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2471A - 물품 수납 설비 - Google Patents

물품 수납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2471A
KR20080082471A KR1020080020005A KR20080020005A KR20080082471A KR 20080082471 A KR20080082471 A KR 20080082471A KR 1020080020005 A KR1020080020005 A KR 1020080020005A KR 20080020005 A KR20080020005 A KR 20080020005A KR 20080082471 A KR20080082471 A KR 200800824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article storage
storage shelf
guide
sh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0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9365B1 (ko
Inventor
미쓰루 요시다
요시타카 이누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20080082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2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9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9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07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65G37/02Flow-sheets for conveyor combinations in warehouses, magazines or worksho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6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wafers being stored in a carrier, involving loading and unloading
    • H01L21/67769Stora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97Wafer cassette

Abstract

본 발명은 물품 수납 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물품 수납 선반의 구성을 간소하게 하여, 전체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는 물품 수납 설비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품 수납 선반의 물품 반출입용의 물품 탑재체(50)를, 그 물품 수납 선반(1)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물품 수수용의 돌출 위치와, 물품 수납 선반의 내부에 퇴피하는 퇴피 위치로 출퇴 가능하게 설치하고, 물품 반송체(3)를, 물품 수납 선반에 대한 물품 이재 개소에 정지한 상태에서, 돌출 위치의 물품 탑재체(50)에 대하여 물품(5)을 전달, 및 수취하도록 구성하고, 그 물품 반송체(3)에, 물품 이재 개소에 정지한 상태에서, 물품 탑재체(50)를 돌출 위치와 퇴피 위치로 출퇴 조작하는 출퇴 조작 수단 S1을 설치한다.

Description

물품 수납 설비{ARTICLE STORAGE FACILITY}
본 발명은,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복수개의 물품 수납부가 수평 방향과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로 구비한 물품 수납 선반과, 상기 물품 수납 선반에 대한 물품 이재(移載) 개소를 경유하는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한 물품 반송체가 설치되고, 상기 물품 수납 선반에 대한 물품 반출입용의 물품 탑재체가, 그 물품 수납 선반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물품 수수(授受)용의 돌출 위치와, 상기 물품 수납 선반의 방향으로 퇴피하는 퇴피 위치에 출퇴 가능하게 상기 물품 수납 선반에 설치되고, 상기 물품 반송체가, 상기 물품 이재 개소에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돌출 위치의 상기 물품 탑재체에 대하여 물품을 전달, 및 수취하도록 구성된 물품 수납 설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물품 수납 설비에서는, 물품 탑재체를 돌출 위치와 퇴피 위치로 출퇴 가능하게 설치하여, 물품의 반출입을 행하지 않을 때는, 물품 탑재체를 퇴피 위치에 퇴피시켜 두고, 물품 수납 선반에 대하여 물품을 반출입할 수 있도록 물품 반송체가 물품 이재 개소에 정지하여 물품 탑재체에 대하여 물품을 전달, 및 수취할 때는, 물품 반송체에 의해 물품을 전달, 및 수취하도록 물품 탑재체를 돌출 위치에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그리고, 물품 수납 선반에, 물품 탑재체를 돌출 위치와 퇴피 위치로 출퇴 조작하는 출퇴 조작 수단이 설치되어 있었다(예를 들면, WO2004/034438, 또는 이에 대응하는 일본국 특표 2006-515256 참조).
부언하면, 물품 수납 선반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출 위치와 물품 수납 선반의 내부에 퇴피하는 퇴피 위치로 출퇴 가능한 물품 탑재체를 설치하여, 물품을 물품 수납 선반의 내부와 외부에 이동시키므로, 물품 탑재체를 퇴피 상태로 퇴피시켜 둠으로써 물품 탑재체가 돌출하는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고, 또한, 물품 수납 선반이나 물품 반송체를 다운플로우 방식(down-flow type)의 클린 공간에 배치한 경우에는, 물품 탑재체를 퇴피 상태로 퇴피시켜 둠으로써, 다운플로우의 기류가 물품 수납 선반으로부터 돌출하는 물품 탑재체에 의해 흩뜨러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물품 수납 선반에 구비하는 물품 탑재체는 1개로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수 구비되는 경우가 있고, 또한, 물품 탑재체를 구비하는 물품 수납 선반도 1개로 한정되지는 않고 물품 반송체의 이동 경로를 따라 다수개 설치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전술한 종래의 물품 수납 설비와 같이, 물품 탑재체를 출퇴 조작하는 출퇴 조작 수단을 물품 수납 선반에 설치한 경우에는, 물품 탑재체를 다수개 설치하면 그 다수의 물품 탑재체 각각에 대하여 출퇴 조작 수단을 설치하게 되므로, 물품 수납 선반의 구성이 복잡하게 되어, 물품 수납 설비 전체의 구성의 복잡화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물품 수납 선반의 구성을 간소하게 하고, 전체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는 물품 수납 설비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물품 수납 설비의 제1 특징적 구성은,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복수개의 물품 수납부가 수평 방향과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로 구비한 물품 수납 선반과, 상기 물품 수납 선반에 대한 물품 이재 개소를 경유하는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한 물품 반송체가 설치되고, 상기 물품 수납 선반에 대한 물품 반출입용의 물품 탑재체가, 그 물품 수납 선반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물품 수수용의 돌출 위치와, 상기 물품 수납 선반의 방향으로 퇴피하 는 퇴피 위치로 출퇴 가능하게 상기 물품 수납 선반에 설치되고, 상기 물품 반송체가, 상기 물품 이재 개소에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돌출 위치의 상기 물품 탑재체에 대하여 물품을 전달, 및 수취하도록 구성된 물품 수납 설비로서, 상기 물품 반송체에, 상기 물품 이재 개소에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물품 탑재체를 상기 돌출 위치와 상기 퇴피 위치로 출퇴 조작하는 출퇴 조작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즉, 물품 반송체에 설치된 출퇴 조작 수단에 의해, 물품 탑재체를 돌출 위치와 퇴피 위치로 출퇴 조작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물품 탑재체를 돌출 위치와 퇴피 위치로 출퇴 조작하는 출퇴 조작 수단을 물품 반송체에 설치함으로써, 다수개 구비되는 물품 탑재체 각각에 대하여 출퇴 조작 수단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물품 수납 선반의 구성이 간소하게 되므로, 물품 수납 설비 전체의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물품 수납 선반의 구성을 간소하게 하여, 전체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는 물품 수납 설비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 수납 설비의 제2 특징적 구성은, 상기 물품 수납 선반에, 상기 물품 탑재체의 출퇴 이동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가동 안내 가이드를 안내 지지하는 주 안내 가이드가 설치되고, 상기 물품 탑재체가, 그 출퇴 이동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가동 안내 가이드에 안내 지지되어 있는 점에 있다.
즉, 물품 탑재체를 주 안내 가이드에 물품 탑재체의 출퇴 이동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 지지하여, 물품 탑재체의 이동 스트로크를 주 안내 가이드만으로 얻는 구성이면, 주 안내 가이드의 길이가 물품 탑재체의 이동 스트로크보다 길어지고, 물품 탑재체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 공간이 물품을 수납하는 공간으로서는 출퇴 이동 방향으로 필요 이상 크게 되므로, 물품 수납 선반의 수납 효율이 저하되지만, 가동 안내 가이드를 주 안내 가이드에 물품 탑재체의 출퇴 이동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 지지시키고, 물품 탑재체를 가동 안내 가이드에 그 출퇴 이동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 지지시켜서, 물품 탑재체의 퇴피 위치로부터 돌출 위치로의 이동 스트로크를 주 안내 가이드와 가동 안내 가이드의 2개의 가이드로 얻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주 안내 가이드와 가동 안내 가이드 각각의 길이를 물품 탑재체의 이동 스트로크보다 짧게 할 수 있고, 물품 탑재체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 공간을 물품을 수납하는 공간과 같은 정도 또는 필요 이상으로 커진다 하더라도 그 커지게 되는 양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물품 수납 선반의 수납 효율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물품 탑재체를 필요한 이동 스트로크로 출퇴 이동시킬 수 있으면서도, 물품 수납 선반의 수납 효율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물품 수납 설비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 수납 설비의 제3 특징적 구성은, 상기 물품 반송체가, 상기 물품 탑재체보다 윗쪽의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또한 상기 물품 탑재체에 대하여 물품을 전달, 및 수취하기 위하여 승강 조작 가능한 물품 유지부를 구비하고 있는 점에 있다.
