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0065A - 시트구조 및 차량 - Google Patents

시트구조 및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0065A
KR20080070065A KR1020087014459A KR20087014459A KR20080070065A KR 20080070065 A KR20080070065 A KR 20080070065A KR 1020087014459 A KR1020087014459 A KR 1020087014459A KR 20087014459 A KR20087014459 A KR 20087014459A KR 20080070065 A KR20080070065 A KR 200800700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seat
link
sheet
mai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4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2431B1 (ko
Inventor
마사유키 야마다
히데키 고바야시
다케시 도카이
마사키 모리
게이스케 오노다
마코토 이토
Original Assignee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도요타 샤타이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보쇼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도요타 샤타이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보쇼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70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0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2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2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86Side-rests
    • B60N2/99Side-rests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0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 B60N2/3004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09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60N2/3011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the back-rest being hinged on the cushion, e.g. "portefeuille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0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 B60N2/3004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09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60N2/3013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the back-rest being hinged on the vehicl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0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 B60N2/3029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composed movement
    • B60N2/3031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composed movement in a longitudinal-vertical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38Cushion movements
    • B60N2/304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45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60N2/305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the cushion being hinged on the vehicl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38Cushion movements
    • B60N2/3063Cushion movements by composed movement
    • B60N2/3065Cushion movements by composed movement in a longitudinal-vertical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88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link
    • B60N2/309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link r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 B60N2/3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loading plat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86Side-r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시트(10)에서는, 백 메인프레임(16)의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한 틸팅이 리클라이닝기구(18)에 의하여 록된 상태에서, 백 연결 링크(26)의 하단이 차체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제 1 링크(22), 백 서브 프레임(24) 및 백 연결 링크(26)의 회동이 록되고, 백 링크기구(14)의 작동이 록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백 링크기구(14)[백 서브 프레임(24)]에 의한 백 사이드부(12B)의 뒤쪽으로부터의 지지 강성을 높게 할 수 있어, 시트(10)에 착석한 승객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시트구조 및 차량{SEAT STRUCTURE AND VEHICLE}
본 발명은, 시트 사이드부의 두께가 신축 가능하게 된 시트구조 및 상기 시트구조가 적용되어 구성된 시트가 설치된 차량에 관한 것이다.
시트구조에서는, 시트 쿠션에 있어서 좌우의 시트 사이드부가 중앙의 천정판부에 대하여 높은 위치와 낮은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됨으로써 시트 사이드부의 두께가 신축 가능하게 된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이 시트구조에서는, 시트 사이드부를 안쪽에서 지지하는 지지 와이어가, 토션 스프링에 의하여 시트 쿠션 바깥쪽으로 가세되어 있을 뿐이다. 또한 지지 와이어의 회동면(회동방향을 가지는 면)이, 시트 쿠션 전후방향에 수직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시트 쿠션 좌우방향으로의 하중에 대한 시트 사이드부의 지지 와이어에 의한 지지 강성이 낮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0-316663공보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고려하여 시트 사이드부의 지지 강성을 높게 할 수 있는 시트구조 및 차량을 얻는 것이 목적이다.
청구항 1에 기재된 시트구조는, 시트백 및 시트 쿠션의 적어도 하나의 좌우방향 측부에 설치된 시트 사이드부와, 상기 시트 사이드부를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시트백, 시트 쿠션 및 차체측의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어 시트의 사용상태에서 작동을 록하고, 상기 시트백 및 시트 쿠션의 적어도 하나의 동작에 의하여 작동되어 상기 시트 사이드부의 두께를 신축시키는 링크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시트구조에서는, 시트백 및 시트 쿠션의 적어도 하나의 좌우방향 측부에 설치된 시트 사이드부를 링크기구가 지지하고 있고, 링크기구가 시트백 및 시트 쿠션의 적어도 하나의 동작에 의하여 작동되어, 시트 사이드부의 두께가 신축된다.
여기서, 링크기구가, 시트백, 시트 쿠션 및 차체측의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어, 시트의 사용상태(착좌 가능상태)에 있어서 작동을 록하고 있다. 이 때문에, 시트 사이드부의 지지 강성을 높게 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시트구조는, 시트백 및 시트 쿠션의 적어도 하나의 좌우방향 측부에 설치된 시트 사이드부와, 상기 시트 사이드부를 지지하고, 상기 시트백 및 시트 쿠션의 적어도 하나의 동작에 의하여 작동되어 상기 시트 사이드부의 두께를 신축시킴과 동시에, 작동면이 상기 시트백 또는 시트 쿠션의 좌우방향으로 교차하는 링크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시트구조에서는, 시트백 및 시트 쿠션의 적어도 하나의 좌우방향 측부에 설치된 시트 사이드부를 링크기구가 지지하고 있고, 링크기구가 시트백 및 시트 쿠션의 적어도 하나의 동작에 의하여 작동되어, 시트 사이드부의 두께가 신축된다.
여기서, 링크기구의 작동면이, 시트백 또는 시트 쿠션의 좌우방향으로 교차하고 있다. 이 때문에, 시트백 또는 시트 쿠션의 좌우방향으로의 하중에 대한 시트 사이드부의 지지 강성을 높게 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시트구조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시트구조에 있어서, 상기링크기구의 작동면을, 상기 시트백 또는 시트 쿠션의 좌우방향및 두께방향으로 수직한 방향과 평행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시트구조에서는, 링크기구의 작동면이, 시트백 또는 시트 쿠션의 좌우방향 및 두께 방향에 수직한 방향과 평행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시트백 또는 시트 쿠션의 좌우방향으로의 하중에 대한 시트 사이드부의 지지 강성을 확실하게 높게 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시트구조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시트구조에 있어서, 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시트백 내에 설치된 백 메인프레임과, 상기 시트백에 상기 백 메인프레임보다 바깥쪽에서 설치된 백 바깥쪽 프레임과 상기 백 메인프레임 및 백 바깥쪽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1 링크를 가지는 백 신축수단과, 상기 백 신축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시트백 및 시트 쿠션의 적어도 하나의 동작에 의해 상기 백 신축수단이 작동되는 백 연결기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시트구조에서는, 시트백 내에 백 메인프레임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백 신축수단이, 백 바깥쪽 프레임과 제 1 링크를 가지고 있고, 백 바깥쪽 프레임은, 시트백에 백 메인프레임보다 바깥쪽에서 설치됨과 동시에, 제 1 링크는, 백 메인프레임 및 바깥쪽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백 신축수단에 백 연결기구가 연결되어 있고, 시트백 및 시트 쿠션의 적어도 하나의 동작에 의하여 백 신축수단이 작동된다(즉 링크기구가 작동된다). 이에 의하여 시트백의 시트 사이드부의 두께를 신축시킬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시트구조는, 청구항 4에 기재된 시트구조에 있어서, 상기 백 연결기구는, 차체측에 상기 시트백의 틸팅 중심축으로부터 오프셋된 위치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시트구조에서는, 백 연결기구가, 차체측에 시트백의 틸팅중심축으로부터 오프셋된 위치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시트백의 틸팅동작에 의하여 백 신축수단을 작동시킬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시트구조는, 청구항 4에 기재된 시트구조에 있어서, 상기 백 연결기구는, 상기 시트 쿠션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시트구조에서는, 백 연결기구가, 시트 쿠션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시트 쿠션의 동작에 의하여 백 신축수단을 작동시킬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시트구조는,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시트구조에 있어서, 상기 백 신축수단은, 상기 시트백에 상기 백 바깥쪽 프레임보다 바깥쪽에서 설치된 백 바깥 프레임과, 상기 백 바깥쪽 프레임 및 백 바깥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2 링크와, 상기 백 메인프레임 및 백 바깥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3 링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시트구조에서는, 백 신축수단이, 백 바깥 프레임과 제 2 링크와 제 3 링크를 가지고 있고, 백 바깥 프레임은 시트백에 백 바깥쪽 프레임보다 바깥쪽에서 설치되고, 제 2 링크는 백 바깥쪽 프레임 및 백 바깥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3 링크는 백 메인프레임 및 백 바깥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백 메인프레임에 대하여 제 1 링크를 거쳐 백 바깥쪽 프레임이 회동될 뿐만 아니라, 백 바깥쪽 프레임에 대하여 제 2 링크를 거쳐 백 바깥 프레임이 회동하여 백 신축수단이 작동된다. 이에 의하여 시트 사이드부의 두께의 신축량을 크게 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시트구조는,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시트구조에 있어서, 상기 백 신축수단은, 상기 시트백에 상기 백 메인프레임보다 안쪽에서 설치되고, 상기 제 1 링크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백 안쪽 프레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시트구조에서는, 백 신축수단이, 백 안쪽 프레임을 가지고 있고, 백 안쪽 프레임은, 시트백에 백 메인프레임보다 안쪽에서 설치됨과 동시에, 제 1 링크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시트 사이드부의 두께를, 백 메인프레임보다 안쪽에서 신축시킬 수 있다.
청구항 9에 기재된 시트구조는, 청구항 8에 기재된 시트구조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을 피복하고, 상기 백 안쪽 프레임을 수용하는 백 피복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9에 기재된 시트구조에서는, 시트백을 피복하는 백 피복부재가, 백 안쪽 프레임을 수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시트백의 외관을 좋게 할 수 있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시트구조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시트구조에 있어서, 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시트 쿠션 내에 설치된 쿠션 메인프레임과, 상기 시트 쿠션에 상기 쿠션 메인프레임보다 바깥쪽에서 설치된 쿠션 바깥쪽 프레임과 상기 쿠션 메인프레임 및 상기 쿠션 바깥쪽 프레임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쿠션 연결수단을 가지는 쿠션 신축수단과, 상기 쿠션 신축수단에 연락되고, 상기 시트백 및 시트 쿠션의 적어도 하나의 동작에 의해 상기 쿠션 신축수단이 작동되는 쿠션 연락기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시트구조에서는, 시트 쿠션 내에 쿠션 메인프레임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쿠션 신축수단이, 쿠션 바깥쪽 프레임과 쿠션 연결수단을 가지고 있고, 쿠션 바깥쪽 프레임은, 시트 쿠션에 쿠션 메인프레임보다 바깥쪽에서 설치됨과 동시에, 쿠션 연결수단은, 쿠션 메인프레임 및 쿠션 바깥쪽 프레임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쿠션 신축수단에 쿠션 연락기구가 연락되어 있고, 시트백 및 시트 쿠션의 적어도 하나의 동작에 의하여 쿠션 신축수단이 작동된다(즉, 링크기구가 작동된다). 이에 의하여 시트 쿠션의 시트 사이드부의 두께를 신축시킬 수 있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시트구조는, 청구항 10에 기재된 시트구조에 있어서, 상기 쿠션 연락기구는, 상기 쿠션 메인프레임 및 차체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쿠션 바깥쪽 프레임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시트구조에서는, 쿠션 연락기구가, 쿠션 메인프레임 및 차체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과 동시에, 쿠션 바깥쪽 프레임을 지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시트 쿠션의 동작에 의하여 쿠션 신축수단을 작동시킬 수 있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시트구조는, 청구항 10에 기재된 시트구조에 있어서, 상기 쿠션 연락기구는, 상기 시트백에 상기 시트백의 틸팅 중심축으로부터 오프셋된 위치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시트구조에서는, 쿠션 연락기구가 시트백에 시트백의 틸팅 중심축으로부터 오프셋된 위치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시트백의 틸팅동작에 의하여 쿠션 신축수단을 작동시킬 수 있다.
청구항 13에 기재된 시트구조는, 청구항 10에 기재된 시트구조에 있어서, 상기 쿠션 연락기구는, 차체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상기 쿠션 메인프레임에 연결됨과 동시에 차체측에 상기 쿠션 연락기구의 회동중심으로부터 오프셋된 위치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4 링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13에 기재된 시트구조에서는, 쿠션 연락기구가 차체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제 4 링크가, 쿠션 메인프레임에 연결됨과 동시에, 차체측에 쿠션 연락기구의 회동중심으로부터 오프셋된 위치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시트 쿠션의 동작에 의하여 쿠션 신축수단을 작동시킬 수 있다.
청구항 14에 기재된 시트구조는, 청구항 10에 기재된 시트구조에 있어서, 상기 쿠션 메인프레임은, 차체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상기 쿠션 연락기구는, 차체측에 상기 쿠션 메인프레임의 회동중심으로부터 오프셋된 위치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14에 기재된 시트구조에서는, 쿠션 메인프레임이 차체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과 동시에, 쿠션 연락기구가 차체측에 쿠션 메인프레임의 회동중심으로부터 오프셋된 위치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시트 쿠션의 동작에 의하여 쿠션 신축수단을 작동시킬 수 있다.
청구항 15에 기재된 시트구조는,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시트구조에 있어서, 상기 쿠션 신축수단은, 상기 시트 쿠션에 상기 쿠션 바깥쪽 프레임보다 바깥쪽에서 설치된 쿠션 바깥 프레임과, 상기 쿠션 바깥쪽 프레임 및 쿠션 바깥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5 링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15에 기재된 시트구조에서는, 쿠션 신축수단이 쿠션 바깥 프레임과 제 5 링크를 가지고 있고, 쿠션 바깥 프레임은 시트 쿠션에 쿠션 바깥쪽 프레임보다 바깥쪽에서 설치됨과 동시에, 제 5 링크는 쿠션 바깥쪽 프레임 및 쿠션 바깥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쿠션 메인프레임에 대하여 쿠션 연결수단을 거쳐 쿠션 바깥쪽 프레임이 회동될 뿐만 아니라, 쿠션 바깥쪽 프레임에 대하여 제 5 링크를 거쳐 쿠션 바깥 프레임이 회동되어, 쿠션 신축수단이 작동된다. 이에 의하여 시트 사이드부의 두께의 신축량을 크게 할 수 있다.
청구항 16에 기재된 시트구조는,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시트구조에 있어서, 상기 쿠션 신축수단은, 상기 시트 쿠션에 상기 쿠션 메인프레임보다 안쪽에서 설치되고, 상기 쿠션 메인프레임과의 상기 시트 사이드부 두께 방향에서의 거리를 신축 가능하게 한 쿠션 안쪽 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16에 기재된 시트구조에서는, 쿠션 신축수단이 쿠션 안쪽 부재를 가지고 있고, 쿠션 안쪽 부재는, 시트 쿠션에 쿠션 메인프레임보다 안쪽에서 설치됨과 동시에, 쿠션 메인프레임과의 시트 사이드부 두께 방향에서의 거리를 신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시트 사이드부의 두께를, 쿠션 메인프레임보다 안쪽에서 신축시킬 수 있다.
청구항 17에 기재된 시트구조는, 청구항 16에 기재된 시트구조에 있어서, 상기 시트 쿠션을 피복하고, 상기 쿠션 안쪽 부재를 수용하는 쿠션 피복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17에 기재된 시트구조에서는, 시트 쿠션을 피복하는 쿠션 피복부재가, 쿠션 안쪽 부재를 수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시트 쿠션의 외관을 좋게 할 수 있다.
청구항 18에 기재된 차량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시트구조가 적용되어 구성된 시트가 설치되어 있다.
청구항 19에 기재된 차량은, 청구항 2에 기재된 시트구조가 적용되어 구성된 시트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시트 사이드부의 지지 강성을 높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왼쪽에서 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를 나타내는 왼쪽에서 본 측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를 나타내는 왼쪽 비스듬하게 앞쪽에서 본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의 격납상태를 나타내는 왼쪽 비스듬하게 앞쪽에서 본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상단측에서 본 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의 주요부의 격납상태를 나타내는 상단측에서 본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의 텀블 수납상태를 나타내는 왼쪽에서 본 측면도,
도 5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의 스페이스 업 수납상태를 나타내는 비스듬하게 앞쪽에서 본 사시도,
도 5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의 뒤쪽 바닥 밑 수납상태를 나타내는 비스듬하게 뒤쪽에서 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제 1 다른예의 시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왼쪽에서 본 측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제 2 다른예의 시트를 나타내는 왼 쪽에서 본 측면도,
도 7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제 2 다른예의 시트의 격납상태를 나타내는 왼쪽에서 본 측면도,
도 8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제 2 다른예의 시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상단측에서 본 평면도,
도 8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제 2 다른예의 시트의 주요부의 격납상태를 나타내는 상단측에서 본 평면도,
도 9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의 앞쪽 틸트 다운 격납상태를 나타내는 왼쪽에서 본 측면도,
도 9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의 뒤쪽 틸트 다운 격납상태를 나타내는 왼쪽에서 본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의 더블 폴드 격납상태를 나타내는 왼쪽에서 본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l의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의 더블플랫 격납상태를 나타내는 왼쪽 비스듬하게 뒤쪽에서 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왼쪽에서 본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왼쪽에서 본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를 나타내는 왼쪽에서 본 측면 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의 스페이스 업 수납상태를 나타내는 비스듬하게 앞쪽에서 본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다른예의 시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왼쪽에서 본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를 나타내는 왼쪽에서 본 측면도,
도 18A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왼쪽에서 본 측면도,
도 18B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의 주요부의 격납상태를 나타내는 왼쪽에서 본 측면도,
도 19A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상단측에서 본 단면도,
도 19B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의 주요부의 격납상태를 나타내는 상단측에서 본 단면도,
도 20A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한 다른예의 시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왼쪽에서 본 측면도,
도 20B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한 다른예의 시트의 주요부의 격납상태를 나타내는 왼쪽에서 본 측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왼쪽에 서 본 측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왼쪽에서 본 측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에 관한 다른예의 시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왼쪽에서 본 측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를 나타내는 왼쪽에서 본 측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왼쪽에서 본 측면도,
도 26A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상단측에서 본 단면도,
도 26B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의 주요부의 격납상태를 나타내는 상단측에서 본 단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형태에 관한 다른예의 시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왼쪽에서 본 측면도,
도 28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왼쪽에서 본 측면도,
도 29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왼쪽에서 본 측면도,
도 30은 본 발명의 제 11 실시형태에 관한 다른예의 시트의 주요부를 나타내 는 왼쪽에서 본 측면도,
도 31은 본 발명의 제 12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를 나타내는 왼쪽에서 본 측면도,
도 32A는 본 발명의 제 13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왼쪽에서 본 측면도,
도 32B는 본 발명의 제 13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의 주요부의 격납상태를 나타내는 왼쪽에서 본 측면도,
도 33A는 본 발명의 제 13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상단측에서 본 단면도,
도 33B는 본 발명의 제 13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의 주요부의 격납상태를 나타내는 상단측에서 본 단면도,
도 34A는 본 발명의 제 13 실시형태에 관한 다른예의 시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왼쪽에서 본 측면도,
도 34B는 본 발명의 제 13 실시형태에 관한 다른예의 시트의 주요부의 격납상태를 나타내는 왼쪽에서 본 측면도,
도 35는 본 발명의 제 14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왼쪽에서 본 측면도,
도 36은 본 발명의 제 15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왼쪽에서 본 측면도,
도 37은 본 발명의 제 15 실시형태에 관한 다른예의 시트의 주요부를 나타내 는 왼쪽에서 본 측면도,
도 38은 본 발명의 제 16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를 나타내는 왼쪽에서 본 측면도,
도 39A는 본 발명의 제 17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왼쪽에서 본 측면도,
도 39B는 본 발명의 제 17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의 주요부의 격납상태를 나타내는 왼쪽에서 본 측면도,
도 40A는 본 발명의 제 17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전단측에서 본 단면도,
도 40B는 본 발명의 제 17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의 주요부의 격납상태를 나타내는 전단측에서 본 단면도,
도 41A는 본 발명의 제 17 실시형태에 관한 다른예의 시트를 나타내는 왼쪽에서 본 측면도,
도 41B는 본 발명의 제 17 실시형태에 관한 다른예의 시트의 격납상태를 나타내는 왼쪽에서 본 측면도,
도 42는 본 발명의 제 18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왼쪽에서 본 측면도,
도 43A는 본 발명의 제 19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왼쪽에서 본 측면도,
도 43B는 본 발명의 제 19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의 주요부의 격납상태를 나 타내는 왼쪽에서 본 측면도,
도 44는 본 발명의 제 19 실시형태에 관한 다른예의 시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왼쪽에서 본 측면도,
도 45는 본 발명의 제 20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왼쪽에서 본 측면도,
도 46은 본 발명의 제 21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왼쪽에서 본 측면도,
도 47은 본 발명의 제 21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왼쪽 비스듬하게 뒤쪽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48은 본 발명의 제 22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왼쪽에서 본 측면도,
도 49는 본 발명의 제 22 실시형태에 관한 다른예의 시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왼쪽에서 본 측면도,
도 50은 본 발명의 제 23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왼쪽에서 본 측면도,
도 51은 본 발명의 제 23 실시형태에 관한 다른예의 시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왼쪽에서 본 측면도,
도 52는 본 발명의 제 24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왼쪽에서 본 측면도,
도 53은 본 발명의 제 24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의 흙주요부를 나타내는 왼쪽 비스듬하게 앞쪽에서 본 사시도,
도 54는 본 발명의 제 24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의 주요부의 격납상태를 나타내는 왼쪽 비스듬하게 앞쪽에서 본 사시도,
도 55A는 본 발명의 제 24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전단측에서 본 단면도,
도 55B는 본 발명의 제 24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의 주요부의 격납상태를 나타내는 전단측에서 본 단면도,
도 56은 본 발명의 제 24 실시형태에 관한 다른예의 시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왼쪽에서 본 측면도,
도 57은 본 발명의 제 25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왼쪽에서 본 측면도,
도 58A는 본 발명의 제26의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왼쪽에서 본 측면도,
도 58B는 본 발명의 제 26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의 주요부의 격납상태를 나타내는 왼쪽에서 본 측면도,
도 59는 본 발명의 제 26 실시형태에 관한 다른예의 시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왼쪽에서 본 측면도,
도 60은 본 발명의 제 27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왼쪽에서 본 측면도,
도 61은 본 발명의 제 28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왼쪽에 서 본 측면도,
도 62는 본 발명의 제 28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왼쪽 비스듬하게 뒤쪽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63A는 본 발명의 제 29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왼쪽에서 본 측면도,
도 63B는 본 발명의 제 29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의 주요부의 격납상태를 나타내는 왼쪽에서 본 측면도,
도 64는 본 발명의 제 29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왼쪽 비스듬하게 뒤쪽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65는 본 발명의 제 30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왼쪽에서 본 측면도,
도 66은 본 발명의 제 30 실시형태에 관한 다른예의 시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왼쪽에서 본 측면도,
도 67은 본 발명의 제 31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왼쪽에서 본 측면도,
도 68은 본 발명의 제 31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왼쪽 비스듬하게 앞쪽에서 본 사시도,
도 69는 본 발명의 제 31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의 주요부의 격납상태를 나타내는 왼쪽 비스듬하게 앞쪽에서 본 사시도,
도 70은 본 발명의 제 31 실시형태에 관한 다른예의 시트의 주요부를 나타내 는 왼쪽에서 본 측면도,
도 71은 본 발명의 제 32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왼쪽에서 본 측면도,
도 72A는 본 발명의 제 33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왼쪽에서 본 측면도,
도 72B는 본 발명의 제 33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의 주요부의 격납상태를 나타내는 왼쪽에서 본 측면도,
도 73은 본 발명의 제 33 실시형태에 관한 다른예의 시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왼쪽에서 본 측면도,
도 74는 본 발명의 제 34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왼쪽에서 본 측면도,
도 75는 본 발명의 제 35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왼쪽 비스듬하게 뒤쪽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76은 본 발명의 제 36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왼쪽 비스듬하게 앞쪽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77은 본 발명의 제 37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왼쪽에서 본 측면도,
도 78은 본 발명의 제 37 실시형태에 관한 다른예의 시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왼쪽에서 본 측면도,
도 79는 본 발명의 제 38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왼쪽에 서 본 측면도,
도 80은 본 발명의 제 38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왼쪽 비스듬하게 앞쪽에서 본 사시도,
도 81은 본 발명의 제 38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의 주요부의 격납상태를 나타내는 왼쪽 비스듬하게 앞쪽에서 본 사시도,
도 82A는 본 발명의 제 38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전단측에서 본 단면도,
도 82B는 본 발명의 제 38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의 주요부의 격납상태를 나타내는 전단측에서 본 단면도,
도 83은 본 발명의 제 38 실시형태에 관한 다른예의 시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왼쪽에서 본 측면도,
도 84는 본 발명의 제 39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왼쪽에서 본 측면도,
도 85A는 본 발명의 제 40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왼쪽에서 본 측면도,
도 85B는 본 발명의 제 40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의 주요부의 격납상태를 나타내는 왼쪽에서 본 측면도,
도 86은 본 발명의 제 40 실시형태에 관한 다른예의 시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왼쪽에서 본 측면도,
도 87은 본 발명의 제 41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왼쪽에 서 본 측면도,
도 88은 본 발명의 제 42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왼쪽 비스듬하게 뒤쪽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89는 본 발명의 제 43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왼쪽 비스듬하게 앞쪽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90은 본 발명의 제 44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왼쪽에서 본 측면도,
도 91은 본 발명의 제 44 실시형태에 관한 다른예의 시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왼쪽에서 본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시트 12 : 시트백
12B : 백 사이드부(시트 사이드부) 14 : 백 링크기구(링크기구)
16 : 백 메인프레임
20 : 백 등박이(백 신축수단, 백 바깥쪽 프레임)
22 : 제 1 링크(백 신축수단)
24 : 백 서브 프레임(백 신축수단, 백 바깥쪽 프레임, 백 바깥 프레임)
26 : 백 연결 링크(백 연결기구) 28 : 백 표피(백 피복부재)
30 : 시트 쿠션 30B : 쿠션 사이드부(시트 사이드부)
40, 50, 60, 70 : 시트 72 : 제 2 링크(백 신축수단)
74 : 제 3 링크(백 신축수단) 80 : 시트
90, 100, 110 : 시트
112 : 백 프레임(백 신축수단, 백 안쪽 프레임)
120, 130, 140, 150, 160, 170, 180, 200 : 시트
204 : 쿠션 링크기구(링크기구) 206 : 쿠션 메인프레임
208 : 쿠션 지지부(쿠션 신축수단, 쿠션 바깥쪽 프레임)
212 : 쿠션 서브 프레임(쿠션 신축수단, 쿠션 바깥쪽 프레임, 쿠션 바깥 프레임)
214 : 쿠션 연결축(쿠션 신축수단, 쿠션 연결수단)
216 : 쿠션 앞쪽 링크(쿠션 연락기구, 쿠션 신축수단)
218 : 쿠션 표피(쿠션 피복부재) 220, 230 : 시트
236 : 쿠션 연결 링크(쿠션 신축수단, 쿠션 연결수단)
238 : 쿠션 연락 링크(쿠션 연락기구)
240, 250, 260, 270, 280 : 시트 242 : 제 4 링크
256 : 쿠션 연동 링크(쿠션 연락기구)
264 : 쿠션 작동 링크(쿠션 연락기구)
282 : 제 5 링크(쿠션 신축수단)
284 : 제 6 링크(쿠션 신축수단)
290, 300, 310, 320, 330, 340, 350 : 시트
354 : 언더 커버(쿠션 신축수단, 쿠션 안쪽 부재)
370, 380, 390 : 시트 392 : 제 7 링크(쿠션 연락기구)
400 : 시트 402 : 커버 연동 링크(쿠션 연락기구)
410, 420, 430, 440, 450, 460, 470, 480, 490 : 시트
(제 1 실시형태)
도 1에는, 본 발명의 시트구조가 적용되어 구성된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10)의 주요부가 왼쪽에서 본 측면도로 나타나 있다. 또한 도 2에는 시트(10)의 왼쪽에서 본 측면도로 나타나 있고, 도 3(A)에는, 시트(10)의 왼쪽 비스듬하게 앞쪽에서 본 사시도로 나타나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시트(10)의 앞쪽을 화살표(FR)로 나타내고, 시트(10)의 위쪽을 화살표(UP)로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10)는, 차량용의 것으로, 차량의 차실 바닥면상에 설치되어 있다. 또, 시트(10)는, 이른바 백을 앞으로 쓰러뜨려 격납하는 타입의 것으로 되어 있다.
시트(10)에는, 시트백(12)이 설치되어 있다. 시트백(12)의 좌우방향(폭방향)중앙부는, 시트 메인부로서의 백 메인부(12A)가 됨과 동시에, 시트백(12)의 좌우방향 양쪽부는, 시트 사이드부로서의 백 사이드부(12B)로 되어 있고, 백 메인부(12A)에 비하여 백 사이드부(12B)는 앞쪽[시트백(12)의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시트백(12) 내에는, 링크기구로서의 백 링크기구(14)가 설치되어 있다.
백 링크기구(14)에는, 판형상의 백 메인프레임(16)(사이드 프레임)이 한 쌍 설치되어 있고, 백 메인프레임(16)은 백 사이드부(12B) 내에 배치되어 있다. 백 메인프레임(16)의 하단은 차체측[하기 시트 쿠션(30)]에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하여 틸팅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에 따라 시트백(12)이 차체측에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하여 틸팅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백 메인프레임(16)의 하단에는 리클라이닝기구(18)가 설치되어 있고, 리클라이닝기구(18)가 백 메인프레임(16)의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한 틸팅을 록함으로써, 시트백(12)이,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한 틸팅을 저지받아, 대략 수직하게 기립되어 있다. 또, 리클라이닝기구(18)가 조작됨으로써, 리클라이닝기구(18)가 백 메인프레임(16)의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한 틸팅을 허용하여, 시트백(12)의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한 틸팅이 허용된다.
한 쌍의 백 메인프레임(16) 사이에는, 백 등받이(20)가 지지되어 있고[도 4(A) 참조), 백 등받이(20)는, 백 메인부(12A)의 앞쪽부분을 뒤쪽에서 지지하고 있다.
백 메인프레임(16)에는, 백 신축수단을 구성하는 제 1 링크(22)가, 기설정된 수(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 후단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백 메인프레임(16)의 앞쪽에는, 백 신축수단의 백 바깥쪽 프레임으로서의 판형상의 백 서브 프레임(24)이 설치되어 있다. 백 서브 프레임(24)에는, 제 1 링크(22)의 전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백 서브 프레임(24)은, 백 사이드부(12B)의 앞쪽부분을 뒤쪽에서 지지하고 있다.
백 서브 프레임(24) 하단, 또는 백 메인프레임(16) 하부의 제 1 링크(22)의 전단(후단 이외이면 된다)에는, 백 연결기구로서의 백 연결 링크(26)의 상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백 연결 링크(26)의 하단은, 백 메인프레임(16) 하단의 틸팅 중심축(16A)의 뒤쪽[틸팅 중심축(16A)에서 오프셋된 위치]에서, 차체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제 1 링크(22), 백 서브 프레임(24) 및 백 연결 링크(26)의 회동이 록되고, 백 링크기구(14)의 작동이 록되어 있다.
시트백(12)의 외주면 전체는, 백 피복부재로서의 백 표피(28)에 피복되어 있다[도 4(A) 참조].
시트백(12)의 앞쪽에는, 시트 쿠션(30)이 설치되어 있고, 시트 쿠션(30)은, 차체측에 지지되고, 시트 쿠션(30)의 아래쪽으로부터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이상의 구성의 시트(10)에서는, 백 메인프레임(16)의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한 틸팅이 리클라이닝기구(18)에 의하여 록된 상태에서, 백 연결 링크(26)의 하단이 차체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제 1 링크(22), 백 서브 프레임(24) 및 백 연결 링크(26)의 회동이 록되고, 백 링크기구(14)의 작동이 록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백 링크기구(14)[백 서브 프레임(24)]에 의한 백 사이드부(12B)의 뒤쪽으로부터의 지지 강성을 높게 할 수 있어, 시트(10)에 착석한 승객으로부터 백 사이드부(12B)에 좌우방향의 하중이 걸려도 백 사이드부(12B)가 승객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백 링크기구(14)의 작동면[백 서브 프레임(24)의 회동면]이, 시트 백(12)의 좌우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시트백(12)의 좌우방향으로의 하중에 대한 백 사이드부(12B)의 백 링크기구(14)에 의한 지지 강성을 높게 할 수 있어, 시트(10)에 착석한 승객으로부터 백 사이드부(12B)에 좌우방향의 하중이 걸려도 백 사이드부(12B)가 승객을 한층 더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또, 리클라이닝기구(18)가 조작되어, 시트백(12)이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하여 앞쪽으로 틸팅됨으로써, 시트백(12)이 시트 쿠션(30)의 위쪽에 겹쳐져서 시트(10)가 격납(이른바 앞으로 쓰러뜨려 격납)된다[도 3(B) 참조].
시트(10)가 격납될 때에는, 시트백(12)[백 메인프레임(16)]이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하여 앞쪽으로 틸팅되고, 백 연결 링크(26)가 하단을 중심으로 하여 앞쪽으로 회동됨으로써, 백 서브 프레임(24) 또는 제 1 링크(22)의 시트백(12) 하단측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제 1 링크(22)가 시트백(12) 하단측으로 회동되고, 백 메인프레임(16)과 백 서브 프레임(24)의 시트백(12) 두께 방향 거리가 수축된다[도 4(B) 참조]. 이에 의하여 백 사이드부(12B)의 통상 사용시의 두께를 두껍게 한 경우에도, 시트(10)의 격납에 따라 백 사이드부(12B)의 두께를 백 메인프레임(16)보다 바깥쪽 부분에서 수축시켜 백 메인부(12A)의 두께와 동등하게 소형화할 수 있고, 시트(10)의 격납시에 있어서의 차실(짐칸)의 공간[시트(10)위쪽의 공간]을 크게 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10)가 이른바 텀블 수납 타입이 되어, 시트(10)가 격납된 후에, 시트백(12) 및 시트 쿠션(30)의 차체측에의 지지가 해제되어, 시트(10)가 앞쪽으로 대략 90°회동됨으로써, 시트(10)[시트 백(12) 및 시트 쿠션(30)]가 대략 수직하게 기립된 상태에서 앞쪽에 수납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와 같이 시트(10)의 격납에 따라 백 사이드부(12B)의 두께가 수축되어 있기 때문에, 시트(10)의 수납시에 있어서의 차실(짐칸)의 공간[시트(10)의 앞쪽 및 뒤쪽 공간]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10)의 옆쪽에 휠 하우스(32)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시트(10)가 이른바 스페이스 업 수납타입이 되고, 시트(10)가 격납된 후에, 시트백(12) 및 시트 쿠션(30)의 차체측에의 지지가 해제되어, 시트(10)가 옆쪽으로 대략 90°회동됨으로써, 시트(10)[시트백(12) 및 시트 쿠션(30)]가 대략 수직하게 기립된 상태에서 휠 하우스(32)의 위쪽에 수납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와 같이 시트(10)의 격납에 따라 백 사이드부(12B)의 두께가 수축되어 있기 때문에, 시트(10)의 수납시에 있어서의 차실(짐칸)의 공간[시트(10) 옆쪽의 공간]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도 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10)의 뒤쪽에 오목부(34)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시트(10)가 이른바 뒤쪽 바닥 밑 수납 타입이 되어, 시트(10)가 격납된 후에, 시트백(12) 및 시트 쿠션(30)의 차체측에의 지지가 해제되어, 시트(10)가 뒤쪽으로 대략 180°회동되는, 또는 회동 링크 등에 의하여 이동됨으로써, 시트(10)[시트백(12) 및 시트 쿠션(30)]가, 시트백(12)의 위쪽에 시트 쿠션(30)이 배치된 상태에서 오목부(34) 내에 대략 수평으로 수납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와 같이 시트(10)의 격납에 따라 백 사이드부(12B)의 두께가 수축되어 있기 때문에, 시트(10)의 수납시에 있어서의 차실(짐칸)의 공간[시 트(10)위쪽의 공간]을 크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오목부(34)의 깊이를 얕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백 연결 링크(26)의 하단을, 백 메인프레임(16) 하단의 틸팅 중심축(16A)의 뒤쪽에서, 차체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구성으로 하였으나,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백 연결 링크(26)의 하단을, 백 메인프레임(16) 하단의 틸팅 중심축(16A)의 앞쪽[틸팅 중심축(16A)에서 오프셋된 위치]에서, 차체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 시트(10)가 격납될 때에는, 시트백(12)[백 메인프레임(16)]이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하여 앞쪽으로 틸팅되고, 백 연결 링크(26)가 하단을 중심으로 하여 앞쪽으로 회동됨으로써, 백 서브 프레임(24) 또는 제 1 링크(22)의 시트백(12) 상단측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제 1 링크(22)가 시트백(12) 상단측으로 회동되고, 백 메인프레임(16)과 백 서브 프레임(24)의 시트백(12)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트(10)가 격납될 때에 시트백(12)[백 메인프레임(16)]의 틸팅 중심축(16A) 및 백 연결 링크(26)의 하단(회동 중심축)이 이동되지 않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시트(10)가 격납될 때에 시트백(12)[백 메인프레임(16)]의 틸팅 중심축(16A) 및 백 연결 링크(26)의 하단[회동 중심축]이 이동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체측에 앞쪽의 앞 지지 링크(36)의 하단 및 뒤쪽의 뒤 지지 링크(38)의 하단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앞 지지 링크(36)의 상단에는 백 메인프레임(16)의 하단이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뒤 지지 링크(38)의 상단에는 백 메인프레임(16)의 하단이 틸팅 중심축(16A)의 뒤쪽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백 메인프레임(16)의 앞 지지 링크(36)에 대한 회동은 리클라이닝기구(18)에 의하여 록되어 있고, 이에 의하여 백 메인프레임(16), 앞 지지 링크(36) 및 뒤 지지 링크(38)의 회동이 록되어 있다. 또한, 뒤 지지 링크(38)의 상단에는 중간 링크(38A)의 한쪽 끝이 회동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중간 링크(38A)의 다른쪽 끝은 백 연결 링크(26)의 하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클라이닝기구(18)가 조작되어 시트(10)가 격납될 때에는, 앞 지지 링크(36), 뒤 지지 링크(38) 및 중간 링크(38A)가 뒤쪽으로 회동되고, 백 메인프레임(16)의 틸팅 중심축(16A) 및 백 연결 링크(26)의 하단이 뒤쪽으로 이동된다. 또, 이 경우에도 도 8(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10)의 격납시에는 백 사이드부(12B)의 두께를 백 메인프레임(16)보다 바깥쪽 부분에서 수축시켜 백 메인부(12A)의 두께와 동등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시트(10)가 이른바 틸트 다운 격납타입이 되어,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10)가 격납될 때에 시트백(12)의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한 앞쪽으로의 틸팅에 따라 시트 쿠션(30)이 아래쪽 또한 앞쪽으로 이동되는 구성이나,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10)가 격납될 때에 시트백(12)의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한 앞쪽으로의 틸팅에 따라 시트 쿠션(30)이 아래쪽 또한 뒤쪽으로 이동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트백(12)이 시트 쿠션(30)의 위쪽에 겹쳐져 시트(10)가 격납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10)가 이른바 더블 폴드 격납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 시트 쿠션(30)의 차체측에의 지지가 해제되어, 시트 쿠션(30)이 앞쪽으로 회동됨으로써, 시트 쿠션(30)이 대략 수직하게 기립된 후에, 리클라이닝기구(18)가 조작되고, 시트백(12)이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하여 앞쪽으로 회동됨으로써, 시트백(12)이 시트 쿠션(30)의 뒤쪽에서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어, 격납된다. 또한,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10)가 이른바 더블 플랫 격납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 시트 쿠션(30)의 차체측에의 지지가 해제되어, 시트 쿠션(30)이 앞쪽으로 회동됨으로써, 시트 쿠션(30)이 대략 수평으로 반전된 후에, 리클라이닝기구(18)가 조작되어, 시트백(12)이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하여 앞쪽으로 회동됨으로써, 시트백(12)이 시트 쿠션(30)의 뒤쪽에서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어 격납된다. 또, 도 10 및 도 11의 어느 경우에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시트(10)의 격납에 따라 백 사이드부(12B)의 두께가 수축되기 때문에, 시트(10)의 격납시에 있어서의 차실(짐칸)의 공간[시트백(12) 위쪽의 공간]을 크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시트백(12)의 차실 바닥면과의 간섭을 억제할 수있다.
