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1092A -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구동 장치, 표시 장치 및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구동 장치, 표시 장치 및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1092A
KR20080071092A KR1020080008704A KR20080008704A KR20080071092A KR 20080071092 A KR20080071092 A KR 20080071092A KR 1020080008704 A KR1020080008704 A KR 1020080008704A KR 20080008704 A KR20080008704 A KR 20080008704A KR 20080071092 A KR20080071092 A KR 200800710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saturation
driving
drive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8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0138B1 (ko
Inventor
가츠토요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71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1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0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0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ght modulating elements actuated by an electric field and being other than liquid crystal devices and electrochromic devices
    • G09G3/34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ght modulating elements actuated by an electric field and being other than liquid crystal devices and electrochromic devices based on particles moving in a fluid or in a gas, e.g. electrophoretic devices
    • G09G3/344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ght modulating elements actuated by an electric field and being other than liquid crystal devices and electrochromic devices based on particles moving in a fluid or in a gas, e.g. electrophoretic devices with more than two electrodes controlling the modulating ele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85Operation of cells; Circuit arrangements affecting the entire cel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18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6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 G09G2310/068Application of pulses of alternating polarity prior to the drive pulse in electrophoretic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52Improving the response spe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1Temperature compens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자 이동형 표시 장치에서의 표시 전환 시간을 대폭으로 단축할 수 있는 구동 방법, 구동 장치,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시계의 표시 패널의 구동 장치에 의한 구동에 있어서, 중간색 구동 공정을 구비함으로써, 이 중간색 구동 시, 표시 패널에서는 포화하고 있지 않은 중간 상태에서의 표시색의 차이에 의거하여 표시 전환이 행해진다. 이와 같이 중간색 구동을 행함으로써, 특히, 연속하여 재기록 동작이 필요해지는 경우 등, 재기록의 빈도가 높은 경우에 표시 전환 시간의 대폭적인 단축을 도모할 수 있고, 또한 항상 포화 구동을 행하는 경우보다도 저소비 전력으로도 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구동 장치,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DRIVE METHOD FOR A DISPLAY DEVICE, DRIVE DEVICE,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입자 이동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동 방법, 구동 장치,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기 영동 표시 디바이스(특허 문헌 1)를 비롯한 입자 이동형의 각종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여기서, 전기 영동 표시 디바이스는, 전계 인가에 의해 대전 입자(안료 등)를 영동시키는 것으로서, 시인 방향 표측에 근접한 입자의 색이나, 입자가 분산하는 용액의 색 등에 따라 표시색이 결정된다. 이러한 입자 이동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종래는 입자의 영동이 완료되어 포화 상태가 될 때까지 입자를 이동시킴으로써 표시를 행하고 있었다. 전기 영동 표시 디바이스의 예에서는, 표시 재기록의 요구가 생겨 묘화 처리를 행하여 포화 상태가 될 때까지 2초 정도의 시간을 필요로 하고 있었다.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267982호
[특허 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68875호
전술과 같이, 전기 영동 표시 디바이스를 비롯한 입자 이동형 표시 장치의 종래의 구동에서는, 포화 구동을 행함으로써 묘화에 시간이 걸리고 표시가 전환될 때에 완만한 인상을 주는 것이 과제였다. 예를 들어 초기 설정 시에는 시각 맞춤, 월드 타임 지역 설정, 타이머 설정, 12시간/24 시간 표시 등의 시각 표시 형식의 선택, 인덱스 표시의 모양·굵기 선택 등, 각종의 설정이 있지만, 이러한 설정을 행할 때에는 표시 전환의 빈도가 매우 높고, 사용자는 표시 전환이 완료되어 다음의 조작이 가능해질 때까지 기다리지 않으면 안된다.
또한, 참고로 액정 패널의 구동의 경우에서는(특허 문헌 2), 표시 전환에 필요로 하는 시간은 수 10m초로 반응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각종 항목의 설정 변경 등을 신속히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시각 표시에 관해서는, 매초 표시 전환이 필요해지는 초의 표시도 할 수 있고, 조작 버튼을 계속 누름에 의해 시각의 빨리 감기 수정도 가능하다.
그러나, 입자 이동형 표시 장치에서는 입자를 이동시킨다는 구조 상, 반응 속도가 느리고 액정 패널과 동등한 반응 속도는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에, 신속한 표시 전환이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입자 이동형 표시 장치에서의 표시 전환 시간을 대폭으로 단축할 수 있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전계 인가에 의해 대전 입자를 이동시켜 표시를 행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으로서, 상기 입자를 해당 입자의 이동이 포화된 포화 상태 이외의 중간 상태가 되게 하는 중간색 구동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중간색 구동 공정에서는 상기 입자를 표시색의 차이가 생기도록 이동시킴으로써 표시의 전환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는 전계 인가에 의해 대전 입자를 이동시켜 표시를 행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로서, 상기 입자를 표시색의 차이가 생기도록 이동시킴으로써, 이 입자를 해당 입자의 이동이 포화된 포화 상태 이외의 중간 상태가 되게 하는 중간색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들의 발명에 의하면, 중간색 구동 시, 중간 상태에서의 표시색의 차이에 의거하여 표시 전환이 행해진다. 여기에서, 포화 상태의 색(포화색)으로부터 중간색으로의 표시 전환, 또는 중간색으로부터 다른 계조의 중간색으로의 표시 전환은, 포화색으로부터 포화색으로의 표시 전환의 경우보다도 전계 인가 시간이 짧게 끝나고, 또한, 어느 중간색으로부터 이것과 판별 가능한 다른 계조의 중간색으로 표시를 전환시킴으로써 표시 전환 전후의 표시 각각을 관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종래의 포화 구동에 의한 표시 전환의 경우와 비교하여 대폭으로 표시 전환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또한 항상 포화 구동을 행하는 경우보다도 저소비 전력으로도 된다. 특히, 시각 수정을 행하는 경우나, 리스트 표시 혹은 다수의 선택 사항이 있는 중에서 항목을 선택하여 설정을 행하는 경우와 같이 연속하 여 표시 전환이 필요해지거나 초기 설정 시 등 표시 재기록의 빈도가 높은 경우에 이러한 효과를 크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초를 표시하거나 초 이외에도 매초 표시를 전환할 필요가 있는 정보를 표시하는 경우에, 포화 상태로 하는데 필요한 포화 구동 시간이 1초보다도 긴 경우에도, 본 발명의 특징으로 하는 중간색 구동에 의해서 초 표시나, 매초 전환되는 표시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초 표시는 시계의 기본 성능이기 때문에, 본 발명은 시계에 적용됨으로써 그 효과가 두드러진다.
또한, 「입자 이동형 표시 장치」는, 대전 토너형 표시 장치나 전자 분유체 표시 장치 등의 분체 이동 방식 표시 디바이스와 전기 영동 표시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서는 상기 입자를 상기 포화 상태가 되게 하는 포화 구동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중간색 구동 공정의 후에 상기 포화 구동 공정을 행함으로써 상기 중간 상태의 상기 입자를 상기 포화 상태가 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에서는 상기 입자를 상기 포화 상태가 되게 하는 포화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포화 구동부는 상기 중간색 구동부에 의한 표시 재기록 처리 후에 표시 재기록 처리를 행하여 상기 중간 상태의 상기 입자를 상기 포화 상태가 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중간색 구동에서의 전계 인가 시간을 포화 구동에서의 전계 인가 시간에 대해서 제한함으로써 입자의 이동 거리가 바뀌므로, 중간색 구동과 포화 구동 을 각각 실현할 수 있다.
이들 발명에 의하면, 중간색 구동에 의해 표시색이 전환된 중간 상태의 표시가, 포화 구동에 의해 포화 상태로 되어 반사율이 최대가 된다. 이것에 의해, 표시 전환을 단시간에 행하면서 표시 전환이 완료되어 표시 상태를 유지할 때의 시인성을 보다 높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서는 상기 중간색 구동 공정 및 상기 포화 구동 공정의 적어도 한 쪽에서는 서로 상이한 제1 전위와 제2 전위 사이에서 변화하는 펄스를 한 쪽의 전극에 인가하고, 또한 표시색에 따라 상기 제1 전위 및 상기 제2 전위의 어느 하나를 다른 쪽의 전극에 인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대향하는 전극 사이에서 이들 전극 사이에 있는 대전 입자를 이동시키는 방식의 전기 영동 표시 디바이스를 구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한 쪽의 전극」 및 상기 「다른 쪽의 전극」은 각각, 「대향하는 한 쪽의 전극」 및 「대향하는 다른 쪽의 전극」에 상당한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에서는 전원과, 상기 전원으로부터 서로 상이한 2개의 전위 중 제1 전위를 생성하는 제1 전위 생성부와,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2개의 전위 중 제2 전위를 생성하는 제2 전위 생성부와, 상기 2개의 전위 사이에서 변화하는 펄스를 생성하는 펄스 생성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발명에 의하면, 펄스를 한 쪽의 전극에 인가하고, 이 펄스가 제1 전위일 때에는 이 한 쪽의 전극과 제2 전위가 인가된 다른 쪽의 전극 사이에 소정 방 향의 전계가 생기고, 반대로 이 펄스가 제2 전위일 때에는 이 한 쪽의 전극과 제1 전위가 인가된 다른 쪽의 전극 사이에 반대 방향의 전계가 생긴다. 이 때문에, 한 쪽의 색으로부터 다른 쪽의 색으로, 또한 다른 쪽의 색으로부터 한 쪽의 색으로, 쌍방향의 표시 전환이 시분할에 의해 병행하여 행해진다. 이와 같이 각 방향에서의 표시 전환을 시분할로 행함으로써, 1전원(한쪽 전원)으로도 쌍방향으로의 표시 전환이 마치 동시에 행해지는 듯한 자연스러운 표시가 가능해진다.
또한, 다른 쪽의 전극에, 한 쪽의 전극에 인가하는 펄스와 동위상 또한 동전위의 신호(펄스)를 인가했을 때에는, 이들 전극 사이에 전압 구배가 생기지 않기 때문에 표시색은 유지된다.
여기서, 만일 2전원(양 전원)을 구비하고, 한 쪽의 전극에 0V를 인가하고 다른 쪽의 전극에는 표시색에 따라 정전위 및 부전위의 어느 하나를 인가하는 구성으로 하면, 쌍방향의 표시 전환을 동시에 행하는 것이 가능해지지만, 승압 회로 등이 2계통 필요해짐으로써 회로 구성이 대형화된다. 이 때문에, 시계 등의 소형 기기에 있어서는 특히, 1전원(한쪽 전원)으로 하는 것이 유리한 구성이 된다. 또한, 승압 회로 등이 대형화하지 않음으로써 저소비 전력화할 수 있다. 또한, 전위를 스위치하는 트랜지스터 등의 내압도 종래예의 절반 정도로 완료된다. 이러한 이점이 있는 한편, 한쪽 전원으로는 표시 전환의 시간은 길어진다.
