트부 (335a) 에는, 상기 서술한 원주에 있어서의 중심축을 따라서 플로트 관통 구멍 (335a2) 이 형성되어 있다. 이 플로트 관통 구멍 (335a2) 은, 봉형의 스템 부재 (335b) 에 의해 관통되어 있다. 그리고, 플로트 관통 구멍 (335a2) 의 내측 표면이 봉형의 스템 부재 (335b) 의 외측 표면과 소정의 간극을 갖도록, 당해 플로트 관통 구멍 (335a2) 이 형성되어 있다. 즉, 플로트부 (335a) 는 스템 부재 (335b) 와 도면 중 상하 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플로트부 (335a) 의 상측 표면 (드레인 구멍 폐색 밸브체 (335c) 와 대향하는 표면과 반대측의 표면) 인, 플로트 상측 표면 (335a3) 은 양호한 평면도를 갖는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스템 부재 (335b) 는, 드레인 구멍 폐색 밸브체 (335c) 에서 제 1 실 (30a) 측을 향하여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당해 드레인 구멍 폐색 밸브체 (335c) 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스템 부재 (335b) 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플로트부 (335a) 에 형성된 플로트 관통 구멍 (335a2) 를 소정의 간극을 갖고 관통함으로써 당해 플로트부 (335a) 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템 부재 (335b) 의 내부에는 스템 내 오일 유로 (335b1)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스템 내 오일 유로 (335b1) 는, 난기 운전 종료전의 저온에서 고점도의 오일이 통과할 수 있도록 비교적 큰 직경 (예를 들어 4㎜ 정도) 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스템 내 오일 유로 (335b1) 에 있어서의, 제 2 실 (30b) 측의 단부인 제 2 실측 개구 (335b2) 는 드레인 구멍 폐색 밸브체 (335c) 의 하측 표면 (후술하는 밸브 하측 표면 (335c2)) 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다.
드레인 구멍 폐색 밸브체 (335c) 는, 드레인 구멍 (132d) 을 제 2 실 (30b) 측으로부터 폐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드레인 구멍 폐색 밸브체 (335c) 의, 드레인 구멍 (132d) 과 대향하는 표면인 밸브 상측 표면 (335c1) 은 상측에 볼록한 구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드레인 구멍 폐색 밸브체 (335c) 에 있어서의 제 2 실 (30b) 측으로 노출되는 표면인 밸브 하측 표면 (335c2) 은 오목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플로트 스토퍼 부재 (335d) 는, 스템 부재 (335b) 의 상단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플로트 스토퍼 부재 (335d) 의 하측 표면 (플로트부 (335a) 와 대향하는 표면) 인 스토퍼 하측 표면 (335d1) 은 양호한 평면도의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플로트 스토퍼 부재 (335d) 는 상기 서술한 스토퍼 하측 표면 (335d1) 이 플로트부 (335a) 에 있어서의 플로트 상측 표면 (335a3) 과 맞닿음으로써, 당해 플로트부 (335a) 의 상승을 규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토퍼 하측 표면 (335d1) 에는 제 1 실 (30a) 내에서 개구할 수 있는 개구부로서의 제 1 실측 개구 (335d2)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 1 실측 개구 (335d2) 는 플로트 스토퍼 부재 (335d) 의 내부에 형성된 스토퍼 내 오일 유로 (335d3) 에 있어서의, 제 1 실 (30a) 측의 단부를 구성하는 개구부로서 플로트부 (335a) 에 있어서의 플로트 상측 표면 (335a3) 과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드레인 구멍 폐색 밸브체 (335c) 에 있어서의 제 2 실 (30b) 측의 표면인 밸브 하측 표면 (3135c2) 에 형성된 제 2 실측 개구 (335b2) 와, 플로트 스토퍼 부재 (335d) 에 있어서의 스토퍼 하측 표면 (335d1) 에 형성된 제 1 실측 개구 (335d2) 를 접속하도록, 스템 내 오일 유로 (335b1) 및 스토퍼 내 오일 유로 (335d3) 로 이루어지는 플로트 밸브 내 오일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제 1 실 (30a) 내의 오일 레벨이 충분히 높은 경우, 도 18A 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플로트부 (335a) 가 플로트 스토퍼 부재 (335d) 와 맞닿는 상한 위치까지 상승한다. 이 상한 위치까지 상승한 플로트부 (335a) 의 상측 표면인 플로트 상측 표면 (335a3) 은 제 1 실측 개구 (335d2) 가 형성된 플로트 스토퍼 부재 (335d) 의 하측 표면인 스토퍼 하측 표면 (335d1) 과 맞닿는다.
이로써, 당해 제 1 실측 개구 (335d2) 가 플로트 상측 표면 (335a3) 에 의해 막힌다. 그리고, 상기 서술한 플로트 밸브 내 오일 유로을 통한 제 1 실 (30a) 과 제 2 실 (30b) 사이의 오일의 유통이 억제 (차단) 된다.
한편, 제 1 실 (30a) 내의 오일 레벨이 내려가면, 도 18B 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플로트부 (335a) 가 상기 서술한 상기 상한 위치로부터 하강한다. 이 때, 드레인 구멍 폐색 밸브체 (335c) 의 저부의 표면인 밸브 하측 표면 (335c2) 은, 제 2 실 (30b) 내의 유압에 의해 드레인 구멍 (132d) 을 막도록 상방을 향하여 가압되어 있다.
따라서, 드레인 구멍 폐색 밸브 (335c) 가 드레인 구멍 (132d) 를 막은 상태 (드레인 구멍 폐색 밸브체 (335c), 스템 부재 (335b) 및 플로트 스토퍼 부재 (335d) 가 상기 상한 위치에 있는 상태) 에서 플로트부 (335a) 만이 하강한다.
이 때, 플로트 상측 표면 (335a3) 에 의해 막혀 있던 제 1 실측 개구 (335d2) 가 개방된다. 그러면, 드레인 구멍 폐색 밸브체 (335c) 의 저부의 밸브 하측 표면 (335c2) 에 형성된 제 2 실측 개구 (335b2) 와, 제 1 실측 개구 (335d2) 사이의 상기 서술한 플로트 밸브 내 오일 유로가 개통된다. 그리고,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드레인 구멍 폐색 밸브체 (335c) 의 저부에 있어서의 유압에 의해, 제 2 실 (30b) 내의 오일이 제 2 실측 개구 (335b2) 에서 상기 플로트 밸브 내 오일 유로 내로 유입되고, 당해 플로트 밸브 내 오일 유로의 제 1 실 (30a) 측의 단부를 구성하는 제 1 실측 개구 (335d2) 에서 제 1 실 (30a) 내로 유입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난기 운전 중에 제 1 실 (30a) 내의 오일 레벨이 극단적으로 낮아졌을 경우 (예를 들어, 저온 시동시에 있어서, 시동 직전의 오일량이 적은 경우) 에, 당해 플로트 밸브 내 오일 유로를 통하여 제 2 실 (30b) 에서 제 1 실 (30a) 로 오일이 공급될 수 있다.