(제 2 실시형태)
도 12에는, 본 발명의 시트구조가 적용되어 구성된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40)의 주요부가 왼쪽에서 본 측면도로 나타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40)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나, 이하의 점에서 다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40)에서는, 백 메인프레임(16)의 하나의 제 1 링 크(22)의 후단(회동중심)에, 조작기구로서의 원기둥형상의 조작레버(42)가 결합되어 있고, 조작레버(42)는, 레귤레이터 등으로 되어 있다. 조작레버(42)에는, 록기구로서의 회전 록기구(도시생략)가 설치되어 있고, 회전 록기구에 의하여 조작레버(42)의 회전이 저지됨으로써, 제 1 링크(22) 및 백 서브 프레임(24)의 회동이 록되고, 백 링크기구(14)의 동작이 규제되어 있다. 조작레버(42)는 시트백(12)의 옆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조작레버(42)가 회전 조작됨으로써, 제 1 링크(22)가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의 백 연결 링크(26)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이상의 구성의 시트(40)에서는, 백 메인프레임(16)의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한 틸팅이 리클라이닝기구(18)에 의하여 록된 상태에서, 회전 록기구에 의하여 조작레버(42)의 회전이 저지됨으로써, 제 1 링크(22) 및 백 서브 프레임(24)의 회동이 록되고, 백 링크기구(14)의 동작이 규제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백 링크기구(14)[백 서브 프레임(24)]에 의한 백 사이드부(12B)의 뒤쪽으로부터의 지지 강성을 높게 할 수 있어, 시트(40)에 착석한 승객으로부터 백 사이드부(12B)에 좌우방향의 하중이 걸려도 백 사이드부(12B)가 승객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백 링크기구(14)의 작동면[백 서브 프레임(24)의 회동면]이, 시트백(12)의 좌우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시트백(12)의 좌우방향으로의 하중에 대한 백 사이드부(12B)의 백 링크기구(14)에 의한 지지 강성을 높게 할 수 있어, 시트(10)에 착석한 승객으로부터 백 사이드부(12B)에 좌우방향의 하중이 걸려도 백 사이드부(12B)가 승객을 한층 더 충분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조작레버(42)의 회전 록기구에 의한 회전저지가 해제된 상태에서, 조작레버(42)가 회전 조작됨으로써, 제 1 링크(22)가 회동되어, 백 메인프레임(16)과 백 서브 프레임(24)와의 시트백(12) 두께방향 거리가 신축된다. 이것에 의하여 시트(40)의 격납과 독립하여, 백 사이드부(12B)의 두께를, 백 메인프레임(16)보다 바깥쪽 부분에서 신축시켜 조정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도 13에는, 본 발명의 시트구조가 적용되어 구성된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50)의 주요부가 왼쪽에서 본 측면도로 나타나 있고, 도 14에는 시트(50)이 왼쪽에서 본 측면도로 나타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50)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나, 이하의 점에서 다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50)는, 이른바 백을 뒤로 쓰러뜨려 격납하는 타입의 것으로 되어 있다.
백 연결 링크(26)의 하단은, 백 메인프레임(16) 하단의 틸팅 중심축(16A)의 위쪽[틸팅 중심축(16A)에서 오프셋된 위치]에서, 차체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도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특히, 리클라이닝기구(18)가 조작되어, 시트백(12)이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하여 뒤쪽으로 틸팅됨으로써, 시트백(12)이 시트 쿠션(30)의 뒤쪽에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고, 시트(50)가 격납[이른바 뒤로 쓰러뜨려 격납]된다.
시트(50)가 격납될 때에는, 시트백(12)[백 메인프레임(16)]이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하여 뒤쪽으로 틸팅되고, 백 연결 링크(26)가 하단을 중심으로 하여 뒤쪽으로 회동됨으로써, 백 서브 프레임(24) 또는 제 1 링크(22)의 시트백(12)하단측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제 1 링크(22)가 시트백(12) 하단측으로 회동되어, 백 메인프레임(16)과 백 서브 프레임(24)의 시트백(12)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된다. 이에 의하여 백 사이드부(12B)의 통상 사용시의 두께를 두껍게 한 경우에도 시트(50)의 격납에 따라 백 사이드부(12B)의 두께를 백 메인프레임(16)보다 바깥쪽 부분에서 수축시켜 백 메인부(12A)의 두께와 동등하게 할 수 있고, 시트(50)의 격납시에 있어서의 차실(짐칸)의 공간[시트백(12) 위쪽의 공간]을 크게 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50)의 옆쪽에 휠 하우스(32)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시트(50)가 이른바 스페이스 업 수납타입이 되어, 시트(50)가 격납된 후에, 시트백(12) 및 시트 쿠션(30)의 차체측에의 지지가 해제되어, 시트(50)가 옆쪽으로 약 90°회동됨으로써, 시트(50)[시트백(12) 및 시트 쿠션(30)]가 대략 수직하게 기립된 상태에서 휠 하우스(32)의 위쪽에 수납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와 같이 시트(50)의 격납에 따라 백 사이드부(12B)의 두께가 수축되어 있기 때문에, 시트(50)의 수납시에 있어서의 차실(짐칸)의 공간[시트백(12) 옆쪽의 공간]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백 연결 링크(26)의 하단을, 백 메인프레임(16) 하단의 틸팅 중심축(16A)의 위쪽에서 차체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구성으로 하였으나,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백 연결 링크(26)의 하단을, 백 메인프레임(16) 하단의 틸팅 중심축(16A)의 아래쪽[틸팅 중심축(16A)에서 오프셋된 위치]에서 차체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 시트(50)가 격납될 때에는, 시트백(12)[백 메인프레임(16)]이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하여 뒤쪽으로 틸팅되고, 백 연결 링크(26)가 하단을 중심으로 하여 뒤쪽으로 회동됨으로써, 백 서브 프레임(24) 또는 제 1 링크(22)의 시트백(12) 상단측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제 1 링크(22)가 시트백(12) 상단측으로 회동되어, 백 메인프레임(16)과 백 서브 프레임(24)의 시트백(12)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된다.
(제 4 실시형태)
도 17에는, 본 발명의 시트구조가 적용되어 구성된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60)가 왼쪽에서 본 측면도로 나타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60)는, 상기 제 1 실시형태(도 1 참조)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나, 이하의 점에서 다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60)는, 이른바 칩업 격납 타입의 것으로 되어 있다.
시트 쿠션(30)의 후단 근방은, 좌우 양쪽 끝부에서 차체측에 지지축(62)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에 의하여 시트 쿠션(30)이 차체측에 지지축(62)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시트 쿠션(30)의 후단은 시트백(12)의 하단에 맞닿아 있고, 이에 따라 시트 쿠션(30)이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백 연결 링크(26)는, L자 형상으로 되어 있고, 백 연결 링크(26)의 상측단은, 백 서브 프레임(24) 하단, 또는 백 메인프레임(16) 하부의 제 1 링크(22)의 전단(후단 이외이면 된다)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백 연결 링크(26)의 하측단은, 시트 쿠션(30)의 후단[지지축(62)으로부터 뒤쪽으로 오프셋된 위치]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제 1 링크(22), 백 서브 프레임(24) 및 백 연결 링크(26)의 회동이 록되고, 백 링크기구(14)의 작동이 록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이상의 구성의 시트(60)에서는, 백 메인프레임(16)의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한 틸팅이 리클라이닝기구(18)에 의하여 록됨과 동시에, 시트 쿠션(30)의 후단이 시트백(12)의 하단에 맞닿은 상태에서 백 연결 링크(26)의 하측단이, 시트 쿠션(30)의 후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제 1 링크(22), 백 서브 프레임(24) 및 백 연결 링크(26)의 회동이 록되고, 백 링크기구(14)의 작동이 록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백 링크기구(14)[백 서브 프레임(24)]에 의한 백 사이드부(12B)의 뒤쪽으로로부터의 지지 강성을 높게 할 수 있어, 시트(60)에 착석한 승객으로부터 백 사이드부(12B)에 좌우방향의 하중이 걸려도 백 사이드부(12B)가 승객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백 링크기구(14)의 작동면[백 서브 프레임(24)의 회동면]이, 시트 백(12)의 좌우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시트백(12)의 좌우방향에의 하중에 대한 백 사이드부(12B)의 백 링크기구(14)에 의한 지지 강성을 높게 할 수 있어, 시트(10)에 착석한 승객으로부터 백 사이드부(12B)에 좌우방향의 하중이 걸려도 백 사이드부(12B)가 승객을 한층 더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또, 시트 쿠션(30)이 지지축(62)을 중심으로 하여 뒤쪽으로 회동됨으로써(이른바 칩업된다), 시트 쿠션(30)이 시트백(12)의 앞쪽에 겹쳐져 시트(60)가 격납된다.
시트(60)가 격납될 때에는, 시트 쿠션(30)이 지지축(62)을 중심으로 하여 뒤쪽으로 회동되고, 백 연결 링크(26)가 아래쪽으로 이동됨으로써, 백 서브 프레임(24) 또는 제 1 링크(22)의 아래쪽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제 1 링크(22)가 아래쪽으로 회동되어, 백 메인프레임(16)과 백 서브 프레임(24)의 시트백(12)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된다. 이에 의하여 백 사이드부(12B)의 통상 사용시의 두께를 두껍게 한 경우에도, 시트(60)의 격납에 따라 백 사이드부(12B)의 두께를 백 메인프레임(16)보다 바깥쪽 부분에서 수축시켜 백 메인부(12A)의 두께와 동등하게 할 수 있어, 시트(60)의 격납시에 있어서의 차실(짐칸)의 공간[시트(60)의 앞쪽 및 뒤쪽 공간]을 크게 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도 5(A)와 마찬가지로 시트(60)가 이른바 텀블 수납 타입이 되어, 시트(60)가 격납된 후에, 시트백(12) 및 시트 쿠션(30)의 차체측에의 지지가 해제되고, 시트(60)가 앞쪽으로 약 180°회동됨으로써 시트(60)[시트백(12) 및 시트 쿠션(30)]가 대략 수직하게 기립된 상태에서 앞쪽에 수납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와 같이 시트(60)의 격납에 따라 백 사이드부(12B)의 두께가 수축되어 있기 때문에, 시트(60)의 수납시에 있어서의 차실(짐칸)의 공간[시트(60)의 앞쪽 및 뒤쪽 공간]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도 5(B)와 마찬가지로, 시트(60)의 옆쪽에 휠 하우스(32)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시트(60)가 이른바 스페이스 업 수납 타입이 되고, 시트(60)가 격납된 후에 시트백(12) 및 시트 쿠션(30)의 차체측에의 지지가 해제되어, 시트(60)가 앞쪽 및 옆쪽으로 약 90°회동됨으로써, 시트(60)[시트백(12) 및 시트 쿠션(30)]가 대략 수직하게 기립된 상태에서 휠 하우스(32)의 위쪽에 수납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와 같이 시트(60)의 격납에 따라 백 사이드부(12B)의 두께가 수축되어 있기 때문에, 시트(60)의 수납시에 있어서의 차실(짐칸)의 공간[시트(60)옆쪽의 공간]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도 5(C)와 마찬가지로, 시트(60)의 뒤쪽에 오목부(34)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시트(60)가 이른바 뒤쪽 바닥 밑 수납 타입이 되고, 시트(60)가 격납된 후에, 시트백(12) 및 시트 쿠션(30)의 차체측에의 지지가 해제되어, 시트(60)가 뒤쪽으로 약 90°회동되는, 또는 회동 링크 등에 의하여 이동됨으로써, 시트(60)[시트백(12) 및 시트 쿠션(30)]가, 시트백(12)의 위쪽에 시트 쿠션(30)이 배치된 상태에서 오목부(34) 내에 대략 수평으로 수납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와 같이 시트(60)의 격납에 따라 백 사이드부(12B)의 두께가 수축되어 있기 때문에, 시트(60)의 수납시에 있어서의 차실(짐칸)의 공간[시트(60) 위쪽의 공간]을 크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오목부(34)의 깊이를 얕게 할 수 있다.
(제 5 실시형태)
도 18(A)에는, 본 발명의 시트구조가 적용되어 구성된 제 5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70)의 주요부가 왼쪽에서 본 측면도로 나타나 있고, 도 19(A)에는, 시트(70)의 주요부가 위쪽에서 본 단면도로 나타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70)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나, 이하의 점에서 다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70)에서는, 백 등받이(20)가, 백 신축수단의 백 바깥쪽 프레임을 구성하고 있고, 백 등받이(20)의 좌우 양쪽 끝부에는, 기설정된 수의 제 1 링크(22)가 전단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백 등받이(20)의 좌우 양쪽 끝부에는, 백 신축수단을 구성하는 제 2 링크(72)가, 기설정된수(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 후단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백 서브 프레임(24)은, 백 신축수단의 백 바깥 프레임을 구성하여, 백 등받이(20)의 앞쪽에 배치되어 있고, 백 서브 프레임(24)에는, 제 2 링크(72)의 전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백 연결 링크(26)의 상단은, 백 등받이(20) 하단, 또는 백 메인프레임(16) 하부의 제 1 링크(22)의 전단(후단 이외이면 된다)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이에 의하여 제 1 링크(22), 백 등받이(20) 및 백 연결 링크(26)의 회동이 록되어 있다. 또한, 백 메인프레임(16)에는 백 신축수단을 구성하는 제 3 링크(74)의 후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과 동시에, 제 3 링크(74)의 전단은 백 서브 프레 임(24), 또는 제 2 링크(72)의 후단(회동중심) 이외의 위치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이것에 의하여 백 서브 프레임(24), 제 2 링크(72) 및 제 3 링크(74)의 회동이 록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백 링크기구(14)의 작동이 록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이상의 구성의 시트(70)에서는, 백 메인프레임(16)의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한 틸팅이 리클라이닝기구(18)에 의하여 록된 상태에서, 백 연결 링크(26)의 하단이 차체측[시트 쿠션(3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제 1 링크(22), 백 등받이(20), 백 연결 링크(26), 백 서브 프레임(24), 제 2 링크(72) 및 제 3 링크(74)의 회동이 록되고, 백 링크기구(14)의 작동이 록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백 링크기구(14)[백 서브 프레임(24)]에 의한 백 사이드부(12B)의 뒤쪽으로부터의 지지 강성을 높게 할 수 있어, 시트(70)에 착석한 승객으로부터 백 사이드부(12B)에 좌우방향의 하중이 걸려도 백 사이드부(12B)가 승객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백 링크기구(14)의 작동면[백 서브 프레임(24)의 회동면]이, 시트백(12)의 좌우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시트백(12)의 좌우방향에의 하중에 대한 백 사이드부(12B)의 백 링크기구(14)에 의한 지지 강성을 높게 할 수 있어, 시트(10)에 착석한 승객으로부터 백 사이드부(12B)에 좌우방향의 하중이 걸려도 백 사이드부(12B)가 승객을 한층 더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또, 리클라이닝기구(18)가 조작되어, 시트백(12)이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하여 앞쪽으로 틸팅됨으로써, 시트백(12)이 시트 쿠션(30)의 위쪽에 겹쳐져 시트(70)가 격납(이른바 앞으로 쓰러뜨려 격납)된다[도 18(B) 참조].
시트(70)가 격납될 때에는, 시트백(12)[백 메인프레임(16)]이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하여 앞쪽으로 틸팅되어, 백 연결 링크(26)가 하단을 중심으로 하여 앞쪽으로 회동됨으로써, 백 등받이(20) 또는 제 1 링크(22)의 시트백(12) 하단측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제 1 링크(22) 및 제 2 링크(72)가 시트백(12) 하단측으로 회동되어, 백 메인프레임(16)과 백 등받이(20)와의 시트백(12)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됨과 동시에, 백 등받이(20)와 백 서브 프레임(24)과의 시트백(12)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된다[도 19(B) 참조]. 이에 의하여 백 사이드부(12B) 및 백 메인부(12A)의 통상 사용시의 두께를 두껍게 한 경우에도, 시트(70)의 격납에 따라 백 사이드부(12B) 및 백 메인부(12A)의 두께를 백 메인프레임(16)보다 바깥쪽 부분에서 수축시켜 동등하게 할 수 있고, 시트(70)의 격납시에 있어서의 차실(짐칸)의 공간[시트(70) 위쪽의 공간]을 크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도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백 연결 링크(26)의 하단을, 백 메인프레임(16) 하단의 틸팅 중심축(16A)의 뒤쪽에서, 차체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구성으로 하였으나, 도 2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백 연결 링크(26)의 하단을, 백 메인프레임(16) 하단의 틸팅 중심축(16A)의 앞쪽[틸팅 중심축(16A)에서 오프셋된 위치]에서, 차체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 시트(70)가 격납될 때에는, 시트백(12)[백 메인프레임(16)]이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하여 앞쪽으로 틸팅되고, 백 연결 링크(26)가 하단을 중심으로 하여 앞쪽으로 회동됨 으로써, 백 등받이(20) 또는 제 1 링크(22)의 시트백(12) 상단측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제 1 링크(22) 및 제 2 링크(72)가 시트백(12) 상단측으로 회동되어, 백 메인프레임(16)과 백 등받이(20)와의 시트백(12) 두께방향의 거리가 수축됨과 동시에, 백 등받이(20)와 백 서브 프레임(24)과의 시트백(12)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된다[도 20(B) 참조].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트(70)가 격납될 때에 시트백(12)[백 메인프레임(16)]의 틸팅 중심축(16A) 및 백 연결 링크(26)의 하단(회동 중심축)이 이동되지 않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도 7(A) 및 (B)와 마찬가지로, 시트(70)가 격납될 때에 시트백(12)[백 메인프레임(16)]의 틸팅 중심축(16A) 및 백 연결 링크(26)의 하단(회동중심축)이 이동(예를 들면 뒤쪽으로 이동)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시트(70)가 틸트 다운 격납타입으로 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도 9(A) 및 (B) 참조].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트백(12)이 시트 쿠션(30)의 위쪽에 겹쳐져 시트(70)가 격납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시트(70)가 이른바 더블 폴드 격납되는 구성(도 10 참조)이나, 시트(70)가 이른바 더블 플랫 격납되는 구성(도 11 참조)으로 하여도 된다.
(제 6 실시형태)
도 21에는, 본 발명의 시트구조가 적용되어 구성된 제 6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80)의 주요부가 왼쪽에서 본 측면도로 나타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80)는, 상기 제 5 실시형태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 나, 이하의 점에서 다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80)에서는, 백 메인프레임(16)의 하나의 제 1 링크(22)의 후단(회동중심)에, 조작기구로서의 원기둥형상의 조작레버(42)가 결합되어 있고, 조작레버(42)는, 다이얼식의 레귤레이터 등으로 되어 있다. 조작레버(42)에는, 록기구로서의 회전 록기구(도시생략)가 설치되어 있고, 회전 록기구에 의하여 조작레버(42)의 회전이 저지됨으로써, 제 1 링크(22), 백 등받이(20), 제 2 링크(72), 백 서브 프레임(24) 및 제 3 링크(74)의 회동이 록되고, 백 링크기구(14)의 작동이 록되어 있다. 조작레버(42)는 시트백(12)의 옆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조작레버(42)가 회전 조작됨으로써, 제 1 링크(22)가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 5 실시형태에서의 백 연결 링크(26)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이상의 구성의 시트(80)에서는, 백 메인프레임(16)의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한 틸팅이 리클라이닝기구(18)에 의하여 록된 상태에서, 회전 록기구에 의하여 조작레버(42)의 회전이 저지됨으로써, 제 1 링크(22), 백 등받이(20), 제 2 링크(72), 백 서브 프레임(24) 및 제 3 링크(74)의 회동이 록되고, 백 링크기구(14)의 작동이 록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백 링크기구(14)[백 서브 프레임(24)]에 의한 백 사이드부(12B)의 뒤쪽으로부터의 지지 강성을 높게 할 수 있어, 시트(80)에 착석한 승객으로부터 백 사이드부(12B)에 좌우방향의 하중이 걸려도 백 사이드부(12B)가 승객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백 링크기구(14)의 작동면[백 서브 프레임(24)의 회동면]이, 시트백(12)의 좌우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시트백(12)의 좌우방향에의 하중에 대한 백 사이드부(12B)의 백 링크기구(14)에 의한 지지 강성을 높게 할 수 있어, 시트(10)에 착석한 승객으로부터 백 사이드부(12B)에 좌우방향의 하중이 걸려도 백 사이드부(12B)가 승객을 한층 더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또, 조작레버(42)의 회전 록기구에 의한 회전저지가 해제된 상태에서, 조작레버(42)가 회전조작됨으로써, 제 1 링크(22)가 회동되고, 백 메인프레임(16)과 백 등받이(20)와의 시트백(12) 두께방향 거리가 신축됨과 동시에, 제 2 링크(72)가 회동되어, 백 등받이(20)와 백 서브 프레임(24)과의 시트백(12)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된다. 이에 의하여 시트(80)의 격납과 독립하여 백 사이드부(12B) 및 백 메인부(12A)의 두께를, 백 메인프레임(16)보다 바깥쪽 부분에서 신축시켜 조정할 수 있다.
(제 7 실시형태)
도 22에는, 본 발명의 시트구조가 적용되어 구성된 제 7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90)의 주요부가 왼쪽에서 본 측면도로 나타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90)는, 상기 제 5 실시형태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나, 이하의 점에서 다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90)는, 이른바 백을 뒤로 쓰러뜨려 격납하는 타입의 것으로 되어 있다.
백 연결 링크(26)의 하단은, 백 메인프레임(16) 하단의 틸팅 중심축(16A)의 위쪽[틸팅 중심축(16A)에서 오프셋된 위치]에서, 차체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도, 상기 제 5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특히, 리클라이닝기구(18)가 조작되어, 시트백(12)이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하여 뒤쪽으로 틸팅됨으로써, 시트백(12)이 시트 쿠션(30)의 뒤쪽에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고, 시트(90)가 격납(이른바 뒤로 쓰러뜨려 격납)된다.
시트(90)가 격납될 때에는, 시트백(12)[백 메인프레임(16)]이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하여 뒤쪽으로 틸팅되고, 백 연결 링크(26)가 하단을 중심으로 하여 뒤쪽으로 회동됨으로써, 백 등받이(20) 또는 제 1 링크(22)의 시트백(12) 하단측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제 1 링크(22) 및 제 2 링크(72)가 시트백(12) 하단측으로 회동되고, 백 메인프레임(16)과 백 등받이(20)와의 시트백(12)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됨과 동시에, 백 등받이(20)와 백 서브 프레임(24)과의 시트백(12)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된다. 이에 의하여 백 사이드부(12B) 및 백 메인부(12A)의 통상 사용시의 두께를 두껍게 한 경우에도, 시트(90)의 격납에 따라 백 사이드부(12B) 및 백 메인부(12A)의 두께를 백 메인프레임(16)보다 바깥쪽 부분에서 수축시켜 동등하게 할 수 있고, 시트(90)의 격납시에 있어서의 차실(짐칸)의 공간[시트백(12) 위쪽의 공간)을 크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3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시트(90)가 이른바 스페이스 업 수납 타입으로 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도 15 참조).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백 연결 링크(26)의 하단을, 백 메인프레임(16) 하단의 틸팅 중심축(16A)의 위쪽에서, 차체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구성으로 하였으나,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백 연결 링크(26)의 하단을, 백 메인프레임(16) 하단의 틸팅 중심축(16A)의 아래쪽[틸팅 중심축(16A)에서 오프셋된 위치]에서, 차체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 시트(90)가 격납될 때에는, 시트백(12)[백 메인프레임(16)]이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하여 뒤쪽으로 틸팅되고, 백 연결 링크(26)가 하단을 중심으로 하여 뒤쪽으로 회동됨으로써, 백 등받이(20) 또는 제 1 링크(22)의 시트백(12) 상단측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제 1 링크(22)및 제 2 링크(72)가 시트백(12) 상단측으로 회동되어, 백 메인프레임(16)과 백 등받이(20)와의 시트백(12)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됨과 동시에, 백 등받이(20)와 백 서브 프레임(24)과의 시트백(12)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된다.
(제 8 실시형태)
도 24에는, 본 발명의 시트구조가 적용되어 구성된 제 8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100)의 주요부가 왼쪽에서 본 측면도로 나타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100)는, 상기 제 5 실시형태[도 18(A)참조]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나, 이하의 점에서 다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100)는, 이른바 칩업 격납 타입의 것으로 되어 있다.
시트 쿠션(30)의 후단 근방은, 좌우 양쪽 끝부에서, 차체측에 지지축(62)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에 의하여 시트 쿠션(30)이 차체측에 지지축(62)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시트 쿠션(30)의 후단은 시트백(12)의 하단에 맞닿아 있고, 이에 의하여 시트 쿠션(30)이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백 연결 링크(26)는, L자 형상으로 되어 있고, 백 연결 링크(26)의 상측단은, 백 등받이(20) 하단, 또는 백 메인프레임(16) 하부의 제 1 링크(22)의 전단(후단 이외이면 된다)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백 연결 링크(26)의 하측단은, 시트 쿠션(30)의 후단[지지축(62)으로부터 뒤쪽으로 오프셋된 위치]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제 1 링크(22), 백 등받이(20), 백 연결 링크(26), 제 2 링크(72), 백 서브 프레임(24) 및 제 3 링크(74)의 회동이 록되고, 백 링크기구(14)의 동작이 규제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이상의 구성의 시트(100)에서는, 백 메인프레임(16)의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한 틸팅이 리클라이닝기구(18)에 의하여 록됨과 동시에, 시트 쿠션(30)의 후단이 시트백(12)의 하단에 맞닿은 상태에서 백 연결 링크(26)의 하측단이, 시트 쿠션(30)의 후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제 1 링크(22), 백 등받이(20), 백 연결 링크(26), 제 2 링크(72), 백 서브 프레임(24) 및 제 3 링크(74)의 회동이 록되고, 백 링크기구(14)의 동작이 규제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백 링크기구(14)[백 서브 프레임(24)]에 의한 백 사이드부(12B)의 뒤쪽으로부터의 지지 강성을 높게 할 수 있어, 시트(100)에 착석한 승객으로부터 백 사이드부(12B)에 좌우방향 의 하중이 걸려도 백 사이드부(12B)가 승객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백 링크기구(14)의 작동면[백 서브 프레임(24)의 회동면]이, 시트백(12)의 좌우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시트백(12)의 좌우방향으로의 하중에 대한 백 사이드부(12B)의 백 링크기구(14)에 의한 지지 강성을 높게 할 수 있어, 시트(10)에 착석한 승객으로부터 백 사이드부(12B)에 좌우방향의 하중이 걸려도 백 사이드부(12B)가 승객을 한층 더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또, 시트 쿠션(30)이 지지축(62)을 중심으로 하여 뒤쪽으로 회동됨으로써(이른바 칩업된다), 시트 쿠션(30)이 시트백(12)의 앞쪽에 겹쳐져 시트(100)가 격납된다.
시트(100)가 격납될 때에는, 시트 쿠션(30)이 지지축(62)을 중심으로 하여 뒤쪽으로 회동되고, 백 연결 링크(26)가 아래쪽으로 이동됨으로써, 백 등받이(20) 또는 제 1 링크(22)의 아래쪽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제 1 링크(22) 및 제 2 링크(72)가 시트백(12) 하단측으로 회동되고, 백 메인프레임(16)과 백 등받이(20)와의 시트백(12)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됨과 동시에, 백 등받이(20)와 백 서브 프레임(24)과의 시트백(12)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된다. 이에 의하여 백 사이드부(12B) 및 백 메인부(12A)의 통상 사용시의 두께를 두껍게 한 경우에도, 시트(100)의 격납에 따라 백 사이드부(12B) 및 백 메인부(12A)의 두께를 백 메인프레임(16)보다 바깥쪽 부분에서 수축시켜 동등하게 할 수 있고, 시트(100)의 격납시에 있어서의 차실(짐칸)의 공간[시트(100)의 앞쪽 및 뒤쪽 공간]을 크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4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시트(100)가 이른바 텀블수납 타입으 로 된 구성[도 (A) 참조], 시트(100)가 이른바 스페이스 업 수납 타입으로 된 구성[도 5(B) 참조] 또는 시트(100)가 이른바 뒤쪽 바닥 밑 수납 타입으로 된 구성[도 5(C)참조]으로 할 수 있다.
(제 9 실시형태)
도 25에는, 본 발명의 시트구조가 적용되어 구성된 제 9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110)의 주요부가 왼쪽에서 본 측면도로 나타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110)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나, 이하의 점에서 다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110)에서는, 제 1 링크(22)가 뒤쪽으로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고, 제 1 링크(22)는, 중간부에서 백 메인프레임(16)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시트백(12) 내에는, 백 메인프레임(16)의 뒤쪽에서 백 신축수단의 백 안쪽 프레임으로서의 판형상의 백 프레임(112)이 설치되어 있고, 백 프레임(112)은, 제 1 링크(22)의 후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 백 프레임(112)은, 백 표피(28)에 피복되어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시트백(12)의 외관이 좋아진다.
백 연결 링크(26)의 상단은, 백 서브 프레임(24) 하단, 백 메인프레임(16) 하부의 제 1 링크(22)[백 메인프레임(16)에 대한 연결위치 이외이면 된다] 또는 백 프레임(112) 하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이에 의하여 제 1 링크(22), 백 서브 프레임(24), 백 프레임(112) 및 백 연결 링크(26)의 회동이 록되고, 백 링크기구(14)의 동작이 규제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이상의 구성의 시트(110)에서는, 백 메인프레임(16)의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한 틸팅이 리클라이닝기구(18)에 의하여 록된 상태에서 백 연결 링크(26)의 하단이 차체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제 1 링크(22), 백 서브 프레임(24), 백 프레임(112) 및 백 연결 링크(26)의 회동이 록되고, 백 링크기구(14)의 동작이 규제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백 링크기구(14)[백 서브 프레임(24)]에 의한 백 사이드부(12B)의 뒤쪽으로부터의 지지 강성을 높게 할 수 있고, 시트(110)에 착석한 승객으로부터 백 사이드부(12B)에 좌우방향의 하중이 걸려도 백 사이드부(12B)가 승객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백 링크기구(14)의 작동면[백 서브 프레임(24)의 회동면]이, 시트백(12)의 좌우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시트백(12)의 좌우방향에의 하중에 대한 백 사이드부(12B)의 백 링크기구(14)에 의한 지지 강성을 높게 할 수 있어, 시트(10)에 착석한 승객으로부터 백 사이드부(12B)에 좌우방향의 하중이 걸려도 백 사이드부(12B)가 승객을 한층 더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또, 리클라이닝기구(18)가 조작되어 시트백(12)이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하여 앞쪽으로 틸팅됨으로써, 시트백(12)이 시트 쿠션(30)의 위쪽에 겹쳐져, 시트(110)가 격납(이른바 앞으로 쓰러뜨려)된다.