이상으로부터, 한쪽 전원으로 되어 표시 전환 시간을 길게 필요로 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야말로 전술한 표시 전환 시간의 단축화의 효과를 두드러지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서는, 상기 포화 구동 공정에서의 하나의 표시 재기록 처리 중의 표시 전환 요구에 의해, 다음의 표시 재기록 처리를 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에서는 상기 포화 구동부에 의한 하나의 표시 재기록 처리 중에, 표시 전환 요구를 상기 중간색 구동부 및 상기 포화 구동부의 어느 하나에 송신하는 표시 전환 요구 발생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발명에 의하면, 표시 전환 요구가 발생했을 때, 포화 상태가 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포화 상태가 되기 전의 중간 상태로부터 다음의 표시 재기록 처리를 행함으로써 표시 전환의 소요 시간을 보다 단축할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조작 버튼을 연타한 경우 등, 표시 전환 개시와 표시 전환 종료가 연속적으로 생기는 경우에 그 효과를 크게 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표시 재기록 처리란, 표시의 재기록(재묘화)을 행하기 위해서 필요해지는 구동 신호를 표시체에 입력하는 처리를 말한다. 표시 재기록을 반복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표시 재기록 처리가 차례로 행해진다. 또한, 표시체에 따라서는, 하나의 표시 재기록 처리에 복수의 구동 신호가 필요해진다. 이러한 표시 재기록 처리는, 예를 들어 조작 버튼이 눌려 화면 표시가 전환될 때나, 타이머 사용 중에 있어서 표시 시간을 카운트 다운할 때 등 표시 전환 요구가 발생할 때마다 행해진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서는, 표시 전환 요구를 발생시키는 조작 부재에 의한 조작이 소정 시간 유지됨으로써 상기 중간색 구동 공정을 개시하는 것 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에서는 표시 전환 요구를 발생시키는 조작 부재에 의한 조작 상태를 검출하는 조작 검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색 구동부는 상기 조작 부재에 의한 조작이 소정 시간 유지된 것이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었을 때에, 표시 재기록 처리를 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발명에 의하면, 조작 부재의 유지 조작의 시간을 카운트하여 소정 시간, 유지 조작이 계속되었을 때에 사용자가 연속하여 항목 선택이나 시각 수정 등을 행하고자 하는 것이라고 판단하여 중간색 구동을 개시하므로, 사용자 조작에 연동하여 적시에 중간색 구동을 개시할 수 있음과 함께 사용자가 설정의 추이를 관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서는, 상기 중간색 구동 공정에서의 하나의 표시 재기록 처리 동안, 표시 전환 요구를 발생시키는 조작 부재에 의한 조작이 유지되고 있었을 때에는, 상기 중간색 구동 공정에 의한 표시 재기록 처리를 속행하고, 상기 중간색 구동 공정에서의 하나의 표시 재기록 처리 중에 상기 조작 부재에 의한 조작이 해제되었을 때에는 상기 중간색 구동 공정으로부터 상기 포화 구동 공정으로 이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에서는 표시 전환 요구를 발생시키는 조작 부재에 의한 조작 상태를 검출하는 조작 검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색 구동부는 상기 조작 부재에 의한 조작이 소정 시간 유지되었던 것이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었을 때에, 표시 재기록 처리를 행하고, 또한 하나의 표시 재기록 처리 동안, 상기 조작 부재에 의한 조작이 유지되고 있었을 때에는 표시 재기록 처리를 속행하고, 상기 포화 구동부는 상기 중간색 구동부에 의한 하나의 표시 재기록 처리 중에 상기 조작 부재에 의한 조작이 해제되었을 때에 표시 재기록 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발명에 의하면, 조작이 유지되고 있는 동안은 중간색 구동에 의해서 표시 재기록을 연속하여 신속히 행하고, 유지 조작이 해제되었을 때에는 사용자가 항목 선택이나 시각 수정을 종료하고자 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포화 구동 공정을 행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 조작에 연동한 한층 적시적인 구동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서는, 표시 전환 요구를 발생시키는 조작 부재에 의한 조작이 해당 조작 부재에 의한 하나 전의 조작 시부터 상기 포화 구동 공정의 하나의 표시 재기록 처리에 필요로 하는 포화 시간보다도 짧은 시간 간격으로 행해졌을 때에, 처리 중의 표시 재기록 처리를 중단하여 상기 중간색 구동 공정에 의한 표시 재기록 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에서는 표시 전환 요구를 발생시키는 조작 부재에 의한 조작 상태를 검출하는 조작 검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색 구동부는 상기 조작 부재에 의한 조작이 해당 조작 부재에 의한 하나 전의 조작 시부터 상기 포화 구동부의 하나의 표시 재기록 처리에 필요로 하는 포화 시간보다도 짧은 시간 간격으로 행해진 것이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었을 때에, 처리 중의 표시 재기록 처리를 중단하여 표시 재기록 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발명에 의하면, 조작 부재에 의한 조작의 시간 간격이 포화 시간보다 도 짧은 경우에, 사용자가 표시 재기록을 연속적으로 행하고자 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중간색 구동을 행하기 때문에, 조작 부재의 짧은 간격으로의 반복 조작(조작 부재가 누름 버튼인 경우에는 연타)에 거의 동기하여 표시 재기록을 신속히 행할 수 있다.
또한, 포화 시간이란, 포화 상태가 될 때까지 입자를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시간, 즉 포화 구동 공정의 하나의 표시 재기록 처리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말한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서는, 표시 전환 요구를 발생시키는 조작 부재에 의한 조작이 상기 포화 구동 공정의 하나의 표시 재기록 처리에 필요로 하는 포화 시간보다도 짧은 시간 간격으로 반복하여 행해진 경우에는, 상기 조작 부재의 조작 회수에 의거하는 수만큼 순차로 상기 중간색 구동 공정에 의한 표시 재기록 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에서는, 표시 전환 요구를 발생시키는 조작 부재에 의한 조작 상태를 검출하는 조작 검출부와, 상기 조작 부재에 의한 조작이 상기 포화 구동부의 하나의 표시 재기록 처리에 필요로 하는 포화 시간보다도 짧은 시간 간격으로 반복하여 행해진 것이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었을 때에 반복 회수를 기억하는 조작 회수 기억부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색 구동부는 상기 조작 회수 기억부가 기억한 조작 회수에 의거하는 수만큼 순차로 표시 재기록 처리를 행하고, 상기 조작 회수 기억부는 상기 중간색 구동부에 의한 상기 조작 회수에 의거한 수의 표시 재기록 처리 후에, 기억한 조작 회수를 리셋하는 것이 바람 직하다.
이러한 발명에 있어서, 조작 부재에 의한 조작의 시간 간격이 포화 시간보다도 짧은 경우에, 사용자가 표시 재기록을 연속적으로 행하고자 하는 것이라고 판단하여 중간색 구동을 행하는 점은 상기 구성의 발명과 동일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중간색 구동에 의한 표시 재기록 처리가 조작 부재의 조작과는 동기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의 중간색 구동에 의한 표시 재기록 처리는 조작 부재의 조작에 의해서 중단되는 일 없이 조작 회수에 의거하는 수만큼 반복된다. 즉, 조작 부재에 의한 조작의 시간 간격보다도 중간색 구동이나 포화 구동에 필요로 하는 시간이 길게 걸리는 구성에 있어서, 조작된 회수만큼 확실히 조작할 수 있고, 또한 조작 부재를 연타했을 때의 표시 상태의 천이를 사용자가 확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서는, 소정 시 또는 소정 조건 성립 시에 상기 중간색 구동 공정을 개시하고, 그 후의 소정 시 또는 소정 조건 성립 시에 상기 중간색 구동 공정으로부터 상기 포화 구동 공정으로 이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지 않고도 자동적으로 중간색 구동 공정을 개시하고, 그 후, 중간색 구동 공정으로부터 포화 구동 공정으로 자동적으로 이행하므로, 예를 들어 알람 시각의 알림 시나, 타이머 시각의 카운트 다운, 화면 천이 시의 와이프 동작, 정시 애니메이션 동작 등의 소정 시 또는 소정 조건 성립 시에도 전술한 표시 전환의 단축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서는, 구동 시의 온도에 따라 상기 중간색 구동 공정에서의 전계 인가 시간 및 상기 포화 구동 공정에서의 전계 인가 시간 의 적어도 한 쪽을 증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입자 이동의 온도 특성에 대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온보다도 저온인 경우에 입자의 이동 속도가 저하되는 경우에는, 저온 시에는 상온 시보다도 전계 인가 시간을 길게 함으로써 상온 시와 동등한 반사율을 실현할 수 있고, 표시 전환 과정의 표시나, 전환된 표시의 현재화(顯在化) 등을 확실히, 또한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구동 방법 및 구동 장치는, 각종의 입자 이동형 표시 장치, 예를 들어, 전기 영동 표시 디바이스(전기 영동 디스플레이)나, 대전 토너형 표시 디바이스, 전자분 유체 표시 디바이스 등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대전 토너형 표시 디바이스의 구성의 예로서는, 전하 수송 부재가 도포된 한 쌍의 기판 사이에 도전성 토너와 미립자를 봉입한 것이 있다.
또한, 전자분 유체 표시 디바이스의 구성의 예로서는, 유체와 분체와의 중간의 성질을 갖는 전자분 유체를 기판 사이에 봉입한 것이 있고, 색이 상이하고 또한 대전 시에는 서로 반발하는 2종류의 전자분 유체에 의해 표시가 행해진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전술의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또는 전술의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에 의해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술한 구동 방법, 구동 장치에 의해서 구동되기 때문에, 전술과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전기 영동 표시 디바이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기 영동 표시 디바이스는, 다른 종류의 표시 장치와 비교하여 반사율이 높 고, 표시 가능한 중간색의 계조 범위(농도 범위)도 넓다. 즉, 어느 계조의 중간색과 다른 계조의 중간색과의 색의 차이의 육안 관찰이 용이하고, 본 발명의 적용예로서 특히 적합해진다.
또한, 전기 영동 표시 디바이스는, 전계 인가를 개시했을 때의 초기적인 응답이 높다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전계 인가 개시 후, 표시 변화(응답, 반응)가 나타나기에 충분한 색농도까지 단시간에 달한다. 이 특성으로부터도, 전기 영동 표시 디바이스는 본 발명의 적용예로서 특히 적합해진다.
또한, 전기 영동 표시 디바이스에는 색이 상이하고 또한 정부에 각각 대전한 2개의 입자를 갖는 2 입자계나, 1개의 입자를 갖고 이 입자의 색과 용액의 색으로 2색의 표시를 행하는 1 입자계 등이 있다. 또한, 전기 영동 표시 디바이스의 표시색은 2색에 한정하지 않고, RGB의 각 입자에 의해 칼라 표시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전기 영동 표시 디바이스의 입자 이동 방향에 따른 표시 방식에는, 시인 방향의 표측(表側)과 이측(裏側)에 각각 대향하여 설치된 전극 사이에서 입자를 이동시키는 수직 방향 이동 방식이나, 각 화소를 구획하는 격벽을 갖고, 입자를 격벽의 측면부 또는 화소의 평면부에 이동시키는 수평 방향 이동형 등이 있다.
또한, 전기 영동 표시 디바이스의 구동 방식은, 세그먼트 구동 방식이라도, 도트 매트릭스 구동 방식이라도 좋다.