여기에서, 당해 변형예에 있어서도 드레인 구멍 폐색 밸브체 (335c) 에 있어서의 드레인 구멍 (132d) 과 대향하는 표면인 밸브 상측 표면 (335c1) 이 상측으로 볼록한 구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운전 중에 오일이 이동하여, 상기 상한 위치에 있는 플로트 밸브 (335) 가 경사진 경우에도, 밸브 상측 표면 (335c1) 이 드레인 구멍 (132d) 과 양 호하게 접촉되어 있다. 따라서, 운전 중 (특히 난기 운전 중) 에 있어서의 드레인 구멍 (132d) 을 통한 제 1 실 (30a) 과 제 2 실 (30b) 사이의 뜻하지 않은 오일의 연통이 억제될 수 있다.
또, 제 1 실 (30a) 및 제 2 실 (30b) 내의 오일의 전체량을 교환할 때에, 도 18B 의 경우보다 더욱 제 1 실 (30a) 내의 오일 레벨이 내려가, 당해 오일 레벨이 플로트 가이드 부재 (339) 이하가 되면, 도 18C 에 나타난 것처럼, 플로트부 (335a) 는 플로트 가이드 부재 (339) 에 있어서의 평판상의 가이드부 (339a) 상에 탑재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드레인 구멍 폐색 밸브체 (335c) 의 저부에 있어서의 유압이 저하 내지 소실됨으로써, 드레인 구멍 폐색 밸브체 (335c), 스템 부재 (335b) 및 플로트 스토퍼 부재 (335d) 가 하강 위치까지 이동한다. 이로써, 드레인 구멍 (132d) 이 전면적으로 개방된다. 따라서, 제 1 실 (30a) 내의 잔류 오일이 제 2 실 (30b) 측으로 확실하게 배출될 수 있다.
또, 당해 변형예에 있어서도, 플로트 밸브 (335) 에 있어서의 스템 부재 (335b) 와 대향하도록 플로트 가이드 부재 (339) 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운전 중에 상기 상한 위치에 있는 플로트 밸브 (335) 의 경사가 어느 정도 억제될 수 있다.
또, 제 1 실 (30a) 및 제 2 실 (30b) 내의 오일의 전체량을 교환하는 경우에, 드레인 구멍 폐색 밸브체 (335c), 스템 부재 (335b) 및 플로트 스토퍼 부재 (335d) 의 상하 이동이 가이드된다.
이로써, 제 1 실 (30a) 및 제 2 실 (30b) 내의 오일의 전체량을 교환하는 경우의 플로트 밸브 (335) 의 원활한 상하 이동이 실현된다. 따라서, 제 1 실 (30a) 내의 오일 레벨의 상승에 의해, 플로트 밸브 (335) 가 상기 상한 위치 (도 18A) 로 확실하게 이동하고, 드레인 구멍 (132d) 에 있어서의 양호한 오일의 시일 성능이 얻어진다. 또한, 제 1 실 (30a) 및 제 2 실 (30b) 내의 오일의 전체량 배출시에, 드레인 구멍 (132d) 이 원활하게 개방되어 제 1 실 (30a) 내의 잔류 오일이 제 2 실 (30b) 측으로 확실하게 배출될 수 있다.
(07) 도 19A 및 도 19B 는, 도 2 에 나타내고 있는 플로트 밸브 (135) 의 또 다른 변형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여기서, 도 19A 는 정면도이고, 도 19B 는 측면도이다. 또한, 도 19 에 있어서는 오일팬 커버 (131) 의 저판 (131a1) 및 오일팬 세퍼레이터 (132) 의 저판 (132a1) 은 단면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이 변형예의 플로트 밸브 (435) 는, 플로트부 (435a) 와, 접속 바 (435b) 와, 드레인 구멍 폐색 밸브체 (435c) 와, 회전 운동 지지부 (435e) 로 구성되어 있다.
이 변형예에 있어서는, 상기 서술한 다른 변형예와는 달리 드레인 구멍 폐색 밸브체 (435c) 가 제 1 실 (30a) 의 내측으로서, 드레인 구멍 (132d) 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즉, 이 변형예의 플로트 밸브 (435) 는 오일팬 세퍼레이터 (132) 의 저판 (132a1) 보다 상방으로서 제 1 실 (30a) 의 내측에 형성 및 배치되어 있다.
접속 바 (435b) 의 대략 중앙부에는, 구체형의 회전 운동 지점부 (435b3)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접속 바 (435b) 의 상단부는 플로트부 (435a) 의 하단부에 형성된 1 쌍의 리브 (435a4) 와, 핀 (435b4) 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즉, 플로트부 (435a) 는 핀 (435b4) 에 의해 회전 운동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접속 바 (435b) 의 하단부에는, 구체형의 드레인 구멍 폐색 밸브체 (435c) 가 접속되어 있다. 이 드레인 구멍 폐색 밸브체 (435c) 와 대향하도록, 오일팬 세퍼레이터 (132) 의 저판 (132a1) 에 있어서의 드레인 구멍 (132d) 의 주위에는, 가이드 경사면 (132d2) 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 경사면 (132d2) 은, 원추 오목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1 쌍의 회전 운동 지지부 (435e) 는, 오일팬 세퍼레이터 (132) 의 저판 (132a1) 으로부터 상방의 제 1 실 (30a) 을 향하여 수직 설치되어 있다. 이들 1 쌍의 회전 운동 지지부 (435e) 가 서로 대향하는 내측 표면에는 각각 지지 오목부 (435e1)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 오목부 (435e1) 는 회전 운동 지지부 (435e) 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또, 지지 오목부 (435e1) 는 회전 운동 지점부 (435b3) 와 거의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갖는 구면 형상의 오목부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서로 마주 보도록 형성된 1 쌍의 지지 오목부 (435e1) 의 내측에 구체 형상의 회전 운동 지점부 (435b3) 가 수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접속 바 (435b) 는 한 쌍의 회전 운동 지지부 (435e) 에 의해 회전 운동 지점부 (435b3) 및 지지 오목부 (435e1) 를 회전 운동 중심으로서 회전 운동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즉, 도 19A 를 참조하면, 접속 바 (435b) 는 상기 회전 운동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운동 지지부 (435e) 와 간섭하지 않는 정도로, 비교적 작은 각도로 회전 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도 19B 를 참조하면, 접속 바 (435b) 는 상기 회전 운동 중심을 중심으로서 드레인 구멍 폐색 밸브체 (435c) 가 오일팬 세퍼레이터 (132) 의 저판 (132a1) 에 맞닿는 (플로트부 (435a) 가 상기 상한 위치까지 상승한다) 상태에서 플로트부 (435a) 의 하단의 리브 (435a4) 가 저판 (132a1) 에 맞닿는 상태까지의 범위에서, 도면 중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19B 를 참조하면,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변형예의 플로트 밸브 (435) 에 있어서는, 제 1 실 (30a) 내의 오일 레벨의 상승에 수반하는 플로트부 (435a) 의 상승에 의해, 접속 바 (435b) 가 도면 중 반시계 방향 (제 1 방향) 으로 회전 운동한다. 이로써, 드레인 구멍 폐색 밸브체 (435c) 가 하강한다. 그리고, 플로트부 (435a) 가 상기 상한 위치까지 상승하면, 드레인 구멍 폐색 밸브체 (435c) 가 오일팬 세퍼레이터 (132) 의 저판 (131a1) 에 맞닿아, 드레인 구멍 (132d) 이 상방으로부터 폐색된다.
또, 이 플로트 밸브 (435) 에 있어서는 제 1 실 (30a) 내의 오일 레벨의 하강에 수반하는 플로트부 (435a) 의 하강에 의해 접속 바 (435b) 가 도면 중 시계 방향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의 제 2 방향) 으로 회전 운동한다. 이로써, 드레인 구멍 폐색 밸브체 (435c) 가 상승하여 드레인 구멍 (132d) 이 개방된다.