즉, 물품 반송체가 물품 탑재체보다 윗쪽의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 성되어 있으므로, 물품 반송체의 이동 경로의 아래쪽에 공간이 형성되므로, 이 물품 반송체의 이동 경로의 아래쪽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 수납 설비의 제4 특징적 구성은, 상기 물품 수납 선반에, 상기 퇴피 위치의 상기 물품 탑재체와 물품 수납부 사이에 물품을 반송하기 위해 수평 이동 및 승강 이동 가능한 물품 이재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이와 같이, 물품 탑재체와 물품 수납부 사이에서의 물품의 반송을 행할 수 있으므로, 물품의 반송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고, 따라서, 설비 내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으면서, 물품을 효율적으로 반송할 수 있는 물품 수납 설비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 수납 설비의 제5 특징적 구성은, 상기 물품 수납 선반 및 상기 물품 반송체가, 다운플로우 방식(down-flow type)의 클린 공간 내에 설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즉, 물품 탑재체는, 물품 수납 선반의 외측으로 돌출 물품 수수용의 돌출 위치와, 물품 수납 선반의 내부에 퇴피하는 퇴피 위치로 출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물품 수납 선반이나 물품 반송체를 다운플로우 방식의 클린 공간 내에 설치하더라도, 물품의 반출입을 행하지 않을 때는, 물품 탑재체를 퇴피 위치에 퇴피시켜 둠으로써, 다운플로우의 기류의 흩뜨러짐을 억제할 수 있고, 클린 공간 내에 발생한 먼지를 흩뜨러짐이 적은 다운플로우에 의해 바닥 측에 가라앉힐 수 있으므로, 물품 수납 선반에 수납되어 있는 물품이나 물품 반송체에 의해 반송되고 있는 물품이 쉽게 오염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운플로우의 흩뜨러짐을 억제하여 물품이 쉽게 오염되지 않는 물품 수납 설비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 수납 설비의 제6 특징적 구성은, 상기 물품 수납 선반에 대하여 상기 물품 탑재체의 돌출 방향으로 이격하고, 또한 상기 물품 탑재체에 대향하는 개소에, 상기 물품 수납 선반 측으로 돌출하는 물품 수수 위치와 상기 물품 수납 선반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에 퇴피하는 물품 보관 위치에 출퇴 이동 가능한 물품 보관 선반이 설치되고, 상기 물품 반송체가, 상기 물품 이재 개소에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물품 수수 위치의 상기 물품 보관 선반에 대하여 물품을 전달, 및 수취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즉, 물품 반송체가, 물품 수수 위치의 물품 보관 선반에 대하여 물품을 전달, 및 수취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물품 보관 선반에도 물품을 수납할 수 있으므로, 이 물품 보관 선반에도 물품을 수납함으로써 물품 수납 설비에서의 물품의 수납 개수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물품의 수납 개수를 증대시킬 수 있는 물품 수납 설비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 수납 설비의 제7 특징적 구성은, 상기 물품 반송체에, 상기 물품 이재 개소에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물품 보관 선반을 상기 물품 수수 위치와 상기 물품 보관 위치로 출퇴 조작하는 물품 보관 선반 조작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즉, 물품 반송체에 설치된 물품 보관 선반 조작 수단에 의해, 물품 보관 선반을 물품 수수 위치와 물품 보관 위치로 출퇴 조작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물품 보관 선반을 물품 수수 위치와 물품 보관 위치로 출퇴 조작하는 물품 보관 선반 조작 수단을 물품 반송체에 설치함으로써, 물품 반송체의 이동 경로를 따라 다수개 구비되는 물품 보관 선반 각각에 물품 보관 선반 조작 수단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다수개 구비되는 물품 보관 선반 각각의 구성이 간소하게 되므로, 물품 수납 설비 전체의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물품 보관 선반의 구성을 간소하게 하여, 전체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는 물품 수납 설비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 수납 설비의 제8 특징적 구성은, 상기 물품 보관 선반의 출퇴 방향으로 선반 지지용 가동 가이드를 안내 지지하는 고정 가이드가, 상기 물품 보관 선반의 물품 보관 위치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상기 물품 보관 선반이, 그 출퇴 이동 방향으로 출퇴 가능하게 상기 선반 지지용 가동 가이드에 안내 지지되어 있는 점에 있다.
즉, 선반 지지용 가동 가이드가 고정 가이드에 물품 보관 선반의 출퇴 이동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 지지되고, 물품 보관 선반이 선반 지지용 가동 가이드에 그 출퇴 이동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 지지되어, 물품 보관 선반의 물품 수수 위치로부터 물품 보관 위치로의 이동 스트로크를 고정 가이드와 선반 지지용 가동 가이드의 2개의 가이드로 얻는 구성이므로, 고정 가이드와 선반 지지용 가동 가이드 각각을 출퇴 이동 방향으로 짧게 할 수 있으므로, 물품 보관 선반의 배치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물품 보관 선반을 필요한 이동 스트로크로 출퇴 이동시킬 수 있으면서도, 물품 보관 선반의 배치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는 물품 수납 설비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물품 수납 설비의 제9 특징적 구성과 같이, 상기 출퇴 조작 수단은, 조작체를 가지고, 상기 조작체가 상기 물품 수납 선반에 설치된 상기 피조작체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피조작체의 이동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링크를 통하여 상기 물품 탑재체를 상기 돌출 위치와 상기 퇴피 위치 사이에 구동시키는 구동력으로서 전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물품 보관 선반의 배치 공간을 작게 할 수 있고, 물품 수납 설비 전체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물품 수납 설비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수납 설비는, 바닥면 상에 설치되는 물품 수납 선반(1)과, 천정에 현수 지지되는 보관 선반(2)과, 물품 수납 선반(1)에 대한 물품 이재 개소 및 보관 선반(2)에 대한 물품 이재 개소를 경유하는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한 물품 반송체로서의 이동차(3)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물품 수납 선반(1)은, 물품으로서의 용기(5)를 수납하는 물품 수납부(1a)를 종횡으로 구비하여 구성되며, 보관 선반(2)은, 1개의 용기(5)를 일시적으로 보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부언하면, 도시는 생략하지만, 물품 수납 설비에는 반도체 기판의 제조 도중의 반제품 등에 대하여 소정의 처리를 행하는 물품 처리부도 구비되어 있고, 이동 경로는 물품 처리부에 대한 물품 이재 개소도 경유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수납 선반(1)의 물품 반출입용의 탑재판(50)이, 그 물품 수납 선반(1)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물품 수수용의 돌출 위치(도 6 참조)와 물품 수납 선반(1)의 내부에 퇴피하는 퇴피 위치(도 7 참조)에 출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이동차(3)가, 물품 수납 선반(1)에 대한 물품 이재 개소에 정지한 상태에서, 돌출 위치의 탑재판(50)에 대하여 용기(5)를 전달, 및 수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보관 선반(2)의 지지판(81)은, 물품 수납 선반(1) 측으로 돌출하는 물품 수수 위치(도 7 참조)와 물품 수납 선반(1)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으로 퇴피하는 물품 보관 위치(도 6 참조)에 출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이동차(3)가, 보관 선반(2)에 대한 물품 이재 개소에 정지한 상태에서, 물품 수수 위치의 지지판(81)에 대하여 용기(5)를 전달, 및 수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부언하면, 탑재판(50)이 물품 탑재체에 해당하고, 지지판(81)이 물품 보관 선반에 해당하며, 또한, 물품 수납 선반(1)에 대한 물품 이재 개소와 이 물품 수납 선반(1)에 설치된 탑재판(50)의 정면에 위치하는 지지판(81)(보관 선반(2))에 대한 물품 이재 개소와 같은 개소에 설정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천정 가까이에는, 이동차(3)를 안내 지지하는 안내 레일(8)이 설치되어 있고, 이동차(3)는, 안내 레일(8)에 안내 지지되면서 탑재판(50)보다 윗쪽의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동차(3)의 이동 경로의 가로 일측에는 물품 수납 선반(1)이 설치 되고, 또한, 이동차(3)의 이동 경로의 가로 타측에는 보관 선반(2)이 설치되어 있고, 지지판(81)이, 물품 수납 선반(1)에 대하여 탑재판(50)의 돌출 방향으로 이격되고, 또한 탑재판(50)에 대향하는 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차(3)는, 탑재판(50) 및 지지판(81)에 대하여 물품을 전달, 및 수취하기 위해 승강 조작 가능한 물품 유지부(23)를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수납 선반(1), 보관 선반(2) 및 이동차(3)가, 다운플로우 방식의 클린 공간 내에 설치되어 있다. 즉, 물품 수납 선반(1), 보관 선반(2) 및 이동차(3)가 설치된 공간의 바닥이 다공(多孔)형의 그레이팅(grating) 바닥(29)에 의해 형성되고, 천정이 HEPA 필터 등으로 이루어지는 에어 필터(30)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송풍팬(31)에 의해, 그레이팅 바닥(29)으로부터 흡기한 공기를 프리필터(32)(pre-filter)를 통하여 에어 필터(30)로부터 정화 공기로서 하향으로 분출하는 형태로 순환시켜서, 물품 수납 선반(1), 보관 선반(2) 및 이동차(3)가 설치된 공간을 다운플로우 방식의 클린 공간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공기가 순환하는 순환 경로의 도중에는 외기 도입 유로(33) 및 배기 유로(34)가 접속되어 있고, 송풍팬(31)에 의해 순환되는 클린 공간 내의 공기의 일부가 외기와 교환되고 있다.