본 발명의 전자 기기는 전술의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술한 구동 장치를 구비하기 위해서 전술과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 기기에서는, 계시부와, 이 계시부에서 계시한 계시 정보를 표시하는 계시 정보 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 기기는 시계로서 구성되고 또는, 시계 기능을 갖는다. 전술과 같이 표시 전환을 단시간에 행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시계의 기본 성능인 초의 표시를 실현할 수 있다. 즉, 시계로의 적용에 의해, 표시 전환을 단시간에 행할 수 있는 효과를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알람이나, 월드 타임이나, 타이머 등의 각종 기능을 장비하는 시계에 있어서, 이들의 각종 설정 화면에서의 설정 변경 등을 신속히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입자 이동형 표시 장치에서의 표시 전환 시간을 대폭으로 단축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2 실시 형태 이후의 설명에 관해,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 혹은 간략화한다.
〔제1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1. 전체 구성]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전자 기기로서의 시계(1)의 외관 평면도이다.
시계(1)는 디지털 표시식의 전자 손목 시계로서 구성되고, 직사각형상의 개구(11)가 정면에 형성된 외장 케이스(10)와, 밴드(12)와, 개구(11)로부터 시인되는 전기 영동 표시 패널(30)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개구(11)에는 커버 글래스(11A)가 설치되고, 외장 케이스(10)의 측면에는 조작 버튼(131~134)이 설치되어 있다.
[2. 전기 영동 표시 모듈의 구성]
도 2는, 전기 영동 표시 모듈(3)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전기 영동 표시 모듈(3)은, 대략, 전기 영동 표시 패널(30)과 제어 회로 기판(40)을 구비하고, 이들은 이방성 도전막(ACF;Anisotropic Conductive Film) 등에 의한 배선 부재 C로 서로 접속되고 있다. 또한, 외장 케이스(10)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이러한 전기 영동 표시 패널(30)과 제어 회로 기판(40)은 배선 부재 C의 부분에서 되접어 꺾여 중합되어 있다.
[2-1. 제어 회로 기판의 구성]
제어 회로 기판(40)에는 시계(1)의 구동원인 전원(420)과 시계(1)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용 컨트롤러(425)와, 표시 패널(30)의 드라이버 IC(426)와 스위치 소자(427)와 수정 발진 회로 소자(428)가 실장되어 있다. 또한, 전원(420)은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차 전지이지만, 이차 전지나, 그 외의 전원 장치라도 좋다.
또한, 드라이버 IC(426)와 배선 부재 C는 자세한 도시를 생략하지만, 서로 접속되어 있다.
[2-2. 전기 영동 표시 패널의 구성]
표시 패널(30)에는 7분할의 세그먼트로 구성된 숫자에 의해, 시 표시부(30H)와 분 표시부(30M)와 초 표시부(30S)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시 표시부(30H)와 분 표시부(30M) 사이에는 2개의 세그먼트에 의해 콜론(:) 표시부(30C)가 설치되고, 또한 크로노그래프 기능의 동작 시에 표시되는 「m」, 「s」의 각 세그먼트도 설치되어 있다. 이들 세그먼트를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을 때에는, 이들을 세그먼트(300)라 총칭한다.
또한, 표시 패널(30)에는, 표시 영역 전체로부터 모든 세그먼트(300)를 제외한 영역인 배경의 표시를 행하기 위한 배경 표시용 전극(390)이 설치되어 있다.
도 3은, 도 2의 III-III선에서의 표시 패널(30)의 단면도이다.
표시 패널(30)은, 표시 기판(31)과 투명 기판(32)과 표시 기판(31) 및 투명 기판(32) 사이에 설치된 전기 영동층(33)을 포함하여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상으로 구성되고, 외장 케이스(10) 내에 배치되어 있다.
표시 기판(31)의 표면(투명 기판(32)과의 대향면)에는, 각 세그먼트(300)에 대응하는 세그먼트 전극(310)이 설치됨과 함께 길이 방향의 양 단부에, 투명 기판(32)측의 전극에 도통되는 전극(321, 322)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세그먼트 전극(310)의 표면에는 접착제(접착층) AD가 설치됨으로써, 복수의 마이크로 캡슐(330)이 접착되어 있다. 이러한 마이크로 캡슐(330)은 전기 영동층(33)을 구성한다.
표시 기판(31)의 이면에는 표시 기판(31) 표면에 형성된 세그먼트 전 극(310), 배경 표시용 전극(390) 및 전극(321, 322)을 배선 부재 C(도 2)를 통해 제어 회로 기판(40)에 도통하는 배선(312)이 형성되어 있다. 각 배선(312)과 각 전극 사이에는 표시 기판(31)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비어(314)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다.
한편, 투명 기판(32)의 이면(표시 기판(31)과의 대향면)에는 ITO(Indium Tin Oxide) 등에 의한 투명한 공통 전극(320)이 설치되어 있다. 이 공통 전극(320)은 투명 기판(32)의 이면 대략 전체에 걸쳐 설치되고, 각 세그먼트 전극(310)과의 사이에서 각각 전압이 인가되는 각 세그먼트 전극(310) 공통의 전극으로 되어 있다. 이 공통 전극(320)과 전극(321, 322) 각각과의 사이에는 도통 부재(321A, 322A)가 개재되어 있다.
또한, 투명 기판(32)의 표면측에 설치된 내습 시트(32A), 및 표시 기판(31)의 이면측에 설치된 내습 시트(31A)에 의해, 투명 기판(32), 마이크로 캡슐(330) 및 표시 기판(31) 등은 밀봉되어 있다.
[3. 전기 영동에 의한 표시]
도 4는, 표시 패널(30)에서의 전기 영동층(33)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전기 영동층(33)은 다수의 마이크로 캡슐(330)이 밀집하여 배치됨으로써 형성되고, 각 마이크로 캡슐(330)에는 다수의 대전 입자가 분산된 전기 영동 입자 분산액(331)이 각각 봉입되어 있다. 전기 영동 입자 분산액(331)에서는 흑색의 전기 영동 입자(이하, 흑색 입자라고 함 : 331A)와 백색의 전기 영동 입자(이하, 백색 입자라고 함 : 331B)가 분산되어 2색의 분유체 방식의 전기 영동층이 구성되어 있 다. 이들 흑색 입자(331A) 및 백색 입자(331B)는 서로 상이한 극성에 대전한 안료로 되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흑색 입자(331A)가 마이너스(부)에 대전하고, 백색 입자(331B)가 플러스(정)에 대전하고 있다.
즉, 세그먼트 전극(310)이 하이 레벨 전위(H 전위)이며, 공통 전극(320)이 로우 레벨 전위(L 전위)인 경우, 그 전위차에 의해서 공통 전극(320)으로부터 세그먼트 전극(310)을 향하는 전계가 발생하고, 부에 대전한 흑색 입자(331A)가 세그먼트 전극(310)측에 이동함과 함께, 정에 대전한 백색 입자(331B)가 공통 전극(320)측에 이동한다. 이 백색 입자(331B)가 공통 전극(320)에 최대한 근접하여 포화 상태가 되었을 때, 표시 패널(30)에서의 표시는 백색이 된다.
이 백색 표시의 경우와는 반대로, 세그먼트 전극(310)을 로우 레벨 전위(L 전위)로 하고, 공통 전극(320)을 하이 레벨 전위(H 전위)로 전환한 경우, 전계의 방향이 역전하고, 흑색 입자(331A)가 공통 전극(320)에 최대한 근접하여 포화 상태가 되었을 때의 표시 패널(30)에서의 표시는 흑색이 된다. 도 1의 예에서는, 「12:00」의 각 숫자 및 콜론이 각각, 흑색으로 표시되고 있다.
또한, 흑색 입자(331A), 백색 입자(331B)의 이동량을 전계 인가 시간에 따라 조정함으로써 흑색과 백색 사이의 색계조의 중간색 표시도 가능해지고 있다.
또한, 표시색을 유지할 때에는 전계 인가가 정지된다. 이 전계 인가의 정지에 의해, 흑색 입자(331A), 백색 입자(331B)의 위치가 이상적으로는 변하지 않고, 그 위치에 흑색 입자(331A), 백색 입자(331B)가 머물기 때문에 표시색이 유지된다.
[4. 구동 제어부의 구성]
도 5는, 제어 회로 기판(40)(도 2)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어 회로 기판(40)은 제어용 컨트롤러(425)에 실장되는 구동 제어부(61)와 드라이버 IC(426)(도 2)에 실장되는 표시 구동부(62)를 갖고 표시 패널(30)의 구동 장치로서 기능한다.
구동 제어부(61)는 표시 구동부(62)에 대한 입출력을 행하는 입출력부(611)와, 계시 정보를 취득하는 계시부(612)와, 전원(420)으로부터 각 회로 소자(425~428)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압 제어부(613)와, 조작 버튼(131~134)의 조작 상태를 검출하는 조작 검출부(614)와, 이러한 각부(611~614)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615)와 기억부(616)를 갖는다.
계시부(612)는 수정 발진 회로 소자(428)의 발진 펄스를 카운트함으로써 시각을 계시하는 것이고, 이 계시부(612)는 제어부(615)를 통해서 입출력부(611)를 제어한다.
또한, 표시 구동부(62)는 표시 패널(30)의 공통 전극(320)과 각 세그먼트 전극(310)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는 구동 신호를 표시 패널(30)에 인가한다. 여기서, 표시 구동부(62)는 계시부(612)에 의해 취득된 계시 정보에 의거하여 각 세그먼트 전극(310) 각각에 소정 전위의 구동 신호를 인가한다.
[4-1. 표시 구동부의 구성]
도 6은, 표시 패널(30)을 구동하는 표시 구동부(62)의 구성 블록도이다. 표시 구동부(62)는 L 전위(제1 전위;본 실시 형태에서는 0V)를 생성하는 L 전위 생성부(621)와, 승압 회로부(620)에 접속되어 H 전위(제2 전위;본 실시 형태에서는 +15V)를 생성하는 H 전위 생성부(622)와, 이러한 전위 생성부(621, 622)에서 생성된 전위에 의해 펄스를 생성하는 펄스 생성부(623)와, 표시 상태에 따라 표시 패널(30)에 출력하는 전위를 전환하거나, 구동 기간(전계 인가 시간) 등을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624)를 가진다.
또한, 승압 회로부(620)는 전원(42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예를 들어 1.5V)를 H 전위(본 실시 형태에서는 15V)로 승압한다.
또한, 표시 구동부(62)는 드라이버 IC(426)의 복수의 출력 단자로서 공통 전극(320)에 접속되는 공통 전극용 단자(628)와, 각 세그먼트(300)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세그먼트 전극용 단자(6291~629n)를 갖고, 이러한 단자로의 출력은 표시 제어부(624)에 의해 제어된다.
표시 제어부(624)는 표시 패널(30)에서의 각 입자(331A, 331B)를 포화 상태가 되게 하는 포화 구동부(625)와, 각 입자(331A, 331B)를 포화 상태 이외의 중간 상태가 되게 하는 중간색 구동부(626)와, 표시 전환 요구를 발생시키는 표시 전환 요구 발생부(627)를 갖는다.
[5. 표시 패널의 구동 공정]
다음에, 표시 패널(30)의 구동 공정을 설명한다.
[5-1. 포화 구동 공정]
도 7은, 포화 구동부(625)에 의해 행해지는 포화 구동 공정의 일부를 나타낸다. 여기서, COM는 표시 구동부(62)로부터 전송되어 공통 전극(COM)에 있어서 L 전위와 H 전위 사이에서 변화하는 구동 펄스의 전위를 나타내고, SEG1, SEG2는 각각, 표시 구동부(62)로부터 표시색에 따라 전송되어 세그먼트 전극(310)(도 3)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의 일례를 나타낸다.