도 19A 를 참조하면, 이 플로트 밸브 (435) 에 있어서는 플로트부 (435a) 의 상승에 수반하는 드레인 구멍 폐색 밸브체 (435c) 의 하강시에 당해 드레인 구멍 폐색 밸브체 (435c) 가 드레인 구멍 (132d) 을 확실하게 폐색하도록 당해 드레인 구멍 (132d) 의 바로 위로 안내될 수 있다. 또한, 이 플로트 밸브 (435) 에 있어서는, 차량의 발진, 선회, 가속 등에 의해 가속도가 더해짐으로써 오일이 도면 중 좌우 방향으로 요동한 경우에도, 드레인 구멍 폐색 밸브체 (435c) 에 의한 드레인 구멍 (132d) 의 폐색이 확실하게 실시된다.
즉, 부력에 의한 플로트부 (435a) 의 상승의 반작용으로, 드레인 구멍 폐색 밸브체 (435c) 가 하방에 탄성 지지된다. 그러면, 구면 형상으로 형성된 당해 드레인 구멍 폐색 밸브체 (435c) 의 하면 (드레인 구멍 (132d) 과 대향하는 표면) 이, 원추 오목부 형상의 가이드 경사면 (132d2) 과 맞닿음으로써, 드레인 구멍 폐색 밸브체 (435c) 가 드레인 구멍 (132d) 의 바로 위로 안내되어 소정의 가압력으로 드레인 구멍 (132d) 을 상방으로부터 폐색한다.
이 변형예의 구성에 있어서는, 오일팬 커버 (131) 의 저판 (131a1) 과, 오일팬 세퍼레이터 (132) 의 저판 (132a1) 사이에 플로트 밸브 (435) 를 구성하는 부품이 배치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오일팬 커버 (131) 의 저판 (131a1) 이 상방으로 변형하여, 당해 저판 (131a1) 과 오일팬 세퍼레이터 (132) 의 저판 (132a1) 의 간격이 작아져도, 제 1 실 (30a) 내의 오일 레벨에 따른 플로트 밸브 (435) 의 작동이 방해되지 않는다. 따라서, 플로트 밸브 (435) 가 제 1 실 (30a) 내의 오일 레벨에 따라 확실하게 작동할 수 있다.
또, 본 구성에 의하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플로트 밸브 (435) 의 확실한 작동을 확보하면서, 오일팬 커버 (131) 의 저판 (131a1) 과 오일팬 세퍼레이터 (132) 의 저판 (132a1) 사이의 간극을 작게 할 수 있다.
이로써, 오일팬 세퍼레이터 (132) 의 저판 (132a1) 과 오일 스트레이너 (41) 의 오일 흡입구 (41a) (도 2 참조) 의 간격을 넓게 설정하여, 당해 오일 흡입구 (41a) 에 의한 오일의 흡입이 양호하게 실시될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정도로 넓게 설정하면서, 당해 저판 (132a1) 및 오일 흡입구 (41a) 를, 가급적 낮은 위치에 배치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배치에 의하면, 오일의 저류량이 적어진 경우에도, 제 1 실 (30a) 내의 오일 레벨이 오일 스트레이너 (41) 의 오일 흡입구 (41a) 보다 상방에 유지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상기 피윤활 기구로의 오일의 공급량의 부족의 발생이 가급적 억제될 수 있다. 또한, 당해 오일팬 (30) (도 1 참조) 및 제 1 실 (30a) 의 용량을 그만큼 크게 하지 않고, 상기 피윤활 기구에 대한 오일의 공급량이 확보될 수 있다. 따라서, 난기 운전시의 당해 제 1 실 (30a) 내의 오일의 승온이 보다 조기에 실시되어, 더욱 연비 저감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이 변형예의 플로트 밸브 (435) 에 있어서는, 제 2 실 (30b) (특히 오일팬 세퍼레이터 (132) 의 저판 (132a1) 의 하방에 형성된 제 2 실 (30b)) 내에 오일이 전혀 수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제 1 실 (30a) 내의 오일 레벨이 플로트부 (435a) 의 상기 상한 위치보다 상방에 있는 경우, 드레인 구멍 (132d) 이 개방 될 수 없다.
따라서, 이 변형예의 플로트 밸브 (435) 는, 도 2 에 나타내고 있는 구성의 오일팬 세퍼레이터 (132) 와 조합되어 적용된다.
즉, 오일 배출시에, 이 변형예의 플로트 밸브 (435) 의 개밸브 (플로트부 (435a) 의 하강 및 드레인 구멍 폐색 밸브체 (435c) 의 상승의 개시) 이 발생한 후에, 도 2 에 나타내고 있는 주유 밸브 (138) 가 개밸브되도록, 오일팬 세퍼레이터 (132), 주유 밸브 (138) 및 플로트 밸브 (435) 가 구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도 2 에 있어서의 돌출부 상판 (132b1) 및 주유 구멍 폐색 밸브체 (138a) 가 플로트부 (435a) 의 상기 상한 위치보다 낮아지도록 오일팬 세퍼레이터 (132), 주유 밸브 (138) 및 플로트 밸브 (435) 가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서술한 구성에 의하면 도 2 에 나타내고 있는 돌출부 (132b) 및 주유 밸브 (138) 가 오일팬 (130) 에 있어서의 저부에 형성되어 있는 구성과, 플로트 밸브 (435) 가 오일팬 세퍼레이터 (132) 의 저판 (132a1) 의 상측 (제 1 실 (30a) 의 내측) 에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 함께, 양호한 난기 성능과 오일 교환 작업의 신속성ㆍ확실성이 함께 달성될 수 있다.
(08) 도 20 은 도 2 에 나타내고 있는 오일팬 (130) 및 주유 밸브 (138) 의 다른 변형예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21 은 도 20 에 나타내고 있는 주유 밸브 (138) 의 평면도이다.
먼저 도 20 을 참조하면, 이 오일팬 (130) 에 있어서는 환류 오일 저류 세퍼레이터 (133) 의 수평 칸막이판 (133a) 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오일 레벨 게 이지 지지부 (133e) 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오일 레벨 게이지 지지부 (133e) 를 관통하도록 오일 레벨 게이지 지지 관통 구멍 (133d)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오일 레벨 게이지 지지 관통 구멍 (133d) 의 상단부로서, 오일 레벨 게이지 지지 관통 구멍 (133d) 의 주위에는 원추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레벨 게이지 가이드면 (133e1)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변형예에 있어서의 오일 레벨 게이지 지지 관통 구멍 (133d) 은, 오일 교환 장치시에 사용되는 주지의 오일 교환 장치에 있어서의, 오일의 배출 또는 주입용 튜브 (60) 가 삽입 통과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오일 교환 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6-191600호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42524호 등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의 것이 알려져 있다.