다음에, 이동차(3)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차(3)는, 안내 레일(8)의 내측 공간부에 위치하여 안내 레일(8)에 의해 안내되는 상방 차체(9)와 이 상방 차체(9)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상방 차체(9)와 전후의 연결 로드(10, 11)에 의해 연결되는 하방 차체(12)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방 차체(9)는, 안내 레일(8)의 내측 공간부에 설치되는 마그넷(13)에 근접 대향시킨 상태로 1차 코일(14)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방 차체(9)는, 마그넷(13)과 1차 코일(14)로 이루어지는 리니어 모터에 의한 추진력에 의해 안내 레일(8)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방 차체(9)에는, 안내 레일(8)의 내측 공간부에 형성된 주행 안내면(16) 상을 전동(轉動)하는 주행륜(15)과 안내 레일(8)의 내측 공간부에 형성된 진동 방지 안내면(18) 상을 전동하는 진동방지륜(17)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방 차체(9)에는, 수전 코일(20)이 설치되어 있고, 안내 레일(8)을 따라 설치된 급전선(19)에 교류 전류를 통전시켜서 자계를 발생시키고, 이 자계에 의해 이동차(3) 측에서의 필요 전력을 수전 코일(20)에 발생시켜서, 이동차(3)에 대하여 무접촉 상태로 급전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방 차체(12)는, 연결 로드(10, 11)가 연결되고, 또한 이동차(3)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후 프레임체(21), 전후 프레임체(21)의 주행 방향 전단 개소 및 주행 방향 후단 개소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전후 한쌍의 세로 프레임체(22)로 구성되어, 측면에서 볼 때 하부 측이 개방된 "コ"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물품 유지부(23)는 이 하방 차체(12)에 구비되어 있다.
물품 유지부(23)는, 회전 드럼(26)에 감겨진 4개의 와이어(6)에 의해 매달려서 지지되어 있고, 하방 차체(12)는, 드럼 구동용 모터(25)에 의해 회전 드럼(26) 을 정회전 및 역회전시켜서 4개의 와이어(6)를 동시에 감거나 풀어냄으로써, 물품 유지부(23)를 거의 수평 자세로 유지하면서 승강 조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물품 유지부(23)에는, 용기(5)의 상부에 형성된 플랜지(5a)를 파지하는 한쌍의 파지구(23a)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한쌍의 파지구(23a)가 파지 동작용 모터(27)의 정회전 및 역회전에 의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요동하여 플랜지(5a)를 파지하는 파지 자세와, 한쌍의 파지구(23a)가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요동하여 파지를 해제하는 해제 자세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물품 유지부(23)는, 도시하지 않은 선회용 모터에 의해 선회 조작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동차(3)에, 물품 수납 선반(1)에 대한 물품 이재 개소에 정지한 상태에서, 탑재판(50)을 돌출 위치와 퇴피 위치로 출퇴 조작하는 출퇴 조작 수단 S1과, 보관 선반(2)에 대한 물품 이재 개소에 정지한 상태에서, 지지판(81)을 물품 수수 위치와 물품 보관 위치로 출퇴 조작하는 물품 보관 선반 조작 수단 S2가 설치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출퇴 조작 수단 S1과 물품 보관 선반 조작 수단 S2 각각은, 이동차(3)에 고정된 선반 전후 방향으로 장척(長尺)형의 베이스(63)와, 이 베이스에 대하여 선반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장척형의 조작체(64)와, 이 조작체(64)의 선단부의 하면 측에 설치된 걸어맞춤 롤러(65)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출퇴 조작 수단 S1과 물품 보관 선반 조작 수단 S2 각각은, 도시하지 않은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베이스(63)에 대하여 조작 체(64)를 출퇴시켜서, 걸어맞춤 롤러(65)를 선반 측으로 이동시키는 돌출 작동 및 선반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으로 이동시키는 퇴피 작동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액츄에이터는 전동 모터나 리니어 액츄에이터(linear actuator)가 바람직하고, 조작체(64)를 나사축 등의 종래 기술에 의해 베이스(63)에 대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다음에, 물품 수납 선반(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수납 선반(1)에, 퇴피 위치의 탑재판(50)과 물품 수납부(1a) 사이에서 용기(5)를 반송할 수 있도록 수평 이동 및 승강 이동 가능한 물품 이재 장치로서의 스태커 크레인(4)이 설치되어 있다.
즉, 물품 수납 선반(1)는, 출입 방향이 서로 대향하도록 간격을 두고 설치된 한쌍의 수납 선반 부분(1A)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고, 이들 한쌍의 수납 선반 부분(1A) 사이에, 선반 가로 폭 방향을 따라 수평 이동하는 스태커 크레인(4)이 설치되어 있다.
스태커 크레인(4)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선반 가로 폭 방향을 따라 레일 상을 주행하는 주행 대차(cart)에 안내 포스트가 세워져 설치되어 있고, 이 안내 포스트를 따라 승강 이동하는 승강대에 자기(自己)와 물품 수납부(1a)나 탑재판(50) 사이에서 용기(5)를 수수하는 포크 장치(4a)가 구비되어 있다. 승강대는, 주행 대차에 설치된 전기 모터에 의해 와이어 또는 나사축을 통하여 구동됨으로써 안내 포스트를 따라 승강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포크 장치 대신, 관절을 가지는 로봇암 등의 다른 종래 기술을 이용할 수도 있다.
부언하면, 각 수납 선반 부분(1A)에는 복수개의 물품 수납부(1a)가 상하 방 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열과, 가로 방향(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열을 형성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수납 선반(1)에, 탑재판(50)의 출퇴 이동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가동 안내용 레일(46)을 안내 지지하는 주 안내용 레일(40)이 설치되고, 탑재판(50)이 그 출퇴 이동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가동 안내용 레일(46)에 안내 지지되어 있다. 또한, 가동 안내용 레일(46)이 가동 안내 가이드에 해당하고, 주 안내용 레일(40)이 주 안내 가이드에 해당한다.