또한, 도 7의 아래쪽에는 표시 패널(30)에서의 표시색의 농도를 나타내었다.
포화 구동 공정에서는 도 7에 나타낸 COM의 반파장 10회(5 펄스)의 사이에 1회의 표시 재기록을 행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COM의 반파장은 0.25초로 하고 있다. COM의 반파장 10회를 1세트로 하는 구동 기간 T1이 1회의 표시 재기록의 소요 시간(포화 시간)이 된다.
SEG1은 여기에서는 H 전위로 되고, COM이 L 전위일 때(W1~W5)에 SEG1과 COM 사이에 전압이 인가된다. 이것에 의해, 백색 입자(331B)가 표시 패널(30)의 표측에, 흑색 입자(331A)가 표시 패널(30)의 이측에 각각 영동하여 포화 상태가 되고, 도 7에 색의 농도를 실선으로 나타내도록 표시색이 흑색으로부터 백색으로 변경된다.
한편, SEG2는 여기에서는 L 전위로 되고, COM가 H 전위일 때(B1~B5)에 SEG2와 COM 사이에 전압이 인가된다. 이것에 의해, 흑색 입자(331A)가 표시 패널(30)의 표측에, 백색 입자(331B)가 표시 패널(30)의 이측에 각각 영동하여 포화 상태가 되고, 표시색이 백색으로부터 흑색으로 변경된다.
또한, 도 7에는 나타내지 않지만, 표시색을 유지하는 세그먼트에 대응하는 세그먼트 전극(310)(도 3)에는 COM과 동위상 그리고 동전위인 펄스 신호가 인가된다. 이것에 의해, 해당 세그먼트에는 전압이 걸리지 않고, 표시색은 흑색 또는 백 색으로 유지된다. 또한, SEG1, SEG2도, 이들 SEG1, SEG2가 인가되는 세그먼트의 표시색을 유지할 때에는, COM과 동일한 펄스 신호로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통상의 시각 표시 모드에서의 시 표시부(30H) 및 분 표시부(30M)의 표시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포화 구동 공정에 의해 행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시일 때에 초가 표시되지만, 그 이외일 때에는, 시, 분을 포화 구동함으로써 시각을 표시하고 있고, 시 표시부(30H), 분 표시부(30M)에서의 각 세그먼트는 표시하는 숫자에 따라 흑색 또는 백색으로 표시된다.
[5-2. 중간색 구동 공정]
도 8은, 중간색 구동부(626)(도 6)에 의해 행해지는 중간색 구동 공정의 일부를 나타낸다. 이 중간색 구동 공정에서는, 1회의 표시 재기록 동작에서의 구동 기간(전계 인가 시간)이 도 7의 포화 구동 공정의 경우보다도 짧다. 구체적으로, 중간색 구동 공정에서의 COM의 반파장은 포화 구동 공정에서의 COM의 반파장의 1/2인 0.125초로 되어 있다. COM의 반파장 4회(2 펄스, 0.5초)를 1세트로 하는 구동 기간이 중간색 구동에서의 1회의 표시 재기록의 소요 시간이 된다.
또한, 여기에 나타낸 COM의 파장은 일례이며,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중간색 구동 공정에서의 COM의 반파장을 예를 들어, 약 0.005초(5ms) 이상 또한 약 0.005초(5ms) 단위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온 시, 중간색 구동 공정에서의 반파장을 약 0초 이상, 약 0.6초 이하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반파장을 0초로 하는 예로서 전체 파장 중, 반파장의 한 쪽을 0초, 다른 쪽을 예를 들어 0.05초로 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표시 패널(30)의 전체 화면을 백색(또는 라이트 그레이), 혹은 흑색(또는 다크 그레이)로 묘화할 때에 묘화의 시간 단축이 도모되므로 유용해진다. 즉, 이 경우에는, 백색(또는 라이트 그레이)으로의 묘화와 흑색(또는 다크 그레이)으로의 묘화의 쌍방향의 묘화를 시분할로 교대로 행하는 것은 아니고, 한 방향으로의 묘화를 연속하여 행하는 것이 된다. 즉,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은 COM의 펄스 파형에 의해서 시분할로 쌍방향으로 묘화하는 동작과, 시분할이 아니라 한 방향으로 묘화하는 동작을 적절히 전환하여 행해도 좋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구동 시의 온도에 따라 중간색 구동 공정에서의 전계 인가 시간이나 포화 구동 공정에서의 전계 인가 시간을 증감시키고 있다. 동일한 시간 내에서 입자(331A, 331B)가 이동한 결과의 콘트라스트의 비교에 있어서, 저온 시에서의 콘트라스트는 상온 시에서의 콘트라스트보다도 저하되기 때문에, 1회의 구동 기간(T1 등)에서의 COM의 펄스수를 증가시키거나 반파장을 길게 한다. 이와 같이 하여 총 전계 인가 시간(구동 기간)을 길게 함으로써 상온 시와 동등한 반사율을 확보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포화 구동 공정(도 7)에서의 총 전계 인가 시간은 상온 시, 2.5초인데 대하여 0℃에서는 그 2배인 5초로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주위 온도 등의 사용 조건 변화가 일어나도, 육안으로 볼 수 있는 중간색의 차이가 얻어지도록, 또한 조작에 대한 반응이 적당하다고 느끼도록, 1회의 구동 기간(T1 등)에서의 COM의 펄스수를 1에서 6000발까지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인가 전압이나 입자 지름 등에 따라 총 전계 인가 시간은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도 8에 나타낸 예에서는 SEG1은 표시색이 흑색 방향으로부터 백색 방향으로, 또한 백색 방향으로부터 흑색 방향으로, 그리고 재차 흑색 방향으로부터 백색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변경되는 경우의 전위를 나타내고, COM이 L 전위이고 SEG1이 H 전위일 때에, 백색 방향으로의 기록(W1~W4)이 행해진다. 또한, COM가 H 전위이고 SEG1이 L 전위일 때에 흑색 방향으로의 기록(B1, B2)이 행해진다. 이러한 SEG1이 인가된 세그먼트에서의 표시색의 농도를 실선으로 나타낸다.
한편, SEG2는 표시색이 백색 방향으로부터 흑색 방향으로, 또한 흑색 방향으로부터 백색 방향으로, 그리고 재차 백색 방향으로부터 흑색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변경되는 경우의 전위를 나타내고, COM이 H 전위이고 SEG2가 L전위일 때에 흑색 방향으로의 기록(B1~B4)이 행해지고, 또한 COM이 L 전위이고 SEG2가 H 전위일 때에 백색 방향으로의 기록(W1, W2)이 행해진다. 이러한 SEG2가 인가된 세그먼트에서의 표시색의 농도를 파선으로 나타낸다.
여기서, 이러한 SEG1, SEG2가 각각 인가되는 각 세그먼트에서는 1회의 표시 재기록으로 표시색은 포화 상태(흑색 또는 백색)가 되지 않고 중간 상태에 머무르고, 표시색은 중간색(그레이)이 되지만, SEG1의 세그먼트와 SEG2의 세그먼트에서의 표시색의 차이(농도의 차이)에 의거하여 표시 전환(표시 재기록)이 가능해지고 있다.
즉, 도 8의 구동 기간 T1에 있어서 재기록된 표시색은 SEG1에 대해서는 백색 기록(W2) 완료 시점의 백색 원(○)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흑색과 백색에서는 백색 쪽에 보다 가까운 라이트 그레이(옅은 회색)가 되고, SEG2에 대해서는 흑색 기록(B2) 완료 시점의 흑색 원(●)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흑색과 백색에서는 흑색 쪽에 보다 가까운 다크 그레이(진한 회색)가 된다. 이러한 라이트 그레이와 다크 그레이는 육안으로 판별 가능하고, 이러한 색의 차이에 의거하여 표시 전환이 행해진다.
이 구동 기간 T1과 동일하게, 구동 기간 T2에서도 SEG1에 의한 흑색 기록(B2) 완료 시점의 흑색 원(●)이 나타내는 다크 그레이와, SEG2에 의한 백색 기록(W2) 완료 시점의 백색 원(○)이 나타내는 라이트 그레이와의 색의 차이에 의거하여 표시 전환이 행해진다.
그리고, 구동 기간 T3에서는, SEG1에 의한 백색 기록(W4) 완료 시점(백색 원(○))과 SEG2에 의한 흑색 기록(B4) 완료 시점(흑색 원(●))에서의 표시색은 각각 라이트 그레이 및 다크 그레이가 되고, 이들 라이트 그레이와 다크 그레이의 색의 차이에 의거하여 표시 전환이 행해진다.
이상 설명한 포화 구동 공정과 중간색 구동 공정이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적절히 전환되어 각각 행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포화 구동 공정에 있어서 포화시키는 동안에 새로운 표시 전환 요구가 발생하는 경우, 표시 전환 요구 발생부(627)(도 6)에 의해, 포화 구동부(625)(도 6)에 제어 신호를 송신하여 다음의 표시 처리를 행하게 하도록 되어 있다.
즉, 도 7의 포화 구동 공정에 있어서 표시 전환 요구가 발생하면, 재기록 중 의 표시 처리를 중단하고, 새로운 표시 처리를 포화 구동 공정에 의해 행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6. 표시 패널의 구동예]
다음에, 시계(1)가 갖는 각종 기능을 각각 동작시켰을 때의 표시 패널(30)의 구동예를 나타낸다.
[6-1. 시각 수정]
도 9~도 12는, 시각 수정을 행하는 경우의 시각 표시를 나타내고, 도 13, 도 14는 도 9~도 12의 동작 시에 행해지는 구동 공정의 전환을 나타낸다.
여기서, 도 13, 도 14에는 구동 공정(도면의 상단)과 조작 버튼(131)의 조작 상태(도면의 중단)와, 표시 패널(30)의 표시 상태(도면의 하단)를 각각 나타내었다.
또한, 도 13, 도 14에서 나타낸 각 포화 구동 공정은 각각, 도 7에 나타낸 포화 시간 T1에 따른 하나의 표시 재기록 처리를 의미한다. 또한, 도 13, 도 14에서 나타낸 각 중간색 구동 공정은 각각, 도 8에 나타낸 예를 들어 T1에 따른 하나의 표시 재기록 처리를 의미한다.
시각 수정을 개시할 때에는, 예를 들어 조작 버튼(133)을 조작하여 시각 수정 모드로 한다(도 9(A)). 이 때, 초 표시부(30S)는 「00」초에 리셋된다. 그리고, 조작 버튼(134) 등을 조작하여 분 표시부(30M)를 수정 대상으로 세트하고, 예를 들어 조작 버튼(131)을 누름으로써 분을 1개씩 카운트 업해간다.
여기서, 조작 버튼(131)을 누르는 조작이 소정 시간, 예를 들어 1초간 유지 된 것(길게 누름)이 조작 검출부(614)(도 5)에 의해서 검출되면, 구동 제어부(61)에 의한 구동 제어는 포화 구동 공정 S1로부터 중간색 구동 공정 S2로 이행하고(도 13), 분 표시부(30M)의 표시는 그레이색(도 13의 하단에서의 중간 상태)에서 카운트 업된다.