시트(110)가 격납될 때에는, 시트백(12)[백 메인프레임(16)]이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하여 앞쪽으로 틸팅되고, 백 연결 링크(26)가 하단을 중심으로 하여 앞쪽으로 회동됨으로써, 백 서브 프레임(24), 제 1 링크(22) 또는 백 프레 임(112)의 시트백(12) 하단측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제 1 링크(22)가 회동되고, 백 메인프레임(16)과 백 서브 프레임(24) 및 백 프레임(112)과의 시트백(12)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된다. 이에 의하여 백 사이드부(12B) 및 백 메인부(12A)의 통상 사용시의 두께를 두껍게 한 경우에도, 시트(110)의 격납에 따라 백 사이드부(12B)의 두께를 백 메인프레임(16)보다 바깥쪽 부분에서 수축시킴과 동시에, 백 사이드부(12B) 및 백 메인부(12A)의 두께를 백 메인프레임(16)보다 안쪽 부분에서 수축시켜, 백 사이드부(12B)와 백 메인부(12A)와의 두께를 동등하게 할 수 있어, 시트(110)의 격납시에 있어서의 차실(짐칸)의 공간[시트(110) 위쪽의 공간]을 크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도,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백 프레임(112)을 시트백(12) 내에 설치하여 제 1 링크(22)의 후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구성으로 하였으나, 도 2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백 프레임(112)을 단면 コ자형 판형상(백보드)으로 하여 시트백(12)의 뒤쪽의 외부에 설치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 백 등받이(20)와 백 프레임(112)과의 사이에 압축 코일 스프링(114)이 놓여짐으로써, 압축 코일 스프링(114)의 가세력에 의하여 제 1 링크(22)의 후단에 백 프레임(112)이 맞닿아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때문에, 도 2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110)가 격납될 때에는, 제 1 링크(22)가 회동되어, 백 메인프레임(16)과 백 프레임(112)과의 시트백(12) 두께방향 거리가 압축 코일 스프링(114)의 가세력에 의하여 수축된다. 또, 이 경우에는 백 프레임(112)의 외주면 전체를 백 표피(28)와 동일한 백 피복부재로서의 추가 백 표피(도시생략)로 피복하여도 되고, 이에 의하여 시트백(12)의 외관을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백 연결 링크(26)의 하단을, 백 메인프레임(16) 하단의 틸팅 중심축(16A)의 앞쪽에서, 차체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구성으로 하였으나,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백 연결 링크(26)의 하단을, 백 메인프레임(16) 하단의 틸팅 중심축(16A)의 앞쪽[틸팅 중심축(16A)에서 오프셋된 위치]에서, 차체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 시트(110)가 격납될 때에는, 시트백(12)[백 메인프레임(16)]이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하여 앞쪽으로 틸팅되고, 백 연결 링크(26)가 하단을 중심으로 하여 앞쪽으로 회동됨으로써, 백 프레임(112), 백 서브 프레임(24) 또는 제 1 링크(22)의 시트백(12) 상단측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제 1 링크(22)가 회동되고, 백 메인프레임(16)과 백 서브 프레임(24) 및 백 프레임(112)과의 시트백(12)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트(110)가 격납될 때에 시트백(12)[백 메인프레임(16)]의 틸팅 중심축(16A) 및 백 연결 링크(26)의 하단(회동 중심축)이 이동되지 않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도 7(A) 및 (B)와 마찬가지로, 시트(110)가 격납될 때에 시트백(12)[백 메인프레임(16)]의 틸팅 중심축(16A) 및 백 연결 링크(26)의 하단(회동 중심축)이 이동(예를 들면 뒤쪽으로 이동)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시트(110)가 틸트 다운 격납 타입으로 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도 9(A) 및 (B) 참조].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트백(12)이 시트 쿠션(30)의 위쪽에 겹쳐져 시트(110)가 격납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시트(110)가 이른바 더블 폴드 격납되는 구성(도 10 참조)이나, 시트(110)가 이른바 더블플랫 격납되는 구성(도 11 참조)으로 하여도 된다.
(제 10 실시형태)
도 28에는, 본 발명의 시트구조가 적용되어 구성된 제 10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120)의 주요부가 왼쪽에서 본 측면도로 나타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120)는, 상기 제 9 실시형태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나, 이하의 점에서 다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120)에서는, 백 메인프레임(16)의 하나의 제 1 링크(22)의 중간부(회동중심)에, 조작기구로서의 원기둥형상의 조작레버(42)가 결합되어 있고, 조작레버(42)는 다이얼식의 레귤레이터 등으로 되어 있다. 조작레버(42)에는 록기구로서의 회전 록기구(도시생략)가 설치되어 있고, 회전 록기구에 의하여 조작레버(42)의 회전이 저지됨으로써, 제 1 링크(22), 백 서브 프레임(24) 및 백 프레임(112)의 회동이 록되고, 백 링크기구(14)의 작동이 록되어 있다. 조작레버(42)는 시트백(12)의 옆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조작레버(42)가 회전조작됨으로써, 제 1 링크(22)가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 9 실시형태에서의 백 연결 링크(26)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이상의 구성의 시트(120)에서는, 백 메인프레임(16)의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한 틸팅이 리클라이닝기구(18)에 의하여 록된 상태에서 회전 록기구에 의하여 조작레버(42)의 회전이 저지됨으로써, 제 1 링크(22), 백 서브 프레임(24) 및 백 프레임(112)의 회동이 록되고, 백 링크기구(14)의 동작이 규제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백 링크기구(14)[백 서브 프레임(24)]에 의한 백 사이드부(12B)의 뒤쪽으로부터의 지지 강성을 높게 할 수 있어, 시트(120)에 착석한 승객으로부터 백 사이드부(12B)에 좌우방향의 하중이 걸려도 백 사이드부(12B)가 승객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백 링크기구(14)의 작동면[백 서브 프레임(24)의 회동면]이, 시트백(12)의 좌우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시트백(12)의 좌우방향에의 하중에 대한 백 사이드부(12B)의 백 링크기구(14)에 의한 지지 강성을 높게 할 수 있어, 시트(10)에 착석한 승객으로부터 백 사이드부(12B)에 좌우방향의 하중이 걸려도 백 사이드부(12B)가 승객을 한층 더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또, 조작레버(42)의 회전 록기구에 의한 회전저지가 해제된 상태에서 조작레버(42)가 회전조작됨으로써, 제 1 링크(22)가 회동되어, 백 메인프레임(16)과 백 서브 프레임(24) 및 백 프레임(112)과의 시트백(12) 두께방향 거리가 신축된다. 이에 의하여 시트(120)의 격납과 독립하여 백 사이드부(12B)의 두께를 백 메인프레임(16)보다 바깥쪽 부분에서 수축시킴과 동시에, 백 사이드부(12B) 및 백 메인부(12A)의 두께를 백 메인프레임(16)보다 안쪽 부분에서 수축시켜 백 사이드부(12B) 및 백 메인부(12A)의 두께를 조정할 수 있다.
(제 11 실시형태)
도 29에는 본 발명의 시트구조가 적용되어 구성된 제 11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130)의 주요부가 왼쪽에서 본 측면도로 나타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130)는, 상기 제 9 실시형태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나, 이하의 점에서 다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130)는, 이른바 백을 뒤로 쓰러뜨려 격납하는 타입으로 되어 있다.
백 연결 링크(26)의 하단은, 백 메인프레임(16) 하단의 틸팅 중심축(16A)의 위쪽[틸팅 중심축(16A)에서 오프셋된 위치]에서, 차체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도 상기 제 9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특히, 리클라이닝기구(18)가 조작되어, 시트백(12)이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하여 뒤쪽으로 틸팅됨으로써, 시트백(12)이 시트 쿠션(30)의 뒤쪽에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고, 시트(130)가 격납(이른바 뒤로 쓰러뜨려 격납)된다.
시트(130)가 격납될 때에는, 시트백(12)[백 메인프레임(16)]이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하여 뒤쪽으로 틸팅되고, 백 연결 링크(26)가 하단을 중심으로 하여 뒤쪽으로 회동됨으로써, 백 서브 프레임(24), 제 1 링크(22) 또는 백 프레임(112)의 시트백(12) 하단측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제 1 링크(22)가 회동되어, 백 메인프레임(16)과 백 서브 프레임(24) 및 백 프레임(112)과의 시트백(12)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된다. 이에 의하여 백 사이드부(12B) 및 백 메인부(12A)의 통상사용시의 두께를 두껍게 한 경우에도, 시트(130)의 격납에 따라 백 사이드부(12B)의 두께를 백 메인프레임(16)보다 바깥쪽 부분에서 수축시킴과 동시에, 백 사이드부(12B) 및 백 메인부(12A)의 두께를 백 메인프레임(16)보다 안쪽 부분에서 수축시켜, 백 사이드부(12B)와 백 메인부(12A)와의 두께를 동등하게 할 수 있어, 시트(130)의 격납시에 있어서의 차실(짐칸)의 공간[시트백(12) 위쪽의 공간]을 크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3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시트(130)가 이른바 스페이스 업 수납 타입으로 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도 15 참조).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백 연결 링크(26)의 하단을, 백 메인프레임(16) 하단의 틸팅 중심축(16A)의 위쪽에서 차체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구성으로 하였으나,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백 연결 링크(26)의 하단을, 백 메인프레임(16) 하단의 틸팅 중심축(16A)의 아래쪽[틸팅 중심축(16A)에서 오프셋된 위치]에서 차체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 시트(130)가 격납될 때에는 시트백(12)[백 메인프레임(16)]이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하여 뒤쪽으로 틸팅되고, 백 연결 링크(26)가 하단을 중심으로 하여 뒤쪽으로 회동됨으로써, 백 서브 프레임(24), 제 1 링크(22) 또는 백 프레임(112)의 시트백(12) 상단측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제 1 링크(22)가 회동되어, 백 메인프레임(16)과 백 서브 프레임(24) 및 백 프레임(112)과의 시트백(12)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된다.
(제 12 실시형태)
도 31에는, 본 발명의 시트구조가 적용되어 구성된 제 12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140)가 왼쪽에서 본 측면도로 나타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140)는, 상기 제 9 실시형태(도 25 참조)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나, 이하의 점에서 다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140)는, 이른바 칩업 격납 타입의 것으로 되어 있다.
시트 쿠션(30)의 후단 근방은, 좌우 양쪽 끝부에서, 차체측에 지지축(62)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에 따라 시트 쿠션(30)이 차체측에 지지축(62)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시트 쿠션(30)의 후단은 시트백(12)의 하단에 맞닿아 있고, 이에 의하여 시트 쿠션(30)이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백 연결 링크(26)는, L자 형상으로 되어 있고, 백 연결 링크(26)의 상측단은, 백 서브 프레임(24) 하단, 백 메인프레임(16) 하부의 제 1 링크(22)[백 메인프레임(16)에 대한 연결위치 이외이면 된다] 또는 백 프레임(112) 하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백 연결 링크(26)의 하측단은, 시트 쿠션(30)의 후단[지지축(62)으로부터 뒤쪽으로 오프셋된 위치]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제 1 링크(22), 백 서브 프레임(24), 백 프레임(112) 및 백 연결 링크(26)의 회동이 록되고, 백 링크기구(14)의 동작이 규제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이상의 구성의 시트(140)에서는, 백 메인프레임(16)의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한 틸팅이 리클라이닝기구(18)에 의하여 록됨과 동시에, 시트 쿠션(30)의 후단이 시트백(12)의 하단에 맞닿은 상태에서 백 연결 링크(26)의 하측단이 시트 쿠션(30)의 후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제 1 링크(22), 백 서브 프레임(24), 백 프레임(112) 및 백 연결 링크(26)의 회동이 록되고, 백 링크기구(14)의 동작이 규제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백 링크기구(14)[백 서브 프레임(24)]에 의한 백 사이드부(12B)의 뒤쪽으로부터의 지지 강성을 높게 할 수 있어, 시트(140)에 착석한 승객으로부터 백 사이드부(12B)에 좌우방향의 하중이 걸려도 백 사이드부(12B)가 승객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백 링크기구(14)의 작동면[백 서브 프레임(24)의 회동면]이, 시트백(12)의 좌우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시트백(12)의 좌우방향에의 하중에 대한 백 사이드부(12B)의 백 링크기구(14)에 의한 지지 강성을 높게 할 수 있어, 시트(10)에 착석한 승객으로부터 백 사이드부(12B)에 좌우방향의 하중이 걸려도 백 사이드부(12B)가 승객을 한층 더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또, 시트 쿠션(30)이 지지축(62)을 중심으로 하여 뒤쪽으로 회동됨으로써(이른바 칩업된다), 시트 쿠션(30)이 시트백(12)의 앞쪽에 겹쳐져, 시트(140)가 격납된다.
시트(140)가 격납될 때에는, 시트 쿠션(30)이 지지축(62)을 중심으로 하여 뒤쪽으로 회동되어, 백 연결 링크(26)가 아래쪽으로 이동됨으로써, 백 서브 프레임(24), 제 1 링크(22) 또는 백 프레임(112)의 아래쪽에의 이동에 의하여, 제 1 링크(22)가 회동되어, 백 메인프레임(16)과 백 서브 프레임(24) 및 백 프레임(112)과의 시트백(12)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된다. 이에 의하여, 백 사이드부(12B)의 통상 사용시의 두께를 두껍게 한 경우에도, 시트(140)의 격납에 따라, 백 사이드부(12B)의 두께를 백 메인프레임(16)보다 바깥쪽 부분에서 수축시킴과 동시에, 백 사이드부(12B) 및 백 메인부(12A)의 두께를 백 메인프레임(16)보다 안쪽 부분에서 수축시켜, 백 사이드부(12B)와 백 메인부(12A)와의 두께를 동등하게 할 수 있고, 시트(140)의 격납시에 있어서의 차실(짐칸)의 공간[시트(140)의 앞쪽 및 뒤쪽 공간]을 크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4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시트(140)가 이른바 텀블 수납 타입으로 된 구성[도 5(A)참조], 시트(140)가 이른바 스페이스 업 수납 타입으로 된 구성[도 5(B) 참조] 또는 시트(140)가 이른바 뒤쪽 바닥 밑 수납 타입으로 된 구성[도 5(C) 참조]으로 할 수 있다.
(제 13 실시형태)
도 32(A)에는 본 발명의 시트구조가 적용되어 구성된 제 13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150)의 주요부가 왼쪽에서 본 측면도로 나타나 있고, 도 33(A)에는 시트(150)의 주요부가 위쪽에서 본 단면도로 나타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150)는, 상기 제 5 실시형태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나, 이하의 점에서 다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150)에서는, 제 1 링크(22)가 뒤쪽으로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고, 제 1 링크(22)는 중간부에서 백 메인프레임(16)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시트백(12) 내에는 백 메인프레임(16)의 뒤쪽에서, 백 신축수단의 백 안쪽 프레임으로서의 판형상의 백 프레임(112)이 설치되어 있고, 백 프레임(112)은 제 1 링크(22)의 후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 백 프레임(112)은 백 표피(28)에 피복되어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시트백(12)의 외관이 좋아진다.
백 연결 링크(26)의 상단은, 백 등받이(20) 하단, 백 메인프레임(16) 하부의 제 1 링크(22)[백 메인프레임(16)에 대한 연결위치 이외이면 된다] 또는 백 프레임(112) 하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이에 의하여 제 1 링크(22), 백 등받이(20), 백 프레임(112), 백 연결 링크(26), 제 2 링크(72), 백 서브 프레임(24) 및 제 3 링크(74)의 회동이 록되고, 백 링크기구(14)의 동작이 규제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이상의 구성의 시트(150)에서는, 백 메인프레임(16)의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한 틸팅이 리클라이닝기구(18)에 의하여 록된 상태에서 백 연결 링크(26)의 하단이 차체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제 1 링크(22), 백 등받이(20), 백 프레임(112), 백 연결 링크(26), 제 2 링크(72), 백 서브 프레임(24) 및 제 3 링크(74)의 회동이 록되고, 백 링크기구(14)의 작동이 록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백 링크기구(14)[백 서브 프레임(24)]에 의한 백 사이드부(12B)의 뒤쪽으로부터의 지지 강성을 높게 할 수 있어, 시트(150)에 착석한 승객으로부터 백 사이드부(12B)에 좌우방향의 하중이 걸려도 백 사이드부(12B)가 승객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백 링크기구(14)의 작동면[백 서브 프레임(24)의 회동면]이, 시트백(12)의 좌우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시트백(12)의 좌우방향에의 하중에 대한 백 사이드부(12B)의 백 링크기구(14)에 의한 지지 강성을 높 게 할 수 있어, 시트(10)에 착석한 승객으로부터 백 사이드부(12B)에 좌우방향의 하중이 걸려도 백 사이드부(12B)가 승객을 한층 더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또, 리클라이닝기구(18)가 조작되어, 시트백(12)이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하여 앞쪽으로 틸팅됨으로써, 시트백(12)이 시트 쿠션(30)의 위쪽에 겹쳐져, 시트(150)가 격납(이른바 앞으로 쓰러뜨려 격납)된다[도 32(B) 참조].
시트(150)가 격납될 때에는, 시트백(12)[백 메인프레임(16)]이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하여 앞쪽으로 틸팅되고, 백 연결 링크(26)가 하단을 중심으로 하여 앞쪽으로 회동됨으로써, 백 등받이(20), 제 1 링크(22) 또는 백 프레임(112)의 시트백(12) 하단측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제 1 링크(22) 및 제 2 링크(72)가 회동되고, 백 메인프레임(16)과 백 등받이(20) 및 백 프레임(112)과의 시트백(12)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됨과 동시에, 백 등받이(20)와 백 서브 프레임(24)과의 시트백(12)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된다[도 33(B) 참조]. 이에 의하여 백 사이드부(12B) 및 백 메인부(12A)의 통상 사용시의 두께를 두껍게 한 경우에도, 시트(150)의 격납에 따라 백 사이드부(12B) 및 백 메인부(12A)의 두께를 백 메인프레임(16)보다 바깥쪽 부분 및 안쪽 부분에서 수축시켜 동등하게 할 수 있고, 시트(150)의 격납시에 있어서의 차실(짐칸)의 공간[시트(150) 위쪽의 공간]을 크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도 상기 제 5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백 연결 링크(26)의 하단을, 백 메인프레임(16) 하단의 틸팅 중심축(16A)의 뒤쪽에서 차체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구성으로 하 였으나. 도 3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백 연결 링크(26)의 하단을, 백 메인프레임(16) 하단의 틸팅 중심축(16A)의 앞쪽[틸팅 중심축(16A)에서 오프셋된 위치]에서 차체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 시트(150)가 격납될 때에는, 시트백(12)[백 메인프레임(16)]이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하여 앞쪽으로 틸팅되고, 백 연결 링크(26)가 하단을 중심으로 하여 앞쪽으로 회동됨으로써, 백 등받이(20), 제 1 링크(22) 또는 백 프레임(112)의 시트백(12) 상단측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제 1 링크(22) 및 제 2 링크(72)가 회동되고, 백 메인프레임(16)과 백 등받이(20) 및 백 프레임(112)과의 시트백(12)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됨과 동시에, 백 등받이(20)와 백 서브 프레임(24)과의 시트백(12)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된다[도 34(B) 참조].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트(150)가 격납될 때에 시트백(12)[백 메인프레임(16)]의 틸팅 중심축(16A) 및 백 연결 링크(26)의 하단(회동 중심축)이 이동되지 않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도 7(A) 및 (B)와 마찬가지로, 시트(150)가 격납될 때에 시트백(12)[백 메인프레임(16)]의 틸팅 중심축(16A) 및 백 연결 링크(26)의 하단(회동 중심축)이 이동(예를 들면 뒤쪽으로 이동)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시트(150)가 틸트 더블 격납 타입으로 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도 9(A) 및 (B) 참조].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트백(12)이 시트 쿠션(30)의 위쪽에 겹쳐져 시트(150)가 격납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시트(150)가 이른바 다운폴드 격납되는 구성(도 10 참조)이나, 시트(150)가 이른바 다운플랫 격납되는 구성(도 11 참조)으로 하여도 된다.
(제 14 실시형태)
도 35에는 본 발명의 시트구조가 적용되어 구성된 제 14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160)의 주요부가 왼쪽에서 본 측면도로 나타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160)는, 상기 제 13 실시형태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나, 이하의 점에서 다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160)에서는 백 메인프레임(16)의 하나의 제 1 링크(22)의 중간부(회동중심)에, 조작기구로서의 원기둥형상의 조작레버(42)가 결합되어 있고, 조작레버(42)는, 다이얼식의 레귤레이터 등으로 되어 있다. 조작레버(42)에는 록기구로서의 회전 록기구(도시생략)가 설치되어 있고, 회전 록기구에 의하여 조작레버(42)의 회전이 저지됨으로써, 제 1 링크(22), 백 등받이(20), 백 프레임(112), 제 2 링크(72), 백 서브 프레임(24) 및 제 3 링크(74)의 회동이 록되고, 백 링크기구(14)의 동작이 규제되어 있다. 조작레버(42)는 시트백(12)의 옆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조작레버(42)가 회전조작됨으로써, 제 1 링크(22)가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 13 실시형태에서의 백 연결 링크(26)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이상의 구성의 시트(160)에서는, 백 메인프레임(16)의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한 틸팅이 리클라이닝기구(18)에 의하여 록된 상태에서 회전 록기구에 의 하여 조작레버(42)의 회전이 저지됨으로써, 제 1 링크(22), 백 등받이(20), 백 프레임(112), 제 2 링크(72), 백 서브 프레임(24) 및 제 3 링크(74)의 회동이 록되고, 백 링크기구(14)의 동작이 규제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백 링크기구(14)[백 서브 프레임(24)]에 의한 백 사이드부(12B)의 뒤쪽으로부터의 지지 강성을 높게 할 수 있어, 시트(160)에 착석한 승객으로부터 백 사이드부(12B)에 좌우방향의 하중이 걸려도 백 사이드부(12B)가 승객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백 링크기구(14)의 작동면[백 서브 프레임(24)의 회동면]이, 시트백(12)의 좌우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시트백(12)의 좌우방향으로의 하중에 대한 백 사이드부(12B)의 백 링크기구(14)에 의한 지지 강성을 높게 할 수 있어, 시트(10)에 착석한 승객으로부터 백 사이드부(12B)에 좌우방향의 하중이 걸려도 백 사이드부(12B)가 승객을 한층 더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또, 조작레버(42)의 회전 록기구에 의한 회전저지가 해제된 상태에서 조작레버(42)가 회전 조작됨으로써, 제 1 링크(22)가 회동되고, 백 메인프레임(16)과 백 등받이(20) 및 백 프레임(112)과의 시트백(12) 두께방향 거리가 신축됨과 동시에, 제 2 링크(72)가 회동되어, 백 등받이(20)와 백 서브 프레임(24)과의 시트백(12)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된다. 이에 의하여 시트(160)의 격납과 독립하여 백 사이드부(12B) 및 백 메인부(12A)의 두께를, 백 메인프레임(16)보다 바깥쪽 부분 및 안쪽 부분에서 신축시켜 조정할 수 있다.
(제 15 실시형태)
도 36에는, 본 발명의 시트구조가 적용되어 구성된 제 15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170)의 주요부가 왼쪽에서 본 측면도로 나타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170)는, 상기 제 13 실시형태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나, 이하의 점에서 다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170)는, 이른바 백을 뒤로 쓰러뜨려 격납하는 타입으로 되어 있다.
백 연결 링크(26)의 하단은, 백 메인프레임(16) 하단의 틸팅 중심축(16A)의 위쪽[틸팅 중심축(16A)에서 오프셋된 위치]에서 차체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도, 상기 제 13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특히, 리클라이닝기구(18)가 조작되어, 시트백(12)이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하여 뒤쪽으로 틸팅됨으로써, 시트백(12)이 시트 쿠션(30)의 뒤쪽에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고, 시트(170)가 격납(이른바 뒤로 쓰러뜨려 격납)된다.
시트(170)가 격납될 때에는, 시트백(12)[백 메인프레임(16)]이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하여 뒤쪽으로 틸팅되고, 백 연결 링크(26)가 하단을 중심으로 하여 뒤쪽으로 회동됨으로써, 백 등받이(20), 제 1 링크(22) 또는 백 프레임(112)의 시트백(12) 하단측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제 1 링크(22) 및 제 2 링크(72)가 회동되고, 백 메인프레임(16)과 백 등받이(20) 및 백 프레임(112)과의 시트백(12)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됨과 동시에, 백 등받이(20)와 백 서브 프레임(24)과의 시트백(12)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된다. 이에 의하여 백 사이드부(12B) 및 백 메인 부(12A)의 통상 사용시의 두께를 두껍게 한 경우에도, 시트(170)의 격납에 따라 백 사이드부(12B) 및 백 메인부(12A)의 두께를 백 메인프레임(16)보다 바깥쪽 부분 및 안쪽 부분에서 수축시켜 동등하게 할 수 있어, 시트(170)의 격납시에 있어서의 차실(짐칸)의 공간[시트백(12)위쪽의 공간]을 크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3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시트(170)가 이른바 스페이스 업 수납 타입으로 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도 15 참조).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백 연결 링크(26)의 하단을, 백 메인프레임(16) 하단의 틸팅 중심축(16A)의 위쪽에서, 차체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구성으로 하였으나, 도 3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백 연결 링크(26)의 하단을, 백 메인프레임(16) 하단의 틸팅 중심축(16A)의 아래쪽[틸팅 중심축(16A)에서 오프셋된 위치]에서 차체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 시트(170)가 격납될 때에는, 시트백(12)[백 메인프레임(16)]이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하여 뒤쪽으로 틸팅되고, 백 연결 링크(26)가 하단을 중심으로 하여 뒤쪽으로 회동됨으로써, 백 등받이(20), 제 1 링크(22) 또한 백 프레임(112)의 시트백(12) 상단측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제 1 링크(22) 및 제 2 링크(72)가 회동되어, 백 메인프레임(16)과 백 등받이(20) 및 백 프레임(112)과의 시트백(12)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됨과 동시에, 백 등받이(20)와 백 서브 프레임(24)과의 시트백(12)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된다.
(제 16 실시형태)
도 38에는, 본 발명의 시트구조가 적용되어 구성된 제 16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180)가 왼쪽에서 본 측면도로 나타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180)는, 상기 제 13 실시형태[도 32(A) 참조]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나, 이하의 점에서 다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180)는, 이른바 칩업 격납 타입으로 되어 있다.
시트 쿠션(30)의 후단 근방은, 좌우 양쪽 끝부에서 차체측에 지지축(62)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에 의하여 시트 쿠션(30)이 차체측에 지지축(62)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시트 쿠션(30)의 후단은 시트백(12)의 하단에 맞닿아 있고, 이에 의하여 시트 쿠션(30)이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백 연결 링크(26)는, L자 형상으로 되어 있고, 백 연결 링크(26)의 상측단은, 백 등받이(20) 하단, 백 메인프레임(16) 하부의 제 1 링크(22)[백 메인프레임(16)에 대한 연결위치 이외이면 된다] 또는 백 프레임(112) 하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백 연결 링크(26)의 하측단은, 시트 쿠션(30)의 후단[지지축(62)으로부터 뒤쪽으로 오프셋된 위치]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제 1 링크(22), 백 등받이(20), 백 프레임(112), 백 연결 링크(26), 제 2 링크(72), 백 서브 프레임(24) 및 제 3 링크(74)의 회동이 록되고, 백 링크기구(14)의 동작이 규제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이상의 구성 시트(180)에서는, 백 메인프레임(16)의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한 틸팅이 리클라이닝기구(18)에 의하여 록됨과 동시에, 시트 쿠션(30)의 후단이 시트백(12)의 하단에 맞닿은 상태에서 백 연결 링크(26)의 하측단이, 시트 쿠션(30)의 후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제 1 링크(22), 백 등받이(20), 백 프레임(112), 백 연결 링크(26), 제 2 링크(72), 백 서브 프레임(24) 및 제 3 링크(74)의 회동이 록되고, 백 링크기구(14)의 동작이 규제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백 링크기구(14)[백 서브 프레임(24)]에 의한 백 사이드부(12B)의 뒤쪽으로부터의 지지 강성을 높게 할 수 있어, 시트(180)에 착석한 승객으로부터 백 사이드부(12B)에 좌우방향의 하중이 걸려도 백 사이드부(12B)가 승객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백 링크기구(14)의 작동면[백 서브 프레임(24)의 회동면]이, 시트백(12)의 좌우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시트백(12)의 좌우방향에의 하중에 대한 백 사이드부(12B)의 백 링크기구(14)에 의한 지지 강성을 높게 할 수 있어, 시트(10)에 착석한 승객으로부터 백 사이드부(12B)에 좌우방향의 하중이 걸려도 백 사이드부(12B)가 승객을 한층 더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또, 시트 쿠션(30)이 지지축(62)을 중심으로 하여 뒤쪽으로 회동됨으로써(이른바 칩업된다), 시트 쿠션(30)이 시트백(12)의 앞쪽에 겹쳐져, 시트(180)가 격납된다.
시트(180)가 격납될 때에는, 시트 쿠션(30)이 지지축(62)을 중심으로 하여 뒤쪽으로 회동되고, 백 연결 링크(26)가 아래쪽으로 이동됨으로써, 백 등받이(20), 제 1 링크(22) 또는 백 프레임(112)의 아래쪽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제 1 링크(22) 및 제 2 링크(72)가 회동되고, 백 메인프레임(16)과 백 등받이(20) 및 백 프레임(112)과의 시트백(12)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됨과 동시에, 백 등받이(20)와 백 서브 프레임(24)과의 시트백(12)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된다. 이에 의하여 백 사이드 부(12B) 및 백 메인부(12A)의 통상 사용시의 두께를 두껍게 한 경우에도, 시트(180)의 격납에 따라 백 사이드부(12B) 및 백 메인부(12A)의 두께를 백 메인프레임(16)보다 바깥쪽 부분 및 안쪽 부분에서 수축시켜 동등하게 할 수 있고, 시트(180)의 격납시에 있어서의 차실(짐칸)의 공간[시트(180)의 앞쪽 및 뒤쪽 공간]을 크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4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시트(180)가 이른바 텀블 수납 타입으로 된 구성[도 5(A) 참조], 시트(180)가 이른바 스페이스 업 수납 타입으로 된 구성[도 5(B) 참조] 또는 시트(180)가 이른바 뒤쪽 바닥 밑 수납 타입으로 된 구성[도 5(C)참조]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0 실시형태 내지 제 16 실시형태에서는, 백 프레임(112)을 시트백(12) 내에 설치하여 제 1 링크(22)의 후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구성으로 하였으나, 도 26(A) 및 (B)와 마찬가지로, 백 프레임(112)을 단면 コ자형 판형상(백보드)으로 하여 시트백(12)의 뒤쪽의 외부에 설치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 백 프레임(112)의 외주면 전체를 백 표피(28)와 동일한 백 피복부재로서의 추가부재로서의 백 표피(도시생략)로 피복하여도 되고, 이에 의하여 시트백(12)의 외관을 좋게 할 수 있다.
(제 17 실시형태)
도 39(A)에는, 본 발명의 시트구조가 적용되어 구성된 제 17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200)의 주요부가 왼쪽에서 본 측면도로 나타나 있고, 도 40(A)에는 시트(200)의 주요부가 앞쪽에서 본 단면도로 나타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200)는, 차량용 것이고, 차량의 차실 바닥면(202)상에 설치되어 있다. 또, 시트(200)는 이른바 틸트 다운 격납 타입으로 되어 있다.
시트(200)에는, 시트백(12)이 설치되어 있다. 시트백(12)의 좌우 양쪽 끝부 내에는, 판형상의 백 메인프레임(16)(도 1참조)가 설치되어 있고, 백 메인프레임(16)의 하단이 차체측에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하여 틸팅 가능하게 지지됨으로써, 시트백(12)이 차체측에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하여 틸팅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백 메인프레임(16)의 하단에는 리클라이닝기구(18)가 설치되어 있고, 리클라이닝기구(18)가 백 메인프레임(16)의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한 틸팅을 록함으로써 시트백(12)이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한 틸팅을 저지받아, 대략 수직하게 기립되어 있다. 또, 리클라이닝기구(18)가 조작됨으로써, 리클라이닝기구(18)가 백 메인프레임(16)의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한 틸팅을 허용하여, 시트백(12)의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한 틸팅이 허용된다.
시트백(12)의 앞쪽에는, 시트 쿠션(30)이 설치되어 있고, 시트 쿠션(30)은 후단이 시트백(12)의 아래쪽 근방에 배치된 상태에서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시트 쿠션(30)의 좌우방향(폭방향) 중앙부는, 시트 메인부로서의 쿠션 메인부(30A)가 됨과 동시에, 시트 쿠션(30)의 좌우방향 양쪽부는, 시트 사이드부로서의 쿠션 사이드부(30B)로 되어 있고, 쿠션 메인부(30A)에 비하여 쿠션 사이드부(30B)는 위쪽[시트 쿠션(30)의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도 3(A) 참조].
시트 쿠션(30) 내에는, 링크기구로서의 쿠션 링크기구(204)가 설치되어 있 다.
쿠션 링크기구(204)에는, 직사각형 프레임형상의 쿠션 메인프레임(206)이 설치되어 있고, 쿠션 메인프레임(206)의 좌우 양쪽부는, 쿠션 사이드부(30B) 내에 배치되어 있다. 쿠션 메인프레임(206)의 좌우 양쪽부분 사이에는, 쿠션 지지부(208)가 지지되어 있고, 쿠션 지지부(208)는, 쿠션 메인부(30A)의 위쪽부분을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고 있다. 쿠션 메인프레임(206)의 뒷부분에는, 좌우 양쪽부분에서, 아암(210)의 하단이 회동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아암(210)의 상단은, 백 메인프레임(16)의 하부에 틸팅 중심축(16A)의 위쪽[틸팅 중심축(16A)에서 오프셋된 위치]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쿠션 메인프레임(206) 뒷부분의 좌우 양쪽부분에는, 쿠션 신축수단의 쿠션 바깥쪽 프레임으로서의 판형상의 쿠션 서브 프레임(212)의 후단이, 쿠션 신축수단의 쿠션 연결수단으로서의 쿠션 연결축(214)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쿠션 서브 프레임(212)은, 쿠션 메인프레임(206)의 위쪽에 배치되어, 쿠션 사이드부(30B)의 위쪽부분을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고 있다.
쿠션 메인프레임(206) 앞 부분의 좌우 양쪽부분에는, 쿠션 연락기구로서의 쿠션 앞쪽 링크(216)가, 중간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쿠션 앞쪽 링크(216)는, 하단에서 차체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과 동시에, 상단에서 쿠션 서브 프레임(212)을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고 있다. 이에 의하여 시트 쿠션(30)이 차체측에 지지됨과 동시에, 쿠션 메인프레임(206), 아암(210), 쿠션 앞쪽 링크(216 )및 쿠션 서브 프레임(212)의 회동이 록되고, 쿠션 링크기구(204)의 동작이 규제되어 있다.
시트 쿠션(30)의 외주면 전체는, 쿠션 피복부재로서의 쿠션 표피(218)에 피복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이상의 구성의 시트(200)에서는, 백 메인프레임(16)의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한 틸팅이 리클라이닝기구(18)에 의하여 록된 상태에서 쿠션 앞쪽 링크(216)의 하단이 차체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쿠션 메인프레임(206), 아암(210), 쿠션 앞쪽 링크(216) 및 쿠션 서브 프레임(212)의 회동이 록되고, 쿠션 링크기구(204)의 동작이 규제되어 있다. 이 때문에, 쿠션 링크기구(204)[쿠션 서브 프레임(212)]에 의한 쿠션 사이드부(30B)의 아래쪽으로부터의 지지 강성을 높게 할 수 있어, 시트(200)에 착석한 승객으로부터 쿠션 사이드부(30B)에 좌우방향의 하중이 걸려도 쿠션 사이드부(30B)가 승객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쿠션 링크기구(204)의 작동면[쿠션 서브 프레임(212)의 회동면]이, 시트 쿠션(30)의 좌우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시트 쿠션(30)의 좌우방향에의 하중에 대한 쿠션 사이드부(30B)의 쿠션 링크기구(204)에 의한 지지 강성을 높게 할 수 있어, 시트(10)에 착석한 승객으로부터 쿠션 사이드부(30B)에 좌우방향의 하중이 걸려도 쿠션 사이드부(30B)가 승객을 한층 더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또, 리클라이닝기구(18)가 조작되어, 시트백(12)이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하여 앞쪽으로 틸팅됨으로써, 시트백(12)이 시트 쿠션(30)의 위쪽에 겹쳐져, 시트(200)가 격납(이른바 앞으로 쓰러뜨려 격납)된다[도 39(B) 참조].
시트(200)가 격납될 때에는, 백 메인프레임(16)[시트백(12)]이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하여 앞쪽으로 틸팅되고, 아암(210)을 거쳐 쿠션 메인프레임(206)[시트 쿠션(30)]이 앞쪽으로 이동됨으로써, 쿠션 앞쪽 링크(216)가 앞쪽으로 회동되어, 시트 쿠션(30)이 앞쪽 또한 아래쪽으로 이동된다.