그리고, 물품 수납 선반(1)에는, 물품 반출입용의 물품 반출입부(1b)가 구비되어 있고, 이 물품 반출입부(1b)는, 이동차(3)의 이동 경로가 위치하는 측의 수납 선반 부분(1A)에서 위로부터 2단째이면서, 선반 가로 폭 방향으로 정렬된 2개의 수납부(1a)에 해당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물품 수납 선반(1)은 벽부에 의해 덮혀져 있지만, 벽부에서의 물품 반출입부(1b)에 대응하는 부분은 개구되어 있고, 이 개구로부터 용기(5)를 반출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물품 수납 선반(1)에서의 물품 반출입부(1b)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선반 전후 방향에서의 이동차(3)가 위치하는 측을 전방 측, 스태커 크레인(4)이 위치하는 측을 후방 측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수납 선반(1)에서의 물품 반출입부(1b)에는, 주 안내 프레임(36)이, 선반 가로 폭 방향으로 정렬된 한쌍의 지지 기둥(35)에 걸쳐 가설되어 있고, 가동 안내 프레임(37)이, 주 안내 프레임(36)에 대하여 선반 전 후 방향(탑재판(50)의 출퇴 이동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직접 안내 지지되고, 물품 탑재 프레임(7)이, 가동 안내 프레임(37)에 대하여 선반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직접 안내 지지되고, 출퇴 조작 수단 S1에 의해 직접 조작되는 수납용 피조작체(55)와, 이 수납용 피조작체(55)를 물품 탑재 프레임(7)과 연동시키는 수납용 링크 기구(38)와, 물품 탑재 프레임(7)을 퇴피 위치에 록(lock)하는 수납용 록 수단 R1이 구비되어 있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 안내 프레임(36)은, 물품 반출입부(1b)의 상부에서 선반 가로 폭 방향으로 정렬된 한쌍의 지지 기둥(35)에 걸쳐 가설된 가설 부재(39)와, 전단부가 가설 부재(39)에 연결 지지된 좌우 한쌍의 주 안내용 레일(40)과, 이 좌우 한쌍의 주 안내용 레일(40)의 후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주 안내용 연결 부재(41)와, 가동 안내 프레임(37)의 선반 전후 방향에서의 이동을 설정 범위 내로 규제하는 좌우 한쌍의 주 안내용 규제 부재(42)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부언하면, 주 안내용 레일(40)은 탑재판(50)의 탑재면과 같은 높이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 한쌍의 주 안내용 레일(40) 각각은, 전후 방향에서 볼 때의 단면 형상이 내측이 개방되는 "コ"자형으로 형성되고, 후단이 전단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후방 경사 자세로 설치되어 있고, 가동 안내 프레임(37)을 자기 하중에 의해 후방 측으로 가압하는 상태로 안내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좌우 한쌍의 주 안내용 규제 부재(42) 각각에는, 주 안내용 레일(40)의 후부 하단에 내측으로 돌출하는 상태로 연결 지지되어 가동 안내 프레임(37)의 주 안내 프레임(36)에 대한 설정 이동 범위로부터 후방 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퇴피용의 주 안내용 규제 부재(42)와, 주 안내용 레일(40)의 전부 하단에 내측으로 돌출하는 상태로 연결 지지되어 가동 안내 프레임(37)의 주 안내 프레임(36)에 대한 설정 이동 범위로부터 전방 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돌출용의 주 안내용 규제 부재(42)가 구비되어 있다.
가동 안내 프레임(37)은, 판형의 가동 안내판(44)과, 이 가동 안내판(44)의 후부에서의 선반 가로 폭 방향의 양 단부에 설치된 좌우 한쌍의 가동 안내용 피안내 부재(45)와, 좌우 한쌍의 가동 안내용 피안내 부재(45)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좌우 한쌍의 가동 안내용 레일(46)과, 주 안내용 규제 부재(42)에 맞닿는 좌우 한쌍의 가동 안내용 피접촉 부재(47)와, 물품 탑재 프레임(7)의 선반 전후 방향에서의 이동을 설정 범위 내로 규제하는 좌우 한쌍의 가동 안내용 규제 부재(48)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가동 안내용 레일(46)은, 가동 안내판(44) 및 좌우 한쌍의 가동 안내용 피안내 부재(45)를 통하여 주 안내용 레일(40)에 간접적으로 안내 지지되어 있고, 탑재판(50)보다 조금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 한쌍의 가동 안내용 피안내 부재(45) 각각은, 전후 한쌍의 피안내륜(45a)에 의해 구성되어 주 안내용 레일(40)에 대하여 전동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들 전후 한쌍의 피안내륜(45a)은, 가동 안내용 레일(46)의 길이 방향을 따른 상태로 배열되어 설치되어 있고, 가동 안내 프레임(37)은, 주 안내 프레임(36)에 의해 후단부가 전단부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후방 경사 자세로 안내 지지되어 있다.
또한, 좌우 한쌍의 가동 안내용 피접촉 부재(47) 각각은, 가동 안내판(44)의 가동 안내용 피안내 부재(45)와 가동 안내용 레일(46) 사이에서의 후부에 하부 측으로 돌출하는 상태에 연결 지지되어 퇴피용이나 돌출용의 주 안내용 규제 부재(42)에 맞닿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좌우 한쌍의 가동 안내용 규제 부재(48) 각각은, 가동 안내판(44)의 가동 안내용 피안내 부재(45)와 가동 안내용 레일(46) 사이에서의 후부에 위쪽으로 돌출하는 상태로 연결 지지되어 물품 탑재 프레임(7)의 가동 안내 프레임(37)에 대한 설정 이동 범위보다 후방 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퇴피용의 가동 안내용 규제 부재(48)와, 가동 안내판(44)의 가동 안내용 피안내 부재(45)와 가동 안내용 레일(46) 사이에서의 전부에 위쪽으로 돌출하는 상태로 연결 지지되어 물품 탑재 프레임(7)의 가동 안내 프레임(37)에 대한 설정 이동 범위보다 전방 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돌출용의 가동 안내용 규제 부재(48)가 구비되어 있다.
물품 탑재 프레임(7)은, 용기(5)를 탑재 지지하는 판형의 탑재판(50)과, 탑재판(50)의 후부에서의 선반 가로 폭 방향의 양 단부에 설치된 좌우 한쌍의 탑재용 피안내 부재(51)와, 가동 안내용 규제 부재(48)에 맞닿는 좌우 한쌍의 탑재용 피접촉 부재(52)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 한쌍의 탑재용 피안내 부재(51) 각각은, 리니어 블록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리니어 가이드에 의해 구성된 가동 안내용 레일(46)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탑재용 피안내 부재(51) 각각은, 탑재판(50)에 대하여 후방 경사 자세 로 연결 지지되어 있고, 탑재판(50)의 탑재면을 수평인 자세로 유지하면서도 가동 안내 프레임(37)에 의해 후단부가 전단부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후방 경사 자세로 안내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좌우 한쌍의 탑재용 피접촉 부재(52) 각각은, 탑재판(50)의 후부에 가로 외측으로 돌출하는 상태로 연결 지지되어 퇴피용이나 돌출용의 가동 안내용 규제 부재(48)에 맞닿도록 구성되어 있다.