또한, 표시 전환 요구는 조작 버튼(131)을 누른 타이밍과, 포화 구동 공정 S11로부터 중간색 구동 공정 S12으로 전환되는 타이밍과, 조작 버튼(131)을 유지하고 있을 때에 중간색 구동의 표시 재기록 시간(예를 들어 도 8의 T1나 T2나 T3)이 경과하는 타이밍에 각각 발생한다. 표시 전환 요구는, 표시 전환 요구 발생부(627)(도 6)로부터 포화 구동부(625)(도 6)에 송신된다.
중간색 구동 공정 S2에 의한 표시 재기록 중에 조작 버튼(131)의 조작이 해제(오프)되면, 카운트 업은 정지되고 중간색 구동 공정 S2로부터 포화 구동 공정 S3(도 13)으로 이행한다. 이것에 의해, 분 표시부(30M)의 표시는 포화색인 흑색(도 13의 하단에서의 포화 상태)으로 표시된다.
도 13의 예에서는, 포화 구동 공정 S3의 후, 대기 시간(버튼이 눌리지 않는 시간)을 사이에 두고 다시 조작 버튼(131)이 눌린다. 이 때, 도 13(D)의 포화 구동 공정 S4에 있어서 표시 재기록 처리(카운트 업)가 개시됨과 함께 조작 버튼(131)에 의한 조작이 소정 초 유지됨으로써, 도 13(E)의 중간색 구동 공정 S5이 행해진다. 여기에서는, 중간색 구동 공정 S5의 표시 재기록 처리 동안, 조작 버튼(131)의 조작이 유지되었기 때문에, 다음의 중간색 구동 공정 S6에 있어서 중간색 구동의 표시 재기록 처리가 속행된다. 그리고, 중간색 구동 공정 S6의 표시 재 기록 처리 중에 조작 버튼(131)의 조작이 해제됨으로써, 카운트 업이 정지되어 포화 구동 공정 S7이 행해진다.
상기의 도 13의 (A)~(G)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작 버튼(131)의 조작(길게 누름)을 적절히 행함으로써, 분 표시부(30M)의 숫자가 카운트 업되고, 카운트 업되어 있는 동안은, 예를 들어 도 9(B)와 같이 분 표시부(30M)의 표시가 그레이색(중간 상태)으로 표시된다. 이 때 분 표시부(30M)의 표시는 「25」를 나타내고 있다.
조작 버튼(131)을 떼어낸 후에는 포화 구동 공정이 행해지기 때문에, 길게 누른 후에는, 예를 들어 도 10(C)과 같이 분 표시부(30M)의 숫자가 흑색(포화 상태)으로 표시된다. 이 때 분 표시부(30M)의 표시는 「28」을 나타내고 있다.
계속해서, 조작 버튼(131)을 4회 연타하여 도 10(D), 도 11(E), (F), 도 12(G), (H)와 같이 분을 카운트 업하여 원하는 「32」분으로 수정할 때의 구동 제어에 대해서,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포화 구동 공정 S7의 후, 적절한 대기 시간을 사이를 두고 조작 버튼(131)이 4회 연타된 예를 나타낸다.
여기서, 조작 검출부(614)(도 5)는, 조작 버튼(131)이 눌린 시간 간격을 구동 제어부(61)에서의 소정 주기의 기준 신호의 타이밍으로 검출하고 있다. 즉, 조작 검출부(614)는 도 14에 나타낸 조작 버튼(131)의 조작 간격 M1, M2, M3을 검출하고 있다. 이 조작 간격 M1이 포화 구동 공정의 표시 재기록 처리에 필요로 하는 포화 시간 T1(도 7)보다도 짧을 때, 「29」를 묘화하는 도 10(D)의 포화 구동 공정 S11의 표시 재기록 처리는 중단되고, 구동 제어부(61)에 의한 구동 제어는 도 11(E)의 「30」을 묘화하는 표시 재기록 처리(중간색 구동 공정 S12)로 이행한다.
즉, 조작 버튼(131)의 조작이 1개 전의 조작 시(1회째의 조작 시)부터 포화 시간보다도 짧은 시간 간격 M1로 행해지면, 중간색 구동 공정 S12가 개시된다.
도 14의 예에서는, 2번째와 3번째의 조작 간격 M2도, 3번째와 4번째의 조작 간격 M3도 포화 시간 T1보다 짧기 때문에, 중간색 구동 공정 S12에 이어서 「31」을 묘화하는 표시 재기록 처리(중간색 구동 공정 S13)와 「32」를 묘화하는 표시 재기록 처리(중간색 구동 공정 S14)가 각각 행해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 버튼(131)의 조작에 동기하여 중간색 구동 공정의 표시 재기록 처리가 행해지고 있고, 조작 버튼(131)의 조작 간격 M2, M3은 중간색 구동 공정의 표시 재기록 처리에 필요로 하는 소정 시간(도 8의 T1나 T2나 T3)보다도 짧다. 이 때문에, 중간색 구동 공정 S12, S13에서의 표시 재기록 처리는 조작 버튼(131)의 조작에 의해서 중단되고 다음의 표시 재기록 처리가 행해진다. 포화 구동 공정 S11로부터 중간색 구동 공정 S14까지에서의 분 표시부(30M)의 표시 상태는, 중간 상태(그레이색)가 되고 있다.
그리고, 중간색 구동 공정의 표시 재기록 처리 중에 조작 버튼(131)이 조작되지 않는 것이 조작 검출부(614)에 의해서 검출되면, 포화 구동 공정 S15가 행해진다. 이 포화 구동 S15에 의해, 중간색 구동 공정 S14에서 그레이색으로 표시된 숫자가 도 12(H)와 같이 포화 상태인 흑색으로 표시된다. 또한, 중간색 구동 공정 S14의 개시 시부터 포화 시간 T1 후에 분 표시부(30M)의 표시는 흑색이 된다.
[6-2. 다운 카운터 타이머]
다음에, 도 15는, 다운 카운터 타이머를 동작시킬 때의 표시 상태를 나타낸 다. 여기에서는 3분간의 타이머가 동작하고, 남은 시간이 10초 마다 표시된다. 타이머 개시 후, 도 15(A), (B)와 같이 분 표시부(30M) 및 초 표시부(30S)의 표시가 각각 재기록되고, 도 15(C)의 직전, 즉 남은 시간 10초전까지는 분 표시부(30M)의 표시, 초 표시부(30S)의 표시 모두 포화 구동에 의해 흑색으로 표시된다. 그리고, 남은 시간 10초 전에 포화 구동 공정으로부터 중간색 구동 공정으로 이행하고, 「10」초~「00」초까지, 1초 마다 표시를 재기록하는 카운트다운이 행해진다. 도 16에, 이 카운트다운 시의 중간색 구동예를 나타낸다. 이 카운트다운에서는 1초마다의 표시 재기록이 필요해지기 때문에, 0.125초를 반파장으로 하는 4개의 펄스에 의해 1회의 표시 재기록을 행하는 중간색 구동 공정(구동 기간 T1, T2 등)이 행해진다. 구동 기간 T1에서는 백색 방향에 표시색을 재기록하는 처리가 행해지고, 구동 기간 T2에서는 흑색 방향에 표시색을 재기록하는 처리가 행해지고 있다. 「10」초부터 「00」초까지의 카운트다운에 있어서, 구동 기간 T1 등에 나타낸 중간색 구동 공정이 10회 반복되고, 최후의 「00」초의 표시는 포화 구동 공정에 의해 행해진다.
[6-3. 매 정시 알림]
도 17은, 매 정시(0시 0분 또는 12시 0분)를 알릴 때의 표시 상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통상은 초의 표시는 행해지지 않고, 시, 분만으로 시각 표시가 행해지지만, 도 17(A)에 나타낸 정시 3초 전인 11시 59분 57초부터, (B) 상태를 통해 (C)의 정시가 될 때까지, 중간색 구동에 의해 초 표시부(30S)에 초가 표시된다. 이 때의 구동예는, 도 16과 동일하고, 1초 마다 초 표시부(30S)의 표시 재기록이 행해진다. 그리고, 정시 1초가 되었을 때에 중간색 구동 공정으로부터 포화 구동 공정으로 이행하고, 초 표시부(30S)에서의 표시가 배경색과 동일한 백색으로 묘화되어 소거된다.
또한, 정시를 나타내는 도 17(C)에서는, 초 표시부(30S)의 표시뿐만이 아니라 시 표시부(30H)의 표시 및 분 표시부(30M)의 표시도 재기록된다. 도 17(C)는 포화색으로의 표시 상태가 되기 전의 중간색으로의 표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매 정시를 알림(어필)할 때에만 초를 표시하고 있지만, 본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의 표시 패널(30) 및 제어 회로 기판(40)에 의해서 매초의 초 표시도 가능하다. 즉, 시, 분, 초에 의해서 현재 시각을 표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6-4. 알람 시각 일치의 알림]
도 18은, 현재 시각이 알람 시각에 일치한 것을 알릴 때의 표시 상태를 나타낸다. 여기에서는 알람 설정 시각이 「8:00」이며, 현재 시각이 이 알람 시각에 일치하면, 도 18(A) 및 (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8:00」의 표시색과 배경부의 표시색이 다크 그레이와 라이트 그레이로 반복 반전된다. 이 반전 표시는, 중간색 구동 공정에 의해 행해지고,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혹은 조작 버튼 등이 조작될 때까지 반전 표시가 된 후, 중간색 구동 공정으로부터 포화 구동 공정에 복귀한다.
[6-5. 크로노그래프 기능의 표시]
도 19는, 크로노그래프(스톱 와치)를 동작시킬 때의 표시 상태를 나타낸다. 조작 버튼(133) 등의 조작에 의해 크로노그래프의 모드로 하면, 시 표시부(30H)에 분이, 분 표시부(30M)에 초가 표시된다. 조작 버튼(131) 등을 눌러 계측을 개시하면, 경과 시간이 카운트 업되지만, 1초 자리수의 표시에 대해서는 중간색 구동 공정에 의해 그레이색으로 카운트 업된다(도 19(A)). 그리고, 조작 버튼(131) 등을 조작하여 계측을 정지하면(도 19(B)), 시계의 내부 카운터의 계측 시각에 의거하여 분 및 초가 포화 구동 공정에 의해 흑색으로 표시된다.
[7. 본 실시 형태에 의한 효과]
이상의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시계(1)의 표시 패널(30)의 구동에 있어서, 중간색 구동 공정(도 8 등)을 구비함으로써, 이 중간색 구동 시, 표시 패널(30)에서는, 포화되어 있지 않은 중간 상태에서의 표시색의 차이에 의거하여 표시 전환이 행해진다. 이러한 중간색 구동을 행함으로써, 특히, 연속하여 표시 전환이 필요한 경우 등에 표시 전환 시간의 대폭적인 단축을 도모할 수 있고, 또한 포화 구동을 항상 행하는 경우보다도 저소비 전력으로도 할 수 있다.
(2) 또한, 표시 패널(30)을 구동할 때에는, 포화 구동 공정(도 7)도 실시하기 때문에, 중간색 구동 공정에 의한 중간 상태의 표시가 이 포화 구동 공정에 의한 처리에서 포화 상태로 되어 반사율이 최대가 된다. 이것에 의해, 표시 전환을 단시간에 행하면서 표시 상태를 유지할 때의 시인성을 보다 높게 할 수 있다.