또한, 시트(200)가 격납될 때에는, 쿠션 앞쪽 링크(216)가 앞쪽으로 회동됨으로써, 쿠션 앞쪽 링크(216)의 상단과 쿠션 메인프레임(206)에 대한 연결위치와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되고, 쿠션 서브 프레임(212)이 쿠션 메인프레임(206)에 대하여 쿠션 메인프레임(206)측으로 회동되어, 쿠션 서브 프레임(212)과 쿠션 메인프레임(206)과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된다[도 40(B) 참조]. 이 때문에 쿠션 사이드부(30B)의 통상 사용시의 두께를 두껍게 한 경우에도, 시트(200)의 격납에 따라 쿠션 사이드부(30B)의 두께를 쿠션 메인프레임(206)보다 바깥쪽 부분에서 수축시켜 쿠션 메인부(30A)의 두께와 동등하게 할 수 있어, 시트(200)의 격납시에 있어서의 차실(짐칸)의 공간[시트(200) 위쪽의 공간]을 크게 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도 5(A)와 마찬가지로, 시트(200)가 이른바 텀블 수납 타입이 되고, 시트(200)가 격납된 후에, 시트백(12) 및 시트 쿠션(30)의 차체측에의 지지가 해제되어, 시트(200)가 앞쪽으로 약 90°회동됨으로써, 시트(200)[시트백(12) 및 시트 쿠션(30)]가 대략 수직하게 기립된 상태에서 앞쪽에 수납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와 같이 시트(200)의 격납에 따라 쿠션 사이드부(30B)의 두께가 수축되어 있기 때문에, 시트(200)의 수납시에 있어서의 차실(짐칸)의 공간[시트(200)의 앞쪽 및 뒤쪽 공간]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도 5(B)와 마찬가지로, 시트(200)의 옆쪽에 휠 하우스(32)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시트(200)가 이른바 스페이스 업 수납 타입이 되고, 시트(200)가 격납된 후에, 시트백(12) 및 시트 쿠션(30)의 차체측에의 지지가 해제되어, 시트(200)가 옆쪽으로 약 90°회동됨으로써, 시트(200)[시트백(12) 및 시트 쿠션(30)]가 대략 수직하게 기립된 상태에서 휠 하우스(32)의 위쪽에 수납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와 같이 시트(200)의 격납에 따라 쿠션 사이드부(30B)의 두께가 수축되어 있기 때문에, 시트(200)의 수납시에 있어서의 차실(짐칸)의 공간[시트(200)옆쪽 공간]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도 5(C)와 마찬가지로, 시트(200)의 뒤쪽에 오목부(34)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시트(200)가 이른바 뒤쪽 바닥 밑 수납 타입이 되고, 시트(200)가 격납된 후에 시트백(12) 및 시트 쿠션(30)의 차체측에의 지지가 해제되어, 시트(200)가 뒤쪽으로 약 180°회동되는 또는 회동 링크 등에 의하여 이동됨으로써, 시트(200)[시트백(12) 및 시트 쿠션(30)]가, 시트백(12)의 위쪽에 시트 쿠션(30)이 배치된 상태에서 오목부(34) 내에 대략 수평으로 수납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와 같이 시트(200)의 격납에 따라 쿠션 사이드부(30B)의 두께가 수축되어 있기 때문에, 시트(200)의 수납시에 있어서의 차실(짐칸)의 공간[시트(200) 위쪽의 공간]을 크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오목부(34)의 깊이를 얕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쿠션 메인프레임(206) 뒷부분의 좌우 양쪽부분을 아암(210)을 거쳐 백 메인프레임(16)에 틸팅 중심축(16A)의 위쪽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구성으로 하였으나, 도 4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쿠션 메인프레임(206) 뒷부분의 좌우 양쪽부분을 백 메인프레임(16)에 틸팅 중심축(16A)의 앞쪽[틸팅 중심축(16A)에서 오프셋된 위치]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 도 4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200)가 격납될 때에는 백 메인프레임(16)[시트백(12)]이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하여 앞쪽으로 틸팅되고, 쿠션 메인프레임(206)[시트 쿠션(30)]이 뒤쪽으로 이동됨으로써, 쿠션 앞쪽 링크(216)가 뒤쪽으로 회동되고, 시트 쿠션(30)이 뒤쪽 또한 아래쪽으로 이동된다.
(제 18 실시형태)
도 42에는, 본 발명의 시트구조가 적용되어 구성된 제 18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220)의 주요부가 왼쪽에서 본 측면도로 나타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220)는, 상기 제 17 실시형태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나, 이하의 점에서 다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220)에서는, 쿠션 앞쪽 링크(216)가 상단에서 쿠션 메인프레임(206)의 앞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쿠션 앞쪽 링크(216)는, 쿠션 서브 프레임(212)을 지지하고 있지 않다.
쿠션 메인프레임(206) 앞 부분의 좌우 양쪽부분에는, 조정 링크(222)의 하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조정 링크(222)는 상단에서 쿠션 서브 프레임(212)을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고 있다.
조정 링크(222)의 하단(회동중심)에는, 조작기구로서의 원기둥형상의 조작레버(42)가 결합되어 있고, 조작레버(42)는 다이얼식의 레귤레이터 등으로 되어 있다. 조작레버(42)에는 록기구로서의 회전 록기구(도시생략)가 설치되어 있고, 회전 록기구에 의하여 조작레버(42)의 회전이 저지됨으로써, 조정 링크(222) 및 쿠션 서브 프레임(212)의 회동이 록되고, 쿠션 링크기구(204)의 동작이 규제되어 있다. 조작레버(42)는 시트 쿠션(30)의 옆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조작레버(42)가 회전 조작됨으로써, 조정 링크(222)가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이상의 구성의 시트(220)에서는, 백 메인프레임(16)의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한 틸팅이 리클라이닝기구(18)에 의하여 록된 상태에서 쿠션 앞쪽 링크(216)의 하단이 차체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또 회전 록기구에 의하여 조작레버(42)의 회전이 저지됨으로써, 쿠션 메인프레임(206), 아암(210), 쿠션 앞쪽 링크(216), 조정 링크(222) 및 쿠션 서브 프레임(212)의 회동이 록되고, 쿠션 링크기구(204)의 작동이 록되어 있다. 이 때문에, 쿠션 링크기구(204)[쿠션 서브 프레임(212)]에 의한 쿠션 사이드부(30B)의 아래쪽으로부터의 지지 강성을 높게 할 수 있어, 시트(220)에 착석한 승객으로부터 쿠션 사이드부(30B)에 좌우방향의 하중이 걸려도 쿠션 사이드부(30B)가 승객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쿠션 링크기구(204)의 작동면[쿠션 서브 프레임(212)의 회동면]이, 시트 쿠션(30)의 좌우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시트 쿠션(30)의 좌우방향에의 하중에 대한 쿠션 사이드부(30B)의 쿠션 링크기구(204)에 의한 지 지 강성을 높게 할 수 있어, 시트(10)에 착석한 승객으로부터 쿠션 사이드부(30B)에 좌우방향의 하중이 걸려도 쿠션 사이드부(30B)가 승객을 한층 더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또, 조작레버(42)의 회전 록기구에 의한 회전저지가 해제된 상태에서 조작레버(42)가 회전 조작됨으로써, 조정 링크(222)가 회동되어, 조정 링크(222)의 상단과 쿠션 메인프레임(206)에 대한 연결위치와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신축된다. 이 때문에 쿠션 서브 프레임(212)이 쿠션 메인프레임(206)에 대하여 회동되고, 쿠션 서브 프레임(212)과 쿠션 메인프레임(206)과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신축된다. 이에 의하여 시트(220)의 격납과 독립하여 쿠션 사이드부(30B)의 두께를, 쿠션 메인프레임(206)보다 바깥쪽 부분에서 신축시켜 조정할 수 있다.
(제 19 실시형태)
도 43(A)에는, 본 발명의 시트구조가 적용되어 구성된 제 19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230)의 주요부가 왼쪽에서 본 측면도로 나타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230)는, 상기 제 17 실시형태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나, 이하의 점에서 다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트(230) 앞쪽의 차실 바닥면(202)이, 시트(230) 바로 밑의 차실 바닥면(202)보다 낮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230)는, 이른바 백을 앞으로 쓰러뜨려 격납하는 타입의 것으로 되어 있다.
쿠션 앞쪽 링크(216)의 하단은, 차체측의 앞 브래킷(23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쿠션 앞쪽 링크(216)는, 상단에서 쿠션 메인프레임(206)의 앞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쿠션 앞쪽 링크(216)는, 쿠션 연락기구로서 기능하지 않고, 쿠션 서브 프레임(212)을 지지하고 있지 않다.
쿠션 메인프레임(206)의 뒷부분 아래쪽에는, 좌우 양쪽부분에서 록기구로서의 뒤쪽 록기구(234)가 결합되어 있고, 뒤쪽 록기구(234)가 차체측에 록됨으로써, 쿠션 메인프레임(206)이 뒤쪽 록기구(234) 및 쿠션 앞쪽 링크(216)에 지지되고, 시트 쿠션(30)이 차체측에 지지되어 있다.
백 메인프레임(16)의 하단은, 아암(210)에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하여 틸팅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에 의하여 백 메인프레임(16)이 아암(210), 쿠션 메인프레임(206), 뒤쪽 록기구(234) 및 쿠션 앞쪽 링크(216)를 거쳐 차체측에 지지되고, 시트백(12)이 차체측에 지지되어 있다.
쿠션 메인프레임(206)에는, 좌우 양쪽부분에서 쿠션 신축수단의 쿠션 연결수단으로서의 쿠션 연결 링크(236)가, 기설정된 수(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 하단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쿠션 연결 링크(236)의 상단은 쿠션 서브 프레임(21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쿠션 서브 프레임(212) 후단, 또는 쿠션 메인프레임(206) 뒷부분의 쿠션 연결 링크(236)의 상단(하단 이외이면 된다)에는, 쿠션 연락기구로서의 쿠션 연락 링크(238)의 전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쿠션 연락 링크(238)의 후단은, 백 메인프레임(16)에 틸팅 중심축(16A)의 위쪽[틸팅 중심축(16A)에서 오프셋된 위치]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쿠션 연결 링크(236), 쿠션 서브 프레임(212) 및 쿠션 연락 링크(238)의 회동이 록되고, 쿠션 링크기구(204)의 동작이 규제되어 있다.
또, 쿠션 메인프레임(206)과 쿠션 서브 프레임(212)은, 상기 제 17 실시형태에서의 쿠션 연결축(214)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지 않다.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이상의 구성의 시트(230)에서는, 쿠션 메인프레임(206)이 뒤쪽 록기구(234) 및 쿠션 앞쪽 링크(216)에 지지되어 록된 상태에서 백 메인프레임(16)의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한 틸팅이 리클라이닝기구(18)에 의하여 록됨으로써, 쿠션 메인프레임(206), 아암(210), 쿠션 연결 링크(236), 쿠션 서브 프레임(212) 및 쿠션 연락 링크(238)의 회동이 록되고, 쿠션 링크기구(204)의 동작이 규제되어 있다. 이 때문에 쿠션 링크기구(204)[쿠션 서브 프레임(212)]에 의한 쿠션 사이드부(30B)의 아래쪽으로부터의 지지 강성을 높게 할 수 있어, 시트(230)에 착석한 승객으로부터 쿠션 사이드부(30B)에 좌우방향의 하중이 걸려도 쿠션 사이드부(30B)가 승객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쿠션 링크기구(204)의 작동면[쿠션 서브 프레임(212)의 회동면]이, 시트 쿠션(30)의 좌우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시트 쿠션(30)의 좌우방향에의 하중에 대한 쿠션 사이드부(30B)의 쿠션 링크기구(204)에 의한 지지 강성을 높게 할 수 있어, 시트(10)에 착석한 승객으로부터 쿠션 사이드부(30B)에 좌우방향의 하중이 걸려도 쿠션 사이드부(30B)가 승객을 한층 더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또, 리클라이닝기구(18)가 조작되고, 시트백(12)이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하여 앞쪽으로 틸팅됨으로써, 시트백(12)이 시트 쿠션(30)의 위쪽에 겹쳐져, 시트(230)가 격납(이른바 앞으로 쓰러뜨려 격납)된다[제43도(B)참조].
시트(230)가 격납될 때에는 백 메인프레임(16)[시트백(12)]이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하여 앞쪽으로 틸팅되고, 쿠션 연락 링크(238)가 앞쪽으로 이동됨으로써, 쿠션 서브 프레임(212) 또는 쿠션 연결 링크(236)의 앞쪽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쿠션 연결 링크(236)가 앞쪽으로 회동되고, 쿠션 서브 프레임(212)과 쿠션 메인프레임(206)과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된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도 상기 제 17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쿠션 연락 링크(238)의 후단을 백 메인프레임(16)에 틸팅 중심축(16A)의 위쪽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구성으로 하였으나, 도 4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쿠션 연락 링크(238)의 후단을 백 메인프레임(16)에 틸팅 중심축(16A)의 아래쪽[틸팅 중심축(16A)에서 오프셋된 위치]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 시트(230)가 격납될 때에는, 백 메인프레임(16)[시트백(12)]이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하여 앞쪽으로 틸팅되고, 쿠션 연락 링크(238)가 뒤쪽으로 이동됨으로써, 쿠션 서브 프레임(212) 또는 쿠션 연결 링크(236)의 뒤쪽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쿠션 연결 링크(236)가 뒤쪽으로 회동되어, 쿠션 서브 프레임(212)과 쿠션 메인프레임(206)과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된다.
(제 20 실시형태)
도 45에는, 본 발명의 시트구조가 적용되어 구성된 제 20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240)의 주요부가 왼쪽에서 본 측면도로 나타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240)는, 상기 제 17 실시형태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나, 이하의 점에서 다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트(240) 앞쪽의 차실 바닥면(202)이, 시트(240) 바로 밑의 차실 바닥면(202)보다 낮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240)는, 이른바 더블 폴드 격납 타입의 것으로 되어 있다.
쿠션 메인프레임(206)의 앞 부분 아래쪽에는, 좌우 양쪽부분에서, 제 4 링크(242)의 상단이 회동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제 4 링크(242)의 하단은, 차체측의 앞 브래킷(23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 17 실시형태에서의 아암(210)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
쿠션 메인프레임(206)의 뒷부분 아래쪽에는, 좌우 양쪽부분에서 록기구로서의 뒤쪽 록기구(234)가 결합되어 있고, 뒤쪽 록기구(234)가 차체측에 록됨으로써, 쿠션 메인프레임(206)이 뒤쪽 록기구(234) 및 제 4 링크(242)에 지지되고, 시트 쿠션(30)이 차체측에 지지되어 있다.
쿠션 앞쪽 링크(216)의 하단은, 차체측의 앞 브래킷(232)에, 제 4 링크(242)의 앞 브래킷(232)에 대한 연결위치(회동중심)의 뒤쪽(상기 연결위치로부터 오프셋된 위치)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쿠션 앞쪽 링크(216)는, 쿠션 메인프 레임(206)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쿠션 앞쪽 링크(216)는, 상단에서 쿠션 서브 프레임(212)을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고 있고, 이에 의하여 쿠션 앞쪽 링크(216) 및 쿠션 서브 프레임(212)의 회동이 록되고, 쿠션 링크기구(204)의 동작이 규제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이상의 구성의 시트(240)에서는, 쿠션 메인프레임(206)이 뒤쪽 록기구(234) 및 제 4 링크(242)에 지지되어 록된 상태에서 쿠션 앞쪽 링크(216)의 하단이 차체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제 4 링크(242), 쿠션 메인프레임(206), 쿠션 앞쪽 링크(216) 및 쿠션 서브 프레임(212)의 회동이 록되고, 쿠션 링크기구(204)의 동작이 규제되어 있다. 이 때문에 쿠션 링크기구(204)[쿠션 서브 프레임(212)]에 의한 쿠션 사이드부(30B)의 아래쪽으로부터의 지지 강성을 높게 할 수 있어, 시트(240)에 착석한 승객으로부터 쿠션 사이드부(30B)에 좌우방향의 하중이 걸려도 쿠션 사이드부(30B)가 승객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쿠션 링크기구(204)의 작동면[쿠션 서브 프레임(212)의 회동면]이, 시트 쿠션(30)의 좌우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시트 쿠션(30)의 좌우방향에의 하중에 대한 쿠션 사이드부(30B)의 쿠션 링크기구(204)에 의한 지지 강성을 높게 할 수 있어, 시트(10)에 착석한 승객으로부터 쿠션 사이드부(30B)에 좌우방향의 하중이 걸려도 쿠션 사이드부(30B)가 승객을 한층 더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또, 뒤쪽 록기구(234)의 차체측에의 록이 해제되어, 시트 쿠션(30)이 앞쪽으 로 대략 90°회동됨으로써, 시트 쿠션(30)이 대략 수직하게 기립된 후에, 리클라이닝기구(18)가 조작되고, 시트백(12)이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하여 앞쪽으로 틸팅됨으로써, 시트백(12)이 시트 쿠션(30)의 뒤쪽에서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고, 시트(240)가 격납(이른바 더블 폴드 격납)된다(도 10과 마찬가지).
시트(240)가 격납될 때[시트 쿠션(30)이 앞쪽으로 회동될 때]에는, 제 4 링크(242) 및 쿠션 앞쪽 링크(216)가 앞쪽으로 약 90°회동됨으로써, 제 4 링크(242)와 쿠션 앞쪽 링크(216)와의 회동 궤적의 차이에 의하여, 쿠션 메인프레임(206)에의 제 4 링크(242)의 연결위치와 쿠션 서브 프레임(212)과의 쿠션 앞쪽 링크(216)에 의한 지지위치와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되고, 쿠션 서브 프레임(212)이 쿠션 메인프레임(206)에 대하여 쿠션 메인프레임(206)측으로 회동되고, 쿠션 메인프레임(206)과 쿠션 서브 프레임(212)과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된다. 이 때문에 쿠션 사이드부(30B)의 통상 사용시의 두께를 두껍게 한 경우에도, 시트(240)의 격납에 따라 쿠션 사이드부(30B)의 두께를 쿠션 메인프레임(206)보다 바깥쪽 부분에서 수축시켜 쿠션 메인부(30A)의 두께와 동등하게 할 수 있고, 시트(240)의 격납시에 있어서의 차실(짐칸)의 공간[시트 쿠션(30)의 앞쪽 및 뒤쪽 공간]을 크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시트(240) 앞쪽의 시트(도시생략)의 뒤쪽으로의 틸팅(리클라이닝) 가능 각도를 크게 할 수 있다.
(제 21 실시형태)
도 46에는, 본 발명의 시트구조가 적용되어 구성된 제 21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250)의 주요부가 왼쪽에서 본 측면도로 나타나 있고, 도 47에는 시트(250)의 주요부가 왼쪽 비스듬하게 뒤쪽에서 본 분해사시도로 나타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250)는, 상기 제 17 실시형태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나, 이하의 점에서 다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250)는, 이른바 더블 플랫 격납 타입의 것으로 되어 있다.
쿠션 메인프레임(206)의 앞 부분은, 좌우 양쪽부분에서 차체측의 고정 브래킷(252)에 제 1 연결축(254)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쿠션 메인프레임(206)의 뒷부분 아래쪽에는, 좌우 양쪽부분에서 록기구로서의 뒤쪽 록기구(234)가 결합되어 있고, 뒤쪽 록기구(234)가 차체측에 록됨으로써, 쿠션 메인프레임(206)이 뒤쪽 록기구(234) 및 고정 브래킷(252)에 지지되고, 시트 쿠션(30)이 차체측에 지지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 17 실시형태에서의 아암(210) 및 쿠션 앞쪽 링크(216)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쿠션 서브 프레임(212)의 앞 부분에는, 쿠션 연락기구로서의 쿠션 연동 링크(256)의 상단이 회동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쿠션 연동 링크(256)의 하단은, 고정 브래킷(252)에, 제 1 연결축(254)[쿠션 메인프레임(206)의 회동중심]의 위쪽[제 1 연결축(254)으로부터 오프셋된 위치]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쿠션 연동 링크(256) 및 쿠션 서브 프레임(212)의 회동이 록되고, 쿠션 링크기구(204)의 동작이 규제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이상의 구성의 시트(250)에서는, 쿠션 메인프레임(206)이 뒤쪽 록기구(234) 및 고정 브래킷(252)에 지지되어 록된 상태에서, 쿠션 연동 링크(256)의 하단이 고정브래킷(25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쿠션 메인프레임(206), 쿠션 연동 링크(256) 및 쿠션 서브 프레임(212)의 회동이 록되고, 쿠션 링크기구(204)의 작동이 록되어 있다. 이 때문에 쿠션 링크기구(204)[쿠션 서브 프레임(212)]에 의한 쿠션 사이드부(30B)의 아래쪽으로부터의 지지 강성을 높게 할 수 있어, 시트(250)에 착석한 승객으로부터 쿠션 사이드부(30B)에 좌우방향의 하중이 걸려도 쿠션 사이드부(30B)가 승객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쿠션 링크기구(204)의 작동면[쿠션 서브 프레임(212)의 회동면]이, 시트 쿠션(30)의 좌우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시트 쿠션(30)의 좌우방향에의 하중에 대한 쿠션 사이드부(30B)의 쿠션 링크기구(204)에 의한 지지 강성을 높게 할 수 있어, 시트(10)에 착석한 승객으로부터 쿠션 사이드부(30B)에 좌우방향의 하중이 걸려도 쿠션 사이드부(30B)가 승객을 한층 더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또, 뒤쪽 록기구(234)의 차체측에의 록이 해제되어, 시트 쿠션(30)이 앞쪽으로 약 180°회동됨으로써, 시트 쿠션(30)이 대략 수평으로 반전된 후에, 리클라이닝기구(18)가 조작되고, 시트백(12)이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하여 앞쪽으로 틸팅됨으로써, 시트백(12)이 시트 쿠션(30)의 뒤쪽에서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고, 시트(250)가 격납(이른바 더블 플랫 격납)된다(도 11과 마찬가지).
시트(250)가 격납될 때[시트 쿠션(30)이 앞쪽으로 회동될 때]에는, 쿠션 메 인프레임(206) 및 쿠션 서브 프레임(212)[쿠션 연동 링크(256)를 포함한다]이 앞쪽으로 약 180°회동됨으로써, 쿠션 메인프레임(206)과 쿠션 서브 프레임(212)과의 회동 궤적의 차이에 의하여, 제 1 연결축(254)과 쿠션 서브 프레임(212)에의 쿠션 연동 링크(256)의 연결위치와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되고, 쿠션 서브 프레임(212)이 쿠션 메인프레임(206)에 대하여 쿠션 메인프레임(206)측으로 회동되고, 쿠션 메인프레임(206)과 쿠션 서브 프레임(212)과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된다. 이에 의하여 시트 쿠션(30)의 통상 사용시의 두께를 두껍게 한 경우에도, 시트(250)의 격납에 따라 쿠션 사이드부(30B)의 두께를 쿠션 메인프레임(206)보다 바깥쪽 부분에서 수축시켜 쿠션 메인부(30A)의 두께와 동등하게 할 수 있고, 시트(250)의 격납시에 있어서의 차실(짐칸)의 공간[시트 쿠션(30) 위쪽 공간]을 크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시트 쿠션(30)의 차실 바닥면(202)과의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제 22 실시형태)
도 48에는, 본 발명의 시트구조가 적용되어 구성된 제 22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260)의 주요부가 왼쪽에서 본 측면도로 나타나 있고, 도 47에는 시트(260)의 주요부가 왼쪽 비스듬하게 뒤쪽에서 본 분해사시도로 나타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260)는, 상기 제 17 실시형태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나, 이하의 점에서 다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260)는, 이른바 칩업 격납 타입의 것으로 되어 있다.
쿠션 메인프레임(206)의 전후방향 중간부는, 좌우 양쪽부분에서 차체측의 레그(26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 17 실시형태에서의 아암(210)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
쿠션 앞쪽 링크(216)는, 쿠션 신축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쿠션 앞쪽 링크(216)에는 쿠션 메인프레임(206)에 대한 연결위치의 아래쪽[상기 연결위치로부터 오프셋된 위치]에서 쿠션 연락기구로서의 쿠션 작동 링크(264)의 전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쿠션 작동 링크(264)의 후단은, 레그(262)에 쿠션 메인프레임(206)의 연결위치의 아래쪽(상기 연결위치로부터 오프셋된 위치]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쿠션 앞쪽 링크(216)의 하단은, 록기구로서의 차체측의 앞쪽 록기구(266)에 록되어 있고, 이에 의하여 쿠션 메인프레임(206)이 쿠션 앞쪽 링크(216) 및 레그(262)에 지지되고, 시트 쿠션(30)이 차체측에 지지됨과 동시에, 쿠션 메인프레임(206), 쿠션 앞쪽 링크(216), 쿠션 서브 프레임(212) 및 쿠션 작동 링크(264)의 회동이 록되고, 쿠션 링크기구(204)의 동작이 규제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이상의 구성의 시트(260)에서는 쿠션 메인프레임(206)이 차체측의 레그(26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쿠션 앞쪽 링크(216)가 차체측의 앞쪽 록기구(266)에 록됨으로써, 쿠션 메인프레임(206), 쿠션 앞쪽 링크(216), 쿠션 서브 프레임(212) 및 쿠션 작동 링크(264)의 회동이 록되고, 쿠션 링크기구(204)의 동작이 규제되어 있다. 이 때문에 쿠션 링크기구(204)[쿠션 서브 프레임(212)]에 의한 쿠 션 사이드부(30B)의 아래쪽으로부터의 지지 강성을 높게 할 수 있어, 시트(260)에 착석한 승객으로부터 쿠션 사이드부(30B)에 좌우방향의 하중이 걸려도 쿠션 사이드부(30B)가 승객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쿠션 링크기구(204)의 작동면[쿠션 서브 프레임(212)의 회동면]이, 시트 쿠션(30)의 좌우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시트 쿠션(30)의 좌우방향에의 하중에 대한 쿠션 사이드부(30B)의 쿠션 링크기구(204)에 의한 지지 강성을 높게 할 수 있어, 시트(10)에 착석한 승객으로부터 쿠션 사이드부(30B)에 좌우방향의 하중이 걸려도 쿠션 사이드부(30B)가 승객을 한층 더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또, 쿠션 앞쪽 링크(216)의 앞쪽 록기구(266)에 대한 록이 해제되어, 시트 쿠션(30)이 뒤쪽으로 회동됨으로써, 시트 쿠션(30)이 시트백(12)의 앞쪽에서 대략 수직하게 배치되고, 시트(260)가 격납(이른바 칩업 격납)된다(도 17과 마찬가지).
시트(260)가 격납될 때[시트 쿠션(30)이 뒤쪽으로 회동될 때]에는, 쿠션 메인프레임(206) 및 쿠션 작동 링크(264)[쿠션 앞쪽 링크(216)를 포함한다]가 뒤쪽으로 약 90°회동됨으로써, 쿠션 메인프레임(206)과 쿠션 작동 링크(264)의 회동궤적과의 차이에 의하여, 쿠션 앞쪽 링크(216)가 쿠션 메인프레임(206) 및 쿠션 작동 링크(264)에 대하여 회동되고, 쿠션 서브 프레임(212)이 쿠션 메인프레임(206)에 대하여 쿠션 메인프레임(206)측으로 회동되면서 쿠션 메인프레임(206)과 쿠션 서브 프레임(212)과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된다. 이에 의하여 시트 쿠션(30)의 통상 사용시의 두께를 두껍게 한 경우에도, 시트(260)의 격납에 따라 쿠 션 사이드부(30B)의 두께를 쿠션 메인프레임(206)보다 바깥쪽 부분에서 수축시켜 쿠션 메인부(30A)의 두께와 동등하게 할 수 있고, 시트(260)의 격납시에 있어서의 차실(짐칸)의 공간[시트(260)의 앞쪽 및 뒤쪽 공간]을 크게 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도 5(A)와 마찬가지로, 시트(260)가 이른바 텀블수납 타입이 되어, 시트(260)가 격납된 후에, 시트백(12) 및 시트 쿠션(30)의 차체측에 대한 지지가 해제되어, 시트(260)가 앞쪽으로 약 180°회동됨으로써, 시트(260)[시트백(12) 및 시트 쿠션(30)]가 대략 수직하게 기립된 상태에서 앞쪽에 수납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와 같이 시트(260)의 격납에 따라 쿠션 사이드부(30B)의 두께가 수축되어 있기 때문에, 시트(260)의 수납시에 있어서의 차실(짐칸)의 공간[시트(260)의 앞쪽 및 뒤쪽 공간]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도 5(B)와 마찬가지로, 시트(260)의 옆쪽에 휠 하우스(32)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시트(260)가 이른바 스페이스 업 수납 타입이 되고, 시트(260)가 격납된 후에 시트백(12) 및 시트 쿠션(30)의 차체측에의 지지가 해제되어, 시트(260)가 앞쪽 및 옆쪽으로 약 90°회동됨으로써, 시트(260)[시트백(12) 및 시트 쿠션(30)]가 대략 수직하게 기립된 상태에서 휠하우스(32)의 위쪽에 수납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와 같이 시트(260)의 격납에 따라 쿠션 사이드부(30B)의 두께가 수축되어 있기 때문에, 시트(260)의 수납시에 있어서의 차실(짐칸)의 공간[시트(260) 옆쪽 공간]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도 5(C)와 마찬가지로, 시트(260)의 뒤쪽에 오목부(34)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시트(260)가 이른바 뒤쪽 바닥밑 수납 타입이 되고, 시트(260) 가 격납된 후에, 시트백(12) 및 시트 쿠션(30)의 차체측에의 지지가 해제되어, 시트(260)가 뒤쪽으로 약 90°회동되는, 또는 회동 링크 등에 의하여 이동됨으로써, 시트(260)[시트백(12) 및 시트 쿠션(30)]가, 시트백(12)의 위쪽에 시트 쿠션(30)이 배치된 상태에서 오목부(34) 내에 대략 수평으로 수납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와 같이 시트(260)의 격납에 따라 쿠션 사이드부(30B)의 두께가 수축되어 있기 때문에, 시트(260)의 수납시에 있어서의 차실(짐칸)의 공간[시트(260) 위쪽의 공간]을 크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오목부(34)의 깊이를 얕게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쿠션 작동 링크(264)를 쿠션 앞쪽 링크(216)의 쿠션 메인프레임(206)에 대한 연결위치의 아래쪽 및 레그(262)의 쿠션 메인프레임(206)과의 연결위치의 아래쪽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구성으로 하였으나, 도 4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쿠션 작동 링크(264)를 쿠션 앞쪽 링크(216)의 쿠션 메인프레임(206)에 대한 연결위치의 위쪽[상기 연결위치로부터 오프셋된 위치] 및 레그(262)의 쿠션 메인프레임(206)과의 연결위치의 위쪽(상기 연결위치로부터 오프셋된 위치)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쿠션 앞쪽 링크(216)의 하단을 앞쪽 록기구(266)에 록한 구성으로 하였으나, 쿠션 메인프레임(206)의 레그(262)에 대한 회동을 록 가능하게 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 쿠션 앞쪽 링크(216)를 앞쪽 록기구(266)에 록할 필요를 없앨 수 있다.
(제 23 실시형태)
도 50에는, 본 발명의 시트구조가 적용되어 구성된 제 23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270)의 주요부가 왼쪽에서 본 측면도로 나타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270)는, 상기 제 19 실시형태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나, 이하의 점에서 다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270)는, 이른바 백을 뒤로 쓰러뜨려 격납하는 타입의 것으로 되어 있다.
쿠션 연락 링크(238)의 후단은, 백 메인프레임(16)에 틸팅 중심축(16A)의 아래쪽[틸팅 중심축(16A)에서 오프셋된 위치]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쿠션 연결 링크(236), 쿠션 서브 프레임(212) 및 쿠션 연락 링크(238)의 회동이 록되고, 쿠션 링크기구(204)의 동작이 규제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도 상기 제 19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특히, 리클라이닝기구(18)가 조작되어, 시트백(12)이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하여 뒤쪽으로 틸팅됨으로써, 시트백(12)이 시트 쿠션(30)의 뒤쪽에서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어, 시트(270)가 격납(이른바 뒤로 쓰러뜨려 격납)된다.
시트(270)가 격납될 때에는, 백 메인프레임(16)[시트백(12)]이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하여 뒤쪽으로 틸팅되고, 쿠션 연락 링크(238)가 앞쪽으로 이동됨으로써, 쿠션 서브 프레임(212) 또는 쿠션 연결 링크(236)의 앞쪽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쿠션 연결 링크(236)가 앞쪽으로 회동되고, 쿠션 서브 프레임(212)과 쿠션 메인프레임(206)과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된다. 이에 의하여 쿠션 사이드부(30B)의 통상 사용시의 두께를 두껍게 한 경우에도 시트(270)의 격납 에 따라 쿠션 사이드부(30B)의 두께를 쿠션 메인프레임(206)보다 바깥쪽 부분에서 수축시켜 쿠션 메인부(30A)의 두께와 동등하게 할 수 있어, 시트(270)의 격납시에 있어서의 차실(짐칸)의 공간[시트 쿠션(30) 위쪽의 공간]을 크게 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도 15와 마찬가지로 시트(270)의 옆쪽에 휠 하우스(32)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시트(270)가 이른바 스페이스 업 수납 타입이 되고, 시트(270)가 격납된 후에, 시트백(12) 및 시트 쿠션(30)의 차체측에 대한 지지가 해제되어, 시트(270)가 옆쪽으로 약 90°회동됨으로써, 시트(270)[시트백(12) 및 시트 쿠션(30)]가 대략 수직하게 기립된 상태에서 휠 하우스(32)의 위쪽에 수납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와 같이 시트(270)의 격납에 따라 쿠션 사이드부(30B)의 두께가 수축되어 있기 때문에, 시트(270)의 수납시에 있어서의 차실(짐칸)의 공간[시트 쿠션(30) 옆쪽의 공간]을 크게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쿠션 연락 링크(238)의 후단을 백 메인프레임(16)에 틸팅 중심축(16A)의 아래쪽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구성으로 하였으나, 도 5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쿠션 연락 링크(238)의 후단을 백 메인프레임(16)에 틸팅 중심축(16A)의 위쪽[틸팅 중심축(16A)에서 오프셋된 위치]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 시트(270)가 격납될 때에는, 백 메인프레임(16)[시트백(12)]이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하여 뒤쪽으로 틸팅되고, 쿠션 연락 링크(238)가 뒤쪽으로 이동됨으로써, 쿠션 서브 프레임(212) 또는 쿠션 연결 링크(236)의 뒤쪽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쿠션 연결 링크(236)가 뒤쪽으로 회동되고, 쿠션 서브 프레임(212)과 쿠션 메인프레임(206)과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 가 수축된다.
(제 24 실시형태)
도 52에는, 본 발명의 시트구조가 적용되어 구성된 제 24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280)의 주요부가 왼쪽에서 본 측면도로 나타나 있고, 도 53에는 시트(280)의 주요부가 앞으로 비스듬하게 왼쪽에서 본 사시도로 나타나 있다. 또한 도 55(A)에는 시트(280)의 주요부가 앞쪽에서 본 단면도로 나타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280)는, 상기 제 17 실시형태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나, 이하의 점에서 다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280)에서는, 쿠션 메인프레임(206) 뒷부분의 좌우 양쪽부분에, 쿠션 신축수단의 쿠션 연결수단으로서 쿠션 연결 링크(236)의 하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 17 실시형태에서의 쿠션 연결축(214)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쿠션 지지부(208)는, 쿠션 신축수단의 쿠션 바깥쪽 프레임으로서 기능하고, 쿠션 메인프레임(206)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고, 쿠션 지지부(208)의 좌우 양쪽부분은, 앞 부분에서 쿠션 앞쪽 링크(216)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과 동시에, 뒷부분에서 쿠션 연결 링크(236)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쿠션 지지부(208)의 좌우 양쪽부분에는, 쿠션 신축수단을 구성하는 제 5 링크(282)가 기설정된 수(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 하단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쿠션 서브 프레임(212)은, 쿠션 신축수단의 쿠션 바깥 프레임으로서 기능하고, 쿠션 지지부(208)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쿠션 서브 프레임(212)에는, 기 설정된 수의 제 5 링크(282)가 상단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쿠션 서브 프레임(212), 또는 제 5 링크(282)의 하단(회동중심) 이외의 위치에는, 백 신축수단을 구성하는 제 6 링크(284)의 전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제 6 링크(284)의 후단은 백 메인프레임(16)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쿠션 연결 링크(236), 쿠션 지지부(208), 제 5 링크(282), 쿠션 서브 프레임(212) 및 제 6 링크(284)의 회동이 록되고, 쿠션 링크기구(204)의 동작이 규제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이상의 구성의 시트(280)에서는, 백 메인프레임(16)의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한 틸팅이 리클라이닝기구(18)에 의하여 록된 상태에서 쿠션 앞쪽 링크(216)의 하단이 차체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쿠션 메인프레임(206), 아암(210), 쿠션 앞쪽 링크(216), 쿠션 연결 링크(236), 쿠션 지지부(208), 제 5 링크(282), 쿠션 서브 프레임(212) 및 제 6 링크(284)의 회동이 록되고, 쿠션 링크기구(204)의 동작이 규제되어 있다. 이 때문에, 쿠션 링크기구(204)[쿠션 서브 프레임(212)]에 의한 쿠션 사이드부(30B)의 아래쪽으로부터의 지지 강성을 높게 할 수 있어, 시트(280)에 착석한 승객으로부터 쿠션 사이드부(30B)에 좌우방향의 하중이 걸려도 쿠션 사이드부(30B)가 승객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쿠션 링크기구(204)의 작동면[쿠션 서브 프레임(212)의 회동면]이, 시트 쿠션(30)의 좌우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시트 쿠션(30)의 좌우방향에의 하중에 대한 쿠션 사이드부(30B)의 쿠션 링크기구(204)에 의한 지 지 강성을 높게 할 수 있어, 시트(10)에 착석한 승객으로부터 쿠션 사이드부(30B)에 좌우방향의 하중이 걸려도 쿠션 사이드부(30B)가 승객을 한층 더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또, 리클라이닝기구(18)가 조작되어, 시트백(12)이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하여 앞쪽으로 틸팅됨으로써, 시트백(12)이 시트 쿠션(30)의 위쪽에 겹쳐져, 시트(280)가 격납(이른바 앞으로 쓰로뜨려 격납)된다(도 54 참조).