이 변형예에 있어서의 오일팬 세퍼레이터 (132) 의 돌출부 (132b) 는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의 구성 (도 2 참조) 와 동일하게 오일팬 (130) 의 저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 변형예에 있어서의 주유 밸브 (138) 는 돌출부 상판 (132b1) 및 주유 구멍 (132b2) 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당해 주유 밸브 (138) 는 주유 구멍 (132b2) 을 상방으로부터 폐색할 수 있음과 함께, 상기 서술한 튜브 (60) 가 오일 레벨 게이지 지지 관통 구멍 (133d) 에 삽입 통과된 경우에, 주유 구멍 (132b2) 을 개방할 수 있도록 이하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주유 밸브 (138) 는, 주유 구멍 폐색 밸브체 (138a) 와, 가이드 핀 (138b) 과, 스토퍼 (138c) 와, 링크 바 (138d) 와, 가이드 구멍 (138e) 과, 링크 지지 리브 (138f) 와, 핀 (138g) 과, 링크 하강 스토퍼 (138h) 와, 맞닿음부 (138k) 를 구비하고 있다.
주유 구멍 폐색 밸브체 (138a) 는, 주유 구멍 (132b2) 을 상방으로부터 폐색할 수 있도록, 당해 주유 구멍 (132b2) 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 주유 구멍 폐색 밸브체 (138a) 를 구성하는 재질도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주유 구멍 폐색 밸브체 (138a) 로부터 상방에 연장되도록, 둥근 봉형의 가이드 핀 (138b) 이 수직 설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 핀 (138b) 의 상단부에는 당해 가이드 핀 (138b) 보다 큰 외경을 갖는 스토퍼 (138c) 가 형성되어 있다.
봉형 부재로 이루어지는 링크 바 (138d) 의 일단부에는 관통 구멍으로서의 가이드 구멍 (138e) 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 구멍 (138e) 에는 가이드 핀 (138b) 이 자유롭게 상하 이동할 수 있게 삽입 통과되고 있다. 또, 가이드 구멍 (138e) 은, 그 개구경이 스토퍼 (138c) 보다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링크 바 (138d) 는, 도 20 에서 실선으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대략 수평 상태가 되어 있는 경우에, 가이드 구멍 (138e) 에 의해 주유 구멍 폐색 밸브체 (138a) 의 상하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링크 바 (138d) 는, 도 20 에서 2 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 운동한 경우에, 스토퍼 (138c) 및 가이드 핀 (138b) 를 통하여 주유 구멍 폐색 밸브체 (138a) 를 들어 올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오일팬 세퍼레이터 (132) 의 돌출부 상판 (132b1) 에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 되록 1 쌍의 링크 지지 리브 (138f) 가 수직 설치되어 있다. 이 한 쌍의 링크 지지 리브 (138f) 는, 핀 (138g) 을 통하여 링크 바 (138d) 를 회전 운동할 수 있게 지지하도록, 링크 바 (138d) 를 협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핀 (138g) 은 링크 바 (138d) 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보다, 가이드 구멍 (138e) 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일단부와 반대측의 타단부측으로 편중된 위치에서, 당해 링크 바 (138d) 를 회전 운동할 수 있게 지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링크 바 (138d) 에 있어서의 핀 (138g) 으로부터 상기 일단부측 (도면 중 좌측) 의 질량이 타단측 및 후술하는 맞닿음부 (138k) 의 질량보다 커지도록 핀 (138g) 의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돌출부 상판 (132b1) 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링크 하강 스토퍼 (138h) 가 수직 설치되어 있다.
이 링크 하강 스토퍼 (138h) 는, 링크 지지 리브 (138f) 와 주유 구멍 (132b2) 사이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 이 링크 하강 스토퍼 (138h) 는, 링크 바 (138d) 의 상기 일단부측의 자중에 의한 하강에 기초하여 당해 링크 바 (138d) 의 핀 (138g) 을 중심으로 한 도면 중 반시계 방향의 회전을 받아들여, 당해 링크 바 (138d) 의 상기 일단부측을 대략 수평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링크 바 (138d) 의 상기 일단부와 반대측의 외단부에는, 맞닿음부 (138k) 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 맞닿음부 (138k) 는 평판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맞닿음부 (138k) 는 오일 레벨 게이지 지지 관통 구멍 (133d) 의 중심축선의 연장선 상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맞닿음부 (138k) 는 상기 서술한 튜브 (60) 가 오일 레벨 게이지 지지 관통 구멍 (133d) 에 삽입 통과된 경우에 당해 튜브 (60) 의 선단부와 맞닿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 20 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맞닿음부 (138k) 는 오일 레벨 게이지 지지부 (133e) 에 오일 레벨 게이지 (50) 가 지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당해 오일 레벨 게이지 (50) 의 선단과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변형예의 주유 밸브 (138) 는, 오일 레벨 게이지 지지부 (133e) 의 오일 레벨 게이지 지지 관통 구멍 (133d) 에 대하여, 오일 레벨 게이지 (50) 대신에 튜브 (60) 가 삽입 통과된 경우에, 도면 중 2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링크 바 (138d) 가 회전 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당해 주유 밸브 (138) 는, 이 경우에 링크 바 (138d) 에 의해 주유 구멍 폐색 밸브체 (138a) 가 들어올려짐으로써, 주유 구멍 (132b2) 이 강제적으로 개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링크부는 링크 바 (138d) 와, 링크 지지 리브 (138f) 와, 핀 (138g) 과, 맞닿음부 (138k) 로 구성되어 있다.
도 21 을 참조하면, 맞닿음부 (138k) 의 상측 표면에는, 돌기 (138k1) 및 홈 (138k2) 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평판에 널링 (룰렛)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당해 돌기 (138k1) 및 홈 (138k2) 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돌기 (138k1) 및 홈 (138k2) 은, 튜브 (60) 의 상기 선단부에 형성된 개구인 튜브 선단 개구 (60a) 와 맞닿음부 (138k) 가 맞닿은 경우에, 당해 튜브 선 단 개구 (60a) 의 가장자리와 맞닿음부 (138k) 사이에서 간극이 형성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시 도 20 을 참조하면, 이러한 변형예의 구성에 있어서 엔진 운전 중에는 오일 레벨 게이지 (50) 가 오일 레벨 게이지 지지부 (133e) 에 지지되어 있다. 즉, 엔진 운전 중에는 오일 레벨 게이지 (50) 가 오일 레벨 게이지 지지 관통 구멍 (133d) 에 삽입 통과되고 있다.
이 경우, 당해 오일 레벨 게이지 (50) 의 선단은 맞닿음부 (138k) 와 맞닿지 않는다. 따라서, 이 경우, 주유 구멍 (132b2) 은 개방되지 않는다. 따라서, 특히 난기 운전 중에 있어서의 주유 구멍 (132b2) 의 폐색 상태가 확보된다.
한편,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오일 교환이 실시될 때에는, 가이드 핀 (138b) 의 상하 이동이 가이드 구멍 (138e) 에 의해 가이드됨으로써, 주유 구멍 폐색 밸브체 (138a) 가 상하 이동한다. 이로써,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제 1 실 (30a) 과 제 2 실 (30b) 사이의 오일 레벨의 조정이 실시된다.
또,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와는 달리, 상기 오일 교환 장치를 사용한 오일 교환이 실시되는 경우에는, 튜브 (60) 가 오일 레벨 게이지 지지 관통 구멍 (133d) 에 삽입 통과된다. 그러면, 당해 튜브 (60) 의 선단부가 맞닿음부 (138k) 와 맞닿는다. 그리고, 맞닿음부 (138k) 가 튜브 (60) 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된다.