(3) 또한, 표시 패널(30)의 구동 장치는 1전원(한쪽 전원)으로 구성되고(도 5 및 도 6), H 전위(+15V)와 L 전위(0V)의 2전위 구동에 의해, 시분할로 백색으로 부터 흑색으로, 흑색으로부터 백색으로의 쌍방향의 표시 전환을 행한다. 이것에 의해, 회로 구성이 대형화하지 않고 휴대성이 요구되는 시계(1)에 매우 적합한 구성으로 할 수 있음과 함께, 표시 전환 시간이 길게 걸리는 한쪽 전원 구동에 있어서, 표시 전환 시간의 단축화의 효과를 두드러지게 할 수 있다.
(4) 표시 구동부(62)(도 6)에 표시 전환 요구 발생부(627)를 구비하고, 포화 구동 공정 및 중간색 구동 공정에서의 표시 처리 중에 표시 전환 요구가 발생했을 때에(도 13), 다음의 표시 처리를 행한다. 즉, 포화 상태가 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포화 상태가 되기 전의 중간 상태로부터 다음의 표시 처리를 행함으로써 표시 전환의 소요 시간을 보다 단축할 수 있다.
(5) 조작 버튼(131~134)의 유지 조작의 시간을 카운트하여, 약 2초간, 유지 조작이 계속되었을 때에 사용자가 연속하여 항목 선택이나 시각 수정 등을 행하고자 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중간색 구동을 개시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 조작에 연동하여 적시에 중간색 구동을 개시할 수 있음과 함께, 사용자가 설정의 추이를 관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6) 또한, 조작 버튼의 유지 조작이 해제되었을 때에는 사용자가 항목 선택이나 시각 수정을 종료하고자 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포화 구동 공정을 행하고(도 13의 S3), 또한, 포화하기까지 다음의 조작이 행해졌을 때에는 표시 전환 요구 D에 의거하여 다음의 표시 처리를 행한다(도 13의 S5, S6). 이것에 의해서, 사용자 조작에 연동한 적시적인 구동을 실현하고 있다. 즉, 조작 버튼(131~134) 등의 연타 조작에 맞춘 표시 전환이 가능해지고, 사용자가 설정 변경의 모습을 확인하면서 조 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7) 조작 버튼(131~134)을 조작했을 때에 한정하지 않고, 매 정시(도 17)나, 알람 설정 시각과 현재 시각이 일치했을 때(도 18) 등, 소정 시 또는 소정 조건 성립 시에 중간색 구동 공정을 개시하고, 그 후, 소정 시 또는 소정 조건 성립 시에 중간색 구동 공정으로부터 포화 구동 공정으로 자동적으로 이행하므로, 표시 전환 단축의 효과를 크게 할 수 있다.
(8) 포화 상태로 하는데 필요한 포화 구동 시간(도 7의 구동 기간 T1)이 1초보다도 길어도, 중간색 구동 공정(도 8)에서의 구동 기간 T1은 1초 이하에 들어가고 있고, 즉, 중간색 구동을 행함으로써 비로소 초 표시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9) 조작 버튼(131)에 의한 조작 간격 M1, M2, M3이 포화 시간 T1보다도 짧은 경우에, 사용자가 표시 재기록을 연속적으로 행하고자 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중간색 구동 공정 S12, S13, S14를 행하기 때문에, 조작 버튼(131)을 연타하는 각 타이밍에 거의 동기하여 표시 재기록을 신속히 행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도 20~도 2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에서의 표시 패널(30) 및 제어 회로 기판(40)은 세그먼트 구동 방식이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의 표시 모듈(5)은 액티브 매트릭스의 TFT(Thin Film Transistor) 디스플레이로 되어 있다.
표시 모듈(5)은 전기 영동 표시 디바이스인 표시 패널(50)과, 도시하지 않는 구동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표시 패널(50)은 공통 전극이 설치된 투명 기판과 TFT 기판 사이에 마이크로 캡슐(330)(도 4)을 포함한 전기 영동층이 배치되어 구성되어 있고, 자세한 구조의 설명은 생략한다. TFT 기판에는 매트릭스 배치된 화소 전극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화상 신호 입력에 따른 TFT의 스위칭에 의해,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 사이에 전압이 인가된다.
본 실시 형태의 시계에서는, 각종의 시각 표시가 가능하고, 도 20과 같이 숫자에 의한 디지털 시각 표시도, 도 21과 같이 시침(51) 및 분침(52)을 디지털 표시로 나타낸 시각 표시도 가능해지고 있다. 시침(51) 및 분침(52)이 표시될 때에는, 표시 패널(50)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인덱스(53)가 표시된다. 또한, 도 20의 표시 모드와 도 21의 표시 모드를 전환할 때에는 와이프 동작이 행해지고, 예를 들어 도 20으로부터 도 21에 화면 천이할 때에는, 도 21의 시침(51), 분침(52) 및 각 인덱스(53)의 표시가 순차로 소거되고(와이프 아웃), 도 20의 각 문자가 순차로 묘화된다(와이프 인).
도 22는, 본 실시 형태의 시계의 각종 기능의 설정 화면을 나타낸다. 여기에서는, 월드 타임의 도시가 설정 대상으로 여겨지고 있고, 조작 버튼(131, 132)의 조작에 의해 도시가 변경된다. 구체적으로는, 조작 버튼(131)의 조작에 의해, 시차를 가산한 도시를 선택할 수 있고, 조작 버튼(132)의 조작에 의해 시차를 감산한 도시를 선택할 수 있다.
월드 타임 기능의 도시 이외의, 그 외의 항목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법에 의해 설정 변경할 수 있다.
도 23, 도 24는 표시 패널(50)의 각 화소에서의 구동예를 각각 나타낸다. 도 20, 도 21에서의 시각 표시나, 도 22의 설정 변경 시의 표시는, 도 23에 예시한 포화 구동 공정, 또는 도 24에 예시한 중간색 구동 공정의 어느 하나에 의해 행해진다. 예를 들어, 도 20, 도 21과 같이 현재 시각을 표시하는 모드에서는 포화 구동 공정을 실시하고, 도 20과 도 21이라는 표시를 전환하는 와이프 동작을 행할 때에는, 중간색 구동 공정에 의해 고속으로 표시를 재기록하여 자연스러운 와이프 동작을 실현한다.
또한, 도 22와 같이 도시(지역) 설정 등을 변경할 때, 조작 버튼(131) 등을 예를 들어 2초 정도 계속 누르면, 포화 구동 공정으로부터 중간색 구동 공정으로 이행하고, 각 도시가 빨리 감기로 순차로 표시된다. 또한, 조작 버튼(131)을 떼어내면 포화 구동에 복귀한다.
여기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포화 구동 시에서의 공통 전극의 구동 펄스의 반파장은 0.25초이며, 중간색 구동 시에서의 공통 전극의 구동 펄스의 반파장은 0.125초이지만, TFT 디스플레이의 본 실시 형태에서는 드라이버로부터 각 화소 전극으로의 데이터 전송 시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구동 기간(T1 등)에 이 데이터 전송 시간을 가산한 시간이 1회의 표시 재기록에 필요한 시간이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데이터 전송 시간은 약 0.2초가 되고 있다. 즉, 도 24에서는 구동 기간 T1~T3을 연속적으로 나타냈지만, 실제로는 각 구동 기간마다 데이터 전송 시간을 필요로 한다.
다만, 구동하는 사상에 좁혀 생각하면, 제1 실시 형태도 본 실시 형태도 구 동 방법은 동일하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해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도 25~도 3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시계는, 링형상의 팔찌·시계로 되고, 원환 형상의 케이스(71)의 외주부를 따라서 가요성을 갖는 표시 패널(70)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표시 패널(70)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세그먼트 구동 방식의 전기 영동 표시 디바이스이며, 그 구동 방법도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지만, 본 실시 형태의 시계는, 대략 360°에 걸친 대화면으로 된 표시 패널(70)에 애니메이션을 표시하는 기능 등을 갖는다. 또한, 표시 패널(70)과 그 구동 장치(80)(도 26)로 이루어지는 표시 모듈(7)은, 케이스(71)와 커버 글래스(72) 사이에 수용되고 있다.
도 26은, 표시 모듈(7)을 나타낸다. 표시 패널(70) 및 구동 장치(80)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의 표시 패널(30) 및 제어 회로 기판(40)(도 2)의 구성과 대략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케이스(71)에는 조작 버튼(73, 74)(도 30)이 설치되고, 이러한 조작 버튼(73, 74)에 의한 조작은 각각 각 터치 센서(827)에 의해 검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27은, 표시 패널(70)에 설치된 세그먼트 전극(310)의 대부분 모두를 흑색으로 표시한 상태를 나타낸다. 표시 패널(70)의 둘레 방향(도 27에서는 길이 방향)을 따라서, 시 자리수, 10분 자리수, 1분 자리수를 각각 나타내는 숫자나, 타임 코드를 나타내는 문자 등이 분산되어 배치되어 있다.
시각 표시를 행하는 통상 모드에서는, 현재 시각을 나타내는 시 자리수, 10분 자리수, 1분 자리수의 각 숫자가 배경색에 따라 흑색 또는 백색으로 강조 표시되고, 그 외의 숫자 등은 중간색으로 장식적으로 표시된다.
본 실시 형태의 시계는, 매 정시에 애니메이션을 표시하는 기능을 가진다. 매 정시의 예를 들어 10초 전에 통상 모드로부터 애니메이션 표시 모드로 전환되고, 이 때, 포화 구동 공정으로부터 중간색 구동 공정으로 이행한다.
이 애니메이션은, 도 28~도 29에 나타낸 (A)~(S)의 일련의 화상으로부터 구성되고, 중간색 구동 공정에 의해 고속으로 표시 재기록이 행해진다. 이러한 화상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각을 나타내는 숫자나 문자 등의 표시색이 적절히 어긋난 타이밍에 적어도 1도는 전환되고 있다.
이 애니메이션 표시에 따른 중간색 구동 공정은, 도 8 등과 동일하지만, COM 펄스의 반파장이나 구동 기간 등은 적절히 결정된다. 애니메이션은, 정시에 종료하고, 정시를 나타내는 12시 00분이 포화 구동에 의해 표시된다(도 29(S)).
도 30은, 월드 타임 기능에 따른 도시 설정 수정 모드의 화면을 나타낸다. 조작 버튼(74)을 누름으로써 시차가 가산되고, 그 시차를 나타내는 숫자 및 타임 존(여기에서는 포네틱 코드에 의해 나타남)이 배경색의 백색에 대해서 흑색으로 강조 표시된다. 또한, 조작 버튼(73)을 누름으로써 시차가 감산되고, 그 시차를 나타내는 숫자 및 타임 존이 흑색으로 강조 표시된다. 도 30의 예에서는, 시차 +1을 나타내는 (A) 상태로부터, 조작 버튼(74)의 조작에 의해 시차가 가산되어 (B), (C) 상태가 된다. 여기에서, 조작 버튼(74)을 약 2초간 길게 누름으로써 포화 구동으로부터 중간색 구동으로 이행하고, 선택되는 도시가 연속하여 전환된다. 또한, 포화 상태가 되기 전에도 표시 전환 요구의 발생에 의해, 다음의 표시 처리가 개시되므로, 신속히 도시의 선택을 전환하여 도시 수정을 행할 수 있다.