시트(280)가 격납될 때에는, 백 메인프레임(16)[시트백(12)]이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하여 앞쪽으로 틸팅되고, 아암(210)을 거쳐 쿠션 메인프레임(206)[시트 쿠션(30)]이 앞쪽으로 이동됨으로써, 쿠션 앞쪽 링크(216)가 앞쪽으로 회동되고, 시트 쿠션(30)이 앞쪽 또한 아래쪽으로 이동된다.
또한, 시트(280)가 격납될 때에는, 쿠션 앞쪽 링크(216)가 앞쪽으로 회동되고, 쿠션 연결 링크(236)가 앞쪽으로 회동됨으로써, 쿠션 메인프레임(206)과 쿠션 지지부(208)와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됨과 동시에, 쿠션 지지부(208)의 앞쪽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제 5 링크(282)가 앞쪽으로 회동되고, 쿠션 지지부(208)와 쿠션 서브 프레임(212)과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된다[도 55(B) 참조]. 이 때문에 쿠션 사이드부(30B) 및 쿠션 메인부(30A)의 통상 사용시의 두께를 두껍게 한 경우에도, 시트(280)의 격납에 따라 쿠션 사이드부(30B) 및 쿠션 메인부(30A)의 두께를 쿠션 메인프레임(206)보다 바깥쪽 부분에서 수축시켜 동등하게 할 수 있고, 시트(280)의 격납시에 있어서의 차실(짐칸)의 공간[시트(280) 위쪽의 공간]을 크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도 상기 제 17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쿠션 메인프레임(206) 뒷부분의 좌우 양쪽부분을 아암(210)을 거쳐 백 메인프레임(16)에 틸팅 중심축(16A)의 위쪽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구성으로 하였으나, 도 5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쿠션 메인프레임(206) 뒷부분의 좌우 양쪽부분을 백 메인프레임(16)에 틸팅 중심축(16A)의 앞쪽[틸팅 중심축(16A)에서 오프셋된 위치]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 제 6 링크(284)의 전단이 쿠션 메인프레임(206)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과 동시에, 제 6 링크(284)의 후단이 쿠션 서브 프레임(212) 또는 제 5 링크(282)의 하단(회동중심) 이외의 위치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 시트(280)가 격납될 때에는, 백 메인프레임(16)[시트백(12)]이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하여 앞쪽으로 틸팅되고, 쿠션 메인프레임(206)[시트 쿠션(30)]이 뒤쪽으로 이동됨으로써, 쿠션 앞쪽 링크(216)가 뒤쪽으로 회동되고, 시트 쿠션(30)이 뒤쪽 또한 아래쪽으로 이동된다. 또한 시트(280)가 격납될 때에는, 쿠션 앞쪽 링크(216)가 뒤쪽으로 회동되고, 쿠션 연결 링크(236)가 뒤쪽으로 회동됨으로써, 쿠션 메인프레임(206)과 쿠션 지지부(208)와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됨과 동시에, 쿠션 지지부(208)의 뒤쪽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제 5 링크(282)가 뒤쪽으로 회동되고, 쿠션 지지부(208)와 쿠션 서브 프레임(212)과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된다.
(제 25 실시형태)
도 57에는, 본 발명의 시트구조가 적용되어 구성된 제 25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290)의 주요부가 왼쪽에서 본 측면도로 나타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290)는, 상기 제 24 실시형태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나, 이하의 점에서 다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290)에서는, 쿠션 앞쪽 링크(216)가 상단에서 쿠션 메인프레임(206)의 앞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쿠션 앞쪽 링크(216)는, 쿠션 지지부(208)에 연결되어 있지 않다.
쿠션 메인프레임(206) 앞 부분의 좌우 양쪽부분에는, 조정 링크(222)의 하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조정 링크(222)는 상단에서 쿠션 지지부(208)의 앞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조정 링크(222)의 하단(회동중심)에는, 조작기구로서의 원기둥형상의 조작 레버(42)가 결합되어 있고, 조작레버(42)는, 다이얼식의 레귤레이터 등으로 되어 있다. 조작레버(42)에는, 록기구로서의 회전 록기구(도시생략)가 설치되어 있고, 회전 록기구에 의하여 조작레버(42)의 회전이 저지됨으로써, 조정 링크(222), 쿠션 연결 링크(236), 쿠션 지지부(208), 제 5 링크(282), 쿠션 서브 프레임(212) 및 제 6 링크(284)의 회동이 록되고, 쿠션 링크기구(204)의 동작이 규제되어 있다. 조작레버(42)는 시트 쿠션(30)의 옆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조작레버(42)가 회전 조작됨으로써, 조정 링크(222)이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이상의 구성의 시트(290)에서는, 백 메인프레임(16)의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한 틸팅이 리클라이닝기구(18)에 의하여 록된 상태에서 쿠션 앞쪽 링크(216)의 하단이 차체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또 회전 록기구에 의하여 조작레버(42)의 회전이 저지됨으로써, 쿠션 메인프레임(206), 아암(210), 쿠션 앞쪽 링크(216), 조정 링크(222), 쿠션 연결 링크(236), 쿠션 지지부(208), 제 5 링크(282), 쿠션 서브 프레임(212) 및 제 6 링크(284)의 회동이 록되고, 쿠션 링크기구(204)의 동작이 규제되어 있다. 이 때문에 쿠션 링크기구(204)[쿠션 서브 프레임(212)]에 의한 쿠션 사이드부(30B)의 아래쪽으로부터의 지지 강성을 높게 할 수 있어, 시트(290)에 착석한 승객으로부터 쿠션 사이드부(30B)에 좌우방향의 하중이 걸려도 쿠션 사이드부(30B)가 승객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쿠션 링크기구(204)의 작동면[쿠션 서브 프레임(212)의 회동면]이, 시트 쿠션(30)의 좌우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시트 쿠션(30)의 좌우방향에의 하중에 대한 쿠션 사이드부(30B)의 쿠션 링크기구(204)에 의한 지지 강성을 높게 할 수 있어, 시트(10)에 착석한 승객으로부터 쿠션 사이드부(30B)에 좌우방향의 하중이 걸려도 쿠션 사이드부(30B)가 승객을 한층 더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또, 조작레버(42)의 회전 록기구에 의한 회전저지가 해제된 상태에서 조작레버(42)가 회전 조작되고, 조정 링크(222) 및 쿠션 연결 링크(236)가 회동됨으로써, 쿠션 메인프레임(206)과 쿠션 지지부(208)와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신축됨과 동시에, 쿠션 지지부(208)의 앞쪽 또는 뒤쪽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제 5 링크(282)가 회동되고, 쿠션 지지부(208)와 쿠션 서브 프레임(212)과의 시트 쿠 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신축된다. 이것에 의하여 시트(290)의 격납과 독립하여 쿠션 사이드부(30B) 및 쿠션 메인부(30A)의 두께를, 쿠션 메인프레임(206)보다 바깥쪽 부분에서 신축시켜 조정할 수 있다.
(제 26 실시형태)
도 58(A)에는, 본 발명의 시트구조가 적용되어 구성된 제 26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300)의 주요부가 왼쪽에서 본 측면도로 나타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300)는, 상기 제 24 실시형태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나, 이하의 점에서 다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트(300) 앞쪽의 차실 바닥면(202)이, 시트(300) 바로 밑의 차실 바닥면(202)보다 낮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300)는, 이른바 백을 앞으로 쓰러뜨려 격납하는 타입의 것으로 되어 있다.
쿠션 앞쪽 링크(216)의 하단은, 차체측의 앞 브래킷(23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쿠션 앞쪽 링크(216)는, 상단에서 쿠션 메인프레임(206)의 앞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쿠션 앞쪽 링크(216)는, 쿠션 연락기구로서 기능하지 않고, 쿠션 지지부(208)에 연결되어 있지 않다.
쿠션 메인프레임(206)의 뒷부분 아래쪽에는, 좌우 양쪽부분에서 록기구로서의 뒤쪽 록기구(234)가 결합되어 있고, 뒤쪽 록기구(234)가 차체측에 록됨으로써, 쿠션 메인프레임(206)이 뒤쪽 록기구(234) 및 쿠션 앞쪽 링크(216)에 지지되고, 시트 쿠션(30)이 차체측에 지지되어 있다.
백 메인프레임(16)의 하단은, 아암(210)에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하여 틸팅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에 의하여 백 메인프레임(16)이 아암(210), 쿠션 메인프레임(206), 뒤쪽 록기구(234) 및 쿠션 앞쪽 링크(216)를 거쳐 차체측에 지지되고, 시트백(12)이 차체측에 연결되어 있다.
쿠션 연결 링크(236)는, 쿠션 메인프레임(206)의 좌우 양쪽부분에 기설정된수(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 하단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기설정된 수의 쿠션 연결 링크(236)는, 상단에서 쿠션 지지부(208)의 좌우 양쪽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쿠션 지지부(208) 후단, 또는 쿠션 메인프레임(206) 뒷부분의 쿠션 연결 링크(236)(하단 이외이면 된다)에는, 쿠션 연락기구로서의 쿠션 연락 링크(238)의 전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쿠션 연락 링크(238)의 후단은, 백 메인프레임(16)에 틸팅 중심축(16A)의 위쪽[틸팅 중심축(16A)에서 오프셋된 위치]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쿠션 연결 링크(236), 쿠션 지지부(208), 제 5 링크(282), 쿠션 서브 프레임(212), 제 6 링크(284) 및 쿠션 연락 링크(238)의 회동이 록되고, 쿠션 링크기구(204)의 동작이 규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이상의 구성의 시트(300)에서는, 쿠션 메인프레임(206)이 뒤쪽 록기구(234) 및 쿠션 앞쪽 링크(216)에 지지되어 록된 상태에서 백 메인프레임(16)의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한 틸팅이 리클라이닝기구(18)에 의하여 록됨으로써, 쿠션 메인프레임(206), 아암(210), 쿠션 연결 링크(236), 쿠션 지지부(208), 제 5 링 크(282),쿠션 서브 프레임(212), 제 6 링크(284) 및 쿠션 연락 링크(238)의 회동이 록되고, 쿠션 링크기구(204)의 작동이 록되어 있다. 이 때문에 쿠션 링크기구(204)[쿠션 서브 프레임(212)]에 의한 쿠션 사이드부(30B)의 아래쪽으로부터의 지지 강성을 높게 할 수 있어, 시트(300)에 착석한 승객으로부터 쿠션 사이드부(30B)에 좌우방향의 하중이 걸려도 쿠션 사이드부(30B)가 승객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쿠션 링크기구(204)의 작동면[쿠션 서브 프레임(212)의 회동면]이, 시트 쿠션(30)의 좌우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시트 쿠션(30)의 좌우방향에의 하중에 대한 쿠션 사이드부(30B)의 쿠션 링크기구(204)에 의한 지지 강성을 높게 할 수 있어, 시트(10)에 착석한 승객으로부터 쿠션 사이드부(30B)에 좌우방향의 하중이 걸려도 쿠션 사이드부(30B)가 승객을 한층 더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또, 리클라이닝기구(18)가 조작되어 시트백(12)이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하여 앞쪽으로 틸팅됨으로써, 시트백(12)이 시트 쿠션(30)의 위쪽에 겹쳐져 시트(300)가 격납(이른바 앞으로 쓰러뜨려 격납)된다[도 58(B) 참조].
시트(300)가 격납될 때에는, 백 메인프레임(16)[시트백(12)]이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하여 앞쪽으로 틸팅되고, 쿠션 연락 링크(238)가 앞쪽으로 이동됨으로써, 쿠션 지지부(208) 또는 쿠션 연결 링크(236)의 앞쪽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쿠션 연결 링크(236)가 앞쪽으로 회동되고, 쿠션 메인프레임(206)과 쿠션 지지부(208)와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됨과 동시에, 쿠션 지지부(208) 의 앞쪽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제 5 링크(282)가 앞쪽으로 회동되고, 쿠션 지지부(208)와 쿠션 서브 프레임(212)과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된다. 이 때문에 쿠션 사이드부(30B) 및 쿠션 메인부(30A)의 통상 사용시의 두께를 두껍게 한 경우에도, 시트(300)의 격납에 따라 쿠션 사이드부(30B) 및 쿠션 메인부(30A)의 두께를 쿠션 메인프레임(206)보다 바깥쪽 부분에서 수축시켜 동등하게 할 수 있고, 시트(300)의 격납시에 있어서의 차실(짐칸)의 공간[시트(300) 위쪽 공간]을 크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도, 상기 제 24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쿠션 연락 링크(238)의 후단을 백 메인프레임(16)에 틸팅 중심축(16A)의 위쪽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구성으로 하였으나, 도 5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쿠션 연락 링크(238)의 후단을 백 메인프레임(16)에 틸팅 중심축(16A)의 아래쪽[틸팅 중심축(16A)에서 오프셋된 위치]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 제 6 링크(284)의 전단이 쿠션 메인프레임(206)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과 동시에, 제 6 링크(284)의 후단이 쿠션 서브 프레임(212), 또는 제 5 링크(282)의 하단[회동중심] 이외의 위치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시트(300)가 격납될 때에는, 백 메인프레임(16)[시트백(12)]이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하여 앞쪽으로 틸팅되고, 쿠션 연락 링크(238)가 뒤쪽으로 이동됨으로써, 쿠션 지지부(208) 또는 쿠션 연결 링크(236)의 뒤쪽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쿠션 연결 링크(236)가 뒤쪽으로 회동되어, 쿠션 메인프레임(206)과 쿠션 지지부(208)와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됨과 동시에, 쿠션 지지부(208)의 뒤쪽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제 5 링크(282)가 뒤쪽으로 회동되고, 쿠션 지지부(208)와 쿠션 서브 프레임(212)과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된다.
(제 27 실시형태)
도 60에는, 본 발명의 시트구조가 적용되어 구성된 제 27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310)의 주요부가 왼쪽에서 본 측면도로 나타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310)는, 상기 제 24 실시형태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나, 이하의 점에서 다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트(310) 앞쪽의 차실 바닥면(202)이, 시트(310) 바로 밑의 차실 바닥면(202)보다 낮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310)는, 이른바 더블 폴드 격납 타입의 것으로 되어 있다.
쿠션 메인프레임(206)의 앞 부분 아래쪽에는, 좌우 양쪽부분에서 제 4 링크(242)의 하단이 회동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제 4 링크(242)의 하단은, 차체측의 앞 브래킷(23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 24 실시형태에서의 아암(210)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
쿠션 메인프레임(206)의 뒷부분 아래쪽에는, 좌우 양쪽부분에서 록기구로서의 뒤쪽 록기구(234)가 결합되어 있고, 뒤쪽 록기구(234)가 차체측에 록됨으로써, 쿠션 메인프레임(206)이 뒤쪽 록기구(234) 및 쿠션 앞쪽 링크(216)에 지지되고, 시 트 쿠션(30)이 차체측에 연결되어 있다.
쿠션 연결 링크(236)는, 쿠션 메인프레임(206)의 좌우 양쪽부분에 기설정된수(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 하단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기설정된 수의 쿠션 연결 링크(236)는, 상단에서 쿠션 지지부(208)의 좌우 양쪽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쿠션 앞쪽 링크(216)의 하단은, 차체측의 앞 브래킷(232)에, 제 4 링크(242)의 앞 브래킷(232)에 대한 연결위치(회동중심)의 뒤쪽(상기 연결위치로부터 오프셋된 위치)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쿠션 앞쪽 링크(216)는, 쿠션 메인프레임(206)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쿠션 앞쪽 링크(216)는, 상단에서 쿠션 서브 프레임(212)에 회동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이에 의하여 쿠션 앞쪽 링크(216), 쿠션 연결 링크(236), 쿠션 지지부(208), 제 5 링크(282) 및 쿠션 서브 프레임(212)의 회동이 록되고, 쿠션 링크기구(204)의 동작이 규제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 24 실시형태에서의 제 6 링크(284)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이상의 구성의 시트(310)에서는, 쿠션 메인프레임(206)이 뒤쪽 록기구(234) 및 제 4 링크(242)에 지지되어 록된 상태에서 쿠션 앞쪽 링크(216)의 하단이 차체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제 4 링크(242), 쿠션 메인프레임(206), 쿠션 앞쪽 링크(216), 쿠션 연결 링크(236), 쿠션 지지부(208), 제 5 링크(282) 및 쿠션 서브 프레임(212)의 회동이 록되고, 쿠션 링크기구(204)의 동작이 규제되어 있다. 이 때문에 쿠션 링크기구(204)[쿠션 서브 프레임(212)]에 의한 쿠션 사이드부(30B)의 아래쪽으로부터의 지지 강성을 높게 할 수 있어, 시트(310)에 착석한 승객으로부터 쿠션 사이드부(30B)에 좌우방향의 하중이 걸려도 쿠션 사이드부(30B)가 승객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쿠션 링크기구(204)의 작동면[쿠션 서브 프레임(212)의 회동면]이, 시트 쿠션(30)의 좌우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시트 쿠션(30)의 좌우방향에의 하중에 대한 쿠션 사이드부(30B)의 쿠션 링크기구(204)에 의한 지지 강성을 높게 할 수 있어, 시트(10)에 착석한 승객으로부터 쿠션 사이드부(30B)에 좌우방향의 하중이 걸려도 쿠션 사이드부(30B)가 승객을 한층 더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또, 뒤쪽 록기구(234)의 차체측에의 록이 해제되어, 시트 쿠션(30)이 앞쪽으로 약 90°회동됨으로써, 시트 쿠션(30)이 대략 수직하게 기립된 후에, 리클라이닝기구(18)가 조작되고, 시트백(12)이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하여 앞쪽으로 틸팅됨으로써, 시트백(12)이 시트 쿠션(30)의 뒤쪽에서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고, 시트(310)가 격납(이른바 더블 폴드 격납)된다(도 10과 마찬가지).
시트(310)가 격납될 때[시트 쿠션(30)이 앞쪽으로 회동될 때]에는, 제 4 링크(242) 및 쿠션 앞쪽 링크(216)가 앞쪽으로 약 90°회동됨으로써, 제 4 링크(242)와 쿠션 앞쪽 링크(216)와의 회동궤적과의 차이에 의하여 쿠션 메인프레임(206)에 대한 제 4 링크(242)의 연결위치와 쿠션 서브 프레임(212)에 대한 쿠션 앞쪽 링크(216)의 연결위치와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되고, 쿠션 연결 링 크(236) 및 제 5 링크(282)가 회동되면서, 쿠션 메인프레임(206)과 쿠션 지지부(208)와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 및 쿠션 지지부(208)와 쿠션 서브 프레임(212)과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된다. 이 때문에, 쿠션 사이드부(30B) 및 쿠션 메인부(30A)의 통상 사용시의 두께를 두껍게 한 경우에도, 시트(310)의 격납에 따라 쿠션 사이드부(30B) 및 쿠션 메인부(30A)의 두께를 쿠션 메인프레임(206)보다 바깥쪽 부분에서 수축시켜 동등하게 할 수 있고, 시트(310)의 격납시에 있어서의 차실(짐칸)의 공간[시트 쿠션(30)의 앞쪽 및 뒤쪽 공간]을 크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시트(310) 앞쪽의 시트(도시생략)의 뒤쪽으로의 틸팅(리클라이닝) 가능 각도를 크게 할 수 있다.
(제 28 실시형태)
도 61에는 본 발명의 시트구조가 적용되어 구성된 제 28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320)의 주요부가 왼쪽에서 본 측면도로 나타나 있고, 도 62에는 시트(320)의 주요부가 왼쪽 비스듬하게 뒤쪽에서 본 분해사시도로 나타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320)는, 상기 제 24 실시형태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나, 이하의 점에서 다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320)는, 이른바 더블 플랫 격납 타입의 것으로 되어 있다.
쿠션 메인프레임(206)의 앞 부분은, 좌우 양쪽부분에서 차체측의 고정 브래킷(252)에 제 1 연결축(254)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쿠션 메인프레임(206)의 뒷부분 아래쪽에는, 좌우 양쪽부분에서 록기구로서 의 뒤쪽 록기구(234)가 결합되어 있고, 뒤쪽 록기구(234)가 차체측에 록됨으로써, 쿠션 메인프레임(206)이 뒤쪽 록기구(234) 및 고정 브래킷(252)에 지지되고, 시트 쿠션(30)이 차체측에 지지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 24 실시형태에서의 아암(210) 및 쿠션 앞쪽 링크(216)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쿠션 연결 링크(236)는, 쿠션 메인프레임(206)의 좌우 양쪽부분에 기설정된수(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 하단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기설정된 수의 쿠션 연결 링크(236)는, 상단에서 쿠션 지지부(208)의 좌우 양쪽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쿠션 서브 프레임(212)의 앞 부분에는 쿠션 연락기구로서의 쿠션 연동 링크(256)의 상단이 회동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쿠션 연동 링크(256)의 하단은, 고정 브래킷(252)에 제 1 연결축(254)(회동중심)의 위쪽[제 1 연결축(254)으로부터 오프셋된 위치]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쿠션 연동 링크(256), 쿠션 연결 링크(236), 쿠션 지지부(208), 제 5 링크(282) 및 쿠션 서브 프레임(212)의 회동이 록되어, 쿠션 링크기구(204)의 동작이 규제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 24 실시형태에서의 제 6 링크(284)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이상의 구성의 시트(320)에서는, 쿠션 메인프레임(206)이 뒤쪽 록기구(234) 및 고정 브래킷(252)에 지지되어 록된 상태에서 쿠션 연동 링크(256)의 하단이 고 정 브래킷(25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쿠션 메인프레임(206), 쿠션 연동 링크(256), 쿠션 연결 링크(236), 쿠션 지지부(208), 제 5 링크(282) 및 쿠션 서브 프레임(212)의 회동이 록되고, 쿠션 링크기구(204)의 동작이 규제되어 있다. 이 때문에, 쿠션 링크기구(204)[쿠션 서브 프레임(212)]에 의한 쿠션 사이드부(30B)의 아래쪽으로부터의 지지 강성을 높게 할 수 있어, 시트(320)에 착석한 승객으로부터 쿠션 사이드부(30B)에 좌우방향의 하중이 걸려도 쿠션 사이드부(30B)가 승객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쿠션 링크기구(204)의 작동면[쿠션 서브 프레임(212)의 회동면]이, 시트 쿠션(30)의 좌우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시트 쿠션(30)의 좌우방향에의 하중에 대한 쿠션 사이드부(30B)의 쿠션 링크기구(204)에 의한 지지 강성을 높게 할 수 있어, 시트(10)에 착석한 승객으로부터 쿠션 사이드부(30B)에 좌우방향의 하중이 걸려도 쿠션 사이드부(30B)가 승객을 한층 더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또, 뒤쪽 록기구(234)의 차체측에의 록이 해제되어, 시트 쿠션(30)이 앞쪽으로 약 180°회동됨으로써, 시트 쿠션(30)이 대략 수평으로 반전된 후에, 리클라이닝기구(18)가 조작되고, 시트백(12)이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하여 앞쪽으로 틸팅됨으로써, 시트백(12)이 시트 쿠션(30)의 뒤쪽에서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고, 시트(320)가 격납(이른바 더블 플랫 격납)된다(도 11과 마찬가지).
시트(320)가 격납될 때(시트 쿠션(30)이 앞쪽으로 회동될 때)에는, 쿠션 메인프레임(206) 및 쿠션 서브 프레임(212)[쿠션 연동 링크(256)을 포함한다]이 앞쪽 으로 약 180°회동됨으로써, 쿠션 메인프레임(206)과 쿠션 서브 프레임(212)과의 회동 궤적의 차이에 의하여 제 1 연결축(254)과 쿠션 서브 프레임(212)에의 쿠션 연동 링크(256)의 연결위치와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되고, 쿠션 연결 링크(236) 및 제 5 링크(282)가 회동되면서, 쿠션 메인프레임(206)과 쿠션 지지부(208)와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 및 쿠션 지지부(208)와 쿠션 서브 프레임(212)과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된다. 이에 의하여 쿠션 사이드부(30B) 및 쿠션 메인부(30A)의 통상 사용시의 두께를 두껍게 한 경우에도, 시트(320)의 격납에 따라 쿠션 사이드부(30B) 및 쿠션 메인부(30A)의 두께를 쿠션 메인프레임(206)보다 바깥쪽 부분에서 수축시켜 동등하게 할 수 있고, 시트(320)의 격납시에 있어서의 차실(짐칸)의 공간[시트 쿠션(30) 위쪽 공간]을 크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시트 쿠션(30)의 차실 바닥면(202)과의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제29 실시형태)
도 63(A)에는, 본 발명의 시트구조가 적용되어 구성된 제 29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330)의 주요부가 왼쪽에서 본 측면도로 나타나 있고, 도 64에는 시트(330)의 주요부가 왼쪽 비스듬하게 앞쪽에서 본 분해사시도로 나타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330)는, 상기 제 24 실시형태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나, 이하의 점에서 다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330)는, 이른바 칩업 격납 타입의 것으로 되어 있다.
쿠션 메인프레임(206)의 전후방향 중간부는, 좌우 양쪽부분에서, 차체측의 레그(26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쿠션 메인프레임(206)의 레그(262)에 대한 회동은 록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쿠션 메인프레임(206)이 레그(262)에 지지되고, 시트 쿠션(30)이 차체측에 지지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 24 실시형태에서의 아암(210)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
쿠션 앞쪽 링크(216)는, 쿠션 신축수단을 구성하고 있고, 쿠션 앞쪽 링크(216)의 하단은 차체측에 연결되어 있지 않다.
쿠션 앞쪽 링크(216)에는, 쿠션 메인프레임(206)에 대한 연결위치의 아래쪽(상기 연결위치로부터 오프셋된 위치)에서 쿠션 연락기구로서의 쿠션 작동 링크(264)의 전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쿠션 작동 링크(264)의 후단은, 레그(262)에, 쿠션 메인프레임(206)의 연결위치의 아래쪽(상기 연결위치로부터 오프셋된 위치)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쿠션 작동 링크(264), 쿠션 앞쪽 링크(216), 쿠션 연결 링크(236), 쿠션 지지부(208), 제 5 링크(282), 쿠션 서브 프레임(212) 및 제 6 링크(284)의 회동이 록되고, 쿠션 링크기구(204)의 동작이 규제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이상의 구성의 시트(330)에서는, 쿠션 메인프레임(206)이 차체측의 레그(262)에 회동이 록되면서 연결된 상태에서 쿠션 작동 링크(264)가 레그(26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쿠션 메인프레임(206), 쿠션 작동 링크(264), 쿠션 앞쪽 링크(216), 쿠션 연결 링크(236), 쿠션 지지부(208), 제 5 링크(282), 쿠션 서브 프레임(212) 및 제 6 링크(284)의 회동이 록되고, 쿠션 링크기구(204)의 동작 이 규제되어 있다. 이 때문에 쿠션 링크기구(204)[쿠션 서브 프레임(212)]에 의한 쿠션 사이드부(30B)의 아래쪽으로부터의 지지 강성을 높게 할 수 있어, 시트(330)에 착석한 승객으로부터 쿠션 사이드부(30B)에 좌우방향의 하중이 걸려도 쿠션 사이드부(30B)가 승객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쿠션 링크기구(204)의 작동면[쿠션 서브 프레임(212)의 회동면]이, 시트 쿠션(30)의 좌우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시트 쿠션(30)의 좌우방향에의 하중에 대한 쿠션 사이드부(30B)의 쿠션 링크기구(204)에 의한 지지 강성을 높게 할 수 있어, 시트(10)에 착석한 승객으로부터 쿠션 사이드부(30B)에 좌우방향의 하중이 걸려도 쿠션 사이드부(30B)가 승객을 한층 더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또, 쿠션 메인프레임(206)의 레그(262)에 대한 회동의 록이 해제되고, 시트 쿠션(30)이 뒤쪽으로 회동됨으로써, 시트 쿠션(30)이 시트백(12)의 앞쪽에서 대략 수직하게 배치되고, 시트(330)가 격납(이른바 칩업 격납)된다(도 17과 마찬가지).
시트(330)가 격납될 때[시트 쿠션(30)이 뒤쪽으로 회동될 때]에는, 쿠션 메인프레임(206) 및 쿠션 작동 링크(264)[쿠션 앞쪽 링크(216)를 포함한다]가 뒤쪽으로 약 90°회동됨으로써, 쿠션 메인프레임(206)과 쿠션 작동 링크(264)의 회동궤적과의 차이에 의하여 쿠션 앞쪽 링크(216)가 쿠션 메인프레임(206) 및 쿠션 작동 링크(264)에 대하여 회동되고, 쿠션 연결 링크(236) 및 제 5 링크(282)가 회동되면서, 쿠션 메인 프레임(206)과 쿠션 지지부(208)와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 및 쿠션 지지부(208)와 쿠션 서브 프레임(212)과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된다[도 63(B) 참조]. 이에 의하여 쿠션 사이드부(30B) 및 쿠션 메인부(30A)의 통상 사용시의 두께를 두껍게 한 경우에도, 시트(330)의 격납에 따라 쿠션 사이드부(30B) 및 쿠션 메인부(30A)의 두께를 쿠션 메인프레임(206)보다 바깥쪽 부분에서 수축시켜 동등하게 할 수 있고, 시트(330)의 격납시에 있어서의 차실(짐칸)의 공간[시트(330)의 앞쪽 및 뒤쪽 공간]을 크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2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시트(330)가 이른바 더블 수납 타입으로 된 구성[도 5(A) 참조], 시트(330)가 이른바 스페이스 업 수납 타입으로 된 구성[도 5(B) 참조], 또는 시트(330)가 이른바 뒤쪽 바닥 밑 수납 타입으로 된 구성[도 5(C) 참조]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쿠션 작동 링크(264)를 쿠션 앞쪽 링크(216)의 쿠션 메인프레임(206)에 대한 연결위치의 아래쪽 및 레그(262)의 쿠션 메인프레임(206)과의 연결위치의 아래쪽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구성으로 하였으나, 쿠션 작동 링크(264)를 쿠션 앞쪽 링크(216)의 쿠션 메인프레임(206)에 대한 연결위치의 위쪽(상기 연결 위치로부터 오프셋된 위치) 및 레그(262)의 쿠션 메인프레임(206)과의 연결위치의 위쪽(상기 연결위치로부터 오프셋된 위치)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쿠션 메인프레임(206)의 레그(262)에 대한 회동을 록한 구성으로 하였으나, 쿠션 앞쪽 링크(216)의 하단을 차체측에 록 가능하게 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 쿠션 메인프레임(206)의 레그(262)에 대한 회동을 록할 필요를 없앨 수 있다.
(제 30 실시형태)
도 65에는 본 발명의 시트구조가 적용되어 구성된 제 30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340)의 주요부가 왼쪽에서 본 측면도로 나타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340)는, 상기 제 26 실시형태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나, 이하의 점에서 다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340)는, 이른바 백을 뒤로 쓰러뜨려 격납하는 타입의 것으로 되어 있다.
쿠션 연락 링크(238)의 후단은, 백 메인프레임(16)에, 틸팅 중심축(16A)의 아래쪽[틸팅 중심축(16A)에서 오프셋된 위치]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쿠션 연결 링크(236), 쿠션 지지부(208), 제 5 링크(282), 쿠션 서브 프레임(212), 제 6 링크(284) 및 쿠션 연락 링크(238)의 회동이 록되고, 쿠션 링크기구(204)의 동작이 규제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도 상기 제 26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특히, 리클라이닝기구(18)가 조작되고, 시트백(12)이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하여 뒤쪽으로 틸팅됨으로써, 시트백(12)이 시트 쿠션(30)의 뒤쪽에서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고, 시트(340)가 격납(이른바 뒤로 쓰러 뜨려 격납)된다.
시트(340)가 격납될 때에는, 백 메인프레임(16)[시트백(12)]이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하여 뒤쪽으로 틸팅되고, 쿠션 연락 링크(238)가 앞쪽으로 이동됨으로써, 쿠션 지지부(208) 또는 쿠션 연결 링크(236)의 앞쪽으로의 이동에 의 하여 쿠션 연결 링크(236)가 앞쪽으로 회동되고, 쿠션 메인프레임(206)과 쿠션 지지부(208)와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됨과 동시에, 쿠션 지지부(208)의 앞쪽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제 5 링크(282)가 앞쪽으로 회동되고, 쿠션 지지부(208)와 쿠션 서브 프레임(212)과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된다. 이 때문에, 쿠션 사이드부(30B) 및 쿠션 메인부(30A)의 통상 사용시의 두께를 두껍게 한 경우에도 시트(340)의 격납에 따라 쿠션 사이드부(30B) 및 쿠션 메인부(30A)의 두께를 쿠션 메인프레임(206)보다 바깥쪽 부분에서 수축시켜 동등하게 할 수 있고, 시트(340)의 격납시에 있어서의 차실(짐칸)의 공간[시트 쿠션(30) 위쪽 공간]을 크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23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시트(340)가 이른바 스페이스 업 수납 타입으로 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도 15 참조).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쿠션 연락 링크(238)의 후단을 백 메인프레임(16)에 틸팅 중심축(16A)의 아래쪽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구성으로 하였으나, 도 6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쿠션 연락 링크(238)의 후단을 백 메인프레임(16)에 틸팅 중심축(16A)의 위쪽[틸팅 중심축(16A)에서 오프셋된 위치]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 제 6 링크(284)의 전단이 쿠션 메인프레임(206)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과 동시에, 제 6 링크(284)의 후단이 쿠션 서브 프레임(212), 또는 제 5 링크(282)의 하단(회동 중심)이외의 위치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시트(340)가 격납될 때에는, 백 메인프레임(16)[시트백(12)]이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하여 뒤쪽으로 틸팅되고, 쿠션 연락 링크(238)가 뒤쪽 으로 이동됨으로써, 쿠션 지지부(208) 또는 쿠션 연결 링크(236)의 뒤쪽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쿠션 연결 링크(236)가 뒤쪽으로 회동되고, 쿠션 메인프레임(206)과 쿠션 지지부(208)와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됨과 동시에, 쿠션 지지부(208)의 뒤쪽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제 5 링크(282)가 뒤쪽으로 회동되고, 쿠션 지지부(208)와 쿠션 서브 프레임(212)과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된다.