탑재판(50)은, 후부에 스태커 크레인(4)에서의 포크 장치(4a)가 승강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U자형으로 절결되어 있고, 탑재판(50)에서의 절결된 자리의 선반 가로 폭 방향의 양쪽 및 전방 측에 합계 3개의 물품 위치 결정 부재(53)가 설치되어 있다. 즉, 용기(5)의 하면에는, 물품 위치 결정 부재(53) 각각에 대응하여 3개의 피걸어맞춤부(5b)가 형성되어 있고, 이 피걸어맞춤부(5b)에 물품 위치 결정 부재(53)를 걸어맞춘 상태로 용기(5)를 탑재 지지함으로써, 용기(5)가 탑재판(50)에 대하여 선반 전후 방향이나 선반 가로 폭 방향으로 어긋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가동 안내 프레임(37)의 가동 안내판(44)과 물품 탑재 프레임(7)의 탑재판(50) 사이에는, 스태커 크레인(4)에서의 포크 장치(4a)를 삽입하거나 꺼내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수납용 피조작체(55)는, 한쌍의 지지 기둥(35)에 걸쳐 가설된 가설 부재(39)에 세로축심 P1 주위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세로축심 P1 주위에서의 요동에 의해, 선단이 세로축심 P1보다 전방 측에 위치하는 접근 위치와 선단이 세로 축심 P1보다 후방 측에 위치하는 이격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 수납용 피조작체(55)는, 탑재판(50)에 탑재 지지된 용기(5)보다 위쪽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수납용 피조작체(55)에는, 근접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선반 전후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세로축심 P1 측으로 연장되는 홈부(55a)가 형성되어 있다. 이 홈부(55a)는, 전단 측의 단부를 전방 측에 개구시켜서, "く"자형(도중 부분에서 구부러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납용 피조작체(55)와 탑재판(50)은, 수납용 피조작체(55)가 근접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탑재판(50)이 퇴피 위치에 위치하고, 수납용 피조작체(55)가 이격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탑재판(50)이 돌출 위치가 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납용 링크 기구(38)에 의해 연동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는 생략하지만, 이동 경로의 선반 가로 폭 방향의 양측에는, 조작체(64)에 맞닿아서 걸어맞춤 롤러(65)를 적정 조작 위치로 안내하는 한쌍의 안내 롤러가 구비되어 있다.
수납용 링크 기구(38)는, 수납용 피조작체(55)와 일체로 세로축심 P1 주위에 요동하는 피조작 링크(56)와, 피조작 링크(56)의 선단부에 일단부가 핀(pin, 樞) 지지 연결된 연동 링크(57)와, 선단부에 연동 링크(57)의 타단부가 핀 지지 연결되고, 또한 기단부가 봉형 부재(58)의 상단부에 고착되어 세로축심 P2 주위에 요동하는 상부 링크(59)와, 기단부가 봉형 부재(58)의 하단부에 고착되어 선단부에 롤러체(60)를 회전 가능하게 구비한 하부 링크(61)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피조작 링크(56), 연동 링크(57) 및 상부 링크(59)는, 탑재판(50)에 탑재 지지된 용기(5)보다 위쪽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하부 링크(61)가 탑재 지지체(7)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롤러체(60)는 탑재판(50)의 하면에 연결 지지된 롤러 걸어맞춤 부재(54)에 걸어맞추어져 있고, 롤러체(60)가 선반 전후 방향의 이동에 수반하여 탑재판(50)도 선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부언하면, 롤러 걸어맞춤 부재(54)는, 롤러체(60)가 걸어맞추어지는 홈 구멍을 선반 가로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하여, 롤러체(60)가 롤러 걸어맞춤 부재(54)에 대하여 선반 가로 폭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납용 록 수단 R1은, 후단부가 가로축심 P3 주위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 지지된 요동 부재(67)와, 그 요동 부재(67)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수납용 피조작체(55)가 근접 위치로부터 이격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맞닿아서 규제하는 규제판(68)과, 요동 부재(67)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해제용 롤러(69)를 구비하고, 규제판(68)이 수납용 피조작체(55)의 이동 경로에 진입하는 록 상태와 규제판(68)이 수납용 피조작체(55)의 이동 경로로부터 퇴피하는 록 해제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탑재판(50)을 돌출 위치와 퇴피 위치로 출퇴 조작했을 때의, 가동 안내 프레임(37), 물품 탑재 프레임(7), 수납용 록 수단 R1, 수납용 링크 기구(38), 및 수납용 피조작체(55)의 움직임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수납용 록 수단 R1의 움짐임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는다.
탑재판(50)을 퇴피 위치로부터 돌출 위치로 돌출 조작하는 경우에는, 이동차(3)를 물품 수납 선반(1)에 대한 물품 이재 개소에 정지시킨 상태에서, 이동차(3)에 설치된 출퇴 조작 수단 S1을 돌출 작동시킨다.
그러면, 수납용 록 수단 R1은, 출퇴 조작 수단 S1의 돌출 작동의 초기에, 돌출하는 조작체(64)에 의해 해제용 롤러(69)가 밀어올림 조작되어 요동 부재(67)가 위쪽으로 요동하고, 이에 따라, 규제판(68)이 수납용 피조작체(55)의 이동 경로로부터 퇴피하여 록 해제 상태로 전환된다.
그리고, 도 10∼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납용 피조작체(55)는, 출퇴 조작 수단 S1의 돌출 작동에 의해, 걸어맞춤 롤러(65)가 수납용 피조작체(55)의 홈부(55a)에 걸어맞춘 후에 홈부(55a)의 안측의 측면이 푸시(push) 조작되어 평면에서 볼 때 반시계 방향으로 근접 위치로부터 이격 위치로 전환 조작된다.
이와 같이 수납용 피조작체(55)가 근접 위치로부터 이격 위치에 평면에서 볼 때 반시계 방향으로 조작되면, 피조작 링크(56), 상부 링크(59), 하부 링크(61) 각각이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하여 롤러체(60)가 전방 측으로 이동함으로써, 탑재판(50)이 퇴피 위치로부터 돌출 위치로 이동한다.
그리고, 탑재판(50)이 퇴피 위치로부터 돌출 위치로 이동할 때는, 먼저, 물품 탑재 프레임(7)의 탑재용 피안내 부재(51)가 가동 안내 프레임(37)의 가동 안내용 레일(46) 상을 슬라이드 이동하여 물품 탑재 프레임(7)가 가동 안내 프레임(37)에 대하여 전방 측으로 이동하고,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탑재 프레임(7)이 가동 안내 프레임(37)에 대한 설정 이동 범위의 전단까지 이동하면, 돌출용의 가동 안내용 규제 부재(48)가 탑재용 피접촉 부재(52)에 맞닿는다. 그 후, 가동 안내 프레임(37)이 물품 탑재 프레임(7)에 가압되는 형태로 물품 탑재 프레임(7)과 가동 안내 프레임(37)이 일체적으로 전방 측을 향해 이동함으로써,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 안내 프레임(37)의 피안내륜(45a)이 주 안내 프레임(36)의 주 안내용 레일(40) 상을 전동하여 가동 안내 프레임(37)이 주 안내 프레임(36)에 대하여 전방 측으로 이동하여, 탑재판(50)이 돌출 위치까지 이동한다.
또한, 탑재판(50)을 돌출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로 퇴피 조작하는 경우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돌출 작동시킨 출퇴 조작 수단 S1을 퇴피 작동시킨다.
그러면, 도 10∼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납용 피조작체(55)는, 출퇴 조작 수단 S1의 퇴피 작동에 의해 걸어맞춤 롤러(65)로 이격 위치로부터 근접 위치에 풀(pull) 조작된 후에 걸어맞춤 롤러(65)가 홈부(55a)로부터 이탈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출퇴 조작 수단 S1의 퇴피 작동의 말기에, 수납용 록 수단 R1은, 퇴피하는 조작체(64)가 해제용 롤러(69)의 아래쪽으로부터 당겨져서 요동 부재(67)가 자기 중량에 의해 아래쪽에 요동하고, 이에 의해 규제판(68)이 수납용 피조작체(55)의 이동 경로에 진입하여 록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수납용 피조작체(55)가 이격 위치로부터 근접 위치에 평면에서 볼 때 시계 방향으로 조작되면, 피조작 링크(56), 상부 링크(59), 하부 링크(61) 각각이 시계 방향으로 요동하여 롤러체(60)가 후방 측으로 이동함으로써, 탑재판(50)이 돌출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로 이동한다.