이상의 본 실시 형태에 의해서, 제1 실시 형태와 대략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변형예〕
또한, 본 발명의 구성은 이상의 각 실시 형태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개변이 가능하다.
도 31은, 조작 버튼(131)을 연타했을 때의 구동 제어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본 예에서는, 제1 실시 형태의 도 14와 동일하게, 포화 구동 공정 S7 후의 대기 시간의 후, 조작 버튼(131)이 단속적으로 4회 연타되고 있다. 단, 본 예에서는 도 14의 경우와는 달리, 조작 버튼(131)의 조작에 중간색 구동 공정의 표시 재기록 처리가 동기하고 있지 않다.
본 예에서는, 조작 검출부(614)(도 5)에 의해 검출되는 조작 버튼(131)의 조작 회수가 기억부(616)(도 5)에 기억된다. 그리고, 조작 버튼(131)에 의한 조작이 포화 시간 T1(예를 들어 도 7)보다도 짧은 시간 간격 M1로 행해지면, 처리 중의 포화 구동 공정 S11의 표시 재기록 처리를 중단한 후, 조작 회수(여기에서는 4회)로부터 1을 뺀 수, 즉 3회, 중간색 구동에 의한 표시 재기록 처리(도 8의 T1나 T2나 T3의 처리)가 반복된다.
즉, 중간색 구동 공정 S22, S23, S24에서의 표시 재기록 처리는, 조작 버튼(131)의 조작에 의해서 중단되지 않고 조작 버튼(131)의 조작 회수에 의거하는 수만큼 반복된다. 또한, 연타의 최후(4번째)에 대응하는 표시 재기록 처리(중간색 구동 공정 S24)가 종료되면, 구동 제어부(61)에 의해서 포화 구동 공정 S15가 행해진다.
기억부(616)는 중간색 구동 공정 S24의 표시 재기록 처리 후에 조작 회수를 리셋한다.
본 예의 구성에 의하면, 조작 버튼(131)을 연타한 회수만큼 확실히 표시 재기록을 행할 수 있고, 또한 조작 버튼(131)을 연타했을 때의 표시 상태의 천이를 사용자가 확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32는, 조작 버튼(131)을 연타했을 때 외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 버튼(131)을 짧은 시간 간격으로 연타할 때에 중간색 구동 공정 S12~S14에 의해 표시 재기록 처리를 행하고 있었지만, 도 32와 같이, 연타 시의 표시 재기록 처리를 포화 구동 공정 S32~S34에 의해 행해도 좋다.
도 33은, 중간색 구동 공정의 예를 나타내고, 여기에서는 도 8과 비교해서 2배의 0.25초를 펄스 반파장으로 하고, 이 반파장 2회를 1세트로 하여 1회의 표시 재기록을 행하고 있다. 이 경우에도, 각 구동 기간 T1~T3에서 확정한 표시색의 차이에 의해 표시를 육안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구동 방법도 가능하다. 다만, 반파장이 길기 때문에 시력의 분해능에 의해, 표시가 전환되는 모습이 눈에 띄는 것이 생각되기 때문에, 펄스 반파장은 입자를 이동시킬 수 있는 한 짧은 것이 좋다.
또한, 전술한 각 예에서는 구동 펄스의 폭은 일정하고, 또한 H 전위의 인가 시간과 L 전위의 인가 시간은 동일하였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구동 조건이나 표시 장치의 특성 등에 따라 펄스폭을 바꾸거나 H 전위의 인가 시간과 L 전위의 인가 시간을 다르게 해도 좋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표시 패널(50)(도 20) 상에 시침(51) 및 분침(52)이 묘화되고 있었지만, 이와 같이 시침(51) 및 분침(52)을 디지털 표시로 표현하는 대신에, 아날로그 표시용 시침 및 분침 등(지침)을 표시 패널에 설치하고, 이러한 지침을 구동륜열에 의해 구동함으로써 아날로그 표시에 의한 시각 표시를 행하는 것도 생각된다. 이 경우, 지침에 의한 아날로그 시각 표시와, 표시 패널 상의 디지털 표시를 조합한 표시가 가능해진다. 또한, 지침은 표시 패널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회전축에 설치되고, 이 회전축에 접속하는 구동륜열은 표시 패널의 이측에 배치되면 좋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구성, 방법 등은 이상의 기재에서 개시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주로 특정의 실시 형태에 관해서 특히 도시되고, 또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목적의 범위로부터 일탈하는 일 없이, 이상 설명한 실시 형태에 대해, 형상, 재질, 수량, 그 외의 상세한 구성에 있어서 당업자가 여러 가지 변형을 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에 개시한 형상, 재질 등을 한정한 기재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예시적으로 기재한 것이고,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그러한 형상, 재질 등의 한정의 일부 혹은 전부의 한정을 제외한 부재의 명칭으로의 기재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시계의 외관도.
도 2는 상기 실시 형태에서의 표시 모듈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III-III선 단면도.
도 4는 상기 실시 형태에서의 표시 패널의 전기 영동층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5는 상기 실시 형태에서의 제어 회로 기판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6은 상기 실시 형태에서의 표시 구동부의 블록도.
도 7은 상기 실시 형태에서의 표시 패널의 구동 파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포화 구동 공정).
도 8은 상기 실시 형태에서의 표시 패널의 구동 파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중간색 구동 공정).
도 9는 시각 수정 모드 시의 표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시각 수정 모드 시의 표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시각 수정 모드 시의 표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시각 수정 모드 시의 표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시각 수정 모드 시의 구동 공정의 전환를 나타내는 도면(길게 누름).
도 14는 시각 수정 모드 시의 구동 공정의 전환를 나타내는 도면(연타).
도 15는 다운 카운터 타이머 작동 시의 표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상기 실시 형태에서의 표시 패널의 구동 파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중간색 구동 공정).
도 17은 매 정시 알림 시의 표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알람 시각 알림 시의 표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크로노그래프 작동시의 표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서의 시계의 외관도(시각 표시 모드).
도 21은 상기 시계의 외관도(다른 시각 표시 모드).
도 22는 상기 시계에서의 각종 설정을 행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23은 상기 실시 형태에서의 표시 패널의 구동 파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포화 구동 공정).
도 24는 상기 실시 형태에서의 표시 패널의 구동 파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중간색 구동 공정).
도 2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서의 시계의 외관 사시도.
도 26은 상기 실시 형태에서의 표시 모듈의 평면도.
도 27은 상기 실시 형태에서의 표시 패널의 평면도.
도 28은 상기 실시 형태에서의 애니메이션을 나타내는 도면.
도 29는 상기 실시 형태에서의 애니메이션을 나타내는 도면.
도 30은 상기 실시 형태에서의 도시 수정 모드의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31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라 구동 공정의 전환를 나타내는 도면.
도 32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라 구동 공정의 전환를 나타내는 도면.
도 33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서의 표시 패널의 구동 파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중간색 구동 공정).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시계(전자 기기),
30, 50, 70 : 전기 영동 표시 패널,
32 : 투명 기판,
33 : 전기 영동층,
40 : 제어 회로 기판,
61 : 구동 제어부,
62 : 표시 구동부,
73, 74 : 조작 버튼(조작 부재),
80 : 구동 장치,
131~134 : 조작 버튼(조작 부재),
300 : 세그먼트,
310 : 세그먼트 전극,
320 : 공통 전극,
330 : 마이크로 캡슐,
331A : 흑색 입자,
331B : 백색 입자,
420 : 전원,
614 : 조작 검출부,
616 : 기억부(조작 회수 기억부),
621 : L 전위 생성부(제1 전위 생성부),
622 : H 전위 생성부(제2 전위 생성부),
623 : 펄스 생성부,
625 : 포화 구동부,
626 : 중간색 구동부,
627 : 표시 전환 요구 발생부,
426 : 드라이버 IC,
D : 표시 전환 요구,
S1, S3, S4, S7, S15 : 포화 구동 공정,
S2, S5, S6, S12~S14, S22~S24 : 중간색 구동 공정,
T1~T3 : 구동 기간.

Claims (21)

  1. 전계 인가에 의해 대전 입자를 이동시켜 표시를 행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으로서,
    상기 입자를 해당 입자의 이동이 포화한 포화 상태 이외의 중간 상태가 되게 하는 중간색 구동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중간색 구동 공정에서는 상기 입자를 표시색의 차이가 생기도록 이동시킴으로써 표시의 전환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자를 상기 포화 상태가 되게 하는 포화 구동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중간색 구동 공정의 후에 상기 포화 구동 공정을 행함으로써 상기 중간 상태의 상기 입자를 상기 포화 상태가 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중간색 구동 공정 및 상기 포화 구동 공정의 적어도 한 쪽에서는 서로 상이한 제1 전위와 제2 전위의 사이에서 변화하는 펄스를 한 쪽의 전극에 인가하고, 또한 표시색에 따라 상기 제1 전위 및 상기 제2 전위의 어느 하나를 다른 쪽의 전극에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포화 구동 공정에서의 하나의 표시 재기록 처리 중의 표시 전환 요구에 의해 다음의 표시 재기록 처리를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방법.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표시 전환 요구를 발생시키는 조작 부재에 의한 조작이 소정 시간 유지됨으로써 상기 중간색 구동 공정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방법.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중간색 구동 공정에서의 하나의 표시 재기록 처리 동안, 표시 전환 요구를 발생시키는 조작 부재에 의한 조작이 유지되고 있었을 때에는, 상기 중간색 구동 공정에 의한 표시 재기록 처리를 속행하고,
    상기 중간색 구동 공정에서의 하나의 표시 재기록 처리 중에 상기 조작 부재에 의한 조작이 해제되었을 때에는, 상기 중간색 구동 공정으로부터 상기 포화 구동 공정으로 이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방법.
  7. 청구항 2에 있어서,
    표시 전환 요구를 발생시키는 조작 부재에 의한 조작이 해당 조작 부재에 의한 하나 전의 조작 시부터 상기 포화 구동 공정의 하나의 표시 재기록 처리에 필요로 하는 포화 시간보다도 짧은 시간 간격으로 행해졌을 때에, 처리 중의 표시 재기 록 처리를 중단하고 상기 중간색 구동 공정에 의한 표시 재기록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방법.
  8. 청구항 2에 있어서,
    표시 전환 요구를 발생시키는 조작 부재에 의한 조작이 상기 포화 구동 공정의 하나의 표시 재기록 처리에 필요로 하는 포화 시간보다도 짧은 시간 간격으로 반복하여 행해진 경우에는, 상기 조작 부재의 조작 회수에 의거하는 수만큼 순차로 상기 중간색 구동 공정에 의한 표시 재기록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방법.
  9. 청구항 2에 있어서,
    소정 시 또는 소정 조건 성립 시에 상기 중간색 구동 공정을 개시하고,
    그 후의 소정 시 또는 소정 조건 성립 시에 상기 중간색 구동 공정으로부터 상기 포화 구동 공정으로 이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방법.
  10. 청구항 2에 있어서,
    구동 시의 온도에 따라 상기 중간색 구동 공정에서의 전계 인가 시간 및 상기 포화 구동 공정에서의 전계 인가 시간의 적어도 한 쪽을 증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방법.