(제 31 실시형태)
도 67에는, 본 발명의 시트구조가 적용되어 구성된 제 31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350)의 주요부가 왼쪽에서 본 측면도로 나타나 있고, 도 68에는 시트(350)의 주요부가 앞쪽에서 본 단면도로 나타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350)는, 상기 제 17 실시형태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나, 이하의 점에서 다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350)에서는, 쿠션 메인프레임(206) 뒷부분의 좌우 양쪽부분이, 백 메인프레임(16)의 하단에 틸팅 중심축(16A)의 앞쪽[틸팅 중심축(16A)에서 오프셋된 위치]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 17 실시형태에서의 아암(210)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쿠션 앞쪽 링크(216)의 상하방향 중간부에는, 축형상 또는 판형상의 규제부(352)가 설치되어 있고, 규제부(352)는 쿠션 앞쪽 링크(216)로부터 좌우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쿠션 메인프레임(206)의 아래쪽[시트 쿠션(30)의 안쪽 부분]에는, 쿠션 신축 수단의 쿠션 안쪽 부재로서의 언더커버(354)가 설치되어 있다. 언더커버(354)는, 대략 직육면체형 용기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면이 개방되어 있고, 언더커버(354) 뒷부분의 좌우 양쪽부분은, 각각 쿠션 메인프레임(206) 뒷부분의 좌우 양쪽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언더커버(354)의 아랫벽 중앙에는, 직사각형상의 개구(356)가 관통형성되어 있고, 개구(356)에 쿠션 앞쪽 링크(216)가 삽입됨으로써, 쿠션 앞쪽 링크(216)에 의한 쿠션 메인프레임(206)과 차체측의 연결이 허용되어 있다. 언더커버(354)는, 시트 쿠션 본체(30C)[시트 쿠션(30)의 언더커버(354)이외의 부분]에 걸어 맞춰져 아래쪽으로의 회동이 규제되어 있고, 이에 의하여 언더커버(354)가 시트 쿠션 본체(30C)의 아래쪽을 피복함과 동시에, 언더커버(354)의 아랫벽과 쿠션 메인프레임(206)이 이간되고, 언더커버(354)의 아랫벽과 시트 쿠션 본체(30C)의 하면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언더커버(354)의 아랫벽에는 쿠션 앞쪽 링크(216)의 규제부(352)가 위쪽에서 맞닿아 있고, 이에 의하여 언더커버(354)의 위쪽으로의 회동이 규제되어 있다.
언더커버(354)의 뒷벽에는, 좌우 양쪽부분에서 길이가 길게 이루어진 뒤쪽 삽입구멍(358)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뒤쪽 삽입구멍(358)은,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됨과 동시에, 위쪽으로 개방되어 있다. 뒤쪽 삽입구멍(358)에는 백 메인프레임(16)의 하단이 삽입되어 있고, 이에 의하여 백 메인프레임(16) 하단의 쿠션 메인프레임(206)에 대한 연결이 허용되어 있다. 언더커버(354)의 앞벽에서 아랫벽 앞 부분에는, 좌우 양쪽부분에서 길이가 길게 이루어진 앞쪽 삽입구멍(360)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앞쪽 삽입구멍(360)은, 쿠션 앞쪽 링크(216)의 앞쪽에서 상하방향 및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됨과 동시에, 개구(356)에 연통되어 있다.
언더커버(354)의 외주면 전체는, 쿠션 피복부재로서의 추가 쿠션 표피(도시생략)에 피복되고, 언더커버(354)가 추가 쿠션 표피에 수용되어 있고, 이에 의하여 언더커버(354) 나아가서는 시트 쿠션(30)의 외관이 좋게 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이상의 구성의 시트(350)에서는, 백 메인프레임(16)의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한 틸팅이 리클라이닝기구(18)에 의해 록된 상태에서, 쿠션 앞쪽 링크(216)의 하단이 차체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쿠션 메인프레임(206), 쿠션 앞쪽 링크(216), 쿠션 서브 프레임(212) 및 언더커버(354)의 회동이 록되고, 쿠션 링크기구(204)의 동작이 규제되어 있다. 이 때문에, 쿠션 링크기구(204)[쿠션 서브 프레임(212)]에 의한 쿠션 사이드부(30B)의 아래쪽으로부터의 지지 강성을 높게 할 수 있어, 시트(350)에 착석한 승객으로부터 쿠션 사이드부(30B)에 좌우방향의 하중이 걸려도 쿠션 사이드부(30B)가 승객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쿠션 링크기구(204)의 작동면[쿠션 서브 프레임(212)의 회동면]이, 시트 쿠션(30)의 좌우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시트 쿠션(30)의 좌우방향에의 하중에 대한 쿠션 사이드부(30B)의 쿠션 링크기구(204)에 의한 지지 강성을 높게 할 수 있어, 시트(10)에 착석한 승객으로부터 쿠션 사이드부(30B)에 좌우방향의 하중이 걸려도 쿠션 사이드부(30B)가 승객을 한층 더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또, 리클라이닝기구(18)가 조작되어, 시트백(12)이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 으로 하여 앞쪽으로 틸팅됨으로써, 시트백(12)이 시트 쿠션(30)의 위쪽에 겹쳐져, 시트(350)가 격납(이른바 앞으로 쓰러뜨려 격납)된다(도 69 참조).
시트(350)가 격납될 때에는, 백 메인프레임(16)[시트백(12)]이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하여 앞쪽으로 틸팅되고, 쿠션 메인프레임(206)[시트 쿠션(30)]이 뒤쪽으로 이동됨으로써, 쿠션 앞쪽 링크(216)가 앞쪽 삽입구멍(360)에 삽입되면서 뒤쪽으로 회동되고, 시트 쿠션(30)이 뒤쪽 또한 아래쪽으로 이동된다.
또한, 시트(350)가 격납될 때에는, 쿠션 앞쪽 링크(216)가 뒤쪽으로 회동됨으로써, 쿠션 앞쪽 링크(216)의 상단과 쿠션 메인프레임(206)에 대한 연결위치와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되고, 쿠션 서브 프레임(212)의 쿠션 메인프레임(206)에 대한 쿠션 메인프레임(206)측에의 회동에 의하여 쿠션 서브 프레임(212)과 쿠션 메인프레임(206)과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된다. 또한 쿠션 앞쪽 링크(216)의 쿠션 메인 프레임(206)에 대한 연결위치와 규제부(352)와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되고, 언더커버(354) 아랫벽의 차실 바닥면(202)에의 맞닿음에 의한 쿠션 메인프레임(206)의 언더커버(354)에 대한 언더커버(354) 아랫벽측으로의 회동에 의하여 시트 쿠션 본체(30C)의 하면이 언더커버(354)의 아랫벽에 맞닿을 때까지 언더커버(354) 내에 시트 쿠션 본체(30C)가 삽입된다. 이 때문에 쿠션 사이드부(30B) 및 쿠션 메인부(30A)의 통상 사용시의 두께를 두껍게 한 경우에도 시트(350)의 격납에 따라 쿠션 사이드부(30B)의 두께를 쿠션 메인프레임(206)보다 바깥쪽 부분에서 수축시킴과 동시에, 쿠션 사이드부(30B) 및 쿠션 메인부(30A)의 두께를 쿠션 메인프레임(206)보다 안쪽 부분에서 수축시키고, 쿠션 사이드부(30B)와 쿠션 메인부(30A)와의 두께를 동등하게 할 수 있어, 시트(350)의 격납시에 있어서의 차실(짐칸)의 공간[시트(350) 위쪽 공간]을 크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도 상기 제 17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쿠션 메인프레임(206) 뒷부분의 좌우 양쪽부분을 백 메인프레임(16)에 틸팅 중심축(16A)의 앞쪽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구성으로 하였으나, 도 7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쿠션 메인프레임(206) 뒷부분의 좌우 양쪽부분을 아암(210)을 거쳐 백 메인프레임(16)에 틸팅 중심축(16A)의 위쪽[틸팅 중심축(16A)에서 오프셋된 위치]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 시트(350)가 격납될 때에는, 백 메인프레임(16)[시트백(12)]이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하여 앞쪽으로 틸팅되고, 쿠션 메인프레임(206)[시트 쿠션(30)]이 앞쪽으로 이동됨으로써, 쿠션 앞쪽 링크(216)가 앞쪽으로 회동되고, 시트 쿠션(30)이 앞쪽 또한 아래쪽으로 이동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쿠션 앞쪽 링크(216)에 규제부(352)를 설치한 구성으로 하였으나, 쿠션 앞쪽 링크(216)에 규제부(352)를 설치하지 않은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제 32 실시형태)
도 71에는, 본 발명의 시트구조가 적용되어 구성된 제 32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370)의 주요부가 왼쪽에서 본 측면도로 나타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370)는, 상기 제 31 실시형태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나, 이하의 점에서 다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370)에서는, 쿠션 앞쪽 링크(216)가 상단에서 쿠션 메인프레임(206)의 앞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쿠션 앞쪽 링크(216)는 쿠션 서브 프레임(212)을 지지하지 않음과 동시에, 상기 제 31 실시형태에서의 규제부(352)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쿠션 메인프레임(206) 앞 부분의 좌우 양쪽부분에는, 조정 링크(222)의 중간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조정 링크(222)는 상단에서 쿠션 서브 프레임(212)을 아래쪽에서 지지하고 있다. 조정 링크(222)의 하단에는, 둥근 축형상의 슬라이드축(372)이 고정되어 있고, 슬라이드축(372)은 조정 링크(222)로부터 좌우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조정 링크(222)의 중간부(회동중심)에는, 조작기구로서의 원기둥형상의 조작레버(42)가 결합되어 있고, 조작레버(42)는 다이얼식의 레귤레이터 등으로 되어 있다. 조작레버(42)에는 록기구로서의 회전 록기구(도시생략)가 설치되어 있고, 회전 록기구에 의하여 조작레버(42)의 회전이 저지됨으로써, 조정 링크(222) 및 쿠션 서브 프레임(212)의 회동이 규제되어 있다. 조작레버(42)는 시트 쿠션(30)의 옆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조작레버(42)가 회전 조작됨으로써, 조정 링크(222)가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언더커버(354) 아랫벽 상면의 앞 부분 근방에는, 좌우 양쪽부분에서 가이드부재로서의 단면 역U자형 판형상의 가이드판(374)이 고정되어 있고, 가이드판(374) 의 윗벽은 평판형상으로 되어 있다. 가이드판(374) 내에는 조정 링크(222)의 슬라이드축(372)이 삽입되어 있고, 이에 의하여 가이드판(374)의 윗벽이 슬라이드축(372)에 걸어 맞춰져 언더커버(354)의 아래쪽에의 회동이 규제됨으로써, 쿠션 링크기구(204)의 작동이 록되고, 또 언더커버(354)가 시트 쿠션 본체(30C)의 아래쪽을 피복하고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이상의 구성의 시트(370)에서는, 백 메인프레임(16)의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한 틸팅이 리클라이닝기구(18)에 의하여 록된 상태에서 쿠션 앞쪽 링크(216)의 하단이 차체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회전 록기구에 의해 조작레버(42)의 회전이 저지됨으로써, 쿠션 메인프레임(206), 쿠션 앞쪽 링크(216), 조정 링크(222), 쿠션 서브 프레임(212) 및 언더커버(354)의 회동이 록되고, 쿠션 링크기구(204)의 동작이 규제되어 있다. 이 때문에 쿠션 링크기구(204)[쿠션 서브 프레임(212)]에 의한 쿠션 사이드부(30B)의 아래쪽으로부터의 지지 강성을 높게 할 수 있어, 시트(370)에 착석한 승객으로부터 쿠션 사이드부(30B)에 좌우방향의 하중이 걸려도 쿠션 사이드부(30B)가 승객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쿠션 링크기구(204)의 작동면[쿠션 서브 프레임(212)의 회동면]이, 시트 쿠션(30)의 좌우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시트 쿠션(30)의 좌우방향으로의 하중에 대한 쿠션 사이드부(30B)의 쿠션 링크기구(204)에 의한 지지 강성을 높게 할 수 있어, 시트(10)에 착석한 승객으로부터 쿠션 사이드 부(30B)에 좌우방향의 하중이 걸려도 쿠션 사이드부(30B)가 승객을 한층 더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또, 조작레버(42)의 회전 록기구에 의한 회전저지가 해제된 상태에서, 조작레버(42)가 회전 조작되고, 조정 링크(222)가 회동됨으로써, 조정 링크(222)의 상단과 쿠션 메인프레임(206)에 대한 연결위치와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신축되어 쿠션 서브 프레임(212)의 쿠션 메인프레임(206)에 대한 회동에 의하여 쿠션 서브 프레임(212)과 쿠션 메인프레임(206)과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신축된다. 또한 조정 링크(222)의 슬라이드축(372)의 가이드판(374) 내에서의 슬라이드에 의하여 조정 링크(222)의 쿠션 메인프레임(206)에 대한 연결위치와 슬라이드축(372)과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신축되고, 언더커버(354)가 쿠션 메인프레임(206)에 대하여 회동되면서 쿠션 메인프레임(206)과 언더커버(354) 아랫벽과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신축된다. 이에 의하여 시트(370)의 격납과 독립하여 쿠션 사이드부(30B)의 두께를 쿠션 메인프레임(206)보다 바깥쪽 부분에서 신축시킴과 동시에, 쿠션 사이드부(30B) 및 쿠션 메인부(30A)의 두께를 쿠션 메인 프레임(206)보다 안쪽 부분에서 신축시켜, 쿠션 사이드부(30B) 및 쿠션 메인부(30A)의 두께를 조정할 수 있다.
(제 33 실시형태)
도 72(A)에는 본 발명의 시트구조가 적용되어 구성된 제 33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380)의 주요부가 왼쪽에서 본 측면도로 나타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380)는, 상기 제 31 실시형태와 대략 동일한 구성 이나, 이하의 점에서 다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트(380) 앞쪽의 차실 바닥면(202)이, 시트(380) 바로 밑의 차실 바닥면(202)보다 낮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380)는, 이른바 백을 앞으로 쓰러뜨려 격납하는 타입의 것으로 되어 있다.
쿠션 앞쪽 링크(216)의 하단은, 차체측의 앞 브래킷(23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쿠션 앞쪽 링크(216)는, 상단에서 쿠션 메인프레임(206)의 앞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쿠션 앞쪽 링크(216)는, 쿠션 연락기구로서 기능하지 않고, 쿠션 서브 프레임(212)을 직접적으로는 지지하고 있지 않다. 또, 쿠션 앞쪽 링크(216)에는 상기 제 31 실시형태에서의 규제부(352)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쿠션 메인프레임(206)의 뒷부분 아래쪽에는, 좌우 양쪽부분에서 록기구로서의 뒤쪽 록기구(234)가 결합되어 있고, 뒤쪽 록기구(234)가 차체측에 록됨으로써, 쿠션 메인프레임(206)이 뒤쪽 록기구(234) 및 쿠션 앞쪽 링크(216)에 지지되고, 시트 쿠션(30)이 차체측에 연결되어 있다. 또, 뒤쪽 록기구(234)는 언더커버(354)의 개구(356)에 삽입되어 있고, 이에 의하여 뒤쪽 록기구(234)에 의한 쿠션 메인프레임(206)과 차체측과의 연결이 허용되어 있다.
쿠션 메인프레임(206)의 뒷부분에는 좌우 양쪽부분에서 아암(210)이 고정되어 있고, 아암(210)에는 백 메인프레임(16)의 하단이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하여 틸팅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백 메인프레임(16)이 아암(210), 쿠션 메인프레임(206), 뒤쪽 록기구(234) 및 쿠션 앞쪽 링크(216)를 거쳐 차체측에 지지되고, 시트백(12)이 차체측에 지지되어 있다.
쿠션 서브 프레임(212)에는, 쿠션 신축수단의 쿠션 연결수단으로서의 쿠션 연결 링크(236)가, 소정수(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 상단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쿠션 서브 프레임(212) 앞 부분의 쿠션 연결 링크(236)는 중간부에서 쿠션 메인프레임(206)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쿠션 연결 링크(236) 이외의 쿠션 연결 링크(236)는 하단에서 쿠션 메인프레임(206)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 쿠션 메인프레임(206)과 쿠션 서브 프레임(212)은, 상기 제 31 실시형태에서의 쿠션 연결축(214)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지 않다.
쿠션 서브 프레임(212) 앞 부분의 쿠션 연결 링크(236)에는, 하단에서 둥근 축형상의 슬라이드축(372)이 고정되어 있고, 슬라이드축(372)은 상기 쿠션 연결 링크(236)로부터 좌우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언더커버(354) 아랫벽 상면의 앞 부분 근방에는, 좌우 양쪽부분에서 가이드부재로서의 단면 역 U자형 판형상의 가이드판(374)이 고정되어 있고, 가이드판(374)의 윗벽은 평판형상으로 되어 있다. 가이드판(374) 내에는 상기 슬라이드축(372)이 삽입되어 있고, 이에 의하여 가이드판(374)의 윗벽이 슬라이드축(372)에 걸어 맞춰져 언더커버(354)의 아래쪽으로의 회동이 규제됨으로써, 언더커버(354)가 시트 쿠션 본체(30C)의 아래쪽을 피복함과 동시에, 언더커버(354)의 아랫벽과 쿠션 메인프레임(206)이 이간되어 언더커버(354)의 아랫벽과 시트 쿠션 본체(30C)의 하면과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쿠션 서브 프레임(212) 후단, 또는 쿠션 서브 프레임(212) 뒷부분의 쿠션 연 결 링크(236)의 상단(하단 이외이면 된다)에는, 쿠션 연락기구로서의 쿠션 연락 링크(238)의 전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쿠션 연락 링크(238)의 후단은, 백 메인프레임(16)에, 틸팅 중심축(16A)의 위쪽[틸팅 중심축(16A)에서 오프셋된 위치]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쿠션 연결 링크(236), 쿠션 서브 프레임(212), 쿠션 연락 링크(238) 및 언더커버(354)의 회동이 록되고, 쿠션 링크기구(204)의 동작이 규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이상의 구성의 시트(380)에서는, 쿠션 메인프레임(206)이 뒤쪽 록기구(234) 및 쿠션 앞쪽 링크(216)에 지지되어 록된 상태에서 백 메인프레임(16)의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한 틸팅이 리클라이닝기구(18)에 의하여 록됨으로써, 쿠션 메인프레임(206), 아암(210), 쿠션 연결 링크(236), 쿠션 서브 프레임(212), 쿠션 연락 링크(238) 및 언더커버(354)의 회동이 록되고, 쿠션 링크기구(204)의 동작이 규제되어 있다. 이 때문에, 쿠션 링크기구(204)[쿠션 서브 프레임(212)]에 의한 쿠션 사이드부(30B)의 아래쪽으로부터의 지지 강성을 높게 할 수 있어, 시트(380)에 착석한 승객으로부터 쿠션 사이드부(30B)에 좌우방향의 하중이 걸려도 쿠션 사이드부(30B)가 승객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쿠션 링크기구(204)의 작동면[쿠션 서브 프레임(212)의 회동면]이, 시트 쿠션(30)의 좌우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시트 쿠션(30)의 좌우방향에의 하중에 대한 쿠션 사이드부(30B)의 쿠션 링크기구(204)에 의한 지지 강성을 높게 할 수 있어, 시트(10)에 착석한 승객으로부터 쿠션 사이드부(30B) 에 좌우방향의 하중이 걸려도 쿠션 사이드부(30B)가 승객을 한층 더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또, 리클라이닝기구(18)가 조작되어, 시트백(12)이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하여 앞쪽으로 틸팅됨으로써, 시트백(12)이 시트 쿠션(30)의 위쪽에 겹쳐져, 시트(380)가 격납(이른바 앞으로 쓰러뜨려 격납)된다[도 72(B) 참조].
시트(380)가 격납될 때에는 백 메인프레임(16)[시트백(12)]이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하여 앞쪽으로 틸팅되고, 쿠션 연락 링크(238)가 앞쪽으로 이동됨으로써, 쿠션 서브 프레임(212) 또는 쿠션 연결 링크(236)의 앞쪽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쿠션 연결 링크(236)가 회동되고, 쿠션 서브 프레임(212)과 쿠션 메인프레임(206)과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된다. 또한 쿠션 연결 링크(236)의 슬라이드축(372)의 가이드판(374) 내에서의 슬라이드에 의하여 쿠션 연결 링크(236)의 쿠션 메인프레임(206)에 대한 연결위치와 슬라이드축(372)과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되고, 언더커버(354)가 쿠션 메인프레임(206)에 대하여 쿠션 메인프레임(206)측으로 회동되면서, 쿠션 메인프레임(206)과 언더커버(354) 아랫벽과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된다. 이 때문에 쿠션 사이드부(30B) 및 쿠션 메인부(30A)의 통상 사용시의 두께를 두껍게 한 경우에도 시트(380)의 격납에 따라 쿠션 사이드부(30B)의 두께를 쿠션 메인프레임(206)보다 바깥쪽 부분에서 수축시킴과 동시에, 쿠션 사이드부(30B) 및 쿠션 메인부(30A)의 두께를 쿠션 메인프레임(206)보다 안쪽 부분에서 수축시켜 쿠션 사이드부(30B)와 쿠션 메인부(30A)와의 두께를 동등하게 할 수 있고, 시트(380)의 격납시에 있어서의 차실(짐칸)의 공간[시트(380)위쪽의 공간]을 크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도 상기 제 31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쿠션 연락 링크(238)의 후단을 백 메인프레임(16)에 틸팅 중심축(16A)의 위쪽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구성으로 하였으나, 도 7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쿠션 연락 링크(238)의 후단을 백 메인프레임(16)에 틸팅 중심축(16A)의 아래쪽[틸팅 중심축(16A)에서 오프셋된 위치]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 시트(380)가 격납될 때에는 백 메인프레임(16)[시트백(12)]이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하여 앞쪽으로 틸팅되고, 쿠션 연락 링크(238)가 뒤쪽으로 이동됨으로써, 쿠션 서브 프레임(212) 또는 쿠션 연결 링크(236)의 뒤쪽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쿠션 연결 링크(236)가 회동되고, 쿠션 서브 프레임(212)과 쿠션 메인프레임(206)과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된다. 또한 쿠션 연결 링크(236)의 슬라이드축(372)의 가이드판(374) 내에서의 슬라이드에 의하여 쿠션 연결 링크(236)의 쿠션 메인프레임(206)에 대한 연결위치와 슬라이드축(372)과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되고, 언더커버(354)가 쿠션 메인프레임(206)에 대하여 쿠션 메인프레임(206)측으로 회동되면서, 쿠션 메인프레임(206)과 언더커버(354) 아랫벽과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된다.
(제 34 실시형태)
도 74에는, 본 발명의 시트구조가 적용되어 구성된 제 34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390)의 주요부가 왼쪽에서 본 측면도로 나타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390)는, 상기 제 31 실시형태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나, 이하의 점에서 다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트(390) 앞쪽의 차실 바닥면(202)이, 시트(390) 바로 밑의 차실 바닥면(202)보다 낮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390)는, 이른바 더블 폴드 격납 타입의 것으로 되어 있다.
쿠션 메인프레임(206)의 앞 부분 아래쪽에는, 좌우 양쪽부분에서 제 4 링크(242)의 상단이 회동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제 4 링크(242)의 하단은, 차체측의 앞 브래킷(23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 쿠션 메인프레임(206)의 뒷부분은 백 메인프레임(16)의 하단에 직접적으로는 연결되어 있지 않다.
쿠션 메인프레임(206)의 뒷부분 아래쪽에는, 좌우 양쪽부분에서 록기구로서의 뒤쪽 록기구(234)가 결합되어 있고, 뒤쪽 록기구(234)가 차체측에 록됨으로써, 쿠션 메인프레임(206)이 뒤쪽 록기구(234) 및 제 4 링크(242)에 지지되고, 시트 쿠션(30)이 차체측에 지지되어 있다.
또, 뒤쪽 록기구(234) 및 제 4 링크(242)는 언더커버(354)의 개구(356)에 삽입되어 있고, 이에 의하여 뒤쪽 록기구(234) 및 제 4 링크(242)에 의한 쿠션 메인프레임(206)과 차체측의 연결이 허용되어 있다.
쿠션 앞쪽 링크(216)의 하단은, 차체측의 앞 브래킷(232)에 제 4 링크(242)의 앞 브래킷(232)에 대한 연결위치(회동 중심)의 뒤쪽(상기 연결위치로부터 오프 셋된 위치)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쿠션 앞쪽 링크(216)는, 쿠션 메인프레임(206)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에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쿠션 앞쪽 링크(216)는, 상단에서 쿠션 서브 프레임(212)에 회동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이에 의하여 쿠션 앞쪽 링크(216) 및 쿠션 서브 프레임(212)의 회동이 록되어 있다. 또, 쿠션 앞쪽 링크(216)에는 상기 제 31 실시형태에서의 규제부(352)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언더커버(354)의 아랫벽 앞 부분에는, 좌우 양쪽부분의 아래쪽에서 쿠션 연락기구를 구성하는 제 7 링크(392)의 상단이 회동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제 7 링크(392)의 하단은, 차체측의 앞 브래킷(232)에, 제 4 링크(242)의 앞 브래킷(232)에 대한 연결위치(회동 중심)의 앞쪽(상기 연결위치로부터 오프셋된 위치)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제 7 링크(392) 및 언더커버(354)의 회동이 록되어, 쿠션 링크기구(204)의 동작이 규제되고, 또한 언더커버(354)가 시트 쿠션 본체(30C)의 아래쪽을 피복함과 동시에, 언더커버(354)의 아랫벽과 쿠션 메인프레임(206)이 이간되고, 언더커버(354)의 아랫벽과 시트 쿠션 본체(30C) 하면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이상의 구성의 시트(390)에서는, 쿠션 메인프레임(206)이 뒤쪽 록기구(234) 및 제 4 링크(242)에 지지되어 록된 상태에서 쿠션 앞쪽 링크(216) 및 제 7 링크(392)의 하단이 차체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제 4 링크(242), 쿠션 메인프레임(206), 쿠션 앞쪽 링크(216), 쿠션 서브 프레임(212), 제 7 링크(392) 및 언더커버(354)의 회동이 록되고, 쿠션 링크기구(204)의 작동이 록되어 있다. 이 때문에, 쿠션 링크기구(204)[쿠션 서브 프레임(212)]에 의한 쿠션 사이드부(30B)의 아래쪽으로부터의 지지 강성을 높게 할 수 있어, 시트(390)에 착석한 승객으로부터 쿠션 사이드부(30B)에 좌우방향의 하중이 걸려도 쿠션 사이드부(30B)가 승객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쿠션 링크기구(204)의 작동면[쿠션 서브 프레임(212)의 회동면]이, 시트 쿠션(30)의 좌우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시트 쿠션(30)의 좌우방향에의 하중에 대한 쿠션 사이드부(30B)의 쿠션 링크기구(204)에 의한 지지 강성을 높게 할 수 있고, 시트(10)에 착석한 승객으로부터 쿠션 사이드부(30B)에 좌우방향의 하중이 걸려도 쿠션 사이드부(30B)가 승객을 한층 더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또, 뒤쪽 록기구(234)의 차체측에의 록이 해제되어, 시트 쿠션(30)이 앞쪽으로 약 90°회동됨으로써, 시트 쿠션(30)이 대략 수직하게 기립된 후에, 리클라이닝기구(18)가 조작되고, 시트백(12)이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하여 앞쪽으로 틸팅됨으로써, 시트백(12)이 시트 쿠션(30)의 뒤쪽에서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고, 시트(390)가 격납(이른바 더블 폴드 격납)된다(도 10과 마찬가지).
시트(390)가 격납될 때[시트 쿠션(30)이 앞쪽으로 회동될 때]에는, 제 4 링크(242), 쿠션 앞쪽 링크(216) 및 제 7 링크(392)가 앞쪽으로 약 90°회동됨으로써, 제 4 링크(242)와 쿠션 앞쪽 링크(216)와의 회동궤적과의 차이에 의하여 쿠션 메인프레임(206)에의 제 4 링크(242)의 연결위치와 쿠션 서브 프레임(212)에 대한 쿠션 앞쪽 링크(216)의 연결위치와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되고, 쿠션 서브 프레임(212)이 쿠션 메인 프레임(206)에 대하여 쿠션 메인 프레임(206)측으로 회동되고, 쿠션 메인프레임(206)과 쿠션 서브 프레임(212)과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된다. 또한 제 4 링크(242)와 제 7 링크(392)의 회동궤적과의 차이에 의하여 쿠션 메인프레임(206)에 대한 제 4 링크(242)의 연결위치와 언더커버(354)에 대한 제 7 링크(392)의 연결위치와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되고, 쿠션 메인프레임(206)이 언더커버(354)에 대하여 언더커버(354)측으로 회동되고, 쿠션 메인프레임(206)과 언더커버(354) 아랫벽과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된다. 이 때문에 쿠션 사이드부(30B) 및 쿠션 메인부(30A)의 통상 사용시의 두께를 두껍게 한 경우에도 시트(390)의 격납에 따라 쿠션 사이드부(30B)의 두께를 쿠션 메인프레임(206)보다 바깥쪽 부분에서 수축시킴과 동시에, 쿠션 사이드부(30B) 및 쿠션 메인부(30A)의 두께를 쿠션 메인프레임(206)보다 안쪽 부분에서 수축시켜, 쿠션 사이드부(30B)와 쿠션 메인부(30A)와의 두께를 동등하게 할 수 있고, 시트(390)의 격납시에 있어서의 차실(짐칸)의 공간[시트 쿠션(30)의 앞쪽 및 뒤쪽 공간]을 크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시트(390) 앞쪽의 시트(도시생략)의 뒤쪽으로의 틸팅(리클라이닝) 가능 각도를 크게 할 수 있다.
(제 35 실시형태)
도 75에는 본 발명의 시트구조가 적용되어 구성된 제 35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400)의 주요부가 왼쪽 비스듬하게 뒤쪽에서 본 분해사시도로 나타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400)는, 상기 제 31 실시형태와 대략 동일한 구성 이나, 이하의 점에서 다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400)는, 이른바 더블 플랫 격납 타입의 것으로 되어 있다.
쿠션 메인프레임(206)의 앞 부분은, 좌우 양쪽부분에서 차체측의 고정 브래킷(252)에, 제 1 연결축(254)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 쿠션 메인프레임(206)의 뒷부분은, 백 메인프레임(16)의 하단에 직접적으로는 연결되어 있지 않다.
쿠션 메인프레임(206)의 뒷부분 아래쪽에는, 좌우 양쪽부분에서 록기구로서의 뒤쪽 록기구(234)가 결합되어 있고, 뒤쪽 록기구(234)가 차체측에 록됨으로써, 쿠션 메인프레임(206)이 뒤쪽 록기구(234) 및 고정 브래킷(252)에 지지되고, 시트 쿠션(30)이 차체측에 지지되어 있다. 또 뒤쪽 록기구(234)는 언더커버(354)의 개구(356)에 삽입되어 있고, 이에 의하여 뒤쪽 록기구(234)에 의한 쿠션 메인프레임(206)과 차체측의 연결이 허용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 31 실시형태에서의 쿠션 앞쪽 링크(216)[규제부(352)를 포함한다]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쿠션 서브 프레임(212)의 앞 부분에는, 쿠션 연락기구를 구성하는 쿠션 연동 링크(256)의 상단이 회동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쿠션 연동 링크(256)의 하단은, 고정 브래킷(252)에 제 1 연결축(254)[쿠션 메인프레임(206)의 회동중심]의 위쪽[제 1 연결축(254)으로부터 오프셋된 위치]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쿠션 연동 링크(256) 및 쿠션 서브 프레임(212)의 회동이 록되어 있 다.
언더커버(354)의 앞 부분에는 좌우 양쪽부분에서 쿠션 연락기구를 구성하는 커버 연동 링크(402)의 하단이 회동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커버 연동 링크(402)의 상단은, 고정 브래킷(252)에 제 1 연결축(254)[쿠션 메인프레임(206)의 회동중심]의 아래쪽[제 1 연결축(254)으로부터 오프셋된 위치]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커버 연동 링크(402) 및 언더커버(354)의 회동이 록되어, 쿠션 링크기구(204)의 동작이 규제되고, 또 언더커버(354)가 시트 쿠션 본체(30C)의 아래쪽을 피복함과 동시에, 언더커버(354)의 아랫벽과 쿠션 메인프레임(206)이 이간되고, 언더커버(354)의 아랫벽과 시트 쿠션 본체(30C)의 하면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이상의 구성의 시트(400)에서는, 쿠션 메인프레임(206)이 뒤쪽 록기구(234) 및 고정 브래킷(252)에 지지되어 록된 상태에서 쿠션 연동 링크(256)의 하단 및 커버 연동 링크(402)의 상단이 고정 브래킷(25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쿠션 메인프레임(206), 쿠션 연동 링크(256), 쿠션 서브 프레임(212), 커버 연동 링크(402) 및 언더커버(354)의 회동이 록되고, 쿠션 링크기구(204)의 동작이 규제되어 있다. 이 때문에 쿠션 링크기구(204)[쿠션 서브 프레임(212)]에 의한 쿠션 사이드부(30B)의 아래쪽으로부터의 지지 강성을 높게 할 수 있어, 시트(400)에 착석한 승객으로부터 쿠션 사이드부(30B)에 좌우방향의 하중이 걸려도 쿠션 사이드부(30B)가 승객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쿠션 링크기구(204)의 작동면[쿠션 서브 프레임(212)의 회동면]이, 시트 쿠션(30)의 좌우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시트 쿠션(30)의 좌우방향에의 하중에 대한 쿠션 사이드부(30B)의 쿠션 링크기구(204)에 의한 지지 강성을 높게 할 수 있어, 시트(10)에 착석한 승객으로부터 쿠션 사이드부(30B)에 좌우방향의 하중이 걸려도 쿠션 사이드부(30B)가 승객을 한층 더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또, 뒤쪽 록기구(234)의 차체측에 대한 록이 해제되어, 시트 쿠션(30)이 앞쪽으로 약 180°회동됨으로써 시트 쿠션(30)이 대략 수평으로 반전된 후에, 리클라이닝기구(18)가 조작되고, 시트백(12)이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하여 앞쪽으로 틸팅됨으로써, 시트백(12)이 시트 쿠션(30)의 뒤쪽에서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고, 시트(400)가 격납(이른바 더블 플랫 격납)된다(도 11과 마찬가지).
시트(400)가 격납될 때[시트 쿠션(30)이 앞쪽으로 회동될 때]에는, 쿠션 메인프레임(206), 쿠션 서브 프레임(212)[쿠션 연동 링크(256)를 포함한다] 및 언더커버(354)[커버 연동 링크(402)를 포함한다]가 앞쪽으로 약 180°회동됨으로써, 쿠션 메인프레임(206)과 쿠션 서브 프레임(212)과의 회동궤적과의 차이에 의하여 제 1 연결축(254)과 쿠션 서브 프레임(212)에 대한 쿠션 연동 링크(256)의 연결위치와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되고, 쿠션 서브 프레임(212)이 쿠션 메인프레임(206)에 대하여 쿠션 메인프레임(206)측으로 회동되고, 쿠션 메인프레임(206)과 쿠션 서브 프레임(212)과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된다. 또한 쿠션 메인프레임(206)와 언더커버(354)의 회동궤적과의 차이에 의하여 제 1 연결축(254)과 언더커버(354)에 대한 커버 연동 링크(402)의 연결위치와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되고, 언더커버(354)가 쿠션 메인프레임(206)에 대하여 쿠션 메인 프레임(206)으로 회동되고, 쿠션 메인프레임(206)과 언더커버(354) 아랫벽과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된다. 이 때문에 쿠션 사이드부(30B) 및 쿠션 메인부(30A)의 통상 사용시의 두께를 두껍게 한 경우에도 시트(400)의 격납에 따라 쿠션 사이드부(30B)의 두께를 쿠션 메인프레임(206)보다 바깥쪽 부분에서 수축시킴과 동시에, 쿠션 사이드부(30B) 및 쿠션 메인부(30A)의 두께를 쿠션 메인프레임(206)보다 안쪽 부분에서 수축시켜, 쿠션 사이드부(30B)와 쿠션 메인부(30A)와의 두께를 동등하게 할 수 있고, 시트(400)의 격납시에 있어서의 차실(짐칸)의 공간[시트 쿠션(30) 아래쪽의 공간]을 크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시트 쿠션(30)의 차실 바닥면(202)과의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제 36 실시형태)
도 76에는 본 발명의 시트구조가 적용되어 구성된 제 36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410)의 주요부가 왼쪽 비스듬하게 앞쪽에서 본 분해사시도로 나타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410)는, 상기 제 31 실시형태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나, 이하의 점에서 다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410)는, 이른바 칩업 격납 타입의 것으로 되어 있다.
쿠션 메인프레임(206)의 전후방향 중간부는, 좌우 양쪽부분에서 차체측의 레그(26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쿠션 메인프레임(206)의 레그(262)에 대 한 회동은 록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쿠션 메인프레임(206)이 레그(262)에 지지되고, 시트 쿠션(30)이 차체측에 지지되어 있다. 또, 쿠션 메인프레임(206)의 뒷부분은 백 메인프레임(16)의 하단에 직접적으로는 연결되어 있지 않다.