이 경우, 링크 바 (138d) 는, 도면 중 2 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도면 중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링크 바 (138d) 의 회전에 의해, 주유 구멍 폐색 밸브체 (138a) 가 가이드 핀 (138b) 및 스토퍼 (138c) 를 통하여 상방으로 들어 올려진다. 이로써, 주유 구멍 (132b2) 이 개방된다.
따라서, 당해 오일팬 (130) 내에 저류된 오일이 튜브 (60) 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때에 주유 구멍 (132b2) 을 통하여 오일이 제 1 실 (30a) 과 제 2 실 (30b) 사이를 용이하게 유통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당해 제 1 실 (30a) 및 제 2 실 (30b) 내에 저류된 오일이 튜브 (60) 를 통하여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된다.
또, 오일의 전체량이 배출되어 비어 있는 당해 오일팬 (130) 내에, 신선한 오일이 튜브 (60) 를 통하여 주입될 때에, 주유 구멍 (132b2) 을 통하여 오일이 제 1 실 (30a) 과 제 2 실 (30b) 사이를 용이하게 유통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제 1 실 (30a) 및 제 2 실 (30b) 의 쌍방에 신선한 오일이 신속하게 널리 퍼진다.
또한, 튜브 (60) 의 길이가 짧은 경우, 튜브 선단 개구 (60a) 가 맞닿음부 (138k) 의 상측 표면과 맞닿은 채인 상태에서 오일의 배출 및 주입이 실시되는 경우가 있다.
무엇보다, 본 구성에 있어서는 맞닿음부 (138k) 의 상측 표면에는 돌기 (138k1) 및 홈 (138k2) 이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 (138k1) 및 홈 (138k2) 에 의해, 맞닿음부 (138k) 의 상측 표면과 튜브 선단 개구 (60a)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된다. 따라서, 튜브 선단 개구 (60a) 가 막히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이 변형예의 구성에 의하면, 운전시의 주유 구멍 (132b2) 의 폐색과, 상기 오일 교환 장치를 사용한 오일 교환 작업시의 주유 구멍 (132b2) 의 개방이 간략한 장치 구성에 의해 확실하게 실시될 수 있다.
(09) 본 발명의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와 같은 엔진 이외에도 예를 들어, 자동 변속기 등, 오일팬을 구비한 각종의 윤활 장치에 대해 적용할 수 있다.
(10) 연통 밸브 (136) 및/또는 오일 환류 제어 밸브 (137) 로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소위 서모스탯 밸브 장치 외에, 전자 밸브, 유압 작동 밸브, 공기압 작동 밸브 등, 외부 장치 (엔진 컨트롤 유닛) 에 의해 개폐나 개도를 제어할 수 있는 구조의 밸브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또, 연통 밸브 (136) 및/또는 오일 환류 제어 밸브 (137) 에 히터를 장착함으로써, 상기 외부 장치에 의한 강제적인 개밸브가 가능해진다.
(11) 오일팬 세퍼레이터 (132) 와, 환류 오일 저류 세퍼레이터 (133) 는 별도의 부재로서 독립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오일팬 세퍼레이터 (132) 와, 환류 오일 저류 세퍼레이터 (133) 는, 접착, 끼워 넣기, 볼트 조임 등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12) 환류 오일 저류 세퍼레이터 (133) 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환류 오일 저류실 (30c) 은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오일팬 세퍼레이터 (132) 에 있어서의 제 1 실 형성용 오목부 (132a) 보다 외측 (상측) 의 부분은, 상방을 향함에 따라 스트레이너 유로 (43) 로부터 멀어지는 경사면을 구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당해 부분은, 오일이 제 1 실 (30a) 을 향하여 원활하게 흘러 떨어지는 경사면을 구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당해 부분에, 오일 레벨 게이지 지지 관통 구멍 (133d) 및 오일 레벨 게이지 지지부 (133e) 가 형성될 수 있다.
(13) 로어 케이스 (134) 는, 실린더 블록 (20a) 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혹은, 로어 케이스 (134) 는, 오일팬 커버 (131) 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로어 케이스 (134) 는 오일팬 세퍼레이터 (132) 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지장없다.
(14) 오일팬 세퍼레이터 (132) 에 돌출부 (132b) 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 주유 밸브 (138) 는 측판 (132a2) 의 저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당해 주유 밸브 (138) 가 형성되는 측판 (132a2) 의 부분은, 하방을 향함에 따라 스트레이너 유로 (43) 로부터 멀어지는 경사면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주유 구멍 폐색 밸브체 (138a) 로서 상단부가 당해 측판 (132a2) 에 의해 회전 운동할 수 있게 지지되는 평판상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15) 상기 오일 교환 장치에 있어서의 튜브 (60) 의 비장착시에서, 링크 바 (138d) 를 대략 수평으로 유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여러 가지가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핀 (138g) 의 주위를 둘러싸듯이 형성된 토션 스프링이 이용될 수 있다. 또는, 링크 바 (138d) 의 상기 일단부측과, 오일팬 세퍼레이터 (132) 에 있어서의 돌출부 (132b) 의 상단부를 구성하는 돌출부 상판 (132b1) 사이를 걸치도록 배치된 코일 스프링이 이용될 수 있다.
(16) 돌기 (138k1) 및 홈 (138k2) 은, 상기 서술한 널링 (룰렛) 가공 외에, 샌드 블라스트 가공, 홈 가공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맞닿음부 (138k) 에 구멍 내기나 관통 구멍의 형성을 실시함으로써, 맞닿음부 (138k) 에 요 철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17) 그 밖에, 특별에 언급되어 있지 않은 변형예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본질적 부분을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각 실시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던 구성 요소는, 이음새 없이 일체로 성형되어 있어도 되고, 복수의 별체의 파트를 접착ㆍ용착ㆍ나사 고정 등에 의해 접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연통 밸브 (136) 는 생략될 수 있다 (도 22 참조).
(18) 또,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을 구성하는 각 요소에 있어서의, 작용ㆍ기능적으로 표현되고 있는 요소는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ㆍ실시예나 변형예에서 개시되어 있는 구체적 구조 외에, 당해 작용ㆍ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어떠한 구조도 포함한다.