그리고, 탑재판(50)이 돌출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로 이동할 때는, 먼저, 물 품 탑재 프레임(7)의 탑재용 피안내 부재(51)가 가동 안내 프레임(37)의 가동 안내용 레일(46) 상을 슬라이드 이동하여 물품 탑재 프레임(7)이 가동 안내 프레임(37)에 대하여 후방 측으로 이동하고, 물품 탑재 프레임(7)이 가동 안내 프레임(37)에 대한 설정 이동 범위의 후단까지 이동하면, 퇴피용의 가동 안내용 규제 부재(48)가 탑재용 피접촉 부재(52)에 맞닿는다. 그 후, 가동 안내 프레임(37)이 물품 탑재 프레임(7)에 가압되는 형태로 물품 탑재 프레임(7)과 가동 안내 프레임(37)이 일체적으로 후방 측을 향해 이동함으로써,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 안내 프레임(37)의 피안내륜(45a)이 주 안내 프레임(36)의 주 안내용 레일(40) 상을 전동하여 가동 안내 프레임(37)이 주 안내 프레임(36)에 대하여 후방 측으로 이동하여, 탑재판(50)이 퇴피 위치까지 이동한다.
다음에, 보관 선반(2)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선반 전후 방향에서의 이동차(3)가 위치하는 측을 전방측, 그 반대측을 후방측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판(81)의 출퇴 방향으로 지지판(81)을 안내 지지하는 고정 프레임용 레일(76)이, 지지판(81)의 물품 보관 위치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지지판(81)이, 그 출퇴 이동 방향으로 출퇴 가능하게 고정 프레임용 레일(76)에 안내 지지되어 있다.
또한, 지지판(81)의 물품 보관 위치에 대응하여, 물품 보관 선반 조작 수단 S2에 의해 직접 조작되는 보관용 피조작체(73)와, 이 보관용 피조작체(73)를 지지판(81)과 연동시키는 보관용 링크 기구(74)와, 지지판(81)을 퇴피 위치에 록하는 보관용 록 수단 R2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보관용 피조작체(73) 및 보관용 록 수단 R2는, 각각 수납용 피조작체(55) 및 수납용 록 수단 R1과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판(81)의 물품 보관 위치에 대응하여, 좌우 한쌍의 고정 프레임용 레일(76)을 구비한 고정 프레임(71)이 구비되어 있고, 좌우 한쌍의 고정 프레임용 레일(76)은, 천정 측으로부터 매달려서 지지되어 연결 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고, 지지판(81)에 지지된 용기(5)의 상단과 같은 높이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좌우 한쌍의 고정 프레임용 레일(76) 각각은, 후단이 전단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후방 경사 자세로 설치되어 있고, 안내 지지하는 지지암체(78)를 자기 중량에 의해 후방 측으로 가압하는 상태로 안내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판(81)의 물품 보관 위치에 대응하여 구비된 지지암체(78)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연결 부재에 의해 연결된 상태로 좌우 한쌍 구비되어 있고, 좌우 한쌍의 지지암체(78) 각각의 후부에 좌우 한쌍의 보관용 피안내 부재(80)가 구비되고, 하부에 용기(5)를 탑재 지지하는 지지판(81)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 한쌍의 지지암체(78) 각각은, 선반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보관용 피안내 부재(80)를 지지하는 상부와, 이 상부의 전단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중간부, 이 중간부의 하단으로부터 전방에 연장되는 하부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우 한쌍의 지지암체(78) 각각에서의 중간부 및 하부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구멍부가 형성되어 있고, 지지암체(78)의 경량화가 도모되고 있다.
지지판(81)은, 좌우 한쌍의 지지암체(78)에서의 하부를 서로 연결하는 한쌍의 연결 부재에 걸쳐 구비되어 있고, 이 지지판(81)에는, 탑재판(50)과 마찬가지로 삼각형으로 3개의 물품 위치 결정 부재(53)가 설치되어 있다.
좌우 한쌍의 보관용 피안내 부재(80) 각각은, 전후 한쌍의 피안내 롤러에 의해 구성되어 고정 프레임용 레일(76)에 대하여 전동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고정 프레임(71)에 의해 후단측이 전단 측으로부터 아래쪽에 위치하는 후방 경사 자세로 안내 지지되어 있다. 즉, 좌우 한쌍의 보관용 피안내 부재(80) 각각은, 지지판(81)의 탑재면을 수평인 자세로 유지하면서도 후방 측의 피안내 롤러가 전방 측의 피안내 롤러보다 아래쪽에 위치한 상태로 고정 프레임(71)에 의해 안내 지지되어 있다.
보관용 링크 기구(74)는, 보관용 피조작체(73)와 같은 세로축심 주위에 요동하는 제1 링크와, 제1 링크의 선단부에 일단부가 핀 지지 연결된 제2 링크와, 중간부에 제2 링크의 타단부가 핀 지지 연결된 기단 측의 세로축심 주위에 요동하는 제3 링크와, 기단부가 제3 링크에 핀 지지 연결되고, 또한 선단부에 지지암체(78)의 후단부에 핀 지지 연결되는 핀지지부(86a)를 구비한 제4 링크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보관용 링크 기구(74)는, 보관용 피조작체(73)가 근접 위치로부터 이격 위치에 평면에서 볼 때 반시계 방향으로 조작되면, 제1 링크와 제3 링크 각각이 반 시계 방향으로 요동하여 핀지지부(86a)가 전방 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지지판(81)을 물품 보관 위치로부터 물품 수수 위치로 이동시키고, 또한, 보관용 피조작체(73)가 이격 위치로부터 근접 위치로 평면에서 볼 때 시계 방향으로 조작되면, 제1 링크와 제3 링크 각각이 시계 방향으로 요동하여 핀지지부(86a)가 후방 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지지판(81)을 물품 수수 위치로부터 물품 보관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
(1)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물품 보관 위치에 대응하는 개소에, 지지판(81)의 출퇴 이동 방향으로 지지판(81)을 안내 지지하는 고정 프레임용 레일(76)을 설치하고, 지지판(81)을 그 출퇴 이동 방향으로 출퇴 가능하게 고정 프레임용 레일(76)에 안내 지지되도록 구성하여, 가이드로서 고정 프레임용 레일(76) 만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보관 위치에 대응하는 개소에, 지지판(81)의 출퇴 이동 방향으로 안내 레일(87)을 안내 지지하는 고정 프레임용 레일(76)을 설치하고, 지지판(81)을, 그 출퇴 이동 방향으로 출퇴 가능하도록 안내 레일(87)에 안내 지지되도록 구성하여, 가이드로서 고정 프레임용 레일(76)과 안내 레일(87)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보관 위치에 대응하는 개소에 구비한 선반 지지용 프레임(88)에, 좌우 한쌍의 고정 프레임용 레일(76)에 의해 직접 안내되는 좌우 한쌍의 보관용 피안내 부재(89)와 안내 레일(87)을 구비하고, 안내 레일(87)에 의해 지지암체(78)에 지지된 보관용 안내 부 재(도시하지 않음)를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선반 지지용 가동 가이드(88)에는, 지지암체(78)의 선반 전후 방향에서의 이동을 설정 이동 범위 내로 규제하는 이동 규제 부재(90)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고, 이동 규제 부재(90)는, 지지암체(78)의 선반 지지용 프레임(88)에 대한 설정 이동 범위보다 후방 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퇴피용의 이동 규제 부재(90)와, 지지암체(78)의 선반 지지용 가동범위(88)에 대한 설정 이동 범위보다 전방 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돌출용의 이동 규제 부재(90)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 프레임용 레일(76)이 고정 가이드에 해당하고, 선반 지지용 가동 레일(88)이 선반 지지용 가동 가이드에 해당한다.
또한, 주 안내용 레일(40)의 가동 안내용 레일(46)에 대한 가이드 구조, 가동 안내용 레일(46)의 탑재판(50)에 대한 가이드 구조, 고정 프레임용 레일(76)의 지지판(81)에 대한 가이드 구조, 고정 프레임용 레일(76)의 안내 레일(87)에 대한 가이드 구조, 및 안내 레일(87)의 지지판(81)에 대한 가이드 구조는 각각 전동식, 슬라이드 이동식 등,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며, 예를 들면, 주 안내용 레일(40)의 가동 안내용 레일(46)에 대한 가이드 구조를 가동 안내용 레일(46)의 탑재판(50)에 대한 가이드 구조와 같이 슬라이드 이동식으로 구성해도 되고, 또한, 가동 안내용 레일(46)의 탑재판(50)에 대한 가이드 구조를 주 안내용 레일(40)의 가동 안내용 레일(46)에 대한 가이드 구조와 같이 전동식으로 구성해도 된다.