쿠션 앞쪽 링크(216)는, 쿠션 신축수단을 구성하고 있고, 쿠션 앞쪽 링크(216)의 상단은 쿠션 서브 프레임(21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과 동시에, 쿠션 앞쪽 링크(216)는 쿠션 메인프레임(206) 및 차체측에 연결되어 있지 않다. 또, 쿠션 앞쪽 링크(216)에는 상기 제 31 실시형태에서의 규제부(352)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쿠션 앞쪽 링크(216)에는, 상단(회동 중심)이외에서 쿠션 연락기구로서의 쿠션 작동 링크(264)의 전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쿠션 작동 링크(264)의 후단은, 레그(262)에, 쿠션 메인프레임(206)의 연결위치의 아래쪽(상기 연결위치로부터 오프셋된 위치)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쿠션 작동 링크(264), 쿠션 앞쪽 링크(216) 및 쿠션 서브 프레임(212)의 회동이 록되어 있다.
쿠션 앞쪽 링크(216)의 하단에는, 둥근 축형상의 슬라이드축(372)이 고정되어 있고, 슬라이드축(372)은 쿠션 앞쪽 링크(216)로부터 좌우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언더커버(354) 아랫벽 상면의 앞 부분 근방에는, 좌우 양쪽부분에서 가이드부재로서의 단면 역U자형 판형상의 가이드판(374)이 고정되어 있고, 가이드판(374)의 윗벽은 평판형상으로 되어 있다. 가이드판(374) 내에는 상기 슬라이드축(372)이 삽입되어 있고, 이에 의하여 가이드판(374)의 윗벽이 슬라이드축(372)에 걸어 맞춰져 언더커버(354)의 아래쪽으로의 회동이 규제됨으로써, 쿠션 링크기구(204)의 작동이 록되고, 또한 언더커버(354)가 시트 쿠션 본체(30C)의 아래쪽을 피복함과 동시에, 언더커버(354)의 아랫벽과 쿠션 메인프레임(206)이 이간되고, 언더커버(354)의 아랫벽과 시트 쿠션 본체(30C)의 하면과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이상의 구성의 시트(410)에서는, 쿠션 메인프레임(206)이 차체측의 레그(262)에 대한 회동을 록한 상태에서 쿠션 작동 링크(264)의 후단이 레그(26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쿠션 메인프레임(206), 쿠션 서브 프레임(212), 쿠션 앞쪽 링크(216), 쿠션 작동 링크(264) 및 언더커버(354)의 회동이 록되고, 쿠션 링크기구(204)의 동작이 규제되어 있다. 이 때문에 쿠션 링크기구(204)[쿠션 서브 프레임(212)]에 의한 쿠션 사이드부(30B)의 아래쪽으로부터의 지지 강성을 높게 할 수 있어, 시트(410)에 착석한 승객으로부터 쿠션 사이드부(30B)에 좌우방향의 하중이 걸려도 쿠션 사이드부(30B)가 승객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쿠션 링크기구(204)의 작동면[쿠션 서브 프레임(212)의 회동면]이, 시트 쿠션(30)의 좌우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시트 쿠션(30)의 좌우방향에의 하중에 대한 쿠션 사이드부(30B)의 쿠션 링크기구(204)에 의한 지지 강성을 높게 할 수 있어, 시트(10)에 착석한 승객으로부터 쿠션 사이드부(30B)에 좌우방향의 하중이 걸려도 쿠션 사이드부(30B)가 승객을 한층 더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또, 쿠션 메인프레임(206)의 레그(262)에 대한 회동의 록이 해제되어, 시트 쿠션(30)이 뒤쪽으로 회동됨으로써, 시트 쿠션(30)이 시트백(12)의 앞쪽에서 대략 수직하게 배치되고, 시트(410)가 격납(이른바 칩업 격납)된다(도 17과 마찬가지).
시트(410)가 격납될 때[시트 쿠션(30)이 뒤쪽으로 회동될 때]에는, 쿠션 메인프레임(206) 및 쿠션 작동 링크(264)[쿠션 앞쪽 링크(216)를 포함한다]가 뒤쪽으로 약 90°회동됨으로써, 쿠션 메인프레임(206)과 쿠션 작동 링크(264)의 회동궤적과의 차이에 의하여 쿠션 앞쪽 링크(216)가 쿠션 메인프레임(206) 및 쿠션 작동 링크(264)에 대하여 회동되고, 쿠션 서브 프레임(212)이 쿠션 메인프레임(206)에 대하여 쿠션 메인프레임(206)측으로 회동되면서 쿠션 메인프레임(206)과 쿠션 서브 프레임(212)과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된다. 또한 쿠션 앞쪽 링크(216)의 슬라이드축(372)의 가이드판(374) 내에서의 슬라이드에 의하여 언더커버(354)가 쿠션 메인프레임(206)에 대하여 쿠션 메인프레임(206)측으로 회동되면서, 쿠션 메인프레임(206)과 언더커버(354) 아랫벽과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된다. 이에 의하여 쿠션 사이드부(30B) 및 쿠션 메인부(30A)의 통상 사용시의 두께를 두껍게 한 경우 에도 시트(410)의 격납에 따라 쿠션 사이드부(30B)의 두께를 쿠션 메인프레임(206)보다 바깥쪽 부분에서 수축시킴과 동시에, 쿠션 사이드부(30B) 및 쿠션 메인부(30A)의 두께를 쿠션 메인프레임(206)보다 안쪽 부분에서 수축시켜, 쿠션 사이드부(30B)와 쿠션 메인부(30A)와의 두께를 동등하게 할 수 있고, 시트(410)의 격납시에 있어서의 차실(짐칸)의 공간[시트(410)의 앞쪽 및 뒤쪽 공간]을 크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2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시트(410)가 이른바 텁블 수납 타입으로 된 구성[도 5(A) 참조], 시트(410)가 이른바 스페이스 업 수납 타입으로 된 구성[도 5(B) 참조], 또는 시트(410)가 이른바 뒤쪽 바닥 밑 수납 타입으로 된 구성[도 5(C) 참조]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쿠션 작동 링크(264)의 후단을 레그(262)의 쿠션 메인프레임(206)과의 연결위치의 아래쪽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구성으로 하였으나, 쿠션 작동 링크(264)의 후단을 레그(262)의 쿠션 메인프레임(206)와의 연결위치의 위쪽(상기 연결위치로부터 오프셋된 위치)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쿠션 메인프레임(206)의 레그(262)에 대한 회동을 록한 구성으로 하였으나, 쿠션 앞쪽 링크(216)의 하단을 차체측에 록 가능하게 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 쿠션 메인프레임(206)의 레그(262)에 대한 회동을 록할 필요를 없앨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쿠션 앞쪽 링크(216)를, 언더커버(354)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함과 동시에, 쿠션 서브 프레임(21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구성으로 하였으나, 쿠션 앞쪽 링크(216)를 언더커버(354)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함과 동시에, 쿠션 서브 프레임(21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 쿠션 작동 링크(264)는 쿠션 앞쪽 링크(216)의 언더커버(354)에 대한 연결위치 이외의 위치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구성이면 된다.
(제37 실시형태)
도 77에는 본 발명의 시트구조가 적용되어 구성된 제 37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420)의 주요부가 왼쪽에서 본 측면도로 나타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420)는, 상기 제 33 실시형태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나, 이하의 점에서 다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420)는, 이른바 백을 뒤로 쓰러뜨려 격납하는 타입의 것으로 되어 있다.
쿠션 연락 링크(238)의 후단은, 백 메인프레임(16)에, 틸팅 중심축(16A)의 아래쪽[틸팅 중심축(16A)에서 오프셋된 위치]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쿠션 연결 링크(236), 쿠션 서브 프레임(212), 쿠션 연락 링크(238) 및 언더커버(354)의 회동이 록되고, 쿠션 링크기구(204)의 동작이 규제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도 상기 제 33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특히, 리클라이닝기구(18)가 조작되어 시트백(12)이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하여 뒤쪽으로 틸팅됨으로써, 시트백(12)이 시트 쿠션(30)의 뒤쪽에서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고, 시트(420)가 격납(이른바 뒤로 쓰러뜨려 격납)된다.
시트(420)가 격납될 때에는, 백 메인프레임(16)[시트백(12)]이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하여 뒤쪽으로 틸팅되고, 쿠션 연락 링크(238)가 앞쪽으로 이동됨으로써, 쿠션 서브 프레임(212) 또는 쿠션 연결 링크(236)의 앞쪽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쿠션 연결 링크(236)가 회동되고, 쿠션 서브 프레임(212)과 쿠션 메인프레임(206)과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된다. 또한 쿠션 연결 링 크(236)의 슬라이드축(372)의 가이드판(374) 내에서의 슬라이드에 의하여 쿠션 연결 링크(236)의 쿠션 메인프레임(206)에 대한 연결위치와 슬라이드축(372)과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되고, 언더커버(354)가 쿠션 메인프레임(206)에 대하여 쿠션 메인프레임(206)측으로 회동되면서, 쿠션 메인프레임(206)과 언더커버(354) 아랫벽과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된다. 이 때문에 쿠션 사이드부(30B) 및 쿠션 메인부(30A)의 통상 사용시의 두께를 두껍게 한 경우에도 시트(420)의 격납에 따라 쿠션 사이드부(30B)의 두께를 쿠션 메인프레임(206)보다 바깥쪽 부분에서 수축시킴과 동시에, 쿠션 사이드부(30B) 및 쿠션 메인부(30A)의 두께를 쿠션 메인프레임(206)보다 안쪽 부분에서 수축시켜, 쿠션 사이드부(30B)와 쿠션 메인부(30A)와의 두께를 동등하게 할 수 있고, 시트(420)의 격납시에 있어서의 차실(짐칸)의 공간[시트 쿠션(30) 위쪽 공간]을 크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23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시트(420)가 이른바 스페이스 업 수납 타입으로 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도 15 참조).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쿠션 연락 링크(238)의 후단을 백 메인프레임(16)에 틸팅 중심축(16A)의 아래쪽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구성으로 하였으나, 도 7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쿠션 연락 링크(238)의 후단을 백 메인프레임(16)에 틸팅 중심축(16A)의 위쪽[틸팅 중심축(16A)에서 오프셋된 위치]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 시트(420)가 격납될 때에는 백 메인프레임(16)[시트백(12)]이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하여 뒤쪽으로 틸팅되고, 쿠션 연락 링크(238)가 뒤쪽으로 이동됨으로써, 쿠션 지지부(208) 또는 쿠션 연결 링 크(236)의 뒤쪽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쿠션 연결 링크(236)가 회동되고, 쿠션 서브 프레임(212)과 쿠션 메인프레임(206)과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된다. 또한 쿠션 연결 링크(236)의 슬라이드축(372)의 가이드판(374) 내에서의 슬라이드에 의하여 쿠션 연결 링크(236)의 쿠션 메인프레임(206)에 대한 연결위치와 슬라이드축(372)과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되어, 언더커버(354)가 쿠션 메인프레임(206)에 대하여 쿠션 메인프레임(206)측으로 회동되면서, 쿠션 메인프레임(206)과 언더커버(354) 아랫벽과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된다.
(제 38 실시형태)
도 79에는 본 발명의 시트구조가 적용되어 구성된 제 38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430)의 주요부가 왼쪽에서 본 측면도로 나타나 있고, 도 80에는 시트(430)의 주요부가 왼쪽 비스듬하게 앞쪽에서 본 사시도로 나타나 있다. 또한 도 82(A)에는 시트(430)의 주요부가 앞쪽에서 본 단면도로 나타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430)는, 상기 제 24 실시형태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나, 이하의 점에서 다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430)에서는, 쿠션 앞쪽 링크(216)에 쿠션 메인프레임(206)에 대한 연결위치의 아래쪽에서 축형상 또는 판형상의 규제부(352)가 설치되어 있고, 규제부(352)는 쿠션 앞쪽 링크(216)로부터 좌우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쿠션 메인프레임(206)의 아래쪽[시트 쿠션(30)의 안쪽 부분]에는, 쿠션 신축 수단의 쿠션 안쪽 부재로서의 언더커버(354)가 설치되어 있다. 언더커버(354)는, 대략 직육면체형 용기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언더커버(354) 뒷부분의 좌우 양쪽부분은, 각각 쿠션 메인프레임(206) 뒷부분의 좌우 양쪽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언더커버(354)의 아랫벽 중앙에는, 직사각형상의 개구(356)가 관통 형성되어 있고, 개구(356)에 쿠션 앞쪽 링크(216)가 삽입됨으로써, 쿠션 앞쪽 링크(216)에 의한 쿠션 메인프레임(206)과 차체측의 연결이 허용되어 있다. 언더커버(354)는, 시트 쿠션 본체(30C)[시트 쿠션(30)의 언더커버(354) 이외의 부분]에 걸어 맞춰져, 아래쪽으로의 회동이 규제되어 있고, 이에 의하여 언더커버(354)가 시트 쿠션 본체(30C)의 아래쪽을 피복함과 동시에, 언더커버(354)의 아랫벽과 쿠션 메인프레임(206)이 이간되어, 언더커버(354)의 아랫벽과 시트 쿠션 본체(30C)의 하면과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언더커버(354)의 아랫벽에는 쿠션 앞쪽 링크(216)의 규제부(352)가 위쪽에서 맞닿아 있고, 이에 의하여 언더커버(354)의 위쪽으로의 회동이 규제되어 있다.
언더커버(354)의 뒷벽에는 좌우 양쪽부분에서 길이가 길게 이루어진 뒤쪽 삽입구멍(358)이 관통형성되어 있고, 뒤쪽 삽입구멍(358)은,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됨과 동시에, 위쪽으로 개방되어 있다. 뒤쪽 삽입구멍(358)에는 아암(210)이 삽입되어 있고, 이에 의하여 아암(210)에 의한 백 메인프레임(16)과 쿠션 메인프레임(206)의 연결이 허용되어 있다.
언더커버(354)의 외주면 전체는 쿠션 피복부재로서의 추가 쿠션 표피(도시생략)에 피복되고, 언더커버(354)가 추가 쿠션 표피에 수용되어 있고, 이에 의하여 언더커버(354) 나아가서는 시트 쿠션(30)의 외관이 좋게 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이상의 구성의 시트(430)에서는, 백 메인프레임(16)의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한 틸팅이 리클라이닝기구(18)에 의하여 록된 상태에서 쿠션 앞쪽 링크(216)의 하단이 차체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쿠션 메인프레임(206), 아암(210), 쿠션 앞쪽 링크(216), 쿠션 연결 링크(236), 쿠션 지지부(208), 제 5 링크(282), 쿠션 서브 프레임(212), 제 6 링크(284) 및 언더커버(354)의 회동이 록되고, 쿠션 링크기구(204)의 동작이 규제되어 있다. 이 때문에, 쿠션 링크기구(204)[쿠션 서브 프레임(212)]에 의한 쿠션 사이드부(30B)의 아래쪽으로부터의 지지 강성을 높게 할 수 있어, 시트(430)에 착석한 승객으로부터 쿠션 사이드부(30B)에 좌우방향의 하중이 걸려도 쿠션 사이드부(30B)가 승객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쿠션 링크기구(204)의 작동면[쿠션 서브 프레임(212)의 회동면]이, 시트 쿠션(30)의 좌우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시트 쿠션(30)의 좌우방향으로의 하중에 대한 쿠션 사이드부(30B)의 쿠션 링크기구(204)에 의한 지지 강성을 높게 할 수 있어, 시트(10)에 착석한 승객으로부터 쿠션 사이드부(30B)에 좌우방향의 하중이 걸려도 쿠션 사이드부(30B)가 승객을 한층 더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또, 리클라이닝기구(18)가 조작되어, 시트백(12)이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하여 앞쪽으로 틸팅됨으로써, 시트백(12)이 시트 쿠션(30)의 위쪽에 겹쳐져 시트(430)가 격납(이른바 앞으로 쓰러뜨려)된다(도 81 참조).
시트(430)가 격납될 때에는, 백 메인프레임(16)[시트백(12)]이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하여 앞쪽으로 틸팅되고, 아암(210)을 거쳐 쿠션 메인프레임(206)[시트 쿠션(30)]이 앞쪽으로 이동됨으로써, 쿠션 앞쪽 링크(216)가 앞쪽으로 회동되고, 시트 쿠션(30)이 앞쪽 또한 아래쪽으로 이동된다.
또한, 시트(430)가 격납될 때에는, 쿠션 앞쪽 링크(216)가 앞쪽으로 회동되고, 쿠션 연결 링크(236)가 앞쪽으로 회동됨으로써, 쿠션 메인프레임(206)과 쿠션 지지부(208)와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됨과 동시에, 쿠션 지지부(208)의 앞쪽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제 5 링크(282)가 앞쪽으로 회동되고, 쿠션 지지부(208)와 쿠션 서브 프레임(212)과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된다(도 82(B) 참조). 또한 쿠션 앞쪽 링크(216)의 쿠션 메인프레임(206)에 대한 연결위치와 규제부(352)와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되어, 언더커버(354) 아랫벽의 차실 바닥면(202)에의 맞닿음에 의한 쿠션 메인프레임(206)의 언더커버(354)에 대한 언더커버(354) 아랫벽측으로의 회동에 의하여, 시트 쿠션 본체(30C)의 하면이 언더커버(354)의 아랫벽에 맞닿을 때까지 언더커버(354) 내에 시트 쿠션 본체(30C)가 삽입된다. 이 때문에 쿠션 사이드부(30B) 및 쿠션 메인부(30A)의 통상 사용시의 두께를 두껍게 한 경우에도 시트(430)의 격납에 따라 쿠션 사이드부(30B) 및 쿠션 메인부(30A)의 두께를 쿠션 메인프레임(206)보다 바깥쪽 부분 및 안쪽 부분에서 수축시켜 동등하게 할 수 있고, 시트(430)의 격납시에서의 차실(짐칸)의 공간[시트(430) 위쪽의 공간]을 크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도 상기 제 24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쿠션 메인프레임(206) 뒷부분의 좌우 양쪽부분을 아암(210)을 거쳐 백 메인프레임(16)에 틸팅 중심축(16A)의 위쪽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구성으로 하였으나, 도 8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쿠션 메인프레임(206) 뒷부분의 좌우 양쪽부분을 백 메인프레임(16)에 틸팅 중심축(16A)의 앞쪽[틸팅 중심축(16A)에서 오프셋된 위치]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 제 6 링크(284)의 전단이 쿠션 메인프레임(206)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과 동시에, 제 6 링크(284)의 후단이 쿠션 서브 프레임(212), 또는 제 5 링크(282)의 하단(회동중심) 이외의 위치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언더커버(354)의 앞벽에서 아랫벽 앞 부분에는 좌우 양쪽부분에서 길이가 길게 이루어진 앞쪽 삽입구멍(360)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앞쪽 삽입구멍(360)은, 쿠션 앞쪽 링크(216)의 앞쪽에서 상하방향 및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됨과 동시에, 개구(356)에 연통되어 있다. 또, 시트(430)가 격납될 때에는 백 메인프레임(16)[시트백(12)]이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하여 앞쪽으로 틸팅되고, 쿠션 메인프레임(206)[시트 쿠션(30)]이 뒤쪽으로 이동됨으로써, 쿠션 앞쪽 링크(216)가 앞쪽 삽입구멍(360)에 삽입되면서 뒤쪽으로 회동되고, 시트 쿠션(30)이 뒤쪽 또한 아래쪽으로 이동된다. 또한 시트(430)가 격납될 때에는 쿠션 앞쪽 링크(216)가 뒤쪽으로 회동되고, 쿠션 연결 링크(236)가 뒤쪽으로 회동됨으로써, 쿠션 메인프레임(206)과 쿠션 지지부(208)와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됨과 동시에 쿠션 지지부(208)의 뒤쪽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제 5 링크(282)가 뒤쪽으로 회동되고, 쿠션 지지부(208)와 쿠션 서브 프레임(212)과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된다. 또한 쿠션 앞쪽 링크(216)의 쿠션 메인프레임(206)에 대한 연결위치와 규제부(352)와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되고, 언더커버(354) 아랫벽의 차실 바닥면(202)에의 맞닿음에 의한 쿠션 메인프레임(206)의 언더커버(354)에 대한 언더커버(354) 아랫벽측으로의 회동에 의하여, 시트 쿠션 본체(30C)의 하면이 언더커버(354)의 아랫벽에 맞닿을 때까지 언더커버(354) 내에 시트 쿠션 본체(30C)가 삽입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쿠션 앞쪽 링크(216)에 규제부(352)를 설치한 구성으로 하였으나, 쿠션 앞쪽 링크(216)에 규제부(352)를 설치하지 않은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제 39 실시형태)
도 84에는 본 발명의 시트구조가 적용되어 구성된 제 39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440)의 주요부가 왼쪽에서 본 측면도로 나타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440)는, 상기 제 38 실시형태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나, 이하의 점에서 다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440)에서는, 쿠션 앞쪽 링크(216)가 상단에서 쿠션 메인프레임(206)의 앞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쿠션 앞쪽 링크(216)는, 쿠션 지지부(208)에 연결되지 않음과 동시에, 상기 제 38 실시형태에서의 규제부(352)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쿠션 메인프레임(206) 앞 부분의 좌우 양쪽부분에는, 조정 링크(222)의 중간 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조정 링크(222)는 상단에서 쿠션 지지부(208)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조정 링크(222)의 하단에는 둥근 축형상의 슬라이드축(372)이 고정되어 있고, 슬라이드축(372)은 조정 링크(222)로부터 좌우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조정 링크(222)의 중간부(회동 중심)에는, 조작기구로서의 원기둥형상의 조작레버(42)가 결합되어 있고, 조작레버(42)는 다이얼식의 레귤레이터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조작레버(42)에는, 록기구로서의 회전 록기구(도시생략)가 설치되어 있고, 회전 록기구에 의하여 조작레버(42)의 회전이 저지됨으로써, 조정 링크(222), 쿠션 연결 링크(236), 쿠션 지지부(208), 제 5 링크(282), 쿠션 서브 프레임(212) 및 제 6 링크(284)의 회동이 록되어 있다. 조작레버(42)는 시트 쿠션(30)의 옆쪽에 돌출되어 있고, 조작레버(42)가 회전조작됨으로써, 조정 링크(222)가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언더커버(354) 아랫벽 상면의 앞 부분 근방에는, 좌우 양쪽부분에서 가이드부재로서의 단면 역U자형 판형상의 가이드판(374)이 고정되어 있고, 가이드판(374)의 윗벽은 평판형상으로 되어 있다. 가이드판(374) 내에는 조정 링크(222)의 슬라이드축(372)이 삽입되어 있고, 이에 의하여 가이드판(374)의 윗벽이 슬라이드축(372)에 걸어 맞춰져 언더커버(354)의 아래쪽으로의 회동이 규제됨으로써, 쿠션 링크기구(204)의 동작이 규제되고, 또한 언더커버(354)가 시트 쿠션 본체(30C)의 아래쪽을 피복하고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이상의 구성의 시트(440)에서는, 백 메인프레임(16)의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한 틸팅이 리클라이닝기구(18)에 의하여 록된 상태에서 쿠션 앞쪽 링크(216)의 하단이 차체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회전 록기구에 의하여 조작레버(42)의 회전이 저지됨으로써, 쿠션 메인프레임(206), 아암(210), 쿠션 앞쪽 링크(216), 조정 링크(222), 쿠션 연결 링크(236), 쿠션지지부(208), 제 5 링크(282), 쿠션 서브 프레임(212), 제 6 링크(284) 및 언더커버(354)의 회동이 록되고, 쿠션 링크기구(204)의 동작이 규제되어 있다. 이 때문에 쿠션 링크기구(204)[쿠션 서브 프레임(212)]에 의한 쿠션 사이드부(30B)의 아래쪽으로부터의 지지 강성을 높게 할 수 있어, 시트(440)에 착석한 승객으로부터 쿠션 사이드부(30B)에 좌우방향의 하중이 걸려도 쿠션 사이드부(30B)가 승객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쿠션 링크기구(204)의 작동면[쿠션 서브 프레임(212)의 회동면]이, 시트 쿠션(30)의 좌우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시트 쿠션(30)의 좌우방향으로의 하중에 대한 쿠션 사이드부(30B)의 쿠션 링크기구(204)에 의한 지지 강성을 높게 할 수 있어, 시트(10)에 착석한 승객으로부터 쿠션 사이드부(30B)에 좌우방향의 하중이 걸려도 쿠션 사이드부(30B)가 승객을 한층 더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또, 조작레버(42)의 회전 록기구에 의한 회전저지가 해제된 상태에서 조작레버(42)가 회전 조작되고, 조정 링크(222) 및 쿠션 연결 링크(236)가 회동됨으로써, 쿠션 메인프레임(206)과 쿠션 지지부(208)와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신 축됨과 동시에, 쿠션 지지부(208)의 앞쪽 또는 뒤쪽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제 5 링크(282)가 앞쪽 또는 뒤쪽으로 회동되고, 쿠션 지지부(208)와 쿠션 서브 프레임(212)과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신축된다. 또한 조정 링크(222)의 슬라이드축(372)의 가이드판(374) 내에서의 슬라이드에 의하여 조정 링크(222)의 쿠션 메인프레임(206)에 대한 연결위치와 슬라이드축(372)과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신축되어 언더커버(354)가 쿠션 메인프레임(206)에 대하여 회동되면서, 쿠션 메인프레임(206)과 언더커버(354) 아랫벽과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신축된다. 이에 의하여 시트(440)의 격납과 독립하여 쿠션 사이드부(30B) 및 쿠션 메인부(30A)의 두께를, 쿠션 메인프레임(206)보다 바깥쪽 부분 및 안쪽 부분에서 신축시켜 조정할 수 있다.
(제 40 실시형태)
도 85(A)에는, 본 발명의 시트구조가 적용되어 구성된 제 40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450)의 주요부가 왼쪽에서 본 측면도로 나타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450)는, 상기 제 38 실시형태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나, 이하의 점에서 다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트(450) 앞쪽의 차실 바닥면(202)이, 시트(450) 바로 밑의 차실 바닥면(202)보다 낮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450)는, 이른바 백을 앞으로 쓰러뜨려 격납하는 타입의 것으로 되어 있다.
쿠션 앞쪽 링크(216)의 하단은, 차체측의 앞 브래킷(23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쿠션 앞쪽 링크(216)는, 상단에서 쿠션 메인프레임(206)의 앞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쿠션 앞쪽 링크(216)는 쿠션 연락기구로서 기능하지 않고 쿠션 지지부(208)에 직접적으로는 연결되어 있지 않다. 또 쿠션 앞쪽 링크(216)에는 상기 제 38 실시형태에서의 규제부(352)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쿠션 메인프레임(206)의 뒷부분 아래쪽에는, 좌우 양쪽부분에서 록기구로서의 뒤쪽 록기구(234)가 결합되어 있고, 뒤쪽 록기구(234)가 차체측에 록됨으로써, 쿠션 메인프레임(206)가 뒤쪽 록기구(234) 및 쿠션 앞쪽 링크(216)에 지지되고, 시트 쿠션(30)이 차체측에 지지되어 있다. 또 뒤쪽 록기구(234)는 언더커버(354)의 개구(356)에 삽입되어 있고, 이에 의하여 뒤쪽 록기구(234)에 의한 쿠션 메인프레임(206)과 차체측의 연결이 허용되어 있다.
백 메인프레임(16)의 하단은, 아암(210)에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하여 틸팅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에 의하여 백 메인프레임(16)이 아암(210), 쿠션 메인프레임(206), 뒤쪽 록기구(234) 및 쿠션 앞쪽 링크(216)를 거쳐 차체측에 지지되고, 시트백(12)이 차체측에 지지되어 있다.
쿠션 지지부(208)에는 쿠션 신축수단의 쿠션 연결수단으로서의 쿠션 연결 링크(236)가 기설정된 수(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 상단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쿠션 지지부(208) 앞 부분의 쿠션 연결 링크(236)는 중간부에서 쿠션 메인프레임(206)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쿠션 연결 링크(236) 이외의 쿠션 연결 링크(236)는 하단에서 쿠션 메인프레임(206)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쿠션 지지부(208) 앞 부분의 쿠션 연결 링크(236)에는, 하단에서 둥근 축형상의 슬라이드축(372)이 고정되어 있고, 슬라이드축(372)은 상기 쿠션 연결 링크(236)로부터 좌우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언더커버(354) 아랫벽 상면의 앞 부분 근방에는, 좌우 양쪽부분에서 가이드부재로서의 단면 역 U자형 판형상의 가이드판(374)이 고정되어 있고, 가이드판(374)의 윗벽은 평판형상으로 되어 있다. 가이드판(374) 내에는 상기 슬라이드축(372)이 삽입되어 있고, 이에 의하여 가이드판(374)의 윗벽이 슬라이드축(372)에 걸어 맞춰져 언더커버(354)의 아래쪽으로의 회동이 규제됨으로써, 언더커버(354)가 시트 쿠션 본체(30C)의 아래쪽을 피복함과 동시에, 언더커버(354)의 아랫벽과 쿠션 메인프레임(206)이 이간되고, 언더커버(354)의 아랫벽과 시트 쿠션 본체(30C)의 하면과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쿠션 서브 프레임(212) 후단, 또는 쿠션 지지부(208) 뒷부분의 쿠션 연결 링크(236)의 상단(하단 이외이면 된다)에는, 쿠션 연락기구로서의 쿠션 연락 링크(238)의 전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쿠션 연락 링크(238)의 후단은, 백 메인프레임(16)에 틸팅 중심축(16A)의 위쪽[틸팅 중심축(16A)에서 오프셋된 위치]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쿠션 연결 링크(236), 쿠션 지지부(208), 제 5 링크(282), 쿠션 서브 프레임(212), 제 6 링크(284), 쿠션 연락 링크(238) 및 언더커버(354)의 회동이 록되고, 쿠션 링크기구(204)의 동작이 규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이상의 구성의 시트(450)에서는 쿠션 메인프레임(206)이 뒤쪽 록기구(234) 및 쿠션 앞쪽 링크(216)에 지지되어 록된 상태에서 백 메인프레임(16)의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한 틸팅이 리클라이닝기구(18)에 의하여 록됨으로써, 쿠션 메인프레임(206), 아암(210), 쿠션 연결 링크(236), 쿠션 지지부(208), 제 5 링크(282), 쿠션 서브 프레임(212), 제 6 링크(284), 쿠션 연락 링크(238) 및 언더커버(354)의 회동이 록되고, 쿠션 링크기구(204)의 동작이 규제되어 있다. 이 때문에 쿠션 링크기구(204)[쿠션 서브 프레임(212)]에 의한 쿠션 사이드부(30B)의 아래쪽으로부터의 지지 강성을 높게 할 수 있어, 시트(450)에 착석한 승객으로부터 쿠션 사이드부(30B)에 좌우방향의 하중이 걸려도 쿠션 사이드부(30B)가 승객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쿠션 링크기구(204)의 작동면[쿠션 서브 프레임(212)의 회동면]이, 시트 쿠션(30)의 좌우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시트 쿠션(30)의 좌우방향에의 하중에 대한 쿠션 사이드부(30B)의 쿠션 링크기구(204)에 의한 지지 강성을 높게 할 수 있어, 시트(10)에 착석한 승객으로부터 쿠션 사이드부(30B)에 좌우방향의 하중이 걸려도 쿠션 사이드부(30B)가 승객을 한층 더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또, 리클라이닝기구(18)가 조작되어 시트백(12)이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하여 앞쪽으로 틸팅됨으로써, 시트백(12)이 시트 쿠션(30)의 위쪽에 겹쳐져 시트(450)가 격납(이른바 앞으로 쓰러뜨려 격납)된다[도 85(B) 참조].
시트(450)가 격납될 때에는, 백 메인프레임(16)[시트백(12)]이 틸팅 중심 축(16A)을 중심으로 하여 앞쪽으로 틸팅되고, 쿠션 연락 링크(238)가 앞쪽으로 이동됨으로써 쿠션 지지부(208) 또는 쿠션 연결 링크(236)의 앞쪽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쿠션 연결 링크(236)가 앞쪽으로 회동되고, 쿠션 메인프레임(206)과 쿠션 지지부(208)와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됨과 동시에, 쿠션 지지부(208)의 앞쪽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제 5 링크(282)가 앞쪽으로 회동되고, 쿠션 지지부(208)와 쿠션 서브 프레임(212)과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된다. 또한 쿠션 연결 링크(236)의 슬라이드축(372)의 가이드판(374) 내에서의 슬라이드에 의하여 쿠션 연결 링크(236)의 쿠션 메인프레임(206)에 대한 연결위치와 슬라이드축(372)과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되고, 언더커버(354)가 쿠션 메인프레임(206)에 대하여 쿠션 메인프레임(206)측으로 회동되면서, 쿠션 메인프레임(206)과 언더커버(354) 아랫벽과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된다. 이 때문에 쿠션 사이드부(30B) 및 쿠션 메인부(30A)의 통상 사용시의 두께를 두껍게 한 경우에도, 시트(450)의 격납에 따라 쿠션 사이드부(30B) 및 쿠션 메인부(30A)의 두께를 쿠션 메인프레임(206)보다 바깥쪽 부분 및 안쪽 부분에서 수축시켜 동등하게 할 수 있고, 시트(450)의 격납시에 있어서의 차실(짐칸)의 공간[시트(450) 위쪽 공간]을 크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도 상기 제 38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쿠션 연락 링크(238)의 후단을 백 메인프레임(16)에 틸팅 중심축(16A)의 위쪽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구성으로 하였으나, 도 8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쿠션 연락 링크(238)의 후단을 백 메인프레임(16)에 틸팅 중심축(16A)의 아래쪽[틸팅 중심축(16A)에서 오프셋된 위치]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 제 6 링크(284)의 전단이 쿠션 메인프레임(206)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과 동시에, 제 6 링크(284)의 후단이 쿠션 서브 프레임(212), 또는 제 5 링크(282)의 하단(회동중심) 이외의 위치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시트(450)가 격납될 때에는 백 메인프레임(16)[시트백(12)]이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하여 앞쪽으로 틸팅되고, 쿠션 연락 링크(238)가 뒤쪽으로 이동됨으로써, 쿠션 지지부(208) 또는 쿠션 연결 링크(236)의 뒤쪽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쿠션 연결 링크(236)가 뒤쪽으로 회동되고, 쿠션 메인프레임(206)과 쿠션 지지부(208)와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됨과 동시에, 쿠션 지지부(208)의 뒤쪽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제 5 링크(282)가 뒤쪽으로 회동되고, 쿠션 지지부(208)와 쿠션 서브 프레임(212)과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된다. 또한 쿠션 연결 링크(236)의 슬라이드축(372)의 가이드판(374) 내에서의 슬라이드에 의하여 쿠션 연결 링크(236)의 쿠션 메인프레임(206)에 대한 연결위치와 슬라이드축(372)과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되고, 언더커버(354)가 쿠션 메인프레임(206)에 대하여 쿠션 메인프레임(206)측으로 회동되면서, 쿠션 메인프레임(206)과 언더커버(354) 아랫벽과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된다.
(제 41 실시형태)
도 87에는, 본 발명의 시트구조가 적용되어 구성된 제 41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460)의 주요부가 왼쪽에서 본 측면도로 나타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460)는, 상기 제 38 실시형태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나, 이하의 점에서 다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트(460) 앞쪽의 차실 바닥면(202)이, 시트(460) 바로 밑의 차실 바닥면(202)보다 낮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460)는, 이른바 더블 폴드 격납 타입의 것으로 되어 있다.
쿠션 메인프레임(206)의 앞 부분 아래쪽에는, 좌우 양쪽부분에서 제 4 링크(242)의 상단이 회동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제 4 링크(242)의 하단은, 차체측의 앞 브래킷(23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 38 실시형태에서의 아암(210)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
쿠션 메인프레임(206)의 뒷부분 아래쪽에는, 좌우 양쪽부분에서 록기구로서의 뒤쪽 록기구(234)가 결합되어 있고, 뒤쪽 록기구(234)가 차체측에 록됨으로써, 쿠션 메인프레임(206)이 뒤쪽 록기구(234) 및 제 4 링크(242)에 지지되고, 시트 쿠션(30)이 차체측에 지지되어 있다.
또, 뒤쪽 록기구(234) 및 제 4 링크(242)는 언더커버(354)의 개구(356)에 삽입되어 있고, 이에 의하여 뒤쪽 록기구(234) 및 제 4 링크(242)에 의한 쿠션 메인프레임(206)과 차체측의 연결이 허용되어 있다.