Claims (26)

  1. 피윤활 기구의 윤활을 위한 오일을 당해 피윤활 기구를 향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윤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일을 내측의 공간 내에서 저류할 수 있도록 구성된 오일팬과,
    그 오일팬 내에 저류된 상기 오일을 상기 피윤활 기구를 향하여 송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오일 펌프와,
    상기 공간 내에 있어서의 상기 오일의 흡입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오일 펌프와 오일 유로에 의해 접속된 오일 스트레이너를 구비하고,
    상기 오일팬은,
    상기 피윤활 기구를 향하여 개구하는 오일 저류용 오목부를 구비한 오일팬 커버와,
    상기 오일 저류용 오목부의 내측의 공간을 상기 오일 스트레이너의 상기 흡입구가 저부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피윤활 기구와 연통하도록 당해 피윤활 기구를 향하여 개구하는 제 1 실과, 그 제 1 실과 인접하는 제 2 실로 분할하도록 구성 및 배치된 오일팬 세퍼레이터와,
    상기 오일팬 세퍼레이터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실 내의 오일 레벨과 상기 제 2 실 내의 오일 레벨 차에 의해 작동함으로써, 실질적으로 당해 제 1 실에서 당해 제 2 실로의 상기 오일의 유출만을 허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일방향 밸브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팬 세퍼레이터는,
    저판과,
    그 저판을 둘러듯이 형성되어 있고, 당해 저판의 단부와 접속된 측판을 구비하고,
    상기 측판과 상기 저판으로 형성된 제 1 실 형성용 오목부가, 상기 피윤활 기구를 향하여 개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팬 세퍼레이터에 있어서의, 상기 저판과 상기 측판의 상단부 사이에는, 관통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주유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일방향 밸브는, 상기 제 1 실 내의 오일 레벨과 상기 제 2 실 내의 오일 레벨 차의 상태에 따라, 상기 주유 구멍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 및 배치된 주유 구멍 폐색 밸브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유 구멍 폐색 밸브체의 외연과, 상기 주유 구멍의 내연이, 선 접촉 하도록, 당해 주유 구멍 및 당해 주유 구멍 폐색 밸브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 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팬 세퍼레이터에 있어서의 상기 측판과 상기 저판의 접속부와, 상기 측판의 상단 사이에는, 상기 오일팬의 외측을 향하여 측방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주유 구멍은, 상기 돌출부의 상단부를 구성하는 돌출부 상판에 형성되고,
    상기 주유 구멍 폐색 밸브체는, 자중에 의해 하강함으로써 상기 주유 구멍을 상기 돌출부 상판의 상방으로부터 폐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 장치.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봉형 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오일팬 내의 오일 레벨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한 오일 레벨 게이지를 삽입 통과시킬 수 있는 오일 레벨 게이지 삽입 통과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당해 오일 레벨 게이지 삽입 통과 구멍에 상기 오일 레벨 게이지를 삽입 통과시킴으로써 당해 오일 레벨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오일 레벨 게이지 지지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일방향 밸브는, 상기 오일 레벨 게이지 지지부에 있어서의 상기 오일 레벨 게이지 삽입 통과 구멍에, 상기 오일 레벨 게이지 대신에, 오일 교환시에 사용되는 오일 교환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오일의 배출 또는 주입용의 튜브가 삽입 통과된 경우에, 상기 주유 구멍 폐색 밸브체가 상기 주유 구멍을 개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 밸브는,
    상기 오일 레벨 게이지 삽입 통과 구멍의 중심축선의 연장선 상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튜브가 상기 오일 레벨 게이지 삽입 통과 구멍에 삽입 통과된 경우에, 상기 튜브의 선단부와 맞닿을 수 있도록 구성된 맞닿음부와,
    그 맞닿음부와 상기 튜브의 상기 선단부가 맞닿아 당해 선단부에 의해 상기 맞닿음부가 가압된 경우에, 상기 주유 구멍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상기 주유 구멍 폐색 밸브체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링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부의 표면에는, 상기 튜브의 상기 선단부에 형성된 개구인 튜브 선단 개구와 맞닿은 경우에 당해 튜브 선단 개구의 가장자리와의 사이에서 간극이 형성될 수 있는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 장치.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부는, 상기 오일 레벨 게이지 지지부에 상기 오일 레벨 게이지가 지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당해 오일 레벨 게이지의 선단과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 장치.
  10. 제 2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윤활 장치로서,
    상기 오일팬 세퍼레이터의 상기 저판과 상기 오일팬 커버의 저부 사이에는, 상기 제 2 실을 구성하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 장치.
  11. 제 10 항에 기재된 윤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 내의 오일 레벨에 따라 작동함으로써, 상기 제 2 실을 구성하는 상기 간극과 그 상방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실의 저부를 연통시키도록 상기 오일팬 세퍼레이터의 상기 저판에 형성된 관통 구멍인 드레인 구멍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 플로트 밸브를 추가로 구비하고,
    그 플로트 밸브는,
    상기 제 1 실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고, 당해 제 1 실 내에 저류된 상기 오일중에서 부력에 의해 부상할 수 있도록 구성된 플로트부와,
    상기 제 1 실 내의 오일 레벨의 상승에 수반하는 상기 플로트부의 상승에 의해, 상기 드레인 구멍을 폐색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밸브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기구는,
    상기 제 1 실의 내측으로서, 상기 드레인 구멍의 상방에 배치된 드레인 구멍 폐색 밸브체와,
    그 드레인 구멍 폐색 밸브체와 상기 플로트부를 접속하는 접속 바와,
    그 접속 바를 회전 운동할 수 있게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 1 실 내의 오일 레벨의 상승에 수반하는 상기 플로트부의 상승에 의해 상기 접속 바가 제 1 방향으로 회전 운동함으로써 상기 드레인 구멍 폐색 밸브체가 하강하고, 상기 제 1 실 내의 오일 레벨의 하강에 수반하는 상기 플로트부의 하강에 의해 상기 접속 바가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의 제 2 방향으로 회전 운동함으로써 상기 드레인 구멍 폐색 밸브체가 상승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 장치.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 밸브는, 상기 플로트 밸브에 있어서의 상기 플로트부의 상한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 장치.
  14. 피윤활 기구의 윤활을 위한 오일을 저류할 수 있도록 구성된 오일팬에 있어서,
    상기 피윤활 기구를 향하여 개구하는 오일 저류용 오목부를 구비한 오일팬 커버와,
    상기 오일 저류용 오목부의 내측의 공간을, 상기 피윤활 기구와 연통하도록 당해 피윤활 기구를 향하여 개구하는 제 1 실과, 그 제 1 실과 인접하는 제 2 실로 분할하도록 구성 및 배치된 오일팬 세퍼레이터와,
    상기 오일팬 세퍼레이터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실 내의 오일 레벨과 상기 제 2 실 내의 오일 레벨 차에 의해 작동함으로써, 실질적으로 당해 제 1 실에서 당해 제 2 실로의 상기 오일의 유출만을 허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일방향 밸브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팬.
  15. 제 14 항에 기재된 오일팬으로서,
    상기 오일팬 세퍼레이터는,
    저판과,
    그 저판을 둘러싸듯이 형성되어 있고, 당해 저판의 단부와 접속된 측판을 구비하고,
    상기 측판과 상기 저판으로 형성된 제 1 실 형성용 오목부가, 상기 피윤활 기구를 향하여 개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팬.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팬 세퍼레이터에 있어서의, 상기 저판과 상기 측판의 상단부의 사이에는, 관통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주유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일방향 밸브는, 상기 제 1 실 내의 오일 레벨과 상기 제 2 실 내의 오 일 레벨 차의 상태에 따라, 상기 주유 구멍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 및 배치된 주유 구멍 폐색 밸브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팬.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주유 구멍 폐색 밸브체의 외연과, 상기 주유 구멍의 내연이, 선 접촉 하도록, 당해 그 주유 구멍 및 당해 주유 구멍 폐색 밸브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팬.
  18.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기재된 오일팬으로서,
    상기 오일팬 세퍼레이터에 있어서의, 상기 측판과 상기 저판의 접속부와, 상기 측판의 상단 사이에는, 상기 오일팬의 외측을 향하여 측방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주유 구멍은, 상기 돌출부의 상단부를 구성하는 돌출부 상판에 형성되고,
    상기 주유 구멍 폐색 밸브체는, 자중에 의해 하강함으로써 상기 주유 구멍을 상기 돌출부 상판의 상방으로부터 폐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팬.