  11. 전계 인가에 의해 대전 입자를 이동시켜 표시를 행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로서,
    상기 입자를 표시색의 차이가 생기도록 이동시킴으로써 이 입자를 해당 입자의 이동이 포화한 포화 상태 이외의 중간 상태가 되게 하는 중간색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입자를 상기 포화 상태가 되게 하는 포화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포화 구동부는 상기 중간색 구동부에 의한 표시 재기록 처리의 후에 표시 재기록 처리를 행하여 상기 중간 상태의 상기 입자를 상기 포화 상태가 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
  13. 청구항 11 또는 청구항 12에 있어서,
    전원과,
    상기 전원으로부터 서로 상이한 2개의 전위 중 제1 전위를 생성하는 제1 전위 생성부와,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2개의 전위 중 제2 전위를 생성하는 제2 전위 생성부와,
    상기 2개의 전위 사이에서 변화하는 펄스를 생성하는 펄스 생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포화 구동부에 의한 하나의 표시 재기록 처리 중에 표시 전환 요구를 상기 중간색 구동부 및 상기 포화 구동부의 어느 한 쪽에 송신하는 표시 전환 요구 발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
  15. 청구항 11 또는 청구항 12에 있어서,
    표시 전환 요구를 발생시키는 조작 부재에 의한 조작 상태를 검출하는 조작 검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색 구동부는 상기 조작 부재에 의한 조작이 소정 시간 유지되었던 것이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었을 때에, 표시 재기록 처리를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
  16. 청구항 12에 있어서,
    표시 전환 요구를 발생시키는 조작 부재에 의한 조작 상태를 검출하는 조작 검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색 구동부는 상기 조작 부재에 의한 조작이 소정 시간 유지되었던 것이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었을 때에, 표시 재기록 처리를 행하고, 또한 하나의 표시 재기록 처리 동안, 상기 조작 부재에 의한 조작이 유지되고 있었을 때에는 표시 재기록 처리를 속행하며,
    상기 포화 구동부는 상기 중간색 구동부에 의한 하나의 표시 재기록 처리 중에 상기 조작 부재에 의한 조작이 해제되었을 때에 표시 재기록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
  17. 청구항 12에 있어서,
    표시 전환 요구를 발생시키는 조작 부재에 의한 조작 상태를 검출하는 조작 검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색 구동부는 상기 조작 부재에 의한 조작이 해당 조작 부재에 의한 하나 전의 조작 시부터 상기 포화 구동부의 하나의 표시 재기록 처리에 필요로 하는 포화 시간보다도 짧은 시간 간격으로 행해진 것이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었을 때에, 처리 중의 표시 재기록 처리를 중단하여 표시 재기록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
  18. 청구항 12에 있어서,
    표시 전환 요구를 발생시키는 조작 부재에 의한 조작 상태를 검출하는 조작 검출부와, 상기 조작 부재에 의한 조작이 상기 포화 구동부의 하나의 표시 재기록 처리에 필요로 하는 포화 시간보다도 짧은 시간 간격으로 반복하여 행해진 것이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었을 때에 반복 회수를 기억하는 조작 회수 기억부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색 구동부는 상기 조작 회수 기억부가 기억한 조작 회수에 의거하 는 수만큼 순차로 표시 재기록 처리를 행하고,
    상기 조작 회수 기억부는 상기 중간색 구동부에 의한 상기 조작 회수에 의거한 수의 표시 재기록 처리 후에 기억한 조작 회수를 리셋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
  1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또는 청구항 11 또는 청구항 12에 기재된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에 의해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0. 청구항 19에 기재된 표시 장치는 전기 영동 표시 디바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1. 청구항 11 또는 청구항 12에 기재된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KR1020080008704A 2007-01-29 2008-01-28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구동 장치, 표시 장치 및 전자기기 KR1009301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18424 2007-01-29
JPJP-P-2007-00018424 2007-01-29
JPJP-P-2007-00247207 2007-09-25
JP2007247207A JP2008209893A (ja) 2007-01-29 2007-09-25 表示装置の駆動方法、駆動装置、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1092A true KR20080071092A (ko) 2008-08-01
KR100930138B1 KR100930138B1 (ko) 2009-12-07

Family

ID=39786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8704A KR100930138B1 (ko) 2007-01-29 2008-01-28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구동 장치, 표시 장치 및 전자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8209893A (ko)
KR (1) KR100930138B1 (ko)
CN (1) CN10123672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43013B1 (en) 2007-05-03 2012-08-14 Sipix Imaging, Inc. Driving bistable displays
US20080303780A1 (en) 2007-06-07 2008-12-11 Sipix Imaging, Inc. Driving methods and circuit for bi-stable displays
DE102009049632A1 (de) * 2009-03-20 2010-09-23 Johnson Controls Automotive Electronics Gmbh Anzeigeinstrument
JP5386217B2 (ja) * 2009-04-24 2014-01-15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表示パネル搬送装置および表示パネルモジュール組立装置
JP5359840B2 (ja) 2009-12-10 2013-12-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泳動表示装置の駆動方法、電気泳動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US11049463B2 (en) 2010-01-15 2021-06-29 E Ink California, Llc Driving methods with variable frame time
US8558786B2 (en) * 2010-01-20 2013-10-15 Sipix Imaging, Inc. Driving methods for electrophoretic displays
US9224338B2 (en) 2010-03-08 2015-12-29 E Ink California, Llc Driving methods for electrophoretic displays
JP2011191497A (ja) * 2010-03-15 2011-09-29 Seiko Epson Corp 電気泳動表示装置、電気泳動表示装置の駆動方法、電子機器
JP2011197513A (ja) * 2010-03-23 2011-10-06 Seiko Epson Corp 電気泳動表示装置の駆動方法および電気泳動表示装置
JP5573470B2 (ja) * 2010-08-05 2014-08-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12118348A (ja) * 2010-12-01 2012-06-21 Seiko Epson Corp 電気泳動表示装置の駆動方法、電気泳動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5915007B2 (ja) * 2011-06-30 2016-05-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電気光学装置の制御回路、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5533847B2 (ja) 2011-11-24 2014-06-25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入力表示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6102059B2 (ja) * 2012-02-22 2017-03-2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の制御装置、電気光学装置の制御方法、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US10380931B2 (en) 2013-10-07 2019-08-13 E Ink California, Llc Driving methods for color display device
TWI550332B (zh) 2013-10-07 2016-09-21 電子墨水加利福尼亞有限責任公司 用於彩色顯示裝置的驅動方法
US10726760B2 (en) 2013-10-07 2020-07-28 E Ink California, Llc Driving methods to produce a mixed color state for an electrophoretic display
JP6447802B2 (ja) * 2014-01-20 2019-01-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泳動表示装置、電子時計、腕時計及び電気泳動表示装置の動作方法
WO2016035571A1 (ja) * 2014-09-04 2016-03-1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表示装置及びその情報表示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通信システム
CN107591130B (zh) * 2016-07-07 2019-07-19 晶宏半导体股份有限公司 用于主动矩阵式电泳显示器的驱动装置及其驱动方法
CN106970498B (zh) * 2017-03-30 2020-04-24 联想(北京)有限公司 显示方法及电子设备
EP3396656A1 (de) * 2017-04-28 2018-10-31 Biegert & Funk Product GmbH & Co. KG Anzeigevorrichtung zum anzeigen einer auswahl fest vorgegebener anzeigeelemente
CN110010080B (zh) * 2018-01-05 2020-11-17 元太科技工业股份有限公司 电泳显示器及其驱动方法
JPWO2020085193A1 (ja) * 2018-10-25 2021-09-24 凸版印刷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駆動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2947B2 (ja) * 1975-10-20 1984-05-3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泳動表示パネルの駆動方式
EP0186519A2 (en) * 1984-12-27 1986-07-02 Epid Inc. Writing information in a display device
JP2000147466A (ja) * 1998-11-17 2000-05-26 Minolta Co Ltd 液晶表示素子の駆動方法及び情報表示装置
JP3750565B2 (ja) * 2000-06-22 2006-03-0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泳動表示装置の駆動方法、駆動回路、および電子機器
EP1506451A1 (en) * 2002-05-06 2005-02-1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AU2003230108A1 (en) * 2002-05-24 2003-12-1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n electrophoretic display and a method of driving an electrophoretic display
WO2004066257A1 (en) * 2003-01-23 2004-08-0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riving an electrophoretic display
JP2007501439A (ja) * 2003-05-22 2007-01-25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電気泳動ディスプレイ及び駆動方法
EP1639575A2 (en) * 2003-06-17 2006-03-2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 usage mode for an electronic book
KR20060079842A (ko) * 2003-08-22 2006-07-06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패널
KR20060119965A (ko) * 2003-09-12 2006-11-24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전기영동 디스플레이용 구동 방식의 온도 의존성 보상 방법
JP2005115066A (ja) * 2003-10-08 2005-04-28 Canon Inc 電気泳動表示装置
CN1871632A (zh) * 2003-10-24 2006-11-29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电泳显示器
JP4787981B2 (ja) * 2004-03-01 2011-10-05 アドレア エルエルシー 電気泳動ディスプレイ
JP4645052B2 (ja) * 2004-03-26 2011-03-09 凸版印刷株式会社 電気泳動表示装置と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駆動方法
CN100489941C (zh) * 2004-07-27 2009-05-20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电泳显示装置中改进的滚动显示功能
JP4609168B2 (ja) * 2005-02-28 2011-01-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泳動表示装置の駆動方法
JP4556244B2 (ja) * 2006-01-20 2010-10-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泳動表示パネルの駆動装置及び駆動方法
KR101475256B1 (ko) * 2006-11-30 2014-12-22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입자들의 움직임을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209893A (ja) 2008-09-11
CN101236727B (zh) 2011-01-19
KR100930138B1 (ko) 2009-12-07
CN101236727A (zh) 2008-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0138B1 (ko)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구동 장치, 표시 장치 및 전자기기
EP1950729B1 (en) Drive method for display device, drive device,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EP1887544B1 (en) A drive method and a drive device for an 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an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and an electronic device
US6429840B1 (en) Method of driving color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of timepiece
JP4867247B2 (ja) 表示装置、駆動装置及び駆動方法
EP1775695A1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a display device
JP2008008832A (ja) 時計
JP2007041385A (ja) 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9183793B2 (en) Method for driving electrophoretic display apparatus, electrophoretic display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and electronic timepiece
JP2008139163A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JP2008158243A (ja) 表示装置
JP2012189531A (ja) 電子時計
JP5659885B2 (ja) 電子時計、電子時計の制御方法
JP5176326B2 (ja) 電気泳動表示パネルの駆動方法並びに駆動装置、電気泳動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5402145B2 (ja) 時刻表示装置及び時刻表示装置の駆動方法
JP2004085606A (ja)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及び電子機器
KR20050030578A (ko) 전기 광학 장치, 그 구동 회로 및 구동 방법, 및 전자기기
JP2010044295A (ja) 電気光学装置、その駆動方法および電子機器
JP5023688B2 (ja) 電気泳動ディスプレイの表示方法、駆動制御装置、電気泳動ディスプレイ、および電子機器
JP2011013420A (ja) 電気光学装置、その駆動方法および電子機器
JP2008139164A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JP2010044294A (ja) 電気光学装置、その駆動方法および電子機器
JP2012189420A (ja) 電子時計、電子時計の制御方法
JP2010026412A (ja) 電気光学装置、その駆動方法および電子機器
JP2012189421A (ja) 電子時計、電子時計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