쿠션 연결 링크(236)는, 쿠션 메인프레임(206)의 좌우 양쪽부분에 기설정된 수(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 하단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기설정된 수의 쿠션 연결 링크(236)는, 상단에서 쿠션 지지부(208)의 좌우 양쪽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쿠션 앞쪽 링크(216)의 하단은, 차체측의 앞 브래킷(232)에, 제 4 링크(242)의 앞 브래킷(232)에 대한 연결위치(회동중심)의 뒤쪽(상기 연결위치로부터 오프셋된 위치)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쿠션 앞쪽 링크(216)는, 쿠션 메인프레임(206)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쿠션 앞쪽 링크(216)는, 상단에서 쿠션 서브 프레임(212)에 회동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이에 의하여 쿠션 앞쪽 링크(216), 쿠션 연결 링크(236), 쿠션 지지부(208), 제 5 링크(282) 및 쿠션 서브 프레임(212)의 회동이 록되어 있다. 또, 쿠션 앞쪽 링크(216)에는 상기 제 38 실시형태에서의 규제부(352)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 38 실시형태에서의 제 6 링크(284)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언더커버(354)의 아랫벽 앞 부분에는, 좌우 양쪽부분의 아래쪽에서 쿠션 연락기구를 구성하는 제 7 링크(392)의 상단이 회동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제 7 링크(392)의 하단은, 차체측의 앞 브래킷(232)에 제 4 링크(242)의 앞 브래킷(232)에 대한 연결위치(회동중심)의 앞쪽(상기 연결위치로부터 오프셋된 위치)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제 7 링크(392) 및 언더커버(354)의 회동이 록되어, 쿠션 링크기구(204)의 동작이 규제되고, 또한 언더커버(354)가 시트 쿠션 본체(30C)의 아래쪽을 피복함과 동시에, 언더 커버(354)의 아랫벽과 쿠션 메인프레임(206)이 이간되고, 언더커버(354)의 아랫벽과 시트 쿠션 본체(30C)의 하면과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이상의 구성의 시트(460)에서는, 쿠션 메인프레임(206)이 뒤쪽 록기구(234) 및 제 4 링크(242)에 지지되어 록된 상태에서 쿠션 앞쪽 링크(216) 및 제 7 링크(392)의 하단이 차체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제 4 링크(242), 쿠션 메인프레임(206), 쿠션 앞쪽 링크(216), 쿠션 연결 링크(236), 쿠션 지지부(208), 제 5 링크(282), 쿠션 서브 프레임(212), 제 7 링크(392) 및 언더커버(354)의 회동이 록되고, 쿠션 링크기구(204)의 동작이 규제되어 있다. 이 때문에 쿠션 링크기구(204)[쿠션 서브 프레임(212)]에 의한 쿠션 사이드부(30B)의 아래쪽으로부터의 지지 강성을 높게 할 수 있어, 시트(460)에 착석한 승객으로부터 쿠션 사이드부(30B)에 좌우방향의 하중이 걸려도 쿠션 사이드부(30B)가 승객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쿠션 링크기구(204)의 작동면[쿠션 서브 프레임(212)의 회동면]이, 시트 쿠션(30)의 좌우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시트 쿠션(30)의 좌우방향으로의 하중에 대한 쿠션 사이드부(30B)의 쿠션 링크기구(204)에 의한 지지 강성을 높게 할 수 있어, 시트(10)에 착석한 승객으로부터 쿠션 사이드부(30B)에 좌우방향의 하중이 걸려도 쿠션 사이드부(30B)가 승객을 한층 더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또, 뒤쪽 록기구(234)의 차체측으로의 록이 해제되어 시트 쿠션(30)이 앞쪽으로 대략 90°회동됨으로써 시트 쿠션(30)이 대략 수직하게 기립된 후에, 리클라 이닝기구(18)가 조작되어 시트백(12)이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하여 앞쪽으로 틸팅됨으로써 시트백(12)이 시트 쿠션(30)의 뒤쪽에서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고, 시트(460)가 격납(이른바 더블 폴드 격납)된다(도 10과 마찬가지).
시트(460)가 격납될 때[시트 쿠션(30)이 앞쪽으로 회동될 때]에는, 제 4 링크(242), 쿠션 앞쪽 링크(216) 및 제 7 링크(392)가 앞쪽으로 약 90°회동됨으로써, 제 4 링크(242)와 쿠션 앞쪽 링크(216)와의 회동궤적과의 차이에 의하여 쿠션 메인프레임(206)에의 제 4 링크(242)의 연결위치와 쿠션 서브 프레임(212)에의 쿠션 앞쪽 링크(216)의 연결위치와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되고, 쿠션 연결 링크(236) 및 제 5 링크(282)가 회동되면서 쿠션 메인프레임(206)과 쿠션 지지부(208)와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 및 쿠션 지지부(208)와 쿠션 서브 프레임(212)과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된다. 또한 제 4 링크(242)와 제 7 링크(392)의 회동궤적과의 차이에 의하여 쿠션 메인프레임(206)에의 제 4 링크(242)의 연결위치와 언더커버(354)에 대한 제 7 링크(392)의 연결위치와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되고, 쿠션 메인프레임(206)이 언더커버(354)에 대하여 언더커버(354)측으로 회동되고, 쿠션 메인프레임(206)과 언더커버(354) 아랫벽과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된다. 이 때문에 쿠션 사이드부(30B) 및 쿠션 메인부(30A)의 통상 사용시의 두께를 두껍게 한 경우에도, 시트(460)의 격납에 따라 쿠션 사이드부(30B) 및 쿠션 메인부(30A)의 두께를 쿠션 메인프레임(206)보다 바깥쪽 부분 및 안쪽 부분에서 수축시켜 동등하게 할 수 있고, 시트(460)의 격납시에 있어서의 차실(짐칸)의 공간[시트 쿠션(30)의 앞쪽 및 뒤쪽 공 간]을 크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시트(460)의 앞쪽의 시트(도시생략)의 뒤쪽으로의 틸팅(리클라이닝) 가능 각도를 크게 할 수 있다.
(제 42 실시형태)
도 88에는, 본 발명의 시트구조가 적용되어 구성된 제 42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470)의 주요부가 왼쪽 비스듬하게 뒤쪽에서 본 분해사시도로 나타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470)는, 상기제38의 실시형태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나, 이하의 점에서 다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470)는, 이른바 더블 플랫 격납 타입의 것으로 되어 있다.
쿠션 메인프레임(206)의 앞 부분은, 좌우 양쪽부분에서 차체측의 고정 브래킷(252)에 제 1 연결축(254)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 38 실시형태에서의 아암(210) 및 쿠션 앞쪽 링크(216)[규제부(352)를 포함한다]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쿠션 메인프레임(206)의 뒷부분 아래쪽에는, 좌우 양쪽부분에서 록기구로서의 뒤쪽 록기구(234)가 결합되어 있고, 뒤쪽 록기구(234)가 차체측에 록됨으로써, 쿠션 메인프레임(206)이 뒤쪽 록기구(234) 및 고정 브래킷(252)에 지지되고, 시트 쿠션(30)이 차체측에 지지되어 있다. 또 뒤쪽 록기구(234)는 언더커버(354)의 개구(356)에 삽입되어 있고, 이에 의하여 뒤쪽 록기구(234)에 의한 쿠션 메인프레임(206)과 차체측의 연결이 허용되어 있다.
쿠션 연결 링크(236)는, 쿠션 메인프레임(206)의 좌우 양쪽부분에 기설정된 수(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 하단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기설정된 수의 쿠션 연결 링크(236)는, 상단에서 쿠션 지지부(208)의 좌우 양쪽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쿠션 서브 프레임(212)의 앞 부분에는 쿠션 연락기구를 구성하는 쿠션 연동 링크(256)의 상단이 회동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쿠션 연동 링크(256)의 하단은, 고정 브래킷(252)에, 제 1 연결축(254)[쿠션 메인프레임(206)의 회동중심]의 위쪽[제 1 연결축(254)으로부터 오프셋된 위치]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쿠션 연동 링크(256), 쿠션 연결 링크(236), 쿠션 지지부(208), 제 5 링크(282) 및 쿠션 서브 프레임(212)의 회동이 록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38 실시형태에서의 제 6 링크(284)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언더커버(354)의 앞 부분에는 좌우 양쪽부분에서 쿠션 연락기구를 구성하는 커버 연동 링크(402)의 하단이 회동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커버 연동 링크(402)의 상단은, 고정 브래킷(252)에 제 1 연결축(254)[쿠션 메인프레임(206)의 회동중심]의 아래쪽[제 1 연결축(254)으로부터 오프셋된 위치]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커버 연동 링크(402) 및 언더커버(354)의 회동이 록되고, 쿠션 링크기구(204)의 동작이 규제되고, 또한 언더커버(354)가 시트 쿠션 본체(30C)의 아래쪽을 피복함과 동시에, 언더커버(354)의 아랫벽과 쿠션 메인프레임(206)이 이간되고, 언더커버(354)의 아랫벽과 시트 쿠션 본체(30C)의 하면과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이상의 구성의 시트(470)에서는, 쿠션 메인프레임(206)이 뒤쪽 록기구(234) 및 고정 브래킷(252)에 지지되어 록된 상태에서 쿠션 연동 링크(256)의 하단 및 커버 연동 링크(402)의 상단이 고정 브래킷(25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쿠션 메인프레임(206), 쿠션 연동 링크(256), 쿠션 연결 링크(236), 쿠션 지지부(208), 제 5 링크(282), 쿠션 서브 프레임(212), 커버 연동 링크(402) 및 언더커버(354)의 회동이 록되고, 쿠션 링크기구(204)의 동작이 규제되어 있다. 이 때문에 쿠션 링크기구(204)[쿠션 서브 프레임(212)]에 의한 쿠션 사이드부(30B)의 아래쪽으로부터의 지지 강성을 높게 할 수 있어, 시트(470)에 착석한 승객으로부터 쿠션 사이드부(30B)에 좌우방향의 하중이 걸려도 쿠션 사이드부(30B)가 승객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쿠션 링크기구(204)의 작동면[쿠션 서브 프레임(212)의 회동면]이, 시트 쿠션(30)의 좌우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시트 쿠션(30)의 좌우방향으로의 하중에 대한 쿠션 사이드부(30B)의 쿠션 링크기구(204)에 의한 지지 강성을 높게 할 수 있어, 시트(10)에 착석한 승객으로부터 쿠션 사이드부(30B)에 좌우방향의 하중이 걸려도 쿠션 사이드부(30B)가 승객을 한층 더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또, 뒤쪽 록기구(234)의 차체측에 대한 록이 해제되어, 시트 쿠션(30)이 앞쪽으로 약 180°회동됨으로써, 시트 쿠션(30)이 대략 수평으로 반전된 후에, 리클라이닝기구(18)가 조작되고, 시트백(12)이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하여 앞쪽으로 틸팅됨으로써, 시트백(12)이 시트 쿠션(30)의 뒤쪽에서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 고, 시트(470)가 격납(이른바 더블 플랫 격납)된다(도 11과 마찬가지).
시트(470)가 격납될 때[시트 쿠션(30)이 앞쪽으로 회동될 때]에는 쿠션 메인프레임(206), 쿠션 서브 프레임(212)[쿠션 연동 링크(256)를 포함한다] 및 언더커버(354)[커버 연동 링크(402)를 포함한다]가 앞쪽으로 약 180°회동됨으로써 쿠션 메인프레임(206)과 쿠션 서브 프레임(212)과의 회동궤적과의 차이에 의하여, 제 1 연결축(254)과 쿠션 서브 프레임(212)에의 쿠션 연동 링크(256)의 연결위치와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되고, 쿠션 연결 링크(236) 및 제 5 링크(282)가 회동되면서 쿠션 메인프레임(206)과 쿠션 지지부(208)와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 및 쿠션 지지부(208)와 쿠션 서브 프레임(212)과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된다. 또한 쿠션 메인프레임(206)과 언더커버(354)와의 회동궤적과의 차이에 의하여, 제 1 연결축(254)과 언더커버(354)에 대한 커버 연동 링크(402)의 연결위치와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되고, 언더커버(354)가 쿠션 메인프레임(206)에 대하여 쿠션 메인프레임(206)측으로 회동되고, 쿠션 메인프레임(206)과 언더커버(354) 아랫벽과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된다. 이에 의하여 쿠션 사이드부(30B) 및 쿠션 메인부(30A)의 통상 사용시의 두께를 두껍게 한 경우에도, 시트(470)의 격납에 따라 쿠션 사이드부(30B) 및 쿠션 메인부(30A)의 두께를 쿠션 메인프레임(206)보다 바깥쪽 부분 및 안쪽 부분에서 수축시켜 동등하게 할 수 있고, 시트(470)의 격납시에 있어서의 차실(짐칸)의 공간[시트 쿠션(30) 위쪽 공간]을 크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시트 쿠션(30)의 차실 바닥면(202)과의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제 43 실시형태)
도 89에는, 본 발명의 시트구조가 적용되어 구성된 제 43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480)의 주요부가 왼쪽 비스듬하게 앞쪽에서 본 분해사시도로 나타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480)는, 상기 제 38 실시형태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나, 이하의 점에서 다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480)는, 이른바 칩업 격납 타입의 것으로 되어 있다.
쿠션 메인프레임(206)의 전후방향 중간부는, 좌우 양쪽부분에서 차체측의 레그(26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쿠션 메인프레임(206)의 레그(262)에 대한 회동은 록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쿠션 메인프레임(206)이 레그(262)에 지지되고, 시트 쿠션(30)이 차체측에 지지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 38 실시형태에서의 아암(210)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
쿠션 앞쪽 링크(216)는 쿠션 신축수단을 구성하고 있고, 쿠션 앞쪽 링크(216)는 쿠션 메인프레임(206) 및 차체측에 연결되어 있지 않다. 또 쿠션 앞쪽 링크(216)에는 상기 제 38 실시형태에서의 규제부(352)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쿠션 앞쪽 링크(216)에는, 상단(회동중심) 이외에서 쿠션 연락기구로서의 쿠션 작동 링크(264)의 전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쿠션 작동 링크(264)의 후단은, 레그(262)에 쿠션 메인프레임(206)의 연결위치의 아래쪽(상기 연결위치로부터 오프셋된 위치)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쿠션작동 링크(264), 쿠션 앞쪽 링크(216), 쿠션 연결 링크(236), 쿠션 지지부(208), 제 5 링 크(282), 쿠션 서브 프레임(212) 및 제 6 링크(284)의 회동이 록되어 있다.
쿠션 앞쪽 링크(216)의 하단에는, 둥근 축형상의 슬라이드축(372)이 고정되어 있고, 슬라이드축(372)은 쿠션 앞쪽 링크(216)로부터 좌우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언더커버(354) 아랫벽 상면의 앞 부분 근방에는, 좌우 양쪽부분에서 가이드부재로서의 단면 역U자형 판형상의 가이드판(374)이 고정되어 있고, 가이드판(374)의 윗벽은 평판형상으로 되어 있다. 가이드판(374) 내에는 상기 슬라이드축(372)이 삽입되어 있고, 이에 의하여 가이드판(374)의 윗벽이 슬라이드축(372)에 걸어 맞춰져, 언더커버(354)의 아래쪽으로의 회동이 규제됨으로써, 쿠션 링크기구(204)의 동작이 규제되고, 또한 언더커버(354)가 시트 쿠션 본체(30C)의 아래쪽을 피복함과 동시에, 언더커버(354)의 아랫벽과 쿠션 메인프레임(206)이 이간되고, 언더커버(354)의 아랫벽과 시트 쿠션 본체(30C)의 하면과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이상의 구성의 시트(480)에서는 쿠션 메인프레임(206)이 차체측의 레그(262)에 회동을 록하면서 연결된 상태에서, 쿠션작동 링크(264)가 레그(26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쿠션작동 링크(264), 쿠션 앞쪽 링크(216), 쿠션 연결 링크(236), 쿠션 지지부(208), 제 5 링크(282), 쿠션 서브 프레임(212), 제 6 링크(284) 및 언더커버(354)의 회동이 록되고, 쿠션 링크기구(204)의 동작이 규제되어 있다. 이 때문에, 쿠션 링크기구(204)[쿠션 서브 프레임(212)]에 의한 쿠션 사 이드부(30B)의 아래쪽으로부터의 지지 강성을 높게 할 수 있어, 시트(480)에 착석한 승객으로부터 쿠션 사이드부(30B)에 좌우방향의 하중이 걸려도 쿠션 사이드부(30B)가 승객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쿠션 링크기구(204)의 작동면[쿠션 서브 프레임(212)의 회동면]이, 시트 쿠션(30)의 좌우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시트 쿠션(30)의 좌우방향으로의 하중에 대한 쿠션 사이드부(30B)의 쿠션 링크기구(204)에 의한 지지 강성을 높게 할 수 있어, 시트(10)에 착석한 승객으로부터 쿠션 사이드부(30B)에 좌우방향의 하중이 걸려도 쿠션 사이드부(30B)가 승객을 한층 더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또, 쿠션 메인프레임(206)의 레그(262)에 대한 회동의 록이 해제되어, 시트 쿠션(30)이 뒤쪽으로 회동됨으로써, 시트 쿠션(30)이 시트백(12)의 앞쪽에서 대략 수직하게 배치되고, 시트(480)가 격납(이른바 칩업 격납)된다(도 17과 마찬가지).
시트(480)가 격납될 때[시트 쿠션(30)이 뒤쪽으로 회동될 때]에는, 쿠션 메인프레임(206) 및 쿠션작동 링크(264)[쿠션 앞쪽 링크(216)를 포함한다]가 뒤쪽으로 대략 90°회동됨으로써, 쿠션 메인프레임(206)과 쿠션작동 링크(264)와의 회동궤적과의 차이에 의하여, 쿠션 앞쪽 링크(216)가 쿠션 메인프레임(206) 및 쿠션작동 링크(264)에 대하여 회동되고, 쿠션 연결 링크(236) 및 제 5 링크(282)가 회동되면서 쿠션 메인프레임(206)과 쿠션 지지부(208)와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 및 쿠션 지지부(208)와 쿠션 서브 프레임(212)과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된다. 또한 쿠션 앞쪽 링크(216)의 슬라이드축(372)의 가이드판(374) 내 에서의 슬라이드에 의하여 언더커버(354)가 쿠션 메인프레임(206)에 대하여 쿠션 메인프레임(206)측으로 회동되면서 쿠션 메인프레임(206)과 언더커버(354) 아랫벽과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된다. 이에 의하여 쿠션 사이드부(30B) 및 쿠션 메인부(30A)의 통상 사용시의 두께를 두껍게 한 경우에도, 시트(480)의 격납에 따라 쿠션 사이드부(30B) 및 쿠션 메인부(30A)의 두께를 쿠션 메인프레임(206)보다 바깥쪽 부분 및 안쪽 부분에서 수축시켜 동등하게 할 수 있고, 시트(480)의 격납시에 있어서의 차실(짐칸)의 공간[시트(480)의 앞쪽 및 뒤쪽 공간]을 크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2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시트(480)가 이른바 텀블 수납 타입으로 된 구성[도 5(A) 참조], 시트(480)가 이른바 스페이스 업 수납 타입으로 된 구성[도 5(B) 참조] 또는 시트(480)가 이른바 뒤쪽 바닥 밑 수납 타입으로 된 구성[도 5(C) 참조]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쿠션작동 링크(264)를 레그(262)의 쿠션 메인프레임(206)과의 연결위치의 아래쪽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구성으로 하였으나, 쿠션 작동 링크(264)를 레그(262)의 쿠션 메인프레임(206)과의 연결위치의 위쪽(상기 연결위치로부터 오프셋된 위치)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쿠션 메인프레임(206)의 레그(262)에 대한 회동을 록한 구성으로 하였으나, 쿠션 앞쪽 링크(216)의 하단을 차체측에 록 가능하게 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 쿠션 메인프레임(206)의 레그(262)에 대한 회동 을 록할 필요를 없앨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쿠션 앞쪽 링크(216)를 언더커버(354)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함과 동시에, 쿠션 지지부(208)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구성으로 하였으나, 쿠션 앞쪽 링크(216)를 언더커버(354)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함과 동시에, 쿠션 지지부(208)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 쿠션 작동 링크(264)는, 쿠션 앞쪽 링크(216)의 언더커버(354)에 대한 연결위치 이외의 위치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구성이면 된다.
(제 44 실시형태)
도 90에는, 본 발명의 시트구조가 적용되어 구성된 제 44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490)의 주요부가 왼쪽에서 본 측면도로 나타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490)는, 상기 제 40 실시형태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나, 이하의 점에서 다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490)는, 이른바 백을 뒤로 쓰러뜨려 격납하는 타입의 것으로 되어 있다.
쿠션 연락 링크(238)의 후단은, 백 메인프레임(16)에 틸팅 중심축(16A)의 아래쪽[틸팅 중심축(16A)에서 오프셋된 위치]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쿠션 연결 링크(236), 쿠션 지지부(208), 제 5 링크(282), 쿠션 서브 프레임(212), 제 6 링크(284), 쿠션 연락 링크(238) 및 언더커버(354)의 회동이 록되고, 쿠션 링크기구(204)의 동작이 규제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도 상기 제 40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특히, 리클라이닝기구(18)가 조작되어 시트백(12)이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하여 뒤쪽으로 틸팅됨으로써, 시트백(12)이 시트 쿠션(30)의 뒤쪽에서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고, 시트(490)가 격납(이른바 뒤로 쓰러뜨려 격납)된다.
시트(490)가 격납될 때에는 백 메인프레임(16)[시트백(12)]이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하여 뒤쪽으로 틸팅되고, 쿠션 연락 링크(238)가 앞쪽으로 이동됨으로써, 쿠션 지지부(208) 또는 쿠션 연결 링크(236)의 앞쪽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쿠션 연결 링크(236)가 앞쪽으로 회동되고, 쿠션 메인프레임(206)과 쿠션 지지부(208)와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됨과 동시에, 쿠션 지지부(208)의 앞쪽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제 5 링크(282)가 앞쪽으로 회동되고, 쿠션 지지부(208)와 쿠션 서브 프레임(212)과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된다. 또한 쿠션 연결 링크(236)의 슬라이드축(372)의 가이드판(374) 내에서의 슬라이드에 의하여 쿠션 연결 링크(236)의 쿠션 메인프레임(206)에 대한 연결위치와 슬라이드축(372)과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되고, 언더커버(354)가 쿠션 메인프레임(206)에 대하여 쿠션 메인프레임(206)측으로 회동되면서, 쿠션 메인프레임(206)과 언더커버(354) 아랫벽과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된다. 이 때문에 쿠션 사이드부(30B) 및 쿠션 메인부(30A)의 통상 사용시의 두께를 두껍게 한 경우에도, 시트(490)의 격납에 따라 쿠션 사이드부(30B) 및 쿠션 메인부(30A)의 두께를 쿠션 메인프레임(206)보다 바깥쪽 부분 및 안쪽 부분에서 수축시켜 동등하게 할 수 있고, 시트(490)의 격납시에 있어서의 차실(짐칸)의 공간[시트 쿠션(30) 위쪽 공간]을 크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23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시트(490)가 이른바 스페이스 업 수납 타입으로 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도 15 참조).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쿠션 연락 링크(238)의 후단을 백 메인프레임(16)에 틸팅 중심축(16A)의 아래쪽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구성으로 하였으나, 도 9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쿠션 연락 링크(238)의 후단을 백 메인프레임(16)에 틸팅 중심축(16A)의 위쪽[틸팅 중심축(16A)에서 오프셋된 위치]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 제 6 링크(284)의 전단이 쿠션 메인프레임(206)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과 동시에, 제 6 링크(284)의 후단이 쿠션 서브 프레임(212), 또는 제 5 링크(282)의 하단(회동중심) 이외의 위치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시트(490)가 격납될 때에는 백 메인프레임(16)[시트백(12)]이 틸팅 중심축(16A)을 중심으로 하여 뒤쪽으로 틸팅되고, 쿠션 연락 링크(238)가 뒤쪽으로 이동됨으로써, 쿠션 지지부(208) 또는 쿠션 연결 링크(236)의 뒤쪽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쿠션 연결 링크(236)가 뒤쪽으로 회동되고, 쿠션 메인프레임(206)과 쿠션 지지부(208)와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됨과 동시에, 쿠션 지지부(208)의 뒤쪽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제 5 링크(282)가 뒤쪽으로 회동되고, 쿠션 지지부(208)와 쿠션 서브 프레임(212)과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된다. 또한 쿠션 연결 링크(236)의 슬라이드축(372)의 가이드판(374) 내에서의 슬라이드에 의하여 쿠션 연결 링크(236)의 쿠션 메인프레임(206)에 대한 연결위치와 슬라이드축(372)과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되고, 언더커버(354)가 쿠 션 메인프레임(206)에 대하여 쿠션 메인프레임(206)측으로 회동되면서, 쿠션 메인프레임(206)과 언더커버(354) 아랫벽과의 시트 쿠션(30) 두께방향 거리가 수축된다.
또, 상기 제 31 실시형태 내지 제 44 실시형태에서는, 언더커버(354)를 쿠션 표피(218)의 외부에 설치한 구성으로 하였으나, 언더커버(354)를 쿠션 표피(218) 내에 수용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Claims (19)

  1. 시트백 및 시트 쿠션의 적어도 하나의 좌우방향 측부에 설치된 시트 사이드부와,
    상기 시트 사이드부를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시트백, 시트 쿠션 및 차체측의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어 시트의 사용상태에서 작동이 록되고, 상기 시트백 및 시트 쿠션의 적어도 하나의 동작에 의하여 작동되어 상기 시트 사이드부의 두께를 신축시키는 링크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구조.
  2. 시트백 및 시트 쿠션의 적어도 하나의 좌우방향 측부에 설치된 시트 사이드부와,
    상기 시트 사이드부를 지지하고, 상기 시트백 및 시트 쿠션의 적어도 하나의 동작에 의하여 작동되어 상기 시트 사이드부의 두께를 신축시킴과 동시에, 작동면이 상기 시트백 또는 시트 쿠션의 좌우방향으로 교차하는 링크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기구의 작동면을, 상기 시트백 또는 시트 쿠션의 좌우방향 및 두께 방향에 수직한 방향과 평행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구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시트백 내에 설치된 백 메인프레임과,
    상기 시트백에 상기 백 메인프레임보다 바깥쪽에서 설치된 백 바깥쪽 프레임과 상기 백 메인프레임 및 백 바깥쪽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1 링크를 가지는 백 신축수단과,
    상기 백 신축수단에 연결되고, 상기 시트백 및 시트 쿠션의 적어도 하나의 동작에 의해 상기 백 신축수단이 작동되는 백 연결기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백 연결기구는, 차체측에 상기 시트백의 틸팅 중심축으로부터 오프셋된 위치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구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백 연결기구는, 상기 시트 쿠션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구조.
  7. 제 4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백 신축수단은,
    상기 시트백에 상기 백 바깥쪽 프레임보다 바깥쪽에서 설치된 백 바깥 프레임과,
    상기 백 바깥쪽 프레임 및 백 바깥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2 링크와,
    상기 백 메인프레임 및 백 바깥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3 링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구조.
  8. 제 4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백 신축수단은, 상기 시트백에 상기 백 메인프레임보다 안쪽에서 설치되고 상기 제 1 링크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백 안쪽 프레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구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을 피복하고 상기 백 안쪽 프레임을 수용하는 백 피복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구조.
  10.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시트 쿠션 내에 설치된 쿠션 메인프레임과,
    상기 시트 쿠션에 상기 쿠션 메인프레임보다 바깥쪽에서 설치된 쿠션 바깥쪽 프레임과 상기 쿠션 메인프레임 및 상기 쿠션 바깥쪽 프레임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쿠션 연결수단을 가지는 쿠션 신축수단과,
    상기 쿠션 신축수단에 연락되어, 상기 시트백 및 시트 쿠션의 적어도 하나의 동작에 의해 상기 쿠션 신축수단이 작동되는 쿠션 연락기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구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 연락기구는, 상기 쿠션 메인프레임 및 차체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쿠션 바깥쪽 프레임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구조.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 연락기구는, 상기 시트백에 상기 시트백의 틸팅 중심축으로부터 오프셋된 위치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구조.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 연락기구는, 차체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상기 쿠션 메인프레임에 연결됨과 동시에 차체측에 상기 쿠션 연락기구의 회동중심으로부터 오프셋된 위치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4 링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구조.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 메인프레임은, 차체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상기 쿠션 연락기구는, 차체측에 상기 쿠션 메인프레임의 회동중심으로부터 오프셋된 위치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구조.
  15. 제 10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 신축수단은,
    상기 시트 쿠션에 상기 쿠션 바깥쪽 프레임보다 바깥쪽에서 설치된 쿠션 바깥 프레임과,
    상기 쿠션 바깥쪽 프레임 및 쿠션 바깥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5 링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구조.
  16. 제 10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 신축수단은, 상기 시트 쿠션에 상기 쿠션 메인프레임보다 안쪽에서 설치되어 상기 쿠션 메인프레임과의 상기 시트 사이드부 두께방향에서의 거리를 신축 가능하게 이루어진 쿠션 안쪽 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구조.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쿠션을 피복하고, 상기 쿠션 안쪽 부재를 수용하는 쿠션 피복부재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구조.
  18. 제 1항에 기재된 시트구조가 적용되어 구성된 시트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9. 제 2항에 기재된 시트구조가 적용되어 구성된 시트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KR1020087014459A 2005-11-16 2006-11-14 시트구조 및 차량 KR1010124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31894 2005-11-16
JP2005331894A JP4105190B2 (ja) 2005-11-16 2005-11-16 シート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0065A true KR20080070065A (ko) 2008-07-29
KR101012431B1 KR101012431B1 (ko) 2011-02-08

Family

ID=38048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4459A KR101012431B1 (ko) 2005-11-16 2006-11-14 시트구조 및 차량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8235466B2 (ko)
EP (1) EP1952722B1 (ko)
JP (1) JP4105190B2 (ko)
KR (1) KR101012431B1 (ko)
CN (1) CN101309617B (ko)
WO (1) WO200705816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817B1 (ko) * 2011-11-04 2013-09-0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시트백의 볼스터 조절장치 및 차량용 시트
KR101491856B1 (ko) * 2008-10-31 2015-02-09 주식회사다스 폴딩시트용 볼스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31218A1 (en) * 2006-09-13 2008-03-20 Intier Automotive Inc. Deployable bolster for a vehicle seat
DE102008010926A1 (de) * 2007-12-06 2009-06-10 Johnson Controls Gmbh Fahrzeugsitz
KR101014493B1 (ko) 2008-08-20 2011-02-14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시트용 사이드볼스터 장치
JP5407735B2 (ja) * 2009-10-16 2014-02-05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JP5407619B2 (ja) * 2009-07-15 2014-02-05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WO2011007625A1 (ja) * 2009-07-15 2011-01-20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DE102009041655A1 (de) * 2009-09-17 2011-03-24 Aguti Produktentwicklung & Design Gmbh Sitzanordnung für ein Fahrzeug
JP5387390B2 (ja) * 2009-12-25 2014-01-15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US9145073B2 (en) * 2011-03-15 2015-09-29 Lear Corporation Collapsible bolster cushion
DE102012003763A1 (de) * 2012-02-24 2013-08-29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Modulares karosseriefestes Unterschenkelauflageteil mit pneumatisch veränderbarer Auflagefläche
JP6016075B2 (ja) * 2012-06-06 2016-10-26 スズキ株式会社 車体中央部のフロア構造
DE202013011386U1 (de) * 2013-12-19 2015-03-2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d. Ges. d. Staates Delaware) Rücksitzanordnung eines Personenkraftwagens
JP6237465B2 (ja) * 2014-05-23 2017-11-29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JP6237466B2 (ja) * 2014-05-23 2017-11-29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JP6237467B2 (ja) * 2014-05-23 2017-11-29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US9937836B2 (en) * 2015-02-17 2018-04-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back with collapsible internal support unit
DE102016203540B4 (de) * 2016-03-03 2024-10-24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Sitz mit einem Rückenlehnenelement
JP6865591B2 (ja) * 2017-01-18 2021-04-28 日本発條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US20190275974A1 (en) * 2018-03-12 2019-09-12 Lear Corporation Occupant protection systems for a vehicle seat
CA3098587A1 (en) * 2018-04-27 2019-10-31 Magna Seating Inc. Retractable bolsters for a reversible seat
KR20230091577A (ko) * 2021-12-16 2023-06-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92389A (en) * 1994-03-23 1996-02-20 Freedman Seating Company Stowable seat
DE69508614T2 (de) * 1994-12-03 1999-07-22 Magna Seating Systems Ltd., Nottingham Klappbare sitzeinheit für fahrzeuge
AU9021398A (en) * 1997-08-18 1999-03-08 Prefix Corporation Collapsible seat
DE19836907C1 (de) 1998-08-14 1999-11-18 Faure Bertrand Sitztech Gmbh Kraftfahrzeugsitz mit klappbarer Rückenlehne
JP4174908B2 (ja) 1999-05-12 2008-11-05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JP3526025B2 (ja) * 2000-05-16 2004-05-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収納式スライドシート装置
JP2002264708A (ja) 2001-03-09 2002-09-18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シート構造
US6843526B2 (en) * 2002-03-26 2005-01-18 Hiroyuki Honda Removable jump seat for a vehicle
JP2003316663A (ja) 2002-04-22 2003-11-07 Oki Electric Ind Co Ltd データ処理と誤り検出訂正の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
US6736459B1 (en) * 2003-04-17 2004-05-18 Lear Corporation Spring element seat
JP4054297B2 (ja) 2003-08-18 2008-02-27 株式会社タチエス 折り畳み式シート
DE10351157B3 (de) * 2003-11-03 2005-06-09 Faurecia Autositze Gmbh & Co. Kg Kraftfahrzeugsitz
JP4639747B2 (ja) 2003-11-20 2011-02-23 トヨタ紡織株式会社 格納シート
DE602004023681D1 (de) * 2003-11-20 2009-12-03 Toyota Boshoku Kk Klappsitz
US7458637B2 (en) * 2004-06-10 2008-12-02 Steelcase Inc. Back construction with flexible lumbar
JP3958772B2 (ja) * 2005-10-17 2007-08-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シート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1856B1 (ko) * 2008-10-31 2015-02-09 주식회사다스 폴딩시트용 볼스터 장치
KR101305817B1 (ko) * 2011-11-04 2013-09-0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시트백의 볼스터 조절장치 및 차량용 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58168A1 (ja) 2007-05-24
US8608242B2 (en) 2013-12-17
EP1952722A1 (en) 2008-08-06
US20130292980A1 (en) 2013-11-07
JP4105190B2 (ja) 2008-06-25
US20120274110A1 (en) 2012-11-01
KR101012431B1 (ko) 2011-02-08
CN101309617A (zh) 2008-11-19
CN101309617B (zh) 2011-07-06
EP1952722B1 (en) 2011-07-20
JP2007135778A (ja) 2007-06-07
US20090322133A1 (en) 2009-12-31
EP1952722A4 (en) 2009-09-09
US8616624B2 (en) 2013-12-31
US8235466B2 (en) 2012-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2431B1 (ko) 시트구조 및 차량
JP2007105116A (ja) シート構造
KR101083118B1 (ko) 차량용 시트의 조작 레버
CN106068205B (zh) 车用座椅
JP5696256B2 (ja) 車両シート
US20230045701A1 (en) Glove box
JP5169142B2 (ja) リアコンソールボックス
US7152904B2 (en) Corner bow for a vehicle having a folding top
GB2459696A (en) Multifunctional seat for a motor vehicle
JP2007223592A (ja) 折畳み式トップを備えたカブリオレ車両
EP1549519B1 (en) Decklid mechanism for vehicle with retractable top
KR102287977B1 (ko)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
JP3662873B2 (ja) 車両用シート
KR20200125661A (ko) 시트 프레임 및 경사-조정 가능한 시트 쉘을 포함하는 자동차 시트의 시트 지지 프레임
JP2008093459A (ja) シート構造
KR102287978B1 (ko)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
JP2002225634A (ja) 車両の後部荷室構造
JP2003118451A (ja) 車両用シート
JP4442451B2 (ja) 車両用シート
KR101526797B1 (ko) 만곡 판체 지지형 암레스트
JP2003182422A (ja) 車両用シート
JP3424293B2 (ja) 車両のシート装置
JP3534447B2 (ja) 車両用折畳シート
JP4569386B2 (ja) 車両用シート格納構造
JP2005161981A (ja) 車両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