  19. 제 16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오일팬에 있어서,
    봉형 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오일팬 내의 오일 레벨을 육안으로 확인하 기 위한 오일 레벨 게이지를 삽입 통과시킬 수 있는 오일 레벨 게이지 삽입 통과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당해 오일 레벨 게이지 삽입 통과 구멍에 상기 오일 레벨 게이지를 삽입 통과시킴으로써 당해 오일 레벨 게이지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오일 레벨 게이지 지지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일방향 밸브는, 상기 오일 레벨 게이지 지지부에 있어서의 상기 오일 레벨 게이지 삽입 통과 구멍에, 상기 오일 레벨 게이지 대신에, 오일 교환시에 사용되는 오일 교환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오일의 배출 또는 주입용 튜브가 삽입 통과된 경우에, 상기 주유 구멍 폐색 밸브체가 상기 주유 구멍을 개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팬.
  20. 제 19 항에 기재된 오일팬으로서,
    상기 일방향 밸브는,
    상기 오일 레벨 게이지 삽입 통과 구멍의 중심축선의 연장선 상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튜브가 상기 오일 레벨 게이지 삽입 통과 구멍에 삽입 통과된 경우에, 상기 튜브의 선단부와 맞닿을 수 있도록 구성된 맞닿음부와,
    그 맞닿음부와 상기 튜브의 상기 선단부가 맞닿아 당해 선단부에 의해 상기 맞닿음부가 가압된 경우에, 상기 주유 구멍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상기 주유 구멍 폐색 밸브체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링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팬.
  21. 제 20 항에 기재된 오일팬으로서,
    상기 맞닿음부의 표면에는, 상기 튜브의 상기 선단부에 형성된 개구인 튜브 선단 개구와 맞닿은 경우에 당해 튜브 선단 개구의 가장자리 사이에서 간극이 형성될 수 있는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팬.
  22. 제 20 항 또는 제 21 항에 기재된 오일팬으로서,
    상기 맞닿음부는, 상기 오일 레벨 게이지 지지부에 상기 오일 레벨 게이지가 지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당해 오일 레벨 게이지의 선단과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팬.
  23. 제 15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오일팬으로서
    상기 오일팬 세퍼레이터의 상기 저판과 상기 오일팬 커버의 저부 사이에는, 상기 제 2 실을 구성하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팬.
  24. 제 23 항에 기재된 오일팬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 내의 오일 레벨에 따라 작동함으로써, 상기 제 2 실을 구성하는 상기 간극과 그 상방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실의 저부를 연통시키도록 상기 오일팬 세퍼레이터의 상기 저판에 형성된 관통 구멍인 드레인 구멍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 플로트 밸브를 추가로 구비하고,
    그 플로트 밸브는,
    상기 제 1 실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고, 당해 제 1 실 내에 저류된 상기 오일 중에서 부력에 의해 부상할 수 있도록 구성된 플로트부와,
    상기 제 1 실 내의 오일 레벨의 상승에 수반하는 상기 플로트부의 상승에 의해, 상기 드레인 구멍을 폐색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밸브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팬.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기구는,
    상기 제 1 실의 내측으로서, 상기 드레인 구멍의 상방에 배치된 드레인 구멍 폐색 밸브체와,
    그 드레인 구멍 폐색 밸브체와 상기 플로트부를 접속하는 접속 바와,
    그 접속 바를 회전 운동할 수 있게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 1 실 내의 오일 레벨의 상승에 수반하는 상기 플로트부의 상승에 의해 상기 접속 바가 제 1 방향으로 회전 운동함으로써 상기 드레인 구멍 폐색 밸브체가 하강하고, 상기 제 1 실 내의 오일 레벨의 하강에 수반하는 상기 플로트부의 하강에 의해 상기 접속 바가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의 제 2 방향으로 회전 운동함으로써 상기 드레인 구멍 폐색 밸브체가 상승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팬.
  26. 제 24 항 또는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 밸브는, 상기 플로트 밸브에 있어서의 상기 플로트부의 상한 위 치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팬.
KR1020087019246A 2006-02-07 2007-02-07 윤활 장치 및 오일팬 KR1010186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29351 2006-02-07
JPJP-P-2006-00029351 2006-02-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1210A true KR20080091210A (ko) 2008-10-09
KR101018617B1 KR101018617B1 (ko) 2011-03-03

Family

ID=38345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9246A KR101018617B1 (ko) 2006-02-07 2007-02-07 윤활 장치 및 오일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020666B2 (ko)
EP (1) EP1983164B1 (ko)
JP (1) JP4605228B2 (ko)
KR (1) KR101018617B1 (ko)
CN (1) CN101415914B (ko)
DE (1) DE602007009644D1 (ko)
WO (1) WO20070917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27756B2 (ja) * 2005-03-22 2009-09-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油圧回路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ハイブリッド駆動装置
US20080169030A1 (en) * 2007-01-12 2008-07-1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Valve Assembly for Transmission Fluid Level Management
DE202008010865U1 (de) * 2008-08-14 2010-01-07 Mann+Hummel Gmbh Ölwanne
JP5151810B2 (ja) * 2008-08-27 2013-02-2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ダンパ装置
JP5513925B2 (ja) * 2010-02-25 2014-06-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クランクケース構造
JP2011208543A (ja) * 2010-03-29 2011-10-20 Daikyonishikawa Corp オイル濾過装置及びオイルパン
JP5202596B2 (ja) 2010-09-15 2013-06-05 太平洋工業株式会社 オイルパン内槽弁構造
CN102465790B (zh) * 2010-11-08 2013-11-06 光阳工业股份有限公司 曲轴箱的导流构造
CN102094693A (zh) * 2011-02-27 2011-06-15 康秀立 油水指示器
US20140026988A1 (en) * 2012-07-27 2014-01-3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ctive hydraulic fluid level control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FR2995937B1 (fr) * 2012-09-21 2014-09-26 Exoes Ensemble de production d'electricite a moteur a pression de vapeur
US9458922B2 (en) * 2012-10-26 2016-10-04 Dana Automotive Systems Group, Llc Lubricant management system
CN102979597A (zh) * 2012-12-25 2013-03-20 优华劳斯汽车系统(上海)有限公司 一种分油底壳式内燃发动机
CN103075504B (zh) * 2013-01-24 2015-05-13 天津博宜特科技有限公司 往复式滤油、换油清洗机
US9816601B2 (en) * 2013-03-11 2017-11-14 Bell Helicopter Textron Inc. Lubrication system with passive valve
US9206944B2 (en) * 2013-03-11 2015-12-08 Bell Helicopter Textron Inc. Lubrication system with passive drain valve
US9958054B2 (en) * 2013-05-29 2018-05-01 Eaton Corporation Shield for transmission fluid sump
JP6094893B2 (ja) 2013-11-07 2017-03-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トランスミッションのオイルリザーバ構造