또한, 전동식의 가이드 구조로서는, 전후 방향에서 볼 때 "コ"자형의 레일의 내부 공간을 바퀴체를 전동시키는 구성 외에, 봉형의 레일의 상면과 하면을 상하로 나누어서 복수개의 바퀴체를 전동시키는 구성이라도 된다.
(2)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물품 수납 선반(1)에, 탑재판(50)의 출퇴 이동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가동 안내용 레일(46)을 안내 지지하는 주 안내용 레일(40)을 설치하고, 탑재판(50)을, 그 출퇴 이동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가동 안내용 레일(46)에 안내 지지하도록 구성하여, 가이드로서 주 안내용 레일(40)과 가동 안내용 레일(46)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물품 수납 선반(1)에, 탑재판(50)의 출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탑재판(50)을 안내 지지하는 주 안내용 레일(40)을 설치하고, 탑재판(50)을 그 출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주 안내용 레일(40)에 안내 지지하도록 구성하여, 가이드로서 주 안내용 레일(40) 만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3)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물품 수납 선반(1), 보관 선반(2)(지지판(81)) 및 물품 반송체를, 청정 공기를 다운플로우시키는 다운플로우 방식의 클린 공간에 설치했지만, 물품 수납 선반(1), 물품 보관 선반(2) 및 물품 반송체를, 다운플로우 방식이 아닌 벽지를 부착한 간이식 클린 공간에 설치해도 되고, 또한, 클린화되어 있지 않은 공간에 설치해도 된다.
(4)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지지판(81)을 물품 수수 위치와 물품 보관 위치로 출퇴 조작하는 물품 보관 선반 조작 수단 S2를 물품 반송체에 설치하였으나, 지지판(81)을 물품 수수 위치와 물품 보관 위치로 출퇴 조작하는 물품 보관 선반 조작 수단 S2를 지지판(81)의 물품 보관 위치에 대응하여 설치해도 되고, 예를 들면, 고정 프레임(71)에 지지된 전동 모터를 물품 보관 선반 조작 수단 S2로서 설치해도 된다.
(5)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물품 수납 선반(1)에 대하여 탑재판(50)의 돌출 방향으로 이격시키면서 탑재판(50)에 대향하는 개소에 지지판(81)을 설치하였으나, 지지판(81)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고, 또한, 물품 수납 선반(1)에 대하여 탑재판(50)의 돌출 방향으로 이격시키면서 탑재판(50)에 대향하는 개소에도 다른 물품 수납 선반(1)을 설치해도 된다.
(6)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상방 차체(9)를 구동시키는 방식으로서, 리니어 모터에 의해 추진력을 얻어 구동시키는 리니어 모터 방식을 예시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주행륜(15)을 회전 구동시키는 전동 모터를 설치하고, 이 전동 모터에 의해 주행륜(15)을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상방 차체(9)를 구동시키는 방식을 이용해도 된다.
(7)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회전 드럼(26)에 와이어(6)를 감은 물품 유지부(23)을 승강 조작하도록 구성하였지만, 예를 들면, 회전 드럼(26)에 벨트를 감아서 물품 유지부(23)을 승강 조작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들 벨트나 와이어를 유연 부재라 부른다.
도 1은 물품 수납 설비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물품 수납 설비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이동차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이동차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돌출 위치의 탑재판 및 물품 보관 위치의 지지판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돌출 위치의 탑재판 및 물품 보관 위치의 지지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퇴피 위치의 탑재판 및 물품 수수 위치의 지지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물품 탑재체의 배면도이다.
도 9는 물품 탑재체의 가이드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퇴피 위치의 탑재판을 나타낸 작용도이다.
도 11은 이동 도중의 탑재판을 나타낸 작용도이다.
도 12는 돌출 위치의 탑재판을 나타낸 작용도이다.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서의 물품 보관 위치의 지지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서의 물품 수수 위치의 지지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1: 물품 수납 선반 1a: 물품 수납부
3: 물품 반송체(이동차) 4: 물품 이재 장치
5: 물품 23: 물품 유지부
40: 주 안내 가이드 46: 가동 안내 가이드
50: 탑재판 71: 고정 가이드
81: 지지판 88: 선반 지지용 가동 가이드
S1: 출퇴 조작 수단 S2: 물품 보관 선반 조작 수단

Claims (9)

  1.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복수개의 물품 수납부가 수평 방향과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로 포함한 물품 수납 선반과,
    상기 물품 수납 선반에 대한 물품 이재(移載) 개소를 경유한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한 물품 반송체가 설치되고,
    상기 물품 수납 선반에 대한 물품 반출입용의 물품 탑재체는, 그 물품 수납 선반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물품 수수(授受)용의 돌출 위치와, 상기 물품 수납 선반의 방향으로 퇴피하는 퇴피 위치로 출퇴 가능하게 상기 물품 수납 선반에 설치되고,
    상기 물품 반송체는, 상기 물품 이재 개소에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돌출 위치의 상기 물품 탑재체에 대하여 물품을 전달, 및 수취하도록 구성된 물품 수납 설비로서,
    상기 물품 반송체에, 상기 물품 이재 개소에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물품 탑재체를 상기 돌출 위치와 상기 퇴피 위치로 출퇴 조작하는 출퇴 조작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물품 수납 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수납 선반에, 상기 물품 탑재체의 출퇴 이동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가동 안내 가이드를 안내 지지하는 주 안내 가이드가 설치되고,
    상기 물품 탑재체는, 그 출퇴 이동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가동 안내 가이드에 안내 지지되어 있는, 물품 수납 설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반송체는, 상기 물품 탑재체보다 윗쪽의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또한 상기 물품 탑재체에 대하여 물품을 전달, 및 수취하기 위해 승강 조작 가능한 물품 유지부를 포함하고 있는, 물품 수납 설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수납 선반에, 상기 퇴피 위치의 상기 물품 탑재체와 상기 물품 수납부 사이에 물품을 반송할 수 있도록 수평 이동 및 승강 이동 가능한 물품 이재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물품 수납 설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수납 선반 및 상기 물품 반송체는, 다운플로우 방식(down-flow type)의 클린 공간 내에 설치되어 있는, 물품 수납 설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수납 선반에 대하여 상기 물품 탑재체의 돌출 방향으로 이격되고, 또한 상기 물품 탑재체에 대향하는 개소에, 상기 물품 수납 선반 측으로 돌출하는 물품 수수 위치와 상기 물품 수납 선반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으로 퇴피하는 물품 보관 위치로 출퇴 이동 가능한 물품 보관 선반이 설치되고,
    상기 물품 반송체는, 상기 물품 이재 개소에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물품 수수 위치의 상기 물품 보관 선반에 대하여 물품을 전달하고, 및 수취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물품 수납 설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반송체에, 상기 물품 이재 개소에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물품 보관 선반을 상기 물품 수수 위치와 상기 물품 보관 위치로 출퇴 조작하는 물품 보관 선반 조작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물품 수납 설비.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보관 선반의 출퇴 방향으로 선반 지지용 가동 가이드를 안내 지지하는 고정 가이드가, 상기 물품 보관 선반의 물품 보관 위치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상기 물품 보관 선반은, 그 출퇴 이동 방향으로 출퇴 가능하게 상기 선반 지지용 가동 가이드에 안내 지지되어 있는, 물품 수납 설비.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퇴 조작 수단은 조작체를 가지고, 상기 조작체가 상기 물품 수납 선반에 설치된 상기 피조작체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피조작체의 이동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링크를 통하여 상기 물품 탑재체를 상기 돌출 위치와 상기 퇴피 위치 사이에 구동시키는 구동력으로서 전달되는, 물품 수납 설비.