US20160069452A1 (en) * 2014-09-04 2016-03-1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ctive electromechanical armature assembly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DE102015003282B4 (de) * 2015-03-14 2017-06-29 Neander Motors Ag Wannensystem für eine Maschinengehäusestruktur einer Brennkraftmaschine
CN106703932A (zh) * 2015-07-23 2017-05-24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油底壳组件
CN105179603A (zh) * 2015-09-11 2015-12-23 陈伟 双区式夹层箱体水冷少齿差减速箱
CN105156641A (zh) * 2015-09-21 2015-12-16 陈伟 双区式夹层箱体风冷动平衡少齿差减速箱
CN105240496A (zh) * 2015-09-25 2016-01-13 陈伟 双区式夹层箱体风冷差动行星减速箱
CN105221714A (zh) * 2015-09-25 2016-01-06 陈伟 双区式夹层箱体水冷星轮减速箱
US9410609B1 (en) * 2015-09-29 2016-08-09 Borgwarner Inc. Passively fed bypass filter for splash lubrication
CN105387144A (zh) * 2015-11-25 2016-03-09 陈伟 盾构机双区式分流输出风冷摆线减速箱
DE102016207456A1 (de) * 2016-04-29 2017-11-02 Zf Friedrichshafen Ag Verdrängungskörper in einem Fahrzeuggetriebe
DE102016214754A1 (de) * 2016-08-09 2018-02-15 Zf Friedrichshafen Ag Getriebe sowie Kraftfahrzeug
FR3057610B1 (fr) * 2016-10-18 2019-11-22 Novares France Carter d'huile
CN106555634B (zh) * 2016-11-16 2018-04-10 中国北方发动机研究所(天津) 一种活塞式发动机防翻转干式油底壳
US10190673B2 (en) 2016-11-30 2019-01-29 Dana Heavy Vehicle Systems, Llc Active oil management system for axles
DE102017105539A1 (de) * 2017-03-15 2018-09-20 Elringklinger Ag Ölwanne
JP6809393B2 (ja) * 2017-06-20 2021-01-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動力伝達装置の潤滑装置
WO2019221068A1 (ja) * 2018-05-17 2019-11-21 ジヤトコ株式会社 動力伝達装置
CN109139179A (zh) * 2018-08-08 2019-01-04 东风汽车集团有限公司 一种可变油量油底壳
JP7263795B2 (ja) * 2019-01-25 2023-04-25 スズキ株式会社 内燃機関のカバー構造
CN110056613B (zh) * 2019-05-05 2020-11-24 龙工(福建)桥箱有限公司 润滑油自动补给的变速箱
GB2589562A (en) * 2019-11-15 2021-06-09 Cummins Inc Lubrication fluid drainage system
CN112196980B (zh) * 2020-09-25 2022-11-04 中国直升机设计研究所 一种双余度滑油系统
CN112196982B (zh) * 2020-09-30 2022-09-20 平邑万通机械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变速箱的负压降温机构
DE102020213955A1 (de) * 2020-11-06 2022-05-12 Zf Friedrichshafen Ag Ölversorgungssystem für ein Automatikgetriebe
CN112777558B (zh) * 2021-01-18 2022-12-06 广东韶钢松山股份有限公司 一种抽油装置
EP4124780A1 (en) * 2021-07-30 2023-02-01 General Electric Company Oil supply system with vacuum pump for transmission of drive system
CN114109558B (zh) * 2021-11-10 2023-05-12 力帆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摩托车发动机润滑油道结构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17743C2 (de) * 1978-04-22 1986-04-30 Audi AG, 8070 Ingolstadt Einrichtung zur Regelung der Schmieröltemperatur einer Brennkraftmaschine mit einem Ölbehälter
JPS5832079Y2 (ja) * 1978-08-31 1983-07-15 マツダ株式会社 エンジンの潤滑装置
JPS5776217A (en) * 1980-10-29 1982-05-13 Nissan Motor Co Ltd Lubricating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S60128917A (ja) 1983-12-14 1985-07-10 Mazda Motor Corp エンジンのオイルパン
JPS619510U (ja) * 1984-06-21 1986-01-21 ヤンマーディーゼル株式会社 立形内燃機関の潤滑油排出装置
JPS6166813A (ja) 1984-09-10 1986-04-05 Nissan Motor Co Ltd 内燃機関用オイルパン
DE3729545C2 (de) 1986-09-17 1997-07-31 Volkswagen Ag Ölwanne für eine einen Ventiltrieb und einen Kurbeltrieb enthaltende Brennkraftmaschine
JPH041613U (ko) * 1990-04-18 1992-01-08
US5454355A (en) * 1994-06-01 1995-10-03 K.J. Manufacturing Company Engine oil inlet adapter
KR0163000B1 (ko) * 1995-10-11 1998-12-15 전성원 오일 펌프 장입형 윤활장치
JP2001152825A (ja) 1999-11-25 2001-06-05 Mitsubishi Motors Corp エンジンのオイルパン
JP4267256B2 (ja) 2001-07-25 2009-05-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オイルパン構造及びオイルパンセパレータ
US6637551B2 (en) * 2001-08-21 2003-10-28 Delphi Technologies, Inc. Check ball filter for transmissions
JP4400910B2 (ja) 2003-07-02 2010-01-20 日本サーモスタット株式会社 内燃機関用オイルパン
JP4128497B2 (ja) * 2003-07-30 2008-07-30 太平洋工業株式会社 二重オイルパンのドレイン構造及び内部容器
TWM248650U (en) * 2003-11-12 2004-11-01 Shiue-Chin Jang Improved oil drain plug structure for automobiel oil pan
US7143867B2 (en) * 2003-11-24 2006-12-0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Electronic oil level detection and replacement system
JP2005172206A (ja) 2003-12-15 2005-06-30 Alps Electric Co Ltd 逆止弁
JP4420026B2 (ja) * 2004-10-05 2010-02-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オイルパン及び潤滑装置
JP4420111B2 (ja) * 2005-03-08 2010-02-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二槽式オイルパン及びこれを備えたエンジ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14248A1 (en) 2009-01-15
JP4605228B2 (ja) 2011-01-05
EP1983164A1 (en) 2008-10-22
EP1983164A4 (en) 2009-07-01
CN101415914A (zh) 2009-04-22
KR101018617B1 (ko) 2011-03-03
CN101415914B (zh) 2011-05-25
DE602007009644D1 (de) 2010-11-18
WO2007091720A1 (ja) 2007-08-16
EP1983164B1 (en) 2010-10-06
JPWO2007091720A1 (ja) 2009-07-02
US8020666B2 (en) 2011-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8617B1 (ko) 윤활 장치 및 오일팬
KR100849050B1 (ko) 오일 팬 및 윤활 장치
US7654241B2 (en) Dual-chamber type oil pan and engine equipped with same
US8376088B2 (en) Twin lubrication tank filling system
US9382821B2 (en) Biased normally open check valve assembly
CA2600135A1 (en) Lubrication apparatus
US9534520B2 (en) Temperature-controlled segregation of hot and cold oil in a sump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4506513B2 (ja) 潤滑機構付き機械
JP5044478B2 (ja) オイル貯留装置
JP2008303720A (ja) エンジンのオイル循環装置
JP4582115B2 (ja) オイルパン構造
WO2009044835A1 (ja) 潤滑装置、オイル貯留装置、及びオイルパン仕切装置
JP4167102B2 (ja) 内燃機関の潤滑装置
JP2008038840A (ja) エンジンの潤滑装置
JP2008208736A (ja) オイル循環装置
JP4400910B2 (ja) 内燃機関用オイルパン
JP2010084561A (ja) オイルパン構造
JP2006125303A (ja) 潤滑装置、オイルパンセパレーター、及びオイルレベルゲージ
JP2007231904A (ja) オイル貯留装置
JP2008215296A (ja) 潤滑装置及びオイル貯留装置
JP2007138821A (ja) 二槽式オイルパン
JP2023147848A (ja) オイルストレーナ
JPH0893646A (ja) 密閉型電動圧縮機
JP2004190599A (ja) エンジンの潤滑構造
KR20020047349A (ko) 오일팬내 엔진오일의 유면높이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