KR1020080020005A 2007-03-07 2008-03-04 물품 수납 설비 KR1012893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57210A JP4389181B2 (ja) 2007-03-07 2007-03-07 物品処理設備
JPJP-P-2007-00057210 2007-03-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2471A true KR20080082471A (ko) 2008-09-11
KR101289365B1 KR101289365B1 (ko) 2013-07-29

Family

ID=39678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0005A KR101289365B1 (ko) 2007-03-07 2008-03-04 물품 수납 설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231324B2 (ko)
JP (1) JP4389181B2 (ko)
KR (1) KR101289365B1 (ko)
CN (1) CN101261951B (ko)
DE (1) DE102008012410A1 (ko)
NL (1) NL2001353C2 (ko)
SG (1) SG145678A1 (ko)
TW (1) TWI412478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4420A (ko) * 2013-11-12 2016-07-13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물품 수납 설비
CN110712671A (zh) * 2019-08-28 2020-01-21 四川铭航兰德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运输导管的运输车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32084B (zh) * 2010-05-18 2012-10-10 张帆 无人值守全自动银行保管箱系统
JP5765549B2 (ja) * 2010-10-04 2015-08-19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装置
FI123784B (fi) * 2011-03-25 2013-10-31 Konecranes Oyj Järjestely kuormauselimen heilahduksen vaimentamiseksi nosturissa
US9457956B2 (en) * 2011-05-31 2016-10-04 Murata Machinery, Ltd. Drawer device and storage device
JP5527619B2 (ja) * 2011-11-24 2014-06-18 株式会社ダイフク 天井設置型の物品搬送設備
KR101418812B1 (ko) * 2012-10-31 2014-07-16 크린팩토메이션 주식회사 웨이퍼 퍼지 가능한 천장 보관 장치
JP6275824B2 (ja) * 2014-03-20 2018-02-07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基板処理装置、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149805B2 (ja) * 2014-06-05 2017-06-21 株式会社ダイフク 搬送装置
JP6217598B2 (ja) * 2014-11-12 2017-10-25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収納設備
JP6766584B2 (ja) 2016-10-19 2020-10-14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設備
EP3539903B1 (en) * 2016-11-14 2022-04-27 Murata Machinery, Ltd. Ceiling conveyance system, and relay conveyance apparatus and conveyance method used therefor
CN107822349B (zh) * 2017-12-19 2023-11-10 江苏润联再生资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安放废弃线路板的防尘架体
JP7238859B2 (ja) * 2020-07-22 2023-03-14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車
JP7342841B2 (ja) 2020-11-06 2023-09-12 株式会社ダイフク 搬送車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202361A (en) 1966-05-12 1970-08-19 David Theodore Nelson Williams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programme-controlled machine tool installation
DE2102098A1 (de) 1971-01-16 1972-07-27 Griese, Klaus P., 3001 Meilendorf Stapel- und Kommisionierungsanlage für stabförmige Güter
US3954185A (en) 1971-11-15 1976-05-04 American Chain & Cable Company, Inc. Hydraulic motor system
EP0116152A3 (de) 1982-12-14 1985-12-04 GOLDBECKBAU GMBH & CO. KG Vorrichtung zur Einlagerung und Entnahme von stangenförmigem Material
JPS60122604A (ja) 1983-12-05 1985-07-01 Mitsubishi Electric Corp パレット取出装置
DE8400348U1 (de) 1984-01-07 1984-08-09 M - Hoffmann Lagertechnik - Fördertechnik Koordinations - GmbH, 5000 Köln Hubrahmen zum aufnehmen und transportieren von rollbuegeln mit lagergut
DE3509678A1 (de) 1985-03-18 1986-09-18 HYWEMA Josef Schwahlen (GmbH & Co), 5650 Solingen Lagerregal
DE3531444A1 (de) 1985-08-14 1987-02-26 Ohra Regalanlagen Gmbh Vorrichtung zur ein- oder auslagerung von guetern in oder aus einem wabenregal
JPH02135513A (ja) 1988-11-16 1990-05-24 Toshiba Corp データ処理装置
JPH02135513U (ko) * 1989-04-17 1990-11-09
TW272967B (en) * 1993-06-03 1996-03-21 Daifuku Kk Movable loading device
FR2711629B1 (fr) 1993-10-22 1996-03-08 Sipa Roller Magasin à tiroirs pour stockage de charges lourdes.
JPH07242305A (ja) * 1994-03-07 1995-09-19 Murata Mach Ltd 自動倉庫
US5741109A (en) 1995-07-07 1998-04-21 Pri Automation, Inc. Wafer transfer system having vertical lifting capability
US20010014268A1 (en) 1998-10-28 2001-08-16 Charles S. Bryson Multi-axis transfer arm with an extensible tracked carriage
JP3832295B2 (ja) * 2001-08-31 2006-10-11 株式会社ダイフク 荷取り扱い設備
CN100520706C (zh) 2002-06-19 2009-07-29 布鲁克斯自动技术公司 半导体制造用竖直传送带与空中升降机组合式自动物料搬运系统
KR101544699B1 (ko) 2002-10-11 2015-08-18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오버헤드 호이스트를 탑재한 오버헤드 호이스트 수송 차량
JP3991852B2 (ja) 2002-12-09 2007-10-17 村田機械株式会社 天井搬送車システム
AT500228B1 (de) 2003-05-20 2007-07-15 Tgw Transportgeraete Gmbh Teleskopschubarm, insbesondere für eine lastaufnahmevorrichtung
JP4045451B2 (ja) 2003-12-26 2008-02-13 村田機械株式会社 天井走行車システム
TWM271924U (en) * 2004-03-23 2005-08-01 Jeng-Kan Wen Safety linkage apparatus for storage cabinet
JP4221603B2 (ja) * 2005-03-31 2009-02-12 村田機械株式会社 天井走行車システム
JP4632091B2 (ja) 2005-08-30 2011-02-16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設備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4420A (ko) * 2013-11-12 2016-07-13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물품 수납 설비
CN110712671A (zh) * 2019-08-28 2020-01-21 四川铭航兰德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运输导管的运输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16864A1 (en) 2009-01-15
JP2008214074A (ja) 2008-09-18
JP4389181B2 (ja) 2009-12-24
NL2001353C2 (nl) 2012-09-11
DE102008012410A1 (de) 2008-09-11
CN101261951A (zh) 2008-09-10
IE20080144A1 (en) 2008-10-15
KR101289365B1 (ko) 2013-07-29
TWI412478B (zh) 2013-10-21
NL2001353A1 (nl) 2008-09-09
CN101261951B (zh) 2012-01-18
TW200840779A (en) 2008-10-16
US8231324B2 (en) 2012-07-31
SG145678A1 (en) 2008-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9365B1 (ko) 물품 수납 설비
US9073691B2 (en) Article transport facility
KR102636990B1 (ko) 반송차, 및 반송 설비
JP4378656B2 (ja) 物品搬送設備
KR101389783B1 (ko) 물품 반송 설비
KR101463473B1 (ko) 이송 장치
KR101227918B1 (ko) 천정반송차
JP5339167B2 (ja) 天井搬送車
KR102155617B1 (ko) 물품 수납 설비
US20060104712A1 (en) Transportation system
JP5041207B2 (ja) 物品搬送設備
JP4849331B2 (ja) 物品搬送設備
KR20120029325A (ko) 반송 장치
KR101634600B1 (ko) 인출 장치 및 보관 장치
KR101504760B1 (ko) 카세트 이송용 수동대차
JP5880343B2 (ja) 物品収納設備
JP5207079B2 (ja) 容器搬送設備
JP7054460B2 (ja) 天井搬送車
KR20230157595A (ko) 다단식 용기보관장치 및 기판이송설비
CN114435874A (zh) 搬运车
JP2006114561A (ja) ウェーハ搬送台車
IE86023B1 (en) Article storage fac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